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7795B1 - 전동 낫 - Google Patents

전동 낫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7795B1
KR100927795B1 KR1020090005428A KR20090005428A KR100927795B1 KR 100927795 B1 KR100927795 B1 KR 100927795B1 KR 1020090005428 A KR1020090005428 A KR 1020090005428A KR 20090005428 A KR20090005428 A KR 20090005428A KR 100927795 B1 KR100927795 B1 KR 1009277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motor
blade
gear
grass
elect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54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해성
Original Assignee
이해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해성 filed Critical 이해성
Priority to KR10200900054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77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77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7795B1/ko
Priority to PCT/KR2010/000409 priority patent/WO2010085105A2/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1/00Hand-cutting implements for harvesting
    • A01D1/04Sick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1/00Hand-cutting implements for harves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00Cutting imp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horticultural purposes; Delimbing standing trees
    • A01G3/04Apparatus for trimming hedges, e.g. hedge shears
    • A01G3/047Apparatus for trimming hedges, e.g. hedge shears portable
    • A01G3/053Apparatus for trimming hedges, e.g. hedge shears portable motor-drive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00Cutting imp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horticultural purposes; Delimbing standing trees
    • A01G3/06Hand-held edge trimmers or shears for lawns
    • A01G3/067Motor-driven shears for law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풀, 작은 나뭇가지 또는 나무의 잎 등을 정리하기 위하여 전동모터의 회전운동을 직선왕복운동으로 변환시켜 상하부에 날이 형성된 절단부가 빠른 속도로 직선왕복운동을 할 수 있도록 설계 제작된 휴대용 전동 낫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 및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들 또는 산에 존재하는 풀을 자르거나 나뭇잎 및 작은 나뭇가지 등을 정리할 때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배터리를 내장하고 배터리에서 공급되는 전원으로 구동되는 전동모터를 구비하며, 전동모터의 회전력을 풀을 자르기 위한 상하 날이 형성된 절단부가 직선왕복운동을 하도록 변환하기 위하여 전동모터의 회전축에는 전동모터의 회전력을 절단부에 전달하기 위한 기어를 설치하고, 상기 기어의 회전력을 90° 방향으로 변환시켜 전달하기 위한 방향전환용 기어가 서로 맞물러 회전하며, 방향전환용 기어의 회전축에는 방향전환용 기어의 회전운동을 절단부의 직선왕복운동으로 변환하기 위한 연결부재와 체결되는 브라켓이 고정 설치되고, 브라켓의 일측에는 연결부재와 체결되는 체결부가 중심축에서 7㎜내지 12㎜ 정도 벗어나서 돌출되게 설치되며, 돌출된 체결부와 연결된 연결부재는 날이 형성된 절단부를 직선왕복운동으로 변환시켜 풀 또는 작은 나뭇가지를 자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하부 칼날, 전동모터, 방향 전환용 기어, 기어, 휴대용

Description

전동 낫{An Electric Motion Sickle}
본 발명은 벌초용, 논밭두렁 및 과수원제초용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손잡이와 인접하여 배터리를 내장하고, 배터리에서 공급되는 전원으로 구동되는 전동모터가 배터리와 인접하여 설치되며, 전동모터의 회전력으로 풀을 자르기 위한 상부 및 하부에 날이 형성된 절단부가 직선왕복운동을 하도록 변환하기 위하여 전동모터의 회전축에는 전동모터의 회전력을 절단부에 전달하기 위한 기어가 고정 설치되고, 상기 기어의 회전력을 감속하면서 90° 방향으로 변환시켜 전달하기 위한 방향전환을 위한 기어와 맞물러 회전하도록 구성되며, 방향전환을 위한 기어의 회전축에는 방향전환을 위한 기어의 회전운동을 상하에 날이 형성된 절단부를 직선왕복운동으로 변환하기 위한 연결부재와 체결되는 브라켓이 고정 설치되고, 브라켓의 일측에는 연결부재와 체결하기 위한 돌출된 체결부가 중심축에서 7㎜내지 12㎜ 정도 벗어나서 설치되며, 상기 방향전환을 위한 기어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동모터의 회전력을 절단부에 전달하기 위한 기어의 맞은편에는 방향전환을 위한 기어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기어가 설치되고, 상기 연결부재의 왕복운동 시에 날이 형성된 절단부의 상부 날이 이탈하지 않도록 지지해주는 엠보블럭이 형성된 하부 날을 구비하며, 상기 직선왕복운동을 하는 연결부재는 절단부의 상부에 위치한 날을 빠르게 직선왕복운동시켜 프레임에 고정된 절단부 하부 날과 조화를 이루어 풀 또는 작은 나뭇가지를 자를 수 있도록 설계 제작된 전동 낫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예초기는 경유, 등유 또는 휘발유 등을 사용하여 엔진의 회전력을 얻도록 제작되어 무겁고 회전부에 부착된 칼날에 의하여 작업자 또는 인근에 위치한 사람이 다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 다른 종래기술은 커다란 가위 형상으로 제작되어 수동으로 잔디 또는 정원의 나무 잎 및 작은 나뭇가지 등을 정리하므로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작업자들이 쉽게 지치는 문제점이 있다.
