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21815A - 변형 완충부들이 구비된 액체 수송탱크가 장착된 선박 - Google Patents

변형 완충부들이 구비된 액체 수송탱크가 장착된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21815A
KR20070121815A KR1020077025333A KR20077025333A KR20070121815A KR 20070121815 A KR20070121815 A KR 20070121815A KR 1020077025333 A KR1020077025333 A KR 1020077025333A KR 20077025333 A KR20077025333 A KR 20077025333A KR 20070121815 A KR20070121815 A KR 200701218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side wall
deformation
tank side
column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53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56128B1 (ko
Inventor
제이콥 쿠레
마르티즌 피에테르 밴포프렌
Original Assignee
오르카 브이.오.에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르카 브이.오.에프. filed Critical 오르카 브이.오.에프.
Publication of KR200701218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218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61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61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63B25/1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축방향과 원주방향에서 탱크하면(22), 원주형의 탱크측벽(25), 탱크상면(23)을 포함하고, 상기 탱크하면이 선체의 로워 덱 부분을 형성하거나 지지되며, 선체에 직립으로 배열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이 액체 수송탱크(21)를 구비하는 선박(20).
상기 원주형의 탱크측벽은 상기 선박의 선체의 어퍼 덱(24)과 로워 덱의 사이에서 변형 완충부들(26)을 통해 상단과 하단이 부착되며, 상기 변형완충부들은 적어도 상기 축방향에서 상기 선박의 선체와 상기 원주형의 탱크측벽 사이의 변형을 흡수하도록 형성되고, 적어도 상기 하부 변형 완충부는 상기 원주형의 탱크측벽의 전체 둘레를 따라 연장되고, 적어도 상기 하부 변형 완충부는 상기 탱크측벽의 부분을 형성하며 상기 원주형의 탱크측벽과 상기 탱크하면 사이에서 연속적인 실링(sealing) 연결부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원주형의 탱크측벽과 상기 탱크하면 사이의 변이(transition)위치에 놓여지는 선박.
변형 완충부, 수송탱크, 선박, 탱크측벽, 어퍼 덱, 로워 덱

Description

변형 완충부들이 구비된 액체 수송탱크가 장착된 선박{ship with liquid transport tanks provided with deformation absorbers}
본 발명은 액체 매질의 수송을 위해 선박의 선체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액체 수송탱크를 갖는 선박에 관련이 있다.
일반적으로, 화학물질, 오일, 농업생산품과 같은 액체 매질 수송 형태는 소위 파셜(parcel) 탱크라 불리는 사각형의 화물탱크로 주로 이루어진다.
상기 화물탱크는 선체의 구조의 일부이며, 상기 탱크의 벽은 상기 선박의 선체에 형성되고, 선박의 선체에 위치된 수평 칸막이(bulkhead)들과 수직 칸막이들과 선박이 덱(deck)에 의해 프로파일(profile)된다.
이점은 상기 선박이 대양을 지나거나 온도의 변화에 의한 선박의 변형에 의해 상기 탱크의 벽에서 크랙이 발생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상기 변형은 특히, 탱크의 모서리 부분의 집중 응력이 원인이 되며, 상기 집중 응력은 크랙을 유발한다.
만약 두 개의 인접한 탱크에서 개구부(opening)가 발생하게 되면, 저장물이 혼합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현재의 규정에서 인접한 탱크에는 다른 종류의 생산품이 저장되지 않도록 규 정되며, 이것은 저장된 생산품의 혼합을 막아서 위험한 상황을 피할 수 있도록 한다.
탱크들에서 다른 종류의 생산품이 수송될 수 있기 때문에, 오염을 막기 위해 상기 탱크들은 수송 후에 주의 깊게 세척된다.
그러나 상기 탱크들은 세척하기 어렵다. 그 하나의 요인은 상기 탱크가 충분한 강성을 갖기 위해 상기 탱크는 부분적으로 모서리부분을 가지기 때문이다.
이것은 상기 탱크를 세척하기 위해 많은 양의 세척수가 필요한 것을 의미하며, 상기 세척수에서 화학 폐기물을 걸러내야 하는 점에서, 과도한 비용이 요구되고 바람직하지 않다.
부가적으로, 상기 탱크에 남은 낮은 수치의 오염은 일상적인 조사에서는 감지되지 않을 수 있으며, 이것은 실질적으로 수송되는 생산품에 손상을 유발할 수 있다. 상기 탱크는 단열이 어려운 점에서, 상기 저장된 생산품에 큰 온도변화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탱크에서 원하는 온도가 유지되기 위하여 높은 온도로 가열하는 것은 필수적이다. 높은 온도는 상기 생산품의 품질 악화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대안이 찾아보면, 예를 들어, 그 중 하나는 상기 선박의 선체에 다수의 원통형의 저장탱크를 배치하는 방법이다.
예로써, US-6,167,827 또는 DE-U-93.09.433를 참조하라. 청구항 1의 전제부(pre-characterizing clause)에 따른 선박은 NL-C-1011836에 알려져 있다.
이 공보는 선박의 선체에 배치된 원주형의 수송탱크가 구비된 선박을 기술한 다.
이 경우 상기 탱크하면은 상기 선박의 선체에 지지되고, 상기 원주형의 탱크측벽에 연결된다.
스프링 수단은 원주형의 탱크측벽과 상기 선박의 선체 사이에 제공된다. 상기 스프링 수단은 상기 원주형의 탱크측벽이 상측 및 하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제한한다.
상기 수송탱크에서 화물은 상기 선박의 선체에서 상기 탱크의 하면을 통해 지지되는 반면, 상기원주형의 탱크측벽은 상기 스프링 수단에 의해 형성되는 한계 내에서 상기 원주형의 탱크측벽이 상기 선박의 선체에 대해서 이동할 수 있다.
원주형의 탱크측벽은 상대적으로 두꺼운 벽으로 형성되어야 한다. 게다가, 상대적으로 무거운 탱크상면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수송탱크의 총 하중이 상대적으로 높아진다. 한계를 넘어서는 경우, 상기 스프링 수단은 손상되기 쉬우며 유지가 요구된다. 탱크를 위한 덱 통로는 유연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의 단점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극복되거나 유용한 대안이 제공된 선체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액체 수송탱크가 배치된 선박을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목적은 선박에 배치되는 액체 수송탱크의 재료를 많이 절약할 수 있으며, 무거운 선박의 이동 및 변형에 영향을 받지 않으며 단단한 수송탱크를 갖는 선박을 제공하는 것이다.
더 자세하게는 제작이 간단하고 유지가 불필요할 가능성을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선박의 선체에서 청구항 1에 따라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수송탱크를 갖는 선박에 의해 달성된다.
각 수송탱크는 탱크상면과 선체의 로워 덱에서 지지되거나 일체인 탱크하면을 포함한다.
상기 원주형의 탱크측벽은 상기 실질적으로 원통형인 상기 두 부분들로 연장되지만, 예를들어 타원, 정사각형, 복수의 돌추부를 갖는 부분들 또는 다각형과 같은 모습이 될 수 있다.
상기 원주형의 탱크측벽은 하단이 제1변형 완충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1변형 완충부는 상기 선박의 선체의 로워 덱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된다.
게다가, 상기 원주형의 탱크측벽은 상단이 제2변형 완충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2변형 완충부는 상기 선박의 선체의 어퍼 덱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원주형의 탱크측벽은 상기 선박의 어퍼 덱과 로워 덱 사이에서 변형 완충부의 상단 및 하단에 의해 부착된다.
