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16820A - 산화 염모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산화 염모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16820A
KR20080016820A KR1020077027572A KR20077027572A KR20080016820A KR 20080016820 A KR20080016820 A KR 20080016820A KR 1020077027572 A KR1020077027572 A KR 1020077027572A KR 20077027572 A KR20077027572 A KR 20077027572A KR 20080016820 A KR20080016820 A KR 200800168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agent
dye composition
hair dye
sal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75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24744B1 (ko
Inventor
츠요시 노노가키
Original Assignee
호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호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168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68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47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47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10Preparations for permanently dyeing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2Peroxides; Oxygen; Oz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1Am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5Mucopolysaccharides, e.g. hyaluronic aci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microorganisms other than algae or fungi, e.g. protozoa or bacteria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01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natural macromolecular compounds or derivatives thereof
    • D06M15/03Polysaccharides or derivatives thereo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Biotechn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향상된 염색성을 제공하는 산화 염모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산화 염모제 조성물은 산화염료, 알칼리제 및 산화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산화 염모제 조성물은 미생물유래 히알루론산 및 그 염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한다.

Description

산화 염모제 조성물{Oxidation hair dye composition}
본 발명은 향상된 염색성을 제공하는 산화 염모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화염료 및 상기 산화염료를 발색시키기 위한 산화제를 포함하는 산화 염모제 조성물이 알려져 있다. 산화 염모제 조성물은 또한 일반적으로 액제의 pH를 증가시켜 산화염료의 침투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알칼리제를 포함한다. 그러나, 상기 액제의 증가된 pH는 모발을 손상시키는 문제점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단지 알칼리제를 포함함에 의해 산화 염모제 조성물의 모발-염색성을 향상시키는 것은 일반적으로 용이하지 않다. 하기 특허 문서 1에 기술된 바와 같은 산화 염모제 조성물은 종래에 알려져 있다. 특허 문서 1의 산화 염모제 조성물은 염색성 향상을 위하여 무코다당류(mucopolysaccharide)를 포함한다. 상기 무코다당류의 예는 동물유래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s) 및 무코이틴황산(mucoitinsufuric acid)을 포함한다.
특허 문서 1: 일본특허 공개공보 제 64-56611호
그러나, 무코다당류는 염색성을 충분히 향상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염색성 향상을 위하여 단순히 무코다당류의 함량을 증가시킬 경우, 액제의 점도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예의 연구 결과, 본 발명자들은 서로 다른 무코다당류 중, 미생물유래 히알루론산이 배합되어 상기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향상된 염색성을 제공하는 산화 염모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산화염료, 알칼리제 및 산화제를 포함하는 산화 염모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나아가 상기 산화 염모제 조성물은 미생물유래 히알루론산 및 그 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조성을 더 포함한다. 상기 산화 염모제 조성물 내의 미생물유래 히알루론산 및 그 염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함량은 0.00001 ~ 0.3 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산화 염모제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하이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술폰산(hydroxymethoxybenzophenonesulfonic acid), 디하이드록시디메톡시벤조페논디술폰산(dihydroxydimethoxybenzophenonedisulfonic acid), 판테테인-S-술폰산(pantetheine-S-sulfonic acid), 아미노에틸술폰산(aminoethylsulfonic acid), 구아이아줄렌술폰산(guaiazulenesulfonic acid), p-페놀술폰산(para-phenolsulfonic acid) 및 그 염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한다.
상술한 하이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술폰산, 디하이드록시디메톡시벤조페논디술폰산, 판테테인-S-술폰산, 아미노에틸술폰산, 구아이아줄렌술폰산, p-페놀술폰산 및 그 염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함량에 대한 상술한 미생물유래 히알루론산 및 그 염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함량비는 1:100 ~ 100:1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산화 염모제 조성물 중의 하이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술폰산, 디하이드록시디메톡시벤조페논디술폰산, 판테테인-S-술폰산, 아미노에틸술폰산, 구아이아줄렌술폰산, p-페놀술폰산 및 그 염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함량은 0.000001 ~ 5 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을 산화 염모제 조성물을 구체화하기 위한 실시형태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예를 들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산화 염모제 조성물은 제1제(first agent) 및 제2제(second agent)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제는 산화염료, 알칼리제 및 미생물유래 히알루론산 및 그 염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모발-염색성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하여, 제1제는 하이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술폰산, 디하이드록시디메톡시벤조페논디술폰산, 판테테인-S-술폰산, 아미노에틸술폰산(타우린), 구아이아줄렌술폰산, p-페놀술폰산 및 그 염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의 기술에서, 미생물유래 히알루론산 및 그 염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히알루론산이라고 한다. 또한, 하이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술폰산, 디하이드록시디메톡시벤조페논디술폰산, 판테테인-S-술폰산, 아미노에틸술폰산(타우린), 구아이아줄렌술폰산, p-페놀술폰산 및 그 염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술폰산이라고 한다. 제2제는 산화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모발을 염색함에 있어서, 제1 및 제2제는 산화 염모제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혼합된다. 상기 염모제 조성물은 모발을 염색하기 위하여 모발에 적용된다.
제1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제1제는 산화염료, 알칼리제 및 히알루론산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제는 술폰산을 포함한다. 상기 제1제는 또한 다른 성분과 마찬가지로 산화 염모에서 제1제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산화염료는 후술할 산화제를 사용한 산화중합에 의한 발색이 가능한 화합물이고, 구체적으로는 주요중간체(major intermediate) 및 커플러(coupler)로 분류된다. 주요중간체의 예는 페닐렌디아민(phenylenediamines) 또는 그 염, 아미노페놀(aminophenols) 또는 그 염 및 디아미노피리딘(diaminopyridines) 또는 그 염을 포함한다. 상기 염의 예는 염산염, 황산염 및 아세트산염을 포함한다. 상기 주요중간체는 단독으로 또는 2 이상 조합의 형태로 포함될 수 있다. 주요중간체의 예는 p-페닐렌디아민(p-phenylenediamine), 톨루엔-2,5-디아민(toluene-2,5-diamine), N,N-비스(2-하이드록시에틸)-p-페닐렌디아민(N,N-bis(2-hydroxyethyl)-p-phenylenediamine), N-(2-하이드록시에틸)-N-에틸-p-페닐렌디아민(N-(2-hydroxyethyl)-N-ethyl-p-phenylenediamine), 2-(2-하이드록시에틸)-p-페닐렌디아민(2-(2-hydroxyethyl)-p-phenylenediamine), p-아미노페놀(p-aminophenol) 및 그 염을 포함한다.
