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13366A - 나노와이어의 정렬을 통한 전계방출 에미터 전극의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나노와이어의 정렬을 통한 전계방출 에미터 전극의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13366A
KR20080013366A KR1020060074800A KR20060074800A KR20080013366A KR 20080013366 A KR20080013366 A KR 20080013366A KR 1020060074800 A KR1020060074800 A KR 1020060074800A KR 20060074800 A KR20060074800 A KR 20060074800A KR 20080013366 A KR20080013366 A KR 200800133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nowires
substrate
electric field
horizontal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48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희태
윤상천
고영관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0600748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13366A/ko
Priority to CN2007800374559A priority patent/CN101523541B/zh
Priority to US12/376,824 priority patent/US20100133983A1/en
Priority to JP2009523707A priority patent/JP2010500719A/ja
Priority to EP10008472A priority patent/EP2244277A3/en
Priority to EP07793238A priority patent/EP2052398A4/en
Priority to PCT/KR2007/003572 priority patent/WO2008018701A1/en
Priority to CN2010105263310A priority patent/CN101986418A/zh
Publication of KR200800133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3366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02Manufacture of electrodes or electrode systems
    • H01J9/022Manufacture of electrodes or electrode systems of cold cathodes
    • H01J9/025Manufacture of electrodes or electrode systems of cold cathodes of field emission cath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40/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00Details of electrodes, of magnetic control means, of screens, or of the mounting or spacing thereof, common to two or more basic types of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1/02Main electrodes
    • H01J1/30Cold cathodes, e.g. field-emissive cathode
    • H01J1/304Field-emissive cath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01/00Electrodes common to discharge tubes
    • H01J2201/30Cold cathodes
    • H01J2201/304Field emission cathodes
    • H01J2201/30403Field emission cathodes characterised by the emitter shape
    • H01J2201/3043Fib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01/00Electrodes common to discharge tubes
    • H01J2201/30Cold cathodes
    • H01J2201/304Field emission cathodes
    • H01J2201/30403Field emission cathodes characterised by the emitter shape
    • H01J2201/30434Nanotub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01/00Electrodes common to discharge tubes
    • H01J2201/30Cold cathodes
    • H01J2201/304Field emission cathodes
    • H01J2201/30446Field emission cathodes characterised by the emitter material
    • H01J2201/30453Carbon types
    • H01J2201/30469Carbon nanotubes (C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ano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old Cathode And The Manufa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나노와이어가 전자기장 발생 방향에 따라 수평, 수직 또는 수평과 수직 사이의 임의의 각으로 정렬된 전계방출 에미터 전극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나노와이어(Nanowire)를 용매에 희석시킨 다음, 전자기장 발생 장치 상단에 고정된 기질 상에 분산시켜 전자기장 발생 방향으로 정렬된 나노와이어를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나노와이어가 전자기장 발생 방향에 따라 수직, 수평 또는 수평과 수직 사이의 임의의 각으로 정렬된 전계방출 에미터 전극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간단한 공정으로 고밀도, 대용량의 전자기장 발생 방향에 따라 정렬된 나노와이어를 얻을 수 있어, 전계방출 디스플레이(field emission display; FED), 센서, 전극, 백라이트 등의 양극 소자로 응용할 수 있다.
