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55845A - 차량용 베드 및 크로스 레일 부착 - Google Patents

차량용 베드 및 크로스 레일 부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55845A
KR20080055845A KR1020087006422A KR20087006422A KR20080055845A KR 20080055845 A KR20080055845 A KR 20080055845A KR 1020087006422 A KR1020087006422 A KR 1020087006422A KR 20087006422 A KR20087006422 A KR 20087006422A KR 20080055845 A KR20080055845 A KR 200800558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nge
depression
cross rail
floor
e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64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프랭크 지. 맥널티
에드워드 제이. 잉글러
Original Assignee
노블 어드밴스드 테크놀리지스,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블 어드밴스드 테크놀리지스, 인크. filed Critical 노블 어드밴스드 테크놀리지스, 인크.
Publication of KR200800558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58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2Platforms; Open load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B62D25/2054Load carrying floors for commercial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7/00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 B62D27/02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rig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다수의 강화된 보강 리브(25)를 가진 얇은 금속판으로 규정된 수평적으로 큰 플로어 부재(11)를 포함하는 차량용 베드 장치(10)가 제공된다. 상기 플로어 부재는 그의 길이 방향 측면 에지를 따라 연장하는 캔틸레버된 에지 플랜지(33)를 가지며, 상기 에지 플랜지는 상기 플로어 부재의 최하부 표면 아래로 하향 돌출한다. 모자형 크로스 레일(21)은 상기 플로어 부재 밑에 횡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플로어 부재의 최하부 표면과 지지 가능하게 맞물리는 한 쌍의 최상부 플랜지(43)를 갖는다. 상기 에지 플랜지와 교차하는 크로스 레일은 상기 에지 플랜지에 틈새를 제공하도록 형성된 디프레션(46)을 갖는다. 상기 최상부 플랜지는 이들이 크로스 레일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할 시에 최상부 플랜지의 연속성을 유지하면서 상기 디프레션의 프로파일을 규정하도록 하향으로 변형되는 플랜지 부분(47)을 갖는다.
Figure P1020087006422
보강 리브, 디프레션, 크로스 레일, 에지 플랜지

Description

차량용 베드 및 크로스 레일 부착{VEHICLE BED AND CROSS RAIL ATTACHMENT}
본 발명은 차량용 베드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픽업 트럭(pickup truck), 특히, 개선된 플로어(floor) 및 크로스 레일 구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픽업 트럭의 베드 조립체는 통상적으로 수평으로 큰 플로어를 포함하며, 길이 방향으로 연장한 측면 에지는 직립 내부 측면 벽(upright inner side wall)에 접합되고, 횡방향 전면 에지(transverse front edge)는 직립 전면 벽에 접합된다. 수평으로 큰 플로어는 보통, 베드의 전체 길이를 연장하고, 일반적으로 휠 웰 개구(wheel well opening) 간의 폭보다 약간 작은 폭을 가진 주요 또는 중심 플로어 패널을 포함하는 다수의 피스 또는 패널로부터 구성된다. 이 플로어는 또한 중심 플로어 패널과 인접한 내부 측면 벽 간에 측방향으로 연장하는 측면 플로어 패널을 포함한다. 측면 플로어 패널은 통상적으로 여기에 형성된 휠 웰 개구를 가지며, 휠 웰 하우징은 이 개구를 닫고, 측면 플로어 패널 및 인접한 직립 내부 측면 벽에 고정된다.
종래의 베드 조립체에서, 간략하게 상술한 바와 유사하게, 플로어 패널은 통상적으로 얇은 금속판(metal sheet)으로부터 스탬프되거나 프레스되어, 적절한 강도 및 보강도(stiffening)를 제공하기 위해 베드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일반적 으로 병렬의 다수의 리브(rib)를 플로어 패널에 제공한다. 최근에, 많은 플로어 패널, 특히 적어도 중심 플로어 패널은 강도 및 경제성의 양방에 대해 개선된 성능 특성을 제공하도록 압연-성형(roll-formed)된다.
간략하게 상술한 바와 같이, 다수의 플로어 패널에 의해 형성된 플로어를 채용한 베드 조립체의 구성에서는, 통상적으로 플로어 패널이 길이 방향 연장 에지를 제공하며, 여기서, 이와 같은 에지는, 예컨대, 중심 패널의 길이 방향 측면 에지가 측면 플로어 패널의 각각의 내부 길이 방향 측면 에지에 접할 경우에, 바람직하게는 플로어 패널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하향 플랜지와 접한다. 이들 플랜지는, 플로어의 조립 중에 실질적으로 서로 접하도록 위치되어, 예컨대, 용접에 의해 고정 접합된다. 이들 에지 플랜지는, 이들이 플로어 패널의 수평 방향에 대해 하향으로 회전되기 때문에, 플로어에 상당히 증대된 강도 및 강성률을 제공한다. 그러나, 이들 하향 플랜지는 이들이 하위 크로스 레일(underlying cross rail)에 교차하는 위치에서 상당한 간섭 문제를 생성시킨다. 예컨대, 플랜지가 리브된(ribbed) 플로어 패널의 베이스 또는 하위 레벨로부터 하향으로 돌출하는 구성에서, 플랜지는 간섭을 제거하기 위해 크로스 레일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플랜지의 높이에 완전히 노치(notch)된다. 그러나, 플랜지의 이런 심각한 노칭은 이 영역에서 플로어 내의 명백한 바람직하지 않은 결함을 생성시키며, 게다가, 부가적인 제조 가동 및 조작을 필요로 한다.
플로어의 베이스 레벨과 관련된 하향 플랜지를 노치시킴으로써 생성된 바람직하지 않은 결함을 개선하기 위해, 다른 구성이 개발되었으며, 여기서, 플로어 패 널 상의 에지 플랜지는 플로어 패널 리브와 관련된 최상부벽 레벨로부터 하향으로 돌출시키기 위해 형성된다. 즉, 플로어 패널은, 길이 방향 에지가 부분적으로 상향 돌출한 리브를 규정(define)하여, 에지 플랜지가 이런 에지 리브의 최상부벽으로부터 하향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된다. 그러나, 에지 플랜지는 통상적으로 플로어 패널 내에 형성된 리브의 높이보다 더 큰 폭 (즉, 높이)을 가짐으로써, 에지 플랜지가 그의 높이의 일부가 크로스 레일에 적절한 틈새를 제공하도록 제거되거나 리세스됨을 필요로 하며, 이때, 플로어는 크로스 레벨 상에 고정 설치된다. 이런 구성은 플로어 패널의 전체 길이를 따라 연장하는 적어도 일부의 부분 에지 플랜지를 제공하여, 강도 및 강성률을 개선한다. 그러나, 이런 후자 구성은 결과적으로 이음매(seam), 즉, 길이 방향으로 인접한 에지 플랜지가 접할 시에 생성되고, 인접한 리브 간의 골(valley) 내에 보다는 강화된 리브 내에 배치되는 라인을 생성하고, 이것은 이음매가 완성된 차량 베드 조립체 내에 내장될 시에 더욱 가시적이고 미적으로 바람직하지 않는 것으로 제시되었다.
상기 구성을 개선하려는 노력을 계속할 시에, 특히, 측 방향으로 인접한 플로어 패널 간의 길이 방향 에지의 고정 접합에 관계할 시에, 또한, 플로어 패널의 에지 플랜지를 수용하기 위해 크로스 레일의 최상부에 걸쳐 작은 노치를 횡방향으로 제공하는 것이 제시되었다. 이와 같은 노치가 플로어 패널의 구성에 대해 개선된 특성을 제공하여, 에지 플랜지를 노치시키거나 리세스시킬 필요를 없게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크로스 레일 내의 노치의 존재는 크로스 레일의 강도 및 강성률을 감소시킨다.