상기 커플러의 예는 레조르신(resorcin), 피로갈롤(pyrogallol), 카테콜(catechol), m-아미노페놀(m-aminophenol), m-페닐렌디아민(m-phenylenediamine), o-아미노페놀(o-aminophenol), 2,4-디아미노페놀(2,4-diaminophenol), 1,2,4-벤젠트리올(1,2,4-benzenetriol), 톨루엔-3,4-디아민(toluene-3,4-diamine), 톨루엔-2,4-디아민(toluene-2,4-diamine), 하이드로퀴논(hydroquinone), α-나프톨(α-naphthol), 2,6-디아미노피리딘(2,6-diaminopyridine), 1,5-디하이드록시나프탈렌(1,5-dihydroxynaphthalene), 5-아미노-o-크레졸(5-amino-o-cresol), 디페닐아민(diphenylamine), p-메틸아미노페놀(p-methylaminophenol), 플로로글루신(phloroglucin), 2,4-디아미노페녹시에탄올(2,4-diaminophenoxyethanol), 갈릭산(gallic acid), 탄닌산(tannic acid), 에틸갈릭산염(ethyl gallate), 메틸갈릭산염(methyl gallate), 프로필갈릭산염(propyl gallate), 몰식자(nutgall), 1-메톡시-2-아미노-4-(2-하이드록시에틸)아미노벤젠(1-methoxy-2-amino-4-(2-hydroxyethyl)aminobenzene), 5-(2-하이드록시에틸아미노)-2-메틸페놀(5-(2-hydroxyethylamino)-2-methylphenol) 및 그 염을 포함한다. 상기 커플러는 단독으로 또는 2 이상의 조합으로 포함될 수 있다.
산화염료가 모발을 다양한 색조로 염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산화염료는 주요중간체들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 및 커플러로들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산화 염모제 조성물내의 산화염료의 함량은 0.02 ~ 30 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0.2 ~ 20 질량%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산화염료의 함량이 0.02 질량% 미만일 경우 충분한 염색성을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 반면, 산화염료의 함량이 30 질량%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범위가 제공하는 것보다 향상된 염색성을 제공하지 않으므로 경제적이지 않다.
산화 염모제 조성물내의 주요중간체 함량은 0.01 ~ 15 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0.1 ~ 10 질량%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주요중간체의 함량이 0.01 질량% 미만인 경우, 충분한 염색성을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 반면, 주요중간체의 함량이 15 질량%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범위가 제공하는 것보다 향상된 염색성을 제공하지 않으므로 경제적이지 않다. 주요중간체의 함량이 0.1 질량% 이상일 경우 최상의 모발-염색성을 제공한다. 그러나 주요중간체 함량이 10 질량%를 초과하는 경우 염색성을 더욱 향상시키기가 곤란하다.
산화 염모제 조성물내의 커플러 함량은 0.01 ~ 15 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0.1 ~ 10 질량%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커플러 함량이 0.01 질량% 미만일 경우, 충분한 염색성을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 반면, 커플러 함량이 15 질량%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범위가 제공하는 것보다 향상된 염색성을 제공하지 않으므로 경제적이지 않다. 커플러의 함량이 0.1 질량% 이상일 경우 최상의 염색성을 제공한다. 그러나, 커플러 함량이 10 질량%를 초과하는 경우 염색성을 더욱 향상시키기가 곤란하다.
상술한 산화염료와 더불어, 제1제는 예를들어, "의약부외품원료규격"(의약부외품 성분 관련 일본 문헌)(1991년6월 발행, 약사일보사)에 기술된 바와 같은 산화염료 및 산화염료이외의 염료로 직접염료를 포함할 수 있다.
알칼리제는 모발을 팽윤시켜 산화염료의 모발에 대한 침투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산화염료의 염색성을 향상시킨다. 상기 알칼리제의 예는 암모니아, 알칸올아민, 유기아민, 무기알칼리, 염기성아미노산 및 그 염을 포함한다. 상기 알칸올아민의 예는 트리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모노에탄올아민, 이소프로판올아민, 디이소프로판올아민 및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을 포함한다. 상기 유기아민의 예는 2-아미노-2-메틸-1,3-프로판디올 및 구아니딘을 포함한다. 상기 무기알칼리의 예는 수산화나트륨 및 수산화포타슘을 포함한다. 염기성아미노산의 예는 아르기닌 및 리신을 포함한다. 상기 알칼리제는 단독으로 또는 2 이상의 조합으로 포함될 수 있다. 2 이상의 알칼리제는 제1제에 완충작용을 부가할 수 있도록 적절한 조합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의 알칼리제의 예들 중, 산화염료의 모발 침투성 향상을 용이하게 한다는 점에서, 암모니아 및 알칸올아민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산화 염모제 조성물내의 알칼리제 함량은 제1제가 pH 8 ~ 12의 값을 갖는 양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제의 pH가 8 미만일 경우, 제1제가 제2제와 혼합될 때 산화제로서 과산화수소의 활동을 충분히 촉진할 수 없다. 반면, 제1제의 pH가 12를 초과하는 경우, 산화 염모제 조성물이 모발에 적용될 때 모발 손상과 같은 문제점을 유발할 수 있다.
히알루론산은 염색성을 향상시킨다. 히알루론산염의 예는 알칼리금속염, 트리에탄올아민염, 키토산염 및 염기성아미노염을 포함한다. 상기 알칼리금속염의 예는 나트륨염 및 포타슘염을 포함한다. 상기 염기성아미노산의 예는 리신 및 아르기닌을 포함한다. 히알루론산은 직쇄형의 고분자 다당류로서, 상기 히알루론산은 N-아세틸글루코사민 및 글루코론산이 교차 결합되어있다. 상기 히알루론산의 분자량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400,000 ~ 2,500,000인 것이 바람직하다. 미생물의 종류는 상기 미생물이 히알루론산을 생산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히알루론산을 체외로 방출하는 스트렙토코커스(Streptococcus)종인 것이 바람직하다. 스트렙토코커스종의 미생물의 예는 스트렙토코거스 에퀴(Streptococcus equi), 스트렙토코거스 주에피데미커스(Streptococcus zooepidemicus), 스트렙토코거스 에퀴지밀리스(Streptococcus equisimilis), 스트렙토코거스 디스갈락티아에(Streptococcus dysgalactiae), 스트렙토코거스 피오지네스(Streptococcus pyogenes) 및 그 변이주(variants)를 포함한다. 상기 미생물로부터 히알루론산을 추출하는 방법의 예는 상기 미생물을 발효 및 배양한 후 배지로부터 히알루론산을 추출하는 방법 및 미생물 세포를 분쇄하여 미생물 체내에서 히알루론산을 추출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상기 방법들 중, 추출 및 정제의 용이함을 고려하면 발효배지로부터 히알루론산을 추출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상기 예에서, 스트렙토코커스종의 미생물이 사용될 때, 배양방법은 호기성 환경에서 30 ~ 37 ℃하에 미생물을 교반 및 배양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상기 히알루론산의 정제 방법은 공지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예에서, 발효배지로부터 추출 및 정제가 수행되는 경우, 예를 들어, 클로로폼의 사용에 의해 탈단백질화가 우선 수행된다. 그 후, 소수성크로마토그래피 및 이온교환크로마토그래피와 같은 흡착크로마토그래피(adsorption chromatography)를 사용한 정제단계가 수행된다. 히알루론산은 시판되는 것을 적절히 사용할 수 있다. 상업적으로 사용가능한 히알루론산은 바이오히알루론나트륨 1 % 수용액(시세이도사(Shiseido)), 히알루론산 용액 HA-LQ-1(Q.P.사) 및 히알루론사 FCH(키분케미파사(Kibun Food Chemifa))를 포함한다.
