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0758U - 요업계 사이딩 및 상기 요업계 사이딩을 사용한 건축물의내진 보강 구조 - Google Patents

요업계 사이딩 및 상기 요업계 사이딩을 사용한 건축물의내진 보강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0758U
KR20080000758U KR2020060028449U KR20060028449U KR20080000758U KR 20080000758 U KR20080000758 U KR 20080000758U KR 2020060028449 U KR2020060028449 U KR 2020060028449U KR 20060028449 U KR20060028449 U KR 20060028449U KR 20080000758 U KR20080000758 U KR 2008000075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ing
coating
kpa
painted
urin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84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오 남바
가쓰토시 사쿠라이
데루유키 가토
히데오 아이자와
신 다카미
Original Assignee
니치하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치하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치하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20200600284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00758U/ko
Publication of KR2008000075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0758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8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vibrations or shocks; against mechanical destruction, e.g. by air-ra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투습 성능을 개선하여, 방화성·내부패성을 가짐으로써, 지주(支柱)에 의하지 않고, 내진성이나 내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한 요업계 사이딩 및 상기 요업계 사이딩을 사용한 건축물의 내진 보강 구조를 제공한다.
좌우에 대향 배치된 한 쌍의 기둥(7)과 각 기둥(7)에 접합된 상단 횡가재(1)와 하단 횡가재(2)로 이루어지는 구조 구체(構造軀體)에서, 소정 치수의 요업계 사이딩(9)이 접촉되고, 소정 간격으로 못(4) 또는 비스로 고정함으로써, 건축물의 내진 성능을 향상시킨다. 이 요업계 사이딩(9)은 부분적으로 도장되어 있는 도장 부분(11)과 비도장 부분(12)을 가지며, 투습 성능을 개선한다.
투습 성능, 요업계 사이딩, 내진 보강 구조, 횡가재, 도장 부분, 비도장 부분, 투습 성능

Description

요업계 사이딩 및 상기 요업계 사이딩을 사용한 건축물의 내진 보강 구조{Ceramics-system siding and shock-resistant reinforced construction of building using the same}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 1에 관계되는 요업계 사이딩의 대표예의 일례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 1에 관계되는 요업계 사이딩을 사용한 건축물의 내진 보강 구조의 대표예의 일례를 도시하는 구조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 1에 관계되는 요업계 사이딩을 사용한 건축물의 내진 보강 구조의 대표예의 일례를 도시하는 구조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 2에 관계되는 요업계 사이딩의 대표예의 일례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 3에 관계되는 요업계 사이딩의 대표예의 일례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 4에 관계되는 요업계 사이딩의 대표예의 일례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7a 내지 도 7c는 본 고안의 실시예 5에 관계되는 요업계 사이딩의 대표예의 일례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8a 내지 도 8c는 본 고안의 실시예 6에 관계되는 요업계 사이딩의 대표예의 일례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9a 및 도 9b는 본 고안의 실시예 7, 실시예 8에 관계되는 요업계 사이딩의 대표예의 일례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10a 내지 도 10d는 본 고안의 실시예 9에 관계되는 요업계 사이딩의 대표예의 일례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1a 내지 도 11d는 본 고안의 실시예 10에 관계되는 요업계 사이딩의 대표예의 일례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2a 내지 도 12d는 본 고안의 실시예 11에 관계되는 요업계 사이딩의 대표예의 일례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3a 내지 도 13d는 본 고안의 실시예 12에 관계되는 요업계 사이딩의 대표예의 일례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4는 종래의 내력벽(비교예)을 도시하는 구조 정면도.
* 도면의 중요한 부분의 부호의 간단한 설명 *
1: 상단 횡가재(橫架材)
2: 하단 횡가재
3: 면재(面材; 종래의 요업계 사이딩)
4: 못
5: 구조 구체
6: 내력벽
7: 기둥
8: 간주(間柱)
9: 판(요업계 사이딩)
10: 도장 부분
11: 부분적으로 도장되어 있는 도장 부분
12: 비도장 부분
13: 제 1 도포량으로 이루어지는 제 1 도장 부분
14: 제 1 도포량보다도 적은 도포량으로 이루어지는 제 2 도장 부분
20: 오목부
21: 볼록부
22: 바닥면
23: 측면(사면)
91: 판의 좌단부
92: 판의 우단부
93: 판의 상단부
94: 판의 하단부
95: 판의 못을 박는 장소
본 고안은, 건축물의 내진 보강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목조의 건축물에서 요업계 외벽재 등의 구조용 면재(面材)를 사용하여 투습 성능을 향상시키는 요업계 사이딩 및 상기 요업계 사이딩을 사용한 건축물의 내진 보강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목조 건축물의 구조법(構法)에는, 뼈대 구조법이나 플랫폼 우드 프레임 구조법(Platform wood flame building construction) 등이 있다. 일본에서 널리 보급되고 있는 뼈대 구조법에 있어서는, 구조 구체인 기둥·들보·토대와 같은 뼈대 구성물에 지주(支柱)나 구조용 합판을 장착하여 구조물 전체의 수평 강성과 수평 내력을 높여, 내진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여기서, 구조용 합판으로서는, 예를 들면, 두께 12mm나 9mm이고 종횡 치수가 8척(2440mm)×3척(910mm)인 것을 사용하고, 그것을 못을 사용하여 150mm 간격으로 외주와 간주에 접하는 부분에 고정하여 내진 구조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미국·캐다나 등에서 널리 보급되고 있는 플랫폼 우드 프레임 구조법(Platform wood flame building construction)은 기초(foundation)에 대하여 토대(sill)를 고정하고, 더욱이 상조(floor framing, 床組)를 개재하여(사이에 두어) 벽조(wall framing, 壁組)를 고정하는 구조법이다. 이 벽조는 스터드(stud)·솔 플레이트(sole plate)·톱 플레이트(top plate) 등과 벽재(壁材; 벽 하장재)로 구성된다. 이 구성에 의해, 벽조는 상조와 함께 구조물 전체의 수평 강성과 수평 내력을 높이고, 내진 성능을 향상시키고 있다. 여기에서, 벽 하장재(下張材)(구조용 면재)로서는, 예를 들면 두께 7/16인치(약 11.1밀리)이고 종횡 치수가 8피트(약 2,428.4밀리)×4피트(약 1,219.2밀리) 사이즈의 OSB(Oriented Strand Board)를 사용하고, 그것을 150 내지 300mm 정도의 간격으로 못을 사용하여 외주와 스터드에 접하는 부분을 고정하여 내진 구조를 형성하고 있다.
내진 구조일 경우도, 태풍이나 회오리 등 자연 현상에 의한 풍압력에는 충분하지 않은 경우가 있다. 특히, 그것은 뼈대 구조법에 있어서 개구부의 크기·수 등의 영향에 의해서 적절한 지주의 배치 균형이 아닌 경우이고, 또한, 그것은 지주가 접합 철물 등을 사용하여 기둥·들보·토대 등에 적절하게 고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등 강도가 충분하지 않은 경우에도 적합하다.
또한, 지진이 많은 지역에서는 지진력에 대한 강도가 부족한 경우도 있다. 과거의 대지진의 경험에 의해 내진 기준이 그때 그때 강화되고 있다. 그러나, 강화된 내진 기준이어도 내진 성능이 충분하지 않다고 하는 지적도 있다.
태풍이나 지진이 많은 해외의 일본에서는 일본의 건축 기준법(The Building Standard Low)이나 일본 국토 교통성(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Government of Japan)의 고시(notification)에 의해서, 벽재의 종류·치수, 고정하는 못의 치수·간격 등을 규정하여 벽 구조의 내진 성능을 명확화하고 있다.
또한, 특수한 공법이나 여러가지의 재료로 구성되는 벽 구조의 내진 성능에 관해서는, 국토 교통 장관이 지정하는 시험장에서 개별로 성능 평가 시험이 실시된다. 그리고, 그 시험 결과를 기초로, 국토 교통 장관이 구조 방법 등의 인정을 위 한 심사를 한다. 그 심사가 인정되면, 장관이 인정한 내진 성능을 갖는 벽 구조로서 사용이 인정되고 있다.
