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11445A - 핀 튜브형 열교환기 - Google Patents

핀 튜브형 열교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11445A
KR20080011445A KR1020077030246A KR20077030246A KR20080011445A KR 20080011445 A KR20080011445 A KR 20080011445A KR 1020077030246 A KR1020077030246 A KR 1020077030246A KR 20077030246 A KR20077030246 A KR 20077030246A KR 20080011445 A KR20080011445 A KR 200800114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
heat exchanger
heat transfer
guide pins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302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73225B1 (ko
Inventor
히로카즈 후지노
현영 김
토시미츠 카마다
카즈시게 카사이
Original Assignee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114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14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32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32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00Tubular elements; Assemblies of tubular elements
    • F28F1/10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 F28F1/12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 F28F1/24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and extending transversely
    • F28F1/32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and extending transversely the means having portions engaging further tubular elements
    • F28F1/325Fins with ope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00Tubular elements; Assemblies of tubular elements
    • F28F1/10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 F28F1/12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 F28F1/24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and extending transversely
    • F28F1/32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and extending transversely the means having portions engaging further tubular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 F28D1/02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 F28D1/04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 F28D1/047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the conduits being bent, e.g. in a serpentine or zig-za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3/00Arrangements for modifying heat-transfer, e.g. increasing, decreasing
    • F28F13/06Arrangements for modifying heat-transfer, e.g. increasing, decreasing by affecting the pattern of flow of the heat-exchange medi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7/00Removing ice or water from heat-exchange apparatus
    • F28F17/005Means for draining condensates from heat exchangers, e.g. from evapo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metry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 Details Of Fluid Heaters (AREA)

Abstract

핀 튜브형 열교환기에 있어서 안내핀에 의한 전열 촉진 효과와 배수성(排水性)을 양립시킨다. 핀 튜브형 열교환기(1)는, 기류 중에 배치된 전열핀(2)과, 전열핀(2)에 삽입되어 있고 기류의 흐름 방향에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전열관(3)을 구비하고 있다. 전열핀(2)에는, 전열관(3)의 양측에 있어서, 기류의 흐름 방향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으로 향하여 곧게 배열되는 안내핀(21a, 21b) 및 안내핀(21c, 21d)이 절기(切起)에 의하여 전열핀(2) 면에 형성되어 있다. 안내핀(21a, 21b) 또는 안내핀(21c, 21d)을 가상적으로 연결하는 직선(L1, L2)은 전열관(3) 근방의 기류를 전열관(3)의 기류의 흐름 방향 후측(後側)으로 안내하도록, 기류의 흐름 방향에 대하여 경사하고 있다.
핀 튜브형 열교환기, 전열핀, 전열관, 안내핀, 기류

Description

핀 튜브형 열교환기{FIN TUBE HEAT EXCHANGER}
본 발명은 핀 튜브형 열교환기, 특히, 기류 중에 배치된 전열핀과, 전열핀에 삽입되어 있고 기류의 흐름 방향에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전열관을 구비한 핀 튜브형 열교환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공기 조화 장치 등에 있어서 공기류 중에 배치된 전열핀과, 전열핀에 삽입되어 있고 공기류의 흐름 방향에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전열관을 구비한 핀 튜브형 열교환기(즉, 크로스 핀 앤드 튜브(cross fin and tube)형 열교환기)가 자주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핀 튜브형 열교환기에서는, 전열핀에 있어서의 전열관의 공기류의 흐름 방향 하류측의 부분에 형성되는 사수역(死水域)의 저감, 및 전열핀에 있어서의 경계층의 갱신을 목적으로 한 전열 촉진 수법으로서, 전열핀 면의 전열관의 양측의 위치에, 공기류의 흐름 방향 상류측으로 향하여 확개(擴開)하는 안내핀을, 절기(切起, 부분적으로 절단하여 세워 올림)에 의하여 형성하는 수법이 채용되는 것이 있다(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소61-110889호 공보
그러나 상술과 같은 안내핀이 채용된 핀 튜브형 열교환기를, 공기 조화 장치 등으로 대표되는, 공기를 열원으로 하는 냉매 등의 열매체의 증발기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공기와 열매체의 열교환에 의하여 발생한 드레인수가 안내핀에 체류하여 통풍 저항을 증대시킨다고 하는 문제가 생겨 버린다. 또한, 상술과 같은 안내핀이 채용된 핀 튜브형 열교환기를, 공기 조화 장치의 실외 유닛을 구성하는 실외 열교환기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전열핀 면에 발생한 서리를 제상(除霜) 운전에 의하여 제거하는 것이 있지만, 이때의 배수성(排水性)을 저하시킨다고 하는 문제가 생겨 버린다.
