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50098A - 예초기용 작업봉 거치기구 - Google Patents
예초기용 작업봉 거치기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050098A KR20120050098A KR1020100111439A KR20100111439A KR20120050098A KR 20120050098 A KR20120050098 A KR 20120050098A KR 1020100111439 A KR1020100111439 A KR 1020100111439A KR 20100111439 A KR20100111439 A KR 20100111439A KR 20120050098 A KR20120050098 A KR 2012005009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orking rod
- user
- adjusting
- connector
- ro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01D34/67—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hand-guided by a walking operator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01D34/82—Other details
- A01D34/828—Safety device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835—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A01D34/9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carrying by the operator
- A01D34/902—Ergonomic provis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9/00—Othe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 A01B39/12—Othe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for special purposes, e.g. for special culture
- A01B39/18—Othe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for special purposes, e.g. for special culture for weeding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01D34/73—Cutting apparatu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75/00—Accessories for harvesters or mowers
- A01D75/008—Tool-carrying mean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F
- A45F2200/05—Holder or carrier for specific artic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예초기(1)의 작업봉(2)을 사용자가 편안하면서 안전하게 사용되도록 유도하는 기구에 관련되며, 그 구성의 특징으로서 상기 작업봉(2) 상에 삽입되면서 이동 가능한 유동홈(11)을 개재하고, 상부로 돌출되는 고리홈(12)을 구비하는 조절구(10); 상기 조절구(10)의 고리홈(12)에 탈부착이 가능한 걸고리(21)를 구비하고, 일측에 회동 가능한 걸이대(22)를 구비하는 연결구(20); 상기 연결구(20)의 걸이대(22)상에 감싸면서 삽입되어 소정의 위치로 이동되는 지지밴드(30); 및 상기 작업봉(2) 상에서 사용자의 신체에 맞게 조절구(10)의 간격을 조절하는 조절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기존 예초기에 적용 가능하면서 작업봉으로부터 탈부착이 가능하여 사용자가 쉽게 장착할 수 있어 호환성과 편리성이 우수하고, 작업시 사용자가 작업봉을 지지하면서 이동이 가능하여 편안하면서 안전하게 사용하는 등 안전성과 작업성을 향상하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기존 예초기에 적용 가능하면서 작업봉으로부터 탈부착이 가능하여 사용자가 쉽게 장착할 수 있어 호환성과 편리성이 우수하고, 작업시 사용자가 작업봉을 지지하면서 이동이 가능하여 편안하면서 안전하게 사용하는 등 안전성과 작업성을 향상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예초기용 작업봉 거치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기존 예초기에 적용 가능하면서 작업봉으로부터 탈부착이 가능하여 사용자가 쉽게 장착할 수 있어 호환성과 편리성이 우수하고, 작업시 사용자가 작업봉을 지지하면서 이동이 가능하여 편안하면서 안전하게 사용하는 등 안전성과 작업성을 향상하는 예초기용 작업봉 거치기구에 관한 것이다.
통상, 예초기라 함은 풀과 같은 잡초를 베기 위한 것으로 음력 팔월 추석 이전에 조상의 묘에 자란 잡초를 베고 묘 주위를 정리하는 벌초나, 경작지에 자생하거나 번성하여 작물에 해를 주는 식물을 제거하는 제초작업을 수행하는 기계장치이다. 따라서 예초기는 농사를 업으로 하는 사람에게 있어 필수장치이면서 명절을 중시하는 우리나라에 남자라면 일년에 한번쯤은 사용해야 되는 것으로 우리에게 친숙하면서 널리 보급되어 있다.
이러한 예초기는 동력을 발생하는 엔진과 상기 엔진을 지지하면서 어깨끈이 구비된 등받이와 예취날, 기어케이스, 안전커버, 루프핸들, 후렉시블케이블, 스로틀레버를 구비하는 작업봉으로 이루어져 있다. 즉, 예초기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엔진을 지지하는 등받이를 어깨끈으로 사용자의 어깨에 가방처럼 둘러 메고, 작업봉을 양손으로 지지하면서 이동과 작업을 수행하였다.
