KR20210076317A - 사육 케이지 내부의 공기 정보 맞춤형 공조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사육 케이지 내부의 공기 정보 맞춤형 공조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6317A
KR20210076317A KR1020190167338A KR20190167338A KR20210076317A KR 20210076317 A KR20210076317 A KR 20210076317A KR 1020190167338 A KR1020190167338 A KR 1020190167338A KR 20190167338 A KR20190167338 A KR 20190167338A KR 20210076317 A KR20210076317 A KR 202100763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motor
breeding cage
flow rate
bl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73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67193B1 (ko
Inventor
이상호
김유현
최문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마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마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마스텍
Priority to KR10201901673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7193B1/ko
Publication of KR202100763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63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71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71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2Pigsties; Dog-kennels; Rabbit-hutches or the like
    • A01K1/03Housing for domestic or laboratory animals
    • A01K1/031Cages for laboratory animals; Cages for measuring metabolism of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047Air-conditioning, e.g. ventilation, of animal housings
    • A01K1/0052Arrangement of fans or bl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047Air-conditioning, e.g. ventilation, of animal housings
    • A01K1/0064Construction of air inlets or outlets in w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30Veloc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7Ventilation with forced flow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우스와 같은 실험 동물 배양을 위한 사육 케이지 내부로의 흡기 또는 외부로의 배기시 흡기관 및 배기관의 크기를 반영하고 블로어의 회전수를 조절 가능하여 최적의 사육 환경을 조성하고, 사육케이지 내부의 공기 정보에 맞추어 사육케이지 내부로 유입되거나 배기되는 공기의 양을 최적 상태로 조절하기 위한 블로어 최적 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사육 케이지 내부의 공기 정보 맞춤형 공조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인 외부 공기가 급기되는 흡기관과 내부 공기가 배기되는 배기관과, 상기 흡기관과 연결되는 흡기부(제 1 모터와 제 1 블로어 구비)와, 상기 배기관과 연결되는 배기부(제 2모터와 제 2블로어 구비)와, 상기 흡기관 내부에 설치된 유속 센서와, 상기 배기관 내부에 설치되어 배기되는 공기의 정보를 측정하는 공기 정보 측정용 센서와, 상기 제 1 및 제 2 모터의 듀티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사육 케이지 내부의 공기 정보 맞춤형 공조 제어방법은,
(a) 설정하고자 하는 설정 ACH를 제어부로 전송하는 단계;
(b) 상기 설정 ACH에 대응하여, 상기 흡기관으로 급기되는 공기 유량을 상기 제어부에서 계산하는 단계;
(c) 상기 공기 유량에 대응하는 제 1 공기 유속을 상기 제어부에서 계산하는 단계;
(d)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제 1 공기 유속에 대응하는 상기 제 1 블로어의 RPM을 계산하는 단계;
(e)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 1 블로어의 상기 RPM 유지를 위하여 상기 제 1 블로어를 제어하는 상기 제 1 모터의 듀티비를 계산하는 단계;
(f) 상기 제 1 모터를 작동시키는 단계;
(g) 상기 제 1 모터와 10% 차이가 나는 듀티비를 갖도록 상기 제 2 모터를 작동시키는 단계;
(h) 상기 흡기관 내부에 설치된 유속 센서를 통하여 상기 흡기관으로 급기되는 제 2 공기 유속이 측정되어 상기 제어부로 전송되는 단계;
(i)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제 2 공기 유속에 대응하는 제 2 공기 유량을 계산하는 단계;
(j)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제 2 공기 유량에 따라 계산되는 측정치인 측정 ACH를 도출하고 상기 설정 ACH와의 차이를 비교하는 단계;
(k) 상기 설정 ACH와 상기 측정 ACH의 차이가 제로로 수렴할 때까지 상기 단계 (f) ~ 단계 (j)를 반복 실시하되, 상기 단계 (f)의 상기 제 1 모터 작동을 위한 듀티비를 소정 수치 증가 또는 감소시킨 후 반복 실시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사육 케이지 내부의 공기 정보 맞춤형 공조 제어방법을 실시하는 경우, 흡기관 배기관의 크기 및 사육 케이지 내부 공기 정보에 따라 사육 케이지 내부의 공기 환경을 최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사육 케이지 내부의 공기 정보 맞춤형 공조 제어방법{Customized air conditioning control method for air information inside breeding cage}
본 발명은 마우스와 같은 실험 동물 배양을 위한 사육 케이지 내부로의 흡기 또는 외부로의 배기시 흡기관 및 배기관의 크기를 반영하고 블로어의 회전수를 조절 가능하여 최적의 사육 환경을 조성하고, 사육케이지 내부의 공기 정보에 맞추어 사육케이지 내부로 유입되거나 배기되는 공기의 양을 최적 상태로 조절하기 위한 블로어 최적 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사육 케이지 내부의 공기 정보 맞춤형 공조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는 그동안 바이오 산업 및 제약 산업을 집중적으로 육성하여 왔으며, 이러한 산업분야는 특히 우리나라의 미래 먹거리 기술로서 전세계적으로 많은 바이오 회사 및 제약 회사들이 우리나라에서 동물 임상 실험을 수행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인체에 필요한 약 등을 개발하기 위해 실험용으로 생쥐 등의 동물들이 주로 이용되었으며, 이러한 실험 동물들을 사육하기 위한 사육 케이지가 개발되었다.
그리고 동물 사육실에 설치되는 다수 개의 사육 케이지를 적정한 온도와 습도 그리고 환기 등의 조건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방법이 그동안 개발되어 왔다.
