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13945A - 점막 박리 장치, 및 점막 박리 방법 - Google Patents

점막 박리 장치, 및 점막 박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13945A
KR20080013945A KR1020077027594A KR20077027594A KR20080013945A KR 20080013945 A KR20080013945 A KR 20080013945A KR 1020077027594 A KR1020077027594 A KR 1020077027594A KR 20077027594 A KR20077027594 A KR 20077027594A KR 20080013945 A KR20080013945 A KR 200800139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cosa
balloon
tip
peeling
cur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75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50726B1 (ko
Inventor
아끼히또 사다마사
야스오 미야노
유따까 야누마
이찌로오 다까하시
겐지 시바끼
쯔또무 나까무라
쯔요시 나까가와
야스히또 구라
Original Assignee
올림푸스 메디칼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5160296A external-priority patent/JP471678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5159400A external-priority patent/JP482744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5159401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6333944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5161232A external-priority patent/JP477238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5166922A external-priority patent/JP4772386B2/ja
Application filed by 올림푸스 메디칼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올림푸스 메디칼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139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39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07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07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78Endoscopic needles, e.g. for infu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9/00Dilators with or without means for introducing media, e.g. remedies
    • A61M29/02Dilators made of swellabl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2Instruments for taking cell samples or for biopsy
    • A61B10/06Biopsy forceps, e.g. with cup-shaped jaw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17/322Skin graft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17/326Circumcision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12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haracterised by internal passages or accessories therefor
    • A61B1/018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haracterised by internal passages or accessories therefor for receiving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273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the upper alimentary canal, e.g. oesophagoscopes, gastro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18/1492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having a flexible, catheter-like structure, e.g. for heart ab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2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2017/00238Type of minimally invasive operation
    • A61B2017/00269Type of minimally invasive operation endoscopic mucosal resection EM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2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2017/0029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mounted on or guided by flexible, e.g. catheter-like, means
    • A61B2017/00296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mounted on or guided by flexible, e.g. catheter-like, means mounted on an endosco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2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2017/0029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mounted on or guided by flexible, e.g. catheter-like, means
    • A61B2017/003Steer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2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2017/22051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an inflatable part, e.g. balloon, for positioning, blocking, or immobili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2017/320044Blunt dissectors
    • A61B2017/320048Balloon diss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6Measuring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2090/062Measuring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netration dep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2Devices for expanding tissue, e.g. skin tissu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Plastic & Reconstructive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Endoscope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이 점막 박리 장치는, 피검체의 내부에 삽입되는 제1 삽입부와, 상기 제1 삽입부의 선단부에 설치되고, 유체가 도입됨으로써 팽창하는 팽창부와, 상기 제1 삽입부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팽창부에 접속되고, 상기 팽창부에 유체를 공급하는 유로와, 상기 피검체 내부에 삽입되는 처치구의 상기 선단부를, 상기 선단부로부터 상기 처치구의 기단부에 가까운 부분에 대해서 만곡시키는 만곡부를 갖춘다.
피검체, 팽창부, 유로, 점막 박리 장치, 처치구

Description

점막 박리 장치, 및 점막 박리 방법 {DEVICE AND METHOD FOR MUCOSAL DETACHMENT}
본 발명은, 소화관의 병변부를 내시경적으로 절제하기 위한 점막 박리 장치, 점막 박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05년 5월 31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05-159400호, 일본 특허 출원 제2005-159401호 및 일본 특허 출원 제2005-160296호, 2005년 6월 1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05-161232호, 2005년 6월 7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05-166922호에 대해서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채용한다.
소화관 병변의 일반적 치료법으로서, 내시경적으로 병변을 절제하는 내시경적 점막 절제 방법(EMR : Endoscopic Mucosal Resection)이 있다.
그 중에서도 「절개·박리법」으로서, 고주파 메스 등의 고주파 절개구를 이용해서 병변부 외측의 정상 점막을 전주 절개하고, 그 후, 점막 하층을 박리해서 절제하는 방법이 소개되어 있다(예를 들면, 비특허문헌 1 참조).
또한, 고주파 메스를 다른 치료에 사용하는 것도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비특허문헌 1 : 오노 히로유키 외 3명, 「조기암에 대한 IT나이프를 이용한 EMR의 요령」, 소화기 내시경, 소화기 내시경 편집 위원회, 주식회사 도쿄 의학사, 2002년 11월, 제14권, 제11호, p1737-1740
특허문헌 1 : 미국 특허 제2001/0049497A1호 명세서
그렇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의 처치구에서는 이하의 과제가 남겨져 있다.
즉, 종래의 처치구를 사용한 절개 박리법에 의해 절개·박리를 행할 때, 점막 하층에는 다수의 혈관이 주행하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혈관 근방에서는 고주파 메스에 고주파를 공급하는 고주파 전원 장치의 출력 설정을 수시로 바꿔 행하는 등의 특별한 배려가 필요해지고, 수기 시간이 길어져 버린다.
또한, 고주파 처치구에 의한 절개·박리는, 고주파 에너지에 의한 절개 대상 부분의 열손상을 방지하면서, 적당한 예리함을 실현시키기 위해, 나이프가 닿는 강도, 각도, 나이프를 이동하는 스피드 등을 적절히 컨트롤할 필요가 있어, 수기가 어렵다.
또한, 고주파 메스에 의해 팽륭된 병변부를 절개할 때, 관강기관의 표면(병변부 주위의 팽륭되어 있지 않은 부분의 표면)에 대해서, 어느 정도의 각도가 붙은 상태로 고주파 메스가 접촉해 버리기 쉽다. 즉, 한정된 관강기관내의 스페이스에서는, 관강기관의 표면에 평행하게 고주파 나이프를 움직여, 팽륭된 병변부의 주위를 절개하는 것은 어렵다. 그 때문에, 나이프를 점막 하층에 자르고 넣었을 때에, 점막 하층의 밑에 있는 고유근층(국주를 행해도 팽륭하지 않는 층) 등에 나이프의 선단이 삽입되지 않게, 나이프의 선단을 소정 위치(소정 깊이)에 위치시킬 필요가 있어, 고도의 수기 기술이나 집중력이 요구되고, 수술자에게 주는 부담이 큰 것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관강기관의 병변부를 절제할 때, 단시간에 용이하게, 또한 수술자의 기량에 좌우되는 일 없이 안전한 수기를 행할 수 있는 점막 박리 장치, 및 점막 박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점막 박리 장치는, 피검체의 내부에 삽입되는 제1 삽입부와, 상기 제1 삽입부의 선단부에 설치되고, 유체가 도입됨으로써 팽창하는 팽창부와, 상기 제1 삽입부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팽창부에 접속되고, 상기 팽창부에 유체를 공급하는 유로와, 상기 피검체의 내부에 삽입되는 처치구의 상기 선단부를, 상기 선단부로부터 상기 처치구의 기단부에 가까운 부분에 대해서 만곡시키는 만곡부를 갖춘다.
본 발명의 점막 박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만곡부는, 상기 제1 삽입부의 내부에 삽입 통과되어, 일단이 상기 제1 삽입부의 상기 선단부에 접속된 와이어와;상기 제1 삽입부의 기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의 타단이 접속된 조작부를 갖추고, 상기 제1 삽입부의 상기 선단부는, 상기 조작부를 이동시킴으로써 만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점막 박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삽입부의 상기 선단부에, 상기 선단부로부터 상기 기단부에 가까운 부분보다 유연한 제1 유연부가 설치되고, 상기 제1 유연부는, 소정 크기의 힘이 작용했을 때, 상기 제1 삽입부의 상기 기단부에 가까운 상기 부분보다 앞서 만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점막 박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삽입부의 상기 선단부에, 특정 방향으로만 만곡하기 쉬운 특성을 가지고 상기 선단부의 만곡 동작을 보조하는 제1 만곡 보조 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제1 만곡 보조 부재는, 스스로의 만곡하기 쉬운 방향을, 제1 삽입부의 상기 선단부를 만곡시켜야 할 방향에 일치시키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점막 박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회전 조작이 가능하고, 상기 조작부를 회전 조작함으로써 생긴 회전력을 상기 와이어에 전달하는 회전 전달부를 갖추고, 상기 조작부를 회전 조작함으로써, 적어도 상기 제1 삽입부의 상기 선단부가 상기 선단부의 축심 회전으로 회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점막 박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삽입부의 내부에, 고주파 절개구가 삽입 통과되는 삽입 통과로가, 상기 제1 삽입부의 기단으로부터 선단에 걸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점막 박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삽입부의 상기 팽창부로부터 상기 기단부에 가까운 부분에, 상기 제1 삽입부의 상기 선단부의 점막하에의 삽입량을 나타내는 지표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점막 박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피검체의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제1 삽입부의 점막하에의 삽입을 보조하는 제2 삽입부를 더 갖추고, 상기 만곡부는, 상기 제2 삽입부의 선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점막 박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만곡부는, 상기 제2 삽입부의 내부에 삽입 통과되어, 일단이 상기 제2 삽입부의 상기 선단부에 접속된 와이어와, 상기 제2 삽입부의 기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의 타단이 접속된 조작부를 갖추고, 상기 제2 삽입부의 상기 선단부는, 상기 조작부를 이동시킴으로써 만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점막 박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 삽입부의 상기 선단부에, 상기 선단부로부터 기단부에 가까운 부분보다 유연한 제2 유연부가 설치되고, 상기 제2 유연부는, 소정 크기의 힘이 작용했을 때, 상기 제2 삽입부의 상기 기단부에 가까운 상기 부분보다 앞서 만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점막 박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 삽입부의 상기 선단부에, 특정 방향으로만 만곡하기 쉬운 특성을 가지고 상기 선단부의 만곡 동작을 보조하는 제2 만곡 보조 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제2 만곡 보조 부재는, 스스로의 만곡하기 쉬운 방향을, 제2 삽입부의 상기 선단부를 만곡시켜야 할 방향에 일치시키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점막 박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 삽입부의 선단에 구상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점막 박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 삽입부의 상기 선단부로부터 상기 기단부에 가까운 부분에, 상기 제2 삽입부의 상기 선단부의 점막하에의 삽입량을 나타내는 지표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점막 박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삽입부의 상기 선단부에, 강성의 유연 한계와 경질 한계 사이의 외력이 가해졌을 때에 변형하는 제3 유연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점막 박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3 유연부는, 상기 제1 삽입부의 최선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점막 박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3 유연부의 휨강성은, 상기 제3 유연부가 변형될 때에 곡률이 일정한 커브를 그리도록, 상기 제1 삽입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점막 박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3 유연부는, 특정 방향으로 구부러지기 쉬운 특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점막 박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삽입부의 상기 피검체의 내부에의 삽입을 보조하는 삽입 보조구가 설치되고, 상기 만곡부는, 상기 삽입 보조구의 선단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점막 박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만곡부는, 상기 피검체의 관강기관의 벽면에 밀어 붙여졌을 때, 상기 벽면으로부터의 반력에 굴해서 변형되어, 상기 제1 삽입부의 상기 관강기관의 내부에의 삽입 각도를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점막 박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만곡부에, 상기 피검체의 관강기관의 벽면에 밀어 붙여졌을 때, 상기 벽면으로부터의 반력에 굴해서 변형되어, 상기 제1 삽입부의 상기 관강기관의 내부에의 삽입 각도를 변경하는 제4 유연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점막 박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4 유연부에, 상기 유연부에 대해서 상기 제1 삽입부를 소정의 방향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점막 박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삽입 보조구는, 내시경의 삽입부를 따르게 해서 사용하는 것이며, 상기 내시경의 채널과는 다른 외부착 채널을 갖추고, 상기 만곡부에는, 상기 삽입 보조구를 상기 내시경의 상기 삽입부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점막 박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삽입 보조구가, 상기 만곡부를 상기 삽입부에 대해서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를 더 갖추고, 상기 만곡부 및 상기 지지부의 외경이, 내시경의 채널에 삽입 통과 가능한 크기로 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점막 박리 방법은, 관강기관의 피처치부 근방의 점막에 개구를 형성하는 개구 공정과, 상기 개구를 통해서, 관강기관의 점막 하층에, 상기 점막 하층의 밑에 있는 고유근층과 거의 평행한 삽입 구멍을 형성하는 천공 공정과 상기 삽입 구멍의 내측을 눌러 확대함으로써 상기 점막 하층을 고유근층으로부터 박리하는 박리 공정을 갖춘다.
본 발명의 점막 박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천공 공정은, 상기 개구를 통해서 상기 점막 하층에 처치구를 삽입하는 삽입 공정과, 상기 처치구의 선단부를 만곡시키는 만곡 공정과, 상기 처치구를 상기 점막 하층에 천통하는 천통 공정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점막 박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박리 공정은, 상기 처치구에 설치된 팽창부를 상기 점막 하층내에서 팽창시킴으로써 상기 삽입 구멍을 눌러 확대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점막 박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박리 공정은, 상기 삽입 구멍에, 상기 처치구에 대신해서 다른 처치구를 삽입하고, 상기 다른 처치구에 설치된 팽창부를 상기 점막 하층내에서 팽창시킴으로써 상기 삽입 구멍을 눌러 확대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점막 박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만곡 공정은, 상기 처치구의 선단부를 능동적으로 만곡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점막 박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처치구의 선단부를, 상기 처치구에 설치된 만곡 기구를 사용해서 만곡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점막 박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만곡 공정은, 상기 처치구의 선단부를 수동적으로 만곡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점막 박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처치구의 선단부에 유연성을 부여해 두고, 상기 선단부를, 상기 관강기관의 피처치부 근방의 벽면에 눌러 댐으로써 만곡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점막 박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관강기관의 피처치부 근방의 벽면에 삽입 보조구를 눌러 댐으로써 상기 상입 보조구를 변형시키고, 상기 처치구의 선단부를, 변형시킨 상기 삽입 보조구를 따라 이동시킴으로써 만곡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점막 박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처치구의 선단부를, 내시경의 삽입부에 설치된 만곡 기구를 사용해서 만곡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점막 박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개구 공정에 선행해서 상기 점막 및 상기 점막 하층을 팽륭시키는 팽륭 공정을 더 갖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점막 박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피처치부의 상기 점막 또는 상기 점막 하층을, 파지겸자를 사용해서 파지하면서 처치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점막 박리 장치, 점막 박리 방법에 의하면, 처치구의 선단부를, 상기 선단부로부터 처치구의 기단부에 가까운 부분에 대해 만곡시킴으로써, 처치구의 선단의 방향을, 관강기관의 점막 하층의 밑에 있는 고유근층과 거의 평행하게 하고, 그 상태를 유지한 채로, 처치구의 선단부를 점막 하층에 밀어넣는다. 이것에 의해, 처치구의 선단이 고유근층에 접촉하지 않게 되므로, 상기 처치구를 사용한 수기가 행하기 쉬워진다. 그 결과, 관강기관의 병변부를 절제할 때, 단시간에 용이하게, 또한 수술자의 기량에 좌우되는 일 없이 안전한 수기를 행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점막 박리 장치를 도시하는 도이며, 내시경과, 박리 벌룬 삽입 장치와, 점막하 국주침을 갖추는 점막 박리 시스템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2는 제1 실시 형태의 박리 벌룬 삽입 장치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3은 도2중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4는 도3중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5는 도3중의 C-C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6은 제1 실시 형태의 박리 벌룬 삽입 장치의 선단부를 상방향으로 만곡시킨 상태를 도시하는 도이다.
도7은 제1 실시 형태의 박리 벌룬 삽입 장치의 선단부를 하방향으로 만곡시킨 상태를 도시하는 도이다.
도8은 제1 실시 형태의 박리 벌룬 삽입 장치의 삽입부에 설치된 지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9는 침부를 외튜브로부터 돌출시킨 점막하 국주침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10은 침부를 외튜브에 몰입시킨 상태를 도시하는 점막하 국주침의 선단의 단면도이다.
도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점막 박리 방법을 도시하는 도이며, 점막하 국주침을 사용해서 점막 하층에 국주액을 주입함으로써 병변부를 팽륭시킨 상태를 도시하는 도이다.
도1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점막 박리 방법을 도시하는 도이며, 내시경의 삽입부의 선단으로부터 벌룬 삽입부를 돌출시킨 상태를 도시하는 도이다.
도1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점막 박리 방법을 도시하는 도이며, 도12중의 D-D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1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점막 박리 방법을 도시하는 도이며, 병변부 주변의 점막 하층을 팽륭시킨 후, 팽륭시킨 점막에 고주파 메스를 사용해서 개구를 연 상태를 도시하는 도이다.
도1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점막 박리 방법을 도시하는 도이며, 개구 를 연 후, 개구에 벌룬 삽입부의 선단을 삽입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이다.
도1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점막 박리 방법을 도시하는 도이며, 개구에 벌룬 삽입부의 선단을 삽입한 후, 벌룬 삽입부의 선단부를 만곡시킨 상태를 도시하는 도이다.
도1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점막 박리 방법을 도시하는 도이며, 벌룬 삽입부의 선단부를 만곡시킨 후, 벌룬 삽입부를 점막 하층에 삽입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이다.
도1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점막 박리 방법을 도시하는 도이며, 벌룬 삽입부를 점막 하층에 삽입한 후, 점막 하층의 내부에서 벌룬을 팽창시킨 상태를 도시하는 도이다.
도1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점막 박리 방법을 도시하는 도이며, 점막 하층의 내부에서 벌룬을 팽창시킨 후, 벌룬을 수축시킨 벌룬 삽입부를 점막 하층으로부터 발거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이다.
도2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점막 박리 방법을 도시하는 도이며, 벌룬 삽입부를 점막 하층으로부터 발거한 후, 개구에 고주파 메스를 삽입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이다.
도2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점막 박리 방법을 도시하는 도이며, 개구에 고주파 메스를 삽입한 후, 고주파 메스를 사용해서 개구 주위의 점막을 절개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이다.
도2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점막 박리 방법을 도시하는 도이며, 개구 주위의 점막을 절개한 후, 벌룬 삽입부를 점막 하층에 다시 삽입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이다.
도2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점막 박리 방법을 도시하는 도이며, 벌룬 삽입부를 점막 하층에 재삽입한 후, 점막 하층의 내부에서 벌룬을 다시 팽창시킨 상태를 도시하는 도이다.
도2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점막 박리 방법을 도시하는 도이며, 점막 하층의 내부에서 벌룬을 재팽창시킨 후, 고주파 메스를 사용해서 개구 주위의 점막을 더 절개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이다.
도2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점막 박리 방법을 도시하는 도이며, 고주파 메스를 사용해서 개구 주위의 점막을 더 절개한 후, 병변부를 포함하는 점막을 소화관으로부터 절제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이다.
도2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의 박리 벌룬 삽입 장치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2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의 박리 벌룬 삽입 장치의 선단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28은 도27중의 E-E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2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의 점막 박리 방법을 도시하는 도이며, 개구를 연 후, 개구의 근방에서 벌룬 삽입부의 선단부를 만곡시키는 것과 함께 축 심지 회전에 회전시킨 상태를 도시하는 도이다.
도30은 본 발명의 점막 박리 장치를 포함하는 점막 박리 시스템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도3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의 점막 박리 장치를 도시하는 도이며, 내시경과 보조 디바이스와 박리 벌룬 삽입 장치와, 점막하 국주침을 갖추는 점막 박리 시스템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32는 제3 실시 형태의 보조 디바이스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33은 도32중의 F-F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34는 도33중의 G-G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35는 제3 실시 형태의 보조 디바이스의 삽입부에 설치된 지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36은 제3 실시 형태의 박리 벌룬 삽입 장치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37은 제3 실시 형태의 박리 벌룬 삽입 장치의 선단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38은 도37중의 H-H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39는 제3 실시 형태의 박리 벌룬 삽입 장치의 삽입부에 설치된 지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4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의 점막 박리 방법을 도시하는 도이며, 병변부 주변의 점막 하층을 팽륭시킨 후, 팽륭시킨 점막에 고주파 메스를 사용해서 개구를 연 상태를 도시하는 도이다.
도4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의 점막 박리 방법을 도시하는 도이며, 점막에 개구를 연 후, 개구에 보조 디바이스 삽입부의 선단을 삽입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이다.
도4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의 점막 박리 방법을 도시하는 도이며, 개구에 보조 디바이스 삽입부의 선단을 삽입한 후, 보조 디바이스 삽입부의 선단부를 만곡시킨 상태를 도시하는 도이다.
도4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의 점막 박리 방법을 도시하는 도이며, 보조 디바이스 삽입부의 선단부를 만곡시킨 후, 보조 디바이스 삽입부를 점막 하층에 삽입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이다.
도4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의 점막 박리 방법을 도시하는 도이며, 보조 디바이스 삽입부를 점막 하층으로부터 발거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이다.
도4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의 점막 박리 방법을 도시하는 도이며, 점막 하층에, 삽입 루트를 따라 벌룬 삽입부를 삽입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이다.
도4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의 점막 박리 방법을 도시하는 도이며, 점막 하층에 벌룬 삽입부를 삽입한 후, 점막 하층의 내부에서 벌룬을 팽창시킨 상태를 도시하는 도이다.
도4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의 점막 박리 방법을 도시하는 도이며, 점막 하층의 내부에서 벌룬을 팽창시킨 후, 벌룬을 수축시킨 벌룬 삽입부를 점막 하층으로부터 발거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이다.
도4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의 점막 박리 방법을 도시하는 도이며, 벌룬 삽입부를 점막 하층으로부터 발거한 후, 개구에 고주파 메스를 삽입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이다.
도4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의 점막 박리 방법을 도시하는 도이며, 개구에 고주파 메스를 삽입한 후, 고주파 메스를 사용해서 개구 주위의 점막을 절개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이다.
도5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의 점막 박리 방법을 도시하는 도이며, 개구 주위의 점막을 절개한 후, 보조 디바이스 삽입부를 점막 하층에 다시 삽입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이다.
도5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의 점막 박리 방법을 도시하는 도이며, 보조 디바이스 삽입부를 점막 하층으로부터 발거하고, 점막 하층에, 삽입 루트를 따라 벌룬 삽입부를 다시 삽입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이다.
도5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의 점막 박리 방법을 도시하는 도이며, 점막 하층에 벌룬 삽입부를 삽입한 후, 점막 하층의 내부에서 벌룬을 다시 팽창시킨 상태를 도시하는 도이다.
도5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의 점막 박리 방법을 도시하는 도이며, 점막 하층의 내부에서 벌룬을 다시 팽창시킨 후, 고주파 메스를 사용해서 개구 주위의 점막을 더 절개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이다.
도5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의 점막 박리 장치를 도시하는 도이며, 내시경과 보조 디바이스와 박리 벌룬 삽입 장치와, 점막하 국주침을 갖추는 점막 박리 시스템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55는 제4 실시 형태의 보조 디바이스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56은 제4 실시 형태의 보조 디바이스를 도시하는 상면도이다.
도57은 도55중의 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58은 제4 실시 형태의 보조 디바이스를 도시하는 도이며, 한쌍의 겸자편이 열린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59는 제4 실시 형태의 박리 벌룬 삽입 장치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60은 도59중의 J-J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61은 내시경의 삽입부의 선단으로부터, 보조 디바이스 삽입부의 선단을 돌출시킨 상태를 도시하는 도이다.
도62는 점막 하층 박리 처치구의 처치구 본체의 선단으로부터, 보조 디바이스의 삽입부 본체를 돌출시킨 상태를 도시하는 도이며, 내시경의 삽입부의 선단으로부터 돌출시킨 보조 디바이스 삽입부의 단면도이다.
도6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의 점막 박리 방법을 도시하는 도이며, 개구에 보조 디바이스 삽입부의 선단을 삽입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이다.
도6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의 점막 박리 방법을 도시하는 도이며, 개구에 보조 디바이스 삽입부의 선단을 삽입한 후, 보조 디바이스 삽입부의 선단부를 만곡시킨 상태를 도시하는 도이다.
도6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의 점막 박리 방법을 도시하는 도이며, 보조 디바이스 삽입부의 선단을, 개구로부터 점막 하층에, 한쌍의 겸자편을 개폐시키면서 삽입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이다.
도6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의 점막 박리 방법을 도시하는 도이며, 보조 디바이스에 의해 삽입 루트를 천통한 후, 한쌍의 겸자편에 의해 삽입 루트의 최오 부의 점막 하층을 파지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이다.
도6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의 점막 박리 방법을 도시하는 도이며, 한쌍의 겸자편에 의해 점막 하층을 파지한 채로, 박리 벌룬 처치부를 삽입 루트에 밀어넣은 상태를 도시하는 도이다.
도6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점막 박리 장치를 도시하는 도이며, 내시경과, 박리 벌룬 삽입 장치와, 점막하 국주침을 갖추는 점막 박리 시스템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6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의 점막 박리 방법을 도시하는 도이며, 점막에 열린 개구에 벌룬 삽입부의 선단을 삽입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이다.
