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4113A - 다조식 제초기 - Google Patents

다조식 제초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4113A
KR20180064113A KR1020160164317A KR20160164317A KR20180064113A KR 20180064113 A KR20180064113 A KR 20180064113A KR 1020160164317 A KR1020160164317 A KR 1020160164317A KR 20160164317 A KR20160164317 A KR 20160164317A KR 20180064113 A KR20180064113 A KR 201800641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eder
units
weeding
bridge
flexible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43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92193B1 (ko
Inventor
박성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진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진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진텍
Priority to KR10201601643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2193B1/ko
Priority to CN201710140565.3A priority patent/CN108142075A/zh
Publication of KR201800641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41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21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21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01D34/67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hand-guided by a walking operator
    • A01D34/68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hand-guided by a walking operator with motor driven cutters or whe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01D34/64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mounted on a vehicle, e.g. a tractor, or drawn by an animal or a vehicle
    • A01D34/66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mounted on a vehicle, e.g. a tractor, or drawn by an animal or a vehicle with two or more cutt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9/00Othe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 A01B39/12Othe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for special purposes, e.g. for special culture
    • A01B39/18Othe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for special purposes, e.g. for special culture for weed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01D34/67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hand-guided by a walking operator
    • A01D34/68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hand-guided by a walking operator with motor driven cutters or wheels
    • A01D34/685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hand-guided by a walking operator with motor driven cutters or wheels with two or more cutt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01D34/73Cutting apparatus
    • A01D34/733Cutting-blade moun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01D34/76Driving mechanisms for the cutters
    • A01D34/78Driving mechanisms for the cutters electric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01D34/81Casings; Hous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01D34/82Other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01D34/82Other details
    • A01D34/824Handle arrangeme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과 관련된 다조식 제초기는, 바퀴가 구비되어 주행 가능하게 형성되며, 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게 구성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각각 연결되며, 그 각각은, 유연한 호스부재와, 상기 호스부재 내에서 상기 본체부에서 발생되는 동력을 전달할 수 있게 형성된 와이어부재를 갖는, 복수의 플렉시블 회전전달부; 상기 복수의 플렉시블 회전전달부에 각각 연결되며, 그 각각은, 상기 와이어부재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지면에 수직한 방향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게 형성된 블레이드 커터와, 상기 블레이드 커터를 둘러싸며 상기 블레이드 커터를 보호할 수 있게 형성된 커버를 갖는, 복수의 제초유닛; 및 상기 복수의 제초유닛 중 인접된 제초유닛을 상호 연결하며, 상기 복수의 제초유닛의 간격을 유지시킬 수 있게 형성된 복수의 브릿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조식 제초기{MULTI FURROW WEEDER}
본 발명은 다조식 제초기에 관한 것이다.
파종 또는 이식을 마친 논이나 밭의 고랑에는 자연적으로 잡초가 자라게 된다. 잡초는 왕성한 생장력으로 주변의 양분을 흡수하여 작물의 생장을 방해하므로, 생산량을 고려하는 농부에게 제초(除草)는 일년중 중요한 농사(農事)가 되었다.
일손이 부족한 농사철에 논고랑이나 밭고랑의 잡초를 사람이 일일이 제거하기란 쉽지 않다. 신속하고 간편한 제초법으로서 오랫동안 사용되어 온 제초제(除草劑)는 인류의 식량증산에 일조하였다. 반면, 제초제의 광범위한 사용은, 토양오염, 주변 생태계 파괴, 잔류농약으로 인한 체내 중금속 중독 등 심각한 부작용을 낳기도 한다. 더욱이, 내성이 형성된 잡초는 제초제의 과다 사용을 부추기고 있으며, 이미 과거에 비해 몇 배의 살포량에 의하여도 죽지 않는 슈퍼 잡초도 생겨나게 되어 생태계에 위협이 되고 있다.
중경 제초기는 작물의 생육 도중에 논고랑과 밭고랑 사이의 잡초를 직접 제거 또는 절단하는 농기계로서, 사람이 농구를 이용하여 직접 작업을 하는 것을 대신할 수 있게 고안되었다. 중경 제초기는 잡초의 절단과 함께 흙을 파서 옮기면서 토양에 공기를 공급하여 작물의 생장을 촉진하는 역할도 하므로, 제초제의 역기능과 한계를 극복하는 제초방법으로서 각광을 받고 있다.
