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5595B1 - 자동 전지가위 - Google Patents

자동 전지가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5595B1
KR100645595B1 KR1020060049250A KR20060049250A KR100645595B1 KR 100645595 B1 KR100645595 B1 KR 100645595B1 KR 1020060049250 A KR1020060049250 A KR 1020060049250A KR 20060049250 A KR20060049250 A KR 20060049250A KR 100645595 B1 KR100645595 B1 KR 1006455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gear
driven gear
cam roller
movable bl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92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광진
Original Assignee
손광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광진 filed Critical 손광진
Priority to KR10200600492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55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55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5595B1/ko
Priority to PCT/KR2007/000546 priority patent/WO2007139273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00Cutting imp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horticultural purposes; Delimbing standing trees
    • A01G3/02Secateurs; Flower or fruit shears
    • A01G3/033Secateurs; Flower or fruit shears having motor-driven blades
    • A01G3/037Secateurs; Flower or fruit shears having motor-driven blades the driving means being an electric mot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00Cutting imp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horticultural purposes; Delimbing standing trees
    • A01G3/02Secateurs; Flower or fruit shears
    • A01G3/025Secateurs; Flower or fruit shears having elongated or extended handles
    • A01G3/0255Tree pruners, i.e. pruning shears carried at the end of a pol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cissors And Nip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 전지가위에 있어서, 베드의 일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 구동기어와; 상기 베드에 구동기어와 직각으로 구성되어 구동기어의 동력으로 회전하는 종동기어와; 상기 종동기어에 구성되어 종동기어와 일체형으로 회전하는 캠로울러와; 상기 베드에 후방부가 고정브라켓트로서 고정되고 전방부의 일측 가장자리에는 칼날이 형성된 고정날과; 상기 고정날과 힌지 구조로 회전 가능하게 조합되고 일측 가장자리는 칼날이 형성되고 타측은 바형상이면서 일측면이 상기 캠로울러와 접촉되는 가동날과; 일단이 가동날에 결합되고 타단이 덮개에 결합되어 가동날의 바형상부를 복귀시키는 상태에서 바형상부가 캠로울러와 접촉되게 하는 복귀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캠로울러가 종동기어축을 중심으로 공전하면서 가동날의 일측면과의 접촉 및 복귀스프링의 수축에 의해 가동날이 고정날과 함께 가위질을 수행하여, 기어 및 유성감속기의 사용으로 작업토오크가 증대되어 굵은 나뭇가지도 절단할 수 있고, 칼날곡선이 하나의 곡률반경으로 구성되어 나뭇가지가 밀려나지 않아 쉽게 나뭇가지를 절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자동, 전지가위, 기어, 유성감속기, 캠로울러, 모터, 충전기

Description

자동 전지가위{An automatic pruning shears}
도 1은 종래 기술의 자동 전지가위의 구성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자동 전지가위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자동 전지가위의 칼날부 및 구동부 구성도
도 4은 본 발명의 자동 전지가위의 칼날부 및 구동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자동 전지가위의 칼날부 및 구동부 작동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자동 전지가위의 칼날부 및 구동부 작동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자동 전지가위의 칼날부 및 구동부 작동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칼날부 21: 가동날
22; 고정날 23: 복귀스프링
30: 구동부 31: 유성감속기
32: 모터 33: 전원스위치
34: 종동기어 35: 캠로울러
36: 구동기어 37: 베드
40: 배부식 충전부 41: 충전지
42: 등받이 43: 충전단자
44: 입력단자
본 발명은 전지가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캠로울러 및 기어를 사용하여 동력을 전달하고 칼날의 곡선을 하나의 곡률을 사용하여 보다 큰 가지도 절단할 수 있는 자동 전지가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과수, 조경, 산림 및 화훼용 등의 각종 작물의 순이나 각종 유실수 또는 관상수 등의 가지치기를 할 때에는 보편적으로 보통 전지가위나 전지톱 또는칼 등을 이용한다.