상기 산화 염모제 조성물내의 히알루론산 함량은 0.00001 ~ 0.3 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0.0001 ~ 0.1 질량%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히알루론산의 함량이 0.00001 질량% 미만인 경우 염색성을 충분히 향상시킬 수 없다. 반면, 히알루론산의 함량이 0.3 질량%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산화 염모제 조성물의 점도 상승을 유발할 수 있다. 히알루론산은 상기 산화 염모제 조성물의 보관기간동안 상기 산화제에 의해 산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1제에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술폰산은 술폰산기를 갖는 하이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술폰산(hydroxymethoxybenzophenonesulfonic acid), 디하이드록시디메톡시벤조페논디술폰산(dihydroxydimethoxybenzophenonedisulfonic acid), 판테테인-S-술폰산(pantetheine-S-sulfonic acid), 아미노에틸술폰산(aminoethylsulfonic acid)(타우린), 구아이아줄렌술폰산(guaiazulenesulfonic acid) 및 p-페놀술폰산(para-phenolsulfonic acid)과 그 염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이다.
상기 염의 예는 알칼리 금속염, 트리에탄올아민염, 키토산염 및 염기성 아미노산을 함유하는 염을 포함한다. 상기 알칼리 금속염의 예는 나트륨염 및 포타슘염을 포함한다. 상기 염기성 아미노산의 예는 아르기닌 및 리신을 포함한다. 술폰산은 히알루론산과 함께 상보적 효과에 의해 모발-염색성을 더욱 향상시킨다. 상기 술폰산은 산화 염모제 조성물의 보관기간 동안 산화제에 의해 산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1제에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산화 염모제 조성물 내의 술폰산 함량은 0.000001 ~ 5 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0.00001 ~ 3 질량%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술폰산의 함량이 0.000001 질량% 미만인 경우, 염색성을 충분히 향상시키지 못할 수 있다. 반면, 상기 술폰산의 함량이 5 질량%를 초과하는 경우, 범위 내에서 제공하는 이상의 향상된 염색성을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술폰산을 포함하는 제1제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색될 수 있다. 술폰산과 히알루론산 사이의 상보적 효과에 의해 모발-염색성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하여, 히알루론산의 함량에 대한 술폰산의 함량 비율(술폰산 함량:히알루론산 함량)은 1:100 ~ 100:1인 것이 바람직하고, 1:10 ~ 10:1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제1제는, 다른 성분으로, 예를 들어 물, 계면활성제, 유성성분 및 다원자가 알콜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물은 각 성분에 대한 용매 또는 분산매로서 포함된다. 산화 염모제 조성물 내의 물 함량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제1제의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유화제 또는 가용화제로서 작용한다. 계면활성제의 예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성 계면활성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양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한다.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예는 에테르형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에스테르형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한다. 에테르형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예는 폴리옥시에틸렌(이하 POE라 함)세틸에테르(polyoxyethylene cetyl ether), POE스테아릴에테르(POE stearyl ether), POE베헤닐에테르(POE behenyl ether), POE올레일에테르(POE oleyl ether), POE라우릴에테르(POE lauryl ether), POE옥틸도데실에테르(POE octyldodecyl ether), POE헥실데실에테르(POE hexyldecyl ether), POE이소스테아릴에테르(POE isostearyl ether), POE노닐페닐에테르(POE nonylphenyl ether) 및 POE옥틸페닐에테르(POE octylphenyl ether)를 포함한다.
에스테르형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예는 POE소르비탄모놀레이트(POE sorbitan monooleate), POE소르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POE sorbitan monostearate), POE소르비탄모노팔미테이트(POE sorbitan monopalmitate), POE소르비탄모노라우레이트(POE sorbitan monolaurate), POE 소르비탄트리올레이트(POE sorbitan trioleate), POE글리세린모노스테아레이트(POE glycerin monostearate), POE글리세린모노미리스테이트(POE glycerin monomyristate), POE소르비트테트라올레이트(POE sorbit tetraoleate), POE소르비트헥사스테아레이트(POE sorbit hexastearate), POE소르비트모노라우레이트(POE sorbit monolaurate), POE소르비트비즈왁스(POE sorbit beeswax), 폴리에틸렌글리콜모노올레이트(polyethylene glycol monooleate), 폴리에틸렌글리콜모노스테아레이트(polyethylene glycol monostearate), 폴리에틸렌글리콜모노라우레이트(polyethylene glycol monolaurate), 친유성글리세린모노올레이트(lipophilic glycerin monooleate), 친유성글리세린모노스테아레이트(lipophilic glycerin monostearate), 자기유화형글리세린모노스테아레이트(self-emulsifying glycerin monostearate), 소르비탄모노올레이트(sorbitan monooleate), 소르비탄세스퀴올레이트(sorbitan sesquioleate), 소르비탄트리올레이트(sorbitan trioleate), 소르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sorbitan monostearate), 소르비탄모노팔미테이트(sorbitan monopalmitate), 소르비탄모노라우레이트(sorbitan monolaurate), 자당지방산에스테르(sucrose fatty acid ester), 데카글리세릴모노라우레이트(decaglyceryl monolaurate), 데카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decaglyceryl monostearate), 데카글리세릴모노올레이트(decaglyceryl monooleate) 및 데카글리세릴모노미리스테이트(decaglyceryl monomyristate)를 포함한다.