본 발명의 과제는, 핀 튜브형 열교환기에 있어서 안내핀에 의한 전열 촉진 효과와 배수성을 양립시키는 것에 있다.
제1 발명에 관련되는 핀 튜브형 열교환기는, 기류 중에 배치된 전열핀과, 전열핀에 삽입되어 있고 기류의 흐름 방향에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전열관을 구비하고 있다. 전열핀에는, 전열관의 양측에 있어서, 기류의 흐름 방향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으로 향하여 곧게 배열되는 복수의 안내핀이 절기에 의하여 전열핀 면에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안내핀을 가상적으로 연결하는 직선은 전열관 근방의 기류를 전열관의 기류의 흐름 방향 후측(後側)으로 안내하도록 기류의 흐름 방향에 대하여 경사하고 있다.
이 핀 튜브형 열교환기에서는, 안내핀이 기류의 흐름 방향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으로 향하여 복수로 분할되어 있고, 또한 복수의 안내핀이 전열관 근방의 기류를 전열관의 기류의 흐름 방향 후측으로 안내하도록 기류의 흐름 방향에 대하여 경사하고 있기 때문에, 주로 복수의 안내핀 중 전열핀의 기류의 흐름 방향 전측(前側)에 배치된 안내핀에 의하여 경계층을 갱신하는 효과를 확실히 얻는 것, 및 전열핀의 기류의 흐름 방향 후측에 배치된 안내핀에 의하여 전열관의 기류의 흐름 방향 후측의 부분에 형성되는 사수역을 저감하는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한 것과 함께, 전열핀 면에 발생한 드레인수를 안내핀 사이의 간극(間隙)으로부터 쉽게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전열핀 면에 발생하는 드레인수의 영향을 받는 일 없이, 안내핀에 의한 전열 촉진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게다가, 복수의 안내핀이 기류의 흐름 방향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으로 향하여 곧게 배열되는 것에 의하여, 복수의 안내핀 중 전열핀의 기류의 흐름 방향 후측에 배치된 안내핀이 기류의 흐름 방향 전측에 배치된 안내핀과 같은 경사를 가지게 되기 때문에, 전열관의 기류의 흐름 방향 후측의 부분에 형성되는 사수역을 저감할 뿐만 아니라, 안내핀의 배후에 새로운 사수역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관련되는 핀 튜브형 열교환기에서는, 전열핀 면에 발생하는 드레인수의 영향을 받는 일 없이, 안내핀에 의한 전열 촉진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과 함께, 안내핀의 배후에 새로운 사수역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안내핀에 의한 전열 촉진 효과와 배수성을 양립시킬 수 있다.
제2 발명에 관련되는 핀 튜브형 열교환기는, 제1 발명에 관련되는 핀 튜브형 열교환기에 있어서, 각 안내핀은 기류의 흐름 방향 하류측으로 향하여 높이가 점증(漸增)하고 있다.
이 핀 튜브형 열교환기에서는, 각 안내핀의 형상을 기류의 흐름 방향 하류측으로 향하여 높이가 점증한 형상으로 하는 것에 의하여, 각 안내핀의 배후에 세로 소용돌이를 발생시킬 수 있기 때문에, 안내핀에 의한 전열 촉진 효과를 한층 더 높일 수 있다.
제3 발명에 관련되는 핀 튜브형 열교환기는, 제1 또는 제2 발명에 관련되는 핀 튜브형 열교환기에 있어서, 전열핀에는 직선 상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는 안내핀 사이에 체류하는 물을 하방(下方)으로 유하(流下)시키기 위한 배수 촉진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 핀 튜브형 열교환기에서는, 안내핀 사이에 배수 촉진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전열핀의 배수성을 한층 더 높일 수 있다.
제4 발명에 관련되는 핀 튜브형 열교환기는, 제3 발명에 관련되는 핀 튜브형 열교환기에 있어서, 배수 촉진부는 직선 상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는 안내핀 사이에 형성된 슬릿(slit)이다.
제5 발명에 관련되는 핀 튜브형 열교환기는, 제3 발명에 관련되는 핀 튜브형 열교환기에 있어서, 배수 촉진부는, 직선 상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는 안내핀의 단부(端部)이며, 안내핀의 하단부(下端部)로 되는 부분에 형성된 노치(notch)이다.