그러나, 상기의 전지가위나 전지톱 또는 칼 등의 경우 작업자의 인력으로 작업을 하기 때문에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작업이 매우 힘들고 작업효율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단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본출원이 실용 2006-0005557호(2006.02.22.) 자동 전지가위를 기 출원한 바 있다.
실용 2006-0005557호의 구성 평면을 도시한 도 1의 종래기술의 자동 전지가위의 구성 평면도를 살펴보면, 실용 2006-0005557호 자동 전지가위의 구성은 나뭇가지를 절단할 수 있는 칼날부와 이 칼날부를 자동으로 동작시키는 작동부로 대별할 수 있다.
상기 칼날부는 자동 전지가위의 지지체 역할을 하는 받침대(11)와, 상기 받 침대(11)의 전방부 상부에 고정브라켓트를 매개로 연결되는 고정날(13)과, 상기 고정날(13) 측에 핀 구조로 회전 가능하게 조합되면서 고정날(13)과 함께 가위질을 수행하고 칼날곡선의 곡률반경이 이중으로 되어 있는 가동날(14)로 구성되고, 상기 작동부는 상기 받침대(11)의 후방부 하단에 연결되어 외부의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하는 모터와, 상기 받침대(11)의 상부에 회전축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원판(15)과, 상기 회전원판(15)의 가장자리 일측에 그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가동날(14)의 후단부에 그 타단이 연결되어 가동날(14)의 반복 가위질을 가능하게 하는 작동로드(12)와, 상기 받침대(11)의 후방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모터의 동력을 상기 회전원판(15)에 전달하는 기어전동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의 가동날(14)은 가동날(14) 후단부(가동날(14)과 받침대(11)이 힌지결합된 부분)의 칼날곡선이 가동날(14) 끝단의 칼날곡선 보다 크게 구성되어 즉 후단부 칼날 곡률반경(R2)이 끝단 곡률반경(R1) 보다 크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자동 전지가위는 스위치를 온시켜 모터에 전원을 공급하게 되면 모터가 동작되고 이 동력을 유성감속기를 통해 감속한 후, 회전원판(15)과 연결된 회전축을 회전시킴으로써 회전원판(15)을 회전시키고, 이 회전원판(15)의 회전력이 작동로드(12)에 절달되고 작동로드(12)의 움직임을 통해 작동로드(12)와 연결된 가동날(14)이 회전된다.
실용 2006-0005557호의 자동 전지가위로 나뭇가지를 절단하기 위해서는 먼저 전원이 연결된 상태에서 나뭇가지를 가동날(14)과 상기 받침대(11)의 후방부 하단에 연결되어 외부의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하는 고정날(13)이 만나는 안쪽에 위치 시킨 상태에서 스위치를 온하면 가동날(14)이 고정날(13)의 방향으로 회전되어 나뭇가지를 절단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자동 전지가위는 가동날을 작동하는 동력전달방법이 작동로드 및 가동날의 후돌출부의 힌지결합에 의한 2중 링크로 구성되어 이 2중링크에 의한 동력의 손실이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자동 전지가위는 상기 힌지결합 및 2중링크로 인하여 회전원판의 각속도와 가동날의 후돌출부의 각속도가 일치하지 아니하여 나뭇가지를 절단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자동 전지가위는 나뭇가지를 가동날과 고정날의 안쪽에 위치시켜 절단하여도 후단부 칼날곡선이 완만함으로 인하여 고정칼 칼날이 일시에 나뭇가지에 많은 찰과상을 내어 나뭇가지에 진입하게 되어야 하나 칼날이 나뭇가지에 찰과상을 입히지 아니한 상태에서 나뭇가지가 칼날의 앞으로 즉 곡률반경이 작은 쪽(R1)으로 밀려나가 직경이 약간 굵은 나뭇가지는 절단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자동 