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21533A - 모터 구동식 예초기 - Google Patents
모터 구동식 예초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70121533A KR20070121533A KR1020070059874A KR20070059874A KR20070121533A KR 20070121533 A KR20070121533 A KR 20070121533A KR 1020070059874 A KR1020070059874 A KR 1020070059874A KR 20070059874 A KR20070059874 A KR 20070059874A KR 20070121533 A KR20070121533 A KR 2007012153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tor
- operation bar
- power supply
- unit
- lawn mower
- Prior art date
Links
- 0 CC(C1)(CCCCCC23)[C@]4*(CI)C*C(CC5)N2C3C5**(*)**11C4CC1 Chemical compound CC(C1)(CCCCCC23)[C@]4*(CI)C*C(CC5)N2C3C5**(*)**11C4CC1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4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e.g. cutting-cylinders
- A01D34/46—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e.g. cutting-cylinders hand-guided by a walking operator
- A01D34/47—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e.g. cutting-cylinders hand-guided by a walking operator with motor driven cutters or wheel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835—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A01D34/9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carrying by the operator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 Control Of Electric Motors In General (AREA)
Abstract
예초기(1)는 원판형의 회전 칼날(9)을 갖는 것이며, 회전 칼날(9)이 장착된 작용부(3)와, 모터가 수납된 모터부(6)와, 전지(7)가 수납된 전원부(8)를 갖는다. 예초기(1)의 조작 막대는 2분할되어 있고, 전방측 조작 막대(10)와 후방측 조작 막대(11)로 분리되어 있다. 본 발명의 예초기(1)에서는, 모터를 수납한 모터부(6)가 예초기(1)의 전체의 중심부에 있다.
농작업용 어태치먼트, 수납된 모터부, 전원부, 조작 막대, 예초기, 작용부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예초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예초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하는 예초기의 모터부로부터 작용부에 걸친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하는 예초기의 모터부와 후방측 조작 막대의 결합 구조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5a는 도 1에 도시하는 예초기의 모터부와 후방측 조작 막대부분의 정면도.
도 5b는 양자의 각도를 변경한 2개의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6a는 도 1에 도시하는 예초기의 정면도.
도 6b 및 도 6c는 양자의 각도를 변경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도 1에 도시하는 예초기의 전원부로부터 모터부에 걸친 단면도.
도 8은 보다 대형의 전원부를 장비한 본 실시형태의 예초기의 사시도.
도 9는 교체용의 전방측 조작 막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0은 도 9에 도시하는 전방측 조작 막대를 장착시킨 상태에 있어서의 예초기의 사시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하는 예초기를 사용한 경우의 작업 상황을 도시하는 설 명도.
도 12는 다른 교체용의 전방측 조작 막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3은 본 실시형태의 예초기에 장착 가능한 칼날의 사시도.
도 14는 도 13의 칼날을 장착한 예초기의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예초기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예초기 3 : 작용부
6 : 모터부 7 : 전지
8 : 전원부 9 : 회전 칼날
10 : 전방측 조작 막대 11 : 후방측 조작 막대
12 : 동력 전동축 15, 16 :베어링
본 발명은 동력식 예초기, 상세하게는, 모터 구동식 예초기에 관한 것이다.
원형의 회전 칼날이나 나일론 코드 커터를 갖고, 이 회전 칼날 등을 회전시켜 풀을 베는 예초기가 알려져 있다. 종래, 이러한 종류의 예초기는 소형 엔진을 동력으로 하는 것이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엔진을 동력으로 하는 예초기는 소음이 크고, 주택가에서 사용하면 소음에 의한 공해(nuisance)를 일으키는 경우가 있다. 또한 엔진을 동력으로 하는 예초기는 진동이 심하여 여자나 노인은 취급하기 어렵 고, 남자라도 장시간의 사용은 몸에 대한 부담이 크다.
그래서 최근, 엔진 대신에 모터를 동력으로 하는 예초기가 사용되고 있다.
모터를 사용하는 예초기는 전원이 필요하지만, 시판되는 예초기는 대부분이 상용 전원을 사용하고 있고, 콘센트를 접속하여 모터에 급전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상용 전원을 사용하는 예초기는 작업 중에 긴 급전선을 끌고 다닐 필요가 있어, 풀베기 작업 중에 회전 칼날이 급전선을 절단하여 버리는 사고가 많이 발생하였다.
그래서 상용 전원 대신에 배터리를 사용하는 예초기가 주목되고, 예를 들면 일본실개평7-36611호(문헌 1), 일본실용신안등록 제2525820호(문헌 2)에 구체적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문헌 1에 개시된 모터를 동력으로 하는 예초기에서 모터는 예초기의 선단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동문헌의 예초기에서 배터리는 예초기의 본체와는 별도이고, 급전선으로 본체의 모터에 전력이 공급된다.
문헌 2에 개시된 예초기도 모터를 동력으로 하는 것이며, 모터는 예초기의 선단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문헌의 예초기의 배터리는 예초기 본체의 후단부에 장착되어 있다.
문헌 1, 2에 개시된 예초기는 모두 모터가 선단부에 장착되어 있고, 모터로 직접, 회전 칼날 등을 회전시키고 있다.
