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5034B1 - 예초기 칼날 - Google Patents
예초기 칼날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45034B1 KR101345034B1 KR1020120069624A KR20120069624A KR101345034B1 KR 101345034 B1 KR101345034 B1 KR 101345034B1 KR 1020120069624 A KR1020120069624 A KR 1020120069624A KR 20120069624 A KR20120069624 A KR 20120069624A KR 101345034 B1 KR101345034 B1 KR 10134503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lade
- mower
- mounting hole
- rotation
- vortex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01D34/73—Cutting apparatus
- A01D34/733—Cutting-blade mounting mea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01D34/82—Other detai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착 구멍과 절곡띠와 톱니형 이빨과 날부를 포함하는 예초기 칼날에 관한 것이다.
장착 구멍은 예초기 칼날의 중앙부에 형성된다. 절곡띠는 칼날의 길이방향 양측 가장자리부의 전체 폭에 걸쳐 연속하여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톱니형 이빨은 칼날의 길이방향 양측 단의 전체 폭에 걸쳐 형성된다. 날부는 칼날의 회전방향 측면에 형성된다. 그리고, 톱니형 이빨에는 보조 날부가 형성되고, 예초기 칼날의 회전반대방향 측면에는 날부가 닳았을 때 뒤집어 장착함에 따라 날부 역활을 하는 교체 날부가 형성되며, 장착 구멍에서 칼날의 길이방향 외측을 따라 칼날의 회전에 의해 와류를 발생하는 다수의 와류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잡초나 잡목이 엉키지 않고 초목 제거가 용이하며, 회전 날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고 날을 뒤집어 장착함으로써 유효수명을 높이며 장기간 사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장착 구멍은 예초기 칼날의 중앙부에 형성된다. 절곡띠는 칼날의 길이방향 양측 가장자리부의 전체 폭에 걸쳐 연속하여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톱니형 이빨은 칼날의 길이방향 양측 단의 전체 폭에 걸쳐 형성된다. 날부는 칼날의 회전방향 측면에 형성된다. 그리고, 톱니형 이빨에는 보조 날부가 형성되고, 예초기 칼날의 회전반대방향 측면에는 날부가 닳았을 때 뒤집어 장착함에 따라 날부 역활을 하는 교체 날부가 형성되며, 장착 구멍에서 칼날의 길이방향 외측을 따라 칼날의 회전에 의해 와류를 발생하는 다수의 와류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잡초나 잡목이 엉키지 않고 초목 제거가 용이하며, 회전 날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고 날을 뒤집어 장착함으로써 유효수명을 높이며 장기간 사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예초기 칼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잡초나 잡목이 엉키지 않고 초목 제거가 용이하고 장기간 사용할 수 있는 예초기 칼날에 관한 것이다.
잡초는 경작지나 도로 그 밖의 빈터에서 자라며 생활에 큰 도움이 되지 못하는 풀로, 여기에는 목본식물까지도 포함되는데, 작물의 생장을 방해하고 병균과 벌레의 서식처 또는 번식처가 되고 작물의 종자에 섞일 때는 작물의 품질을 저하하게 된다. 이러한 잡초는 번식력이 좋아 논이나 논 주변 또는 묘소 주변에 자라면서 논이나 묘소에 병균과 벌레가 발생하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논이나 묘소 주변 등에 잡초를 주기적으로 예초하게 되는데, 이러한 예초작업은 예초기를 사용하여 효과적으로 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예초기는 곡식, 풀, 어린 잡목 등의 초목을 절단하기 위한 기구로서, 사용 용도와 형태 등에 따라 여러가지가 다양하게 제안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기계적인 제초에는 잔디 칼이나 풀긁기 낫 등 풀베기용의 간단한 것 이외에, 이른바 막제초(blind weeding)용에는 많은 외머리 못(spike tooth)이 부착된 위더(weeder)가 쓰인다. 중경제초용으로, 인력(人力)의 경우에는 괭이나 만능 호레이크(universal hoerake)가 사용되며, 축력이나 동력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컬티베이터(cultivator)나 로터리호 등이 쓰인다. 컬티베이터에는 제거대상 잡초의 크기나 종류에 각각 적합한 여러 가지 형의 폴(pawl)이 있고 이것을 알맞게 장치한다. 또한 배토(培土)나 반전경기(反轉耕起:흙을 뒤집어 파 일으키는 일)에 의해 제초하는 경우에는 배토판(furrower)을 장치한 컬티베이터 등의 배토기(培土機)나 일반 경운기가 사용된다.
