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2208B1 - 금속 판재로 만들어진 그레이팅 구성품을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그레이팅 및, 그 설치 구조 - Google Patents

금속 판재로 만들어진 그레이팅 구성품을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그레이팅 및, 그 설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2208B1
KR102232208B1 KR1020190094603A KR20190094603A KR102232208B1 KR 102232208 B1 KR102232208 B1 KR 102232208B1 KR 1020190094603 A KR1020190094603 A KR 1020190094603A KR 20190094603 A KR20190094603 A KR 20190094603A KR 102232208 B1 KR102232208 B1 KR 1022322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ting
horizontal
bar
support
compon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46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15567A (ko
Inventor
전나래
Original Assignee
전나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나래 filed Critical 전나래
Priority to KR10201900946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2208B1/ko
Publication of KR202100155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55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22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22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1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그레이팅은 직사각 형상의 금속 평판을 벤딩하여 그레이팅 구성품을 만들고 이 그레이팅 구성품을 수평방향으로 결합하거나 그레이팅 구성품을 평판 스트립과 교대로 수평방향으로 결합하여 만들어지므로 다양한 넓이와 형상으로 쉽게 만들어질 수 있고, 제조 공정이 단순하고 생산성이 높다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금속 판재로 만들어진 그레이팅 구성품을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그레이팅 및, 그 설치 구조{Grating manufactured by coupling grating components made from metal plate and, installation structure thereof}
본 발명은 그레이팅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직사각 형상의 금속 평판을 벤딩하여 그레이팅 구성품을 만들고 이 그레이팅 구성품을 수평방향으로 결합하거나 그레이팅 구성품을 평판 스트립과 교대로 수평방향으로 결합하여 만들어지므로 다양한 넓이와 형상으로 쉽게 만들어질 수 있고, 제조 공정이 단순하고 생산성이 높은 그레이팅에 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그레이팅의 설치 구조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그레이팅은 도로, 주거단지, 지하철 등에 설치되는 빗물 집배수로(集排水路)의 덮개 등으로 널리 사용된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그레이팅(1)은 직사각형의 내부 공간을 갖는 엔드 바(2)와, 엔드 바(2)의 내측에 설치된 복수 개의 베이링 바(3) 및, 크로스 바(4)를 포함한다.
베이링 바(3)는 그레이팅(1)에 인가되는 하중의 대부분을 지지하는 것으로서, 복수 개가 동일한 간격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베어링 바(3)의 양쪽 단부는 엔드 바(2)에 용접으로 결합된다.
크로스 바(4)는 베어링 바(3)와 수직이 되도록 베어링 바(3)의 상단(그레이팅의 윗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베어링 바(3)와 엔드 바(2)에 용접으로 결합된다. 크로스 바(4)는 베어링 바(3)의 간격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위와 같은 구조를 갖는 그레이팅(1)은 엔드 바(2), 베어링 바(3) 및, 크로스 바(4)를 각각 제조하고 이를 용접하는 데에 많은 작업 시간과 비용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아울러, 그레이팅(1)은 엔드 바(2)가 형성하는 직사각형 공간의 내측에 베어링 바(3)와 크로스 바(4)가 설치된 구조이므로, 그 형상 및/또는 넓이를 쉽게 변경시킬 수가 없고, 동일한 넓이와 형상의 그레이팅을 반복적으로 설치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만약, 그레이팅(1)의 형상 및/또는 넓이를 변경시키려면 엔드 바(2)와 베어링 바(3) 및 크로스 바(4)를 새로 제작해야 하므로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된다.
본 출원인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금속 판재에 벤딩, 버링 등의 가공을 하여 만들어지는 그레이팅을 개발하고 이를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6-0148047호로 출원하여 등록받은 바 있다.
상기 그레이팅은,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다수 개의 그레이팅 구성품(30)이 보강 바(40)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그리고,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그레이팅 구성품(30)은 금속판재(P)를 가공하여 제작된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금속 판재(P)의 4개의 테두리를 벤딩하여 제1 지지부(21)와 제2 지지부(25)를 성형하고 중앙에는 배수공(17)을 형성하되, 제1,2 지지부(21)(25) 사이에 틈이 형성되도록 하고, 이 틈에 보강 바(40)를 삽입하여 이웃하는 그레이팅 구성품(30)이 서로 결합되도록 한다.
그레이팅(90)은 그레이팅 구성품(30)의 결합 개수에 따라 그 면적을 증감시킬 수 있으므로 작업 현장의 여건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고, 용접 작업도 줄일 수 있다.