기후나 풍토의 차이가 있어도 내풍 성능이나 내진 성능 향상에 관한 기술은 일본 국내뿐만 아니라, 세계의 이들 재해 다발지역에서도, 충분히 도움이 될 수 있다.
종래예는,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단 횡가재(1)와 하단 횡가재(2)를 1장의 면재로 이을 수 있는 치수의 `종래의 요업계 사이딩(3; 이하, 면재)을 사용하여 못(4) 고정으로 구조 구조(5)에 고정된 내력벽(6)을 도시하고 있다.
이 면재(3)는 전면(前面)의 표면 전체면에 도장되어 있다[도장 부분(10)].
그렇지만, 내력벽 구조를 구성하는 도장된 요업계 사이딩은 석고보드 등과 비교하여 수증기가 통과하기 어려운(투습 성능이 떨어지는) 특성이 있다. 일반적으로 결로 발생의 원인의 하나로서 실내의 환기량의 부족을 들 수 있지만, 기계 환기(환기선)나 자연 환기(창문의 개폐)의 환기량이 부족할 때, 실내에서 발생한 수증기는 실내나 벽체 내에 체류하기 쉬워진다. 특히, 동계에는 옥외에 면하는 벽체 내에 수증기가 체류하면 외기에 의해서 차가워진 벽의 내측 부분이 결로할 우려가 높아져, 기둥·들보 등의 주요 구조부 등의 구조재가 부패한다고 하는 위험이 있다. 일반적으로, 내력벽 구조가 아닌 경우에 실내에서 발생한 수증기는 실내측의 석고보드, 유리섬유(glass wool) 등의 내단열재, 또 투습 방수 시트를 통해서 옥외로 배출된다. 그런데, 내력벽 구조의 경우에는 투습 성능이 낮은 구조용 면재가 이 수증기의 길을 막아 수증기가 옥외로 배출되기 어려워짐에 따라, 벽체 내에 수 증기가 체류하여 벽체 내 결로의 발생으로 이어진다.
내력벽 구조로 하면 수증기가 벽체 내에 체류하여, 구조재가 부패하기 쉬워진다고 하는 결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의 해결 방법으로서,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평)10-280580호에는 투습성 내력벽 면재(VAPOR-PERMEABLE BEARING WALL FACING MATERIAL)가 개시되어 있다. 거기에는, 내력벽 면재에 수증기의 배출 구멍을 설치함으로써 벽 내에 어린 습기를 배출하고, 벽의 부식을 방지하는 투습성 내력벽 면재가 개시되어 있다(특허문헌 1). 또한, 특허 제3417400호에는 통풍 외벽(VENTILATING EXTERIOR WALL)이,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평)8-120799호에는 통풍층 패널(VENTILATING LAYER PANEL)이 개시되어 있다(특허문헌 2, 특허문헌 3). 이들은 배출 구멍(통기 구멍, 관통 구멍)을 설치함으로써, 투습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에 관해서는 일단 해결되었다. 그러나, 면재를 제조할 때 면재에 다수의 구멍을 뚫어야만 하여, 가공에 시간이 걸리는 등 여분의 시간이 걸려 제조 능률이 떨어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한편, 투습 성능을 개선하는 방법의 하나로서 구조용 면재의 표면 전체에 도장을 실시하지 않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전체에 도장을 실시하지 않으면, 구조용 면재의 장기적 강도의 저하, 내력벽의 장기적 내력의 저하의 폭이 크다. 이것은, 특히, 못을 박는 장소·비스 고정 장소의 구조용 면재가 열화되기 때문이다. 이 열화를 고려하여 일본의 국토 교통 장관이 지정하는 시험장에서 개별로 실시되는 성능 평가 시험에 근거하는 내력벽의 내진 성능의 산정에 있어서도 못을 박는 장소·비스 고정 장소의 구조용 면재의 열화를 고려하는 저감 계수가 설정되어 있 다. 구조용 면재의 표면 전부에 도장을 실시하지 않는 방법은 내력벽의 내력의 저하를 부른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1]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평)10-280580호
[특허문헌2] 특허 제3417400호
[특허문헌3]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평)8-120799호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요업계 외벽재 등의 구조용 면재를 사용하여 투습 성능을 향상시키는 요업계 사이딩 및 상기 요업계 사이딩을 사용한 건축물의 내진 보강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고안의 상기 목적은 건축물의 벽부에 사용되는 요업계 사이딩으로, 상기 요업계 사이딩이 표면에 부분적으로 도장되어 있는 도장 부분과 비도장 부분을 갖고, 상기 도장 부분이 적어도 못을 박는 장소 또는 비스 고정 장소를 중심으로 하는 소정 영역면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업계 사이딩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본 고안의 상기 목적은 더욱이 건축물의 벽부에 사용되는 요업계 사이딩으로, 상기 요업계 사이딩이 표면에 제 1 도포량으로 이루어지는 제 1 도장 부분과 상기 제 1 도포량보다도 적은 도포량으로 이루어지는 제 2 도장 부분이 부분적 으로 도장되어 있고, 상기 제 1 도장 부분이 적어도 못을 박는 장소 또는 비스 고정 장소를 중심으로 하는 소정 영역면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업계 사이딩에 의해 더욱 효과적으로 달성된다.
또한, 본 고안의 상기 목적은 더욱이 상기 요업계 사이딩의 표면에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오목부의 바닥면에 상기 비도장 부분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업계 사이딩에 의해 더욱 효과적으로 달성된다.
또한, 본 고안의 상기 목적은 더욱이 상기 요업계 사이딩의 표면에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오목부의 바닥면에, 상기 제 2 도장 부분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업계 사이딩에 의해 더욱 효과적으로 달성된다.
또한, 본 고안의 상기 목적은 더욱이 상기 요업계 사이딩의 표면에 볼록부와 오목부가 부분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볼록부 및 오목부의 측면을 형성하는 측면 부분에 상기 비도장 부분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업계 사이딩에 의해 더욱 효과적으로 달성된다.
또한, 본 고안의 상기 목적은 더욱이 상기 요업계 사이딩의 표면에 볼록부와 오목부가 부분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볼록부 및 오목부의 측면을 형성하는 측면 부분에 상기 제 2 도장 부분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업계 사이딩에 의해 더욱 효과적으로 달성된다.
또한, 본 고안의 상기 목적은 상기 도장 부분의 투습 저항치가 2.67㎡·h·kPa/g 내지 6.67㎡·h·kPa/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업계 사이딩에 의해 더욱 효과적으로 달성된다.
또한, 본 고안의 상기 목적은 상기 제 1 도장 부분의 투습 저항치가 2.67㎡·h·kPa/g 내지 6.67㎡·h·kPa/g이고, 상기 제 2 도장 부분의 투습 저항치가 제 1 도장 부분의 저항치보다도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업계 사이딩에 의해 더욱 효과적으로 달성된다.
또한, 본 고안의 상기 목적은 상기 요업계 사이딩이 세로 폭 2400mm 이상 3100mm 이하, 가로 폭 910mm 이상 2000mm 이하의 치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업계 사이딩에 의해 더욱 효과적으로 달성된다.
또한, 본 고안의 상기 목적은 좌우에 대향 배치된 한 쌍의 기둥과 각 기둥에 접합된 상단 횡가재와 하단 횡가재로 이루어지는 구조 구체의 상단 횡가재와 하단 횡가재 그리고 각 기둥의 전면(前面)에 요업계 사이딩이 접촉되고, 상단 횡가재와 하단 횡가재 그리고 각 기둥의 전면에 30mm 이상 200mm 이하의 소정의 간격으로 그 접촉 부분에 못 또는 비스로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내진 보강 구조에 의해 더욱 효과적으로 달성된다.
