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16643A - 단백질 키나제 억제제로서의 피롤로피리딘 유도체 - Google Patents

단백질 키나제 억제제로서의 피롤로피리딘 유도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16643A
KR20080016643A KR1020077029309A KR20077029309A KR20080016643A KR 20080016643 A KR20080016643 A KR 20080016643A KR 1020077029309 A KR1020077029309 A KR 1020077029309A KR 20077029309 A KR20077029309 A KR 20077029309A KR 20080016643 A KR20080016643 A KR 200800166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yridin
pyrimidin
pyrrolo
phenyl
am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93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바룬 오크람
핑다 렌
나타나엘 에스. 그레이
Original Assignee
아이알엠 엘엘씨
더 스크립스 리서치 인스티튜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알엠 엘엘씨, 더 스크립스 리서치 인스티튜트 filed Critical 아이알엠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0800166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6643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7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e nitrogen ato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63/00
    • C07D47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e nitrogen ato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63/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71/04Ortho-condensed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505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 A61K31/506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not condensed and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02Stomatological preparations, e.g. drugs for caries, aphtae, periodontit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04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ulcers, gastritis or reflux esophagitis, e.g. antacids, inhibitors of acid secretion, mucosal protect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6Antipsoria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2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joint disorders, e.g. arthritis, arth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61P35/02Antineoplastic agents specific for leukem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2Immunomodul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2Immunomodulators
    • A61P37/06Immunosuppressants, e.g. drugs for graft rej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endocrine system
    • A61P5/14Drugs for disorders of the endocrine system of the thyroid hormones, e.g. T3, T4
    • A61P5/16Drugs for disorders of the endocrine system of the thyroid hormones, e.g. T3, T4 for decreasing, blocking or antagonising the activity of the thyroid horm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eating ischaemic or atherosclerotic diseases, e.g. antianginal drugs, coronary vasodilators, drugs for myocardial infarction, retinopathy, cerebrovascula insufficiency, renal arterioscleros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Diabetes (AREA)
  • Hematology (AREA)
  • Endocrinology (AREA)
  • Rheumatology (AREA)
  • Oncolog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besit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Transplantation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Nitrogen Condensed Heterocyclic Rings (AREA)
  • Enzymes And Modific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규 부류의 화합물, 상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 및 비정상적 또는 탈조절된 키나제 활성과 연관된 질환 또는 장애, 특히 CDK, Aurora, Jak2, Rock, CAMKII, FLT3, Tie2, TrkB, FGFR3 및 KDR 키나제의 비정상적 활성화를 수반하는 질환 또는 장애를 치료하기 위한 상기 화합물의 사용 방법을 제공한다.
키나제, 피롤로피리딘 유도체, 백혈병, 암, 심혈관 질환

Description

단백질 키나제 억제제로서의 피롤로피리딘 유도체 {PYRROLOPYRIDINE DERIVATIVES AS PROTEIN KINASE INHIBITORS}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참조
본 출원은 2005년 5월 16일에 출원된 미국 가특허 출원 제60/681,853호에 대하여 우선권의 이익을 주장한다. 상기 출원의 모든 개시사항은 그 전체로 모든 목적을 위해 본원에 참고로 포함된다.
발명의 배경
본 발명은 신규 부류의 화합물, 상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 및 비정상적 또는 탈조절된 키나제 활성과 연관된 질환 또는 장애, 특히 CDK, Aurora, Jak2, Rock, CAMKII, FLT3, Tie2, TrkB, FGFR3 및 KDR 키나제의 비정상적 활성화를 수반하는 질환 또는 장애를 치료 또는 예방하기 위한 상기 화합물의 사용 방법을 제공한다.
단백질 키나제는 다양한 세포 과정의 조절 및 세포 기능에 대한 조절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단백질의 광범위한 족을 나타낸다. 상기 키나제의 부분적이고 비제한적인 목록에는 티로신 키나제, 예컨대 FLT3, Tie2, TrkB, KDR 및 섬유모세포 성장 인자 수용체, FGFR3; 및 세린/트레오닌 키나제, 예컨대 CDK, Aurora, Jak2, Rock 및 CAMKII가 포함된다. 이상 키나제 활성은 양성 및 악성 증식성 장애뿐만 아니라 면역계 및 신경계의 부적절한 활성화에 기인한 질환을 비롯한 다수의 질환 상태에서 관찰되어 왔다.
본 발명의 신규 화합물은 1종 이상의 단백질 키나제의 활성을 억제하며, 따라서 키나제-연관 질환의 치료에 유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발명의 개요
한 측면에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Ia, Ib 및 Ic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및 그의 N-옥시드 유도체, 프로드러그 유도체, 보호된 유도체, 개별 이성질체 및 이성질체 혼합물; 및 상기 화합물의 제약상 허용가능한 염 및 용매화물 (예를 들어 수화물)을 제공한다.
Figure 112007090024815-PCT00001
Figure 112007090024815-PCT00002
Figure 112007090024815-PCT00003
식 중:
n은 0, 1 및 2로부터 선택되고;
R1은 할로, C1 - 6알킬, C1 - 6알콕시, 할로-치환-C1 - 6알킬 및 할로-치환-C1 - 6알콕시로부터 선택되고;
R2는 C6 - 10아릴-C0 - 4알킬 및 C5 - 10헤테로아릴-C0 - 4알킬로부터 선택되며; 여기서 상기 R2의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은 할로, C1 - 6알킬, C1 - 6알콕시, 할로-치환-C1 - 6알킬, 할로-치환-C1 - 6알콕시, -S(O)0-2R5, -COOR5, -C(O)NR5R6 및 -NR5C(O)R6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내지 3개의 라디칼로 임의로 치환되며; 여기서 R5는 수소 및 C1 - 6알킬로부터 선택되며; R6는 C6 - 10아릴 및 C5 - 10헤테로아릴로부터 선택되며; 여기서 상기 R6의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은 할로, C1 - 6알킬, C1 - 6알콕시, 할로-치환-C1 - 6알킬 및 할로-치환-C1 - 6알콕시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내지 3개의 라디칼로 임의로 치환되고;
X는 CR7 또는 N으로부터 선택되며; 여기서 R7은 수소 및 C1 - 6알킬로부터 선택 된다.
제2 측면에서, 본 발명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N-옥시드 유도체, 개별 이성질체 및 이성질체 혼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가능한 염을 1종 이상의 적합한 부형제와의 혼합물로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제3 측면에서, 본 발명은 치료 유효량의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N-옥시드 유도체, 개별 이성질체 및 이성질체 혼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가능한 염을 동물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키나제 활성, 특히 CDK, Aurora, Jak2, Rock, CAMKII, FLT3, Tie2, TrkB, FGFR3 및/또는 KDR 활성의 억제가 질환의 병리상태 및/또는 증상을 예방, 억제 또는 완화할 수 있는 동물에서의 질환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제4 측면에서, 본 발명은 키나제 활성, 특히 CDK, Aurora, Jak2, Rock, CAMKII, FLT3, Tie2, TrkB, FGFR3 및/또는 KDR 활성이 질환의 병리상태 및/또는 증상의 원인이 되는 동물에서의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의약의 제조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제5 측면에서, 본 발명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그의 N-옥시드 유도체, 프로드러그 유도체, 보호된 유도체, 개별 이성질체 및 이성질체 혼합물, 및 그의 제약상 허용가능한 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정의
"알킬"은 하나의 기로서, 그리고 다른 기, 예를 들어 할로-치환-알킬 및 알콕시의 구조적 요소로서 직쇄 또는 분지쇄일 수 있다. C1 -4-알콕시에는 메톡시, 에톡시 등이 포함된다. 할로-치환 알킬에는 트리플루오로메틸, 펜타플루오로에틸 등이 포함된다.
"아릴"은 6 내지 10개의 고리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모노시클릭 또는 융합 비시클릭 방향족 고리단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아릴은 페닐 또는 나프틸, 바람직하게는 페닐일 수 있다. "아릴렌"은 아릴기로부터 유도된 2가 라디칼을 의미한다.
"헤테로아릴"은 상기 아릴에 대하여 정의된 바와 같되, 여기서 나타내는 탄소 고리 구성원 중 하나 이상은 헤테로원자로 치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C5 - 8헤테로아릴에는 피리딜, 인돌릴, 인다졸릴, 퀴녹살리닐, 퀴놀리닐, 벤조푸라닐, 벤조피라닐, 벤조티오피라닐, 벤조[1,3]디옥솔, 이미다졸릴, 벤조-이미다졸릴, 피리미디닐, 푸라닐, 옥사졸릴, 이속사졸릴, 트리아졸릴, 테트라졸릴, 피라졸릴, 티에닐 등이 포함된다.
"시클로알킬"은 지정된 개수의 고리 원자를 함유하는 포화 또는 부분적 불포화, 모노시클릭, 융합 비시클릭 또는 가교 폴리시클릭 고리단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C3 - 10시클로알킬에는 시클로프로필, 시클로부틸, 시클로펜틸, 시클로헥실 등이 포함된다.
"헤테로시클로알킬"은 본 출원에서 정의된 바와 같되, 단, 지정된 고리 탄소 중 하나 이상이 -O-, -N=, -NR-, -C(O)-, -S-, -S(O)- 또는 -S(O)2- (여기서 R은 수소, C1 - 4알킬 또는 질소 보호기임)로부터 선택되는 잔기로 치환되는 시클로알킬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화합물을 기술하기 위해서 본 출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C3 - 8헤테로시클로알킬에는 모르폴리노, 피롤리디닐, 피롤리디닐-2-온, 피페라지닐, 피페리디닐, 피페리디닐론, 1,4-디옥사-8-아자-스피로[4.5]데스-8-일 등이 포함된다.
"할로겐" (또는 할로)은 바람직하게는 클로로 또는 플루오로를 나타내지만, 브로모 또는 요오도일 수도 있다.
"키나제 패널"은 Abl(인간), Abl(T315I), JAK2, JAK3, ALK, JNK1α1, ALK4, KDR, Aurora-A, Lck, Blk, MAPK1, Bmx, MAPKAP-K2, BRK, MEK1, CaMKII(래트), Met, CDK1/cyclinB, p70S6K, CHK2, PAK2, CK1, PDGFRα, CK2, PDK1, c-kit, Pim-2, c-RAF, PKA(h), CSK, PKBα, cSrc, PKCα, DYRK2, Plk3, EGFR, ROCK-I, Fes, Ron, FGFR3, Ros, Flt3, SAPK2α, Fms, SGK, Fyn, SIK, GSK3β, Syk, IGF-1R, Tie-2, IKKβ, TrKB, IR, WNK3, IRAK4, ZAP-70, ITK, AMPK(래트), LIMK1, Rsk2, Axl, LKB1, SAPK2β, BrSK2, Lyn(h), SAPK3, BTK, MAPKAP-K3, SAPK4, CaMKIV, MARK1, Snk, CDK2/cyclinA, MINK, SRPK1, CDK3/cyclinE, MKK4(m), TAK1, CDK5/p25, MKK6(h), TBK1, CDK6/cyclinD3, MLCK, TrkA, CDK7/cyclinH/MAT1, MRCKβ, TSSK1, CHK1, MSK1, Yes, CK1d, MST2, ZIPK, c-Kit (D816V), MuSK, DAPK2, NEK2, DDR2, NEK6, DMPK, PAK4, DRAK1, PAR-1Bα, EphA1, PDGFRβ, EphA2, Pim-1, EphA5, PKBβ, EphB2, PKCβI, EphB4, PKCδ, FGFR1, PKCη, FGFR2, PKCθ, FGFR4, PKD2, Fgr, PKG1β, Flt1, PRK2, Hck, PYK2, HIPK2, Ret, IKKα, RIPK2, IRR, ROCK-II(인간), JNK2α2, Rse, JNK3, Rsk1(h), PI3 Kγ, PI3 Kδ 및 PI3-Kβ를 포함하는 키나제 목록이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상기 키나제 패널 (야생형 및/또는 그의 돌연변이)에 대하여 스크리닝되고, 상기 패널 구성원 중 하나 이상의 활성을 억제한다.
"BCR-Abl의 돌연변이 형태"는 야생형 서열로부터의 단일 또는 복수의 아미노산 변이를 의미한다. BCR-ABL에서의 돌연변이는 단백질과 억제제 (예를 들어, 글리벡(Gleevec) 등) 사이의 중요한 접촉점을 분열시킴으로써, 더욱 빈번하게는, 비활성에서 활성 상태, 즉, BCR-ABL과 글리벡이 결합할 수 없는 구조로의 전환을 유도함으로써 작용한다. 임상 표본의 분석으로부터, 내성 표현형과 관련하여 발견되는 돌연변이 레퍼토리는 천천히, 그러나 엄연히 시간이 흐르면서 증가해 왔다. 돌연변이는 4개의 주요 영역에 클러스터링하는 것으로 보인다. 돌연변이 제1 군 (G250E, Q252R, Y253F/H, E255K/V)은 ATP에 대한 인산염-결합 루프 (P-루프로도 알려짐)를 형성하는 아미노산을 포함한다. 제2 군 (V289A, F311L, T315I, F317L)은 글리벡 결합 부위에서 발견될 수 있으며, 수소 결합 또는 반데르발스 상호작용을 통해 억제제와 직접 상호작용한다. 돌연변이 제3 군 (M351T, E355G)은 촉매 도메인에 아주 근접하여 클러스터링한다. 돌연변이 제4 군 (H396R/P)은 그 구조가 키나제 활성화/불활성화를 조절하는 분자 스위치인 활성화 루프에 위치한다. CML 및 ALL 환자에서 탐지되는 글리벡 내성과 연관된 BCR-ABL 점 돌연변이로는 M224V, L248V, G250E, G250R, Q252R, Q252H, Y253H, Y253F, E255K, E255V, D276G, T277A, V289A, F311L, T315I, T315N, F317L, M343T, M315T, E355G, F359V, F359A, V379I, F382L, L387M, L387F, H396P, H396R, A397P, S417Y, E459K, 및 F486S (1문자 코드로 나타내는 아미노산 위치는 진뱅크(GenBank) 서열, 수탁 번호 AAB60394에서의 위치이며, ABL 타입 1a에 대응함; 문헌 [Martinelli et al., Haematologica/The Hematology Journal, 2005, April; 90-4])가 포함된다. 본 발명에 대하여 달리 명시하지 않는 한, Bcr-Abl은 상기 효소의 야생형 및 돌연변이 형태를 지칭한다.
