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8196B1 - 전정기 - Google Patents

전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8196B1
KR100318196B1 KR1019990014249A KR19990014249A KR100318196B1 KR 100318196 B1 KR100318196 B1 KR 100318196B1 KR 1019990014249 A KR1019990014249 A KR 1019990014249A KR 19990014249 A KR19990014249 A KR 19990014249A KR 100318196 B1 KR100318196 B1 KR 1003181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w blade
rotary saw
bevel gear
rotational force
ca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42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46748A (ko
Inventor
김정관
서석만
Original Assignee
김정관
서석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관, 서석만 filed Critical 김정관
Priority to KR10199900142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8196B1/ko
Publication of KR199900467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67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81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8196B1/ko

Link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cissors And Nippers (AREA)
  • Portable Power Tool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 발명은 나무가지를 절단하는데 사용되는 전정기(剪定機)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회전톱날을 보호하는 케이싱과 케이싱에 연결되는 절개부에 설치되는 고정부에 회전톱날의 중심축을 향하여 이동하도록 스프링에 의한 탄성력을 받는 탄성지지대를 설치하여, 작업시 탄성지지대가 회전톱날의 측면에서 휘청거리는 나무가지를 잡아 주는 동시에 회전톱날에 밀착시켜 주어 나무가지를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는 전정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전정기는, 동력발생용 엔진(12)과, 상기 엔진(12)의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내부에 전후좌우로 구부러지는 특징을 가진 가요성축(142)이 구비된 가요성케이블(14)과, 상기 가요성축(142)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기 위한 회전축(202)이 베어링(204)에 의하여 지지되도록 구비된 작업봉(20)과, 상기 작업봉(20)에는 절개부(316)와 연결되는 케이싱(302)에 수납되는 회전축(202)의 단부와 스플라인결합에 의하여 단부가 연결되는 구동베벨기어(304)에 종동베벨기어(306)가 직각으로 결합하여 회전축(202)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서 회전방향을 전환하기 위한 동력전환부(30)와, 상기 종동베벨기어(306)에 설치되어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회전톱날(24)로 이루어진 것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302)과 연결되는 절개부(316)에는 고정부(262)가 설치되며, 상기 고정부(262)에는 회전톱날(24)의 중심축을 향하여 이동하도록 스프링(262a)에 의한 탄성력을 받는 탄성지지대(26)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정기{A trimming device}
본 발명은 나무가지를 절단하는데 사용되는 전정기(剪定機)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회전톱날을 보호하는 케이싱과 케이싱에 연결되는 절개부에 설치되는 고정부에 회전톱날의 중심축을 향하여 이동하도록 스프링에 의한 탄성력을 받는 탄성지지대를 설치하여, 작업시 탄성지지대가 회전톱날의 측면에서 휘청거리는 나무가지를 잡아 주는 동시에 회전톱날에 밀착시켜 주어 나무가지를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는 전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벌목작업장에서의 나무가지 절단 또는 원예용 수목의 나무가지 절단과 같은 작업을 위하여 전정기가 사용되며, 전정기는 예를 들어서 낫, 전정가위등과 같은 것이 사용되고 있으나 작업효율이 매우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즉, 낫은 높이가 낮은 수목이나 굵기가 가는 수목에서는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나 높은 나무가지나 굵은 나무가지를 절단하는데 힘이 많이 들며, 높이가 낮은 수목에서 작업할 때에도 사람의 힘으로 절단작업을 하기 때문에 규모가 작은 숲이나 정원에서는 지장이 없으나 대규모 조림작업에는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정가위는 단부가 날카로운 나무절단용 가위의 손잡이 부분을 길게 연장시켜서 비교적 높은 위치에 있는 나무가지의 절단이 용이한 이점이 있는 반면에, 팔을 높이 들기 때문에 힘이 들며 나무를 쳐다보다가 목에 통증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수작업으로 전정가위를 작동시키므로 나무가지를 고정한 상태에서 원하는데로 절단할 수 가 없어서 절단작업이 원활하게 수행되지 않는 문제점과, 더욱이 수작업으로 인하여 한 사람이 절단할 수 있는 나무가지에 한계가 있어서 넓은 범위에 걸친 조림작업에서는 작업효율이 매우 낮은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따라서, 이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일본 실용신안출원공개 소60-119262(1985.8.12 공개)에는 엔진으로 부터 회전출력을 전달하기 위한 전동축을 내부에 삽입시킨 조작관의 선단부에 회전톱날을 취부하고, 회전톱날의 전반부와 후방부에 회전톱날을 보호하기 위하여 커버하는 제1가이드부재와 제2가이드부재를 설치하여, 회전톱날에 의해 절단중인 나무가지가 제1가이드부재와 제2가이드부재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공간부로 빠져 나갈수 있도록 하여 나무가지를 절단할 수 있는 지타기가 알려져 있다.