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3318B1 - 고 하중 지지용 배수로 덮개 - Google Patents

고 하중 지지용 배수로 덮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3318B1
KR101753318B1 KR1020160103072A KR20160103072A KR101753318B1 KR 101753318 B1 KR101753318 B1 KR 101753318B1 KR 1020160103072 A KR1020160103072 A KR 1020160103072A KR 20160103072 A KR20160103072 A KR 20160103072A KR 101753318 B1 KR101753318 B1 KR 1017533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vertical plate
horizontal
present
l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30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현배
Original Assignee
(주)태흥그레이팅
오현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태흥그레이팅, 오현배 filed Critical (주)태흥그레이팅
Priority to KR10201601030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33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33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33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1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 하중 지지용 배수로 덮개에 관한 것으로서,
입구가 아래를 향하는 단면 'ㄷ'자 형태를 이루어 종방향지지대(200) 사이에서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횡방향지지대(100)를 포함하되,
상기 횡방향지지대(100) 내부에서 수직판(120)이 폭 방향 가운데 지점을 따라 세워지고, 수평판(140)이 마련되어 상기 수직판(120) 양쪽에서 일측은 수직판(120)에 용접되는 한편 타측은 횡방향지지대(100)의 측판(102)에 용접됨으로써 수직하중과 비틀림 하중에 견디는 능력이 향상되게 되는 고 하중 지지용 배수로 덮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고 하중 지지용 배수로 덮개{A drainage way cover}
본 발명은 배수로 덮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고 하중 지지용 배수로 덮개에 관한 것이다.
배수로 덮개는 도로에 형성된 배수구나 배수로의 입구에 설치되어 이물질 등을 걸러주면서 우수와 오수를 유입시키는 통로 역할을 하는 시설물이다. 배수시설물 중의 하나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배수로 덮개는 배수구 또는 배수로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이 연속되게 설치되는 것으로, 대체로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는 프레임 내부에 널빤지 형상으로 형성되는 다수개의 베어링바가 용접되고, 상기 베어링바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다수개의 크로스바가 용접되어 격자형태로 형성되는 구조를 이룬다. 이러한 구조는 특허공개 제10-2004-0078496호(2004. 9. 10.) "스틸 배수로 덮개"에 게시된 바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통상적인 배수로 덮개의 경우 무거운 중량체의 통과시 가해지는 하중에 의하여 뒤틀림이나 휨 등과 같은 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고 하중이 가해지는 환경에서 사용시 언제라도 하중에 의해 손상될 가능성이 있다는 문제가 있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하중에 견디는 능력이 극대화되어 고 하중도 견딜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안정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고 하중 지지용 배수로 덮개를 얻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수직판과 수평판이 유기적으로 작용하여 하중에 견딜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체적으로 수직하중과 비틀림 하중에 견디는 능력이 극대화된 배수로 덮개를 제안하여 상기의 목적을 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직판과 수평판을 통해 수직하중과 비틀림 하중에 견디는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바, 수직하중과 비틀림 하중에 견디는 능력이 향상된 는 배수로 덮개를 얻어 고 하중의 조건에서도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배수로 덮개의 일 예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횡방향지지대의 하중 지지 구조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배수로 덮개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4a, 4b는 본 발명에 의한 횡방향지지대의 하중 지지 구조를 정면으로 보여주는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횡방향지지대의 하중 지지 구조를 저면으로 보여주는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배수로 덮개가 설치된 상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수직판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수직판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수평판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예시도.
본 발명에서는 하중에 견디는 능력이 극대화되어 고 하중도 견딜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안정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고 하중 지지용 배수로 덮개를 얻기 위해,
입구가 아래를 향하는 단면 'ㄷ'자 형태를 이루어 종방향지지대 사이에서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횡방향지지대를 포함하되, 상기 횡방향지지대 내부에서 수직판이 폭 방향 가운데 지점을 따라 세워지고, 수평판이 마련되어 상기 수직판 양쪽에서 일측은 수직판에 용접되는 한편 타측은 횡방향지지대의 측판에 용접됨으로써 수직하중과 비틀림 하중에 견디는 능력이 향상되게 되는 고 하중 지지용 배수로 덮개를 제안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9를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배수로 덮개의 일 예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횡방향지지대의 하중 지지 구조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배수로 덮개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4a, 4b는 본 발명에 의한 횡방향지지대의 하중 지지 구조를 정면으로 보여주는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횡방향지지대의 하중 지지 구조를 저면으로 보여주는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배수로 덮개가 설치된 상태 예시도이다.
