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21049A - 콘텐츠표시시스템 및 콘텐츠표시방법 - Google Patents

콘텐츠표시시스템 및 콘텐츠표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21049A
KR20070121049A KR1020077026149A KR20077026149A KR20070121049A KR 20070121049 A KR20070121049 A KR 20070121049A KR 1020077026149 A KR1020077026149 A KR 1020077026149A KR 20077026149 A KR20077026149 A KR 20077026149A KR 20070121049 A KR20070121049 A KR 200701210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display
data
image
vide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61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에이지 가스타니
Original Assignee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1210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210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6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 H04N7/173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with two-way working, e.g. subscriber sending a programme selection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2343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distribution or compliance with end-user requests or end-user device requir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scrambling of additional data or processing content descrip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8Client or end-user data management, e.g. managing client capabilities, user preferences or demographics, processing of multiple end-users preferences to derive collaborative data
    • H04N21/25808Management of client data
    • H04N21/25833Management of client data involving client hardware characteristics, e.g. manufacturer, processing or storage capabi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4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fitting data in a restricted space on the screen, e.g. EPG data in a rectangular gri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6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displaying supplemental content in a region of the screen, e.g. an advertisement in a separate win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decrypting of additional data, reconstructing software from modules extracted from the transport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2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08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 H04N21/4516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involving client characteristics, e.g. Set-Top-Box type, software version or amount of memory availab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4Content or additional data filtering, e.g. blocking advertis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communicating with other users, e.g. chat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8Data services, e.g. news ticker
    • H04N21/4882Data services, e.g. news ticker for displaying messages, e.g. warnings, remin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45Structuring of content, e.g. decomposing content into time segments
    • H04N21/8456Structuring of content, e.g. decomposing content into time segments by decomposing the content in the time domain, e.g. in time seg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04N21/4622Retrieving content or additional data from different sources, e.g. from a broadcast channel and the Intern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복수의 영상구간으로 이루어지는 영상데이터와 이들 영상데이터에 부수하는 부수데이터를 포함하는 콘텐츠를 표시하는 콘텐츠표시시스템은 표시대상의 콘텐츠에 포함되는 영상데이터와 부수데이터를 표시화면에 표시할 때의 표시태양을 영상구간마다 결정하는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와 영상구간마다 콘텐츠표시태양결정수단이 결정한 표시태양에 따라 영상데이터와 부수데이터가 배치된 콘텐츠를 생성하는 콘텐츠배치부를 구비한다.
콘텐츠, 영상데이터, 부수데이터, 중요도 밸런스

Description

콘텐츠표시시스템 및 콘텐츠표시방법{Contents display system and contents display method}
본 발명은 영상데이터와 영상데이터에 부수되는 부수데이터를 포함하는 콘텐츠(contents)를 임의의 표시화면에 표시하는 콘텐츠표시시스템 및 콘텐츠표시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콘텐츠의 배신서비스를 행하는 콘텐츠배신시스템 및 콘텐츠배신서버에도 관한 것이다.
데이터방송이나 인터넷을 통한 영상송신서비스 등에서는 이용자가 영상을 시청하면서 그 영상에 부수되는 데이터를 그 영상과 동시에 시청할 수 있게 한 서비스가 제공되어 있다. 영상에 부수되는 데이터로는, 예를 들면, 문자정보를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용자에 의해 뉴스프로그램이 시청되고 있을 때 그 뉴스기사의 상세한 내용이나 뉴스의 제목의 리스트를 텍스트로 표시하는 형태의 서비스나, 이용자에 의해 상품안내프로그램이 열람되고 있을 때 상품의 가격이나 특징을 텍스트로 표시하는 형태의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또한, 영상은 텔레비전수신기에 의해 시청될 뿐만 아니라 휴대전화기나 PDA(Personal Digital Asistant), 노트북(notebook)형의 퍼스널컴퓨터 등에 의해서도 시청될 수 있다. 디바이스면에 있어서도 영상을 시청할 수 있는 환경이 충실해지고 있다. 그 때문에, 영상과 그 영상 에 부수된 데이터를 다양한 표시화면사이즈를 가지는 각종 디바이스로 시청할 수 있도록 영상을 시청하기 위한 환경을 갖추는 것이 중요한 과제로 되고 있다.
영상과 그 부수데이터를 표시하는 대표적인 기술(서비스)로서 디지털방송에서의 데이터방송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 특개 제2001-296852호 공보에는 영상표시영역에 인접해서 텍스트정보표시영역을 마련하고, 영상의 표시와 동기시켜 텍스트정보를 스크롤표시시키는 영상표시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 특개 제2003-18553호 공보에는 데이터방송의 화상 및 텍스트를 포함하는 내용전체를 표시하지 않고 데이터방송의 내용으로부터 텍스트만을 추출하고, 그 추출한 텍스트를 통상의 방송프로의 영상과 함께 표시하는 데이터방송수신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특개 제2003-18553호 공보에 개시된 데이터방송수신 장치에 따르면, 시청자는 데이터방송의 내용의 일부가 재생표시되지 않아도, 데이터방송의 내용의 개략을 알 수 있다. 이들 특개 제2001-296852호 공보에 기재된 영상표시 방법이나 특개 제2003-018553호 공보에 기재된 데이터방송수신장치로는 화면의 해상도가 거의 일정할 경우에 영상 및 영상의 부수데이터를 고정적으로 표시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들의 기술은, 예를 들면, 화면의 해상도가 거의 일정한 텔레비전수신기로 영상 및 부수데이터를 고정적으로 표시화면에 표시시키기 위해 사용할 수 있다. 그렇지만 이들의 기술을 이용할 경우에는, 예를 들면, 텔레비전수신기 이외의 단말 등 화면의 해상도가 다른 여러 가지 단말상에서 영상과 부수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해서는 표시대상의 표시화면마다 표시내용이나 레이아웃을 새롭게 작성/준비하지 않으면 안된다.
일본 공개특허 : 특개 제2003-32747호 공보에는 영상데이터와 텍스트데이터의 쌍방의 데이터를 합성하는 것에 의해, 표시해야 할 합성화상데이터를 생성하고, 그 합성화상데이터를 표시화면에 표시하는 단말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특개 제2003-32747호 공보에 기재된 단말장치에 따르면, 휴대전화기 등 화면당 표시영역이 한정되어 있는 단말에서 텍스트 등의 부수화면데이터의 내용을 보다 명료하게 인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렇지만, 이 단말장치에서는 표시화면의 크기에 관계없이 항상 부수데이터를 영상에 중첩하기 때문에, 표시화면의 크기에 맞춰 부수데이터를 중첩시키는 형태, 예를 들면, 문자의 크기나 중첩시키는 장소 등을 표시화면마다 정하지 않으면 안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상정되는 모든 표시화면에 대하여 영상 등의 콘텐츠 작성자가 미리 부수데이터를 중첩시키는 형태, 즉, 레이아웃정보를 준비하는 것은 곤란하다. 또한, 원래의 영상이나 부수데이터에 변경이 있었을 경우에 콘텐츠의 작성자가 작성/준비한 레이아웃을 모두 갱신하는 것은 곤란하다. 따라서, 특개 제2003-032747호 공보에 기재된 단말장치에서는 콘텐츠 작성자가 이용환경을 상정해서 레이아웃정보를 만들기 위한 비용이 들고 작성한 각 버전의 레이아웃정보를 관리하기 위해서 드는 가격이 높게 된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 특개 평6-149968호 공보에는 문서중에서의 화상과 그 화상 이외의 데이터와의 레이아웃을 문서영역의 크기에 맞춰 자동적으로 결정하는 문서처리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일본 공개특허공보 : 특개 제2003-67100호 공보에는 타이틀, 텍스트 및 화상을 포함하는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기 위한 레이아웃을 표시화면에 맞춰 동적으로 생성하고, 생성한 레이아웃정보에 근거해 정보를 표시하는 디지털콘텐츠표시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렇지만, 특개 평6-149968호 공보에 기재된 문서처리장치나 특개 제2003-067100호 공보에 기재된 디지털콘텐츠표시방법에서는 시간축을 가진다. 즉, 시간과 함께 화상이 변화되는 영상을 부수데이터와 함께 표시할 경우는 고려되지 않고 있다. 이들의 문서처리장치나 디지털콘텐츠표시방법을 영상을 표시할 경우에 적용했다고 하여도 시간과 함께 변화되는 영상의 구성에 관계없이 한번 결정된 레이아웃을 이용해서 영상이 표시되게 되고, 그 때문에, 영상과 부수데이터가 표시화면에 적절히 배치되어 표시된다고는 할 수 없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 인용한 문헌을 열거한다.
특허문헌1 :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1-296852호
특허문헌2 :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3-18553호
특허문헌3 :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3-32747호
특허문헌4 :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6-149968호
특허문헌5 :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3-67100호
비특허문헌1 : Ullas Gargi, Rangachar Kastud, Susan H. Strayer, “ Performance Characterization of Video-Shot-Change Detection M ethods", IEEE Transaction on Circuits and Systems for Video Te chnology, Vol. 10, No. 1, February 2000
비특허문헌2 : A. Mohan, C. Papageorgiou, T. Poggio, "Example- Based Object Detection in Images by Components", IEEE Trans. On PAMI, Vol. 23, No. 4, pp. 349-361, 2001
상술한 바와 같이, 영상데이터와 영상데이터에 부수되는 부수데이터를 포함하는 콘텐츠를 임의의 표시화면에 표시하는 종래의 콘텐츠표시시스템에서는 표시화면 위로 영상데이터 및 부수데이터를 표시시키기 위한 화구면성의 설계가 필요해서, 복수 종류의 단말의 표시화면에 대응해서 각각의 화면구성을 설계하는 작업은 지극히 번잡하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콘텐츠 작성자가 영상데이터 및 부수데이터 등의 각각의 정보에 대하여 표시화면 마다에 화면구성을 설계하지 않더라도 표시화면 및 콘텐츠의 구성에 따른 레이아웃으로 영상과 부수데이터를 표시하는 것이 가능한 콘텐츠표시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콘텐츠 작성자가 영상데이터 및 부수데이터 등의 각각의 정보에 대하여 표시화면 마다에 화면구성을 설계하지 않더라도 표시화면 및 콘텐츠의 구성에 따른 레이아웃으로 영상과 부수데이터를 표시하는 것이 가능한 콘텐츠표시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제1양상에 따르면, 복수의 영상구간에서 이루어지는 영상데이터와 그 영상데이터에 부수되는 부수데이터를 포함하는 콘텐츠를 표시하는 콘텐츠표시시스템은, 표시대상의 콘텐츠에 포함되는 영상데이터와 부수데이터를 표시화면에 표시할 때의 표시태양을 영상구간마다 결정하는 콘텐츠표시태양결정수단을 가진다.
본 발명의 제2양상을 따르면, 복수의 영상구간에서 이루어지는 영상데이터와 그 영상데이터에 부수되는 부수데이터를 포함하는 콘텐츠를 표시하는 콘텐츠표시시스템으로서, 표시화면의 크기를 나타내는 표시화면정보, 각 영상구간에 대응하는 영상의 속성정보를 포함하는 영상메타데이터(메타데이터), 및 영상구간에 대응하는 각 부수데이터의 속성정보를 포함하는 부수메타데이터에 근거하여 영상과 부수데이터를 표시화면에 표시할 때의 표시태양을 영상구간마다 결정하는 콘텐츠표시태양결정수단과, 콘텐츠표시태양결정수단이 결정한 표시태양에 따라 영상을 변환하는 영상변환수단과, 콘텐츠표시태양결정수단이 결정한 표시태양에 따라 부수데이터를 변환하는 부수데이터변환수단과, 영상구간마다 콘텐츠표시태양결정수단이 결정한 표시태양에 따라 영상변환수단이 변환한 영상과 부수데이터변환수단이 변환한 부수데이터가 배치된 콘텐츠를 생성하는 콘텐츠배치수단을 가진다.
본 발명의 제3양상에 따르면, 복수의 영상구간에서 이루어지는 영상데이터와 그 영상데이터에 부수되는 부수데이터를 포함하는 콘텐츠를 배신하는 콘텐츠 배신시스템은 이용자 단말과, 콘텐츠를 배신하는 콘텐츠배신서버를 가진다. 이 콘텐츠배신시스템에 있어서, 이용자 단말은 콘텐츠의 배신요구를 통신네트워크를 통해 콘텐츠배신서버에 송신하는 콘텐츠요구수단을 가진다. 콘텐츠배신서버는 이용자단말로부터 콘텐츠의 배신요구를 수신하면, 배신요구된 콘텐츠에 포함되는 영상데이터와 부수데이터를 표시화면에 표시할 때의 표시태양을 영상구간마다 결정하는 콘텐츠표시태양결정수단과, 영상구간마다 콘텐츠표시태양결정수단이 결정한 표시태양에 따라 영상데이터와 부수데이터가 배치된 콘텐츠를 생성하는 콘텐츠배치수단과, 콘텐츠배치수단이 생성한 콘텐츠를 통신네트워크를 통해 이용자단말에 송신하는 콘텐츠배신수단을 가진다.
