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3781A - 엘리베이터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3781A
KR20080003781A KR1020077020103A KR20077020103A KR20080003781A KR 20080003781 A KR20080003781 A KR 20080003781A KR 1020077020103 A KR1020077020103 A KR 1020077020103A KR 20077020103 A KR20077020103 A KR 20077020103A KR 20080003781 A KR20080003781 A KR 200800037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
counterweight
car
suspension
rotation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01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56208B1 (ko
Inventor
나오키 하시구치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037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37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62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62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24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6B1/28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lectr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3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 B66B11/004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in the hoistw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6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는, 구동 수단은 제1 구동 쉬브를 포함하는 제1 구동장치와, 제2 구동 쉬브를 포함하는 제2 구동장치를 가지고 있다. 제1 및 제2 구동장치는 제1 및 제2 구동 쉬브의 회전축에 따른 방향의 치수가 회전축에 직각인 방향의 치수보다 크게 되어 있으며, 또한 회전축이 수평하게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현가 수단은 제1 구동 쉬브에 감겨진 제1 현가 벨트와, 제2 구동 쉬브에 감겨진 제2 현가 벨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장치{ELEVATOR APPARATUS}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칸 및 균형추를 승강시키기 위한 구동 수단이 승강로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균형추의 위쪽에 구동장치가 배치되어 있다. 구동장치의 구동 풀리에는 벨트가 감겨져 있다. 엘리베이터 칸 및 균형추는 벨트에 의해 승강로 내에 매달려 구동장치에 의해 승강된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 WO2003/043925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대용량 고속화를 도모하기 위해서, 구동장치의 모터 지름을 크게 하면, 승강로벽과 엘리베이터 칸 사이의 스페이스가 커져, 승강로를 확대할 필요가 생겨 버린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컴팩트한 설치 스페이스로 대용량 고속화를 도모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는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엘리베이터 칸 및 균형추, 엘리베이터 칸 및 균형추를 승강로 내에 매다는 벨트 모양의 현가(懸架) 수단 및 승강로의 상부에 배치되고, 현가 수단을 통하여 엘리베이터 칸 및 균형추를 승강시키는 구동 수단을 구비하며, 구동 수단은 제1 구동 쉬브를 포함하는 제1 구동장치와, 제2 구동 쉬브를 포함하는 제2 구동장치를 가지고, 제1 및 제2 구동장치는 제1 및 제2 구동 쉬브의 회전축에 따른 방향의 치수가 회전축에 직각인 방향의 치수보다 크게 되어 있으며, 또한 회전축이 수평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고, 현가 수단은 제1 구동 쉬브에 감겨진 제1 현가 벨트와, 제2 구동 쉬브에 감겨진 제2 현가 벨트를 포함한다.
또,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는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엘리베이터 칸 및 균형추, 엘리베이터 칸 및 균형추를 승강로 내에 매다는 현가 수단 및 승강로의 상부에 배치되고, 현가 수단을 통하여 엘리베이터 칸 및 균형추를 승강시키는 구동 수단을 구비하며, 구동 수단은 제1 구동 쉬브를 포함하는 제1 구동장치와, 제2 구동 쉬브를 포함하는 제2 구동장치를 가지고, 제1 및 제2 구동장치는 제1 및 제2 구동 쉬브의 회전축에 따른 방향의 치수가 회전축에 직각인 방향의 치수보다 크게 되어 있으며, 또한 회전축이 수평이 됨과 동시에, 수직 투영면에서 엘리베이터 칸과 승강로벽 사이의 영역 내에 전체가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는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엘리베이터 칸 및 균형추, 엘리베이터 칸 및 균형추를 승강로 내에 매다는 현가 수단 및 승강로의 상부에 배치되고, 현가 수단을 통하여 엘리베이터 칸 및 균형추를 승강시키는 구동 수단을 구비하며, 구동 수단은 제1 구동 쉬브를 포함하는 제1 구동장치와, 제2 구동 쉬브를 포함하는 제2 구동장치를 가지고, 제1 및 제2 구동장치는 제1 및 제2 구동 쉬브의 회전축에 따른 방향의 치수가 회전축에 직각인 방향의 치수보다 크게 되어 있으며, 또한 회전축이 수평이 됨과 동시에, 회전축에 직각으로 수평인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더욱이 