또한, 본 고안의 상기 목적은 좌우에 대향 배치된 한 쌍의 기둥과 각 기둥에 접합된 상단 횡가재와 하단 횡가재로 이루어지는 구조 구체에서 상단 횡가재 또는 하단 횡가재와 각 기둥과의 접합부 또는 이들 부재간이 접합 철물 또는 보강 철물로 결합되고, 또한, 접촉되는 상기 요업계 사이딩과 간섭하지 않는 위치에 상기 접합 철물 또는 보강 철물이 결합되어 있거나, 또는, 상기 접합 철물 또는 보강 철물이 상기 요업계 사이딩과 간섭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상단 횡가재 또는 하단 횡가재, 각 기둥에 상기 접합 철물 또는 보강 철물의 형상 및 두께에 상당하는 부분 이 스폿 페이싱(spot facing)되어 있고, 상기 스폿 페이싱 부분에 접합 철물 또는 보강 철물이 넣어져 결합되어 있는 구조 구체에 요업계 사이딩이 접촉되고, 상단 횡가재와 하단 횡가재 그리고 각 기둥의 전면에 30mm 이상 200mm 이하의 소정의 간격으로 그 접촉 부분에 못 또는 비스로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내진 보강 구조에 의해 더욱 효과적으로 달성된다.
고안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도 1 내지 도 14에 따라서 본 고안의 적절한 실시형태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1, 도 4 내지 도 13d는 본 고안의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요업계 사이딩을, 도 2 및 도 3은 이 요업계 사이딩을 사용한 건축물의 내진 보강 구조를 각각 도시한다.
도 14는 종래의 내력벽(비교예)을 도시한다.
[실시예 1]
본 고안의 실시예 1은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면(前面)에 부분적으로 도장이 실시된 건축용 면재인 요업계 사이딩(9; 이하, 판(9))으로 구성된다. 부분적으로 도장되어 있는 도장 부분(11)의 못을 박는 장소(95)에 한해서 못(4)이 박힌다(후술한다). 또한, 부분적으로 도장되어 있는 도장 부분(11) 이외의 전면에는 비도장 부분(12)을 설치하고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 1은 도 2,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단 횡가재(1), 하단 횡가재(2), 기둥(7), 간주(8)로 구성되는 구조 구체(5)에 대하여 판(9)이 세로로 뻗은 상태로 붙여져 있다. 여기에서는, 기둥(7)의 간격에 맞추어 판(9)의 좌단 부(91) 및 우단부(92)가 기둥(7)의 전면에 접촉하도록 판(9)의 치수를 설정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상단 횡가재(1)와 하단 횡가재(2)의 간격에 맞추어, 판(9)의 상단부(93) 및 하단부(94)가 각각 상단 횡가재(1)와 하단 횡가재(2)의 전면에 접촉하도록 판(9)의 치수를 설정하고 있다.
판의 부착에 있어서는 판(9)의 하단부(94)를 하단 횡가재(2)의 전면에 접촉하고, 못(4)을 100mm의 간격으로 판(9)의 하측 변을 따라 그 단변 방향에 박아 판(9)을 고정한다. 또, 상기한 판(9)의 좌단부(91), 우단부(92)가 기둥(7)에 접촉하는 장소에 관해서도, 못(4)을 100mm의 간격으로 판(9)의 좌측 변 및 우측 변을 따라 그 장변 방향으로 박아 판(9)을 고정한다. 또한, 이 판(9)에 있어서, 간주(8)에 접촉하고 있는 장소에 관해서는 못(4)을 200mm의 간격으로 판(9)의 장변 방향으로 박아 고정한다. 상단 횡가재(1)에 상단부(93)가 접촉하는 장소에 관해서는 상단 횡가재(1)에 못(4)을 100mm의 간격으로 판(9)의 상측 변을 따라 그 단변 방향으로 박아 판(9)을 고정한다.
부분적으로 도장되어 있는 도장 부분(11)은 구조 구체(5)를 구성하는 상단 횡가재(1), 하단 횡가재(2), 기둥(7), 간주(8)에 판(9)이 접촉하는 부분 및 그 주변에만 있다. 부분적으로 도장되어 있는 도장 부분(11)의 못을 박는 장소(95)에 관해서만 못(4)을 소정의 간격으로 박아 판(9)을 고정한다.
[실시예 2]
본 고안의 실시예 2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면에 제 1 도포량으로 이루어지는 제 1 도장 부분(13)과 제 1 도포량보다도 적은 도포량으로 이루어지는 제 2 도장 부분(14)을 설치한 판(9)으로 구성된다. 제 1 도포량으로 이루어지는 제 1 도장 부분(13)에 한해서 못(4)이 박힌다. 기타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였다.
여기에서, 종래예나 본 고안의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실시예 1, 실시예 2에 있어서 사용하는 못(4)은 몸통부 직경 2.75mm, 길이 50mm이고 몸통부의 형상이 원활하다. 그리고, 각 실시예에 있어서, 판(9)을 상단 횡가재(1) 및 하단 횡가재(2) 및 기둥(7)에 박는 못(4)의 간격 100mm를 30mm 간격보다 작게 하면 판의 깨어짐이 발생하기 때문에, 30mm 이상의 간격으로 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못(4)의 간격 100mm를 200mm 간격보다 크게 하면 내력이 저하되기 때문에, 200mm 이하의 간격으로 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같은 이유로, 판(9)을 간주(8)에 고정하는 못(4)의 간격 200mm에 관해서는, 30mm 이상의 간격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200mm 간격을 200mm 간격보다 크게 하면 판의 면외 방향으로 휘어지거나 뜨는 것 등이 발생하여, 내력을 발현시키는 데는 바람직하지 못하기 때문에, 200mm 이하의 간격으로 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하단 횡가재는, 구조 구체의 1층 부분에 있어서는 토대에 상당하고, 2층 이상의 부분에 있어서는 중인방(girth)·들보·횡목(橫木)에 상당한다. 또한, 상단 횡가재는 구조 구체의 1층 이상의 부분에 있어서는 중인방·들보·횡목에 상당한다.
[실시예 3]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 3은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못을 박는 장소(95) 에 원형으로 부분적으로 도장되어 있는 도장 부분(11)을 설치하고, 그 이외의 전면의 범위에 비도장 부분(12)을 설치한 예이다.
이 경우도, 각 판(9)의 못(4)의 위치는 실시예 1, 실시예 2와 동일하게 하고 있지만(도시하지 않음), 실시예 1과 비교하여 전체적으로 도장되는 부분의 면적이 작아지기 때문에, 따라서 투습 저항은 작아지는(투습 성능이 오르는) 경향이 있다. 바꿔 말하면, 실시예 3은 비교예와 비교하여 투습 저항이 작아지는(투습 성능이 오르는) 경향이 있다.
[실시예 4]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 4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못을 박는 장소(95)에 원형으로 제 1 도포량으로 이루어지는 제 1 도장 부분(13)을 설치하고, 그 이외의 전면의 범위에 제 1 도포량보다도 적은 도포량으로 이루어지는 제 2 도장 부분(14)을 설치한 예이다. 이 실시예 4에서는 실시예 3에서 개시한 비도장 부분(12)의 범위에 제 1 도포량보다도 적은 도포량으로 이루어지는 제 2 도장 부분(14)을 설치하고 있다. 제 1 도포량으로 이루어지는 제 1 도장 부분(13)의 범위는 실시예 3의 부분적으로 도장되어 있는 도장 부분(11)과 동일하게 하고 있다.
이 경우도, 각 판(9)의 못(4)의 위치는 실시예 1, 실시예 2와 동일하게 하고 있지만(도시하지 않음), 실시예 2의 부분적으로 도장되어 있는 도장 부분(11)과 비교하여 제 1 도포량으로 이루어지는 제 1 도장 부분(13)의 면적이 작아지기 때문에, 더욱 투습 저항은 작아지는(투습 성능이 오르는) 경향이 있다. 바꿔 말하면, 실시예 4는, 비교예와 비교하여, 투습 저항이 작아지는(투습 성능이 오르는) 경향 이 있다.