하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작업봉에는 엔진으로부터 회전날에 동력을 전달하는 후렉시블케이블을 내부에 구비하면서 고속으로 회전하는 회전날과, 기어케이스, 안전커버, 루프핸들, 스로틀레버등과 같이 다양한 부가장치가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자체 무게만으로 상당하다. 또한 작업시 고속으로 회전하는 회전날의 관성이 크기 때문에 이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하기에 상당한 힘이 부가되고, 엔진의 진동이 작업봉을 통하여 그대로 전달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쉽게 피로감을 느끼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이 가장 시급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일예로,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70471호의 "예초기의 작업봉 걸이장치"에 의하면 "멜방(1)으로 예초기에 연결하여 지지되도록 하고 양 멜방(1)의 하방에 가로방향으로 연결하는 걸이대(5)를 체결부재(4)로 설치하여 걸이대(5)의 중앙에 예초기의 작업봉에 걸 수 있도록 한 예초기의 작업봉 걸이장치에 있어서, 상기 걸이대(5)의 중앙부분을 분리하여 한측의 걸이대(5a)에는 전방으로 돌출되는 체결고리(51)를 형성하고 타측의 걸이대(5b)에는 상기 체결고리(51)가 끼워지는 끼움고리(52)를 형성하여 작업봉(9)이 지지되도록 구성된다.
다른 예로,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30235호의 "예초기의 작업봉 걸이장치"에 의하면 "예초기(20)에 멜방(10)을 연결하여 지지되도록 하고 멜빵(10)에 예초기(20)의 작업봉(6)을 탄력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한 예초기의 작업봉 걸이장치에 있어서, 상기 멜빵(10)의 밴드(1) 내부에 설치한 지지판(2)에는 걸고리(4)를 외부로 노출되게 체결하여 작업봉(6)에 걸어지는 연결스프링(7)을 걸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 다른 예로,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16977호의 "예초기의 작업봉 신축지지밴드"에 의하면 "예초기(6)의 멜빵 상부 걸이장치(7)와 작업봉 걸이(4)에 고탄력 신축지지밴드(3)를 체결하여 예초기(6)의 작업봉(2) 을 탄력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한 예초기의 작업봉 신축지지밴드에 있어서, 상기 고탄력 신축지지밴드(3) 상하에 걸고리(1)가 있고, 예초기(6) 멜빵에 고탄력 신축지지밴드를 고정할 수 있는 쿠션밴드(5)를 부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선행기술에 의하면, 기존에 어깨끈에 별도의 밴드와 고리로 작업봉과 연결하여 작업봉의 무게를 분산시켜 안전성과 편리성을 도모하고는 있지만, 어디까지나 이동성에 용이할 뿐 작업시에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즉, 작업시에는 작업봉을 사용자를 중심으로 전후 및 좌우로 다 방향으로 움직여야 되는데 밴드와 어깨끈이 결속되어 있음에 따라 실질적으로 작업이 불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밴드에 신축성 및 탄성을 부여하여 어깨끈에 결속되더라도 작업봉을 원하는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고 하나, 그만큼 작업봉을 움직이는 힘이 배가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물론 이러한 작업방향에 맞게 밴드를 늘어뜨려 사용하면 충분한 작업성을 지닐 수 있으나, 이러한 경우에는 전술한 작업봉의 안전성과 편리성의 효과를 전혀 기대해볼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근본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 예초기에 적용 가능하면서 작업봉으로부터 탈부착이 가능하여 사용자가 쉽게 장착할 수 있어 호환성과 편리성이 우수하고, 작업시 사용자가 작업봉을 지지하면서 이동이 가능하여 편안하면서 안전하게 사용하는 등 안전성과 작업성을 향상하는 예초기용 작업봉 거치기구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예초기의 작업봉을 사용자가 편안하면서 안전하게 사용되도록 유도하는 기구에 있어서: 상기 작업봉 상에 삽입되면서 이동 가능한 유동홈을 개재하고, 상부로 돌출되는 고리홈을 구비하는 조절구; 상기 조절구의 고리홈에 탈부착이 가능한 걸고리를 구비하고, 일측에 회동 가능한 걸이대를 구비하는 연결구; 상기 연결구의 걸이대 상에 감싸면서 삽입되어 소정의 위치로 이동되는 지지밴드; 및 상기 작업봉 상에서 사용자의 신체에 맞게 조절구의 간격을 조절하는 조절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조절수단은 조절구의 외주면으로 관통되는 나선홈과, 상기 나선홈 상에 조절볼트를 체결하여 작업봉으로부터 간격을 조절하여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거치기구는 기존 예초기에 적용 가능하면서 작업봉으로부터 탈부착이 가능하여 사용자가 쉽게 장착할 수 있어 호환성과 편리성이 우수하고, 작업시 사용자가 작업봉을 지지하면서 이동이 가능하여 편안하면서 안전하게 사용하는 등 안전성과 작업성을 향상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예초기의 작업봉에 