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3895B1 - 고랑 제초기 - Google Patents

고랑 제초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3895B1
KR102493895B1 KR1020200137073A KR20200137073A KR102493895B1 KR 102493895 B1 KR102493895 B1 KR 102493895B1 KR 1020200137073 A KR1020200137073 A KR 1020200137073A KR 20200137073 A KR20200137073 A KR 20200137073A KR 102493895 B1 KR102493895 B1 KR 1024938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eding
gear
power
weeder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70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52763A (ko
Inventor
박재경
Original Assignee
박재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재경 filed Critical 박재경
Priority to KR10202001370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3895B1/ko
Publication of KR202200527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27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38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38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01D34/67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hand-guided by a walking operat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06Control or measur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01D34/76Driving mechanisms for the cutters
    • A01D34/77Driving mechanisms for the cutters actuated by advance of the machin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01D34/82Other details
    • A01D34/824Handle arrangeme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랑 제초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밭고랑과 같이 좁은 골을 중심으로 양측에 사면이 형성된 지형에서 골과 양측의 사면에 각각 대응하는 3개의 제초날을 통하여 보다 효과적인 제초작업을 진행할 수 있으며, 동력원에서 제공되는 동력이 제초날조립체부에 공급되어 제초를 수행하는 것뿐만 아니라, 전륜에도 공급되어 제초기의 이동에도 사용되어 이동을 위한 사용자의 별도의 인력이 필요하지 않아 이동이 편리하여 작업효율이 향상된 고랑 제초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고랑 제초기 {Weeder for furrow}
본 발명은 고랑 제초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밭고랑과 같이 골을 중심으로 양측에 사면이 형성되는 지형에서 잡초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며, 동력원의 동력이 전륜 및 제초날조립체부에 공급되는 고랑 제초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작물을 재배하기 위한 이랑식 밭에서 복토를 높게 쌓은 두둑에는 농작물이 일렬로 심어지고, 두둑 사이의 고랑은 사람이 오갈 수 있는 통행로이면서 필요 이상의 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수로가 된다.
이러한 역할을 하는 고랑에 불필요한 잡초들이 쉽게 자라게 되며, 이러한 잡초는 두둑에 심겨 있는 농작물에 비해 생육이 빠르고 번식력이 강하여 농작물의 생육에 필요한 영양분과 수분을 빼앗아 간다. 또한, 키가 큰 잡초는 일광을 차단하여 농작물의 생육을 방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며, 잡초가 우거진 곳은 병균과 벌레의 서식 및 번식처가 되어 농작물의 생육을 방해하는 또 다른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이러한 생육 방해요인은 농작물의 생장을 방해하여 수확 및 품질에 지대한 영향을 끼치게 되어 농가의 수입 감소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게 된다.