문헌 1, 2에 개시된 예초기는 이렇게 선단부에 모터가 장착되어 있기 때문 에, 선단측이 무겁다. 그 때문에 회전 칼날을 들어올려 작업하는 경우에 작업자의 피로가 심하다.
예를 들면 경사면의 풀을 베는 경우로서, 작업자가 경사면의 하측에 있고, 상향 자세로 경사면의 풀을 베는 경우를 상정하면, 작업자는 선단측을 비탈의 상측으로 들어올려 작업을 하게 된다.
여기에서 종래 기술의 예초기에서는, 선단측이 무겁기 때문에, 상방측을 향하여 회전 칼날을 휘두르기 어렵다.
그래서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상기한 문제점에 주목하여, 중량 밸런스가 좋고, 사용하기 쉬운 예초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제 1 형태는 그래스 커터(grass cutter), 선형 커터, 또는 농작업용 어태치먼트가 장착된 작용부와, 모터가 수납된 모터부와, 전지가 수납된 전원부와, 전방측 조작 막대 및 후방측 조작 막대를 갖는 예초기로서, 작용부는 예초기 전체의 선단부에 있고, 모터부는 예초기 전체의 중간부에 있고 작용부와 모터부 사이에 전방측 조작 막대가 있고, 전원부는 예초기 전체의 후방에 있고 모터부와 전원부 사이에 후방측 조작 막대가 있고, 후방측 조작 막대에는 도전부재가 설치되어 있어 모터에 전력을 공급하고, 전방측 조작 막대에는 동력 전동부재가, 바람직하게는 내장에 의해, 설치된다. 이로써 모터의 동력을 작용부에 전동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초기이다.
본 발명의 예초기에서는, 모터부가 중간부에 있다. 그 때문에 예초기의 자 세가 변화하더라도 중량 밸런스의 변화가 적다. 따라서 회전 칼날측을 들어올려 작업하는 경우에도 작업자의 피로가 적다.
이 제 1 형태의 예초기에서는, 모터부가 예초기의 중간 부분에 있기 때문에, 모터부의 후방측에는 동력 전동부재는 없다. 그 때문에 후방측 조작 막대와 모터부 사이의 각도를 변경하더라도, 동력 전달에 지장은 없다.
제 2 형태의 예초기는 후방측 조작 막대와 모터부 사이의 각도를 변경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제 3 형태에 의한 예초기는 모터부와 전방측 조작 막대가 착탈 자유로운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제 3 형태의 예초기에서는, 전방측 조작 막대를 떼어낼 수 있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서 길이가 다른 조작 막대와 교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정원 구석의 잔디밭을 깎는 경우에는 짧은 조작 막대로 바꿔 장착한다. 또한 높은 나무를 전정(剪定)하는 경우에는 긴 조작 막대로 바꿔 장착한다.
또한 제 4 형태의 예초기는 모터부 내에는 출력축이 설치되고, 전방측 조작 막대에는 입력축이 있고, 상기 출력축과 입력축은 서로 결합하는 결합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결합부는 모터부와 전방측 조작 막대의 착탈에 동반하여 결합·이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예초기에서는, 모터부와 전방측 조작 막대의 착탈에 따라서 동력 전동부재와 모터의 결합과 이탈이 행하여진다. 그 때문에 전방측 조작 막대의 교체 작업이 용이하다.
또한 제 5 형태의 예초기는 전원부가 증설 또는 교체 자유로운 것을 특징으로 한 제 1 내지 제 4 형태 중 어느 하나의 예초기이다.
제 5 형태의 예초기에서는, 전원부가 증설 또는 교체 자유로운 것이기 때문에 작업 내용에 따라서 전지의 전압이나 용량을 변화시킬 수 있다.
제 6 형태의 예초기는 전압 검지 기능을 구비하고, 전원부의 전압을 검지하여 소정의 전력을 모터부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제 1 내지 제 5 형태 중 어느 하나의 예초기이다.
제 6 형태의 예초기에서는, 전원부가 교체되더라도 모터부에 적절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제 7 형태의 예초기는 모터에 대한 전력 공급이 간헐적인 것을 특징으로 한 제 1 내지 제 6 형태 중 어느 하나의 예초기이다.
제 8 형태의 예초기는 부하량을 검지하는 부하량 검지수단을 구비하고, 부하량에 따라서 전력을 공급하는 간격 또는 단위 시간당의 공급시간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 제 7 형태의 예초기이다.
제 8 형태의 예초기에서는, 부하량에 따라서 전력을 공급하는 간격 또는 공급시간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변화시키기 때문에, 부하에 따른 전력 공급을 할 수 있고, 전력의 쓸데없는 소비가 억제된다.
제 9 형태의 예초기는 부하량의 증대에 따라서 단위 시간당의 전력 공급 시간을 증대하고, 과부하 상태로 된 경우는 단위 시간당의 전력 공급 시간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 제 8 형태의 예초기이다.
제 9 형태의 예초기에서는, 부하량이 증대하면 그것에 따라서 단위 시간당의 전력 공급 시간이 증대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공급 전력이 증가하여, 부하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과부하로 된 경우에는, 반대로 공급 전력이 감소한다. 과부하가 되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나무 가지가 회전 칼날에 끼여 회전 칼날의 회전이 정지한 상황이 상정되기 때문에, 공급 전력을 저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과부하 상태로 된 경우는 단위 시간당의 전력 공급 시간을 감소시키기로 하였다.