그러나, 그레이팅(90)은 금속 판재(P)의 4개의 테두리를 노칭 및 벤딩하여 제1,2 지지부(21)(25)를 각각 성형하고 제1 지지부(21)의 양쪽 단부를 다시 수직으로 벤딩해야 하고, 제1,2 지지부(21)(25) 사이에 소정 간격의 틈이 형성되도록 하여야 하므로 그 제조공정이 복잡하고 높은 정밀도가 요구되는 단점도 있다.
아울러, 그레이팅(90)은 제1,2 지지부(21)(25) 및 보강 바(40)의 결합을 위해 리벳 작업을 해야 하는데, 이 리벳 작업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다수 개의 그레이팅 구성품이 수평으로 결합되어 이루어지므로 다양한 넓이와 형상으로 쉽게 만들어질 수 있는 그레이팅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베어링 바(3)와 크로스 바(4)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구조가 단순하기 때문에 제조 공정과 작업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그레이팅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그레이팅(90)의 제조공정이 복잡하고 높은 정밀도가 요구되던 문제점과 높은 제조 단가를 해결한 그레이팅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러한 그레이팅의 설치 구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100)은 본체부(113)와 지지부(112)를 갖는 적어도 두 개의 그레이팅 구성품(110)이 연결 바(140)에 의해서 수평 방향으로 서로 밀착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지지부(112)는 본체부(113)의 길이방향의 서로 마주보는 두 변에서 아래쪽으로 수직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연결 바(140)는 수직부(142)와 수평부(144)를 갖고, 수평부(144)는 수직부(142)의 상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이웃하는 그레이팅 구성품(110)의 지지부(112)가 서로 접하도록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수평부(144)가 본체부(113)의 길이방향 양쪽 단부의 아랫면에 결합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그레이팅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그레이팅 구성품(110)만 횡방향으로 배치되어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그레이팅 구성품(110)과 그레이팅 구성품(150)이 교대로 또는 불규칙한 패턴으로 배치되어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레이팅 구성품(150)은 그레이팅 구성품(110)과 동일한 길이(w)를 갖고 그레이팅 구성품(110) 보다 좁은 폭(s2)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그레이팅은 그레이팅 구성품(110)과 그레이팅 구성품(160)이 교대로 또는 불규칙한 패턴으로 배치되어 이루어지거나, 그레이팅 구성품(110)과 평판 스트립(120)이 교대로 또는 불규칙한 패턴으로 배치되어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레이팅 구성품(160)은 그레이팅 구성품(110)과 비교하여 본체부(163)의 배수공(11)이 레이저 가공으로 형성된다는 점에서 다르다. 그리고, 평판 스트립(120)은 평면 형상의 부재로서, 그레이팅 구성품(110)과 동일한 길이(w)를 갖고 그레이팅 구성품(110) 보다 좁은 폭(s1)을 갖는다.
지지부(112)(162)의 양쪽 단부에는 수평부(144)가 삽입되는 홈(114)이 형성되고, 본체부(113)(153)(163)의 길이방향 양쪽 단부에 엠보 돌출부(117)가 아래쪽으로 형성되거나 수평부(144)에 엠보 돌출부(117)가 위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엠보 돌출부(117)는 스폿 용접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인 그레이팅 설치구조는, 상기 그레이팅; 그레이팅의 길이방향 양쪽 단부를 지지하고 ㄴ 단면 형상을 가지며, ㄴ 단면 형상을 갖는 콘크리트 턱(62)에 안착되도록 설치되는 지지부재(64); 지지부재(64)와 결합되도록 설치되고, 콘크리트에 매립되어 지지부재(64)의 인발을 방지하도록 길게 연장된 길이를 갖는 앵커부재(66);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그레이팅 설치구조는, 본체부와 지지부를 갖는 적어도 두 개의 그레이팅 구성품이 연결 바(140)와 수평 바(130)에 의해서 수평 방향으로 서로 밀착 결합되어 이루어지거나 그레이팅 구성품과 평판 스트립(120)이 교대로 또는 불규칙한 패턴으로 수평방향으로 접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연결 바(140)와 수평 바(130)에 의해서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평판 스트립(120)은 그레이팅 구성품과 동일한 길이(w)를 갖되 그레이팅 구성품(110) 보다 좁은 폭(s1)을 가진다.