또,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는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엘리베이터 칸 및 균형추, 엘리베이터 칸 및 균형추를 승강로 내에 매다는 현가 수단 및 승강로의 상부에 배치되고, 현가 수단을 통하여 엘리베이터 칸 및 균형추를 승강시키는 구동 수단을 구비하며, 구동 수단은 제1 구동 쉬브를 포함하는 제1 구동장치와 제2 구동 쉬브를 포함하는 제2 구동장치를 가지고, 제1 및 제2 구동장치는 제1 및 제2 구동 쉬브의 회전축에 따른 방향의 치수가 회전축에 직각인 방향의 치수보다 크게 되어 있으며, 또한 회전축이 수평이 됨과 동시에, 서로 상하 방향으로 겹쳐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는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엘리베이터 칸 및 균형추, 엘리베이터 칸 및 균형추를 승강로 내에 매다는 현가 수단 및 승강로의 상부에 배치되고, 현가 수단을 통하여 엘리베이터 칸 및 균형추를 승강시키는 구동 수단을 구비하며 엘리베이터 칸의 상부에는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부가 설치되어 있고, 균형추에는 제1 및 제2 균형추 서스펜딩부가 설치되어 있으며, 구동 수단은 제1 구동 쉬브를 포함하는 제1 구동장치와, 제2 구동 쉬브를 포함하는 제2 구동장치를 가지고, 제1 및 제2 구동장치는 제1 및 제2 구동 쉬브의 회전축에 따른 방향의 치수가 회전축에 직각인 방향의 치수보다 크게 되어 있으며, 또한 회전축이 수평이 됨과 동시에, 수직 투영면에서 엘리베이터 칸의 영역 내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현가 수단은 제1 구동 쉬브에 감겨지며, 제1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부 및 제1 균형추 서스펜딩부에 접속된 제1 현가체와, 제2 구동 쉬브에 감겨지고, 제2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부 및 제2 균형추 서스펜딩부에 접속된 제2 현가체를 포함하며, 균형추의 위쪽에는 제1 및 제2 현가체를 제1 및 제2 균형추 서스펜딩부로 유도하는 디플렉션 쉬브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제1 및 제2 구동장치의 지지 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5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6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7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의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8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의 평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의 평면도, 도 2는 도 1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에 있어서, 승강로(1) 내에는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 3)과, 제1 및 제2 균형추 가이드 레일(4, 5)이 설치되어 있다. 도 2에서는 이들 가이드 레일(2 ~ 5)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엘리베이터 칸(6)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3)에 안내되어 승강로(1) 내가 승강된다. 균형추(7)는 균형추 가이드 레일(4, 5)에 안내되어 승강로(1) 내를 승강한다.
엘리베이터 칸(6)은 전면부(6a)와, 전면부(6a)에 대향하는 배면부(6b)와, 서로 대향하는 제1 및 제2 측면부(6c, 6d)를 가지고 있다. 전면부(6a)에는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를 개폐하는 한 쌍의 엘리베이터 칸 도어(8)가 설치되어 있다. 제1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은 제1 측면부(6c)에 대향하고 있다. 제2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은 제2 측면부(6d)에 대향하고 있다. 또,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3)은 엘리베이터 칸(6)의 전후 방향의 같은 위치에서 서로 대향하고 있다. 엘리베이터 칸(6)에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 3)에 걸어맞춤 하는 복수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슈(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균형추(7)는 엘리베이터 칸(6)과 같은 높이에 위치할 때에 엘리베이터 칸(6)의 제2 측면부(6d)에 대향하도록 엘리베이터 칸(6)의 측방에 배치되어 있다. 균형추 가이드 레일(4, 5)은 균형추(7)의 폭 방향(엘리베이터 칸(6)의 전후 방향)의 양단부에 대향하고 있다. 균형추(7)에는 균형추 가이드 레일(4, 5)에 걸어맞춤 하는 복수의 균형추 가이드 슈(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승강로(1) 내의 상부에는 엘리베이터 칸(6) 및 균형추(7)를 승강시키는 구동 수단(9)이 배치되어 있다. 구동 수단(9)은 엘리베이터 제어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동기(同期)하여 구동되는 제1 및 제2 구동장치(10, 11)를 가지고 있다. 제1 구동장치(10)는 모터 및 브레이크를 포함한 제1 구동장치 본체(12)와, 제1 구동장치 본체(12)에 의해 회전되는 제1 구동 쉬브(13)를 가지고 있다. 제2 구동장치(11)는 모터 및 브레이크를 포함하는 제2 구동장치 본체(14)와, 제2 구동장치 본체(14)에 의해 회전되는 제2 구동 쉬브(15)를 가지고 있다.
또, 제1 및 제2 구동장치(10, 11)로서는 제1 및 제2 구동 쉬브(13, 15)의 회전축에 따른 방향의 치수가 회전축에 직각인 방향의 치수보다 큰 동일한 권상기가 이용되고 있다. 또한, 구동 쉬브(13, 15)는 감속기를 통하지 않고, 구동장치 본체(12, 14)의 모터에 의해 직접 구동된다.