또 다른 종래기술은 작업자들이 탑승하고 운전하면서 잔디 또는 풀을 깎는 장치는 휴대하기가 용이하지 않고 평지가 아닌 장소에서는 사용하기가 어려우며 가격이 비교적 비싼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정원의 나뭇잎 및 작은 나뭇가지를 정리할 때 들 또는 산에 존재하는 풀을 자르기 위한 벌초용이나 논밭두렁 및 과수원제초용으로 휴대하고 다니면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전동 낫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작업자가 제초 작업할 때 팔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손잡이를 중심으로 무게의 균형을 이루어 작업자가 한손으로 잡고 일정시간동안 용이하게 작업을 할 수 있도록 설계 제작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잔디, 풀, 정원의 나뭇잎 및 작은 나뭇가지를 절단하는 절단부를 상부 날과 하부 날로 구성하여 하부 날을 프레임에 고정하여 직선왕복운동을 하는 상부 날과 연동하여 효과적으로 절단하되, 상부 날과 하부 날의 칼날의 수를 달리 형성하거나 서로 겹치지 않도록 제작하여 모든 칼날사이에 풀이나 나뭇가지가 들어가 과부하가 걸리지 않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절단부를 구성하는 칼날에 돌기를 형성하여 마찰력을 증가시켜서 칼날사이에 들어간 잔디, 풀 및 나뭇가지 등이 미끄러져 잘리지 않는 것을 방지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고속으로 회전하는 부분과 고속으로 직선왕복운동하는 부분에서의 마찰에 의한 마모를 최소화하거나 내마모성 재질을 사용하여 내구성과 신뢰성을 증대시키는데 있다.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은 벌초용, 논밭두렁 및 과수원제초용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손잡이와 인접하여 배터리를 내장하고, 배터리에서 공급되는 전원으로 구동되는 전동모터가 배터리와 인접하여 설치되며, 전동모터의 회전력으로 풀을 자르기 위한 상부 및 하부에 날이 형성된 절단부를 직선왕복운동으로 변환하기 위하여 전동모터의 회전축에는 전동모터의 회전력을 절단부에 전달하기 위한 기어가 고정 설치되고, 상기 기어의 회전수 1/2 정도 감속하면서 회전방향을 90°로 변환시켜 전달하기 위한 방향전환을 위한 기어와 맞물러 회전하도록 구성되며, 방향전환을 위한 기어의 회전축에는 방향전환을 위한 기어의 회전운동을 상하부에 날이 형성된 절단부가 직선왕복운동을 하도록 변환하기 위한 연결부재와 체결되는 브라켓이 고정 설치되고, 브라켓의 일측에는 연결부재와 체결하기 위한 체결부가 중심축에서 7㎜내지 12㎜ 정도 벗어나서 설치되며, 상기 방향전환을 위한 기어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전동모터의 회전력을 절단부에 전달하기 위한 기어의 맞은편에는 방향전환을 위한 기어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기어가 체결 설치되고, 상기 연결부재의 왕복운동 시에 날이 형성된 절단부의 상부 날이 이탈하지 않도록 지지해주는 엠보블럭이 형성된 하부 날을 구비하며, 상기 직선왕복운동을 하는 연결부재는 절단부의 상부에 위치한 날을 빠르게 직선왕복동작으로 프레임에 고정된 절단부 하부 날과 조화를 이루어 잔디, 풀 또는 작은 나뭇가지 등을 자를 수 있도록 설계 제작된 전동 낫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 해결 수단은 작업자가 제초 작업할 때 팔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손잡이를 중심으로 앞의 상부 및 하부 날로 이루어진 절단부의 무게와 배터리의 무게가 서로 균형을 이룰 수 있도록 설계 제작함과 동시에, 일반 성인남녀가 한 손으로 용이하게 잡을 수 있는 직경(굵기)으로 손잡이가 설계 제작된 전동 낫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 해결 수단은 잔디, 풀, 정원의 나뭇잎 및 작은 나뭇가지를 절단하는 절단부를 상부 날과 하부 날로 구성하여 하부 날을 프레임에 고정하되, 하부 날에는 상부 날이 직선왕복운동을 하는 동안 이탈을 방지하고 날의 직각도를 높이기 위하여 돌출되게 엠보블럭이 형성되고, 상부 날에는 하부 날에 돌출되게 형성된 엠보블럭에 삽입되는 구멍이 길게 형성되어 상부 날과 연동하여 효과적으로 절단하도록 설계 제작되며, 상부 날과 하부 날의 칼날의 수를 달리 형성하거나 서로 겹치지 않도록 제작하여 모든 칼날사이에 풀이나 나뭇가지가 들어가 과부하가 걸리지 않도록 설계 제작되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절단부를 구성하는 칼날에 다수의 돌기를 형성하여 마찰력을 증가시켜서 칼날사이에 들어간 잔디, 풀 및 나뭇가지 등이 미끄러져 잘리지 않는 것을 방지하도록 설계 제작되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 해결 수단은 고속으로 회전하는 회전부와 회전부의 회전에 의하여 고속으로 직선왕복운동하는 절단부에서 마찰에 의한 마모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기어가 서로 맞물리는 부분의 치수의 오차를 최소화하여 설계 제작하고 내마모성 재질(SUS 420J2)을 사용하여 내구성과 신뢰성을 증대시키는데 있다.
본 발명은 정원의 나뭇잎 및 작은 나뭇가지를 정리할 때 들 또는 산에 존재하는 풀을 자르기 위한 벌초용이나 논밭두렁 및 과수원제초용으로 휴대하고 다니면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작업자가 제초 작업할 때 팔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손잡이를 중심으로 무게의 균형을 이루어 작업자가 한손으로 잡고 일정시간동안 용이하게 작업을 할 수 있도록 설계 제작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잔디, 풀, 정원의 나뭇잎 및 작은 나뭇가지를 절단하는 절단부를 상부 날과 하부 날로 구성하여 하부 날을 프레임에 고정하여 직선왕복운동을 하는 상부 날과 연동하여 효과적으로 절단하되, 상부 날과 하부 날의 칼날의 수를 달리 형성하거나 서로 겹치지 않도록 제작하여 모든 칼날사이에 풀이나 나뭇가지가 들어가 과부하가 걸리지 않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절단부를 구성하는 칼날에 돌기를 형성하여 마찰력을 증가시켜서 칼날사이에 들어간 잔디, 풀 및 나뭇가지 등이 미끄러져 잘리지 않는 것을 방지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고속으로 회전하는 부분과 고속으로 직선왕복운동하는 부분에서의 마찰에 의한 마모를 최소화하거나 내마모성 재질을 사용하여 내구성과 신뢰성을 증대시키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대하여 살펴본다. 