본 발명의 제4의 양상을 따르면, 복수의 영상구간에서 이루어지는 영상데이터와 그 영상데이터에 부수되는 부수데이터를 포함하는 콘텐츠를 배신하는 콘텐츠배신서버는 배신요구된 콘텐츠에 포함되는 영상데이터와 부수데이터를 표시화면에 표시할 때의 표시태양을 영상구간마다 결정하는 콘텐츠표시태양결정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5양상에 따르면, 복수의 영상구간에서 이루어지는 영상데이터와 그 영상데이터에 부수되는 부수데이터를 포함하는 콘텐츠를 배신하는 콘텐츠배신서버는 영상데이터에 포함되는 각 영상, 및 영상에 대응하는 부수데이터의 표시형태에 관한 요구조건에 근거하여 영상과 부수데이터를 표시화면에 표시할 때의 표시태양을 영상구간마다 결정하는 콘텐츠표시태양결정수단과, 콘텐츠표시태양결정수단이 결정한 표시태양에 따라 영상을 변환하는 영상변환수단과, 콘텐츠표시태양결정수단이 결정한 표시태양에 따라 부수데이터를 변환하는 부수데이터변환수단과, 영상구간마다 콘텐츠표시태양결정수단이 결정한 표시태양에 따라 영상변환수단이 변환한 영상과 부수데이터변환수단이 변환한 부수데이터가 배치된 콘텐츠를 생성하는 콘텐츠배치수단과, 콘텐츠배치수단이 생성한 콘텐츠를 이용자단말에 배신하는 콘텐츠배신수단을 가진다.
본 발명의 제6양상에 따르면, 복수의 영상구간에서 이루어지는 영상데이터와 그 영상데이터에 부수되는 부수데이터를 포함하는 콘텐츠를 표시하는 콘텐츠표시방법은 표시대상의 콘텐츠에 포함되는 영상데이터와 부수데이터를 표시화면에 표시할 때의 표시태양을 영상구간마다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7양상에 따르면, 복수의 영상구간에서 이루어지는 영상데이터와 그 영상데이터에 부수되는 부수데이터를 포함하는 콘텐츠를 표시하는 콘텐츠표시방법은 표시화면의 크기를 나타내는 표시화면정보, 영상데이터에 포함되는 각 영상구간에 대응하는 영상의 속성정보를 포함하는 영상 메타데이터 및 영상구간에 대응하는 부수데이터의 속성정보를 포함하는 부수메타데이터에 근거하여 각 영상구간에 대해서 영상데이터와 부수데이터를 표시화면에 표시할 때의 표시태양을 영상구간마다 결정하는 콘텐츠표시태양결정단계와, 콘텐츠표시태양결정단계에서 결정한 태양을 사용하여 영상데이터와 영상데이터에 대응하는 부수데이터를 표시하는 콘텐츠표시단계를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영상데이터에 포함되는 영상구간마다 영상 및 대응하는 부수데이터의 내용에 맞춰 콘텐츠의 표시태양이 적응적으로 결정된다. 그 때문에, 결정된 표시태양에 따라 표시화면상에서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표시부와 부수데이터를 표시하는 부수데이터표시부를 영상구간마다 동적으로 변화시키면서 콘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콘텐츠의 표시태양을 영상구간마다 자동적으로 결정하고, 표시화면 및 콘텐츠의 구성에 따른 레이아웃으로 영상과 부수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콘텐츠 작성자가 각각의 정보(즉, 영상 및 부수데이터)에 대하여 표시화면마다 화면구성을 설계하지 않아도 표시화면 및 콘텐츠의 구성에 따른 레이아웃으로 영상과 부수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영상 및 부수데이터의 내용에 따라 영상구간마다 콘텐츠의 표시태양이 적응적으로 결정되어 표시되므로, 이용자에 대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영상데이터와 부수데이터를 제시하는 콘텐츠표시시스템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영상데이터와 부수데이터를 시청하는 쪽의 요구조건인 단말의 표시화면에 근거하여 콘텐츠의 표시태양을 적응적으로 결정하도록 구성하면, 임의의 표시화면에 대하여 효과적으로 영상데이터와 부수데이터를 제시하는 콘텐츠표시시스템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발명에 있어서, 영상데이터와 부수데이터를 시청하는 쪽의 요구조건인 중요도밸런스에 근거하여 콘텐츠의 표시태양을 적응적으로 결정하도록 구성하면 이용자의 기호에 맞춰서 효과적으로 영상데이터와 부수데이터를 제시하는 콘텐츠표시시스템을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의 콘텐츠표시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콘텐츠데이터베이스가 축적하는 영상데이터, 부수데이터 및 메타데이터의 예를 게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이용자 단말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콘텐츠배신서버가 콘텐츠를 배신하는 처리의 일 예를 게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4a는 이용자 단말이 영상 및 부수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화면의 레이아웃의 일 예를 게시하는 도면이다.
도 4b는 이용자 단말이 영상 및 부수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화면의 레이아웃의 다른 예를 게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가 콘텐츠의 표시태양을 결정하는 표시태양결정처리의 일 예를 게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의 콘텐츠표시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은 도 6에 나타낸 시스템에서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가 콘텐츠의 표시태양을 결정하는 처리의 예를 게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의 콘텐츠표시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9는 도 8에 보이는 시스템에서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가 콘텐츠의 표시태양을 결정하는 처리의 예를 게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실시형태의 콘텐츠표시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1은 도10에 보이는 시스템에서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가 콘텐츠의 표시태양을 결정하는 처리의 예를 게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5실시형태의 콘텐츠표시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6실시형태의 콘텐츠표시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4는 이용자 단말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콘텐츠배신서버가 콘텐츠를 송신하는 처리의 예를 게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5는 텔레비전수신기로부터 뉴스프로그램을 배신요구했을 경우에 결정한 표시태양에 따라 표시한 표시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휴대전화기로부터 뉴스프로그램을 배신요구했을 경우에 결정한 표시태양에 따라 표시한 표시화면을 보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7, 90 : 이용자 단말 2, 4, 5, 6, 80 : 콘텐츠배신서버
3 : 콘텐츠데이터베이스 8 : 입력장치
9 : 표시부
21, 41, 51, 61, 71, 81 :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
22, 72, 92 : 콘텐츠변환부 23, 83 : 콘텐츠배신부
31 : 영상데이터축적부 32 : 영상부수데이터축적부
33 : 메타데이터축적부 34 : 분할패턴축적부
35 : 중첩패턴축적부 40 : 통신네트워크
221, 721, 921 : 상데이터변환부
222, 722, 922 : 부수데이터변환부
223, 723, 923 : 콘텐츠배치부
제1실시예: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콘텐츠표시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제1실시예의 콘텐츠표시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이 콘텐츠표시시스템은 이용자 단말(1), 콘텐츠배신서버(2), 콘텐츠데이터베이스(3) 및 분할패턴축적부(34)를 포함한다. 이용자단말(1)과 콘텐츠배신서버(2)는 인터넷 등의 통신네트워크(40)를 통해 접속되어 있다.
콘텐츠표시시스템은 영상데이터 및 그 영상데이터에 부수되는 소정의 부수데이터를 포함하는 콘텐츠를 표시한다. 이 때 콘텐츠표시시스템은 콘텐츠의 구성에 따른 레이아웃으로 표시화면에 배치해서 영상 및 부수데이터를 동시에 표시한다. 한편, 제1실시예에서는 도 1에 보이는 바와 같이, 콘텐츠배신서버(2)가 이용자단말(1)에 대하여 콘텐츠를 배신하고, 수신한 콘텐츠를 이용자단말(1)이 표시하는 구성을 구비하는 것에 의해 콘텐츠표시시스템이 실현되어 있다.
이용자단말(1)은 이용자가 사용하는 단말이며, 구체적으로는, 퍼스널컴퓨터나 휴대전화기, PDA 등의 정보처리 단말이다. 한편, 이용자단말(1)은 이들 이용자가 사용하는 정보처리단말에 한하지 않고, 콘텐츠를 표시가능한 표시부를 구비하는 이외의 콘텐츠표시단말이어도 좋다. 예를 들면, 이용자단말(1)은 텔레비전수신기나 전광게시판을 탑재한 단말, 벽걸이시계, 자동차네비게이션단말 등이어도 좋다. 도 1에서는 1개의 이용자단말(1)을 나타내고 있지만, 콘텐츠표시시스템은 복수의 이용자단말(1)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이용자단말(1)은 이용자의 조작에 따라 콘텐츠의 배신요구를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콘텐츠배신서버(2)에 송신하는 기능을 갖춘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용자단말(1)은 콘텐츠의 배신을 요구하는 취지의 리퀘스트정보 1A와 이용자단말(1)의 표시화면의 크기를 나타내는 표시화면정보 1B를 콘텐츠배신서버(2)에 송신한다. 예를 들면, 이용자단말(1)은 리퀘스트정보 1A로서 배신요구하는 콘텐츠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를 포함하는 정보를 송신한다. 식별자는, 예를 들면, 콘텐츠이름이나 콘텐츠 ID, 화일이름, 타이틀로 이루어진다. 이용자단말(1)은 표시화면정보 1B로서 이용자단말(1)의 표시화면의 해상도를 포함하는 정보를 송신한다. 한편, 예를 들면, 브라우저 등을 이용해서 콘텐츠를 표시할 경우, 이용자단말(1)은 콘텐츠를 표시하는 브라우저의 윈도우 부분의 해상도를 포함하는 정보를 송신한다.
또한, 이용자단말(1)은 결정한 표시태양을 따라 콘텐츠배신서버(2)가 생성한 콘텐츠를 표시하는 콘텐츠표시부를 구비한다. 콘텐츠표시부는, 예를 들면, 액정표시부 등의 표시부에 각종 정보를 표시시키는 이용자단말(1)의 CPU를 포함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용자단말(1)은 콘텐츠배신서버(2)로부터 통신네트워크를 통해 콘텐츠를 수신한다. 그리고, 이용자단말(1)은 수신한 콘텐츠에 근거하여 표시부에 영상을 표시하고, 영상과 동시에 부수데이터를 표시한다.
분할패턴축적부(34)는 표시화면을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표시부와 부수데이터를 표시하는 부수데이터표시부에 분할하는 패턴을 나타낸 분할패턴을 미리 복수 축적하는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자기디스크장치나 광디스크 장치 등의 데이터베이스장치에 의해 실현된다. 이러한 분할패턴축적부(34)는 분할패턴으로서, 예를 들면, L글자형이나 U글자형의 형상에 표시화면을 영상표시부와 부수데이터표시부에 분할하는 패턴을 축적한다. 또는 분할패턴축적부(34)는, 예를 들면, 분할패턴으로서, 단순히 세로방향 또는 가로방향으로 분할함으로써, 표시화면을 영상표시부와 부수데이터표시부에 분할하는 패턴을 축적한다. 이 경우, 분할패턴축적부(34)는 표시화 면을 같은 형상(예를 들면, L글자형)으로 분할할 경우라도 각 영역, 즉, 영상표시부와 부수데이터표시부의 면적비율이 다르도록 분할하는 복수의 분할패턴을 축적한다.
콘텐츠데이터베이스(3)는 콘텐츠제작자에 의해 작성된 콘텐츠를 축적하는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자기디스크장치나 광디스크장치 등의 데이터베이스장치에 의해 실현된다. 도 1에 보이는 바와 같이, 콘텐츠데이터베이스(3)는 영상데이터축적부(31), 영상부수데이터축적부(32) 및 메타데이터축적부(33)를 포함한다. 영상데이터축적부(31)는 화면에 표시되기 위한 영상데이터를 저장한다 영상부스데이데이터축적부(32)는 영상과 함께 표시되어야 할 정보인 부수데이터를 저장한다. 메타데이터축적부(33)는 콘텐츠표시태양의 결정으로 사용할 수 있는 메타데이터를 저장한다. 또한, 본실시예에서는 영상데이터축적부(31)가 축적하는 영상데이터와 영상부수데이터축적부(32)가 축적하는 부수데이터의 조합에 의해 1개의 콘텐츠가 구성된다. 도 1에서는 1개의 콘텐츠데이터베이스(3)를 제시하고 있지만, 영상데이터축적부(31), 영상부수데이터축적부(32) 및 메타데이터축적부(33)의 중 어느 쪽 또는 모두가 각각 별개의 데이타베이스장치에 의해 실현되어도 좋다.
도 2는 콘텐츠데이터베이스(3)가 축적하는 영상데이터, 부수데이터 및 메타데이터의 예를 게시하고 있다. 도 2에 보이는 바와 같이, 영상데이터는 복수의 영상구간(801, 802, 803, 804)으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영상구간은, 예를 들면, 1대의 카메라로 연속적으로 촬영된 구간인 샷이라도 좋고, 예를 들면, 의미 내용의 통합을 가지는 복수 샷의 집합인 씬(scene)이어도 좋다. 또는, 영상구간은, 예를 들면, 콘텐츠의 제작자 등에 의해 미리 지정된 임의의 길이를 가지는 구간이어도 좋다.
도 2에 보이는 바와 같이, 콘텐츠데이터베이스(3)는 영상구간마다 각각 대응하는 부수데이터(811, 812, 813, 814), 및 각각 대응하는 메타데이터(821, 822, 823, 824)를 축적한다. 콘텐츠데이터베이스(3)는 부수데이터에 대해서도 각각 대응하는 메타데이터(831, 832, 833, 834)를 부수데이터마다 축적한다. 또한, 콘텐츠데이터베이스(3)는 영상데이터 전체의 각종 정보를 포함하는 메타데이터(840), 및 부수데이터 전체의 각종 정보를 포함하는 메타데이터(850)를 축적한다. 한편, 메타데이터(840)와 메타데이터(850)가 1개의 메타데이터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각 영상구간에 대응하는 부수데이터는 대응하는 영상구간과 연동시켜서 표시화면에 표시시켜야 할 각종정보, 예를 들면, 텍스트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각 부수데이터는, 플레인텍스트(plain text)형식의 데이터이어도 좋고 XML(extended markup language)로 기재된 구조화텍스트(structured text)이어도 좋다. 또한, 각 부수데이터는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이나 BML(broadcast markup language) 등으로 기재된 하이퍼텍스트(Hypertext)이어도 좋다.