제 10 형태의 예초기에서는, 부하량을 검지하는 부하량 검지수단을 구비하고, 부하량에 따라서 모터로 공급하는 전압을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 제 1 내지 제 9 형태 중 어느 하나의 예초기이다.
제 11 형태의 예초기에서는, 부하량의 증대에 따라서 모터에 공급하는 전압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0 형태의 예초기이다.
제 12 형태의 예초기에서는, 전방측 조작 막대를 떼어내어 모터부에 그래스 커터, 선형 커터, 또는 농작업용 어태치먼트가 설치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 제 1 내지 제 11 형태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예초기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우선,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제 1 실시형태에 관해서 설명한다. 예초기(1)는 원판형의 회전 칼날(9)을 갖고, 회전 칼날(9)이 장착된 작용부(3)와, 모터의 구성부재가 수납된 모터부(6)와, 전지(7)가 수납된 전원부(8)를 갖는다. 예초기(1)의 조작 막대는 2분할되어 있고, 전방측 조작 막대(10)와 후방측 조작 막 대(11)로 분리되어 있다.
전방측 조작 막대(10)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부에 동력 전동축(12)을 내장한다. 동력 전동축(12)은 베어링(15, 16)에 의해서 중공 위치에 지지되어 있고 전방측 조작 막대(10)의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다.
동력 전동축(12)은 베어링(15, 16)에 의해서 스러스트(thrust) 방향으로도 지지되어 있고, 동력 전동축(12)은 전방측 조작 막대(10)로부터 빠지는 경우는 없다.
전방측 조작 막대(10)의 선단에는 작용부(3)가 설치되어 있다. 작용부(3)는 공지의 엔진 구동의 예초기와 마찬가지로, 베벨 기어열(17)을 갖고, 베벨 기어열(17)의 입력측에 상기한 동력 전동축(12)이 접속되어 있고, 베벨 기어열(17)에 의해서 동력 전동축(12)의 회전방향이 약 45°변환된다. 베벨 기어열(17)의 출력측에는, 그래스 커터 설치판(18)이 설치되어 있다.
나사(도시 생략)에 의해서 그래스 커터 설치판(18)에 회전 칼날(9)이 장착되어 있다.
한편, 전방측 조작 막대(10)의 모터부(6)측에 주목하면, 전방측 조작 막대(10)의 모터부측 단부에는 플랜지(20)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전방측 조작 막대(10)의 모터부측 단부에는 캡 너트(21)가 장착되어 있다. 또 동력 전동축(12)의 모터부측 단부(입력축)에는 볼록형의 결합편(23)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모터부(6)는 모터 그 자체이고, 강성을 구비한 통(筒; 22)을 갖고, 통(22)내에 회전자(25)와 고정자(26)가 내장되어 있다. 고정자(26)는 통(22)의 내면측에 직접적으로 장착되어 있다. 회전자(25)는 통(22)의 중심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회전자(25)의 선단(출력축)에는 오목형의 결합편(28)이 형성되어 있다.
회전자(25)는 모터부(6)의 선단측으로부터 돌출하고 있다. 또한 모터부(6)의 통(22)의 선단부에 플랜지부(30)가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부(30)의 외주면에는 나사(3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모터부(6)에 의해서 구성되는 모터는 브러쉬리스 모터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모터부(6)와 전방측 조작 막대(10)는 상기한 캡 너트(21)와 나사(31)를 통하여 결합되어 있다. 즉, 모터부(6)의 플랜지부(30)와, 전방측 조작 막대(10)의 플랜지부(20)가 합치되고, 전방측 조작 막대(10)측의 캡 너트(21)를 모터부(6)측의 나사(31)에 결합함으로써 모터부(6)와 전방측 조작 막대(10)가 직선형으로 결합되어 있다.
또한 모터부(6)의 회전자(25)의 선단에 설치된 오목형의 결합편(28)과 동력 전동축(12)측의 볼록형의 결합편(23)이 결합하고, 회전자(25)와 동력 전동축(12)이 기구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즉 모터부(6)측의 결합편(28)과 동력 전동축(12)측의 결합편(23)은 회전방향에 대하여 일체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단 모터부(6)측의 결합편(28)과 동력 전동축(12)측의 결합편(23)은 축방향으로는 결합되지 않는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모터부(6)와 전방측 조작 막대(10)가 캡 너트(21)와 나 사(31)를 통하여 결합되어 있고, 또한 모터부(6)측의 결합편(28)과 동력 전동축(12)측의 결합편(23)은 축방향으로 자유롭기 때문에, 모터부(6)와 전방측 조작 막대(10)는 분리가 용이하다. 즉 캡 너트(21)와 나사(31)의 결합을 풀어, 모터부(6)와 전방측 조작 막대(10)를 떼어 놓으면, 양자는 분리된다.