"치료하다", "치료하는" 및 "치료"는 질환 및/또는 그에 수반되는 증상을 완화 또는 경감시키는 방법을 가리킨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의 설명
본 발명은 키나제 관련 질환, 특히 CDK, Aurora, Jak2, Rock, CAMKII, FLT3, Tie2, TrkB, FGFR3 및 KDR 키나제 관련 질환의 치료를 위한 화합물, 조성물 및 방법을 제공한다.
한 실시양태에서, 화학식 Ia, Ib 및 Ic의 화합물과 관련하여, n은 0 및 1로부터 선택되고; R1은 C1 - 6알콕시이고; R2는 C6 - 10아릴-C0 - 4알킬 및 C5 - 10헤테로아릴-C0 - 4알킬로부터 선택되며; 여기서 상기 R2의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은 할로, C1 - 6알킬, C1 -6알콕시, 할로-치환-C1 - 6알킬, -S(O)0-2R5, -COOR5, 및 -NR5C(O)R6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내지 3개의 라디칼로 임의로 치환되며; 여기서 R5는 수소 및 C1 - 6알킬로부터 선택되고; R6는 할로-치환-C1 - 6알킬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내지 3개의 라디칼로 임의로 치환되는 C6 - 10아릴이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R1은 메톡시이고; R2는 페닐, 벤질 및 피리디닐로부터 선택되며; 여기서 상기 R2의 페닐, 벤질 또는 피리디닐은 클로로, 브로모, 플루오로, 메틸, 트리플루오로메톡시, 트리플루오로메틸, -COO2R5, -S(O)2R5 및 -NHC(O)R6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내지 2개의 라디칼로 임의로 치환되며; 여기서 R5는 메틸 및 에틸로부터 선택되고; R6는 트리플루오로메틸로 임의로 치환되는 페닐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화합물은 (3-클로로-페닐)-[4-(1H-피롤로[2,3-b]피리딘-4-일)-피리미딘-2-일]-아민; (4-플루오로-페닐)-[4-(1H-피롤로[2,3-b]피리딘-4-일)-피리미딘-2-일]-아민; [4-(1H-피롤로[2,3-b]피리딘-4-일)-피리미딘-2-일]-(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아민; [4-(1H-피롤로[2,3-b]피리딘-4-일)-피리미딘-2-일]-(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아민; (3,4-디플루오로-페닐)-[4-(1H-피롤로[2,3-b]피리딘-4-일)-피리미딘-2-일]-아민; [4-(1H-피롤로[2,3-b]피리딘-4-일)-피리미딘-2-일]-(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아민; 4-[4-(1H-피롤로[2,3-b]피리딘-4-일)-피리미딘-2-일아미노]-벤조산 에틸 에스테르; (3-메톡시-페닐)-[4-(1H-피롤로[2,3-b]피리딘-4-일)-피리미딘-2-일]-아민; (3-플루오로-벤질)-[4-(1H-피롤로[2,3-b]피리딘-4-일)-피리미딘-2-일]-아민; (3,5-디메톡시-페닐)-[4-(1H-피롤로[2,3-b]피리딘-4-일)-피리미딘-2-일]-아민; (2-메틸-피리딘-4-일)-[4-(1H-피롤로[2,3-b]피리딘-4-일)-피리미딘-2-일]-아민; (2-클로로-피리딘-4-일)-[4-(1H-피롤로[2,3-b]피리딘-4-일)-피리미딘-2-일]-아민; (2-메톡시-피리딘-4-일)-[4-(1H-피롤로[2,3-b]피리딘-4-일)-피리미딘-2-일]-아민; (4-메탄술포닐-페닐)-[4-(1H-피롤로[2,3-b]피리딘-4-일)-피리미딘-2-일]-아민; 피리딘-4-일-[4-(1H-피롤로[2,3-b]피리딘-4-일)-피리미딘-2-일]-아민; (4-메틸-피리미딘-2-일)-[4-(1H-피롤로[2,3-b]피리딘-4-일)-피리미딘-2-일]-아민; (3-브로모-페닐)-[4-(1-메틸-1H-피롤로[2,3-b]피리딘-4-일)-피리미딘-2-일]-아민; (3-클로로-페닐)-[4-(1-메틸-1H-피롤로[2,3-b]피리딘-4-일)-피리미딘-2-일]-아민; [4-(1-메틸-1H-피롤로[2,3-b]피리딘-4-일)-피리미딘-2-일]-(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아민; (3-브로모-4-메틸-페닐)-[4-(1-메틸-1H-피롤로[2,3-b]피리딘-4-일)-피리미딘-2-일]-아민; 2-{4-[2-(3-브로모-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피롤로[2,3-b]피리딘-1-일}-에탄올; 2-{4-[2-(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피롤로[2,3-b]피리딘-1-일}-에탄올; 2-{4-[2-(3-클로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피롤로[2,3-b]피리딘-1-일}-에탄올; 2-{4-[2-(3-브로모-4-메틸-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피롤로[2,3-b]피리딘-1-일}-에탄올; {4-[1-(2-아미노-에틸)-1H-피롤로[2,3-b]피리딘-4-일]-피리미딘-2-일}-(3-브로모-페닐)-아민; {4-[1-(2-아미노-에틸)-1H-피롤로[2,3-b]피리딘-4-일]-피리미딘-2-일}-(3-브로모-페닐)-메틸-아민; {4-[1-(2-아미노-에틸)-1H-피롤로[2,3-b]피리딘-4-일]-피리미딘-2-일}-(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아민; N-{4-메틸-3-[4-(1H-피롤로[2,3-b]피리딘-4-일)-피리미딘-2-일아미노]-페닐}-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4-(1H-피롤로[2,3-b]피리딘-3-일)-피리미딘-2-일]-(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아민; (3,5-디메톡시-페닐)-[4-(1H-피롤로[2,3-b]피리딘-3-일)-피리미딘-2-일]-아민; (3,5-디플루오로-페닐)-[4-(1H-피롤로[2,3-b]피리딘-3-일)-피리미딘-2-일]-아민; (3-브로모-페닐)-[4-(1H-피롤로[2,3-b]피리딘-3-일)-피리미딘-2-일]-아민; (3-메톡시-페닐)-[4-(1H-피롤로[2,3-b]피리딘-3-일)-피리미딘-2-일]-아민; (4-클로로-페닐)-[4-(1H-피롤로[2,3-b]피리딘-3-일)-피리미딘-2-일]-아민; 4-[4-(1H-피롤로[2,3-b]피리딘-3-일)-피리미딘-2-일아미노]-벤조산 에틸 에스테르; N-{4-메틸-3-[4-(1H-피롤로[2,3-b]피리딘-3-일)-피리미딘-2-일아미노]-페닐}-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3-클로로-페닐)-[4-(4-메톡시-1H-피롤로[2,3-b]피리딘-3-일)-피리미딘-2-일]-아민; [4-(4-메톡시-1H-피롤로[2,3-b]피리딘-3-일)-피리미딘-2-일]-(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아민; (3-브로모-페닐)-[4-(4-메톡시-1H-피롤로[2,3-b]피리딘-3-일)-피리미딘-2-일]-아민; N-{4-메틸-3-[4-(1H-피롤로[2,3-b]피리딘-5-일)-피리미딘-2-일아미노]-페닐}-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N-에틸-4-[4-(1H-피롤로[2,3-b]피리딘-4-일)-피리미딘-2-일아미노]-벤젠술폰아미드; N-(2-메톡시-에틸)-4-[4-(1H-피롤로[2,3-b]피리딘-4-일)-피리미딘-2-일아미노]-벤젠술폰아미드; N-(3-메톡시-프로필)-4-[4-(1H-피롤로[2,3-b]피리딘-4-일)-피리미딘-2-일아미노]-벤젠술폰아미드; N-(3-메톡시-프로필)-4-[4-(1H-피롤로[2,3-b]피리딘-3-일)-피리미딘-2-일아미노]-벤젠술폰아미드; (3-브로모-페닐)-[4-(2-메틸-1H-피롤로[2,3-b]피리딘-4-일)-피리미딘-2-일]-아민; (3-클로로-페닐)-[4-(2-메틸-1H-피롤로[2,3-b]피리딘-4-일)-피리미딘-2-일]-아민; [4-(2-메틸-1H-피롤로[2,3-b]피리딘-4-일)-피리미딘-2-일]-(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아민; N-(2-메톡시-에틸)-4-[4-(2-메틸-1H-피롤로[2,3-b]피리딘-4-일)-피리미딘-2-일아미노]-벤젠술폰아미드; N-(3-메톡시-프로필)-4-[4-(2-메틸-1H-피롤로[2,3-b]피리딘-4-일)-피리미딘-2-일아미노]-벤젠술폰아미드; (3-브로모-페닐)-[4-(1H-피라졸로[3,4-b]피리딘-4-일)-피리미딘-2-일]-아민; (3-클로로-페닐)-[4-(1H-피라졸로[3,4-b]피리딘-4-일)-피리미딘-2-일]-아민; [4-(1H-피라졸로[3,4-b]피리딘-4-일)-피리미딘-2-일]-(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아민; (3-클로로-페닐)-[4-(1H-피롤로[2,3-b]피리딘-5-일)-피리미딘-2-일]-아민; (3-브로모-페닐)-[4-(1H-피롤로[2,3-b]피리딘-5-일)-피리미딘-2-일]-아민; 및 [4-(1H-피롤로[2,3-b]피리딘-5-일)-피리미딘-2-일]-(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아민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화합물은 아래 실시예 및 표 1에서 상술한다.
약리 및 효용
본 발명의 화합물은 키나제 활성을 조절하며, 그로 인하여, 키나제가 질환의 병리상태 및/또는 증상의 원인이 되는 질환 또는 장애의 치료에 유용하다. 본원에 기재한 화합물 및 조성물에 의해서 억제되고, 본원에 기재한 방법이 유용한 키나제의 예로는 CDK, Aurora, Jak2, Rock, CAMKII, FLT3, Tie2, TrkB, FGFR3 및 KDR이 포함되지만, 여기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아벨슨 티로신 키나제 (즉, Abl, c-Abl)는 세포 주기의 조절, 유전자독성 스트레스에 대한 세포 반응, 및 인테그린 신호전달을 통한 세포 환경에 관한 정보의 전달에 관여한다. 전체적으로, Abl 단백질은 다양한 세포외 및 세포내 출처로부터의 신호를 통합하고, 세포 주기 및 세포자멸사에 관한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세포 모듈로서의 복잡한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보인다. 아벨슨 티로신 키나제는 아형 유도체, 예컨대 탈조절된 티로신 키나제 활성을 갖는 키메라 융합체 (종양단백질) BCR-Abl, 또는 v-Abl을 포함한다. BCR-Abl은 만성 골수성 백혈병 (CML)의 95% 및 급성 림프성 백혈병의 10%의 발병에 있어서 결정적이다. STI-571 (글리벡)은 발암성 BCR-Abl 티로신 키나제의 억제제이고, 만성 골수성 백혈병 (CML)의 치료에 사용된다. 그러나, CML의 모구성 발증 단계에 있는 일부 환자는 BCR-Abl 키나제에서의 돌연변이 때문에 STI-571에 내성이 있다. 현재까지 22종이 넘는 돌연변이가 보고되었으며, 그 중 G250E, E255V, T315I, F317L 및 M351T가 가장 흔하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abl 키나제, 특히 v-abl 키나제를 억제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또한 야생형 BCR-Abl 키나제 및 BCR-Abl 키나제의 돌연변이도 억제하고, 따라서 Bcr-abl-양성 암 및 종양 질환, 예컨대 백혈병 (주로, 특히 세포자멸 기작 작용이 발견되는 만성 골수성 백혈병 및 급성 림프모구성 백혈병)의 치료에 적합하며, 또한 백혈병 줄기 세포의 아군에 대한 효과뿐만 아니라, 상기 세포를 제거 (예를 들어, 골수 제거)한 후, 시험관 내에서 이들 세포를 정제하고, 이들 세포로부터 암세포를 제거한 뒤의 재이식 (예를 들어, 정제된 골수 세포의 재이식) 잠재성을 보여준다.
Ras-Raf-MEK-ERK 신호전달 경로는 성장 신호에 대한 세포 반응을 매개한다. Ras는 인간 암의 ~15%에서 발암성 형태로 돌연변이된다. Raf 족은 세린/트레오닌 단백질 키나제에 속하며, 세 가지 구성원인 A-Raf, B-Raf 및 c-Raf (또는 Raf-1)를 포함한다. Raf가 약물 표적이라는데 대한 초점은 Ras의 하향 이펙터로서의 Raf의 관계에 집중되어 있다. 그러나, 최근의 데이터는 B-Raf가 활성화된 Ras 대립 유전자에 대한 요건 없이 특정 종양의 형성에 주된 역할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문헌 [Nature 417, 949-954 (01 Jul 2002)]). 특히, B-Raf 돌연변이는 대부분의 악성 흑색종에서 검출되었다.