상기 선체의 변형의 결과와 같은 변형방식으로 형성된 상기 변형 완충부는 상기 과정에서 상기 탱크측벽에 과도한 하중이나 변형을 유발하지 않으며 원주형의 탱크측벽의 완충부의 적절한 변형을 흡수할 수 있다.
상기 하부 변형 완충부는 상기 원주형의 탱크측벽 전 둘레를 따라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탱크측벽의 부분을 형성하며, 상기 탱크하면과 원주형의 탱크측벽의 사이에서 연속적인 실링(sealing) 연결부를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변형 완충부의 주요 기능은 상기 원주형의 탱크측벽의 축하중을 제거한다. 상기 원주형의 탱크측벽의 축압 응력(axial pressure stresses)의 제거는 원주형의 탱크측벽의 구김이 생기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상기 변형 완충부의 축강도(axial rigidity)는 상기 축 구김(axial crumpling)을 막기 위해서 상기 원주형의 탱크측벽에 강도가 보강될 필요를 없애는 방식으로 채택될 수 있다.
상기 원주형의 탱크측벽의 벽두께의 필요는 낮아지는 이점이 있다. 벽두께의 필요는 실질적으로 상기 저장된 액체의 내압, 벤딩모멘트에 의한 축 구김 응력(axial crumpling stresses), 전단응력 및 생산성으로 결정된다.
수평하중은 원주형의 전단력을 흡수하는 변형 완충부에 의해 탱크측벽의 하부 및 상부에서 선박에 전해진다. 이것은 상기 원주형의 탱크측벽의 원주방향에서 상기 변형 완충부가 상대적으로 충분한 강도를 갖음으로써 달성된다.
상기 변형 완충부는 상기 원주방향에서 상기 원주형의 탱크측벽을 보유한다. 상기 변형 완충부는 실질적으로 상기 원주방향에서 충분한 강성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선박에 수평하중을 전달하기 용이하며, 위치에서 원주형의 탱크측벽을 보유하도록 제작된다.
본 발명에 따른 원주형의 탱크측벽은 그것의 형상을 보유할 수 있으며, 구겨지지 않는다. 상기 탱크에 저장된 액체 매질에서 가속력은 상기 수송탱크의 상부 및 하부에서 상대적으로 작은 반력이 된다. 이 힘의 작용의 결과로써 최대 모멘트가 상기 탱크를 실질적으로 중턱(halfway) 상부에 발생한다. 또한, 상기 최대모멘트는 상대적으로 작다.
상기 응력은 원주형의 탱크측벽에 분산되며, 최대 축응력은 상기 원주형의 탱크측벽의 중턱(halfway) 하부에서 실질적으로 발생되며, 상기 최대 전단응력은 상기 변형 완충부와 연결된 위치에서 발생한다. 상기 원주형의 탱크측벽의 최소 두께가 결과적으로 작아지는 이점이 있다.
원주형의 탱크측벽은 특히, 상기 벽이 원주형이라면, 막과 같은 형태가 될 수 있다. 축방향과 원주방향에서 상기 변형 완충부의 강도는 상기 변형 완충부의 형상 및 두께의 변화에 영향을 받는다.
선박의 하부 및 상부 양쪽에서 수송탱크에 가해지는 수평력 때문에, 균일하중이 상기 선박의 선체에 발생한다. 상기 선박의 선체의 중턱에서 부가적인 지지구조들은 필요하지 않다. 적재와 제거를 위한 어퍼 덱을 통한 통로는 상기 탱크에 유연하게 연결될 필요가 없다.
상기 얇은 탱크벽은 잘 단열될 수 있으며, 에너지를 절약하며 생산될 수 있고, 수송 후 고품질로 생산될 수 있다. 상기 수송탱크의 서비스 기간은 연장될 것이며, 상기 수송탱크는 사실상 유지보수가 요구되지 않는다.
충돌에 의한 상기 탱크측벽의 크랙발생의 위험은 제거될 것이다. 상기 변형 완충부와 탱크측벽은 충돌에 의한 변형을 흡수할 수 있다. 결국, 상기 변형 완충부는 화물의 온도에 따라 발생하는 탱크측벽의 확장 또는 수축을 흡수하는데 적합하다.
상기 원주형의 탱크측벽이 2개의 스프링(변형 완충부) 사이에 부착되기 때문에, 상기 원주형의 탱크측벽은 중력의 영향으로 조금 침하할 것이다. 침하 또는 이동의 크기는 축방향에서 변형 완충부의 스프링 강도 및 원주형의 탱크측벽의 부피에 의해 결정된다.
상측을 향한 변형 완충부의 스프링 강도를 제한하는 것은 상기 변형 완충부를 압축하거나 신장하게 하여, 상기 변형 완충부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원주형의 탱크측벽의 침하의 원인이 된다. 상기 침하나 이동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예는 청구항 2 내지 7에 기재된다.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상기 변형 완충부는 기준벽(reference wall)의 강도의 l/3rd 그 이상의 강도를 가지며 상기 원주형의 탱크측벽의 원주방향에 형성되고, 상기 하부로 뻗은 기준벽은 동일한 물질로 만들어지며, 변형 완충부를 갖는 원주형의 탱크측벽으로써 동일한 벽두께 곡면을 갖는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변형 완충부는 원주형의 탱크측벽의 축방향에서 기준벽의 축방향에서 스프링 강도 비의 방법으로 형성되며, 아랫방형으로 뻗은 상기 기준벽은 동일한 물질로 제작되며, 변형 완충부를 갖는 원주형의 탱크측벽으로써 동일한 벽두께 곡면을 갖되, 상기 기준벽의 강도는 상기 변형 완충부를 갖는 원주형의 탱크측벽보다 2배 이상 크다.
상기 스프링 강도의 상기 상태 모두는 준수되어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방법으로 상기 원주형의 탱크측벽은 상기 선박의 선체의 두 변형 완충부에 부착된다.
상기 탱크하면은 상기 선박의 선체의 어퍼 덱에 일체형이다. 그러나 만약 상기 탱크하면 및/또는 탱크 상면은 개별적으로 형성되며, 그것들은 과도한 저항 없이 선박의 선체의 변형에 따를 수 있으며, 상기 탱크하면 및 탱크상면의 두께는 작아지는 이점이 있다. 이것 모두는 재료의 절약을 가능하게 한다.
특히, 상부 변형 완충부는 원주형의 탱크측벽의 전 둘레를 따라 실질적으로 연장된다. 연속 연결부는 집중 응력이 제한되도록 한다. 더 자세하게는 상기 상부 변형 완충부는 탱크측벽의 부분을 형성하며, 상기 원주형의 탱크측벽과 상기 탱크상면 사이 이행(transition)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 변형 완충부는 상기 원주형의 벽과 상기 탱크상면 사이에 연속 실링 연결부를 형성한다. 분리된 변형 지지요소는 축방향에서 원주형의 탱크측벽 지지 및/또는 액압의 부분 흡수를 제공하기 위해 제공된다.
상기 변형 완충부는 축방향에서 실질적으로 자유롭게 움직이도록, 다른 의미로 과도한 저항 없이 움직이도록 형성된다. 그러나 상기 탱크의 축방향에서 변형 완충부가 충분한 강성을 가지게 되어 상기 변형 완충부는 부분적으로 또는 전부 원주형의 탱크측벽을 지지한다.