이와 같이, 인체에 필요한 약 등을 개발하기 위하여 실험용으로 사용되는 실험 동물들은 약물 주입 이외의 변수들을 최소한으로 줄이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하여, 실험 동물들이 살고 있는 사육 케이지의 조건을 최적의 상태로 유지하는 기술은, 바이오 산업 및 제약 산업의 중요 기술로서, 해당 분야의 기술의 중요성은 앞으로도 증대될 전망이다.
이와 관련된 종래기술인 등록특허 제10-0357051호에는 내공간부가 구비되고 상면에는 복수개의 사육통이 기밀을 유지하며 결합되는 삽입공이 형성된 함체와, 상기 함체의 내부에 사육통으로부터 떨어지는 오물과 공기가 하방으로 유도되도록 하향 경사지게 설치된 오물포집통과, 상기 오물포집통의 하방으로 환기통로가 구비되게 설치된 환기집합통과, 상기 환기통로와 통하여지게 함체내에 설치된 닥트와, 상기 닥트상에 설치되어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송풍기와, 상기 함체의 측벽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된 도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동물용 사육 케이지내의 악취 배출장치가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은 단순히 사육 케이지의 악취를 배출하는 것에 초점을 맞출 뿐, 사육 케이지 내부의 환기 상태를 최적의 상태로 유지하고 이러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시스템 내부의 오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수단이 개시되어 있지 않은 문제점이 존재하고 있었다.
특히, 사육 케이지 내부의 공기 흐름이나 공기 흐름으로 인한 소음 등으로 실험 동물들이 스트레스를 받을 수 있으므로, 사육 케이지 내부의 ACH(Air Change per Hour) 관리는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위와 같은 문제점의 해결과 함께 사육 케이지 내부의 ACH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이 필요하다.
이에 본 출원인과 울산대는 산학협력과제로 아래와 시스템을 개발한 바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기존에 개발한 시스템에 대하여 간단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실험 동물 배양을 위한 사육 케이지의 환기 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따르면, 블로어 모터를 이용한 사육 케이지(10) 환기 관리 시스템으로서, 상세히는 흡기부(20), 측정부(30), 배기부(40) 및 제어부(50)를 포함한다.
배기부(40)는 실험 동물 배양을 위한 사육 케이지(10) 내부의 공기를 상기 케이지의 외부로 배출시킨다. 배기의 사전적 의미는 내부에서 외부로 공기를 배출하는 것을 의미한다.
도 2에 따르면, 배기부(40)는 배기관(41), 배기를 위한 제1 블로어 모터(42), 제1 블로어 모터(42)를 이용하여 배기되는 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1차 필터, 제1 블로어 모터(42)를 이용하여 배기되는 공기의 정보를 측정하는 제1 측정부(31)를 포함할 수 있다.
배기관(41)은 복수의 사육 케이지(10)들과 배기부(40) 사이를 연결하는 관을 말한다.
1차 필터는, 상대적으로 큰 먼지 등을 걸러내기 위한 프리 필터(Pre-Filter) 및 공기 중의 미립자를 걸러내기 위한 헤파 필터(Hepa Filter)를 포함할 수 있다.
1차 필터로 인하여 실험 동물 배양을 위한 사육 케이지(10) 내부의 공기를 항상 깨끗하게 유지할 수 있다. 다만, 적절한 시기에 프리 필터 또는 헤파 필터를 교체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공기의 정보란 실험 동물 배양을 위한 사육 케이지(10) 내부의 공기에 대한 모든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공기 정보는 공기의 성분(CO2, NH3, O2, H2O 등), 공기가 흐르는 속도(즉, 유속), 공기가 흐르는 방향, 냄새 성분, 온도, 습도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따르면, 제1 측정부(31)는 배기부(40)에 의하여 배기된 공기의 정보를 측정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사용되는 센서들은 상기 공기의 정보를 측정하는 모든 센서를 의미할 수 있다.
흡기부(20)는 제1 측정부(31)에 의하여 공기의 정보가 측정된 공기를 실험 동물 배양을 위한 사육 케이지(10) 내부로 보낸다.
도 2에 따르면, 흡기부(20)는 흡기관(21), 흡기를 위한 제2 블로어 모터(22), 제2 블로어 모터(22)를 이용하여 흡기되는 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2차 필터, 제2 블로어 모터(22)를 이용하여 흡기되는 공기의 정보를 측정하는 제2 측정부(32)를 포함할 수 있다.
흡기관(21)은 복수의 사육 케이지(10)들과 흡기부(20) 사이를 연결하는 관을 말한다.
2차 필터는 프리 필터와 헤파 필터를 포함하는 1차 필터와 동일한 구성일 수 있다. 이와 같이 1차 및 2차 필터를 이용하여 이중으로 공기를 정화시킴으로써, 실험 동물들이 느낄 수 있는 스트레스를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제어부(50)는 제1 측정부(31) 및/또는 제2 측정부(32)에서 측정된 값에 따라 제1 블로어 모터(42) 및/또는 제2 블로어 모터(22)의 RPM을 조절하여 사육 케이지(10)의 ACH(Air Change per Hour)를 제어한다. 이때, ACH(Air Change per Hour)는 실험 동물 배양을 위한 사육 케이지(10) 관리에 있어서 아주 중요한 요소이다.
케이지에서 사육되는 실험 동물들은 상기 케이지 내부에서 사료를 섭취하거나 배설을 한다. 실험 동물들의 배설물에서 발생하는 암모니아 등의 기체 성분과 실험 동물들의 호흡에서 발생되는 이산화탄소, 수증기 및 실험 동물의 체열로 인하여 발생하는 내부 온도 상승 등은 실험 동물의 건강에 해로운 영향을 줄 수 있다.
또한, 실험 동물의 스트레스 관리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실험 동물 배양을 위한 사육 케이지(10)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고 정화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작업이다. 실험 동물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흡기부(20)와 배기부(40)의 차압은 0이거나 0에 가까운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흡기부(20)와 배기부(40)의 차압을 0으로 하면서, 사육 케이지(10)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하여 실험 동물 배양을 위한 사육 케이지(10)의 환기 관리 시스템이 정밀하게 가동되는 것이 중요하다.