크로스 레일 내의 노치 또는 디프레션(depression)을 사용하는 타입의 공지된 구성에서, 크로스 레일은 노치 또는 디프레션이 플로어 패널의 에지 플랜지 아래의 위치에서 그의 상부 표면에서 하향으로 열도록 적절히 형상화되며, 이런 노치 또는 디프레션의 형성은 크로스 레일 상의 최상부 플랜지의 하향 변형(downward deformation)을 유발시킨다. 그러나, 이런 공지된 구성에 의하면, 이것이 플로어 패널의 에지 플랜지에 개선된 틈새를 제공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디프레션은 또한 허용하는 스폿 용접(spot welding)에 대해 플로어 패널과 크로스 레일의 최상부 플랜지 간의 가용 접촉력을 감소시킨다. 따라서, 이런 공지된 구성은 통상적으로 크로스 레일과 플로어 패널 중 하나 간의 한 측면을 따라 에지 플랜지에 근접하여 스폿 용접만을 허용한다. 그러나, 다른 플로어 패널 상에는, 에지 플랜지에 근접하여 스폿 용접을 허용하도록 플로어 패널의 베이스와 크로스 레일의 최상부 플랜지 간에 접촉이 충분치 않아, 스폿 용접부는 통상적으로 에지 플랜지에 가장 근접한 인접한 직립 리브(upstanding rib)의 다른 측면 상에 에지 플랜지로부터 실질적 횡 방향 거리(transverse distance)를 제공한다. 그래서, 스폿 용접부가 인접한 에지 플랜지에 의해 형성된 이음매를 측 방향으로 스트래들(straddle)하기를 시도하는 인접한 플로어 패널과 관련된 스폿 용접부는 넓게 이격되며(spaced apart), 이것은 조인트의 강도 및 무결성(integrity)에 영향을 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픽업 트럭과 같은 차량에 개선된 베드 구성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며, 이 구성은 간략하게 상술한 문제를 처리하고, 다수의 플로어 패널에 의해 형성되는 바와 같은 플로어와, 다수의 하위 크로스 레일과의 고정 결합부(fixed association) 및 지지대(support) 간의 개선된 구성적 관계를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은, 다수의 개별 플로어 패널, 바람직하게는 그 사이에 측방향으로 연장하여, 우측 및 좌측 플로어 패널에 접합하는 주요 중심 플로어 패널에 의해 형성되는 수평으로 큰 베드 또는 플로어를 가진 픽업 트럭용의 개선된 베드 조립체에 관한 것이며, 상기 우측 및 좌측 플로어 패널은 제각기 우측 및 좌측 휠 웰 개구를 규정한다. 플로어 패널은 플로어 아래에서 횡방향으로 연장하는 다수의 크로스 레일 상에 지지되고, 고정 배치되며, 이 크로스 레일은 통상적으로 상향 개방 모자형(upwardly-opening hat-shaped) 단면을 갖는다. 적어도 주요 중심 플로어 패널은 바람직하게는 패널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다수의 상향 돌출 보강 리브를 구비하며, 이 리브는 일반적으로 병렬이지만, 측방향으로 이격된 관계로 배치된다. 중심 플로어 패널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대향 측면 에지는 중심 패널의 베이스 벽, 즉, 인접한 리브 간의 골에 대응하는 플로어 엘리베이션(floor elevation)에 의해 형성되고, 게다가 실질적으로 연속하여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기 위해 형성된 하향 캔틸레버된(cantilevered) 에지 플랜지를 구비한다. 에지 플랜지는 통상적으로 베이스 벽에 대한 리브의 높이보다 큰 폭(즉, 높이)을 갖는다. 유사한 이와 같은 유사한 에지 플랜지는 우측 및 좌측 플로어 패널의 내부 길이 방향 측면 에지 상에 형성되고, 이 에지를 따라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여, 대향된 에지 플랜지는, 예컨대, 다수의 스폿 용접에 의해, 플로어 패널을 서로 단단히 접합시키도록 접하여 서로 고정된다. 서로 접합되면, 플로어 패널의 접한 측면 에지에 형성된 이음매는 리브의 최상부에 보다는 플로어의 베이스에 배치된다. 인접한 에지 플랜지의 상당한 하향 돌출부를 수용하기 위해, 에지 플랜지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는 각 크로스 레일은 그의 상부 표면으로부터 하향으로 형성된 평활하게 구성된 디프레션을 구비한다. 이 디프레션은, 크로스 레일의 상부를 변형시키지만, 어떤 중요한 물질 제거에 영향을 주지 않음으로써 크로스 레일 내에 형성되어, 모자형 크로스 레일의 최상부 플랜지가 크로스 레일의 길이에 걸쳐 연속하여 연장하고, 디프레션의 영역에서, 연속 평활 방식으로 평활하고 점진적으로 하향으로 변형되고나서 상향으로 변형되어, 최상부 플랜지의 연속 길이 방향 연장을 유지함과 동시에 가파른 모퉁이 또는 방향성 변화가 없이 유지하는 디프레션을 생성시킨다. 따라서, 크로스 레일의 모자형 단면은, 디프레션의 영역에서도, 그의 길이에 걸친 모든 위치에 유지되어, 디프레션이, 크로스 레일이 고 레벨의 강도 및 구조적 무결성을 유지함과 동시에 플로어 패널 상에 하향으로 돌출하는 인접한 에지 플랜지를 쉽게 수용한다. 크로스 레일 내의 디프레션은 적절한 스탬프 또는 성형 다이 내의 크로스 레일을 재형성(reshaping)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크로스 레일의 압연 성형이 바람직하며, 가변 압연 성형 공정의 이용은 그의 압연 성형 중에 크로스 레일 내의 디프레션을 성형하는데 적합할 수 있다.
개선된 구성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크로스 레일을 횡방향으로 교차시키는 다운턴된(down-turned) 인접한 에지 플랜지는, 에지 플랜지와 크로스 레일 사이에 충분한 틈새를 제공하도록 각각의 에지 플랜지의 하부 프리 에지(free edge)로부터 상향으로 얕은 리세스 개구를 구비하여, 디프레션의 필요한 깊이를 최소화하여, 크로스 레일의 길이 방향의 디프레션의 크기(extent)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 리세스는 바람직하게는, 플로어 패널을 따라 에지 플랜지의 길이 방향 연속성을 유지하여, 이 에지를 따라 길이 방향으로 원하는 강도 및 강성률을 유지하도록 에지 플랜지의 높이의 절반보다 작은 깊이를 갖는다.
본 발명의 개선된 베드 구성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중심 플로어 패널은 바람직하게는, 예컨대, 스폿 용접에 의해 크로스 레일에 대한 중심 플로어 패널의 고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강화된 리브의 선택 위치에 형성된 디프레션을 구비한다. 특히, 크로스 레일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중심 플로어 패널의 각 길이 방향 측면 에지에 인접하여 위치된 최외부 리브는 바람직하게는 변형된 영역을 생성하도록 하향으로 변형되며, 이 영역은 길이 방향 측면 에지에 인접한 베이스 플로어로부터 내부로 개방하고, 실질적으로 그것과 함께 동일 평면상에 있다. 이 디프레션은 디프레스된 벽이 디스레션의 한 단부에 직접 인접한 크로스 레일의 최상부 플랜지의 상부 표면과 맞물리도록 하여, 최상부 표면에 스폿 용접을 허용한다. 이것은 크로스 레일에 대한 중심 플로어 패널의 접속에 대해 원하는 강도 및 강성률을 제공함과 동시에, 디프레션이 디프레션의 길이에 걸쳐 크로스 레일의 최상부 플랜지의 곡률의 점진적 변화를 허용하도록 충분한 크기를 통해 크로스 레일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하여, 크로스 레일의 구조적 특성에 관한 디프레션의 효과를 최소화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음의 명세서를 판독하고, 첨부한 도면을 검사할 시에 이런 타입의 구성에 정통한 사람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도 1은 다수의 플로어 패널로부터 구성된 플로어를 내장한 픽업 트럭의 베드 구성의 단편적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중심 및 측면 플로어 패널이 하위 크로스 레일과 접합하고 협력하는 방식을 도시한 단편적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플로어 패널 간의 이음매 영역을 도시한 단편적 평면도이며, 측면 플로어 패널의 부분은 이음매에서 분리된다.
도 3A는 일반적으로 도 3의 라인 3A-3A을 따라 취해지고, 인접한 플로어 패널 에지 간의 이음매 영역 및, 밑줄 친 크로스 레일과의 플로어 패널의 협력(cooperation)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일반적으로 도 2의 라인 4-4를 따라 취해진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일반적으로 도 2의 라인 5-5를 따라 취해진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원칙적으로 위에서 취해지고, 본 발명에 따라 중심 플로어 패널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형성된 디프레션과 함께 도시된 크로스 레일의 단편적 사시도이다.
도 8은 중심 플로어 패널과 하위 크로스 레일 간의 관계를 도시한 단편적 사시도이다.