전지가위는 나뭇가지 절단시 절단동력이 힌지에 집중하게 되어 힌지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캠로울러 및 구동기어를 사용하여 가동날을 가동케 하여 동력을 보다 확실하게 전달케 하고 가동날의 칼날곡선을 하나의 곡률반경으로 하여 나뭇가지의 절단시 나뭇가지가 밀려나지 않게 함과 아울러 별도의 배부식 충전지를 사용하여 충전지의 전원으로 인력을 사용하지 않고 자동으로 보다 큰 가지도 절단할 수 있는 자동 전지가위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자동 전지가위에 있어서, 베드의 일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 구동기어와; 상기 베드에 구동기어와 직각으로 구성되어 구동기어의 동력으로 회전하는 종동기어와; 상기 종동기어에 구성되어 종동기어와 일체형으로 회전하는 캠로울러와; 상기 베드에 후방부가 고정브라켓트로서 고정되고 전방부의 일측 가장자리에는 칼날이 형성된 고정날과; 상기 고정날과 힌지 구조로 회전 가능하게 조합되고 일측 가장자리는 칼날이 형성되고 타측은 바형상이면서 일측면이 상기 캠로울러와 접촉되는 가동날과; 일단이 가동날에 결합되고 타단이 덮개에 결합되어 가동날의 바형상부를 복귀시키는 상태에서 바형상부가 캠로울러와 접촉되게 하는 복귀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캠로울러가 종동기어축을 중심으로 공전하면서 가동날의 일측면과의 접촉 및 복귀스프링의 수축에 의해 가동날이 고정날과 함께 가위질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가동날의 칼날곡선은 하나의 곡률반경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구동기어의 후방에 구성되어 모터의 회전수를 감속하면서 모터의 동력을 구동기어에 전달하는 유성감속기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모터에 공급되는 전원은 별도의 배부식 충전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과수, 조경, 산림, 화훼용 등의 각종 작물의 순이나, 각종 유실수 또는 관상수 등의 가지치기를 할 때 사용되는 본 발명의 자동 전지가위는 나뭇가지를 절단할 수 있는 칼날부와 이 칼날부를 자동으로 동작시키는 작동부와 상기 작동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부식 충전부로 크게 구별할 수 있으며 상기 작동부의 구성들을 수용하는 덮개와 유성감속기와 모터를 수용하는 케이스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자동 전지가위의 구성도인 도 2, 자동 칼날부 및 구동부 (30)구성도인 도 3 및 자동 전지가위의 칼날부 및 구동부 단면도인 도4를 살펴보면, ㄱ자형의 판형으로 된 베드(37)가 구성되고 베드(37)의 일측면에는 회전축에 결합되어 회전 가능한 구동기어(36)가 구성된다. 상기 회전축은 베드(37)의 일측면을 관통하여 유성감속기(31)와 연동하게 구성된다. 상기 구동기어(36)는 보스가 형성되어 상기 보스 내에 회전축이 감합되고, 보스에 관통된 암나사에 숫나사를 체결하여 보스와 회전축이 일체화되어 연동하도록 한다.
상기 베드(37)의 타측면 중간부는 상기 구동기어(36)와 직각으로 구성되어 구동기어(36)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 종동기어(34)가 구성된다.
상기 종동기어(34)에는 회전축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이 베드(37)를 관통하여 구성되고, 상기 구동기어(36)와 종동기어(34)의 회전을 원활하게 수행하기 위하 여 감속기에 연동된 회전축과 종동기어(34)의 회전축에는 각각 베어링이 설치된다.
상기 구동기어(36)의 잇빨과 종동기어(34)의 잇빨이 맞물려 상호 연동되게 ㄱ자형 베드(37)의 내측면에 구동기어축과 종동기어축의 상호 각도가 90°되게 설치되어, 구동기어(36)의 동력방향이 90°로 변하게 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구동기어(36)와 종동기어(34)는 90°의 베벨기어와 같은 구성이 된다.