메타데이터(840)는 영상데이터 전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도 2에 보이는 바와 같이, 메타데이터(840)는 영상의 해상도나 부호화 방식, 각 영상구간의 시작점, 종료점 및 일련번호 등을 포함한다. 메타데이터(850)는 부수데이터 전체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메타데이터(850)는 부수데이터의 장르나 포맷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메타데이터(영상 메타데이터, 821, 822, 823, 824)는 각각 각 영상구간에 포함되는 영상의 속성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메타데이터(821, 822, 823, 824)는 영상 중의 주목영역이나 영상변환시의 제한사항의 정보를 포함한다. 영상변환시의 제한사항으로서는, 예를 들면, 확대축소율이나 압축율 등의 상한, 하한, 변환에 의한 영상가치변화의 평가함수 등을 들 수 있다. 메타데이터(부수메타데이터, 831, 832, 833, 834)는 각각 영상구간에 대응하는 부수데이터의 속성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메타데이터(831, 832, 833, 834)는 부수데이터의 문자수나 항목수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메타데이터(831, 832, 833, 834)는 부수데이터변환시의 제한사항을 포함하고, 영상구간마다 영상 및 부수데이터의 중요도밸런스가 기술된 영상구간중요도정보 등이 저장되어 있다. 부수데이터변환시의 제한사항으로서는, 예를 들면, 각 표시항목의 중요도나 표시항목의 우선순위, 변환에 의한 부수데이터가치변화의 평가함수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영상구간중요도정보는 콘텐츠제작자가 작성해 수동으로 할당해도 좋고 서버를 사용해 자동적으로 생성해도 좋다. 또한, 영상구간중요도정보를 자동적으로 생성할 수 있는 중요도정의함수를 정해 두고 중요정의함수를 써서 생성해도 좋다.
콘텐츠배신서버(2)는, 예를 들면, 각종 영상콘텐츠를 송신하는 콘텐츠송신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사업자가 운영하는 서버이며, 구체적으로는, 워크스테이션이나 퍼스널컴퓨터 등의 정보처리장치에 의해 실현된다. 도 1에보이는 바와 같이, 콘텐츠배신서버(2)는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21), 콘텐츠변환부(22), 및 콘텐츠송신부(23)를 포함한다.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21)는, 구체적으로는, 프로그램을 따라서 동작하는 정 보처리장치의 CPU 및 네트워크인터페이스부에 의해 실현된다.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21)는 리퀘스트정보 1A 및 표시화면정보 1B를 통신네트워크를 통해 이용자단말(1)로부터 수신하는 기능을 갖춘다. 또한,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21)는 이용자단말(1)로부터 주어진(수신된) 리퀘스트정보 1A 및 표시화면정보 1B와 콘텐츠데이터베이스(3)가 축적하는 메타데이터에 근거하여 배신요구된 콘텐츠의 표시태양을 결정하는 기능도 구비한다. 이 경우,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21)는 표시대상의 콘텐츠에 포함되는 영상데이터와 부수데이터를 표시화면에 표시할 때의 표시태양을 영상구간마다 결정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21)는 영상구간마다 리퀘스트(배신요구)된 영상과 그 영상에 대응하는 부수데이터를 이용자단말(1)로 표시했을 때의 최적인 분할패턴을, 분할패턴축적부(34)가 축적하는 각 분할패턴 중에서 선정(선택)하고, 선택한 분할패턴에 근거하여 배신요구된 콘텐츠의 표시태양을 영상구간마다 결정한다.
또한,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21)는 결정한 표시태양을 나타내는 표시태양결정정보(21A)를 생성하고 콘텐츠변환부(22)에 출력하는 기능도 구비한다. 구체적으로는,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21)는 분할패턴축적부(34)에 준비된 분할패턴 각각을 사용하고, 영상구간마다 표시화면을 영상표시부와 부수데이터표시부에 분할하고, 분할결과에 따라 영상표시부에 표시되는 영상 및 부수데이터표시부에 표시되는 부수데이터로 구성되는 콘텐츠 전체의 평가값을 구하고, 각 분할패턴 중 평가값이 최적이 될 경우, 예를 들면, 값이 최대가 될 경우의 분할패턴을 표시화면의 분할로 사용하는 분할패턴으로서 영상구간마다 결정한다.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21)가 생성하는 표시태양결정정보(21A)는 영상변환파라미터, 부수데이터변환파라미터, 및 레이아웃정보를 포함한다. 영상변환파라미터는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21)가 결정한 표시태양에 적응하도록 영상을 변환하기 위한 파라미터이다. 예를 들면,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21)는 영상의 변환율을 포함하는 영상변환파라미터를 생성한다. 영상의 변환율에는, 예를 들면, 영상의 축소율이나 확대율이 포함된다.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21)는 이용자단말(1)에 송신하는 영상데이터에 포함시키는 비트수를 지정하는 정보나 영상의 시간해상도변환율을 포함하는 영상변환파라미터를 생성해도 좋다. 여기서의 시간해상도변환율은, 예를 들면, 프레임의 데시메이션(decimation) 정도 등을 포함한다.
부수데이터변환파라미터는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21)가 결정한 표시태양에 적응하도록 부수데이터를 변환하기 위한 파라미터이다. 예를 들면,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21)는 결정한 부수데이터표시부의 크기에 따라 부수데이터의 중 부수데이터표시부에 표시가능한 양의 데이터를 선택한다. 표시가능한 양은, 예를 들면, 문자수로 표시된다. 그리고,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21)는 부수데이터표시부에 표시가능한 데이터의 일람을 포함하는 부수데이터변환파라미터를 생성한다. 예를 들면,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21)는 부수데이터표시부에 응해 부수데이터에 포함되는 텍스트의 중 타이틀부분이나 소정 문자이내의 문장을 추출하고 부수데이터변환파라미터를 생성한다.
레이아웃정보는 영상과 부수데이터의 배치레이아웃, 즉, 분할패턴을 시술한 정보이다.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21)는 영상표시부 및 부수데이터표시부의 형상 및 크기를 포함하는 레이아웃정보를 생성한다.
콘텐츠변환부(22)는 구체적으로 프로그램에 따라 동작하는 정보처리장치의 CPU에 의해 실현된다. 도 1에 보이는 바와 같이, 콘텐츠변환부(22)는 영상데이터변환부(221), 부수데이터변환부(222), 및 콘텐츠배치부(223)를 포함한다.
영상데이터변환부(221)는 리퀘스트정보 1A에 근거하여 이용자단말(1)로부터 리퀘스트(배신요구)된 영상을 데이터베이스(3)로부터 호출(추출)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영상데이터변환부(221)는 필요에 따라 영상변환파라미터를 사용하고 추출한 영상데이터를 변환하는 기능도 구비한다. 즉, 영상데이터변환부(221)는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21)가 결정한 표시태양에 따라 영상을 영상구간마다 변환한다. 이 경우, 예를 들면, 영상데이터변환부(221)는 영상변환파라미터에 보이는 변환율에 따라 추출한 영상을 축소 또는 확대한다.
부수데이터변환부(222)는 리퀘스트정보 1A에 근거하여 이용자단말(1)로부터 리퀘스트된 영상에 대응하는 부수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3)로부터 호출(추출)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부수데이터변환부(222)는 필요에 따라 부수데이터변환파라미터를 사용하고 부수데이터를 변환하는 기능도 구비한다. 즉, 부수데이터변환부(222)는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21)가 결정한 표시태양을 따라 부수데이터를 영상구간마다 변환한다. 이 경우, 예를 들면, 부수데이터변환부(222)는 부수데이터변환파라미터에 포함되는 일람에 보이는 데이터를 부수데이터로 추출하고 변환후의 부수데이터를 생성한다. 일람에 보이는데이터는, 예를 들면, 텍스트 중의 타이틀부분이나 소정문자이내의 문장이다.
콘텐츠배치부(223)는 레이아웃정보를 따라 영상데이터변환부(221)가 변환한 영상데이터와 부수데이터변환부(222)가 변환한 부수데이터를 레이아웃 위에 배치한 새로운 콘텐츠를 생성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이하, 콘텐츠배치부(223)가 변환후의 영상 및 부수데이터를 이용해서 생성하는 새로운 콘텐츠를 변환필콘텐츠라고 한다. 예를 들면, 콘텐츠배치부(223)는 영상구간마다 레이아웃정보에 보이는 영상표시부 및 부수데이터표시부의 형상 및 크기에 따라 변환후의 영상 및 부수데이터를 레이아웃 위에 배치하고 변환필콘텐츠를 생성한다.
콘텐츠배신부(23)는, 구체적으로는, 프로그램에 따라 동작하는 정보처리장치의 CPU 및 네트워크인터페이스부에 의해 실현된다. 콘텐츠배신부(23)는 이용자단말(1)에 통신네트워크를 통해 변환필콘텐츠를 배신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한편, 콘텐츠송신부(23)는 변환후의 콘텐츠 전체를 배신하는 대신에, 변환후의 영상데이터, 변환후의 부수데이터 및 레이아웃정보를 별개로 배신해도 좋다. 이 경우, 이용자단말(1)은 수신한 레이아웃정보를 따라 변환후의 영상데이터 및 변환후의 부수데이터를 표시화면 위에 배치해서 표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콘텐츠배신서버(2)의 기억장치(미도시)는 이용자단말(1)로 변환필콘텐츠를 송신하기 위한 각종 프로그램을 기억하고 있다. 예를 들면, 콘텐츠배신서버(2)의 기억장치는 컴퓨터에 콘텐츠의 배신요구를 통신네트워크를 통해 이용자단말로부터 수신하는 처리, 이용자단말로부터 콘텐츠의 배신요구를 수신하면 배신요구된 콘텐츠에 포함되는 영상데이터와 부수데이터를 표시화면에 표시할 때의 표시태양을 영상구간마다 결정하는 처리, 영상구간마다 결정한 표시태양 에 따라 영상데이터와 부수데이터를 배치한 콘텐츠를 생성하는 처리, 영상데이터와 부수데이터를 배치한 콘텐츠를 통신네트워크를 통해 이용자단말에 송신하는 처리를 실행시키기 위한 콘텐츠송신프로그램을 기억하고 있다.
다음으로 제1실시예의 콘텐츠표시시스템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은 이용자단말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콘텐츠배신서버가 콘텐츠를 배신하는 처리의 일 예를 게시하고 있다.
이용자는 콘텐츠를 시청하고 싶을 경우, 이용자단말(1)을 조작하고, 예를 들면, 시청하고 싶은 콘텐츠의 배신요구를 입력 지시한다. 이용자단말(1)은 이용자의 조작에 따라 스텝 S11에 있어서 리퀘스트정보 1A 및 표시화면정보 1B를 통신네트워크를 통해 콘텐츠배신서버(2)에 송신한다. 예를 들면, 이용자단말(1)은 이용자에 의해 지정된 콘텐츠이름이나 콘텐츠 ID를 포함하는 리퀘스트정보 1A를 통신네트워크를 통해 콘텐츠배신서버(2)에 송신한다. 또한, 예를 들면, 이용자단말(1)은 이용자단말(1)의 표시화면의 해상도를 포함하는 표시화면정보 1B를 통신네트워크를 통해 콘텐츠배신서버(2)에 송신한다.
이용자단말이 이들의 정보를 송신하면, 콘텐츠배신서버(2)의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21)는 리퀘스트정보 1A 및 표시화면정보 1B를 통신네트워크(40)를 통해 이용자단말(1)로부터 수신한다. 그러면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21)는 수신한 리퀘스트정보 1A 및 표시화면정보 1B와, 콘텐츠데이터베이스(3)가 축적하는 메타데이터에 근거하여 스텝 S12에 있어서 콘텐츠의 표시태양을 영상구간마다 결정한다. 또한,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21)는 영상변환파라미터, 부수데이터변환파라미터 및 레이아 웃정보를 포함하는 표시태양결정정보 21A를 영상구간마다 생성한다.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21)는 생성한 표시태양결정정보 21A를 콘텐츠변환부(22)에 출력한다.
다음으로 스텝 S13에 있어서, 콘텐츠변환부(22)의 영상데이터변환부(221)는 리퀘스트정보 1A에 근거하여 배신요구된 콘텐츠의 영상데이터를 콘텐츠데이터베이스(3)로 추출하고, 표시태양결정정보 21A에 포함되는 영상변환파라미터에 근거하여 추출한 영상데이터를 영상구간마다 변환한다.
다음으로 스텝 S14에 있어서, 콘텐츠변환부(22)의 부수데이터변환부(222)는 리퀘스트정보 1A에 근거하여 배신요구된 콘텐츠의 부수데이터를 콘텐츠데이터베이스(3)로부터 추출하고, 표시태양결정정보 21A에 포함되는 부수데이터변환파라미터에 근거하여 추출한 부수데이터를 영상구간마다 변환한다.
다음으로 스텝 S15에 있어서, 콘텐츠변환부(22)의 콘텐츠배치부(223)는 표시태양결정정보 21A에 포함되는 레이아웃정보에 따라 변환후의 영상데이터와 부수데이터를 영상구간마다 레이아웃에 배치하고, 변환필콘텐츠를 생성한다. 그 후, 스텝 S16에 있어서, 콘텐츠송신부(23)는 콘텐츠변환부(22)가 생성한 변환필콘텐츠를 통신네트워크를 통해 이용자단말(1)에 송신한다.
이렇게 하여 변환필콘텐츠가 생성되고 이용자단말(1)에 송신되면, 이용자단말(1)은 수신한 변환필콘텐츠에 근거하여 영상을 재생해서 표시하고, 영상과 함께 영상에 대응하는 부수데이터를 표시한다. 도 4a, 4b는 각각 이용자단말(1)이 영상 및 부수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화면의 레이아웃의 예를 게시하고 있다. 도 4a는 표시화면을 가로방향으로 분할하는 분할패턴을 사용하여 영상 및 부수데이터를 표시 할 경우를 보이고, 도 4b는 표시화면을 세로방향으로 분할하는 분할패턴을 사용하여 영상 및 부수데이터를 표시할 경우를 보이고 있다. 도 4a, 4b에 보이는 바와 같이, 이용자단말(1)은 영상구간마다 영상표시부와 부수데이터표시부의 면적비율을 변화시키면서 영상 및 부수데이터를 표시한다.