제1 및 제2 구동장치(10, 11)는 수직 투영면에 있어서, 구동 쉬브(13, 15)의 회전축이 수평으로 됨과 동시에, 엘리베이터 칸(6)과 제2 측면부(6d)에 대향하는 승강로벽(1a) 사이의 영역 내에 전체가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 제1 및 제2 구동장치(10, 11)는 수직 투영면에서 균형추(7)와 겹치도록 상기 균형추(7)의 위쪽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1 및 제2 구동장치(10, 11)는 구동 쉬브(13, 15)의 회전축이 균형추(7)의 폭 방향으로 평행하게 되도록 같은 축에 배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구동 쉬브(13, 15)의 회전축에 평행으로 수평인 방향에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더욱이 또, 제1 및 제2 구동 쉬브(13, 15)는 제1 및 제2 구동장치(10, 11)의 축 방향의 제1 단부에 배치되어 있고, 제1 및 제2 구동장치(10, 11)는 축 방향의 제2 단부가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제1 및 제2 구동장치(10, 11)는 서로 역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 제1 및 제2 구동장치(10, 11)는 승강로(1) 내의 상부에 고정된 지지틀(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지지틀은, 예를 들면 균형추 가이드 레일(4, 5)의 상부에 고정되고, 균형추 가이드 레일(4, 5)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또, 지지틀은 건축에 설치된 지지 대들보에 의해 지지하여도 좋다.
엘리베이터 칸(6) 및 균형추(7)는 현가 수단(16)에 의해 승강로(1) 내에 매달려 있다. 현가 수단(16)은 제1 구동 쉬브(13)에 감겨진 제1 현가체로서의 제1 현가 벨트(17)와, 제2 구동 쉬브(15)에 감겨진 제2 현가체로서의 제2 현가 벨트(18)를 가지고 있다. 제1 및 제2 현가 벨트(17, 18)는 두께 치수보다 폭 치수가 큰 평평한 단면을 가지고 있다.
엘리베이터 칸(6)의 하부에는 제1 현가 벨트(17)가 감겨진 복수(한 쌍)의 제1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풀리(19, 20)와, 제2 현가 벨트(18)가 감겨진 복수(한 쌍)의 제2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풀리(21, 22)가 설치되어 있다. 제1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풀리(19, 20)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 3)보다 앞쪽에 배치되어 있다. 제2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풀리(21, 22)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3)보다 뒤쪽에 배치되어 있다.
균형추(7)의 상부에는 제1 현가 벨트(17)가 감겨진 제1 균형추 서스펜딩 풀리(23)와, 제2 현가 벨트(18)가 감겨진 제2 균형추 서스펜딩 풀리(24)가 설치되어 있다. 서스펜딩 풀리(19 ~ 24)는 그러한 회전축이 엘리베이터 칸(6)의 전후 방향과 평행하고 또한 수평하게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1 현가 벨트(17)는 제1 엘리베이터 칸 측 단부(17a) 및 제1 균형추 측 단부(17b)를 가지고 있다. 제1 엘리베이터 칸 측 단부(17a)는 승강로(1) 내의 상부에 설치된 제1 엘리베이터 칸 측 로프 고정부(25)에 접속되어 있다. 제1 균형추 측 단부(17b)는 승강로(1) 내의 상부에 설치된 제1 균형추 측 로프 고정부(26)에 접속되어 있다. 제1 현가 벨트(17)는 제1 엘리베이터 칸 측 단부(17a) 측으로부터 순서대 로 제1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풀리(19, 20), 제1 구동 쉬브(13) 및 제1 균형추 서스펜딩 풀리(23)에 감겨져 있다.
제2 현가 벨트(18)는 제2 엘리베이터 칸 측 단부(18a) 및 제2 균형추 측 단부(18b)를 가지고 있다. 제2 엘리베이터 칸 측 단부(18a)는 승강로(1) 내의 상부에 설치된 제2 엘리베이터 칸 측 로프 고정부(27)에 접속되어 있다. 제2 균형추 측 단부(18b)는 승강로(1) 내의 상부에 설치된 제2 균형추 측 로프 고정부(28)에 접속되어 있다. 제2 현가 벨트(18)는 제2 엘리베이터 칸 측 단부(18a) 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제2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풀리(21, 22), 제2 구동 쉬브(15) 및 제2 균형추 서스펜딩 풀리(24)에 감겨져 있다.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 측 로프 고정부(25, 27)는, 예를 들면 제1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제1 및 제2 균형추 측 로프 고정부(26, 28)는, 예를 들면 구동장치(10, 11)를 지지하는 지지틀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이와 같이, 엘리베이터 칸(6) 및 균형추(7)는 현가 벨트(17, 18)에 의해 2:1 로핑 방식으로 매달려 있다.