부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주요 구성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주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분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가 착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작동과정을 나타내는 작동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주요 구성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주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분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가 착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작동과정을 나타내는 작동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예초기의 작업봉에 부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주요 구성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주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본 발명은 예초기(1)의 작업봉(2)을 사용자가 편안하면서 안전하게 사용되도록 유도하는 거치기구와 관련되며, 조절구(10), 연결구(20), 지지밴드(30) 및 조절수단을 주요 구성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절구(10)는 상기 작업봉(2) 상에 삽입되면서 이동 가능한 유동홈(11)을 개재하고, 상부로 돌출되는 고리홈(12)을 구비한다. 조절구(10)는 철재 또는 수지재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작업봉(2)과 대응되게 원형으로 이루어지면서 중앙으로 상기 작업봉(2)을 삽입될 수 있도록 관통된 유동홈(11)을 구비한다. 이때, 유동홈(11)은 작업봉(2)에 삽입되는 것을 용이하기 위하여 유동홈(11)의 직경이 작업봉(2)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조절구(10)의 상부로는 후술하는 걸고리(21)가 부착될 수 있도록 고리홈(12)이 형성된다. 고리홈(12)은 단순한 원형의 링형태로 도시하였으나, 이외에도 개폐형 타입으로 다양한 형태로 구비할 수 있다. 또한 고리홈(12)은 조절구(10)로부터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형성할 수 있는데, 재질에 따라 선택적으로 고려하여 택일할수도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조절구(10)는 도면으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이분할로 절개된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이는 작업봉(2)에 부착하기 용이하기 위한 것으로 외주면으로 나선을 구비하는 결속홈으로 구비하고, 결속홈으로 볼트를 삽입하여 이분할로 절개된 조절구(10)를 작업봉(2)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부착하는 구조를 채택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연결구(20)는 상기 조절구(10)의 고리홈(12)에 탈부착이 가능한 걸고리(21)를 구비하고, 일측에 회동 가능한 걸이대(22)를 구비한다. 연결구(20)는 철재 또는 수지재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전체적으로 'ㄷ'자 포크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연결구(20)의 중앙으로 전술한 조절구(10)에 구비된 고리홈(12)으로 탈부착이 가능한 걸고리(21)를 구비한다. 즉, 걸고리(21)는 사용자의 간단한 조작으로 고리홈(12)에 간편하게 탈착 또는 부착해야 되기 때문에 일측이 개폐가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때, 걸고리(21)는 연결구(20)를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작업봉(2)에 고정된 조절구(10)로부터 자유롭게 위치변경이 가능토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걸고리(21)가 구비된 연결구(20)에 타측으로 걸이대(22)를 구비한다. 걸이대(22)는 원형으로 이루어진 바(bar) 형태로서 양단에 베어링 또는 부싱과 함께 연결구(20)에 고정됨에 따라 연결구(20)로 부터 자체적으로 회동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걸이대(22)는 후술하는 지지밴드(30)의 일면과 접촉되어 걸어주는 역할을 수행하면서 상기 걸이대(22)를 중심으로 회동하게 유도한다. 이는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기계요소인 풀리와 벨트와 동일한 작동이라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지지밴드(30)는 상기 연결구(20)의 걸이대(22)상에 감싸면서 삽입되어 소정의 위치로 이동된다. 지지밴드(30)는 폴리아미드 또는 폴리에스테르 및 폴리프로필렌의 재질을 갖는 원사로 제직되는 섬유재로서, 가볍고 취급이 용이하면서 질기고 유연성이 우수한 특징이 있어 사용자가 편안하게 메기 위한 용도로 충분하다 할 것이다. 즉, 지지밴드(30)는 일정한 길이와 두께를 지니면서 상기 걸이대(22)를 통과하여 감싸게 된다.