지지부(112)(162)의 양쪽 단부에는 수평 바(130)가 삽입되는 홈(114)이 형성되고, 본체부(113)(153)(163)와 평판 스트립(120)의 길이방향 양쪽 단부에 엠보 돌출부(117)가 아래쪽으로 형성되거나 수평 바(130)에 엠보 돌출부(117)가 위쪽으로 형성된다. 수평 바(130)가 홈(114)에 삽입되고 본체부(113)(153)(163)와 평판 스트립(120)의 아랫면에 결합된다. 그리고, 수직부(142)는 지지부(112)(152)(162)의 양쪽 단부에 결합되고, 수평부(144)와 수평 바(130)가 콘크리트의 턱에 걸쳐진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그레이팅 설치구조는, 본체부와 지지부를 갖는 적어도 두 개의 그레이팅 구성품이 수평 바(130)에 의해서 수평 방향으로 서로 밀착 결합되어 이루어지거나 그레이팅 구성품과 평판 스트립(120)이 교대로 또는 불규칙한 패턴으로 수평방향으로 접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수평 바(130)에 의해서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지지부(112)(162)의 양쪽 단부에는 수평 바(130)가 삽입되는 홈(114)이 형성되고, 본체부(113)(153)(163)와 평판 스트립(120)의 길이방향 양쪽 단부에 엠보 돌출부(117)가 아래쪽으로 형성되거나 수평 바(130)에 엠보 돌출부가 위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수평 바(130)가 홈(114)에 삽입되되 수평 바(130)의 바깥쪽 단부는 콘크리트의 턱에 걸쳐진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그레이팅 설치구조는, 본체부와 지지부를 갖는 적어도 두 개의 그레이팅 구성품이 연결 바(140)에 의해서 수평 방향으로 서로 밀착 결합되어 이루어지거나 그레이팅 구성품과 평판 스트립(120)이 교대로 또는 불규칙적한 패턴으로 수평방향으로 접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연결 바(140)에 의해서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연결바(140)는 수직부(142)와 수평부(144)를 가지며, 수평부(144)는 수직부(142)의 상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수직부(142)가 지지부의 양쪽 단부에 결합되고, 수평부(142)가 콘크리트의 턱에 걸쳐진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1. 동일한 규격의 그레이팅 구성품이 수평 방향으로 다수 개가 결합되거나, 서로 다른 규격의 그레이팅 구성품이 교대로 또는 불규칙한 패턴으로 결합되거나, 그레이팅 구성품과 평판 스트립이 수평 방향으로 교대로 또는 불규칙한 패턴으로 결합되어 이루어지므로 다양한 넓이와 형상으로 쉽게 만들어질 수 있다.
2. 베어링 바(3)와 크로스 바(4, 그레이팅의 윗면에 설치되는 크로스 바)가 필요하지 않고 제2 지지부가 필요하지 않아서 구조가 단순하기 때문에 제조 공정과 작업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3. 그레이팅 구성품(또는 그레이팅 구성품과 평판 스트립)이 "
Figure 112019079716419-pat00001
"자 구조의 연결 바에 의해 결합되어, 기존 "I"형 구조보다 하중 지지력이 크고 용접 결합이 편리하여, 작업 시간과 비용을 줄일 수 있다.
4. 그레이팅 구성품의 결합(또는 그레이팅 구성품과 평판 스트립의 결합)에 이용되는 연결 바 및/또는 수평 바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턱에 설치될 수 있으므로 설치 비용과 작업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그레이팅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출원인이 개발한 그레이팅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3은 도 2의 그레이팅을 구성하는 그레이팅 구성품을 제작하기 위한 금속 판재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의 그레이팅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6은 도 5의 A-A' 단면도.
도 7은 도 4의 그레이팅이 배수로에 설치된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8은 도 4의 그레이팅의 또 다른 변형예를 보여주는 단면 분해도.
도 9는 도 8의 그레이팅이 배수로에 설치된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10은 도 4의 그레이팅의 또 다른 변형예를 보여주는 단면 분해도.
도 11은 도 10의 그레이팅이 배수로에 설치된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12는 도 4의 그레이팅의 또 다른 변형예를 보여주는 단면 분해도.
도 13은 도 12의 그레이팅이 배수로에 설치된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14(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14(b)는 도 14(a)의 우측면도.
도 14(c)는 도 14(a)의 B-B' 단면도.
도 15(a)는 도 14(a)의 평판 스트립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15(b)는 도 15(a)의 우측면도.
도 15(c)는 도 15(a)의 정면도.
도 16은 도 14(b)의 XVI 부분을 확대한 도면.
도 17(a)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17(b)는 도 17(a)의 우측면도.
도 17(c)는 도 17(a)의 C-C' 단면도.
도 18(a)는 도 17(a)의 그레이팅 구성품(150)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18(b)는 도 18(a)의 우측면도.
도 18(c)는 도 18(a)의 정면도.
도 19는 도 17(b)의 XIX 부분을 확대한 도면.
도 20(a)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20(b)는 도 20(a)의 우측면도.