제1 현가 벨트(17) 측의 기기(제1 구동장치(10), 서스펜딩 풀리(19, 20, 23), 제1 현가 벨트(17) 및 로프 고정부(25, 26) 등)와, 제2 현가 벨트(18) 측의 기기(제2 구동장치(11), 서스펜딩 풀리(21, 22, 24), 제2 현가 벨트(18) 및 로프 고정부(27, 28) 등)는 수직 투영면에서 균형추(7)의 폭 방향의 중심선을 중심으로서 선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2대의 구동장치(10, 11)와 독립한 2계통의 현가 벨트(17, 18)를 이용하여 엘리베이터 칸(6) 및 균형추(7)를 승강시키므로, 모터 지름을 크게 하지 않고, 구동 수단(9) 전체의 출력을 크게 할 수 있어, 컴팩트한 설치 스페이스로 대용량 고속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종래와 동일한 성능을 얻기 위한 모터 지름을 작게 할 수 있어, 공간 절약화를 도모할 수도 있다.
또한, 소용량 저속의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구동장치(10, 11)의 한쪽만을 이용하고, 대용량 고속의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구동장치(10, 11)의 양쪽 모두를 이용하도록 하면, 2개 타입의 엘리베이터 장치로 같은 권상기를 사용할 수 있어, 권상기를 설계·제조하기 위한 코스트를 줄일 수 있다. 더욱이 또, 이하의 실시 형태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레이아웃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제1 및 제2 구동장치(10, 11)의 전체가 수직 투영면 내에서는 엘리베이터 칸(6)의 제2 측면부(6d)와 승강로벽(1a) 사이의 영역 내에 수용되어 있으므로, 균형추(7)의 위쪽의 공간을 유효하게 이용하여 구동장치(10, 11)를 배치할 수 있어, 승강로(1)를 컴팩트화 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구동장치(10, 11)는 서로 평행하고 또한 역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현가 벨트(17, 18)의 위치가 엘리베이터 칸(6)의 일측에 치우치지 않고, 엘리베이터 칸(6)을 밸런스 좋게 매달 수 있다.
실시 형태 2.
다음에,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의 평면도이다. 도에 있어서, 제1 및 제2 구동장치(10, 11)는 축 방향의 제1 단부(구동 쉬브(13, 15) 측의 단부)가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 해, 현가 벨트(17, 18)의 간격, 제1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풀리(19, 20)와 제2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풀리(21, 22)와의 간격 및 제1 균형추 서스펜딩 풀리(23)와 제2 균형추 서스펜딩 풀리(24)와의 간격은 실시 형태 1보다 작게 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이고,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 실시 형태 1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 형태 3.
다음에,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의 평면도이다. 도에 있어서, 제1 및 제2 구동장치(10, 11)는 서로 부분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겹쳐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제1 구동장치 본체(12)가 제2 구동장치 본체(14)의 바로 위에 배치되어 있다.
도 5는 도 4의 제1 및 제2 구동장치(10, 11)의 지지 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균형추 가이드 레일(4, 5)의 상부에는 지지틀(29)이 고정되어 있다. 지지틀(29)은 제1 구동장치(10)를 지지하는 상부 지지부(30)와, 상부 지지부(30)의 하부에 위치하여 제2 구동장치(11)를 지지하는 하부 지지부(31)를 가지고 있다. 또, 제1 및 제2 구동장치(10, 11)는 복수의 방진(防振) 부재(방진 고무)(32)를 통하여 지지틀(29)에 지지되어 있다. 또한, 도 4에서는 지지틀(29)을 생략하고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1과 동일하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제1 및 제2 구동장치(10, 11)를 상하로 겹쳐서 배치함으로써, 제1 및 제2 구동장치(10, 11)의 축 방향 치수를 길게 하여도, 양자가 서로 완충하지 않고, 또 구동 수단(9)의 설치 스페이스의 축 방향 치수가 크게 되지 않으며, 컴팩트한 설치 스페이스로 대용량 고속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현가 벨트(17, 18)가 구동장치 본체(12, 14)에 간섭하지 않으면, 제1 및 제2 구동장치(10, 11)를 실시 형태 3과는 역방향으로 배치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구동장치 본체(12, 14)의 지름보다 구동 쉬브(13, 15)의 지름을 크게 하는 것에 의해, 현가 벨트(17, 18)의 구동장치 본체(12, 14)로의 간섭을 피할 수 있다.
실시 형태 4.
다음에,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의 평면도, 도 7은 도 6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에 있어서, 제1 및 제2 구동장치(10, 11)는 구동 쉬브(13, 15)의 회전축에 직각으로 수평인 방향에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즉, 제1 및 제2 구동장치(10, 11)는 승강로(1) 내의 같은 높이의 위치로 서로 평행하게 가로로 늘어서 배치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1과 동일하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제1 및 제2 구동장치(10, 11)를 같은 높이에 늘어놓아 배치함으로써, 제1 및 제2 구동장치(10, 11)의 축 방향 치수를 길게 하여도, 양자가 서로 완충하지 않고, 또 구동 수단(9)의 설치 스페이스의 높이 치수가 크게 되지 않으며, 컴팩트한 설치 스페이스로 대용량 고속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구동장치(10, 11)를 실시 형태 4와는 역방향으로 배치하여도 좋다. 또, 실시 형태 4에서는 제1 및 제2 구동장치(10, 11)를 서로 역방향으로 배치하였으나, 축 방향의 위치를 조금 뒤로 물리면서 같은 방향으로 배치하여도 좋 다.
