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0548Y1 - 농업용 비닐 피복기 - Google Patents

농업용 비닐 피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0548Y1
KR200450548Y1 KR2020100002969U KR20100002969U KR200450548Y1 KR 200450548 Y1 KR200450548 Y1 KR 200450548Y1 KR 2020100002969 U KR2020100002969 U KR 2020100002969U KR 20100002969 U KR20100002969 U KR 20100002969U KR 200450548 Y1 KR200450548 Y1 KR 2004505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vinyl
shaft
power input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29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모영환
Original Assignee
모영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영환 filed Critical 모영환
Priority to KR20201000029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054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05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054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5/00Other machines for working soil not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 A01B35/02Other machines for working soil not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with non-rotating tools
    • A01B35/10Other machines for working soil not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with non-rotating tools mounted on trac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56Ground coverings
    • A01G13/0287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ground cover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2013/0218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for remov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 Agricultural Machi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농업용 비닐 피복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농업용 견인 차량의 후미에 탈착식으로 연결되어 상기 견인 차량의 주행에 따라 견인 이동되면서 비닐을 풀어 하나 이상의 두둑 상에 피복하고 피복된 상기 각 피복 비닐의 양 가장자리부와 중앙부를 동시에 복토 고정하는 농업용 비닐 피복기로서, 골격 구조를 형성하는 본체 프레임; 상기 본체 프레임의 전단부 측에 구비되어 상기 견인 차량에 연결되는 연결구; 상기 견인 차량 측의 PTO 출력축에 연결되는 하나의 동력 입력축을 통해 회전 동력을 입력받아 2개 이상의 짝수 개수에 해당하는 동력 출력축을 통해 출력하되 1/2 개수의 상기 동력 출력축은 정방향 회전되고 나머지 1/2 개수의 상기 동력 출력축은 역방향 회전되도록 변환하는 동력 입력 변환부; 상기 본체 프레임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되 각 두둑에 대해 양측의 2개가 한 쌍을 이루어 구비되는 식으로 1개 이상의 두둑 작업을 위해 한 쌍 이상으로 구비되는 사이드 후방 연장 바의 각 후단부에 결합 구비되며 지면에 접촉 구름되는 원반 휠의 내측에 상기 동력 출력축으로부터 각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로터리날부의 결합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로터리날부의 중심 회전축이 상기 원반 휠의 중심부에 형성되는 중심 관통공을 통과하여 외측으로 돌출되는 복토 원반 휠 장치부; 상기 각 복토 원반 휠 장치부에 대해 구비되며 상기 중심 회전축의 외측단부에 대해 베벨 기어 연결부를 통해 직교되도록 기어 연결되어 작동 시 회전되는 중간 회전축; 및 서로 원거리 위치되는 상기 동력 입력 변환부의 상기 각 동력 출력축과 상기 각 중간 회전축 간을 연결하여 회전 동력을 전달하되 각 두둑의 작업을 위한 양측의 상기 중간 회전축으로 서로 반대되는 회전 방향의 동력을 전달하는 와이어 케이블; 을 포함한다.
따라서, 로터리날부가 견인 차량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동력 방식으로 정확하면서 강하게 회전될 수 있음과 함께, 양측 로터리날부에 의해 토굴되어 후방으로 던져진 흙이 피복 비닐의 중앙부로 정확히 집중되어 낙하될 수 있음에 따라 중앙부 복토를 완전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극대화된 작업 효율과 우수한 사용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농업용 비닐 피복기{AGRICULTURAL VINYL CLOTHING MACHINE}
본 고안은 농업용 비닐 피복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피복 비닐의 양 가장자리부를 복토 고정함과 아울러, 중앙부에 대한 복토까지 함께 실시할 수 있음으로써, 피복 비닐의 고정을 위한 복토에서 나아가, 농작물의 적정 생육을 위한 차광용 복토까지 동시에 실시할 수 있는 농업용 비닐 피복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랑식 밭에서 지표면을 상대적으로 높게 쌓아 만든 두둑에는 농작물이 파종되거나 심어져 생육되고, 각 두둑의 양측에 상대적으로 함몰되게 형성되는 고랑은 사람이나 농기구가 오가면서 작업하는 통행로가 된다.
이러한 이랑식 밭의 두둑에 대해서는 그 상부에 경작 비닐을 덮어씌우는 비닐 피복을 실시하는데, 그 실시 이유는 두둑을 농작물의 생육에 양호한 조건으로 유지시키고, 또한 불필요한 잡초의 자생이나 병충해의 유입을 억제하기 위함 등이다.
그 비닐 피복 방법은 두둑과 고랑이 반복되도록 이랑을 성형한 후에 성형된 두둑의 상부에 광폭의 경작 비닐을 피복하고, 피복에 따라 두둑 양측의 고랑 측에 위치되는 비닐의 양 가장자리부를 흙으로 덮는 복토를 실시하여, 피복 비닐이 지면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한다.
아울러, 피복 비닐 상의 중앙부에도 흙을 복토하여 비닐이 들뜨지 않도록 하면서, 해당 흙에 의해 심어진 농작물에 대한 차광 효과까지 제공되도록 하는 경우도 많다.
예전에는 이러한 비닐 피복 작업을 주로 농부의 수작업에 의해 실시하였으며, 즉 농부가 비닐을 전개하여 두둑에 씌운 후, 해당 비닐의 양 가장자리부 및 중앙부에 대해 삽과 같은 농기구로 일일이 흙을 떠서 덮는 방식으로 작업하였고, 그에 따라 많은 노동력과 장시간이 소요되고, 힘든 작업으로 인해 작업 효율이 극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근래에는 농기계의 일종인 비닐 피복기를 이용하여 자동화 및 성력화를 기하고 있다.
비닐 피복기는 트랙터, 승용 관리기와 같이 동력을 이용하여 주행되는 농업용 견인 차량의 후미에 탈착식으로 연결되어 이용되는 작업기의 일종으로서, 견인 차량에 의해 견인됨에 따라 고랑을 통해 이동되면서 두둑에 대해 경작 비닐을 피복하고 또한 동시에 피복된 비닐의 양 가장자리부를 복토하여 고정하는 일련의 작업을 자동으로 수행한다.