중경 제초를 위한 작업기는, 승용할 수 있는 트랙터 등의 뒤에 스위프나 로터리 호(hoe)를 장착하여 잡초 뿌리 부근이나 땅속을 얕게 절단하는 방식(로터리식), 동력에 의해 주행하는 컬티베이터(cultivator)에 예초날을 장착하여 사용자가 보행하면서 조작하는 형(자주식; 자주주행형), 예초날을 구동하기 위한 동력장치가 장착된 카트를 사용자가 밀고 보행하면서 작업하는 방식(보행식) 등이 있다. 예초날이 포함된 중경제초기는 절단의 기능이 있으므로 작물의 수확기로서의 기능을 겸할 수 있게 구성되기도 한다.
중경 제초기는 경사가 있는 밭이나 좁은 고랑 등 다양한 작업 환경에서도 운용되므로, 조작의 편의성이 관건이다. 특히, 물이 있는 논 등에서도 운용되는 중경 제초기는 받는 물의 저항도 크고, 쉽게 빠지기도 하며, 예초날의 회전에 의하여 물 또는 잘려진 잡초를 주위의 작물에 비산시키거나 작업자에게 불편을 가하기도 한다. 때문에 열악한 작업 여건 속에서도 노령자 또는 여성 등의 작업자까지 용이하게 운전 및 조작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다. 그럼에도 일반적으로 논이나 밭은 다수의 고랑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하나의 고랑만을 다니면서 제초를 하는 경우 제초의 효율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
로터리 타입의 중경제초기는 여러 고랑을 한꺼번에 제초를 수행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어 농업에 많이 활용되고 있으나, 소요동력이 과다하며 날의 마모율이 높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로터리 타입은 논농사 외의 다른 용도로 사용하기 어렵고, 이앙후 생육이 왕성한 중기 이후에는 제초 작업시 로터리 날의 축 주변으로 풀이 감겨지기 쉬우며, 이로 인해 제초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장치를 경량으로 구성하면서도 작업 안정성과 편의성을 높인 다조식 제초기를 제시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날의 마모를 줄여 수명을 증대시키면서도 잡초에 의한 축감김을 최소화시키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제초부의 탈부착 또는 날의 교체를 간이하게 하여 작업지나 제초작업에 따라 용이하게 장치의 형태를 변환시킬 수 있게 하는 데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다조식 제초기는, 바퀴가 구비되어 주행 가능하게 형성되며, 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게 구성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각각 연결되며, 그 각각은, 유연한 호스부재와, 상기 호스부재 내에서 상기 본체부에서 발생되는 동력을 전달할 수 있게 형성된 와이어부재를 갖는, 복수의 플렉시블 회전전달부; 상기 복수의 플렉시블 회전전달부에 각각 연결되며, 그 각각은, 상기 와이어부재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지면에 수직한 방향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게 형성된 블레이드 커터와, 상기 블레이드 커터를 둘러싸며 상기 블레이드 커터를 보호할 수 있게 형성된 커버를 갖는, 복수의 제초유닛; 및 상기 복수의 제초유닛 중 인접된 제초유닛을 상호 연결하며, 상기 복수의 제초유닛의 간격을 유지시킬 수 있게 형성된 복수의 브릿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본체부는, 일측에 조작을 위한 핸들이 구비되며, 하부에 상기 바퀴와 결합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는 엔진부; 및 상기 엔진부 및 상기 프레임에 대하여 탈착될 수 있는 형태로 장착되며, 상기 복수의 플렉시블 회전 전달부와 연결되기 위한 복수의 출력축을 갖는 기어박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다조식 제초기는, 상기 프레임에 장착될 수 있게 형성된 배터리; 상기 배터리에 의해 구동되는 모터부; 상기 모터부의 회전력을 감속시킬 수 있게 형성된 감속부; 및 상기 감속부의 출력축과 연결되어 회전력을 상기 바퀴에 전달하는 구동전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구동전달부는, 상기 감속부와 상기 바퀴에 각각 구비되는 제1 및 제2스프로켓; 및 상기 제1스프로켓과 상기 제2스프로켓을 연결하는 체인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복수의 브릿지부는 작물과의 접촉을 줄일 수 있게 각각 아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복수의 브릿지부를 이루는 각 브릿지부는, 상기 복수의 제초유닛 중 인접된 제초유닛을 연결하며, 뒤집어진 'U'자 형태로 형성된, 제1브릿지요소; 및 상기 제1브릿지요소를 상호 연결하여 상기 제1브릿지요소를 보강할 수 