양성 계면활성제는 상술한 작용에 부가하여 모발의 감촉을 부드럽게 한다. 양성 계면활성제의 예는 4급(quaternary) 암모늄염을 포함한다. 상기 4급 암모늄염의 예는 알킬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alkyltrimethylammonium chlorides), 라우릴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lauryltrimethylammonium chloride), 세틸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cetyltrimethylammonium chloride), 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stearyltrimethylammonium chloride), 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브로마이드(stearyltrimethylammonium bromide), 라우릴트리메틸암모늄브로마이드(lauryltrimethylammonium bromide) 및 디알킬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dialkyldimethylammonium chlorides)를 포함한다.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예는 지방산염(fatty acid salts), 금속비누(metallic soaps), 아실글루타메이트(acyl glutamates), 아실메틸타우레이트(acyl methyltaurates), 알킬술페이트(alkylsulfates), 알킬에테르술페이트(alkyl ether sulfates), POE라우릴에테르포스포릭에시드(POE lauryl ether phosphoric acid) 또는 그 염, 트리에탄올아민도데실벤젠술포네이트(triethanolamine dodecylbenzenesulfonate), 소듐테트라데센술포네이트(sodium tetradecenesulfonate) 및 소듐디옥틸술포숙시네이트(sodium dioctyl sulfosuccinate)를 포함한다. 상기 지방산염의 예는 코코넛오일페티에시드포타슘(coconut oil fatty acid potassium), 코코넛오일페티에시드트리에탄올아민(coconut oil fatty acid triethanolamine), 소듐라우레이트(sodium laurate), 포타슘미리스테이트(potassium myristate), 이소프로판올아민미리스테이트(isopropanolamine myristate), 소듐팔미테이트(sodium palmitate), 소듐스테아레이트(sodium stearate), 트리에탄올아민스테아레이트(triethanolamine stearate), 포타슘올레이트(potassium oleate) 및 소듐올레이트(sodium oleate)를 포함한다. 상기 금속비누의 예는 마그네슘스테아레이트(magnesium stearate), 칼슘스테아레이트(calcium stearate) 및 마그네슘미리스테이트(magnesium myristate)를 포함한다. 상기 아실글루타메이트의 예는 포타슘코코넛오일페티에시드아실글루타메이트(potassium coconut oil fatty acid acyl glutamates), 트리에탄올아민코코넛오일페티에시드아실글루타메이트(triethanolamine coconut oil fatty acid acyl glutamates), 트리에탄올아민라우로일글루타메이트(triethanolamine lauroyl glutamate), 포타슘미리스토일글루타메이트(potassium myristoyl glutamate) 및 소듐스테아로일글루타메이트(sodium stearoyl glutamate)를 포함한다. 아실메틸타우레이트의 예는 포타슘라우로일메틸타우레이트(potassium lauroyl methyltaurate), 소듐코코넛오일페티에시드메틸타우레이트(sodium coconut oil fatty acid methyltaurate), 소듐팔미토일메틸타우레이트(sodium palmitoyl methyltaurate) 및 소듐스테아로일메틸타우레이트(sodium stearoyl methyltaurate)를 포함한다. 알킬술페이트의 예는 소듐라우릴술페이트(sodium laurylsulfate) 및 트리에탄올아민라우릴술페이트(triethanolamine laurylsulfate)를 포함한다. 알킬에테르술페이트의 예는 소듐POE라우릴에테르술페이트(sodium POE lauryl ether sulfate) 및 트리에탄올아민POE라우릴에테르술페이트(triethanolamine POE lauryl ether sulfate)를 포함한다.
양성(ampholytic) 계면활성제의 예는 2-알킬-N-카르복시메틸-N-하이드록시에틸이미다졸리늄베타인(2-alkyl-N-carboxymethyl-N-hydroxyethylimidazolinium betaines), 라우릴디메틸아미노아세틱에시드베타인(lauryldimethylaminoacetic acid betaine), 소듐운데실카르복시메톡시에틸카르복시메틸이미다졸리늄베타인(sodium undecylcarboxymethoxyethylcarboxymethylimidazolinium betaine), 소듐운데실하이드록시에틸이미다졸리늄베타인(sodium undecylhydroxyethylimidazolinium betaine), 운데실-N-하이드록시에틸-N-카르복시메틸이미다졸리늄베타인(undecyl-N-hydroxyethyl-N-carboxymethylimidazolinium betaine), 알킬디아미노에틸글리신하이드로클로라이드용액(alkyldiaminoethylglycine hydrochloride solutions), 스테아릴디하이드록시에틸베타인(stearyldihydroxyethyl betaine), 스테아릴디메틸아미노아세틱에시드베타인(stearyldimethylaminoacetic acid betaine), 소듐스테아릴디메틸베타인용액(sodium stearyldimethyl betaine solutions), 비스(스테아릴-N-하이드록시에틸이미다졸린)클로로아세틱에시드복합체(bis(stearyl-N-hydroxyethylimidazoline)chloroacetic acid complex), 소듐코코넛오일알킬-N-카르복시에틸-N-하이드록시에틸이미다졸리늄베타인(sodium coconut oil alkyl-N-carboxyethyl-N-hydroxyethylimidazolinium betaines), 디소듐코코넛오일알킬-N-카르복시에톡시에틸-N-카르복시에틸이미다졸리늄하이드록사이드(disodium coconut oil alkyl-N-carboxyethoxyethyl-N-carboxyethylimidazolinium hydroxides), 디소듐코코넛오일알킬-N-카르복시메톡시에틸-N-카르복시에틸이미다졸리늄하이드록사이드(disodium coconut oil alkyl-N-carboxymethoxyethyl-N-carboxyethylimidazolinium hydroxides), 디소듐코코넛오일알킬-N-카르복시메톡시에틸-N-카르복시에틸이미다졸리늄라우릴술페이트(disodium coconut oil alkyl-N-carboxymethoxyethyl-N-carboxyethylimidazolinium lauryl sulfates), 코코넛오일알킬베타인(coconut oil alkyl betaines), 코코넛오일페티에시드아미도프로필베타인(coconut oil fatty acid amidopropyl betaines), 소듐코코넛오일페티에시드-N-카르복시메톡시에틸-N-카르복시에틸이미다졸리늄베타인(sodium coconut oil fatty acid-N-carboxymethoxyethyl-N-carboxyethylimidazolinium betaines), 트리에탄올아민라우릴아미노프로피오네이트(triethanolamine laurylaminopropionate), 소듐 β-라우릴아미노프로피오네이트(sodium β-laurylaminopropionate), 디소듐라우릴-N-카르복시메톡시에틸-N-카르복시메틸이미다졸리늄도데카노일사르코진(disodium lauryl-N-carboxymethoxyethyl-N-carboxymethylimidazolinium dodecanoyl sarcosine), 소듐라우릴디아미노에틸글리신(sodium lauryldiaminoethylglycine), 라우릭에시드아미도프로필베타인용액(lauric acid amidopropyl betaine solutions), 라우릴술포베타인(lauryl sulfobetaine) 및 라우릴하이드록시술포베타인(lauryl hydroxysulfobetaine)을 포함한다.
유성성분은 산화 염모제 조성물을 모발에 적용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고, 모발에 부드러움과 수분을 더한다. 유성성분의 예는 유지(fat and oils), 왁스, 고급알콜(higher alcohols), 탄화수소, 고급지방산(higher fatty acids), 알킬글리세릴에테르, 에스테르 및 실리콘을 포함한다.