다음으로, 도 3의 스텝 S12에 있어서의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21)가 콘텐츠의 표시태양을 결정하는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는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21)가 콘텐츠의 표시태양을 결정하는 표시태양결정처리의 일 예를 게시하는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21)는 영상구간마다 분할패턴축적부(34)가 축적하는 각 분할패턴을 사용하고, 표시화면을 영상표시부와 부수데이터표시부로 분할했을 때의 콘텐츠의 가치를 구한다. 그리고,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21)는 콘텐츠가치가 최대가 되는 분할패턴을 그 영상구간에 사용하는 분할패턴으로 선택한다.
이용자단말(1)로부터 리퀘스트정보 1A 및 표시화면정보 1B를 수신하면,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21)는 수신한 리퀘스트정보 1A에 근거하여 배신요구된 콘텐츠의 영상데이터와 각 부수데이터를 콘텐츠데이터베이스(3)로 추출하는 동시에, 배신요구된 콘텐츠에 대응하는 각 메타데이터를 각각 콘텐츠데이터베이스(3)로부터 추출한다. 또한,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21)는 추출한 메타데이터에 근거하여 영상데이터에 포함되는 각 영상구간을 특정한다. 예를 들면,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21)는 도 2에 보이는 영상콘텐츠 전체의 메타데이터(840)에 포함되는 각 영상구간의 시작점이나 종료점에 따라 영상데이터에 포함되는 영상구간의 수나 각 영상구간의 영상 데이터 중에서의 위치를 특정한다. 그리고,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21)는 스텝 S101에 있어서 영상구간의 특정결과에 근거하여 표시대상으로 삼는 영상구간을 지정한다. 우선,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21)는 영상데이터에 포함되는 최초의 영상구간을 표시태양결정의 처리대상으로 삼아서 선택한다.
여기서는, 분할패턴을 미리 n개 준비해 두고, 분할패턴축적부(34)가 n개의 분할패턴을 축적하고 있을 경우를 설명한다. 처리대상의 영상구간을 선택하면,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21)는 스텝 S102에 있어서 표시태양결정처리로 사용하는 각 변수나 파라미터를 초기화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21)는 소정의 변수 k를 k=1로 초기화하고, 소정값 ⅤMAX를 ⅤMAX=0으로 초기화한다. 변수 k는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21)가 분할패턴축적부(34)가 축적하는 분할패턴의 중 현재 몇 번째의 분할패턴을 이용해서 처리를 행하고 있을지를 가리키는 변수다. VMAX는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21)가 분할패턴마다 구한 콘텐츠가치의 최대값을 가리킨다.
다음으로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21)는 스텝 S103에 있어서 분할패턴축적부(34)로부터 k번째의 분할패턴을 읽어낸다. 스텝 S102에서 k=1로 설정하고 있으므로,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21)는 최초로 표시태양결정처리를 실행할 경우, 우선 분할패턴축적부(34)로부터 1번째의 분할패턴을 읽어낸다. 그리고,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21)는 스텝 S104에 있어서, 읽어낸 분할패턴 에 근거하여 처리대상의 영상구간에 대하여 표시화면을 영상표시부와 부수데이터표시부로 분할한다.
또한,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21)는 영상표시부에 최적인 형태로 영상을 변환 한다. 이 변환의 구체예로서는 분할 후의 영상표시부의 크기에 맞도록 영상을 축소하는 것을 들 수 있다. 그리고,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21)는 스텝 S105에 있어서 변환후의 영상을 영상표시부에 표시했을 경우에 영상이 가질 가치(최대가치)를 산출한다. 이 경우,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21)는 미리 정한 평가함수를 사용하고 표시한 변환 후의 영상이 가질 가치를 구한다. 예를 들면, 일반적으로 영상을 축소하면 어느 정도 영상을 시청하기 어려워지므로,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21)는 평가함수를 사용해 영상을 축소하는 것에 따라 낮아지도록 영상의 가치를 구한다. 이하, 여기에서의 평가함수를 영상가치산출용평가함수라고 한다.
또한,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21)는 부수데이터표시부에 최적인 형태로 영상구간에 대응하는 부수데이터를 변환한다. 이 변환의 구체예로서, 예를 들면, 부수데이터표시부의 크기에 따라 표시가능한 데이터를 추출하는 것을 들 수 있다. 그리고,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21)는 스텝 S106에 있어서 변환 후의 부수데이터를 부수데이터표시부에 표시했을 경우에 부수데이터가 가질 가치(최대가치)를 산출한다. 이 경우,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21)는 미리 정한 평가함수를 사용하여 표시한 변환후의 부수데이터가 가질 가치를 구한다. 이하, 이 평가함수를 부수데이터가치산출용평가함수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표시화면에 표시하는 부수데이터의 항목수를 절감하는 정도, 표시할 수 있는 정보량이 적어지는 반면, 부수데이터의 표시에 필요로 하는 페이지 수가 줄고 부수데이터가 보기 쉬워진다. 그 때문에,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21)는, 예를 들면, 표시하는 부수데이터의 항목수와 그들 항목의 중요도, 및 표시에 요하는 페이지 수를 변수라고 하는 평가함수를 사용하여 변환 후의 부수 데이터가 가질 가치를 결정한다.
다음으로,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21)는 변환 후의 영상 및 부수데이터에 근거하여 표시화면에 표시한 콘텐츠, 즉, 표시한 영상 및 부수데이터의 전체의 가치 Ⅴ를 스텝 S107에 있어서 별도로 미리 정한 평가함수를 써서 산출한다. 이 평가함수를, 이하, 콘텐츠가치산출용평가함수라고 한다. 이 경우,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21)는, 예를 들면, 가장 단순한 방법으로서 단순히 영상 및 부수데이터 쌍방의 가치를 평균화하는 평가함수를 사용하여 콘텐츠 전체의 가치 Ⅴ를 구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미리 정한 각 평가함수를 사용할 경우를 설명하지만,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21)는 미리 평가함수를 기억하는 기억부에서 각 평가함수를 추출하고 추출한 평가함수를 써서 콘텐츠 가치를 구해도 좋다.
여기서,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21)가 이용자단말(1)에 표시하는 콘텐츠, 즉, 영상구간 및 부수데이터 전체의 가치 Ⅴ를 평가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콘텐츠가치산출용 평가함수의 예를 게시한다.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21)는 이용자에게 제공되는 정보량, 정보가 가질 가치 및 정보의 보기 쉬움 중 어느 하나의 항목 또는 2이상의 항목을 평가기준으로 이용하여 영상 및 부수데이터의 쌍방에 대해서 평가한다.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21)는 이 요구한 평가값에 근거하여 콘텐츠 전체의 가치를 평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표시화면을 면적비 x: (1-x)로 분할했을 경우에서의 콘텐츠 전체의 가치는 영상표시부에 표시된 영상의 가치와 부수데이터표시부에 표시된 부수데이터의 가치를 변수로 하는 함수로서 기술할 수 있다. 이 경우, 콘텐츠 전체의 가치는 영상의 가치와 부수데이터의 가치를 가산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다 시 말해, 콘텐츠가치산출용평가함수 Ⅴ(x)는·영상가치산출용평가함수 g(x)와 부수데이터가치산출용평가함수 h(x)를 변수로 하는 함수 f(g(x), h(x))로서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콘텐츠가치산출용평가함수Ⅴ(x)는 영상가치산출용평가함수 g(x)와 부수데이터가치산출용평가함수 h(x)의 합으로서 식(1)을 이용해서 나타낼 수 있다.
Ⅴ(x)=f(g(x), h(x))=g(x)+h(x) (1)
이하, 평가기준마다의 영상데이터 및 부수데이터의 평가함수의 예를 게시한다. 우선, 이용자에게 제공되는 정보량을 척도(즉, 평가기준)라고 했을 경우의 평가함수의 예를 게시한다. 이용자에게 제공되는 정보량을 척도로 평가할 경우, 영상데이터표시부에 표시할 수 있는 영상의 화소수, 및 부수데이터표시부에 표시할 수 있는 문자수가 평가대상이 된다. 영상의 애스펙트(aspect)비를 바꾸지 않고, 해상도가 가로 w화소 및 세로 v화소의 영상표시부로 될 수 있는 한 널리 영상을 표시 할 수 있도록 영상을 변환하는 것으로 한다. 이 경우, 영상의 확대축소율을 b라고 하면, 확대축소율 b는 표시되는 화소수를 반영하고 있으므로, 확대축소율 b를 변수로 하는 함수에 의해 평가함수를 표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확대축소율 b 그 자체를 영상의 평가값으로서 이용할 경우, 영상가치산출용평가함수는 식(2)를 이용해서 나타내어진다.
g(w, v)=b
b=min(bl, b2), bl=w/xorig 및 b2=v/yorig
b=bmax(b>bmax
b=0(b<bmin) (2)
식(2)에 있어서, xorig 및 yorig는 각각 원화상의 높이 및 폭을 나타낸다. 또한, bmax 및 bmin은 각각 허용되어 있는 확대축소율의 최대값 및 최소값을 나타낸다.
또한, 해상도가 가로 w화소 및 세로 v화소의 부수데이터표시부에 표시되도록 부수데이터를 변환하는 것으로 한다. 또는, 부수데이터표시부의 q페이지 이내에 표시되도록 부수데이터를 변환하는 것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부수데이터에 표시할 수 있는 항목이 m개 있고 이들의 항목 중에서 g페이지 이내에 표시되도록 표시하는 항목을 선정하는 것으로 한다. 부수데이터표시부에 표시할 수 있는 항목이 m개 있고 1행 당 표시되는 문자수를 r, 1페이지 당 표시되는 행수를 s, 각 항목의 문자수를 각각 tl, t2, …, tk, …,tm (1≤k≤m)이라고 한다. 또한, 부수데이터표시부로의 표시의 유무를 각각 a1,a2, …, ak, …, am(1≤k≤m)이라고 한다. 단, ak=1은 k번째의 항목을 표시하는 것을 의미하고, ak = 0은 k번째의 항목을 표시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부수데이터 전체를 표시했을 경우의 정보량을 1이라고 하면, 부수데이터표시부의 q페이지 이내에 표시되도록 변환된 부수데이터의 정보량, 즉, 부수데이터가치산출용평가함수는 식(3)을 이용해서 나타내어진다.
[수1]
Figure 112007080586660-PCT00001
(3)
또한, 식(3)에 있어서, floor는 소수점끝맺기를 나타내는 함수이다. 식(2) 및 식(3)을 식(1)에 대입하는 것에 의해 이용자에게 제공되는 정보량을 평가척도로 하는 콘텐츠가치산출용평가함수Ⅴ(x)를 얻을 수 있다.
다음으로, 정보가 가질 가치를 척도(즉, 평가기준)라고 했을 경우의 평가함수의 예를 게시한다. 이용자에게 제공되는 정보의 가치를 척도로 평가할 경우, 영상데이터표시부에 표시할 수 있는 영상 또는 영상영역의 가치와 부수데이터표시부에 표시되는 항목의 정보가치를 평가대상으로 삼는다. 정보가치는 이용자에 있어서의 정보가치로 해도 좋고, 정보제공자에 있어서의 정보가치로 해도 좋다. 또한, 이용자 및 정보제공자 쌍방에 있어서의 정보가치로 해도 좋다.
우선, 영상에 대해서 평가의 대상이 되는 영상구간에 등장하는 인물이나 물건 각각에 정보가치가 할당되어 있다. 등장물이나 영상영역이 j개 존재하고, 각 등장물의 정보가치를 vj라고 한다. 또한, 각 등장물의 표시의 유무를 각각 c1, c2, …, ck, …, cj(1≤k≤j)라고 한다. 단, ck=1은 k번째의 항목을 표시하는 것을 의미하고, ck=0은 k번째의 항목을 표시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해상도가 가로 w화소 및 세로 v화소의 한정된 영상표시부에 될 수 있는 한 정보가치가 높은 등장물 의 조합을 영상표시부의 범위 내에 표시할 수 있도록 등장물을 선택하는 것으로 한다. 이 경우, 영상가치산출용평가함수는 식(4)를 이용해서 나타내어진다.
[수2]
Figure 112007080586660-PCT00002
(4)
단, 식(4)에 있어서, 선택한 등장물의 집합은 영상표시부를 넘어서는 안된다.
한편, 부수데이터에 대해서, 부수데이터에 표시할 수 있는 항목이 m개 있고, 1행 당 표시되는 문자수를 r, 1페이지 당 표시되는 행수를 s, 각 항목의 문자수를 각각 tl,t2, …, tk, …, tm(1≤k≤m), 각 항목의 정보가치를 uk(0≤u≤1)라고 한다. 또한, 부수데이터표시부로의 표시의 유무를 각각 a1, a2, …, ak, …, am(1≤k≤m)으로 한다. 단, ak=1은 k번째의 항목을 표시하는 것을 의미하고, ak = 0은 k번째의 항목을 표시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부수데이터 모두를 표시했을 경우의 정보량을 1이라고 하면, 부수데이터표시부의 q페이지 이내에 표시되도록 변환된 부수데이터의 정보가치, 즉, 부수데이터가치산출용평가함수 h(w, v)는 식(5)을 이용해서 표현할 수 있다.
[수3]
Figure 112007080586660-PCT00003
(5)
식(4) 및 식(5)를 식(1)에 대입하는 것에 의해, 이용자에게 제공되는 정보가치를 척도로 하는 콘텐츠가치산출용평가함수V(x)를 얻을 수 있다.