이때, 지지밴드(30)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별도의 버클을 구비하여 양단을 이어주어 원형의 띠형태로 형성하게 된다. 또한 지지밴드(30)는 사용자가 어깨부위에 결착시, 보다 편안함과 안정감을 부여하기 위해 쿠션부재(31)를 더 추가하여 사용할 수 있다. 쿠션부재(31)는 내부에 충격과 진동을 흡수할 수 있는 스펀지나 솜을 내부에 개재하고, 저면에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고무재로 이루어진 패드를 구비한다. 이러한 지지밴드(30)는 전술한 조절구(10)와 연결구(20)를 통하여 작업봉(2)을 사용자가 일반적인 크로스백을 메듯이 어깨에 걸쳐 지지하기 때문에 이동성과 작업성을 향상할 수가 있게 된다. 즉, 작업봉(2)을 사용자의 양팔과 함께, 어깨로서 동시에 지탱하기 때문에 무게를 분산시켜주면서 작업시에 발생하는 진동을 흡수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절수단은 상기 작업봉(2) 상에서 사용자의 신체에 맞게 조절구(10)의 간격을 조절한다. 조절수단은 작업봉(2)의 위치를 사용자의 신체에 맞도록 조절하는 것으로 다양한 신장 사이즈에 대응하기 위함이다.
이때, 조절수단은 조절구(10)의 외주면으로 관통되는 나선홈(13)과, 상기 나선홈(13) 상에 조절볼트(15)를 체결하여 작업봉(2)으로부터 간격을 조절하여 고정한다. 조절수단은 전술한바와 같이, 작업봉(2)과 연결되는 지지밴드(30)가 사용자의 어깨에 걸쳐지기 때문에 사용자마다 각기 다른 신장으로 인해 작업봉(2)의 높낮이를 적절하게 변경해야 된다. 따라서 작업봉(2)과 결합된 한 쌍의 조절구(10)와의 간격을 사용자에 맞게 조절한다.
즉, 조절구(10)는 외주면으로 관통되는 나선홈(13)을 구비하고 상기 나선홈(13) 상으로 조절볼트(15)를 체결하여 작업봉(2)으로부터 고정시켜 간격을 일정하게 지속적으로 유지하게 한다. 물론 적절한 간격으로 조절하지 못할 경우에는 조절볼트(15)를 나선홈(13)으로부터 풀어, 조절구(10)를 다시 유동시켜 조절하면 된다. 이때, 조절볼트(15)는 나비볼트형으로 도시하였으나 보다 사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핸들형이나, 레버형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구비할 수 있다. 이외에도 미세조절을 위하여 상기 지지밴드(30)에 구비된 버클을 통하여 조절이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가 착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작동과정을 나타내는 작동상태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을 이용하여 먼저 예초기(1)를 장기 보관중이거나 정비시에는 지지밴드(30)를 작업봉(2)으로부터 탈착하는 것이 좋다. 즉, 정비시에는 예초기(2)의 각종 부품을 분해하여야 되기 때문에 지지밴드(30)로 인해 안전사고의 원인이 발생할 수도 있다. 또한 장기 보관중일 경우에는 지지밴드(30)에 먼지나 기타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하고 항상 청결을 유지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지지밴드(30)를 작업봉(2)으로 탈부착하기 위해서는 도 4처럼 연결구(20)의 걸고리(21)를 개폐 조작하여 조절구(10)의 고리홈(12)으로부터 걸거나 이탈한다.
착용에 있어서, 지지밴드(30)가 작업봉(2)에 부착이 완료되면 이동을 위해 지지밴드(30)를 도 5와 같이 사용자의 어깨에 걸쳐 멘다. 이때, 처음 사용자이거나 다른 사용자라면 신체의 사이즈에 걸맞게 작업봉(2)의 높낮이를 조절해야 된다. 이러한 작업봉(2)의 높낮이는 별도의 정확한 위치가 없고 사용자가 작업봉(2)을 파지하고 작업하기에 가장 편안한 상태로서 스스로 체크해야 된다.