종래 예초기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칼날(10)이 지지대의 연결봉에 장착되어 회전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칼날(10)은 중간부가 넓고 양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일자형상으로 형성되고. 중앙에 결합구멍(11)이 형성되어 예초기에 결합된 후 회전력을 받아 회전되는 구조이며, 칼날(10)의 회전방향 측에 날부(12)가 형성되어 칼날(10)이 회전되는 회전력에 의해 초목을 베어낼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 칼날에 의하면 풀이나 잡목이 칼날의 길이방향 양측에 감기고 엉키어 초목을 제거하기가 용이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칼날은 사용기간이 한정되고 회전날에 가해지는 충격으로 인해 유효수명이 낮으며 장기간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잡초나 잡목이 엉키지 않고 초목 제거가 용이한 예초기 칼날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회전날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고 날을 뒤집어 장착함으로써 유효수명을 높이며 장기간 사용할 수 있는 예초기 칼날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예초기 칼날은, 칼날의 중앙부에 형성된 장착 구멍과, 칼날의 길이방향 양측 가장자리부의 전체 폭에 걸쳐 연속하여 칼날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절곡띠와, 칼날의 길이방향 양측 단의 전체 폭에 걸쳐 형성된 톱니형 이빨과, 칼날의 회전방향 측면에 형성된 날부를 포함한다.
톱니형 이빨에는 보조 날부가 형성된다.
칼날의 회전반대방향 측면에는 날부가 닳았을 때 뒤집어 장착함에 따라 날부 역활을 하는 교체 날부가 형성된다.
장착 구멍에서 칼날의 길이방향 외측을 따라 칼날의 회전에 의해 와류를 발생하는 다수의 와류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예초기 칼날에 의하면, 잡초나 잡목이 엉키지 않고 초목 제거가 용이하며, 칼날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고 칼날을 뒤집어 장착함으로써 유효수명을 높이며 장기간 사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예초기 칼날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예초기 칼날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화살표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예초기 칼날이 장착된 예초기의 일예를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예초기 칼날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서 화살표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예초기 칼날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서 화살표 C-C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예초기 칼날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화살표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예초기 칼날이 장착된 예초기의 일예를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예초기 칼날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서 화살표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예초기 칼날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서 화살표 C-C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예초기 칼날을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서 화살표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예초기 칼날(100)은 장착 구멍(110)과 절곡띠(120)와 톱니형 이빨(130)과 날부(140)를 포함한다.
예초기 칼날(100)은 전체적으로 일자형 띠판 형태로 되어 있으며, 중간부의 폭이 넓고 단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띠판 형태로 되어 있다. 예초기 칼날은 3방향 판이나 십자형 판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예초기 칼날(100)의 길이는 약 300mm로 형성된다.
장착 구멍(110)은 칼날의 중앙부에 형성되며, 예초기의 축에 끼워져 칼날이 고정되게 한다. 장착구멍은 예초기의 날에 대한 안전인증기준에 따라 25.4mm로 형성된다.
절곡띠(120)는 예초기 칼날(100)의 길이방향 양측 가장자리부에 전체 폭에 걸쳐 산과 골을 이루며 연속하고 칼날의 길이방향으로 능선(121)과 골선(122)의 띠를 이룬다. 절곡띠(120)는 프레스로 찍어 한번에 절곡형상을 이루게 제조된다. 절곡띠(120)는 예초시에 예초기 칼날(100)의 길이방향 양측부에 초목이 감기지 않게 하며 초목이 용이하게 제거되게 한다. 즉 절곡띠(120)의 능선(121)과 골선(122)에 의한 요철부는 회전하면서 초목을 교란시켜 초목이 감기는 것을 방지하며 초목이 용이하게 떨어져 나가게 한다.