[실시예 5]
본 고안의 실시예 5는 도 7a 내지 7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시예 1과 비교하여, 부분적으로 도장되어 있는 도장 부분(11)의 범위를 크게 하고, 비도장 부분(12)의 범위를 작게 한 것이다. 실시예 5는, 실시예 1과 비교하여, 투습 저항이 커지는 경향이 있지만, 실시예 1과 같은 개선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예 6]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 6은 도 8a 내지 8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시예 2와 비교하여, 제 1 도포량으로 이루어지는 제 1 도장 부분(13)의 범위를 크게 하고, 제 1 도포량보다도 적은 도포량으로 이루어지는 제 2 도장 부분(14)의 범위를 작게 한 것이다. 실시예 6은, 실시예 2와 비교하여, 투습 저항이 커지는 경향이 있지만, 실시예 2와 같은 개선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예 7, 실시예 8]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 7 및 실시예 8은 도 9a 및 도 9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실시예 2와 비교하여, 부분적으로 도장되어 있는 도장 부분(11) 및 제 1 도포량으로 이루어지는 제 1 도장 부분(13)을 판(9)의 상단부(93), 판(9)의 하단부(94)에 있어서 판(9)의 장변 방향으로 각각 확대하고 있다. 이들은 건축 공사 현장에서 상단 횡가재(1)와 하단 횡가재(2)의 간격에 맞추게 한 판(9)의 절단·고정을 고려하여, 못을 박는 장소(95)가 부분적으로 도장되어 있는 도장 부분(11) 및 제 1 도포량으로 이루어지는 제 1 도장 부분(13)에 확실에 대응하도록, 부분적으로 도장되어 있는 도장 부분(11) 및 제 1 도포량으로 이루어지는 제 1 도장 부분(13)의 면적을 확대한 것이다. 실시예 7 및 실시예 8은 각각 실시예 1, 실시예 2와 같은 투습 성능의 개선 효과가 있고, 더구나, 시공 부위나 간격에 따른 판의 절단을 임의 위치에서 할 수 있는 시공 유연성이 있어, 부분적으로 도장되어 있는 도장 부분(11) 및 제 1 도포량으로 이루어지는 제 1 도장 부분(13) 이외의 부분으로 못이 박힌다고 하는 시공 불량을 저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실시예 9]
본 고안의 실시예 9는 도 10a 내지 도 10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판의 표면에 다수의 오목부(20)를 설치하고, 또, 표면에 부분적으로 도장되어 있는 도장 부분(11)을 설치함과 함께, 오목부(20)의 바닥면(22) 및 측면(23; 사면)에 비도장 부분(12)을 설치한다. 판의 고정 방법은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고 있다(도시하지 않음). 이 오목부(20)를 설치함으로써, 측면(23; 사면)에 비도장 부분(12)이 늘어나 투습 성능이 향상된다.
[실시예 10]
본 고안의 실시예 10은 도 11a 내지 도 11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판의 표면에 실시예 9와 같은 다수의 오목부(20)를 설치하고, 또한, 표면에 제 1 도포량으로 이루어지는 제 1 도장 부분(13)을 설치함과 함께 오목부(20)의 바닥면(22) 및 측면(23; 사면)에 제 1 도포량보다도 적은 도포량으로 이루어지는 제 2 도장 부분(14)을 설치한다. 판의 고정 방법은 실시예 2와 동일하게 하고 있다(도시하지 않음). 이 오목부(20)를 설치함으로써, 측면(23; 사면)에 제 1 도포량보다도 적은 도포량으로 이루어지는 제 2 도장 부분(14)이 늘어나 투습 성능이 향상된다.
[실시예 11]
본 고안의 실시예 11은 도 12a 내지 도 12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판의 표면에 다수의 볼록부(21)를 설치하고, 또, 볼록부(21)의 상측면에 부분적으로 도장되어 있는 도장 부분(11)을 설치함과 함께, 볼록부(21)의 상측면 이외에는 비도장 부분(12)을 설치한다. 판의 고정 방법은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고 있다(도시하지 않음). 이 볼록부(21)를 설치함으로써, 측면(23; 사면)에 비도장 부분(12)이 늘어나 투습 성능이 향상된다.
[실시예 12]
본 고안의 실시예 12는 도 13a 내지 도 13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판의 표면에 다수의 볼록부(21)를 설치하고, 또한, 볼록부(21)의 상측면에 제 1 도포량으로 이루어지는 제 1 도장 부분(13)을 설치함과 함께 볼록부(21)의 상측면 이외에는 제 1 도포량보다도 적은 도포량으로 이루어지는 제 2 도장 부분(14)을 설치한다. 판의 고정 방법은 실시예 2와 동일하게 하고 있다(도시하지 않음). 이 볼록부(21)를 설치함으로써, 측면(23; 사면)에 제 1 도포량보다도 적은 도포량으로 이루어지는 제 2 도장 부분(14)이 늘어나 투습 성능이 향상된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지만, 접합 철물 또는 보강 철물을 사용하여 구조 구체를 구성하는 형태도 있다. 이 경우도, 실시예 1로부터 실시예 12를 적용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접합 철물 또는 보강 철물이 내진 보강 철물로서의 기능을 갖 고, 구조 구체가 내력벽 구조의 성능을 갖는 경우에, 이들 실시예 1로부터 실시예 12를 적용하여 복합 내력벽으로서 구성할 수도 있다.
이어서, 본 고안의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요업계 사이딩 및 상기 요업계 사이딩을 사용한 건축물의 내진 보강 구조(실시예 1·실시예 2)와 종래의 요업계 사이딩 및 그것을 사용한 내력벽 구조(비교예)에 관해서, 각각의 비교를 하기 위해서 시험을 한 결과를 표 1로부터 표 5에 나타낸다.
<투습 성능에 관한 시험 방법>
일본 공업 규격 JIS A 1324 건축재료의 투습성 측정 방법(Measuring method of water vapor permeance for building materials)에 기재되는 컵법에 준한 시험 방법에 의한다. 또, 투습 성능에 관한 시험은, 벽 구조의 실체가 아니라, 시료편에 의한 것이다.
<기본 시험>
Figure 112006077403595-UTM00001
표 1 : 투습 성능의 기본 시험의 시험체와 시험 결과
<비교 시험체>
Figure 112006077403595-UTM00002
표 2 : 투습 성능의 비교 실험체의 개요
<투습 성능의 비교 시험 결과>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종례예)
투습 저항치 (㎡·h·kPa/g) (()는㎡·h·mmHg/g) 0.85 (6.4) 1.93 (14.5) 3.31 (24.8)
결과 가장 양호 양호 -
비고 : 투습 저항치는 값이 작을 수록 투습 성능은 양호
표 3 : 투습 성능의 비교 시험 결과
<내력벽의 내력에 관한 시험 방법>
건축 기준법(The Building Standard Low) 제77조의 56 및 건축 기준법에 근거하는 지정 자격 검정 기관 등에 관한 성령(The Ministerial Order Concerning Designated Qualifying Examination Body and Others based on the Building Standard Law) 제71조의 2에 정하는 지정 성능 평가 기관(designated performance evaluation organization)이 공표하는 『목조 내력벽 및 그 배율의 시험·평가 업무 방법서』에 기초하는 건축 기준법 시행령(The Building Standard Law Enforcement Order) 제46조 제4항 표 1의 (8)항의 규정에 근거하는 인정에 관계되는 시험 방법을 기본으로 한 시험 방법에 대략 상당한다.
1. 일본 공업 규격. (1994). JIS A 1414 건축 구조의 패널 성능 시험 방법. (6. 14).