이러한 비닐 피복기의 구성은 거의 대부분, 견인 차량의 후미에 탈착식으로 연결되는 연결부와, 전진 진행됨에 따라 연결부의 후방에서 두둑에 대해 두루마리 비닐 롤로부터 비닐을 풀어 피복하는 비닐 피복부와, 비닐 피복부의 후방에서 두둑 양측의 고랑을 통해 굴러가면서 흙을 내측으로 모아 피복 비닐의 양 가장자리부를 복토하여 고정하는 복토부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비닐 피복부는 견인됨에 따라 자유 회전되어 장착된 두루마리 비닐 롤로부터 비닐을 풀어 제공하는 롤 장착대와, 해당 롤 장착대의 후방에서 두둑 표면에 연접되도록 하부 측에 구비되어 풀리는 비닐을 안내하여 팽팽하게 하면서 두둑에 밀착 피복되도록 하는 비닐 누름 롤러와, 해당 비닐 누름 롤러의 후방에서 고랑의 지표면에 접촉된 채로 굴러가면서 이미 두둑에 피복되어 양 가장자리부가 각 고랑에 위치되어 있는 비닐의 가장자리부를 가장 후행되는 복토 고정 시까지 지표면에 대해 눌러주어 날리거나 피복 상태가 해체되는 것을 방지하는 단부 압지 롤러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복토부는 대부분 원반 형태의 휠을 이용하여 구현되는데, 해당 복토 원반 휠은 비닐 피복기의 가장 후방 측에 구비되어 각 고랑의 지표면에 접촉된 채로 가장 후행되게 굴러가면서 이미 두둑에 피복되어 양 가장자리부가 각 고랑에 위치되어 있는 비닐의 가장자리부로 고랑의 흙을 내측으로 모아 복토하여 고정하며, 즉 전방의 단부 압지 롤러에 의해 눌러져 고랑 측 지표면에 밀착되어 있는 상태의 피복 비닐의 가장자리부에 대해 내측으로 흙을 모아 복토한다.
물론, 롤 장착대와 비닐 누름 롤러는 두둑 위치에 하나씩 구비되고, 단부 압지 롤러와 복토 원반 휠은 양측 고랑 위치에 각기 하나씩 한 쌍으로 구비된다.
또한, 롤 장착대는 상부 공간에 구비되고, 비닐 누름 롤러는 두둑의 표면에 연접되도록 하부 측에 구비되며, 단부 압지 롤러와 복토 원반 휠은 고랑 측 지표면에 접촉되도록 하부 측에 구비된다.
관련하여, 대부분 단부 압지 롤러와 복토 원반 휠은 함께 구비되며, 구체적으로 비닐 피복기의 양측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사이드 후방 연장 바의 후단부에 대해 함께 구비된다.
나아가, 비닐 피복기가 수행하는 비닐 피복 및 복토 고정에서 나아가, 비닐 피복 전에 고랑을 성형하는 작업까지 수행할 수 있는 작업기로서 휴립(畦立) 피복기가 있으며, 해당 휴립 피복기는 비닐 피복기의 범주에 속한다 할 수 있다.
휴립 피복기는 상술한 비닐 피복기의 구성에 더하여, 견인되어 진행됨에 따라 비닐 피복부의 전방에서 지표면을 갈라 두둑과 고랑을 구분 성형하여 휴립하거나 지표면의 흙을 경운하거나 두둑 양측의 측면을 절단하거나 고랑 측의 흙을 경운하여 후행되는 복토를 위한 흙을 충분히 준비하는 개토부(또는, 배토부, 토굴부, 경운부, 분쇄부, 로터리부)를 더 구비한다.
휴립 피복기를 포함하는 넓은 범주의 비닐 피복기와 관련된 선행 기술들로는, 대한민국 실용신안 공고번호 20-1996-0006682호의 "휴립 피복기", 실용신안 공개번호 20-1998-0011073호의 "트랙터용 휴립 피복기", 특허 등록번호 10-0430970호의 "트랙터용 휴립 피복기", 특허 등록번호 10-0330391호의 "두둑 성형 및 비닐 자동 피복 장치", 특허 등록번호 10-0414183호의 "유공 비닐 피복 동시 파종 장치", 특허 공개번호 10-2006-0006256호의 "농사용 비닐 피복 장치", 특허 등록번호 10-0556579호의 "무동력 비닐 피복 장치", 특허 등록번호 10-0880420호의 "착탈식 배토기를 구비한 비닐 피복 장치", 실용신안 등록번호 20-0360409호의 "비닐 피복 장치", 실용신안 등록번호 20-0373467호의 "무동력 비닐 피복 장치", 실용신안 등록번호 20-0356631호의 "두둑 성형 및 비닐 피복 장치가 결합된 트랙터용 로타리" 등이 있다.
이러한 선행 기술들에 따른 모든 비닐 피복기들은 가장 후방에 피복 비닐의 복토 고정을 위한 상술한 바와 같은 복토 원반 휠을 구비하며, 그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종래에 알려진 거의 모든 비닐 피복기는 복토 원반 휠을 필수적으로 구비한다.
복토 원반 휠은 비닐 피복기의 골격 구조를 형성하는 본체 프레임의 후방 양측, 즉 하나의 두둑에 대한 양측 고랑 위치에 각기 구비되어 각 고랑의 지표면에 접촉된 채로 굴러가면서 이미 두둑에 피복되어 양 가장자리부가 각 고랑에 위치되어 있는 비닐의 가장자리부로 고랑의 흙을 내측으로 모아 복토하며, 즉 전방의 배토부(또는, 개토부, 경운부, 분쇄부, 로터리부)에 의해 파헤쳐진 상태의 흙을 내측으로 모아서 복토한다.
즉, 한 쌍의 복토 원반 휠이 구비되는데, 한 쌍의 복토 원반 휠은 전방에서는 상호 멀리 이격되고 후방으로 갈수록 상호 간격이 좁아지도록 각기 진행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장착 구비되며, 환언하면 각 복토 원반 휠은 전방 측은 외측을 향하고 후방 측은 내측을 향하도록 조금 비스듬하게 구비된다.
또한, 복토 원반 휠은 원반 형태이되, 정확하게는 솥 뚜껑과 같이 중심부가 외측으로 볼록하게 만곡되는 접시 형태이다.
따라서, 복토 원반 휠은 경사지게 구비되므로 그 전진 진행에 따라 고랑 외측의 흙을 내측으로 모아 비닐 가장자리부를 복토할 수 있고, 또한 접시 형태이므로 모아지는 흙을 일부 엎거나 퍼올려 충분하게 복토할 수 있다.