있게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2브릿지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1브릿지요소의 앙 단부는 상기 복수의 제초유닛 중 인접된 제초유닛과 나사에 의해 각각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1브릿지요소 및 제2브릿지요소는 세장(細長)형의 금속로드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다조식 제초기는,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어 상기 복수의 플렉시블 회전전달부를 지지하며, 세장형의 금속로드에 의해 형성된 지지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다조식 제초기는, 상기 복수의 플렉시블 회전전달부와 상기 지지체를 결속시키는 화스너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블레이드 커터는, 수평날부; 및 상기 수평날부의 양 단부에서 각각 지면을 향하도록 각도가 변환되게 형성된 수직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다조식 제초기는, 상기 커버의 후방에 설치되며, 상기 커버를 지지할 수 있게 형성된 탈착형 플로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다조식 제초기에 의하면, 본체부의 주행성이 있는 본체부와 플렉시블 회전전달부 및 제초유닛을 상호 연결하여 간격을 유지시킬 수 있는 브릿지부를 사용함으로써, 소요 동력과 그에 따른 프레임 등 구조재의 사용을 줄일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작업 안정성과 편의성이 개선된다. 또한, 지면에 수직한 방향의 회전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블레이드 커터는 지면을 파고 들어가는 깊이를 제초를 위하여 필요한 정도로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으므로 로터리식에 비해 마모량이 적고, 잡초에 의한 축감김이 최소화된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의하면, 기어박스와 플렉시블 회전전달부 및 제초유닛의 모듈화가 용이하며, 이들을 엔진부 및 프레임에 대하여 탈착시킴으로써 논에서 밭으로의 이용 또는 배토기 등의 다른 장치를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각 고랑이나 작물의 열 별로 하나의 블레이드 커터가 사용되므로, 교체를 위한 블레이드 커터의 수도 줄어들게 되어 작업지나 제초작업에 따라 장치의 형태 변환이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른 다조식 제초기(100)의 측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다조식 제초기(100)의 정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제초유닛(150)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플렉시블 회전전달부(140)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제초유닛(150) 및 브릿지부(180)의 작동상태도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다조식 제초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른 다조식 제초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다조식 제초기(100)의 정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제초유닛(150)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플렉시블 회전전달부(140)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제초유닛(150) 및 브릿지부(180)의 작동상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과 관련된 다조식 제초기(100)는 바퀴(121)가 구비되어 있어 주행이 가능하게 형성된 본체부(110)와, 본체부(110)에 설치되거나 연결되어 있는 각 부품들을 갖는 형태로 되어 있다. 그러한 부품들은, 복수의 플렉시블 회전전달부(140), 복수의 제초유닛(150) 및 브릿지부(180) 등일 수 있다.
본체부(110)는 제초를 위한 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게 구성된다. 구체적으로,본체부(110)는 프레임(120)과, 엔진부(122) 및 기어박스(125) 등을 갖는 형태로 되어 있다.
프레임(120)의 일측에는 조작을 위한 핸들(124)이 구비되어 있으며, 프레임(120)의 하부에는 바퀴(121)가 결합되어 있다. 바퀴(121)의 후방에는 작업자의 안전이나 흙이나 물의 비산을 방지하기 위한 가드부(123)가 설치될 수 있다. 엔진부(122)는 프레임(120)의 상면에 고정되어 있으며, 엔진부(122)의 운전을 위한 케이블(128) 및 조작부(129)가 핸들(124)에 설치될 수 있다.