실시 형태 5.
다음에,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5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의 평면도, 도 9는 도 8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이 예에서는, 제1 및 제2 구동장치(10, 11)는 수직 투영면에서 엘리베이터 칸(6)의 영역 내에 위치하도록, 엘리베이터 칸(6)의 바로 위에 배치되어 있다. 또, 제1 및 제2 구동장치(10, 11)는 구동 쉬브(13, 15)의 회전축이 엘리베이터 칸(6)의 전후 방향과 평행하고 또한 수평하게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1 및 제2 구동장치(10, 11)는 축 방향의 제1 단부가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6) 및 균형추(7)는 제1 및 제2 현가 벨트(17, 18)에 의해, 1:1 로핑 방식으로 승강로(1) 내에 매달려 있다. 이 때문에, 엘리베이터 칸(6)의 상부에는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부(33, 34)가 설치되어 있고, 균형추(7)의 상부에는 제1 및 제2 균형추 서스펜딩부(35, 36)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엘리베이터 칸 측 단부(17a)가 제1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부(33)에, 제1 균형추 측 단부(17b)가 제1 균형추 서스펜딩부(35)에, 제2 엘리베이터 칸 측 단부(18a)가 제2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부(34)에, 제2 균형추 측 단부(18b)가 제2 균형추 서스펜딩부(36)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또,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부(33, 34)는 수직 투영면에서 그러한 중심이 엘리베이터 칸(6)의 중심 부근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균형추(7)의 위쪽에는 제1 및 제2 현가 벨트(17, 18)를 제1 및 제2 균형추 서스펜딩부(35, 36)로 유도하는 디플렉션 쉬브 장치(37)가 설치되어 있다. 디플렉션 쉬브 장치(37)는 제1 현가 벨트(17)를 제1 균형추 서스펜딩부(35)로 유도하는 제1 디플렉션 쉬브(38)와, 제2 현가 벨트(18)를 제2 균형추 서스펜딩부(36)로 유도하는 제2 디플렉션 쉬브(39)를 가지고 있다.
구동 쉬브(13, 15)와 디플렉션 쉬브(38, 39) 사이에는 구동 쉬브(13, 15)로의 현가 벨트(17, 18)의 접촉각을 증대시키는 제1 및 제2 접촉각 조정 풀리(40, 41)가 설치되어 있다.
제2 구동장치(10, 11), 디플렉션 쉬브(38, 39) 및 접촉각 조정 풀리(40, 41)는 승강로(1) 내의 상부에 고정된 지지틀(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지지틀은, 예를 들면 균형추 가이드 레일(2 ~ 5) 중 적어도 1개의 상부에 고정되어 있다. 또, 지지틀은 건축에 설치된 지지 대들보에 의해 지지하여도 좋다.
구동 쉬브(13, 15), 디플렉션 쉬브(38, 39) 및 접촉각 조정 풀리(40, 41)는 그러한 회전축이 엘리베이터 칸(6)의 전후 방향과 평행하고 또한 수평하게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1 현가 벨트(17) 측의 기기(제1 구동장치(10), 디플렉션 쉬브(38), 제1 현가 벨트(17) 및 접촉각 조정 풀리(40) 등)와, 제2 현가 벨트(18) 측의 기기(제2 구동장치(11), 디플렉션 쉬브(39), 제2 현가 벨트(18) 및 접촉각 조정 풀리(41) 등)는 수직 투영면에서 균형추(7)의 폭 방향의 중심선을 중심으로서 선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1과 동일하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2대의 구동장치(10, 11)와 독립한 2계통의 현가 벨트(17, 18)를 이용하여 엘리베이터 칸(6) 및 균형추(7)를 승강시키므로, 모 터 지름을 크게 하지 않고, 구동 수단(9) 전체의 출력을 크게 할 수 있어, 컴팩트한 설치 스페이스로 대용량 고속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종래와 동일한 성능을 얻기 위한 모터 지름을 작게 할 수 있어, 공간절약화를 도모할 수도 있다.
또, 접촉각 조정 풀리(40, 41)를 이용함으로써, 구동 쉬브(13, 15)에 대한 현가 벨트(17, 18)의 접촉각을 증대시켜, 충분한 트랙션력을 확보할 수 있다.
실시 형태 6.
다음에,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6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의 평면도이다. 도에 있어서, 균형추(7)는 엘리베이터 칸(6)과 같은 높이에 위치할 때에 엘리베이터 칸(6)의 배면부(6b)에 대향하도록 엘리베이터 칸(6)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구동 쉬브(13, 15), 디플렉션 쉬브(38, 39) 및 접촉각 조정 풀리(40, 41)는 그러한 회전축이 엘리베이터 칸(6)의 폭 방향과 평행하고 또한 수평하게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5와 동일하다.