나아가, 복토 원반 휠은 그 외주연에 돌기날부들이 형성됨으로써, 지면에 접촉된 채로 굴러갈 때 정확하게 회전되면서 굴러갈 수 있다.
덧붙여, 각 복토 원반 휠의 바로 전방에는 피복된 비닐의 가장자리부를 지표면에 대해 눌러줌으로써 후방의 복토 원반 휠에 의해 복토될 때까지 비닐의 가장자리부를 고정하는 단부 압지 롤러가 통상 구비된다.
한편, 예전의 대부분의 비닐 피복기는 한번에 한 두둑에 대한 작업만을 실시할 수 있어 작업 생산성이 낮은 문제점이 있었던 바, 본 출원인은 한번에 2개 이상의 다수 두둑에 대한 작업을 동시에 실시할 수 있어 극대화된 작업 효율성을 제공할 수 있는 비닐 피복기를 개발하여, 대한민국 특허 제10-0937097호의 "농업용 비닐 피복기"(이하, 종래 기술 1로 칭함)로 등록받은 바 있다.
해당 종래 기술 1에 따른 도면을 도 1과 도 2에 나타낸다.
도면들을 참조하면, 해당 농업용 비닐 피복기(100)는, 농업용 견인 차량(미도시)의 후미에 탈착식으로 연결되는 연결구(102)와, 연결구(102)가 중앙에 결합되며 진행(즉, 주행) 방향에 직교되는 횡 방향을 따라 2개 이상의 다수 두둑에 걸쳐지도록 길이가 길게 구비되는 전방 횡형 바(104)와, 동시 작업되는 2개 이상의 다수 두둑에 대해 횡 방향을 따라서 구비됨과 생략됨이 교번되도록 그 전단부가 전방 횡형 바(104)에 결합되어 후방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는 후향 이격 바(106)와, 각 후향 이격 바(106)의 후단부에 중심부가 결합되어 횡 방향으로 구비되며 상대적으로 짧은 일정 길이를 갖는 후방 횡형 바(108)와, 각기 하나의 두둑에 대한 비닐 피복 및 복토 작업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며 각 후방 횡형 바(108)에 대해 하나가 장착되고 각 후방 횡형 바(108)가 없는 두둑 위치에 대해서는 전방 횡형 바(104)에 대해 장착되는 단위 비닐 피복 작업체(120)와, 전방 횡형 바(104)의 양단부 측에 그 수직 바(110a)를 통해 하부 측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구름 바퀴(110b)가 구비되어 그 구름 바퀴(110b)가 양 외측의 고랑에 접촉된 채로 굴러가는 구름 바퀴체(110)로 이루어진다.
즉, 각 후방 횡형 바(108)에 대해서는 하나씩의 단위 비닐 피복 작업체(120)가 장착되고, 후방 횡형 바(108)가 구비되지 않는 두둑 위치에 대해서는 전방 횡형 바(104)에 대해 단위 비닐 피복 작업체(120)가 장착되며, 즉 횡 방향을 따라서 단위 비닐 피복 작업체(120)가 전방 측과 후방 측에 번갈아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구비된다.
도 1의 경우는 동시에 4개의 두둑을 작업할 수 있도록 단위 비닐 피복 작업체(120)가 4개 구비되는 4조식의 것이고, 도 2의 경우는 동시에 3개의 두둑을 작업할 수 있도록 단위 비닐 피복 작업체(120)가 3개 구비되는 3조식의 것으로, 이와 같은 방식으로 얼마든지 원하는 개수의 조식으로 확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그리고, 그 단위 비닐 피복 작업체(120)는, 하나의 두둑에 대한 비닐 피복 및 복토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비닐 롤 장착대(123), 비닐 누름 롤러(125), 한 쌍의 사이드 후방 연장 바(126), 각 사이드 후방 연장 바(126)의 후단부 측 앞 부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고랑 측 지표면에 접촉된 채로 굴러가면서 이미 두둑에 피복되어 양 가장자리부가 각 고랑에 위치되어 있는 비닐의 가장자리부를 눌러주는 단부 압지 롤러(127), 각 사이드 후방 연장 바(126)의 후단부 측 뒷 부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각 고랑 측 지표면에 접촉된 채로 가장 후행되게 굴러가면서 이미 두둑에 피복되어 양 가장자리부가 각 고랑에 위치되어 있는 비닐의 가장자리부로 고랑의 흙을 내측으로 모아 복토 고정하는 복토 원반 휠(128) 등을 포함하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농작물 중에는 먼저 씨앗이나 씨앗 구근이 심어진 후 비닐 피복하는 것들이 있고, 비닐 피복 후에는 피복 비닐의 중앙부를 추가적으로 흙으로 덮어주어 차광해주어야 하는 것들이 있는데, 그러한 경우에 있어 예전에는 비닐 피복기에 의한 자동 작업 후에 별도로 작업자가 차광용 복토 작업을 수작업으로 해주어야 함에 따른 불편함이 야기되었던 점과 아울러, 양측의 복토 원반 휠을 이용하여 피복 비닐의 양 가장자리부 만을 복토 고정하면 바람이 심하게 부는 경우 피복 비닐의 중앙부가 들떠 날리면서 피복이 해체되는 일이 빈번히 발생되었던 문제점이 있었던 바, 본 출원인은 피복 비닐의 양 가장자리부에 대한 복토와 함께 피복 비닐의 중앙부에 대한 복토까지 동시에 모두 수행할 수 있음에 따라 피복 비닐을 더욱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으면서 중앙 복토 작업에 따라 농작물에 대한 차광 효과까지 제공할 수 있는 "비닐 피복기용 복토 원반 휠 장치"를 개발하여, 대한민국 실용신안 제20-0445836호로 등록받은 바 있으며, 그 기술은 상술한 종래 기술 1에도 동일하게 개시되어 있다.
해당 종래 기술 2에 따른 도면을 도 3과 도 4에 나타낸다.