또한, 고랑에서 자라는 잡초는 지온을 저하하고 통풍을 방해하고, 고랑의 본래 기능인 통행로와 배수로 기능을 저해하게 되어 밭의 전반적인 기능을 저하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농작물 경작시 수시로 고랑에 대한 제초작업을 해주어야만 한다. 이러한 제초에 사용되는 제초기가 등록특허 제10-1689855호로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밭은 중소형이 대부분이고 고랑이 좁고, 구불구불하게 마련된 경우가 많아 선행문헌의 제초기 사용이 어려워 농부들이 직접 호미와 같은 농기구를 이용하여 제초작업을 해야 하는 실정이다. 이러한 수작업에 의한 제초작업은 많은 노동력과 작업시간이 소요되고, 힘든 작업으로 인해 작업효율이 낮은 문제점이 있다. 특히, 근래에는 농촌의 인력 부족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나면서 많은 노동력이 요구되는 제초작업에 대한 어려움은 더욱 증가하고 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노동력과 작업시간을 줄이는 제초방법으로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이 제초제를 사용하는 방법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제초제를 사용하는 제초방법은 제초제의 독성으로 잡초를 제거하는 방법으로 잡초 이외의 재배 중인 농작물에 영향을 끼쳐 농작물이 고사하기도 하고 수확 후 수확물을 세척한다고 하여도 잘 씻겨나가지 않으며, 제초제의 성분이 토양을 오염시켜 장기적으로 자연환경을 해친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689855호 (2016.12.20)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은 고랑 제초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밭고랑과 같이 좁은 골을 중심으로 양측에 사면이 형성된 지형에서 골과 양측의 사면에 각각 대응하는 3개의 제초날을 통하여 보다 효과적인 제초작업을 진행할 수 있으며, 동력원에서 제공되는 동력이 제초날조립체부에 공급되어 제초를 수행하는 것뿐만 아니라, 전륜에도 공급되어 제초기의 이동에도 사용되어 이동을 위한 사용자의 별도의 인력이 필요하지 않아 이동이 편리하여 작업효율이 향상된 고랑 제초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 시예들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랑 제초기는,
몸체(100),
상기 몸체(100)에 구비되어 외부 동력원과 연결되며 상기 몸체(100)의 양측면을 관통하는 제1구동축(111), 상기 제1구동축(111)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제1구동기어(112) 및 제2구동기어(113)로 구성되는 동력전달부(110),
상기 몸체(100) 하측 후방에 구비되며 상기 동력전달부(110)를 통해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적어도 3개의 제초수단(124,125,126)으로 구성되는 제초날조립체부(120)로 구성되되,
상기 제초날조립체부(120)는 제초수단(124,125,126)이 적어도 2개 이상의 삼각형 형태의 날을 포함하며 기어를 통해 결합하여 회동이 연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초날조립체부(120)는 상기 동력전달부(110)의 동력을 전달받는 제1동력전달기어(121), 일측이 상기 제1동력전달기어(121)를 관통하여 결합하는 제1제초날구동축(122), 상기 제1제초날구동축(122)과 결합하는 제2동력구동기어(123a), 상측에 제2동력피동기어(123b)와 축결합되는 구동력전달기어(124a)와 하측의 중앙제초날(124b)로 구성되는 중앙제초수단(124), 상기 중앙제초수단(124)의 좌측에 상기 구동력전달기어(124a)와 결합하고 좌측제초날(125b)과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좌측구동력전달기어(125a)를 포함하는 좌측제초수단(125), 상기 중앙제초수단(124)의 우측에 상기 구동력전달기어(124a)와 결합하고 우측제초날(126b)과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우측구동력전달기어(126a)를 포함하는 우측제초수단(126)으로 구성되되,
상기 제2동력구동기어(123a), 제2동력피동기어(123b), 상기 구동력전달기어(124a)는 원추형의 기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초날조립체부(120)는 상기 중앙제초날(124b), 좌측제초날(125a) 및 우측제초날(126a)이 적어도 2개 이상의 삼각형 형태의 날을 포함하며 기어를 통해 결합하여 회동이 연동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고랑 제초기는, 몸체에 전륜(200)과 손잡이(300)가 설치되며, 상기 몸체(100)에 구비되며 상기 제2구동기어(113)을 통해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전륜(200)을 구동하는 전륜구동부(13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력전달부(110)는 상기 제1구동기어(112) 및 상기 제2구동기어(113)가 기어비의 변환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손잡이(300)는 동력원을 출력을 조절하기 위한 출력조절수단(310)을 포함하되, 상기 출력조절수단(310)은 제어부(400)를 통해 제어될 수 있다.