일예로 작업봉(2)이 사용자의 신체로부터 적합하도록 어깨로부터 높이를 낮추기 위해서는 연결구(10)의 조절볼트(15)를 풀어 연결구(10)를 작업봉(2)으로부터 유동시킨다. 즉, 도 6b처럼 연결구(10)간의 간격이 좁아질수록 지지밴드(30)가 늘어남에 따라 작업봉(2)을 사용자의 어깨로부터 높이를 낮추게 되고, 조절이 완료되면 연결구(10)의 조절볼트(15)를 다시 조여 고정시킨다. 이때, 전술한 방법에 의하면 연결구(10)를 모두 유동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하나의 연결구(10)만을 유동하여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조절수단은 작업봉(2)을 사용자의 어깨로부터 높낮이만을 조절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사용자의 어깨를 중심으로 작업봉(2)의 전후조절도 가능하다할 것이다.
사용에 있어서, 우선 사용자가 지지밴드(30)를 어깨에 걸쳐 메고 예취날을 작동시켜 풀을 베는 작업을 수행하게 되면 일반적으로 풀은 최대한 짧게 베어야 하기 때문에 작업봉(2)을 약 15~45°의 각도로 기울여야 된다. 이를 위해 사용자의 한손은 작업봉(2)의 후단을 잡고 스로틀레버를 조절하면서 기울기를 조정하고, 한손은 작업봉(2)의 전단에 구비된 루프핸들을 잡아 예취날의 좌우 방향을 조정한다. 이때, 사용자가 전후로 이동이 불가피한 상황이 발생할 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양손을 전후로 밀고 당겨 작업봉(2)을 이동시킨다. 도 7처럼, 사용자의 어깨인 즉, 쿠션부재(31)를 중심으로 작업봉(2)이 이동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작동은 연결구(20)의 걸이대(22)가 지지밴드(30)를 타고 회동하기 때문에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거치기구는 기존 예초기에 적용 가능하면서 작업봉으로부터 탈부착이 가능하여 사용자가 쉽게 장착할 수 있어 호환성과 편리성이 우수하고, 작업시 사용자가 작업봉을 지지하면서 이동이 가능하여 편안하면서 안전하게 사용하는 등 안전성과 작업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 예초기 2: 작업봉
10: 조절구 11: 유동홈
12: 고리홈 13: 나선홈
15: 조절볼트 20: 연결구
21: 걸고리 22: 걸이대
30: 지지밴드 31: 쿠션부재
10: 조절구 11: 유동홈
12: 고리홈 13: 나선홈
15: 조절볼트 20: 연결구
21: 걸고리 22: 걸이대
30: 지지밴드 31: 쿠션부재
Claims (2)
- 예초기(1)의 작업봉(2)을 사용자가 편안하면서 안전하게 사용되도록 유도하는 기구에 있어서;
상기 작업봉(2) 상에 삽입되면서 이동 가능한 유동홈(11)을 개재하고, 상부로 돌출되는 고리홈(12)을 구비하는 조절구(10);
상기 조절구(10)의 고리홈(12)에 탈부착이 가능한 걸고리(21)를 구비하고, 일측에 회동 가능한 걸이대(22)를 구비하는 연결구(20);
상기 연결구(20)의 걸이대(22)상에 감싸면서 삽입되어 소정의 위치로 이동되는 지지밴드(30); 및
상기 작업봉(2) 상에서 사용자의 신체에 맞게 조절구(10)의 간격을 조절하는 조절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초기용 작업봉 거치기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수단은 조절구(10)의 외주면으로 관통되는 나선홈(13)과, 상기 나선홈(13)상에 조절볼트(15)를 체결하여 작업봉(2)으로부터 간격을 조절하여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초기용 작업봉 거치기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11439A KR101186020B1 (ko) | 2010-11-10 | 2010-11-10 | 예초기용 작업봉 거치기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11439A KR101186020B1 (ko) | 2010-11-10 | 2010-11-10 | 예초기용 작업봉 거치기구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50098A true KR20120050098A (ko) | 2012-05-18 |
KR101186020B1 KR101186020B1 (ko) | 2012-09-25 |
Family
ID=462676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111439A KR101186020B1 (ko) | 2010-11-10 | 2010-11-10 | 예초기용 작업봉 거치기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86020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64113A (ko) * | 2016-12-05 | 2018-06-14 | 주식회사 성진텍 | 다조식 제초기 |