본 발명은 벌초용, 논밭두렁 및 과수원제초용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손잡이와 인접하여 배터리를 내장하고, 배터리에서 공급되는 전원으로 구동되는 전동모터가 배터리와 인접하여 설치되며, 전동모터의 회전력으로 풀을 자르기 위한 상부 및 하부에 날이 형성된 절단부를 직선왕복운동을 하도록 변환하기 위하여 전동모터의 회전축에는 전동모터의 회전력을 절단부에 전달하기 위한 기어를 고정 설치하고, 상기 전동모터의 회전력을 절단부에 전달하기 위한 기어의 회전을 감속하면서 회전방향을 90°로 변환시켜 전달하기 위한 방향전환을 위한 기어가 서로 맞물러 회전하도록 설계 제작되며, 방향전환을 위한 기어의 회전축에는 방향전환을 위한 기어의 회전운동을 상하부에 날이 형성된 절단부가 직선왕복운동을 하도록 변환하기 위한 연결부재와 체결되는 브라켓이 고정 설치되고, 브라켓의 일측에는 연결부재와 체결하기 위한 돌출된 체결부가 중심축에서 7㎜내지 12㎜ 정도 벗어나서 설치되며, 상기 방향전환을 위한 기어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전동모터의 회전력을 절단부에 전달하기 위한 기어의 맞은편에는 방향전환을 위한 기어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기어가 설치되고, 상기 연결부재의 왕복운동 시에 날이 형성된 절단부의 상부 날이 이탈하지 않도록 지지해주는 엠보블럭이 돌출되게 형성된 하부 날을 구비하며, 상기 직선왕복운동을 하는 연결부재는 절단부의 상부에 위치한 날을 빠르게 직선왕복동작으로 프레임에 고정된 절단부 하부 날과 조화를 이루어 잔디, 풀 또는 작은 나뭇가지 등을 자를 수 있도록 설계 제작된 전동 낫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과 작용을 설명하며, 도면에 도시되고 설명되는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실시 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 상기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는 도면을 살펴본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라 설계 제작된 전동 낫의 전체적인 구성도((a)는 정면도, (b)는 측면도)이며, 도2는 본 발명에 따라 설계 제작된 전동 낫의 회전운동을 직선왕복운동으로 변환하는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3은 절단부의 하부날 및 하부 프레임의 형상을 도시한 것이며((a)는 하부날 프레임과 하부날의 결합도, (b)는 하부날, (c)는 하부날 프레임, (d)는 하부날과 상부날 결합도), 도4는 절단부의 상부날 및 상부 프레임의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a)는 상부날 프레임과 상부날의 결합도, (a-1)는 (a)의 좌측면도, (b)는 상부날, (c)는 상부날 프레임, (d)는 상부날 프레임). 도5는 도1의 기어와 전동모터를 견고하게 탑재하기 위하여 설계 제작된 다이케스딩의 형상(a)과 다이케스딩 내부에 설치된 기어 및 전동모터의 형상(b)을 나타낸 것이며, 도6은 본 발명의 실시 예2에 따라 회전운동을 직선왕복운동으로 변환하기 위한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실시 예3에 따라 설계 제작된 전동 낫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 예를 살펴본다.
[실시 예]
[실시 예1]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 예1을 도면에 기초하여 살펴본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 예1에 따라 설계 제작된 전동 낫의 전체적인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정원에 있는 다양한 종류의 정원수의 잎과 나뭇가지를 절단하여 아름답게 관리하고, 잔디와 풀을 제거하기 위한 벌초용, 논밭두렁 및 과수원제초용으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휴대용 전동 낫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예초기는 석유, 경유 및 휘발유 중에 하나를 이용하여 구동되며, 무게가 비교적 무겁고 부피가 커서 작업자가 등에 매고 사용하여야하는 불편함과 가격이 비싼 단점이 있다.
도1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동 낫은 손잡이(19)와 인접하여 배터 리(31)의 수납공간이 설치되고, 배터리(31)와 연결되어 배터리(31)에서 공급되는 전원에 의하여 구동되는 전동모터(11)가 배터리(31)와 인접하여 설치되며, 전동모터(11)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풀을 자르기 위하여 상부 날을 직선왕복운동을 하도록 변환하여 프레임에 고정되어 있는 하부 날과 상부 날사이에 위치한 잔디, 풀잎 및/또는 작은 나뭇가지를 용이하게 자를 수 있도록 설계 제작되어 있다.
상기 전동모터(11)의 회전운동을 직선왕복운동으로 변환하기 위하여 전동모터(11)의 회전축에는 도1에서와 같이 전동모터의 회전력을 절단부에 전달하기 위한 기어(13)를 고정 설치하고, 전동모터의 회전력을 절단부에 전달하기 위한 기어(13)와 전동모터(11)사이에는 전동모터의 회전력을 절단부에 전달하기 위한 기어(13)의 회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회전베어링(12)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전동모터의 회전력을 절단부에 전달하기 위한 기어(13)의 회전수가 빠르기 때문에 1/2 감속 또는 원하는 회전수로 감속시켜 90° 방향전환을 위한 기어(14)에 전달되도록 방향전환을 위한 기어의 톱니 수가 전동모터의 회전력을 절단부에 전달하기 위한 기어(13)의 톱니보다 많도록 설계 제작되며, 상기 전동모터의 회전력을 절단부에 전달하기 위한 기어(13)의 회전방향을 90°로 변환시켜 전달하기 위한 방향전환을 위한 기어(14)가 상기 전동모터의 회전력을 절단부에 전달하기 위한 기어(13)와 45° 각도로 맞물러 설치되어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방향전환을 위한 기어(14)의 회전축에는 방향전환을 위한 기어(14)의 회전운동을 상하부 날로 구성된 절단부가 직선왕복운동으로 변환하기 위하여 연결부재(18)와 체결되는 브라켓(24)이 고정 설치되고, 브라켓(24)의 일측에는 연결부재(18)와 체결하기 위한 돌출된 체결부(17)가 중심축에서 7㎜내지 12㎜ 정도 벗어나서 설치되고, 돌출된 체결부(17)는 연결부재(18)에 형성된 체결홈(25) 또는 체결홈 내측에 설치된 회전베어링에 삽입 체결되고, 방향전환을 위한 기어(14)의 회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방향전환을 위한 기어(14)의 내측에 회전베어링(26)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연결부재(18)와 방향전환을 위한 기어(14)의 체결은 회전하면서 이탈하지 않는 구성으로 다양한 형상으로 설계 제작할 수 있다.
상기 중심축에서 7㎜내지 12㎜ 정도 벗어나서 설치된 돌출된 체결부(17)가 회전할 경우에 돌출된 체결부(17)에 삽입 체결된 연결부재(18)의 일측은 회전운동을 하고, 다른 일측은 직선왕복운동을 하도록 설계 제작하여 연결부재(18)와 체결되어 있는 절단부(23)의 상부 날이 직선왕복운동을 하도록 설계 제작하며, 직선왕복운동에 의한 상부 날의 이동거리는 상기 수치의 두 배인 14㎜내지 24㎜ 정도가 되고, 프레임에 고정된 하부 날과 체결된 상부 날사이에 위치한 풀이나 작은 나뭇가지 등을 자를 수 있도록 설계 제작되어 있다.