일반적으로 배수로 덮개는 종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종방향지지대(200)와 상기 종방향지지대(200) 사이에서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횡방향지지대(100)를 포함한다.
종방향지지대(200)는 일정한 두께를 이루어 막대 형상으로 되는 평철로 형성되거나 또는 단면 사각형 형상의 봉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다양한 구성이 채택될 수 있는 것이다.
횡방향지지대(100)는 두 측판(102)이 상판(104)으로 연결되어 입구가 아래를 향하는 단면 'ㄷ'자 형태를 이룬다. 대략 단면 사각형 파이프의 바닥이 개방되어 있는 형상인바, 이러한 구성에 따라 하중에 견디는 능력은 향상되면서도 배수로 덮개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부식 방지를 위해 도금을 할 때 도금액이 횡방향지지대 내부까지 쉽게 침투하게 되는 반면 남은 도금액은 쉽게 배출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배수로 덮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어링바가 더 포함될 수 있는바, 베어링바는 일정한 두께를 이루는 막대 형상의 평철로 형성되어 상기 횡방향지지대(100) 사이에서 횡방향지지대(100)와 나란하게 설치되는 것이다. 이는 공지된 구조와 다르지 않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방향지지대(200) 사이에 횡방향지지대(100)만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것일 수 있는바, 횡방향지지대(100)가 채택되는 구성이라면 어떠한 구성의 배수로 덮개에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횡방향지지대(100)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수직판(120)과 수평판(140)이 횡방향지지대(100)에 설치된다.
수직판(120)은 일정한 두께를 이루는 막대 형상의 평철로서 횡방향지지대(100) 내부에서 폭 방향 가운데 지점을 따라 세워진다. 수직판(120)의 상단이 횡방향지지대(100)의 내부 천장에 접한 상태에서 용접됨으로써 세워질 수 있다.
수평판(140)은 수직판(120)과 마찬가지로 막대 형상의 평철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적어도 두 개가 마련되어 상기 수직판(120)을 중심에 두고 양쪽에서 각각 고정된다. 수평판(140)의 일측은 수직판(120)에 용접되는 한편 타측은 횡방향지지대(100)의 측판(102)에 용접되어 고정되는 방식으로 고정되는 것이다. 이러한 수평판(140)은 수직판(120)을 견고하게 지지함과 아울러 하중에 견디는 능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수직판(120) 양쪽에 형성되는 수평판(140)은 서로 동일 평면을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수직판(120)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판(120)의 하단 또한 수평판(140) 아래로 튀어나오지 않는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수평판(140)은 횡방향지지대(100)의 개방된 입구를 덮어 막아주는 형태로 고정된다. 이 경우 상기 수평판(140) 두께만큼 배수로 덮개의 두께가 두꺼워질 수 있다. 그런데 그렇게 되면 배수로 덮개를 설치하는 틀의 규격(높이)과 맞지 않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수평판(140)을 횡방향지지대(100)에 비해 짧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틀에 안착되는 부분을 수평판(140)이 점유하지 않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때 수직판(120)에서 수평판(140)으로 점유되지 않는 지점은 횡방향지지대(100)의 측판(102) 하단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절개된다.