도7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의 점막 박리 방법을 도시하는 도이며, 벌룬 삽입부의 선단부를, 개구를 통해서 점막 하층에 삽입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이다.
도71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의 점막 박리 방법을 도시하는 도이며, 벌룬 삽입부의 선단부를, 점막 하층 밑의 고유근층에 부딪히게 함으로써 만곡시킨 상태를 도시하는 도이다.
도72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의 점막 박리 방법을 도시하는 도이며, 벌룬 삽입부의 선단부를 고유근층에 부딪히게 한 후, 점막 하층의 내부에서 벌룬을 팽창시킨 상태를 도시하는 도이다.
도73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의 점막 박리 방법을 도시하는 도이며, 벌룬 삽입부를 점막 하층에 다시 삽입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이다.
도74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의 점막 박리 방법을 도시하는 도이며, 점막 하층에 벌룬 삽입부를 삽입한 후, 점막 하층의 내부에서 벌룬을 다시 팽창시킨 상태를 도시하는 도이다.
도75는 제5 실시 형태의 박리 벌룬 삽입 장치의 선단부의 강성을 설정하는데 필요한 유연 한계와 경질 한계를 설명하는 표이다.
도76은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의 박리 벌룬 삽입 장치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77은 도76중의 X-X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78은 도77중의 Y-Y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79는 도77중의 Y-Y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80은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의 점막 박리 방법을 도시하는 도이며, 벌룬 삽입부의 선단부를, 점막 하층 밑의 고유근층에 부딪히게 함으로써 만곡시킨 상태를 도시하는 도이다.
도81은 본 발명의 제7 실시 형태의 점막 박리 장치를 도시하는 도이며, 내시경과 삽입 보조구와 박리 벌룬 삽입 장치와, 점막하 국주침을 갖추는 점막 박리 시스템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82는 제7 실시 형태의 삽입 보조구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83은 제7 실시 형태의 삽입 보조구를 도시하는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84는 본 발명의 제7 실시 형태의 점막 박리 방법을 도시하는 도이며, 개구를 연 후, 개구에 벌룬 삽입부의 선단을 삽입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이다.
도85는 본 발명의 제7 실시 형태의 점막 박리 방법을 도시하는 도이며, 개구 에 벌룬 삽입부의 선단을 삽입한 후, 벌룬 삽입부의 선단부를 만곡시킨 상태를 도시하는 도이다.
도86은 본 발명의 제7 실시 형태의 점막 박리 방법을 도시하는 도이며, 벌룬 삽입부의 선단부를 만곡시킨 후, 벌룬 삽입부를 점막 하층에 삽입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이다.
도87은 본 발명의 제7 실시 형태의 점막 박리 방법을 도시하는 도이며, 벌룬 삽입부를 점막 하층에 삽입한 후, 점막 하층의 내부에서 벌룬을 팽창시킨 상태를 도시하는 도이다.
도88은 본 발명의 제7 실시 형태의 점막 박리 방법을 도시하는 도이며, 개구 주위의 점막을 절개한 후, 벌룬 삽입부를 점막 하층에 더 삽입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이다.
도89는 본 발명의 제7 실시 형태의 점막 박리 방법을 도시하는 도이며, 벌룬 삽입부를 점막 하층에 더 삽입한 후, 점막 하층의 내부에서 벌룬을 재팽창시킴으로써 점막 하층에 새로운 공동부를 형성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이다.
도90은 본 발명의 제8 실시 형태의 점막 박리 장치를 도시하는 도이며, 삽입 보조구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91은 제8 실시 형태의 삽입 보조구를 도시하는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92는 본 발명의 제8 실시 형태의 점막 박리 방법을 도시하는 도이며, 개구를 연 후, 만곡부를 소화관의 벽면에 눌러 닿게 해서 만곡시킨 상태를 도시하는 도이다.
도93은 본 발명의 제8 실시 형태의 점막 박리 방법을 도시하는 도이며, 만곡부를 만곡시킨 후, 개구에 벌룬 삽입부의 선단을 삽입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이다.
도94는 본 발명의 제8 실시 형태의 점막 박리 방법을 도시하는 도이며, 벌룬 삽입부를 점막 하층에 삽입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이다.
도95는 본 발명의 제9 실시 형태의 내시경 및 삽입 보조구를 도시하는 도이다.
도96은 본 발명의 제9 실시 형태의 점막 박리 방법을 도시하는 도이며, 파지겸자를 사용해서 점막을 파지하면서, 개구에 벌룬 삽입부의 선단을 삽입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이다.
도97은 본 발명의 제9 실시 형태의 점막 박리 방법을 도시하는 도이며, 파지겸자를 사용해서 점막을 파지하면서, 고주파 메스를 사용해서 개구 주위의 점막을 절개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이다.
도98은 본 발명의 제10 실시 형태의 점막 박리 장치를 도시하는 도이며, 삽입 보조구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99는 본 발명의 제10 실시 형태의 점막 박리 방법을 도시하는 도이며, 개구를 연 후, 개구에 벌룬 삽입부의 선단을 삽입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이다.
도100은 본 발명의 제10 실시 형태의 점막 박리 방법을 도시하는 도이며, 개구에 벌룬 삽입부의 선단을 삽입한 후, 벌룬 삽입부의 선단부를 만곡시킨 상태를 도시하는 도이다.
도101은 본 발명의 제10 실시 형태의 점막 박리 방법을 도시하는 도이며, 벌 룬 삽입부의 선단부를 만곡시킨 후, 벌룬 삽입부를 점막 하층에 삽입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이다.
도102는 본 발명의 제10 실시 형태의 점막 박리 방법을 도시하는 도이며, 벌룬 삽입부를 점막 하층에 삽입한 후, 점막 하층의 내부에서 벌룬을 팽창시킨 상태를 도시하는 도이다.
도103은 본 발명의 제10 실시 형태의 점막 박리 방법을 도시하는 도이며, 개구 주위의 점막을 절개한 후, 벌룬 삽입부를 점막 하층에 더 삽입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이다.
도104는 본 발명의 제10 실시 형태의 점막 박리 방법을 도시하는 도이며, 벌룬 삽입부를 점막 하층에 더 삽입한 후, 점막 하층의 내부에서 벌룬을 다시 팽창시킴으로써 점막 하층에 새로운 공동부를 형성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이다.
도105는 본 발명의 제11 실시 형태의 점막 박리 장치를 도시하는 도이며, 삽입 보조구를 도시하는 일부 단면도이다.
도106은 본 발명의 제11 실시 형태의 점막 박리 방법을 도시하는 도이며, 개구를 연 후, 만곡부를 소화관의 벽면에 눌러 닿게 해서 만곡시킨 상태를 도시하는 도이다.
도107은 본 발명의 제11 실시 형태의 점막 박리 방법을 도시하는 도이며, 만곡부를 만곡시킨 후, 개구에 벌룬 삽입부의 선단을 삽입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이다.
도108은 본 발명의 점막 박리 장치를 구성하는 삽입 보조구의 변형예를 도시 하는 평면도이다.
도109는 도108에 도시하는 삽입 보조구의 단면도이다.
도110은 본 발명의 점막 박리 장치를 구성하는 박리 벌룬 삽입 장치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111은 본 발명의 제12 실시 형태의 점막 박리 장치를 도시하는 도이며, 내시경과, 박리 벌룬 삽입 장치와, 점막하 국주침을 갖추는 점막 박리 시스템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112는 제12 실시 형태의 내시경의 선단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113은 제12 실시 형태의 내시경의 선단의 일부 단면도이며, 벌룬 삽입부의 선단부를 만곡시킨 상태를 도시하는 도이다.
도114는 제12 실시 형태의 내시경의 삽입부의 선단면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115는 본 발명의 제12 실시 형태의 점막 박리 방법을 도시하는 도이며, 점막에 개구를 연 후, 개구에 벌룬 삽입부의 선단을 삽입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이다.
도116은 본 발명의 제12 실시 형태의 점막 박리 방법을 도시하는 도이며, 개구에 보조 디바이스 삽입부의 선단부를 삽입한 후, 벌룬 삽입부의 선단부를 만곡시킨 상태를 도시하는 도이다.
도117은 본 발명의 제12 실시 형태의 점막 박리 방법을 도시하는 도이며, 벌룬 삽입부의 선단부를 만곡시킨 후, 벌룬 삽입부를 점막 하층에 삽입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이다.
도118은 본 발명의 제12 실시 형태의 점막 박리 방법을 도시하는 도이며, 벌룬 삽입부를 점막 하층에 삽입한 후, 점막 하층의 내부에서 벌룬을 팽창시킨 상태를 도시하는 도이다.
도119는 본 발명의 제12 실시 형태의 점막 박리 방법을 도시하는 도이며, 점막 하층의 내부에서 벌룬을 팽창시킨 후, 벌룬을 수축시킨 벌룬 삽입부를 점막 하층으로부터 발거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이다.
도120은 본 발명의 제12 실시 형태의 점막 박리 방법을 도시하는 도이며, 개구 주위의 점막을 절개한 후, 벌룬 삽입부를 점막 하층에 다시 삽입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이다.
도121은 본 발명의 제12 실시 형태의 점막 박리 방법을 도시하는 도이며, 벌룬 삽입부를 점막 하층에 다시 삽입한 후, 점막 하층의 내부에서 벌룬을 다시 팽창시킨 상태를 도시하는 도이다.
도122는 본 발명의 제13 실시 형태의 내시경의 삽입부의 선단면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123은 본 발명의 제13 실시 형태의 점막 박리 방법을 도시하는 도이며, 파지겸자를 사용해서 병변부 근방의 점막 및 점막 하층을 파지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이다.
도124는 본 발명의 제13 실시 형태의 점막 박리 방법을 도시하는 도이며, 파지겸자를 사용해서 병변부 근방의 점막 및 점막 하층을 파지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이다.
도125는 본 발명의 제13 실시 형태의 점막 박리 방법을 도시하는 도이며, 파지겸자를 사용해서 병변부 근방의 점막 및 점막 하층을 파지하면서, 개구에 벌룬 삽입부의 선단을 삽입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이다.
도126은 본 발명의 제13 실시 형태의 점막 박리 방법을 도시하는 도이며, 파지겸자를 사용해서 병변부 근방의 점막 및 점막 하층을 파지하면서, 벌룬 삽입부를 점막 하층에 삽입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이다.
도127은 본 발명의 제13 실시 형태의 점막 박리 방법을 도시하는 도이며, 파지겸자를 사용해서 병변부 근방의 점막 및 점막 하층을 파지하면서, 고주파 메스를 사용해서 개구 주위의 점막을 절개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이다.
도128은 본 발명의 제13 실시 형태의 내시경의 삽입부의 선단으로부터 벌룬 삽입부와 파지겸자를 돌출시킨 상태를 도시하는 도이다.
도129는 도128과의 비교를 위해서, 제13 실시 형태와는 다른 구조의 내시경의 삽입부의 선단으로부터 벌룬 삽입부와 파지겸자를 돌출시킨 상태를 도시하는 도이다.
도130은 본 발명의 제14 실시 형태의 내시경의 삽입부의 선단면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131은 제14 실시 형태의 내시경의 삽입부의 선단으로부터 벌룬 삽입부와 파지겸자를 돌출시킨 상태를 도시하는 도이다.
<부호의 설명>
2 : 채널
3 : 삽입부
4 : 내시경
5 : 박리 벌룬 삽입 장치
6 : 점막하 국주침
7 : 만곡 기구
9 : 제1 유연부
10 : 벌룬 삽입부
10a : 접속부
10b : 최선단부
10c : 선단부
11 : 삽입 통과로
12 : 벌룬
13 : 조작 와이어
14 : 조작부
15 : 판부재
16 : 고주파 메스
17 : 삽입 통과로
27 : 삽입 통과로
34 : 지표
50 : 박리 벌룬 삽입 장치
51 : 회전 전달부
102 : 점막 박리 처치구
103 : 만곡 기구
105 : 제2 유연부
107 : 보조 디바이스
108 : 박리 벌룬 삽입 장치
110 : 보조 디바이스 삽입부
110a : 선단부
111 : 삽입 통과로
112 : 조작 와이어
113 : 조작부
114 : 판부재
116 : 구상부
118 : 연통 구멍
119 : 삽입 통과로
121 : 지표
125 : 벌룬 삽입부
125a : 선단부
125b : 접속부
126 : 유로
127 : 벌룬
129 : 최선단부
130 : 연통 구멍
136 : 삽입 통과로
142 : 지표
161 : 박리 벌룬 삽입 장치
162 : 보조 디바이스, 162 : 벌룬, 162 : 보조 디바이스
163 : 점막 박리 처치구
170 : 보조 디바이스 삽입부
171 : 제2 유연부
201 : 점막 박리 시스템
203 : 박리 벌룬 삽입 장치
220 : 최선단부
230 : 삽입 통과로
252 : 판부재
255 : 선단부
301 : 점막 박리 시스템
302 : 점막 박리 처치구
307 : 만곡부
308 : 삽입 보조구
320 : 캡
325 : 접속부
328 : 돌출부
340 : 삽입 보조구
341 : 캡
342 : 만곡부
343 : 가이드부
361 : 삽입 보조구
362 : 만곡부
363 : 지지부
371 : 삽입 보조구
372 : 만곡부
373 : 지지부
380 : 삽입 보조구
381 : 캡
385 : 박리 벌룬 삽입 장치
401 : 점막 박리 시스템
402A, 402B : 채널
405 : 내시경
410 : 조작부
412 : 겸자대
415 : 겸자 기상 기구
416 : 겸자대 조작부
417 : 조작 와이어
C : 중심축선
C1 : 중심축선
H : 개구
H1, H2 : 공동부
L : 축심
N : 점막
R : 삽입 루트
S : 시린지
W : 점막 하층
W1 : 고유근층
X : 병변부
θ : 각도
본 발명의 점막 박리 장치 및 점막 박리 방법의 제1 실시 형태에 대해, 도1 내지 도25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점막 박리 시스템(1)은, 도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시 경(4)과, 박리 벌룬 삽입 장치(점막 박리 장치)(5)와, 점막하 국주침(6)을 갖추고 있다. 내시경(4)의 삽입부(3)에는, 채널(2)이 형성되어 있다. 이 채널(2)에, 박리 벌룬 삽입 장치(5) 또는 점막하 국주침(6)이, 필요에 따라서 겸자구(8)로부터 삽입된다. 내시경(4)은, 삽입부(3)의 선단에 개구하는 채널(2)이 전방으로 향하고 있는, 이른바 직시형 내시경이다.
박리 벌룬 삽입 장치(5)는, 점막 하층을 고유근층으로부터 국소적으로 박리하여, 소화관의 병변부를 절제하는 것이며, 도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요성을 가지는 벌룬 삽입부(제1 삽입부)(10)와, 벌룬 삽입부(10)의 선단부(10c)에 설치된 벌룬(팽창부)(12)과, 벌룬 삽입부(10)의 선단부(10c)를 만곡시키는 만곡 기구(만곡부)(7)를 갖추고 있다.
벌룬 삽입부(10)는 긴 관상체이며, 도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기단으로부터 선단에 걸쳐 삽입 통과로(11)가 형성되어 있다. 삽입 통과로(11)는, 벌룬 삽입부(10)의 축심(L)으로부터 약간 이간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벌룬(12)은, 삽입 통과로(11)를 통해서 기체 또는 액체 등의 유체가 공급됨으로써 팽창한다.
만곡 기구(7)는, 도2 내지 도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작 와이어(13)와, 조작부(14)를 갖추고 있다. 조작 와이어(13)는 삽입 통과로(11)에 삽입 통과되어 있다. 조작 와이어(13)의 일단은, 벌룬(12)의 근방에 장착된 조작 와이어 고정부(24)에 접속되어 있다. 조작부(14)는, 벌룬 삽입부(10)의 기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벌룬 삽입부(10)에는, 고주파 메스(16)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 통과로(17)가, 삽입 통과로(11)를 따라 형성되어 있다.
벌룬 삽입부(10)의 선단부(10c)에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 판부재(제1 만곡 보조 부재)(15)가 배치되어 있다. 판부재(15)는, 특정 방향으로 만곡하기 쉬운 단면 특성을 가지고 있다.
벌룬 삽입부(10)의 기단부에는, 도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접속부(10a)가 설치되어 있다. 접속부(10a)에는, 조작부(14)의 조작부 본체(20)와, 고주파 메스(16)의 조작관(21)이, 두 갈래로 나누어져 접속되어 있다. 벌룬 삽입부(10)의 최선단부(10b)는, 도4 및 도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최선단을 향해 점차 축경하는 테이퍼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벌룬(12)은, 도2 및 도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최선단부(10b)로부터 벌룬 삽입부(10)의 기단부에 가까운 부분에, 벌룬 삽입부(10)의 주위를 덮도록 설치되어 있다. 벌룬(12)에 덮인 벌룬 삽입부(10)에는, 도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삽입 통과로(11)와 벌룬(12)의 내부 공간을 연통하는 복수의 연통 구멍(22)이 형성되어 있다. 연통 구멍(22)은, 벌룬 삽입부(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열되어 있다. 최선단부(10b)의 내부에는, 삽입 통과로(11)를 봉지하는 봉지 부재(23)가 배치되어 있고, 조작 와이어 고정부(24)는, 봉지 부재(23)에 부착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삽입 통과로(11) 내에 공급된 유체는, 삽입 통과로(11)의 선단으로부터 외부로 누출되지 않고 복수의 연통 구멍(22)을 통해서 벌룬(12)에 공급된다.
조작부(14)는, 도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작부 본체(20)와, 조작부 본체(20)에 대해서 슬라이드 가능한 슬라이드부(25)를 갖추고 있다. 삽입 통과 로(11)에 삽입 통과된 조작 와이어(13)의 타단은, 슬라이드부(25)에 접속되어 있다. 조작부(14)를 조작하면, 즉, 슬라이드부(25)를 조작부 본체(20)에 대해서 진퇴시키면, 벌룬(12) 전체를 포함하는 벌룬 삽입부(10)의 선단부(10c)가, 선단부(10c)로부터 벌룬 삽입부(10)의 기단부에 가까운 부분에 대해서 만곡한다. 그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조작부 본체(20)의 기단에는, 도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엄지를 걸 수 있는 손가락 걸이 링(20a)이 부착되고, 슬라이드부(25)에는, 검지 및 중지를 걸 수 있는 2개의 손가락 걸이 구멍(25a)이 형성되어 있다. 수술자는, 한 손의 엄지를 손가락 걸이 링(20a)에 걸고, 동일한 손의 검지 및 중지를 슬라이드부(25)의 손가락 걸이 구멍(25a)에 걸므로써, 벌룬 삽입부(10)의 만곡 조작을 한 손만으로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조작부 본체(20)의 접속부(10a)의 근방에는, 삽입 통과로(11)에 연통하는 주입구(26)가 설치되어 있다. 주입구(26)에는, 벌룬(12)을 팽창시키는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 공급원으로서의 시린지(S)가 접속된다.
벌룬 삽입부(10)의 선단부(10c)의 일부에는, 복수의 연통 구멍(22)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그 밖의 부분보다 유연하다. 복수의 연통 구멍(22)이 형성된 영역은, 소정 크기의 힘이 작용했을 때, 다른 영역보다 앞서 만곡하는 제1 유연부(9)로서 기능한다. 이것에 의해, 조작부(14)를 조작하면, 벌룬 삽입부(10)의 선단부(10c)가, 복수의 연통 구멍(22)이 형성된 영역을 중심으로 해서 용이하게 만곡한다. 즉, 슬라이드부(25)를 조작부 본체(20)의 기단을 향해 인장하면, 도6에 도시 하는 바와 같이, 벌룬(12) 전체를 포함하는 벌룬 삽입부(10)의 선단부(10c)가, 복수의 연통 구멍(22)이 형성된 측면을 뒤로 젖혀지게 하도록 만곡한다. 슬라이드부(25)를 조작부 본체(20)의 선단을 향해 누르면, 도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벌룬(12) 전체를 포함하는 벌룬 삽입부(10)의 선단부(10c)가, 복수의 연통 구멍(22)이 형성된 측면과는 반대의 측면을 뒤로 젖혀지게 하도록 만곡한다.
복수의 연통 구멍(22)은, 벌룬 삽입부(10)의 선단으로부터 적어도 5㎜이상 떨어진 영역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10㎜ 내지 15㎜까지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판부재(15)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 등의 탄성 재료로 이루어지고, 도3 및 도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폭이 좁은 단책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판부재(15)는, 두께 방향으로 만곡하기 쉬운 단면 특성을 가지고 있고, 축심(L)을 사이에 두고 삽입 통과로(11)와는 반대로, 두께 방향이 축심(L)과 조작 와이어(13)를 연결하는 방향에 일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즉, 판부재(15)가 만곡하기 쉬운 방향과, 벌룬 삽입부(10)의 선단부(10c)를 만곡시켜야 할 방향이 일치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벌룬 삽입부(10)의 선단부(10c)는, 판부재(15)의 두께 방향으로 만곡하기 쉽고, 판부재(15)의 폭방향으로 만곡하기 어려워진다.
벌룬 삽입부(10)에는, 판부재(15)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 통과로(27)가 형성되어 있다. 판부재(15)는, 삽입 통과로(27)에 벌룬 삽입부(10)의 선단으로부터 삽입되어 있고, 삽입 통과로(27)의 내면과의 마찰력에 의해 삽입 통과로(27)의 내측에 보유되어 있다. 또한, 벌룬 삽입부(10)의 최선단부(10b)에는, 삽입 통과로(27) 를 봉지하는 봉지부(28)가 설치되어 있다.
고주파 메스(16)는, 도2 및 도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작관(21)과, 침상의 나이프(29)와, 나이프 조작부(30)를 갖추고 있다. 조작관(21)은 절연성 재료로 이루어지고, 접속부(10a)에 접속되어 있다. 조작관(21)의 일단은, 삽입 통과로(17)에, 벌룬 삽입부(10)의 최선단부(10b) 근방까지 삽입되고, 조작관(21)의 타단은, 접속부(10a)로부터 밖으로 연장되어 있다. 나이프(29)는, 조작관(21)의 내부에 진퇴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나이프 조작부(30)는, 조작관(21)의 타단에 접속된 나이프 조작부 본체(31)와, 나이프(29)의 기단에 접속되어 나이프 조작부 본체(31)에 대해서 진퇴 가능한 나이프 슬라이드부(32)를 갖추고 있다. 나이프 조작부 본체(31)의 기단에는, 도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엄지를 걸 수 있는 손가락 걸이 링(31a)이 부착되고, 나이프 슬라이드부(32)에는, 검지 및 중지를 걸 수 있는 2개의 손가락 걸이 구멍(32a)이 형성되어 있다. 수술자는, 한 손의 엄지를 손가락 걸이 링(31a)에 걸고, 동일한 손의 검지 및 중지를 나이프 슬라이드부(32)의 손가락 걸이 구멍(32a)에 걸므로써, 나이프 조작부(30)를 한 손만으로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 나이프 슬라이드부(32)의 2개의 손가락 걸이 구멍(32a)의 사이에는, 나이프(29)에 고주파 전원(도시 생략)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전원 접속부(33)가 설치되어 있다.
벌룬 삽입부(10)의 벌룬(12)으로부터 기단부에 가까운 영역에는, 도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벌룬 삽입부(10)의 선단부(10c)의 점막 하층에의 삽입량을 나타내는 지표(34)가 설치되어 있다. 지표(34)는, 최선단부(10b)로부터 15㎜ 이간된 곳 으로부터, 벌룬 삽입부(10)의 기단을 향해 5㎜씩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점막하 국주침(6)은, 도9 및 도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튜브(40)와, 외튜브(40)의 내부에서 진퇴 가능한 내튜브(41)와, 내튜브(41)의 선단에 장착된 중천의 침부(42)와, 외튜브(40)의 기단에 부착된 침 조작부(43)를 갖추고 있다. 외튜브(40)의 선단에는, 축경부가 형성되어 있고, 축경부의 중앙에는, 내튜브(41)의 침부(42)만이 삽입 통과 가능한 작은 구멍(40a)이 형성되어 있다. 침 조작부(43)는, 침 조작부 본체(44)와, 국주용의 액체(국주액)를 주입하기 위한 꼭지쇠(45)를 갖추고 있다. 침 조작부 본체(44)는, 외튜브(40)의 기단의 내주면에 부착되어 있다. 꼭지쇠(45)는, 내튜브(41)의 기단에 부착되어 있다. 꼭지쇠(45)를 침 조작부 본체(44)에 대해서 진퇴시키면, 침부(42)가 외튜브(40)의 선단으로부터 돌출하거나 몰입하거나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점막 박리 시스템(1)을 사용해서, 소화관의 내부에서 생긴 병변부(X)를 점막 하층(W)으로부터 절제하는 점막 하층 박리 방법을, 이하에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점막 박리 방법은, 소화관의 병변부 근방의 점막 및 점막 하층을 팽륭시키는 팽륭 공정과, 소화관의 병변부 근방의 점막에 개구를 형성하는 개구 공정과, 개구를 통과해서, 점막 하층에 고유근층과 거의 평행한 삽입 구멍을 형성하는 천공 공정과, 삽입 구멍의 내측을 눌러 확대함으로써 점막 하층을 고유근층으로부터 박리하는 박리 공정과, 박리된 점막 하층을 절개해서 소화관으로부터 분리하는 절개 공정을 갖추고 있다. 이 중, 천공 공정은, 삽입 공정과, 각도 조정 공정(만곡 공정)과, 길이 조정 공정(천통 공정)을 포함하고 있다. 각 공정에 대해서,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팽륭 공정을 행한다. 즉, 채널(2)에, 점막하 국주침(6)을 삽입한 내시경(4)을 소화관 내에 삽입하고, 삽입부(3)의 선단을 병변부(X)의 근방에 배치한다. 이 상태를 유지한 채로, 점막하 국주침(6)의 외튜브(40)를 내시경(4)의 삽입부(3)의 선단으로부터 돌출시킴과 함께, 꼭지쇠(45)를 침 조작부 본체(44)의 선단을 향해 이동시킴으로써, 침부(42)를 외튜브(40)의 선단으로부터 돌출시킨다. 그리고, 도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침부(42)를 병변부(X) 근방의 점막(N) 및 점막 하층(W)에 천자한다. 침부(42)를 천자한 후, 내튜브(41) 및 침부(42)를 통해서 점막 하층(W) 내에 국주액을 주입한다. 이것에 의해, 병변부(X)주변의 점막 하층(W)을 팽륭시킨다.