한편, 모터부(6)의 플랜지부(30)와, 전방측 조작 막대(10)의 플랜지부(20)를 합치시켜, 캡 너트(21)를 나사(31)에 결합하면, 모터부(6)의 통(22)과 전방측 조작 막대(10)가 기계적으로 일체화된다. 이와 동시에 모터부(6)측의 결합편(28)과 동력 전동축(12)측의 결합편(23)이 결합하여, 모터부(6)측의 회전력이 동력 전동축(12)에 전동 가능한 상태가 된다.
본 실시형태의 예초기(1)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전방측 조작 막대(10)를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기 때문에, 농작업의 내용에 따라서 전방측 조작 막대(10)를 교체할 수 있다. 교체용의 전방측 조작 막대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다음에, 모터부(6)의 후단부분과 후방측 조작 막대(11)의 결합 구조에 주목하면, 양자가 이루는 각도를 변경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하는 예초기의 모터부와 후방측 조작 막대의 결합 구조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즉, 모터부(6)의 통(22)과 후방측 조작 막대(11)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모터부(6)의 통(22)의 후단부에는 2장의 판형부(33)가 평행하게 돌출하고 있다. 그리고 각 판형부(33)에는 구멍(35)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후방측 조작 막대(11)의 선단부에는 한 장의 판형부(36)가 돌출하고 있고, 상기 판형부(36)에도 구멍(37)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후방측 조작 막대(11)의 판형부(36)가 모터부(6)측의 판형부(33)의 사이에 삽입되고, 양자의 구멍(35, 37)에 나사(38)가 삽입하여 통과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나사(38)의 체결력에 의해서 모터부(6)측의 판형부(33)사이가 체결되고, 후방측 조작 막대(11)의 판형부(36)가 끼워져서 고정되어 있다.
그 때문에 모터부(6)와 후방측 조작 막대(11)의 상대 각도는 임의이다. 즉 모터부(6)와 후방측 조작 막대(11)를 소망의 각도로 보유하고 나사(38)를 단단히 죔으로써, 후방측 조작 막대(11)를 모터부(6)에 대하여 소망의 각도로 고정할 수 있다.
도 5b는 예초기(1)의 모터부와 후방측 조작 막대부분의 각도를 변경한 상태를 도시한다. 도 6b 및 도 6c는 각각 양자의 각도를 변경한 상태를 도시한다.
후방측 조작 막대(11)에는 공지의 예초기와 마찬가지로, 조작용 핸들(40)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후방측 조작 막대(11)의 중간부에는 제어장치(41)가 장착되어 있다. 제어장치(41)에는 공지의 전동 예초기와 마찬가지로, 조작 스위치(45)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조작 스위치(45)는 단순한 온오프 뿐만 아니라, 각종 동작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동작 모드의 상세한 것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후방측 조작 막대(11)의 후단에는, 전원부(8)가 장착되어 있다. 전원부(8)의 설치 구조는 상기한 모터부(6)와 전방측 조작 막대(10)의 설치 구조와 동일하다.
도 7은 도 1에 도시하는 예초기의 전원부로부터 모터부에 걸친 단면도이다.
즉 후방측 조작 막대(11)의 전원부측 단부에는 플랜지(50)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후방측 조작 막대(11)의 전원부측 단부에는 캡 너트(51)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전원부(8)의 통(52)의 선단부에, 나사부(55)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원부(8)와 후방측 조작 막대(11)는 상기한 캡 너트(51)와 나사부(55)를 통하여 결합되어 있다.
즉 후방측 조작 막대(11)의 플랜지(50)와, 전원부(8)의 나사부(55)의 단면(端面)이 합치되고, 후방측 조작 막대(11)측의 캡 너트(51)를 전원부(8)의 나사부(55)에 결합함으로써 전원부(8)를 후방측 조작 막대(11)의 단부에 결합시키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원부(8)의 선단에 핀(56)이 설치되고, 한쪽의 후방측 조작 막대(11)내에는 소켓(57)이 설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전원부(8)를 후방측 조작 막대(11)에 장착하면, 필연적으로 전원부(8)의 핀(56)이 후방측 조작 막대(11)측의 소켓(57)과 결합하여, 전원부(8)는 후방측 조작 막대(11)측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원부(8)가 후방측 조작 막대(11)에 대하여 캡 너트(51)와 나사부(55)의 결합에 의해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전원부(8)는 착탈이 용이하다.
또한 후방측 조작 막대(11)내에는 케이블(도전부재; 58)이 내장되어 있고, 소켓(57)과 제어장치(41)가 케이블(58)에 의해서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제어장치(41)에는 다른 케이블(도전부재; 59)이 접속되어 있고, 상기 케이블(59)은 상기한 모터부(6)에 접속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예초기(1)는 전원부(8)를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기 때문에, 농작업의 내용에 따라서 전원부(8)를 교체할 수 있다. 즉 내장되는 배터리(전지; 5)의 용량이나 전압이 다른 전원부(8)를 복수 준비하면, 필요에 따라서 모터부(6)에 공급되는 전압을 변경할 수 있다.
도 8은 보다 대형의 전원부를 장비한 본 실시형태의 예초기의 사시도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어장치(41)내에 전압 검지부(도시하지 않음)가 있고, 전원부(8)로부터 입력되는 전원 전압을 감시하고 있다. 그리고 전원 전압에 따라서 제어모드가 바뀌어, 적절한 전력을 모터부(6)에 공급한다. 예를 들면 전원부(8)가 리튬전지를 내장하고, 상기 리튬전지가 직렬 2단으로 접속된 것이라면, 전원 전압은 약 6 내지 9볼트이다.