후자에서 상기 원주형의 탱크측벽은 부가적인 지지요소의 제공없이 상기 변형 완충부들 사이에 최종적으로 부착된다.
상기 변형 완충부들은 적어도 상기 수송탱크의 원주방향에서 유리한 강성을 갖는다. 이것은 변형 완충부의 다양한 방향에서 형태, 벽두께, 강도 및 경도 사이에서 적절한 비율로 달성된다.
변형 완충부들이 원주방향에 강성이 있기 때문, 다른 말로 원주방향에서 형태를 보유하도록, 그것들은 적소에서 상기 원주형의 탱크측벽을 보유한다.
상기 선박의 더욱 바람직한 실시 예는 종속항에서 기술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의 수송탱크, 선박에 수송탱크를 배치하는 방법 및 선박의 이용방법과 관련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의 선체에 배치된 원통형의 수송탱크의 일 실시 예의 횡단면이 도시된 개략적인 부분도이다.
도 2는 선박에 배치된 다양한 수송탱크의 횡단면이 도시된 개략도이다.
도 3은 사용 가능한 변형 완충부의 다양한 실시 예들을 도시한다.
도 4는 도 2의 다양한 정면도이다.
도 5는 변형된 상태에서 도 4의 변형예를 도시한다.
도 6은 도 4의 횡단면이 도시된 부분도이다.
도 7은 도 4에 따라 선박의 선체에 배치된 다수의 수송탱크가 원근법으로 도시된 컷어웨이(cut-away)도 이다.
도 8 내지 14는 도 6의 변형예가 도시된다.
도 15는 비스듬한 탱크하면의 변형예를 도시한다.
도 16 내지 18은 탱크벽의 외부에 전면적 또는 부분적으로 구비된 상부 변형 완충부 변형예를 도시한다.
도 19 및 20은 부가적인 보조구조를 도시한다.
도 21은 도 6에서 파라미터가 도시된 변형예를 도표적으로 도시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더욱 자세하게 설명된다.
도 1에서, 상기 수송탱크는 참조번호 1로 지시된다.
상기 수송 탱크(1)는 탱크하면(2), 원주형의 탱크측벽(3)과 탱크상면(4)으로 구성된다. 상기 탱크하면(2)은 평평하며, 단열층(6)이 게재되어 미도시된 선박의 선체의 로워 덱(lower deck, 7)과 연결된다.
상기 탱크상면(4)은 단열층(8)이 개재되어 선박의 선체의 어퍼 덱(upper deck, 9)과 연결된다. 상기 탱크측벽(3)은 변형가능한 지지수단(12)에 의해 상기 하면쪽에서 부분적으로 지지된다. 상기 지지수단(12)은 상기 탱크측벽(3)의 아랫부분에 연결된다. 변형 완충부(deformation absorber, 15, 16)는 탱크측벽에 놓인다.
상기 변형 완충부(15,16)는 단면이 4분원모양(원의 4분의 1처럼)으로 형성되고 상기 탱크하면(2) 또는 상기 탱크 상면(3)과 상기 탱크측벽(3)으로 연장된다. 상기 변형 완충부(15,16)는 탱크(1)를 따라 연장되고, 탱크(1)의 원주방향에서 강체로 형성된다.
게다가, 상기 완충부(15,16)는 상기 로어 덱과 인접한 어퍼 덱의 변형에 따라 상기 변형 완충부가 다른 모양을 갖는 방법으로, 탱크(1)의 반경방향과 축방향으로 변형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변형 완충부는 돌출되거나 불룩해지는 사분원모양으로 도시된다.
상기 변형 완충부(15,16)를 아주 정확하게 치수화하면, 상기 변형 완충부가 예상되는 선박의 선체의 변형을 충분히 흡수할 수 있다. 이것은 탱크측벽(3)이 상당한 하중을 받는 경우 및/또는 변형 없이, 변형 완충부(15,16)가 적절한 변형을 실질적으로 흡수하는 선박의 선체의 변형이 가능하지는 장점이 있다.
상기 탱크측벽(3)은 구겨짐이나 크랙이 발생하지 않으면서, 결과적으로 얇은 벽두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탱크하면(2)과 탱크상면(4)은 로어 덱(6)과 엎어 덱(9)의 변형이나 이동을 따라 쉽게 따라갈 수 있도록, 얇은 두께를 갖는 이점이 있다. 상기 지지수단(12)은 상기 탱크측벽(3)의 축방향에서 지지한다.
탱크측벽의 다른 부분들, 예를 들어 듀프렉스(Duplex) 2205 또는 스테인리스 스틸 304처럼 상기 변형 완충부는 스틸로 만들 수 있다. 플라스틱, 바람직하게는 섬유강화 플라스틱이 사용될 수 있다.
조립과정에서, 상기 변형 완충부는 다른 탱크측벽 부분에 용접되는 것과 같은 사전 응력 상태에서 연결되는 장점을 가진다. 이것은 상기 변형 완충부에 가해지는 하중에 이점이 잇다.
또한, 상기 지지수단에 사전 응력과 스프링 행정제한(spring travel limitation)을 공급하는 것은 알 수 있다. 상기 탱크하면, 탱크상면 및 상기 원주형의 탱크측벽이 일반적인 스틸이나 스테인리스스틸로 만들어진다면, 두께가 25mm보다 얇을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5~15mm 정도의 두께가 될 수 있다.
상기 변형 완충부의 두께는 대략 5~15mm가 될 수 있다. 이것은 높이-직경 비율과 재료에 부분적으로 종속된다. 본 발명은 상기 측벽이 얇게 성형 되므로 상기 수송 탱크의 재료를 절약할 수 있다.
도 2는 수송 탱크(21)가 선체(hull)에 위치된 선박을 도시한다.
상기 탱크(21)의 하부는 상기 선박의 선체의 하면(22)과 연결된다. 탱크상면(23)의 상부면은 상기 선박의 선체의 어퍼 덱(24)에 부착된다. 상기 탱크측면은 원주형의 탱크측벽(25)으로 구성된다.
변형 완충부(26)는 상기 탱크측벽에 위치되며, 축방향에서 2개의 접힘돌출부를 갖는 주름형(bellows-shaped)으로 형성된다. 상기 접힘부는 상기 원주형의 탱크측벽(25)을 통하여 상면의 각 방향으로 돌출된다.
상기 변형 완충부의 위치에서 아래쪽으로 액체압력의 합력이 없도록, 상기 변형 완충부가 상기 원주형의 탱크측벽(25)에 대칭적으로 배치되는 장점이 있다. 여기에서는 분리된 지지요소는 생략된다.
도 3에서는 다양한 변형 완충부의 다양한 실시 예가 도시된다.
상기 각각의 다양성은 측벽의 두께와 재료의 선택(강도와 탄성계수) 사이의 상호조합에 따른다. 도 3의 아래쪽의 실시 예는 상기 변형 완충부에 압력을 가하는 화물(cargo)로부터 압력을 흡수하는 수단을 도시한다.
이러한 수단은 상기 변형 완충부의 바깥쪽에 위치한 압축지지요소에 의해 형성된다. 예를 들면, 미성형 된 고무지지블록, 스프링, 제한된 압축성의 제한물질 , 액체 백(liquid bag) 등등이 있다. 이러한 변형 완충부는 큰 변형을 흡수할 수 있도록 얇은 두께로 성형 될 수 있다.
또한, 도 3에서는 상호 적당한 각도로 연결될 수 있는 원주형의 탱크측벽 또 는 탱크하면, 탱크상면의 부분들에 의한 변형 완충부의 다양한 형태를 도시한다. 바람직하게는, 연결부에 얇은 모서리가 제공된다.