다음으로, 정보의 보기 쉬움을 평가기준으로 한 평가함수의 예를 게시한다. 이용자에게 제공되는 정보의 보기 쉬움을 척도로 평가할 경우, 영상데이터표시부에 표시되는 영상이 어떻게 보기 쉬운지, 부수데이터표시부에 표시되는 정보가 어떻게 보기 쉽게 배치되어 있는지를 평가대상으로 삼는다.
우선, 영상에 대해서 움직임의 원활함이나 노이즈의 분량 등의 화질을 기준으로 평가를 행한다. 영상의 해상도를 r로 하고, 프레임레이트(frame rate)를 f, 원화상과의 S/N비를 s, 움직임 분량을 m으로 한다. 이 경우, 영상가치산출용평가함수는 이들 4개의 변수로 이루어지는 밸런스함수로서 식(6)을 이용해서 나타내어진다. 이 밸런스함수를 최적으로 하도록 해상도 r 및 프레임레이트 f를 선택하고, 그 선택한 해상도 r 및 프레임레이트 f를 따라 영상을 변환할 수 있다.
g(w, v)=max(0(r, f, s, m)) (6)
또한, 부수데이터에 대해서, 부수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해 필요한 페이지 수가 적으면 적을수록 정보가 보기 쉬워지므로 필요한 페이지 수에 반비례해서 높은 평가를 할당하도록 설계한다. 이 경우, 부수데이터가치산출용평가 함수는 식(7)을 이용해서 나타내어진다.
[수4]
Figure 112007080586660-PCT00004
(7)
식(7)에 있어서, 1은 선택한 항목모두를 표시하기 위해서 필요한 행수를 나타내고, 1max는 최대행수를 나타내고, L은 화면 내에 표시할 수 있는 행수를 나타낸다. 식(6) 및 식(7)을 식(1)에 대입하는 것에 의해, 이용자에게 제공되는 정보의 보기 쉬움을 척도로 하는 콘텐츠가치산출용평가함수 Ⅴ(x)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평가기준으로서, 이용자에게 제공되는 정보량, 정보가 가질 가치 및 정보의 보기 쉬움을 조합시켰을 경우의 평가함수의 예를 게시한다. 이 경우, 예를 들면, 영상가치산출용평가함수로서, 식(2), (4), (6) 중 어느 둘 또는 모두를 조합시킨 평가함수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부수데이터가치산출용평가수로서, 식(3), (5), (7) 중 어느 둘 또는 모두를 조합시킨 평가함수를 이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영상데이터에 대해서, 식(2) 및 식(4)를 조합시켜 이용함으로써, 주어진 영상표시영역에 대하여 등장물과 각 등장물에 관한 확대축소율과의 조합을 고려한 함수가 된다. 이 경우, 예를 들면, 식(8)에 보이는 영상가치산출용평가함수를 사용할 수 있다.
[수5]
Figure 112007080586660-PCT00005
(8)
또한, 예를 들면, 부수데이터에 대해서, 식(5) 및 식(7)을 조합시키는 것에 의해, 정보가 가질 가치와 정보의 보기 쉬움과의 트레이드오프(tradeoff)를 고려한 함수가 된다. 이 경우, 예를 들면, 식(9)로 나타내어지는 부수데이터가치산출용평가함수를 사용할 수 있다.
[수6]
Figure 112007080586660-PCT00006
(9)
식(8) 및 식(9)를 식(1)에 대입하는 것에 의해, 이용자에게 제공되는 정보량, 가치 및 보기 쉬움을 척도로 하는 콘텐츠가치산출용평가함수Ⅴ(x)를 생성할 수 있다.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21)는 스텝 S108에 있어서, 구한 콘텐츠 전체의 가치 Ⅴ가 콘텐츠 가치의 최대값 Ⅴmax 보다 클 것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산출한 콘텐츠 전체의 가치 Ⅴ가 콘텐츠 가치의 최대값 Ⅴmax보다 크다고 판단하면, 콘텐츠표시 태양결정부(21)는 Ⅴmax에 Ⅴ를 대입하고, Ⅴmax의 값을 갱신한다.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21)는 현재의 처리 대상의 k번째의 분할패턴에 대해서 영상표시부에서의 최적인 표시를 실현하는 영상변환파라미터, 및 부수데이터표시부에서의 최적인 표시를 실현하는 부수데이터변환파라미터를 생성한다. 그리고,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21)는 스텝 S109에 있어서 k번째의 분할패턴과 생성한 영상변환파라미터 및 부수데이터변환파라미터를 모두 메모리 등의 기억장치에 보존한다.
max의 값을 갱신하고, 분할패턴, 영상변환파라미터 및 부수데이터 변환파라미터를 보존하면,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21)는 스텝 S110에 있어서, 변수 k에 1을 가산한다. 스텝 S108에서 콘텐츠 전체의 가치 Ⅴ가 콘텐츠 가치의 최대값 Ⅴmax 보다 크지 않다고 판단했을 경우에는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21)는 스텝 S109의 처리를 실행하지 않고 그대로 변수 k에 1을 가산한다.
다음으로,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21)는 스텝 S111에 있어서, 변수 k의 값이 n보다 클 것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변수 k의 값이 n보다 크다고 판단하면,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21)는 모든 분할패턴에 대해서 처리를 완료했다고 판단하고, 그대로 스텝 S112의 처리로 이행한다. 변수 k의 값이 n보다 크지 않다고 판단하면,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21)는 스텝 S103으로 돌아오고, 스텝 S103으로부터 스텝 S110 까지의 처리를 되풀이해 실행한다. 다시 말해,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21)는 미처리의 분할패턴이 존재한다고 판단하고, 분할패턴축적부(34)가 축적하는 다음 분할패턴을 읽어 내고, 그 분할패턴을 이용했을 때의 콘텐츠 가치를 평가한다.
이상과 같이, 분할패턴축적부(34)가 축적하는 모든 분할패턴에 대해서, 스텝 S103으로부터 스텝 S110 까지의 처리가 반복해 실행된다. 모든 분할패턴에 대해서 되풀이해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콘텐츠 전체의 가치가 최대가 될 경우의 분할패턴, 영상변환파라미터 및 부수데이터변환파라미터가 보존된다.
변수 k의 값이 n보다 크다고 판단하면,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21)는 스텝 Sl12에 있어서 기억장치에 현재 기억하고 있는 분할패턴, 영상변환파라미터 및 부수데이터변환파라미터를 추출해 출력한다. 다시 말해,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21)는 콘텐츠 가치 Ⅴ가 최대가 될 때의 분할패턴, 영상변환파라미터 및 부수데이터변환파라미터를 콘텐츠변환부(22)에 출력한다. 이 경우,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21)는 콘텐츠 가치 Ⅴ가 최대가 될 때의 분할패턴을 사용한 표시화면 상에 배치레이아웃을 나타내는 레이아웃정보를 생성한다. 그리고,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21)는 영상변환파라미터, 부수데이터변환파라미터 및 레이아웃정보를 포함하는 표시태양결정정보 21A를 콘텐츠변환부(22)에 출력한다.
이상 나타낸 바와 같이,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21)는 스텝 S101로부터 스텝 S112까지의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분할패턴을 바꾸면서, 즉, k를 1씩 인크리먼트(increment)하면서(k=k+1), 모든 분할패턴에 대해서 콘텐츠 전체의 가치를 산출한다. 그리고,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21)는 콘텐츠 전체의 가치가 가장 높은 분할패턴을 영상구간과 부수데이터의 배치레이아웃으로 채용한다.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21)는 이상에 나타낸 프로세스를 배신요구된 영상데이터에 포함되는 영상구간마다 되풀이한다. 그리고,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21)는 영 상구간마다 모든 분할패턴에 대해서 콘텐츠 가치를 산출해서 배치레이아웃을 결정하고 표시태양결정정보 21A를 출력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콘텐츠배신서버(2)는 영상데이터에 포함되는 영상구간마다 영상 및 대응하는 부수데이터의 내용에 맞춰 콘텐츠의 표시태양을 적절하게 결정한다. 또한, 콘텐츠배신서버(2)는 결정한 표시태양을 따라 변환한 콘텐츠를 이용자단말(1)에 배신한다. 그리고, 이용자단말(1)은 배신된 콘텐츠에 따라 영상표시부와 부수데이터표시부를 영상구간마다 동적으로 변화시키면서 표시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르면, 콘텐츠의 표시태양을 영상구간마다 자동적으로 결정하고, 표시화면 및 콘텐츠의 구성에 따른 레이아웃으로 영상과 부수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콘텐츠 작성자는 각각의 정보(즉, 영상 및 부수데이터)에 대하여 표시화면마다 화면구성을 설계하지 않아도 표시화면 및 콘텐츠의 구성에 따른 레이아웃으로 영상과 부수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영상 및 부수데이터의 내용에 따라 영상구간마다 영상과 부수데이터의 표시태양을 적절히 결정해 표시할 수 있으므로, 효과적으로 영상데이터와 부수데이터를 제시하는 콘텐츠표시시스템을 실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콘텐츠배신서버(2)는 영상데이터와 부수데이터를 시청하는 쪽의 요구조건인 단말의 표시화면에 근거하여 콘텐츠의 표시태양을 적절히 결정한다. 그 때문에, 임의의 표시화면에 대하여 효과적으로 영상데이터와 부수데이터를 제시하는 콘텐츠표시시스템을 실현할 수 있다.
제2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콘텐츠표시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은 제2실시예의 콘텐츠표시시스템을 나타내고 있다. 도 6에 보이는 바와 같이, 제2실시예의 콘텐츠표시시스템에서는 콘텐츠배신서버(4)에 포함되는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41)의 기능이 제1실시예에서 보인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21)의 기능과 다르다. 또한, 제2실시예의 시스템은 이용자단말(1)이 리퀘스트정보 1A 및 표시화면정보 1B에 더해 중요도 밸런스정보 1C를 통신네트워크를 통해 콘텐츠배신서버(4)로 송신하는 점에서 제1실시예의 것과 다르다. 한편, 제2실시예에 있어서, 콘텐츠데이터베이스(3) 및 분할패턴축적부(34)가 축적하는 정보는 제1실시예에서의 그것들이 축적하는 정보와 같아서, 이용자단말(1)의 기능은 리퀘스트정보 1A 및 표시화면정보 1B에 더해 중요도 밸런스정보 1C를 송신하는 것을 제외하고, 제1실시예에서의 이용자단말(1)의 기능과 같고 콘텐츠배신서버(4)의 콘텐츠변환부(22) 및 콘텐츠송신부(23)의 기능은 제1실시예에서의 그것들의 기능과 같다.
제2실시예의 시스템에 있어서,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41)는 리퀘스트정보 1A, 표시화면정보 1B 및 중요도 밸런스정보 1C를 통신네트워크를 통해 이용자단말(1)로부터 수신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41)는 중요도 밸런스정보(중요도 정보라고도 함) 1C로서, 이용자의 기호 또는 각 영상구간의 중요도와 대응하는 각 부수데이터의 중요도의 밸런스를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41)는 이용자단말(1)로부터 주어진(수신한) 리퀘스트정보 1A, 표시화면정보 1B, 및 콘텐츠 중요도 정보 1C와 메타데이터에 근거 하여 배신요구된 콘텐츠의 표시태양을 결정하는 기능을 갖춘다. 이 경우,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41)는 표시화면정보 1B, 영상메타데이터나 부수메타데이터 등의 각 메타데이터, 및 중요도 밸런스정보 1C의 중 적어도 1개에 근거하여 표시태양을 결정한다.
또한, 제2실시예에서는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41)는 영상구간마다 리퀘스트(배신요구)된 영상과 그 영상에 대응하는 부수데이터를 이용자단말(1)로 표시할 때의 표시태양을 결정한다. 또한,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41)는 결정한 표시태양을 나타내는 표시태양결정정보 41A를 생성하고 콘텐츠변환부(22)에 출력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여기서, 콘텐츠 중요도로는 이용자가 송신을 희망하는 영상데이터와 부수데이터 사이의 중요도 밸런스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으로는,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41)는 분할패턴축적부(34)에 마련된 분할패턴의 각각을 채용해, 각 영상구간에 대하여 표시화면을 영상표시부와 부수데이터표시부로 분할하고 표시화면을 분할한 후, 영상표시부에 표시되는 영상 및 부수데이터 표시부에 표시되는 부수데이터로 구성되는 콘텐츠 전체의 평가값을 콘텐츠 중요도를 고려하면서 구한다. 그리고,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41)는 평가값이 최적이 될 경우, 예를 들면, 값이 최대가 될 경우의 분할패턴을 표시화면의 분할로 채용하는 분할패턴으로 영상구간마다 결정한다.
여기서 표시태양결정정보 41A는 영상변환파라미터, 부수데이터변환파라미터, 및 레이아웃정보를 포함한다. 영상변환파라미터는 결정한 표시태양에 적응하도록 영상을 변환하기 위한 파라미터이다. 부수데이터변환파라미터는 결정한 표시태양에 적응하도록 부수데이터를 변환하기 위한 파라미터이다. 레이아웃정보는 영상과 부수데이터의 배치레이아웃, 즉, 분할패턴을 기술한 정보이다. 한편, 영상데이터와 부수데이터 사이의 중요도 밸런스는 이용자로부터 제공되는, 즉, 이용자단말(1)로부터 수신하는 대신에, 콘텐츠의 제작자측으로부터 미리 제공되어도 좋다.
다음으로, 제2실시예의 콘텐츠표시시스템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콘텐츠배신서버(4)가 이용자단말(1)로부터의 요구에 따라서 콘텐츠를 송신하는 동작을 설명한다.