프레임(120)에는 배터리(130)와, 배터리(130)에 의해 구동되는 모터부(131)와, 모터부(131)의 회전을 감속시킬 수 있게 형성된 감속부(132) 및, 감속부(132)의 출력축과 연결되어 회전력을 바퀴(121)에 전달하는 구동전달부(135)가 설치될 수 있다. 배터리(130)는 충전 가능한 2차 전지일 수 있다. 엔진부(122) 내에 발전기를 별도로 설치하는 경우, 배터리(130)를 발전기에 연결함으로써 운전 중 충전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구동전달부(135)는 감속부(132)와 바퀴(121)에 각각 구비되는 제1스프로켓(136)과 제2스프로켓(137) 및, 제1스프로켓(136)과 제2스프로켓(137)을 연결하는 체인(138)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바퀴(121)의 동력주행이 가능하며, 작업자가 받는 주행저항을 줄이고 안정적인 작업을 할 수 있다.
기어박스(125)는 프레임(120) 및 엔진부(122)에 대하여 탈착될 수 있는 형태로 장착되며, 후술하는 플렉시블 회전전달부(140)와 연결되기 위한 복수의 출력축(126)을 갖는다. 기어박스(125), 플렉시블 회전전달부(140) 및 제초유닛(150)은 조립되어 모듈화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제초작업이 아닌, 배토작업을 하고자 할때, 모듈화된 기어박스(125), 플렉시블 회전전달부(140) 및 제초유닛(150)을 엔진부(122)로부터 분리하고 배토기 등이 장착될 수 있다.
복수의 플렉시블 회전전달부(140)는 본체부(110)의 기어박스(125)에 각각 연결되어 있으며, 그 각각은 유연한 호스부재(141)와, 호스부재(141) 내에서 본체부(110)에서 발생되는 동력을 제초유닛(150)에 전달할 수 있게 형성된 와이어부재(142)를 가질 수 있다(도 4 참조).
복수의 제초유닛(150)은, 복수의 플렉시블 회전전달부(140)에 각각 연결되며, 그 각각은 와이어부재(142)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지면에 수직한 방향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게 형성된 블레이드 커터(160)와, 블레이드 커터(160)를 둘러싸며 블레이드 커터(160)를 보호할 수 있게 형성된 커버(170)를 갖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블레이드 커터(160)는 수평날부(161)와 수평날부(161)의 양 단부에서 지면을 각각 향하도록 각도가 변환되게 형성된 수직날부(16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블레이드 커터(160)의 형상은 다조식 제초기(100)가 주행하는 동안 작업면을 회전하면서 일정깊이에 있는 잡초의 줄기와 뿌리를 자르고 분쇄하게 된다. 따라서, 블레이드 커터(160)는 뿌리까지 근원적으로 제거하게 되며, 분쇄까지 할 수 있으므로 제초 후에 잡초를 별도로 모을 필요가 없다. 다만, 블레이드 커터(160)는 본 예 외에도 평날이나 와이어 형태로 되어 있는 날의 형태를 갖는 것도 가능하다.
커버(170)는 양 날이 작업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활주할 수 있는 썰매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와 같이, 단면도로 보았을 때, 커버(170)는 돔 형태이며, 양단이 작업면에 접촉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 바퀴(121)의 구동에 의하여 전방으로 활주하게 된다. 커버(170)에는 높이가 높은 잡초나 수확물을 일 방향으로 기울여서 용이하게 절단할 수있도록 가이드면(171)이 형성될 수 있다(도 3 참조).
플렉시블 회전전달부(140)의 커버(170)에 대한 고정을 위하여, 커버(170)에는 결합요소들(175, 176, 177, 178)이 구비될 수 있다. 그러한 결합요소들은, 베이스플레이트(175), 덮개플레이트(176), 힌지(177) 및 고정너트(178)일 수 있다.
베이스플레이트(175)은 자루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플렉시블 회전전달부(140)가 커버(170)에 대하여 경사진 형태로 진입한 상태에서 견고한 지지력을 제공받을 수 있게 형성된다.
베이스플레이트(175)의 커버(170)에 대한 견고한 고정을 위하여, 베이스플레이트(175)의 하면에는 위치고정부가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플레이트(175)에는 경사 형태로 진입되는 플렉시블 회전전달부(140)를 지지하기 위한 하부 고정홈이 형성되어 있다. 하부 고정홈은 플렉시블 회전전달부(140)가 고정된 상태에서 저항이나 충격을 받아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길이방향의 복수의 돌기나 그루브를 가질 수 있다.