또한 전원부(8)가 리튬전지를 내장하고, 상기 리튬전지가 직렬로 4단으로 접속된 것이면, 전원 전압은 배인 12 내지 18볼트이다.
또한 전원부(8)가 니켈 수소 전지를 내장하고, 상기 니켈수소 전지가 직렬 10단으로 접속된 것이라면, 전원 전압은 약 12볼트이다.
또한 전원부(8)가 니켈수소 전지를 20단으로 접속된 것이라면, 전원 전압은 약 24볼트이다.
제어장치(41)는 내장하는 전압 검지부에서 이 전압을 검지하여, 적절한 전력을 모터부(6)에 공급한다.
전지의 전압이 높은 경우는, 모터부(6)에 의해 높은 전압이 인가되지만, 모터부(6)에 인가되는 전압은 전원부(8)의 전압에 비례하는 것은 아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예초기(1)의 동작 모드에 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예초기(1)에서는, 경부하 모드, 중부하 모드, 절전 모드 및 특수 모드로 사용할 수 있다. 여기에서 경부하 모드는 예를 들면 잔디와 같은 부드러운 풀을 베어내는 경우에 사용되는 것이며, 모터부(6)에 공급되는 전압이 낮다. 또한 모터부(6)에 공급되는 전류의 상한도 낮고, 회전 칼날은 비교적 천천히 회전한다.
중부하 모드는 쑥이나 기린초 등의 줄기가 단단한 풀을 베는 경우에 채용되는 것이며, 모터부(6)에 공급되는 전압이 높다. 또한 모터부(6)에 공급되는 전류의 상한도 높고, 회전 칼날은 고속으로 회전한다.
중부하 모드로 운전하는 경우에는, 전원부(8) 대신에, 높은 전압을 발생하는 전원부(8)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절전 모드는 모터부(6)에 대하여 간헐적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모드이다. 즉 절전 모드에서는, 소정의 주기로 전력이 공급된다. 바꿔 말하면, 펄스형의 전압이 모터부(6)에 인가된다. 따라서 절전 모드에 있어서는, 모터부(6)는 간헐적으로 회전하지만, 회전 칼날(9)은 상당한 모멘트를 가지기 때문에, 회전 칼날(9) 자체가 관성 바퀴로서 기능하여, 육안으로 본 상태에서는 회전 칼날(9)은 일정 회전으로 원활하게 회전한다.
그리고 절전 모드에 있어서는, 상시 부하량을 검지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 으로는, 모터부(6)에 공급되는 전류값을 검지하고, 전류값에 의해서 부하 변동을 간접적으로 알 수 있다.
그리고 부하량이 증대하면, 부하량의 증대에 따라서 단위 시간당의 전력 공급 시간을 증대시킨다. 예를 들면 주기를 변경하지 않고서 펄스폭을 증가시킨다. 또는 펄스폭을 변경하지 않고서 펄스 간격을 짧게 한다.
본 실시형태에서 채용하는 절전 모드에서는, 전력 공급이 간헐적이고, 또한 부하에 따라서 공급 전압 등을 변경하기 때문에, 쓸데없는 전력 소비가 억제된다.
또한 전력 공급이 간헐적이기 때문에, 회전 칼날(9)에 이물이 끼여 정지한 경우라도, 모터 등의 상처가 적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과부하 상태로 된 경우에는 단위 시간당의 전력 공급 시간을 감소시킨다. 과부하 상태가 된 경우는, 예를 들면 나무 가지가 회전 칼날에 끼여 회전 칼날의 회전이 정지된 상황을 상정하고 있고, 단위 시간당의 전력 공급 시간을 감소시켜 모터 등의 소손(燒損)을 방지한다.
특수 모드는 회전 칼날 이외의 칼날이나 어태치먼트를 사용하는 경우의 모드이고, 그것에 따른 회전수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예를 들면 나일론 코드 커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작용부의 회전이 보다 고속이 되도록 설정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예초기는 이발기계 모양의 칼날이나 2도 칼날과 같은 전단 칼날을 장착시킬 수도 있지만, 이발기계 모양의 칼날이나 2도 칼날과 같은 전단 칼날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모터의 회전이 저속이 되도록 설정된다.
다음에 교체용의 전방측 조작 막대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9는 교체용의 전방측 조작 막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하는 전방측 조작 막대를 설치 상태에 있어서의 예초기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하는 예초기를 사용한 경우의 작업 상황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12는 다른 교체용의 전방측 조작 막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예초기(1)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전방측 조작 막대(10)를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기 때문에, 농작업의 내용에 따라서 전방측 조작 막대(10)를 교체할 수 있다.
교체용의 전방측 조작 막대로서는, 예를 들면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장척형의 전방측 조작 막대(60)가 있다.
장척형의 전방측 조작 막대(60)는 예를 들면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경사면의 풀을 베는 경우에 편리하다.
도 11은 하측의 길에서 산의 경사면의 풀을 베는 경우를 상정한 것이다.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장척형의 전방측 조작 막대(60)를 사용하면, 산 속으로 헤치고 들어가지 않더라도 경사면의 풀을 베어낼 수 있어, 편리하다.