병변부(X)주변의 점막 하층(W)을 팽륭시킨 후, 꼭지쇠(45)를 침 조작부 본체(44)의 기단을 향해 이동시킴으로써, 침부(42)를 내튜브(41)에 몰입시킴과 함께, 점막하 국주침(6)을 채널(2)로부터 발거한다. 또한, 내시경(4)은 움직이지 않고, 그대로의 위치에 유지해 둔다.
팽륭 공정 후, 개구 공정을 행한다. 즉, 박리 벌룬 삽입 장치(5)의 벌룬 삽입부(10)를 채널(2)에 삽입하고, 도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벌룬 삽입부(10)의 선단부(10c)를 삽입부(3)의 선단으로부터 돌출시킨다.
벌룬 삽입부(10)의 선단부(10c)에는, 판부재(15)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채널(2) 중을 이동할 때, 벌룬 삽입부(10)의 선단부(10c)는, 삽입부(3)의 만곡 각도 를 모방하면서 이동한다. 그리고, 벌룬 삽입부(10)의 선단부(10c)를 삽입부(3)의 선단으로부터 돌출시키면, 도12 및 도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삽입부(3)의 만곡 방향(상하 방향)과 판부재(15)의 두께 방향(α방향)이 일치한다. 여기서, 판부재(15)의 두께 방향(α방향), 즉 판부재(15)가 만곡하기 쉬운 방향은, 벌룬 삽입부(10)의 선단부(10c)를 만곡시키는 방향과 일치하고 있다. 따라서, 박리 벌룬 삽입 장치(5)의 벌룬 삽입부(10)를 채널(2)에 삽입 통과시키는 것만으로, 벌룬 삽입부(10)의 선단부(10c)를 만곡시키는 방향과 삽입부(3)의 만곡 방향이 자동적으로 가지런해진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벌룬 삽입부(10)의 조작 와이어(13) 및 복수의 연통 구멍(22)이 설치된 측이, 삽입부(3)의 상부에 배치된다고 가정한다.
벌룬 삽입부(10)의 선단부(10c)를 삽입부(3)의 선단으로부터 돌출시킨 후, 나이프 슬라이드부(32)를 벌룬 삽입부(10)의 선단을 향해 이동시킴으로써, 나이프(29)를 조작관(21)으로부터 돌출시키고, 또한 벌룬 삽입부(10)의 최선단부(10b)로부터 돌출시킨다. 이 상태를 유지한 채로, 전원 접속부(33)에 접속된 고주파 전원으로부터 나이프(29)에 고주파 전류를 흐르게 한다. 그리고, 도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나이프(29)를 전진시키고, 팽륭시킨 병변부(X) 근방의 점막(N)에 소정 크기의 개구(H)를 연다.
개구(H)를 연 후, 고주파 전류의 통전을 정지한다. 그리고, 슬라이드부(25)를 벌룬 삽입부(10)의 선단을 향해 이동시킴으로써, 나이프(29)를 조작관(21) 내에 몰입시킨다.
개구 공정 후, 삽입 공정을 행한다. 즉, 도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구(H)를 통해서 점막 하층(W)에 벌룬 삽입부(10)의 최선단부(10b)를 삽입한다. 이 단계에서는, 벌룬 삽입부(10)의 선단부(10c)는, 소화관의 표면에 대해서 각도(θ)를 이루고 있다.
삽입 공정 후, 각도 조정 공정을 행한다. 즉, 슬라이드부(25)를 조작부 본체(20)에 대해서 벌룬 삽입부(10)의 기단을 향해 이동시킴으로써, 조작 와이어(13)를 인장한다. 조작 와이어(13)의 일단은, 조작 와이어 고정부(24)를 개재시켜 벌룬 삽입부(10)의 선단부(10c)에 접속되어 있으므로, 이 인장 조작에 의해 조작 와이어(13)에 작용한 인장력은, 벌룬 삽입부(10)의 선단부(10c)에 전달된다. 이것에 의해, 조작 와이어(13)를 설치한 벌룬 삽입부(10)의 거의 반에 압축력이 작용한다. 한편, 축심(L)을 사이에 두고 조작 와이어(13)와는 반대측의 벌룬 삽입부(10)의 거의 반에는 인장력이 작용한다. 그 결과, 벌룬(12) 전체를 포함하는 벌룬 삽입부(10)의 선단부(10c)는, 도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유연부(9)를 중심으로 해서, 조작 와이어(13) 및 복수의 연통 구멍(22)이 설치된 반을 삽입부(3)의 상방으로 뒤로 젖혀지게 하도록 만곡한다.
한편, 슬라이드부(25)를 조작부 본체(20)에 대해서 벌룬 삽입부(10)의 선단을 향해 이동시킴으로써, 조작 와이어(13)를 삽입 통과로(11)에 밀어넣는다. 이 압입 조작에 의해 조작 와이어(13)에 작용한 압박력은, 벌룬 삽입부(10)의 선단부(10c)에 전달된다. 이것에 의해, 조작 와이어(13)를 설치한 벌룬 삽입부(10)의 거의 반에 인장력이 작용한다. 한편, 축심(L)을 사이에 두고 조작 와이어(13)와는 반대의 벌룬 삽입부(10)의 거의 반에는 압축력이 작용한다. 그 결과, 벌룬 삽입부(10)는, 벌룬(12) 전체를 포함하는 벌룬 삽입부(10)의 선단부(10c)가, 삽입부(3)의 하방을 향해 만곡한다.
상기의 인장 조작 및 압입 조작을 행함으로써, 삽입부(10)의 선단부(10c)가 소화관의 표면에 대해서 거의 평행해지도록, 삽입부(10)의 선단부(10c)를 만곡시킨다.
각도 조정 공정 후, 길이 조정 공정을 행한다. 즉, 도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벌룬 삽입부(10)를 소화관의 표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작동시킴으로써 벌룬 삽입부(10)의 선단부(10c)를 개구(H)를 통해서 점막 하층(W)에 밀어넣고, 지표(34)를 기준으로 해서 점막하층(W)의 소정 위치에 배치한다.
길이 조정 공정 후, 박리 공정을 행한다. 즉, 시린지(S)를 사용해서 주입구(26)로부터 삽입 통과로(11)에 유체를 공급한다. 삽입 통과로(11)에 공급된 유체는, 복수의 연통 구멍(22)을 통해서 벌룬(12)에 공급되고, 도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벌룬(12)을 팽창시킨다. 이것에 의해, 점막 하층(W)의 일부가 그 밑의 고유근층(W1)으로부터 박리된다. 그 후, 주입구(26)로부터 유체를 일단 방출하고, 벌룬(12)을 원 상태로 수축시킨다. 이것에 의해, 도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박리된 점막 하층(W)과 고유근층(W1)의 사이에, 공동부(H1)가 형성된다.
박리 공정 후, 절개 공정을 행한다. 즉, 벌룬 삽입부(10)를 점막 하층(W)으로부터 개구(H)의 밖까지 끌어 당겨 되돌리고, 도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나이프(29)를 벌룬 삽입부(10)의 최선단부(10b)로부터 돌출시켜, 개구(H)에 삽입한다. 이 상태를 유지하면서, 나이프(29)에 고주파 전류를 흐르게 하고, 나이프(29)를 병변부(X)의 주위를 따라 이동시킨다. 이것에 의해, 도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구(H) 주위의 점막(N)을 절개한다. 어느 정도의 폭을 절개하여 끝내면 고주파 전류의 통전을 정지하고, 나이프(29)를 조작관(21) 내에 몰입시킨다.
병변부(X)가 크고, 공동부(H1) 하나만으로는 병변부(X)를 포함하는 점막(N)을 점막 하층(W)으로부터 분리할 수 없는 경우는, 전술한 길이 조정 공정, 박리 공정 및 절개 공정을 반복한다. 즉, 도2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표(34)를 기준으로 하여, 벌룬 삽입부(10)의 선단부(10c)를 개구(H)를 통해서 점막 하층(W)에 다시 삽입하고, 선단부(10c)를 소정 위치에 배치한다. 그리고, 도2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벌룬(12)을 팽창시킴으로써, 최초의 박리 공정에서는 박리되지 않았던 점막 하층(W)을 고유근층(W1)으로부터 박리하고, 새로운 공동부(H2)를 형성한다. 그 후, 도2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재차 절개 공정을 행한다.
이와 같이, 길이 조정 공정, 박리 공정 및 절개 공정을, 병변부(X)의 크기에 따라서 적절히 반복함으로써, 도2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병변부(X)를 포함하는 점막 하층(W)을 소화관으로부터 절제한다.
본 실시 형태의 점막 박리 장치 및 점막 박리 방법에 의하면, 점막 하층(W)에 몇번인가에 걸쳐서 벌룬 삽입부(10)를 삽입하고, 그 때마다 벌룬(12)을 팽창시킴으로써, 고주파 메스(16)를 다용하지 않아도, 넓은 범위에 걸쳐 점막하층(W)을 확실하게 박리할 수 있다. 또한, 벌룬(12)에 유체를 공급함으로써 박리를 간단하게 행할 수 있으므로, 처치에 요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병변부(X)로 부터 출혈이 있었다고 해도, 벌룬(12)을 팽창시켜 출혈한 부분을 압박함으로써, 신속히 지혈을 행할 수 있고, 병변부(X)의 점막 하층(W)에 있어서의 우발병을 미연에 막을 수 있다.
벌룬(12) 전체를 포함하는 벌룬 삽입부(10)의 선단부(10c)를 만곡시킴으로써, 선단부(10c)를 소화관의 표면에 거의 평행하게 하고, 그 상태를 유지하면서, 점막 하층(W)에 벌룬(12)을 삽입할 수 있으므로, 점막 하층(W) 밑에 있는 고유근층(W1)에 벌룬 삽입부(10)의 최선단부(10b)가 박히는 경우는 없다. 이것에 의해, 수술자는 벌룬 삽입부(10)의 선단부(10c)의 삽입량에 관해서 극단적인 주위를 기울일 필요가 없다. 그 결과, 수술자의 기량에 좌우되는 일 없이, 안전한 수기를 행할 수 있고, 수술자의 부담을 대폭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
벌룬 삽입부(10)의 선단부(10c)에는, 제1 유연부(9)로서 기능하는 복수의 연통 구멍(22)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벌룬 삽입부(10)의 선단부(10c)가 용이하게 만곡한다. 이것에 의해, 내시경(4)의 채널(2)로부터의 벌룬 삽입부(10)의 선단부(10c)의 돌출량이 적었다고 해도, 벌룬 삽입부(10)의 선단부(10c)의 만곡 조작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고, 소화관 내의 한정된 스페이스에 있어서도 확실한 수기를 행할 수 있다.
삽입 통과로(11)가, 벌룬(12)에 유체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로와, 조작 와이어(13)를 삽입 통과하기 위한 통로로서 이용되므로, 벌룬 삽입부(10)를 세경화할 수 있다. 부가해서, 복수의 연통 구멍(22)을 통해서 유체가 벌룬(12)에 효율적으로 공급되므로 벌룬(12)의 팽창에 요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벌룬 삽입부(10)의 선단부(10c)에 판부재(15)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벌룬 삽입부(10)의 선단부(10c)의 만곡 방향과, 내시경(4)의 삽입부(3)의 만곡 방향이 자동적으로 가지런해진다. 이것에 의해, 벌룬 삽입부(10)의 선단부(10c)의 만곡 방향을 삽입부(3)의 조작과는 별도로 조정하지 않아도, 벌룬 삽입부(10)의 선단부(10c)를, 삽입부(3)의 만곡 방향과 거의 동일 방향으로 신속하게 만곡 조작할 수 있다. 따라서, 벌룬 삽입부(10)의 선단부(10c)의 소화관의 표면에 대한 각도 조정이 행하기 쉽다. 그 결과, 점막 하층(W)의 박리에 걸리는 수기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벌룬 삽입부(10)에, 고주파 메스(16)를 삽입 통과하는 삽입 통과로(17)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처치구의 교체를 행하지 않아도, 필요한 때에 신속하게 고주파 메스(16)를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수기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수기를 행할 수 있다.
벌룬 삽입부(10)에 지표(34)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점막 하층(W)에 삽입된 벌룬(12)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그 결과, 점막 하층(W)의 소망 부분을 정확하게 박리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점막 박리 장치 및 점막 박리 방법의 제2 실시 형태를, 도26 내지 도29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이미 설명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실시 형태의 박리 벌룬 삽입 장치(5)는, 조작부(14)를 눌러 당겨 조작함으로써 벌룬(12)을 포함하는 벌룬 삽입부(10)의 선단부(10c)를 만곡시킨다. 이것 에 대해, 제2 실시 형태의 박리 벌룬 삽입 장치(점막 박리 장치)(50)는, 조작부(14)에 의한 만곡 조작에 부가해서, 조작부(14)를 회전시킴으로써, 벌룬 삽입부(10)의 선단부(10c)를 벌룬 삽입부(10)의 축심(L) 회전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박리 벌룬 삽입 장치(50)의 벌룬 삽입부(10)에는, 도26 내지 도2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삽입 통과로(11) 및 삽입 통과로(17)가, 축심(L)을 사이에 끼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조작부 본체(20)는, 접속부(10a)에 회전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조작부 본체(20)에 진퇴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는 슬라이드부(25)도, 조작부 본체(20)와 함께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접속부(10a)에는, 조작부(14)로부터의 회전 토크(회전력)를 조작 와이어(13)에 전달하는 회전 전달부(51)가 설치되어 있다. 회전 전달부(51)는, 조작부 본체(20)를 회전시킴으로써 생긴 회전 토크를, 조작 와이어(13)에 확실하게 전달한다.
또한, 조작 와이어(13)는, 토크 전달성이 좋은 와이어, 즉 비틀림 강성이 높은 와이어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박리 벌룬 삽입 장치(50)를 사용해서, 소화관의 내부에서 생긴 병변부(X)를 점막 하층(W)으로부터 절제하는 점막 박리 방법을, 이하에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점막 박리 방법은, 팽륭 공정과, 개구공정과, 각도 조정 공정과, 길이 조정 공정과, 박리 공정과, 절개 공정을 갖추고 있다. 각 공정에 대해서,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팽륭 공정과 개구 공정을 행한다. 그 후, 각도 조정 공정을 행한다. 즉, 도2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구(H)의 근방에 벌룬 삽입부(10)의 선단부(10c)를 배치한다. 이 상태를 유지한 채로, 슬라이드부(25)를 조작부 본체(20)에 대해서 벌룬 삽입부(10)의 기단을 향해 이동시킴으로써, 벌룬(12)을 포함하는 벌룬 삽입부(10)의 선단부(10c)를 만곡시킨다. 또한, 이 만곡 조작과 동시에, 조작부 본체(20) 및 슬라이드부(25)를 회전시킴으로써, 벌룬(12)을 포함하는 벌룬 삽입부(10)의 선단부(10c)를, 축심(L) 회전으로 회전시킨다. 이와 같이, 만곡 조작과 회전 조작을 조합해서 조작함으로써, 벌룬 삽입부(10)의 선단부(10c)가 상향으로 만곡해서 소화관의 표면에 평행해지도록 미조정한다.
각도 조정 공정 후, 길이 조정 공정을 행한다. 즉, 벌룬 삽입부(10)를 소화관의 표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작동시킴으로써 벌룬 삽입부(10)의 선단부(10c)를 개구(H)를 통해서 점막 하층(W)에 밀어넣고, 지표(34)를 기준으로 해서 점막 하층(W)의 소정 위치에 배치한다. 그 후,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병변부(X)의 크기에 따라서 박리 공정과 절개 공정을 반복함으로써, 병변부(X)를 포함하는 점막 하층(W)을 소화관으로부터 절제한다.
본 실시 형태의 점막 박리 장치 및 점막 박리 방법에 의하면, 제1 실시 형태의 박리 벌룬 삽입 장치(5)와 같이 벌룬 삽입부(10)에 판부재(15)를 설치하지 않아도, 벌룬 삽입부(10)의 만곡 방향의 미조정을 용이하게, 또한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벌룬 삽입부(10)의 최선단부(10b)만을 개구(H) 에 삽입한 후, 벌룬 삽입부(10)의 선단부(10c)의 만곡 각도를 조정한다. 그렇지만, 제2 실시 형태와 같이, 삽입부(1)의 선단부(10c)의 만곡 각도를 조정한 후, 벌룬 삽입부(10)의 선단부(10c)를 점막 하층(W)에 삽입해도 된다.
상기의 실시 형태에서는, 삽입 통과로(11)가, 벌룬(12)에 유체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로와, 조작 와이어(13)를 삽입 통과하기 위한 통로로서 이용된다. 그렇지만, 유체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로와, 조작 와이어(13)를 삽입 통과하기 위한 통로를 나누어 설치해도 된다.
제1,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유연부(9)로서, 벌룬 삽입부(10)의 선단부(10c)에 복수의 연통 구멍(22)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연통 구멍(22)을 1개소에 형성하고, 이 연통 구멍(22)과는 별도로 제1 유연부를 설치해도 된다. 예를 들면, 제1 유연부로서 벌룬 삽입부(10)의 선단부(10c)에 주름 상자를 형성해도 된다. 또한, 조작 와이어(13)를 2개 설치하고, 벌룬 삽입부(10)의 선단부(10c)를 직교하는 2방향(상하 방향, 좌우 방향)으로 만곡하도록 해도 된다.
제1 실시 형태에서는, 박리 벌룬 삽입 장치(5)는, 하나의 채널(2)를 가지는 내시경(4)에 적용된다. 그렇지만, 도3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시경(4)의 삽입부(3)에 2개의 채널(2A, 2B)을 형성하고, 한쪽 채널(2A)에 제1 실시 형태의 박리 벌룬 삽입 장치(5)를 삽입하고, 다른 쪽 채널(2B)에 점막하 국주침(6)을 삽입해도 된다. 이것에 의해, 박리 벌룬 삽입 장치(5)와 점막하 국주침(6)이 소화관의 내부에 함께 삽입되므로, 팽륭 공정에서 병변부(X)를 팽륭시킨 후, 처치구를 바꿔 넣지 않아도, 신속하게 박리 공정으로 이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병변부(X)의 팽륭으로 부터 점막 하층(W)의 박리에 요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다른 쪽 채널(2B)에, 점막하 국주침(6)이 아니라, 병변부(X)를 파지하는 파지겸자를 삽입해도 된다. 이 경우, 소화관의 내부에, 다른 쪽 채널(2B)을 통해서 소화관의 내부에 박리 벌룬 삽입 장치(5)와 파지겸자를 함께 삽입할 수 있으므로, 파지겸자를 사용해서 병변부(X)를 파지한채로 점막을 박리할 수 있다. 따라서, 이미 박리된 병변부(X)에 방해받는 일 없이 벌룬(12)을 점막 하층(W)에 정확하게 삽입하거나, 병변부(X)가 도망치지 않게 제대로 파지하고 나서 점막 하층(W)의 박리를 행할 수 있다. 그 결과, 정확한 수기를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점막 박리 장치 및 점막 박리 방법의 제3 실시 형태에 대해, 도31 내지 도53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또한, 상기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이미 설명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 형태의 점막 박리 시스템(101)은, 도3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시경(4)과, 점막 박리 처치구(점막 박리 장치)(102)와, 점막하 국주침(6)을 갖추고 있다. 점막 박리 처치구(102)는, 고유근층으로부터 점막 하층을 국소적으로 박리하여, 소화관의 병변부를 절제하는 것이며, 보조 디바이스(107)와, 박리 벌룬 삽입 장치(108)로 구성되어 있다. 내시경(4)의 삽입부(3)에 형성된 채널(2)에는, 보조 디바이스(107), 박리 벌룬 삽입 장치(108) 및 점막하 국주침(6) 중 어느 하나가, 필요에 따라서 겸자구(8)로부터 삽입된다.
보조 디바이스(107)는, 점막 하층에 박리 벌룬 삽입 장치(108)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 루트를 천통하는 것이며, 도3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요성을 가지는 보조 디바이스 삽입부(제2 삽입부)(110)와, 보조 디바이스 삽입부(110)의 선단부(110a)를 만곡시키는 만곡 기구(만곡부)(103)를 갖추고 있다.
보조 디바이스 삽입부(110)는 긴 관상체이며, 그 기단으로부터 선단에 걸쳐 삽입 통과로(111)가 형성되어 있다. 삽입 통과로(111)는, 삽입 통과로(111)는, 도3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보조 디바이스 삽입부(110)의 축심(L)으로부터 약간 이간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만곡 기구(103)는, 도32 내지 도3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작 와이어(112)와, 조작부(113)를 갖추고 있다. 조작 와이어(112)는, 삽입 통과로(111)에 삽입 통과되어 있다. 조작부(113)는, 보조 디바이스 삽입부(110)의 기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보조 디바이스 삽입부(110)의 선단부(110a)에는, 도3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길이 방향을 따라 판부재(제2 만곡 보조 부재)(114)가 배치되어 있다. 판부재(114)는, 특정 방향으로 만곡하기 쉬운 단면 특성을 가지고 있다.
보조 디바이스 삽입부(110)의 기단부에는, 조작부(113)의 조작부 본체(115)가 접속되어 있다. 보조 디바이스 삽입부(110)의 선단에는, 구상부(116)가 부착되어 있다. 조작 와이어(112)의 일단은, 보조 디바이스 삽입부(110)의 선단에 장착된 구상부(116)에 접속되어 있다.
보조 디바이스 삽입부(110)의 구상부(116)로부터 기단부에 가까운 부분에는, 도3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삽입 통과로(111)에 연통하는 복수의 연통 구멍(118)이 형성되어 있다. 연통 구멍(118)은, 보조 디바이스 삽입부(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열되어 있다.
조작부(113)는, 도3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작부 본체(115)와, 조작부 본체(115)에 대해서 슬라이드 가능한 슬라이드부(117)를 갖추고 있다. 삽입 통과로(111)에 삽입 통과된 조작 와이어(112)의 타단은, 슬라이드부(117)에 접속되어 있다. 조작부(113)를 조작하면, 즉, 슬라이드부(117)를 조작부 본체(115)에 대해서 진퇴시키면, 보조 디바이스 삽입부(110)의 선단부(110a)가, 선단부(110a)로부터 보조 디바이스 삽입부(110)의 기단부에 가까운 부분에 대해서 만곡한다. 그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조작부 본체(115)의 기단에는, 도3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엄지를 걸 수 있는 손가락 걸이 링(115a)이 부착되고, 슬라이드부(117)에는, 검지 및 중지를 걸 수 있는 2개의 손가락 걸이 구멍(117a)이 형성되어 있다. 수술자는, 한 손의 엄지를 손가락 걸이 링(115a)에 걸고, 동일한 손의 검지 및 중지를 슬라이드부(117)의 손가락 걸이 구멍(117a)에 걸므로써, 보조 디바이스 삽입부(110)의 만곡 조작을 한 손만으로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보조 디바이스 삽입부(110)의 선단부(110a)의 일부에는, 복수의 연통 구멍(118)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그 밖의 부분보다 유연하다. 복수의 연통 구멍(118)이 형성된 영역은, 소정 크기의 힘이 작용했을 때, 다른 영역보다 앞서 만곡하는 제2 유연부(105)로서 기능한다. 이것에 의해, 조작부(113)를 조작하면, 보조 디바이스 삽입부(110)의 선단부(110a)가, 복수의 연통 구멍(118)이 형성된 영역을 중심으로 해서 용이하게 만곡한다. 즉, 슬라이드부(117)를 조작부 본체(115)의 기단을 향해 인장하면, 보조 디바이스 삽입부(110)의 선단부(110a)가, 복수의 연통 구멍(118)이 형성된 측면을 뒤로 젖혀지게 하도록 만곡한다. 슬라이드부(117)를 조작부 본체(115)의 선단을 향해 누르면, 보조 디바이스 삽입부(110)의 선단부(110a)가, 복수의 연통 구멍(118)이 형성된 측면과는 반대측의 측면을 뒤로 젖혀지게 하도록 만곡한다.