상기 종동기어(34)와 일체형으로 회전하는 캠로울러(35)가 종동기어(34)의 일측면에 구성된다. 상기 캠로울러(35)는 종동기어(34)에서 베드(37)와 연접하지 아니하는 종동기어(34) 측면에 기어와 종동기어축 사이에 일정길이로 돌출되어 구성된다. 캠로울러(35)는 종동기어축에 편심되어 있는 구성이다.
상기 종동기어(34)가 구성되는 베드(37)의 타측면 전방부 상부에 고정날(22)이 구성되는데, 고정날(22)은 중간부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이 관통공을 기준으로 하여 일측에는 칼날부(20)가 타측에는 고정브라켓트가 구성된다.
상기 동종기어의 잇빨수가 구동기어(36)의 잇빨수보다 많아 구동기어(36)에서 종동기어(34)로 회전이 전달되면서 회전수가 감속하게 된다.
상기 고정날(22)의 칼날부(20)는 일측 가장자지에는 나뭇가지를 절단하는 역할을 하는 칼날이 형성되고 그 후방부에는 U자 형상의 고정브라켓트로 구성되어 있고 그 중간부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브라켓트의 끝단에는 고정홀이 관통되어 체결볼트로서 이 고정홀을 통과시켜 베드(37)의 암나사에 체결시켜 고정브라켓트를 베드(37)에 고정한다.
상기 고정날(22)에는 가동날(21)이 회전 가능하게 조합되는데, 상기 가동날(21)은 중간부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이 관통공을 기준으로 하여 일측에는 칼날부(20)가 타측에는 바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칼날부(20)는 일측 가장자리에 칼날이 형성되고 상기 바는 판형의 바형상임면서 그 측면은 곡선과 직선으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날(22) 및 가동날(21)의 칼날은 곡선으로 구성되고 칼날부(20)는 칼날이 있는 부분 얇고 예리하며 칼날에서 멀어질수록 그 두께가 두꺼워 진다.
상기 고정날(22) 및 가동날(21)이 회전 가능하게 고정날(22) 및 가동날(21)의 중간부의 관통공에 핀을 관통시켜고 이 핀을 중심으로 회전날이 회전하게 된다. 즉 고정날(22) 및 가동날(21)은 그 중간부와 중간부가 힌지 구조로 회전 가능하게 조합되는 것이다.
상기 핀은 직경이 상기 고정날(22) 및 가동날(21)의 관통공 보다 작게 구성되고 핀외부 전체 또는 양단의 일부분만 숫나사로 형성하여 그 양단을 암나사로 체결하는 구성이다.
상기 고정날(22) 및 가동날(21)의 관통공을 일치시킨 후 관통공에 숫나사가 형성된 핀을 위치시키고 숫나사의 양단을 암나사로 체결하면 고정날(22)과 가동날(21)이 체결된다.
상기와 같은 고정날(22)과 가동날(21)의 구성은 칼날의 중심주가 절단중심과 거리가 짧게 도어 나뭇가지를 절단하는데 큰 힘이 들지 않기 때문에 직경이 30mm 정도의 나무도 용이하게 절단된다.
상기 가동날(21)의 바형상부에 인장코일스프링의 복귀스프링(23)이 일단이 결합되어 구성된다.
상기 복귀스프링(23)은 그 일단이 가동날(21)의 바형상부 측면에 결합되고 타단이 덮개의 내측에 결합되며 결합된 경우에는 항상 인장상태가 되어 압축력이 작용되게 구성된다.
상기 덮개는 구동부를 이루는 부품 중에서 구동기어(36), 종동기어(34), 캠로울러(35), 복귀스프링(23), 가동날의 바형상부를 수용하면서 베드에 결합된다.
상기 결합된 복귀스프링(23)은 항상 가동날(21)의 바형상부를 당기는 역할하게 되어 가동날(21)의 바형상부 측면이 캠로울러(35)와 접촉되게 된다.