그러나, 상기의 지타기는 나무가지를 회전톱날에 의해 절단할 경우에 회전톱날에 나무가지를 밀착시켜 주는 장치가 없으므로 인하여 휘청거리는 나무가지가 회전톱날에 밀리게 되어 나무가지를 용이하게 절단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회전톱날을 보호하는 케이싱과 케이싱에 연결되는 절개부에 설치되는 고정부에 회전톱날의 중심축을 향하여 이동하도록 스프링에 의한 탄성력을 받는 탄성지지대를 설치하여, 작업시 탄성지지대가 회전톱날의 측면에서 휘청거리는 나무가지를 잡아 주는 동시에 회전톱날에 밀착시켜 주어 나무가지를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과제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정기의 전체 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2는 도 1의 전정기의 구성를 나타내는 부분단면도,
도 3은 도 1의 동력전환부의 상세구성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회전톱날과 탄성지지대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전정기 12 : 엔진 14 : 가요성케이블
16 : 스위치 18 : 손잡이 20 : 작업봉
22 : 연결봉 24 : 회전톱날 26 : 탄성지지대
28 : 멜빵 30 : 동력전환부 142 : 가요성축
202 : 회전축 202a : 스플라인결합부 204 : 베어링
262 : 고정부 262a : 스프링 302 : 케이싱
302a. 결합부 304. 구동베벨기어 304a. 스플라인결합부
306 : 종동베벨기어 306a : 나사결합부 308 : 베어링
310 : 캡너트 312 : 부싱 314 : 체결너트
316 : 절개부 318 : 부싱 320 : 너트
상기의 기술적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전정기는, 동력발생용 엔진과, 상기 엔진의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내부에 전후좌우로 구부러지는 특징을 가진 가요성축이 구비된 가요성케이블과, 상기 가요성축으로 부터 회전력을 전달받기 위한 회전축이 베어링에 의하여 지지되도록 구비된 작업봉과, 상기 작업봉에는 절개부와 연결되는 케이싱에 수납되는 회전축의 단부와 스플라인결합에 의하여 단부가 연결되는 구동베벨기어에 종동베벨기어가 직각으로 결합하여 회전축으로 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서 회전방향을 전환하기 위한 동력전환부와, 상기 종동베벨기어에 설치되어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회전톱날로 이루어진 것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과 연결되는 절개부에는 고정부가 설치되며, 상기 고정부에는 회전톱날의 중심축을 향하여 이동하도록 스프링에 의한 탄성력을 받는 탄성지지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전정기(10)는 엔진을 사용한 동력형 전정기로서 도 1 내지 도 4에 예시된 일실시예를 참고하면, 캐리어(carrier)에 의하여 이동되는 동력발생용 엔진(12)과, 상기 엔진(12)의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내부에 전후좌우로 구부러지는 특징을 가진 가요성축(142)이 구비된 가요성케이블(14)과, 상기 가요성축(142)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기 위한 회전축(202)이 베어링(204)에 의하여 지지되도록 구비된 작업봉(20)과, 상기 작업봉(20)과 연결되며 회전축(202)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서 방향을 전환하기 위한 동력전환부(30)와, 상기 동력전환부(30)에 연결되어서 회전력을 전달받는 회전톱날(24)과, 상기 동력전환부(30)의 케이싱외부에 고정되고 회전톱날(24)의 중심축을 향하여 이동하도록 스프링(262a)에 의한 탄성력을 받는 탄성지지대(26)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전정기(10)는 엔진을 사용한 동력형 전정기로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캐리어(carrier)에 의하여 이동되는 동력발생용 엔진(12)과, 상기 엔진(12)의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내부에 전후좌우로 구부러지는 특징을 가진 가요성축(142)이 구비된 가요성케이블(14)과, 상기 가요성축(142)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기 위한 회전축(202)이 베어링(204)에 의하여 지지되도록 구비된 작업봉(20)과, 상기 작업봉(20)과 연결되며 회전축(202)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서 방향을 전환하기 위한 동력전환부(30)와, 상기 동력전환부(30)에 연결되어서 회전력을 전달받는 회전톱날(24)과, 상기 동력전환부(30)의 케이싱외부에 고정되고 회전톱날(24)의 중심축을 향하여 이동하도록 스프링(262a)에 의한 탄성력을 받는 탄성지지대(26)로 구성된다.