또, 상기 손잡이(300)는 동력원을 출력을 조절하기 위한 출력조절수단(310)을 포함하되, 상기 출력조절수단(310)은 제어부(400)를 통해 제어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몸체(100)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설치되는 센싱수단(410) 및 상기 센싱수단(410)을 통해 입력된 정보를 처리하여 상기 출력조절수단(310)을 제어하는 중앙처리수단(420)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고랑 제초기는, 제초날조립체부는 회전이 연동되는 3개의 날로 구성되어있어 밭고랑의 골 및 양측사면 각각에 대응하여 제초작업을 수행하여 하나나 두 개의 날로 골과 각각의 사면을 이동하면서 제초를 진행해야 했던 종래의 제초기는 체조착업자가 제초기를 골과 사면에 이동시켜야 각각의 위치의 잡초를 제초할 수 있었던 것과 비교하여 제초기를 이동시킬 필요 없이 골을 따라 주행하는 것만으로도 골 및 각각의 사면의 잡초를 제초할 수 있어 제초작업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동력원에서 제공되는 동력이 제초날조립체부에 공급되어 제초작업을 수행하는 것뿐만 아니라, 전륜에도 공급되어 제초기의 전진 혹은 후진의 제초기 이동에도 사용되어 제초작업자가 더욱 편리하게 작업할 수 있다. 즉, 기존 제초기를 이용하여 제초를 수행할 때 제초기를 둘러매던지 밀던지 하는 제초기 자체를 이동시키는 동작을 통하여 발생할 수 있는 제초작업자의 근골격계 질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동력전달부는 제1구동기어 및 제2구동기어가 기어비의 변환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전륜 및 제초날조립체부에 동력을 공급하는 제1구동기어 및 제2구동기어가 고정된 기어비가 아닌 기어비의 변환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제초작업자가 필요에 따라 변환하여 제2구동기어의 기어비 변환을 통해 전륜의 회전속도 조절을 통하여 제초기의 전진속도를 조절하거나 역회전을 통한 후진이 가능하게 하며, 제1구동기어의 기어비 전환을 통해 제초날조립체부의 제초날 회전속도를 조절하여 상황에 맞는 제초날 회전속도로 제초작업을 진행하여 제초효율 및 제초 편의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고랑 제초기의 제어부는 센싱수단과 중앙처리수단을 통하여 밭고랑의 길이 및 표면의 잡초 밀집도를 계산하여 출력조절수단을 조절하여 제초기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센싱수단이 밭고랑의 길이를 센싱하여 전륜의 움직임을 조절하고, 센싱수단이 제초작업구역의 잡초 밀집도를 계산하여 제초날조립체부의 제초날 회전속도를 조절하여 제초효율을 높여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고랑 제초기 제1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의 고랑 제초기 제2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의 고랑 제초기 우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고랑 제초기 좌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초날조립체부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어부 일 실시예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고랑 제초기 제1실시예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고랑 제초기 제2실시예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고랑 제초기 우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고랑 제초기 좌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초날조립체부의 분해사시도,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어부 일 실시예이다.
본 발명의 고랑 제초기의 일 실시예는,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몸체(100), 상기 몸체(100)에 구비되어 외부 동력원과 연결되며 상기 몸체(100)의 양측면을 관통하는 제1구동축(111), 상기 제1구동축(111)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제1구동기어(112) 및 제2구동기어(113)로 구성되는 동력전달부(110), 상기 몸체(100) 하측 후방에 구비되며 상기 동력전달부(110)를 통해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적어도 3개의 제초수단(124,125,126)으로 구성되는 제초날조립체부(120)로 구성되되, 상기 제초날조립체부(120)는 제초수단(124,125,126)이 적어도 2개 이상의 삼각형 형태의 날을 포함하며 기어를 통해 결합하여 회동이 연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초날조립체부(120)는 