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4597U - 배수로 덮개 - Google Patents

배수로 덮개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4597U
KR20080004597U KR2020080009322U KR20080009322U KR20080004597U KR 20080004597 U KR20080004597 U KR 20080004597U KR 2020080009322 U KR2020080009322 U KR 2020080009322U KR 20080009322 U KR20080009322 U KR 20080009322U KR 20080004597 U KR20080004597 U KR 2008000459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side wall
drainage
support
metal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93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운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강
Priority to KR20200800093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04597U/ko
Publication of KR2008000459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4597U/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1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두꺼운 금속판 양측에 구획된 측벽 영역에 복수의 조립홈을 형성한 후 측벽영역을 접고 양측 조립홈에 지지살의 양단을 끼워 일체화함으로써 다양한 문양을 자유롭게 표현하는 덮개판의 장점과 함께 양측벽 및 이를 연결하는 지지대에 의해 견고성을 확보하는 장점을 모두 겸비한 배수로 덮개에 관한 것이다.
상기 본 고안의 구성은, 사각의 금속 판체(12) 양측에 측벽 영역을 형성하여 이에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의 조립홈(18)을 형성하고, 상기 측벽(16) 영역부를 직각으로 접고, 상기 양 측벽(16) 간에 서로 대응되는 조립홈(18)으로 지지살(20)의 양 끝부를 삽입시켜 이루어진다.
이러한 배수로 덮개는 높은 하중이 가하여지더라도 금속판체와 지지살이 견고하면서도 안정적으로 지지해주는 효과가 있으며, 이와 같이 견고성 및 안정성 등과 같은 기능적인 부분과 아울러 금속판에 레이저 가공을 통해 원하는 문양의 배수구멍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디자인 또한 뛰어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 배수로 덮개는 기존의 주조물 배수로 덮개 또는 그레이팅 덮개와 같은 측벽을 가지므로 기 설치된 배수로에도 용이하게 적용시킬 수 있는 범용성이 있다.