판부재(114)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 등의 탄성 재료로 이루어지고, 도33 및 도3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폭이 좁은 단책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판부재(114)는, 두께 방향으로 만곡하기 쉬운 단면 특성을 가지고 있고, 축심(L)을 사이에 두고 삽입 통과로(111)와는 반대로, 두께 방향이 축심(L)와 조작 와이어(112)를 연결하는 방향에 일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즉, 판부재(114)의 만곡하기 쉬운 방향과, 보조 디바이스 삽입부(110)의 선단부(110a)를 만곡시켜야 할 방향이 일치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보조 디바이스 삽입부(110)의 선단부(110a)는, 판부재(114)의 두께 방향으로 만곡하기 쉽고, 판부재(114)의 폭방향으로 만곡하기 어려워진다.
보조 디바이스 삽입부(110)에는, 판부재(114)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 통과로(119)가 형성되어 있다. 판부재(114)는, 삽입 통과로(119)에 보조 디바이스 삽입부(110)의 선단으로부터 삽입되어 있고, 삽입 통과로(119)의 내면과의 마찰력에 의해 삽입 통과로(119)의 내측에 보유되어 있다. 또한, 보조 디바이스 삽입부(110)의 최선단부에는, 삽입 통과로(119)를 봉지하는 봉지 부재(120)가 설치되어 있다.
보조 디바이스 삽입부(110)의 구상부(116)로부터 기단부에 가까운 영역에는, 도3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보조 디바이스 삽입부(110)의 선단부(110a)의 점막 하층에의 삽입량을 나타내는 지표(121)가 설치되어 있다. 지표(121)는, 구상부(116)로부터 보조 디바이스 삽입부(110)의 기단을 향해 5㎜씩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박리 벌룬 삽입 장치(108)는, 점막 하층을 고유근층으로부터 국소적으로 박리하여, 소화관의 병변부를 절제하는 것이며, 도36 내지 도3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요성을 가지는 벌룬 삽입부(제1 삽입부)(125)와, 벌룬 삽입부(125)의 선단부에 설치된 벌룬(팽창부)(127)을 갖추고 있다.
벌룬 삽입부(125)는 긴 관상체이며, 그 기단으로부터 선단에 걸쳐 유로(126)가 형성되어 있다. 벌룬(127)은, 유로(126)를 통해서 기체 또는 액체 등의 유체가 공급됨으로써 팽창한다.
벌룬 삽입부(125)에는, 고주파 메스(16)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 통과로(136)가, 유로(126)를 따라 형성되어 있다.
벌룬 삽입부(125)의 기단부에는, 접속부(125b)가 설치되어 있다. 접속부(125b)에는, 고주파 메스(16)의 조작관(21)과, 유로(126)와 연통하는 주입구(128)가 설치되어 있다. 주입구(128)에는, 벌룬(127)을 팽창시키는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 공급원으로서의 시린지(도시 생략)가 접속된다. 벌룬 삽입부(125)의 최선단부(129)는, 최선단을 향해 점차 축경하도록 테이퍼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벌룬(127)은, 도37 및 도3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최선단부(129)로부터 벌룬 삽입부(125)의 기단부에 가까운 부분에, 벌룬 삽입부(125)의 주위를 덮도록 설 치되어 있다. 벌룬(127)에 덮인 벌룬 삽입부(125)에는, 유로(126)와 벌룬(127)의 내부 공간을 연통하는 연통 구멍(130)이 형성되어 있다. 최선단부(129)의 내부에는, 유로(126)를 봉지하는 봉지 부재(131)가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유로(126)에 공급된 유체는, 유로(126)의 선단으로부터 누출되는 일 없이 연통 구멍(130)을 통해서 벌룬(127)에 공급된다.
고주파 메스(16)의 조작관(21)의 일단은, 도3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삽입 통과로(136)에, 벌룬 삽입부(125)의 최선단부(129) 근방까지 삽입 통과되고, 조작관(21)의 타단은, 접속부(125b)로부터 밖으로 연장되어 있다. 수술자는, 한 손의 엄지를 손가락 걸이 링(31a)에 걸고, 동일한 손의 검지 및 중지를 나이프 슬라이드부(32)의 손가락 걸이 구멍(32a)에 걸므로써, 나이프 조작부(30)를 한 손만으로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
벌룬 삽입부(125)의 벌룬(127)으로부터 기단부에 가까운 영역에는, 도3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벌룬 삽입부(125)의 선단부(125a)의 점막 하층에의 삽입량을 나타내는 지표(142)가 설치되어 있다. 지표(142)는, 최선단부(129)에서 15㎜ 이간 한 곳으로부터 벌룬 삽입부(125)의 기단을 향해 5㎜씩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점막 박리 시스템(101)을 사용해서, 소화관의 내부에서 생긴 병변부(X)를 점막 하층(W)으로부터 절제하는 점막 박리 방법을, 이하에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점막 박리 방법은, 팽륭 공정과, 개구 공정과, 삽입 공정과, 각도 조정 공정과, 천통 공정과, 길이 조정 공정과, 박리 공정과, 절개 공정을 갖 추고 있다. 각 공정에 대해서,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팽륭 공정을 행한다(도9 참조). 그 후, 개구 공정을 행한다. 즉, 박리 벌룬 삽입 장치(108)의 벌룬 삽입부(125)를 채널(2)에 삽입함과 함께, 벌룬 삽입부(125)의 선단부(125a)를 삽입부(3)의 선단으로부터 돌출시킨다. 계속해서, 나이프 슬라이드부(32)를 벌룬 삽입부(125)의 선단을 향해 이동시킴으로써, 나이프(29)를, 조작관(21)의 선단으로부터 돌출시키고, 다시 벌룬 삽입부(125)의 최선단부(129)로부터 돌출시킨다. 이 상태를 유지한 채로, 전원 접속부(33)에 접속된 고주파 전원으로부터 나이프(29)에 고주파의 전류를 흐르게 하고, 도4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나이프(29)를 전진시켜 병변부(X) 근방의 점막(N)에 소정 크기의 개구(H)를 연다.
개구(H)를 연 후, 고주파 전류의 통전을 정지한다. 그리고, 슬라이드부(25)를 벌룬 삽입부(125)의 선단을 향해 이동시킴으로써, 나이프(29)를 조작관(21) 내에 몰입시킨다.
개구 공정 후, 삽입 공정을 행한다. 즉, 벌룬 삽입부(125)를 채널(2)로부터 발거하고, 대신에 보조 디바이스(107)의 보조 디바이스 삽입부(110)를 채널(2)에 삽입하고, 보조 디바이스 삽입부(110)의 선단부(110a)를 삽입부(3)의 선단으로부터 돌출시킨다. 보조 디바이스 삽입부(110)의 선단부(110a)에는, 판부재(114)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채널(2) 중을 이동할 때, 보조 디바이스 삽입부(110)의 선단부(110a)는, 삽입부(3)의 만곡 각도를 모방하면서 이동한다. 그리고, 보조 디바이스 삽입부(110)의 선단부(110a)를 삽입부(3)의 선단으로부터 돌출시키면, 삽입 부(3)의 만곡 방향(상하 방향)과 판부재(114)의 두께 방향이 일치한다. 여기서, 판부재(114)의 두께 방향, 즉 판부재(114)의 만곡하기 쉬운 방향은, 보조 디바이스 삽입부(110)의 선단부(110a)를 만곡시키는 방향과 일치하고 있다. 따라서, 보조 디바이스 삽입부(110)를 채널(2)에 삽입 통과시키는 것만으로, 보조 디바이스 삽입부(110)의 선단부(110a)를 만곡시키는 방향과, 삽입부(3)의 만곡 방향이 자동적으로 가지런해진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보조 디바이스 삽입부(110)의 조작 와이어(112)복수의 연통 구멍(118)이 설치된 측이, 삽입부(3)의 상부에 배치된다고 가정한다.
그리고, 도4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구(H)에, 보조 디바이스 삽입부(110)의 선단에 설치된 구상부(116)만을 삽입한다. 또한, 이 단계에서는, 보조 디바이스 삽입부(110)의 선단부(110a)는, 소화관의 표면에 대해서 각도(θ)를 이루고 있다.
삽입 공정 후, 각도 조정 공정을 행한다. 즉, 슬라이드부(117)를 조작부 본체(115)에 대해서 보조 디바이스 삽입부(110)의 기단을 향해 이동시킴으로써, 조작 와이어(112)를 인장한다. 조작 와이어(112)의 일단은, 보조 디바이스 삽입부(110)의 선단부(110a)에 설치된 구상부(116)를 개재시켜 보조 디바이스 삽입부(110)의 선단부(110a)에 접속되어 있으므로, 이 인장 조작에 의해 조작 와이어(112)에 작용한 인장력은, 보조 디바이스 삽입부(110)의 선단부(110a)에 전달된다. 이것에 의해, 조작 와이어(112)를 설치한 보조 디바이스 삽입부(110)의 거의 반에 압축력이 작용한다. 한편, 축심(L)을 사이에 두고 조작 와이어(112)와는 반대측의 보조 디 바이스 삽입부(110)에는 인장력이 작용한다. 그 결과, 보조 디바이스 삽입부(110)는, 도4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작 와이어(112) 및 복수의 연통 구멍(118)이 설치된 반을 삽입부(3)의 상방으로 뒤로 젖혀지게 하도록 만곡한다. 특히, 제2 유연부(105)를 중심으로 만곡한다. 이것에 의해, 보조 디바이스 삽입부(110)의 선단부(110a)가, 삽입부(3)의 상방을 향해 만곡한다.
한편, 슬라이드부(117)를 보조 디바이스 삽입부(110)에 대해서 보조 디바이스 삽입부(110)의 선단을 향해 이동시킴으로써, 조작 와이어(112)를 삽입 통과로(111)에 밀어넣는다. 이 압입 조작에 의해 조작 와이어(112)에 작용한 압박력은 보조 디바이스 삽입부(110)의 선단부(110a)에 전달된다. 이것에 의해, 조작 와이어(112)를 설치한 보조 디바이스 삽입부(110)의 거의 반에 인장력이 작용한다. 한편, 축심(L)을 사이에 두고 조작 와이어(112)와는 반대의 보조 디바이스 삽입부(110)의 거의 반에는 압축력이 작용한다. 그 결과, 보조 디바이스 삽입부(110)는, 보조 디바이스 삽입부(110)의 선단부(110a)가, 삽입부(3)의 하방을 향해 만곡한다.
상기의 인장 조작 및 압입 조작을 행함으로써, 보조 디바이스 삽입부(110)의 선단부(110a)가 소화관의 표면에 대해서 거의 평행해지도록, 보조 디바이스 삽입부(110)의 선단부(110a)를 만곡시킨다.
각도 조정 공정 후, 천통 공정을 행한다. 즉, 도4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보조 디바이스 삽입부(110)를 소화관의 표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작동시키고, 지표(121)을 기준으로 하여, 보조 디바이스 삽입부(110)의 선단부(110a)를 개구(H)를 통해서 점막 하층(W)에 밀어넣는다. 이것에 의해, 도4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점막 하층(W)에, 보조 디바이스 삽입부(110)의 외경에 따른 소정 내경의 삽입 루트(R)가, 소화관의 표면에 평행한 방향을 향해 천통된다.
천통 공정 후, 길이 조정 공정을 행한다. 즉, 보조 디바이스 삽입부(110)를 채널(2)로부터 발거하여, 박리 벌룬 삽입 장치(108)의 벌룬 삽입부(125)를 채널(2)에 다시 삽입하고, 벌룬 삽입부(125)의 선단부(125a)를 삽입부(3)의 선단으로부터 돌출시킨다. 그리고, 도4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벌룬 삽입부(125)를 소화관의 표면과 거의 평행한 방향으로 작동시킴으로써 벌룬 삽입부(125)의 선단부(125a)를 삽입 루트(R)를 따라 점막 하층(W)에 밀어넣고, 지표(142)를 기준으로 해서 점막 하층(W)의 소정 위치에 배치한다.
길이 조정 공정 후, 박리 공정을 행한다. 즉, 도시하지 않은 시린지를 사용해서 주입구(128)로부터 유로(126)에 유체를 공급한다. 유로(126)에 공급된 유체는, 연통 구멍(130)을 통해서 벌룬(127)에 공급되고, 도4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벌룬(127)을 팽창시킨다. 이것에 의해, 점막 하층(W)의 일부가 그 밑의 고유근층(W1)으로부터 박리된다. 그 후, 주입구(128)로부터 유체를 일단 방출하고, 벌룬(127)을 원 상태로 수축시킨다. 이것에 의해, 도4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박리된 점막 하층(W)과 고유근층(W1)의 사이에, 공동부(H1)가 형성된다.
박리 공정 후, 절개 공정을 행한다. 즉, 벌룬 삽입부(125)를 점막 하층(W)으로부터 개구(H)의 밖까지 끌어 당겨 되돌리고, 도4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구 공정과 마찬가지로 나이프(29)를 벌룬 삽입부(125)의 최선단부(129)로부터 돌출시 켜, 개구(H)에 삽입한다. 이 상태를 유지하면서, 나이프(29)에 고주파 전류를 흐르게 하고, 나이프(29)를 병변부(X)의 주위를 따라 이동시킨다. 이것에 의해, 도4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구(H) 주위의 점막(N)을 절개한다. 어느 정도의 폭을 절개하여 끝내면 고주파 전류의 통전을 정지하고, 나이프(29)를 조작관(21) 내에 몰입시킨다.
병변부(X)가 크고, 공동부(H1) 하나만으로는 병변부(X)를 포함하는 점막(N)을 점막 하층(W)으로부터 분리할 수 없는 경우는, 전술한 천통 공정, 길이 조정 공정, 박리 공정 및 절개 공정을 반복한다. 즉, 도5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표(121)을 기준으로 하여, 보조 디바이스 삽입부(110)의 선단부(110a)를 개구(H)를 통해서 점막 하층(W)에 다시 삽입하고, 공동부(H1)의 내측에 더 삽입 루트(R)를 천통 한다. 다음에, 도5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표(142)를 기준으로 하여, 벌룬 삽입부(125)를 2번째의 천통 공정에 있어서 형성된 삽입 루트(R)에 삽입한다. 그리고, 도5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벌룬(127)을 팽창시킴으로써, 최초의 박리 공정에서는 박리되지 않았던 점막 하층(W)을 고유근층(W1)으로부터 박리하고, 새로운 공동부를 형성한다. 그 후, 도5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재차 절개 공정을 행한다.
이와 같이, 천통 공정, 길이 조정 공정, 박리 공정 및 절개 공정을, 병변부(X)의 크기에 따라서 적시 반복함으로써, 병변부(X)를 포함하는 점막 하층(W)을 소화관으로부터 절제한다(도25 참조).
본 실시 형태의 점막 박리 장치 및 점막 박리 방법에 의하면, 내시경(4)의 채널(2)에, 보조 디바이스(107)의 보조 디바이스 삽입부(110)와, 박리 벌룬 삽입 장치(108)의 벌룬 삽입부(125)를 교대로 교체하여 삽입하면서, 삽입 루트(R)의 천통 및 점막 하층(W)의 고유근층(W1)으로부터의 박리를 행한다. 따라서, 고주파 메스(16)를 다용하지 않아도, 넓은 범위에 걸쳐 점막 하층(W)을 확실하게 박리할 수 있다. 또한, 수기를 간단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처치에 요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병변부(X)로부터 출혈이 있었다고 해도, 벌룬(127)을 팽창시켜 출혈한 부분을 압박함으로써, 신속히 지혈을 행할 수 있고, 병변부(X)의 점막 하층(W)에 있어서의 우발병을 미연에 막을 수 있다.
부가해서, 보조 디바이스(107)와 박리 벌룬 삽입 장치(108)를 하나의 채널(2)에 교대로 삽입해서 사용하므로, 삽입부(3)가 가는 내시경(4)을 사용할 수 있어, 환자의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다.
보조 디바이스 삽입부(110)의 선단부(110a)에 판부재(114)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보조 디바이스 삽입부(110)의 선단부(110a)의 만곡 방향과, 내시경(4)의 삽입부(3)의 만곡 방향이 자동적으로 가지런해진다. 이것에 의해, 보조 디바이스 삽입부(110)의 선단부(110a)의 만곡 방향을 삽입부(3)의 조작과는 별도로 조정하지 않아도, 보조 디바이스 삽입부(110)의 선단부(110a)를, 삽입부(3)의 만곡 방향과 거의 동일 방향으로 신속하게 만곡 조작할 수 있다. 따라서, 보조 디바이스 삽입부(110)의 선단부(110a)의 소화관의 표면에 대한 각도 조정이 행하기 쉽다. 그 결과, 점막 하층(W)의 박리에 걸리는 수기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벌룬 삽입부(125)의 선단부(125a)를, 보조 디바이스(107)에 의해 천통된 삽 입 루트(R)를 따라 점막 하층(W)에 삽입하므로, 점막 하층(W) 밑에 있는 고유근층(W1)에 벌룬 삽입부(125)의 선단이 박히는 경우는 없다. 이것에 의해, 수술자는 벌룬 삽입부(125)의 선단부(125a)의 삽입량에 관해서 극단적인 주위를 기울일 필요가 없다. 그 결과, 수술자의 기량에 좌우되는 일 없이, 안전한 수기를 행할 수 있고, 수술자의 부담을 대폭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
보조 디바이스 삽입부(110)의 선단부(110a)에는, 제2 유연부(105)로서 기능하는 복수의 연통 구멍(118)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보조 디바이스 삽입부(110)의 선단부(110a)를 용이하게 만곡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내시경(4)의 채널(2)로부터의 보조 디바이스 삽입부(110)의 선단부(110a)의 돌출량이 적었다고 해도, 보조 디바이스 삽입부(110)의 선단부(110a)의 만곡 조작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고, 소화관 내의 한정된 스페이스에 있어서도 확실한 수기를 행할 수 있다.
보조 디바이스 삽입부(110)의 선단에 구상부(116)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천통 공정에 있어서, 보조 디바이스 삽입부(110)의 선단이 점막 하층(W) 밑에 있는 고유근층(W1)에 접촉했다고 해도, 고유근층(W1)이 상처나기 어렵다. 따라서, 수기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보조 디바이스 삽입부(110)에 지표(121)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원하는 깊이의 삽입 루트(R)를 정밀도 높게 천통할 수 있다. 또한, 벌룬 삽입부(125)에 지표(142)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점막 하층(W)에 삽입된 벌룬(127)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그 결과, 점막 하층(W)의 소망 부분을 정확하게 박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점막 박리 장치 및 점막 박리 방법의 제4 실시 형태에 대해, 도54 내지 도67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또한, 상기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이미 설명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4 실시 형태의 점막 박리 시스템(160)은, 도5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시경(4)과, 점막 박리 처치구(점막 박리 장치)(163)와, 점막하 국주침(6)을 갖추고 있다. 점막 박리 처치구(163)는, 고유근층으로부터 점막 하층을 국소적으로 박리하여, 소화관의 병변부를 절제하는 것이며, 보조 디바이스(162)와, 박리 벌룬 삽입 장치(161)로 구성되어 있다. 내시경(4)의 삽입부(3)에 형성된 채널(2)에는, 박리 벌룬 삽입 장치(161)의 벌룬 삽입부(125)가 삽입된다. 벌룬 삽입부(125)에는, 삽입 통과로(180)가 형성되어 있고, 이 삽입 통과로(180)에는, 보조 디바이스(162)의 보조 디바이스 삽입부(170)가 삽입된다.
보조 디바이스(162)는, 점막 하층에 박리 벌룬 삽입 장치(161)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 루트를 형성하는 것이며, 도55 내지 도5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요성을 가지는 보조 디바이스 삽입부(170)와, 보조 디바이스 삽입부(170)의 선단에 설치된 한쌍의 겸자편(172)과, 한쌍의 겸자편(172)을 조작하는 겸자편 조작부(173)를 갖추고 있다.
보조 디바이스 삽입부(170)는, 벌룬(162)의 삽입 통과로(180)보다 긴 관상체이다. 보조 디바이스 삽입부(170)의 선단에는, 선단 커버(174)가 부착되고, 한쌍의 겸자편(172)은, 선단 커버(174)에 개폐 자재로 핀 결합되어 있다. 보조 디바이스 삽입부(170)의 내부에는, 조작 와이어(176)가 삽입 통과되어 있고, 조작 와이 어(176)의 일단은 2개로 분기되어, 한쌍의 겸자편(172)에 접속되어 있다.
겸자편 조작부(173)는, 보조 디바이스 삽입부(170)의 기단에 설치되고, 조작부 본체(175)와, 조작부 본체(175)에 대해서 슬라이드 가능한 슬라이드부(177)를 갖추고 있다. 조작 와이어(176)의 타단은, 슬라이드부(177)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슬라이드부(177)를 조작부 본체(175)에 대해서 보조 디바이스 삽입부(170)의 기단을 향해 이동시킴으로써, 도5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작 와이어(176)가 인장되고, 이것에 의해 한쌍의 겸자편(172)이 닫힌다. 슬라이드부(177)를 조작부 본체(175)에 대해서 보조 디바이스 삽입부(170)의 선단을 향해 이동시킴으로써, 도5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작 와이어(176)가 밀리고, 이것에 의해 한쌍의 겸자편(172)이 열린다.
또한, 조작부 본체(175)의 기단에는, 엄지를 삽입할 수 있는 손가락 걸이 링(175a)이 부착되고, 슬라이드부(177)의 중앙 부분에는, 검지 및 중지를 걸 수 있는 오목부(177a)가 형성되어 있다. 수술자는, 한 손의 엄지를 손가락 걸이 링(175)에 걸고, 동일한 손의 검지 및 중지를 오목부(177a)에 걸므로써, 한쌍의 겸자편(172)의 개폐 조작을 한 손만으로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보조 디바이스 삽입부(170)의 한쌍의 겸자편(172)으로부터 기단부에 가까운 소정의 영역에는, 도5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축심(L)을 끼우도록 지름 방향으로 이간한 2개의 평면(171a, 171b)이 형성되어 있다. 평면(171a, 171b)이 형성됨으로써, 평면(171a, 171b)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의 직경보다 그 밖의 부분의 직경 쪽이 짧아져 있으므로, 보조 디바이스 삽입부(170)는, 2개의 평면이 늘어서는 방향(α방 향)으로, 그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β방향)보다 구부러지기 쉽다. α방향은, 한쌍의 겸자편(172)의 개폐 방향에 직교한다. 평면(171a, 171b)이 형성된 영역은, 어느 크기 이상의 힘이 작용했을 때, 다른 영역보다 앞서 α방향으로 만곡하는 제2 유연부(171)로서 기능한다. 즉, 제2 유연부(171)는, 보조 디바이스 삽입부(170)의 선단이 점막 하층(W) 밑에 있는 고유근층(W1)에 접촉했을 때에 받는 반력에 의해 상방으로 젖혀지도록 만곡한다.
박리 벌룬 삽입 장치(161)의 벌룬 삽입부(125)는 긴 관상체이며, 도59 및 도6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기단으로부터 선단에 걸쳐, 유로(126)를 따라 삽입 통과로(180)가 형성되어 있다. 삽입 통과로(180)에는, 보조 디바이스(162)가 삽입 통과된다. 삽입 통과로(180)의 기단에는, 보조 디바이스(162)를 삽입하는 삽입구(181)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점막 박리 시스템(160)을 사용해서, 소화관의 내부에서 생긴 병변부(X)를 점막 하층(W)으로부터 절제하는 점막 박리 방법을, 이하에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점막 박리 방법은, 팽륭 공정과, 개구 공정과, 삽입 공정과, 천통 공정과, 길이 조정 공정과, 박리 공정과, 절개 공정을 갖추고 있다. 각 공정에 대해서,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팽륭 공정을 행한다(도9 참조). 그 후, 개구 공정을 행한다. 즉, 벌룬 삽입부(125)의 삽입 통과로(180)에 보조 디바이스(162)의 보조 디바이스 삽입부(170)를 삽입하고, 그 벌룬 삽입부(125)를, 삽입 부(3)의 채널(2)에 삽입한다. 그 후, 나이프(29)를 사용해서, 팽륭시킨 병변부(X) 근방의 점막(N)에 소정 크기의 개구(H)를 연다.