이와 같이, 엘리베이터 칸(6)의 후방에 균형추(7)를 배치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실시 형태 5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실시 형태 5, 6에 대해서, 구동장치(10, 11)는 역방향으로 배치하여도 좋다.
또, 충분한 트랙션력이 확보할 수 있으면, 접촉각 조정 풀리(40, 41)는 생략 하여도 좋다.
실시 형태 7.
다음에,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7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의 평면도이다. 도에 있어서, 제1 및 제2 구동장치(10, 11)는 구동 쉬브(13, 15)의 회전축에 직각으로 수평인 방향에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즉, 제1 및 제2 구동장치(10, 11)는 엘리베이터 칸(6)의 위쪽의 같은 높이의 위치에서 서로 평행하게 가로로 늘어서 배치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6과 동일하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제1 및 제2 구동장치(10, 11)를 같은 높이에 늘어놓아 배치함으로써, 제1 및 제2 구동장치(10, 11)의 축 방향 치수를 길게 하여도, 양자가 서로 완충하지 않고, 또 구동 수단(9)의 설치 스페이스의 높이 치수가 크게 되지 않으며, 컴팩트한 설치 스페이스로 대용량 고속화를 도모할 수 있다.
실시 형태 8.
다음에,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8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의 평면도, 도 13은 도 12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 3)은 엘리베이터 칸(6)의 전후 방향의 중심으로부터 역방향으로 오프세트하여 배치되어 있다. 즉,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은 엘리베이터 칸(6)의 전후 방향의 중심보다 앞쪽에서 제1 측면부(6c)에 대향하고 있다.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은 엘리베이터 칸(6)의 전후 방향의 중심보다 뒤쪽에서 제2 측면부(6d)에 대향하고 있다.
균형추는 제1 및 제2 균형추(7a, 7b)로 분할되어 있다. 제1 및 제2 균형추(7a, 7b)는 같은 크기, 같은 무게이다. 또, 제1 및 제2 균형추(7a, 7b)는 엘리베이터 칸(6)의 양측에 배분하여 배치되어 있다. 즉, 제1 균형추(7a)는 엘리베이터 칸(6)과 같은 높이에 위치할 때에 제1 측면부(6c)와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제2 균형추(7b)는 엘리베이터 칸(6)과 같은 높이에 위치할 때에 제2 측면부(6d)와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1 균형추(7a)는 엘리베이터 칸(6)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제1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의 뒤쪽에 배치되고. 제2 균형추(7b)는 엘리베이터 칸(6)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제2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의 앞쪽에 배치되어 있다.
제1 현가 벨트(17)가 접속된 제1 균형추 서스펜딩부(35)는 제1 균형추(7a)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다. 제2 현가 벨트(18)가 접속된 제2 균형추 서스펜딩부(36)는 제2 균형추(7b)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다. 제1 디플렉션 쉬브(38)는 제1 균형추(7a)의 위쪽에 배치되어 있다. 제2 디플렉션 쉬브(39)는 제2 균형추(7b)의 위쪽에 배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3), 균형추(7a, 7b), 균형추 가이드 레일(4a, 5a, 4b, 5b), 구동장치(10, 11), 현가 벨트(17, 18), 디플렉션 쉬브(38, 39) 및 접촉각 조정 풀리(40, 41)는 수직 투영면에서 엘리베이터 칸(6)의 중심을 중심으로 하여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7과 동일하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 의해서, 모터 지름을 크게 하지 않고, 구동 수단(9) 전체의 출력을 크게 할 수 있어, 컴팩트한 설치 스페이스로 대용량 고속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종래와 동일한 성능을 얻기 위한 모터 지름을 작게 할 수 있어, 공간 절약화를 도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2대의 구동장치(10, 11)를 나타냈으나, 3대 이상의 구동장치를 이용하여도 좋다.
또, 상기의 예에서는 메인 로프체로서 현가 벨트(17, 18)를 나타냈으나, 원형 단면을 가진 현가 로프를 이용하여도 좋다.
또한, 로핑 방식은, 1:1 로핑 및 2:1 로핑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칸 및 균형추를 승강시키기 위한 구동 수단이 승강로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에 이용 가능하다.