Description

배수로 덮개{COVER FOR A DRAINAGE}
본 고안은 두꺼운 금속판 양측에 구획된 측벽 영역에 복수의 조립홈을 형성한 후 측벽영역을 접고 양측 조립홈에 지지살의 양단을 끼워 일체화함으로써 다양한 문양을 자유롭게 표현하는 덮개판의 장점과 함께 양측벽 및 이를 연결하는 지지대에 의해 견고성을 확보하는 장점을 모두 겸비한 배수로 덮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수로 덮개는 주로 주조에 의하거나 또는 평철을 격자로 연결하여 된 그레이팅과 같은 것이 대부분이었다. 이는 디자인보다는 배수의 기능성과 견고성 및 가격의 저렴성을 중요시하는 업계의 요구에 의한 것이었다. 그런데 요즘은 가격 상승 요인이 있다 하더라도 기능성과 견고성을 겸비하면서도 디자인적인 부분을 중시하는 추세로 발전하고 있다.
예를 들어 두꺼운 금속의 판체(동판)를 다양한 문양의 배수구를 갖도록 레이저 가공하여 이를 배수로 덮개로 활용하는 것이다. 레이저 의한 가공은 배수로의 모양을 표현하는데 매우 자유롭기 때문에 다양한 디자인의 배수구를 형성하는데 막힘이 없으며, 그 마무리가 매우 깔끔하므로 고급스러운 미감을 가지게 되므로 고가이어도 선호도가 높다.
그런데 상기 덮개판은, 디자인적인 측면이 주물 덮개 또는 그레이팅보다는 뛰어난 효과는 있으나, 견고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즉, 하중이 가해졌을 때 덮개판이 휘청거림이 심하게 발생되고 또 이러한 현상이 반복됨에 따라 덮개판의 중앙부가 하부로 휘어져 받침턱과 접하는 양 끝부가 들뜨게 된다. 이 때문에 배수로 덮개를 밟게 되면 더더욱 휘청거림이 발생되고 또 소음이 심하게 발생하며, 심지어는 배수로로부터 이탈되는 사례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 덮개판의 휘청거림은 덮개판의 견고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인식되어 사람들로 하여금 불안감을 주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도 1에서와 같이 받침턱(6)에 대응되는 가장자리부를 제외한 금속 덮개판(2)의 저면에 지지살(4)을 부착한 배수로 덮개(1)가 있으나, 상기 지지살(4)이 양측의 받침턱(6)에 안착되지 못하고 금속 덮개판(2)에 단순히 매달려 있는 상태로 있으므로 하중을 받았을 때 지지력을 발휘하지 못한다. 따라서 단순 판체로 이루어진 기존의 덮개보다 그 성능이 별반 다를 바 없다. 즉, 하중이 가해지면 여전히 휘청거림이 발생하며, 그 휘청거림의 반복에 의해 부착된 지지살(4)이 떨어져 나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덮개판(2)은 배수로 양측 받침턱(6)에 안착되는 끝 부분의 두께가 얇은 관계로 이를 지지하는 받침턱(6)의 높이 또한 낮게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덮개판(2)의 비정상적 이탈현상이 심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덮개판(2)의 양측을 지지하는 받침턱(6)이 일반적인 배수로 덮개의 규격과 상이하기 때문에 상기 덮개판(2)은 전용 받침턱(6)을 위한 지지살(4)을 반드시 필요로하므로, 결코 기설치된 일반 배수로에는 절대 적용할 수 없는 등 범용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배수로 덮개의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레이저 가공기를 이용한 가공작업시 배수로 덮개의 문양과 함께 가장자리부에 조립홈을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개 형성하고, 상기 조립홈이 형성된 양측부를 직각으로 접어 양측 조립홈에 지지살의 양 끝부를 끼우고 용접시켜 큰 하중이 가해지더라도 조립 및 용접에 의해 일체화된 복수의 지지살들이 판체를 견고하게 지지하도록 하여 휘청거림 없이 견고하고도 안정된 배수로 덮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기존의 주물 배수로 덮개 또는 그레이팅 덮개가 적용되는 배수로에도 용이하게 적용시킬 수 있는 범용성을 갖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배수로 덮개는,
사각의 금속 판체 양측에 측벽 영역을 형성하여 이에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의 조립홈을 미리 형성하고,
상기 측벽 영역부를 직각으로 접고,
상기 양 측벽 간에 서로 대응되는 조립홈으로 지지살의 양 끝부를 삽입시켜 용접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 배수로 덮개는 금속판체의 양측에 측벽 영역을 형성하여 이에 레이져 가공으로 조립홈(18)을 복수개 형성하고, 또 양측벽 영역부를 설계한 바에 따라 직각으로 접은 후 마주보는 조립홈에 지지살을 끼우고 용접하여 일체화시킨 것이므로, 상부에 높은 하중이 가하여지더라도 상기 금속판체와 아울러 지지살이 견고하면서도 안정적으로 지지해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와 같이 견고성 및 안정성 등과 같은 기능적인 부분과 아울러 금속판에 레이저 가공을 통해 원하는 문양의 배수구멍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디자인 또한 뛰어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 배수로 덮개는 기존의 주조물 배수로 덮개 또는 그레이팅 덮개와 같은 측벽을 가지므로 기 설치된 배수로에도 용이하게 적용시킬 수 있는 범용성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배수로 덮개 구조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배수로 덮개의 제조를 위한 덮개판 전개도.
도 3은 본 고안 배수로 덮개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 배수로 덮개에 지지살이 조립되기 전상태의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 배수로 덮개에 지지살이 조립 완료된 상태의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 배수로 덮개에 지지살이 조립 완료된 상태의 종단면도.
도 7은 본 고안 배수로 덮개가 설치된 상태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배수로 덮개 12 - 판체
14 - 절첩선 16 - 측벽
18 - 조립홈 20 - 지지살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배수로 덮개의 제조를 위한 덮개판 전개도로서, 본 고안 배수로 덮개(10)는 기본적으로 평면의 사각 금속 판체와 복수의 지지살을 마련하여 판체의 양측에 측벽(16) 영역을 구획 설정하고, 또 그 영영부에 복수의 조립홈(18)을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한다. 물론 상기 금속 판체(12)에는 다양한 문양의 배수구멍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배수구멍 및 조립홈(18)은 다양한 방법으로 가공할 수도 있으나 현재 많이 활용되고 있는 레이저 가공에 의해 이루어진다. 참조부호 14는 절첩선이다. 또한, 상기 조립홈(18)은 슬롯이나 구멍은 물론이고 하단부가 개방된 구조 등을 모두 통칭하는 것임을 밝혀둔다.
이와 같이 배수구멍 및 조립홈(18)이 완성되면 설계된 바에 따라 측벽(16)을 이루는 부분을 직각으로 절곡 시킨다.
도 3은 본 고안 배수로 덮개의 분리 사시도로서, 금속 판체(12)의 양측을 직각으로 절곡하여 측벽(16)을 형성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측벽(16)이 형성되면 선 가공된 양 측벽(16)의 조립홈(18)이 서로 나란하게 대응된다.
도 4는 본 고안 배수로 덮개에 지지살이 조립되기 전 상태의 단면도로서, 측벽(16)을 구비한 금속 판체(12)와 함께, 양 측벽(16)의 외측면 간의 간격을 길이로 하는 복수의 지지살(20)이 구비되어 있다. 이 지지살(20)은 어느 특정형상에 얽매이지 않고 다양한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경제적으로나 기능적으로 볼 때, 도 3에서와 같이 단면이 'I'형으로 된 지지살(20)이 적합하다.
도 5는 본 고안 배수로 덮개에 지지살이 조립 완료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 배수로 덮개(10)에 지지살(20)이 조립 완료된 상태의 종단면도로서, 상기 복수의 지지살(20) 양 끝부분을 양측 측벽(16)에 형성된 조립홈(18)에 끼워 조립한다. 바람직하게는 조립홈(18)이 지지살(20)의 단면 크기와 같도록 정밀가공되어 조립된 지지살(20)의 양 끝부분이 조립홈(18)에 꼭 끼게 결합되는 것이 좋으며, 이는 본 고안 배수로 덮개(10)의 견고성을 더욱더 확보하는 효과를 갖는다.
이와 같이 조립된 지지살(20)의 양 끝부분을 측벽(16)과 용접하여 일체화시켜 완성한다.
도 7은 본 고안 배수로 덮개가 설치된 상태 단면도로서, 완성된 배수로 덮개(10)를 배수로에 설치하면, 양 측벽(16)의 하단이 상기 받침턱(30)에 안착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배수로 덮개(10)의 상부에 행인이 밟고 지나가거나 차량이 지나가게 되면, 그 하중은 금속의 판체(12)를 통해 다수의 지지살(20) 및 배수로 양측 상단부의 받침턱(30)에 전달된다. 이때 상기 지지살(20)은 'I'형의 단면을 이룰 뿐만 아니라 설치시 모로 설치되기 때문에 큰 하중도 견고히 지지할 수가 있다. 따라서 본 고안 배수로 덮개(10)는 절대 휘청거림이 발생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그 견고성도 그레이팅 덮개는 물론이고 주조물 배수로 덮개(10)와도 견줄 만큼 높은 견고성을 갖게 된다.