흑색종에 대한 현존하는 의학적 치료는, 특히 말기 흑색종에서는, 그들의 유효성에 한정되어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또한 b-Raf 키나제를 수반하는 세포 과정을 억제하여, 인간 암, 특히 흑색종의 치료에 있어서 새로운 치유 기회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또한 c-Raf 키나제를 수반하는 세포 과정을 억제한다. c-Raf는 다수의 인간 암에서 돌연변이된 ras 종양유전자에 의해서 활성화된다. 따라서 c-Raf의 키나제 활성의 억제는 ras 매개된 종양 성장을 예방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문헌 [Campbell, S. L., Oncogene, 17, 1395 (1998)]).
PDGF (혈소판-유래 성장 인자)는 정상적인 성장뿐만 아니라, 예컨대 발암현상 및 혈관의 평활근 세포의 질환, 예를 들어 죽상동맥경화증 및 혈전증에서 보여지는 병리학적 세포 증식 양자 모두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아주 흔히 분포된 성장 인자이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PDGF 수용체 (PDGFR) 활성을 억제할 수 있고, 따라서 종양 질환, 예컨대 신경아교종, 육종, 전립선 종양, 및 결장, 유방 및 난소 종양의 치료에 적합하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예를 들어, 소세포 폐암에서 종양-억제 물질로서 뿐만 아니라, 비-악성 증식성 장애, 예컨대 죽상동맥경화증, 혈전증, 건선, 경피증 및 섬유증의 치료, 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화학요법제, 예컨대 5-플루오로우라실의 혈액독성 효과에 대항하기 위한 줄기 세포의 보호, 및 천식에서의 작용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특히 PDGF 수용체 키나제의 억제에 반응하는 질환의 치료에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이식, 예를 들어 동종 이식의 결과로 발생하는 장애, 특히 조직 거부반응, 예컨대, 특히 폐색성 기관지염 (OB), 즉 동종 폐 이식물의 만성 거부반응의 치료에 유용한 효과를 나타낸다. OB가 없는 환자와 달리, OB를 갖는 환자들은 종종 기관지 폐포액 중 상승된 PDGF 농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또한 혈관 평활근 세포 이동 및 증식 (여기서는 PDGF 및 PDGF-R 역시 종종 일익을 담당함)과 연관된 질환, 예컨대 재협착 및 죽상동맥경화증에도 효과적이다. 본 발명의 화합물을 투여하고, 또한 생체내의 물리적 손상에 따르는 혈관 내막의 비후에 대한 그의 효과를 조사함으로써, 시험관 내 및 생체 내 혈관 평활근 세포의 증식 또는 이동에 대한 상기의 효과 및 그로부터의 결과를 입증할 수 있다.
신경영양인자 수용체의 trk 족 (trkA, trkB, trkC)은 신경세포성 및 비-신경세포성 조직의 생존, 성장 및 분화를 촉진시킨다. TrkB 단백질은 소장 및 결장에서의 신경내분비형 세포에서, 췌장의 알파 세포에서, 림프절 및 비장의 단핵구 및 대식세포에서, 그리고 표피의 과립층에서 발현된다 (문헌 [Shibayama and Koizumi, 1996]). TrkB 단백질의 발현은 윌름즈(Wilms) 종양 및 신경모세포종의 바람직하지 않은 진행과 연관되어 있다. TrkB는 또한 암성 전립선 세포에서는 발현되지만 정상 세포에서는 발현되지 않는다. trk 수용체의 신호전달 경로 하류는 Shc, 활성화된 Ras, ERK-1 및 ERK-2 유전자를 통한 MAPK 활성화의 캐스케이드, 및 PLC-감마1 전달 경로를 포함한다 (문헌 [Sugimoto et al., 2001]).
키나제 c-Src는 다수의 수용체의 발암성 신호를 전달한다. 예를 들어, 종양에서 EGFR 또는 HER2/neu의 과다발현은 c-src의 구성적 활성화를 야기하며, 이는 악성 세포에서의 특징이나, 정상 세포에는 없다. 한편, c-src의 발현이 결핍된 마우스는 골화성 표현형을 나타내며, 이는 파골세포 기능에서의 c-src의 중요한 참여 및 관련 장애에서의 가능한 연관성을 나타낸다.
비-수용체 단백질-티로신 키나제인 Tec 족 키나제 Bmx는 포유류 상피 암세포의 증식을 제어한다.
섬유모세포 성장 인자 수용체 3은 골 성장 및 연골세포 증식의 억제에 대하여 음성적 조절 효과를 발휘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치사성 이형성증은 섬유모세포 성장 인자 수용체 3에서의 여러 돌연변이에 의해서 야기되며, 한 돌연변이인 TDII FGFR3는 전사 인자 Stat1을 활성화시켜서 세포-주기 억제제의 발현, 성장 저지 및 비정상적 골 발달을 야기하는 구성적 티로신 키나제 활성을 갖는다 (문헌 [Su et al., Nature, 1997, 386, 288-292]). FGFR3는 또한 다발성 골수종형 암에서 종종 발현된다. FGFR3 활성의 억제제는 류마티스 관절염 (RA), 콜라겐 II 관절염, 다발성 경화증 (MS),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 (SLE), 건선, 유년기 발병형 당뇨병, 쇼그렌(Sjogren) 질환, 갑상샘 질환, 사코이드증, 자가면역성 포도막염, 염증성 장 질환 (크론(Crohn) 및 궤양성 대장염), 복강 질환 및 중증근무력증을 포함하지만 여기에 한정되지는 않는 T-세포 매개 염증성 또는 자가면역성 질환의 치료에 유용하다.
혈청 및 글루코코르티코이드-조절된 키나제 (SGK)의 활성은, 특히 나트륨 및/또는 칼륨 통로의 교란된 이온-통로 활성과 상호연관되어 있으며, 본 발명의 화합물은 고혈압의 치료에 유용할 수 있다.
문헌 [Lin et al (1997) J. Clin. Invest. 100, 8: 2072-2078] 및 [P. Lin (1998) PNAS 95, 8829-8834]는 종양 성장 및 혈관화의 억제, 그리고 또한 아데노바이러스성 감염 도중 또는 유방 종양 및 흑색종 이종이식 모델에서 Tie-2 (Tek)의 세포외 도메인의 주입 도중에 폐 전이의 감소를 나타내었다. Tie2 억제제는 신혈관화가 부적절하게 발생하는 상황 (즉, 당뇨망막병증, 만성 염증, 건선, 카포시(Kaposi) 육종, 황반변성에 기인한 만성 신혈관화, 류마티스 관절염, 유아 혈관종 및 암)에 사용할 수 있다.
Lck는 T-세포 신호전달에서 일익을 담당한다. Lck 유전자가 결핍된 마우스는 가슴샘세포를 발생시키는 능력이 불량하다. T-세포 신호전달의 양성 활성화제로서의 Lck의 기능은 Lck 억제제가 류마티스 관절염과 같은 자가면역성 질환을 치료하는데 유용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JNK는, 기타 MAPK와 함께, 암, 트롬빈-유발된 혈소판 응집, 면역결핍성 장애, 자가면역성 질환, 세포사, 알레르기, 골다공증 및 심장 질환에 대한 세포 반응을 매개하는 역할을 갖는데 연관되어 있다. JNK 경로의 활성화에 관련된 치료 표적에는 만성 골수성 백혈병 (CML), 류마티스 관절염, 천식, 골관절염, 허혈, 암 및 신경퇴행성 질환이 포함된다. 간 질환 또는 간 허혈 발작과 연관된 JNK 활성화의 중요성의 결과로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또한 다양한 간 장애를 치료하는데 유용할 수 있다. 심혈관 질환, 예컨대 심근경색 또는 울혈성 심부전에서의 JNK의 역할은 또한, JNK가 다양한 형태의 심장 스트레스에 대한 비대 반응을 매개하는 것이 밝혀졌다고 보고되었다. JNK 캐스케이드가 또한 IL-2 프로모터의 활성화를 비롯한 T-세포 활성화에서의 역할을 한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따라서, JNK의 활성화는 병적 면역 반응을 변경시키는데 치료적 가치를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암에서 JNK 활성화에 대한 역할이 또한 확립되었으며, 이는 암에서 JNK 억제제의 잠재적인 사용을 시사한다. 예를 들어, 구성적으로 활성화된 JNK는 HTLV-1 매개 종양형성과 연관되어 있다 (문헌 [Oncogene 13:135-42 (1996)]). JNK는 카포시 육종 (KS)에서의 역할을 가질 수 있다. KS 증식에 연루된 다른 시토킨, 예컨대 혈관 내피 성장 인자 (VEGF), IL-6 및 TNFα의 기타 증식 효과는 또한 JNK에 의해서 매개될 수 있다. 또한, p210 BCR-ABL 형질전환된 세포에서 c-jun 유전자의 조절은 JNK의 활성과 조화되며, 이는 만성 골수성 백혈병 (CML)에 대한 치료에서 JNK 억제제에 대한 역할을 시사한다 (문헌 [Blood 92:2450-60 (1998)]).
특정의 비정상적 증식 상태는 raf 발현과 연관되어 있다고 여겨지며, 따라서, raf 발현의 억제에 반응할 것으로 여겨진다. 비정상적으로 높은 수준의 raf 단백질의 발현 또한 변형 및 비정상적 세포 증식과 연관되어 있다. 이러한 비정상적 증식 상태는 또한 raf 발현의 억제에 반응할 것으로 여겨진다. 예를 들어, c-raf 단백질의 발현은, 모든 폐 암종 세포주의 60%가 현저하게 높은 수준의 c-raf mRNA 및 단백질을 발현한다고 보고되었기 때문에, 비정상적 세포 증식에 일익을 담당할 것으로 여겨진다. 비정상적 증식 상태의 추가의 예는, 과증식성 장애, 예컨대 암, 종양, 과다형성증, 폐 섬유증, 혈관신생, 건선, 죽상동맥경화증 및 혈관에서의 평활근 세포 증식, 예컨대 협착증 또는 혈관성형술 후의 재협착이다. raf가 관여하는 세포성 신호전달 경로는 또한 예를 들어 조직 이식편 거부 반응, 내독소 쇼크 및 사구체 신염과 같은 T-세포 증식 (T-세포 활성화 및 성장)을 특징으로 하는 염증성 장애와 연관되어 있다.
스트레스 활성화된 단백질 키나제 (SAPK)는 c-jun 전사 인자의 활성화 및 c-jun에 의해서 조절되는 유전자의 발현을 일으키는 신호 전달 경로에서의 전종단 단계를 나타내는 단백질 키나제 족이다. 특히, c-jun은 유전자독성 손상에 기인하여 손상된 DNA의 복구에 관계하는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유전자의 전사와 관련된다. 따라서, 세포에서 SAPK 활성을 억제하는 작용제는 DNA 복구를 막고, DNA 손상을 유발하거나 DNA 합성을 억제하며 세포의 세포자멸사를 유발시키는 작용제 또는 세포 증식을 억제하는 작용제에 대하여 세포를 감작시킨다.
미토겐-활성화된 단백질 키나제 (MAPK)는 전사 인자, 번역 인자 및 다양한 세포외 신호에 반응하는 기타 표적 분자를 활성화시키는 보존된 신호 전달 경로의 일원이다. MAPK는 미토겐-활성화된 단백질 키나제 키나제 (MKK)에 의해서 서열 Thr-X-Tyr을 갖는 이중 인산화 모티프에서의 인산화에 의해서 활성화된다. 고등 진핵생물에서, MAPK 신호전달의 생리학적 역할은 증식, 종양형성, 발생 및 분화와 같은 세포 사건과 상호연관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경로를 통해서 (특히 MKK4 및 MKK6을 통해서) 신호 전달을 조절하는 능력은 MAPK 신호전달과 연관된 인간 질환, 예컨대 염증성 질환, 자가면역성 질환 및 암에 대한 치료 및 예방적 요법의 발달을 이끌어낼 수 있다.
인간 리보솜 S6 단백질 키나제 족은 적어도 8개의 구성원 (RSK1, RSK2, RSK3, RSK4, MSK1, MSK2, p70S6K 및 p70S56 Kb)으로 이루어진다. 리보솜 단백질 S6 단백질 키나제는 중요한 다면발현성 기능을 하며, 그 중에서 단백질 생합성 도중 mRNA 번역의 조절이 중요한 역할이다 (문헌 [Eur J. Biochem 2000 November; 267(21): 6321-30, Exp Cell Res. Nov. 25, 1999; 253 (1):100-9, Mol Cell Endocrinol. May 25, 1999; 151(1-2):65-77). p70S6에 의한 S6 리보솜 단백질의 인산화는 또한 세포 운동성 (문헌 [Immunol. Cell Biol. 2000 August; 78(4):447-51]) 및 세포 성장 (문헌 [Prog. Nucleic Acid Res. Mol. Biol., 2000; 65:101-27])과 연관되어 있고, 따라서, 종양 전이, 면역 반응 및 조직 회복뿐만 아니라 기타 질환 상태에 있어서 중요할 수 있다.
SAPK's ("jun N-말단 키나제" 또는 "JNK's"라고도 칭함)는 c-jun 전사 인자의 활성화 및 c-jun에 의해서 조절되는 유전자의 발현을 일으키는 신호 전달 경로에서의 전종단 단계를 나타내는 단백질 키나제 족이다. 특히, c-jun은 유전자독성 손상에 기인하여 손상된 DNA의 복구에 관계하는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유전자의 전사와 관련된다. 세포에서 SAPK 활성을 억제하는 작용제는 DNA 복구를 막고, DNA 손상 유발에 의해서 작용하는 암 치유 양식에 대하여 세포를 감작시킨다.