특히 엔진(12)을 이동시키기 위한 캐리어(carrier)에 멜빵(28)이 구비되어서 어깨에 맨 상태에서 가요성케이블(14)의 전후좌우 이동에 의하여 어느 방향으로든지 거리조절과 이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나무가지절단작업에 매우 유용하다. 또한 작업봉(20)의 길이가 짧은 경우에 길이의 연장을 위한 연결봉(22)이 구비되어서, 작업봉(20)과 동력전환부(30) 사이에 삽입하여 높은 나무가지의 절단도 용이한 특징이 있으며 연결봉(22)의 구성은 후에 상술한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동력발생장치인 엔진(12)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엔진(12)은 회전력을 얻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가솔린등을 연료로 사용하는 엔진이다. 가솔린은 엔진(12)을 장착한 캐리어(carrier)의 상부측에 탱크를 설치하여 필요한 연료를 공급할 수 있으며 가솔린 대신에 전기충전방식의 모터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엔진(12)의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하여 가요성케이블(14)이 연결되며, 가요성케이블(14)은 전후좌우로 자유롭게 구부리거나 휘어지는 상태에서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가요성케이블(14)의 내부에는 가요성축(142)이 설치되어 있으며, 가요성축(142)은 축이 휘어지거나 구부러진 상태에서도 엔진(12)의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는 것으로서 가요성케이블(14)과 함께 구부러지거나 휘어지는 것으로 가요성축(142)은 용수철과 같은 형태를 가지며 회전축(202)과 연결되며 가요성케이블(14)은 가요성축(142)이 회전하여도 내부손상이 가지 않도록 처리되어 있으며 이것은 종래 기술로부터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상기 가요성케이블(14)과 연결되어서 회전력을 전달하는 것은 작업봉(20)으로서, 상기 작업봉(20)은 구부러지거나 휘어지지 않는 원통관으로서 외부에는 스위치(16)와 손잡이(18)가 설치되어 있으며, 손잡이(18)는 나무가지의 절단작업시 휴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스위치(16)는 작업봉(20) 내부에 설치된 회전축(202)의 회전속도를 가속하거나 감속하는데 사용되며, 이것은 가요성축(142)과 회전축(202)을 연결하는 부분에 변속기어를 사용하거나 또는 구동모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모터의 회전속도를 조정하는 가변스위치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작업봉(20)의 내부에 설치된 회전축(202)은 원형의 막대로서 작업봉(20)의 중간에 설치된 베어링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작업봉(20)의 타단부에는 나무가지를 절단하기 위한 수단인 동력전환부(30)와 회전톱날(24)이 더 연결되며, 회전톱날(24)은 동력전환부(30)에 연결되어서 회전력을 전달받는다.또한, 회전톱날(24)의 측면에는 케이싱(302)과 연결되는 절개부(316)에 고정부(262)가 설치되며, 상기 고정부(262)에는 회전톱날(24)의 중심축을 향하여 이동하도록 스프링(262a)에 의한 탄성력을 받는 탄성지지대(26)가 설치되어 있으며 탄성지지대(26)는 나무가지를 절단하는 경우에 회전톱날(24)의 측면에서 나무가지를 지지하여 나무가지가 흔들리지 않고 절단이 잘 되도록 하는 작용을 한다.
또한,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회전톱날(24)과 탄성지지대(26) 사이에 나무가지가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톱날(24)이 회전하면서 나무가지(32)가 절단되는 상태가 잘 표시되어 있으며, 탄성지지대(26)는 화살표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도록 탄성스프링을 이용하여 고정하기 때문에 나무가지(32)의 움직임이 방지되어서 절단이 용이하게 수행된다.