개구(H)를 연 후, 보조 디바이스 삽입부(170)를 삽입 통과로(180)에 더 밀어넣어, 도6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보조 디바이스 삽입부(170)의 선단을 벌룬 삽입부(125)의 선단으로부터 돌출시킨다. 이 때, 보조 디바이스 삽입부(170)가 상향으로 만곡하도록, 제2 유연부(171)의 축심(L) 회전의 위치를 조정한다. 즉, 도6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술한 α방향이 지면에 대해서 평행한 방향으로 되도록, 보조 디바이스 삽입부(170)를 축심(L) 회전으로 회전시킨다.
개구 공정 후, 삽입 공정을 행한다. 즉, 도6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구(H)를 통해서 점막 하층(W)에 벌룬 삽입부(125)의 최선단부(129)를 삽입한다. 이 단계에서는, 벌룬 삽입부(125)의 선단부(125ac)는, 소화관의 표면에 대해서 각도(θ)를 이루고 있다.
삽입 공정 후, 천통 공정을 행한다. 즉, 개구(H)를 통해서 점막 하층(W)에 보조 디바이스 삽입부(170)의 한쌍의 겸자편(172)을 삽입한다. 삽입을 개시한 시점에서는, 보조 디바이스 삽입부(170)의 선단부는, 소화관의 표면에 대해서 각도(θ)를 이룬 채로, 점막 하층(W) 밑의 고유근층(W1)을 향해 진행된다. 그리고, 도6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보조 디바이스 삽입부(170)의 선단에 설치된 한쌍의 겸자편(172)이, 점막 하층(W)보다 딱딱한 고유근층(W1)에 접촉하면, 보조 디바이스 삽입부(170)는 고유근층(W1)으로부터의 반력을 받아 제2 유연부(171)의 단면 특성에 의해 상방으로 젖혀지도록 만곡한다. 이것에 의해, 보조 디바이스 삽입부(170) 의 선단은, 고유근층(W1)의 표면(소화관의 표면)을 따르는 방향으로 방향을 바꿔 점막 하층(W) 내로 전진한다.
삽입 루트(R)를 천통할 때에는, 도6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슬라이드부(177)를 조작부 본체(175)에 대해서 누르거나 당기거나 해서, 한쌍의 겸자편(172)을 개폐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쌍의 겸자편(172)을 개폐시킴으로써, 한쌍의 겸자편(172)이 생체 조직을 눌러 확대하면서 점막 하층(W) 내로 전진하므로, 삽입 루트(R)가 확실하게 형성된다.
천통 공정 후, 길이 조정 공정을 행한다. 즉, 보조 디바이스(162)를 정위치로 유지한 채로, 박리 벌룬 삽입 장치(161)의 벌룬 삽입부(125)를, 지표(142)를 기준으로 해서 채널(2)에 밀어넣는다. 이것에 의해, 벌룬 삽입부(125)가 삽입 루트(R)를 따라 이동해서 점막 하층(W)에 삽입됨과 함께, 보조 디바이스(162)의 보조 디바이스 삽입부(170)가 벌룬 삽입부(125)의 삽입 통과로(180)에 몰입한다. 이 때, 벌룬 삽입부(125)는, 삽입 루트(R)를 따라 이동하므로, 소화관의 표면에 대해서 평행하게 점막 하층(W)에 삽입된다. 또한, 도6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삽입 루트(R)의 최오부의 점막 하층(W)을 한쌍의 겸자편(172)으로 파지하고, 이 상태를 유지한 채로, 도6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벌룬 삽입부(125)를 삽입 루트(R)에 밀어넣는 것이 바람직하다.
길이 조정 공정 후,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박리 공정과, 절개 공정을 행한다. 이와 같이, 천통 공정, 길이 조정 공정, 박리 공정 및 절개 공정을, 병변부(X)의 크기에 따라서 적시 반복함으로써, 병변부(X)를 포함하는 점막 하층(W)을 소화관으로부터 절제한다(도25 참조).
본 실시 형태의 점막 박리 장치 및 점막 박리 방법에 의하면, 벌룬 삽입부(125)의 선단부(125a)를, 보조 디바이스(162)에 의해 천통된 삽입 루트(R)를 따라 점막 하층(W)에 삽입하므로, 제3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점막 하층(W) 밑에 있는 고유근층(W1)에 벌룬 삽입부(125)의 선단이 박히는 경우는 없다. 이것에 의해, 수술자의 기량에 좌우되는 일 없이, 안전한 수기를 행할 수 있고, 수술자의 부담을 대폭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
박리 벌룬 삽입 장치(161)의 삽입 통과로(180)를 이용해서 보조 디바이스(162)의 보조 디바이스 삽입부(170)를 소화관 내에 삽입하므로, 보조 디바이스(162)와 박리 벌룬 삽입 장치(161)의 교체를 행할 필요가 없다. 이것에 의해, 수기에 요하는 시간의 단축할 수 있다.
보조 디바이스(162)는, 한쌍의 겸자편(172)을 갖추고 있으므로, 삽입 루트(R)를 용이하게 천통할 수 있다. 또한, 한쌍의 겸자편(172)으로 삽입 루트(R)의 최내측의 생체 조직을 파지함으로써, 보조 디바이스 삽입부(170)의 선단이 정위치로 유지된 채로, 삽입 루트(R)에 벌룬 삽입부(125)가 삽입되므로, 용이하게 길이 조정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제3 실시 형태에서는, 보조 디바이스 삽입부(110)의 선단부(110a)만을 개구(H)에 삽입한 후, 보조 디바이스 삽입부(110)의 선단부(110a)의 만곡 각도를 조정한다. 그렇지만, 보조 디바이스 삽입부(110)의 선단부(110a)의 만곡 각도를 조정한 후, 보조 디바이스 삽입부(110)의 선단부(110a)를 점막 하층(W)에 삽입해도 된다.
제3 실시 형태에서는, 보조 디바이스(107)에 구상부(116)가 설치되어 있다. 그렇지만, 보조 디바이스(107)에, 제4 실시 형태와 같이 한쌍의 겸자편(172)을 설치해도 되고, 보조 디바이스(162)에, 제3 실시 형태와 같이 구상부(116)를 설치해도 된다.
제3, 제4 실시 형태에서는, 박리 벌룬 삽입 장치(108, 161)는, 하나의 채널(2)를 가지는 내시경(4)에 적용된다. 그렇지만, 박리 벌룬 삽입 장치(108, 161)를, 채널(2)에 부가해서, 삽입부(3)에 설치된 또 하나의 채널(제2 채널)을 가지는 내시경에 적용해도 된다. 이 경우, 채널(2)에 박리 벌룬 삽입 장치(108, 161)을 삽입하고, 또 하나의 채널에 점막하 국주침(6)을 삽입 통과하면 된다. 이것에 의해, 박리 벌룬 삽입 장치(108) 또는 보조 디바이스(107) 중 어느 한쪽과 점막하 국주침(6)을, 소화관의 내부에 함께 삽입할 수 있으므로, 팽륭 공정에 있어서 병변부(X)를 팽륭시킨 후, 처치구를 바꿔 넣지 않아도, 신속하게 박리 공정으로 이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병변부(X)의 팽륭으로부터 점막 하층(W)의 박리에 요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제2 채널에, 점막하 국주침(6)이 아니라, 병변부(X)를 파지하는 파지겸자를 삽입해도 된다. 이 경우, 소화관의 내부에, 제2 채널을 통해서 박리 벌룬 삽입 장치(108) 또는 보조 디바이스(107) 중 어느 한쪽과 파지겸자를 함께 삽입할 수 있으므로, 파지겸자를 사용해서 병변부(X)를 파지한채로 점막을 박리할 수 있다. 따라서, 이미 박리된 병변부(X)에 방해받는 일 없이 벌룬(127)을 점막 하층(W)에 정확 하게 삽입하거나, 병변부(X)가 도망치지 않게 제대로 파지하고 나서 점막 하층(W)의 박리를 행할 수 있다. 그 결과, 정확한 수기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제4 실시 형태의 박리 벌룬 삽입 장치(161)와, 제3 실시 형태의 보조 디바이스(107)로 점막 박리 장치를 구성해도 된다. 이것에 의해, 보조 디바이스(107)를 박리 벌룬 삽입 장치(161)의 삽입 통과로(180)를 개재시켜 소화관의 내부에 용이하게 도입할 수 있으므로, 박리 벌룬 삽입 장치(108)와 보조 디바이스(107)를 바꿔넣는 수고를 생략할 수 있다. 그 밖의 작용 효과는, 제3 실시 형태와 동일하다.
본 발명의 점막 박리 장치 및 점막 박리 방법의 제5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68 내지 도75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상기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이미 설명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 형태의 점막 박리 시스템(201)은, 도6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시경(4)과, 박리 벌룬 삽입 장치(점막 박리 장치)(108)와, 점막하 국주침(6)을 갖추고 있다. 내시경(4)의 삽입부(3)에 형성된 채널(2)에는, 박리 벌룬 삽입 장치(108) 또는 점막하 국주침(6) 중 어느 하나가, 필요에 따라서 겸자구(8)로부터 삽입된다.
도6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벌룬 삽입부(125)의 최선단부(제3 유연부)(220)는, 최선단을 향해 점차 축경하도록 테이퍼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최선단부(220)의 강성은, 소화관 관벽의 강성의 유연 한계보다 높고, 또한 소화관 관벽의 강성의 경질 한계보다 낮은 값으로 설정되어 있다. 여기서, 유연 한계란, 그 이상 부드러 워지면 점막 하층에 삽입할 수 없게 되는 강성의 한계를 말하고, 경질 한계란, 그 이상 딱딱해지면 점막 하층의 밑에 있는 고유근층에 천공할 가능성이 있는 강성의 한계를 말한다. 바꿔 말하면, 최선단부(220)의 강성은, 점막 하층의 강성보다 높고, 또한 고유근층의 강성보다 낮다. 이것에 의해, 최선단부(220)는, 점막 하층에 삽입된 것만으로는 만곡하지 않고, 고유근층에 부딪치면 만곡한다.
최선단부(220)의 강성의 유연 한계 및 경질 한계에 대해서 보충해서 설명한다. 도75의 표에는, 선단부의 외경이 다른 복수 종류의 카테터를 사용하고, 이것들을 돼지의 대장에 삽입할 때의, 카테터에 작용시키는 힘의 한계의 선단부의 강성의 유연 한계 및 경질 한계를 측정한 예를 나타낸다.
예를 들면, 선단부의 외형이 0.8㎜의 카테터에 있어서는, 이 카테터를 1.7N에 못 미친 힘량으로 돼지의 대장에 삽입하려고 하면, 힘량이 너무 작아 실제로는 삽입할 수 없다. 한편, 1.7N이상의 힘량으로 카테터를 삽입하려고 하면, 돼지의 대장의 점막 하층에의 삽입은 가능해진다. 또한, 2.5N을 넘는 힘량으로 카테터를 삽입하려고 하면, 점막 하층의 밑에 있는 고유근층을 천공해 버린다.
도75에 도시하는 각 예는, 돼지의 대장을 대상으로 하고 있지만, 인간의 대장은 돼지의 대장보다 강성이 높고, 실제로는, 인간의 대장의 유연 한계 및 경질 한계는, 이들 값은, 1.5 내지 2.0배 정도로 된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경우, 박리 벌룬 삽입 장치(108)는 사람의 소화관에 사용되므로, 최선단부(220)의 강성도, 인간의 소화관 관벽의 강성의 유연 한계, 및 상기 관벽의 강성의 경질 한계를 기준으로 해서 설정된다.
최선단부(220)의 강성을 적당치로 설정하는 방법으로서는, 적절한 강성을 갖추는 재질을 선택하거나 최선단부(220)의 두께를 변화시키거나 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점막 박리 시스템(201)을 사용해서, 소화관의 내부에서 생긴 병변부(X)를 점막 하층(W)으로부터 절제하는 점막 박리 방법을, 이하에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점막 박리 방법은, 팽륭 공정과, 개구 공정과, 삽입 공정과, 길이 조정 공정과, 만곡 공정과, 박리 공정과, 절개 공정을 갖추고 있다. 각 공정에 대해서,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제1, 제2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팽륭 공정과 개구 공정을 행한다(도9 및 도40 참조). 그 후, 삽입 공정을 행한다. 즉, 나이프(29)를 몰입시킨 후, 도6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구(H)에 벌룬 삽입부(125)의 최선단부(220)만을 삽입한다.
삽입 공정 후, 길이 조정 공정을 행한다. 즉, 도7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표(142)를 기준으로 하여, 벌룬 삽입부(125)의 선단부(125a)를 점막 하층(W)에 밀어 넣는다. 계속해서 만곡 공정을 행한다. 즉, 벌룬 삽입부(125)의 선단부(125a)를 점막 하층(W)에 더 밀어넣는다. 벌룬 삽입부(125)의 최선단부(220)가 고유근층(W1)에 부딪치면, 도7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최선단부(220)가 만곡한다. 또한, 벌룬 삽입부(125)의 최선단부(220)가 고유근층(W1)에 이르면, 수술자가 아무런 움직임을 하지 않아도 길이 조정 공정으로부터 만곡 공정으로 자동적으로 이행 한다. 따라서, 만곡 공정은 길이 조정 공정의 일부로서 취급해도 된다.
여기서, 수술자가 박리 벌룬 삽입 장치(108)를 채널(2)에 밀어넣는 힘이 약한 경우에는 문제가 생기지 않는다. 그렇지만, 잘못해서 강한 힘으로 밀어넣었을 경우에는, 최선단부(220)가 고유근층(W1)을 천공할 가능성이 있다. 이 경우에도, 벌룬 삽입부(125)의 최선단부(220)의 강성이, 소화관 관벽의 강성의 유연 한계보다 높고, 또한 상기 관벽의 강성의 경질 한계보다 낮은 값으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잘못해서 강한 힘으로 삽입되었다고 해도, 최선단부(220)가 만곡하여, 최선단부(220)에 작용하는 힘을 풀어준다. 그 때문에, 최선단부(220)가 고유근층(W1)을 천공하는 일은 없다.
수술자는, 박리 벌룬 삽입 장치(108)를 삽입하는데 필요한 힘의 세기가 변화함으로써, 최선단부(220)가 고유근층(W1)에 이르러 만곡한 것을 인지한다.
만곡 공정 후, 박리 공정을 행한다. 즉, 도시하지 않은 시린지를 사용해서 주입구(128)로부터 유로(126)에 유체를 공급한다. 유로(126)에 공급된 유체는, 연통 구멍(130)을 통해서 벌룬(127)에 공급되고, 도7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벌룬(127)을 팽창시킨다. 이것에 의해, 점막 하층(W)의 일부가 그 밑의 고유근층(W1)으로부터 박리된다. 그 후, 주입구(128)로부터 유체를 일단 방출하고, 벌룬(127)을 원 상태로 수축시킨다. 이것에 의해, 박리된 점막 하층(W)과 고유근층(W1)의 사이에, 공동부(H1)가 형성된다.
박리 공정 후, 절개 공정을 행한다. 즉, 벌룬 삽입부(125)를 점막 하층(W)으로부터 개구(H)의 밖까지 끌어 당겨 되돌리고, 개구 공정과 마찬가지로 나이 프(29)를 벌룬 삽입부(125)의 최선단부(220)로부터 돌출시켜, 개구(H)에 삽입한다(도20 참조). 이 상태를 유지하면서, 나이프(29)에 고주파 전류를 흐르게 하고, 벌룬 삽입부(125)의 선단을 병변부(X)의 주위를 따라 이동시킨다. 그리고, 개구(H) 주위의 점막(N)을 나이프(29)에 의해 절개한다(도21 참조). 어느 정도의 폭을 절개하여 끝내면, 고주파 전류의 통전을 정지하고, 나이프(29)를 조작관(21)의 내부에 몰입시킨다.
병변부(X)가 크고, 공동부(H1) 하나만으로는 병변부(X)를 포함하는 점막(N)을 점막 하층(W)으로부터 분리할 수 없는 경우는, 전술한 길이 조정 공정, 박리 공정 및 절개 공정을 반복한다. 즉, 도7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표(142)를 기준으로 하여, 벌룬 삽입부(125)의 선단부(125a)를 개구(H)를 통해서 점막 하층(W)에 다시 삽입하고, 벌룬 삽입부(125)의 선단부(125a)를 공동부(H1)의 내측으로 더 밀어 넣는다. 다음에, 도7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벌룬(127)을 팽창시킴으로써, 최초의 박리 공정에서는 박리되지 않았던 점막 하층(W)을 고유근층(W1)으로부터 박리하고, 새로운 공동부(H2)를 형성한다. 그 후, 다시 절개 공정을 행한다(도53 참조).
이와 같이, 길이 조정 공정(만곡 공정을 포함한다), 박리 공정 및 절개 공정을, 병변부(X)의 크기에 따라서 반복함으로써, 병변부(X)를 포함하는 점막 하층(W)을 소화관으로부터 절제한다(도25 참조).
본 실시 형태의 점막 박리 장치 및 점막 박리 방법에 의하면, 벌룬 삽입부(125)의 최선단부(220)의 강성이, 소화관 관벽의 강성의 유연 한계보다 높고, 또 한 상기 관벽의 강성의 경질 한계보다 낮은 값으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잘못해서 강한 힘으로 삽입되었다고 해도, 최선단부(220)가 만곡하여, 최선단부(220)에 작용하는 힘을 풀어준다. 따라서, 최선단부(220)가 고유근층(W1)을 천공하는 일은 없다.
또한, 벌룬 삽입부(125)를 채널(2)에 밀어넣기 위해서 벌룬 삽입부(125)의 기단에 부여되는 압박력을 선단에 로스 없이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삽입 시의 조작성이 저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점막 박리 장치 및 점막 박리 방법의 제6 실시 형태에 대해, 도76 내지 도80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또한, 상기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이미 설명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6 실시 형태의 박리 벌룬 삽입 장치(203)는, 선단부(제3 유연부)(255)가, 제5 실시 형태의 최선단부(220)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다. 박리 벌룬 삽입 장치(203)의 벌룬 삽입부(125)의 선단부에는, 도77 내지 도7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판부재(252)가 배치되어 있다. 판부재(252)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 등의 탄성 재료로 이루어지고, 폭이 좁은 단책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판부재(252)의 폭방향에 따른 단면은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판부재(252)는, 두께 방향으로 만곡하기 쉬운 단면 특성을 가지고 있고, 벌룬 삽입부(125)의 선단부(255)의 중심을 사이에 두고 유로(126)과는 반대로 설치되어 있다. 즉, 판부재(252)의 만곡하기 쉬운 방향과, 벌룬 삽입부(125)의 선단부(255)를 만곡시켜야 할 방향이 일치하고 있다. 판부재(252)의 길이는, 벌룬 삽입부(125)를 내시경(4)의 채널(2)에 삽입하고, 삽입 부(3)의 선단으로부터 돌출시켰을 때의 길이 이상으로 설정되어 있다.
벌룬 삽입부(125)에는, 판부재(252)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 통과로(230)가 형성되어 있다. 판부재(252)는, 삽입 통과로(230)에 벌룬 삽입부(125)의 선단으로부터 삽입되어 있고, 삽입 통과로(230)의 내면과의 마찰력에 의해 삽입 통과로(230)의 내측에 보유되어 있다. 벌룬 삽입부(125)의 선단부(255)의 내부에는, 삽입 통과로(230)을 봉지하는 봉지 부재(254)가 설치되어 있다.
판부재(252)가 설치됨으로써, 벌룬 삽입부(125)의 선단부(255)에는, 외력이 작용하면 일정한 곡률로 만곡하는 특성이 부여되어 있다. 또한, 선단부(255)는, 판부재(252)의 두께 방향(도77의 A방향)으로는 만곡하기 쉽고, 판부재(252)의 폭방향(도77의 B방향)으로는 만곡하기 어려워진다. 선단부(255)의 강성은, 소화관 관벽의 강성의 유연 한계보다 높고, 또한 상기 관벽의 강성의 경질 한계보다 낮은 값으로 설정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박리 벌룬 삽입 장치(203)를 사용해서, 소화관의 내부에서 생긴 병변부(X)를 점막 하층(W)으로부터 절제하는 점막 박리 방법을, 이하에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점막 박리 방법은, 팽륭 공정과 개구 공정과 삽입 공정과 길이 조정 공정(만곡 공정을 포함한다)과, 박리 공정과, 절개 공정을 갖추고 있다. 각 공정에 대해서,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제5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팽륭 공정, 개구 공정 및 삽입 공정을 행한다. 그 후, 만곡 공정을 포함하는 길이 조정 공정을 행한다. 이 때, 벌룬 삽입부(125)의 내부에 배치된 판부재(252)의 폭방향이 병변부(X)의 근방의 소화관의 벽 면과 거의 평행해지도록, 내시경(4)의 삽입부(3)의 선단으로부터 돌출시킨 벌룬 삽입부(125)를, 그 축심 회전으로 회전시킨다. 게다가, 지표(142)를 기준으로 하여, 벌룬 삽입부(125)를 점막 하층(W)에 밀어넣는다. 벌룬 삽입부(125)의 최선단부(129)가 고유근층(W1)에 부딪치면, 최선단부(129)는, 소화관의 관벽으로부터 반력을 받는다. 벌룬 삽입부(125)의 최선단부(129)에 반력이 작용하면, 도8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선단부(255)가 일정한 곡률로 만곡하여, 벌룬 삽입부(125)의 선단부(125a)가 고유근층(W1)과 거의 평행으로 된다.
여기에서도, 수술자가 박리 벌룬 삽입 장치(203)를 채널(2)에 밀어넣는 힘이 약한 경우에는 문제가 생기지 않는다. 그렇지만, 잘못해서 강한 힘으로 밀어넣었을 경우에는, 최선단부(129)가 고유근층(W1)을 천공할 가능성이 있다. 이 경우에도, 벌룬 삽입부(125)의 선단부(255)의 강성이, 소화관 관벽의 강성의 유연 한계보다 높고, 또한 상기 관벽의 강성의 경질 한계보다 낮은 값으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잘못해서 강한 힘으로 삽입되었다고 해도, 선단부(255)가 만곡하여, 최선단부(129)에 작용하는 힘을 풀어준다. 그 때문에, 최선단부(129)가 고유근층(W1)을 천공하는 일은 없다.
만곡 공정 후, 제5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박리 공정과, 절개 공정을 행한다. 또한 필요하면, 길이 조정 공정(만곡 공정을 포함한다), 박리 공정 및 절개 공정을, 병변부(X)의 크기에 따라서 반복함으로써, 병변부(X)를 포함하는 점막 하층(W)을 소화관으로부터 절제한다.
본 실시 형태의 점막 박리 장치 및 점막 박리 방법에 의하면, 벌룬 삽입 부(125)의 선단부(255)의 강성이, 소화관 관벽의 강성의 유연 한계보다 높고, 또한 상기 관벽의 강성의 경질 한계보다 낮은 값으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잘못해서 강한 힘으로 삽입되었다고 해도, 선단부(255)가 만곡하여, 최선단부(129)에 작용하는 힘을 풀어준다. 따라서, 최선단부(129)가 고유근층(W1)을 천공하는 일은 없다. 또한, 벌룬 삽입부(125)의 선단부(255)를 만곡시키면, 선단부(255)가 고유근층(W1)과 거의 평행으로 되므로, 삽입 공정에 있어서 벌룬 삽입부(125)의 선단부(255)를 고유근층(W1)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벌룬 삽입부(125)의 선단부(255)를 만곡시킨 후, 벌룬 삽입부(125)의 삽입을 정지시키는 일 없이 선단부(255)를 소정의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벌룬 삽입부(125)의 선단부(255)에는, 외력이 작용하면 일정한 곡률로 만곡하는 특성이 부여되어 있으므로, 수술자는, 벌룬 삽입부(125)의 최선단부(129)가 고유근층(W1)에 부딪쳤을 때의 선단부(255)의 거동을 어느 정도 예측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에 의해, 선단부(255)를 원하는 위치에 적확하게 배치할 수 있다.
또한, 벌룬 삽입부(125)의 선단부(255)가 소정의 방향으로 만곡하기 쉽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벌룬 삽입부(125)의 채널(2)에의 삽입시의 자세를 제어하여, 벌룬 삽입부(125)의 선단부(255)의 만곡하기 쉬운 방향을 적절히 조정함으로써, 벌룬 삽입부(125)의 선단부(125a)를, 고유근층(W1)과 거의 평행해지도록 만곡시킬 수 있다. 따라서, 최선단부(129)가 고유근층(W1)을 천공하는 일은 없다. 또한, 벌룬 삽입부(125)의 선단부(255)를 만곡시킨 후, 벌룬 삽입부(125)의 삽입을 정지시키는 일 없이 선단부(255)를 소정의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고주파 메스(16)를 갖추는 박리 벌룬 삽입 장치(108)가 사용되고 있다. 그렇지만, 고주파 메스 등의 고주파 절개구를 포함하지 않는 박리 벌룬 삽입 장치를, 공지의 고주파 절개구와 병용해도 된다. 또한, 채널을 3개 이상 설치해도 된다.