도 20(c)는 도 20(a)의 D-D' 단면도.
도 21(a)는 도 20(a)의 그레이팅 구성품(160)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21(b)는 도 21(a)의 우측면도.
도 21(c)는 도 21(a)의 E-E'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6-0148047호의 그레이팅을 개선 및 변형시킨 것으로서, 상기 특허출원의 공보에 기재된 내용은 본 명세서에 모두 포함된다.
제1 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상기 그레이팅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며, 도 6은 도 5의 A-A'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그레이팅(100)은 다수 개의 그레이팅 구성품(110)과, 그레이팅 구성품(110)을 서로 결합시키는 연결 바(140)를 포함한다. 그레이팅 구성품(110)과 연결 바(140)는 스틸, 스테인리스 스틸, 알루미늄 합금, 합성수지, 플라스틱, FRP 등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그레이팅 구성품(110)은 평평한 금속판재가 벤딩되어 형성되는데, 금속판재의 서로 마주보는 두 개의 테두리 부분이 수직으로 벤딩되어 지지부(112)를 이루고, 지지부(112)의 내측인 직사각형 부분은 본체부(113)가 된다. 그리고, 지지부(112)의 양쪽 단부에는 홈(114)이 형성된다. 홈(114)에는 수평부(144)가 삽입되어 설치된다.
지지부(112)는 본체부(113)의 긴 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다수 개의 그레이팅 구성품(110)을 수평방향으로 배치한 후, 연결 바(140)를 짧은 변에 설치하면 상기 긴 변의 길이(w)를 갖는 그레이팅(100)을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본체부(113)는 실질적인 사각 형상, 바람직하게는 직사각 형상을 갖는다. 본체부(113)는 지지부(112) 보다 바깥으로 약간 더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에 따라 수평부(144)가 홈(114)에 삽입되었을 때, 연결 바(140)는 본체부(113)의 아래에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구조는 연결 바(140)가 본체부(113)에 의해 보호될 수 있고, "
Figure 112019079716419-pat00002
"자형 구조가 "I"자형 구조보다 직하중에 대한 저항력 및 비틀림 응력에 대한 저항성 높고 효율성이 높으므로 유리하다.
한편, 본체부(113)의 길이방향 양쪽 단부에는 엠보 돌출부(117)가 아래쪽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엠보 돌출부(117)는 스팟 용접이 잘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양쪽 단부 대신에 수평부(144)에 위쪽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알려진 바와 같이, 스팟 용접은 두 금속을 밀착시킨 후 전기를 공급하여 두 금속을 결합시키는 것인데, 만약 엠보 돌출부(117)가 없으면 용접을 위한 전기 소모량이 많아지는 단점이 있다.
본체부(113)에는 여러 개의 배수공(111)과 미끄럼 방지돌기(116)가 형성될 수 있다. 배수공(111)은 본체부(113)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것으로서, 금속 판재(101)에 관통홀을 천공한 후, 이 관통홀을 확장(버링 가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는 원형의 배수공(111)이 도시되어 있으나, 물(우수 등)을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형상의 배수공(111)이 형성될 수 있다. 배수공(111)의 상단 둘레에는 곡면부(111a)가 형성되고, 배수공(111)의 둘레 아래에는 플랜지부(111b)가 형성된다. 플랜지부(111b)는 본체부(113)의 하중 지지력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배수공(111)에는 악취 방지용 마개(도면에 미도시) 또는 미끄럼 방지용 마개(도면에 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미끄럼 방지 돌기(116)는 본체부(113)에서 위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연결 바(140)는 그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ㄱ 단면 형상을 갖는 막대로서, 두 개 이상의 그레이팅 구성품(110)을 서로 결합시킨다. 연결 바(140)는 만들고자 하는 그레이팅(100)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 바(140)는 그레이팅 구성품(110)을 서로 결합시킬 뿐만 아니라, 그레이팅의 하중 지지력을 증가(보강)시키는 역할도 한다. 연결 바(140)의 수평부(144)에는 엠보 돌출부(117)가 형성될 수도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위에서 설명한 바 있다.
연결 바(140)는 수평부(144)와 수직부(142)를 갖는다. 수평부(144)는 수직부(142)의 상단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부분이다.
도 4~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이웃하는 그레이팅 구성품(110)의 지지부(112)가 서로 접하도록 배치한 후, 수평부(144)를 홈(114)에 삽입하되 수평부(144)의 상면이 엠보 돌출부(117)에 밀착되도록 하고 수직부(142)를 지지부(112)의 단부에 밀착되도록 한 상태에서 수평부(144)의 상면을 엠보 돌출부(117)에 스팟 용접으로 결합시킨다. 수직부(142)의 하단은 지지부(112)의 하단과 일치하므로 연결 바(140)는 본체부(113)에 작용하는 하중을 지지하는 역할도 한다.