상기 구동기어(36)가 회전하면 구동기어(36)에 맞물린 종동기어(34)가 회전하여 그 동력전달회전 방향이 90°로 변화되며, 종동기어(34)가 회전하면 종동기어(34)에 편심 고정된 캠로울러(35)가 종동기어축을 중심으로 공전하게 된다.
이때, 복귀스프링(23)이 항상 가동날(21)의 바형상부를 당기는 상태이므로 바형상부의 곡선과 직선으로 된 일측면은 상기 캠로울러(35)와 접촉되어 캠로울러(35)의 회전에 의해 바형상부가 일정한 거리를 상하운동을 한다. 즉, 바형상부에서 캠로울러(35)와 접촉하는 부분은 캠로울러(35)가 종동기어(34)의 회전축에 편심된 량의 2배 거리를 상하운동을 하는 것이다.
상기 바형상부의 상하운동에 의해 가동날(21)은 관통공을 중심으로 시이소오 작용하여 가동날(21)의 칼날부(20)가 왕복 회전하여 가위질을 수행한다.
상기 캠로울러(35)가 종동기어축을 중심으로 공전하면서 가동날(21)의 일측면과의 접촉과 복귀스프링(23)의 수축에 의해 가동날(21)이 일정각도만을 왕복 회전하여 고정날(22)과 함께 가위질을 수행하는 것이다.
즉, 도5~7도의 본 발명의 자동 전지가위의 칼날부 및 구동부 (30)작동 상태도와 같이 작용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캠로울러(35) 및 구동기어(36)를 사용하여 가동날(21)을 가동케 함으로써 동력을 보다 확실하게 전달하여 동력효율을 제고한 것이다. 즉 동력손실이 작은 장점이 있다.
상기 가동날(21) 및 고정날(22)의 칼날곡선은 하나의 곡률반경(R)으로 구성된다.
상기 가동날(21)과 고정날(22)의 안쪽에 나뭇가지를 위치시켜 가동날(21)을 작동시키면 가동날(21)의 칼날이 안쪽부터 서서히 나뭇가지에 진입함으로써 나뭇가지에 서서히 찰과상 내므로 나뭇가지가 밀려나지 아니하여 그 절단이 용이하게 되므로 보다 큰 나뭇가지도 쉽게 절단할 수 있다.
즉, 가동날(21) 및 고정날(22)의 칼날의 칼날곡선이 하나의 곡선으로 이루어져 나뭇가지 절단시 가동날(21)이 나뭇가지를 끌어 앉는 현상이 되는 것이다.
상기 구동기어(36)의 후방에는 일반적인 유성감속기(31)가 구성된다. 상기 유성감속기(31)는 모터(32)와 연동되어 모터(32)의 회전수를 감속하면서 모터(32)의 동력을 구동기어(36)에 전달한다.
상기 유성감속기(31) 및 모터(32)는 케이스 내에 수용되며, 상기 케이스는 모터를 온/오프시키는 전원스위치(33)를 구비하면서 손잡이의 역할을 한다.
상기 유성감속기(31)는 중앙에 태양기어가 구성되고 상기 태양기어와 일정거리를 두고 태양기어 맞물려 태양기어 둘레를 회전하는 유성기어가 다수 구성되고, 상기 유성기어들과 맞물려 있으면서 유성기어를 내측으로 감싸안으면서 회전하고 태양기어와 중심축이 동일한 내측 링기어가 구성되고 중심축과 태양기어의 중심축은 하나의 암으로 연결되어 있다.
즉, 유성기어는 태양기어와 링기어 사이에 구성되면서 유성기어와 태양기어를 모두 연동하게 구성되면서, 태양기어는 모터축에 링기어는 구동기어(36)와도 연동하게 구성된다.
태양기어를 고정해 놓고 암을 태양기어의 주위로 1회전시켰을 때 유성기어 의 회전을 살펴보면, 회전방향으로 부호를 붙여 반시계방향을 양(+), 시계방향을 음(-)으로 한다. 즉, 암을 +1회전이라고 하면 암을 반시계방향으로 1회전 한다.