도 9는 하위 크로스 레일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중심 플로어 패널의 에지 부분을 도시한 확대 단편적 사시도이다.
도 10 및 11은 제각기 도 9의 라인 10-10 및 11-11을 따라 취해진 단편적 단면도이다.
어떤 용어는 다음의 설명에서 참조만을 위해 이용되고, 제한되지는 않을 것이다. 예컨대, 단어 "상향으로", "하향으로", "우측으로" 및 "좌측으로"는 도면에서 참조가 행해지는 방향을 나타낼 것이다. 플로어 또는 베드 조립체와 관련하여 이용되는 단어 "전면"은 차량의 전면에 가장 가까운 단부를 나타내는데 이용될 것이다. 단어 "내부로" 및 "외부로"는 제각기 베드 조립체의 기하학적 중심 및 그의 지정된 부분으로 및 이로부터 떨어진 방향을 나타낼 것이다. 상기 용어는 특히 언급된 단어, 그의 파생어, 및 유사한 의미의 단어를 포함할 것이다.
도 1은 예컨대 픽업 트럭 용의 차량 베드 조립체(10)의 부품(part)을 단편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베드 조립체(10)는 그 상에 하중을 지지하기 위해 의도된 크고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연장한 플로어 또는 베드(11)를 포함한다. 이런 플로어 또는 베드(11)는, 통상적인 방식으로, 플로어 밑에서 횡방향으로 연장하는 일반적으로 평행하고 측방향으로 이격된 다수의 크로스 또는 프레임 레일(12) 상에 지지되며, 이와 같은 레일 중 2개만이 도 1에 도식적으로 도시된다. 베드 조립체는 제각기 우측 및 좌측 내부 측면 벽(13 및 14)을 포함하며, 이 벽(13 및 14)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그의 대향 측면 에지에 인접한 플로어(11)에 고정하여 상호 접속되고, 플로어(11)로부터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상향 돌출한다. 그 다음, 내부 측면 벽(13-14)은, 그의 전면 에지에서, 플로어(11)의 전면 에지에 고정되고, 이 전면 에지로부터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상향 돌출하는 전면 벽 또는 패널(15)에 단단히 접합된다. 플로어(11)의 후면 에지(16)는 통상적으로 (도시되지 않은) 후면 크로스 레일 상에 지지되며, 이 후면 크로스 레일은 (도시되지 않은) 직립 후면 포스트와 함께 접근 개구(access opening)가 통상적으로 (도시되지 않은) 스윙 가능한 테일게이트(swingable tailgate)에 의해 닫혀지는 베드 조립체용 후면 접근 개구를 규정한다.
베드 조립체(10)는 또한 통상적으로 우측 및 좌측 휠 웰 하우징을 포함하며, 좌측 하우징(17)만이 도 1에 도시된다. 이와 같은 하우징은 통상적으로 플로어 및 측면 벽 내에 형성된 휠 틈새 개구의 에지 주변에 고정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플로어(11)는 통상적으로 전체 플로어(11)를 규정하도록 고정하여 협력하는 다수의 개별 실행된 플로어 패널로부터 형성된다. 본 발명의 베드 구성과 관련된 플로어에서, 플로어(11)는 실질적으로 베드 조립체의 전체 길이에 걸쳐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주요 또는 중심 플로어 패널(21)을 포함한다. 이런 중심 플로어 패널(21)은 바람직하게는 대향된 휠 웰 하우징(17) 간의 횡방향 간격보다 보통 약간 작은 폭을 가져, 평면도 내의 중심 베드 패널(22)이 실질적으로 직각 구성을 갖도록 한다.
플로어(11)는 또한 제각기 우측 및 좌측 측면 플로어 패널(22 및 23)을 포함하며, 이 패널(22 및 23)은 중심 플로어 패널(21)의 각각의 인접한 측면 에지와 각각의 인접한 내부 측면 벽(13 또는 14) 간에 효율적으로 측방향으로 연장한다. 우측 및 좌측 측면 플로어 패널(22 및 23)은 그 내에 형성된 휠 웰 개구를 가지며, 후자는 각각의 휠 웰 하우징(17)으로 둘러싸여 있다.
중심 플로어 패널(21)은 바람직하게는 얇은 금속(즉, 강철)판으로부터 형성된 일체형 모놀리식 1-피스 구조(integral and monolithic one-piece construction)이다. 중심 플로어 패널(21)은 평면 베이스 벽(24)으로부터 상향으로 변형되는 다수의 보강 리브(25)를 구비하며, 이 리브(25)는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중심 플로어 패널의 길이 방향 크기에 걸쳐 연장한다. 보강 리브(25)는 바람직하게는 하향으로 개방하는 얕은 채널 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개별 리브는 최상부 벽(26)으로 규정되고, 이 벽(26)은 베이스 벽(24) 위의 작은 거리만큼 상향으로 이격되어, 하향으로 기울어진 측면 벽(27)에 의해 베이스 벽에 상호 접속된다. 이와 같은 다수의 리브(25)는 일반적으로 평행하게 형성되지만, 측방향으로 이격된 관계로 형성됨으로써, 이 리브가 일반적으로 중심 플로어 패널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중심선(28)에 평행하게 연장한다. 이 리브는 바람직하게는 균일하게 측방향으로 이격되고, 측방향으로 인접한 각 쌍의 리브 간에 골 또는 디프레션(29)을 규정하며, 각 골의 최하부 벽은 평면 베이스 벽(24)으로 규정된다.
중심 플로어 패널(21)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고 평행한 측면 에지(31)로 규정된 대향 측면을 갖는다. 각 측면 에지(31)는 하향으로 회전된 에지 플랜지(33)를 규정하며, 이 에지 플랜지(33)는 하향으로 캔틸레버되어, 측면 에지의 전체 길이 방향 크기를 따라 실질적으로 연속하여 연장하며, 하위 자유 에지(37)에서 종단한다. 플랜지(33)는 일반적으로 베이스 벽(24)의 평면에 수직 관계로 하향으로 돌출하고, 이 플랜지(33)는 그의 상위 단부에서 약간 예리한 모퉁이 또는 벤드를 통해 베이스 벽(24)에 접합된다.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측면 에지(31)에 인접한 베이스 벽(24)은 베이스 벽(24)과 동일 평면에 있고, 중심 플로어 패널의 길이 방향 크기에 걸쳐 있는 베이스 벽 부분(32)을 규정하고, 다운 턴된(down-turned) 플랜지(33)와 인접한 보강 리브 (즉, 중심 플로어 패널의 측면 에지에 가장 근접하여 배치된 보강 리브(25)) 사이에서 횡 방향으로 연장한다. 이런 베이스 벽 부분(32)의 횡방향 폭은, 도 2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한 리브(25) 사이에 규정된 골(29)과 결합된 베이스 벽(24)의 폭보다 상당히 작다.
도 2, 3 및 3A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도 2 및 3에 도시된 우측 측면 패널(22)과 같은 측면 플로어 패널의 각각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내부 측면 에지와 관련되고, 이 에지를 따라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다운 턴된 에지 플랜지(34)를 갖는다. 에지 플랜지(34)는 각각의 측면 플로어 패널(22, 23)에 모놀리식 및 일체형으로 접합되고, 일반적으로 수직 관계로 하향으로 캔틸레버된다. 에지 플랜지(34)는 일반적으로 동일한 수직 깊이를 가지며, 일반적으로 중심 플로어 패널(21)과 결합된 대향된 에지 플랜지(33)와 평행하게 연장한다. 측면 플로어 패널(22, 23)이 중심 플로어 패널의 대향 측면에 효율적으로 접하도록 배치되면, 대향된 에지 플랜지(33 및 34)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효율적으로 접하고, 예컨대, 이 플랜지를 따라 선택된 구간에서 길이 방향으로 배치된 다수의 스폿 용접에 의해 적절히 고정 접합된다. 그래서, 이 접합된 플랜지 배치는 플로어 패널의 효유적인 단단한 접합을 제공하며, 특히, 조립된 플로어에 상당히 증대된 강성률 및 구조적 무결성을 제공한다.