한편, 도 7은 도 4의 그레이팅이 배수로에 설치된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배수로(60)의 양측 상단에는 ㄴ 단면 형상의 콘크리트 턱(62)이 형성되고, 콘크리트 턱(62)에는 ㄴ 단면 형상의 지지부재(64)가 설치된다. 그리고, 지지부재(64)에는 앵커부재(66)가 결합된다. 앵커부재(66)는 막대 형상으로 길게 형성된 것으로서 콘크리트에 매립되도록 설치되어 지지부재(64)의 인발을 방지한다. 그레이팅(100)의 양쪽 단부는 지지부재(64)에 의해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도 8은 상기 그레이팅의 또 다른 변형예를 보여주는 단면 분해도이고, 도 9는 도 8의 그레이팅이 배수로에 설치된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상기 그레이팅(100)은 다수 개의 그레이팅 구성품(110)이 서로 밀착되도록 횡방향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연결 바(140)에 의해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그레이팅 구성품(110)의 구성은 상술한 그레이팅 구성품(110)의 구성과 동일하고, 연결 바(140)의 구성은 상술한 연결 바(140)의 구성과 동일하다.
다만, 지지부(112)의 양쪽 단부가 수직부(142)에 결합되는 것에 의해 다수 개의 그레이팅 구성품(110)이 결합된다는 점과, 수평부(144)가 바깥쪽을 향하고 수평부(144)가 배수로(60) 양쪽의 콘크리트 상단에 걸쳐진다는 점에서 상술한 그레이팅과 다르다.
도 10은 상기 그레이팅의 또 다른 변형예를 보여주는 단면 분해도이고, 도 11은 상기 그레이팅이 배수로에 설치된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상기 그레이팅(100)은 다수 개의 그레이팅 구성품(110)이 서로 밀착되도록 횡방향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연결 바(140)와 수평 바(130)에 의해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그레이팅 구성품(110)의 구성은 상술한 그레이팅 구성품(110)의 구성과 동일하고, 연결 바(140)의 구성은 상술한 연결 바(140)의 구성과 동일하다.
수평 바(130)는 연결 바(140) 및 그레이팅(100)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를 갖고 좁은 폭과 얇은 두께를 갖는 막대이다. 수평 바(130)는 홈(114)에 삽입된 상태에서 엠보 돌출부(117)에 스폿 용접되어 결합된다. 그리고, 수평 바(130)의 바깥쪽 단부는 본체부(113) 보다 바깥쪽으로 더 연장된다.
연결 바(140)는 수직부(142)가 지지부(112)의 양쪽 단부에 결합되고 수평부(144)가 수평 바(130)의 아랫면에 결합된다. 그리고, 수평부(144)는 배수로(60)의 양쪽 콘크리트 상단에 걸쳐진다.
도 12는 상기 그레이팅의 또 다른 변형예를 보여주는 단면 분해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그레이팅이 배수로에 설치된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상기 그레이팅(100)은 다수 개의 그레이팅 구성품(110)이 서로 밀착되도록 횡방향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수평 바(130)에 의해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그레이팅 구성품(110)의 구성은 상술한 그레이팅 구성품(110)의 구성과 동일하고, 수평 바(130)의 구성은 상술한 수평 바(130)의 구성과 동일하다.
수평 바(130)는 그레이팅(140)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를 갖고 좁은 폭과 얇은 두께를 갖는 막대이다. 수평 바(130)는 홈(114)에 삽입된 상태에서 엠보 돌출부(117)에 스폿 용접되어 결합된다. 그리고, 수평 바(130)의 바깥쪽 단부는 본체부(113) 보다 바깥쪽으로 더 연장되며, 바깥쪽으로 연장된 부분이 배수로(60)의 양쪽 콘크리트 상단에 걸쳐진다.
한편, 상술한 그레이팅 설치구조에서 그레이팅은 그레이팅 구성품(110)이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어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후술하는 평판 스트립(도 15의 120)이 그레이팅 구성품(110)과 교대로 또는 불규칙한 패턴으로 배열되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그레이팅은 서로 다른 규격의 그레이팅 구성품(110)(도 18의 150)(도 21의 160)이 교대로 또는 불규칙한 패턴으로 배치되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제2 실시예
도 14(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을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14(b)는 도 14(a)의 우측면도이며, 도 14(c)는 도 14(a)의 B-B' 단면도이다.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그레이팅(200)은 그레이팅 구성품(110)과 평판 스트립(120) 및 연결 바(140)를 구비한다. 이 구성요소 중에서 그레이팅 구성품(110)은 제1 실시예의 그레이팅 구성품(110)과 그 구성이 동일하고 연결 바(140)는 제1 실시예의 연결 바(140)와 그 구성이 동일하다.