Claims (1)

  1. 사각의 금속 판체(12) 양측에 측벽 영역을 형성하여 이에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의 조립홈(18)을 미리 형성하고,
    상기 측벽(16) 영역부를 직각으로 접고,
    상기 양 측벽(16) 간에 서로 대응되는 조립홈(18)으로 지지살(20)의 양 끝부를 삽입시켜 용접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로 덮개.
KR2020080009322U 2008-07-14 2008-07-14 배수로 덮개 KR2008000459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9322U KR20080004597U (ko) 2008-07-14 2008-07-14 배수로 덮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9322U KR20080004597U (ko) 2008-07-14 2008-07-14 배수로 덮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4794 Division 2007-04-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4597U true KR20080004597U (ko) 2008-10-14

Family

ID=41502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9322U KR20080004597U (ko) 2008-07-14 2008-07-14 배수로 덮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04597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3969B1 (ko) * 2012-08-09 2013-08-07 주식회사 신양에벤에셀 강판맨홀뚜껑 제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3969B1 (ko) * 2012-08-09 2013-08-07 주식회사 신양에벤에셀 강판맨홀뚜껑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04597U (ko) 배수로 덮개
KR20140111427A (ko) 그레이팅
JP2011029363A (ja) 金属製組立棚のフレーム構造
JP2008144553A (ja) 床構造体、及びこれに用いる床板固定金具
KR102410149B1 (ko) 그레이팅
JP6473620B2 (ja) ユニットルーム構成部材に対し被取付物を取り付ける取付具および取付構造
JP2006219928A (ja) 棟瓦梁支持金具。
KR102232208B1 (ko) 금속 판재로 만들어진 그레이팅 구성품을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그레이팅 및, 그 설치 구조
BE1016548A3 (nl) Verbeterde inbouwmodule.
KR200239511Y1 (ko) 발코니의 난간고정용 브라켓
JP3841204B2 (ja) 壁パネルの接続具
CN205090983U (zh) 用于支撑显示面板总成的支撑板
CN210562933U (zh) 一种天花龙骨以及窄缝型天花结构
JP2004116088A (ja) 廻り階段
JP5038225B2 (ja) 笠木の取付構造
KR200396332Y1 (ko) 건물용 물받이 받침대
RU34189U1 (ru) Комплект плинтусных профилей
JP4127185B2 (ja) 縦仕切の取付構造
KR100720073B1 (ko) 데크플레이트
JP3930303B2 (ja) 階段室の曲がり部のアウトサイドの踏板支持部材の組み合わせ
JP3698638B2 (ja) 筋交い固定金具
JP2008308904A (ja) 手摺り用ブラケット
JP2006118771A (ja) 空気調和機の室外機用設置台
JP6336413B2 (ja) レール用ブラケット
JPH0312941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