또한 도 11과 같은 급경사면의 풀을 하측으로부터 수확하는 경우에는, 작용부(3)측을 높게 들어올리는 경우에는, 도 6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방측 조작 막대(11)를 상측으로 향하여 구부린 상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대로 제방의 위에 서서 하강 경사면의 풀을 베는 경우는, 도 6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방측 조작 막대(11)를 하측으로 향하여 구부린 상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모터부(6)의 통(22)과 후방측 조작 막대(11)는 소위 클레비스(clevis) 구조와 비슷한 결합 구조로 되어 있고, 나사(38)의 체결력에 의해서 후방측 조작 막대(11)를 고정하고 있기 때문에, 모터부(6)와 후방측 조작 막대(11)의 상대 각도를 임의로 변경할 수 있다. 그 때문에 필요에 따라서, 후방측 조작 막대(11)를 구부린 상태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중량부인 모터부(6)가 예초기(1) 전체의 중간 부분에 있기 때문에, 회전 칼날(9)을 상방을 향하여 치켜들기 쉽고, 지치지 않는다.
본 실시형태의 예초기(1)는 물론 회전 칼날 대신에 나일론 코드 커터를 사용할 수 있지만,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미리 나일론 코드 커터(62)가 장착된 전방측 조작 막대(61)를 준비하여, 필요에 따라서 전방측 조작 막대(61)마다 교체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예초기(1)는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이발기계 모양의 칼날(63)을 장착할 수도 있다. 즉 도 13은 본 실시형태의 예초기에 장착 가능한 칼날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커터를 장착한 예초기의 사시도이다.
이발기계 모양의 칼날(63)을 사용하여, 잔디밭을 깎는 경우에는,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모터부(6)와 후방측 조작 막대(11)의 상대각도를 90°근방으로 할 수도 있다.
이발기계 모양의 칼날(63)은 회전 칼날보다도 무겁지만, 본 실시형태의 예초기에서는, 중량부인 모터부(6)가 예초기 전체의 중간부분에 있기 때문에, 밸런스가 좋아, 사용하기 쉽다.
또 도 14에 도시하는 예초기에서는, 고리 모양의 조작용 핸들(65)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전원부(8)가 착탈 자유롭고, 농작업의 내용에 따라서 용량이나 전압이 다른 전원부(8)로 교체할 수 있는 구성을 나타내지만, 이것 대신에, 또는 이것에 더하여, 전원부를 새롭게 부가하여 전원부를 증설할 수 있는 구조를 채용할 수도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예초기의 사시도이고, 새로운 전원부(66)를 원래의 전원부(8)에 접속하여, 전원부(8, 66)를 직렬로 접속하여 전원부 전체의 전압을 승압시키는 구성을 예시한 것이다.
이상 설명한 실시형태에서는, 후방측 조작 막대와 모터부의 사이에 굴곡 가능한 구성을 설치하였지만, 후방측 조작 막대를 더욱 분할하여, 후방측 조작 막대의 중간부에 굴곡 가능한 구성을 설치하여, 후방측 조작 막대의 후방측과 모터부의 사이의 각도를 변경 가능하게 하여도 좋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예를 들었지만, 공통된 특징은 예초기의 자세가 변화하더라도 중량 밸런스의 변화가 적다. 그 때문에 본 발명의 예초기는 사용시의 피로가 적다는 것이다.
Claims (12)
- 그래스 커터, 선형 커터, 또는 농작업용 어태치먼트가 설치된 작용부와, 모터가 수납된 모터부와, 전지가 수납된 전원부와, 전방측 조작 막대 및 후방측 조작 막대를 갖는 예초기로서,작용부는 예초기 전체의 선단부에 있고, 모터부는 예초기 전체의 중간부에 있으며 작용부와 모터부의 사이에 전방측 조작 막대가 있고, 전원부는 예초기 전체의 후방에 있으며 모터부와 전원부의 사이에 후방측 조작 막대가 있고, 후방측 조작 막대에는 도전부재가 내장 또는 설치되어 있어 모터에 전력을 공급하며, 전방측 조작 막대에는 동력 전동부재가 내장되어 있어 모터의 동력을 작용부에 전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초기.
- 제 1 항에 있어서, 후방측 조작 막대와 모터부 사이의 각도를 변경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초기.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모터부와 전방측 조작 막대가 착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초기.
- 제 3 항에 있어서, 모터부 내에는 출력축이 설치되고, 전방측 조작 막대에는 입력축이 있으며, 상기 출력축과 입력축은 서로 결합하는 결합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결합부는 모터부와 전방측 조작 막대의 착탈에 따라 결합·이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초기.
-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원부가 증설 또는 교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초기.
-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압 검지 기능을 구비하고, 전원부의 전압을 검지하여 소정의 전력을 모터부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초기.
- 제 1 항 내지 제 6 항에 있어서, 모터에 대한 전력 공급이 간헐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초기.
- 제 7 항에 있어서, 부하량을 검지하는 부하량 검지수단을 구비하고, 부하량에 따라 전력을 공급하는 간격 또는 단위 시간당의 공급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초기.