제6 발명에 관련되는 핀 튜브형 열교환기는, 제3 발명에 관련되는 핀 튜브형 열교환기에 있어서, 배수 촉진부는 직선 상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는 안내핀 사이에 형성된 도수(導水) 리브(rib)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련되는 핀 튜브형 열교환기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B-B 단면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예의 변형예에 관련되는 핀 튜브형 열교환기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도 1의 C부분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제1 실시예의 변형예에 관련되는 핀 튜브형 열교환기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도 1의 C부분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제1 실시예의 변형예에 관련되는 핀 튜브형 열교환기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도 1의 C부분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련되는 핀 튜브형 열교환기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A-A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B-B 단면도이다.
도 10은 제2 실시예의 변형예에 관련되는 핀 튜브형 열교환기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도 7의 C부분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제2 실시예의 변형예에 관련되는 핀 튜브형 열교환기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도 7의 C부분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제2 실시예의 변형예에 관련되는 핀 튜브형 열교환기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도 7의 C부분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01 : 핀 튜브형 열교환기
2, 102 : 전열핀
3 : 전열관
21a ~ 21d, 121a ~ 121f : 안내핀
32, 35, 132, 133, 136, 137 : 슬릿(배수 촉진부)
42, 43, 142, 143, 144, 145 : 노치(배수 촉진부)
52, 151, 154 : 도수 리브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되는 핀 튜브형 열교환기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도 1 ~ 도 3에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련되는 핀 튜브형 열교환기(1)의 요부를 도시한다. 여기서, 도 1은 핀 튜브형 열교환기(1)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B-B 단면도이다.
(1) 핀 튜브형 열교환기의 기본 구성
핀 튜브형 열교환기(1)는, 이른바 크로스 핀 앤드 튜브형 열교환기이며, 주로, 복수의 플레이트(plate)상(狀)의 전열핀(2)과 복수의 전열관(3)을 구비하고 있다. 전열핀(2)은, 그 평면 방향을 공기 등의 기류의 흐름 방향을 대체로 따르게 한 상태로, 판두께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전열핀(2)에는 기류의 흐름 방향에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의 관통공(2a)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공(2a)의 주위 부분은, 전열핀(2)의 판두께 방향의 일방(一方) 측으로 돌출하는 환상(環狀)의 칼라(collar)부(23)로 되어 있다. 칼라부(23)는, 판두께 방향으로 이웃 하는 전열핀(2)의 칼라부(23)가 형성된 면과 반대의 면에 당접(當接, 부딪는 상태로 접함)하고 있고, 각 전열핀(2)의 판두께 방향 사이에 소정의 간격(H)을 확보하고 있다. 전열관(3)은, 내부에 냉매 등의 열매체가 흐르는 관 부재이고, 판두께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된 복수의 전열핀(2)에 삽입되어 있으며, 기류의 흐름 방향에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전열관(3)은 전열핀(2)에 형성된 관통공(2a)을 관통하고 있고, 핀 튜브형 열교환기(1)의 조립 시의 확관(擴管) 작업에 의하여, 칼라부(23)의 내면(內面)에 밀착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핀 튜브형 열교환기(1)는, 복수의 전열관(3)의 배열 방향이 대략 상하 방향으로 되도록 설치된 상태로 사용되는 것이다. 이 때문에, 기류는 핀 튜브형 열교환기(1)를 대략 수평 방향으로 향하여 횡단하도록 흐르게 된다. 덧붙여,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상측(上側)」, 「상방(上方)」이나 「하측(下側)」, 「하방」이라는 문언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전열관(3)의 배열 방향을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한다.