상기의 구성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한 배수로 덮개에서 틀에 안착되는 부분이 상기 측판(102)의 하단에서 돌출되지 않게 되는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배수로 덮개가 틀에 설치될 때 규격에 맞게 설치될 수 있게 되면서도 수직판(120)이 횡방향지지대(100)를 길이 방향으로 처음부터 끝 지점까지 모두 지지하여 보강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와 같이 수직판(120)에서 수평판(140)으로 점유되지 않는 지점은 횡방향지지대(100)의 측판(102) 하단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절개되는 경우, 도 4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판(120)에서 수평판(140)으로 점유되는 부분은 수평판(140) 아래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에 의한 배수로 덮개를 틀에 딱 맞게 설치할 수 있게 되면서도 하중에 견디는 능력은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수직판(120) 상단에는 마찰돌기(126)가 형성될 수 있다. 마찰돌기(126)는 수직판(120)의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이루며 형성될 수 있는데, 톱니 형태를 이루며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마찰돌기(126)는 횡방향지지대(100)의 내부에서 상판(104)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를 위해 횡방향지지대(100)의 상판(104)에는 마찰돌기(126)가 관통할 수 있도록 구멍이 형성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구성이 채택된 본 발명에 의한 배수로 덮개는 수직판(120)으로 하중에 견디는 능력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마찰돌기(126)에 의해 미끄럼 방지 성능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수평부(124)는 수직부(122)를 잡아주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하중을 지지하는 역할도 수행하게 되는바, 수직판(120)과 수평판(140) 및 마찰돌기(126)가 유기적으로 작용하여 다양한 기능을 한꺼번에 구현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톱니 형태를 이루며 돌출되는 상기 마찰돌기(126)는 다수의 톱니가 한 지점에 뭉쳐진 형상일 수 있다. 이 상태에서 한 지점에 뭉쳐진 톱니가 서로 높이 차를 이루게 형성될 수 있는바, 이를 통해 하중의 정도에 따라 미끄럼 기능이 적절하게 발휘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마찰돌기(126)가 횡방향지지대(100)의 상판(104), 즉 배수로 덮개 상면에서 갑자기 튀어나온 형상이 되면 보행자가 보행시 걸릴 수 있으므로 한 지점에 뭉쳐진 톱니가 자장자리는 낮고 중간으로 갈수록 높아지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한 배수로 덮개는 수직판(120)과 수평판(140)의 구성을 달리하여 하중이 가해지는 조건 등 다양한 조건에 따라 선택적으로 채택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수직판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수직판(120)은 일정한 길이로 된 것이 복수개 마련되어 횡방향지지대(100) 내부에서 폭 방향 가운데 지점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세워진다. 수직판(120)의 상단이 횡방향지지대(100)의 내부 천장에 접한 상태에서 용접됨으로써 세워질 수 있다. 이 구성에서는 수직판(120)이 수평판(140)으로 점유되지 않은 지점에는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수평판(140)의 지지 능력은 유지되면서도 재료의 사용량은 줄여줄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수직판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한 수직판(120)은 하단에서 수평판(140)에 의해 점유되는 지점이 돌기(122)와 홈(124)이 서로 번갈아가며 형성되는 구조를 이루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홈(124)은 수평판(140)의 두께보다 깊게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돌기(122)는 수평판과 딱 맞는 높이로 형성되거나 수평판(140) 아래로 돌출되는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구성에서는 수평판(140)이 상기 돌기(122)에 용접됨으로써 고정되는바, 상기 홈(124)을 형성하는 만큼 재료를 적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특히 하나의 판을 레이저로 절단하되 절단면에서 일측의 돌기(122)가 타측의 홈(124)이 되는 방식으로 엇갈리게 형성하여 하나의 판으로 두 개의 수직판(120)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게 되어 제작 단가를 낮출 수 있으면서도 제작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제작시에는 레이저 커팅가공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돌기(122)와 홈(124)은 사각형(a) 또는 삼각형상(b)으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수평판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수평판(140)은 다수 개가 구비되어 일정한 간격을 이루며 배치될 수 있다. 수직판(120)의 양쪽에 고정되는 수평판(140)이 일정한 길이로 된 것이 다수 개 마련되어 횡방향지지대(100)의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되는 것이다. 이 구성은 재료의 절감과 아울러 도금액이 횡방향지지대(100) 내부로 원활하게 유통될 수 있도록 하는데 도움을 주게 된다.
100 : 횡방향지지대, 102 : 측판,
104 : 상판, 120 : 수직판,
126 : 마찰돌기, 140 : 수평판,
200 : 종방향지지대.

