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3702B1 - 전동 드릴을 이용한 왕복 운동형 제초기 - Google Patents

전동 드릴을 이용한 왕복 운동형 제초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3702B1
KR101323702B1 KR1020110081441A KR20110081441A KR101323702B1 KR 101323702 B1 KR101323702 B1 KR 101323702B1 KR 1020110081441 A KR1020110081441 A KR 1020110081441A KR 20110081441 A KR20110081441 A KR 20110081441A KR 101323702 B1 KR101323702 B1 KR 1013237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drill
coupled
slider
reciprocat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14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19476A (ko
Inventor
하지민
하효령
Original Assignee
하효령
하지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효령, 하지민 filed Critical 하효령
Priority to KR10201100814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3702B1/ko
Publication of KR201300194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94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37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37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0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eciprocating cut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45/00Hand-held or like portable drilling machines, e.g. drill guns; Equipment therefor
    • B23B45/02Hand-held or like portable drilling machines, e.g. drill guns; Equipment therefor driven by electric powe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01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0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eciprocating cutters
    • A01D34/08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eciprocating cutters hand-guided by a walking operator
    • A01D34/1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eciprocating cutters hand-guided by a walking operator with motor driven cutters or wheels

Landscapes

  • Harvester Eleme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동 드릴을 이용한 왕복 운동형 제초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제초 작업시 회전날이 파손되어 튀면서 작업자에게 치명적인 위험을 초래하거나, 흙 또는 돌이 튀어 작업자에게 상처를 입히는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제초기의 크기와 무게를 대폭 줄여 작업 장소로의 이동이 편리해지는 효과가 있게 된다.