(2) 전열핀의 상세 형상
다음으로, 본 실시예의 핀 튜브형 열교환기(1)에 이용되고 있는 전열핀(2)의 상세 형상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열핀(2)에는, 각 전열관(3)의 양측(즉, 각 전열관(3)의 하측 및 상측)에 있어서, 기류의 흐름 방향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으로 향하여 곧게 배열되는 복수(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안내핀(21a, 21b) 및 안내핀(21c, 21d)이 절기에 의하여 전열핀(2) 면에 형성되어 있다. 이 안내핀(21a, 21b) 또는 안내핀(21c, 21d)을 가 상적으로 연결하는 직선(L1, L2)은, 전열관(3) 근방의 기류를 전열관(3)의 기류의 흐름 방향 후측으로 안내하도록, 기류의 흐름 방향에 대하여 경사하고 있다. 여기서, 직선(L1, L2)의 기류의 흐름 방향에 대한 영각(迎角)(α1, α2)은 10°~ 30°의 범위 내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각 안내핀(21a ~ 21d)은, 기류의 흐름 방향 하류측으로 향하여 높이가 점증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각 안내핀(21a ~ 21d)은 대략 사다리꼴상 또는 대략 삼각형상이고(도 3 참조, 도 3은 안내핀(21c, 21d)을 도시하는 도면이지만, 안내핀(21a, 21b)에 대해서도 같은 형상을 가진다), 그 최대 높이(h)가 칼라부(23)의 높이(H)보다도 낮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안내핀(21a ~ 21d)이 절기될 때에 전열핀(2)에 형성되는 슬릿 구멍(22a ~ 22d)은, 안내핀(21a ~ 21d)을 사이에 두고 전열관(3)보다도 먼 쪽에 배치되어 있다.
(3) 핀 튜브형 열교환기의 특징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핀 튜브형 열교환기(1)에서는, 각 전열관(3)의 양측에 형성된 안내핀의 각각이 기류의 흐름 방향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으로 향하는 복수(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안내핀(21a, 21b) 및 안내핀(21c, 21d)으로 분할되어 있고, 또한 안내핀(21a, 21b) 및 안내핀(21c, 21d)이 전열관(3) 근방의 기류를 전열관(3)의 기류의 흐름 방향 후측으로 안내하도록 기류의 흐름 방향에 대하여 경사하고 있기 때문에, 주로, 안내핀(21a ~ 21d) 중 전열핀(2)의 기류의 흐름 방향 전측에 배치된 안내핀(21a, 21c)에 의하여 경계층을 갱신하는 효과를 확실히 얻는 것, 및 전열핀(2)의 기류의 흐름 방향 후측에 배치된 안내핀(21b, 21d)에 의하여 전열관(3)의 기류의 흐름 방향 후측의 부분에 형성되는 사수역을 저감하는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한 것과 함께, 전열핀(2) 면에 발생한 드레인수를 안내핀(21a, 21b) 사이 및 안내핀(21c, 21d)의 간극으로부터 쉽게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전열핀(2) 면에 발생하는 드레인수의 영향을 받는 일 없이, 안내핀(21a ~ 21d)에 의한 전열 촉진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게다가, 안내핀(21a, 21b) 및 안내핀(21c, 21d)이 기류의 흐름 방향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으로 향하여 직선(L1) 및 직선(L2) 상을 곧게 배열되는 것에 의하여, 안내핀(21a ~ 21d) 중 전열핀(2)의 기류의 흐름 방향 후측에 배치된 안내핀(21b, 21d)이 기류의 흐름 방향 전측에 배치된 안내핀(21a, 21c)과 같은 경사를 가지게 되기 때문에, 전열관(3)의 기류의 흐름 방향 후측의 부분에 형성되는 사수역을 저감할 뿐만 아니라, 안내핀(21b, 21d)의 배후에 새로운 사수역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의 핀 튜브형 열교환기(1)에서는, 전열핀(2) 면에 발생하는 드레인수의 영향을 받는 일 없이, 안내핀(21a ~ 21d)에 의한 전열 촉진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과 함께, 안내핀(21b, 21d)의 배후에 새로운 사수역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안내핀에 의한 전열 촉진 효과와 배수성을 양립시킬 수 있다.
또한, 이 핀 튜브형 열교환기(1)에서는, 각 안내핀(21a ~ 21d)의 형상을 기 류의 흐름 방향 하류측으로 향하여 높이가 점증한 형상으로 하는 것에 의하여, 각 안내핀(21a ~ 21d)의 배후에 세로 소용돌이를 발생시킬 수 있기 때문에, 각 안내핀(21a ~ 21d)에 의한 전열 촉진 효과를 한층 더 높일 수 있다.