2. ASTM E564-95. (1995). 건축의 프레임 벽의 전단 저항에 대한 정적 부하 시험의 기준 방법. 재료 및 시험을 위한 미국 학회.
3. ASTM E72-02. (2002). 건축 구조의 패널 강도 시험을 수행하기 위한 기준 방법. 재료 및 시험을 위한 미국 학회.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종래예)
뼈대재의 치수 폭 1.820mm×높이 2,730mm
뼈대재의 재질 상단 횡가재 미송 하단 횡가재, 기둥, 간주 삼목
뼈대재의 부재 치수 상단 횡가재 180mm×105mm 하단 횡가재 105mm×105mm 기둥 105mm×105mm 간주 105mm×45mm
구조용 면재 요업계 사이딩 두께 9mm
단변 910mm×장변 2730mm
아크릴에멀전 도장
도장 사양 ·부분적으로 도장되어 있는 도장 부분 … 투습 저항치 3.31㎡·h·kPa/g ·비도장 부분 … 투습 저항치 0.56㎡·h·kPa/g 도장 사양: 제 1 도포량으로 이루어지는 제 1 도장 부분 … 투습 저항치 3.31㎡·h·kPa/g ·제 1 도포량보다도 적은 도포량으로 이루어지는 제 2 도장 부분 … 투습 저항치 1.49㎡·h·kPa/g 도장 사양: 전면의 표면 전체면에 도장 … 투습 저항치 3.31㎡·h·kPa/g
못 고정 간격 · 판의 좌단부·우단부 기둥으로 100mm 간격 · 판의 중앙부 간주로 200mm 간격 · 판의 하단부 하단 횡가재로 100mm 간격 · 판의 상단부 상단 횡가재로 100mm 간격
몸통부 직경 2.75mm×길이 50mm (몸통부 형상 : 원활)
표 4 : 시험체 개요
<내력벽의 내력에 관한 시험 결과>
내력(kN)
변형각(rad)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종래예)
1/450 7.25 8.35 7.80
1/300 9.15 10.75 9.80
1/200 11.85 13.80 12.75
1/150 13.70 15.60 14.55
1/100 16.95 19.30 17.80
1/75 19.05 21.25 19.75
1/50 22.35 24.05 23.45
표 5:실시예 1과 실시예 2, 비교예의 「하중-변형각 데이터」
<시험 결과>
투습 성능의 비교 시험 결과로부터, 실시예 1, 실시예 2는 비교예와 비교하여 투습 성능이 개선되었다. 또한, 내력벽의 내력에 관한 시험 결과로부터, 실시예 1, 실시예 2와 비교예의 내력은 동등하고, 실시예 1과 같이 비도장 부분이 있어도, 또한, 실시예 2와 같이 도료의 도포량이 적은 도장 부분이 있어도 충분한 내력을 얻을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요업계 사이딩 1장에 도장을 부분적으로 실시하고, 부분적으로 도장되어 있는 도장 부분을 설치하여 전체의 도장 면적을 작게 하여도 실시예 1은 뛰어난 내진 성능을 가지면서 투습 성능을 향상시키는 요업계 사이딩 및 상기 요업계 사이딩을 사용한 건축물의 내진 보강 구조를 실현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 1 도포량으로 이루어지는 제 1 도장 부분과 제 1 도포량보다도 적은 도포량으로 이루어지는 제 2 도장 부분의 두개를 설치하여도, 실시예 2는 뛰어난 내진 성능을 가지면서 투습 성능을 향상시키는 요업계 사이딩 및 상기 요업계 사이딩을 사용한 건축물의 내진 보강 구조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요업계 사이딩 및 상기 요업계 사이딩을 사용한 건축물의 내진 보강 구조에 있어서의 구조 구체에 관해서는 상술된 바와 같이 뼈대 구조법을 주로 설명을 하였지만, 이외의 구조법, 예를 들면 플랫폼 우드 프레임 구조법이나 환태조(丸太組) 구조법에 관해서도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 있다.
본 고안의 건축물의 내진 보강 구조에 있어서의 구조 구체에는, 또한, 본 고안의 요업계 사이딩 및 상기 요업계 사이딩을 사용한 건출물의 내진 보강 구조에 있어서의 구조구체에는 기둥과 간주의 간격을 16인치(약 406.4mm)·20인치(약 508.0mm)·24인치(약 609.6mm)로 하는 인치 모듈이나, 동 500mm으로 하는 미터 모듈, 동 1.5척(약 455mm)으로 하는 척 모듈 등의 기준 치수법에 근거하는 구법·구조가 있다.
이들의 구체에 대해서 요업계 사이딩을 세로로 뻗게 시공하는 경우, 인치 모듈일 때, 판의 사이즈를 가로 폭 1219.2mm(4ft, 또는 48인치) 이상, 1828.8mm(6ft, 또는 72인치) 이하, 또는 미터 모듈일 때, 가로 폭 1000mm 이상, 2000mm 이하, 또는 척 모듈일 때, 가로 폭 910mm 이상, 1820mm 이하로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치 모듈의 경우, 폭이 1219.2mm(4ft, 또는 48인치), 높이가 2438.4mm(8ft, 또는 96인치)의 구조구체에, 가로 폭 1219.2mm(4ft, 또는 48인치)·세로 폭 3048mm(10ft, 또는 120인치)의 판을 설치할 때, 세로 폭 2438.4mm로 절단한 판을 사용하면 좋다.
미터 모듈의 경우, 폭이 2000mm, 높이가 3000mm의 구조구체에, 예를 들면 가로 폭 1000mm·세로 폭 3100mm의 판을 설치할 때, 세로 폭 3000mm로 절단한 2장의 판을 사용하면 좋다.
마찬가지로 척 모듈의 경우, 폭이 1820mm(6척), 높이가 2727mm(9척)의 구조구체에, 가로 폭 910mm(3척)·세로 폭 3030mm(10척)의 판을 설치할 때, 세로폭 2727mm(9척)로 절단한 2장의 판을 사용하면 좋다.
또, 판의 두께는 9mm 이상이 바람직하지만, 두께가 9mm 미만이어도 요구되는 내력벽의 내력에 따라서 두께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판의 표면 도장은 요업계 사이딩에 적합한 것이면 어떠한 것이어도 좋다. 예를 들면, 아크릴우레탄계 수지 도장, 아크릴계 수지 도장, 아크릴실리콘 수지 도장, 불소계 수지 도장, 에폭시계 수지 도장, 무기질계 도장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이어도 좋다. 또한, 마찬가지로, 각종 실러 도장뿐이어도 좋다. 또한, 각종 실러 도장과 상기 도장의 조합이어도 좋다. 또, 수회로 나누어 거듭 도장을 하여 복수의 도막을 형성하여도 좋다.
또한, 부분적으로 도장되어 있는 도장 부분 및 제 1 도포량으로 이루어지는 제 1 도장 부분의 투습 저항치는 2.67㎡·h·kPa/g 내지 6.67㎡·h·kPa/g이 바람직하지만, 6.67㎡·h·kPa/g을 넘는 수치이어도 좋다. 이 경우, 구조용 면재의 장기적 강도의 저하, 내력벽의 장기적 내력의 저하의 폭을 더욱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반대로, 요구되는 내력벽의 장기적 성능이 높지 않은 설계 목표의 경우에는 부분적으로 도장되어 있는 도장 부분 및 제 1 도포량으로 이루어지는 제 1 도장 부분의 투습 저항치를 2.67㎡·h·kPa/g보다도 작게 할 수도 있다.
또, 제 1 도포량보다도 적은 도포량으로 이루어지는 제 2 도장 부분의 투습 저항치는 제 1 도포량으로 이루어지는 제 1 도장 부분의 투습 저항치보다도 작은 것이 바람직하지만, 제 1 도포량보다도 적은 도포량으로 이루어지는 제 2 도장 부분의 투습 저항치가 작을 수록 투습 성능을 개선하는 효과가 높기 때문에, 제 1 도포량보다도 적은 도포량으로 이루어지는 제 2 도장 부분의 투습 저항치와 제 1 도포량으로 이루어지는 제 1 도장 부분의 저항치의 차를 크게 설정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부분적으로 도장되어 있는 도장 부분 및 제 1 도포량으로 이루어지는 제 1 도장 부분은 못을 박는 장소·비스 고정 장소를 중심으로 하는 반경 30mm의 원형의 영역면 이상이면 좋다.