도 5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상측에 상기 동력전달부(110)에서 동력이 전달되는 구동력전달기어(124a)와 하측의 중앙제초날(124b)로 구성되는 중앙제초수단(124), 상기 중앙제초수단(124)의 좌측에 상기 구동력전달기어(124a)와 결합하고 좌측제초날(125b)과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좌측구동력전달기어(125a)를 포함하는 좌측제초수단(125), 상기 중앙제초수단(124)의 우측에 상기 구동력전달기어(124a)와 결합하고 우측제초날(126b)과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우측구동력전달기어(126a)를 포함하는 우측제초수단(126)으로 구성되되, 상기 구동력전달기어(124a)는 원추형의 기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초날조립체부(120)는 상기 중앙제초날(124b), 좌측제초날(125b) 및 우측제초날(126b)이 적어도 2개 이상의 삼각형 형태의 날을 포함하며 기어를 통해 결합하여 회동이 연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고랑 제초기는 동력원에서 제공되는 회전력을 통해 상기 중앙제초수단(124)과 상기 좌측제초수단(125) 및 상기 우측제초수단(126)이 동시에 회전하여 고랑 및 양측 사면을 제초하므로 제초작업자는 일직선으로 이동하기만 하면 된다. 따라서, 종래의 제초기로 제초를 하기 위해서는 고랑과 양측 사면 각각 이동하여 제초하였을 때 잦은 이동으로 제초작업자에게 발생할 수 있는 근골격계 질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더불어, 도면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고랑 제초기의 일 실시예는 어깨에 매도록 구성되는 몸체와 결합되는 외부 동력원을 가지며, 외부 동력원에 연결되는 상기 동력전달부(110)가 상기 제초날조립체부(120)와 연결되어 상기 중앙제초수단(124)과 상기 좌측제초수단(125) 및 상기 우측제초수단(126)가 동시에 고랑 및 양측 사면을 제초하며 상기 제초날조립체부(120)에 연결되어 있는 바퀴인 이동수단을 통해 상기 제초날조립체부(120)가 이동이 용이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고랑 제초기는, 외부 동력원을 어깨에 매는 구조의 컴팩트한 사이즈로 형성되어, 밀고 당기는 동작을 통하여 상기 제초날 조립체부(120)의 이동을 조절할 수 있으며, 여유 공간이 없는 비좁은 작업환경에서의 작업이 가능하여 활용도가 넓다는 장점을 갖는다.
본 발명의 고랑 제초기의 다른 일 실시예는, 도 2 내지 4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2개의 바퀴로 구성되는 전륜(200)과 손잡이(300)가 설치된 몸체(100), 상기 몸체(100) 상측에 구비되어 외부 동력원과 연결되며 상기 몸체의 양 측면을 관통하는 제1구동축(111), 상기 제1구동축(111)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1구동기어(112), 상기 제1구동축(111)의 타측에 구비되는 제2구동기어(113)로 구성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110)가 형성된다.
즉, 외부의 동력원에서 전달된 동력이 상기 동력전달부(110)의 상기 제1구동축(111)으로 전달되며, 상기 제1구동축(111)의 양측에 중앙이 관통되도록 결합하는 상기 제1구동기어(112)와 상기 제2구동기어(113)에 동력을 전달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제1구동기어(112)와 상기 제2구동기어(113)는 각각 동력을 전달하려는 대상이 다르나, 상기 제1구동축(111)의 회전을 통한 동일한 동력을 전달받게 된다. 이때, 상기 제1구동축(111)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제1구동기어(112)와 상기 제2구동기어(113)와 상기 제1구동축(111) 사이에 각각 형성되어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동력변환장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3 내지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0) 하측 후방에 구비되며 상기 제1구동기어(112)와 결합하는 제1체인(140)을 통해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3개 이상의 제초날(124,125,126)로 구성되는 제초날조립체부(120), 상기 몸체(100)에 구비되며 상기 제2구동기어(113)에 일측이 결합하는 제2체인(150)이 타측에 결합하는 제2동력전달기어(131)을 통해 전륜구동부(130)가 동력을 전달 받아 상기 전륜(200)을 구동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상기 제1체인(140)은 상기 제초날조립체부(120)의 제초수단(124,125,126)에 제초를 위한 동력을 제공하며, 상기 제2체인(150)은 상기 전륜(200)의 구동을 위한 동력을 제공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상기 제1구동기어(112)로 전달된 동력은 상기 제1체인(140)을 통하여 상기 제초날조립체부(120)로 전달되어 상기 제초수단(124,125,126)에 제초를 위한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동력원이 된다. 