(4) 변형예
상술의 핀 튜브형 열교환기(1)에 있어서, 전열핀(2) 면에 발생한 드레인수를 안내핀(21a, 21b) 사이 및 안내핀(21c, 21d) 사이의 간극으로부터 한층 더 쉽게 배출되도록, 직선(L1, L2) 상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는 안내핀(21a, 21b) 사이 또는 안내핀(21c, 21d) 사이에 체류하는 물을 하방으로 유하시키는 배수 촉진부로서의 슬릿(32, 35)(도 4 참조), 노치(42, 43)(도 5 참조) 또는 도수 리브(52)(도 6 참조)를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여기서, 도 4 ~ 도 6은, 전열핀(2)에 각종 배수 촉진부를 형성한 경우에 있어서의 도 1의 C부분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우선, 전열핀(2)에 슬릿(32, 35)을 형성한 경우에 대하여, 도 4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본 변형예에 있어서, 슬릿(32, 35)은, 직선(L1) 상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는 안내핀(21a, 21b) 사이 및 직선(L2) 상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는 안내핀(21c, 21d) 사이의 간극 부분에, 직선(L1, L2)을 상하 방향으로 횡단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슬릿(32, 35)은, 전열 성능에 가능한 한 영향을 미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예를 들면, 전열핀(2) 면에 세로 방향의 틈을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슬릿 폭이 좁은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안내핀(21a, 21b) 사이 및 안내핀(21c, 21d) 사이의 간극 부분 이외의 각 안내핀(21a ~ 21d)의 단부에도, 슬릿(32, 35)과 마찬 가지의 슬릿(31, 33, 34, 36)을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다음으로, 전열핀(2)에 노치(42, 43)를 형성한 경우에 대하여, 도 5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본 변형예에 있어서, 노치(42, 43)는, 직선(L1, L2) 상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는 안내핀(21a, 21b) 및 안내핀(21c, 21d)의 단부이며, 안내핀(21a, 21b) 및 안내핀(21c, 21d)의 하단부로 되는 부분(즉, 안내핀(21a, 21b) 및 안내핀(21c, 21d)의 중력 방향을 따라 하부로 되는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안내핀(21b)의 하단부 및 안내핀(21c)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노치(42, 43)는, 안내핀(21b, 21c)의 하단부에 있어서, 안내핀(21b, 21c)을 절기에 의하여 형성할 때에 형성되는 슬릿 구멍(22b, 22c)에 연통(連通)하도록 형성된 세로 방향의 틈이다. 또한, 안내핀(21b, 21c)의 하단부로 되는 부분 이외의 각 안내핀(21a, 21d)의 단부에도, 노치(42, 43)와 마찬가지의 노치(41, 44)를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다음으로, 전열핀(2)에 도수 리브(52)를 형성한 경우에 대하여, 도 6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본 변형예에 있어서, 도수 리브(52)는, 직선(L1) 상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는 안내핀(21a, 21b) 사이 및 직선(L2) 상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는 안내핀(21c, 21d) 사이의 간극 부분에, 직선(L1, L2)을 상하 방향으로 횡단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도수 리브(52)는 전열핀(2) 면에 프레스(press) 가공 등을 시행하는 것에 의하여 형성된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늘고 긴 돌기이며, 안내핀(21a, 21b) 사이의 간극 부분과 안내핀(21c, 21d) 사이의 간극 부분을 상하 방 향(즉, 중력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연결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덧붙여, 전열관(3)의 근방에 있어서는, 도수 리브(52)를 상하 방향으로 곧게 연장할 수 없기 때문에, 칼라부(23)의 근방 부분만을 원호상(圓弧狀)으로 형성하는 것으로, 대체로 중력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된 상태가 유지되고 있다. 또한, 안내핀(21a, 21b) 사이의 간극 부분 및 안내핀(21c, 21d) 사이의 간극 부분 이외의 안내핀(21a, 21c)의 기류의 흐름 방향 전측의 부분이나 안내핀(21b, 21d)의 기류의 흐름 방향 후측의 부분에도, 도수 리브(52)와 마찬가지의 도수 리브(51, 53)를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이상과 같이, 본 변형예의 핀 튜브형 열교환기(1)에서는, 전열핀(2)의 직선(L1) 상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는 안내핀(21a, 21b) 사이 및 직선(L2) 상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는 안내핀(21c, 21d) 사이에, 배수 촉진부로서의 슬릿(32, 35), 노치(42, 43) 또는 도수 리브(52)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전열핀(2)의 배수성을 한층 더 높일 수 있다.
<제2 실시예>
도 7 ~ 도 9에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련되는 핀 튜브형 열교환기(101)의 요부를 도시한다. 여기서, 도 7은 핀 튜브형 열교환기(101)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A-A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B-B 단면도이다.