도면들을 참조하면, 그 구성은, 비닐 피복기의 본체 프레임(미도시)의 양측에서 각기 후방으로 연장되는 사이드 후방 연장 바(126)의 후단부에 대해 직교되는 횡 방향으로 자유 회전 가능하게 결합 구비되며 그 중간 위치의 외주면 상에는 피동 기어(129a)가 일체로 형성되는 회전축(129)과, 수직된 상태에서 그 중심공(128a)을 통해 회전축(129)에 끼워져 자유 회전 가능하게 결합 구비되는 원반 형태의 것으로 작업 진행 방향에 따라서 전방 측은 외측을 향하고 후방 측은 내측을 향하도록 비스듬하게 장착 구비되며 그 외주연을 따라서는 돌기날부(128c)가 형성되어 작업 시 고랑 지표면에 접촉된 상태로 굴러가면서 고랑의 흙을 내측으로 모아 피복 비닐의 가장자리부를 복토 고정하며 그 외측면 상에는 환상으로 돌출되어 내주면에 기어날들을 갖는 내경 기어(128d)가 일체로 형성되는 원반 휠(128)과, 원반 휠(128) 상의 내경 기어(128d)와 회전축(129) 상의 피동 기어(129a) 간을 중간에는 기어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기어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전동 매개 기어(130)와, 회전축(129)의 일단부에 고정 결합되어 원반 휠(128)의 내측에 위치되며 원주 방향을 따라 2개 이상의 토굴날(131b)을 갖고 회전축(129)과 함께 회전되면서 원반 휠(128)의 내측으로 모이는 흙의 일부를 토굴하여 후방으로 던져 피복 비닐의 중앙부를 복토 진압하는 로터리날부(130) 등을 포함한다.
따라서, 원반 휠(128)이 지표면에 접촉되어 굴러감에 따라 발생되는 회전력이 기어 연결을 통해 로터리날부(130)로 전달되어 로터리날부(130)가 동시에 회전되되, 중간의 기어 연결에 따라 중간에서 증속되어 보다 빠른 속도로 회전됨으로써, 원반 휠(128)의 내측으로 모이는 흙의 일부를 토굴하여 후방으로 던져 피복 비닐의 중앙부로 낙하되도록 하여 중앙부를 복토한다.
이로써, 피복 비닐의 양 가장자리부를 복토 고정함과 함께, 동시에 피복 비닐의 중앙부에 대한 복토까지 실시할 수 있다.
그러나, 이상과 같은 종래의 비닐 피복기용 복토 원반 휠 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이 있다.
첫째, 원반 휠(128)이 지면에 대해 굴러감에 따라 발생되는 회전력이 전달되어 로터리날부(150)가 회전되는 무동력 방식이므로, 로터리날부(150)의 회전력이 약하게 발생되어 흙을 충분히 토굴하여 던지지 못함으로써, 중앙부 복토가 부정확하면서 불완전하게 실시되는 문제점이 있다.
관련하여, 원반 휠(128)이 굴러가는 지면 상태에 따라서는 회전이 원활하지 못하고, 회전력도 미약하게 발생될 수 있으며, 즉 지면 상태의 제약을 크게 받는다.
둘째, 양측 로터리날부(130)에 의해 후방 중앙부를 향해 던져진 흙이 피복된 비닐의 중앙부로 정확히 집중되어 낙하되지 못하고, 산포되거나 더욱 멀리 날아가 유실됨으로써, 중앙부 복토 상태가 불량하게 되는 문제점도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로터리날부의 회전이 정확하면서 충분한 회전력으로 실시될 수 있음과 함께, 양측 로터리날부에 의해 후방 중앙부로 던져진 흙이 피복 비닐의 중앙부로 정확하게 집중 낙하될 수 있어, 보다 완전한 중앙부 복토를 실시할 수 있는 농업용 비닐 피복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농업용 비닐 피복기는, 농업용 견인 차량의 후미에 탈착식으로 연결되어 상기 견인 차량의 주행에 따라 견인 이동되면서 피복 비닐을 풀어 하나 이상의 두둑 상에 피복하고 피복된 상기 각 피복 비닐의 양 가장자리부와 중앙부를 동시에 복토 고정하는 농업용 비닐 피복기로서, 골격 구조를 형성하는 본체 프레임; 상기 본체 프레임의 전단부 측에 구비되어 상기 견인 차량에 연결되는 연결구; 상기 견인 차량 측의 PTO 출력축에 연결되는 하나의 동력 입력축을 통해 회전 동력을 입력받아 2개 이상의 짝수 개수에 해당하는 동력 출력축을 통해 출력하되 1/2 개수의 상기 동력 출력축은 정방향 회전되고 나머지 1/2 개수의 상기 동력 출력축은 역방향 회전되도록 변환하는 동력 입력 변환부; 상기 본체 프레임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되 각 두둑에 대한 작업을 위해 양측의 2개로 한 쌍을 이루어 1개 이상의 두둑 작업을 위해 한 쌍 이상으로 구비되는 사이드 후방 연장 바의 각 후단부에 결합 구비되며 지면에 접촉 구름되는 원반 휠의 내측에 상기 동력 출력축으로부터 각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로터리날부의 결합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로터리날부의 중심 회전축이 상기 원반 휠의 중심부에 형성되는 중심 관통공을 통과하여 외측으로 돌출되는 복토 원반 휠 장치부; 상기 각 복토 원반 휠 장치부에 대해 구비되며 상기 중심 회전축의 외측단부에 대해 베벨 기어 연결부를 통해 직교되도록 기어 연결되어 작동 시 회전되는 중간 회전축; 및 서로 원거리 위치되는 상기 동력 입력 변환부의 상기 각 동력 출력축과 상기 각 중간 회전축 간을 연결하여 회전 동력을 전달하되 1개 두둑의 작업을 위한 양측의 상기 중간 회전축으로 서로 반대되는 회전 방향의 동력을 전달하는 와이어 케이블; 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동력 입력 변환부는, 기어 박스체; 상기 기어 박스체의 중앙부에 주행 방향에 평행되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 구비되고 전방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PTO 출력축과 연결되며 상기 기어 박스체 내부에 위치되는 부분에 구동 기어를 갖는 하나의 상기 동력 입력축; 및 상기 동력 입력축의 양측에 계속 연이어져 기어 연결되도록 2개 이상의 짝수 개수로 구비되며 상기 동력 입력축과 평행되는 방향으로 상기 기어 박스체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 구비되고 후방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와이어 케이블과 각기 연결되며 상기 기어 박스체 내부에 위치되는 부분에 상기 구동 기어 또는 서로 간에 기어 연결되는 피동 기어를 갖는 2개 이상의 상기 동력 출력축; 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동력 입력 변환부는, 기어 박스체; 상기 기어 박스체의 중앙부에 주행 방향에 평행되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 구비되고 전방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PTO 출력축과 연결되며 상기 기어 박스체 내부에 위치되는 부분에 일측 베벨 기어를 갖는 하나의 상기 동력 입력축; 상기 동력 입력축과 직교되는 방향을 따라 길게 구비되어 상기 기어 박스체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 구비되고 길이 방향을 따라 3개 이상의 홀수 개수에 해당하는 타측 베벨 기어를 가지며 하나의 타측 베벨 기어는 상기 동력 입력축 상의 상기 일측 베벨 기어와 기어 연결되는 직교 회전축; 및 상기 동력 입력축과 평행되는 방향으로 상기 기어 박스체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2개 이상의 짝수 개수로 결합 구비되고 후방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와이어 케이블과 각기 연결되며 상기 기어 박스체 내부에 위치되는 부분에 일측 베벨 