상기 회전톱날(24)을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전환부(30)의 내부에는 회전축(202)으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하여 한 쌍의 베벨기어가 사용되는 것으로, 회전축(202)에는 구동베벨기어(304)가 연결되고, 회전톱날(24)에는 종동베벨기어(306)가 연결되어 있어서 회전톱날(24)에 회전력을 전달하며, 구동베벨기어(304)와 회전축(202)의 스플라인결합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회전톱날(24)에 전해지는 회전력은 엔진(12)→가요성축(142)→회전축(202)→구동베벨기어(304)→종동베벨기어(306)→회전톱날(24)로 전달되어서 나무가지(32)가 절단하며, 탄성지지대(26)는 회전력의 전달과는 무관하며 회전톱날(24)에 의하여 나무가지(32)가 절단될 때 나무가지를 회전톱날(24)에 밀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엔진(12)과 가요성축(142)의 결합은 엔진(12)의 회전축에 가요성축(142)의 단부를 커플링을 사용하여 연결하여 되며, 가요성축(142)과 회전축(202)의 연결에도 역시 적당한 커플링을 사용하여 결합하며, 회전축(202)과 회전톱날(24)의 연결에는 회전력을 수직방향으로 전달하여야 하기 때문에 베벨기어들을 이용한 동력전환부(30)가 이용되며 이것을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상기 동력전환부(30)는 작업봉(20)을 수납하기 위한 부분과 회전톱날(24)과 탄성지지대(26)를 수납하기 위한 부분으로 구성되는 케이싱(302)과, 상기 작업봉(20)으로부터 돌출되는 회전축(202)의 단부와 스플라인결합에 의하여 단부가 연결되고 기어머리가 수직으로 위치한 구동베벨기어(304)와, 상기 구동베벨기어(304)와 결합되며 하단부에 회전톱날(24)이 연결되며 베어링(308)과 부싱(314)에 의하여 지지, 고정되고 캡너트(310)에 의하여 하부로 이동이 차단되며 단부에 회전톱날(24)이 연결되는 종동베벨기어(306)로 구성된다.
상기 케이싱(302)은 크게 두 부분으로 구분되며 결합부(302a)에 스크류를 이용하여 결합되며, 결합된 전단은 양단부가 모두 개방된 '┏'자 형태를 가지며 구동베벨기어(304)와 종동베벨기어(306)가 내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후단은 양단부가 모두 터진 일자형태를 가지며 구동베벨기어(304)의 단부인 스플라인결합부(304a)가 연장되어서 돌출되고 내부로 작업봉(20)의 회전축(202)의 단부인 스플라인결합부(202a)가 삽입되어 결합도며. 케이싱(302) 후단과 작업봉(20)은 스크류(320)로 결합되어 있으며 또한 하부에 위치한 절개부(316)에 너트를 채결하여 작업봉(20)을 조여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작업봉(20)의 내부에 위치한 회전축(202)은 내측면에 밀착된 베어링(204)들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며, 회전축(202)의 스플라인결합부(202a)에는 원형 회전축의 표면에 다수의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구동베벨기어(304)의 스플라인결합부(304a)에는 상기 돌출부와 형합되는 홈이 내측표면에 형성되어서 완전히 결합되면 회전축(202)과 연동되어서 구동베벨기어(304)도 자체적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작업봉(20)과 동력전환부(30)와의 사이에 삽입되어서 길이를 늘려주는 연결봉(22)은 일측단부는 상기 작업봉 회전축(202)의 스플라인단부(202a)와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구동베벨기어(304)의 스플라인결합부(304a)와 연결되는 전달 회전축구조를 가져야 하며 이것은 종래 기술에 의하여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구동베벨기어(304)를 고정하고 회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케이싱(302)의 내측에는 오일리스 베어링(oiless bearing)인 부싱(318)이 설치되며, 종동베벨기어(306)의 회전을 원활하게 하고 고정시키기 위하여 종동베벨기어(306)의 몸체 주위에는 베어링(308)과 부싱(312)이 설치되고, 종동베벨기어(306)의 단부에는 나사결합부(306a)가 형성되어서 회전톱날(24)의 중심부와 결합된 후에 체결너트(314)에 의하여 고정된다.
베어링(308)과 부싱(312)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케이싱(302)의 하단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케이싱(302)의 개방단부를 폐쇄하기 위한 캡너트(310)가 결합되어 베어링(308)과 부싱(312)이 하부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며, 캡너트(310)에는 또한 중앙부에 구멍이 뚫려 있어서 종동베벨기어(306)의 나사결합부(306a)가 외부로 돌출가능하게 되어 있다.