상기 방향전환을 위한 기어(14)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전동모터의 회전력을 절단부에 전달하기 위한 기어(13)의 맞은편에는 방향전환을 위한 기어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기어(15)가 설치되고, 방향전환을 위한 기어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기어(15)의 회전축에는 회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회전베어링(16)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연결부재의 일측에 형성된 체결 홈(25)에도 회전 시에 마찰에 의한 마모를 줄이고 회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회전베어링(27)이 삽입 체결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잔디, 풀, 정원의 나뭇잎 및 작은 나뭇가지를 절단하는 절단부는 상부 날과 하부 날로 구성하여 하부 날을 프레임에 고정하되, 하부 날에는 상부 날이 직선왕복운동을 하는 동안 이탈을 방지하고 날의 직각도를 높이기 위하여 돌출되게 다수개의 엠보블럭(33)이 형성되고, 상부 날에는 상기 하부 날에 돌출되게 형성된 엠보블럭에 삽입되어 직선왕복운동을 할 수 있도록 엠보블럭에 대응되게 다수개의 엠보블럭의 체결구(37)가 길게 형성되어 체결구(37) 내부에 위치한 엠보블럭(33)의 안내를 받아서 동일한 직선방향으로 왕복운동을 하여 효율적으로 잔디, 풀, 정원의 나뭇잎 및 작은 나뭇가지를 절단하도록 설계 제작되어 있다.
상기 직선왕복운동을 하는 상부 날을 하부 날에 형성된 엠보블럭(33)에 삽입 체결한 후 상부 날이 이탈하지 않도록 상부 날에 형성된 엠보블럭의 체결구(37)의 폭보다 직경이 큰 체결 볼트가 삽입 체결되어 있다.
상기 절단부의 하부날과 상부날의 체결관계를 살펴보면, 하부날을 고정 지지하는 하부프레임에는 상부 날의 외측에 위치하여 상부 날이 이탈하지 않도록 하고 안정된 직선왕복운동을 하도록 상부 날 프레임과 체결되는 체결구와 손잡이와 연결하기 위한 손잡이 연결구를 형성되어 있다. 상부 날 프레임은 상부 날과 함께 고정되게 설치되지 않고 상부 날의 외측에 위치하여 상부 날이 이탈하지 않도록 하며, 상부날 프레임의 좌우측에 형성된 다수의 체결구(38, 39)와 하부날 프레임의 좌우측에 형성된 다수의 체결구(34, 35)에 의하여 서로 고정 설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절단부를 설계 제작할 때, 상부 날과 동일한 크기와 형상을 가진 하부 날의 칼날의 수를 달리 형성하여 정지 시에 상부와 하부의 칼날이 서로 겹치지 않고 어긋나도록 설계 제작하여 모든 칼날사이에 풀이나 나뭇가지가 들어가 과부하가 걸려 동작하지 않거나 고장이 발생하지 않도록 설계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부 날과 하부 날의 형상 및 크기는 서로 달리하거나 동일한 크기와 형상으로 설계 제작할 수 있고, 앞서 기술한 하부 날 및 상부 날의 위치와 기능을 서로 바꾸어서 설계 제작할 수 있다.
상기 절단부를 구성하는 상부 날 및 하부 날의 칼날에는 다수의 돌기(28)를 형성하여 마찰력을 증가시켜서 칼날사이에 들어간 잔디, 풀 및 나뭇가지 등이 미끄러져 절단되지 않는 것을 방지하도록 설계 제작되어 있다. 즉, 상기 칼날에 형성된 돌기(28)는 잔디, 풀 및 나뭇가지 등이 칼날에 형성된 돌기에 찔려서 미끄러지지 않고 쉽게 절단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전동모터의 회전력을 전동모터의 회전력을 절단부에 전달하기 위한 기어(13), 방향전환을 위한 기어(14) 및 방향전환을 위한 기어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기어(15)로 체결하여 상부 날에 동력을 전달하는 이유는 감속을 위한 이유도 있지만 전동모터(11)를 세울 경우에 손잡이(18)의 직경이 너무 커져서 작업자가 용이하게 잡을 수 없는 단점을 해결하고 손잡이(18)를 중심으로 절단부(23)와 배터리의 무게가 서로 균형을 이루어 작업자가 전동 낫으로 작업할 때 팔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설계하여 오래 동안 작업이 용이하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 절단부(23)의 하부 날은 전동모터(11) 및 기어가 내장된 손잡이의 외부 프레임과 손잡이 연결구(36, 40)볼트에 의하여 견고하게 체결되어 있고, 절단부(23)의 상부 날은 연결부재(18)와 체결되어 전동모터의 회전에 의하여 직선왕복운동을 빠르게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절단부의 상부 날과 하부 날은 내구성이 우수한 내마모성 재질(SUS 420J2)로 설계 제작되며, 도3에서와 같이 칼날부와 몸통부를 분리하여 리벳 등으로 연결하여 제작하여 교환이 가능하도록 하거나 용접 또는 일체형으로 성형 제작하여 상부 날 또는 하부날 전체를 교환할 수 있도록 제작할 수 있다.
배터리(31)는 통상의 충전용 배터리를 사용하거나 일회용 배터리를 사용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배터리(31)의 용량은 전동 낫의 크기, 사용시간 및 전동모터(11)의 용량에 따라 달리하여 채용할 수 있으며, 이때 절단부(23)의 무게와 배터리(31)의 무게가 서로 균형을 이룰 수 있도록 설계 제작되어 있다.
상기 절단부(23)와 배터리(31)사이에는 전동 낫을 잡을 수 있는 손잡이(19)가 위치하며 손잡이(19)에는 마찰력을 증가시키고 잡았을 때 편안하도록 하여 장시간 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손가락이 위치하는 부분을 다소 오목하게 손가락사이에는 다소 볼록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일반인이 한 손으로 용이하게 잡을 수 있는 직경으로 설계 제작할 수도 있다.
전동모터(11)의 전원을 온ㆍ오프하는 스위치(32)는 도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손잡이 일측에 설치되어 제초작업을 하기 위하여 손잡이를 잡았을 경우에 전원을 온ㆍ오프하는 스위치(32)가 눌러져 전동 낫이 작동하도록 구성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하거나 불필요한 전원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거나 손잡이와 인접하게 별도의 스위치를 설치하여 손가락으로 용이하게 전원을 온ㆍ오프할 수 있도록 설계 제작할 수 있다.