도 3은 블로어 모터의 RPM에 따른 풍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블로어 모터란 특정 공간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하여 팬을 회전시키는 모터를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는 실험 동물 배양을 위한 사육 케이지(10)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한 모든 구성을 의미한다.
실험 동물 배양을 위한 실험 동물의 사육의 경우에는 공기의 흐름마저 실험 동물에 스트레스를 주는 등의 변수를 초래할 수 있으므로, 이때 사용되는 블로어 모터는 소음이 거의 없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블로어 모터로 인하여 발생되는 압력의 변화 역시 거의 없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블로어 모터는 RPM(Revolutions Per Minute)을 컨트롤하여 그 풍량을 조절할 수 있다.
도 3에 따르면, RPM과 풍량은 비례관계에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4는 실험 동물 배양을 위한 사육 케이지의 환기 관리 시스템을 구현한 사진이다.
도 4에 따르면, 실험 동물 배양을 위한 사육 케이지(10)의 환기 관리 시스템은 복수의 사육 케이지(10)들, 고정틀(11), 흡기부(20), 측정부(30), 배기부(40), 제어부(50), 표시부(60) 및 공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흡기부(20), 측정부(30), 배기부(40) 및 제어부(50)는 도 1에 따라 설명한 바와 같다.
복수의 사육 케이지(10)들은 육면체 형상이며, 상면과 저면보다 측면의 길이가 길고, 내부공간은 실험 동물이 사육되는 사육공간(미도시)과 실험동물이 배설하는 변과 뇨가 낙하되고 저장되는 저장공간(미도시)으로 구분될 수 있다.
즉, 각각의 사육 케이지(10)들은 받침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받침대의 상부공간은 사육공간(미도시)이고, 하부공간은 저장공간(미도시)으로 구획된다. 각각의 사육 케이지(10)의 측면에는 노즐이 연결되어 있고, 이 노즐을 통하여 각각의 사육 케이지(10)로 공기를 흡기하거나 배기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사육 케이지(10)의 상면은 실험 동물을 사육공간으로 넣거나 뺄 수 있도록 개폐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사육 케이지(10)의 측면에는 실험 동물에게 물을 공급할 수 있는 물 공급부와 사료를 공급할 수 있는 먹이공급부(미도시)가 연결될 수 있다.
고정틀(11)은 복수의 사육 케이지(10)들을 보관할 수 있는 틀을 의미한다. 해당 고정틀(11)은 사육 케이지(10) 크기만큼의 보관 공간을 다수개 구비하고 있다. 각각의 사육 케이지(10)들은 상기 보관 공간에 보관되며, 필요에 따라 출입이 가능할 수 있다.
표시부(60)는 측정부(30)의 측정 결과를 실시간으로 나타내는 제1표시부 및 제어부(50)의 제어 기능을 표시하고 제어부(50)의 제어 기능을 조절할 수 있는 제2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60)의 구체적인 실시예는 이하, 제3실시예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공조기는 공기의 온도를 서늘하게 조절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한다.
이하, 실험 동물 배양을 위한 사육 케이지의 환기 관리 방법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은 실험 동물 배양을 위한 사육 케이지의 환기 관리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따르면, 블로어 모터를 이용한 사육 케이지(10)의 환기 관리 시스템이 수행하는 상기 케이지 내부의 환기 관리 방법에 대한 것이다.
이때, 사육 케이지(10)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단계(S100), 배출된 공기의 정보를 측정하는 단계(S200), 측정된 공기를 사육 케이지(10) 내부로 돌려보내는 단계(S300) 및 측정된 값에 따라 상기 블로어 모터의 RPM(Revolutions Per Minute)을 조절하여 사육 케이지(10)의 ACH(Air Change per Hour)를 제어하는 단계(S400)를 포함한다.
한편, 사육 케이지(10)의 환기 관리 시스템이 에러 상태에 있는지를 자가검증하는 단계(S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육 케이지(10)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단계(S100)는, 블로어 모터를 이용하여 공기를 빨아들이는 단계(S110) 및 블로어 모터 내부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필터를 거쳐 상기 공기를 정화하는 단계(S1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 정화와 동시에 또는 그 이후에 상기 공기에 대한 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이때, 공기의 정보란 실험 동물 배양을 위한 사육 케이지(10) 내부의 공기에 대한 모든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공기의 성분(CO2, NH3, O2, H2O 등), 공기가 흐르는 속도(즉, 유속), 공기가 흐르는 방향, 냄새 성분, 온도, 습도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사육 케이지(10)의 외부로 배출된 공기의 정보를 측정하는 단계(S200)는, 사육 케이지(10)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는 제1 지점과, 상기 사육 케이지(10)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제2 지점의 차압을 측정하는 단계(S210), 및 상기 차압이 0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220)를 포함할 수 있다.
블로어 모터의 RPM(Revolutions Per Minute)을 조절하여 사육 케이지(10)의 ACH(Air Change per Hour)를 제어하는 단계(S400)는, 기절정된 ACH에 따른 공기유량을 계산하는 단계(S410) 및 상기 계산된 공기유량에 따라 RPM을 조절하는 단계(S42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육 케이지(10)의 환기 관리 시스템이 에러 상태에 있는지를 자가 검증하는 단계(S500)는, 사육 케이지(10)의 실제 ACH를 계산하는 단계(S510), 계산된 실제 ACH 및 기설정된 ACH를 비교하여 차이값을 산출하는 단계(S520), 및 산출된 차이값을 기초로 상기 시스템에 에러가 발생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5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타코미터 센서를 이용한 RPM 측정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사육 케이지(10) 외부로 배출된 공기의 정보를 측정하는 단계(S200)는, 상기 공기의 정보 이외에, 타코미터 센서를 사용하여 블로어 모터의 RPM을 측정하는 단계(S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6에 따르면, 타코미터 센서를 이용하여 블로어 모터의 클락(Clk) 및 1회전에 소요되는 주기(TC)를 측정할 수 있다. 타코미터(Tachometer)란, 기기에 있어서 축의 회전수(회전속도)를 지시하는 계량기, 측정기이며, 회전계의 일종을 말한다.