종동베벨기어(306)의 나사결합부(306a)에는 회전톱날(24)의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에 결합되며, 체결너트(314)에 의하여 회전톱날(24)이 결합된다. 상기 체결너트(314)는 회전톱날(24)이 사용중에 헐거워져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왼나사로 구성되어 회전톱날(24)이 회전함에 따라서 계속하여 잠궈주는 역할을 하므로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체결너트(314)의 머리표면에는 분해시에 사용할 수 있는 체결너트홈(314')이 형성되어서 있어서 체결, 분해가 편리하다.
상기 회전톱날(24)의 측면에는 탄성지지대(26)가 위치하며, 탄성지지대(26)는 케이싱(302)의 하부측에 고정부(262)에 스프링(262)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으며, 이로 인하여 탄성지지대(26)는 미사용시에 캡너트(310)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가 사용시에 나무가지(32)가 탄성지지대(26)와 회전톱날(24) 사이에 끼워지면서 외부로 벌어지게 된다.
회전톱날(24)의 측면에는 탄성지지대(26)가 위치한다. 탄성지지대(26)는 케이싱(302)의 하부측에 고정부(262)에 스프링(262)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으며, 이러한 형상으로 인하여 탄성지지대(26)는 미사용시에 캡너트(310)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가 사용시에 나무가지(32)가 탄성지지대(26)와 회전톱날(24) 사이에 끼워지면서 외부로 벌어지게 된다.
나무가지를 절단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멜빵(28)을 이용하여 캐리어를 등에 진 상태에서 손잡이(16)를 잡고 작업봉(20)을 쥐고서 이동하여 절단하려는 나무에 도달하면 작업봉(20)을 나무가지(32)를 향하여 뻗은 상태에서 나무가지(32)를 회전톱날(24)과 탄성지지대(26) 사이에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위치시키고 엔진(12)을 작동시키며 필요하면 연결봉(22)을 결합시켜서 높은 위치의 나무가지를 절단할 수 있다.
그리고, 도 4는 회전톱날(24)과 탄성지지대(26)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나무가지(32)를 절단하기 위하여서는 탄성지지대(26)와 회전톱날(24)의 사이로 나무가지(32)가 들어오도록 전정기를 이동시키면, 나무가지가 상기 탄성지지대(26)와 회전톱날(24)의 사이로 끼면서 탄성지지대(26)가 나무가지를 회전톱날(24) 측으로 밀착시켜 지지하므로 회전하고 있는 회전톱날(24)에 의해서 나무가지(32)가 절단되게 되며, 이 때 탄성지지대(32)는 스프링(262a)의 탄력에 의하여 회전톱날(24)의 중심 방향으로 이동하려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나무가지(32)의 이동이 작아져 나무가지의 절단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엔진(12)이 작동되면 이에 따라서 발생되는 회전력이 가요성케이블(14)의 가요성축(142)을 통하여 작업봉(20) 내부의 회전축(202), 구동베벨기어(304), 종동베벨기어(306), 그리고 회전톱날(24)에 전달되어서 나무가지(32)를 절단하며, 나무가지(32)를 절단한 후에 또다른 나무가지(32)를 절단하기 위하여 이동하는 경우에도 가요성케이블(14)에 의하여 회전톱날(240의 지향방향이 자유자재로 변경가능하므로 높은 위치 또는 낮은 위치에 있는 나무가지의 절단이 용이하다. 또한 나무가지(32)의 굵기에 따라서 스위치(16)를 이용하여 회전속도를 변경하여 절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정전기는 작업시에 나무절단용 회전톱날의 측면에 나무가지를 밀착시켜 주기 위하여 스프링의 탄성력이 작용하는 탄성지지대에 의하여 작업시 탄성지지대가 회전톱날의 측면에서 휘청거리는 나무가지를 잡아 주는 동시에 회전톱날에 밀착시켜 주어 나무가지를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중간에 가요성축을 이용하여 이동방향이 자유로워 취급이 용이하여 나무가지를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엔진(12)이 작동되면 이에 따라서 발생되는 회전력이 가요성케이블(14)의 가요성축(142)을 통하여 작업봉(20) 내부의 회전축(202), 구동베벨기어(304), 종동베벨기어(306), 그리고 회전톱날(24)에 전달되어서 회전하는 회전톱날(24)에 의하여 나무가지(32)를 절단하며 나무가지(32)를 절단한 후에 또다른 나무가지(32)를 절단하기 위하여 이동하는 경우에도 가요성케이블(14)에 의하여 회전톱날(24)의 지향방향이 자유자재로 변경가능하므로 높은 위치 또는 낮은 위치에 있는 나무가지의 절단이 용이하며 나무가지(32)의 굵기에 따라서 스위치(16)를 이용하여 회전속도를 변경하여 절단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의하면 전정기 작동시에 나무절단용 회전톱날의 측면에 나무가지를 잡아주는 지지대가 설치되어서 나무가지의 절단이 용이하고 또한 중간에 가요성축을 이용하여 이동방향이 자유로워 취급이 용이하고, 중간에 가요성축을 이용하여 연결함으로서 회전톱날의 절단방향을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으며, 또한 나무가지 절단을 용이하게 수행하여 작업효율이 높아서 대규모 조림지역에서도 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 정 정 ) 동력발생용 엔진(12)과,