또한, 선박의 선체의 변형 완충부는 탱크하면 또는 탱크상면의 연결부 근처에서 상기 변형 완충부의 측벽의 형태에 의해 연결부에서 측벽을 얇게 만들어 상기 측벽 부분이 약간 상하로 이동할 수 있는 방법으로 변형을 흡수할 수 있다.
연결부 주변에는 상기 탱크의 축방향으로 사전 응력을 갖는 스프링 수단이 구비된다.
도 4~6에서 상기 탱크는 원주형의 탱크측벽(40)은 선박의 선체(45)의 어퍼 덱(43)과 로워 덱(44)에서 2개의 변형 완충부(41,42)에 의해 직접적으로 부착된다.
상기 탱크하면과 상기 탱크상면은 각각 상기 로어 덱(44)과 어퍼 덱(43)의 일체부로 형성한다. 상기 변형 완충부(41,42)는 모두 주름형(bellows-shaped)이며, 전체 원주형의 탱크측벽(40)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상기 원주형의 탱크측벽(40)과 상기 각각의 탱크하면과 상기 탱크상면의 사이에서 연속적인 실링(sealing) 연결형태를 갖는다. 상기 원주형의 탱크측벽(40)은 원주형이다.
도 5는 상기 선박의 로워 덱, 측벽 및 어퍼 덱의 굽힘 및 비틀림의 조합에 의해 상기 선박의 선체(45)의 변형이 있는 경우, 상기 변형이 상기 변형 완충부(41,42)에 의해 완전하게 흡수되는 것을 도시한다.
상기 변형 완충부는 상기 원주형의 탱크측벽(40)의 중심선(47)에 평행한 방향인 축방향에서 부분적으로 압축되거나 신장된다. 이것에 의해 상기 원주형의 탱크측벽(40)은 아주 작은 하중을 받거나 하중을 받지 않으며, 원래의 형태를 결과적 으로 보유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 선체에서 몇몇의 수송탱크(70)를 도시한다.
상기 수송탱크(70)는 별개의 치수를 가지며 결과적으로 선박의 선체에서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상기 탱크(70)는 그들의 측벽이 탱크 및 선박의 선체에 방해되지 않게 배치된다.
상기 변형 완충부(72)는 전체 탱크에 뻗어 있으며, 상기 탱크 측벽의 일체로 형성한다. 다음과 같은 동일하고 비슷한 부분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번호로 지시된다.
도 8은 탱크하면(80)과 탱크상면(81)이 분리된 부분들로 형성된 도 6의 변형을 도시한다.
모두는 각각 상기 로워 덱(44)과 어퍼 덱(43)에 충분히 지지된다. 상기 변형 완충부(42,41)는 각각 상기 탱크하면(80)과 탱크상면(81) 및/또는 각각 상기 로워 덱(44)과 어퍼 덱(43)에 영구적으로 연결된다.
도 9는 상기 탱크하면(80)이 상기 로워 덱(44)에서 코르크(cork)층이나 샌드위치(sandwich)층과 같은 얇은 압축층(90)으로 지지되는 도 8의 변형예이다.
상기 변형 완충부(42)는 상기 탱크하면(80)과 상기 로워 덱(44)에 연결된다. 상기 탱크상면(81)은 단부(91)에 의해 상기 어퍼 덱(43)에 지지된다.
상기 상부 변형 완충부(41)는 상기 탱크 상면(81)과 상기 어퍼 덱(43) 모두에 연결된다.
도 10은 상기 탱크하면(80)이 단부(100)에 의해 로워 덱(44)에 의해 연결되 지만, 상기 탱크상면은 상기 어퍼 덱(43)에서 얇은 압축층(101)에 의해 연결되는 도 9의 변형예를 도시한다.
또한, 도 11은 상기 탱크하면(80)과 상기 탱크상면(81)이 압축층(110)에 지지되는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다. 상기 변형 완충부(111)는 2중 반원 변형 단면으로 형성된다.
도 12는 상기 원주형의 탱크측벽(120)이 상기 상부 및 하부 2중 반원 변형 단면(121) 사이에 형성된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다.
부가적으로, 다른 변형 완충부(122)들은 상기 원주형의 탱크측벽(120)의 일체이다. 상기 변형 완충부는 상기 변형 단면(121)과 동일한 형태이다.
도 13은 상기 하부 및 상부 변형 완충부(130) 상기 로워 덱 및 어퍼 덱 각각의 방향에서 직선단부가 병합된 반원 단면부(131)를 포함하는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다.
도 14는 상기 원주형의 탱크측벽(140) 전체가 상호연결된 주름형(bellows-shaped) 단면부로 구성되는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다.
상기 상부 및 하부 변형 완충부(141, 142)의 사이에 상기 원주형의 탱크측벽(140)이 형성된다.
도 15는 상기 탱크하면(150)은 중심으로 경사가 낮아지는 탱크하면(150)이 로워 덱(44)에서 단부(151)에 의해 지지되는 도 10의 변형예를 도시한다.
예를 들어, 상기 탱크하면(150)은 로워 덱(44)에 대하여 5도의 경사각을 갖는다. 이것은 상기 탱크가 쉽게 비워지고 세척되는 장점이 있다.
도 16은 단단한 탱크상면(160)이 원주형의 탱크측벽(40)에 의해 지지되는 도 9의 변형예를 도시한다.
상기 원주형의 탱크측벽(40)과 탱크상면(160)은 상기 어퍼 덱(43)의 변형 완충부(161)에 부착된다. 상기 변형 완충부(161)는 상기 탱크에서 액체를 보유하는 부분이 아니다.
게다가, 상기 원주형의 탱크측벽(40)의 상방향 이동이 제한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분리된 지지요소들(162)이 제공된다. 예를 들어, 이 상방향 이동은 상기 탱크상면(160)의 액체압력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도 17은 탱크상면이 상기 원주형의 탱크측벽에 직접적으로 지지되는 돔(dome)형 상면(170)으로 형성된 도 16의 변형예를 도시한다.
상기 하부 변형 완충부(171)는 4분원형 단면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요소들(162)는 생략된다. 그러나 상기 원주형의 탱크측벽의 하단부는 지지요소(172)에 연결된다.
상기 지지요소들(172)은 액체압력에 의한 상기 변형 완충부(171)의 압축을 막고, 상기 탱크상면(170)의 액체압력에 의한 원주형의 탱크측벽(40)의 이동을 최소화하기 위해 신장스프링과 압축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8은 상기 탱크상면(81)이 단부(180)에 의해 상기 어퍼 덱(43)에 부착된 변형예를 도시한다.
상기 원주형의 탱크측벽(40)은 상기 하부 변형 완충부(171)와 상부 변형 완충부(181)의 사이에 부착된다. 상기 원주형의 탱크측벽(181)은 부분적으로 상기 탱 크측벽의 일체이며, 부분적으로 상기 탱크와 어퍼 덱(43)의 사이로 연장된다.
상기 일체부는 4분원의 변형부(183)와 수평부(184)로 구성된다. 상기 탱크측벽의 바깥쪽에 배치된 부분은 반원형의 변형부(185)로 구성된다.
지지요소(172)는 고무블록(rubber block)들 또는 연속적인 고무연결체(continuous rubber connection, 186)로 형성된다.