나노와이어, 전자기성 입자, 자기장, 전기장, 전계방출 디스플레이

Description

나노와이어의 정렬을 통한 전계방출 에미터 전극의 제조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a Field Emitter Electrode Using the Array of Nanowires}
본 발명은 나노와이어가 정렬된 전계방출 에미터 전극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나노와이어를 용매에 희석시킨 다음, 전자기장 발생 장치 상단에 고정된 기질 상에 분산시켜 전기장발생 방향으로 정렬된 나노와이어를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나노와이어가 전기장 발생 방향으로 정렬된 전계방출 에미터 전극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계방출 장치란, 진공 속에서 전자의 방출을 기반한 광원으로서, 강한 전기장에 의해 미세입자에서 방출된 전자를 가속시켜 형광물질과 충돌하는 원리로 발광하는 소자를 말한다. 상기 전계방출 장치는 백열전구와 같은 일반 조명광원에 비해 발광효율이 우수하고 경박단소화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형광등과 같이 중금속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환경친화적이라는 장점이 있어 각종의 조명분야 및 디스플레이장치의 차세대 광원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
이러한 전계방출 장치의 성능은 전계를 방출할 수 있는 에미터 전극에 의해 크게 좌우된다. 최근에 우수한 전자방출특성을 갖는 에미터 전극을 위한 전자방출재료로서 수천 이상의 어스텍트비(=길이/직경, aspect ratio)를 갖는 특성을 이용하여 나노와이어를 사용하고 있다.
상기 나노와이어를 전계방출 에미터 전극에 적용하는 방법은 크게 두가지로 나눌수 있는데, 화학기상 증착법을 이용하는 박막(thin film) 공정과 스크린 프린팅을 이용하는 후막(thick film) 공정을 들 수 있다. 이러한 공정들은 각각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데, 박막공정의 경우는 기판 상부에 직접 성장시킴으로서 공정이 단순해지는 장점이 있으나, 이를 응용한 디스플레이 크기가 대형화되면 문제점이 발생한다. 특히 성장시 유리기판 온도의 불균일성과 변형문제, 길이제어문제 및 금속전극 성장시의 온도에 의한 박리 현상 등이 주요한 문제점으로 제시되고 있다. 한편, 수 내지 수십 ㎛의 전도성 금속(Ag, Mo, W, Mo/Mn)을 페이스트화 또는 슬러리화하여 사용하는 후막 공정은 대면적 전계 방출 어레이로의 응용이 용이한 반면, 공정이 복잡하고 진공상태에서 페이스트에 포함된 유기물로부터의 가스 방출로 인해 디스플레이 공정상 중요한 진공 확보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에 당업계에서는 제조 공정이 간단하면서도 나노와이어가 고밀도, 대용량으로 일정한 방향으로 정렬된 전계방출 에미터 전극의 제조 방법의 개발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종래 방법으로 나노와이어를 정렬시킬 경우 발생하는 문 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예의 노력한 결과, 나노와이어를 전자기장 발생 장치 상단에 고정된 기질 상에 정렬시킨 다음, 금속을 이용하여 나노와이어를 고정시킨 결과, 넓은 면적의 고밀도 전계방출 에미터 전극을 만들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결국, 본 발명의 목적은 고밀도 및 대면적으로 정렬된 나노와이어를 기질상에 금속으로 고정시킨 전계방출 특성이 높은 전계방출 에미터 전극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 나노와이어 또는 자기성 입자가 결합된 나노와이어를 유기용매에 희석시킨 분산액을, 자기장 발생 장치 상단에 고정된 기질 상에 분산시키는 단계; (b) 상기 기질 상에 분산된 용액에서 유기 용매를 증발시켜, 나노와이어를 자기장 안에서 자기장의 방향에 따라 수평, 수직 또는 수평과 수직 사이의 임의의 각으로 정렬시키는 단계; 및 (c) 자기장의 방향에 따라 정렬된 나노와이어가 자기장이 없는 상태에서도 정렬된 방향으로 고정되게 하기 위하여, 상기 기질 상에 금속을 증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나노와이어가 자기장의 발생 방향에 따라 수평, 수직 또는 수평과 수직 사이의 임의의 각으로 정렬된 전계방출 에미터 전극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의 자기장 