기어를 가져 상기 직교 회전축 상의 상기 각 타측 베벨 기어와 기어 연결되는 2개 이상의 상기 동력 출력축; 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 하나의 두둑 작업을 위한 양측의 상기 복토 원반 휠 장치부의 후방 측 중앙부 공중에 앞쪽이 개방되고 뒤쪽은 폐쇄되는 브이자 형태로 구비되어 양측의 상기 복토 원반 휠 장치부의 상기 각 로터리날부에 의해 후방 중앙부를 향해 던져진 흙이 타격되어 중앙부에 집중 낙하되도록 하는 중앙 낙하판 부재;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로터리날부가 견인 차량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동력 방식으로 정확하면서 강하게 회전될 수 있음과 함께, 양측 로터리날부에 의해 토굴되어 후방으로 던져진 흙이 피복 비닐의 중앙부로 정확히 집중되어 낙하될 수 있음에 따라 중앙부 복토를 완전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극대화된 작업 효율과 우수한 사용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달성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 1에 따른 농업용 비닐 피복기로서 4조식의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 1에 따른 농업용 비닐 피복기로서 3조식의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종래 기술 2에 따른 비닐 피복기용 복토 원반 휠 장치에 대한 단면도,
도 4는 종래 기술 2에 따른 비닐 피복기용 복토 원반 휠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비닐 피복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비닐 피복기의 동력 입력 변환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비닐 피복기의 동력 입력 변환부의 다른 구성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비닐 피복기의 복토 원반 휠 장치부 측의 주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비닐 피복기의 중앙 낙하판 부재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10a 내지 도 10e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비닐 피복기의 시제품에 대한 요부를 각기 촬영한 사진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비닐 피복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그 동력 입력 변환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7은 그 동력 입력 변환부의 다른 구성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은 그 복토 원반 휠 장치부 측의 주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0a 내지 도 10e는 그 시제품에 대한 요부를 각기 촬영한 사진들이다.
본 고안에 따른 농업용 비닐 피복기(200)는 트랙터, 승용 관리기와 같이 동력을 이용하여 주행되는 농업용 견인 차량(미도시)의 후미에 탈착식으로 연결되어 이용되는 작업기로서, 견인 차량의 주행에 따라 견인 이동되면서 자동으로 비닐을 풀어 각 두둑 상에 피복하고 피복된 비닐의 양 가장자리부와 중앙부를 동시에 복토 고정한다.
그리고, 그것은 피복 비닐의 양 가장자리부와 함께 중앙부까지 복토할 수 있도록 가장 후행되는 위치의 양측에 서로 대향되는 한 쌍의 복토 원반 휠 장치부(260)를 구비한다.
해당 복토 원반 휠 장치부(260)는 비닐 피복기(200)의 골격 구조를 형성하는 본체 프레임(210)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되 작업 대상의 각 두둑에 대해 양측의 2개가 한 쌍을 이루어 구비되는 식으로 1개 이상의 두둑 작업을 위해 한 쌍 이상으로 구비되는 사이드 후방 연장 바(214)의 후단부에 각기 결합 구비되는 것으로, 각기 그것은, 사이드 후방 연장 바(214)의 후단부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도록 수직된 상태로 결합 구비되는 원반 형태로서 주행 방향(즉, 작업 진행 방향)에 따라서 전방 측은 외측을 향하고 후방 측은 내측을 향하도록 비스듬하게 장착 구비되며 그 외주연 상에는 돌기날부(262b)가 형성되어 작업 시 고랑 지표면에 접촉되어 굴러가면서 고랑의 흙을 내측으로 모아 피복 비닐의 가장자리부를 복토 고정하는 원반 휠(262)과, 해당 원반 휠(262)의 내측에 위치되며 원주 방향을 따라 2개 이상의 토굴날(264b)을 갖고 작동 시 회전되면서 원반 휠(262)의 내측으로 모이는 흙의 일부를 토굴하여 후방으로 던져 피복 비닐의 중앙부를 복토하는 로터리날부(264)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원반 휠(262)은 종래와 동일하게 지면에 접촉되어 굴러가면서 자유롭게 회전되나, 로터리날부(264)는 종래와 달리 견인 차량으로부터 출력되는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된다.
이를 위해, 본 고안에 따른 농업용 비닐 피복기(200)는, 골격 구조를 형성하는 본체 프레임(210)과, 본체 프레임(210)의 전단부 측에 구비되어 견인 차량의 후미에 탈착식으로 연결되는 연결구(212)와, 연결구(212) 인근 부위에 장착되어 견인 차량 측의 PTO(Power Take Off) 출력축(미도시)에 연결되는 그 하나의 동력 입력축(224)을 통해 회전 동력을 입력받아 2개 이상의 짝수 개수에 해당하는 그 동력 출력축(226)을 통해 출력하되 1/2 개수의 동력 출력축(226)은 정방향 회전되고 나머지 1/2 개수의 동력 출력축(226)은 역방향 회전되도록 변환하는 동력 입력 변환부(220)와, 본체 프레임(210)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되 각 두둑에 대해 양측의 2개가 한 쌍을 이루어 구비되는 식으로 1개 이상의 두둑 작업을 위해 한 쌍 이상으로 구비되는 사이드 후방 연장 바(214)의 각 후단부에 결합 구비되며 지면에 접촉되어 구름되는 원반 휠(262)의 내측에 상기한 각 동력 출력축(226)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로터리날부(264)의 결합으로 이루어지고 로터리날부(264)의 중심 회전축(264a)이 원반 휠(262)의 중심부에 형성되는 중심 관통공(262a)을 통과하여 외측으로 돌출되는 복토 원반 휠 장치부(260)와, 각 복토 원반 휠 장치부(260)에 대해 구비되며 상기한 중심 회전축(264a)의 외측단부에 대해 베벨 기어 연결부(250)를 통해 직교되도록 기어 연결되어 작동 시 회전되는 중간 회전축(240)과, 서로 원거리로 멀리 위치되는 상기한 동력 입력 변환부(220)의 각 동력 출력축(226)과 상기한 각 중간 회전축(240) 간을 연결하여 회전 동력을 전달하되 각 두둑의 작업을 위한 양측의 상기 중간 회전축(240)으로 서로 반대되는 회전 방향의 동력을 전달하는 와이어 케이블(230)을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른 농업용 비닐 피복기(200)는 1개 두둑에 대한 작업을 수행하는 1조식 또는 2개 이상의 다수 두둑에 대한 작업을 동시에 수행 가능한 다조식일 수 있다.