더불어, 상기 제2구동기어(113)에서 제2체인(150)을 통하여 상기 전륜구동부(130)에 전달되어 상기 전륜(200)을 구동하기 위한 동력이 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를 통하여, 동력원에서 제공되는 동력이 상기 제초날조립체부(120)에 공급되어 제초작업을 수행하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전륜(200)에도 공급되어 제초기의 전진 혹은 후진의 제초기 이동에도 사용되어 제초작업자가 더욱 편리하게 작업할 수 있다. 즉, 기존 제초기를 이용하여 제초를 수행할 때 제초기를 둘러매던지 밀던지 하는 제초기 자체를 이동시키는 동작을 통하여 발생할 수 있는 제초작업자의 근골격계 질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때,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체인(140)과 결합하는 제1동력전달기어(121), 일측이 상기 제1동력전달기어(121)를 관통하여 결합하는 제1제초날구동축(122), 상기 제1제초날구동축(122)과 결합하는 제2동력구동기어(123a), 상측에 제2동력피동기어(123b)와 축결합되는 구동력전달기어(124a)와 하측의 중앙제초날(124b)로 구성되는 중앙제초수단(124), 상기 중앙제초수단(124)의 좌측에 상기 구동력전달기어(124a)와 결합하고 좌측제초날(125b)와 회동할 수 있도록 결합하는 좌측구동력전달기어(125a)를 포함하는 좌측제초수단(125), 상기 중앙제초수단(124)의 우측에 상기 구동력전달기어(124a)와 결합하고 우측제초날(126b)와 회동할 수 있도록 결합하는 우측구동력전달기어(126a)를 포함하는 우측제초수단(126)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체인(140)과 결합하는 상기 제1동력전달기어(121)에 상기 제1구동기어(112)에서 전달된 동력이 전달되며, 상기 제1동력전달기어(121)는 관통 결합한 제1제초날구동축(122)을 회전시켜 상기 제2동력구동기어(123a)에 회전력 형태의 동력을 전달한다. 상기 제2동력구동기어(123a)에 전달된 동력은 제2동력피동기어(123b)와 톱니로 맞물리도록 결합되어 상기 구동력전달기어(124a)에 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중앙제초날(124b)이 회전하여 제초를 진행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구동력전달기어(124a)는 상기 좌측구동력전달기어(125a) 및 상기 우측구동력전달기어(126a)와 맞물려 회전하여 상기 중앙제초날(124b) 및 상기 좌측제초날(125a) 및 우측제초날(126a)는 동시에 회전하여 제초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각각의 제초날이 각각 동력원이 별도로 연결되었을 경우 발생할 수 있는 회전력 차이로 인한 제초날의 편마모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밭고랑의 골 및 양측사면 각각에 대응하여 제초작업을 수행하여 하나나 두 개의 날로 골과 각각의 사면을 제초해야 했던 종래의 제초기는 체조착업자가 제초기를 골과 사면에 이동시켜야 각각의 위치의 잡초를 제초할 수 있었던 것과 비교하여 제초기를 이동시킬 필요 없이 골을 따라 주행하는 것만으로도 골 및 각각의 사면의 잡초를 제초할 수 있어 제초작업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더불어,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2동력전달기어(123), 상기 구동력전달기어(124a)는 원추형의 기어로 형성되어 수직 방향으로의 동력전달하는 동력전달부재가 가지고 있는 내구성의 문제를 견고하게 결속하는 2개의 기어로 구성하여 해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초날조립체부(120)는 상기 중앙제초날(124b), 좌측제초날(125b) 및 우측제초날(126b)이 적어도 2개 이상의 삼각형 형태의 날을 포함하며 기어를 통해 결합하여 회동이 연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호미 혹은 쟁기와 같은 역할을 수행하는 상기 중앙제초날(124b), 좌측제초날(125a) 및 우측제초날(126a)은 각각 2개의 삼각형 형태의 날을 포함하여 형성됨으로써 회전하며 잡초를 절단하며, 땅을 뒤집어엎는 작업을 통해 더욱 확실하게 잡초를 제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동력전달부(110)는 상기 제1구동기어(112) 및 상기 제2구동기어(113)가 기어비의 변환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초날조립체부(120)와 상기 전륜구동부(130)에 필요한 회전력에 따라 상기 제1구동기어(112) 및 상기 제2구동기어(113)의 기어비를 변환하여 회전력의 크기를 조절하여 제공함으로 상기 제초날조립체부(120) 및 상기 