발생 장치는 자석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자석의 자기장은 0.005~10 테슬라(T)인 것을 특 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자기성 입자는 철(Fe) 함유 입자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고, 바람직한 제조 방법으로는 산처리를 통해 카르복실기 또는 하이드로실기 등의 작용기를 생성시키는 방법과 상기 철 함유 입자를 결합시에 철 금속염 용액을 놓고 고온에서 금속염을 환원시켜 철 입자를 흡착하는 방법, 상기 철 함유 입자를 결합시에 나노와이어를 철 도금 용액에 넣고 철 입자를 결합시키는 방법으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철 함유 입자는 염화철(FeCl3), 산화 제일철(FeO), 산화제이철(Fe2O3) 및 사산화삼철(Fe3O4)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a) 나노와이어를 유기용매에 희석시킨 분산액을, 전기장 발생 장치 상단에 고정된 기질 상에 분산 시키는 단계; (b) 상기 기질 상에 분산된 용액에서 유기용매를 증발시켜, 나노와이어를 전기장 안에서 기질 상에 전기장 발생 방향에 따라 수평, 수직 또는 수평과 수직 사이의 임의의 각으로 정렬시키는 단계; 및 (c) 상기 전기장 발생 방향에 따라 수평, 수직 또는 수평과 수직 사이의 임의의 각으로 정렬된 나노와이어가 전기장이 없는 상태에서도 정렬된 방향으로 고정 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기질 상에 금속을 증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기장 발생 방향에 따라 수평, 수직 또는 수평과 수직 사이의 임의의 각으로 정렬된 나노와이어의 전계방출 에미터 전극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의 전기장 발생 장치는 전계(electric field)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계(electric field)의 전기장은 1~50 V/mm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의 용매 분산 보조제를 추가로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고, 상기 용매 분산 보조제로는 분산을 용이하게 하는 유기 용매인 TOAB(tetra otylammonium bromide), 계면활성제인 Triton X-100 및 SDS(sodium dodecylsurfate)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나노와이어를 유기 용매에 희석시킨 분산액을 기질 상에 고르게 분산시키는 방법은 스프레이 방법 또는 잉크젯 방법인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고, 상기 (a) 단계 및 (b) 단계를 5~1000회 반복하여, 나노와이어의 밀도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며, 상기 나노와이어는 단일벽, 이중벽 또는 다중벽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의 유기 용매는 디메틸포름아마이드(DMF), N-메틸-2-피롤리돈(NMP), 디메틸아세트아마이드(DMAc), 사이클로헥사논, 에틸알콜, 클로로포름, 디클로로메탄 및 에틸에테르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고, 기질은 인디듐틴옥사이드 글라스(ITO glass), 유리, 수정(quartz), 글래스 웨이퍼, 실리콘 웨이퍼, 응용실리카, 플라스틱 및 투명 고분자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며, 나노와이어의 분산액의 농도는 0.01~1.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용매를 50~150℃온도로 올려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며, 상기 유기용매 중 클로로포름, 디클로로메탄, 디에틸 에테르 등의 경우 휘발성이 좋아, 상온에서도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기질 상에 분산 시키는 나노와이어 양은 바람직하게 1pg/cm2~1g/cm2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의 금속은 1~5000nm로 증착하는 것을 특징할 수 있고, 상기 (c) 단계의 금속은 티타늄(Ti), 몰리브덴(Mo), 금(Au), 은(Ag), 알루미늄(Al), 칼슘(Ca), 