(1) 핀 튜브형 열교환기의 구성
핀 튜브형 열교환기(101)의 기본 구성은, 후술하는 전열핀(102)의 안내핀(121a ~ 121f)을 제외하고는, 제1 실시예의 핀 튜브형 열교환기(1)의 구성과 같 다. 이 때문에, 핀 튜브형 열교환기(101)의 기본 구성에 대해서는 전열핀(102)에 관한 부호를 10번대에서 100번대로 대체하는 것으로써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의 핀 튜브형 열교환기(101)에 이용되고 있는 전열핀(102)의 상세 형상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열핀(102)에는, 각 전열관(3)의 양측(즉, 각 전열관(3)의 하측 및 상측)에 있어서, 기류의 흐름 방향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으로 향하여 곧게 배열되는 복수(본 실시예에서는, 3개)의 안내핀(121a, 121b, 121c) 및 안내핀(121d, 121e, 121f)이 절기에 의하여 전열핀(102) 면에 형성되어 있다. 이 안내핀(121a, 121b, 121c) 또는 안내핀(121d, 121e, 121f)을 가상적으로 연결하는 직선(L1, L2)은, 전열관(3) 근방의 기류를 전열관(3)의 기류의 흐름 방향 후측으로 안내하도록, 기류의 흐름 방향에 대하여 경사하고 있다. 여기서, 직선(L1, L2)의 기류의 흐름 방향에 대한 영각(α1, α2)은 10°~ 30°의 범위 내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각 안내핀(121a ~ 121f)은 기류의 흐름 방향 하류측으로 향하여 높이가 점증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각 안내핀(121a ~ 121f)은 대략 사다리꼴상 또는 대략 삼각형상이고(도 9 참조, 도 9는 안내핀(121d, 121e, 121f)을 도시하는 도면이지만, 안내핀(121a, 121b, 121c)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의 형상을 가진다), 그 최대 높이(h)가 칼라부(123)의 높이(H)보다도 낮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안내핀(121a ~ 121d)이 절기될 때에 전열핀(102)에 형성되는 슬릿 구멍(122a ~ 122f)은 안내핀(121a ~ 121f)을 사이에 두고 전열관(3)보다도 먼 쪽에 배치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의 핀 튜브형 열교환기(101)에서는, 제1 실시예의 핀 튜브형 열교환기(1)의 안내핀이 안내핀(21a, 21b) 및 안내핀(21c, 21d)의 2분할 구조인 것에 대하여, 안내핀(121a, 121b, 121c) 및 안내핀(121d, 121e, 121f)의 3분할 구조가 되어 있기 때문에, 전열핀(102) 면에 발생한 드레인수를 배출하기 위한 안내핀 사이의 간극의 수가 증가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제1 실시예의 핀 튜브형 열교환기(1)에 비하여 드레인수의 배수성을 높일 수 있다.
(2) 변형예
상술한 핀 튜브형 열교환기(101)에 있어서도, 제1 실시예의 핀 튜브형 열교환기(1)와 마찬가지로, 전열핀(102) 면에 발생한 드레인수를 안내핀(121a, 121b) 사이, 안내핀(121b, 121c) 사이, 안내핀(121d, 121e) 사이, 안내핀(121e, 121f) 사이의 간극으로부터 한층 더 쉽게 배출되도록, 직선(L1, L2) 상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는 안내핀(121a, 121b) 사이, 안내핀(121b, 121c) 사이, 안내핀(121d, 121e) 사이 및 안내핀(121e, 121f) 사이에 체류하는 물을 하방으로 유하시키는 배수 촉진부로서의 슬릿(132, 133, 136, 137)(도 10 참조), 노치(142, 143, 144, 145)(도 11 참조) 또는 도수 리브(152, 153)(도 12 참조)를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여기서, 도 10 ~ 도 12는 전열핀(102)에 각종 배수 촉진부를 형성한 경우에 있어서의 도 7의 C부분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덧붙여, 슬릿, 노치 및 도수 리브의 형상 등은 제1 실시예의 변형예에 관련 되는 슬릿(32, 35), 노치(42, 43) 또는 도수 리브(52)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이 핀 튜브형 열교환기(101)에 있어서도, 제1 실시예의 변형예에 관련되는 핀 튜브형 열교환기(1)와 마찬가지로, 전열핀(102) 면에 발생한 드레인수를 안내핀(121a, 121b) 사이, 안내핀(121b, 121c) 사이, 안내핀(121d, 121e) 사이 및 안내핀(121e, 121f) 사이 이외의 부분에도, 슬릿(131, 134, 135, 138), 노치(141, 146) 또는 도수 리브(151, 154)를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다른 실시예>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하였지만, 구체적인 구성은 이들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변경 가능하다.
본 발명을 이용하면, 핀 튜브형 열교환기에 있어서, 안내핀에 의한 전열 촉진 효과와 배수성을 양립시킬 수 있다.