WO2019132072A1 (ko) * | 2017-12-29 | 2019-07-04 | 주식회사 성진텍 | 다조식 제초기 |
US20220346318A1 (en) * | 2021-05-03 | 2022-11-03 | Great Plains Restoration Solutions Inc. | Portable operator-engageable native seed harvester |
KR20240002615A (ko) | 2022-06-29 | 2024-01-05 | 광주광역시 남구 | 캬브레타 손상 방지와 연료절감을 위한 예초기용 연료호스 및 이를 이용한 예초기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805730B1 (en) * | 2019-02-26 | 2023-11-07 | Dylan Kennemer | Tool arm support attachment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60878Y1 (ko) | 2001-10-30 | 2002-01-17 | 김상훈 | 농약살포기 노즐 |
KR200316977Y1 (ko) | 2003-04-02 | 2003-06-18 | 오봉근 | 예초기의 작업봉 신축지지밴드 |
-
2010
- 2010-11-10 KR KR1020100111439A patent/KR101186020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64113A (ko) * | 2016-12-05 | 2018-06-14 | 주식회사 성진텍 | 다조식 제초기 |
WO2019132072A1 (ko) * | 2017-12-29 | 2019-07-04 | 주식회사 성진텍 | 다조식 제초기 |
US20220346318A1 (en) * | 2021-05-03 | 2022-11-03 | Great Plains Restoration Solutions Inc. | Portable operator-engageable native seed harvester |
US11903341B2 (en) * | 2021-05-03 | 2024-02-20 | Great Plains Restoration Solutions, Inc. | Portable operator-engageable native seed harvester |
KR20240002615A (ko) | 2022-06-29 | 2024-01-05 | 광주광역시 남구 | 캬브레타 손상 방지와 연료절감을 위한 예초기용 연료호스 및 이를 이용한 예초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186020B1 (ko) | 2012-09-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86020B1 (ko) | 예초기용 작업봉 거치기구 | |
US5913464A (en) | Belt arrangement for carrying a hand-held working tool | |
EP2155015B1 (en) | Harness for a clearing saw | |
CA2764383C (en) | Clearing saw | |
CN110431995B (zh) | 一种背负式水果采摘及树枝修剪装置及使用方法 | |
JP2013102720A (ja) | ハーネス | |
US20050000994A1 (en) | Carrier device for an engine powered tool | |
US20130160302A1 (en) | Harness for carrying portable cutting devices, and cutting devices comprising such a harness | |
US20100000097A1 (en) | Weed trimming device | |
SE1550368A1 (en) | Harness for garden and / or forest tools | |
KR20200054509A (ko) | 예초기 | |
CN109688870A (zh) | 用于承载电池的带具和供电装置 | |
EP2653062B1 (en) | Shoulder harness for portable working machine | |
KR101692110B1 (ko) | 예초기의 작업봉 걸이장치 | |
KR102502217B1 (ko) | 예초기 핸들링 장치 | |
JP7249606B1 (ja) | 刈払機用バンド及び刈払機セット | |
KR20190037735A (ko) | 예초기용 멜빵 | |
WO2023149128A1 (ja) | 刈払機用ハンドル及び刈払機セット | |
JP2016010397A (ja) | 草刈機および草刈機用回転刃 | |
CN209930930U (zh) | 一种中药材苗圃用的背负侧挂式割草机 | |
JP2802321B2 (ja) | 肩掛式草刈機 | |
KR102491754B1 (ko) | 예초기용 손잡이 어셈블리 | |
KR200316977Y1 (ko) | 예초기의 작업봉 신축지지밴드 | |
JP4958953B2 (ja) | 背負い式刈払機 | |
JP2015139385A (ja) | 電源コード保持具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914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