BTK는 자가면역성 및/또는 염증성 질환, 예컨대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 (SLE), 류마티스 관절염, 다발성 혈관염, 특발성 혈소판감소성 자반증 (ITP), 중증근무력증, 및 천식에서 일익을 담당한다. B-세포 활성화에서의 BTK의 역할로 인하여, BTK의 억제제는 B-세포 매개 병원성 활동, 예컨대 자가항체 생성의 억제제로서 유용하고, B-세포 림프종 및 백혈병의 치료에 유용하다.
CHK2는 세린/트레오닌 단백질 키나제의 체크포인트 키나제 족의 일원이고, DNA 손상, 예컨대 환경상의 돌연변이원 및 내인성의 반응성 산소종에 의해 야기되는 손상의 감시에 사용되는 기작에 연관되어 있다. 그 결과, 상기는 암 치유에 있어서 종양 억제제 및 표적으로서 연루된다.
CSK는 암세포, 특히 결장암의 전이 가능성에 영향을 준다.
Fes는 다양한 시토킨 신호 전달 경로, 뿐만 아니라 골수 세포의 분화에 연관된 비-수용체 단백질 티로신 키나제이다. Fes는 또한 과립구 분화 수단의 주 구성요소이다.
Flt3 수용체 티로신 키나제 활성은 백혈병 및 골수이형성 증후군에 연관되어 있다. 대략 25%의 AML에서, 백혈병 세포는 세포 표면에서 자가-인산화된 (p) FLT3 티로신 키나제의 구성상 활성인 형태를 발현시킨다. p-FLT3의 활성은 백혈병 세포에 성장 및 생존 이득을 준다. 백혈병 세포가 p-FLT3 키나제 활성을 발현시키는 급성 백혈병 환자는 전체적인 임상적 결과가 불량하다. p-FLT3 키나제 활성의 억제는 백혈병 세포의 세포자멸사 (프로그램화된 세포사)를 유발한다.
IKKα 및 IKKβ (1 & 2)의 억제제는 류마티스 관절염, 이식 거부, 염증성 장 질환, 골관절염, 천식, 만성 폐색성 폐 질환, 죽상동맥경화증, 건선, 다발성 경화증, 발작,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 알츠하이머 질환, 뇌허혈, 외상성 뇌손상, 파킨슨 질환, 근위축성 측삭 경화증, 거미막밑출혈 또는 뇌 및 중추신경계에서 염증 매개체의 과다 생성과 연관된 기타 질환 또는 장애를 포함하는 질환용 치료제이다.
Met는 주요 인간 암의 대부분의 유형과 연관되어 있고, 발현은 불량한 예후 및 전이와 종종 상호연관된다. Met의 억제제는 폐암, NSCLC (비소세포 폐암), 골암, 췌장암, 피부암, 두경부암, 피부 또는 안내 흑색종, 자궁암, 난소암, 직장암, 항문 부위의 암, 위암, 결장암, 유방암, 부인과 종양 (예를 들어, 자궁 육종, 자궁관 암종, 자궁내막 암종, 자궁경부 암종, 질 암종 또는 외음 암종), 호지킨(Hodgkin) 질환, 식도암, 소장암, 내분비계 암 (예를 들어, 갑상샘암, 부갑상샘암 또는 부신암), 연조직 육종, 요도암, 음경암, 전립선암, 만성 또는 급성 백혈병, 유년기 고형 종양, 림프성 림프종, 방광암, 신장 또는 요관 암 (예를 들어, 신장 세포 암종, 신우 암종), 소아 악성종양, 중추신경계의 신생물 (예를 들어, 원발성 CNS 림프종, 척수 축 종양, 뇌줄기신경아교종 또는 뇌하수체샘종), 혈액암, 예컨대 급성 골수성 백혈병, 만성 골수성 백혈병 등, 바레트(Barrett) 식도 (전암 증후군) 신생물성 피부 질환, 건선, 균상식육종 및 양성 전립선 비대증, 당뇨 관련 질환, 예컨대 당뇨망막병증, 망막허혈 및 망막신혈관화, 간경변, 심혈관 질환, 예컨대 죽상동맥경화증, 면역질환, 예컨대 자가면역성 질환 및 신장 질환과 같은 암을 포함하는 질환용 치료제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질환은 급성 골수성 백혈병 및 결장직장암과 같은 암이다.
Nima-관련 키나제 2 (Nek2)는 중심체에 집중되어 있는, 유사분열 개시시에 활성이 최대인 세포 주기-조절된 단백질 키나제이다. 기능적 연구는 Nek2를 중심체 분리 및 방추 형성의 조절과 연관시킨다. Nek2 단백질은 자궁경부, 난소, 전립선, 및 특히 유방을 비롯한 일정 범위의 인간 종양으로부터 유래한 세포주에서 2 내지 5배 증가하였다.
p70S6K-매개된 질환 또는 상태는 증식성 장애, 예컨대 암 및 결절 경화증을 포함하지만, 여기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키나제 억제제 요법이, 키나제 약물 표적이 유전자 돌연변이에 의해서 구조적으로 활성화되는 암에 대하여, 일관하여 확실하게 작용한다는 증거가 늘고 있다. 자연 종양 선택 과정으로부터 발생한 키나제에서 발견되는 돌연변이가 많이 보고되어 있다. 상기의 예의 비제한적 목록은: 흑색종 사례의 60% 초과에서의 b-raf V599E 돌연변이; AML 사례의 30%에서의 Flt3-ITD 돌연변이; GIST 환자에서의 c-kit 돌연변이; GIST 및 HES에서의 PDGFRα; CMML에서의 PDGFRβ; 결장암 및 위암, 및 교모세포종에서의 Pi3K 돌연변이; 및 폐암의 10% (이레사(Iressa)(등록상표)에 반응함)에서 그리고 교모세포종에서의 EGFR 돌연변이를 포함한다.
상기에 따르면, 본 발명은 치료 유효량 (하기 "투여 및 제약 조성물" 참고)의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가능한 염을 앞서 기재한 임의의 질환 또는 장애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상기 대상체에서의 상기 질환 또는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을 추가로 제공한다. 상기한 임의의 용도에 있어서, 필요한 투약량은 투여 방식, 치료할 특정 상태 및 원하는 효과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투여 및 제약 조성물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화합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의 허용가능한 임의의 방식을 통해서, 단독으로 또는 1종 이상의 치료제와 함께 치료 유효량으로 투여될 것이다. 치료 유효량은 질환의 중증도, 대상체의 연령 및 상대적인 건강상태, 사용하는 화합물의 효능 및 기타 요소에 따라 광범위하게 바뀔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약 0.03 내지 2.5 ㎎/체중 ㎏의 1일 투약량에서 전신적으로 만족스러운 결과가 수득되는 것으로 나타난다. 대형 포유류, 예를 들어 인간에서, 지시되는 1일 투약량은 약 0.5 ㎎ 내지 약 100 ㎎ 범위이며, 편의상 예를 들어 1일 4회 이하의 분할 용량으로 또는 서방형으로 투여된다. 경구 투여에 적합한 단위 투약 형태는 약 1 내지 50 ㎎의 활성 성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임의의 통상적인 경로, 특히 장관으로, 예를 들어 경구로, 예를 들어 정제 또는 캡슐제의 형태로, 또는 비경구로, 예를 들어 주사가능한 용액제 또는 현탁액제의 형태로, 국소적으로, 예를 들어 로션, 겔, 연고 또는 크림의 형태로, 또는 비강제 또는 좌제 형태로 제약 조성물로서 투여될 수 있다. 유리 형태 또는 제약상 허용가능한 염 형태의 본 발명의 화합물을 1종 이상의 제약상 허용가능한 담체 또는 희석제와 함께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은 혼합, 과립화 또는 코팅법에 의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구 조성물은 활성 성분과 함께 a) 희석제, 예를 들어,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만니톨, 소르비톨, 셀룰로스 및/또는 글리신; b) 윤활제, 예를 들어, 실리카, 탈크, 스테아르산, 그의 마그네슘 또는 칼슘 염 및/또는 폴리에틸렌글리콜; 정제에 있어서는 또한 c) 결합제, 예를 들어, 마그네슘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전분 페이스트, 젤라틴, 트라가칸트, 메틸셀룰로스, 소듐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및/또는 폴리비닐피롤리돈; 경우에 따라 d) 붕해제, 예를 들어, 전분, 아가, 알긴산 또는 그의 나트륨 염, 또는 발포성 혼합물; 및/또는 e) 흡수제, 착색제, 향료 및 감미료를 포함하는 정제 또는 젤라틴 캡슐제일 수 있다. 주사가능한 조성물은 등장성 수용액제 또는 수현탁액제일 수 있고, 좌제는 지방 에멀션 또는 현탁액제로부터 제조할 수 있다. 조성물은 멸균되고/되거나 보조제, 예컨대 보존제, 안정화제, 습윤화제 또는 유화제, 용액 촉진제, 삼투압 조절용 염 및/또는 완충제를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치료적 가치가 있는 기타 물질도 함유할 수 있다. 경피적 적용에 적합한 제형은 본 발명의 화합물의 유효량과 담체를 포함한다. 담체는 숙주의 피부를 통과하는데 도움이 되는 약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흡수성 용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피적 장치는 지지재, 화합물을 임의로 담체와 함께 함유하는 저장고, 임의로 상기 화합물을 숙주의 피부에 조절된 소정의 속도로 장기간에 걸쳐 전달하기 위한 속도 조절 배리어, 및 피부에 장치를 고정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붕대 형태이다. 매트릭스 경피 제형 또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부 및 안구에 대한 국소 적용에 적합한 제형은 바람직하게는 당업계에 주지된 수용액제, 연고, 크림 또는 겔이다. 상기의 것들은 가용화제, 안정화제, 삼투성 증강제, 완충제 및 보존제를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치료 유효량으로 1종 이상의 치료제와 함께 투여될 수 있다 (제약 조합물). 예를 들어, 다른 면역조절성 또는 항-염증성 물질과의 경우, 예를 들어 시클로스포린, 라파마이신 또는 아스코마이신, 또는 그의 면역억제성 유사체, 예를 들어, 시클로스포린 A (CsA), 시클로스포린 G, FK-506, 라파마이신, 또는 그에 상응하는 화합물, 코르티코스테로이드, 시클로포스파미드, 아자티오프린, 메토트렉세이트, 브레퀴나르, 레플루노미드, 미조리빈, 마이코페놀산, 마이코페놀레이트 모페틸, 15-데옥시스페르구알린, 면역억제성 항체, 특히 백혈구 수용체, 예를 들어, MHC, CD2, CD3, CD4, CD7, CD25, CD28, B7, CD45, CD58 또는 그들의 리간드에 대한 모노클로날 항체, 또는 CTLA41g와 같은 기타 면역조절성 화합물과 함께 사용할 때 상승 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이 다른 요법과 함께 투여되는 경우, 병용-투여되는 화합물의 투약량은 이용하는 병용-약물의 유형, 이용하는 특정 약물, 치료할 상태 등에 따라 물론 달라질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제약 조합물, 예를 들어 a) 유리 형태 또는 제약상 허용가능한 염 형태의 본원에 개시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화합물인 제1 작용제; 및 b) 1종 이상의 병용제를 포함하는 키트를 제공한다. 상기 키트는 투여를 위한 지침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병용-투여" 또는 "조합 투여" 등의 용어는 선택한 치료제의 단일 환자에 대한 투여를 포괄함을 의미하며, 약제들이 반드시 동일한 투여 경로로 또는 동시에 투여될 필요는 없는 치료 처방을 포함하고자 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제약 조합물"이라는 용어는 하나를 초과하는 활성 성분을 혼합 또는 조합하여 생성된 산물을 의미하며, 활성 성분들의 고정적 및 비-고정적 조합물 양자 모두를 포함한다. "고정적 조합물"이라는 용어는 활성 성분, 예를 들어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병용제가 양자 모두 단일체 또는 단일 투약량의 형태로 환자에게 동시에 투여됨을 의미한다. "비-고정적 조합물"은 활성 성분, 예를 들어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병용제가 양자 모두 별개체로서, 일제히, 동시에 또는 특정의 시간 제한 없이 순차적으로 환자에게 투여됨을 의미하며, 여기서 상기의 투여는 환자의 체내에 치료적으로 유효한 수준의 2종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후자는 칵테일 요법, 예를 들어 3종 이상의 활성 성분의 투여에도 적용된다.
본 발명 화합물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의 제조 방법을 포함한다. 기재된 반응에서, 최종 생성물에 반응성 관능기, 예를 들어 히드록시, 아미노, 이미노, 티오 또는 카르복시기를 원할 경우, 그들의 원치않는 반응 참여를 피하기 위해서 그들을 보호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통상의 보호기를 표준 실무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문헌 [T. W. Greene and P. G. M. Wuts in "Protective Groups in Organic Chemistry", John Wiley and Sons, 1991]을 참고한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은 하기의 반응식 I에서와 같이 진행하여 제조할 수 있다.
Figure 112007090024815-PCT00004
식 중 n, R1 및 R2는 발명의 개요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 화학식 Ia의 화합물은 적합한 용매 (예를 들어, sec-부탄올 등)의 존재 하에 화학식 2의 화합물을 화학식 3의 화합물과 반응시켜 합성할 수 있다. 반응은 약 20℃ 내지 약 80℃의 온도 범위에서 진행되며, 완료되기까지는 약 24시간 정도가 소요될 수 있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은 하기의 반응식 II에서와 같이 진행하여 제조할 수 있다.