카드뮴(Cd), 철(fe), 니켈(Ni), 백금(Pt), 아연(Zn) 및 구리(Cu)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방법으로 제조되고, 금속이 증착된 기질상에 자기성 입자가 결합된 나노와이어가 전자기장에 따라 수평, 수직 또는 수평과 수직 사이의 임의의 각으로 정렬된 전계방출 에미터 전극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a) 나노와이어에 철(Fe) 함유 입자를 결합시키는 단계; (b) 상기 철(Fe) 함유 입자가 결합된 나노와이어를 유기 용매에 희석시킨 다음, 자석 상단에 고정된 인디듐틴옥사이드 글라스(ITO glass) 상에 분산시키는 단계; (c) 상기 인디듐틴옥사이드 글라스(ITO glass) 상에 분산된 용액에서 유기용매를 증발시켜, 철(Fe) 함유 입자가 결합된 나노와이어를 자기장 안에서 인디듐틴옥사이드 글라스(ITO glass) 상에 자기장 발생 방향에 따라 정렬시키는 단계; 및 (d) 상기 자기장 방향에 따라 수평, 수직 또는 수평과 수직 사이의 임의의 각으로 정렬된 산화제이철이 결합된 나노와이어가 자기장이 없는 상태에서도 자기장 방향에 따라 정렬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인디듐틴옥사이드 글라스(ITO glass)상에 티타늄(Ti), 몰리브덴(Mo), 금(Au), 은(Ag), 알루미늄(Al), 칼슘(Ca), 카드뮴(Cd), 철(Fe), 니켈(Ni), 백금(Pt), 아연(Zn) 및 구리(Cu)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금속을 증착시키는 단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방법으로 제조되고, 티타늄(Ti), 몰리브덴(Mo), 금(Au), 은(Ag), 알루미늄(Al), 칼슘(Ca), 카드뮴(Cd), 철(Fe), 니켈(Ni), 백금(Pt), 아연(Zn) 및 구리(Cu)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금속이 증착된 인디듐틴옥사이드 글라스(ITO glass) 상에 철(Fe) 함유 입자가 결합된 나노와이어가 자기장 발생 방향으로 정렬된 전계방출 에미터 전극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나노와이어는 일반적으로 나노(nm, 10-9m)크기의 물질로 표면/질량의 비가 크기 때문에 나노 크기의 물질은 표면에서 일어나는 화학반응과 표면에서의 결함에 기인하는 광학적 성질과 전기 및 열전도도가 뛰어난 물질로, 어레이를 구성하는 각각의 금속 나노와이어가 우수한 전계방출 에미터 전극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전계방출 에미터 전극의 제조방법을 단계별로 구분하여, 더욱더 상세히 설명한다.
제1단계: 나노와이어의 제조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나노와이어는 자기 조립 초분자체의 육각 입방 나노구조를 이용한 나노와이어 제조로 작용기를 가지고, 자기조립이 가능한 초분자체에 금속 이온을 결합시켜 초분자체와 금속 이온의 콤플렉스를 제조한 다음, 기판(substrate) 상에 초분자체와 금속 이온의 콤플렉스 박막을 형성하고, 상기 유기 분자들이 자기 조립(self-assembly)에 의해 원주형 구조를 가질 수 있도록 열처리 및 환원시키는 단계를 거쳐 나노와이어를 제조한다.
제2단계: 나노와이어와 자기성 입자의 결합 단계
상기 제1단계에서 제조된 나노와이어와 자기성 입자를 결합하기 위하여, 염화철(FeCl3), 산화제일철(FeO), 산화제이철(Fe2O3) 및 사산화삼철(Fe3O4)을 에탄올, 증류수 및 헥산의 혼합액에 넣고, 가열하여 철-올리에이트 복합체(iron-oleate complex)를 제조한다.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철-올리에이트 복합체(iron-oleate complex)를 올레익산(oleic acid)과 디메틸포름아마이드(DMF)에 혼합한 후, 상기 혼합액에 제1단계에서 제조된 나노와이어를 첨가한다. 나노와이어가 첨가된 혼합용액을 옥타데션(1-octadecene)에 완전히 녹인 다음, 가열하여 상기 혼합물의 용매들을 증발시키고, 증발되고 남은 혼합물을 에탄올로 3~4차례 세척하여 자기성 입자가 결합된 나노와이어를 제조한다.
제3단계: 기질 위에 자기성 입자와 결합된 나노와이어 분산 단계
상기 제2단계에서 제조된 자기성 입자가 결합된 나노와이어를 디메틸포름아마이드(DMF), N-메틸-2-피롤리돈(NMP), 디메틸아세트아마이드(DMAc), 사이클로헥사논, 에틸알콜, 클로로벤젠 및 클로로포름 등의 용매에 희석시킨 다음, 자기장을 걸어준 자석 위에 고정된 인디듐틴옥사이드 글라스(ITO glass) 기질에 0.01~0.5 중량%를 떨어뜨려 용매를 증발시킨다.