도 19는 상기 각 변형 완충부(190, 191)가 상기 탱크 측벽의 일부이며, 2중의 반원 변형부(192,193)와 직선부(194,195)를 포함하는 변형예를 도시한다.
게다가, 온도차이에 의한 상기 탱크측벽의 원주방향의 팽창을 흡수하기 위하여, 일측이 상기 변형 완충부(191,191)와 연결되고, 타측이 각각 상기 로워 덱 및 상기 어퍼 덱에 연결된 보조벽(skirt wall)이 제공된다.
이것은 상기 로워 덱과 어퍼 덱에 대해서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될 수 있는 단부(198, 199)에 상기 탱크하면 및 상기 탱크상면이 축방향으로 지지되기 때문에 필수적이다.
동일하게, 상기 상부 및 하부 변형 완충부(190,191) 각각은 고정되어 있지 않고 , 상기 로워 덱 및 어퍼 덱에 대해서 슬라이드 될 수 있다. 이 변형예의 수평방향에서의 상기 탱크는 단지 보조벽(skirt wall, 196, 197)에 의해서만 지지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조벽(196, 197l)은 상기 탱크의 원주부 둘레를 따라 연장된다.
도 20은 상기 보조벽(201,202)이 원주방향 및 축방향에서의 변형을 흡수할 수 있으며, 상기 축방향에서 상기 탱크측벽을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도 19의 변 형예를 도시한다.
상기 축 방향에서의 적절한 강도(rigidity)에 의해서, 부가적인 지지수단은 필요하지 않다. 상기 원주방향에서 보조벽(201,202)은 그 위치에서 상기 탱크를 보유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단단한 강도를 갖는다.
게다가 탱크측벽에 통합된 상기 변형 완충부는 4분원 단면(203,204)으로 형성된다. 도 19처럼, 상기 탱크하면과 탱크상면은 상기 로워 덱과 상기 어퍼 덱 각각에 대해서 수평방향에서 슬라이드될 수 있도록 지지된다.
다음의 도 21에 따른 수치예에서 다음의 데이터에 의해 우리는 상기 원통형의 스테인리스탱크를 가정할 수 있다.
탱크 높이 h = 7000 mm
탱크 반지름 r = 5000 mm
원주형의 탱크측벽의 두께
Figure 112007078488062-PCT00001
스테인리스스틸의 밀도
Figure 112007078488062-PCT00002
스테인리스 스틸의 탄성계수
Figure 112007078488062-PCT00003
중력가속도
Figure 112007078488062-PCT00004
스테인리스 스틸의 한계신장응력
Figure 112007078488062-PCT00005
두 변형 완충부들은 동일한 형태를 갖으며, 다음 치수를 갖는다.
변형 완충부의 높이
Figure 112007078488062-PCT00006
변형 완충부의 폭
Figure 112007078488062-PCT00007
변형 완충부의 벽두께
Figure 112007078488062-PCT00008
원주형의 탱크측벽의 높이
Figure 112007078488062-PCT00009
단일 변형 완충부는 유한요소법(FEM calculation)에 의해 결정되어 다음 특징을 갖는다.
변형 용량 :
Figure 112007078488062-PCT00010
축강도:
Figure 112007078488062-PCT00011
상기 탱크측벽 자체의 상도를 배제하고, 중턱에서 상기 탱크측벽의 이론적인 침하는 다음과 같다.
침하
Figure 112007078488062-PCT00012
Figure 112007078488062-PCT00013
= 원주형의 탱크측벽의 무게(N/mm)
Figure 112007078488062-PCT00014
= 단일 변형 완충부의 강도(N/mm/mm)
Figure 112007078488062-PCT00015
침하
Figure 112007078488062-PCT00016
청구항 2에 따른 상기 탱크측벽의 최소 침하는 다음과 같을 것이다.
Figure 112007078488062-PCT00017
그러므로, 상기 탱크벽은 청구항 2에 따른 최소값보다 15배 정도 크게 침하한다.
상기 변형 완충부의 축방향 강도는 동일하기 때문에 이러한 변형 완충부들은, 상기 로워 덱에 대한 어퍼 덱의 이동이 있을때 동일한 변형을 흡수한다. 상기 원주형의 탱크측벽을 변형 용량을 배제한 상기 전체 벽의 변형 용량은 다음과 같다.
Figure 112007078488062-PCT00018
상기 로워 덱에 대한 어퍼 덱의 이동을 저항할 수 있도록, 청구항 5에 따른 상기 변형 완충부를 갖는 상기 원주형의 탱크측벽은 적어도 Y*h = 1*7000/1000 =7 mm와 같아야 한다. 그러므로, 상기 변형완충부를 갖는 상기 원주형의 탱크측벽은 청구항 5에 따른 최소값보다 3.4 배의 변형을 흡수할 수 있다.
상기 변형 완충부들을 갖는 상기 원주형의 탱크측벽의 축강도는 아래의 기준벽과 비교된다.
상기 기준벽은 모두 하방으로 뻗어 있으며, 원주형의 탱크측벽과 변형 완충부와 같이 동일한 물질로 만들어지며, 상기 원주형의 탱크측벽과 상기 변형 완충부들과 같이 동일한 벽두께 곡선을 갖는다.
일반적으로, 기준벽의 축강도는 다음과 같이 결정된다.
Figure 112007078488062-PCT00019
Figure 112007078488062-PCT00020
= 축방향에서 압축길이당 힘을 원주길이로 나누어서 표현되는 기준벽의 강도
Figure 112007078488062-PCT00021
E = 원주길이당 힘으로 표현되는 모서리하중(edge load) [N/mm]
Figure 112007078488062-PCT00022
= 밀리미터 단위로 표현되는 특유 모서리하중에서의 기준벽의 압축길이[mm]
만일, 상기 원주형의 탱크측벽과 변형 부분이 균일한 물질로 만들어지며, 동일하고 군일한 벽두께를 갖는다면, 상기 기준벽의 강도는 다음과 같다.
Figure 112007078488062-PCT00023
= 축방향에서 기준벽의 강도
Figure 112007078488062-PCT00025
E = 탄성계수
Figure 112007078488062-PCT00026
Figure 112007078488062-PCT00027
= (균일한) 기준벽의 두께[mm]
Figure 112007078488062-PCT00028
= 탱크의 높이와 같은 기준벽의 높이[mm]
만약 상기 원주형의 탱크측벽과 상기 변형부분들이 다른 벽두께를 가지며, 다른 물질들로 구성된다면, 상기 기준벽의 축강도는 다음 식이 적용된다.
Figure 112007078488062-PCT00029
상기 기준벽은 각각 두께를 가지고, 각각의 높이와 탄성계수를 갖는 N개의 원형벽 부분들오 분리된다. 이것으로써, 다음 수식에 따른 기준벽의 강도를 결정할 수 있다.
Figure 112007078488062-PCT00030
상기 변형 완충부들을 갖는 원주형의 탱크측벽의 강도는
Figure 112007078488062-PCT00031
이다.
이 강도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Figure 112007078488062-PCT00032
이 강도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Figure 112007078488062-PCT00033
이것에 기준벽의 축스프링 강도와 상기 변형 완충부들을 갖는 원주형의 탱크측벽의 스프링 강도 사이의 비를 알 수 있다.
Figure 112007078488062-PCT00034
청구항 8에 따른 강도비의 최소값은 2와 같거나 크며, 이 예에서 상기 강도비는 100배 이상이다.