먼저, 이 장치 전체를 고정해 놓고 태양기어의 중심축 주위로 +1회전한다.
그리고, 다음에 암만을 고정해 놓고 태양기어를 -1회전하여 처음 상태로 해 놓는다. 암을 움직이지 않고 태양기어를 회전시키면 태양기어와 맞물려 있는 유성기어 도 회전한다. 유성기어는 태양기어의 -1회전으로 유성기어 축의 주위를 (-1)(-ZA/ZB)=+ZA/ZB 회전한다. 여기서 ZB는 유성기어의 톱니수, ZA는 태양기어의 톱니수이다.
또한, 전체를 고정하였을 경우와 암을 고정하였을 경우의 회전을 합한 것이 기어의 회전수이다. 즉, 유성기어는 (1+ZA/ZB) 회전한다. 태양기어와 유성기어의 톱니수가 같으면, 태양기어를 고정해 놓고, 암을 그 중심축의 주위로 1회전 시 키면 유성기어는 2회전 한다. 태양기어를 회전시키면 유성기어의 회전은 태양기어 및 암의 회전을 합성한 것이 된다.
본 발명은 유성감속기(31)에서의 상기와 같은 작용으로 유성감속기(31)에서 큰 감속비를 얻게 되는데 모터(32)의 고속 회전수를 유성감속기(31)에서 크게 감속하게 될 뿐만 아니라 구동기어(36)에 전달된 회전수는 구동기어(36)와 종동기어(34)와의 사이에서 다시 한번 회전 감속이 되는 구성이다.
따라서, 모터(32)의 회전수가 회전날에 전달되면서 유성감속기(31)에서의 큰 감속과 구동기어(36) 및 종동기어(34)에서의 감속 즉 2중 감속으로 인하여 가동날(21)이 일반 전지가위의 가윗날과 같은 속도로 가위질이 되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은 10,000rpm의 D.C 36V 모터(32)를 사용하여 유성감속기(31)에서 120:1로 감속하고 종동기어(34)에서 1.3:1로 한번 더 감속하면 1분당 60회전으로 감속되어 작업토오크가 3~4배 정도가 되어 가위질이 가능하게 되면서 모터(32) 등에 과부하가 걸리지 않아 유성감속기(31) 및 모터(32) 등에 무리가 가지 않게 된다.
상기 모터(32)는 외부의 충전지(41)와 전선으로 연결되는데, 그 충전지(41)는 별도의 배부식 충전지(41)로 구성되며, 모터(32)는 스위치와 전기적으로 배선되어 있어 스위치의 온/오프 조작에 따라 작동되거나 정지된다.
상기 충전지(41)는 멜빵이 있는 등받이(42)에 구성되어 등에 질 수 있는 배부식이면서 충전단자(43)가 구성되어 작업을 하지 않는 야간시간 또는 휴식시간 등을 이용하여 충전단자(43)를 통하여 충전지(41)에 충전을 할 수 있다.
상기 충전지(41)는 ES형 12V*1.2M D.C충전지(41) 3개를 직렬로 연결 구성하여 12V로 충전하고 36V로 출력되게 구성된다. 그 이유는 전압이 낮을수록 전력손실이 많고 전압이 높을수록 그 힘이 좋으면서 수명도 길기 때문이다.
상기 충전지(41)의 구성은 36V로 충전하는 것보다 12V로 충전하는 것이 충전 시간이 단축되는 이점도 살린 것이며, 배부식은 별도 분리 가능하므로 충진할 경우나 보관할 경우에 별도 보관이 가능하고 보관이 용이한 장점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충전지(41)를 ES형 12V*1.2M D.C충전지(41) 3개로 한 이유는 1일 작업에 충분하도록 작업용량이 12시간에 적합하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전기가 충전된 충전지(41)에 출력단자와 구동부의 입력단자(44)를 코드선으로 연결한 상태에서 고정날(22)과 회전날의 칼날 사이에 나뭇가지를 위치시키고 전원스위치(33)를 ON하면 모터(32)가 회전하고 모터(32)에 연동된 유성감속기(31)가 회전하여 회전수를 감속하여 구동기어(36)를 회전시키면 구동기어(36)와 연동된 종동기어(34)가 회전하면서 2차로 회전수를 감속하게 된다.