본 발명의 점막 박리 장치 및 점막 박리 방법의 제7 실시 형태에 대해, 도81 내지 도89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또한, 상기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이미 설명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 형태의 점막 박리 시스템(301)은, 도8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시경(4)과, 점막 박리 처치구(점막 박리 장치)(302)와, 점막하 국주침(6)을 갖추고 있다. 점막 박리 장치(302)는, 고유근층으로부터 점막 하층을 국소적으로 박리하여, 소화관의 병변부를 절제하는 것이며, 삽입 보조구(308)와, 박리 벌룬 삽입 장치(108)(도36 참조)로 구성되어 있다. 내시경(4)의 삽입부(3)에 형성된 채널(2)에는, 점막하 국주침(6)이, 필요에 따라서 겸자구(8)로부터 삽입된다.
삽입 보조구(308)는, 도82 및 도8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삽입부(3)의 선단에 장착되는 캡(320)과, 내시경(4)의 삽입부(3)에 장착되는 외부착 채널(326)을 갖추고 있다. 캡(320)은, 탄성을 가지는 재료로 이루어지고, 외부착 채널(326)에 삽입 통과된 박리 벌룬 삽입 장치(108)의 벌룬 삽입부(125)의 선단부(125a)를 만곡시키는 만곡부(307)와, 삽입부(3)의 선단이 삽입되는 접속부(325)를 갖추고 있다. 만곡부(307)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접속부(325)는, 만곡부(307)의 기단에 설치되어 있다. 만곡부(307)와 접속부(325)의 사이에는, 삽입부(3)의 선단에 캡(320)을 장착했을 때에 삽입부(3)의 선단을 만곡부(307)의 내측에 노출시키는 관통공(327)이 형성되어 있다. 만곡부(307)의 선단에는, 관강기관의 벽면에 맞닿으면 변형하는 돌출부(제4 유연부)(328)가 형성되어 있다. 만곡부(307)의 선단의 개구부(330)는, 돌출부(328)가 형성됨으로써, 만곡부(307)의 중심축선(C)에 대해 비스듬하게 경사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캡(320)에는, 캡(320)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관통하는 관통공(329)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공(329)에는, 외부착 채널(326)의 선단이, 캡(320)의 외측에서 내측을 향해 삽입되어 있다.
외부착 채널(326)은, 가요성을 가지는 관상체이며, 내시경(4)에 장착된 상태로, 기단이 겸자구(8)에 이르는 길이로 설정되어 있다. 외부착 채널(326)의 기단에는, 외부착 채널(326)을 구성하는 재질보다 딱딱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삽입구(331)가 설치되어 있다. 외부착 채널(326)은, 삽입부(3)를 따르게 하도록 해서 내시경(4)에 장착된다. 외부착 채널(326)의 선단은, 삽입부(3)의 선단에 장착된 캡(320)의 관통공(329)에 삽입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점막 박리 시스템(301)을 사용해서, 소화관의 내부에서 생긴 병변부(X)를 점막 하층(W)으로부터 절제하는 점막 박리 방법을, 이하에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점막 박리 방법은, 팽륭 공정과, 개구 공정과, 삽입 공정과, 각도 조정 공정과, 길이 조정 공정과, 박리 공정과, 절개 공정을 갖추고 있다. 각 공정에 대해서,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팽륭 공정을 행한다(도11 참조). 그 후, 개구 공정을 행한다. 즉, 박리 벌룬 삽입 장치(108)의 벌룬 삽입부(125)를 외부착 채널(326)에 삽입하고, 벌룬 삽입부(125)의 선단부(125a)를 삽입부(3)의 선단에 장착된 캡(320)의 관통공(327)으로부터 돌출시킨다.
벌룬 삽입부(125)의 선단부(125a)를 삽입부(3)의 선단으로부터 돌출시킨 후, 나이프 슬라이드부(32)를 벌룬 삽입부(125)의 선단을 향해 이동시킴으로써, 나이프(29)를 조작관(21)의 선단으로부터 돌출시키고, 다시 벌룬 삽입부(125)의 최선단부(129)로부터 돌출시킨다. 이 상태를 유지한 채로, 전원 접속부(33)에 접속된 고주파 전원으로부터 나이프(29)에 고주파의 전류를 흐르게 하고, 나이프(29)를 전진시켜 병변부(X) 근방의 점막(N)에 소정 크기의 개구(H)를 연다(도14 참조). 개구(H)를 연 후, 고주파 전류의 통전을 정지한다. 그리고, 슬라이드부(25)를 벌룬 삽입부(125)의 선단을 향해 이동시킴으로써, 나이프(29)를 조작관(21)에 몰입시킨다.
개구 공정 후, 삽입 공정을 행한다. 즉, 나이프(29)를 몰입시킨 후, 도8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구(H)에 벌룬 삽입부(125)의 최선단부(129)만을 삽입한다.
삽입 공정 후, 각도 조정 공정을 행한다. 즉, 캡(320)의 돌출부(328)를 개구(H)의 근방의 소화관의 벽면에 맞닿게 한다. 이 때, 캡(320)의 만곡부(307)가 소화관의 벽면으로부터 반발력을 받는다. 그렇지만 만곡부(307)가 이 반발력에 굴해 변형할 정도의 경도로 되어 있으므로, 돌출부(328)를 포함하는 만곡부(307)가 소화관의 벽면을 따라 굴곡한다.
이 때, 만곡부(307)에 삽입된 벌룬 삽입부(125)의 선단부(125a)도 가요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만곡부(307)의 내면을 따라 만곡한다. 이렇게 해서, 도8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벌룬 삽입부(125)의 최선단부(129)와 고유근층(W1)이 거의 평행 상태로 될 때까지 삽입부(3)를 만곡 조작해서 만곡부(307)를 변형시킨다.
각도 조정 공정 후, 길이 조정 공정을 행한다. 즉, 도8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만곡부(307)를 만곡시킨 채로, 벌룬 삽입부(125)를 소화관의 표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작동시킴으로써 벌룬 삽입부(125)의 선단부(125a)를 개구(H)를 통해서 점막 하층(W)에 밀어넣고, 지표(142)를 기준으로 해서 벌룬 삽입부(125)의 선단부(125a)를 점막 하층(W)의 소정 위치에 배치한다.
길이 조정 공정 후, 박리 공정을 행한다. 즉, 도시하지 않은 시린지를 사용해서 주입구(128)로부터 유로(126)에 유체를 공급한다. 유로(126)에 공급된 유체는, 연통 구멍(130)을 통해서 벌룬(127)에 공급되고, 도8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벌룬(127)을 팽창시킨다. 이것에 의해, 점막 하층(W)의 일부가 그 밑의 고유근층(W1)으로부터 박리된다. 그 후, 주입구(128)로부터 유체를 일단 방출하고, 벌룬(127)을 원 상태로 수축시킨다. 이것에 의해, 박리된 점막 하층(W)과 그 밑의 생체 조직의 사이에, 공동부(H1)가 형성된다(도88 참조).
박리 공정 후, 절개 공정을 행한다. 즉, 벌룬 삽입부(125)를 점막 하층(W)으로부터 개구(H)의 밖까지 끌어 당겨 되돌리고, 개구 공정과 마찬가지로 나이프(29)를 벌룬 삽입부(125)의 최선단부(129)로부터 돌출시켜, 개구(H)에 삽입한다(도20 참조). 이 상태를 유지하면서, 나이프(29)에 고주파 전류를 흐르게 하고, 벌룬 삽입부(125)의 선단을 병변부(X)의 주위를 따라 이동시킨다. 그리고, 개 구(H) 주위의 점막(N)을 나이프(29)에 의해 절개한다(도21 참조). 어느 정도의 폭을 절개하여 끝내면 고주파 전류의 통전을 정지하고, 나이프(29)를 조작관(21) 내에 몰입시킨다.
병변부(X)가 크고, 공동부(H1) 하나만으로는 병변부(X)를 포함하는 점막(N)을 점막 하층(W)으로부터 분리할 수 없는 경우는, 전술한 길이 조정 공정, 박리 공정 및 절개 공정을 반복한다. 즉, 도8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표(142)를 확인하면서, 벌룬 삽입부(125)를 개구(H)를 통해서 공동부(H1)의 내측의 점막 하층(W)에 다시 삽입한다. 그리고, 벌룬(127)을 팽창시킴으로써, 최초의 박리 공정에서는 박리되지 않았던 점막 하층(W)을 박리하고, 도8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새로운 공동부(H2)를 형성한다. 그 후, 다시 절개 공정을 행한다(도53 참조).
이와 같이, 길이 조정 공정, 박리 공정 및 절개 공정을, 병변부(X)의 크기에 따라서 적시 반복함으로써, 병변부(X)를 포함하는 점막 하층(W)을 소화관으로부터 절제한다(도25 참조).
본 실시 형태의 점막 박리 장치 및 점막 박리 방법에 의하면, 점막 하층(W)에 박리 벌룬 삽입 장치(108)의 벌룬 삽입부(125)의 선단부(125a)를 삽입할 때, 삽입부(3)의 만곡 조작을 제어함으로써 삽입 보조구(308)의 만곡부(307)를 소화관의 벽면에 꽉 누르는 힘이 조절된다. 이것에 의해, 소화관으로부터 작용하는 반력의 크기와 방향을 변화시켜 만곡부(307)의 변형의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삽입부(3)의 만곡 조작에 의해, 벌룬 삽입부(125)의 선단부(125a)의 삽입 각도를 변경할 수 있다. 그 결과, 복잡한 수기를 요점 좌도에 박리 벌룬 삽입 장치(108)의 벌 룬 삽입부(125)를 개구(H)로부터 점막 하층(W)에 확실하게 삽입할 수 있다.
삽입 보조구(308)의 선단에 만곡부(307)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벌룬 삽입부(125)를 소화관에 삽입할 때, 만곡부(307)와 소화관의 관벽의 걸림이 매우 적합하게 억제된다. 이것에 의해, 삽입 보조구(308)를 소화관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삽입 보조구(308)의 만곡부(307)에 돌출부(328)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돌출부(328)를 소화관의 벽면에 맞닿게 함으로써, 돌출부(328)를 개재시켜 만곡부(307)를 용이하게 변형시킬 수 있다.
삽입 보조구(308)가, 만곡부(307)에 연통하는 외부착 채널(326)을 갖추고 있으므로, 박리 벌룬 삽입 장치(108)를 외부착 채널(326)에 삽입 통과함으로써, 삽입부(3)의 채널(2)에 박리 벌룬 삽입 장치(108)를 삽입 통과시켰을 경우와 비교해서, 변형된 만곡부(307)의 내면을 따르게 해서 돌출시킬 때까지의 거리가 길게 확보된다. 이것에 의해, 벌룬 삽입부(125)의 선단부(125a)를 점막 하층(W)에 대해서 고유근층(W1)에 평행한 상태로 삽입할 수 있다.
삽입부(3)의 채널(2)에 다른 처치구를 삽입 통과시키는 것이 가능하므로, 처치구의 교환 회수를 줄여 환자에의 부담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내시경(4)의 삽입부(3)에 2개 이상의 처치구를 삽입 통과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에, 삽입부의 외경을, 예를 들면 삽입부에 채널을 2개 갖추는 내시경보다, 삽입부(3)의 외경을 작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삽입부(3)의 만곡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점막(N)을 박리할 때에 출혈하거나, 나이프(29)에 의한 절개에 수반해서 출혈하거나 한 경우에는, 출혈한 부분의 근방에 벌룬 삽입부(125)의 선단부(125a)를 접근시켜 벌룬(127)을 팽창시키고, 출혈한 부분을 압박함으로써 지혈할 수 있다. 또는, 출혈한 부분에 나이프(29)를 대어 고주파 전류를 흐르게 하고, 혈액을 응고시킴으로써 지혈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점막 박리 장치 및 점막 박리 방법의 제8 실시 형태를, 도90 내지 도94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또한, 상기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이미 설명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2 실시 형태는, 이하의 점에서 제1 실시 형태와 다르다. 즉, 본 실시 형태의 삽입 보조구(340)의 캡(341)에는, 도90 및 도9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벌룬 삽입부(125)를 만곡부(342)에 대해서 소정의 방향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부(343)가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부(343)는 원통형을 이루고, 외부착 채널(326)의 선단에 상기채널과 일체가 되도록 형성되어, 만곡부(342)의 내면을 따라 고정되어 있다. 가이드부(343)의 선단은, 만곡부(342)가 변형했을 때, 가이드부(343)에 안내된 벌룬 삽입부(125)가 지장 없이 돌출하도록, 가이드부(343)의 중심축선(C1)에 대해서 비스듬하게 절단되어 있다.
제1 실시 형태와는 달리, 만곡부(342)에는 돌출부(328)는 설치되지 않고, 개구부(345)는, 만곡부(342)의 중심축선(C)에 대해 직교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삽입 보조구(340)을 사용해서, 소화관의 내부에서 생긴 병변부(X)를 점막 하층(W)으로부터 절제하는 점막 박리 방법을, 이하에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점막 박리 방법은, 팽륭 공정과, 개구 공정과, 각도 조정 공정과, 삽입 공정과, 길이 조정 공정과, 박리 공정과, 절개 공정을 갖추고 있다. 각 공정에 대해서,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제7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팽륭 공정과 개구 공정을 행한다. 그 후, 각도 조정 공정을 행한다. 즉, 캡(341)의 만곡부(342)를 개구(H)의 근방의 소화관의 벽면에 맞닿게 한다. 이 때, 만곡부(342)가 소화관의 벽면으로부터 반발력을 받는다. 그렇지만 만곡부(342)가 이 반발력에 굴해 변형할 정도의 경도로 되어 있으므로, 도9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만곡부(342)가 소화관의 벽면을 따라 굴곡한다. 만곡부(342)의 만곡에 수반해서, 가이드부(343)도 만곡한다.
각도 조정 공정 후, 삽입 공정을 행한다. 즉, 도9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부착 채널(326), 만곡부(342)와 함께 만곡한 가이드부(343)를 통해서, 벌룬 삽입부(125)의 선단부(125a)를 삽입부(3)의 선단으로부터 돌출시켜, 개구(H)에 벌룬 삽입부(125)의 최선단부(129)만을 삽입한다.
삽입 공정 후, 제7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길이 조정 공정과 박리 공정과 절개 공정을 행한다.
본 실시 형태의 점막 박리 장치 및 점막 박리 방법에 의하면, 가이드부(343)가, 벌룬 삽입부(125)를 그 진퇴 방향으로 안내하므로, 도9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벌룬 삽입부(125)의 불필요한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벌룬 삽입부(125)의 진퇴 이동이 원활히 행해지므로, 점막 하층(W)에 적확하게 삽입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점막 박리 장치 및 점막 박리 방법의 제9 실시 형태를, 도95 내지 도96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또한, 상기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이미 설 명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3 실시 형태는, 이하의 점에서 제1 실시 형태와는 다르다. 즉, 내시경(4)의 삽입부(3)에는, 도9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2개의 채널(2A, 2B)이 설치되어 있다. 한쪽 채널(2A)에는, 박리 벌룬 삽입 장치(108)의 벌룬 삽입부(125)가 겸자구(8A)로부터 삽입되고, 다른 쪽 채널(2B)에는, 파지겸자(351)가 겸자구(8B)로부터 삽입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내시경(4)을 사용해서,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순서에 따라 소화관의 내부에서 생긴 병변부(X)를 점막 하층(W)으로부터 절제한다.
삽입 공정에 있어서는, 도9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벌룬 삽입부(125)의 최선단부(129)를 개구(H)에 삽입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 삽입부(3)의 선단으로부터 돌출시킨 파지겸자(351)를 사용해서 개구(H)의 근방의 점막(N) 및 점막 하층(W)을 파지한다. 또한, 절개 공정에 있어서, 도9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나이프(29)에 의해 점막(N)을 절개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 삽입부(3)의 선단으로부터 돌출시킨 파지겸자(351)를 사용해서 개구(H)의 근방의 점막(N) 및 점막 하층(W)을 파지한다.
또한, 박리 벌룬 삽입 장치(108)의 벌룬 삽입부(125)를 한쪽 채널(2A)에 삽입해서 두고, 다른 쪽 채널(2B)에는 점막하 국주침(6) 및 파지겸자(351)를 바꿔 넣도록 해서 사용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의 점막 박리 장치 및 점막 박리 방법에 의하면, 한쪽 채널(2A)에 벌룬 삽입부(125)를 삽입하고, 다른 쪽 채널(2B)에는 파지겸자(351)를 삽입하고, 파지겸자(351)를 사용해서 점막(N) 및 점막 하층(W)을 파지하면서, 박리 벌룬 삽입 장치(108)를 사용함으로써, 처치에 요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점막(N)을 정확하게 절개할 수 있다. 또한, 처치구의 바꿔 넣는 횟수가 줄어들므로, 환자의 부담을 줄일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점막 박리 장치 및 점막 박리 방법의 제10 실시 형태를, 도98 내지 도104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또한, 상기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이미 설명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10 실시 형태는, 이하의 점에서 제7 실시 형태와 다르다. 즉, 본 실시 형태의 삽입 보조구(361)는, 도9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요성을 가지는 관상의 지지부(363)와, 지지부(363)의 선단에 설치된 원통형의 만곡부(362)와, 지지부(363)의 기단에 설치된 처치구 조작부(365)를 갖추고 있다. 만곡부(362) 및 지지부(363)의 외경은, 채널(2)에 삽입 통과 가능한 크기로 설정되어 있다.
지지부(363)는, 예를 들면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등의 경질의 재료로 이루어지고, 내측의 관통공(327)은, 만곡부(362)의 내부 공간에 연통하고 있다. 지지부(363)의 내경은, 박리 벌룬 삽입 장치(108)를 삽입 통과 가능한 크기로 설정되어 있다. 만곡부(362)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PE) 등의 유연한 재료로 이루어지고, 지지부(363)에 접착되어 있다. 만곡부(362)의 내경은, 만곡한 상태에서도 박리 벌룬 삽입 장치(108)를 삽입 통과 가능하도록, 충분한 크기가 확보되어 있다. 삽입 보조구(361)는, 채널(2)에 삽입되어, 만곡부(362)를 삽입부의 선단으로부터 돌출시키고, 처치구 조작부(365)를 겸자구로부터 돌출시킨 상태로 보유된다. 처치구 조작부(365)는, 삽입 보조구(361)를 채널(2)에 대해서 진퇴 조작할 때에 수 술자에 의해 파지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삽입 보조구(361)를 사용해서, 소화관의 내부에서 생긴 병변부(X)를 점막 하층(W)으로부터 절제하는 점막 박리 방법을, 이하에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점막 박리 방법은, 팽륭 공정과, 개구 공정과, 삽입 공정과, 각도 조정 공정과, 길이 조정 공정과, 박리 공정과, 절개 공정을 갖추고 있다. 각 공정에 대해서,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팽륭 공정을 행한다(도9 참조). 그 후, 개구 공정을 행한다. 즉, 점막하 국주침(6)을 채널(2)로부터 발거하고, 그 대신에 채널(2)에 삽입 보조구(361)를 삽입하고, 삽입부(3)의 선단으로부터 돌출시킨다. 또한, 삽입 보조구(361)의 관통공(327)에, 박리 벌룬 삽입 장치(108)의 벌룬 삽입부(125)를 처치구 조작부(365)측으로부터 삽입함과 함께, 벌룬 삽입부(125)의 선단부(125a)를, 삽입 보조구(361)의 선단으로부터 돌출시킨다.
벌룬 삽입부(125)의 선단부(125a)를 삽입 보조구(361)의 선단으로부터 돌출시킨 후, 나이프(29)를 벌룬 삽입부(125)의 최선단부(129)로부터 돌출시킨다. 이 상태를 유지한 채로, 나이프(29)에 고주파의 전류를 흐르게 하고, 나이프(29)를 전진시켜 병변부(X) 근방의 점막(N)에 소정 크기의 개구(H)를 연다.
개구 공정 후, 삽입 공정을 행한다. 즉, 나이프(29)를 몰입시킨 후, 도9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구(H)에 벌룬 삽입부(125)의 최선단부(129)만을 삽입한다.
삽입 공정 후, 각도 조정 공정을 행한다. 즉, 삽입 보조구(361)의 만곡부(362)를 개구(H)의 근방의 소화관의 벽면에 맞닿게 한다. 이 때, 만곡부(362)가 소화관의 벽면으로부터 반발력을 받는다. 그렇지만 만곡부(362)가 이 반발력에 굴해 변형할 정도의 경도로 되어 있으므로, 만곡부(362)가 소화관의 벽면을 따라 굴곡한다.
이 때, 만곡부(362)에 삽입된 벌룬 삽입부(125)의 선단부(125a)도 가요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만곡부(362)의 내면을 따라 만곡한다. 이렇게 해서, 도10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벌룬 삽입부(125)의 최선단부(129)와 고유근층(W1)이 거의 평행 상태로 될 때까지 삽입부(3)를 만곡 조작해서 만곡부(362)를 변형시킨다.
각도 조정 공정 후, 길이 조정 공정을 행한다. 즉, 도10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만곡부(362)를 만곡시킨 채로, 벌룬 삽입부(125)를 소화관의 표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작동시킴으로써 벌룬 삽입부(125)의 선단부(125a)를 개구(H)를 통해서 점막 하층(W)에 밀어넣고, 지표(142)를 기준으로 해서 벌룬 삽입부(125)의 선단부(125a)를 점막 하층(W)의 소정 위치에 배치한다.
길이 조정 공정 후, 박리 공정을 행한다. 즉, 도시하지 않은 시린지를 사용해서 주입구(128)로부터 유로(126)에 유체를 공급한다. 유로(126)에 공급된 유체는, 연통 구멍(130)을 통해서 벌룬(127)에 공급되어 도10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벌룬(127)을 팽창시킨다. 이것에 의해, 점막 하층(W)의 일부가 그 밑의 고유근층(W1)으로부터 박리된다. 그 후, 주입구(128)로부터 유체를 일단 방출하고, 벌룬(127)을 원 상태로 수축시킨다. 이것에 의해, 박리된 점막 하층(W)과 그 밑의 생체 조직의 사이에, 공동부(H1)가 형성된다(도103 참조).
박리 공정 후, 절개 공정을 행한다. 즉, 벌룬 삽입부(125)의 선단을 병변 부(X)의 주위를 따라 이동시키면서, 개구(H) 주위의 점막(N)을 나이프(29)에 의해 절개한다. 어느 정도의 폭을 절개하여 끝내면 고주파 전류의 통전을 정지하고, 나이프(29)를 조작관(21) 내에 몰입시킨다.
병변부(X)가 크고, 공동부(H1) 하나만으로는 병변부(X)를 포함하는 점막(N)을 점막 하층(W)으로부터 분리할 수 없는 경우는, 전술한 길이 조정 공정, 박리 공정절개 공정을 반복한다. 즉, 지표(142)를 확인하면서, 벌룬 삽입부(125)를 개구(H)를 통해서 공동부(H1)의 내측의 점막 하층(W)에 다시 삽입한다. 그리고, 벌룬(127)을 팽창시킴으로써, 최초의 박리 공정에서는 박리되지 않았던 점막 하층(W)을 박리하고, 도10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새로운 공동부(H2)를 형성한다. 그 후, 다시 절개 공정을 행한다(도53 참조).
이와 같이, 길이 조정 공정, 박리 공정 및 절개 공정을, 병변부(X)의 크기에 따라서 적시 반복함으로써, 병변부(X)를 포함하는 점막 하층(W)을 소화관으로부터 절제한다(도25 참조).
본 실시 형태의 점막 박리 장치 및 점막 박리 방법에 의하면, 지지부(63)를 내시경(4)의 채널(2)에 삽입 통과함으로써, 삽입 보조구(61)를 삽입부(3)에 용이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삽입 보조구(61)를, 삽입부(3)의 외측이 아니라 박리 벌룬 삽입 장치(108)와 함께 삽입부(3)의 채널(2)에 삽입 통과함으로써, 삽입부(3)의 외측면이 요철이 없는 상태로 유지되므로, 삽입부(3)를 체강내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점막 박리 장치 및 점막 박리 방법의 제11 실시 형태를, 도105 내지 도107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또한, 상기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이미 설명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5 실시 형태는, 이하의 점에서 제10 실시 형태와 다르다. 즉, 도10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삽입 보조구(371)의 만곡부(372)와 지지부(373)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지지부(373)의 관벽의 두께는, 만곡부(372)의 관벽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지지부(373)의 강성이 만곡부(372)의 강성보다 높아져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삽입 보조구(371)를 사용해서, 소화관의 내부에서 생긴 병변부(X)를 점막 하층(W)으로부터 절제하는 점막 박리 방법을, 이하에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점막 박리 방법에 있어서는, 제10 실시 형태와 달리, 개구 공정 후, 각도 조정 공정을 행하고 나서 삽입 공정을 행한다. 즉, 각도 조정 공정에 있어서, 삽입 보조구(371)의 만곡부(372)를 개구(H)의 근방의 소화관의 벽면에 맞닿게 한다. 이것에 의해, 도10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만곡부(362)가 소화관의 벽면을 따라 굴곡한다.