청구항 16에 따르면, 상기 변형 완충부들 중 적어도 하나의 강도는 20 N/mm/mm 보다 같거나 작다. 변형 완충부들 모두의 강도는 1.22 N/mm/mm이며, 그러므로 20보다 작다.
청구항 19에 따르면, 상기 원주형의 탱크측벽의 벽두께는 X보다 작아야한다.
X에는 다음 식이 적용된다.
Figure 112007078488062-PCT00035
Figure 112007078488062-PCT00036
X = max[23.6 and 10] = 23.6 mm
상기 원주형의 탱크측벽의 벽두께는 5 mm 이므로, 상기 원주형의 탱크측벽은 23.6 mm 보다 작다.
변형 완충부의 재질, 그것들이 탱크벽의 일체부인지 아닌지의 여부 그리고 화물이 전송되는지에 따라, 상기 변형 완충부는 스테인레스 스틸층과 같은 내화학(chemical-resistant) 코팅 또는 라이닝(lining)이 피복(clad)된다.
도시한 실시예외에 많은 변형예가 가능하다. 예를들어, 도면들에서 다양한 양상이 각각 조합될 수 있다.
상기 탱크하면 또는 탱크상면은 평평한 모양이 아닌, 예를들어, 둠(dome) 또는 원추형이 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은 또한 축방향 및 원주방향에서 각각 정해진 변형량에 따르며, 원주형의 탱크측벽의 하중을 제거하는 이점이 있는 변형 완충부로 생각될 수 있다.
상기 지지요소들은 또한 조정가능한, 예를들어, 원주부에 분포된 다수의 유압 피스톤-실린더(hydraulic piston-cylinder system)의 형태와 같은 조작가능한 형태가 될 수 있다.
특별히, 유동측정밸브(current measured value)에 따른 지지요소들을 조작하기 위해 측정센서(measuring sensor)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송탱크들은 액체전송과 관련되며, 특히 주변압(ambient pressure) 이하에서 전송되는 액체의 전송과 관련된다.
상기 전송탱크는 액체단계에서 최고 1바(bar)를 초과하는 압력에서 액체매질의 저장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변형 완충부들은 다수의 층들이 각각 연결되지 않아서 각각이 따로 이동될 수 있는 다수의 층으로 구성된다. 이것에 의해 상기 변형 완충부가 매우 유연하다.
이러한 방법에 의해서 본 발명은 상기 전송탱크 및 선체에서의 전송탱크의 지지에 이점이 있으며 상기 원주형의 탱크측벽이, 상기 어퍼 덱과 로워 덱의 사이에서 상측(underside) 및 상기 원주형의 탱크측벽의 상부에서 상기 변형 완충부의 사용에 의해 부착됨으로써 많은 재료의 절감이 있다.
재조비용 및 수송비용은 결과적으로 낮아질 것이며, 반면에 충돌에 대한 안정성과 신뢰성은 높아질 것이다.
상기 수송탱크는 공장에서 만들어지는 이점이 있고, 상기 선박의 선체에서 단열된 상태에서 연결될 수 있다. 단열은, 만약 제공된다면, 상기 탱크의 외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탱크는 쉽게 세척될 수 있으며, 상기 세척은 자동화될 수 있다.

Claims (44)

  1. 축방향과 원주방향에서 탱크하면, 원주형의 탱크측벽, 탱크상면을 포함하고, 상기 탱크하면이 선체의 로워 덱 부분을 형성하거나 지지되며, 선체에 직립으로 배열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이 액체 수송탱크를 구비하는 선박에 있어서,
    상기 원주형의 탱크측벽은 상기 선박의 선체의 어퍼 덱과 로워 덱의 사이에서 변형 완충부들을 통해 상단과 하단이 부착되며, 상기 변형 완충부들은 적어도 상기 축방향에서 상기 선박의 선체와 상기 원주형의 탱크측벽 사이의 변형을 흡수하도록 형성되고, 적어도 상기 하부 변형 완충부는 상기 원주형의 탱크측벽의 전체 둘레를 따라 연장되고, 적어도 상기 하부 변형 완충부는 상기 탱크측벽의 부분을 형성하며 상기 원주형의 탱크측벽과 상기 탱크하면 사이에서 연속적인 실링(sealing) 연결부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원주형의 탱크측벽과 상기 탱크하면 사이의 변이(transition)위치에 놓이는 선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변형 완충부들 사이에 부착 후에, 상기 탱크벽은 상기 변형 완충부들의 변형과 동시에 중력의 영향에 의해 상기 측방향에서 하방으로 침하하고, 상기 변형 완충부들은 상기 원주형의 탱크측벽의 축방형에서 상기 원주형의 탱크측벽의 중턱(half way) 상부에서 측정되는 침하에 적용되는 다음 방정식을 만족하는 강성을 갖는 선박.
    침하(mm) >
    Figure 112007078488062-PCT00037
    , C >=
    Figure 112007078488062-PCT00038
    , h = 높이(mm) 및 r =원주형의 탱크측벽의 평균 반질름(mm)
  3. 청구항 2에 있어서,
    C >=
    Figure 112007078488062-PCT00039
    인 선박.
  4. 청구항 3에 있어서,
    C >=
    Figure 112007078488062-PCT00040
    인 선박.
  5. 선행하는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 완충부 및/또는 상기 원주형의 탱크측벽이 가소성의 변형 없고, 상기 변형 완충부 및/또는 상기 원주형의 탱크측벽에서 탄성한계를 초과하지 않으며, 상기 원주형의 탱크측벽이 구겨지지 않고, 상기 변형 완충부들을 갖는 원주형의 탱크측벽은 적어도 Y*h/1000, Y=1, h= 높이(mm)로 축방향에서 상기 로워 덱에 대하여 어퍼 덱의 이동을 흡수하는 선박.
  6. 청구항 5에 있어서,
    Y>=2 인 선박.
  7. 청구항 5에 있어서,
    Y>=4 인 선박.
  8. 선행하는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 완충부들을 갖는 상기 원주형의 탱크측벽은, 상방으로 뻗은 기준벽의 상기 축방향의 스프링 강도 Cw에 대하여 상기 축방향에서 Cwp는 다음의 스프링 강도비가 적용되고, 상기 기준벽은 동일한 동일한 물질로 제작되며, 동일한 벽두께 곡면을 갖으며, Cw/Cwp >= 2 인 선박.
  9. 청구항 8에 있어서,
    Cw/Cwp >= 25 인 선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Cw/Cwp >= 50 인 선박.
  11. 선행하는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 완충부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원주형의 탱크측벽에서 상기 기준벽의 원주형의 탱크측벽의 강도의 l/3rd 과 같거나 크며, 상부로 뻗은 상기 기준벽은 동일한 물질로 제작되며 변형 완충부들을 갖는 원주형의 탱크측벽으로써 동일한 벽두께 곡면을 갖는 선박.
  12. 선행의 청구항 중 어느 항 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축방향의 실질적인 탄성 변형을 통해 상기 변형 완충부가 상기 선박의 선체와 상기 원주형의 탱크측벽의 사이에서 변형을 흡수하기 위하여, 상기 변형 완충부는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하게 배치되는 선박.
  13. 선행의 청구항 중 어느 항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변형 완충부는 상기 원주형의 탱크측벽의 전 둘레를 따라 원주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연장되는 선박.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탱크상면은 상기 선박의 선체에 지지되거나 어퍼 덱의 부분을 형성하며, 상기 상부 변형 완충부는 탱크벽의 부분을 형성하고 상기 상부 변형 완충부는 상기 원주형의 탱크측벽과 상기 탱크상면 사이에서 연속적인 실링(sealing) 연결부를 형성하기 변이(transition)위치에 배치되는 선박.