    상기 엔진(12)의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내부에 전후좌우로 구부러지는 특징을 가진 가요성축(142)이 구비된 가요성케이블(14)과,
    상기 가요성축(142)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기 위한 회전축(202)이 베어링(204)에 의하여 지지되도록 구비된 작업봉(20)과,
    상기 작업봉(20)에는 절개부(316)와 연결되는 케이싱(302)에 수납되는 회전축(202)의 단부와 스플라인결합에 의하여 단부가 연결되는 구동베벨기어(304)에 종동베벨기어(306)가 직각으로 결합하여 회전축(202)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서 회전방향을 전환하기 위한 동력전환부(30)와,
    상기 종동베벨기어(306)에 설치되어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회전톱날(24)로 이루어진 것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302)과 연결되는 절개부(316)에는 고정부(262)가 설치되며, 상기 고정부(262)에는 회전톱날(24)의 중심축을 향하여 이동하도록 스프링(262a)에 의한 탄성력을 받는 탄성지지대(26)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정기.
  2. ( 삭 제 )
KR1019990014249A 1999-04-21 1999-04-21 전정기 KR1003181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4249A KR100318196B1 (ko) 1999-04-21 1999-04-21 전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4249A KR100318196B1 (ko) 1999-04-21 1999-04-21 전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6748A KR19990046748A (ko) 1999-07-05
KR100318196B1 true KR100318196B1 (ko) 2001-12-22

Family

ID=54775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4249A KR100318196B1 (ko) 1999-04-21 1999-04-21 전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819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32185A (zh) * 2016-03-18 2016-05-04 温州职业技术学院 多功能高空果实采摘设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7877B1 (ko) * 2013-06-25 2019-08-06 한국전력공사 수목전지 작업도구
CN110366942B (zh) * 2019-09-02 2024-03-29 南京林业大学 一种多工作头手持式半机械化剑麻采割机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19262U (ja) * 1984-01-20 1985-08-12 山田機械工業株式会社 枝打機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19262U (ja) * 1984-01-20 1985-08-12 山田機械工業株式会社 枝打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32185A (zh) * 2016-03-18 2016-05-04 温州职业技术学院 多功能高空果实采摘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6748A (ko) 1999-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96108A (en) Pruning apparatus
US20110258859A1 (en) Cutting device and method
CN101722505A (zh) 动力工具
CN101116393B (zh) 割草机
US20200196533A1 (en) Hedge trimmer
EP1747710A1 (en) Pruning assembly
EP1961287A1 (en) Bending attachment and portable mowing machine mounted with this
KR100318196B1 (ko) 전정기
KR100297058B1 (ko) 전정기
CN215912619U (zh) 一种具有档位调节可变弧度大小的园林绿篱剪
FR2343415B1 (ko)
CN210226222U (zh) 一种园林用割灌机
KR200411622Y1 (ko) 전동 전지 커터기
US3851390A (en) Trimming attachment
KR200469796Y1 (ko) 전동 전지가위
EP1106044B1 (en) Portable handeled tool for use in farming and gardening works provided with an improved handle
JPH0446536Y2 (ko)
JP2009072149A (ja) 園芸工具
JP4097248B2 (ja) 高枝刈取機
CN218184150U (zh) 修枝剪用操作机构以及修枝剪
CN213245810U (zh) 一种枝条修剪装置
KR20120003461U (ko) 전동 전지가위
CN113455172B (zh) 生态农林用高效除草装置
CN213214443U (zh) 一种森林抚育用打枝割灌机构
CN212554067U (zh) 一种桑叶梗切割机构及手持式桑叶采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0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