사육 케이지(10) 외부로 배출된 공기의 정보를 측정하는 단계(S200)는, 상기 공기의 정보 이외에, 공기 유량에 따라 블로어 모터의 RPM을 측정하는 단계(S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유량에 따라 블로어 모터의 RPM을 측정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 따르면, 블로어 모터의 유량-차압 그래프를 참고하여 블로어 모터의 RPM을 계산할 수 있다. 이때, 유압의 단위는 CFM(Cubic Feet per Minute)이다.
또한, 차압이란, 사육 케이지(10)와 배기부(40)가 연결되는 제1 지점 및 상기 사육 케이지(10)와 흡기부(20)가 연결되는 제2 지점의 압력 차이를 의미할 수 있다. 이경우, 실험 동물 사육 특성상 차압은 0에 가깝게 하였다.
도 7의 (a)는 블로어 모터의 고유한 유압-차압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의 한가지 예시이다.
또한, 도 7의 (b)는 블로어 모터의 고유한 데이터 시트의 한가지 예시이다.
도 7의 (a) 및 (b)에서 사용된 블로어 모터의 모델명은 G1G140-AV17-02일 수 있다. 이때, 해당 모델명의 모터의 특성상 최소 RPM은 450일 수 있다. 다만, 상기 기재된 모터의 모델명은 블로어 모터의 하나의 예시일 뿐이다.
도 7의 (c)는 타코미터 센서 등을 활용한 측정 등을 통해 측정한 RPM 값을 바탕으로 유량에 따른 RPM 계산식을 유추하여 도시한 직선 그래프이다. 이 경우, 상기 차압을 일정하게 유지한 상태로 타코미터를 통해 RPM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사육 케이지(10) 외부로 배출된 공기의 정보를 측정하는 단계(S200)는, 상기 공기의 정보 이외에, 공기 블로어 모터의 RPM에 따라 공기의 유량을 측정하는 단계(S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RPM에 따라 블로어 모터의 유량을 측정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에 따르면, 블로어 모터의 유량-차압 그래프를 참고하여 블로어 모터에 의한 유량을 계산할 수 있다. 이때, 유량을 계산하기 위해서는 RPM을 알아야 하므로, RPM은 도 6과 같이 타코미터 센서를 활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도 8의 (a)는 블로어 모터의 고유한 유압-차압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의 한가지 예시이다.
또한, 도 8(b)은 블로어 모터의 고유한 데이터 시트의 한가지 예시이다.
도 8의 (a) 및 (b)에서 사용된 블로어 모터의 모델명은 G1G140-AV17-02일 수 있다. 이때, 해당 모델명의 모터의 특성상 최소 RPM은 450일 수 있다. 다만, 상기 기재된 모터의 모델명은 블로어 모터의 하나의 예시일 뿐이다.
도 8의 (c)는 타코미터 센서 등을 활용한 측정 등을 통해 측정한 RPM 값을 바탕으로 RPM에 따른 유량 계산식을 유추하여 도시한 직선 그래프이다. 이 경우, 상기 차압을 일정하게 유지한 상태로 타코미터를 통해 RPM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사육 케이지(10) 외부로 배출된 공기의 정보를 측정하는 단계(S200)는, 상기 공기의 정보 이외에, 흡기관(21)/배기관(41)의 유속을 측정하여 공기의 유량을 계산하는 단계(S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흡기관(21)/배기관(41)의 유속을 측정하여 공기의 유량을 계산하는 단계(S260)는, 먼저 흡기관(21)/배기관(41)의 단면적을 측정하고, 해당 단면적을 통과하는 유속을 측정하여 유량을 계산할 수 있다.
이하, 실험 동물 배양을 위한 사육 케이지의 환기 관리 시스템을 구동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은 표시부(60)에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의 메뉴를 클릭하여 원하는 동작을 명령할 수 있다.
도 9는 실험 동물 배양을 위한 사육 케이지의 환기 관리 시스템을 구동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의 “메인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에 따르면,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은 최상단에 탭 메뉴를 포함하며, 탭 메뉴의 하단에 해당 프로그램 이름 및 현재 시각을 표시할 수 있으며, 그 하단에는 흡기부(20) 및 배기부(40)에서 측정되는 측정값들이 표시된다. 이때, 상기 측정값은 모터속도, 온도, NH3, 공기속도, 습도, CO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의 최하단에는 측정된 ACH와 측정된 차압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0은 실험 동물 배양을 위한 사육 케이지의 환기 관리 시스템을 구동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의 “환경설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에 따르면,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은 최상단에 탭 메뉴를 포함하며, 그 하단에 기본 설정 메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본 설정 메뉴에는 Auto모드 및 Manual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메뉴가 포함된다. 이때, Manual모드인 경우의 기본 설정값을 설정할 수 있도록 케이지 개수, 차압, ACH, 차압 범위 등의 수치를 입력하는 메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기본 설정 메뉴의 하단에는 흡기부(20) 및 배기부(40)의 상한값을 설정할 수 있는 메뉴가 포함될 수 있다. 상한값을 설정할 수 있는 메뉴에는, 모터속도, 온도, NH3, 공기속도, 습도, CO2 등의 메뉴가 포함될 수 있다.