  15. 선행의 청구항 중 어느 항 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 완충부들 중 하나는 상기 축방향에서 부분적으로 연장되며 상기 원주방향에서 부분적으로 연장되는 선박.
  16. 선행의 청구항 중 어느 항 항에 있어서,
    상기 축방향에서 상기 변형 완충부들 중 적어도 하나는 스프링 강도가 20 뉴우튼(Newton) 퍼(per) 압축 밀리미터(compression millimetre) 퍼(per) 원주 밀리미터(millimetre of circumference)[N/mm/mm]보다 작거나 같은 선박.
  17. 상기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방향에서 상기 스프링 강도는 15 뉴우튼(Newton) 퍼(per) 압축 밀리미터(millimetre) 퍼(per) 원주 밀리미터[N/mm/mm]보다 작거나 같은 선박.
  18. 상기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방향에서 상기 스프링 강도는 10 뉴우튼(Newton) 퍼(per) 압축 밀리미터(millimetre) 퍼(per) 원주 밀리미터[N/mm/mm]보다 작거나 같은 선박.
  19. 선행하는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원주형의 탱크측벽은 다음의 방적식을 만족하는 선박.
    벽두께(mm) <= X,
    X = 최대
    Figure 112007078488062-PCT00041
    및 Z,
    여기서, K >= 0.15, Z >= 10,
    Figure 112007078488062-PCT00042
    = 원주형의 탱크측벽의 한계 신장응력(N/mm^2),
    D = 원주형의 탱크측벽의 직경(mm)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K >= 0.13 및 Z >=9 인 선박.
  21. 청구항 19에 있어서,
    K >= 0.11 및 Z >= 8 인 선박.
  22. 선행의 청구항 중 어느 항 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하면은 상기 로워 덱에 지지되고 상기 로워 덱에 대하여 상기 탱크하면이 5° 최대 기울기를 갖는 선박.
  23. 선행의 청구항 중 어느 항 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상면은 상기 원주형의 탱크측벽에 지지되고, 상기 상부 변형 완충부는 상기 원주형의 탱크측벽 상단과 상기 선박의 선체 사이에 연장된 선박.
  24. 선행의 청구항 중 어느 항 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 완충부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수송탱크의 원주방향에서 강성을 갖는 선박.
  25. 선행의 청구항 중 어느 항 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 완충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수송탱크의 축방향에서 적어도 상기 원주형의 탱크측벽에 지지되는 선박.
  26. 선행의 청구항 중 어느 항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적어도 축방향에서 상기 원주형의 탱크측벽을 지지하기 위해 제공되는 선박.
  27. 청구항 26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선박의 선체와 상기 원주형의 탱크측벽 사이에 연장된 분리된 변형가능한 지지요소들을 포함하는 선박.
  28. 선행의 청구항 중 어느 항 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 완충부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횡단면이 실질적으로 사분원형의 단면인 선박.
  29. 선행의 청구항 중 어느 항 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 완충부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주름형(bellows-shaped) 단면으로 형성된 선박.
  30. 선행의 청구항 중 어느 항 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 완충부들 중 어느 하나는 스테인리스 스틸 이루어지는 선박.
  31. 선행의 청구항 중 어느 항 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 완충부들 중 어느 하나는 섬유강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는 선박.
  32. 선행의 청구항 중 어느 항 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 완충부들의 안쪽면은 내화 라이닝(chemically resistant lining)으로 구비되는 선박.
  33. 선행의 청구항 중 어느 항 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하면 및 상기 탱크상면은 단열층에 의하여 상기 로워 덱 및 어퍼 덱에 각각 지지되는 선박.
  34. 선행의 청구항 중 어느 항 항에 있어서,
    상가 변형 완충부는 축방향으로 연장된 직선벽으로 부분적으로 이루어지는 선박.
  35. 선행의 청구항 중 어느 항 항에 있어서,
    상기 원주형의 탱크측벽은 상기 상부 및/또는 하부에서 보조구조로 연결되는 선박.
  36. 선행의 청구항 중 어느 항 항에 있어서,
    상기 수송탱크는 실질적으로 1 바(bar)보다 적은 액체단계를 초과하는 압력에서 액체 매질의 저장하도록 형성된 선박.
  37. 선행의 청구항 중 어느 항 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 완충부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다중벽들을 형성하는 선박.
  38. 선행의 청구항 중 어느 항 항에 있어서,
    상기 원주형의 탱크측벽은 실질적으로 원통형인 선박.
  39. 선행의 청구항 중 어느 항 항에 있어서,
    상기 원주형의 탱크측벽은 상단과 하단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변형 완충부들로 이루어지는 선박.
  40. 청구항 39에 있어서,
    상기 원주형의 탱크측벽에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변형 완충부들은, 상기 원주형의 탱크측벽이 상기 선박의 선체의 로워 덱과 어퍼 덱의 하단 및/또는 상단에 부착되어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태의 변형 완충부로써 형성되는 선박.
  41. 선행의 청구항 중 어느 항 항에 있어서,
    액체 수송탱크가 구비된 선박.
  42. 청구항 41에 있어서,
    선박에 액체 수송탱크를 배치하는 방법.
  43. 청구항 42에 있어서,
    상기 변형 완충부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원주형의 탱크측벽, 탱크하면, 탱크상면 및/또는 상기 선박의 선체의 사전 응력 상태에서 연결된다.
  44. 청구항 1 내지 40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액체 매질의 수송을 위해 선박의 선체에 배치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액체 수송탱크를 갖는 선박의 이용법.
KR1020077025333A 2005-04-01 2006-04-03 변형 완충부들이 구비된 액체 수송탱크가 장착된 선박 KR1014561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L1028679A NL1028679C2 (nl) 2005-04-01 2005-04-01 Schip met van vervormingsopnemers voorziene vloeistoftransporttanks.