그 후, 벌룬 삽입부(125)를 삽입 보조구(371)의 선단으로부터 돌출시켜, 도10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구(H)에 벌룬 삽입부(125)의 최선단부(129)만을 삽입한다.
그 밖의 공정에 대해서는, 제10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행한다. 이것에 의해, 본 실시 형태의 점막 박리 장치 및 점막 박리 방법에 의해서도, 제10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작용·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부가해서, 만곡부(372)와 지지부(373)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조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제7 실시 형태에서는, 삽입 보조구(308)가 외부착 채널(326)을 갖추고 있다. 그렇지만, 도108 및 도10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삽입 보조구(380)가, 삽입부(3)의 선단에 장착되는 캡(381)에만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캡(381)은, 내시경(4)의 삽입부(3)의 채널(2)에 삽입 통과된 박리 벌룬 삽입 장치(108)의 벌룬 삽입부(125)의 선단부(125a)를 만곡시키는 만곡부(307)와, 삽입부(3)의 선단이 삽입되는 접속부(325)를 갖추고 있다. 이 경우, 박리 벌룬 삽입 장치(108)를 채널(2)에 삽입 통과해서 행한다. 이것에 의해, 제7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작용·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실시 형태에서는, 고주파 메스(16)를 갖추는 박리 벌룬 삽입 장치(108)를 사용하고 있다. 그렇지만, 도1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주파 메스 등의 절개구를 포함하지 않는 박리 벌룬 삽입 장치(385)를, 공지의 고주파 절개구와 병용해도 된다. 또한, 제9 실시 형태에서는, 삽입부(3)에 2개의 채널(2A, 2B)이 설치되어 있는 내시경(4)을 사용하고 있다. 이 내시경(4)을 제9 실시 형태에서도 사용하고, 파지겸자(351)를 사용해서 처치를 원활히 진행하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의 점막 박리 장치 및 점막 박리 방법의 제12 실시 형태에 대해, 도111 내지 도121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상기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이미 설명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 형태의 내시경 시스템(점막 박리 장치)(401)은, 도1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시경(405)과, 박리 벌룬 삽입 장치(108)와, 점막하 국주침(6)을 갖추고 있다. 내시경(4)의 삽입부(3)에 형성된 채널(2)에는, 박리 벌룬 삽입 장치(108) 또는 점막하 국주침(6)이 필요에 따라서 삽입된다.
내시경(405)은, 삽입부(3)의 선단에 개구하는 채널(2)이 전방으로 향하고 있는, 이른바 직시형 내시경이다. 내시경(405)의 기단부에는, 삽입부(3)의 선단을 만곡시키기 위한 조작을 행하는 조작부(410)가 설치되어 있다. 내시경(405)은, 채널(2)의 선단의 개구부(2a)로부터 돌출되는 박리 벌룬 삽입 장치(108)의 벌룬 삽입부(125)의 선단부(125a)의 방향을 변경하기 위한 겸자 기상 기구(만곡부)(415)를 갖추고 있다. 겸자 기상 기구(415)는, 도112 및 도1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구부(2a)에 배치된 겸자대(412)를, 채널(2)에 삽입된 벌룬 삽입부(125)의 선단부(125a)에 눌러 댐으로써, 삽입부(3)의 선단으로부터 돌출되는 벌룬 삽입부(125)의 선단부(125a)의 방향을 변경한다.
겸자 기상 기구(415)는, 요동 가능한 겸자대(412)와, 겸자대(412)를 조작하기 위한 겸자대 조작부(416)와, 겸자대(412)와 겸자대 조작부(416)를 접속하는 조작 와이어(417)를 갖추고 있다. 겸자대(412)는, 채널(2)의 개구부(2a) 근방의 삽입부(3)의 선단에 배치되어 있다. 겸자대 조작부(416)를 한쪽으로 회전시키면, 조작 와이어(417)에 인장력이 작용하고, 이 인장력이 조작 와이어(417)를 개재시켜 겸자대(412)에 전달된다. 이것에 의해, 겸자대(412)가 삽입부(3)의 중심을 향하여 요동하고, 기상한다. 또한, 겸자대 조작부(416)를 다른 쪽으로 회전시키면, 조작 와이어(417)에 압박력이 작용하고, 이 압박력이 조작 와이어(417)를 개재시켜 겸자 대(412)에 전달된다. 이것에 의해, 겸자대(412)가 삽입부(3)의 외측을 향해 요동하고, 퇴피한다.
내시경(405)의 삽입부(3)에는, 도1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물렌즈(418)와, 우측 라이트 가이드(419)와, 좌측 라이트 가이드(420)와, 대물렌즈를 세정하는 세정액을 토출하는 세정액 노즐(421)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114 중의 A방향은 내시경 화면상에서 시야의 상방향, B방향은 내시경 화면상에서 시야의 하방향에 각각 대응하고, 좌우는 내시경 화면을 기준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점막 박리 시스템(401)을 사용해서, 소화관의 내부에서 생긴 병변부(X)를 점막 하층(W)으로부터 절제하는 점막 박리 방법을, 이하에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점막 박리 방법은, 팽륭 공정과, 개구 공정과, 삽입 공정과, 각도 조정 공정과, 길이 조정 공정과, 박리 공정과, 절개 공정을 갖추고 있다. 각 공정에 대해서,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제3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팽륭 공정과 개구 공정을 행한다. 그 후, 삽입 공정을 행한다. 즉, 도1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구(H)를 통해서 점막 하층(W)에 벌룬 삽입부(125)의 최선단부(129)를 삽입한다.
삽입 공정 후, 각도 조정 공정을 행한다. 삽입 공정에 있어서, 벌룬 삽입부(125)의 선단부(125a)는, 소화관의 점막 하층(W)(정확하게는 팽륭하기 전의 점막(N))에 대해서 소정 범위의 각도를 이루어 배치된다. 그런데, 점막 하층(W)을 박리시키기 위해서 벌룬 삽입부(125)의 선단부(125a)를 점막 하층(W)의 내부까지 삽입하는 경우에는, 최선단부(129)를 고유근층(W1)에 도달시키지 않기 위해, 벌룬 삽입부(125)의 선단부(125a)의 점막하층(W)에 대한 삽입 각도를, 선단부(125a)가 점막 하층(W) 밑에 있는 고유근층(W1)과 거의 평행해지도록 변경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내시경(405)의 삽입부(3)의 선단을, 팽륭시킨 병변부(X)의 근방에 배치함과 함께, 겸자대 조작부(416)를 조작해서 겸자대(412)를 기상시킨다. 그리고, 기상시킨 겸자대(412)의 선단을, 벌룬 삽입부(125)의 선단부(125a)에 눌러 댐으로써, 벌룬 삽입부(125)의 선단부(125a)가 고유근층(W1)과 거의 평행해지도록, 채널(2)로부터 돌출하는 선단부(125a)의 각도를 조정한다. 이 때, 채널(2)로부터 돌출하는 선단부(125a)의 방향이, 내시경 화면상에서 시야의 상방향으로 바뀌므로, 내시경 화면상에 있어서는, 벌룬 삽입부(125)의 선단부(125a)가 경사 상방으로부터 관찰되므로, 벌룬 삽입부(125)의 선단부(125a)의 점막 하층(W)에의 삽입 각도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덧붙여서, 채널(2)로부터 돌출하는 벌룬 삽입부(125)의 선단부(125a)의 방향이, 내시경 화면상에서 시야의 상방향이 아니고, 삽입부(3)의 반경 방향으로 변경되는 경우에는, 내시경 양면상에 있어서, 벌룬 삽입부(125)의 선단부(125a)의 굴곡 부분이, 그 굴곡 방향에 따른 면으로부터 관찰되므로, 굴곡 각도를 파악하는 것이 매우 곤란하게 된다.
또한, 여기에서는 삽입 공정 후에 각도 조정 공정을 행하고 있지만, 각도 조정 공정을 먼저 행하고, 그 후에 삽입 공정을 행해도 되고, 삽입 공정과, 각도 조정 공정을 동시에 병행해서 행해도 된다.
각도 조정 공정 후, 길이 조정 공정을 행한다. 즉, 도1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벌룬 삽입부(125) 소화관의 표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작동시킴으로써 벌룬 삽입부(125) 선단부(125a)를 개구(H)를 통해서 점막 하층(W)에 밀어넣고, 지표(142)를 기준으로 해서 점막 하층(W)의 소정 위치에 배치한다.
길이 조정 공정 후, 박리 공정을 행한다. 즉, 도시하지 않은 시린지를 사용해서 주입구(128)로부터 유로(126)에 유체를 공급한다. 유로(126)에 공급된 유체는, 연통 구멍(130)을 통해서 벌룬(127)에 공급되고, 도1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벌룬(127)을 팽창시킨다. 이것에 의해, 점막 하층(W)의 일부가 그 밑의 고유근층(W1)으로부터 박리된다. 그 후, 주입구(128)로부터 유체를 일단 방출하고, 벌룬(127)을 원 상태로 수축시킨다. 이것에 의해, 박리된 점막 하층(W)과 고유근층(W1)의 사이에, 공동부(H1)가 형성된다.
박리 공정 후, 절개 공정을 행한다. 즉, 벌룬 삽입부(125)를 점막 하층(W)으로부터 개구(H)의 밖까지 끌어 당겨 되돌리고, 도1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구 공정과 마찬가지로 나이프(29)를 벌룬 삽입부(125)의 최선단부(129)로부터 돌출시켜, 개구(H)에 삽입한다. 이 상태를 유지하면서, 나이프(29)에 고주파 전류를 흐르게 하고, 나이프(29)를 병변부(X)의 주위를 따라 이동시킨다. 이것에 의해, 개구(H) 주위의 점막(N)을 절개한다(도49 참조). 어느 정도의 폭을 절개하여 끝내면 고주파 전류의 통전을 정지하고, 나이프(29)를 조작관(21) 내에 몰입시킨다.
병변부(X)가 크고, 공동부(H1) 하나만으로는 병변부(X)를 포함하는 점막(N)을 점막 하층(W)으로부터 분리할 수 없는 경우는, 전술한 길이 조정 공정, 박리 공 정 및 절개 공정을 반복한다. 즉, 도1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표(142)를 기준으로 하여, 벌룬 삽입부(125)의 선단부(125a)를 개구(H)를 통해서 점막 하층(W)에 다시 삽입하고, 벌룬 삽입부(125)의 선단부(125a)를 공동부(H1)의 내측으로 더 밀어 넣는다. 다음에, 도1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벌룬(127)을 팽창시킴으로써, 최초의 박리 공정에서는 박리되지 않았던 점막 하층(W)을 고유근층(W1)으로부터 박리하고, 새로운 공동부(H2)를 형성한다. 그 후, 다시 절개 공정을 행한다(도53 참조).
이와 같이, 천통 공정, 길이 조정 공정, 박리 공정 및 절개 공정을, 병변부(X)의 크기에 따라서 적시 반복함으로써, 병변부(X)를 포함하는 점막 하층(W)을 소화관으로부터 절제한다(도25 참조).
본 실시 형태의 점막 박리 장치 및 점막 박리 방법에 의하면, 채널(2)에 삽입된 벌룬 삽입부(125)의 선단부(125a)가 채널(2)의 선단의 개구부(2a)로부터 돌출할 때, 겸자대(412)를 벌룬 삽입부(125)의 선단부(125a)에 눌러 댐으로써, 선단부(125a)의 방향을, 내시경 화면상에 있어서 시야의 상방향으로 변경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소화관의 점막(N)에 대해서 내시경의 삽입부(3)를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하고, 삽입부(3)의 선단으로부터 벌룬 삽입부(125)의 선단부(125a)를 돌출시키는 경우에도, 선단부(125a)의 향을 점막 하층(W) 밑에 있는 고유근층(W1)에 거의 평행해지도록 하고 나서, 벌룬 삽입부(125)의 선단부(125a)를 점막 하층(W) 내에 삽입할 수 있다. 그 결과, 박리 벌룬 삽입 장치(108)에 특별한 기구를 설치하지 않고서, 벌룬 삽입부(125)의 선단부(125a)가 점막 하층(W)에 소정의 깊이 이상으로 삽입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겸자 기상 기구(415)가, 겸자대(11)와 겸자대 조작부(416)와 조작 와이어(417)를 갖추고 있으므로, 극히 간단한 구성으로, 겸자대(412)를, 겸자대 조작부(416)의 회전 이동작에 따라서, 벌룬 삽입부(125)의 선단부(125a)의 삽입 각도를 조정할 수 있다.
내시경(405)의 삽입부(3)에, 채널(2)이 하나 밖에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삽입부(3)의 외경을 작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삽입부(3)를 체강내에 삽입하기 쉬워진다. 또한, 삽입부(3)와 소화관의 내측의 점막(N)의 간격이 넓어지므로, 내시경(405)의 앵글 조작이나 회전 조작 등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점막(N)을 박리할 때에 출혈하거나, 나이프(29)에 의한 절개에 수반해서 출혈하거나 한 경우에는, 출혈한 부분의 근방에 벌룬 삽입부(125)의 선단부(125a)를 접근시켜 벌룬(127)을 팽창시키고, 출혈한 부분을 압박함으로써 지혈할 수 있다. 또는, 출혈한 부분에 나이프(29)를 대어 고주파 전류를 흐르게 하고, 혈액을 응고시킴으로써 지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점막 박리 장치 및 점막 박리 방법의 제13 실시 형태에 대해, 도122 내지 도129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또한, 상기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이미 설명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13 실시 형태는, 이하의 점에서 제12 실시 형태와 다르다. 즉, 내시경(452)의 삽입부(3)에는, 도12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2개의 채널(2A, 2B)이 설치되어 있다. 겸자 기상 기구(415)는, 한쪽 채널(2A)의 선단의 개구부에 설치되어 있다.
채널(2A, 2B)은, 겸자대(412)를 눌러 닿음으로써 만곡하는 벌룬 삽입부(125)의 선단부(125a)의 만곡 방향으로 오프셋해서 배치되어 있다. 즉, 도12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시경 화면상에서 시야의 상방향(A방향) 또는 하방향(B방향)으로 이간함과 함께, 대물렌즈(418)를 사이에 두고 그 좌우로 이간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한쪽 채널(2A)에는, 벌룬 삽입부(125)가 삽입 통과되고, 다른 쪽 채널(2B)에는, 파지겸자(453)가 삽입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내시경(452)을 사용해서, 소화관의 내부에서 생긴 병변부(X)를 점막 하층(W)으로부터 절제하는 점막 박리 방법을, 이하에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점막 박리 방법은, 팽륭 공정과, 개구 공정과, 각도 조정 공정과, 삽입 공정과, 길이 조정 공정과, 박리 공정과, 절개 공정을 갖추고 있다. 각 공정에 대해서,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제3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팽륭 공정과 개구 공정을 행한다. 그 후, 도123 및 도12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시경 화면상에서, 시야의 상측에 위치하는 채널(2B)에 파지겸자(453)를 삽입하고, 채널(2B)의 선단의 개구부로부터, 파지겸자(453)의 선단 처치구(453a)를 돌출시킨다. 그리고, 이 선단 처치구(453a)를 사용해서 병변부(X) 근방의 점막(N) 및 점막 하층(W)을 파지한다. 이 상태를 유지한 채로, 각도 조정 공정을 행한다. 즉, 겸자대 조작부(416)를 조작해서, 겸자대(412)를 미리 기상시킨다. 그리고, 미리 기상시킨 겸자대(412)의 선단에, 벌룬 삽입부(125)의 선단부(125a)를 맞닿게 함으로써, 벌룬 삽입부(125)의 선단 부(125a)가 고유근층(W1)과 거의 평행해지도록, 채널(2)로부터 돌출하는 선단부(125a)의 각도를 조정한다.
각도 조정 공정 후, 삽입 공정을 행한다. 즉, 도12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파지겸자(453)를 사용해서 병변부(X) 근방의 점막(N) 및 점막 하층(W)을 파지하면서, 개구(H)를 통해서 점막 하층(W)에 벌룬 삽입부(125)의 최선단부(129)를 삽입한다.
삽입 공정 후, 길이 조정 공정을 행한다. 즉, 도12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벌룬 삽입부(125)를 소화관의 표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작동시킴으로써 벌룬 삽입부(125)의 선단부(125a)를 개구(H)를 통해서 점막 하층(W)에 밀어넣고, 지표(142)를 기준으로 해서 점막 하층(W)의 소정 위치에 배치한다.
또한, 파지겸자(453)를 사용해서 병변부(X) 근방의 점막(N) 및 점막 하층(W)을 파지해 둠으로써, 채널(2A)에 삽입 통과된 벌룬 삽입부(125)를 내시경의 화면상에서 충분히 확인할 수 있는 경우에는, 삽입 공정과 길이 조정 공정을 동시에 행해도 된다.
길이 조정 공정 후, 박리 공정을 행한다. 즉, 벌룬(127)을 팽창시킴으로써, 점막 하층(W)의 일부가 그 밑의 고유근층(W1)으로부터 박리된다. 그 후, 벌룬(127)을 원 상태로 수축시킴으로써, 박리된 점막하층(W)과 고유근층(W1)의 사이에, 공동부(H1)가 형성된다.
박리 공정 후, 절개 공정을 행한다. 즉, 파지겸자(453)를 사용해서 병변부(X) 근방의 점막(N) 및 점막 하층(W)을 파지하면서, 벌룬 삽입부(125)를 점막 하 층(W)으로부터 개구(H)의 밖까지 끌어 당겨 되돌리고, 도12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나이프(29)를 벌룬 삽입부(125)의 최선단부(129)로부터 돌출시켜, 개구(H)에 삽입한다. 이 상태를 유지하면서, 나이프(29)에 고주파 전류를 흐르게 하고, 나이프(29)를 병변부(X)의 주위를 따라 이동시킨다. 이것에 의해, 개구(H) 주위의 점막(N)을 절개한다. 어느 정도의 폭을 절개하여 끝내면 고주파 전류의 통전을 정지하고, 나이프(29)를 조작관(21) 내에 몰입시킨다.
또한, 상기의 각도 조정 공정, 삽입 공정, 길이 조정 공정, 박리 공정 및 절개 공정은, 파지겸자(453)를 사용해서 병변부(X) 근방의 점막(N) 및 점막 하층(W)을 파지한 채로 행해도 된다. 물론, 상기의 각 공정을 끝낼 때에 병변부(X) 근방의 점막(N) 및 점막 하층(W)을 해방하고, 그 후에 다음의 공정으로 이행해도 된다. 그렇지만, 벌룬 삽입부(125)의 선단부(125a)를 점막 하층(W)에 삽입할 때, 또는 나이프(29)를 병변부(X)의 주위를 따라 이동시킬 때, 벌룬 삽입부(125)의 선단부(125a)나 나이프(29)에 밀려 병변부(X) 근방의 점막(N) 또는 점막 하층(W)이 도망치는(이동한다) 현상이 생길 가능성이 있으므로, 삽입 공정으로 이행할 때, 및 절개 공정으로 이행할 때는, 사전에 파지겸자(453)를 사용해서 병변부(X) 근방의 점막(N) 및 점막 하층(W)을 파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상기의 현상을 미연에 회피할 수 있다.
병변부(X)가 크고, 공동부(H1) 하나만으로는 병변부(X)를 포함하는 점막(N)을 점막 하층(W)으로부터 분리할 수 없는 경우는, 전술한 길이 조정 공정, 박리 공정 및 절개 공정을 반복한다. 이와 같이, 천통 공정, 길이 조정 공정, 박리 공정 및 절개 공정을, 병변부(X)의 크기에 따라서 적시 반복함으로써, 병변부(X)를 포함하는 점막 하층(W)을 소화관으로부터 절제한다.
본 실시 형태의 점막 박리 장치 및 점막 박리 방법에 의하면, 한쪽 채널(2A)에 벌룬 삽입부(125)를 삽입하고, 다른 쪽 채널(2B)에는 파지겸자(351)를 삽입하고, 파지겸자(351)를 사용해서 점막(N) 및 점막 하층(W)을 파지하면서, 박리 벌룬 삽입 장치(108)를 사용함으로써, 처치에 요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점막(N)을 정확하게 절개할 수 있다. 또한, 처치구의 바꿔 넣는 횟수가 줄어들므로, 환자의 부담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12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채널(2A)의 도122에 도시하는 A방향 또는 B방향의 위치와 채널(2B)의 A방향 또는 B방향의 위치가 상이하다. 채널(2A, 2B)의 위치가 상이함으로써, 한쪽 채널(2A)로부터 돌출하는 벌룬 삽입부(125)의 선단부(125a)를 만곡시켰을 때, 벌룬 삽입부(125)의 선단부(125a)의 도122에 도시하는 A방향 또는 B방향의 위치와, 다른 쪽 채널(2B)로부터 돌출하는 파지겸자(453)의 선단의 A방향 또는 B방향의 위치가 일치한다. 이것에 의해, 파지겸자(453)를 사용해서 상기의 각 공정을 원활히 행할 수 있다.
덧붙여서, 채널(2A, 2B)의 도122에 도시하는 A방향 또는 B방향의 위치를 일치시켰을 경우, 도12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벌룬 삽입부(125)의 선단부(125a)의 도122에 도시하는 A방향 또는 B방향의 위치와, 다른 쪽 채널(2B)로부터 돌출하는 파지겸자(453)의 선단의 A방향 또는 B방향의 위치가 어긋나 버린다. 이렇게 되면, 파지겸자(453)를 사용해서 점막(N) 및 점막 하층(W)을 파지하면서 상기의 각 공정 을 행하는 것이 곤란하게 되어 버린다.
또한, 채널(2A, 2B)이, 벌룬 삽입부(125)의 선단부(125a)의 만곡하는 방향과는 다른 방향으로 이간해서 형성되어 있으므로, 한쪽 채널(2A)에 삽입 통과된 벌룬 삽입부(125)의 선단부(125a)를 만곡시켜도, 그 선단부(125a)가, 다른 쪽 채널(2B)에 삽입 통과된 처치구와 간섭하는 경우는 없다. 이것에 대해, 벌룬 삽입부(125)의 선단부(125a)의 만곡하는 방향으로 이간해서 형성되어 있으면, 한쪽 채널(2A)에 삽입 통과된 벌룬 삽입부(125)의 선단부(125a)를 만곡시키면, 그 선단부(125a)가, 다른 쪽 채널(2B)에 삽입 통과된 처치구와 간섭할 가능성이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점막 박리 장치 및 점막 박리 방법의 제14 실시 형태를, 도130 및 도131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또한, 상기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이미 설명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14 실시 형태는, 이하의 점에서 제13 실시 형태와 다르다. 즉, 도13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2개의 채널(402A, 402B)은, 내시경(462)의 내시경 화면상에서 시야의 하측으로 되는 위치에, 대물렌즈(418)의 좌우 양측에 위치하도록, 또한 도130중의 A방향 또는 B방향의 높이가 동일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채널(402A, 402B)에는, 겸자 기상 기구(415)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내시경(462)을 사용해서 행하는 점막 박리 방법은, 제13 실시 형태의 점막 박리 방법과 동일하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 형태의 점막 박리 장치 및 점막 박리 방법에 의하면, 한쪽 채널(402A)에 삽입 통과된 처치구의 도130중의 A방향 또는 B방향의 높이와, 다른 쪽 채널(402B)에 삽입 통과된 처치구의 도130중의 A방향 또는 B방향의 높이를, 동일하게 하거나 다르게 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2개의 처치구의 적용 범위를 넓힐 수 있다. 또한, 쌍방의 채널(402A, 402B)로부터 돌출하는 처치구끼리 간섭하는 경우는 없다.
또한, 제12 실시 형태에서는, 고주파 메스(16)를 갖추는 박리 벌룬 삽입 장치(108)가 사용되고 있다. 그렇지만, 고주파 메스 등의 고주파 절개구를 포함하지 않는 공지의 박리 벌룬 삽입 장치(385)를, 공지의 고주파 절개구와 병용해도 된다.
채널을 3개 이상 설치해도 된다. 요는, 그들 복수의 채널 중 적어도 하나에 겸자 기상 기구가 설치되어 있으면 된다. 겸자 기상 기구로서는, 겸자대, 겸자대 조작부, 조작 와이어로 이루어지는 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면, 겸자대를 모터 등의 액튜에이터를 사용해서 구동하는 것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기술 범위는 상기의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여러 가지 변경을 더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의 점막 박리 시스템을 사용해서 행하는 수기는, 전술한 수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일부의 공정만을 실시해도 상관없다.