상기 종동기어(34)가 회전하면서 종동기어(34)에 구성된 캠로울러(35)가 종동기어축을 중심으로 공전하게 되는데 이때 복귀스프링(23)의 복귀작용에 의해 가동날(21)의 바형상부가 항상 캠로울러(35)와 접촉하게 되어 캠로울러(35)의 직선거리에 의해 가동날(21)의 바형상부가 일정한 거리를 상하운동하고, 바형상부의 상하운동에 의해 가동날(21)은 관통공을 중심으로 시이소오 작용하여 가동날(21)의 칼날부(20)가 왕복 회전하여 가위질을 수행하면서 나뭇가지를 절단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캠로울러, 기어 및 유성감속기를 사용하여 회전수를 감속하여 동력을 전달하고 칼날의 곡선을 하나의 곡률을 사용하고 배부식 충전기를 사용하여 보다 큰 가지도 절단할 수 있고 작업이 편리한 자동 전지가위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기어 및 유성감속기를 사용하여 모터의 회전수를 2차 감속함으로써 보다 확실하게 동력이 절단되고 작업토오크가 증대되어 직경이 약간 굵은 나뭇가지도 절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동날의 칼날곡선이 하나의 곡률반경으로 구성되어 직경이 약간 굵은 나뭇가지의 절단시 나뭇가지가 밀려나지 않게 되어 쉽게 절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별도의 배부식 충전지를 사용하여 이동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충전지의 전원을 사용하여 자동으로 나뭇가지를 절단함으로써 작업자가 장기간 작업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남녀노소 누구나 사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별도의 배부식 충전지는 1일 작업용량에 적합하면서 충전시간이 짧은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충전지가 별도의 배부식으로 구성되어 휴대가 간편한 장점이 있다.

Claims (4)

  1. 자동 전지가위에 있어서,
    베드의 일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 구동기어와;
    상기 베드의 타측면에 구성되면서 상기 구동기어와 직각으로 구성되어 구동기어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 종동기어와;
    상기 종동기어의 일측면에 구성되어 종동기어와 일체형으로 회전하는 캠로울러와;
    상기 베드의 전방부 상부에 후방부가 고정브라켓트를 매개로 하여 고정되고, 전방부는 일측 가장자리가 칼날이 형성된 고정날과;
    상기 고정날과 중간부가 힌지 구조로 회전 가능하게 조합되고 일측은 가장자리에 칼날이 형성되고 타측은 바형상이면서 곡선과 직선으로 된 일측면이 상기 캠로울러와 접촉되는 가동날과;
    상기 고정날 중간부와 일단이 가동날의 측면에 결합되고 타단이 덮개의 내측에 결합되어 가동날의 바형상부를 복귀시키는 상태가 되어 바형상부가 캠로울러와 접촉되게 하는 복귀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캠로울러가 종동기어축을 중심으로 공전하면서 가동날의 일측면과의 접촉과 복귀스프링의 수축에 의해 가동날이 일정각도만을 왕복 회전하여 고정날과 함께 가위질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전지가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날의 칼날곡선은 하나의 곡률반경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전지가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어의 후방에 구성되어 모터의 회전수를 감속하면서 모터의 동력을 구동기어에 전달하는 유성감속기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전지가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에 공급되는 전원은 별도의 배부식 충전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전지가위.