측면 플로어 패널(22, 23)은, 도 2, 3 및 3A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이를 따라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하나 이상의 강화된 보강 리브(35)를 구비하며, 이 리브는 통상적으로 휠 웰 하우징에서 종단하거나 이의 짧은 부분에서 종단한다. 리브(35)가 제공되면, 리브(35)는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인접한 베이스 벽 부분(32)과 동일 평면에 있는 평평한 베이스 벽 영역(38)을 규정하기 위해 에지 플랜지(34)로부터 횡방향으로 이격되며, 베이스 벽 부분(32 및 38)은, 실질적으로 중심 플로어 패널(21)과 결합된 리브(25) 간에 규정된 골(29)의 사이즈와 동일하거나 유사하도록 하기 위해 사이즈가 정해지는 골(36)을 규정하도록 협력한다. 도 3 및 3A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최외부의 강화된 리브(25)와 각각의 인접한 에지 플랜지(33) 간에 규정된 바와 같이 베이스 벽 부분(32)의 폭은 실질적으로 인접한 측면 플로어 패널(22)과 결합된 바와 같은 평평한 베이스 벽 부분(38)의 폭보다 작으며 (즉, 좁으며), 평평한 베이스 벽 부분(38)은 또한 각각의 에지 플랜지(34)와 인접한 강화된 보강 리브(35) 간에 횡 방향으로 연장한다. 다른 골(29)의 폭과 일치되는 이들 벽 부분의 조합된 폭으로 규정된 바와 같이 골(36)의 폭을 유지하면서 베이스 벽 부분(32)보다 실질적으로 큰 폭의 베이스 벽 부분(38)을 형성함으로써, 벽 부분(38)은 디프레션(46)의 한 단부에 인접한 크로스 레일의 최상부 플랜지(43)과 접촉하도록 하기 위해 충분히 횡방향으로 연장하여, 아래에 더욱 상세히 기술되는 바와 같이, 베이스 벽 부분(38)과 최상부 플랜지(43) 간에 (도 3의 (5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폿 용접을 허용한다. 대향된 접한 에지 플랜지(33 및 34)로 규정된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이음매는 이런 골(36)의 최하부 또는 베이스 벽과 결합되 어, 이음매가 적절히 코킹되거나 채워짐과 동시에, 시각적으로 덜 눈에 띄도록 인식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플로어(11) 아래에서 횡 방향으로 돌출하고, 플로어(11)를 구조적으로 지지하는 크로스 레일(12)은 통상적으로 바람직하게는, 도 4로 도시된 바와 같이, 최하부 벽(42)으로부터 상향으로 돌출하는 이격된 측면 벽(41)으로 규정된 일반적으로 상향으로 개방하는 채널 형상의 프로파일 또는 몸체로 규정되는 역 모자 형상(inverted hat-shaped) 단면을 갖는다. 상향으로 돌출하듯이 자주 약간 발산할 수 있는 측면 벽(41)은 일반적으로 수평 평면으로 돌출하도록 하기 위해 측면 플랜지(41)에 대해 구부려지는 최상부 플랜지(43)에서 종단한다. 설명되고 바람직한 구조에서, 플랜지(43)의 쌍은 대향 방향으로 측방향으로 돌출하고, 특히 개별적으로 각각의 측면 벽(41)에서 떨어져 외부로 돌출한다. 이들 최상부 플랜지(43)는 실질적으로 수평이고 동일 평면의 상부 지지 표면(44)을 규정하고, 이 표면(44)은 플로어(11)의 아래쪽과의 직접 지지 맞물림(direct supportive engagement)을 제공하고, 특히, 중심 플로어 패널(21)의 베이스 벽(24)과 같이 상이한 플로어 패널과 결합된 베이스판의 아래쪽과의 직접 지지 맞물림을 제공한다. 여러 플로어 패널(21, 22, 23)은, 바람직하게는, 중심 패널(21)의 베이스 벽(24)과 같은 플로어 패널의 베이스 벽과, 각각의 크로스 레일(12)의 최상부 플랜지(43) 사이에 생성된 다수의 스폿 용접에 의해 크로스 프레임(12)에 고정된다.
크로스 레일이 대향 접속된 에지 플랜지(33 및 34)를 교차시키는 위치에서의 크로스 레일(12)의 각각은 크로스 레일(12)의 상부에 형성된 하향 형성된 리세스 또는 디프레션(46)(도 2)을 구비한다. 이 디프레션(46)은 최상부 플랜지(43)의 상부 표면(44)으로 규정된 수평면으로부터 하향으로 돌출하도록 하기 위해 배치되며, 디프레션(46)은 측면 벽(41)의 상부로 상당한 정도 하향으로 돌출함으로써, 리세스의 최하 지점이 최상부 플랜지(43)의 정규 수평 엘리베이션(normal horizontal elevation)의 상당히 아래에 있는 엘리베이션에 배치되도록 한다. 디프레션(46)은 크로스 레일(12)의 전체 폭에 걸쳐 횡 방향으로 연장하여, 실제로, 횡 방향으로 정렬되는 한 쌍의 동일한 디프레션을 구성하며, 이와 같은 한 디프레션은 각각의 측면 벽(41) 및 이와 결합된 최상부 플랜지(43) 내에 하향으로 형성된다.
디프레션(46)이 그의 상부 에지로부터 측면 벽(41) 내로 하향으로 개방하여, 이 디프레션의 영역 내의 측면 벽(41)의 높이를 감소시키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디프레션은 결과적으로 최상부 플랜지(43)의 어떤 절단(severing) 또는 제거를 초래하지 않는다. 오히려, 이 디프레션의 형성은, 디프레션의 영역 내에서 최상부 플랜지(43)가 디프레션의 형상에 대응하고, 디프레션의 주변을 따라 연속하여 연장하는 변형된 플랜지 부분(47)(도 2)을 규정하도록 하향으로 변형되며, 변형된 플랜지 부분(47)의 대향 단부는 디프레션의 대향 길이 방향 단부에 있는 수평 최상부 플랜지(43)에 모놀리식으로 일체형으로 접합되고 평활하게 융합된다.
디프레션(46)은 바람직하게는, 그의 에지 또는 외부 프로파일로 규정된 바와 같이, 어떤 예리한 벤드 또는 심한 곡률 변화를 제거하거나 적어도 상당히 최소화하기 위해 그의 크기에 걸쳐 평활하게 구부려지는 구성을 갖는다. 이런 점에서, 디프레션(46) 및, 그의 에지를 따라 연장하는 변형된 플랜지 부분(47)은 일반적으로, 평활하게 구부려지고, 상향으로 개방하는 오목 곡률부(concave curvature)로 규정되고, 이 오목 곡률부는, 대향 단부에서, 즉, 그것이 수평 최상부 플랜지(43)에 접합하는 곳에서, 수평 최상부 플랜지(43)로의 평활 및 연속 전이(continuous transition)를 실현하기 위해 역으로 평활하게 구부려지거나 만곡된다.
디프레션(46) 및 변형된 플랜지 부분(47)의 곡률 또는 형상은 통상적으로 바람직하게는, 대향 단부에서, 수평 최상부 플랜지(43)로 전이하도록 하기 위해 역으로 만곡되거나 구부려지는 상향으로 개방하는 아크(arc)와 닮았다. 디프레션(46)은, 크로스 레일(12)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할 시에, 실질적으로 그의 폭보다 큰 길이를 가질 것이며, 이 폭은 에지 플랜지(33)를 수용하는데 필요한 틈새만을 제공하기 위해 최소로 유지될 것이며, 이에 의해 디프레션의 최하부 또는 가장 낮은 엘리베이션은 통상적으로 실질적으로 측면 벽(41)의 고도 중간점(elevational midpoint) 위인 엘리베이션에 있을 것이다.
크로스 레일 내에 형성된 바와 같이 디프레션(46)의 깊이 및 길이 방향 크기를 최소화하기 위해, 디프레션(46)은 바람직하게는 에지 플랜지(33 및 34)의 깊이 (즉, 높이)보다 작은 깊이로 형성된다. 크로스 레일과 에지 플랜지 간에 틈새를 제공하기 위해, 에지 플랜지는 바람직하게는 그의 하부 자유 에지(37)로부터 상향으로 개방하는 얕은 리세스(39)(도 5, 8 및 9)를 구비한다. 이런 리세스(39)는 플랜지(33, 34)의 전체 높이를 통해 하부 에지(37)로부터 상향으로 개방하며, 리세스(39)의 높이는 바람직하게는 플랜지(33, 34)의 전체 높이의 절반보다 작다. 리세스(39)는 또한, 플랜지 및 크로스 레일이 횡 방향으로 교차하는 위치에 틈새를 제 공하기에 충분한 길이 방향 크기만을 통해 각각의 플랜지(33, 34)를 따라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며, 그렇지 않으면, 플랜지는 전체 높이이다. 리세스(19)는, 그의 대향 길이 방향 단부에서, 어떤 가파르거나 예리한 모퉁이를 피하기 위해 적절히 둥글게 된 단부 벽을 통해 하부 자유 에지(37)에 접합된다.