제4단계: 기질 위에 자기성 입자와 결합된 나노와이어 밀도를 증가시키는 단계
상기 제3단계에서 제조된 용매가 모두 증발한 인디듐틴옥사이드 글라스(ITO glass) 기질 위에, 다시 자기성 입자와 결합된 나노와이어를 용매에 희석시킨 용액을 1~2방울 떨어뜨린 다음, 고온 상태에서 용매를 증발시킨다. 자기성 입자와 결합된 나노와이어의 밀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상기 과정을 5~20회 반복할 수 있다.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자기성 입자와 결합된 나노와이어는 자기장 발생 방향으로 정렬된다.
제5단계: 기질 위에 자기성 입자와 결합된 나노와이어 고정단계
상기 제4단계에서 제조된 자기장에 의해 수평, 수직 또는 수평과 수직 사이의 임의의 각으로 정렬되어 있는 나노와이어가 자기장이 없는 상황에서도 자기장 발생 방향으로 정렬되게 하기 위해, 상기 기질 상에 티타늄(Ti), 몰리브덴(Mo), 금(Au), 알루미늄(Al), 칼슘(Ca), 카드뮴(Cd), 철(Fe), 니켈(Ni), 백금(Pt), 아연 (Zn), 구리(Cu)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금속을 증착시켜 순수한 전계방출 에미터 전극을 제조한다.
이상, 전자기장 발생 장치가 자석이고, 나노와이어에 자기성 입자를 결합시켜 정렬시키는 방법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상기에 기재된 방법으로 전기장 발생 장치가 전계(electric field)이고, 나노와이어 용액에 계면활성제를 첨가해 기질 상에 나노와이어를 정렬시키거나, 순수 나노와이어를 전자기장 발생장치상의 기질에 정렬시켜 전계방출 에미터 전극을 제조할 수 있다는 것은 당해분야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있어서 자명한 사실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고밀도 및 대용량으로 수평, 수직 또는 수평과 수직 사이의 임의의 각으로 정렬된 나노와이어의 고유 성질인 높은 전계방출 효과를 이용하여, 전계방출 효과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고,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된 전계방출 에미터 전극은 디스플레이용 전계방출 에미터 전극으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계방출 현상을 이용하는 주사전자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e;SEM) 및 투과전자현미경(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TEM)에 응용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 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9)

  1. 다음의 단계를 포함하는 나노와이어가 자기장의 방향에 따라 수평, 수직 또는 수평과 수직 사이의 임의의 각으로 정렬된 전계방출 에미터 전극의 제조방법:
    (a) 나노와이어 또는 자기성 입자가 결합된 나노와이어를 유기용매에 희석시킨 분산액을, 자기장 발생 장치 상단에 고정된 기질 상에 분산시키는 단계;
    (b) 상기 기질 상에 분산된 용액에서 유기용매를 증발시켜, 나노와이어를 자기장 안에서 자기장의 방향에 따라 수평, 수직 또는 수평과 수직 사이의 임의의 각으로 정렬시키는 단계; 및