본 발명은, 피검체의 내부에 삽입되는 제1 삽입부와, 상기 제1 삽입부의 선단부에 설치되고, 유체가 도입됨으로써 팽창하는 팽창부와, 상기 제1 삽입부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팽창부에 접속되고, 상기 팽창부에 유체를 공급하는 유로와, 상기 피검체의 내부에 삽입되는 처치구의 상기 선단부를, 상기 선단부로부터 상기 처치구의 기단부에 가까운 부분에 대해서 만곡시키는 만곡부를 갖추는 점막 박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처치구의 선단부를, 상기 선단부로부터 처치구의 기단부에 가까운 부분에 대해 만곡시킴으로써, 처치구의 선단의 방향을, 관강기관의 점막 하층의 밑에 있는 고유근층과 거의 평행하게 하고, 그 상태를 유지한 채로, 처치구의 선단부를 점막 하층에 밀어넣는다. 이것에 의해, 처치구의 선단이 고유근층에 접촉하지 않게 되므로, 상기 처치구를 사용한 수기가 행하기 쉬워진다. 그 결과, 관강기관의 병변부를 절제할 때, 단시간에 용이하게, 또한 수술자의 기량에 좌우되는 일 없이 안전한 수기를 행할 수 있다.

Claims (35)

  1. 점막 박리 장치이며,
    피검체의 내부에 삽입되는 제1 삽입부와,
    상기 제1 삽입부의 선단부에 설치되고, 유체가 도입됨으로써 팽창하는 팽창부와,
    상기 제1 삽입부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팽창부에 접속되고, 상기 팽창부에 유체를 공급하는 유로와,
    상기 피검체의 내부에 삽입되는 처치구의 상기 선단부를, 상기 선단부로부터 상기 처치구의 기단부에 가까운 부분에 대해서 만곡시키는 만곡부를 구비하는 점막 박리 장치.
  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만곡부는, 상기 제1 삽입부의 내부에 삽입 통과되어, 일단이 상기 제1 삽입부의 상기 선단부에 접속된 와이어와, 상기 제1 삽입부의 기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의 타단이 접속된 조작부를 갖추고,
    상기 제1 삽입부의 상기 선단부는, 상기 조작부를 이동시킴으로써 만곡하는 점막 박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삽입부의 상기 선단부에, 상기 선단부로부터 상기 기단부에 가까운 부분보다 유연한 제1 유연부가 설치되고,
    상기 제1 유연부는, 소정 크기의 힘이 작용했을 때, 상기 제1 삽입부의 상기 기단부에 가까운 상기 부분보다 앞서 만곡하는 점막 박리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삽입부의 상기 선단부에, 특정 방향으로만 만곡하기 쉬운 특성을 가지고 상기 선단부의 만곡 동작을 보조하는 제1 만곡 보조 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제1 만곡 보조 부재는, 스스로의 만곡하기 쉬운 방향을, 제1 삽입부의 상기 선단부를 만곡시켜야 할 방향에 일치시키도록 배치되어 있는 점막 박리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회전 조작이 가능하고, 상기 조작부를 회전 조작함으로써 생긴 회전력을 상기 와이어에 전달하는 회전 전달부를 갖추고,
    상기 조작부를 회전 조작함으로써, 적어도 상기 제1 삽입부의 상기 선단부가 상기 선단부의 축심 회전으로 회전하는 점막 박리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삽입부의 내부에, 고주파 절개구가 삽입 통과되는 삽입 통과로가, 상기 제1 삽입부의 기단으로부터 선단에 걸쳐 형성되어 있는 점막 박리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삽입부의 상기 팽창부로부터 상기 기단부에 가까운 부분에, 상기 제1 삽입부의 상기 선단부의 점막하에의 삽입량을 나타내는 지표 가 설치되어 있는 점막 박리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검체의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제1 삽입부의 점막하에의 삽입을 보조하는 제2 삽입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만곡부는, 상기 제2 삽입부의 선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점막 박리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만곡부는, 상기 제2 삽입부의 내부에 삽입 통과되어, 일단이 상기 제2 삽입부의 상기 선단부에 접속된 와이어와, 상기 제2 삽입부의 기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의 타단이 접속된 조작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삽입부의 상기 선단부는, 상기 조작부를 이동시킴으로써 만곡하는 점막 박리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삽입부의 상기 선단부에, 상기 선단부로부터 기단부에 가까운 부분보다도 유연한 제2 유연부가 설치되고,
    상기 제2 유연부는, 소정 크기의 힘이 작용했을 때, 상기 제2 삽입부의 상기 기단부에 가까운 상기 부분보다도 앞서 만곡하는 점막 박리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삽입부의 상기 선단부에, 특정 방향으로만 만곡하기 쉬운 특성을 가지고 상기 선단부의 만곡 동작을 보조하는 제2 만곡 보조 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제2 만곡 보조 부재는, 스스로의 만곡하기 쉬운 방향을, 제2 삽입부의 상기 선단부를 만곡시켜야 할 방향에 일치시키도록 배치되어 있는 점막 박리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삽입부의 선단에 구상부가 설치되어 있는 점막 박리 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삽입부의 상기 선단부로부터 상기 기단부에 가까운 부분에, 상기 제2 삽입부의 상기 선단부의 점막하에의 삽입량을 나타내는 지표가 설치되어 있는 점막 박리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삽입부의 상기 선단부에, 강성의 유연 한계와 경질 한계 사이의 외력이 가해졌을 때에 변형하는 제3 유연부가 설치되어 있는 점막 박리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유연부는, 상기 제1 삽입부의 최선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점막 박리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유연부의 휨강성은, 상기 제3 유연부가 변형될 때에 곡률이 일정한 커브를 그리도록, 상기 제1 삽입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는 점막 박리 장치.
  17.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유연부는, 특정 방향으로 구부러지기 쉬운 특성을 가지는 점막 박리 장치.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삽입부의 상기 피검체의 내부에의 삽입을 보조하는 삽입 보조구가 설치되고, 상기 만곡부는, 상기 삽입 보조구의 선단에 설치되어 있는 점막 박리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만곡부는, 상기 피검체의 관강기관의 벽면에 밀어 붙여졌을 때, 상기 벽면으로부터의 반력에 굴해서 변형되어, 상기 제1 삽입부의 상기 관강기관의 내부에의 삽입 각도를 변경하는 점막 박리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만곡부에, 상기 피검체의 관강기관의 벽면에 밀어 붙여졌을 때, 상기 벽면으로부터의 반력에 굴해서 변형되어, 상기 제1 삽입부의 상기 관강기관의 내부에의 삽입 각도를 변경하는 제4 유연부가 설치되어 있는 점막 박리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4 유연부에, 상기 유연부에 대해서 상기 제1 삽입부를 소정의 방향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부가 설치되어 있는 점막 박리 장치.
  22.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보조구는, 내시경의 삽입부를 따르게 해서 사용하는 것이며, 상기 내시경의 채널과는 다른 외부착 채널을 구비하고,
    상기 만곡부에는, 상기 삽입 보조구를 상기 내시경의 상기 삽입부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부가 설치되어 있는 점막 박리 장치.
  23.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보조구가, 상기 만곡부를 상기 삽입부에 대해서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를 더 갖추고,
    상기 만곡부 및 상기 지지부의 외경이, 내시경의 채널에 삽입 통과 가능한 크기로 설정되어 있는 점막 박리 장치.
  24. 관강기관의 피처치부 근방의 점막에 개구를 형성하는 개구 공정과,
    상기 개구를 통해서, 상기 관강기관의 점막 하층에, 상기 점막 하층의 밑에 있는 고유근층과 거의 평행한 삽입 구멍을 형성하는 천공 공정과,
    상기 삽입 구멍의 내측을 눌러 확대함으로써 상기 점막 하층을 고유근층으로부터 박리하는 박리 공정을 구비하는 점막 박리 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천공 공정은, 상기 개구를 통해서 상기 점막 하층에 처치구를 삽입하는 삽입 공정과, 상기 처치구의 선단부를 만곡시키는 만곡 공정과, 상기 처치구를 상기 점막 하층에 천통하는 천통 공정을 포함하는 점막 박리 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박리 공정은, 상기 처치구에 설치된 팽창부를 상기 점막 하층내에서 팽창시킴으로써 상기 삽입 구멍을 눌러 확대하는 것을 포함하는 점막 박리 방법.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박리 공정은, 상기 삽입 구멍에, 상기 처치구에 대신해서 다른 처치구를 삽입하고, 상기 다른 처치구에 설치된 팽창부를 상기 점막 하층내에서 팽창시킴으로써 상기 삽입 구멍을 눌러 확대하는 것을 포함하는 점막 박리 방법.
  28.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만곡 공정은, 상기 처치구의 선단부를 능동적으로 만곡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점막 박리 방법.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처치구의 선단부를, 상기 처치구에 설치된 만곡 기구를 사용해서 만곡시키는 점막 박리 방법.
  30.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만곡 공정은, 상기 처치구의 선단부를 수동적으로 만곡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점막 박리 방법.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처치구의 선단부에 유연성을 부여해 두고, 상기 선단부를, 상기 관강기관의 피처치부 근방의 벽면에 눌러 댐으로써 만곡시키는 점막 박 리 방법.
  32.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관강기관의 피처치부 근방의 벽면에 삽입 보조구를 눌러 댐으로써 상기 상입 보조구를 변형시키고, 상기 처치구의 선단부를, 변형시킨 상기 삽입 보조구를 따라 이동시킴으로써 만곡시키는 점막 박리 방법.
  33.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처치구의 선단부를, 내시경의 삽입부에 설치된 만곡 기구를 사용해서 만곡시키는 점막 박리 방법.
  34.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 공정에 선행해서 상기 점막 및 상기 점막 하층을 팽륭시키는 팽륭 공정을 더 구비하는 점막 박리 방법.
  3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피처치부의 상기 점막 또는 상기 점막 하층을, 파지겸자를 사용해서 파지하면서 처치를 행하는 점막 박리 방법.
KR1020077027594A 2005-05-31 2006-05-31 점막 박리 장치, 및 점막 박리 방법 KR1012507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160296 2005-05-31
JP2005160296A JP4716787B2 (ja) 2005-05-31 2005-05-31 粘膜下層剥離処置具及び粘膜下層剥離処置具システム
JP2005159400A JP4827440B2 (ja) 2005-05-31 2005-05-31 粘膜下層剥離処置具及びそのシステム
JP2005159401A JP2006333944A (ja) 2005-05-31 2005-05-31 内視鏡システム及び内視鏡
JPJP-P-2005-00159401 2005-05-31
JPJP-P-2005-00159400 2005-05-31
JP2005161232A JP4772383B2 (ja) 2005-06-01 2005-06-01 粘膜下層剥離処置具システム
JPJP-P-2005-00161232 2005-06-01
JP2005166922A JP4772386B2 (ja) 2005-06-07 2005-06-07 粘膜下層剥離処置具セット及び粘膜下層剥離処置具システム
JPJP-P-2005-00166922 2005-06-07
PCT/JP2006/310904 WO2006129726A1 (ja) 2005-05-31 2006-05-31 粘膜剥離装置、および粘膜剥離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3945A true KR20080013945A (ko) 2008-02-13
KR101250726B1 KR101250726B1 (ko) 2013-04-03

Family

ID=374816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7594A KR101250726B1 (ko) 2005-05-31 2006-05-31 점막 박리 장치, 및 점막 박리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289236B2 (ko)
EP (1) EP1886634B1 (ko)
KR (1) KR101250726B1 (ko)
WO (1) WO2006129726A1 (ko)

Cited B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6698B1 (ko) * 2011-02-22 2011-08-12 정명준 복수개의 모드를 멀티시술모듈을 통해 하나의 장치로 동작시키는 내시경하 점막하층 멀티용 시술기구
KR101310471B1 (ko) * 2010-06-15 2013-09-24 니혼라이프라인 가부시키가이샤 카테터
KR101328473B1 (ko) * 2013-06-04 2013-11-13 정명준 3중 가변형 내시경하 점막하층 스마트 속시술기구
KR20140015332A (ko) * 2011-01-19 2014-02-06 프랙틸 래브러토리스 인코포레이티드 조직의 치료를 위한 장치 및 방법
WO2017003231A1 (ko) * 2015-06-30 2017-01-05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조직 제거장치
JP2017189231A (ja) * 2016-04-11 2017-10-19 ミズホ株式会社 内視鏡手術器具
US10232143B2 (en) 2013-11-22 2019-03-19 Fractyl Laboratories, Inc.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the creation of a therapeutic restriction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
US10299857B2 (en) 2013-06-04 2019-05-28 Fractyl Laboratories, Inc. Methods, systems and devices for reducing the luminal surface area of the gastrointestinal tract
US10349998B2 (en) 2012-02-27 2019-07-16 Fractyl Laboratories, Inc. Heat ablatio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the treatment of tissue
US10610663B2 (en) 2014-07-16 2020-04-07 Fractyl Laboratories, Inc.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performing medical procedures in the intestine
US10765474B2 (en) 2012-02-27 2020-09-08 Fractyl Laboratories, Inc. Injectate delivery devices, systems and methods
US10869718B2 (en) 2014-07-16 2020-12-22 Fractyl Laboratories, Inc. Methods and systems for treating diabetes and related diseases and disorders
US10959774B2 (en) 2014-03-24 2021-03-30 Fractyl Laboratories, Inc. Injectate delivery devices, systems and methods
US10973561B2 (en) 2012-08-09 2021-04-13 Fractyl Laboratories, Inc. Ablatio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the treatment of tissue
US11185367B2 (en) 2014-07-16 2021-11-30 Fractyl Health, Inc. Methods and systems for treating diabetes and related diseases and disorders
US11246639B2 (en) 2012-10-05 2022-02-15 Fractyl Health, Inc. Methods, systems and devices for performing multiple treatments on a patient
US11439457B2 (en) 2012-07-30 2022-09-13 Fractyl Health, Inc. Electrical energy ablatio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the treatment of tissue
US11986235B2 (en) 2013-09-12 2024-05-21 Fractyl Health, Inc.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treatment of target tissue
US12102380B2 (en) 2020-09-15 2024-10-01 Fractyl Health, Inc. Methods, systems and devices for reducing the luminal surface area of the gastrointestinal trac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302226A (ja) 2007-06-11 2008-12-18 Olympus Medical Systems Corp 内視鏡用処置具
US20110034886A1 (en) * 2009-08-06 2011-02-10 Angiodynamics, Inc. Implantable medical device tool and method of use
EP2519160B1 (en) * 2009-12-30 2018-08-22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Tools for treatments of pelvic conditions
EP2401952B1 (en) * 2010-02-26 2016-12-28 Olympus Corporation Endoscope apparatus
JP2015016181A (ja) * 2013-07-12 2015-01-29 オリンパス株式会社 手術支援ロボット
US9597105B2 (en) 2014-04-17 2017-03-21 Covidien Lp Vibrating surgical instruments for blunt dissection
US9603616B2 (en) 2014-04-17 2017-03-28 Covidien Lp Vibrating surgical instruments for blunt dissection and methods for use thereof
US10028734B2 (en) * 2014-11-13 2018-07-24 Soft Robotics, Inc. Soft robotic retractors
US10064642B2 (en) 2015-03-04 2018-09-04 Covidien Lp Surgical instrument for dissecting tissue
CN112672704B (zh) 2018-09-13 2024-04-26 奥林巴斯株式会社 内窥镜用处置器具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79141A (ja) 1986-02-10 1986-08-11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経尿道的前立腺剥離器
US5254088A (en) * 1990-02-02 1993-10-19 Ep Technologies, Inc. Catheter steering mechanism
US5454788A (en) * 1991-04-24 1995-10-03 Baxter International Inc. Exchangeable integrated-wire balloon catheter
US5766151A (en) 1991-07-16 1998-06-16 Heartport, Inc. Endovascular system for arresting the heart
US5599300A (en) 1992-05-11 1997-02-04 Arrow Precision Products, Inc. Method for electrosurgically obtaining access to the biliary tree with an adjustably positionable needle-knife
AU6404596A (en) 1995-06-30 1997-02-05 Boston Scientific Corporation Ultrasound imaging catheter with a cutting element
JP3036470U (ja) * 1996-01-19 1997-04-22 寛 鄭 歯科用目盛付メス
JPH10328306A (ja) * 1997-06-04 1998-12-15 Terumo Corp 医療用チューブ
JP3740808B2 (ja) * 1997-11-19 2006-02-01 株式会社カネカ 拡張カテーテル
US6231518B1 (en) * 1998-05-26 2001-05-15 Comedicus Incorporated Intrapericardial electrophysiological procedures
JP3679674B2 (ja) 2000-02-03 2005-08-03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内視鏡
US6527753B2 (en) 2000-02-29 2003-03-04 Olympus Optical Co., Ltd. Endoscopic treatment system
WO2001074260A1 (en) * 2000-03-24 2001-10-11 Johns Hopkins University Peritoneal cavity device and method
US9668690B1 (en) * 2001-05-01 2017-06-06 Intrapace, Inc. Submucosal gastric implant device and method
JP3938710B2 (ja) 2002-04-26 2007-06-27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内視鏡
JP2003204920A (ja) * 2002-01-11 2003-07-22 Olympus Optical Co Ltd 挿入補助具
US20030225312A1 (en) 2002-03-18 2003-12-04 Anthony Kalloo Endoscopic system for treating inside of body cavity
JP4022093B2 (ja) 2002-04-15 2007-12-12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内視鏡
US20030225393A1 (en) 2002-05-31 2003-12-0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Low profile transpyloric jejunostomy system and method to enable
US7179223B2 (en) * 2002-08-06 2007-02-20 Olympus Optical Co., Ltd. Endoscope apparatus having an internal channel
JP4331540B2 (ja) * 2002-08-06 2009-09-16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内視鏡装置
TW200507792A (en) * 2003-05-23 2005-03-01 Yukinobu Takimoto Treatment instrument for EMR, and EMR device
JP2005007161A (ja) * 2003-05-23 2005-01-13 Yukinobu Takimoto Emr用処置具及びemr装置
JP4422472B2 (ja) 2003-12-19 2010-02-24 オリンパス株式会社 粘膜下層剥離処置具及びそのシステム
CN2689888Y (zh) 2003-12-26 2005-04-06 祁志强 测量型内窥镜活检钳
JP3806934B2 (ja) * 2004-03-01 2006-08-09 フジノン株式会社 内視鏡システム
US8409109B2 (en) * 2004-04-01 2013-04-02 Urologix, Inc. Rectal probe with disposable balloon assembly

Cited B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0471B1 (ko) * 2010-06-15 2013-09-24 니혼라이프라인 가부시키가이샤 카테터
US10980590B2 (en) 2011-01-19 2021-04-20 Fractyl Laboratories, Inc. Devices and methods for the treatment of tissue
KR20140015332A (ko) * 2011-01-19 2014-02-06 프랙틸 래브러토리스 인코포레이티드 조직의 치료를 위한 장치 및 방법
US10987149B2 (en) 2011-01-19 2021-04-27 Fractyl Laboratories, Inc. Devices and methods for the treatment of tissue
KR101056698B1 (ko) * 2011-02-22 2011-08-12 정명준 복수개의 모드를 멀티시술모듈을 통해 하나의 장치로 동작시키는 내시경하 점막하층 멀티용 시술기구
US11419659B2 (en) 2012-02-27 2022-08-23 Fractyl Health, Inc. Heat ablatio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the treatment of tissue
US10349998B2 (en) 2012-02-27 2019-07-16 Fractyl Laboratories, Inc. Heat ablatio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the treatment of tissue
US10765474B2 (en) 2012-02-27 2020-09-08 Fractyl Laboratories, Inc. Injectate delivery devices, systems and methods
US11439457B2 (en) 2012-07-30 2022-09-13 Fractyl Health, Inc. Electrical energy ablatio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the treatment of tissue
US12089887B2 (en) 2012-08-09 2024-09-17 Fractyl Health, Inc. Ablatio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the treatment of tissue
US10973561B2 (en) 2012-08-09 2021-04-13 Fractyl Laboratories, Inc. Ablatio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the treatment of tissue
US11246639B2 (en) 2012-10-05 2022-02-15 Fractyl Health, Inc. Methods, systems and devices for performing multiple treatments on a patient
WO2014196746A1 (ko) * 2013-06-04 2014-12-11 Chung Myeong-Jun 3중 가변형 내시경하 점막하층 스마트 속시술기구
US11311333B2 (en) 2013-06-04 2022-04-26 Fractyl Health, Inc. Methods, systems and devices for reducing the luminal surface area of the gastrointestinal tract
US10299857B2 (en) 2013-06-04 2019-05-28 Fractyl Laboratories, Inc. Methods, systems and devices for reducing the luminal surface area of the gastrointestinal tract
KR101328473B1 (ko) * 2013-06-04 2013-11-13 정명준 3중 가변형 내시경하 점막하층 스마트 속시술기구
US11986235B2 (en) 2013-09-12 2024-05-21 Fractyl Health, Inc.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treatment of target tissue
US10232143B2 (en) 2013-11-22 2019-03-19 Fractyl Laboratories, Inc.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the creation of a therapeutic restriction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
US10864352B2 (en) 2013-11-22 2020-12-15 Fractyl Laboratories, Inc.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the creation of a therapeutic restriction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
US11826521B2 (en) 2013-11-22 2023-11-28 Fractyl Health, Inc.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the creation of a therapeutic restriction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
US11166761B2 (en) 2014-03-24 2021-11-09 Fractyl Health, Inc. Injectate delivery devices, systems and methods
US10959774B2 (en) 2014-03-24 2021-03-30 Fractyl Laboratories, Inc. Injectate delivery devices, systems and methods
US10610663B2 (en) 2014-07-16 2020-04-07 Fractyl Laboratories, Inc.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performing medical procedures in the intestine
US10869718B2 (en) 2014-07-16 2020-12-22 Fractyl Laboratories, Inc. Methods and systems for treating diabetes and related diseases and disorders
US11103674B2 (en) 2014-07-16 2021-08-31 Fractyl Health, Inc.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performing medical procedures in the intestine
US11565078B2 (en) 2014-07-16 2023-01-31 Fractyl Health Inc.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performing medical procedures in the intestine
US11185367B2 (en) 2014-07-16 2021-11-30 Fractyl Health, Inc. Methods and systems for treating diabetes and related diseases and disorders
US11878128B2 (en) 2014-07-16 2024-01-23 Fractyl Health, Inc.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performing medical procedures in the intestine
WO2017003231A1 (ko) * 2015-06-30 2017-01-05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조직 제거장치
JP2017189231A (ja) * 2016-04-11 2017-10-19 ミズホ株式会社 内視鏡手術器具
US12102380B2 (en) 2020-09-15 2024-10-01 Fractyl Health, Inc. Methods, systems and devices for reducing the luminal surface area of the gastrointestinal trac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886634A1 (en) 2008-02-13
US9289236B2 (en) 2016-03-22
US20080125803A1 (en) 2008-05-29
KR101250726B1 (ko) 2013-04-03
WO2006129726A1 (ja) 2006-12-07
EP1886634A4 (en) 2014-03-19
EP1886634B1 (en) 2016-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0726B1 (ko) 점막 박리 장치, 및 점막 박리 방법
US9827038B2 (en) Medical instrument for endoscope and treatment method
JP4351458B2 (ja) 内視鏡挿入システム
US8721657B2 (en) Medical instrument
EP2740421B1 (en) Lifting cap
US8728121B2 (en) Puncture needle and medical procedure using puncture needle that is performed via natural orifice
US20080255422A1 (en) Medical device
US20120265132A1 (en) Bendable catheter
US20160008156A1 (en) Device and method for deflation and removal of implantable and inflatable devices
JP2007185495A (ja) オーバーチューブ
JPH08150149A (ja) 吊り上げ具
JP2008161570A (ja) 超音波内視鏡システム
JP5919382B2 (ja) 医療用チューブ、医療用チューブ組立体および医療用チューブ・穿刺針接続体
JP4716787B2 (ja) 粘膜下層剥離処置具及び粘膜下層剥離処置具システム
US8647353B2 (en) Endoscopic treatment tool and suturing method using the same
JP3539124B2 (ja) アングル機構付トラカール
WO2009154192A1 (ja) 管腔壁穿刺用オーバーチューブ
JP4772383B2 (ja) 粘膜下層剥離処置具システム
JP4772386B2 (ja) 粘膜下層剥離処置具セット及び粘膜下層剥離処置具システム
CN113662601B (zh) 一种经腹体外牵引装置
JPH0866408A (ja) ろう孔形成用案内具
JP4217462B2 (ja) 生体組織縫合装置
JP2006333944A (ja) 内視鏡システム及び内視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