상술한 구조에 의해, 에지 플랜지는 이들의 연속성을 플로어 패널의 에지를 따라 길이 방향으로 유지하고, 플로어 패널이 크로스 레일을 교차하는 위치에서도 플로어 패널 에지를 따라 부가된 강도 및 강성률을 제공한다. 그러나, 동시에, 에지 플랜지는 플로어 패널의 베이스 벽과 결합되어, 이로부터 하향으로 돌출할 수 있고, 크로스 레일 내에 형성된 바와 같은 디프레션은 어떤 강도의 감소를 최소화하고, 및/또는 어떤 상당한 응력 상승(stress-raising) 구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형상을 이루어 형성된다. 더욱 얕은 디프레션을 에지 플랜지 내의 관련된 얕은 리세스와 조합함으로써, 이것은, 플로어 패널을 따라 에지 플랜지의 연속성을 유지함과 동시에, 크로스 레일의 길이 방향으로 디프레션의 깊이뿐만 아니라 디프레션의 길이를 최소화함으로써 디프레션과 에지 플랜지 간의 협력을 최적화하기 쉽다. 따라서, 이 후자 특징은 크로스 레일 상의 수평적 최상부 플랜지 내의 붕괴(disruption)의 길이를 최소화하고, 인접한 강화된 보강 리브 중 하나 이상에 형성된 디프레션 또는 평평하게 된 영역(flattened region)과 협력하여, 플로어 패널이 플로어 패널의 길이 방향 자유 에지에 더욱 인접하여 배치된 위치에 있는 이들 수평적 최상부 플랜지에 스폿 용접되도록 하여, 개선된 제조 능력 및 생성된 강도 및 강성률을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바람직한 구성의 예로서, 에지 플랜지(33, 34)는 통상적으로 16 내지 17 mm 부근의 높이를 가지며, 에지 플랜지의 높이는 통상적으로 플로어 패널 내에 형성된 채널 형상의 리브(25)의 높이보다 크다. 한편, 디프레션(46)은 바람직하게는, 최상부 표면(44)으로 규정된 수평면으로부터 하향으로 측정된 바와 같이, 약 10 mm 내지 약 15 mm의 범위 내의 깊이를 가질 것이다. 그래서, 에지 플랜지의 하부 자유 에지(37)로부터 상향으로 개방하는 리세스(39)의 생성은 에지 플랜지가 이들의 높이 적어도 절반, 바람직하게는 이 높이의 절반 이상을 유지하도록 함과 동시에, 리세스된 에지 플랜지와, 디프레션(46)을 규정하는 변형된 플랜지 부분(47) 간에 최소 약 3 mm 틈새를 유지하도록 한다.
인접한 에지 플랜지(33-34)로 규정된 이음매에 아주 근접하여 크로스 레일(12)의 최상부 플랜지(43)에 플로어 패널 부재(21-23)의 스폿 용접과 같이 적절히 고정하기 위해, 중심 플로어 패널(21) 또는 각각의 측면 플로어 패널(22-23) 중 어느 하나 상에 제공되는 인접한 강화된 리브 중 하나는 바람직하게는 그내의 플랫(flat) 또는 디프레션을 구비하여, 디프레션(46)의 대향 길이 방향 단부에 바로 인접한 최상부 플랜지(43)에 플로어 패널의 스폿 용접을 용이하게 한다.
도 3, 3A, 6, 8 및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명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중심 패널(21)과 결합된 최외부 리브(25), 즉, 플랜지(33, 34)로 규정된 이음매에 매우 인접하여 배치된 리브(25')는 각 크로스 레일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는 디프레션 또는 리세스(51)를 구비한다. 도 6에 도시된 중심 패널에는, 각 최측면 리브(25')의 길이 방향 크기에 형성된 4개의 이격된 디프레션(51)으로 명시된 바와 같은 4개 의 크로스 레일에 대한 준비가 요구된다. 이들 디프레션(51)은 설명을 간략화하기 위해 도 1에 도시되지 않는다.
도 3, 3A, 8 및 9에 더욱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최측면 리브(25')에 형성된 디프레션(51)은 크로스 레일(12) 바로 위에 배치되며, 이 디프레션(51)은 크로스 레일(12)의 횡 방향 폭보다 약간 더 큰 거리만큼 리브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한다. 디프레션(51)은 그의 최외부 측면 (즉, 에지 플랜지(33)와 결합된 베이스 벽 부분(32)에 접합하는 측면)으로부터 리브 내부로 개방한다. 설명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이 디프레션(51)은 리브(25')의 전체 폭을 통해 횡 방향으로 돌출하지 않고, 오히려, 리브 최상부 벽(26)로부터 하향으로 디프레스되고, 외부 측면 벽(27)으로부터 내부로 디프레스되는 오목부로 규정됨으로써, 디프레션이 측면 벽(53)에 의해 경계를 나타내며, 이 측면 벽(53)은 일반적으로 아치형 또는 채널 형상의 구조이고, 외부 리브 측면 벽(27)과 융합한다. 디프레션(51)은 스탬핑 프레스(stamping press)에서와 같은 적절한 변형 동작으로 형성되며, 이 변형 동작은 디프레션의 최하부 벽(52)이 실질적으로 베이스 벽 부분(32)의 내부 동일 평면 연장부로서 기능을 하도록 리브(25')를 하향으로 변형시킨다. 이런 베이스 벽(52)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에서 바라보면, 하위 크로스 레일(12) 내에 형성된 디프레션(46)의 내부 길이 방향 크기 이상의 크기로 횡 방향으로 내부로 돌출하도록 사이즈가 정해진다. 이것은 베이스 벽(52)의 후방 또는 최내부 부분이 디프레션(46)의 바로 내부에 최상부 플랜지(43) 상의 수평 최상부 표면(44)을 바로 위에 놓도록 하여, 베이스 벽(52)과 크로스 레일의 수평 최상부 플랜지 사이에서 (54)로 나타낸 스폿 용접의 생성을 용이하게 한다.
다른 스폿 용접부(55)는 또한 바람직하게는 인접한 측면 플로어 패널(22)과 결합된 베이스 벽(38)과, 디프레션(46)의 다른 길이 방향 단부에 매우 인접한 위치에 있는 크로스 레일의 평평한 최상부 플랜지(43) 사이에 제공된다. 따라서, 이들 스폿 용접부(54 및 55)는 디프레션(46)의 대향 길이 방향 단부에 매우 인접하여 배치되고, 접한 에지 플랜지(33-34)로 규정되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이음매의 대향 측면에 매우 근접하고 그 상에 인접한 플로어 패널을 크로스 레일에 고정하여 단단하게 부착한다. 그러나, 동시에, 가장 가장자리 리브(25') 내에 형성된 디프레션(51)이 이 리브의 전체 폭에 걸쳐 횡 방향으로 관통하지 않으므로, 이런 가장 가장자리 리브는 중심 플로어 패널(21)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속적인 채널 형상의 보강 구조를 유지하여, 그의 강성률 및 구조적 무결성에 대한 어떤 상당한 감소를 방지한다. 그래서, 상기 구조는, 크로스 레일 내의 디프레션의 형성에 의해 생성된 사이즈 및 붕괴를 최소화하고, 에지 레일에 걸쳐 횡 방향으로 연장하는 인접한 에지 플랜지 내에 형성되는 어떤 릴리프(relief) 또는 리세스를 최소화하며, 인접한 에지 플랜지의 바로 대향 측면에 매우 근접하고 그 상에 크로스 레일의 하위 최상부 플랜지에 측방향으로 인접한 플로어 패널 부재의 베이스 벽의 직접 스폿 용접을 바로 허용하면서, 외관(appearance)의 균일성을 제공하도록 플로어와 결합된 다른 골과 동일한 일반적 사이즈 또는 폭을 가진 골의 최하부 내의 인접한 에지 플랜지로 규정된 이음매를 유지함으로써, 상당히 개선된 조인트 무결성을 제공한다.