이 반경 30mm의 원은, 못·비스 등의 패스너(fastener)가 판에 전달하는 응력의 영향범위를 나타내고 있다. 가령, 부분적으로 도장되어 있는 도장 부분 및 제 1 도포량으로 이루어지는 제 1 도장 부분이 이 반경 30mm보다 작은 범위이면, 판의 못을 박는 장소·비스 고정 장소의 내력이 감소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반경 30mm 이상이 바람직하다. 또, 내력벽의 내력을 더욱 향상시키는 경우에는, 이 반경 30mm를 더욱 큰 수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반대로, 요구되는 내력벽의 성능이 높지 않은 설계 목표의 경우에는, 이 반경 30mm를 이것보다 작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실시예 9로부터 실시예 11에서 개시한 상기 오목부 및 상기 오목부나 볼록부의 단면 형상은 뿔부(角部)에 모떼기 가공을 실시하여도 좋고, 또한, 단면을 구성하는 선은 직선이 조합에 한정되지 않고 곡선이나 자유곡선 등이어도 좋다. 또한 오목부나 볼록부의 고저(깊이) 치수는 0.5mm 이상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오목부 및 상기 오목부나 볼록부의 평면 형상(정면 형상)은 직선, 곡선, 자유곡선, 원형, 타원형, 삼각형 이상의 다각형, 기하학 모양, 기호, 문자, 등 어떠한 형상, 또는 이들의 조합이어도 좋다. 그리고, 상기 오목부 및 상기 오목부나 볼록부의 평면 치수(정면 치수)는 직경 1mm 이상이면 좋다. 및, 판의 표면 및 오목부의 바닥면·측면(사면)에 더욱 작은 요철이나 홈을 설치하여도 좋다. 일례를 들면, 판에 벽돌 모양의 볼록부를 설치하고, 이 볼록부에 미세한 오목부를 설치하고, 또, 오목부(벽돌과 벽돌의 사이의 줄눈부)에 모르타르 모양의 미세한 요철을 설치하는 경우 등이 있다.
마찬가지로, 판의 표면에 오목부나 볼록부를 설치하지 않는 경우, 비도장 부분이나 제 1 도포량보다도 적은 도포량으로 이루어지는 제 2 도장 부분의 평면 형상(정면 형상)도 직선, 곡선, 자유곡선, 원형, 타원형, 삼각형 이상의 다각형, 기하학 모양, 기호, 문자, 등 어떠한 형상의 것, 또는 이들의 조합이어도 좋다. 그리고, 평면 치수(정면 치수)는 직경 1mm 이상이면 좋다.
또한, 판의 도장에 관해서는, 롤 코터 등으로 면형·선형·얼룩형으로 도장면을 구성하여도 좋고, 마찬가지로, 스퍼터 도장이나 잉크젯 도장, 정전(靜電) 도장 등으로 미세한 점형의 도장을 실시하여 부분적으로 도장되어 있는 도장 부분·비도장 부분, 제 1 도포량으로 이루어지는 제 1 도장 부분, 제 1 도포량보다도 적은 도포량으로 이루어지는 제 2 도장 부분을 구성하여도 좋다.
또한, 제 1 도포량보다도 적은 도포량으로 이루어지는 제 2 도장 부분은 통상의 도장면에 대하여 샌드블라스트(sand blast) 처리 등에 의해서 미세한 무도장 부분을 형성함으로써 제 1 도포량보다도 적은 도포량으로 이루어지는 제 2 도장 부분과 동등한 투습 저항치를 갖는 도장 표면을 얻는 것이어도 좋다.
또한, 충분한 투습 성능을 확보하기 위해 판의 표면에 오목부나 볼록부를 설치하거나 설치하지 않는 것에 관계 없이 비도장 부분이나 제 1 도포량보다도 적은 도포량으로 이루어지는 제 2 도장 부분을 다수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요구되는 투습 성능이나 미관에 따라서 이들의 수나 면적을 설정하여도 좋다.
또, 요업계 사이딩은 판의 설치면에 관해서 외벽측, 내벽측에 상관 없다. 내력벽 구조의 내구성을 더욱 확보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외벽에 있어서 판의 표면측에 마무리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판의 단부 소구(小口)에 모떼기 가공을 실시하여도 좋고, 또한, 판끼리의 접합 부분의 형상은 맞댐(butt), 반턱(sliplap), 그루브 조인트(groove joint)의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이어도 좋다. 일례로서, 판을 내장으로 사용하는 경우, 모떼기 가공을 실시한 판의 소구끼리를 맞대어 접합 줄눈을 만들고, 이 줄눈에 퍼티(putty) 등의 충전재를 칠하여 무줄눈 처리를 실시하는 구성을 들 수 있다.
또, 판을 외벽측에 시공하는 경우, 판의 형상·치수에 맞추어 판의 외측 표면에 미리 규격 형상·치수의 투습 방수 시트(일례: 듀퐁사제 타이벡 등)가 접착되어 있어도 좋다. 또, 판끼리의 좌우 접합부·상하 접합부에서, 투습 방수 시트는 서로 중첩할 수 있도록 한쪽의 변이 판보다 조금 밀려 나오는 형상의 겹침 값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공사현장에서 투습 방수 시트를 접착하는 작업의 공정수를 저감할 수 있다.
게다가, 판의 상하좌우의 단부에 있어서, 판에 박히는 못 또는 비스의 단(끝) 천공·가장자리 천공 거리가 15mm 미만이면 판의 깨어짐이 발생하기 때문에, 15mm 이상의 단 천공·가장자리 천공 거리를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못은 JIS A 5508에 규정되는 스테인레스강 못으로, 몸통부 직경 2.75mm 이상, 길이 50mm 이상으로 몸통부의 형상이 원활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관해서도 판의 두께와 마찬가지로, 요구되는 내진 성능에 따라서 상기 규격의 철의 둥근 못·석고보드용 못 등을 설정하는 것이나, 몸통부 직경·길이·몸통부의 형상 등을 설정할 수 있다.
및, 비스를 사용하여 판을 고정하는 경우, 비스는 JIS B 1122에 규정되는 십자구멍이 있는 접시머리 태핑 나사(Cross recessed countersunk head tapping screws)이고 직경 3mm 이상, 길이 30mm 이상인 것, 또는 코스 스레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도 상기와 같이 요구되는 내진 성능에 따라서 석고보드용 비스나 경천(輕天) 태핑 비스 등을 설정하는 것이나, 직경·길이 등의 치수 형상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비스의 시공시에, 판의 단부가 깨어지는 것을 막기 위해 판에 미리 비스의 직경과 같은 직경 또는 약간 작은 직경의 선공(先孔)을 천공하여 전동 드라이버 등의 전동공구를 사용하여 판이 깨어지지 않도록, 이 선공에 비스를 밀어 넣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요업계 사이딩 및 상기 요업계 사이딩을 사용한 건축물의 내진 보 강 구조에 의하면, 관통 구멍형의 통기 구멍을 설치하지 않고 구조용 면재의 투습 성능을 개선하고, 더구나 내력벽으로서의 양호한 효과를 발휘시킬 수 있다. 그리고, 요업계 사이딩은 불연재 또는 준불연재이기 때문에, 구조 구체의 방화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해져, 목재와 같이 부패되지 않기 때문에, 장기에 걸쳐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관계되는 요업계 사이딩 및 상기 요업계 사이딩을 사용한 건축물의 내진 보강 구조에 의하면, 구조용 면재의 투습 성능을 높일 수 있고, 또한 벽체 내의 결로의 방지, 내진성, 방화성, 내구성(내부패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그 유용성은 대단히 높다.

Claims (36)

  1. 건축물의 벽부에 사용되는 요업계 사이딩으로,
    상기 요업계 사이딩은 표면에 부분적으로 도장되어 있는 도장 부분과 비도장 부분을 가지며, 상기 도장 부분은 적어도 못 박는 장소 또는 피스 고정 장소를 중심으로 하는 소정 영역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업계 사이딩.