유지의 예는 올리브유(olive oil), 카밀라유, 시어버터(shea butter), 아몬드유(almond oil), 차실유(tea fruit oil), 동백유(sasanqua oil), 홍화유(safflower oil), 해바라기유(sunflower oil), 두유(soybean oil), 면실유(cottonseed oil), 참기름, 우지(beef tallow), 카카오버터(cacao butter), 콩기름, 땅콩기름, 유채기름(rapeseed oil), 미강유(rice bran oil), 미배아유(rice germ oil), 밀배아유(wheat germ oil), 진주보리기름(pearl barley oil), 포도씨기름(grape seed oil), 아보카도기름(avocado oil), 당근기름(carrot oil), 마카데미아땅콩기름(macadamia nut oil), 파마자유(castor oil), 아마씨기름(linseed oil), 코코넛유(coconut oil), 밍크유(mink oil) 및 난황유(egg yolk oil)를 포함한다. 왁스의 예는 황랍(yellow beeswax), 밀랍(candelilla wax), 카나우바왁스(carnauba wax), 호호바유(jojoba oil) 및 라놀린(lanolin)을 포함한다.
고급알콜의 예는 라우릴알콜, 미리스틸알콜, 세틸알콜(세탄올), 스테아릴알콜(stearyl alcohol), 세토스테아릴알콜(cetostearyl alcohol), 아랄키알콜(aralky alcohols), 베헤닐알콜(behenyl alcohol), 2-헥실데카놀(2-hexyldecanol), 이소스테아릴알콜(isostearyl alcohol), 2-옥틸도데카놀(2-octyldodecanol), 데실테트라데카놀(decyltetradecanol), 올레일알콜(oleyl alcohol), 리놀레일알콜(linoleyl alcohol), 리놀레닐알콜(linolenyl alcohol) 및 라놀린알콜(lanolin alcohol)을 포함한다.
탄화수소의 예는 α-올레핀올리고머(α-olefin oligomers), 경질이소파라핀(light isoparaffin), 경질유동이소파라핀(light liquid isoparaffin), 합성스쿠알렌(synthetic squalane), 식물성스쿠알렌(vegetal squalane), 스쿠알렌(squalane), 폴리부텐(polybutene), 유동이소파라핀(liquid isoparaffin), 유동파라핀(liquid paraffin), 오조케리트(ozokerite), 세레신(ceresin), 파라핀(paraffin), 폴리에틸렌분말(powdered polyethylene),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microcrystalline wax) 및 바세린(vaseline)을 포함한다.
고급지방산의 예는 라우릭에시드(lauric acid), 미리스틱에시드(myristic acid), 팔미틱에시드(palmitic acid), 스테아릭에시드(stearic acid), 베헤닉에시드(behenic acid), 이소스테아릭에시드(isostearic acid), 하이드로스테아릭에시드(hydroxystearic acid), 12-하이드로스테아릭에시드(12-hydroxystearic acid), 올레익에시드(oleic acid), 운데실레닉에시드(undecylenic acid), 리놀레익에시드(linoleic acid), 리시놀레익에시드(ricinoleic acid) 및 라놀린페티에시드(lanolin fatty acid)를 포함한다. 알킬글리세릴에테르의 예는 바틸알콜(batyl alcohol)(모노스테아릴글리세릴에테르(monostearyl glyceryl ether)), 키밀알콜(chimyl alcohol)(모노세틸글리세릴에테르(monocetyl glyceryl ether)), 셀라킬알콜(selachyl alcohol)(모노올레일글리세릴에테르(monooleyl glyceryl ether)) 및 이소스테아릴글리세릴에테르(isostearyl glyceryl ether)를 포함한다.
에스테르의 예는 디이소프로필아디페이트(diisopropyl adipate), 디이소부틸아디페이트(diisobutyl adipate), 디옥틸아디페이트(dioctyl adipate), 2-헥실데실아디페이트(2-hexyldecyl adipate), 디이소스테아릴아디페이트(diisostearyl adipate), 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isopropyl myristate), 세틸옥타노에이트(cetyl octanoate), 세틸이소옥타노에이트(cetyl isooctanoate), 이소노닐이소노나노에이트(isononyl isononanoate), 이소데실이소노나노에이트(isodecyl isononanoate), 이소트리데실이소노나노에이트(isotridecyl isononanoate), 디이소프로필세바케이트(diisopropyl sebacate), 옥틸도데실미리스테이트(octyldodecyl myristate), 이소프로필팔미테이트(isopropyl palmitate), 부틸스테아레이트(butyl stearate), 스테아릴스테아레이트(stearyl stearate), 헥실라우레이트(hexyl laurate), 미리스틸미리스테이트(myristyl myristate), 데실올레이트(decyl oleate), 헥실데실디메틸옥토에이트(hexyldecyl dimethyloctoate), 트리이소데실미리스테이트(triisodecyl myristate), 이소스테아릴미리스테이트(isostearyl myristate), 2-에틸헥실팔미테이트(2-ethylhexyl palmitate), 옥틸도데실리시놀레이트(octyldodecyl ricinoleate), 지방산(C10-30)(콜레스테아릴/라노스테아릴)(fatty acid (C10-30) (cholesteryl/lanosteryl)), 라우릴락테이트(lauryl lactate), 세틸락테이트(cetyl lactate), 미리스틸락테이트(myristyl lactate), 옥틸도데실락테이트(octyldodecyl lactate), 라놀린아세테이트(lanolin acetate), 이소세틸스테아레이트(isocetyl stearate), 이소세틸이소스테아레이트(isocetyl isostearate), 콜레스테아릴12-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cholesteryl 12-hydroxystearate), 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ethylene glycol di-2-ethylhexanoate), 디펜타에리트리톨페티에시드에스테르(dipentaerythritol fatty acid ester), N-알킬글리콜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N-alkylglycol monoisostearates), 세틸카프레이트(cetyl caprate), 글리세릴트리카프레이트(glyceryl tricaprate), 네오펜틸글리콜디카프레이트(neopentylglycol dicaprate), 디이소스테아릴말레이트(diisostearyl malate) 및 라놀린유도체(lanolin derivatives)를 포함한다.
실리콘의 예는 디메틸폴리실록산(dimethyl polysiloxane), 메틸페닐폴리실록산(methylphenyl polysiloxane), 데카메틸싸이클로펜탄실록산(decamethylcyclopentanesiloxane), 도데카메틸싸이클로헥사실록산(dodecamethylcyclohexasiloxane), 폴리에테르변성실리콘(polyether-modified silicones), 650 ~ 10,000의 평균중합도를 갖는 고중합실리콘(high-polymeric silicones), 아미노변성실리콘(amino-modified silicones), 베타인변성실리콘(betaine-modified silicones), 알킬변성실리콘(alkyl-modified silicones), 알콕시변성실리콘(alkoxy-modified silicones), 머캅토변성실리콘(mercapto-modified silicones), 카르복시변성실리콘(carboxy-modified silicones) 및 플로린변성실리콘(fluorine-modified silicones)을 포함한다. 상기 유성성분은 단독으로 또는 2이상의 종류의 조합으로 포함될 수 있다.