상기한 동력 입력 변환부(220)는 견인 차량에 기본적으로 구비되는 PTO 출력축에 연결되는 그 하나의 동력 입력축(224)을 통해 회전 동력을 입력받아 2개 이상의 짝수 개수에 해당하는 그 동력 출력축(226)을 통해 출력하되 1/2 개수의 동력 출력축(226)은 정방향 회전되고 나머지 1/2 개수의 동력 출력축(226)은 역방향 회전되도록 변환하는 것으로, 그것은 개별 유닛화되어 연결구(212) 인근의 전단부 측에 장착된다.
도 6을 참조하면, 해당 동력 입력 변환부(220)는, 기어 박스체(222)의 외형을 갖도록 개별 유닛화될 수 있으며, 그것은, 기어 박스체(222)의 중앙부에 주행 방향에 평행되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 구비되고 전방을 향해 돌출되어 PTO 출력축과 연결되며 기어 박스체(222) 내부에 위치되는 부분에 평 기어 형태 등의 구동 기어(224a)를 갖는 하나의 동력 입력축(224)과, 동력 입력축(224)의 양측에 계속 연이어져 기어 연결되도록 2개 이상의 짝수 개수로 구비되며 동력 입력축(224)과 평행되는 방향으로 기어 박스체(222)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 구비되고 후방을 향해 돌출되어 각 와이어 케이블(230)과 연결되며 기어 박스체(222) 내부에 위치되는 부분에 상기한 구동 기어(224a) 또는 서로 간에 기어 연결되는 평 기어 형태 등의 피동 기어(226a)를 갖는 2개 이상의 동력 출력축(226)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동력 입력축(224)이 정 방향으로 회전되면, 그에 대해 양측으로 연이어지게 기어 연결된 동력 출력축들(226)이 정 방향과 역 방향으로 교번되게 회전될 수 있음으로써, 1/2 개수의 동력 출력축(226)은 정방향 회전되고 나머지 1/2 개수의 동력 출력축(226)은 역방향 회전될 수 있다.
다른 구성 예로서, 도 7을 참조하면, 해당 동력 입력 변환부(220')는, 기어 박스체(222')의 외형을 갖도록 개별 유닛화될 수 있으며, 그것은, 기어 박스체(222')의 중앙부에 주행 방향에 평행되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 구비되고 전방을 향해 돌출되어 PTO 출력축과 연결되며 기어 박스체(222') 내부에 위치되는 부분에 일측 베벨 기어(224a')를 갖는 하나의 동력 입력축(224')과, 동력 입력축(224')과 직교되는 방향을 따라 길게 구비되어 기어 박스체(222')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 구비되고 길이 방향을 따라 3개 이상의 홀수 개수에 해당하는 타측 베벨 기어(226a')를 가지며 그 하나의 타측 베벨 기어(226a')는 동력 입력축(224') 상의 일측 베벨 기어(224a')와 기어 연결되고 나머지 타측 베벨 기어(226a')는 각기 후술하는 각 동력 출력축(228') 측의 일측 베벨 기어(228a')와 기어 연결되는 직교 회전축(226')과, 동력 입력축(224')과 평행되는 방향으로 기어 박스체(222')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2개 이상의 짝수 개수로 결합 구비되고 후방을 향해 돌출되어 각 와이어 케이블(230)과 연결되며 기어 박스체(222') 내부에 위치되는 부분에 일측 베벨 기어(228a')를 가져 상기한 직교 회전축(226') 상의 각 타측 베벨 기어(226a')와 기어 연결되되 반에 해당하는 개수씩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는 2개 이상의 동력 출력축(228')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는, 동력 입력축(224')이 정 방향으로 회전되면, 반에 해당하는 개수의 동력 출력축(228')은 정 방향으로, 그리고 나머지 반에 해당하는 개수의 동력 출력축(228')은 역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한 복토 원반 휠 장치부(260)는 그 중심 회전축(264a)을 내부에 보호하면서 그 중심 회전축(264a)이 회전 지지되도록 결합하기 위한 제1 케이싱(264c)을 구비하며, 상기한 중간 회전축(240)은 제2 케이싱(242)을 통해 보호되면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 구비된다.
여기서, 제1 케이싱(264c)과 제2 케이싱(242)은 서로 결합되도록 구성되며, 서로 결합된 제1 케이싱(264c) 및 제2 케이싱(242) 부분은 사이드 후방 연장 바(214)의 후단부에 결합된다.
상기한 와이어 케이블(230)은 서로 멀리 떨어져 위치되는 동력 입력 변환부(220) 측의 각 동력 출력축(226)과 각 중간 회전축(240) 간을 연결하여 회전 동력을 전달한다.
하나의 두둑에 대한 작업을 위해 양측에 한 쌍으로 대향되게 구비되는 복토 원반 휠 장치부(260)의 각 로터리날부(264)는 동일 방향으로 회전되며, 그에 대한 양 외측에 동일한 구성으로 구비되는 베벨 기어 연결부(250)를 통해 동력을 전달받는 바, 양측의 와이어 케이블(230)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어야 한다.
나아가, 본 고안에 따른 비닐 피복기(200)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추가적으로, 하나의 두둑 작업을 위한 양측의 복토 원반 휠 장치부(260)의 로터리날부들(264)에 의해 후방 중앙부를 향해 던져진 흙이 피복 비닐 상의 중앙부 위치로 정확하게 집중되어 낙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양측의 복토 원반 휠 장치부(260) 후방 중앙부 공중에 앞쪽이 개방되고 뒤쪽은 폐쇄되는 브이자("V") 형태의 중앙 낙하판 부재(270)를 구비할 수 있다.