톱니형 이빨(130)은 예초기 칼날(100)의 양측 단의 전체 폭에 걸쳐 형성되며 절곡띠(120)의 능선(121)과 골선(122)에 맞추어 산(131)과 골(132)을 이룬다. 톱니형 이빨(130)은 절곡띠(120)와 함께 프레스로 찍어 한번에 가공한다. 톱니형 이빨(130)은 예초기 칼날(100)이 회전함에 따라 그 끝단에서 산(131)과 골(132)에 의해 초목을 간헐적으로 타격하므로써 초목을 더욱 용이하게 절단하여 제거되게 한다.
날부(140)는 예초기 칼날(100)의 회전방향 측면에 형성되며 경사면을 이루고 있고, 예초기 칼날(100)의 끝단에서 중앙부까지 형성된다. 날부(140)는 절곡띠(120)와 톱니형 이빨(130)이 프레스 가공으로 형성된 후 절삭공구나 연삭공구에 의해 예리한 날로 형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예초기 칼날이 장착된 예초기의 일예를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예초기 칼날(100)은 예초기의 연결봉(22)에 끼워져 장착된다. 연결봉(22)은 예초기 칼날(100)이 유동없이 회동되게 하는 기어케이스(20)의 하단에 구비되고, 기어케이스(20)는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가능하게 형성된 파지봉(30)의 하단부에 연결된다. 파지봉(30)의 중간에는 손잡이부(32)가 형성되고, 파지봉(30)의 상단부에는 예초기 칼날(100)에 동력을 공급하는 동력발생기(40)가 연결된다. 동력발생기(40)는 사용자가 지고 다닐 수 있는 등지게에 장착된다.
사용자는 예초기 칼날(100)이 장착된 예초기의 동력발생기(40)를 가동하여 지고 파지봉(30)을 파지한 채로 조작부(도시안됨)를 조작하면, 동력발생기(40)에서 발생된 동력이 파지봉(30)과 기어케이스(20)를 통해 예초기 칼날(100)에 전달되어, 예초기 칼날(100)이 회동하게 된다.
예초기 칼날(100)이 회동되고 이동됨에 따라, 초목에 예초기 칼날(100)이 밀착하여 회전방향 측면에 형성된 날부(140)에 의해 초목이 잘리게 된다. 이때, 절곡띠(120)의 능선(121)과 골선(122)에 의한 요철부는 회전하면서 초목을 교란시켜 초목이 감기는 것을 방지하며 초목이 용이하게 떨어져 나가게 하고, 톱니형 이빨(130)은 그 끝단에서 산(131)과 골(132)에 의해 초목을 간헐적으로 타격하므로써 초목이 감기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도우며 초목을 더욱 용이하게 절단하여 제거되게 한다.
톱니형 이빨(130)과 날부(140)는 예초기 칼날(100)를 사용함에 따라 닳게 될 경우 숫돌 등의 연마공구를 사용하여 연삭함으로써 재형성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예초기 칼날을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서 화살표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예초기 칼날(200)은 장착 구멍(210)과 절곡띠(220)와 톱니형 이빨(230)과 날부(24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제2실시예)의 장착 구멍(210)과 절곡띠(220)와 날부(240)의 구성 및 작용은 제1실시예의 장착구멍(110)과 절곡띠(120)와 날부(140)의 구성 및 작용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제2실시예)의 톱니형 이빨(230)은 예초기 칼날(200)의 양측 단의 전체 폭에 걸쳐 형성되며 절곡띠(220)의 능선(221)과 골선(222)에 맞추어 산(231)과 골(232)을 이루며, 톱니형 이빨(230)에는 절단력을 높이도록 경사면으로 된 보조 날부(233)가 형성된다. 톱니형 이빨(230)은 절곡띠(220)와 함께 프레스로 찍어 한번에 가공한다. 톱니형 이빨(230)은 예초기 칼날(200)이 회전함에 따라 그 끝단에서 산(231)과 골(232)에 의해 초목을 간헐적으로 타격하므로써 초목이 감기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도우며 초목을 더욱 용이하게 절단하여 제거되게 한다. 이때, 보조 날부(233)는 초목에 대한 절단력을 더욱 높이므로 초목의 절단 제거력을 향상시킨다.