전륜(200)에 공급되는 동력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더욱 자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제초날조립체부(120) 및 상기 전륜(200)에 동력을 공급하는 상기 제1구동기어(112) 및 상기 제2구동기어(113)가 고정된 기어비가 아닌 기어비의 변환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제초작업자가 필요에 따라 변환하여 상기 제2구동기어(113)의 기어비 변환을 통해 전륜의 회전속도 조절을 통하여 제초기의 전진속도를 조절하거나 역회전을 통한 후진이 가능하게 하며, 상기 제1구동기어(112)의 기어비 전환을 통해 상기 제초날조립체부(120)의 제초날 회전속도를 조절하여 상황에 맞는 제초날 회전속도로 제초작업을 진행하여 제초효율 및 제초 편의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더불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300)는 동력원을 출력을 조절하기 위한 출력조절수단(310)을 포함하되, 상기 출력조절수단(310)은 제어부(400)를 통해 제어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몸체(100)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설치되는 센싱수단(410) 및 상기 센싱수단(410)을 통해 입력된 정보를 처리하여 상기 출력조절수단(310)을 제어하는 중앙처리수단(420)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센싱수단(410)과 상기 중앙처리수단(420)을 통하여 밭고랑의 길이 및 표면의 잡초 밀집도를 계산하여 출력조절수단을 조절하여 제초기를 제어할 수 있다. 다시 한번 설명하면, 초음파 혹은 전파를 이용하여 거리를 측정하는 센서 다수의 센서로 구성되는 한 그룹의 상기 센싱수단(410)이 밭고랑의 길이를 센싱하여 상기 중앙처리수단(420)으로 해당 데이터를 보내 처리하여 전륜(200)의 움직임을 조절하고, 이미지를 촬영하는 다른 한 그룹의 상기 센싱수단(410)이 제초작업구역을 촬영하여 상기 중앙처리수단(420)으로 해당 데이터를 보내 처리하여 촬영된 제초작업구역의 잡초 밀집도를 계산하여 상기 제초날조립체부(120)의 제초날 회전속도를 조절하여 제초효율을 높여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 일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 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몸체
110: 동력전달부
111: 제1구동축 112: 제1구동기어
113: 제2구동기어
120: 제초날조립체부
121: 제1동력전달기어 122: 제1제초날구동축
123: 제2동력전달기어 124: 중앙제초수단
124a: 구동력전달기어 124b: 중앙제초날
125: 좌측제초수단 125b: 좌측제초날
126: 우측제초수단 126b: 우측제초날
130: 전륜구동부
131: 제2동력전달기어
140: 제1체인
150: 제2체인
200: 전륜
300: 손잡이
310: 출력조절수단
400: 제어부
410: 센싱수단 420: 중앙처리수단

Claims (7)

  1. 몸체(100);
    상기 몸체(100)에 구비되어 외부 동력원과 연결되며 상기 몸체(100)의 양측면을 관통하는 제1구동축(111), 상기 제1구동축(111)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제1구동기어(112) 및 제2구동기어(113)로 구성되는 동력전달부(110);
    상기 몸체(100)의 하측 후방에 구비되며 상기 동력전달부(110)의 동력을 전달받는 제1동력전달기어(121), 일측이 상기 제1동력전달기어(121)를 관통하여 결합하는 제1제초날구동축(122), 상기 제1제초날구동축(122)과 결합하는 제2동력구동기어(123a), 상측에 제2동력피동기어(123b)와 축결합되는 구동력전달기어(124a)와 하측의 중앙제초날(124b)로 구성되는 중앙제초수단(124), 상기 중앙제초수단(124)의 좌측에 상기 구동력전달기어(124a)와 결합하고 좌측제초날(125b)과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좌측구동력전달기어(125a)를 포함하는 좌측제초수단(125), 상기 중앙제초수단(124)의 우측에 상기 구동력전달기어(124a)와 결합하고 우측제초날(126b)과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우측구동력전달기어(126a)를 포함하는 우측제초수단(126)으로 3개의 제초수단(124,125,126)으로 구성되는 제초날조립체부(120);로 구성되되
    상기 제초날조립체부(120)는 상기 중앙제초날(124b), 좌측제초날(125b) 및 우측제초날(126b)이 적어도 2개 이상의 삼각형 형태의 날을 포함하며 기어를 통해 결합하여 회동이 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랑 제초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110)는
    상기 제1구동기어(112) 및 상기 제2구동기어(113)가 기어비의 변환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랑 제초기.