KR1020060049250A 2006-06-01 2006-06-01 자동 전지가위 KR1006455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9250A KR100645595B1 (ko) 2006-06-01 2006-06-01 자동 전지가위
PCT/KR2007/000546 WO2007139273A1 (en) 2006-06-01 2007-02-01 Automatic pruning shears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9250A KR100645595B1 (ko) 2006-06-01 2006-06-01 자동 전지가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45595B1 true KR100645595B1 (ko) 2006-11-15

Family

ID=37654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9250A KR100645595B1 (ko) 2006-06-01 2006-06-01 자동 전지가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645595B1 (ko)
WO (1) WO2007139273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9515B1 (ko) 2006-11-20 2007-11-28 주식회사 월드에너지 휴대용 전지가위
CN102523949A (zh) * 2011-12-09 2012-07-04 宁波新港工具有限公司 剪枝机
CN103447128A (zh) * 2013-09-10 2013-12-18 安吉县迎客松花木场 一种树皮破碎机
CN103650932A (zh) * 2013-12-19 2014-03-26 广西大学 一种蓄电池电动果树修剪机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509087B1 (de) * 2009-11-17 2011-09-15 Lunatone Ind Elektronik Gmbh Schere
WO2016145551A1 (zh) * 2015-03-17 2016-09-22 林有堂 可提升剪切效率的园艺剪
WO2017060849A1 (en) * 2015-10-07 2017-04-13 Lightech S.R.L. Automatic shears
DE102018104638B4 (de) * 2018-02-28 2021-08-05 Green Guard Industry Ltd. Hochastscher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511100A (de) * 1969-04-25 1971-08-15 Styner & Bienz Ag Elektrisches Schergerät
US5353504A (en) * 1993-04-30 1994-10-11 Pai Chung Jen Motorized scissors
JP2003047317A (ja) * 2001-08-03 2003-02-18 Ryono Engineering Kk ぶどう等果実摘粒器
KR200267673Y1 (ko) * 2001-12-19 2002-03-12 김성건 자동 전지가위
KR100432397B1 (ko) * 2002-04-11 2004-05-28 이해동 자동전지가위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9515B1 (ko) 2006-11-20 2007-11-28 주식회사 월드에너지 휴대용 전지가위
CN102523949A (zh) * 2011-12-09 2012-07-04 宁波新港工具有限公司 剪枝机
CN103447128A (zh) * 2013-09-10 2013-12-18 安吉县迎客松花木场 一种树皮破碎机
CN103650932A (zh) * 2013-12-19 2014-03-26 广西大学 一种蓄电池电动果树修剪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7139273A1 (en) 2007-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5595B1 (ko) 자동 전지가위
CA2714773C (en) Electric shears
US7757405B2 (en) Trimmer with reciprocating blades
CN101933443B (zh) 切割装置
US8230671B2 (en) Automatic bypassing device of tying posts in fruit-bearing hedges, and agricultural equipment making use thereof
EP2473019B1 (en) Cutting assembly for hand-held power tool
KR100927795B1 (ko) 전동 낫
EP4019214A1 (en) Bidirectional driving mechanism for electric scissors blades and electric scissors blades
CN111512813A (zh) 一种新型双动刀片电动剪刀
US3934340A (en) Cutting blade edge construction for mechanically actuated shears
CN200983764Y (zh) 割收同步采茶机
CN208227714U (zh) 割草机及其动力传动系统
CN110447388A (zh) 一种采桑机的割叶部件
CN109121660A (zh) 一种市政园林用割草机
CN214430364U (zh) 电剪刀刀片双向驱动机构及电动剪刀
US2757453A (en) Hedge trimmers
CN102224794A (zh) 一种电动果树修剪机
KR200411622Y1 (ko) 전동 전지 커터기
CN211406924U (zh) 一种智能社区花草修剪机器人
CN1437842A (zh) 组合式万能自动绿色修剪机
CN1302696C (zh) 直流电动修剪机
CN203416658U (zh) 一种新型自动树剪
CN211861179U (zh) 一种葡萄种植用的修剪设备
KR100318196B1 (ko) 전정기
CN216017849U (zh) 一种花椒采摘碎枝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00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