평판 스트립(120)은, 도 15(a)~15(c)에 나타난 바와 같이, 그레이팅 구성품(110)의 길이(w)와 동일한 길이(w)를 갖고 그레이팅 구성품(110)의 폭(s) 보다 좁은 폭(s1)을 갖는다. 따라서, 평판 스트립(120)은 그레이팅 구성품(110)으로 커버하기에 작은 면적을 커버하기 위해 설치될 수 있다.
도 16에 나타난 바와 같이, 평판 스트립(120)은 지지부(112)를 갖지 않는다. 그리고, 평판 스트립(120)은 그 양쪽 단부에 엠보 돌출부(117)가 아래쪽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이 엠보 돌출부(117)가 수평부(144)에 스폿 용접으로 결합된다.
바람직하게, 평판 스트립(120)에는 레이저 가공으로 배수공(111)이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는 꽃 무늬의 배수공(111)이 형성되어 있는데, 미관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배수 역할도 한다. 한편, 배수공(111)은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아울러, 평판 스트립(120)에는 소정 간격으로 미끄럼 방지돌기(116)가 형성될 수도 있다.
평판 스트립(120)은 그레이팅 구성품(110)과 교대로 배치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평판 스트립(120)과 그레이팅 구성품(110)은 불규칙한 패턴으로 배치될 수도 있는데, 예를 들어, 두 개의 그레이팅 구성품(110)이 연속적으로 배치된 후 하나의 평판 스트립(120)이 배치되고 이어서 세 개의 그레이팅 구성품(110)이 연속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평판 스트립(120)과 그레이팅 구성품(110)의 배치는 그레이팅으로 커버할 배수로의 면적에 따라 결정될 수도 있다.
제3 실시예
도 17(a)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을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17(b)는 도 17(a)의 우측면도이며, 도 17(c)는 도 17(a)의 C-C' 단면도이다.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그레이팅(300)은 두 종류의 그레이팅 구성품(110)(150)과 연결 바(140)를 구비한다. 이 구성요소 중에서 그레이팅 구성품(110)은 제1 실시예의 그레이팅 구성품(110)과 그 구성이 동일하고 연결 바(140)는 제1 실시예의 연결 바(140)와 그 구성이 동일하다.
도 18(a) ~ 도 18(c)에 나타난 바와 같이, 그레이팅 구성품(150)은 금속 평판이 벤딩되어 만들어지는 것으로서, 본체부(153)와, 본체부(153)의 양측이 벤딩되어 만들어진 지지부(152)를 포함한다.
본체부(153)는 그레이팅의 윗면을 이루는 부분이다. 본체부(153)에는 미끄럼 방지돌기(116)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체부(153)의 양쪽 단부에는 엠보 돌출부(117)가 아래쪽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엠보 돌출부(117)는 수평부(144)와 용접 결합된다.
그레이팅 구성품(150)은, 그레이팅 구성품(110)의 길이(w)와 동일한 길이(w)를 갖고 그레이팅 구성품(110)의 폭(s) 보다 좁은 폭(s2)을 갖는다. 그리고, 그레이팅 구성품(150)은 그레이팅 구성품(110)과 동일한 높이(h)를 갖는다. 따라서, 그레이팅 구성품(150)은 그레이팅 구성품(110)으로 커버하기에 작은 면적을 커버하기 위해 설치될 수 있다. 아울러, 그레이팅 구성품(150)은 본체부(153)의 폭(s2)이 좁으므로 하중 지지력이 크고, 이에 따라 그레이팅(300)은 큰 하중이 작용하는 곳에 사용될 수 있다.
그레이팅 구성품(150)은 그레이팅 구성품(110)과 교대로 배치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그레이팅 구성품(150)과 그레이팅 구성품(110)은 불규칙한 패턴으로 배치될 수도 있는데, 예를 들어, 두 개의 그레이팅 구성품(110)이 연속적으로 배치된 후 하나의 그레이팅 구성품(150)이 배치되고 이어서 세 개의 그레이팅 구성품(110)이 연속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제4 실시예
도 20(a)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을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20(b)는 도 20(a)의 우측면도이며, 도 20(c)는 도 20(a)의 D-D' 단면도이다.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그레이팅(400)은 두 종류의 그레이팅 구성품(110)(160)과 연결 바(140)를 구비한다. 이 구성요소 중에서 그레이팅 구성품(110)은 제1 실시예의 그레이팅 구성품(110)과 그 구성이 동일하고 연결 바(140)는 제1 실시예의 연결 바(140)와 그 구성이 동일하다.