이용자는 콘텐츠를 시청하고 싶을 경우, 이용자단말(1)을 조작하고 시청하고 싶은 콘텐츠의 배신요구를 입력 지시한다. 이용자단말(1)은 이용자의 조작에 따라 리퀘스트정보 1A, 표시화면정보 1B 및 중요도 밸런스정보 1C를 통신네트워크(40)를 통해 콘텐츠배신서버(4)에 송신한다. 그러면, 콘텐츠배신서버(4)의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41)는 수신한 리퀘스트정보 1A, 표시화면정보 1B 및 중요도 밸런스정보 1C와 콘텐츠데이터베이스(3)가 축적하는 메타데이터에 근거하여 콘텐츠의 표시태양을 결정한다. 한편, 콘텐츠변환부(22)가 변환필콘텐츠를 생성하는 처리, 및 콘텐츠송신부(23)가 변환필콘텐츠를 배신하는 처리는 도 3에서 제시한 스텝 S13으로부터 스텝 S16까지의 처리와 같다.
다음으로,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41)가 콘텐츠의 표시태양을 결정하는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은 제2실시예에 있어서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가 콘텐츠의 표시태양을 결정하는 처리를 보여주고 있다.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41)는 제1실시예의 경우와 같이, 수신한 리퀘스트정보 1A에 근거하여 배신요구된 콘텐츠의 영상데이터와 배신요구된 콘텐츠의 각 부수데이터를 콘텐츠데이터베이스(3)로부터 추출한다. 또한,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41)는 배신요구된 콘텐츠에 대응하는 각 메타데이터를 각각 콘텐츠데이터베이스(3)로부터 추출한다.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41)는 추출한 메타데이터에 근거하여 영상데이터에 포함되는 각 영상구간을 특정한다.
다음으로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41)는 스텝 S101a에 있어서 영상구간의 특정 결과에 근거하여 표시대상으로 삼는 영상구간을 지정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미리 분할패턴을 n개 준비해 두고 분할패턴축적부(34)가 n개의 분할 패턴을 축적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41)는 스텝 S102a에 있어서, 소정의 변수 k를 k=1로 초기화하고 콘텐츠 가치의 최대값을 Ⅴmax=0으로 초기화한다.
다음으로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41)는 스텝 S103a에 있어서 분할패턴축적부(34)로부터 k번째의 분할패턴을 읽어내고, 스텝 S104a에 있어서 읽어낸 분할패턴에 근거하여 처리대상의 영상구간에 대하여 표시화면을 영상표시부와 부수데이터표시부로 분할한다. 다음으로,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41)는 스텝 S105a에 있어서 영상표시부에 최적인 형태로 영상을 변환하고, 변환후의 영상을 영상표시부에 표시했을 경우에 영상이 가질 가치(최대가치)를 미리 정한 평가함수를 채용해서 산출한다. 일반적으로 영상을 축소하면 할수록 영상을 시청하기 어려워지므로,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41)는 평가함수를 사용하고, 예를 들면, 영상을 축소하는 것에 따라 서 낮아지도록 영상의 가치를 구한다.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41)는 스텝 S106a에 있어서 부수데이터표시부에 최적인 형태로 영상구간에 대응하는 부수데이터를 변환하고, 변환후의 부수데이터를 부수데이터표시부에 표시했을 경우에 부수데이터가 가질 가치(최대가치)를 미리 정한 평가함수를 채용해서 산출한다. 예를 들면, 일반적으로 표시화면에 표시하는 부수데이터의 항목수를 절감할수록 표시할 수 있는 정보량이 적어지는 반면, 부수데이터의 표시에 필요로 하는 페이지 수가 줄고 부수데이터가 보기 쉬워진다. 그 때문에,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41)는 표시하는 부수데이터의 항목수와 그들 항목의 중요도, 및 표시에 필요로 하는 페이지 수를 변수로 하는 평가 함수를 쓰고, 변환후의 부수데이터가 가질 가치를 결정한다.
또한,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41)는 스텝 S107a에 있어서, 변환후의 영상 및 부수데이터에 근거하여 표시화면에 표시한 콘텐츠(즉, 영상 및 부수데이터) 전체의 가치 Ⅴ를 미리 정한 평가함수를 채용해서 산출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41)는 영상 및 부수데이터 쌍방의 가치를 콘텐츠 중요도 정보 1C에 근거해서 가중한 평가함수를 쓰고, 콘텐츠 전체의 가치 Ⅴ를 산출한다. 이 경우,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41)는, 예를 들면, 가장 단순한 방법으로서, 단순히 영상 및 부수데이터 쌍방의 가치를 콘텐츠 중요도 정보 1C에 근거해서 가중하여 가산한다.
여기서,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41)가 콘텐츠 전체의 가치 Ⅴ를 평가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콘텐츠가치산출용평가함수의 예를 게시한다. 예를 들면, 콘텐츠가치산출용평가함수Ⅴ(x)는 영상가치산출용평가함수 g(x)와 부수데이터가치산출용평가 함수 h(x)의 가중합으로서, 식(10)을 이용해서 나타낼 수 있다.
Ⅴ(x)=f(g(x), h(x), w)=wg(x)+(1-w)h(x) (10)
또한, 식(10)에 있어서, w는 영상의 중요도를 보여주고, (1-w)는 부수데이터의 중요도를 보여주고 있다.
다음으로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41)는 스텝 S108a에 있어서 구한 콘텐츠 전체의 가치 Ⅴ가 콘텐츠 가치의 최대값 Ⅴmax보다 클 것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산출한 콘텐츠 전체의 가치 Ⅴ가 콘텐츠 가치의 최대값 Ⅴmax보다 크다고 판단하면,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41)는 스텝 S109a에 있어서 Ⅴmax에 Ⅴ를 대입하고, Ⅴmax의 값을 갱신하고, 현재의 처리 대상의 k번째의 분할패턴에 대해서 영상표시부에서의 최적인 표시를 실현하는 영상변환파라미터, 및 부수데이터표시부에서의 최적인 표시를 실현하는 부수데이터변환 파라미터를 생성하고, k번째의 분할패턴과 생성한 영상변환파라미터 및 부수데이터변환파라미터를 모두 메모리 등의 기억장치에 보존한다.
max의 값을 갱신하고, 분할패턴, 영상변환파라미터 및 부수데이터 변환파라미터를 보존하면,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41)는 스텝 S110a에 있어서, 변수 k에 1을 가산한다. 스텝 S108a에서 콘텐츠 전체의 가치 Ⅴ가 콘텐츠가치의 최대값 Ⅴmax보다 크지 않다고 판단했을 경우에는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41)는 스텝 S 109a의 처리를 실행하지 않고, 그대로 변수 k에 1을 가산한다.
다음으로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41)는 스텝 S111a에 있어서, 변수 k의 값이 n보다 클 것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변수 k의 값이 n보다 크다고 판단하면,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41)는 모든 분할패턴에 대해서 처리를 완료했다고 판단하고, 그대로 스텝 S112a의 처리로 이행한다. 변수 k의 값이 n보다 크지 않다고 판단하면,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41)는 스텝 S103a으로 돌아오고, 스텝 S103a로부터 스텝 S110a까지의 처리를 되풀이해 실행한다. 즉,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41)는 미처리의 분할패턴이 존재한다고 판단하고, 분할패턴축적부(34)가 축적하는 다음 분할패턴을 읽어 내고, 그 분할패턴을 이용했을 때의 콘텐츠 가치를 평가한다.
한편, 스텝 S111a에 있어서 변수 k의 값이 n보다 크다고 판단하면,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41)는 스텝 S112a에 있어서 기억장치에 현재 기억하고 있는 분할패턴, 영상변환파라미터 및 부수데이터변환파라미터를 추출해 출력한다. 즉,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41)는 콘텐츠 가치 Ⅴ가 최대가 될 때의 분할패턴, 영상변환파라미터 및 부수데이터변환파라미터를 콘텐츠변환부(22)에 출력한다. 이 경우,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41)는 콘텐츠 가치 Ⅴ가 최대가 될 때의 분할패턴을 채용한 표시화면 상에 배치레이아웃을 나타내는 레이아웃정보를 생성하고, 영상변환파라미터, 부수데이터변환파라미터 및 레이아웃정보를 포함하는 표시태양결정정보 41A를 콘텐츠변환부(22)에 출력한다.
이상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41)는 스텝 S101a로부터 스텝 S112a까지의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분할패턴을 바꾸면서, 즉, k을 1씩 인크리먼트 하면서(k=k +1), 모든 분할패턴에 대해서 콘텐츠 전체의 가치를 산출한다. 그리 고,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41)는 콘텐츠 전체의 가치가 가장 높은 분할패턴을 영상과 부수데이터와의 배치레이아웃으로서 채용한다.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41)는 이상에 나타낸 프로세스를 배신요구된 영상데이터에 포함되는 영상구간마다 되풀이하고, 영상구간마다 모든 분할 패턴에 대해 콘텐츠 가치를 산출해서 배치레이아웃을 결정하고 표시태양결정정보 41A를 출력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이 제2실시예에 따르면, 콘텐츠배신서버(4)는 영상데이터에 포함되는 영상구간마다 영상 및 대응하는 부수데이터의 내용에 맞춰서 콘텐츠의 표시태양을 적절히 결정한다. 또한, 콘텐츠배신서버(4)는 결정한 표시태양을 따라 변환한 콘텐츠를 이용자단말(1)에 배신한다. 그리고, 이용자단말(1)은 배신된 콘텐츠를 따라 영상표시부와 부수데이터표시부를 영상구간마다 동적으로 변화시키면서 표시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르면, 콘텐츠의 표시태양을 영상구간마다 자동적으로 결정하고, 표시화면 및 콘텐츠의 구성에 따른 레이아웃으로 영상과 부수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콘텐츠 작성자가 각각의 정보(즉, 영상 및 부수데이터)에 대하여 표시화면마다 화면구성을 설계하지 않아도, 표시화면 및 콘텐츠의 구성에 따른 레이아웃으로 영상과 부수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제2실시예에 따르면, 영상 및 부수데이터의 내용에 따라 영상구간마다 영상과 부수데이터의 표시태양을 적절히 결정해 표시할 수 있으므로, 효과적으로 영상데이터와 부수데이터를 제시하는 콘텐츠표시시스템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콘텐츠배신서버(4)는 영상데이터와 부수데이터를 시청하는 쪽의 요구조건인 단말의 표시화면에 근거하여 콘텐츠의 표시태양을 적절히 결정한다. 그 때문에, 임의의 표시화면에 대하여 효과적으로 영상데이터와 부수데이터를 제시하는 콘텐츠표시시스템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배신서버(4)는 영상데이터와 부수데이터를 시청하는 쪽의 요구조건인 중요도 밸런스에 근거하여 콘텐츠의 표시태양을 적절히 결정하므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이용자의 기호에 맞춰 효과적으로 영상데이터와 부수데이터를 제시하는 콘텐츠표시시스템을 실현할 수 있다.
제3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콘텐츠표시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8은 제3실시예의 콘텐츠표시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이 콘텐츠표시시스템에서는 콘텐츠배신서버(5)에 포함되는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51)의 기능이 제2실시예에서 보여진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41)의 기능과 다르다. 또한, 이 콘텐츠표시시스템은 분할패턴축적부(34)에 대신해서 중첩패턴축적부(35)를 포함하는 점에서 제2실시예와 다르다. 제3실시예에 있어서 콘텐츠데이터베이스(3)가 축적하는 정보는 제2실시예에서의 콘텐츠데이터베이스(3)가 축적하는 정보와 같고, 이용자단말(1)의 기능은 제2실시예에서의 이용자단말(1)의 기능과 같으며, 콘텐츠배신서버(5)의 콘텐츠변환부(22) 및 콘텐츠배신부(23)의 기능은 제2실시예에서의 기능과 같다.
중첩패턴축적부(35)는 표시화면에 있어서 부수데이터를 영상데이터에 중첩시켜서 표시시키는 패턴을 나타낸 중첩패턴을 미리 복수축적하는 것이며, 구체적으로 자기디스크장치나 광디스크장치 등의 데이터베이스장치에 의해 실현된다. 중첩패턴축적부(35)는 중첩패턴으로서, 예를 들면, 영상의 상하 좌우로 부수데이터를 중첩시키는 패턴이나 종서 또는 횡서로 부수데이터를 중첩시키는 패턴을 축적한다. 또 한, 중첩패턴축적부(35)는 중첩패턴으로서 부수데이터를 중첩시키기 위한 여러가지 면적의 사각형 영역을 축적한다.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51)는 리퀘스트정보 1A, 표시화면정보 1B 및 중요도 밸런스정보 1C를 통신네트워크(40)를 통해 이용자단말(1)로부터 수신하는 기능과 이용자단말(1)로부터 주어진(수신된) 리퀘스트정보 1A, 표시화면정보 1B 및 콘텐츠중요도정보 1C와 메타데이터에 근거하여 배신요구된 콘텐츠의 표시태양을 결정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51)는 영상구간마다 리퀘스트(배신요구)된 영상과 그 영상에 대응하는 부수데이터를 이용자단말(1)로 표시할 때의 표시태양을 결정한다. 또한,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51)는 결정한 표시태양을 나타내는 표시태양결정정보 51A를 생성하고, 콘텐츠변환부(22)에 출력하는 기능도 구비한다.
여기서 콘텐츠중요도로는 이용자가 배신을 희망하는 영상데이터와 부수데이터 사이의 중요도 밸런스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으로는,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51)는 중첩패턴축적부(35)에 마련된 중첩패턴의 각각을 사용하여 표시화면상의 각 영상구간에 대하여 부수데이터를 중첩하고, 이와 같은 부수데이터를 중첩한 후 표시화면에서 표시되는 영상 및 부수데이터로 구성되는 콘텐츠 전체의 평가값을 콘텐츠 중요도를 고려하면서 구한다. 그리고,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51)는 평가값이 최적이 될 경우(예를 들면, 값이 최대가 될 경우)의 중첩패턴을 부수데이터의 중첩표시로 채용하는 중첩패턴으로 하여 영상구간마다 결정한다.