여기에 도시되고 기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개선된 베드 장치에서, 크로 스 레일(12)은, 어떤 통상의 방식으로, 스탬핑 또는 압연 성형 중 어느 하나에 의해 형성될 수 있고, 그 후에 디프레션(46)은 예컨대 변형 다이 또는 적절한 스탬핑 프레스에 의해 여기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공정은 바람직하게는, 크로스 레일을 따라 연속 모놀리식 최상부 플랜지를 길이 방향으로 유지하면서 물질의 어떤 상당한 제거를 실현하지 않고 디프레션(46)을 형성하기 위해 크로스 레일의 재형성(reshaping)을 실현하며, 이 크로스 레일은 이들 플랜지의 재형성을 포함함으로써, 이들이 직립 측면 벽(41) 내에 형성된 바와 같은 디프레션의 주변으로 연장한다. 또한, 이와 같이 크로스 레일이 더욱 고 강도 강철로부터 압연 성형하면서 더욱 균일하고 정확한 단면이도록 허용하는 것으로 믿는 한 바람직한 구조인 크로스 레일이 압연 성형되면, 크로스 레일의 압연 성형은, 가변 압연 성형 장치를 이용함으로써, 디프레션이 크로스 레일이 다수의 단계의 압연 성형 밀(mill)을 통해 그의 이동 중에 형성되므로 디프레션(46)의 더욱 경제적이고 개선된 형성을 허용할 것으로 믿는다.
상기 설명 및 관계된 도면이 주로 패널(21 및 22) 상의 인접한 측면 플랜지 간의 이음매 접속에 관한 것이지만, 동일한 이음매 접속이 또한 패널(21 및 23) 상의 인접한 측면 플랜지 간에 존재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측면 플로어 패널이 압연 성형 또는 스탬핑에 의해 형성된 개별 패널 부재로 규정될 수 있지만, 다른 구성이 이용될 수 있음을 알 것이다. 예컨대, 측면 플로어 패널은 또한 인접한 내부 측면 벽 및 휠 웰 하우징을 포함하는 1-피스 스탬핑의 부분일 수 있다. 바람직한 구성에서, 측면 플로어 패널 및 인접한 내부 측면 벽은 동 시 계속 출원 번호 제11/105,330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모놀리식 1-피스 압연 성형된 부재로 규정된다.
본 발명의 특정 바람직한 실시예가 설명을 위해 상세히 개시되었지만, 부품의 재배치를 포함하는 개시된 장치의 변형 또는 수정이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가능함을 알 것이다.

Claims (17)

  1. 차량용 베드 장치에 있어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다수의 강화된 보강 리브(25)를 가진 모놀리식 1-피스 얇은 강철판(21)으로 규정된 수평적으로 큰 플로어 부재로서, 상기 플로어 부재(21)는 길이 방향 측면 에지를 실질적으로 연속하여 연장하는 캔틸레버된 다운 턴된 에지 플랜지(33)를 가지며, 상기 에지 플랜지는 상기 플로어 부재의 최하부 표면 아래로 하향 돌출하는 수평적으로 큰 플로어 부재;
    고정 지지 맞물림을 위해 상기 플로어 부재 아래에 횡 방향으로 배치된 크로스 레일(12)로서, 상기 크로스 레일은 상기 플로어 부재(21)의 최하부 표면과 지지 가능하게 맞물리는 평면의 최상부 표면을 규정하는 최상부 플랜지(43)를 가지며, 상기 에지 플랜지(33)와 교차하는 상기 크로스 레일(12)은 그 내에 형성된 디프레션(46)을 가져 상기 에지 플랜지(33)에 틈새를 제공하고, 상기 디프레션(46)은 상기 평면의 최상부 표면으로부터 하향으로 돌출하며, 상기 최상부 플랜지(43)는 상기 크로스 레일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할 시에 상기 최상부 플랜지의 연속성을 유지하면서 상기 디프레션(46)의 프로파일을 규정하도록 하향으로 변형되는 플랜지 부분(47)을 갖는 크로스 레일(12);
    실질적으로 하위 크로스 레일(12) 내의 디프레션(46) 바로 위에 배치된 위치에 형성된 하향 디프레션(51)을 가진 에지 플랜지(33)에 가장 인접하여 위치되지만 상기 에지 플랜지(33)로부터 측방향으로 이격되는 강화된 보강 리브(25) 중 하나의 보강 리브(25')로서, 강화된 리브(25') 내의 상기 디프레션(51)은 베이스 벽 부분을 규정하고, 상기 베이스 벽 부분은 실질적으로 플로어 부재(24)의 최하부 표면과 동일 평면이고, 평면의 최상부 플랜지(43)에 접촉하며, 크로스 레일 내의 디프레션(46)을 규정하는 플랜지 부분(47)의 단부에 바로 인접하여 스폿 용접되는 보강 리브(25')를 포함하는 차량용 베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리브(25') 내에 형성된 상기 디프레션(51)은 상기 리브(25')의 횡 방향 폭에 걸쳐 어느 정도까지만 연장하여, 상기 플로어 패널(21)의 각각 인접한 측면 에지(31)로 상기 리브의 측 방향으로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베드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강철판으로 규정되고, 상기 크로스 레일(21)의 최상부 표면 상에 지지 가능하게 맞물린 최하부 표면을 가진 수평으로 큰 플로어 패널(22, 23)을 포함하는데, 상기 플로어 패널(22, 23)은 그의 측면 에지를 따라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고, 각각의 최하부 표면의 하향으로 돌출하는 캔틸레버된 다운 턴된 고정 플랜지(34)를 가지며;
    상기 플로어 부재(21) 및 상기 플로어 패널(22, 23)은, 측 방향으로 인접한 상기 에지 및 고정 플랜지(33, 34)와 수평적이고 측방향으로 인접한 관계로, 및 실 질적으로 인접하게 접촉하여 배치되며; 및
    상기 에지 및 고정 플랜지(33, 34)는 상기 디프레션(46)을 관통하도록 직접적으로 고정 접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베드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프레션(46)은 상기 평면의 최상부 표면으로부터 하향으로 돌출하는 상향으로 개방하고, 평활하게 구부려진 오목 프로파일을 가지며, 상기 플랜지 부분(47)은 상기 디프레션(46)을 규정하는 평활하게 구부려진 오목 프로파일에 따르고, 상기 오목 프로파일을 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베드 장치.