    (c) 자기장의 방향에 따라 수평, 수직 또는 수평과 수직 사이의 임의의 각으로 정렬된 나노와이어가 자기장이 없는 상태에서도 정렬된 방향으로 고정되게 하기 위하여, 상기 기질 상에 금속을 증착시키는 단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성 입자가 결합된 나노와이어는 자기성입자와 나노와이어가 물리 화학적 방법으로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물리 화학적 방법은, 나노와이어를 산처리하는 방법, 자기성 입자를 환원시키는 방법 및 자기성 입자를 도금시키는 방법으로 구성된 군 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성 입자는 철(Fe) 함유 입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다음의 단계를 포함하는 나노와이어가 전기장 발생방향으로 수평, 수직 또는 수평과 수직 사이의 임의의 각으로 정렬된 전계방출 에미터 전극의 제조 방법;
    (a) 나노와이어를 유기용매에 희석시킨 분산액을, 전기장 발생 장치 상단에 고정된 기질 상에 분산시키는 단계;
    (b) 상기 기질 상에 분산된 용액에서 유기용매를 증발시켜, 나노와이어를 전기장 안에서 기질 상에 전기장 발생방향에 따라 수평, 수직 또는 수평과 수직 사이의 임의의 각으로 정렬시키는 단계; 및
    (c) 상기 전기장 발생방향에 따라 수평, 수직 또는 수평과 수직 사이의 임의의 각으로 정렬된 나노와이어가 전기장이 없는 상태에서도 정렬된 방향으로 고정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기질 상에 금속을 증착시키는 단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의 전기장 발생 장치는 전계(electric fiel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계(electric field)의 전기장은 1~50 V/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용매 분산 보조제를 추가로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보조제는 유기용매인 TOAB(tetra otylammonium bromide), 계면활성제인 Triton X-100 및 SDS(sodium dodecylsurfate)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나노와이어를 유기용매에 희석시킨 분산액을 기질 상에 분산시키는 방법은 스핀코팅 방법, 스프레이 방법, 딥코팅 방법 및 잉크젯 방법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 및 (b)단계를 5~1000회 반복하여, 나노와이어의 밀도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의 용매는 물(H2O), 디메틸포름아마이드(DMF), N-메틸-2-피롤리돈(NMP), 디메틸아세트아마이드(DMAc), 사이클로헥사논, 에틸알콜, 클로로포름, 디클로로메탄 및 에틸에테르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의 기질은 인디듐틴옥사이드 글라스(ITO glass), 유리, 수정(quartz), 글래스 웨이퍼, 실리콘 웨이퍼, 응용실리카, 플라스틱 및 투명 고분자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의 나노와이어의 분산액의 농도는 0.01~1.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용매를 온도를 50~150℃로 올려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기질 상에 분산시키는 나노와이어의 양은 1pg/cm2~1g/cm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의 금속은 1~5000nm로 증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의 금속은 티타늄(Ti), 몰리브덴(Mo), 금(Au), 은(Ag), 알루미늄(Al), 칼슘(Ca), 카드뮴(Cd), 철(fe), 니켈(Ni), 백금(Pt), 아연(Zn) 및 구리(Cu)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으로 제조되고, 금속이 증착된 기질상에 자기성 입자가 결합된 나노와이어가 자기장 방향에 따라 수평, 수직 또는 수평과 수직 사이의 임의의 각으로 정렬된 전계방출 에미터 전극.