다가알콜의 예는 글리콜 및 글리세린을 포함한다. 상기 글리콜의 예는 에틸렌글리콜(ethylene glycol), 디에틸렌글리콜(diethylene glycol), 트리에틸렌글리콜(triethylene glycol),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디프로필렌글리콜(dipropylene glycol), 이소프렌글리콜(isoprene glycol) 및 1,3-부틸렌글리콜(1,3-butylene glycol)을 포함한다. 상기 글리세린의 예는 글리세린, 디글리세린 및 폴리글리세린을 포함한다.
또 다른 성분의 예는 소르비톨(sorbitol) 및 말토스(maltose)와 같은 당류, 아라빅검(gum arabic), 카라야검(karaya gum), 트라가칸스검(gum tragacanth), 소듐알기네이트(sodium alginate), 잔탄검(xanthan gum), 셀룰로오스유도체, 가교(cross-linked)폴리아크릴릭에시드 및 폴리디메틸메틸렌피페리듐클로라이드(polydimethylmethylenepiperidium chloride)와 같은 수용성 고분자화합물, 파라벤(paraben)과 같은 방부제, EDTA-2NA와 같은 킬레이트제(chelating agents), 펜아세틴(phenacetin), 8-하이드록시퀴놀린(8-hydroxyquinoline), 아세트아닐라이드(acetanilide), 소듐피로포스페이트(sodium pyrophosphate), 바비튜릭에시드(barbituric acid), 요산(uric aci) 및 탄닌산(tannic acid)과 같은 안정제, 인산(phosphoric acid), 구연산(citric acid), 황산, 아세트산, 유산(lactic acid) 및 타르타르산(tartaric acid)과 같은 pH 조정제, 식물추출물, 생약추출물, 비타민, 향료 및 자외선흡수제를 포함한다. 나아가, 제1제는 적어도 "의약부외품원료규격(의약부외품 성분에 대한 일본 문헌)"(1991년6월 발행, 약사일보사)에 기술된 성분들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제의 제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그 예는 액상, 겔(gel)상, 폼(foam)상, 크림(cream)상을 포함한다. 제1제가 액상일 경우, 이는 예를 들어, 용액, 분산액 또는 유상액이다.
제2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제2제는 산화제를 함유한다. 상기 산화제는 산화염료의 산화중합을 일으켜, 모발내의 멜라닌을 탈색시킨다. 상기 산화제의 예는 과산화수소, 과산화요소, 과산화멜라민(melamine peroxide), 과탄산나트륨(sodium percarbonate), 과탄산포타슘(potassium percarbonate), 과붕산나트륨(sodium perborate), 과붕산포타슘(potassium perborate), 과황산암모늄(ammonium persulfate), 과산화나트륨(sodium peroxide), 과산화포타슘(potassium peroxide), 과산화마그네슘(magnesium peroxide), 과산화바륨(barium peroxide), 과산화칼슘(calcium peroxide), 과산화스트론튬(strontium peroxide), 황산염의 과산화수소부가물(hydrogen peroxide adducts of sulfates), 인산염의 과산화수소부가물(hydrogen peroxide adducts of phosphates) 및 피로인산의 과산화수소부가물(hydrogen peroxide adducts of pyrophosphates)을 포함한다. 상기 산화제는 단독으로 또는 2 이상의 조합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산화제들 중, 멜라닌-탈색력이 탁월한 과산화수소가 바람직하다.
산화 염모제 조성물 내의 산화제 함량은 0.1 ~ 10.0 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0.5 ~ 8.0 질량%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1.0 ~ 6.0 질량%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산화제 함량이 0.1 질량% 미만일 경우 멜라닌을 충분히 탈색시킬 수 없다. 나아가, 산화염료는 충분히 산화발색될 수 없다. 반면, 산화제의 함량이 10.0 질량%를 초과할 경우, 모발손상과 같은 문제점을 초래할 수 있다.
제2제는 제1제를 위하여 상술한 다른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제가 산화제로서 과산화수소를 포함하는 경우, 과산화수소의 분해를 억제하기 위하여 안정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정제의 예는 요소(urea), 펜아세틴(phenacetin), 소듐스테네이드(sodium stannate), 에틸렌글리콜페닐에테르(ethylene glycol phenyl ether), 8-옥시퀴놀린(8-oxyquinoline), 인산(phosphoric acid), 1-하이드록시에탄-1,1-디포스포닉에시드(1-hydroxyethane-1,1-diphosphonic acid) 및 그 염과 디부틸하이드록시톨루엔(dibutylhydroxytoluene)을 포함한다. 나아가, "의약부외품원료규격(의약부외품 성분에 대한 일본 문헌)"(1991년6월 발행, 약사일보사)에 기술된 안정제들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제의 제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그 예는 액상, 겔상, 폼상 및 크림상을 포함한다. 제2제가 액상일 경우, 이는 예를 들어, 용액, 분산액 또는 유상액이다.
산화 염모제 조성물
모발을 염색함에 있어, 상술한 제1제 및 제2제는 소정의 비율로 혼합되어 산화 염모제 조성물을 얻는다. 보관 형태와 제1제 및 제2제의 혼합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로서, 제1제 및 제2제가 각각의 용기에 충진되고, 각 용기에서 토출시 당해 토출구로부터 혼합된 상태로 토출되는 동시토출기능을 갖는 에어로졸 용기에 제1제 및 제2제가 충진된다. 또한 브러시가 제공된 트레이상의 제1제와 제2제를 혼합 및 교반하기 위하여 전용 트레이가 사용될 수 있다. 산화 염모제 조성물의 제형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그 예는 크림상, 겔상 및 폼상을 포함한다.
상술한 본 실시형태에 따라, 하기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본 실시형태에 따라, 염색성 향상을 위하여 히알루론산이 산화 염모제 조성물에 포함된다.
(2) 예를 들어, 종래의 동물유래 히알루론산과 비교하여, 소량으로 모발-염색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산화 염모제 조성물의 점도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3)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술폰산이 상기 산화 염모제 조성물에 포함된다. 따라서, 히알루론산 및 술폰산 사이의 상보적 효과에 의해 염색성이 향상된다.