도 21(a)~21(c)에 나타난 바와 같이, 그레이팅 구성품(160)은, 그레이팅 구성품(110)과 비교하여, 본체부(163)에 형성된 배수공(111)의 형상이 다르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그 구성이 동일하다. 즉, 그레이팅 구성품(110)은 원형의 배수공(111)이 버링 가공으로 형성되고 그레이팅 구성품(160)은 꽃 형상의 배수공(111)이 레이저 가공으로 형성된다.
두 종류의 그레이팅 구성품(110)(160)은 교대로 배치되거나 불규칙한 패턴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두 개의 그레이팅 구성품(110)이 연속적으로 배치된 후 하나의 그레이팅 구성품(160)이 배치되고 이어서 세 개의 그레이팅 구성품(110)이 연속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1, 90, 100, 200, 300, 400 : 그레이팅
P : 금속 판재
30, 110, 150, 160 : 그레이팅 구성품
40, 140 : 연결 바
60 : 배수로
120 : 평판 스트립
130 : 수평 바

Claims (8)

  1. 본체부와 지지부를 갖는 적어도 두 개의 그레이팅 구성품이 연결 바(140)에 의해서 수평 방향으로 결합되어 이루어지고,
    지지부는 본체부의 길이방향의 서로 마주보는 두 변에서 아래쪽으로 수직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연결 바(140)는 수직부(142)와 수평부(144)를 갖고, 수평부(144)는 수직부(142)의 상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이웃하는 그레이팅 구성품의 지지부가 서로 마주보도록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수평부(144)가 본체부의 길이방향 양쪽 단부의 아랫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레이팅.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그레이팅 구성품은 동일한 길이(w)를 갖되 서로 다른 폭(s)(s2)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레이팅.
  3. 본체부와 지지부를 갖는 그레이팅 구성품;
    그레이팅 구성품과 동일한 길이(w)를 갖고 그레이팅 구성품 보다 좁은 폭(s1)을 갖는, 평면 형상의 평판 스트립(120); 및,
    수직부(142)와 수평부(144)를 갖는 연결바(140);를 포함하고,
    수평부(144)는 수직부(142)의 상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그레이팅 구성품과 평판 스트립(120)이 교대로 또는 불규칙한 패턴으로 수평방향으로 배치되고, 수평부(144)가 본체부와 평판 스트립의 길이방향 양쪽 단부의 아랫면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레이팅.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지부의 양쪽 단부에는 수평부(144)가 삽입되는 홈(114)이 형성되고, 본체부의 길이방향 양쪽 단부에 엠보 돌출부가 아래쪽으로 형성되거나 수평부(144)에 엠보 돌출부가 위쪽으로 형성되며,
    엠보 돌출부에서 스폿 용접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레이팅.
  5. 제4항의 그레이팅;
    그레이팅의 길이방향 양쪽 단부를 지지하고 ㄴ 단면 형상을 가지며, ㄴ 단면 형상을 갖는 콘크리트 턱(62)에 안착되도록 설치되는 지지부재(64);
    지지부재(64)와 결합되도록 설치되고, 콘크리트에 매립되어 지지부재(64)의 인발을 방지하도록 길게 연장된 길이를 갖는 앵커부재(6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레이팅의 설치구조.
  6. 본체부와 지지부를 갖는 적어도 두 개의 그레이팅 구성품이 연결 바(140)와 수평 바(130)에 의해서 수평 방향으로 서로 결합되되 이웃하는 그레이팅 구성품의 지지부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결합되어 이루어지거나 그레이팅 구성품과 평판 스트립(120)이 교대로 또는 불규칙한 패턴으로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연결 바(140)와 수평 바(130)에 의해서 결합되어 이루어지며,
    평판 스트립(120)은 그레이팅 구성품과 동일한 길이(w)를 갖되 그레이팅 구성품(110) 보다 좁은 폭(s1)을 가지고,
    연결 바(140)는 수직부(142)와 수평부(144)를 가지며, 수평부(144)는 수직부(142)의 상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지지부의 양쪽 단부에는 수평 바(130)가 삽입되는 홈(114)이 형성되고, 본체부와 평판 스트립(120)의 길이방향 양쪽 단부에 엠보 돌출부(117)가 아래쪽으로 형성되거나 수평 바(130)에 엠보 돌출부가 위쪽으로 형성되며,
    수평 바(130)가 홈(114)에 삽입되고 본체부와 평판 스트립(120)의 아랫면에 결합되며, 수직부(142)가 지지부의 양쪽 단부에 결합되고,
    수평부(144)와 수평 바(130)가 콘크리트의 턱에 걸쳐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레이팅의 설치구조.