  2. 건축물의 벽부에 사용되는 요업계 사이딩으로,
    상기 요업계 사이딩은 표면에 제 1 도포량으로 이루어지는 제 1 도장 부분과 상기 제 1 도포량보다도 적은 도포량으로 이루어지는 제 2 도장 부분이 부분적으로 도장되며, 상기 제 1 도장 부분은 적어도 못을 박는 장소 또는 비스 고정 장소를 중심으로 하는 소정 영역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업계 사이딩.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요업계 사이딩의 표면에는 오목부가 추가로 형성되며, 상기 오목부의 바닥면에는 상기 비도장 부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업계 사이딩.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요업계 사이딩의 표면에는 오목부가 추가로 형성되며, 상기 오목부의 바닥면에는 상기 제 2 도장 부분이 추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업계 사이딩.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요업계 사이딩의 표면에는 볼록부와 오목부가 추가로 부분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볼록부 및 오목부의 측면을 형성하는 측면 부분에는 추가로 상기 비도장 부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업계 사이딩.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요업계 사이딩의 표면에는 볼록부와 오목부가 추가로 부분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볼록부 및 오목부의 측면을 형성하는 측면 부분에는 상기 제 2 도장 부분이 추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업계 사이딩.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장 부분의 투습 저항치는 2.67㎡·h·kPa/g 내지 6.67㎡·h·kPa/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업계 사이딩.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요업계 사이딩의 표면에는 오목부가 추가로 형성되며, 상기 오목부의 바닥면에는 상기 비도장 부분이 형성되고, 상기 도장 부분의 투습 저항치는 2.67㎡·h·kPa/g 내지 6.67㎡·h·kPa/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업계 사이딩.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요업계 사이딩의 표면에는 볼록부와 오목부가 추가로 부분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볼록부 및 오목부의 측면을 형성하는 측면 부분에는 상기 비도장 부분이 추가로 형성되고, 상기 도장 부분의 투습 저항치는 2.67㎡·h ·kPa/g 내지 6.67㎡·h·kPa/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업계 사이딩.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장 부분의 투습 저항치는 2.67㎡·h·kPa/g 내지 6.67㎡·h·kPa/g이고, 상기 제 2 도장 부분의 투습 저항치는 제 1 도장 부분의 저항치보다도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업계 사이딩.
  11.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요업계 사이딩의 표면에는 오목부가 추가로 형성되며, 상기 오목부의 바닥면에는 상기 제 2 도장 부분이 추가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도장 부분의 투습 저항치는 2.67㎡·h·kPa/g 내지 6.67㎡·h·kPa/g이고, 상기 제 2 도장 부분의 투습 저항치는 제 1 도장 부분의 저항치보다도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업계 사이딩.
  12.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요업계 사이딩의 표면에는 볼록부와 오목부가 추가로 부분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볼록부 및 오목부의 측면을 형성하는 측면 부분에는 상기 제 2 도장 부분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도장 부분의 투습 저항치는 2.67㎡·h·kPa/g 내지 6.67㎡·h·kPa/g이고, 상기 제 2 도장 부분의 투습 저항치는 제 1 도장 부분의 저항치다도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업계 사이딩.
  13. 건축물의 벽부에 사용되는 요업계 사이딩으로,
    상기 요업계 사이딩은 표면에 부분적으로 도장되어 있는 도장 부분과 비도장 부분을 가지며, 상기 도장 부분은 적어도 못을 박는 장소 또는 피스 고정 장소를 중심으로 하는 소정 영역면을 포함하며, 또한, 세로 폭 2400mm 이상 3100mm 이하, 가로 폭 910mm 이상 2000mm 이하의 치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업계 사이딩.
  14. 건축물의 벽부에 사용되는 요업계 사이딩으로,
    상기 요업계 사이딩은 표면에 제 1 도포량으로 이루어지는 제 1 도장 부분과 상기 제 1 도포량보다도 적은 도포량으로 이루어지는 제 2 도장 부분이 부분적으로 도장되며, 상기 제 1 도장 부분은 적어도 못을 박는 장소 또는 비스 고정 장소를 중심으로 하는 소정 영역면을 포함하며, 또한, 세로 폭 2400mm 이상 3100mm 이하, 가로 폭 910mm 이상 2000mm 이하의 치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업계 사이딩.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요업계 사이딩의 표면에는 오목부가 추가로 형성되며, 상기 오목부의 바닥면에는 상기 비도장 부분이 추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업계 사이딩.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요업계 사이딩의 표면에는 오목부가 추가로 형성되며, 상기 오목부의 바닥면에는 상기 제 2 도장 부분이 추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업계 사이딩.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요업계 사이딩의 표면에는 볼록부와 오목부가 추가 로 부분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볼록부 및 오목부의 측면을 형성하는 측면 부분에는 상기 비도장 부분이 추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업계 사이딩.
  18.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요업계 사이딩의 표면에는 볼록부와 오목부가 추가로 부분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볼록부 및 오목부의 측면을 형성하는 측면 부분에는 상기 제 2 도장 부분이 추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업계 사이딩.
  19.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도장 부분의 투습 저항치는 2.67㎡·h·kPa/g 내지 6.67㎡·h·kPa/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업계 사이딩.
  20.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요업계 사이딩의 표면에는 오목부가 추가로 형성되며, 상기 오목부의 바닥면에는 상기 비도장 부분이 형성되고, 상기 도장 부분의 투습 저항치는 2.67㎡·h·kPa/g 내지 6.67㎡·h·kPa/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업계 사이딩.
  21.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요업계 사이딩의 표면에는 볼록부와 오목부가 추가로 부분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볼록부 및 오목부의 측면을 형성하는 측면 부분에는 상기 비도장 부분이 추가로 형성되고, 상기 도장 부분의 투습 저항치는 2.67㎡·h·kPa/g 내지 6.67㎡·h·kPa/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업계 사이딩.
  22.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장 부분의 투습 저항치는 2.67㎡·h·kPa/g 내지 6.67㎡·h·kPa/g이고, 상기 제 2 도장 부분의 투습 저항치는 제 1 도장 부분의 저항치보다도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업계 사이딩.
  23.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요업계 사이딩의 표면에는 오목부가 추가로 형성되며, 상기 오목부의 바닥면에는 상기 제 2 도장 부분이 추가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도장 부분의 투습 저항치는 2.67㎡·h·kPa/g 내지 6.67㎡·h·kPa/g이고, 상기 제 2 도장 부분의 투습 저항치는 제 1 도장 부분의 저항치보다도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업계 사이딩.
  24.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요업계 사이딩의 표면에는 볼록부와 오목부가 추가로 부분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볼록부 및 오목부의 측면을 형성하는 측면 부분에는 상기 제 2 도장 부분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도장 부분의 투습 저항치는 2.67 ㎡·h·kPa/g 내지 6.67㎡·h·kPa/g이고, 상기 제 2 도장 부분의 투습 저항치는 제 1 도장 부분의 저항치보다도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업계 사이딩.
  25. 좌우에 대향 배치된 한 쌍의 기둥과 각 기둥에 접합된 상단 횡가재와 하단 횡가재로 이루어지는 구조 구체의 상단 횡가재와 하단 횡가재 그리고 각 기둥의 전면에 표면에 부분적으로 도장되어 있는 도장 부분과 비도장 부분을 가지며, 상기 도장 부분은 적어도 못 박는 장소 또는 비스 고정 장소를 중심으로 하는 소정 영역 면을 포함하는 사이딩이 접촉되고,
    상기 상단 횡가재와 하단 횡가재 그리고 각 기둥의 전면에 30mm 이상 200mm 이하의 소정의 간격으로 그 접촉 부분에 못 또는 비스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내진 보강 구조.
  26. 좌우에 대향 배치된 한 쌍의 기둥과 각 기둥에 접합된 상단 횡가재와 하단 횡가재로 이루어지는 구조 구체의 상단 횡가재와 하단 횡가재 그리고 각 기둥의 전면에 표면에 제 1 도포량으로 이루어지는 제 1 도장 부분과 상기 제 1 도포량보다도 적은 도포량으로 이루어지는 제 2 도장 부분이 부분적으로 도장되며, 상기 제 1 도장 부분은 적어도 못을 박는 장소 또는 비스 고정 장소를 중심으로 하는 소정 영역면을 포함하는 요업계 사이딩이 접촉되고,
    상기 상단 횡가재와 하단 횡가재 그리고 각 기둥의 전면에 30mm 이상 200mm 이하의 소정의 간격으로 그 접촉 부분에 못 또는 비스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내진 보강 구조.