해당 중앙 낙하판 부재(270)는 본체 프레임(210)이나 양측 사이드 후방 연장 바(214) 등에 물리적으로 적절히 결합되도록 구비된다.
중앙 낙하판 부재(270)는 양측 로터리날부(264)에 의해 던져진 흙이 그것에 타격되어 중심부로 안내 이동된 후 낙하되어 피복 비닐의 중앙부로 모여져 낙하되도록 한다.
이상, 상기 내용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단지 예시한 것으로 본 고안의 당업자는 본 고안의 요지를 변경시킴이 없이 본 고안에 대한 수정과 변경을 가할 수 있음을 인지해야 한다.
200 : 농업용 비닐 피복기 210 : 본체 프레임
212 : 연결구 214 : 사이드 후방 연장 바
220 : 동력 입력 변환부 222 : 기어 박스체
224 : 동력 입력축 224a : 구동 기어
226 : 동력 출력축 226a : 피동 기어
220' : 동력 입력 변환부 222' : 기어 박스체
224' : 동력 입력축 224a' : 일측 베벨 기어
226' : 직교 회전축 226a' : 타측 베벨 기어
228' : 동력 출력축 228a' : 일측 베벨 기어
230 : 와이어 케이블 240 : 중간 회전축
242 : 제2 케이싱 250 : 베벨 기어 연결부
260 : 복토 원반 휠 장치부 262 : 원반 휠
262a : 중심 관통공 262b : 돌기날부
264 : 로터리날부 264a : 중심 회전축
264b : 토굴날 264c : 제1 케이싱
270 : 중앙 낙하판 부재

Claims (4)

  1. 농업용 견인 차량의 후미에 탈착식으로 연결되어 상기 견인 차량의 주행에 따라 견인 이동되면서 비닐을 풀어 하나 이상의 두둑 상에 피복하고 피복된 상기 각 피복 비닐의 양 가장자리부와 중앙부를 동시에 복토 고정하는 농업용 비닐 피복기(200)로서,
    골격 구조를 형성하는 본체 프레임(210);
    상기 본체 프레임(210)의 전단부 측에 구비되어 상기 견인 차량에 연결되는 연결구(212);
    상기 본체 프레임(210) 상에 장착되며 상기 견인 차량 측의 PTO 출력축에 연결되는 하나의 동력 입력축(224)을 통해 회전 동력을 입력받아 2개 이상의 짝수 개수에 해당하는 동력 출력축(226)을 통해 출력하되 1/2 개수의 상기 동력 출력축(226)은 정방향 회전되고 나머지 1/2 개수의 상기 동력 출력축(226)은 역방향 회전되도록 변환하는 동력 입력 변환부(220);
    상기 본체 프레임(210)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되 각 두둑에 대해 양측의 2개가 한 쌍을 이루어 구비되는 식으로 1개 이상의 두둑 작업을 위해 한 쌍 이상으로 구비되는 사이드 후방 연장 바(214)의 각 후단부에 결합 구비되며 지면에 접촉 구름되는 원반 휠(262)의 내측에 상기 동력 출력축(226)으로부터 각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로터리날부(264)의 결합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로터리날부(264)의 중심 회전축(264a)이 상기 원반 휠(262)의 중심부에 형성되는 중심 관통공(262a)을 통과하여 외측으로 돌출되는 복토 원반 휠 장치부(260);
    상기 각 복토 원반 휠 장치부(260)에 대해 구비되며 상기 중심 회전축(264a)의 외측단부에 대해 베벨 기어 연결부(250)를 통해 직교되도록 기어 연결되어 작동 시 회전되는 중간 회전축(240); 및
    서로 원거리 위치되는 상기 동력 입력 변환부(220)의 상기 각 동력 출력축(226)과 상기 각 중간 회전축(240) 간을 연결하여 회전 동력을 전달하되 각 두둑의 작업을 위한 양측의 상기 중간 회전축(240)으로 서로 반대되는 회전 방향의 동력을 전달하는 와이어 케이블(230); 을 포함하며,
    상기 동력 입력 변환부(220)는,
    기어 박스체(222);
    상기 기어 박스체(222)의 중앙부에 주행 방향에 평행되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 구비되고 전방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PTO 출력축과 연결되며 상기 기어 박스체(222) 내부에 위치되는 부분에 구동 기어(224a)를 갖는 하나의 상기 동력 입력축(224); 및
    상기 동력 입력축(224)의 양측에 계속 연이어져 기어 연결되도록 2개 이상의 짝수 개수로 구비되며 상기 동력 입력축(224)과 평행되는 방향으로 상기 기어 박스체(222)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 구비되고 후방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와이어 케이블(230)과 각기 연결되며 상기 기어 박스체(222) 내부에 위치되는 부분에 상기 구동 기어(224a) 또는 서로 간에 기어 연결되는 피동 기어(226a)를 갖는 2개 이상의 상기 동력 출력축(226); 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비닐 피복기.