  7. 본체부와 지지부를 갖는 적어도 두 개의 그레이팅 구성품이 수평 바(130)에 의해서 수평 방향으로 서로 결합되되 이웃하는 그레이팅 구성품의 지지부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결합되어 이루어지거나 그레이팅 구성품과 평판 스트립(120)이 교대로 또는 불규칙한 패턴으로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수평 바(130)에 의해서 결합되어 이루어지며,
    평판 스트립(120)은 그레이팅 구성품과 동일한 길이(w)를 갖되 그레이팅 구성품 보다 좁은 폭(s1)을 가지고,
    지지부의 양쪽 단부에는 수평 바(130)가 삽입되는 홈(114)이 형성되고, 본체부와 평판 스트립(120)의 길이방향 양쪽 단부에 엠보 돌출부(117)가 아래쪽으로 형성되거나 수평 바(130)에 엠보 돌출부가 위쪽으로 형성되며,
    수평 바(130)가 홈(114)에 삽입되되 수평 바(130)의 바깥쪽 단부는 콘크리트의 턱에 걸쳐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레이팅의 설치구조.

  8. 삭제
KR1020190094603A 2019-08-02 2019-08-02 금속 판재로 만들어진 그레이팅 구성품을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그레이팅 및, 그 설치 구조 KR1022322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4603A KR102232208B1 (ko) 2019-08-02 2019-08-02 금속 판재로 만들어진 그레이팅 구성품을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그레이팅 및, 그 설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4603A KR102232208B1 (ko) 2019-08-02 2019-08-02 금속 판재로 만들어진 그레이팅 구성품을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그레이팅 및, 그 설치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5567A KR20210015567A (ko) 2021-02-10
KR102232208B1 true KR102232208B1 (ko) 2021-03-24

Family

ID=74560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4603A KR102232208B1 (ko) 2019-08-02 2019-08-02 금속 판재로 만들어진 그레이팅 구성품을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그레이팅 및, 그 설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220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4006A (ko) 2021-08-11 2023-02-20 이종윤 판형 스틸 그레이팅용 미끄럼 방지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2934B1 (ko) * 2011-06-03 2013-07-05 류광열 스틸 그레이팅
KR101914238B1 (ko) * 2018-03-06 2018-12-28 주식회사 동서기술 배수로 커버용 그레이팅 구조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2934B1 (ko) * 2011-06-03 2013-07-05 류광열 스틸 그레이팅
KR101914238B1 (ko) * 2018-03-06 2018-12-28 주식회사 동서기술 배수로 커버용 그레이팅 구조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4006A (ko) 2021-08-11 2023-02-20 이종윤 판형 스틸 그레이팅용 미끄럼 방지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5567A (ko) 2021-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08256B1 (en) Drainage grate assembly
CA2489845A1 (en) Corrugated shearwall
RU2008125127A (ru) Профиль тавровый решетчатой конструкции подвесного потолка
KR20080055845A (ko) 차량용 베드 및 크로스 레일 부착
US20080148668A1 (en) Grid tee for suspended ceiling
KR102232208B1 (ko) 금속 판재로 만들어진 그레이팅 구성품을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그레이팅 및, 그 설치 구조
KR20130069980A (ko) 플레이트 용접방식의 앵커 채널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526769B1 (ko) 프레스 가공을 이용한 그레이팅 및 그 제조방법
KR200463173Y1 (ko) 그레이팅
AU627245B2 (en) Profiled steel sheet
CN107338896B (zh) 钢板桁架式承重板
KR101867512B1 (ko) 철근 콘크리트 구조의 전단 보강 철근
KR101245858B1 (ko) 그레이팅의 제조 방법
KR200360212Y1 (ko) 데크플레이트용 스페이서
KR101753318B1 (ko) 고 하중 지지용 배수로 덮개
KR100511413B1 (ko) 건설용 합성 데크플레이트
KR100485474B1 (ko) 데크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1816224B1 (ko) 고 하중 지지용 배수로 덮개
CN209171842U (zh) 一种置物架横梁
KR101223533B1 (ko) 배수관 어셈블리
KR102410149B1 (ko) 그레이팅
KR20190054692A (ko) 압축 강도가 강화된 배수용 그레이팅
KR102244292B1 (ko) 버팀바가 형성된 중하중 스틸 그레이팅
KR100696278B1 (ko) 평판형 스페이서
AU2006100538A4 (en) Spacer for concrete reinforc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