Claims (5)

  1. 입구가 아래를 향하는 단면 'ㄷ'자 형태를 이루어 종방향지지대(200) 사이에서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횡방향지지대(100)를 포함하고,
    상기 횡방향지지대(100) 내부에서 수직판(120)이 폭 방향 가운데 지점을 따라 세워지고, 적어도 두 개의 수평판(140)이 마련되어 상기 수직판(120) 양쪽에서 고정되되, 수평판(140)의 일측은 수직판(120)에 용접되는 한편 타측은 횡방향지지대(100)의 측판(102)에 용접되고,
    상기 수직판(120)은 하나의 판이 레이저로 절단되어 수평판(140)의 두께보다 깊게 형성되는 홈(124)이 절단면에서 서로 엇갈리게 형성되면서 돌기(122)와 홈(124)이 길이방향으로 번갈아 형성되는 구조를 이루게 되되, 상기 돌기(122)가 아래를 향하여 수평판(140)이 돌기(122)에 용접되고,
    상기 수직판(120)은 횡방향지지대(100)와 동일한 길이로 되고 수평판(140)은 짧게 형성되되 상기 수직판(120)은 수평판(140)으로 점유되지 않는 지점이 측판(102) 하단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절개되는 한편, 상기 수직판(120) 상단에는 마찰돌기(126)가 형성되어 상기 마찰돌기(126)가 횡방향지지대(100)의 상판(104)을 관통하여 외부로 드러나게 되는 고 하중 지지용 배수로 덮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판(140)은 다수 개가 구비되어 횡방향지지대(100)의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이루며 배치되는 고 하중 지지용 배수로 덮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60103072A 2016-08-12 2016-08-12 고 하중 지지용 배수로 덮개 KR1017533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3072A KR101753318B1 (ko) 2016-08-12 2016-08-12 고 하중 지지용 배수로 덮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3072A KR101753318B1 (ko) 2016-08-12 2016-08-12 고 하중 지지용 배수로 덮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3318B1 true KR101753318B1 (ko) 2017-06-30

Family

ID=59279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3072A KR101753318B1 (ko) 2016-08-12 2016-08-12 고 하중 지지용 배수로 덮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331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1613B1 (ko) * 2020-02-24 2020-05-18 주식회사 원재산업 미끄럼방지와 중하중에 대한 응력을 보강시킨 스틸그레이팅용 보강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1613B1 (ko) * 2020-02-24 2020-05-18 주식회사 원재산업 미끄럼방지와 중하중에 대한 응력을 보강시킨 스틸그레이팅용 보강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72078A (en) Frame for draining ditches
KR101432673B1 (ko) 중 하중용 고강성 그레이팅
US20060026911A1 (en) Footer track with moisture vent
KR101753318B1 (ko) 고 하중 지지용 배수로 덮개
US2269522A (en) Highway grating
US11015331B1 (en) Drainage grating structure
KR101889088B1 (ko) 소음방지 그레이팅
US7556450B2 (en) Water collecting structure and drainage structure using the same
EP3724008B1 (de) Spike und fahrzeugluftreifen mit im laufstreifen verankerten spikes
KR101814101B1 (ko) 미끄럼 방지 구조를 가진 고 하중 지지용 그레이팅
KR102055668B1 (ko) 배수로 복개를 위한 덮개
KR101816224B1 (ko) 고 하중 지지용 배수로 덮개
KR102232208B1 (ko) 금속 판재로 만들어진 그레이팅 구성품을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그레이팅 및, 그 설치 구조
KR20070114328A (ko) 중하중용 그레이팅
JP3236910U (ja) 排水路ユニット
KR101734813B1 (ko) 고 하중 지지용 그레이팅
JP3219272U (ja) 排水溝用のグレーチング蓋
KR20170141161A (ko) 고 하중 지지용 그레이팅
KR102299315B1 (ko) 그레이팅용 미끄럼 방지 바
KR101051683B1 (ko) 중하중용 배수로 덮개
KR100837654B1 (ko) 조립식 그레이팅
DE102007059920B4 (de) Bodenbelag für den Eingangsbereich eines Gebäudes
KR102325842B1 (ko) 사각단위셀 스틸 그레이팅
JP3223441U (ja) グレーチング
DE202013005513U1 (de) Rinne zum Verlegen in einem Fußbod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