상한값 설정 메뉴의 하단에는 해당 설정값을 초기화하는 버튼과, 해당 설정값을 적용시키는 버튼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도 11은 실험 동물 배양을 위한 사육 케이지의 환기 관리 시스템을 구동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의 “그래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에 따르면,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은 최상단에 탭 메뉴를 포함하며, 그 하단에 센서 설정 메뉴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 설정 메뉴에는, 차압, CO2, 습도, NH3, 온도 및 공기속도 메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센서 설정 메뉴의 하단에는 흡기부(20) 및 배기부(40)에서 측정한 측정값을 표시한 그래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2는 실험 동물 배양을 위한 사육 케이지의 환기 관리 시스템을 구동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의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에 따르면,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은 최상단에 탭 메뉴를 포함하며, 그 하단에 측정된 센서값을 바탕으로 에러리스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러리스트 하단에는 상기 시스템의 흡기부(20) 및 배기부(40)에 사용되는 헤파 필터의 수명이 표시될 수 있다.
도 13은 실험 동물 배양을 위한 사육 케이지의 환기 관리 시스템을 구동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에러”를 검출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에 따르면, 흡기부(20) 및 배기부(40)에 포함되는 제1 측정부(30) 및 제2 측정부(30)에 의하여 산출된 차이값이 기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시스템에 에러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시스템에 에러가 발생하였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해당 내용이 도 13의 에러리스트에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산출된 차이값이 기설정된 값 미만인 경우 상기 시스템은 정상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해당 내용이 도 13의 에러리스트에 출력되지 않는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기술의 경우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1. 사육케이지와 연결되는 흡기관과 배기관의 크기(직경)에 다른 경우 모든 설계를 다시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범용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2. 사육케이지 사육환경은 차압을 0에 가깝게 유지하는 것보다는 기본적으로 음압을 유지하고 필요에 따라 양압을 유지하는 것이 더 바람직함에도 종래 기술에서는 차압을 0로 유지하는 방식을 채택한 문제점이 있다.
3. 사육케이지 내부의 공기 정보 (공기 정보는 공기의 성분(CO2, NH3, O2, H2O 등), 공기가 흐르는 속도(즉, 유속), 공기가 흐르는 방향, 온도, 습도 등을 포함할 수 있다)는 실험 동물의 건강 상태와 직결되므로 청정한 환경 유지를 위하여 음압 상태를 기본적으로 유지함과 동시에 공기 정보에 맞추어 사육케이지 내부로 유입되거나 배기되는 공기의 양을 최적 상태로 조절하기 위하여 블로어를 작동시켜야 하지만 이에 대한 연구가 미비한 점이 있었다.
1. 특허출원번호 10-2008-0017296, 발명의 명칭 :" 마우스 사육시설의 공조시스템"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사육 케이지 내부로의 흡기 또는 외부로의 배기시 흡기관 및 배기관의 크기를 반영하고 블로어의 회전수를 조절 가능하여 최적의 사육 환경을 조성하고, 사육케이지 내부의 공기 정보에 맞추어 사육케이지 내부로 유입되거나 배기되는 공기의 양을 최적 상태로 조절하기 위한 블로어 최적 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사육 케이지 내부의 공기 정보 맞춤형 공조 제어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인 외부 공기가 급기되는 흡기관과 내부 공기가 배기되는 배기관과, 상기 흡기관과 연결되는 흡기부(제 1 모터와 제 1 블로어 구비)와, 상기 배기관과 연결되는 배기부(제 2모터와 제 2블로어 구비)와, 상기 흡기관 내부에 설치된 유속 센서와, 상기 배기관 내부에 설치되어 배기되는 공기의 정보를 측정하는 공기 정보 측정용 센서와, 상기 제 1 및 제 2 모터의 듀티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사육 케이지 내부의 공기 정보 맞춤형 공조 제어방법은,
(a) 설정하고자 하는 설정 ACH를 제어부로 전송하는 단계;
(b) 상기 설정 ACH에 대응하여, 상기 흡기관으로 급기되는 공기 유량을 상기 제어부에서 계산하는 단계;
(c) 상기 공기 유량에 대응하는 제 1 공기 유속을 상기 제어부에서 계산하는 단계;
(d)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제 1 공기 유속에 대응하는 상기 제 1 블로어의 RPM을 계산하는 단계;
(e)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 1 블로어의 상기 RPM 유지를 위하여 상기 제 1 블로어를 제어하는 상기 제 1 모터의 듀티비를 계산하는 단계;
(f) 상기 제 1 모터를 작동시키는 단계;
(g) 상기 제 1 모터와 10% 차이가 나는 듀티비를 갖도록 상기 제 2 모터를 작동시키는 단계;
(h) 상기 흡기관 내부에 설치된 유속 센서를 통하여 상기 흡기관으로 급기되는 제 2 공기 유속이 측정되어 상기 제어부로 전송되는 단계;
(i)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제 2 공기 유속에 대응하는 제 2 공기 유량을 계산하는 단계;
(j)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제 2 공기 유량에 따라 계산되는 측정치인 측정 ACH를 도출하고 상기 설정 ACH와의 차이를 비교하는 단계;
(k) 상기 설정 ACH와 상기 측정 ACH의 차이가 제로로 수렴할 때까지 상기 단계 (f) ~ 단계 (j)를 반복 실시하되, 상기 단계 (f)의 상기 제 1 모터 작동을 위한 듀티비를 소정 수치 증가 또는 감소시킨 후 반복 실시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단계 (g)의 상기 제 1 모터와 10% 차이가 나는 듀티비를 갖도록 상기 제 2 모터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사육 케이지 내부를 음압 상태로 유지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 1 모터의 듀티비가 상기 제 2모터의 듀티비보다 10% 낮도록 하며,
상기 사육 케이지 내부를 양압 상태로 유지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 1 모터의 듀티비가 상기 제 2모터의 듀티비보다 10% 높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배기관 내부에 설치된 상기 공기 정보 측정용 센서는 상기 배기관을 통하여 배기되는 공기의 온도, 습도, 산소, 이산화탄소, 암모니아 정보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측정하며, 상기 공기 정보 측정용 센서에서 측정된 공기 정보의 오염도가 제어부에서 기설한 기준치를 이탈하는 경우, 상기 단계 (f)와 상기 단계 (g)의 상기 제 1 모터 및 상기 제 2 모터의 듀티비를 기존 상태 태비 5%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사육 케이지 내부의 공기 정보 맞춤형 공조 제어방법을 실시하는 경우, 흡기관 배기관의 크기 및 사육 케이지 내부 공기 정보에 따라 사육 케이지 내부의 공기 환경을 최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실험 동물 배양을 위한 사육 케이지의 환기 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블로어 모터의 RPM에 따른 풍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실험 동물 배양을 위한 사육 케이지의 환기 관리 시스템을 구현한 사진이다.