Description

전동 드릴을 이용한 왕복 운동형 제초기{Reciprocating Weeder using Electric Drill}
본 발명은 전동 드릴을 이용한 왕복 운동형 제초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초 작업시 회전날이 파손되어 튀면서 작업자에게 치명적인 위험을 초래하거나, 흙 또는 돌이 튀어 작업자에게 상처를 입히는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제초기의 크기와 무게를 대폭 줄여 작업 장소로의 이동이 편리해지는 전동 드릴을 이용한 왕복 운동형 제초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잡초는 작물(作物)에 비하여 생육이 빠르며 번식력이 강할 뿐만 아니라 종자의 수명도 매우 길고, 농작물이 차지할 땅과 공간을 점령하고 양분과 수분을 빼앗는다.
그리고 작물보다 큰 잡초는 일광을 차단하여 작물의 광합성작용을 방해함으로써 작물을 웃자라게 하고 지온을 저하시키며, 통풍을 저해하는 등으로 작물의 생육을 방해한다.
특히 잡초가 우거진 곳은 병균과 벌레의 서식처 또는 번식처가 되므로 이를 전파시키는 근원이 되며, 잡초 종자가 작물의 종자에 섞일 때는 작물의 품질을 저하시킬 뿐 아니라 이를 방지하는데 필요한 제초비(除草費)는 생산가를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이었다.
따라서 이러한 잡초를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제초기가 사용되는데, 일반적인 종래의 제초기(등록특허 10-0768962, 2007년 10월 15일 등록)는 동력발생수단과, 상기 동력발생수단에서 발생하는 동력이 유연성 있게 전달되는 전달축과, 상기 전달축의 단부에 설치되는 회전날 등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제초기는 회전날이 회전하면서 잡초를 제거하는 방식이어서 회전날이 흙이나 돌에 부딛치는 경우 회전날이 파손되어 튀면서 작업자에게 치명적인 위험을 초래하거나, 흙 또는 돌이 튀어 작업자에게 상처를 입히는 안전상으로 치명적인 사고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제초기는 그 구조가 복잡하고 크기와 무게가 크며, 작업 장소로의 이동에 어려움이 많아서 간단하면서도 안전한 제초기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 제초 작업시 회전날이 파손되어 튀면서 작업자에게 치명적인 위험을 초래하거나, 흙 또는 돌이 튀어 작업자에게 상처를 입히는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제초기의 크기와 무게를 대폭 줄여 작업 장소로의 이동을 편리하게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구동력을 발생하는 전동 드릴; 상기 전동 드릴에 결합되어 왕복 운동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에 결합되어 잡초를 제거하는 컷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드릴을 이용한 왕복 운동형 제초기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제초 작업시 회전날이 파손되어 튀면서 작업자에게 치명적인 위험을 초래하거나, 흙 또는 돌이 튀어 작업자에게 상처를 입히는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제초기의 크기와 무게를 대폭 줄여 작업 장소로의 이동이 편리해지는 효과가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전동 드릴을 이용한 왕복 운동형 제초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전동 드릴을 이용한 왕복 운동형 제초기를 나타내는 부분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전동 드릴을 이용한 왕복 운동형 제초기 중 본체의 하우징을 나타내는 부분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전동 드릴을 이용한 왕복 운동형 제초기 중 동력전달부재를 나타내는 부분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전동 드릴을 이용한 왕복 운동형 제초기 중 결합부재의 원주면을 평면으로 펼쳐 나타낸 전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전동 드릴을 이용한 왕복 운동형 제초기 중 컷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7과 도 8은 작업자가 본 발명에 의한 전동 드릴을 이용한 왕복 운동형 제초기를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전동 드릴을 이용한 왕복 운동형 제초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전동 드릴을 이용한 왕복 운동형 제초기를 나타내는 부분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전동 드릴을 이용한 왕복 운동형 제초기 중 본체의 하우징을 나타내는 부분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전동 드릴을 이용한 왕복 운동형 제초기 중 동력전달부재를 나타내는 부분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전동 드릴을 이용한 왕복 운동형 제초기 중 결합부재의 원주면을 평면으로 펼쳐 나타낸 전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전동 드릴을 이용한 왕복 운동형 제초기 중 컷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7과 도 8은 작업자가 본 발명에 의한 전동 드릴을 이용한 왕복 운동형 제초기를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전동 드릴을 이용한 왕복 운동형 제초기(100)는, 구동력을 발생하는 전동 드릴(110), 전동 드릴(110)에 결합되어 왕복 운동하는 본체(130), 및 본체(130)에 결합되어 잡초를 제거하는 컷터(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제초기의 본체(130)는 크게 전동 드릴(110)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회전부재(131), 회전부재(131)에 결합되어 직선 왕복 운동하는 슬라이더(151), 회전부재(131)의 회전 운동을 직선 왕복 운동으로 변환시켜 슬라이더(151)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재(170) 등으로 구성된다.