덮개 플레이트(176)는 베이스플레이트(175)와 힌지(177)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으며, 덮개 플레이트(176)에는 베이스플레이트(175)와 같이, 플렉시블 회전전달부(140)를 지지하기 위한 상부 고정홈이 형성되어 있다. 상부 고정홈 역시, 플렉시블 회전전달부(140)의 견고한 고정을 위하여 돌기나 그루브를 가질 수 있다.
덮개 플레이트(176)는 힌지(177)에 의하여 일방향으로 열려지거나 닫혀진다. 견고한 고정을 위하여 덮개 플레이트(176)가 베이스플레이트(175)에 대하여 닫혀진 상태에서는 너트(178)가 체결될 수 있다.
커버(170)의 후방에는 커버(170)를 지지할 수 있게 형성된 탈착형 플로터(190)가 장착될 수 있다. 플로터(190)는 제초유닛(150)이 물이 있는 논에서 블레이드 커터(160)의 제초과정에서 땅속으로 박히는 현상을 방지하며, 주행시 작업저항을 줄인다. 플로터(190)에는 지면과의 마찰을 줄이기 위하여 길이방향의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브릿지부(180)는 복수의 제초유닛(150) 중 인접된 제초유닛(150)을 상호 연결하며 복수의 제초유닛(150)의 간격을 유지시킬 수 있게 형성된다. 도 3 및 도 5과 같이, 이러한 브릿지부(180)는 제초작업중 작물(R)에 대한 접촉이나 상처를 주지 않도록 아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브릿지부(180)는 복수의 제초유닛(150) 중 인접된 제초유닛(150)을 연결하며 뒤집어진 'U'자 형태로 형성된 제1브릿지요소(181)와, 제1브릿지요소(181)를 상호 연결하여 제1브릿지요소(181)를 보강할 수 있게 형성된 제2브릿지요소(18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와 같이, 제1브릿지요소(181)의 양 단부는 복수의 제초유닛(150) 중 인접된 제초유닛(150)과 나사(183)에 의하여 각각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제1브릿지요소(181) 및 제2브릿지요소(182)는 세장(細長)형의 금속로드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제1브릿지요소(181)와 제2브릿지요소(182)는 용접이나 별도의 조인트부재 등에 의하여 상호 결합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와 같이, 프레임(120)의 전방에는 복수의 플렉시블 회전전달부(140)를 지지하는 지지체(127)가 구비되어 있다. 플렉시블 회전전달부(140)는 그 자체로 동력만을 전달할 수 있게 되어 있으므로, 다조식 제초기(100)의 선회 등을 위하여 제초유닛(150)을 들어야 하는 경우 플렉시블 회전전달부(140) 만에 의하여는 필요한 지지력을 확보할 수 없으므로, 지지체(127)를 설치한다. 지지체(127)는 플렉시블 회전전달부(140) 및 제초유닛(150)의 무게를 지지할 수 있을 정도의 부재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지지체(127)는 경량이면서도 강성이 있는 세장형의 금속로드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지지체(127)는 각각의 플렉시블 회전전달부(140)마다 배치될 수 있으며, 지지체(127)와 플렉시블 회전전달부(140)의 결속을 위하여 화스너(145)가 구비될 수 있다. 화스너(245)는 금속밴드 또는 클램프 종류 또는 결속용 수지밴드 등일 수 있다. 지지체(127)에 의해, 제초 작업 중 다조식 제초기(100)의 방향을 바꾸고자 하는 경우, 작업자는 핸들(124)을 눌러 반대쪽에 있는 제초유닛(150)을 들 수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핸들(124)을 돌려 원하는 방향으로 장치를 전환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다조식 제초기는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되지 않는다.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0: 다조식 제초기 110: 본체부
120: 프레임 121: 바퀴
122: 엔진부 125: 기어박스
127: 지지체 130: 배터리
131: 모터부 132: 감속부
135: 구동전달부 136: 제1스프로켓
137: 제2스프로켓 138: 체인