Figure 112007090024815-PCT00005
식 중 n, R1 및 R2는 발명의 개요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 화학식 Ib의 화합물은 적합한 용매 (예를 들어, sec-부탄올 등) 및 적합한 촉매 (예를 들어, p-톨루엔술폰산 1수화물 등)의 존재 하에 화학식 5의 화합물을 화학식 6의 화합물과 반응시켜 합성할 수 있다. 반응은 약 60℃ 내지 약 130℃의 온도 범위에서 진행되며, 완료되기까지는 약 24시간 정도가 소요될 수 있다.
다르게는, 화학식 Ib의 화합물은 적합한 용매 (예를 들어, 디옥산 등) 및 적합한 촉매 (예를 들어, 팔라듐 아세테이트 등)의 존재 하에 화학식 5의 화합물을 화학식 6의 화합물과 반응시켜 합성할 수 있다. 반응은 약 60℃ 내지 약 130℃의 온도 범위에서 진행되며, 완료되기까지는 약 24시간 정도가 소요될 수 있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은 하기의 반응식 III에서와 같이 진행하여 제조할 수 있다.
Figure 112007090024815-PCT00006
식 중 n, R1 및 R2는 발명의 개요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은 적합한 용매 (예를 들어, sec-부탄올 등)의 존재 하에 화학식 4의 화합물을 화학식 3의 화합물과 반응시켜 합성할 수 있다. 반응은 약 20℃ 내지 약 80℃의 온도 범위에서 진행되며, 완료되기까지는 약 24시간 정도가 소요될 수 있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의 합성의 상세한 예는 아래 실시예에서 찾을 수 있다.
본 발명 화합물의 추가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화합물은 상기 화합물의 유리 염기 형태를 제약상 허용가능한 무기 또는 유기 산과 반응시켜, 제약상 허용가능한 산 부가염으로서 제조할 수 있다. 다르게는, 본 발명의 화합물의 제약상 허용가능한 염기 부가염은 상기 화합물의 유리 산 형태를 제약상 허용가능한 무기 또는 유기 염기와 반응시켜 제조할 수 있다.
다르게는, 본 발명의 화합물의 염 형태는 출발 물질 또는 중간체의 염을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유리 산 또는 유리 염기 형태는 상응하는 염기 부가염 또는 산 부가염 형태로부터 각각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산 부가염 형태의 본 발명의 화합물은 적합한 염기 (예를 들어, 수산화암모늄 용액, 수산화나트륨 등)로 처리하여 상응하는 유리 염기로 전환할 수 있다. 염기 부가염 형태의 본 발명의 화합물은 적합한 산 (예를 들어, 염산 등)으로 처리하여 상응하는 유리 산으로 전환할 수 있다.
비산화된 형태의 본 발명의 화합물은 0 내지 80℃에서 적합한 비활성 유기 용매 (예를 들어, 아세토니트릴, 에탄올, 수성 디옥산 등) 중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의 N-옥시드를 환원제 (예를 들어, 황, 이산화황, 트리페닐 포스핀, 리튬 보로히드라이드, 소듐 보로히드라이드, 포스포러스 트리클로라이드, 트리브로마이드 등)로 처리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프로드러그 유도체는 당업자에게 공지된 방법 (예를 들어, 추가의 상세사항은 문헌 [Saulnier et al., (1994), Bioorganic and Medicinal Chemistry Letters, Vol. 4, p. 1985] 참고)으로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당한 프로드러그는 본 발명의 비-유도체화된 화합물을 적합한 카르바밀화제 (예를 들어, 1,1-아실옥시알킬카르바노클로리데이트, 파라-니트로페닐 카보네이트 등)와 반응시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보호된 유도체는 당업자에게 공지된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보호기의 생성 및 그들의 제거에 적용가능한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문헌 [T. W. Greene, "Protecting Groups in Organic Chemistry", 3rd edition, John Wiley and Sons, Inc., 1999]에서 찾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편리하게는 본 발명의 방법 도중 용매화물 (예를 들어, 수화물)로서 제조 또는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수화물은 편리하게는 디옥신, 테트라히드로푸란 또는 메탄올과 같은 유기 용매를 사용하여, 수성/유기 용매 혼합물로부터의 재결정화에 의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상기 화합물의 라세미 혼합물을 광학 활성 분해제와 반응시켜 부분입체이성질체 화합물 쌍을 형성하고, 부분입체이성질체들을 분리하고, 광학적으로 순수한 거울상이성질체를 회수함으로써 그들의 개별 입체이성질체로서 제조할 수 있다. 거울상이성질체의 분해는 본 발명의 화합물의 공유 부분입체이성질성 유도체를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지만, 분리가능한 복합체가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결정성 부분입체이성질체 염). 부분입체이성질체는 별개의 물성 (예를 들어, 융점, 비점, 용해도, 반응성 등)을 갖고, 이러한 차이점을 이용하여 쉽게 분리할 수 있다. 부분입체이성질체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하여, 또는 바람직하게는 용해도 차이에 기초하는 분리/분해 기술에 의하여 분리될 수 있다. 이때 광학적으로 순수한 거울상이성질체는 라세미화를 일으키지 않는 임의의 실무적 방법에 의해서 분해제와 함께 회수된다. 화합물의 라세미 혼합물로부터의 그의 입체이성질체의 분해에 적용가능한 기술의 더욱 상세한 설명은 문헌 [Jean Jacques, Andre Collet, Samuel H. Wilen, "Enantiomers, Racemates and Resolutions", John Wiley And Sons, Inc., 1981]에서 찾을 수 있다.
요약하면, 화학식 I의 화합물은 하기의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하여 제조할 수 있다:
(a) 반응식 I, II 또는 III의 단계; 및
(b) 임의로 본 발명의 화합물을 제약상 허용가능한 염으로 전환시키는 단계;
(c) 임의로 본 발명의 화합물의 염 형태를 염이 아닌 형태로 전환시키는 단계;
(d) 임의로 본 발명의 화합물의 비산화된 형태를 제약상 허용가능한 N-옥시드로 전환시키는 단계;
(e) 임의로 본 발명의 화합물의 N-옥시드 형태를 그의 비산화된 형태로 전환시키는 단계;
(f) 임의로 본 발명의 화합물의 이성질체 혼합물로부터 개별 이성질체를 분해하는 단계;
(g) 임의로 본 발명의 비-유도체화된 화합물을 제약상 허용가능한 프로드러그 유도체로 전환시키는 단계; 및
(h) 임의로 본 발명의 화합물의 프로드러그 유도체를 비-유도체화된 형태로 전환시키는 단계.
출발 물질의 제법을 특별히 기재하지 않는 한, 상기 화합물은 공지되어 있거나,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과 유사하게 또는 이후의 실시예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할 수 있다.
당업자는 상기 변형이 본 발명의 화합물의 제조 방법에 대한 예일 뿐, 주지된 기타의 방법도 유사하게 사용할 수 있음을 인식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제법을 예시하는 하기 실시예로 추가로 예시되지만, 여기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실시예 1
4-[2-(치환- 페닐아미노 )-피리미딘-4-일]-1H- 피롤로 [2,3-b]-피리딘
Figure 112007090024815-PCT00007
1H- 피롤로[2,3-b]피리딘 -7- 옥시드 (2)의 제조
Figure 112007090024815-PCT00008
에틸 아세테이트 (80 ml) 중 7-아자인돌 (10 g, 84.6 mmol)의 용액에 0℃에서 30분 동안 mCPBA (18.96 g, 103.21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 이르도록 하고,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0℃로 냉각시키고, 1시간 동안 교 반하였다. 잔류물을 여과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세척하고 건조시켜 N-옥시드를 mCPBA 염으로서 얻었다.
물 (80 ml) 중 상기 염의 현탁액을 15℃로 냉각시키고, 30% K2CO3를 첨가하여 pH를 10으로 올렸다.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 후, 반응 혼합물을 0℃로 냉각시키고,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잔류물을 여과하고, 냉 H2O (10 ml)로 세척하였다. 이어서 건조시켜 7 g의 N-옥시드를 얻었다.
4- 브로모 -1H- 피롤로[2,3-b]피리딘 (3)의 제조
Figure 112007090024815-PCT00009
DMF (60 ml) 중 1H-피롤로[2,3-b]피리딘-7-옥시드 (6 g, 44.8 mmol) 및 테트라메틸-암모늄 브로마이드 (5.17 g, 34 mmol)의 현탁액을 0℃로 냉각시켰다. 15분 동안 교반한 후, 메탄술폰산 무수물 (7.8 g, 44.8 mmol)을 동일 온도에서 첨가하였다. 현탁액을 실온에 이르도록 하고,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반응 혼합물을 물 (100 ml)에 붓고, 용액을 50% NaOH로 중화시켰다. 용액을 0 내지 10℃로 냉각시켰다. 이어서 생성된 고체를 여과 및 건조시켜 4-브로모-7-아자인돌을 얻었다.
Figure 112007090024815-PCT00010
4-아세틸-1H- 피롤로[2,3-b]피리딘 (5)의 제조
Figure 112007090024815-PCT00011
4-브로모-7-아자인돌 (1 g, 5 mmol)을 THF (15 ml)에 용해시키고, -78℃로 냉각시켰다. n-BuLi (5.25 ml, 2 M 용액, 2.1 당량)를 동일 온도에서 10분에 걸쳐서 서서히 첨가하였다. 45분 동안 교반한 후, N-메톡시-N-메틸-아세트아미드 (1.1 ml, 10.5 mmol)를 동일 온도에서 서서히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되돌리고,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78℃에서 포화 NH4Cl (2 ml)을 첨가하여 켄칭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후처리하고,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NaSO4로 건조시켰다. 진공 하에 용매를 증발시켜 조 화합물을 얻었고, 이것을 헥산/에틸 아세테이트를 용리액으로서 사용하여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였다.
Figure 112007090024815-PCT00012
에나미논 (7)의 제조
Figure 112007090024815-PCT00013
4-아세틸-7-아자인돌 (1 g, 6.2 mmol) 및 브레데렉(Bredereck) 시약 (2.56 ml, 12.4 mmol)의 혼합물에 1시간 동안 110℃에서 마이크로파를 조사하였다. 과잉의 시약을 진공 하에 제거하여 에나미논을 얻었고, 이것을 추가의 정제 없이 다음 단계에 사용하였다.
4-[2-(치환- 페닐아미노 )-피리미딘-4-일]-1H- 피롤로 [2,3-b]-피리딘 (9)의 제조
Figure 112007090024815-PCT00014
sec-부탄올 (1 ml) 중 에나미논 (35 mg, 0.16 mmol), 3-브로모페닐구아니딘 니트레이트 (48.57 mg, 0.178 mmol), LiOH (11.5 mg, 48 mmol)의 혼합물을 24시간 동안 130℃로 가열하였다. 진공으로 용매를 제거하고, 생성된 조질의 고체를 역상 LC-MS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Figure 112007090024815-PCT00015
실시예 2a 및 2b
피리딘-2-일-[4-(1H- 피롤로[2,3-b]피리딘 -4-일)-피리미딘-2-일]-아민 (2a) & (3-브로모-4- 메틸 - 페닐 )-[4-(1H- 피롤로[2,3-b]피리딘 -4-일)-피리미딘-2-일]-아민 (2b)
Figure 112007090024815-PCT00016
Figure 112007090024815-PCT00017
4-[2- 클로로 -피리미딘-4-일]-1H- 피롤로[2,3-b]피리딘 (11)의 제조
Figure 112007090024815-PCT00018
4-브로모-7-아자인돌 (500 mg, 2.5 mmol) THF 용액에 -78℃에서 n-BuLi (2.6 ml, 헥산 중 2 M 용액, 2.1 당량)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동일 온도에서 45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THF 중 2-클로로피리미딘 (314.9 mg, 2.75 mmol)을 -78℃에서 적가하였다. 추가로 2시간 동안 교반한 후, 1 ml의 물을 첨가하고, 추가로 20분 동안 계속 교반하였다. 이어서 THF 중 DDQ (618.7 mg, 2.75 mmol)를 동일 온도에서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0℃로 조정하고,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1 N NaOH로 켄칭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후처리하였다. 유기층을 NaHCO3 포화 용액, 염수 및 물로 세척하였다. 합친 유기 용매를 건조 (MgSO4) 및 증발시켜 조 4-피리미딘 치환 아자인돌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상기 화합물을 헥산/에틸 아세테이트를 용리액으로서 사용하여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였다.
Figure 112007090024815-PCT00019
(3- 브로모 -4- 메틸 - 페닐 )-[4-(1H- 피롤로[2,3-b]피리딘 -4-일)-피리미딘-2-일]-아민 (13)의 제조
Figure 112007090024815-PCT00020
스미스(Smith) 바이알 (2-5 mL)을 11 (26.5 mg, 0.115 mmol), 3-브로모-4-메틸아닐린 (42.54 mg, 0.23 mmol) 및 p-톨루엔술폰산 1수화물 (4.4 mg, 0.023 mmol), sec-BuOH (0.5 mL)로 채웠다. 아르곤으로 퍼지시킨 후, 바이알을 밀봉하고, 스미스 합성기에서 1.5시간 동안 100℃에서 조사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역상 LC-MS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MS m/z 380.04 (M + 1).