상기 절단부의 상부 날과 하부 날의 형상은 톱날과 같은 삼각형 형상에 돌기를 형성하거나 다양한 형상에 돌기를 형성하여 설계 제작할 수 있으며, 이는 절단부(23)의 상부 날의 직선왕복운동 범위가 14㎜내지 24㎜ 정도인 점을 고려하고 날과 날사이에 풀이나 작은 나무가 쉽게 들어갈 수 있도록 하고, 날의 왕복이동거리에 의하여 절단될 수 있는 형상으로 설계 제작되면 족하다.
즉, 절단부의 칼날과 칼날사이의 간격은 절단부 상부 날의 직선왕복거리보다 다소 작게 형성하여 절단부의 직선왕복운동에 의하여 칼날과 칼날사이에 들어간 풀과 작은 나뭇가지가 용이하게 절단되도록 설계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3의 (b)는 하부 날의 형상으로 돌출된 칼날의 수가 12개이고, 도4의 (b)는 상부 날의 형상으로 돌출된 칼날의 수가 11개로 구성되며, 하부 날은 프레임에 고정 설치되고, 상부 날은 하부 날에 형성된 엠보블럭과 체결되어 직선왕복운동을 하도록 구성되므로 상부 날이 직선왕복운동을 할 때 움직일 수 있는 좌우 폭을 고려하여 하부 날보다 전체 길이가 상기 좌우이동 폭만큼 작게 설계 제작되어 있다. 상기 하부 날 및 상부 날의 크기, 칼날의 수 및 형상은 전동 낫의 용도, 전동모터의 용량 및 배터리의 용량 등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설계 제작할 수 있다.
도5는 도1의 기어와 전동모터를 견고하게 탑재하기 위하여 전동모터의 회전력을 절단부에 전달하기 위한 기어, 방향전환을 위한 기어, 방향전환을 위한 기어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기어 및 전동모터의 크기와 형태에 맞추어서 알루미늄 등의 가벼운 금속을 사용하여 다이케스딩으로 설계 제작된 형상(도5의 (a)) 및 다이케스팅 내부에 전동모터의 회전력을 절단부에 전달하기 위한 기어, 90° 방향전환을 위한 기어, 방향전환을 위한 기어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기어, 회전베어링 및 전동모터가 위치한 형상(도5의 (b))을 나타낸 것이다.
[실시 예2]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 예2를 도면에 기초하여 살펴본다. 도6은 본 발명의 실시 예2에 따라 설계 제작된 전동 낫의 전체적인 구성도이다. 도6에서는 실시 예1에서 사용한 전동모터의 회전력을 절단부에 전달하기 위한 기어, 방향전환을 위한 기어 및 방향전환을 위한 기어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기어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감속을 하지 않고 전동모터의 회전축에 실시 예1에서 방향전환을 위한 기어의 회전축에 삽입 고정되어 전동모터의 회전운동을 절단부(23)의 상부 날이 직선왕복운동을 하도록 변환하기 위하여 연결부재(18)와 체결되는 브라켓(24)이 고정 설치되고, 브라켓(24)의 일측에는 연결부재(18)를 체결하기 위한 돌출된 체결부(17)가 전동모터(11)의 중심축에서 7㎜내지 12㎜ 정도 벗어나서 설치되어 있다.
상기 중심축에서 7㎜내지 12㎜ 정도 벗어나서 설치된 돌출된 체결부(17)와 연결부재에 형성된 체결홈(25) 또는 체결홈 내측에 설치된 회전베어링과 체결된 연결부재(18)가 회전할 경우에 연결부재(18)의 다른 일측은 절단부(23)의 일측과 체결되어 절단부(23)의 상부 날이 직선왕복운동을 하도록 설계 제작되며, 직선왕복운동의 길이는 14㎜내지 24㎜ 정도가 되도록 설계 제작되어 있다.
상기 연결부재의 일측에 형성된 체결홈에도 회전 시에 마찰에 의한 마모를 줄이고 회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회전베어링(도6의 51)이 삽입 체결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동모터(11)의 회전축과 회전운동을 직선왕복운동으로 변화시켜주는 연결부재(18)를 직접 체결할 경우에는 전동모터(11)의 회전축이 절단부와 수직으로 위치하게 되고, 이 경우에는 전동모터의 부피에 의하여 손잡이의 굵기(직경)가 너무 커져서 작업자가 한손으로 용이하게 잡을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전동모터의 위치를 손잡이 부분이 아닌 절단부 또는 배터리 측과 인접하게 설치하고, 이 때 절단부의 무게, 프레임의 무게, 전동모터의 무게 및 배터리의 무게 등을 고려하여 작업자가 전동 낫을 잡았을 때 양측의 무게가 서로 균형을 이룰 수 있도록 설계 제작하면 된다.
전동 낫의 절단부는 상부 날과 하부 날로 구성하여 하부 날을 프레임에 고정하되, 하부 날에는 상부 날이 직선왕복운동을 하는 동안 이탈을 방지하고 날의 직각도를 높이기 위하여 돌출되게 엠보블럭이 형성되고, 상부 날에는 상기 하부 날에 돌출되게 형성된 엠보블럭에 삽입되어 직선왕복운동을 할 수 있도록 구멍이 길게 형성되어 구멍 내부에 위치한 엠보블럭의 안내를 받아서 동일한 직선방향으로 왕복운동을 하여 효율적으로 잔디, 풀, 정원의 나뭇잎 및 작은 나뭇가지를 절단하도록 실시 예1과 동일하게 설계 제작되어 있다.
상기 전동모터의 회전축에는 회전운동을 직선왕복운동으로 변환하기 위한 브라켓의 원활한 회전을 위하여 브라켓의 내측에 회전베어링이 설치되어 있다.
실시 예2에서 언급되지 아니한 발명의 구성에 대하여서는 앞서 기술한 실시 예1에서 기술한 내용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기술을 생략한다.