  6. 삭제
  7. 삭제
KR1020200137073A 2020-10-21 2020-10-21 고랑 제초기 KR1024938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7073A KR102493895B1 (ko) 2020-10-21 2020-10-21 고랑 제초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7073A KR102493895B1 (ko) 2020-10-21 2020-10-21 고랑 제초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2763A KR20220052763A (ko) 2022-04-28
KR102493895B1 true KR102493895B1 (ko) 2023-01-31

Family

ID=81446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7073A KR102493895B1 (ko) 2020-10-21 2020-10-21 고랑 제초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389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6841B1 (ko) 2023-01-30 2023-08-17 주식회사 불스 고랑 제초로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41837A (ja) 2004-06-01 2005-12-15 Sakuzo Naruko 草引き用刃及び草引き用刃付作業機
KR101535279B1 (ko) 2014-10-22 2015-07-09 주식회사 성진텍 농업용 커터 블레이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42523A (ko) * 2009-10-19 2011-04-27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동력식 선회날을 갖는 제초기
KR101689855B1 (ko) 2014-10-14 2016-12-26 명성테크 주식회사 다목적 제초장치
KR102254268B1 (ko) * 2019-03-07 2021-05-24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밭고랑용 제초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41837A (ja) 2004-06-01 2005-12-15 Sakuzo Naruko 草引き用刃及び草引き用刃付作業機
KR101535279B1 (ko) 2014-10-22 2015-07-09 주식회사 성진텍 농업용 커터 블레이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2763A (ko) 2022-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24197A (en) Minimum tillage toolbar and method for using same
CN112470571B (zh) 一种多功能的驱动式甘蔗中耕培土机
CN112470583B (zh) 一种驱动式甘蔗宿根蔗破垄施肥起垄一体机
CN104663043A (zh) 机械式锄铲
US6935435B1 (en) Positionable cultivating apparatus for raised bed crops
KR102493895B1 (ko) 고랑 제초기
KR101578654B1 (ko) 로터리
US5303662A (en) Minimum tillage tool bar and method for using same
KR20110042523A (ko) 동력식 선회날을 갖는 제초기
Vijayakumar et al. Farm mechanisation in rice cultivation Present status, bottlenecks and potential
CN204761984U (zh) 机械式锄铲
CN115918364A (zh) 一种基于图像处理的自走式耕地除草追肥一体机
CN107241924B (zh) 一种耕耙装置及多功能农用机械
CN105052887A (zh) 斩草除根机
RU2313208C2 (ru) Способ обработки почвы и посадки
Pressman Equipment and tools for small-scale intensive crop production
CN205336766U (zh) 一种用于播种的微耕机
Abdunazarov et al. Small-scale mechanization in vegetable growing
CN220776417U (zh) 中耕除草装置
JP6832028B1 (ja) 畝立て器
CN213818811U (zh) 一种松土粉茬一体机
CN218649170U (zh) 一种除草设备
Guru et al. Advances in Rice Mechanization in India
CN209609135U (zh) 一种并联改进型大棚农作物种植用松土设备
Dhruwe et al. Empowering Agricultural Engineers through establishment of Custom Hiring Cent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