  5. 차량용 베드 장치에 있어서,
    측 방향으로 이격되지만 평행 관계로 배치되어, 차량 이동의 방향에 대해 횡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지향되는 다수의 수평으로 연장하는 크로스 레일(12)로서, 하나 이상의 상기 크로스 레일(12)은 상기 크로스 레일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고, 실질적으로 평면의 최상부 지지 표면을 규정하는 최상부 지지 플랜지(43)를 가지는 다수의 수평으로 연장하는 크로스 레일(12);
    상기 크로스 레일 위에 지지 가능하게 배치되어 고정되고, 상향 직면 하중 베어링 표면을 규정하는 수평으로 큰 플로어(11)로서;
    상기 플로어(11)는 얇은 금속판으로부터 제각기 형성된 다수의 개별적 사전 형성된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패널은 수평적으로 큰 중심 플로어 패널(21) 및, 상 기 중심 플로어 패널(21)의 대향 측면 상에서 그와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 관계로 배치된 우측 및 좌측 측면 플로어 패널(22, 23)을 포함하며;
    상기 중심 플로어 패널(21)은 일반적으로 평면도의 직각 구조를 가지고, 실질적으로 평면의 베이스 벽(24)을 가진 모놀리식 1-피스 형성된 금속판을 포함하며, 상기 평면의 베이스 벽(24)은 실질적으로 평행하지만, 그를 따라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고, 그로부터 상향으로 돌출하는 측방향으로 이격된 보강 리브(25)를 구비하며;
    상기 중심 플로어 패널(21)은 그를 따라 연장하고,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하향 캔틸레버되는 에지 플랜지(33)를 제각기 가진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우측 및 좌측 측면 에지(31)를 가지며;
    상기 우측 및 좌측 측면 플로어 패널(22, 23)은 그를 따라 연장하고,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하향 캔틸레버되는 고정 플랜지(34)를 제각기 가진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각각의 우측 및 좌측 측면 에지를 가지며;
    상기 우측 및 좌측 측면 플로어 패널(22, 23) 상의 상기 고정 플랜지(34)는 상기 중심 플로어 패널(21)의 각각의 우측 및 좌측 측면 에지의 에지 플랜지(33)와 인접하여 배치되고, 실질적으로 인접하게 접촉하며, 각 상기 고정 플랜지(34) 및 각각의 인접한 에지 플랜지(33)는 고정되고, 하향 캔틸레버된 보강 플랜지 구조물을 규정하며, 상기 보강 플랜지 구조물은 상기 플로어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평면의 베이스 벽(24)의 최하부 표면 아래로 하향 돌출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크로스 레일(12)은 그 내에 형성되고, 각각의 플랜지 구조 물에 틈새를 제공하도록 상기 크로스 레일 및 상기 보강 플랜지 구조물이 교차하는 위치에서 횡 방향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하향 디프레션(46)을 가지며, 각각의 상기 디프레션(46)은 최상부 지지 플랜지(43)의 평면의 최상부 표면으로부터 하향 돌출하고, 상기 크로스 레일의 길이 방향으로, 상향으로 개방하는 아치형의 오목 에지 프로파일을 가지며, 상기 최상부 지지 플랜지(43)는 상기 크로스 레일의 길이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연장하고, 상기 디프레션(46)의 상향으로 개방하는 아치형의 오목 에지 프로파일을 따라 연장하고, 상기 프로파일을 규정하는 변형된 플랜지 부분(47)을 포함하는 수평으로 큰 플로어(11); 및
    상기 베이스 벽(24)과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이도록 하향으로 평평하게 되는 상기 하나 이상의 크로스 레일(12) 바로 위에 배치된 영역(51)을 가진 중심 플로어 패널(21)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측면 에지에 인접하여 제각기 직접 측 방향으로 배치되는 보강 리브(25')로서, 하향으로 평평하게 되는 상기 영역(51)은 상기 최상부 지지 플랜지(43)의 평면의 최상부 표면과 직접 지지 가능하게 맞물려 배치되고, 각각의 상기 디프레션(46)의 한 측면에 바로 인접하여 스폿 용접되는 보강 리브(25')를 포함하는 차량용 베드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으로 평평하게 되는 영역(51)은 인접한 측면 에지(31)에 매우 인접한 리브(25)의 측면으로부터 내부로 개방하고, 상기 보강 리브(25')의 횡 방향 폭에 걸쳐 어느 정도까지만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베드 장치.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크로스 레일(12)은 최하부 벽(42)에 의해 접합되는 한 쌍의 직립 측면 벽(41), 및 상기 크로스 레일의 길이 방향 크기를 따라 연속적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상기 최상부 지지 플랜지(43)로 규정되는 채널 형상의 주요 몸체를 가지며, 상기 최상부 지지 플랜지는 상기 직립 측면 벽의 상위 말단으로부터 대향 방향으로 외부로 수평 캔틸레버되며, 상기 최상부 지지 플랜지(43)는 협력하여 상기 평면의 최상부 지지 표면을 규정하고, 상기 최상부 지지 플랜지는 상기 보강 플랜지 구조물 중 하나를 수용하는 상기 디프레션(46)을 규정하는 측방향으로 정렬된 변형된 플랜지 부분(47)을 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베드 장치.
  8. 제 5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크로스 레일(12)은 고 강도의 강철판으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압연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베드 장치.
  9. 제 5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크로스 레일(12)은 상기 디프레션(46)의 길이 방향 크기를 포함하는 상기 크로스 레일의 길이 내내 상향으로 개방하는 모자형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베드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모자형 단면의 높이는, 상기 디프레션(46)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바와 같이, 중간 영역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디프레션의 한 단부로부터 점진적으로 감소하여, 상기 디프레션의 다른 단부에 도달할 때까지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베드 장치.
  11. 제 5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프레션(46)의 단부는 역으로 구부려져 상기 최상부 플랜지(43)의 평면의 최상부 표면으로 평활하게 전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베드 장치.
  12. 제 5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접한 측면 플로어 패널(22, 23)은 상기 디프레션(46)의 다른 단부에 매우 인접한 최상부 플랜지(43)의 평면의 최상부 표면에 스폿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베드 장치.
  13. 차량용 베드 장치에 있어서,
    차량 이동의 방향에 대해 횡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지향되는 수평으로 연장하는 크로스 레일(12)로서, 상기 크로스 레일은 상기 크로스 레일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고, 실질적으로 평면의 최상부 지지 표면을 규정하는 최상부 지지 플랜지(43)를 가지는 수평으로 연장하는 크로스 레일(12);
    상기 크로스 레일(12) 위에 지지 가능하게 배치되어 고정되고, 얇은 금속판으로부터 제각기 형성되어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의 인접한 나란한 관계로 배치되는 개별 실행된 제 1 및 2 플로어 패널(21, 22)을 포함하는 수평으로 큰 차량 플로어(11')로서;
    상기 제 1 및 2 플로어 패널(21, 22)은 제각기 바로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플로어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이음매를 규정하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 1 및 2 측면 에지를 가지며;
    상기 제 1 플로어 패널(21)은 제 1 보강 리브(25')를 구비한 실질적으로 평면의 베이스 벽(24)을 가지는데, 상기 제 1 보강 리브(25')는, 상기 베이스 벽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며, 상기 베이스 벽으로부터 인접하여 상향으로 돌출하지만, 상기 제 1 측면 에지(31)로부터 측 방향으로 이격된 관계로 돌출함으로써, 각각의 평면의 베이스 벽(24)이 상기 제 1 보강 리브와 상기 제 1 측면 에지 간에 횡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 1 평평한 베이스 벽 부분(32)을 규정하며;
    상기 제 2 플로어 패널(22)은 제 2 보강 리브(35)를 구비한 실질적으로 평면의 베이스 벽을 가지는데, 상기 제 2 보강 리브(35)는, 상기 베이스 벽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며, 상기 베이스 벽으로부터 인접하여 상향으로 돌출하지만, 상기 제 2 측면 에지로부터 측 방향으로 이격된 관계로 돌출함으로써, 각각의 평면의 베이스 벽이 상기 제 2 보강 리브(35)와 상기 제 2 측면 에지 간에 횡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 2 평평한 베이스 벽 부분(38)을 규정하며;
    상기 제 1 및 2 플로어 패널은 각각의 제 1 및 2 측면 에지를 따라 길이 방 향으로 연장하고, 제각기 인접한 평평한 베이스 벽 부분으로부터 수직으로 하향 캔틸레버되는 각각의 제 1 및 2 에지 플랜지(33, 34)를 가지며, 상기 제 1 및 2 에지 플랜지는 인접하여 배치되고, 실질적으로 인접하게 접촉하며, 상기 플로어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하향 캔틸레버된 보강 플랜지 구조물을 규정하도록 고정되며;
    상기 하나의 크로스 레일(12)은 그 내에 형성되고, 상기 크로스 레일 및 상기 보강 플랜지 구조물(33, 34)이 상기 플랜지 구조물에 틈새를 제공하도록 교차하는 위치에서 횡 방향으로 연장하는 하향 디프레션(46)을 가지며, 상기 디프레션(46)은 최상부 지지 플랜지(43)의 평면의 최상부 표면으로부터 하향 돌출하고, 상기 하나의 크로스 레일의 길이 방향으로, 상향으로 개방하는 아치형의 오목 에지 프로파일을 가지며, 상기 최상부 지지 플랜지(43)는 상기 크로스 레일의 길이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연장하고, 상기 디프레션(46)의 상향으로 개방하는 아치형의 오목 에지 프로파일을 따라 연장하고, 상기 프로파일을 규정하는 변형된 플랜지 부분(47)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2 보강 리브(25', 35) 중 하나는, 상기 베이스 벽(24)과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이도록 하향으로 평평하게 되는 상기 하나의 크로스 레일(12) 바로 위에 배치되고, 상기 디프레션(46)의 한 측면에 인접한 상기 최상부 지지 플랜지(43)의 평면의 최상부 표면과 직접 지지 가능하게 맞물려 배치되는 영역(51)을 가지며, 하향으로 평평하게 되는 상기 영역(51)은 각각의 측면 에지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각각의 보강 리브(25' 35)의 측면으로부터 내부로 개방하고, 상기 보강 리브의 횡 방향 폭에 걸쳐 어느 정도까지만 횡 방향으로 연장하는 수평으로 큰 차량 플로어(11');
    상기 하향으로 평평하게 되는 영역(51)과, 상기 디프레션(46)의 한 측면에 인접한 상기 크로스 레일의 상기 최상부 지지 플랜지(43) 사이에 형성된 제 1 스폿 용접부(54); 및
    다른 플로어 패널의 평평한 베이스 벽 부분(32, 38)과, 상기 디프레션(46)의 다른 측면에 인접한 상기 크로스 레일의 상기 최상부 지지 플랜지(43) 사이에 형성된 제 2 스폿 용접부(55)를 포함하는 차량용 베드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 레일(12)은 상향으로 개방하는 모자형 단면을 갖고, 상기 최상부 지지 플랜지(43)의 측 방향으로 이격된 쌍을 포함하며, 상기 디프레션(46)은 상기 크로스 레일에 걸쳐 횡 방향으로 연장함으로써, 상기 최상부 지지 플랜지(43)의 양방은 상기 상향으로 개방하는 오목 구조를 가진 디프레션을 규정하도록 변형되며, 상기 제 1 및 2 스폿 용접부(54, 55)는 각각의 디프레션(46)의 대향 측면에 인접한 상기 최상부 지지 플랜지(43)의 각각에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베드 장치.