[실시 예3]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3은 도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작업자가 전동 낫을 앞으로 전진시키면서 제초작업을 할 수 있도록 절단부의 전방에만 칼날이 형성되어 있다. 도7에 따라 설계 제작된 전동 낫의 전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실시 예3에 따른 전동 낫은 손잡이를 중심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절단부가 무게 균형을 이루어 작업자가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설계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7에서 손잡이에 위치한 전동모터의 회전축에는 전동모터에서 발생한 회전 력을 연결부재를 통해서 직선왕복운동으로 변환시키기 위한 브라켓 내측의 회전축에는 회전베어링(도7의 61)이 부착 설치되어 있다.
상기 브라켓에는 연결부재와 연결하기 위한 돌출된 체결부가 중심축에서 7㎜내지 12㎜ 정도 벗어나서 설치되어 있고, 돌출된 체결부는 연결부재의 일측에 형성된 체결홈 또는 체결홈의 내측에 설치된 회전베어링과 체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부재의 일측에 형성된 체결 홈의 내측에는 회전 시에 마찰에 의한 마모를 줄이고 회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회전베어링(도7의 63)이 삽입 체결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부재의 다른 일측은 직선왕복운동을 하며, 연결부재에서 발생한 직선왕복운동을 절단부에 전달하기 위한 직선왕복운동전달부재(도7의 62)가 체결되어 있다.
상기 직선왕복운동전달부재는 프레임에 고정된 중심축을 중심으로 연결부재에서 전달된 직선왕복운동을 절단부에 전달되어 좌우왕복 운동을 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직선왕복운동전달부재(도7의 62)의 다른 일측은 절단부의 상부 날 일측에 체결되어 있다.
절단부는 상기 실시 예1 및 실시 예2와 동일하게 하부 날과 상부 날로 구성되며, 하부날은 프레임에 고정 설치되고, 상부날은 하부날에 설치된 엠보블럭에 체결되어 전동모터의 회전에 의하여 좌우직선왕복운동을 하면서 제초 작업을 할 수 있도록 설계 제작되어 있다.
실시 예1과 실시 예3의 차이는 절단부에 상부날 및 하부날이 일측에만 칼날이 형성되어 있는 점과 절단부가 손잡이와 직각을 이루면서 전방으로 향하도록 제작되어 있는 것에 있다.
실시 예3에서도 전동모터의 회전력을 감속시키기 위하여 감속기어를 채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벌초용, 논밭두렁 및 과수원제초용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손잡이와 인접하여 배터리를 내장하고, 배터리에서 공급되는 전원으로 구동되는 전동모터가 배터리와 인접하여 설치되며, 전동모터의 회전력으로 풀을 자르기 위한 상부 및 하부에 날이 형성된 절단부를 직선왕복운동으로 변환하기 위하여 전동모터의 회전축에는 전동모터의 회전력을 절단부에 전달하기 위한 기어를 고정 설치하고, 전동모터의 회전력을 절단부에 전달하기 위한 기어의 회전수 1/2 정도 감속하면서 회전방향을 90°로 변환시켜 전달하기 위한 방향전환을 위한 기어와 맞물러 회전하도록 구성되며, 방향전환을 위한 기어의 회전축에는 방향전환을 위한 기어의 회전운동을 상하부에 날이 형성된 절단부가 직선왕복운동을 하도록 변환하기 위한 연결부재와 체결되는 브라켓이 고정 설치되고, 브라켓의 일측에는 연결부재와 체결하기 위한 체결부가 중심축에서 7㎜내지 12㎜ 정도 벗어나서 설치되며, 상기 방향전환을 위한 기어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전동모터의 회전력을 절단부에 전달하기 위한 기어의 맞은편에는 방향전환을 위한 기어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기어가 체결 설치되고, 상기 연결부재의 왕복운동 시에 날이 형성된 절단부의 상부 날이 이탈하지 않도록 지지해주는 엠보블럭이 형성된 하부 날을 구비하며, 상기 직선왕복운동을 하는 연결부재는 절단부의 상부에 위치한 날을 빠르게 직선왕복동작으로 프레임에 고정된 절단부의 하부 날과 조화를 이루어 잔디, 풀 또는 작은 나뭇가지 등을 자를 수 있도록 설계 제작된 전동 낫을 제공하므로 휴대하고 다니면서 언제든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음으로써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매우 높다.
도1 : 본 발명의 실시 예1에 따라 설계 제작된 전동 낫의 전체적인 구성도
도2 : 본 발명에 따라 설계 제작된 전동 낫의 회전운동을 왕복운동으로 변환하는 부분을 확대한 도면
도3 : 절단부의 하부 칼날 및 하부 프레임의 형상
((a)는 하부 칼날 프레임과 하부 칼날의 결합도, (b)는 하부 칼날, (c)는 하부 칼날 프레임,
(d)는 하부 칼날과 상부 칼날 결합도)
도4 : 절단부의 상부 칼날 및 상부 프레임의 형상
((a)는 상부 칼날 프레임과 상부 칼날의 결합도, (a-1)는 (a)의 좌측면도, (b)는 상부 날, (c)는 상부 칼날 프레임, (d)는 상부 칼날 프레임)
도5 : 도1의 기어와 전동모터를 견고하게 탑재하기 위한 다이케스딩 형상(a)과 다이케스딩 내부에 설치된 기어 및 전동모터의 형상(b)
도6 : 본 발명의 실시 예2에 따라 회전운동을 왕복운동으로 변환하기 위한 구조
도7 : 본 발명의 실시 예3에 따라 설계 제작된 전동 낫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전동모터
12; 회전베어링(전동모터의 회전력을 절단부에 전달하기 위한 기어 측)
13; 전동모터의 회전력을 절단부에 전달하기 위한 기어
14; 방향전환을 위한 기어
15; 방향전환을 위한 기어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기어
16; 회전베어링(방향전환을 위한 기어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기어 측)