- 제 8 항에 있어서, 부하량의 증대에 따라서 단위 시간당의 전력 공급 시간을 증대하고, 과부하 상태로 된 경우는 단위 시간당의 전력 공급 시간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초기.
-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부하량을 검지하는 부하량 검지수단을 구비하고, 부하량에 따라서 모터에 공급하는 전압을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초기.
- 제 10 항에 있어서, 부하량의 증대에 따라서 모터에 공급하는 전압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초기.
-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방측 조작 막대를 떼어내어 모터부에 그래스 커터, 선형 커터, 또는 농작업용 어태치먼트가 설치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초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6-00172535 | 2006-06-22 | ||
JP2006172535A JP4122484B2 (ja) | 2006-06-22 | 2006-06-22 | 草刈り機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121533A true KR20070121533A (ko) | 2007-12-27 |
KR101160478B1 KR101160478B1 (ko) | 2012-06-28 |
Family
ID=38515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59874A KR101160478B1 (ko) | 2006-06-22 | 2007-06-19 | 모터 구동식 예초기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20080006015A1 (ko) |
EP (1) | EP1869965B1 (ko) |
JP (1) | JP4122484B2 (ko) |
KR (1) | KR101160478B1 (ko) |
CN (1) | CN101091429A (ko) |
DE (1) | DE602007003404D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142257A (ko) | 2020-05-18 | 2021-11-25 | 정길 | 잡초제거기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750825B2 (ja) | 2009-08-28 | 2015-07-22 | 日立工機株式会社 | 電動作業機 |
JP5418119B2 (ja) * | 2009-09-30 | 2014-02-19 | 日立工機株式会社 | 作業機械 |
JP5829006B2 (ja) * | 2010-01-14 | 2015-12-09 | 日立工機株式会社 | 電動作業機 |
JP5668290B2 (ja) * | 2010-01-14 | 2015-02-12 | 日立工機株式会社 | 電動作業機 |
JP2012115170A (ja) * | 2010-11-29 | 2012-06-21 | Hitachi Koki Co Ltd | 電動作業機 |
EP2732687A4 (en) * | 2011-07-12 | 2015-04-22 | Yanmar Co Ltd | MOBILE ELECTRIC MACHINE |
JP2013017436A (ja) * | 2011-07-12 | 2013-01-31 | Yanmar Co Ltd | 移動式電動作業機 |
CN102652474B (zh) * | 2011-12-07 | 2014-05-21 | 宁波大叶园林设备有限公司 | 有触媒消声管及旋涡喷嘴和二冲多扫气口汽油机的割灌机 |
JP6085469B2 (ja) * | 2012-12-19 | 2017-02-22 | 株式会社マキタ | 電動草刈機 |
CN203261732U (zh) | 2013-01-28 | 2013-11-06 | 创科户外产品技术有限公司 | 手持植物修剪器 |
JP6315541B2 (ja) | 2013-02-01 | 2018-04-25 | 株式会社マキタ | 刈払機 |
JP2014147355A (ja) * | 2013-02-01 | 2014-08-21 | Makita Corp | 電動刈り払い機 |
CN103404295B (zh) * | 2013-08-17 | 2016-09-14 | 宁波大叶园林设备有限公司 | 带喉口间隙雾化化油器的低排放汽油打草机 |
CN103448036B (zh) * | 2013-09-06 | 2017-01-04 | 常州格力博有限公司 | 一种后置动力工具 |
CN103448037B (zh) * | 2013-09-06 | 2017-02-22 | 常州格力博有限公司 | 一种后置动力工具 |
JP2014023542A (ja) * | 2013-11-07 | 2014-02-06 | Hitachi Koki Co Ltd | 作業機械 |
CN204180550U (zh) * | 2014-10-24 | 2015-03-04 | 常州格力博有限公司 | 中置打草机 |
KR101734658B1 (ko) | 2015-07-01 | 2017-05-11 | 한동윤 | 예초기 |
JP2019118280A (ja) * | 2017-12-28 | 2019-07-22 | 嘉浩 風間 | 草刈り装置 |
JP7120605B2 (ja) * | 2018-05-21 | 2022-08-17 | 国立研究開発法人農業・食品産業技術総合研究機構 | 作業用車両、作業用車両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
JP7456598B2 (ja) * | 2018-06-29 | 2024-03-27 | 株式会社ササキコーポレーション | 自走式作業機及び自走式作業機の制御システム |
KR102589720B1 (ko) * | 2018-10-10 | 2023-10-18 | 한국전력공사 | 드론 시스템 |
CN110050533A (zh) * | 2019-05-26 | 2019-07-26 | 张华强 | 一种可犁地的割草机及使用方法 |
CN111727724A (zh) * | 2020-05-22 | 2020-10-02 | 高邮市北方动力机械有限公司 | 一种可移动的轻便型打草机 |
CN112751455A (zh) * | 2020-12-25 | 2021-05-04 | 绿友机械集团股份有限公司 | 电机前置的手持锂电园林工作头驱动装置 |
KR102547624B1 (ko) | 2022-10-14 | 2023-06-28 | 한국농기계 (주) | 다목적 양손 예초기 |
Family Cites Families (1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847406A (ja) * | 1981-09-17 | 1983-03-19 | 奈良 満 | 刈払機 |
GB2125668B (en) * | 1982-08-31 | 1985-12-18 | Piston Powered Products Inc | Flailing line trimmers |
US5181369A (en) * | 1991-03-01 | 1993-01-26 | Inertia Dynamics Corporation | Battery powered line trimmer |
JP2525820Y2 (ja) | 1991-06-26 | 1997-02-12 | 石川島芝浦機械株式会社 | 電動草刈機 |