Claims (12)

  1.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엘리베이터 칸 및 균형추,
    상기 엘리베이터 칸 및 상기 균형추를 상기 승강로 내에 매다는 벨트 모양의 현가 수단, 및
    상기 승강로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현가 수단을 통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칸 및 상기 균형추를 승강시키는 구동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구동 수단은 제1 구동 쉬브를 포함하는 제1 구동장치와, 제2 구동 쉬브를 포함하는 제2 구동장치를 가지고,
    상기 제1 및 제2 구동장치는 상기 제1 및 제2 구동 쉬브의 회전축에 따른 방향의 치수가 상기 회전축에 직각인 방향의 치수보다 크게 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회전축이 수평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고,
    상기 현가 수단은 상기 제1 구동 쉬브에 감겨진 제1 현가 벨트와, 상기 제2 구동 쉬브에 감겨진 제2 현가 벨트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2.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엘리베이터 칸 및 균형추,
    상기 엘리베이터 칸 및 상기 균형추를 상기 승강로 내에 매다는 현가 수단, 및
    상기 승강로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현가 수단을 통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칸 및 상기 균형추를 승강시키는 구동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구동 수단은 제1 구동 쉬브를 포함하는 제1 구동장치와, 제2 구동 쉬브를 포함하는 제2 구동장치를 가지고,
    상기 제1 및 제2 구동장치는 상기 제1 및 제2 구동 쉬브의 회전축에 따른 방향의 치수가 상기 회전축에 직각인 방향의 치수보다 크게 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회전축이 수평이 됨과 동시에, 수직 투영면에서 상기 엘리베이터 칸과 승강로벽 사이의 영역 내에 전체가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구동장치는 상기 회전축에 직각으로 수평인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구동장치는 수직 투영면에서 상기 균형추와 겹치도록 상기 균형추의 위쪽에 배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구동장치는 상기 회전축이 상기 균형추의 폭 방향으로 평행하게 되도록 배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회전축에 평행으로 수평인 방향에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구동 쉬브는 상기 제1 및 제2 구동장치의 축 방향의 제1 단부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1 및 제2 구동장치는 축 방향의 제2 단부가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구동 쉬브는 상기 제1 및 제2 구동장치의 축 방향의 제1 단부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1 및 제2 구동장치는 축 방향의 제1 단부가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8.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엘리베이터 칸 및 균형추,
    상기 엘리베이터 칸 및 상기 균형추를 상기 승강로 내에 매다는 현가 수단, 및
    상기 승강로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현가 수단을 통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칸 및 상기 균형추를 승강시키는 구동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구동 수단은 제1 구동 쉬브를 포함하는 제1 구동장치와, 제2 구동 쉬브를 포함하는 제2 구동장치를 가지고,
    상기 제1 및 제2 구동장치는 상기 제1 및 제2 구동 쉬브의 회전축에 따른 방 향의 치수가 상기 회전축에 직각인 방향의 치수보다 크게 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회전축이 수평이 됨과 동시에, 상기 회전축에 직각으로 수평인 방향에 서로 인접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9.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엘리베이터 칸 및 균형추, 상기 엘리베이터 칸 및 상기 균형추를 상기 승강로 내에 매다는 현가 수단 및 상기 승강로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현가 수단을 통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칸 및 상기 균형추를 승강시키는 구동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구동 수단은 제1 구동 쉬브를 포함하는 제1 구동장치와, 제2 구동 쉬브를 포함하는 제2 구동장치를 가지고,
    상기 제1 및 제2 구동장치는 상기 제1 및 제2 구동 쉬브의 회전축에 따른 방향의 치수가 상기 회전축에 직각인 방향의 치수보다 크게 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회전축이 수평이 됨과 동시에, 서로 상하 방향과 겹쳐지도록 배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10.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엘리베이터 칸 및 균형추,
    상기 엘리베이터 칸 및 상기 균형추를 상기 승강로 내에 매다는 현가 수단, 및
    상기 승강로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현가 수단을 통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칸 및 상기 균형추를 승강시키는 구동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상부에는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균형추에는 제1 및 제2 균형추 서스펜딩부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 수단은 제1 구동 쉬브를 포함하는 제1 구동장치와, 제2 구동 쉬브를 포함하는 제2 구동장치를 가지고,
    상기 제1 및 제2 구동장치는 상기 제1 및 제2 구동 쉬브의 회전축에 따른 방향의 치수가 상기 회전축에 직각인 방향의 치수보다 크게 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회전축이 수평이 됨과 동시에, 수직 투영면에서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영역 내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상기 현가 수단은 상기 제1 구동 쉬브에 감겨지고, 상기 제1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부 및 상기 제1 균형추 서스펜딩부에 접속된 제1 현가체와, 상기 제2 구동 쉬브에 감겨지고, 상기 제2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부 및 제2 균형추 서스펜딩부에 접속된 제2 현가체를 포함하며,
    상기 균형추의 위쪽에는 상기 제1 및 제2 현가체를 상기 제1 및 제2 균형추 서스펜딩부로 유도하는 디플렉션 쉬브 장치가 설치되고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균형추는 상기 제1 균형추 서스펜딩부가 설치된 제1 균형추와, 상기 제2 균형추 서스펜딩부가 설치된 제2 균형추를 가지고,
    상기 디플렉션 쉬브 장치는 상기 제1 균형추의 위쪽에 배치되어 상기 제1 현 가체를 상기 제1 균형추 서스펜딩부로 유도하는 제1 디플렉션 쉬브와, 상기 제2 균형추의 위쪽에 배치되어 상기 제2 현가체를 상기 제2 균형추 서스펜딩부로 유도하는 제2 디플렉션 쉬브를 가지고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칸은 서로 대향하는 제1 및 제2 측면부를 가지고,