피리딘-2-일-[4-(1H- 피롤로[2,3-b]피리딘 -4-일)-피리미딘-2-일]-아민 (15)의 제조
Figure 112007090024815-PCT00021
디옥산 (1 mL) 중 4-[2-클로로-피리미딘-4-일]-1H-피롤로[2,3-b]피리딘 (26.5 mg, 0.12 mmol)의 용액에 Pd(OAc)2 (2.6 mg, 0.0115 mM), 잔트포스 (9.98 mg, 0.017 mmol), CsCO3 (112.40 mg, 0.345 mmol) 및 2-아미노피리딘 (16.17 mg, 0.172 mmol)을 첨가하였다. 바이알을 아르곤으로 퍼지시키고, 뚜껑을 덮고, 150℃에서 10분 동안 마이크로파를 조사하였다. 이어서 여과하고, 진공에서 증발시켰다. 원하는 화합물을 역상 LC-MS로 분리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07090024815-PCT00022
실시예 3
(3- 클로로 - 페닐 )-[4-(1H- 피롤로[2,3-b]피리딘 -3-일)-피리미딘-2-일]-아민
Figure 112007090024815-PCT00023
Figure 112007090024815-PCT00024
4- 메톡시 -1H- 피롤로[2,3-b]피리딘 (16)
Figure 112007090024815-PCT00025
4-메톡시-1H-피롤로[2,3-b]피리딘은 보고된 절차를 사용하여 7-아자인돌로부터 합성하였다. 문헌 [Cottan, H. B.; Girfis, N. S.; Robins, R. K. Journal of Heterocyclic Chemistry (1989), 26(2), 317-25].
3-아세틸-1H- 피롤로[2,3-b]피리딘 (17)
Figure 112007090024815-PCT00026
7-아자인돌 (1 g, 8.4 mmol)을 디클로로메탄에 용해시키고, 상기 용액을 디클로로메탄 중 AlCl3 (5.6 g, 42 mmol)의 현탁액에 실온에서 첨가하였다. 1시간 동안 교반한 후, 아세틸 클로라이드 (1.8 ml, 25.2 mmol)를 동일 온도에서 서서히 첨가하고,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완료 (분석용 HPLC) 후, 반응 혼합물을 0℃로 냉 각시키고, 3 ml의 메탄올을 조심스럽게 첨가하여 반응을 켄칭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헥산으로 세척하였다. 이어서 잔류물을 30% NaOH 용액으로 중화시키고,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여과액을 세척 (염수)하고, 건조 (MgSO4)시키고 증발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헥산/디클로로메탄으로 재결정화하여 순수한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에나미논 (19)의 제조
Figure 112007090024815-PCT00027
3-아세틸-7-아자인돌 (1 g, 6.2 mmol) 및 브레데렉 시약 (2.5 당량)의 혼합물에 1시간 동안 110℃에서 마이크로파를 조사하였다. 과잉의 시약을 진공 하에 제거하여 에나미논을 얻었고, 이것을 추가의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3- 클로로페닐 )-[4-(1H- 피롤로[2,3-b]피리딘 -3-일)-피리미딘-2-일]-아민 (21)의 제조
Figure 112007090024815-PCT00028
sec-부탄올 (1 ml) 중 에나미논 (35 mg, 0.16 mmol), 3-클로로페닐구아니딘 니트레이트 (41.29 mg, 0.178 당량), LiOH (11.5 mg, 48 mmol)의 혼합물을 24시간 동안 130℃에서 가열하였다. 용매를 제거하고, 잔류물을 H2O 및 헥산으로 세척하여 원하는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상기 화합물을 역상 LC-MS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07090024815-PCT00029
적당한 출발 물질을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에 기재한 절차를 반복함으로써, 표 1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은 하기의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07090024815-PCT00030
Figure 112007090024815-PCT00031
Figure 112007090024815-PCT00032
Figure 112007090024815-PCT00033
Figure 112007090024815-PCT00034
Figure 112007090024815-PCT00035
Figure 112007090024815-PCT00036
Figure 112007090024815-PCT00037
Figure 112007090024815-PCT00038
Figure 112007090024815-PCT00039
Figure 112007090024815-PCT00040
Figure 112007090024815-PCT00041
검정
본 발명의 화합물을 CDK, Aurora, Jak2, Rock, CAMKII, FLT3, Tie2, TrkB, FGFR3 및 KDR 키나제를 억제하는 그들의 능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검정하였다.
FGFR3 (효소 검정)
정제된 FGFR3 (업스테이트(Upstate))를 이용한 키나제 활성 검정을 키나제 완충액 (30 mM Tris-HCl pH 7.5, 15 mM MgCl2, 4.5 mM MnCl2, 15 μM Na3V04 및 50 ㎍/㎖ BSA), 및 기질 (5 ㎍/㎖ 비오틴-폴리-EY(Glu, Tyr) (시아이에스-유에스, 인코퍼레이티드(CIS-US, Inc.)) 및 3 μM ATP) 중 효소 0.25 ㎍/㎖를 함유하는 최종 부피 10 ㎕ 중에서 실시하였다. 2종의 용액을 제조하였다: 키나제 완충액 중 FGFR3 효소를 함유하는 제1 용액 5 ㎕를 먼저 384-포맷 프록시플레이트(ProxiPlate)(등록상표) (퍼킨-엘머(Perkin-Elmer))에 분산시킨 후, DMSO에 용해시킨 화합물 50 nL를 첨가하고, 이어서 키나제 완충액 중 기질 (폴리-EY) 및 ATP를 함유하는 제2 용액 5 ㎕를 각 웰에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고, 30 mM Tris-HCl pH 7.5, 0.5 M KF, 50 mM ETDA, 0.2 ㎎/㎖ BSA, 15 ㎍/㎖ 스트렙트아비딘-XL665 (시아이에스-유에스, 인코퍼레이티드) 및 150 ng/㎖ 크립테이트 콘쥬게이션된 항-포스포티로신 항체 (시아이에스-유에스, 인코퍼레이티드)를 함유하는 HTRF 검출 혼합물 10 ㎕를 첨가하여 중지시켰다. 실온에서 1시간 인큐베이션하여 스트렙트아비딘-비오틴을 상호작용시킨 후, 애널리스트 지티(Analyst GT) (몰리큘러 디바이시즈 코퍼레이션(Molecular Devices Corp.))로 시분해 형광 신호를 판독하였다. 12 가지 농도 (50 μM 내지 0.28 nM의 1:3 희석)에서 각 화합물의 백분율 억제의 선형 회귀 분석에 의해서 IC50 값을 계산하였다. 상기 검정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의 IC50 값은 10 nM 내지 2 μM 범위였다.
FGFR3 (세포 검정)
본 발명의 화합물을, FGFR3 세포 키나제 활성에 의존적인, 형질전환된 Ba/F3-TEL-FGFR3 세포 증식을 억제하는 그들의 능력에 대하여 시험하였다. Ba/F3-TEL-FGFR3를 배양 배지로서 10% 소 태아 혈청을 보충한 RPMI 1640을 이용하여, 현탁액 중 800,000개 이하의 세포/㎖로 배양하였다. 세포를 384-웰 포맷 플레이트에 50 ㎕ 배양 배지 중 5000개 세포/웰로 분산시켰다. 본 발명의 화합물을 디메틸술폭시드 (DMSO)에 용해 및 희석시켰다. 12 가지 1:3 순차 희석액을 DMSO에 넣어 전형적으로 10 mM 내지 0.05 μM 범위의 농도 구배를 생성하였다. 세포에 희석 화합물 50 nL를 첨가하고, 세포 배양 인큐베이터에서 48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증식하는 세포에 의해 생성되는 환원 환경을 모니터링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알라마르블루(등록상표) (트렉 디아그노스틱 시스템즈(TREK Diagnostic Systems))를 세포에 최종 농도 10%로 첨가하였다. 37℃ 세포 배양 인큐베이터에서 추가로 4시간 인큐베이션한 후, 환원된 알라마르블루 (530 ㎚에서 여기, 580 ㎚에서 방출)로부터의 형광 신호를 애널리스트 지티 (몰리큘러 디바이시즈 코퍼레이션)로 정량화하였다. 12 가지 농도에서의 각 화합물의 백분율 억제의 선형 회귀 분석에 의해 IC50 값을 계산하였다.
FLT3 (세포 검정)
FLT3의 세포 활성에 대한 본 발명의 화합물의 효과를, Ba/F3-TEL-FGFR3 대신 Ba/F3-FLT3-ITD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FGFR3 세포 활성에 대하여 앞서 기재한 바와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업스테이트 키나제프로파일러 ( Upstate KinaseProfiler )(등록상표) - 방사능-효소 필터 결합 검정
본 발명의 화합물을 키나제 패널의 개별 구성원을 억제하는 그들의 능력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다음의 일반적인 프로토콜에 따라, 최종 농도 10 μM에서 화합물을 이중으로 시험하였다. 키나제 완충액 조성물 및 기질은 "업스테이트 키나제프로파일러" 패널에 포함된 여러 키나제마다 다르다는 것을 주의한다. 키나제 완충액 (2.5 ㎕, 1O× - 필요한 경우 MnCl2 함유), 활성 키나제 (0.001-0.01 유닛; 2.5 ㎕), 키나제 완충액 중 특정 또는 폴리(Glu4-Tyr) 펩티드 (5-500 μM 또는 0.01 ㎎/㎖) 및 키나제 완충액 (50 μM; 5 ㎕)을 얼음에서 에펜도르프 내에서 혼합하였다. Mg/ATP 믹스 (10 ㎕; 67.5 (또는 33.75) mM MgCl2, 450 (또는 225) μM ATP 및 1 μCi/㎕[γ-32P]-ATP (3000 Ci/m㏖))를 첨가하고, 반응물을 약 30℃에서 약 10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2 ㎝ × 2 ㎝ P81 (포스포셀룰로스, 양성 전하를 띠는 펩티드 기질용) 또는 와트먼 1호(Whatman No.1) (폴리(Glu4-Tyr)펩티드 기질용) 페이퍼 스퀘어 위에 반응 혼합물을 스포팅 (20 ㎕)하였다. 검정용 스퀘어를 0.75% 인산으로 각 5분씩 4회 세척하고, 아세톤으로 5분 동안 1회 세척하였다. 검정용 스퀘어를 섬광 바이알로 옮기고, 섬광 칵테일 5 ㎖를 첨가하고, 펩티드 기질에 대한 32P 혼입 (cpm)을 베크먼(Beckman) 섬광 계수기로 정량화하였다. 백분율 억제를 각 반응에 대하여 계산하였다.
유리 형태 또는 제약상 허용가능한 염 형태의 화학식 I의 화합물은, 예를 들어, 본 출원에 기재한 시험관 내 시험에 의해 나타낸 바와 같은 유용한 약리 특성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화학식 I의 화합물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키나제 패널에 나열한 1종 이상의 키나제에 대하여 1×10-10 내지 1×10-5 M 범위, 바람직하게는 500 nM 미만, 400 nM 미만, 300 nM 미만 및 200 nM 미만의 IC50을 나타내었다. 10 μM의 농도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은 바람직하게는, CDK, Aurora, Jak2, Rock, CAMKII, FLT3, Tie2, TrkB, FGFR3 및/또는 KDR 키나제에 대하여 50% 초과, 바람직하게는 약 70% 초과의 백분율 억제를 나타내었다.
본원에 기재한 실시예 및 실시양태는 단지 예시를 위한 것이며, 그것으로 미루어보아 다양한 변경 및 변화가 당업자에게 제안될 것이고, 그것이 본 출원의 취지 및 범위 그리고 첨부된 청구의 범위의 범주 내에 속하게 될 것임은 물론이다. 본원에서 언급한 모든 공보, 특허, 및 특허 출원은 모든 목적을 위해 본원에 참고로 포함된다.

Claims (8)

  1. 화학식 Ia, Ib 및 Ic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가능한 염, 수화물, 용매화물 또는 이성질체.
    [화학식 Ia]
    Figure 112007090024815-PCT00042
    [화학식 Ib]
    Figure 112007090024815-PCT00043
    [화학식 Ic]
    Figure 112007090024815-PCT00044
    식 중:
    n은 0, 1 및 2로부터 선택되고;
    R1은 할로, C1 - 6알킬, C1 - 6알콕시, 할로-치환-C1 - 6알킬 및 할로-치환-C1 - 6알콕시 로부터 선택되고;
    R2는 C6 - 10아릴-C0 - 4알킬 및 C5 - 10헤테로아릴-C0 - 4알킬로부터 선택되며; 여기서 상기 R2의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은 할로, C1 - 6알킬, C1 - 6알콕시, 할로-치환-C1 - 6알킬, 할로-치환-C1 - 6알콕시, -S(O)0-2R5, -COOR5, -C(O)NR5R6 및 -NR5C(O)R6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내지 3개의 라디칼로 임의로 치환되며; 여기서 R5는 수소 및 C1 - 6알킬로부터 선택되며; R6는 C6 - 10아릴 및 C5 - 10헤테로아릴로부터 선택되며; 여기서 상기 R6의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은 할로, C1 - 6알킬, C1 - 6알콕시, 할로-치환-C1 - 6알킬 및 할로-치환-C1 - 6알콕시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내지 3개의 라디칼로 임의로 치환되고;
    X는 CR7 또는 N으로부터 선택되며; 여기서 R7은 수소 및 C1 - 6알킬로부터 선택된다.
  2. 제1항에 있어서,
    n이 0 및 1로부터 선택되고;
    R1이 C1 - 6알콕시이고;
    R2가 C6 - 10아릴-C0 - 4알킬 및 C5 - 10헤테로아릴-C0 - 4알킬로부터 선택되며; 여기서 상기 R2의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이 할로, C1 - 6알킬, C1 - 6알콕시, 할로-치환-C1 - 6알킬, -S(O)0-2R5, -COOR5, 및 -NR5C(O)R6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내지 3개의 라디칼로 임의로 치환되며; 여기서 R5가 수소 및 C1 - 6알킬로부터 선택되며; R6가 할로-치환-C1-6알킬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내지 3개의 라디칼로 임의로 치환되는 C6 - 10아릴인 화합물.