  15. 제 13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평평한 베이스 벽 부분(32)은 상기 제 2 평평한 베이스 벽 부분(38)의 횡 방향 폭보다 실질적으로 작은 횡 방향 폭을 가지며, 상기 제 2 스폿 용접부(55)는 상기 제 2 평평한 베이스 벽 부분(38)에 직접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베드 장치.
  16. 제 13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플로어 패널(21)은, 측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되지만, 평행 관계로 형성되며, 그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다수의 상기 보강 리브(25)를 가지며, 상기 제 1 플로어 패널(21)의 리브(25)는 상기 제 1 및 2 보강 리브(25, 35) 사이에 규정된 횡 방향 폭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횡 방향 사이즈를 갖는 중간 골(29)만큼 측 방향으로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베드 장치.
  17.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어 패널(21)은 얇은 금속판으로부터 압연 성형되고, 상기 디프레션 또는 평평하게 된 영역(51)은 상기 플로어 패널이 압연 성형된 후에 각각의 리브(25') 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베드 장치.
KR1020087006422A 2005-08-17 2006-08-16 차량용 베드 및 크로스 레일 부착 KR2008005584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205,735 2005-08-17
US11/205,735 US7152911B1 (en) 2005-08-17 2005-08-17 Vehicle bed and cross rail attachm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5845A true KR20080055845A (ko) 2008-06-19

Family

ID=37436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6422A KR20080055845A (ko) 2005-08-17 2006-08-16 차량용 베드 및 크로스 레일 부착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152911B1 (ko)
JP (1) JP2009504504A (ko)
KR (1) KR20080055845A (ko)
CN (1) CN101415598A (ko)
BR (1) BRPI0615213A2 (ko)
WO (1) WO2007022404A1 (ko)
ZA (1) ZA20080140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78534B2 (en) * 2005-11-03 2009-08-25 Martin Marietta Materials, Inc. Structural panel for a refrigerated trailer comprising an integrated bulkhead structure for promoting air flow
US7575264B1 (en) 2006-03-14 2009-08-18 Martin Marietta Materials, Inc. Cargo bed structure comprising fiber reinforced polymer components
US20070216197A1 (en) * 2006-03-14 2007-09-20 Martin Marietta Materials, Inc. Composite cargo floor structure having a reduced weight
US7665800B2 (en) * 2006-05-16 2010-02-23 Magna International Inc. Truck box space frame
US8186747B2 (en) * 2008-07-22 2012-05-29 Martin Marietta Materials, Inc. Modular composite structural component and structures formed therewith
DE102010018676B4 (de) * 2010-04-28 2012-02-09 Dbw Holding Gmbh Wärmedämm- oder Isolierblech im Fahrzeugbereich aus einem flächigen Halbzeug aus Metall
ES2716078T3 (es) 2014-03-05 2019-06-10 Nippon Steel & Sumitomo Metal Corp Estructura para unión de miembros
US9221500B1 (en) 2014-06-26 2015-12-2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Crush tube and support structure for a pickup truck bed
US9090293B1 (en) 2014-06-26 2015-07-2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Cargo bed support assembly for a truck
US9278717B2 (en) * 2014-06-27 2016-03-0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ickup box with reinforced tie-down locations
US9650003B2 (en) 2014-07-02 2017-05-16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Impact resistant component for a vehicle
US9592853B2 (en) * 2014-07-02 2017-03-14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Corrugation designs
US9469350B2 (en) * 2015-03-16 2016-10-18 Thunder Power Hong Kong Ltd. Underbody manufacturing method and vehicle underbody
US9604671B2 (en) 2015-08-13 2017-03-28 Fca Us Llc Vehicle underbody structure
US9862418B1 (en) * 2016-07-01 2018-01-09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Cross member with inner flanges
FR3054992B1 (fr) 2016-08-12 2018-08-24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Vehicule utilitaire avec plancher renforce
US10150515B1 (en) * 2017-05-19 2018-12-1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odular truck bed floor
KR20200119595A (ko) 2019-04-10 2020-10-20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EP4035790A4 (en) * 2019-09-25 2023-04-12 Nippon Steel Corporation COMPONENT, METHOD FOR MANUFACTURING COMPONENT AND DEVICE FOR MANUFACTURING COMPONENT
US20210094621A1 (en) * 2019-09-26 2021-04-01 International Truck Intellectual Property Company, Llc Vehicle floor
US11618506B1 (en) * 2022-08-10 2023-04-04 Richard Leslie Williamson Trailer floor panel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88418A (en) * 1992-04-07 1993-02-23 Pullman Industries, Inc. Truck bed and method of manufacture
US6347454B1 (en) * 1997-01-10 2002-02-19 Pullman Industries, Inc. Vehicle bed edge manufacturing process
US6109684A (en) * 1998-03-16 2000-08-29 Reitnouer; Miles A. Unitized flatbed trailer structure and container truck floor structure
US6814397B2 (en) * 2002-04-05 2004-11-09 Decoma International Inc. Hybrid pickup box
JP3964775B2 (ja) * 2002-11-22 2007-08-2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フロア構造
US7275784B2 (en) 2004-04-13 2007-10-02 Pullman Industries, Inc. Two-piece side and floor panel arrangement for box assembly
US7284787B2 (en) * 2004-04-13 2007-10-23 Pullman Industries, Inc. Roll-formed panels for vehicle box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7022404A1 (en) 2007-02-22
US7152911B1 (en) 2006-12-26
CN101415598A (zh) 2009-04-22
ZA200801406B (en) 2009-09-30
JP2009504504A (ja) 2009-02-05
BRPI0615213A2 (pt) 2016-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52911B1 (en) Vehicle bed and cross rail attachment
US7731271B2 (en) Vehicle bed edge construction and manufacturing process therefor
US5730486A (en) Truck bed and method of manufacture
US5938272A (en) Vehicle bed
US7192071B2 (en) Bulkhead for raising strength and rigidity of vehicular frame members
US6347454B1 (en) Vehicle bed edge manufacturing process
US6128815A (en) Process of forming a vehicle bed
US7448670B2 (en) Vehicle door reinforcement
US11377153B2 (en) Vehicle reinforcement member and vehicle center pillar
US6196136B1 (en) Car and side structure for ca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4393874B2 (ja) ビークルの支持フレーム用のy形ガセット構造
RU2706253C1 (ru) Штампованный компонент кузова автомобиля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WO2020009033A1 (ja) 車両用構造部材のための補強部材
KR102184887B1 (ko) 경사형 폐합 마구리부를 갖는 강재 데크의 제조방법 및 강재 데크
JP4484437B2 (ja) 車両用補強部材
CN218929159U (zh) 铰链加强板安装结构、车门及车辆
JPH04238725A (ja) 自動車ドア用インパクトビーム
JP2012131440A (ja) 車輪ストッパー
CN216886661U (zh) 轨道车辆的侧墙结构及轨道车辆
JP2000016763A (ja) クレーンブーム
CN214689783U (zh) 中底板分块结构
JPH0539990Y2 (ko)
KR200153663Y1 (ko) 차량의 로커패널
JPH0137952Y2 (ko)
JP2022111431A (ja) サイドメンバ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