KR1020060074800A 2006-08-08 2006-08-08 나노와이어의 정렬을 통한 전계방출 에미터 전극의제조방법 KR20080013366A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4800A KR20080013366A (ko) 2006-08-08 2006-08-08 나노와이어의 정렬을 통한 전계방출 에미터 전극의제조방법
CN2007800374559A CN101523541B (zh) 2006-08-08 2007-07-25 使用纳米线阵列制造场发射电极的方法
US12/376,824 US20100133983A1 (en) 2006-08-08 2007-07-25 Method for manufacturing a field emitter electrode using the array of nanowires
JP2009523707A JP2010500719A (ja) 2006-08-08 2007-07-25 ナノワイヤーの整列を用いた電界放出エミッタ電極の製造方法
EP10008472A EP2244277A3 (en) 2006-08-08 2007-07-25 Method of manufacturing a field emitter electrode using an array of nanowires
EP07793238A EP2052398A4 (en) 2006-08-08 2007-07-25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A FIELD MEMBER ELECTRODE USING THE ARRAY OF NANODRUHTS
PCT/KR2007/003572 WO2008018701A1 (en) 2006-08-08 2007-07-25 Method for manufacturing a field emitter electrode using the array of nanowires
CN2010105263310A CN101986418A (zh) 2006-08-08 2007-07-25 使用纳米线阵列制造场发射电极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4800A KR20080013366A (ko) 2006-08-08 2006-08-08 나노와이어의 정렬을 통한 전계방출 에미터 전극의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3366A true KR20080013366A (ko) 2008-02-13

Family

ID=39033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4800A KR20080013366A (ko) 2006-08-08 2006-08-08 나노와이어의 정렬을 통한 전계방출 에미터 전극의제조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00133983A1 (ko)
EP (2) EP2244277A3 (ko)
JP (1) JP2010500719A (ko)
KR (1) KR20080013366A (ko)
CN (2) CN101986418A (ko)
WO (1) WO2008018701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47042A2 (ko) * 2010-10-07 2012-04-12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미세 패턴 형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미세 채널 트랜지스터 및 미세 채널 발광트랜지스터의 형성방법
CN103112818A (zh) * 2013-02-28 2013-05-22 北京科技大学 一种利用扫描电镜在单根微纳线上制作金属电极的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044865A1 (en) * 2012-01-31 2014-02-13 Hossam Haick Method for manufacturing a nano-wire array and a device that comprises a nano-wire array
CN105947971B (zh) * 2016-05-26 2017-11-10 清华大学深圳研究生院 一种铁磁性纳米线阵列的制备方法
CN109132996B (zh) * 2018-10-12 2020-11-13 聊城大学 一种周期有序的磁性纳米线阵列的快速沉积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30772B1 (en) * 1998-09-21 2003-10-07 Agere Systems Inc. Device comprising carbon nanotube field emitter structure and process for forming device
JP4043139B2 (ja) * 1999-04-06 2008-02-06 双葉電子工業株式会社 電子放出源の製造方法
US6538367B1 (en) * 1999-07-15 2003-03-25 Agere Systems Inc. Field emitting device comprising field-concentrating nanoconductor assembly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US6504292B1 (en) * 1999-07-15 2003-01-07 Agere Systems Inc. Field emitting device comprising metallized nanostructures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US6741019B1 (en) * 1999-10-18 2004-05-25 Agere Systems, Inc. Article comprising aligned nanowires
US6965199B2 (en) * 2001-03-27 2005-11-15 Th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At Chapel Hill Coated electrode with enhanced electron emission and ignition characteristics
JP3590007B2 (ja) * 2001-06-25 2004-11-17 シャープ株式会社 電子放出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該電子放出素子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US6890230B2 (en) * 2001-08-28 2005-05-10 Motorola, Inc. Method for activating nanotubes as field emission sources
US7462498B2 (en) * 2001-10-19 2008-12-09 Applied Nanotech Holdings, Inc. Activation of carbon nanotubes for field emission applications
CN1732549B (zh) * 2002-04-12 2010-11-10 毫微-专卖股份有限公司 场发射器件阴极装置、其制造方法和含该装置的器件
JP3912276B2 (ja) * 2002-12-13 2007-05-09 Jfe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のテープ状集合体およびこれを設置した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設置装置
US7560136B2 (en) * 2003-01-13 2009-07-14 Nantero, Inc. Methods of using thin metal layers to make carbon nanotube films, layers, fabrics, ribbons, elements and articles