Claims (6)

  1. 기류 중에 배치된 전열핀(2, 102)과,
    상기 전열핀에 삽입되어 있고 기류의 흐름 방향에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전열관(3)을 구비하고,
    상기 전열핀에는, 상기 전열관의 양측에 있어서, 기류의 흐름 방향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으로 향하여 곧게 배열되는 복수의 안내핀(21a ~ 21d, 121a ~ 121f)이 절기(切起)에 의하여 상기 전열핀 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안내핀을 가상적으로 연결하는 직선(L1, L2)은 상기 전열관 근방의 기류를 상기 전열관의 기류의 흐름 방향 후측(後側)으로 안내하도록 기류의 흐름 방향에 대하여 경사하고 있는,
    핀 튜브형 열교환기(1, 101).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안내핀(21a ~ 21d, 121a ~ 121f)은 기류의 흐름 방향 하류측으로 향하여 높이가 점증(漸增)하고 있는, 핀 튜브형 열교환기(1, 101).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열핀(2, 102)에는 상기 직선(L1, L2) 상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는 상 기 안내핀(21a ~ 21d, 121a ~ 121f) 사이에 체류하는 물을 하방(下方)으로 유하(流下)시키기 위한 배수 촉진부가 형성되어 있는, 핀 튜브형 열교환기(1, 101).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 촉진부는 상기 직선(L1, L2) 상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는 상기 안내핀(21a ~ 21d, 121a ~ 121f) 사이에 형성된 슬릿(slit)(32, 35, 132, 133, 136, 137)인, 핀 튜브형 열교환기(1, 101).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 촉진부는, 상기 직선(L1, L2) 상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는 상기 안내핀의 단부(端部)(21a ~ 21d, 121a ~ 121f)이며, 상기 안내핀의 하단부(下端部)로 되는 부분에 형성된 노치(notch)(42, 43, 142, 143, 144, 145)인, 핀 튜브형 열교환기(1, 101).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 촉진부는 상기 직선(L1, L2) 상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는 상기 안내핀(21a ~ 21d, 121a ~ 121f) 사이에 형성된 도수(導水) 리브(rib)(52, 151, 154)인, 핀 튜브형 열교환기(1, 101).
KR1020077030246A 2005-07-01 2006-06-26 핀 튜브형 열교환기 KR1009732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194254 2005-07-01
JP2005194254A JP2007010279A (ja) 2005-07-01 2005-07-01 フィンチューブ型熱交換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1445A true KR20080011445A (ko) 2008-02-04
KR100973225B1 KR100973225B1 (ko) 2010-07-30

Family

ID=37604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30246A KR100973225B1 (ko) 2005-07-01 2006-06-26 핀 튜브형 열교환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100175864A1 (ko)
EP (1) EP1906129B1 (ko)
JP (1) JP2007010279A (ko)
KR (1) KR100973225B1 (ko)
CN (1) CN100554855C (ko)
AU (1) AU2006266965B2 (ko)
ES (1) ES2370795T3 (ko)
WO (1) WO200700445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62929B2 (ja) * 2007-03-14 2013-03-13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フィンチューブ型熱交換器
JP2008232448A (ja) * 2007-03-16 2008-10-02 Daikin Ind Ltd フィンチューブ型熱交換器および空気調和装置
JP4293252B2 (ja) * 2007-03-19 2009-07-08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熱交換器用フィン、並びにガイド及びその使用方法
JP2008249298A (ja) * 2007-03-30 2008-10-16 Daikin Ind Ltd フィンチューブ型熱交換器
JP5304024B2 (ja) * 2008-05-27 2013-10-02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フィンチューブ型熱交換器
JP5304025B2 (ja) * 2008-05-27 2013-10-02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フィンチューブ型熱交換器
CN102374816A (zh) * 2011-11-09 2012-03-14 海信(山东)空调有限公司 环翼桥式换热器翅片、换热器及空调
US20170074564A1 (en) * 2014-05-15 2017-03-16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Heat exchanger and refrigeration cycle apparatus including the heat exchanger
CN105758246B (zh) * 2014-12-15 2019-06-11 浙江盾安人工环境股份有限公司 换热器翅片和换热器
US10005413B2 (en) 2016-10-05 2018-06-26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Vehicles including front grille assemblies with air flow director fins