도 5은 실험 동물 배양을 위한 사육 케이지의 환기 관리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타코미터 센서를 이용한 RPM 측정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유량에 따라 블로어 모터의 RPM을 측정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RPM에 따라 블로어 모터의 유량을 측정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실험 동물 배양을 위한 사육 케이지의 환기 관리 시스템을 구동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의 “메인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실험 동물 배양을 위한 사육 케이지의 환기 관리 시스템을 구동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의 “환경설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실험 동물 배양을 위한 사육 케이지의 환기 관리 시스템을 구동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의 “그래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실험 동물 배양을 위한 사육 케이지의 환기 관리 시스템을 구동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의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실험 동물 배양을 위한 사육 케이지의 환기 관리 시스템을 구동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에러”를 검출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사육 케이지 내부의 공기 정보 맞춤형 공조 제어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험의 일예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새로운 방식의 "사육 케이지 내부의 공기 정보 맞춤형 공조 제어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본 발명의 기본 시스템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도 4에서 언급한 시스템과 유사하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4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사육 케이지 내부의 공기 정보 맞춤형 공조 제어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사육 케이지 내부로 외부 공기가 급기되는 흡기관과, 사육 케이지 내부 공기가 배기되는 배기관과, 상기 흡기관과 연결되는 흡기부(제 1 모터와 제 1 블로어 구비)와, 상기 배기관과 연결되는 배기부(제 2모터와 제 2블로어 구비)와, 상기 흡기관 내부에 설치된 유속 센서와, 상기 배기관 내부에 설치되어 배기되는 공기의 정보를 측정하는 공기 정보 측정용 센서와, 상기 제 1 및 제 2 모터의 듀티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참고로, 본 발명의 사육 케이지는 복수개의 단위 케이지가 랙 타입으로 적층되어 매트리스 타입을 유지하고 있으며, 임의의 단위 케이지 중의 하나에는 압력 센서가 장착되어 있다. 이는 사육 케이지 내부를 양압 상태를 유지할 것이지 음압 상태로 유지할 것인지를 판단할 때 사용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사육 케이지 내부의 공기 정보 맞춤형 공조 제어방법은 다음 단계로 제어된다.
(a) 설정하고자 하는 설정 ACH를 제어부로 전송하는 단계
본 단계는 도 4의 표시부에서 선택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표시부를 통하여 ACH를 설정할 수 있다
(b) 상기 설정 ACH에 대응하여, 상기 흡기관으로 급기되는 공기 유량을 상기 제어부에서 계산하는 단계
제어부는 입력되는 설정 ACH에 대응하는 공기 유량을 계산한다
설정 ACH 값에 따른 필요한 공기 유량 계산으로 다음과 같다.
Figure pat00001
(c) 다음, 상기 공기 유량에 대응하는 제 1 공기 유속을 상기 제어부에서 계산한다
(d) 다음,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제 1 공기 유속에 대응하는 상기 제 1 블로어의 RPM을 계산한다.
계산 방식은 다음과 같다
Figure pat00002
즉, 본 발명의 경우 흡기관의 크기(직경 또는 면적 정보)에 따라 제 1 블로어의 회전수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범용성이 매우 우수하다 볼 수 있다
(e) 다음,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 1 블로어의 상기 RPM 유지를 위하여 상기 제 1 블로어를 제어하는 상기 제 1 모터의 듀티비를 계산한다
블로어의 RPM은 모터 제어용 PWM 신호에 의하여 결정되고 따라서 PWM의 듀티비를 조절하여 블로어의 회전수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이다.
(f) 다음, 흡기부에 있는 상기 제 1 모터를 작동시킨다.
이때 제 2 모터의 듀티비는 제 1 모터의 듀티비와 소정 값이 차이가 나도록 자동 연동된다
(g)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 1 모터와 10% 차이가 나는 듀티비를 갖도록 상기 제 2 모터를 작동시킨다.
이는 사육 모드에 따라 다르다
여기서 사육 모드란 사육 케이지 내부가 양압 상태인지 음압 상태인지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쾌적한 상태를 유지하고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음압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압력 센서가 장차된 케이지 내부의 압력을 이용하여 제어부에서 양압 상태인지 음압 상태인지를 판단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차압 실험의 일예이다.
실험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압력 센서가 장착된 케이지의 차압 비교 실험결과, 흡기부의 제 1 블로어와 배기부의 제 2 블러어 듀티비가 10% 차이인 경우 적절한 사육 모드를 위한 양압 또는 음압 상태를 유지함을 알 수 있었다.