(4) 히알루론산이 스트렙토코커스종의 발효배지로부터 추출 및 정제될 경우, 낮은 비용으로 히알루론산을 제조 또는 입수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는 하기와 같이 변경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형태에 따라, 히알루론산 및 술폰산이 제1제에 포함된다. 그러나, 히알루론산 및 술폰산은 제1제 및 제2제 모두에 포함되거나, 제2제에만 포함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형태에 따라, 산화 염모제 조성물은 제1제 및 제2제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산화 염모제 조성물의 사용 직전에 혼합된다. 그러나, 산화 염모제 조성물은 또한 제1제 및 제2제를 구성하는 각 성분을 분리함에 의해 3제식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산화 염모제 조성물은 산화염료 및 히알루론산을 포함하는 제1제, 알칼리제를 포함하는 제2제 및 산화제를 포함하는 제3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하여 상술한 실시형태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1 ~ 11 및 비교예 1 ~ 3
표 1 또는 표 2에 표시된 각 성분들은 각 실시예 또는 비교예에 따라 제1제 및 제2제를 제조하기 위하여 혼합된다. 그 후, 각 실시예 또는 비교예에 따른 제1제 및 제2제는 염모제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1:1의 중량 비율로 혼합된다. 제조된 염모제 조성물은 백색인모모속(human white hair bundle)(이하 단순히 "모속"이라고 함)에 쇄모(brush)를 사용하여 적용되었고, 그 후, 25 ℃에서 30 분간 방치되었다. 그 후, 모속에 부착된 염모제 조성물을 물로 씻어낸 후, 샴푸를 2회 하였고, 린스를 1회 하였다. 그 후, 타월을 이용하여 모속의 수분을 닦은 후, 염색-처리 모속을 제공하기 위하여 드라이기를 이용하여 모속을 건조시켰다. 상기 염색-처리 모속은 염모제 조성물의 모발-염색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사용되었다. 평가결과는 표 1 및 표 2에 표시되었다. 표 1 및 표 2에서, 각 성분을 표시하는 란의 수치 단위는 질량%이다. 미생물유래 히알루론산나트륨으로서 시세이도사의 1 % 바이오히알루론산나트륨 수용액(1 %의 미생물유래 (스트렙토코커스) 히알루론산나트륨, 0.10 %의 메틸파라벤, 0.12 %의 페녹시에탄올 및 98.78 %의 이온교환수의 혼합물(MP-PE))이 사용되었다. 표에서, "미생물유래 히알루론산나트륨" 란의 수치는 염모제 조성물 내의 미생물유래 히알루론산나트륨 자체의 최종 농도를 나타낸다.
모발-염색성의 평가
히알루론산을 함유하지 않은 염모제 조성물로 처리된 비교예 2의 염색-처리된 모속이 표준 모속으로 사용되었다. 각 표의 "모발-염색성" 란에서, "4"는 표준 모속과 비교하여 염색-처리된 모속이 상당히 더 깊게 염색되었음을 나타내고, "3" 은 표준 모속과 비교하여 염색-처리된 모속이 분명히 더 깊게 염색되었음을 나타낸다. "2"는 표준 모속과 비교하여 염색-처리된 모속이 더 깊게 염색되었음을 나타내고; "1"은 표준 모속과 비교하여 염색-처리된 모속이 다소 더 깊게 염색되었음을 나타내고; "0"은 염색-처리된 모속의 염색 정도가 표준 모속의 염색 정도와 다르지 않음을 나타낸다.
상기 평가는 전문 패널에 의해 각 염색-처리된 모속을 관찰함에 의해 수행되었다.
제1제 실시예
1 2 3 4 5 6 7 8 9 10 11
미생물유래 히알루론산나트륨 0.01 0.005 0.005 0.005 0.005 0.005 0.005 0.00005 0.0001 0.0005 0.5
계관유래 (Cockscomb-derived) 히알루론산나트륨 - - - - - - - - - - -
타우린 - 0.005 - - - - - 0.005 0.005 0.005 0.005
디하이드록시디메톡시 벤조페논디술폰산 - - 0.005 - - - - - - - -
p-페놀술폰산 - - - 0.005 - - - - - - -
판테테인-S-술폰산 - - - - 0.005 - - - - - -
하이드록시메톡시 벤조페논술폰산 - - - - - 0.005 - - - - -
구아이아줄렌술폰산 - - - - - - 0.005 - - - -
세토스테아릴알콜 3.0 3.0 3.0 3.0 3.0 3.0 3.0 3.0 3.0 3.0 3.0
프로필렌글리콜 5.0 5.0 5.0 5.0 5.0 5.0 5.0 5.0 5.0 5.0 5.0
POE 세틸에테르 4.0 4.0 4.0 4.0 4.0 4.0 4.0 4.0 4.0 4.0 4.0
소듐라우릴술페이트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무수소듐술피트 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강암모니아수 (28 %) 5.0 5.0 5.0 5.0 5.0 5.0 5.0 5.0 5.0 5.0 5.0
파라-페닐렌디아민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제2제
35 % 과산화수소수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
세탄올 3.0 3.0 3.0 3.0 3.0 3.0 3.0 3.0 3.0 3.0 3.0
소듐라우릴술페이트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모발-염색성 3 4 4 4 4 4 4 3 3 4 3
제1제 비교예
1 2 3
미생물유래 히알루론산나트륨 - - -
계관유래 히알루론산나트륨 0.01 - -
타우린 - - 0.01
디하이드록시디메톡시벤조페논디술폰산 - - -
p-페놀술폰산 - - -
판테테인-S-술폰산 - - -
하이드로메톡시벤조페논술폰산 - - -
구아이아줄렌술폰산 - - -
세토스테아릴알콜 3.0 3.0 3.0
프로필렌글리콜 5.0 5.0 5.0
POE세틸에테르 4.0 4.0 4.0
소듐라우릴술페이트 1.0 1.0 1.0
무수소듐술피트 0.1 0.1 0.1
강암모니아수(28 %) 5.0 5.0 5.0
파라-페닐렌디아민 1.0 1.0 1.0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제2제
35 % 과산화수소수 15.0 15.0 15.0
세탄올 3.0 3.0 3.0
소듐라우릴술페이트 0.5 0.5 0.5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모발-염색성 0 - 1
표 1 및 표 2에서의 결과는 표준 모속의 염색성과 비교하여 실시예 1 ~ 11의 모든 모발-염색성이 향상되었음을 보여준다. 특히, 실시예 2 ~ 7에서, 미생물유래 히알루론산나트륨 및 특정 술폰산기를 함유하는 화합물이 조합되어 사용되는 경우 표준 모속의 염색성과 비교하여 모발-염색성이 크게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특히, 실시예 8 ~ 11로부터, 각 히알루론산의 함량이 0.00001 ~ 0.3 질량%의 범위 내로 설정되는 경우, 표준 모속과 비교하여 모발-염색성이 향상됨이 확인되었다. 반면, 미생물유래 히알루론산나트륨 이외의 히알루론산나트륨이 사용되거나 각 술폰산만이 단독으로 사용될 경우, 충분한 모발-염색성의 향상 효과를 얻을 수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5)

  1. 산화염료, 알칼리제, 산화제 및 미생물유래 히알루론산과 그 염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화 염모제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 내의 상기 미생물유래 히알루론산 및 그 염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함량은 0.00001 ~ 0.3 질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화 염모제 조성물.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하이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술폰산(hydroxymethoxybenzophenonesulfonic acid), 디하이드록시디메톡시벤조페논디술폰산(dihydroxydimethoxybenzophenonedisulfonic acid), 판테테인-S-술폰산(pantetheine-S-sulfonic acid), 아미노에틸술폰산(aminoethylsulfonic acid), 구아이아줄렌술폰산(guaiazulenesulfonic acid), p-페놀술폰산(para-phenolsulfonic acid) 및 그 염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화 염모제 조성물.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술폰산, 디하이드록시디메톡시벤조페논디술폰산, 판테테인-S-술폰산, 아미노에틸술폰산, 구아이아줄렌술폰산, p-페놀술폰산 및 그 염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함량에 대한 미생물유래 히알루론산 및 그 염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함량비는 1:100 ~ 100: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화 염모제 조성물.