  3. 제2항에 있어서, R1이 메톡시이고; R2가 페닐, 벤질 및 피리디닐로부터 선택되며; 여기서 상기 R2의 페닐, 벤질 또는 피리디닐이 클로로, 브로모, 플루오로, 메틸, 트리플루오로메톡시, 트리플루오로메틸, -COO2R5, -S(O)2R5 및 -NHC(O)R6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내지 2개의 라디칼로 임의로 치환되며; 여기서 R5가 메틸 및 에틸로부터 선택되며; R6가 트리플루오로메틸로 임의로 치환되는 페닐인 화합물.
  4. 제1항에 있어서, (3-클로로-페닐)-[4-(1H-피롤로[2,3-b]피리딘-4-일)-피리미딘-2-일]-아민; (4-플루오로-페닐)-[4-(1H-피롤로[2,3-b]피리딘-4-일)-피리미딘-2-일]-아민; [4-(1H-피롤로[2,3-b]피리딘-4-일)-피리미딘-2-일]-(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아민; [4-(1H-피롤로[2,3-b]피리딘-4-일)-피리미딘-2-일]-(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아민; (3,4-디플루오로-페닐)-[4-(1H-피롤로[2,3-b]피리딘-4-일)-피리미딘-2-일]-아민; [4-(1H-피롤로[2,3-b]피리딘-4-일)-피리미딘-2-일]-(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아민; 4-[4-(1H-피롤로[2,3-b]피리딘-4-일)-피리미딘-2-일아미 노]-벤조산 에틸 에스테르; (3-메톡시-페닐)-[4-(1H-피롤로[2,3-b]피리딘-4-일)-피리미딘-2-일]-아민; (3-플루오로-벤질)-[4-(1H-피롤로[2,3-b]피리딘-4-일)-피리미딘-2-일]-아민; (3,5-디메톡시-페닐)-[4-(1H-피롤로[2,3-b]피리딘-4-일)-피리미딘-2-일]-아민; (2-메틸-피리딘-4-일)-[4-(1H-피롤로[2,3-b]피리딘-4-일)-피리미딘-2-일]-아민; (2-클로로-피리딘-4-일)-[4-(1H-피롤로[2,3-b]피리딘-4-일)-피리미딘-2-일]-아민; (2-메톡시-피리딘-4-일)-[4-(1H-피롤로[2,3-b]피리딘-4-일)-피리미딘-2-일]-아민; (4-메탄술포닐-페닐)-[4-(1H-피롤로[2,3-b]피리딘-4-일)-피리미딘-2-일]-아민; 피리딘-4-일-[4-(1H-피롤로[2,3-b]피리딘-4-일)-피리미딘-2-일]-아민; (4-메틸-피리미딘-2-일)-[4-(1H-피롤로[2,3-b]피리딘-4-일)-피리미딘-2-일]-아민; (3-브로모-페닐)-[4-(1-메틸-1H-피롤로[2,3-b]피리딘-4-일)-피리미딘-2-일]-아민; (3-클로로-페닐)-[4-(1-메틸-1H-피롤로[2,3-b]피리딘-4-일)-피리미딘-2-일]-아민; [4-(1-메틸-1H-피롤로[2,3-b]피리딘-4-일)-피리미딘-2-일]-(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아민; (3-브로모-4-메틸-페닐)-[4-(1-메틸-1H-피롤로[2,3-b]피리딘-4-일)-피리미딘-2-일]-아민; 2-{4-[2-(3-브로모-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피롤로[2,3-b]피리딘-1-일}-에탄올; 2-{4-[2-(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피롤로[2,3-b]피리딘-1-일}-에탄올; 2-{4-[2-(3-클로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피롤로[2,3-b]피리딘-1-일}-에탄올; 2-{4-[2-(3-브로모-4-메틸-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피롤로[2,3-b]피리딘-1-일}-에탄올; {4-[1-(2-아미노-에틸)-1H-피롤로[2,3-b]피리딘-4-일]-피리미딘-2-일}-(3-브로모-페닐)-아민; {4-[1-(2-아미노-에틸)-1H-피롤로[2,3-b]피리딘-4-일]-피리미딘-2-일}-(3-브로모-페닐)-메틸-아민; {4-[1-(2-아미노-에틸)-1H-피롤로[2,3-b]피리딘-4-일]-피리미딘-2-일}-(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아민; N-{4-메틸-3-[4-(1H-피롤로[2,3-b]피리딘-4-일)-피리미딘-2-일아미노]-페닐}-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4-(1H-피롤로[2,3-b]피리딘-3-일)-피리미딘-2-일]-(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아민; (3,5-디메톡시-페닐)-[4-(1H-피롤로[2,3-b]피리딘-3-일)-피리미딘-2-일]-아민; (3,5-디플루오로-페닐)-[4-(1H-피롤로[2,3-b]피리딘-3-일)-피리미딘-2-일]-아민; (3-브로모-페닐)-[4-(1H-피롤로[2,3-b]피리딘-3-일)-피리미딘-2-일]-아민; (3-메톡시-페닐)-[4-(1H-피롤로[2,3-b]피리딘-3-일)-피리미딘-2-일]-아민; (4-클로로-페닐)-[4-(1H-피롤로[2,3-b]피리딘-3-일)-피리미딘-2-일]-아민; 4-[4-(1H-피롤로[2,3-b]피리딘-3-일)-피리미딘-2-일아미노]-벤조산 에틸 에스테르; N-{4-메틸-3-[4-(1H-피롤로[2,3-b]피리딘-3-일)-피리미딘-2-일아미노]-페닐}-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3-클로로-페닐)-[4-(4-메톡시-1H-피롤로[2,3-b]피리딘-3-일)-피리미딘-2-일]-아민; [4-(4-메톡시-1H-피롤로[2,3-b]피리딘-3-일)-피리미딘-2-일]-(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아민; (3-브로모-페닐)-[4-(4-메톡시-1H-피롤로[2,3-b]피리딘-3-일)-피리미딘-2-일]-아민; N-{4-메틸-3-[4-(1H-피롤로[2,3-b]피리딘-5-일)-피리미딘-2-일아미노]-페닐}-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N-에틸-4-[4-(1H-피롤로[2,3-b]피리딘-4-일)-피리미딘-2-일아미노]-벤젠술폰아미드; N-(2-메톡시-에틸)-4-[4-(1H-피롤로[2,3-b]피리딘-4-일)-피리미딘-2-일아미노]-벤젠술폰아미드; N-(3-메톡시-프로필)-4-[4-(1H-피롤로[2,3-b]피리딘-4-일)-피리미딘-2-일아미노]-벤젠술폰아미드; N-(3-메톡시-프로필)-4-[4-(1H-피롤로[2,3-b]피리딘-3-일)-피리미딘-2-일아미노]-벤젠술폰아 미드; (3-브로모-페닐)-[4-(2-메틸-1H-피롤로[2,3-b]피리딘-4-일)-피리미딘-2-일]-아민; (3-클로로-페닐)-[4-(2-메틸-1H-피롤로[2,3-b]피리딘-4-일)-피리미딘-2-일]-아민; [4-(2-메틸-1H-피롤로[2,3-b]피리딘-4-일)-피리미딘-2-일]-(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아민; N-(2-메톡시-에틸)-4-[4-(2-메틸-1H-피롤로[2,3-b]피리딘-4-일)-피리미딘-2-일아미노]-벤젠술폰아미드; N-(3-메톡시-프로필)-4-[4-(2-메틸-1H-피롤로[2,3-b]피리딘-4-일)-피리미딘-2-일아미노]-벤젠술폰아미드; (3-브로모-페닐)-[4-(1H-피라졸로[3,4-b]피리딘-4-일)-피리미딘-2-일]-아민; (3-클로로-페닐)-[4-(1H-피라졸로[3,4-b]피리딘-4-일)-피리미딘-2-일]-아민; [4-(1H-피라졸로[3,4-b]피리딘-4-일)-피리미딘-2-일]-(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아민; (3-클로로-페닐)-[4-(1H-피롤로[2,3-b]피리딘-5-일)-피리미딘-2-일]-아민; (3-브로모-페닐)-[4-(1H-피롤로[2,3-b]피리딘-5-일)-피리미딘-2-일]-아민; 및 [4-(1H-피롤로[2,3-b]피리딘-5-일)-피리미딘-2-일]-(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아민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5. 치료 유효량의 제1항의 화합물을 제약상 허용가능한 부형제와 함께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
  6. 치료 유효량의 제1항의 화합물을 동물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키나제 활성의 억제가 질환의 병리상태 및/또는 증상을 예방, 억제 또는 완화할 수 있는 동물에서의 질환의 치료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키나제가 CDK, Aurora, Jak2, Rock, CAMKII, FLT3, Tie2, TrkB, FGFR3 및 KDR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방법.
  8. CDK, Aurora, Jak2, Rock, CAMKII, FLT3, Tie2, TrkB, FGFR3 및 KDR의 키나제 활성이 질환의 병리상태 및/또는 증상의 원인이 되는 동물에서의 질환 치료용 의약의 제조에서 제1항의 화합물의 용도.
KR1020077029309A 2005-05-16 2006-05-15 단백질 키나제 억제제로서의 피롤로피리딘 유도체 KR2008001664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68185305P 2005-05-16 2005-05-16
US60/681,853 2005-05-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6643A true KR20080016643A (ko) 2008-02-21

Family

ID=370760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9309A KR20080016643A (ko) 2005-05-16 2006-05-15 단백질 키나제 억제제로서의 피롤로피리딘 유도체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1) US20080300267A1 (ko)
EP (1) EP1896470B1 (ko)
JP (1) JP2008540664A (ko)
KR (1) KR20080016643A (ko)
CN (1) CN101218241B (ko)
AT (1) ATE469151T1 (ko)
AU (1) AU2006247322A1 (ko)
BR (1) BRPI0610828A2 (ko)
CA (1) CA2608333A1 (ko)
DE (1) DE602006014540D1 (ko)
ES (1) ES2345629T3 (ko)
MX (1) MX2007014327A (ko)
PL (1) PL1896470T3 (ko)
PT (1) PT1896470E (ko)
RU (1) RU2387653C2 (ko)
WO (1) WO2006124863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07826B2 (en) 2004-03-30 2009-03-24 Vertex Pharmaceuticals Incorporated Azaindoles useful as inhibitors of JAK and other protein kinases
US7709645B2 (en) 2004-07-27 2010-05-04 Sgx Pharmaceuticals, Inc. Pyrrolo-pyridine kinase modulators
US7626021B2 (en) 2004-07-27 2009-12-01 Sgx Pharmaceuticals, Inc. Fused ring heterocycle kinase modulators
US7452993B2 (en) 2004-07-27 2008-11-18 Sgx Pharmaceuticals, Inc. Fused ring heterocycle kinase modulators
MX2007001127A (es) 2004-07-27 2007-07-11 Sgx Pharmaceuticals Inc Moduladores de pirrolo-piridina cinasa.
US7361764B2 (en) 2004-07-27 2008-04-22 Sgx Pharmaceuticals, Inc. Pyrrolo-pyridine kinase modulators
EP2354139A1 (en) * 2005-05-20 2011-08-10 Vertex Pharmaceuticals Incorporated Pyrrolopyridines useful as inhibitors of protein kinase
BRPI0722364A2 (pt) 2006-01-17 2011-08-16 Vertex Pharma azaindóis, composição farmacêutica e usos dos referidos compostos
DE102006012617A1 (de) * 2006-03-20 2007-09-27 Merck Patent Gmbh 4-(Pyrrolopyridinyl)-pyrimidinyl-2-amin-derivate
EP2029593A1 (en) * 2006-05-22 2009-03-04 AstraZeneca AB Indole derivatives
EP2079740B1 (en) * 2006-11-01 2012-12-05 Vertex Pharmaceuticals, Inc. Tricyclic heteroaryl compounds useful as inhibitors of janus kinase
RU2493155C2 (ru) * 2006-12-08 2013-09-20 Ф.Хоффманн-Ля Рош Аг Замещенные пиримидины и их применение в качестве модуляторов jnk
MX2009006700A (es) * 2006-12-21 2009-06-30 Vertex Pharma Derivados de 5-ciano-4-(pirolo)[2,3b]piridina-3-il)-pirimidinas utiles como inhibidores de proteina-cinasas.
EP2094681A1 (en) * 2006-12-22 2009-09-02 Novartis AG Indol-4-yl-pyrimidinyl-2-yl-amine derivatives and use thereof as cyclin dependant kinase inhibitors
FR2912744B1 (fr) * 2007-02-16 2012-09-07 Centre Nat Rech Scient Composes pyrrolo°2,3-b!pyridine,composes azaindoles utiles dans la synthese de ces composes pyrrolo°2,3-b!pyridine, leurs procedes de fabrication et leurs utilisations.