도 7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예초기 칼날을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8은 도 7에서 화살표 C-C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예초기 칼날(300)은 장착 구멍(310)과 절곡띠(320)와 톱니형 이빨(330)과 날부(340)와 교체 날부(350)와 와류부(36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제3실시예)의 장착 구멍(310)과 절곡띠(320)와 톱니형 이빨(330)과 날부(340)의 구성 및 작용은 제1실시예의 장착구멍(110)과 절곡띠(120)와 톱니형 이빨(130)과 날부(140)의 구성 및 작용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교체 날부(350)는 예초기 칼날(300)의 회전반대방향 측면에 형성되며 경사면을 이루고 있고, 예초기 칼날(300)의 끝단에서 중앙부까지 형성된다. 교체 날부(350)는 절곡띠(320)와 톱니형 이빨(330)이 프레스 가공으로 형성된 후 절삭공구나 연삭공구에 의해 예리한 날로 형성된다. 교체 날부(350)는 날부(340)가 닳았을 때 뒤집어 장착함에 따라 날부 역활을 하므로 예초기 칼날(300)의 수명 및 연삭주기를 높인다. 따라서, 예초기 칼날(300)의 유효수명을 높이며 칼날을 장기간 사용할 수 있다
와류부(360)는 장착 구멍(310)에서 칼날의 길이방향 외측을 따라 칼날의 회전에 의해 와류를 발생하는 다수의 와류 구멍(361)(362)으로 되어 있다. 와류 구멍(361)(362)은 장착 구멍(310)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와류 구멍(361)(362)은 모두 4개로 형성되어 있는데, 1쌍 ~ 3쌍의 구멍, 즉 2개 ~ 6개의 와류 구멍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와류 구멍의 수가 6개를 초과하게 되면 장착 구멍(310)으로 응력이 과다하게 가해지게 되어 예초기 칼날(300)의 파손 및 유효수명의 저하를 초래한다.
와류 구멍(361)(362)의 직경은 15~25mm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멍의 직경이 15mm보다 작으면 자체 중량감소, 와류발생, 및 칼날에 가해지는 충격 감소 효과가 저하되며, 구멍의 직경이 25mm를 초과하면 예초기 칼날(300)의 내구성이 저하된다.
와류 구멍(361)(362)은 장착 구멍(310)에 가까운 쪽의 구멍 직경이 크고 장착 구멍(310)에서 먼 쪽에 있는 구멍 직경이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즉, 장착 구멍(310)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구멍의 직경이 작아지게 배치하는 것이 예초기 칼날(300)의 내구성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와류부(360)의 와류 구멍은 그 자체로 예초기 칼날(300)의 중량이 감소되고, 예초기 칼날(300)이 회전할 시에 와류 구멍(361)(362)에서 발생하는 와류로 인해 회전날이 미세하게 부양되므로 작업자가 실제로 느끼는 예초기의 체감 중량이 경감되며, 예초 대상으로부터 칼날에 가해지는 충격이 완충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200, 300 : 예초기 칼날 110, 210, 310 : 장착 구멍
120, 220, 320 : 절곡띠 130, 230, 330 ; 톱니형 이빨
233 ; 보조 날부 140, 240, 340 : 날부
350 : 교체 날부 361, 362 : 와류 구멍
120, 220, 320 : 절곡띠 130, 230, 330 ; 톱니형 이빨
233 ; 보조 날부 140, 240, 340 : 날부
350 : 교체 날부 361, 362 : 와류 구멍
Claims (4)
- 칼날의 중앙부에 형성된 장착 구멍과,
상기 칼날의 길이방향 양측 가장자리부의 전체 폭에 걸쳐 연속하여 칼날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절곡띠와,
상기 칼날의 길이방향 양측 단의 전체 폭에 걸쳐 형성된 톱니형 이빨과,
상기 칼날의 회전방향 측면에 형성된 날부를 포함하며;
상기 절곡띠는 산과 골을 이루며 연속하고 칼날의 길이방향으로 능선과 골선의 띠를 이루어 요철부의 절곡 형상으로 되고,
상기 톱니형 이빨은 상기 절곡띠의 능선과 골선에 맞추어 산과 골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초기 칼날.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톱니형 이빨에는 보조 날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초기 칼날.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칼날의 회전반대방향 측면에는 상기 날부가 닳았을 때 뒤집어 장착함에 따라 날부 역활을 하는 교체 날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초기 칼날.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장착 구멍에서 상기 칼날의 길이방향 외측을 따라 상기 칼날의 회전에 의해 와류를 발생하는 다수의 와류 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을 하는 예초기 칼날.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69624A KR101345034B1 (ko) | 2012-06-28 | 2012-06-28 | 예초기 칼날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69624A KR101345034B1 (ko) | 2012-06-28 | 2012-06-28 | 예초기 칼날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345034B1 true KR101345034B1 (ko) | 2013-12-26 |