즉, 음압 상태인 경우에는 제 1 블로어의 듀티비가 제 2 블로어의 듀티비 보다 10% 낮고, 양압 상태인 경우에는 제 1 블로어의 듀티비가 제 2 블로어의 듀티비 보다 10% 높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였다.
(h) 다음, 상기 흡기관 내부에 설치된 유속 센서를 통하여 상기 흡기관으로 급기되는 제 2 공기 유속이 측정되어 상기 제어부로 전송되는 단계; (i)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제 2 공기 유속에 대응하는 제 2 공기 유량을 계산하는 단계; (j)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제 2 공기 유량에 따라 계산되는 측정치인 측정 ACH를 도출하고 상기 설정 ACH와의 차이를 비교하는 단계를 실시한다
;
(k) 다음, 상기 설정 ACH와 상기 측정 ACH의 차이가 제로로 수렴할 때까지 상기 단계 (f) ~ 단계 (j)를 반복 실시하되, 상기 단계 (f)의 상기 제 1 모터 작동을 위한 듀티비를 소정 수치 증가 또는 감소시킨 후 반복 실시하는 단계를 실시하면서 최적 상태를 유지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단계 (g)의 상기 제 1 모터와 10% 차이가 나는 듀티비를 갖도록 상기 제 2 모터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사육 케이지 내부를 음압 상태로 유지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 1 모터의 듀티비가 상기 제 2모터의 듀티비보다 10% 낮도록 하며, 상기 사육 케이지 내부를 양압 상태로 유지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 1 모터의 듀티비가 상기 제 2모터의 듀티비보다 10% 높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배기관 내부에는 공기 정보 측정용 센서가 설치되어 제어부로 그 정보가 전송된다.
공기 정보 측정용 센서는 상기 배기관을 통하여 배기되는 공기의 온도, 습도, 산소, 이산화탄소, 암모니아 정보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측정한다.
상기 공기 정보 측정용 센서에서 측정된 공기 정보의 오염도가 제어부에서 기설한 기준치를 이탈하는 경우, 제어부는 상기 단계 (f)와 상기 단계 (g)의 상기 제 1 모터 및 상기 제 2 모터의 듀티비를 기존 상태 태비 5% 증가시켜 사육 케이지 내부의 오염원을 신속하게 제거시킬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사육 케이지 내부의 공기 정보 맞춤형 공조 제어방법을 실시하는 경우, 흡기관 배기관의 크기 및 사육 케이지 내부 공기 정보에 따라 사육 케이지 내부의 공기 환경을 최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즉, 본 발명을 실시하는 경우, 사육 케이지 내부로의 흡기 또는 외부로의 배기시 흡기관 및 배기관의 크기를 반영하고 블로어의 회전수를 조절 가능하여 최적의 사육 환경을 조성하고, 사육케이지 내부의 공기 정보에 맞추어 사육케이지 내부로 유입되거나 배기되는 공기의 양을 최적 상태로 조절하기 위한 블로어 최적 제어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 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사육 케이지11: 고정틀
20: 흡기부21: 흡기관
22: 제2 블로어 모터30: 측정부
31: 제1 측정부32: 제2 측정부
40: 배기부41: 배기관
42: 제1 블로어 모터50: 제어부
60: 표시부70: 공조기

Claims (3)

  1. 외부 공기가 급기되는 흡기관과 내부 공기가 배기되는 배기관과, 상기 흡기관과 연결되는 흡기부(제 1 모터와 제 1 블로어 구비)와, 상기 배기관과 연결되는 배기부(제 2모터와 제 2블로어 구비)와, 상기 흡기관 내부에 설치된 유속 센서와, 상기 배기관 내부에 설치되어 배기되는 공기의 정보를 측정하는 공기 정보 측정용 센서와, 상기 제 1 및 제 2 모터의 듀티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사육 케이지 내부의 공기 정보 맞춤형 공조 제어방법으로서,
    (a) 설정하고자 하는 설정 ACH를 제어부로 전송하는 단계;
    (b) 상기 설정 ACH에 대응하여, 상기 흡기관으로 급기되는 공기 유량을 상기 제어부에서 계산하는 단계;
    (c) 상기 공기 유량에 대응하는 제 1 공기 유속을 상기 제어부에서 계산하는 단계;
    (d)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제 1 공기 유속에 대응하는 상기 제 1 블로어의 RPM을 계산하는 단계;
    (e)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 1 블로어의 상기 RPM 유지를 위하여 상기 제 1 블로어를 제어하는 상기 제 1 모터의 듀티비를 계산하는 단계;
    (f) 상기 제 1 모터를 작동시키는 단계;
    (g) 상기 제 1 모터와 10% 차이가 나는 듀티비를 갖도록 상기 제 2 모터를 작동시키는 단계;
    (h) 상기 흡기관 내부에 설치된 유속 센서를 통하여 상기 흡기관으로 급기되는 제 2 공기 유속이 측정되어 상기 제어부로 전송되는 단계;
    (i)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제 2 공기 유속에 대응하는 제 2 공기 유량을 계산하는 단계;
    (j)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제 2 공기 유량에 따라 계산되는 측정치인 측정 ACH를 도출하고 상기 설정 ACH와의 차이를 비교하는 단계;
    (k) 상기 설정 ACH와 상기 측정 ACH의 차이가 제로로 수렴할 때까지 상기 단계 (f) ~ 단계 (j)를 반복 실시하되, 상기 단계 (f)의 상기 제 1 모터 작동을 위한 듀티비를 소정 수치 증가 또는 감소시킨 후 반복 실시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육 케이지 내부의 공기 정보 맞춤형 공조 제어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g)의 상기 제 1 모터와 10% 차이가 나는 듀티비를 갖도록 상기 제 2 모터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사육 케이지 내부를 음압 상태로 유지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 1 모터의 듀티비가 상기 제 2모터의 듀티비보다 10% 낮도록 하며,
    상기 사육 케이지 내부를 양압 상태로 유지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 1 모터의 듀티비가 상기 제 2모터의 듀티비보다 10% 높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육 케이지 내부의 공기 정보 맞춤형 공조 제어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관 내부에 설치된 상기 공기 정보 측정용 센서는 상기 배기관을 통하여 배기되는 공기의 온도, 습도, 산소, 이산화탄소, 암모니아 정보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측정하며, 상기 공기 정보 측정용 센서에서 측정된 공기 정보의 오염도가 제어부에서 기설한 기준치를 이탈하는 경우, 상기 단계 (f)와 상기 단계 (g)의 상기 제 1 모터 및 상기 제 2 모터의 듀티비를 기존 상태 태비 5%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육 케이지 내부의 공기 정보 맞춤형 공조 제어방법.