140: 플렉시블 회전전달부 141: 호스부재
142: 와이어부재 145: 화스너
150: 제초유닛 160: 블레이드 커터
161: 수평날부 163: 수직날부
170: 커버 180: 브릿지부
181: 제1브릿지요소 182: 제2브릿지요소
190: 플로터

Claims (12)

  1. 바퀴가 구비되어 주행 가능하게 형성되며, 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게 구성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각각 연결되며, 그 각각은, 유연한 호스부재와, 상기 호스부재 내에서 상기 본체부에서 발생되는 동력을 전달할 수 있게 형성된 와이어부재를 갖는, 복수의 플렉시블 회전전달부;
    상기 복수의 플렉시블 회전전달부에 각각 연결되며, 그 각각은, 상기 와이어부재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지면에 수직한 방향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게 형성된 블레이드 커터와, 상기 블레이드 커터를 둘러싸며 상기 블레이드 커터를 보호할 수 있게 형성된 커버를 갖는, 복수의 제초유닛; 및
    상기 복수의 제초유닛 중 인접된 제초유닛을 상호 연결하며, 상기 복수의 제초유닛의 간격을 유지시킬 수 있게 형성된 복수의 브릿지부를 포함하는, 다조식 제초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일측에 조작을 위한 핸들이 구비되며, 하부에 상기 바퀴와 결합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는 엔진부; 및
    상기 엔진부 및 상기 프레임에 대하여 탈착될 수 있는 형태로 장착되며, 상기 복수의 플렉시블 회전 전달부와 연결되기 위한 복수의 출력축을 갖는 기어박스를 포함하는, 다조식 제초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 장착될 수 있게 형성된 배터리;
    상기 배터리에 의해 구동되는 모터부;
    상기 모터부의 회전력을 감속시킬 수 있게 형성된 감속부; 및
    상기 감속부의 출력축과 연결되어 회전력을 상기 바퀴에 전달하는 구동전달부를 더 포함하는, 다조식 제초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전달부는,
    상기 감속부와 상기 바퀴에 각각 구비되는 제1 및 제2스프로켓; 및
    상기 제1스프로켓과 상기 제2스프로켓을 연결하는 체인을 포함하는, 다조식 제초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브릿지부는 작물과의 접촉을 줄일 수 있게 각각 아치 형태로 형성된, 다조식 제초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브릿지부를 이루는 각 브릿지부는,
    상기 복수의 제초유닛 중 인접된 제초유닛을 연결하며, 뒤집어진 'U'자 형태로 형성된, 제1브릿지요소; 및
    상기 복수의 제1브릿지요소를 상호 연결하여 상기 제1브릿지요소를 보강할 수 있게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2브릿지요소를 포함하는, 다조식 제초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브릿지요소의 앙 단부는 상기 복수의 제초유닛 중 인접된 제초유닛과 나사에 의해 각각 체결되어 고정된, 다조식 제초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브릿지요소 및 제2브릿지요소는 세장(細長)형의 금속로드에 의해 형성된, 다조식 제초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어 상기 복수의 플렉시블 회전전달부를 지지하며, 세장형의 금속로드에 의해 형성된 지지체를 더 포함하는, 다조식 제초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플렉시블 회전전달부와 상기 지지체를 결속시키는 화스너를 더 포함하는, 다조식 제초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 커터는,
    수평날부; 및
    상기 수평날부의 양 단부에서 각각 지면을 향하도록 각도가 변환되게 형성된 수직날부를 포함하는, 다조식 제초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후방에 설치되며, 상기 커버를 지지할 수 있게 형성된 탈착형 플로터를 더 포함하는, 다조식 제초기.