회전부재(131)는 일체로 형성되는 축부재(135)와 결합부재(133)로 이루어지는데, 축부재(135)의 일측 단부가 전동 드릴(110)의 비트척에 결합되고, 결합부재(133)가 축부재(135)의 타측 단부에 직경이 확대되어 형성되며 결합부재(133)의 외주면에 원주 방향으로 정현파 형상의 제1홈(134)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후술할 동력전달부재(170)가 회전부재(131)의 제1홈(134)과 슬라이더(151)의 제2홈(154)에 결합되어 슬라이더(151)의 직선 왕복 운동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슬라이더(151)는 일체로 형성되는 하우징(153)과 지지부(155)로 이루어지는데, 슬라이더(151)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는 하우징(153)은 내측에 결합부재(133)가 삽입되도록 결합부재(133)의 외주측에 결합되며 하우징(153)의 내주면에는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며 아크 형상의 요홈으로 형성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제2홈(15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153)의 타측 단부에서 직경이 축소되며 연장 형성되는 지지부(155)의 끝단에는 잡초를 제거하는 컷터(120)가 결합되는 체결부(157)가 형성되어 있어서, 잡초의 제거 방법에 따라서 작업자가 컷터(120)를 선택해서 결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슬라이더(151)가 회전부재(131)로부터 직선 왕복 운동할 수 있도록, 동력전달부재(170)가 제1홈(134)과 제2홈(154)에 결합되어 회전부재(131)의 회전 운동을 직선 왕복 운동으로 변환하여 슬라이더(151)에 전달하게 된다.
또한, 슬라이더(151)에는 고정된 위치에서 슬라이더(151)의 직선 왕복 운동을 지지할 수 있도록 파지부(143)와 안착부(143)로 형성되는 손잡이(140)가 결합되는데, 슬라이더(151)의 지지부(155)에 중심축 방향으로 형성되는 레일홈(159)을 형성하고 손잡이(140)의 안착부(143)를 레일홈(159)에 결합한다.
작업자가 손으로 파지하는 파지부(143)에서 중심축 방향 즉, 슬라이더(151)가 직선 왕복 운동하는 방향의 양측으로 연장 형성된 안착부(143)는 슬라이더(151)의 직선 왕복 운동시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되며, 레일홈(159)의 양단에는 슬라이더(151)의 직선 왕복 운동시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161)가 설치된다.
레일홈(159)은 지지부(155)의 내측에 중심축 방향 즉, 슬라이더(151)가 직선 왕복 운동하는 방향으로 긴 홈으로 형성되어 손잡이(140)의 안착부(143)가 삽입되고, 레일홈(159)의 중심부위는 지지부(155)의 외주면까지 절개되어 손잡이(140)의 파지부(143)가 결합되게 되어 있다.
레일홈(159)의 절개된 부위는 그 중심축 방향 길이가, 슬라이더(151)의 직선 왕복 운동시 안착부(143)가 이탈되지 않도록, 안착부(143)의 일단이 레일홈(159)의 일측 끝단에 위치한 상태에서 안착부(143)의 타단 위치보다 작게 형성된다.
또한, 레일홈(159)의 절개되 부위 양단에는 슬라이더(151)의 직선 왕복 운동시 파지부(143)와의 접촉에 의한 충격을 완화하는 댐퍼(163)가 설치된다.
결합부재(133)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1홈(134)은 적어도 둘 이상의 주기를 갖는 정현파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동일한 주기를 갖는 둘 이상의 정현파가 원주방향으로 연결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동력전달부재(170)는 제1홈(134)의 정현파 주기의 수와 동일한 갯수의 볼(171)과, 이 볼(171)들을 연결하는 탄성재질의 볼지지부재(173)로 형성되며, 여기서 볼지지부재(173)는 볼들이 동일한 원주 방향의 간격으로 배치되며 삽입되는 삽입부(175)가 구비되어 있다.
삽입부(175)는 볼(171)의 외주면을 원주방향으로 감싸는 링형상으로 볼(171)의 외주면 일부가 삽입되게 형성되며, 이들 삽입부(175)를 볼지지부재(173)가 연결하게 되어 있어서, 볼들이 제1홈(134)에 결합될 때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제1홈(134) 정현파의 동일한 위상각 위치에 볼들이 위치되며 결합된다.
즉, 동력전달부재(170)는 제1홈(134)의 정현파 주기에 해당하는 원주방향의 간격으로 볼들이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전동 드릴(110)의 작동으로 회전부재(131)가 회전할 때 볼들이 제1홈(134)을 따라서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동일한 진폭만큼 축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슬라이더(151)가 동일한 진폭만큼 축방향으로 직선 운동하게 되어 있다.
다만, 도 5에서는 제1홈(134)의 정현파 주기의 수가 5로써, 볼(171)이 5개 결합된 경우를 일례로 나타내었음을 밝혀둔다.
한편, 본체(130)와 컷터(120)는 서로 나사결합에 의해 착탈 가능하도록 지지부(155)의 끝단에 구비된 체결부(157)에 나사부를 형성하고, 컷터(120)의 단부에도 나사부를 구비한다.
또한, 잡초를 제거하는 컷터(120)는 곡면형 판재로 형성되는데, 잡초의 제거 방법에 따라서 도 6의 (a),(b)와 같이 두가지의 컷터(120)를 결합할 수 있다.
즉, 잡초의 줄기를 잘라서 없애는 경우에는 슬라이더(151)의 직선 왕복 운동에 의해 잡초의 줄기를 타격하여 잘라지게 하도록 도 6의 (b)와 같이 끝단부가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된 컷터(120)를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잡초의 줄기를 제거하는 것만으로는 잡초가 제거되지 않아서 잡초의 뿌리를 통째로 뽑아야 하는 경우에는 도 6의 (a)와 같이 슬라이더(151)의 직선 왕복 운동에 의해 컷터(120)가 잡초 주위의 흙에 꽂힐 수 있도록 끝단부가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된 컷터(120)를 결합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와 형상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하면, 제초 작업시 회전날이 파손되어 튀면서 작업자에게 치명적인 위험을 초래하거나, 흙 또는 돌이 튀어 작업자에게 상처를 입히는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제초기의 크기와 무게를 대폭 줄여 작업 장소로의 이동이 편리해지는 효과가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본 발명에 의한 전동 드릴을 이용한 왕복 운동형 제초기
110: 전동 드릴 120: 컷터
130: 본체 131: 회전부재
133: 결합부재 134: 제1홈
135: 축부재 140: 손잡이
151: 슬라이더 153: 하우징
155: 지지부