NL1028679 2005-04-01
PCT/NL2006/000171 WO2006104386A1 (en) 2005-04-01 2006-04-03 Ship with liquid transport tanks provided with deformation absorbers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7632A Division KR20140050115A (ko) 2005-04-01 2006-04-03 변형 완충부들이 구비된 액체 수송탱크가 장착된 선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21815A true KR20070121815A (ko) 2007-12-27
KR101456128B1 KR101456128B1 (ko) 2014-11-03

Family

ID=3535578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7632A KR20140050115A (ko) 2005-04-01 2006-04-03 변형 완충부들이 구비된 액체 수송탱크가 장착된 선박
KR1020077025333A KR101456128B1 (ko) 2005-04-01 2006-04-03 변형 완충부들이 구비된 액체 수송탱크가 장착된 선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7632A KR20140050115A (ko) 2005-04-01 2006-04-03 변형 완충부들이 구비된 액체 수송탱크가 장착된 선박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1) US8082867B2 (ko)
EP (1) EP1868880B1 (ko)
JP (2) JP5495554B2 (ko)
KR (2) KR20140050115A (ko)
CN (1) CN101166662B (ko)
AT (1) ATE468264T1 (ko)
DE (1) DE602006014382D1 (ko)
DK (1) DK1868880T3 (ko)
ES (1) ES2346242T3 (ko)
HK (1) HK1118037A1 (ko)
NL (1) NL1028679C2 (ko)
NO (1) NO337778B1 (ko)
PL (1) PL1868880T3 (ko)
RU (1) RU2397102C2 (ko)
UA (1) UA88365C2 (ko)
WO (1) WO200610438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703693D0 (en) * 2007-02-26 2007-04-04 Jahre Group As Support structure
KR101135210B1 (ko) * 2009-05-19 2012-04-16 한국과학기술원 플랫폼의 위치 유지를 위해 진동절연을 이용하는 이동 항구
KR101210917B1 (ko) * 2010-05-19 2012-12-1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갑판 상부에 연료탱크를 탑재한 부유식 구조물
JP5782305B2 (ja) * 2011-06-24 2015-09-24 ジャパンマリンユナイテッド株式会社 液化ガスタンク
JP6522598B2 (ja) * 2013-06-28 2019-05-29 ストルト−ニールセン・テーエム・ベスローテン・フェンノートシャップStolt−Nielsen Tm B.V. タンカーの建造方法、タンカー、貨物船、及びタンクモジュール
KR102176545B1 (ko) * 2014-09-22 2020-11-0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각화 실린더형 탱크 및 그 실린더형 탱크의 설치방법
CN106143793B (zh) * 2015-03-25 2018-05-15 江南造船(集团)有限责任公司 液化气船防横摇支承结构的限位框中环氧树脂敷设方法
KR102384711B1 (ko) * 2015-07-13 2022-04-0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단열부가 구비된 액화가스 저장 탱크
JP6535928B2 (ja) 2016-05-16 2019-07-03 三菱造船株式会社 液化ガスによる急冷可否判定装置、液化ガス貯留タンク、液化ガス運搬船及び液化ガスによる急冷可否判定方法
CN106080961B (zh) * 2016-06-14 2018-04-24 沪东中华造船(集团)有限公司 B型围护系统底部支座的lng泄露承接装置及安装流程
NL2017393B1 (en) 2016-08-30 2018-03-08 Koole Eng B V Method for assembling a transport tank in a vessel and a corresponding vessel
CN108216499B (zh) * 2018-01-03 2019-09-13 江南造船(集团)有限责任公司 液化气船c型独立液舱的支撑系统
US20220153514A1 (en) * 2019-02-27 2022-05-19 Maersk Container Industry A/S Profile for a container, methods for manufacturing a profile, base structure for a container and container
CN111634372A (zh) * 2020-06-12 2020-09-08 江南造船(集团)有限责任公司 独立液货舱围护系统及液化气船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94452A (en) * 1954-08-02 1961-08-01 Conch Int Methane Ltd Insulated tank for liquefied hydrocarbons and the like with loose membranous lining therefor
JPS4736308B1 (ko) * 1969-03-24 1972-09-12
US3613932A (en) * 1969-05-01 1971-10-19 Bridgestone Liquefied Gas Co Low-temperature liquefied gas storage equipment
JPS4823924B1 (ko) * 1969-05-01 1973-07-17
JPS514476Y1 (ko) * 1970-04-08 1976-02-07
JPS4839692U (ko) * 1971-09-14 1973-05-17
JPS515192Y1 (ko) * 1972-02-17 1976-02-13
ES401734A1 (es) * 1972-04-13 1972-10-16 Sener Tecnica Industrial Perfeccionamientos en soportes para tanques de revolucion de eje vertical a bordo de buques.
JPS514476U (ko) * 1974-06-25 1976-01-13
JPS515192U (ko) * 1974-06-28 1976-01-14
JPS61143287A (ja) * 1984-12-13 1986-06-30 Mitsubishi Heavy Ind Ltd 円筒形タンク塔載船
JPS61129393A (ja) * 1984-11-28 1986-06-17 Mitsubishi Heavy Ind Ltd 円筒形タンク塔載船
JPS6193698U (ko) * 1984-11-26 1986-06-17
JPS6319495U (ko) * 1986-07-24 1988-02-08
JPS6379291U (ko) * 1986-11-13 1988-05-25
JP2590690Y2 (ja) * 1991-09-04 1999-02-17 三菱重工業株式会社 液化ガス運搬船のタンクカバー
JP2502444B2 (ja) * 1993-02-10 1996-05-29 徳三 廣瀬 輸送船
AU664794B2 (en) * 1993-03-29 1995-11-30 Bridgestone Corporation Marine fenders
DE9309433U1 (de) * 1993-06-25 1994-03-24 Kollmann Guenter Tanker mit einer allseitigen Doppelhülle
US5727492A (en) * 1996-09-16 1998-03-17 Marinex International Inc. Liquefied natural gas tank and containment system
NL1011836C1 (nl) * 1999-04-20 2000-10-23 Koole Beheer B V C Schip omvattende één of meerdere in een scheepsromp geplaatste transporttanks.
US6167827B1 (en) * 1999-05-26 2001-01-02 Guaranteed Advanced Tank Technologies International Ltd. Maritime chemical tanker having composite tanks for storing and/or transporting liquid organic and inorganic chemicals and the lik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K1868880T3 (da) 2010-09-20
JP2008534371A (ja) 2008-08-28
NO20075338L (no) 2007-12-28
US8082867B2 (en) 2011-12-27
EP1868880A1 (en) 2007-12-26
KR101456128B1 (ko) 2014-11-03
KR20140050115A (ko) 2014-04-28
ATE468264T1 (de) 2010-06-15
ES2346242T3 (es) 2010-10-13
CN101166662B (zh) 2011-08-31
RU2007140380A (ru) 2009-05-10
JP2013079070A (ja) 2013-05-02
NL1028679C2 (nl) 2006-10-09
PL1868880T3 (pl) 2010-11-30
UA88365C2 (ru) 2009-10-12
CN101166662A (zh) 2008-04-23
US20080184926A1 (en) 2008-08-07
EP1868880B1 (en) 2010-05-19
HK1118037A1 (en) 2009-01-30
DE602006014382D1 (de) 2010-07-01
JP5495554B2 (ja) 2014-05-21
NO337778B1 (no) 2016-06-20
WO2006104386A1 (en) 2006-10-05
RU2397102C2 (ru) 2010-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121815A (ko) 변형 완충부들이 구비된 액체 수송탱크가 장착된 선박
JP5229833B2 (ja) 独立型波形lngタンク
KR101257141B1 (ko) 저온에서 액화 가스를 운반하기 위한 선박의 원통형 탱크의구조
KR101986978B1 (ko) 해상부유구조물
KR19990082606A (ko) 유동성 건조 제품의 통합수송 및 저장을 위한 컨테이너 모듈
WO2008104769A1 (en) Support system
AU2017266445B2 (en) Fluid load stabiliser
US8408413B2 (en) Pallet container
KR200480586Y1 (ko) 액체 화물 탱크용 슬로싱 저감 모듈
EP2430256B1 (en) Structural element, structure comprising a structural element and use of said structural element
TWI373434B (en) Ship with liquid transport tanks provided with deformation absorbers
KR20120072640A (ko) 선박용 lng 저장 탱크 보강 구조물
KR20110128305A (ko) 액체 가스를 저장하기 위한 독립 탱크 시스템
CN110949617B (zh) 一种减晃装置及薄膜型液舱
KR101846391B1 (ko) 해상부유구조물
EP0937606B1 (en) Transport device comprising a tank construction
US7047896B2 (en) Multi-hulled vessel
NO20200556A1 (en) Storage tank and method for operating it
CN117485491A (zh) 一种独立液货舱化学品船
WO2011108940A1 (en) Support structure for support of equipment
CN102300767A (zh) 具有柔韧上部的储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