    상기 승강로 내에는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승강을 안내하는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은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전후 방향의 중심보다 앞쪽에서 상기 제1 측면부에 대향하고,
    상기 제2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은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전후 방향의 중심보다 뒤쪽에서 상기 제2 측면부에 대향하며,
    상기 제1 균형추는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1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의 뒤쪽에 배치되고,
    상기 제2 균형추는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2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의 앞쪽에 배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KR1020077020103A 2006-04-19 2006-04-19 엘리베이터 장치 KR1009562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6/308200 WO2007122702A1 (ja) 2006-04-19 2006-04-19 エレベータ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3781A true KR20080003781A (ko) 2008-01-08
KR100956208B1 KR100956208B1 (ko) 2010-05-04

Family

ID=38624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0103A KR100956208B1 (ko) 2006-04-19 2006-04-19 엘리베이터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00126808A1 (ko)
EP (1) EP2019072A1 (ko)
JP (1) JPWO2007122702A1 (ko)
KR (1) KR100956208B1 (ko)
CN (1) CN101155745A (ko)
WO (1) WO200712270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18319B2 (en) * 2006-05-01 2011-04-05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Elevator apparatus
WO2009154611A1 (en) * 2008-06-17 2009-12-23 Otis Elevator Company Underslung elevator car configuration
CN102471023B (zh) * 2009-08-11 2014-10-15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装置
WO2012138335A1 (en) * 2011-04-06 2012-10-11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system including a 4:1 roping arrangement
WO2015049790A1 (ja) * 2013-10-04 2015-04-09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EP3235770B1 (de) * 2016-04-18 2019-02-20 Ziehl-Abegg SE Verfahren zur nachrüstung eines aufzugs und korrespondierender aufzug
US9994425B1 (en) 2016-12-12 2018-06-12 Thyssenkrupp Elevator Ag Compact motor arrangement with integrated brakes and shaft bearings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59768A (en) * 1969-12-22 1971-02-02 Henry P Cox Emergency elevator evacuation of tall buildings
US6401871B2 (en) * 1998-02-26 2002-06-11 Otis Elevator Company Tension member for an elevator
DE69933199C5 (de) * 1998-02-26 2014-07-24 Otis Elevator Co. Aufzugssystem mit einem zwischen der aufzugskabine und der schachtwand angeordneten antriebsmotor
BR9908230A (pt) * 1998-02-26 2000-10-31 Otis Elevador Company Sistema de elevador com motor de acionamento suspenso
JP4262796B2 (ja) * 1998-03-04 2009-05-13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かご吊り構造
JP2002167137A (ja) * 2000-11-29 2002-06-11 Toshiba Corp エレベータ
JP4771586B2 (ja) * 2000-12-08 2011-09-14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
MXPA04004787A (es) * 2001-11-23 2004-08-11 Inventio Ag Elevador con medio de transmision tipo correa, particularmente correa trapezoidal, que sirve de medio de soporte y/o de impulsion.
JP4258178B2 (ja) * 2002-07-17 2009-04-3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ー装置
CN1298605C (zh) * 2002-07-11 2007-02-07 株式会社日立制作所 电梯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07122702A1 (ja) 2009-08-27
US20100126808A1 (en) 2010-05-27
EP2019072A1 (en) 2009-01-28
KR100956208B1 (ko) 2010-05-04
WO2007122702A1 (ja) 2007-11-01
CN101155745A (zh) 2008-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18467B1 (ko) 엘리베이터 장치
KR100961038B1 (ko) 엘리베이터 장치
KR100956208B1 (ko) 엘리베이터 장치
KR100444936B1 (ko) 엘리베이터장치
EP1961688A1 (en) Elevator device
JP2001048451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KR101335800B1 (ko) 엘리베이터 장치
JP4549616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WO2003074409A1 (ja) エレベータ装置
JPWO2005056455A1 (ja) エレベータ装置
JP4934941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4339578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4292157B2 (ja) エレベータ装置
KR20080097389A (ko) 엘리베이터 장치
KR20060111682A (ko) 기계실 없는 엘리베이터
JPWO2004050528A1 (ja) エレベータ装置
WO2018198232A1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11051736A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0597941B1 (ko) 엘리베이터용 권양기 및 엘리베이터 장치
EP1500620A1 (en) Elevator
KR20040068178A (ko) 엘리베이터 장치
KR20070064349A (ko) 엘리베이터 장치
JPWO2004101419A1 (ja) エレベータ装置
KR20060036042A (ko) 엘리베이터 장치
WO2007039926A1 (ja) エレベー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