Claims (8)

  1. 구동력을 발생하는 전동 드릴;
    상기 전동 드릴에 결합되어 왕복 운동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에 결합되어 잡초를 제거하는 컷터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는,
    일측 단부가 상기 전동 드릴의 비트척에 결합되는 축부재와, 상기 축부재의 타측 단부에 직경이 확대되어 형성되며 외주면에 원주 방향으로 정현파 형상의 제1홈이 형성되어 있는 결합부재로 이루어지는 회전부재;
    일측 단부가 상기 결합부재의 외주측에 결합되며 내주면에는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며 아크 형상의 요홈으로 형성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제2홈이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타측 단부에서 연장 형성되는 지지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부의 끝단에는 상기 컷터가 결합되는 체결부가 형성되어 있는 슬라이더;
    상기 슬라이더가 직선 왕복 운동하도록, 상기 제1홈과 제2홈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 운동을 상기 슬라이더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더에는 손잡이가 결합되되 상기 슬라이더의 직선 왕복 운동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에 중심축 방향으로 형성되는 레일홈을 형성하고, 상기 손잡이는 손으로 파지하는 파지부와 상기 파지부에서 중심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레일홈에 결합되는 안착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드릴을 이용한 왕복 운동형 제초기.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홈은 적어도 둘 이상의 주기를 갖는 정현파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드릴을 이용한 왕복 운동형 제초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재는 상기 제1홈의 정현파 주기의 수와 동일한 갯수의 볼과, 상기 볼들을 연결하는 볼지지부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드릴을 이용한 왕복 운동형 제초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재는 상기 제1홈의 정현파 주기에 해당하는 원주방향의 간격으로 볼들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드릴을 이용한 왕복 운동형 제초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와 컷터가 나사결합되도록 상기 지지부의 끝단에 구비된 체결부에 나사부를 형성하고, 상기 컷터의 단부에 나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드릴을 이용한 왕복 운동형 제초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컷터는 곡면형 판재로 형성되되, 상기 슬라이더의 직선 왕복 운동에 의해 잡초의 줄기를 타격하여 잘라지게 하도록 끝단부가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상기 슬라이더의 직선 왕복 운동에 의해 잡초 주위의 흙에 꽂힐 수 있도록 끝단부가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드릴을 이용한 왕복 운동형 제초기.
KR1020110081441A 2011-08-17 2011-08-17 전동 드릴을 이용한 왕복 운동형 제초기 KR1013237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1441A KR101323702B1 (ko) 2011-08-17 2011-08-17 전동 드릴을 이용한 왕복 운동형 제초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1441A KR101323702B1 (ko) 2011-08-17 2011-08-17 전동 드릴을 이용한 왕복 운동형 제초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9476A KR20130019476A (ko) 2013-02-27
KR101323702B1 true KR101323702B1 (ko) 2013-11-05

Family

ID=478975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1441A KR101323702B1 (ko) 2011-08-17 2011-08-17 전동 드릴을 이용한 왕복 운동형 제초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37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15816B2 (en) 2013-03-15 2017-04-11 Vidacare LLC Drivers and drive systems
CN107486576A (zh) * 2017-10-18 2017-12-19 苏州雷目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机电产品安装维护辅助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42592A (en) * 1988-06-23 1991-08-27 Fisher Hugh E Power tool
KR20040023157A (ko) * 2002-09-11 2004-03-18 전성화 잡초 제거기
JP3884050B1 (ja) * 2005-10-07 2007-02-21 清 玉那覇 ドリル駆動式の草刈り機
KR100927795B1 (ko) 2009-01-22 2009-11-20 이해성 전동 낫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42592A (en) * 1988-06-23 1991-08-27 Fisher Hugh E Power tool
KR20040023157A (ko) * 2002-09-11 2004-03-18 전성화 잡초 제거기
JP3884050B1 (ja) * 2005-10-07 2007-02-21 清 玉那覇 ドリル駆動式の草刈り機
KR100927795B1 (ko) 2009-01-22 2009-11-20 이해성 전동 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9476A (ko) 2013-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5357002U (zh) 割灌锄草旋耕器
US20070193754A1 (en) Linear actuated reciprocating garden HOE
KR101323702B1 (ko) 전동 드릴을 이용한 왕복 운동형 제초기
KR101745179B1 (ko) 굴삭기용 초목 제거장치
JP2013046577A (ja) 刈払機用回転刃装置
US20080029279A1 (en) Ground-working tool
JP2009011308A (ja) 刈払い機の草取り用替え刃
KR101345034B1 (ko) 예초기 칼날
KR20150054639A (ko) 예초기용 김매기 호미
CN104472038B (zh) 除草器
KR20120049098A (ko) 이중 회전날이 한 쌍으로 구비된 제초기 작업봉 헤드
CN103250480A (zh) 不缠草组合刀旋耕刀
WO2015069508A1 (en) Hoe for two sides of a plant
KR101570807B1 (ko) 김매기 및 예초기 겸용 칼날 구조체
KR200335439Y1 (ko) 예초기용 보호 캡 및 예초기용 보호 캡을 장착한 예초기
US20080115951A1 (en) Ground-working tool and replacement blades for use therewith
KR200384579Y1 (ko) 휴대용 논매기 기계장치
US20240180054A1 (en) Motor-driven machine for biodiversity-friendly working of the soil
CN215601948U (zh) 一种油茶种植用除草机
CN105766089B (zh) 一种旋耕机的双头式机头驱动装置
KR20060098610A (ko) 휴대용 논매기 기계장치
KR101218515B1 (ko) 트랙터용 마늘 뿌리 발근기의 회전축에 발근날 몸통의 조립구조
JP2007159422A (ja) 携帯用除草機
CN107535175A (zh) 一种带离心旋转刀片的除草机刀片
KR20040023157A (ko) 잡초 제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