JP2004234865A (ja) * 2003-01-28 2004-08-19 Sony Corp 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配列材料とその製造方法、炭素繊維配列材料とその製造方法、及び電界放出表示素子
US20050136638A1 (en) * 2003-12-18 2005-06-2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Low temperature sintering nanoparticle compositions
US7465210B2 (en) * 2004-02-25 2008-12-16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Method of fabricating carbide and nitride nano electron emitters
US20080020499A1 (en) * 2004-09-10 2008-01-24 Dong-Wook Kim Nanotube assembly including protective layer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KR100638615B1 (ko) * 2004-09-14 2006-10-26 삼성전기주식회사 전계방출 에미터전극 제조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47042A2 (ko) * 2010-10-07 2012-04-12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미세 패턴 형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미세 채널 트랜지스터 및 미세 채널 발광트랜지스터의 형성방법
WO2012047042A3 (ko) * 2010-10-07 2012-06-21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미세 패턴 형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미세 채널 트랜지스터 및 미세 채널 발광트랜지스터의 형성방법
CN103261088A (zh) * 2010-10-07 2013-08-21 浦项工科大学校产学协力团 微图案形成方法和使用其的微通道晶体管和微通道发光晶体管的形成方法
US8852979B2 (en) 2010-10-07 2014-10-07 Postech Academy-Industry Foundation Micro-pattern forming method, and micro-channel transistor and micro-channel light-emitting transistor forming method using same
CN103112818A (zh) * 2013-02-28 2013-05-22 北京科技大学 一种利用扫描电镜在单根微纳线上制作金属电极的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052398A1 (en) 2009-04-29
US20100133983A1 (en) 2010-06-03
WO2008018701A1 (en) 2008-02-14
CN101523541B (zh) 2012-04-25
EP2052398A4 (en) 2009-12-09
CN101523541A (zh) 2009-09-02
EP2244277A3 (en) 2011-06-15
JP2010500719A (ja) 2010-01-07
EP2244277A2 (en) 2010-10-27
CN101986418A (zh) 2011-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32993B2 (ja) 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の整列を用いた電界放出エミッタ電極の製造方法
KR20080029019A (ko) 전계 방출 분야용 탄소 나노튜브의 금속화
JP2008130551A (ja) 透明導電性フィルムの製造方法
KR100836538B1 (ko) 전계 방출 분야용 탄소 나노튜브의 금속화
KR20080013366A (ko) 나노와이어의 정렬을 통한 전계방출 에미터 전극의제조방법
JP2003203557A (ja) 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を含むペースト用複合物及びこれを利用した電子放出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US7371696B2 (en) Carbon nanotube structure and method of vertically aligning carbon nanotubes
KR100785028B1 (ko) 전계방출소자의 제조방법
CN101079356B (zh) 利用碳纳米管阵列来制造场致发射电极的方法
US20090314647A1 (en) Method for the electrochemical deposition of carbon nanotubes
JP2002093305A (ja) 電子放出陰極
KR20100086284A (ko) 핵산으로 코팅된 탄소 나노 튜브를 포함하는 전계 전자 방출원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801131B1 (ko) 탄소나노튜브의 정렬을 통한 전계방출 에미터 전극의제조방법
Ye et al. Application of ZnO nanopillars and nanoflowers to field-emission luminescent tubes
KR101151353B1 (ko) 침상 전계방출형 전자빔 에미터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되는 침상 전계방출형 전자빔 에미터
JP2008226734A (ja) 薄膜型電子放出材料の形成用組成物、薄膜型電子放出材料、その製造方法及び電界放出型素子
US8252165B2 (en) Method for the electrochemical deposition of carbon nanotubes
JP2007280949A (ja) 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を利用した電界放出電極及びその製造方法
Lee et al. The effect of surface treatments on the field emission characteristics of patterned carbon nanotubes on KOVAR substrate
JP5760914B2 (ja)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の陰極用分散液、および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の陰極の製造方法
CN115996618A (zh) 一种碳纳米管复合电荷产生层及其制备方法、叠层oled器件
JP4961561B2 (ja) 有機ケイ素化合物と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の複合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2270086A (ja) 電界電子エミッター及びディスプレー装置
KR20100029538A (ko) 일액형 탄소나노튜브 바인더 혼합액을 이용한 전자 방출원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전계 방출 소자용 탄소나노튜브 전자 방출원
JP2011200939A (ja) ナノ炭素材料複合基板製造方法およびナノ炭素材料複合基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