  2. 삭제
  3. 농업용 견인 차량의 후미에 탈착식으로 연결되어 상기 견인 차량의 주행에 따라 견인 이동되면서 비닐을 풀어 하나 이상의 두둑 상에 피복하고 피복된 상기 각 피복 비닐의 양 가장자리부와 중앙부를 동시에 복토 고정하는 농업용 비닐 피복기(200)로서,
    골격 구조를 형성하는 본체 프레임(210);
    상기 본체 프레임(210)의 전단부 측에 구비되어 상기 견인 차량에 연결되는 연결구(212);
    상기 본체 프레임(210) 상에 장착되며 상기 견인 차량 측의 PTO 출력축에 연결되는 하나의 동력 입력축(224')을 통해 회전 동력을 입력받아 2개 이상의 짝수 개수에 해당하는 동력 출력축(226')을 통해 출력하되 1/2 개수의 상기 동력 출력축(226')은 정방향 회전되고 나머지 1/2 개수의 상기 동력 출력축(226')은 역방향 회전되도록 변환하는 동력 입력 변환부(220');
    상기 본체 프레임(210)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되 각 두둑에 대해 양측의 2개가 한 쌍을 이루어 구비되는 식으로 1개 이상의 두둑 작업을 위해 한 쌍 이상으로 구비되는 사이드 후방 연장 바(214)의 각 후단부에 결합 구비되며 지면에 접촉 구름되는 원반 휠(262)의 내측에 상기 동력 출력축(226)으로부터 각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로터리날부(264)의 결합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로터리날부(264)의 중심 회전축(264a)이 상기 원반 휠(262)의 중심부에 형성되는 중심 관통공(262a)을 통과하여 외측으로 돌출되는 복토 원반 휠 장치부(260);
    상기 각 복토 원반 휠 장치부(260)에 대해 구비되며 상기 중심 회전축(264a)의 외측단부에 대해 베벨 기어 연결부(250)를 통해 직교되도록 기어 연결되어 작동 시 회전되는 중간 회전축(240); 및
    서로 원거리 위치되는 상기 동력 입력 변환부(220)의 상기 각 동력 출력축(226)과 상기 각 중간 회전축(240) 간을 연결하여 회전 동력을 전달하되 각 두둑의 작업을 위한 양측의 상기 중간 회전축(240)으로 서로 반대되는 회전 방향의 동력을 전달하는 와이어 케이블(230); 을 포함하며,
    상기 동력 입력 변환부(220')는,
    기어 박스체(222');
    상기 기어 박스체(222')의 중앙부에 주행 방향에 평행되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 구비되고 전방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PTO 출력축과 연결되며 상기 기어 박스체(222') 내부에 위치되는 부분에 일측 베벨 기어(224a')를 갖는 하나의 상기 동력 입력축(224');
    상기 동력 입력축(224')과 직교되는 방향을 따라 길게 구비되어 상기 기어 박스체(222')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 구비되고 길이 방향을 따라 3개 이상의 홀수 개수에 해당하는 타측 베벨 기어(226a')를 가지며 하나의 타측 베벨 기어(226a')는 상기 동력 입력축(224') 상의 상기 일측 베벨 기어(224a')와 기어 연결되는 직교 회전축(226'); 및
    상기 동력 입력축(224')과 평행되는 방향으로 상기 기어 박스체(222')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2개 이상의 짝수 개수로 결합 구비되고 후방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와이어 케이블(230)과 각기 연결되며 상기 기어 박스체(222') 내부에 위치되는 부분에 일측 베벨 기어(228a')를 가져 상기 직교 회전축(226') 상의 상기 각 타측 베벨 기어(226a')와 기어 연결되는 2개 이상의 상기 동력 출력축(228'); 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비닐 피복기.
  4. 제 1 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하나의 두둑 작업을 위한 양측의 상기 복토 원반 휠 장치부(260)의 후방 측 중앙부 공중에 앞쪽이 개방되고 뒤쪽은 폐쇄되는 브이자 형태로 구비되어 양측의 상기 복토 원반 휠 장치부(260)의 상기 각 로터리날부(264)에 의해 후방 중앙부를 향해 던져진 흙이 타격되어 중앙부에 집중 낙하되도록 하는 중앙 낙하판 부재(270); 를 더 포함하는 농업용 비닐 피복기.
KR2020100002969U 2010-03-23 2010-03-23 농업용 비닐 피복기 KR2004505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2969U KR200450548Y1 (ko) 2010-03-23 2010-03-23 농업용 비닐 피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2969U KR200450548Y1 (ko) 2010-03-23 2010-03-23 농업용 비닐 피복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0548Y1 true KR200450548Y1 (ko) 2010-10-11

Family

ID=44479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2969U KR200450548Y1 (ko) 2010-03-23 2010-03-23 농업용 비닐 피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0548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8824B1 (ko) 2011-03-25 2011-10-04 김정주 비닐 피복 장치
KR20180064113A (ko) * 2016-12-05 2018-06-14 주식회사 성진텍 다조식 제초기
CN108450066A (zh) * 2017-03-23 2018-08-28 苏策 轮齿式残膜回收机
WO2019132072A1 (ko) * 2017-12-29 2019-07-04 주식회사 성진텍 다조식 제초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24518A (ja) * 2003-10-27 2005-05-19 Sasaki Corporation トラクタに装着する折り畳み代掻装置
KR100889368B1 (ko) * 2008-06-23 2009-03-20 권예지 비닐 피복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24518A (ja) * 2003-10-27 2005-05-19 Sasaki Corporation トラクタに装着する折り畳み代掻装置
KR100889368B1 (ko) * 2008-06-23 2009-03-20 권예지 비닐 피복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8824B1 (ko) 2011-03-25 2011-10-04 김정주 비닐 피복 장치
KR20180064113A (ko) * 2016-12-05 2018-06-14 주식회사 성진텍 다조식 제초기
KR101892193B1 (ko) * 2016-12-05 2018-08-28 주식회사 성진텍 다조식 제초기
CN108450066A (zh) * 2017-03-23 2018-08-28 苏策 轮齿式残膜回收机
WO2019132072A1 (ko) * 2017-12-29 2019-07-04 주식회사 성진텍 다조식 제초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657050B (zh) 旋耕起垄履带输送全铺膜覆土机
CN107912107B (zh) 一种旱塘西甜瓜开沟覆膜覆土打孔复式作业机
CN201378938Y (zh) 秸秆粉碎覆盖灭茬免耕施肥播种机
US4051902A (en) Soil cultivating implements
KR200450548Y1 (ko) 농업용 비닐 피복기
CN113196905A (zh) 秸秆带状旋耕还田机及旋耕还田方法
CN106258230A (zh) 一种秸秆粉碎双轴反转灭茬还田机
CN105917773A (zh) 一种果园松土除草施肥机
KR101724821B1 (ko) 부분경운장치, 및 이를 부착한 이앙기
CN113853857A (zh) 组合式油菜耕整装置
CN209749078U (zh) 一种条带深松旋耕播种深埋地下滴灌一体机
CN201533490U (zh) 联合整地机
CN215269382U (zh) 秸秆带状旋耕还田机
CN215073771U (zh) 烟草跨垄中耕培土机具
JP5519846B1 (ja) 水田用動力除草機
CN209882505U (zh) 一种牵引式小籽粒联合式播种机
KR100937097B1 (ko) 농업용 비닐 피복기
CN107771436A (zh) 水稻中耕除草机
CN207118248U (zh) 一种旋耕播种机
JP2022059623A (ja) 耕耘方法、および、それに利用する農業機械
CN205755352U (zh) 果园松土除草施肥机
KR100778653B1 (ko) 두둑 성형장치
KR200445836Y1 (ko) 비닐 피복기용 복토 원반 휠 장치
US3282353A (en) Soil cutting implement for rotary tillers
CN107241924B (zh) 一种耕耙装置及多功能农用机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