Family
ID=49989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69624A KR101345034B1 (ko) | 2012-06-28 | 2012-06-28 | 예초기 칼날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45034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110952A (ko) | 2020-03-02 | 2021-09-10 | 허권구 | 낫 원리를 이용한 예초기용 칼날 |
KR20230154527A (ko) | 2022-05-02 | 2023-11-09 | 허권구 | 예초기용 칼날 |
KR20240000638U (ko) | 2022-10-06 | 2024-04-16 | 최윤용 | 예초기 칼날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1996029853A1 (en) | 1995-03-27 | 1996-10-03 | Danny James Brown | Lawn mower blade |
KR200440283Y1 (ko) * | 2007-04-03 | 2008-06-04 | 대광교역 주식회사 | 예초기용 칼날조립체 |
KR200448876Y1 (ko) * | 2010-03-03 | 2010-05-28 | 김용만 | 휴대용 예초기 회전날 |
-
2012
- 2012-06-28 KR KR1020120069624A patent/KR10134503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1996029853A1 (en) | 1995-03-27 | 1996-10-03 | Danny James Brown | Lawn mower blade |
KR200440283Y1 (ko) * | 2007-04-03 | 2008-06-04 | 대광교역 주식회사 | 예초기용 칼날조립체 |
KR200448876Y1 (ko) * | 2010-03-03 | 2010-05-28 | 김용만 | 휴대용 예초기 회전날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110952A (ko) | 2020-03-02 | 2021-09-10 | 허권구 | 낫 원리를 이용한 예초기용 칼날 |
KR20230154527A (ko) | 2022-05-02 | 2023-11-09 | 허권구 | 예초기용 칼날 |
KR20240000638U (ko) | 2022-10-06 | 2024-04-16 | 최윤용 | 예초기 칼날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080245539A1 (en) | Soil Tilling Device | |
KR101345034B1 (ko) | 예초기 칼날 | |
JP3212957U (ja) | 除草装置及び除草機 | |
KR101296491B1 (ko) | 예초기의 풀엉킴 방지구 | |
KR20180064113A (ko) | 다조식 제초기 | |
US5402629A (en) | Mowing machine and structure for discharged mowed grass | |
TWM580855U (zh) | Improved structure of mowing rope | |
KR20190003175U (ko) | 김매기용 낫 호미 | |
KR101323702B1 (ko) | 전동 드릴을 이용한 왕복 운동형 제초기 | |
KR101535279B1 (ko) | 농업용 커터 블레이드 | |
KR200440283Y1 (ko) | 예초기용 칼날조립체 | |
CN104472038B (zh) | 除草器 | |
US2847922A (en) | Rotary mulching and cultivating device | |
CN220422887U (zh) | 一种用于除草的旋耕刀及刀组 | |
CN203775631U (zh) | 动力耙草、松土器 | |
KR101514277B1 (ko) | 농업용 커터 블레이드 | |
CN213603237U (zh) | 一种农业种植用除草装置 | |
JP3234063U (ja) | 除草機能付き刈払機 | |
CN221429495U (zh) | 一种新型除草刀具 | |
JP3217130U (ja) | 草刈具 | |
CN107624278B (zh) | 一种旋耕刀 | |
CN103250480A (zh) | 不缠草组合刀旋耕刀 | |
JP2015198605A (ja) | 除草装置及び除草機 | |
WO2022215148A1 (ja) | 刈払機に取り付け可能な根刈り用カッター及びそれを備える刈払機 | |
CN208708097U (zh) | 一种除草松土一体机用刀头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112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116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