  5.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 내의 상기 하이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술폰산, 디하이드록시디메톡시벤조페논디술폰산, 판테테인-S-술폰산, 아미노에틸술폰산, 구아이아줄렌술폰산, p-페놀술폰산 및 그 염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함량은 0.000001 ~ 5 질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화 염모제 조성물.
KR1020077027572A 2005-11-11 2006-11-06 산화 염모제 조성물 KR1009247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328017 2005-11-11
JP2005328017 2005-11-11
JP2006277523A JP3947756B2 (ja) 2005-11-11 2006-10-11 酸化染毛剤組成物
JPJP-P-2006-00277523 2006-10-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6820A true KR20080016820A (ko) 2008-02-22
KR100924744B1 KR100924744B1 (ko) 2009-11-05

Family

ID=380231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7572A KR100924744B1 (ko) 2005-11-11 2006-11-06 산화 염모제 조성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658769B2 (ko)
JP (1) JP3947756B2 (ko)
KR (1) KR100924744B1 (ko)
CN (1) CN101184472B (ko)
TW (1) TWI320717B (ko)
WO (1) WO200705517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9768B1 (ko) * 2021-03-31 2022-02-08 주식회사 제이피에스코스메틱 2제형 모발 염색제용 색조 산화제 조성물, 이를 이용한 색조 산화제 및 이를 포함하는 2제형 모발 염색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586423A4 (en) 2010-06-23 2014-08-27 Shiseido Co Ltd CAPILLARY COLOR COMPOSITION BY OXIDATION
WO2013031313A1 (ja) * 2011-09-01 2013-03-07 株式会社 資生堂 ヘアカラー前処理用組成物
FR2994088B1 (fr) 2012-08-02 2019-07-05 L'oreal Composition de coloration comprenant au moins un compose sulfonique, un polymere epaississant, procede de coloration et dispositif approprie
CN104755064B (zh) * 2012-08-31 2018-06-19 朋友株式会社 喷雾式泡状氧化染发剂组合物
KR102108499B1 (ko) * 2013-08-26 2020-05-08 (주)아모레퍼시픽 산화형 염모제 조성물
DE102013226283A1 (de) * 2013-12-17 2015-06-18 Henkel Ag & Co. Kgaa Schaumstabilisierte Färbemittel II
CN112043614B (zh) * 2020-08-21 2023-05-05 云南白药集团健康产品有限公司 选择性清洗组合物及头皮毛发护理产品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56611A (en) * 1987-08-25 1989-03-03 Hoou Kk Hair dye composition
JPH0711524Y2 (ja) 1987-09-30 1995-03-22 三菱農機株式会社 作業用走行車の作業部昇降速度制御装置
JP2761799B2 (ja) * 1990-08-13 1998-06-04 株式会社ヤクルト本社 洗浄剤
JPH0543437A (ja) * 1991-08-07 1993-02-23 Mandamu:Kk 染毛剤組成物
JPH08268848A (ja) * 1995-03-30 1996-10-15 Shiseido Co Ltd 酸化染毛剤組成物
JPH1087450A (ja) * 1996-09-13 1998-04-07 Mitsubishi Chem Corp 染毛剤組成物
JPH11180836A (ja) 1997-12-19 1999-07-06 Ajinomoto Co Inc 頭髪化粧料組成物
JP2001097834A (ja) * 1999-09-30 2001-04-10 Yamahatsu Sangyo Kk 染毛剤組成物を充填したエアゾール製品
AU2024301A (en) * 1999-12-20 2001-07-03 Lion Corporation Hair dye composition
US6497889B2 (en) * 2000-06-20 2002-12-24 Kyowa Hakko Kogyo Co., Ltd. Cosmetics
FR2833599B1 (fr) * 2001-12-18 2004-01-30 Oreal Polysaccharide amphotere, composition et utilisation
JP2005060234A (ja) * 2003-08-08 2005-03-10 Rohto Pharmaceut Co Ltd 皮膚外用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9768B1 (ko) * 2021-03-31 2022-02-08 주식회사 제이피에스코스메틱 2제형 모발 염색제용 색조 산화제 조성물, 이를 이용한 색조 산화제 및 이를 포함하는 2제형 모발 염색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7055173A1 (ja) 2007-05-18
JP3947756B2 (ja) 2007-07-25
US20090089940A1 (en) 2009-04-09
KR100924744B1 (ko) 2009-11-05
CN101184472A (zh) 2008-05-21
CN101184472B (zh) 2010-11-24
TWI320717B (en) 2010-02-21
US7658769B2 (en) 2010-02-09
TW200727916A (en) 2007-08-01
JP2007153874A (ja) 2007-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1231B1 (ko) 모발 처리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모발 처리 방법
KR100924744B1 (ko) 산화 염모제 조성물
US8088179B2 (en) Hair cosmetic composition
KR101668860B1 (ko) 모발 처리제 조성물과 이를 사용하는 모발 처리 방법
JP4827856B2 (ja) 脱染剤組成物
JP4995441B2 (ja) 酸化染毛剤組成物
US8088178B2 (en) Hair cosmetic composition
JP5341628B2 (ja) 毛髪処理剤組成物
JP4837543B2 (ja) 染色された繊維の色調安定化方法
US8088177B2 (en) Hair cosmetic composition
JP2006316031A (ja) 毛髪処理剤組成物及びその使用方法
JP2013035755A (ja) 毛髪化粧料組成物
JP4527593B2 (ja) 毛髪処理剤
JP4837544B2 (ja) 脱染後の染色処理又は脱色処理における染色性又は脱色性の低下抑制方法及び繊維処理剤組成物
JP2007197326A (ja) 毛髪処理方法
GB2476431A (en) Hair cosmetic composi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