표시태양결정정보 51A는 영상변환파라미터, 부수데이터변환파라미터, 및 레 이아웃정보를 포함한다. 영상변환파라미터는 결정한 표시태양에 적절하도록 영상을 변환하기 위한 파라미터이다. 부수데이터변환파라미터는 결정한 표시태양에 적응하도록 부수데이터를 변환하기 위한 파라미터이다. 레이아웃정보는 영상과 부수데이터의 배치레이아웃, 즉, 중첩패턴을 기술한 정보이다. 한편, 영상데이터와 부수데이터와의 사이의 중요도 밸런스는 이용자에게서 제공되는 대신에, 즉, 이용자단말(1)로부터 수신하는 대신에, 콘텐츠의 제작자측에서 미리 제공되어도 좋다.
다음으로, 제3실시예의 콘텐츠표시시스템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콘텐츠배신서버(5)가 이용자단말(1)로부터의 요구에 따라서 콘텐츠를 배신하는 동작을 설명한다.
이용자는 콘텐츠를 시청하고 싶을 경우, 이용자단말(1)을 조작하고 시청하고 싶은 콘텐츠의 배신요구를 입력 지시한다. 이용자단말(1)은 이용자의 조작에 따라 리퀘스트정보 1A, 표시화면정보 1B 및 중요도밸런스정보 1C를 통신네트워크(40)를 통해 콘텐츠배신서버(5)에 송신한다. 그러면, 콘텐츠배신서버(5)의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51)는 수신한 리퀘스트정보 1A, 표시화면정보 1B 및 중요도밸런스정보 1C와 콘텐츠데이터베이스(3)가 축적하는 메타데이터에 근거하여 콘텐츠의 표시태양을 결정한다. 한편, 콘텐츠변환부(22)가 변환필콘텐츠를 생성하는 처리, 및 콘텐츠배신부(23)가 변환필콘텐츠를 배신하는 처리는 도 3에 제시한 스텝 S13으로부터 스텝 S16까지의 처리와 같다.
다음으로,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51)가 콘텐츠의 표시태양을 결정하는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9는 제3실시예에 있어서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가 콘텐츠의 표시태양을 결정하는 처리를 보여주고 있다.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51)는 제1실시예의 경우와 같이, 수신한 리퀘스트정보 1A에 근거하여 배신요구된 콘텐츠의 영상데이터와 배신요구된 콘텐츠의 각 부수데이터를 콘텐츠데이터베이스(3)로부터 추출한다. 또한,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51)는 배신요구된 콘텐츠에 대응하는 각 메타데이터를 각각 콘텐츠데이터베이스(3)로부터 추출한다.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51)는 추출한 메타데이터에 근거하여 영상데이터에 포함되는 각 영상구간을 특정한다.
다음으로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51)는 스텝 S101b에 있어서 영상구간의 특정 결과에 근거하여 표시 대상으로 삼는 영상구간을 지정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미리 중첩패턴을 n개 마련해 두고, 중첩패턴축적부(35)가 n개의 중첩패턴을 축적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51)는 스텝 S102b에 있어서, 소정의 변수 k를 k=1로 초기화하고, 콘텐츠 가치의 최대값을 Ⅴmax=0으로 초기화한다.
다음으로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51)는 스텝 S103b에 있어서 중첩패턴축적부(35)로부터, k번째의 중첩패턴을 읽어내고 스텝 S104b에 있어서 읽어낸 중첩패턴에 근거하여 처리 대상의 영상구간에 대하여 영상에 부수데이터를 중첩 한다. 다음으로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51)는 스텝 S105b에 있어서, 영상구간에 대응하는 부수데이터를 최적인 형태로 변환하고, 변환후의 부수데이터를 부수데이터표시부에 표시했을 경우에 부수데이터가 가질 가치(최대가치)를 미리 정한 평가함수를 사용해서 산출한다. 일반적으로 표시화면에 표시하는 부수데이터의 항목수를 절감하는 만 큼 표시할 수 있는 정보량이 적어지는 반면, 부수데이터의 표시에 필요로 하는 페이지 수가 줄고 부수데이터가 보기 쉬워진다. 여기서,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51)는, 예를 들면, 표시하는 부수데이터의 항목수와 이들 항목의 중요도, 및 표시에 요하는 페이지 수를 변수로 하는 평가함수를 쓰고, 변환후의 부수데이터가 가질 가치를 결정한다.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51)는 스텝 S106b에 있어서, 표시화면에 최적인 형태로 영상을 변환하고, 변환후의 영상을 표시화면에 표시했을 경우에 영상이 가질 가치(최대가치)를 미리 정한 평가함수를 사용해서 산출한다. 이 경우,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51)는 평가함수를 사용하고 부수데이터가 중첩 되는 것에 의한 가치의 감소도 고려한 영상가치를 구한다.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51)는, 예를 들면, 하늘 등의 영상을 방해하지 않는 개소에 부수데이터를 중첩해 표시할 경우에 가치가 높아지도록 영상가치를 구한다. 반대로,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51)는, 예를 들면, 주인공의 얼굴 위에 부수데이터를 중첩표시하는 등 영상내용을 크게 방해할 경우에는, 가치가 낮아지도록 영상가치를 구한다.
또한,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51)는 스텝 S107b에 있어서, 변환후의 영상 및 부수데이터에 근거하여 표시화면에 표시한 콘텐츠(즉, 영상 및 부수데이터) 전체의 가치 Ⅴ를 미리 정한 평가함수를 사용해서 산출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51)는 영상 및 부수데이터 쌍방의 가치를 콘텐츠중요도정보 1C에 근거해서 가중한 평가함수를 사용하고 콘텐츠 전체의 가치 Ⅴ를 산출한다.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51)는 스텝 S1078b에서 구한 콘텐츠 전체의 가치 Ⅴ가 콘텐츠 가치의 최대값 Ⅴmax보다 클 것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산출한 콘텐츠 전체의 가치 Ⅴ가 콘텐츠 가치의 최대값 Ⅴmax보다 크다고 판단하면,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51)는 스텝 S109b에서 Ⅴmax에 Ⅴ를 대입하고, Ⅴmax의 값을 갱신하고, 현재 처리대상의 k번째의 중첩패턴에 대해서 영상표시부에서의 최적인 표시를 실현하는 영상변환파라미터 및 부수데이터 표시부에서의 최적인 표시를 실현하는 부수데이터변환파라미터를 생성하고, k번째의 중첩패턴과 생성한 영상변환파라미터 및 부수데이터변환파라미터를 함께 메모리 등의 기억장치에 보존한다.
max의 값을 갱신하고, 중첩패턴, 영상변환파라미터 및 부수데이터 변환파라미터를 보존하면,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51)는 스텝 S110b에서 변수 k에 1을 가산한다. 스텝 S108b에서 콘텐츠 전체의 가치 Ⅴ가 콘텐츠 가치의 최대값 Ⅴmax보다 크지 않다고 판단했을 경우에는,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51)는 스텝S109b의 처리를 실행하지 않고, 그대로 변수 k에 1을 가산한다.
다음으로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51)는 스텝 S111b에서 변수 k의 값이 n보다 클 것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변수 k의 값이 n보다 크다고 판단하면,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51)는 모든 중첩패턴에 대해서 처리를 완료했다고 판단하고, 그대로 스텝 S112b의 처리로 이행한다. 변수 k의 값이 n보다 크지 않다고 판단하면,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51)는 스텝 S103b로 돌아오고, 스텝 S103b로부터 스텝 S110b까지의 처리를 되풀이해 실행한다. 즉,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51)는 미처리의 중첩패턴이 존재한다고 판단하고, 중첩패턴축적부(35)가 축적하는 다음 중첩패턴을 읽어 내고, 그 중첩패턴을 이용했을 때의 콘텐츠 가치를 평가한다.
한편, 스텝 S111b에서 변수 k의 값이 n보다 크다고 판단하면,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51)는 스텝 S112b에서 기억장치에 현재 기억하고 있는 중첩패턴, 영상변환파라미터 및 부수데이터변환파라미터를 추출해 출력한다. 즉,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51)는 콘텐츠 가치 Ⅴ가 최대가 될 때의 중첩패턴, 영상변환파라미터 및 부수데이터변환파라미터를 콘텐츠변환부(22)에 출력한다. 이 경우,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51)는 콘텐츠 가치 Ⅴ가 최대가 될 때의 중첩패턴을 사용한 표시화면 상에 배치레이아웃을 나타내는 레이아웃 정보를 생성하고, 영상변환파라미터, 부수데이터변환파라미터 및 레이아웃정보를 포함하는 표시태양결정정보 51A를 콘텐츠변환부(22)에 출력한다.
이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51)는 스텝 S101b로부터 스텝 S112b까지의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중첩패턴을 바꾸면서, 즉, k를 1씩 인크리먼트 하면서(k=k+1), 모든 중첩패턴에 대해서 콘텐츠 전체의 가치를 산출한다. 그리고,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51)는 콘텐츠 전체의 가치가 가장 높은 중첩패턴을 영상과 부수데이터와의 배치레이아웃으로 사용한다.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51)는 이상에 나타낸 프로세스를 배신요구된 영상데이터에 포함되는 영상구간마다 되풀이하고, 영상구간마다 모든 중첩패턴에 대해서 콘텐츠 가치를 산출해서 배치레이아웃을 결정하고 표시태양결정정보 51A를 출력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이 제3실시예에 따르면, 콘텐츠배신서버(5)는 영상 데이터에 포함되는 영상구간마다 영상 및 대응하는 부수데이터의 내용에 맞춰서 콘텐츠의 표시태양을 적절히 결정한다. 또한, 콘텐츠배신서버(5)는 결정한 표시태양을 따라서 변환한 콘텐츠를 이용자단말(1)에 배신한다. 그리고, 이용자단말(1)은 배신된 콘텐츠를 따라 영상표시부와 부수데이터표시부를 영상구간마다 동적으로 변화시키면서 표시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르면, 콘텐츠의 표시태양을 영상구간마다 자동적으로 결정하고, 표시화면 및 콘텐츠의 구성에 따른 레이아웃으로 영상과 부수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콘텐츠 작성자가 각각의 정보(즉, 영상 및 부수데이터)에 대하여 표시화면마다 화면구성을 설계하지 않아도, 표시화면 및 콘텐츠의 구성에 따른 레이아웃으로 영상과 부수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제3실시예에 따르면, 영상 및 부수데이터의 내용에 따라 영상구간마다 영상과 부수데이터의 표시태양을 적절히 결정해 표시할 수 있으므로, 효과적으로 영상데이터와 부수데이터를 제시하는 콘텐츠표시시스템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콘텐츠배신서버(5)는 영상데이터와 부수데이터를 시청하는 쪽의 요구조건인 단말의 표시화면에 근거하여 콘텐츠의 표시태양을 적절히 결정한다. 그 때문에, 임의의 표시화면에 대하여 효과적으로 영상데이터와 부수데이터를 제시하는 콘텐츠표시시스템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콘텐츠배신서버(5)는 영상데이터와 부수데이터를 시청하는 쪽의 요구조건인 중요도밸런스에 근거하여 콘텐츠의 표시태양을 적절히 결정하므로, 이용자의 기호에 맞춰서 효과적으로 영상데이터와 부수데이터를 제시하는 콘텐츠표시시스템을 실현할 수 있다.
제4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콘텐츠표시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0은 제4실시예의 콘텐츠표시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이 콘텐츠표시시스템에서는 콘텐츠배신서버(6)에 포함되는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61)의 기능이, 제2실시예로 나타낸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41)의 기능과 다르다. 또한, 이 콘텐츠표시시스템은 분할패턴축적부(34)에 더해서 중첩패턴축적부(35)를 포함하는 점에서 제2실시예와 다르다. 제4실시예에 있어서, 콘텐츠데이터베이스(3) 및 분할패턴축적부(34)가 축적하는 정보는 제2실시예에서의 그것들이 축적하는 정보와 같고, 이용자단말(1)의 기능은 제2실시예에서의 이용자단말(1)의 기능과 같으며, 콘텐츠배신서버(6)의 콘텐츠변환부(22) 및 콘텐츠배신부(23)의 기능은 제2실시예에서의 그것들의 기능과 같다.
중첩패턴축적부(35)는 표시화면에서 부수데이터를 영상데이터에 중첩 시켜 표시시키는 패턴을 나타낸 중첩패턴을 미리 복수축적한다. 중첩패턴축적부(35)는 중첩패턴으로서, 예를 들면, 영상의 상하 좌우에 부수데이터를 중첩시키는 패턴이나, 종서 또는 횡서로 부수데이터를 중첩시키는 패턴을 축적한다. 더욱 중첩패턴축적부(35)는 중첩패턴으로서 부수데이터를 중첩시키기 위한 여러가지 면적의 사각형 영역을 축적한다.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61)는 리퀘스트정보 1A, 표시화면정보 1B 및 중요도밸런스정보 1C를 통신네트워크(40)를 통해 이용자단말(1)로부터 수신하는 기능과 이용자단말(1)로부터 주어진(수신된) 리퀘스트정보 1A, 표시화면정보 1B 및 콘텐츠중요도정보 1C와 메타데이터에 근거하여 배신요구된 콘텐츠의 표시태양을 결정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61)는 영상구간마다 리퀘스트(배신요구)된 영상과 그 영상에 대응하는 부수데이터를 이용자단말(1)로 표시할 때의 표시태양을 결정한다. 또한,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61)는 결정한 표시태양을 나타내는 표시태양결정정보 61A를 생성하고, 콘텐츠변환부(22)에 출력하는 기능도 구비한다.