JP6680225B2 (ja) * 2017-01-19 2020-04-15 株式会社デンソー 熱交換器及び熱交換器の製造方法
US11236951B2 (en) * 2018-12-06 2022-02-01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Heat exchanger fin surface enhancement
US11988462B2 (en) * 2020-08-31 2024-05-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Heat exchanger and air conditioner using the heat exchanger
CN112964112A (zh) * 2021-03-25 2021-06-15 山东西努克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高效散热翅片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85992A (ja) * 1983-04-06 1984-10-22 Mitsubishi Electric Corp 熱交換器
JPS59208396A (ja) * 1983-05-11 1984-11-26 Mitsubishi Electric Corp 熱交換器
JPS59215596A (ja) * 1983-05-19 1984-12-05 Mitsubishi Electric Corp 熱交換器
JPS6020094A (ja) * 1983-07-13 1985-02-01 Mitsubishi Electric Corp 熱交換器
JPS616590A (ja) * 1984-06-19 1986-01-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フイン付熱交換器
KR890002903B1 (ko) * 1984-09-04 1989-08-08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열교환기
DE3737217C3 (de) * 1987-11-03 1994-09-01 Gea Luftkuehler Happel Gmbh Wärmeaustauscherrohr
JP2798959B2 (ja) * 1989-03-30 1998-09-17 株式会社東芝 熱交換器
JPH05164489A (ja) * 1991-12-12 1993-06-29 Daikin Ind Ltd フィン付き熱交換器
JPH09159390A (ja) * 1995-12-06 1997-06-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給湯機用熱交換器
JPH109786A (ja) * 1996-06-21 1998-01-16 Matsushita Refrig Co Ltd フィン付熱交換器
KR100210073B1 (ko) * 1996-07-09 1999-07-15 윤종용 공기조화기의 열교환기
JPH10332291A (ja) * 1997-05-30 1998-12-15 Mitsubishi Heavy Ind Ltd フィンアンドチューブ型熱交換器
JP2001147087A (ja) * 1999-11-19 2001-05-29 Fujitsu General Ltd フィンチューブ型熱交換器
KR100363317B1 (ko) * 2000-03-31 2002-12-02 만도공조 주식회사 열교환기의 방열핀
CA2391077A1 (en) * 2001-06-28 2002-12-28 York International Corporation High-v plate fin for a heat exchanger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US7337831B2 (en) * 2001-08-10 2008-03-04 Yokohama Tlo Company Ltd. Heat transfer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6266965B2 (en) 2009-08-13
CN100554855C (zh) 2009-10-28
KR100973225B1 (ko) 2010-07-30
JP2007010279A (ja) 2007-01-18
US20100175864A1 (en) 2010-07-15
EP1906129B1 (en) 2011-09-07
ES2370795T3 (es) 2011-12-22
CN101208575A (zh) 2008-06-25
WO2007004457A1 (ja) 2007-01-11
EP1906129A4 (en) 2010-08-11
AU2006266965A1 (en) 2007-01-11
WO2007004457A8 (ja) 2008-01-31
EP1906129A1 (en) 2008-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3225B1 (ko) 핀 튜브형 열교환기
US7913750B2 (en) Louvered air center with vortex generating extensions for compact heat exchanger
KR101326973B1 (ko) 열교환기 및 그것을 탑재한 공기 조화기
US7219716B2 (en) Heat exchanger
US10072898B2 (en) Fin tube heat exchanger
JP3110196U (ja) 細径管型熱交換器
KR20090075706A (ko) 핀 튜브형 열교환기
JP5304024B2 (ja) フィンチューブ型熱交換器
US20090173479A1 (en) Louvered air center for compact heat exchanger
JP2018025373A (ja) 冷蔵庫用熱交換器及び冷蔵庫
KR20100004724A (ko) 열교환기
JP2005106328A (ja) 熱交換装置
JP2006038311A (ja) フィンチューブ式熱交換器
JP4626422B2 (ja) フィンチューブ型熱交換器
JP4940871B2 (ja) フィンチューブ型熱交換器
JP2008249298A (ja) フィンチューブ型熱交換器
JP2006153327A (ja) 熱交換器
JP2006153290A (ja) 熱交換器
KR100342712B1 (ko) 열 교환기
KR100555415B1 (ko) 열교환기
JP2008241059A (ja) フィンチューブ型熱交換器
JPH02309193A (ja) フィン付熱交換器
JP5162929B2 (ja) フィンチューブ型熱交換器
JP2008286446A (ja) 伝熱部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熱交換器
JP5088236B2 (ja) フィンチューブ型熱交換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