  27.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도장 부분의 투습 저항치는 2.67㎡·h·kPa/g 내지 6.67㎡·h·kPa/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내진 보강 구조.
  28.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장 부분의 투습 저항치는 2.67㎡·h·kPa/g 내지 6.67㎡·h·kPa/g이고, 상기 제 2 도장 부분의 투습 저항치는 제 1 도장 부분 의 저항치보다도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내진 보강 구조.
  29.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요업계 사이딩은 세로 폭 2400mm 이상 3100mm 이하, 가로 폭 910mm 이상 2000mm 이하의 치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내진 보강 구조.
  30.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요업계 사이딩은 세로 폭 2400mm 이상 3100mm 이하, 가로 폭 910mm 이상 2000mm 이하의 치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내진 보강 구조.
  31. 좌우에 대향 배치된 한 쌍의 기둥과 각 기둥에 접합된 상단 횡가재와 하단 횡가재로 이루어지는 구조 구체에 있어서,
    상기 상단 횡가재 또는 하단 횡가재와 각 기둥과의 접합부 또는 이들 부재간이 접합 철물 또는 보강 철물로 결합되고, 또한, 접촉되는 상기 요업계 사이딩과 간섭하지 않는 위치에 상기 접합 철물 또는 보강 철물이 결합되거나, 또는, 상기 접합 철물 또는 보강 철물이 상기 요업계 사이딩과 간섭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기 상단 횡가재 또는 하단 횡가재 그리고 각 기둥에 상기 접합 철물 또는 보강 철물의 형상 및 두께에 상당하는 부분이 스폿 페이싱되고, 상기 스폿 페이싱 부분에 접합 철물 또는 보강 철물이 넣어져 결합되는 구조 구체에 표면에 부분적으로 도장되어 있는 도장 부분과 비도장 부분을 가지며, 상기 도장 부분은 적어도 못을 박는 장소 또는 피스 고정 장소를 중심으로 하는 소정 영역면을 포함하는 요업계 사이딩이 접촉되고,
    상기 상단 횡가재와 하단 횡가재 그리고 각 기둥의 전면에 30mm 이상 200mm 이하의 소정의 간격으로 그 접촉 부분에 못 또는 비스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내진 보강 구조.
  32. 좌우에 대향 배치된 한 쌍의 기둥과 각 기둥에 접합된 상단 횡가재와 하단 횡가재로 이루어지는 구조 구체에 있어서,
    상기 상단 횡가재 또는 하단 횡가재와 각 기둥과의 접합부 또는 이들 부재간이 접합 철물 또는 보강 철물로 결합되고, 또한, 접촉되는 상기 요업계 사이딩과 간섭하지 않는 위치에 상기 접합 철물 또는 보강 철물이 결합되어 있거나, 또는, 상기 접합 철물 또는 보강 철물이 상기 요업계 사이딩과 간섭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기 상단 횡가재 또는 하단 횡가재 그리고 각 기둥에 상기 접합 철물 또는 보강 철물의 형상 및 두께에 상당하는 부분이 스폿 페이싱되고, 상기 스폿 페이싱 부분에 접합 철물 또는 보강 철물이 넣어져 결합되는 구조 구체에 표면에 제 1 도포량으로 이루어지는 제 1 도장 부분과 상기 제 1 도포량보다도 적은 도포량으로 이루어지는 제 2 도장 부분이 부분적으로 도장되고, 상기 제 1 도장 부분은 적어도 못을 박는 장소 또는 비스 고정 장소를 중심으로 하는 소정 영역면을 포함하는 요업계 사이딩이 접촉되고,
    상기 상단 횡가재와 하단 횡가재 그리고 각 기둥의 전면에 30mm 이상 200mm 이하의 소정의 간격으로 그 접촉 부분에 못 또는 비스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내진 보강 구조.
  33.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장 부분의 투습 저항치는 2.67㎡·h·kPa/g 내지 6.67㎡·h·kPa/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내진 보강 구조.
  34.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장 부분의 투습 저항치는 2.67㎡·h·kPa/g 내지 6.67㎡·h·kPa/g이고, 상기 제 2 도장 부분의 투습 저항치는 제 1 도장 부분의 저항치보다도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내진 보강 구조.
  35.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요업계 사이딩은 세로 폭 2400mm 이상 3100mm 이하, 가로 폭 910mm 이상 2000mm 이하의 치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내진 보강 구조.
  36.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요업계 사이딩은 세로 폭 2400mm 이상 3100mm 이하, 가로 폭 910mm 이상 2000mm 이하의 치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내진 보강 구조.
KR2020060028449U 2006-10-25 2006-10-25 요업계 사이딩 및 상기 요업계 사이딩을 사용한 건축물의내진 보강 구조 KR2008000075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8449U KR20080000758U (ko) 2006-10-25 2006-10-25 요업계 사이딩 및 상기 요업계 사이딩을 사용한 건축물의내진 보강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8449U KR20080000758U (ko) 2006-10-25 2006-10-25 요업계 사이딩 및 상기 요업계 사이딩을 사용한 건축물의내진 보강 구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2660U Division KR20080000787U (ko) 2008-02-28 2008-02-28 요업계 사이딩 및 상기 요업계 사이딩을 사용한 건축물의내진 보강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0758U true KR20080000758U (ko) 2008-04-30

Family

ID=41323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8449U KR20080000758U (ko) 2006-10-25 2006-10-25 요업계 사이딩 및 상기 요업계 사이딩을 사용한 건축물의내진 보강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00758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12405B1 (ja) 木構造建築物の石膏系耐力面材、耐力壁構造及び耐力壁施工方法
KR20120109985A (ko) 외벽 하지의 시공 구조
KR100512119B1 (ko) 단열보드를 이용한 외단열 시공 방법
JP3129745U (ja) 窯業系サイディングおよび該窯業系サイディングを使用した建築物の耐震補強構造
JP7157475B2 (ja) 木構造建築物の耐力壁構造及び耐力壁施工方法
JP3122159U (ja) 建築物の耐震補強構造
KR200456501Y1 (ko) 투습성 요업계 사이딩 및 상기 투습성 요업계 사이딩을 사용한 건축물의 내진 보강 구조
JP2010018971A (ja) 鉄骨柱の耐火被覆構造
KR20080000758U (ko) 요업계 사이딩 및 상기 요업계 사이딩을 사용한 건축물의내진 보강 구조
JP2008150849A (ja) 外壁構造
KR20080000787U (ko) 요업계 사이딩 및 상기 요업계 사이딩을 사용한 건축물의내진 보강 구조
CN210439518U (zh) 一种箱板钢结构装配式建筑一体化外墙
JP5603530B2 (ja) 既存外壁の改修構造
JP2002242329A (ja) 外断熱施工方法及び建築物
JPH11107366A (ja) 繊維補強モルタル合成板住宅構法
TWM317453U (en) Fiber reinforced cement board and earthquake resistance reinforcement structure of building using fiber reinforced cement board
WO2022137382A1 (ja) 外壁体内の通気構造
JP3962647B2 (ja) 壁構造
JP6916526B2 (ja) 木造建築物の断熱耐震構造
CN200985565Y (zh) 窑业系壁板及使用了该窑业系壁板的建筑物的耐震加强结构
JP2003193600A (ja) 構造用パネルと壁体構造
RU67142U1 (ru) Керамическая облицовка и сейсмостойкая усиливающая конструкция с ее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варианты)
JP4416639B2 (ja) 既存外装壁の耐震改修構造
JP3523558B2 (ja) 外壁施工構造
JP2016141947A (ja) 屋根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U106 Division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80228

Effective date: 20090129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S601 Decision to reject again after remand of revo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