FR2704384B1 (fr) * | 1993-04-28 | 1995-06-30 | Lange Andre | Dispositif pour tailler et ratisser les herbes, gazons et vegetaux divers. |
JPH0736611A (ja) | 1993-07-20 | 1995-02-07 | Hitachi Ltd | 三次元座標入力装置 |
KR970003407Y1 (ko) * | 1994-11-30 | 1997-04-17 | 이종기 | 예초기의 풀감김 방지장치 |
EP0841000B1 (en) * | 1996-11-08 | 2002-01-09 | Black & Decker Inc. | Battery powered vegetation trimmer |
JP3731994B2 (ja) * | 1997-11-12 | 2006-01-05 | 株式会社共立 | 携帯式動力作業機 |
DE10003984A1 (de) * | 2000-01-29 | 2001-08-02 | Stihl Maschf Andreas | Arbeitsgerät mit einem Antriebsmotor |
DE20020013U1 (de) * | 2000-11-24 | 2001-03-01 | Haake, Jürgen, 21244 Buchholz | Motorsense |
US6474747B2 (en) * | 2000-11-30 | 2002-11-05 | Homelite Technologies Limited | Split boom coupling structure |
JP4027043B2 (ja) * | 2001-01-15 | 2007-12-26 |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 刈払機の操作レバー |
US6997633B2 (en) * | 2002-09-30 | 2006-02-14 | Homelite Technologies, Ltd. | Coupling for split-boom power tool |
GB2411565B (en) * | 2004-03-03 | 2007-02-21 | Grey Technology Ltd | Trimming apparatus |
GB0509745D0 (en) * | 2005-05-13 | 2005-06-22 | Black & Decker Inc | Vegetation trimmer |
US7538503B2 (en) * | 2006-04-21 | 2009-05-26 | Andreas Stihl Ag & Co. Kg | Hand-held power tool, in particular a trimmer or the like, having an electric drive motor |
-
2006
- 2006-06-22 JP JP2006172535A patent/JP4122484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7
- 2007-06-13 EP EP07011580A patent/EP1869965B1/en not_active Not-in-force
- 2007-06-13 DE DE602007003404T patent/DE602007003404D1/de active Active
- 2007-06-19 KR KR1020070059874A patent/KR101160478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7-06-21 US US11/820,819 patent/US20080006015A1/en not_active Abandoned
- 2007-06-22 CN CNA2007101125964A patent/CN101091429A/zh active Pending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142257A (ko) | 2020-05-18 | 2021-11-25 | 정길 | 잡초제거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080006015A1 (en) | 2008-01-10 |
EP1869965A2 (en) | 2007-12-26 |
KR101160478B1 (ko) | 2012-06-28 |
EP1869965B1 (en) | 2009-11-25 |
DE602007003404D1 (de) | 2010-01-07 |
EP1869965A3 (en) | 2008-01-16 |
JP4122484B2 (ja) | 2008-07-23 |
CN101091429A (zh) | 2007-12-26 |
JP2008000067A (ja) | 2008-01-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60478B1 (ko) | 모터 구동식 예초기 | |
US6014812A (en) | Battery powered vegetation trimmer | |
JP4858911B2 (ja) | 草刈り機 | |
EP2720526B1 (en) | Speed control for power tools | |
US20110258859A1 (en) | Cutting device and method | |
KR100927795B1 (ko) | 전동 낫 | |
US9241444B2 (en) | Drive train for a hedge trimmer, a hedge trimmer and a method of controlling a hedge trimmer | |
WO2018007111A1 (en) | Portable electric tool system | |
US10694672B2 (en) | Multi-use tool with interchangeable attachments | |
CN210093869U (zh) | 一种多功能梳草机 | |
WO2011056100A1 (en) | Cutting head for hand-held motor driven tools and a handheld battery powered working tool provided with a cutting head | |
US10334779B2 (en) | Balanced trim shield with a single, dual direction line cutting member | |
KR20210051871A (ko) | 사용이 편리한 경량형 충전식 예초기 | |
US20140262388A1 (en) | Tool having a rear motor | |
CN105830623B (zh) | 割草机 | |
CN201563384U (zh) | 植被修割机 | |
GB2522313A (en) | Chassis drive device of a garden working machine | |
CN219459831U (zh) | 长杆式修枝机 | |
CN218007060U (zh) | 前置式双速打草机 | |
KR200312194Y1 (ko) | 예초기의 청소수단 | |
JP2011239789A (ja) | トルク伝達装置とそれを用いた刈払機 | |
CN209420334U (zh) | 一种便携式割草机 | |
CN220935681U (zh) | 一种多功能打草头 | |
CN218417374U (zh) | 一种割草机用连杆的焊接头 | |
CN207639207U (zh) | 一种除草机的蓄电池改善及零部件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