17; 돌출된 체결부
18; 연결부재 19; 손잡이
20; 상부 칼날 21; 하부 칼날
22; 절단부지지프레임 23; 절단부
24; 브라켓 25; 체결홈
26; 회전베어링(방향전환을 위한 기어 측)
27; 회전베어링(연결부재 측)
28; 돌기
31; 배터리 32; 스위치(전원)
33; 엠보블럭 34, 35; 하부 칼날 프레임 체결구
36; 손잡이 체결구(하부 칼날) 37; 엠보블럭의 체결구(상부 칼날)
38, 39; 상부 칼날 프레임 체결구 40; 손잡이 체결구(상부 칼날)
41; 연결부재 체결구
51; 회전베어링(도6의 전동모터 회전축)
61; 회전베어링(도7의 전동모터 회전축)
62; 왕복운동전달부재

Claims (11)

  1. 잔디, 풀 및 나뭇가지를 자르는 전동 낫에 있어서,
    회전운동을 왕복운동으로 변환하기 위하여 회전력을 발생하는 전동모터;
    상기 전동모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
    상기 전동모터의 회전력을 왕복운동으로 전달하기 위하여 회전축에 고정 설치된 전동모터의 회전력을 절단부에 전달하기 위한 기어;
    상기 전동모터의 회전력을 절단부에 전달하기 위한 기어와 맞물러 회전하며, 전동모터의 회전력을 절단부에 전달하기 위하여 기어의 회전력을 90° 방향으로 변환시켜 전달하기 위한 방향전환을 위한 기어;
    상기 전동모터의 회전력을 절단부에 전달하기 위한 기어의 맞은편에 설치되며, 방향전환을 위한 기어와 맞물려 방향전환을 위한 기어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기어;
    상기 방향전환을 위한 기어의 회전축에 설치되어, 방향전환을 위한 기어의 회전운동을 절단부의 왕복운동으로 변환하기 위하여 연결부재와 체결되며, 중심축에서 벗어나 위치하는 돌출된 체결부를 가진 브라켓;
    상기 브라켓의 돌출된 체결부와 체결홈 또는 체결홈 내측에 설치된 회전베어링과 서로 체결되어 방향전환을 위한 기어의 회전운동을 절단부의 왕복운동으로 변환해주는 연결부재;
    상기 연결부재와 체결되어 왕복운동을 하는 상부 칼날과, 상부 칼날 프레임 및 하부 칼날이 고정된 하부 칼날 프레임이 서로 체결된 절단부;
    상기 절단부와 배터리사이에 위치하여 전동 낫으로 장시간 작업자가 잡고 작업을 할 수 있도록 무게 균형을 이루도록 형성된 손잡이; 및
    상기 전동모터의 전원을 온ㆍ오프하는 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절단부는 모든 칼날사이에 풀이나 나뭇가지가 들어가 과부하가 걸려 동작하지 않거나 고장이 발생하지 않도록 정지 시에 상부와 하부의 칼날이 서로 겹치지 않고 어긋나도록 제작되며,
    상부와 하부 칼날사이에 잔디, 풀 및 작은 나뭇가지가 들어가서 미끄러지지 않고 절단되도록 칼날에 다수의 돌기가 형성되고,
    칼날과 칼날사이의 간격은 절단부 상부 칼날의 왕복거리보다 작게 형성하며,
    상기 브라켓의 돌출된 체결부와 체결되는 연결부재의 체결 홈 내측에 회전베어링을 설치하여 직접 마찰에 의한 마모를 줄이고 원활한 회전을 할 수 있도록 설계 제작된 전동 낫.
  2. 잔디, 풀 및 나뭇가지를 자르는 전동 낫에 있어서,
    회전운동을 왕복운동으로 변환하기 위한 회전력을 발생하는 전동모터;
    상기 전동모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
    상기 전동모터의 회전축에 설치되어, 전동모터의 회전운동을 절단부의 왕복운동으로 변환하기 위하여 연결부재와 체결되며, 중심축에서 벗어나 위치하는 돌출된 체결부를 가진 브라켓;
    상기 브라켓의 돌출된 체결부와 체결되어 회전운동을 절단부의 왕복운동으로 변환해주는 연결부재;
    상기 연결부재와 체결되어 왕복운동을 하는 상부 칼날과, 상부 칼날 프레임 및 하부 칼날이 고정된 하부 칼날 프레임이 서로 체결된 절단부;
    상기 절단부와 배터리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전동 낫으로 장시간 작업자가 잡고 작업을 할 수 있도록 무게 균형을 이루도록 형성된 손잡이; 및
    상기 전동모터의 전원을 온ㆍ오프하는 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절단부는 모든 칼날사이에 풀이나 나뭇가지가 들어가 과부하가 걸려 동작하지 않거나 고장이 발생하지 않도록 정지 시에 상부와 하부의 칼날이 서로 겹치지 않고 어긋나도록 제작되며,
    상부 칼날과 하부 칼날은 칼날사이에 잔디, 풀 및 작은 나뭇가지가 들어가서 미끄러지지 않고 절단되도록 칼날에 다수의 돌기가 형성되고,
    칼날과 칼날사이의 간격은 절단부 상부 칼날의 왕복거리보다 작게 형성하며,
    상기 브라켓의 돌출된 체결부와 체결되는 연결부재의 체결 홈 내측에 회전베어링을 설치하여 마찰에 의한 마모를 줄이고 원활한 회전을 할 수 있도록 설계 제작된 전동 낫.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전동 낫은 전동모터의 회전력을 절단부에 전달하기 위한 기어의 회전수를 감속하기 위하여 전동모터의 회전력을 절단부에 전달하기 위한 기어의 톱니 수가 방향전환을 위한 기어의 톱니 수보다 적도록 제작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낫.
  7. 청구항6에 있어서,
    상기 전동모터의 회전력을 절단부에 전달하기 위한 기어, 방향전환을 위한 기어 및 방향전환을 위한 기어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기어의 회전축에는 회전을 원활하게 하고, 마찰부위의 마모를 줄이기 위하여 회전베어링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낫.
  8. 삭제
  9. 청구항1 또는 청구항2에 있어서,
    상기 전동모터의 전원을 온ㆍ오프하는 스위치는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전원의 낭비를 방지하기 위하여 손잡이 일측에 설치되어 제초작업을 하기 위하여 손잡이를 잡을 경우에 잡는 힘에 의하여 스위치가 눌러져 전동 낫이 작동하고, 손잡이를 놓으면 스위치가 위로 돌출되면서 자동으로 동작이 멈추도록 구성하거나 손잡이와 인접하게 별도의 스위치를 부착 설치하여 전원을 온ㆍ오프할 수 있도록 설계 제작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낫.