KR1020160164317A 2016-12-05 2016-12-05 다조식 제초기 KR1018921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4317A KR101892193B1 (ko) 2016-12-05 2016-12-05 다조식 제초기
CN201710140565.3A CN108142075A (zh) 2016-12-05 2017-03-10 多槽式除草机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4317A KR101892193B1 (ko) 2016-12-05 2016-12-05 다조식 제초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4113A true KR20180064113A (ko) 2018-06-14
KR101892193B1 KR101892193B1 (ko) 2018-08-28

Family

ID=62468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4317A KR101892193B1 (ko) 2016-12-05 2016-12-05 다조식 제초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92193B1 (ko)
CN (1) CN10814207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4296B1 (ko) * 2019-09-18 2020-12-22 김동화 개량된 수평 제초유닛을 갖는 자주형 복합 제초장치
KR102194298B1 (ko) * 2019-09-18 2020-12-22 김동화 개량된 직립 제초유닛을 갖는 자주형 복합 제초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71723U (ko) * 1989-11-14 1991-07-19
KR200450548Y1 (ko) * 2010-03-23 2010-10-11 모영환 농업용 비닐 피복기
KR20120050098A (ko) * 2010-11-10 2012-05-18 김규헌 예초기용 작업봉 거치기구
WO2014034532A1 (ja) * 2012-08-31 2014-03-06 オリンパス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挿入本体、挿入装置、回転ユニット、回転力伝達ユニット
KR20150123365A (ko) * 2014-04-24 2015-11-04 주식회사 성진텍 자주식 동력 제초기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8177B1 (ko) * 2009-07-30 2011-08-22 주식회사 성진텍 농업용 제초기의 안전커버
CN202617702U (zh) * 2012-04-18 2012-12-26 杨挺 一种新型多排宽幅全地形作业割草机
CN202697255U (zh) * 2012-07-27 2013-01-30 李栋 一种新型割草机
FR2993750B1 (fr) * 2012-07-27 2015-03-06 Faceinvent S A Dispositifs de coupe de vegetaux
CN104684377B (zh) * 2013-06-24 2017-03-15 成珍技术有限公司 农业用多用途安全罩及用于此的切割机刀片
CN203618358U (zh) * 2013-12-05 2014-06-04 重庆华世丹机械制造有限公司 打草机
CN205596609U (zh) * 2015-10-22 2016-09-28 湖北智权专利技术应用开发有限公司 一种可视全地形割草机器人
CN105474868A (zh) * 2015-10-22 2016-04-13 周坤友 一种多功能多用途全地形自动割草机
CN205196325U (zh) * 2015-12-09 2016-05-04 宝清县永兴秸秆经销有限公司 一种牵引式割茬机
CN205454607U (zh) * 2016-04-12 2016-08-17 陈锦灿 一种小型家用割草设备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71723U (ko) * 1989-11-14 1991-07-19
KR200450548Y1 (ko) * 2010-03-23 2010-10-11 모영환 농업용 비닐 피복기
KR20120050098A (ko) * 2010-11-10 2012-05-18 김규헌 예초기용 작업봉 거치기구
WO2014034532A1 (ja) * 2012-08-31 2014-03-06 オリンパス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挿入本体、挿入装置、回転ユニット、回転力伝達ユニット
KR20150123365A (ko) * 2014-04-24 2015-11-04 주식회사 성진텍 자주식 동력 제초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4296B1 (ko) * 2019-09-18 2020-12-22 김동화 개량된 수평 제초유닛을 갖는 자주형 복합 제초장치
KR102194298B1 (ko) * 2019-09-18 2020-12-22 김동화 개량된 직립 제초유닛을 갖는 자주형 복합 제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142075A (zh) 2018-06-12
KR101892193B1 (ko) 2018-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83134B2 (en) Agricultural inter-row mowing device
US10980174B2 (en) Agricultural mowing device
KR101892193B1 (ko) 다조식 제초기
KR102254268B1 (ko) 밭고랑용 제초기
KR101578654B1 (ko) 로터리
KR101641715B1 (ko) 자주식 동력 제초기
KR101745179B1 (ko) 굴삭기용 초목 제거장치
KR101710687B1 (ko) 무선원격자주형제초기
KR101397626B1 (ko) 동력 호미
KR20110042523A (ko) 동력식 선회날을 갖는 제초기
KR100621824B1 (ko) 승용 농기계 연결구동용 제초기기
KR20070027152A (ko) 농업용 고랑제초기
KR101986728B1 (ko) 농업용 안전커버
KR100894678B1 (ko) 농업용 제초기의 안전커버
KR102493895B1 (ko) 고랑 제초기
KR101535279B1 (ko) 농업용 커터 블레이드
KR101137328B1 (ko) 보행형 다목적 제초기
KR101407531B1 (ko) 농업용 다목적 안전커버
WO2019132072A1 (ko) 다조식 제초기
KR101173005B1 (ko) 농작물 줄기 및 넝쿨 절단기
KR200429904Y1 (ko) 승용 농기계 연결구동용 제초기기
US20090008107A1 (en) Stalk and root eliminator
KR101514277B1 (ko) 농업용 커터 블레이드
KR100900651B1 (ko) 트랙터용 로터리기계에 탈부착 사용하는 제초기
JP6161973B2 (ja) 農作業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