EP2078020A4 (en) 2007-04-10 2011-10-19 Sgx Pharmaceuticals Inc HETEROCYCLIC MODULATORS WITH FUSED CYCLES FOR KINASES
TW200908968A (en) 2007-05-29 2009-03-01 Sgx Pharmaceuticals Inc Substituted pyrrolopyridines and pyrazolopyridines as kinase modulators
GB0710528D0 (en) * 2007-06-01 2007-07-11 Glaxo Group Ltd Novel compounds
RU2464026C2 (ru) * 2007-06-01 2012-10-20 Вайет Ллс Лечение лейкемии, устойчивой к иматинибу, с применением 4-аминохинолина-3-карбонитрила
DE102007028515A1 (de) * 2007-06-21 2008-12-24 Merck Patent Gmbh 6-(Pyrrolopyridinyl)-pyrimidinyl-2-amin-derivate
KR20100093552A (ko) * 2007-11-02 2010-08-25 버텍스 파마슈티칼스 인코포레이티드 단백질 키나제 c-세타로서의 [1h-피라졸로[3,4-b]피리딘-4-일]-페닐 또는 -피리딘-2-일 유도체
CN101918079A (zh) * 2008-01-22 2010-12-15 默克专利有限公司 蛋白激酶抑制剂及其用途
US9273077B2 (en) 2008-05-21 2016-03-01 Ariad Pharmaceuticals, Inc. Phosphorus derivatives as kinase inhibitors
SI2300013T1 (en) 2008-05-21 2018-03-30 Adriad Pharmacaceuticals, Inc. Phosphorus derivatives as kinase inhibitors
AU2009262199B2 (en) 2008-06-27 2012-08-09 Amgen Inc. Ang-2 inhibition to treat multiple sclerosis
DE102008031517A1 (de) 2008-07-03 2010-01-07 Merck Patent Gmbh Pyrrolopyridinyl-pyrimidin-2-yl-amin-derivate
NZ590784A (en) * 2008-07-23 2012-12-21 Vertex Pharma Pyrazolopyridine kinase inhibitors
BRPI0916295A2 (pt) * 2008-07-23 2019-09-24 Vertex Pharma inibidores de pirazolopiridina tricíclica cinase
CN101723936B (zh) * 2008-10-27 2014-01-15 上海睿星基因技术有限公司 激酶抑制剂及其在药学中的用途
JP5627675B2 (ja) * 2009-05-06 2014-11-19 バーテックス ファーマシューティカル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Vertex Pharmaceuticals Incorporated ピラゾロピリジン
US9034875B2 (en) 2009-05-26 2015-05-19 Abbvie Inc. Apoptosis-inducing agents for the treatment of cancer and immune and autoimmune diseases
US20220315555A1 (en) 2009-05-26 2022-10-06 Abbvie Inc. Apoptosis inducing agents for the treatment of cancer and immune and autoimmune diseases
US8546399B2 (en) 2009-05-26 2013-10-01 Abbvie Inc. Apoptosis inducing agents for the treatment of cancer and immune and autoimmune diseases
ME02205B (me) 2009-05-26 2016-02-20 Abbvie Bahamas Ltd INDUKUJUĆI AGENSI APOPTOZE ZA LEČENJE KANCERA I IMUNIH l AUTOIMUNIH OBOLJENJA
HUE031048T2 (en) 2009-06-17 2017-06-28 Vertex Pharma Influenza virus replication inhibitors
CA2767556C (en) * 2009-07-10 2017-11-28 Taiho Pharmaceutical Co., Ltd. Azabicyclo compound and salt thereof
WO2011008915A1 (en) * 2009-07-15 2011-01-20 Abbott Laboratories Pyrrolopyridine inhibitors of kinases
DE102009060175A1 (de) * 2009-12-23 2011-06-30 Merck Patent GmbH, 64293 Pyrrolo[2,3-d] pyrazin-7-yl-pyrimidin-Verbindungen
EP2519517B1 (en) 2009-12-29 2015-03-25 Dana-Farber Cancer Institute, Inc. Type ii raf kinase inhibitors
AU2011209651A1 (en) 2010-01-27 2012-08-09 Vertex Pharmaceuticals Incorporated Pyrazolopyrimidine kinase inhibitors
AU2011209649A1 (en) 2010-01-27 2012-08-09 Vertex Pharmaceuticals Incorporated Pyrazolopyrazine kinase inhibitors
CA2787315A1 (en) 2010-01-27 2011-08-04 Vertex Pharmaceuticals Incorporated Pyrazolopyridine kinase inhibitors
UA113500C2 (xx) 2010-10-29 2017-02-10 Одержані екструзією розплаву тверді дисперсії, що містять індукуючий апоптоз засіб
KR20180059560A (ko) 2010-10-29 2018-06-04 애브비 인코포레이티드 아폽토시스―유도제를 포함하는 고체 분산체
AU2011332043C1 (en) 2010-11-23 2016-11-10 Abbvie Inc. Salts and crystalline forms of an apoptosis-inducing agent
UY33746A (es) 2010-11-23 2012-06-29 Abbott Lab Método de tratamiento que usa inhibidores selectivos de bcl-2
CA2822062A1 (en) * 2010-12-16 2012-06-21 Vertex Pharmaceuticals Incorporated Inhibitors of influenza viruses replication
CN103492382A (zh) * 2010-12-16 2014-01-01 沃泰克斯药物股份有限公司 流感病毒复制的抑制剂
CN103492381A (zh) 2010-12-16 2014-01-01 沃泰克斯药物股份有限公司 流感病毒复制的抑制剂
EA201391626A1 (ru) 2011-05-04 2014-03-31 Ариад Фармасьютикалз, Инк. Соединения для ингибирования клеточной пролиферации в egfr-стимулированных типах рака
UA118010C2 (uk) 2011-08-01 2018-11-12 Вертекс Фармасьютікалз Інкорпорейтед Інгібітори реплікації вірусів грипу
JP6106685B2 (ja) 2011-11-17 2017-04-05 ダナ−ファーバー キャンサー インスティテュート,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C−jun−n−末端キナーゼ(jnk)の阻害剤
US10138235B2 (en) 2011-12-14 2018-11-27 Sanofi Pyrazolopyridine derivatives, preparation process therefor and therapeutic use thereof
FR2984325A1 (fr) * 2011-12-14 2013-06-21 Sanofi Sa Derives de pyrazolopyridine, leur procede de preparation et leur application en therapeutique
WO2013116291A1 (en) * 2012-01-30 2013-08-08 Cephalon, Inc. Imidazo [4, 5 - b] pyridine derivatives as alk and jak modulators for the treatment of proliferative disorders
JP6469567B2 (ja) 2012-05-05 2019-02-13 アリアド・ファーマシューティカル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Egfr発動性がんの細胞増殖阻害用化合物
EP2867232B1 (en) * 2012-06-27 2018-08-08 F.Hoffmann-La Roche Ag 5-azaindazole compounds and methods of use
WO2014063068A1 (en) 2012-10-18 2014-04-24 Dana-Farber Cancer Institute, Inc. Inhibitors of cyclin-dependent kinase 7 (cdk7)
WO2014063061A1 (en) 2012-10-19 2014-04-24 Dana-Farber Cancer Institute, Inc. Hydrophobically tagged small molecules as inducers of protein degradation
WO2014063054A1 (en) 2012-10-19 2014-04-24 Dana-Farber Cancer Institute, Inc. Bone marrow on x chromosome kinase (bmx) inhibitors and uses thereof
FR3000493A1 (fr) * 2012-12-28 2014-07-04 Oribase Pharma Nouveaux inhibiteurs de proteines kinases
US9951061B2 (en) 2013-03-06 2018-04-24 Allosteros Therapeutics, Inc. CaMKII inhibitors and uses thereof
US20140275082A1 (en) 2013-03-14 2014-09-18 Abbvie Inc. Apoptosis-inducing agents for the treatment of cancer and immune and autoimmune diseases
WO2014155300A2 (en) * 2013-03-28 2014-10-02 Aurigene Discovery Technologies Limited Substitued pyrimidine amine derivatives as tak-1 inhibitors
US9611283B1 (en) 2013-04-10 2017-04-04 Ariad Pharmaceuticals, Inc. Methods for inhibiting cell proliferation in ALK-driven cancers
EP3057956B1 (en) 2013-10-18 2021-05-05 Dana-Farber Cancer Institute, Inc. Polycyclic inhibitors of cyclin-dependent kinase 7 (cdk7)
WO2015058126A1 (en) 2013-10-18 2015-04-23 Syros Pharmaceuticals, Inc. Heteroaromatic compounds useful for the treatment of prolferative diseases
RS57541B1 (sr) 2013-11-13 2018-10-31 Vertex Pharma Postupci za pripremu inhibitora replikacije virusa gripa
CN105849100B (zh) 2013-11-13 2019-07-16 沃泰克斯药物股份有限公司 流感病毒复制抑制剂
CN104860941B (zh) * 2014-02-25 2017-03-22 上海海雁医药科技有限公司 2,4‑二取代苯‑1,5‑二胺衍生物及其应用以及由其制备的药物组合物和药用组合物
US10017477B2 (en) 2014-04-23 2018-07-10 Dana-Farber Cancer Institute, Inc. Janus kinase inhibitors and uses thereof
US9862688B2 (en) 2014-04-23 2018-01-09 Dana-Farber Cancer Institute, Inc. Hydrophobically tagged janus kinase inhibitors and uses thereof
US10759792B2 (en) 2014-09-05 2020-09-01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CaMKII inhibitors and uses thereof
MA40773A (fr) 2014-10-02 2017-08-08 Vertex Pharma Variants du virus influenza a
MA40772A (fr) 2014-10-02 2017-08-08 Vertex Pharma Variants du virus de la grippe a
US10870651B2 (en) 2014-12-23 2020-12-22 Dana-Farber Cancer Institute, Inc. Inhibitors of cyclin-dependent kinase 7 (CDK7)
EP3236948A4 (en) * 2014-12-23 2018-10-03 Millennium Pharmaceuticals, Inc. Combination of raf inhibitors and aurora kinase inhibitors
JP6861166B2 (ja) 2015-03-27 2021-04-21 ダナ−ファーバー キャンサー インスティテュート,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サイクリン依存性キナーゼの阻害剤
JP6704416B2 (ja) 2015-05-13 2020-06-03 バーテックス ファーマシューティカル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Vertex Pharmaceuticals Incorporated インフルエンザウイルスの複製の阻害剤を調製する方法
WO2016183120A1 (en) 2015-05-13 2016-11-17 Vertex Pharmaceuticals Incorporated Inhibitors of influenza viruses replication
EP3307728A4 (en) 2015-06-12 2019-07-17 Dana Farber Cancer Institute, Inc. ASSOCIATION THERAPY USING TRANSCRIPTION INHIBITORS AND KINASE INHIBITORS
JP7028766B2 (ja) 2015-09-09 2022-03-02 ダナ-ファーバー キャンサー インスティテュート,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サイクリン依存性キナーゼの阻害剤
AU2018269947B2 (en) * 2017-05-15 2021-10-14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chigan Pyrrolo(2,3-c)pyridines and related analogs as LSD-1 inhibitors
CN112142731B (zh) * 2019-06-28 2022-07-22 成都赜灵生物医药科技有限公司 一种2,4-二取代嘧啶衍生物及其制备方法和用途
CN110627775A (zh) * 2019-10-24 2019-12-31 嘉兴特科罗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小分子化合物
CN115785134B (zh) * 2022-10-28 2023-08-29 浙大城市学院 一种含氮杂环的硼酸化合物及制备方法和应用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8047899A1 (en) * 1997-04-24 1998-10-29 Ortho-Mcneil Corporation, Inc. Substituted pyrrolopyridines useful in the treatment of inflammatory diseases
AU7078301A (en) * 2000-07-11 2002-01-21 Pharma Mar Sa Variolin derivatives as anti-cancer agents
SE0202463D0 (sv) * 2002-08-14 2002-08-14 Astrazeneca Ab Novel compounds
US7507826B2 (en) * 2004-03-30 2009-03-24 Vertex Pharmaceuticals Incorporated Azaindoles useful as inhibitors of JAK and other protein kinases
WO2006050076A1 (en) * 2004-10-29 2006-05-11 Janssen Pharmaceutica, N.V. Pyrimidinyl substituted fused-pyrrolyl compounds useful in treating kinase disord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896470A2 (en) 2008-03-12
JP2008540664A (ja) 2008-11-20
AU2006247322A1 (en) 2006-11-23
ATE469151T1 (de) 2010-06-15
PL1896470T3 (pl) 2011-03-31
DE602006014540D1 (en) 2010-07-08
CN101218241B (zh) 2011-02-16
ES2345629T3 (es) 2010-09-28
PT1896470E (pt) 2010-08-26
MX2007014327A (es) 2008-02-11
BRPI0610828A2 (pt) 2010-07-27
RU2387653C2 (ru) 2010-04-27
CA2608333A1 (en) 2006-11-23
CN101218241A (zh) 2008-07-09
WO2006124863A3 (en) 2007-01-25
WO2006124863A2 (en) 2006-11-23
US20080300267A1 (en) 2008-12-04
RU2007146390A (ru) 2009-06-27
EP1896470B1 (en) 2010-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96470B1 (en) Pyrrolopyridine derivatives as protein kinase inhibitors
EP2099797B1 (en) Compounds and compositions as protein kinase inhibitors
US7589101B2 (en) Compounds and compositions as protein kinase inhibitors
EP1891066B1 (en) Compounds and compositions as protein kinase inhibitors
EP1940844B1 (en) Compounds and compositions as protein kinase inhibitors
US20090181991A1 (en) Compounds and compositions as protein kinase inhibitors
WO2006124731A2 (en) Compounds and compositions as protein kinase inhibitors
KR20080108353A (ko) 단백질 키나제 억제제로서의 화합물 및 조성물
KR20090075889A (ko) 단백질 키나제 억제제로서의 화합물 및 조성물
AU2005258266A1 (en) Compounds and compositions as protein kinase inhibitors
KR20070030848A (ko) 단백질 키나제 억제제 화합물 및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