  10. 잔디, 풀 및 나뭇가지를 자르는 전동 낫에 있어서,
    회전운동을 왕복운동으로 변환하기 위한 회전력을 발생하는 전동모터;
    상기 전동모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
    상기 전동모터의 회전축에 설치되어, 전동모터의 회전운동을 절단부의 왕복운동으로 변환하기 위하여 연결부재와 체결되는 중심축에서 벗어나서 돌출된 체결부를 가진 브라켓;
    상기 브라켓의 돌출된 체결부와 체결되어 회전운동을 절단부의 왕복운동으로 변환해주는 연결부재 및 왕복운동전달부재;
    손잡이와 직각되게 전방에만 칼날이 위치하도록 제작되며, 상기 연결부재와 체결되어 왕복운동을 하는 상부 칼날과 상부 칼날 프레임 및 하부 칼날이 고정된 하부 칼날 프레임이 서로 체결된 절단부;
    상기 절단부와 배터리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전동 낫으로 장시간 작업자가 잡고 작업이 용이하도록 무게 균형을 이루도록 형성된 손잡이; 및
    상기 전동모터의 전원을 온ㆍ오프하는 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절단부는 모든 칼날사이에 풀이나 나뭇가지가 들어가 과부하가 걸려 동작하지 않거나 고장이 발생하지 않도록 정지 시에 상부와 하부의 칼날이 서로 겹치지 않고 어긋나도록 제작되며,
    상부 칼날과 하부 칼날은 칼날사이에 잔디, 풀 및 작은 나뭇가지가 들어가서 미끄러지지 않고 절단되도록 칼날에 다수의 돌기가 형성되고,
    칼날과 칼날사이의 간격은 절단부의 상부 칼날의 왕복거리보다 작게 형성하며,
    상기 브라켓의 돌출된 체결부와 체결되는 연결부재의 체결 홈 내측에 회전베어링을 설치하여 마찰에 의한 마모를 줄이고 원활한 회전을 할 수 있도록 설계 제작된 전동 낫.
  11. 삭제
KR1020090005428A 2009-01-22 2009-01-22 전동 낫 KR1009277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5428A KR100927795B1 (ko) 2009-01-22 2009-01-22 전동 낫
PCT/KR2010/000409 WO2010085105A2 (ko) 2009-01-22 2010-01-22 전동 낫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5428A KR100927795B1 (ko) 2009-01-22 2009-01-22 전동 낫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7795B1 true KR100927795B1 (ko) 2009-11-20

Family

ID=416052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5428A KR100927795B1 (ko) 2009-01-22 2009-01-22 전동 낫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927795B1 (ko)
WO (1) WO2010085105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3702B1 (ko) 2011-08-17 2013-11-05 하효령 전동 드릴을 이용한 왕복 운동형 제초기
KR20200089064A (ko) * 2019-01-16 2020-07-24 손영훈 안전 조경 손질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81450A2 (en) * 2011-11-30 2013-06-06 Malaysian Palm Oil Board A cutting device
WO2014077672A1 (en) * 2012-11-14 2014-05-22 Malaysian Palm Oil Board Motorized cutting tool
MY186596A (en) * 2013-09-06 2021-07-29 Malaysian Palm Oil Board Cutting device for fruits and vegetables
CN104798525A (zh) * 2015-04-30 2015-07-29 柳州三农科技有限公司 一种秸秆收割机刀片
CN108142094B (zh) * 2018-01-31 2023-08-29 柳州市金元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轻便式高效手持采桑机
CN112586163A (zh) * 2020-12-22 2021-04-02 泰兴市江源农牧有限公司 一种高沙土螃蟹养殖用水草修剪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4002Y1 (ko) * 1994-02-01 1996-05-17 오재면 잔디 깎는 기계
KR200173650Y1 (ko) * 1999-09-02 2000-03-15 임영국 왕복운동형 칼
KR20030044734A (ko) * 2001-11-30 2003-06-09 임회규 목재와 철재 겸용 전동톱
KR20040065387A (ko) * 2003-01-14 2004-07-2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예초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96732A (en) * 1997-06-30 1999-04-27 Dean; Curtis R. Side sickle for a garden tractor
US6886317B2 (en) * 2003-01-25 2005-05-03 Global Neighbor Incorporated Low energy sickle mower and system using controlled gap thin blade shear process and torque managemen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4002Y1 (ko) * 1994-02-01 1996-05-17 오재면 잔디 깎는 기계
KR200173650Y1 (ko) * 1999-09-02 2000-03-15 임영국 왕복운동형 칼
KR20030044734A (ko) * 2001-11-30 2003-06-09 임회규 목재와 철재 겸용 전동톱
KR20040065387A (ko) * 2003-01-14 2004-07-2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예초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3702B1 (ko) 2011-08-17 2013-11-05 하효령 전동 드릴을 이용한 왕복 운동형 제초기
KR20200089064A (ko) * 2019-01-16 2020-07-24 손영훈 안전 조경 손질장치
KR102194547B1 (ko) * 2019-01-16 2020-12-23 손영훈 안전 조경 손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085105A3 (ko) 2010-10-28
WO2010085105A2 (ko) 2010-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7795B1 (ko) 전동 낫
KR101160478B1 (ko) 모터 구동식 예초기
EP2473019B1 (en) Cutting assembly for hand-held power tool
CA2783417C (en) A drive train for a hedge trimmer, a hedge trimmer and a method of controlling a hedge trimmer
EP2759189B1 (en) Vegetation trimmer
US20110258859A1 (en) Cutting device and method
JP2006314278A (ja) 刈払機
CN103188928A (zh) 中央后部排放甲板
CN219108212U (zh) 一种新型背负式割草机
KR100645595B1 (ko) 자동 전지가위
JP2009072150A (ja) コードレス園芸工具
CN201146704Y (zh) 背负式茶树修剪机
WO2011056100A1 (en) Cutting head for hand-held motor driven tools and a handheld battery powered working tool provided with a cutting head
JP4022774B2 (ja) 草刈機用刈刃装置
CN101548626B (zh) 园艺切割工具
JP5742803B2 (ja) コードレス園芸工具
CN210053307U (zh) 用于电动园林工具的驱动机构
CN201182104Y (zh) 园艺切割工具
CN216087659U (zh) 一种高强度耐冲击割灌机
JP4097248B2 (ja) 高枝刈取機
CN215223217U (zh) 一种割草机用的防护装置
US20080196376A1 (en) Separator plate for power tool
CN203110051U (zh) 一种火场切割机
KR100901844B1 (ko) 예초기
EP1106044B1 (en) Portable handeled tool for use in farming and gardening works provided with an improved hand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