KR1020190167338A 2019-12-15 2019-12-15 사육 케이지 내부의 공기 정보 맞춤형 공조 제어방법 KR1023671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7338A KR102367193B1 (ko) 2019-12-15 2019-12-15 사육 케이지 내부의 공기 정보 맞춤형 공조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7338A KR102367193B1 (ko) 2019-12-15 2019-12-15 사육 케이지 내부의 공기 정보 맞춤형 공조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6317A true KR20210076317A (ko) 2021-06-24
KR102367193B1 KR102367193B1 (ko) 2022-02-28

Family

ID=76607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7338A KR102367193B1 (ko) 2019-12-15 2019-12-15 사육 케이지 내부의 공기 정보 맞춤형 공조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719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7297B1 (ko) * 2022-04-29 2023-03-07 라온바이오 주식회사 사육장치의 케이지 수량 변동에 따라 자동 조정되는 정제공기 공급장치 및 공급방법
KR20230075838A (ko) * 2021-11-23 2023-05-31 (주)엘앤지 실험동물 사육 케이지의 안정적 동작을 위한 무정전전원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0508Y1 (ko) * 2002-01-18 2002-04-03 박천귀 이중필터를 구비한 실험동물 사육용 케이지
US20050145191A1 (en) * 1999-11-05 2005-07-07 Adam Cohen Air flow sensing and control for animal confinement system
KR20080017296A (ko) 2005-03-15 2008-02-26 가니얼 이뮤노테라퓨틱스 인코포레이티드 면역 조절제 활성을 갖는 화합물
KR20140052126A (ko) * 2012-10-19 2014-05-07 주식회사 우레아텍 생쥐 배양용 개별 환기 케이지 사육장비 통합관리방법
KR20210023429A (ko) * 2019-08-23 2021-03-04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실험 동물 배양을 위한 사육 케이지의 환기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45191A1 (en) * 1999-11-05 2005-07-07 Adam Cohen Air flow sensing and control for animal confinement system
KR200270508Y1 (ko) * 2002-01-18 2002-04-03 박천귀 이중필터를 구비한 실험동물 사육용 케이지
KR20080017296A (ko) 2005-03-15 2008-02-26 가니얼 이뮤노테라퓨틱스 인코포레이티드 면역 조절제 활성을 갖는 화합물
KR20140052126A (ko) * 2012-10-19 2014-05-07 주식회사 우레아텍 생쥐 배양용 개별 환기 케이지 사육장비 통합관리방법
KR20210023429A (ko) * 2019-08-23 2021-03-04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실험 동물 배양을 위한 사육 케이지의 환기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5838A (ko) * 2021-11-23 2023-05-31 (주)엘앤지 실험동물 사육 케이지의 안정적 동작을 위한 무정전전원장치
KR102507297B1 (ko) * 2022-04-29 2023-03-07 라온바이오 주식회사 사육장치의 케이지 수량 변동에 따라 자동 조정되는 정제공기 공급장치 및 공급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7193B1 (ko) 2022-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74133B1 (ko) 실험 동물 배양을 위한 사육 케이지의 환기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367193B1 (ko) 사육 케이지 내부의 공기 정보 맞춤형 공조 제어방법
JP6797204B2 (ja) 空気質管理システム及び方法、並びに分析サーバー
RU2699266C2 (ru) Системы и способы контроля качества воздуха и событий, которые могут влиять на качество воздуха, и выполнения корректирующего действия
US7445665B2 (en) Method for detecting the cleanliness of a filter
JPH07505213A (ja) 暖房,換気および空調システムにおける換気率および室内空気品質を制御する方法および装置
CN109751725A (zh) 用于新风系统的控制方法、新风系统
JP2008533418A (ja) ワンパスクリティカル環境における希釈換気の動的制御
CN107514727A (zh) 空调器及其滤网积尘检测方法与装置
US20130325368A1 (en) System for monitoring air flow efficiency
WO2016047103A1 (ja) 制御装置、通風制御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JP6944962B2 (ja) 汚れ情報推定システム
CN106662350A (zh) 空气净化器以及具有空气净化功能的设备机器
CN110057058A (zh) 用于洁净厂房的风量控制方法及装置
KR20220088976A (ko) 마우스 사육용 케이지 내부의 공기 정화 방법
JP6813043B2 (ja) 汚れ情報推定システム
JP3952309B2 (ja) 空気清浄機
JP2000130827A (ja) 空気清浄機および空気調和機
WO2005012804A3 (en) A method and controller for determining carbon dioxide emissions
JP2009262020A (ja) 空気清浄機
WO2022257476A1 (zh) 用于空调器的控制方法及空调器
JP2005326093A (ja) 簡易型バイオクリーンルーム
JPH02251044A (ja) 空気調和装置および空気調和方法
KR102647654B1 (ko) 실험동물 사육 케이지의 안정적 동작을 위한 무정전전원장치
KR102171100B1 (ko) 공기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