여기서 콘텐츠중요도로는 이용자가 배신을 희망하는 영상데이터와 부수데이터 사이의 중요도밸런스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으로는,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61)는 분할패턴축적부(34)에 마련된 분할패턴의 각각을 사용하고, 각 영상구간에 대하여 표시화면을 영상표시부와 부수데이터표시부로 분할하고, 이렇게 표시화면을 분할한 후 영상표시부에 표시되는 영상 및 부수데이터표시부에 표시되는 부수데이터로 구성되는 콘텐츠 전체의 평가값을 콘텐츠중요도를 고려하면서 구한다. 그리고,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61)는 평가 값이 최적이 될 경우(예를 들면, 값이 최대가 될 경우)의 분할 패턴을 표시화면의 분할에 사용하는 분할패턴으로 하여 영상구간마다 결정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또한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61)는 중첩패턴축적부(35)에 마련된 중첩패턴의 각각을 사용하고, 표시화면상의 각 영상구간에 대하여 부수데이터를 중첩하고, 이렇게 부수데이터를 중첩한 후 표시화면에 표시되어 있는 영상 및 부수데이터로 구성되는 콘텐츠 전체의 평가값을 콘텐츠중요도를 고려하면서 구한다. 그리고 나서,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61)는 평가값이 최적이 될 경우(예를 들면, 값이 최대가 될 경우)의 중첩패턴을 부수데이터의 중첩표시로 사용하는 중첩패턴으로 하여 영상구간마다 결정한다.
평가값이 최적이 되는 분할패턴을 최적분할패턴으로 하고 평가값이 최적이 되는 중첩패턴을 최적중첩패턴으로 하여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61)는 최적분할패턴의 평가값과 최적중첩패턴의 평가값을 비교하고, 최적분할패턴 및 최적중첩패턴 중 평가값이 최적이 되는 쪽(예를 들면, 값이 큰 쪽)의 패턴을 영상 및 부수데이터의 표시로 사용하는 패턴으로 선택한다.
표시태양결정정보 61A는 영상변환파라미터, 부수데이터변환파라미터, 및 레이아웃정보를 포함한다. 영상변환파라미터는 결정한 표시태양에 적응하도록 영상을 변환하기 위한 파라미터이다. 부수데이터변환파라미터는 결정한 표시태양에 적응하도록 부수데이터를 변환하기 위한 파라미터이다. 레이아웃정보는 영상과 부수데이터의 배치레이아웃을 기술한 정보이다. 여기에서의 배치레이아웃은 분할패턴 또는 중첩패턴이다. 한편, 영상데이터와 부수데이터 사이의 중요도밸런스는 이용자로부터 제공되는 대신에, 즉, 이용자단말(1)로부터 수신하는 대신에, 콘텐츠의 제작자측으로부터 미리 제공되어도 좋다.
다음으로, 제4실시예의 콘텐츠표시시스템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콘텐츠배신서버(6)가 이용자단말(1)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콘텐츠를 배신하는 동작을 설명한다.
이용자는 콘텐츠를 시청하고 싶을 경우, 이용자단말(1)을 조작하고, 시청하고 싶은 콘텐츠의 배신요구를 입력지시한다. 이용자단말(1)은 이용자의 조작에 따라 리퀘스트정보 1A, 표시화면정보 1B 및 중요도밸런스정보 1C를 통신네트워크(40)를 통해 콘텐츠배신서버(6)에 송신한다. 그러면, 콘텐츠배신서버(6)의 콘텐츠표시 태양결정부(61)는 수신한 리퀘스트정보 1A, 표시화면정보 1B 및 중요도밸런스정보 1C와 콘텐츠데이터베이스(3)가 축적하는 메타데이터에 근거하여 콘텐츠의 표시태양을 결정한다. 한편, 콘텐츠변환부(22)가 변환필콘텐츠를 생성하는 처리, 및 콘텐츠배신부(23)가 변환필콘텐츠를 배신하는 처리는 도 3에 제시한 스텝 S13으로부터 스텝 S16까지의 처리와 같다.
다음으로,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61)가 콘텐츠의 표시태양을 결정하는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1은 제4실시예에 있어서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가 콘텐츠의 표시태양을 결정하는 처리를 보여주고 있다.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61)는 제1실시예의 경우와 같이, 수신된 리퀘스트정보 1A에 근거하여 배신요구된 콘텐츠의 영상데이터와 배신요구된 콘텐츠의 각 부수데이터를 콘텐츠데이터베이스(3)로부터 추출한다. 또한,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61)는 배신요구된 콘텐츠에 대응하는 각 메타데이터를 각각 콘텐츠데이터베이스(3)로부터 추출한다.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61)는 추출한 메타데이터에 근거하여 영상데이터에 포함되는 각 영상구간을 특정한다.
다음으로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61)는 스텝 S101c에 있어서, 영상구간의 특정 결과에 근거하여 표시대상으로 삼는 영상구간을 지정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미리 분할 패턴을 n개 준비해 두고, 분할패턴축적부(34)가 n개의 분할패턴을 축적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61)는 스텝 S102a에서 소정의 변수 k를 k=1로 초기화하고, 콘텐츠 가치의 최대값을 Ⅴ=0max로 초기화한다.
다음으로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61)는 스텝 Sl03a에서 분할패턴축적부(34)로부터 k번째의 분할패턴을 읽어내고 스텝 Sl04a에서 읽어낸 분할패턴에 근거하여 처리 대상의 영상구간에 대하여 표시화면을 영상표시부와 부수데이터표시부로 분할한다. 다음으로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61)는 스텝 Sl05a에서 영상표시부에 최적인 형태로 영상을 변환하고, 변환후의 영상을 영상표시부에 표시했을 경우에 영상이 가질 가치(최대가치)를 미리 정한 평가함수를 사용하여 산출한다. 일반적으로 영상을 축소하는 만큼 영상을 시청하기 어려워지므로,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61)는 평가함수를 사용하여, 예를 들면, 영상을 축소하는 것에 따라 낮아지도록 영상의 가치를 구한다. 마찬가지로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61)는 스텝 Sl06a에서 부수데이터표시부에 최적인 형태로 영상구간에 대응하는 부수데이터를 변환하고, 변환후의 부수데이터를 부수데이터표시부에 표시했을 경우에 부수데이터가 가질 가치(최대가치)를 미리 정한 평가함수를 사용해서 산출한다. 일반적으로 표시화면에 표시하는 부수데이터의 항목수를 절감하는 만큼 표시할 수 있는 정보량이 적어지는 반면, 부수데이터의 표시에 필요로 하는 페이지 수가 줄고 부수데이터가 보기 쉬워진다. 여기서,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61)는 표시하는 부수데이터의 항목수와 그것들 항목의 중요도, 및 표시에 요하는 페이지 수를 변수로 하는 평가함수를 사용하고, 변환후의 부수데이터가 가질 가치를 결정한다.
다음으로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61)는 스텝 Sl07a에서 변환후의 영상 및 부수데이터에 근거하여 표시화면에 표시한 콘텐츠(즉, 영상 및 부수데이터) 전체의 가치 Ⅴ를 미리 정한 평가함수를 사용해서 산출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콘텐츠표시 태양결정부(61)는 영상 및 부수데이터 쌍방의 가치를 콘텐츠중요도정보 1C에 근거하여 가중한 평가함수를 쓰고 콘텐츠 전체의 가치 Ⅴ를 산출한다. 이 경우,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61)는, 예를 들면, 가장 단순한 방법으로서 단순히 영상 및 부수데이터 쌍방의 가치를 콘텐츠중요도정보 1C에 근거해서 가중해 가산한다.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61)는 스텝 Sl08a에서 구한 콘텐츠 전체의 가치 Ⅴ가 콘텐츠 가치의 최대값 Ⅴmax보다 클 것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산출한 콘텐츠 전체의 가치 Ⅴ가 콘텐츠 가치의 최대값 Ⅴmax보다 크다고 판단하면,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61)는 스텝 Sl09a에서 Ⅴmax에 Ⅴ를 대입하고, Ⅴmax의 값을 갱신하고, 현재 처리대상의 k번째의 분할패턴에 대해서 영상표시부에서의 최적인 표시를 실현하는 영상변환파라미터, 및 부수데이터표시부에서의 최적인 표시를 실현하는 부수데이터변환파라미터를 생성하고, k번째의 분할패턴과 생성한 영상변환파라미터 및 부수데이터변환파라미터를 함께 메모리 등의 기억장치에 보존한다.
max의 값을 갱신하고, 분할패턴, 영상변환 파라미터 및 부수데이터변환파라미터를 보존하면,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61)는 스텝 S110b에서 변수 k에 1을 가산한다. 스텝 Sl08a에서 콘텐츠 전체의 가치 Ⅴ가 콘텐츠 가치의 최대값 Ⅴmax보다 크지 않다고 판단했을 경우에는,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61)는 스텝 Sl09a의 처리를 실행하지 않고, 그대로 변수 k에 1을 가산한다.
다음으로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61)는 스텝 S111a에서 변수 k의 값이 n보다 클 것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변수 k의 값이 n보다 크다고 판단하면,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61)는 모든 분할패턴에 대해서 처리를 완료했다고 판단하고, 그대로 스텝 Sl12a의 처리로 이행한다. 변수 k의 값이 n보다 크지 않다고 판단하면,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61)는 스텝 Sl03a으로 돌아오고, 스텝 Sl03a로부터 스텝 Sll0a까지의 처리를 되풀이해 실행한다. 즉,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61)는 미처리의 분할패턴이 존재한다고 판단하고, 분할패턴축적부(34)가 축적하는 다음 분할패턴을 읽어 내고, 그 분할패턴을 이용했을 때의 콘텐츠 가치를 평가한다.
한편, 스텝 S111a에 있어서 변수 k의 값이 n보다 크다고 판단하면,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61)는 스텝 Sl12a에 있어서, 기억장치에 현재 기억하고 있는 분할패턴, 영상변환파라미터 및 부수데이터변환파라미터를 추출해 출력한다. 즉,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61)는 콘텐츠 가치 Ⅴ가 최대가 될 때의 분할패턴, 영상변환파라미터 및 부수데이터변환파라미터를 출력한다.
이상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61)는 스텝 Sl02a로부터 스텝 S112a까지의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분할 패턴을 바꾸면서, 즉 k를 1씩 인크리먼트시키면서(k=k+1), 모든 분할패턴에 대해서 콘텐츠 전체의 가치를 산출한다. 그리고,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61)는 콘텐츠 전체의 가치가 가장 높은 분할 패턴을 영상과 부수데이터의 배치레이아웃으로 하여 사용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미리 중첩패턴을 m개 준비해 두고, 중첩패턴축적부(35)가 n개의 중첩패턴을 축적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61)는 스텝 Sl02b에서 각 중첩패턴에 대해서 처리를 행할 때에 채용하는 각 변수나 파 라미터를 초기화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소정의 변수 1을 1=1로 초기화하고, 소정값 W를 W=0으로 초기화한다. 한편, 변수 1은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61)가 중첩패턴축적부(35)가 축적하는 중첩패턴 중 현재 몇 번째의 중첩패턴을 이용하여 처리를 행하고 있을지를 나타내는 변수이다. Wmax는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61)가 중첩패턴마다 구하는 콘텐츠 가치의 최대값을 나타낸다.
다음으로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61)는 스텝 Sl03b에서 중첩패턴축적부(35)로부터 1번째의 중첩패턴을 읽어내고 스텝 Sl04b에서, 읽어낸 중첩패턴에 근거하여 처리 대상의 영상구간에 대하여 영상에 부수데이터를 중첩한다. 다음으로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61)는 스텝 S105b에서 영상구간에 대응하는 부수데이터를 최적인 형태로 변환하고, 변환후의 부수데이터를 부수데이터표시부에 표시했을 경우에 부수데이터가 가질 가치(최대가치)를 미리 정한 평가함수를 사용해서 산출한다. 일반적으로 표시화면에 표시하는 부수데이터의 항목수를 절감하는 만틈 표시할 수 있는 정보량이 적어지는 반면, 부수데이터의 표시에 필요로 하는 페이지 수가 줄고 부수데이터가 보기 쉬워진다. 여기서,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61)는, 예를 들면, 표시하는 부수데이터의 항목수와 그들 항목의 중요도, 및 표시에 요하는 페이지 수를 변수로 하는 평가함수를 사용하여 변환후의 부수데이터가 가질 가치를 결정한다.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61)는 스텝 Sl06b에서 표시화면에 최적인 형태로 영상을 변환하고, 변환후의 영상을 표시화면에 표시했을 경우에 영상이 가질 가치(최대가치)를 미리 정한 평가 함수를 채용해서 산출한다. 이 경우, 콘텐츠표시태양결정 부(61)는 평가함수를 사용하여 부수데이터가 중첩되는 것에 의한 가치의 감소도 고려한 영상가치를 구한다.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61)는, 예를 들면, 하늘이나 단일빛깔의 배경 등의 영상을 방해하지 않는 개소에 부수데이터를 중첩해서 표시할 경우에는 가치가 높아지도록 영상가치를 구한다. 반대로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61)는, 예를 들면, 주인공의 얼굴 위에 부수데이터를 중첩 표시하는 등 영상내용을 크게 방해할 경우에는 가치가 낮아지도록 영상가치를 구한다.
또한,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61)는 스텝 Sl07b에서 변환후의 영상 및 부수데이터에 근거하여 표시화면에 표시한 콘텐츠(즉, 영상 및 부수데이터)전체의 가치 W를 미리 정한 평가함수를 채용해서 산출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61)는 영상 및 부수데이터 쌍방의 가치를 콘텐츠중요도정보 1C에 근거해서 가중한 평가함수를 사용하여 콘텐츠 전체의 가치 Ⅴ를 산출한다.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61)는 스텝 S108b에서 구한 콘텐츠 전체의 가치 W가 콘텐츠 가치의 최대값 Wmax보다 클 것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산출한 콘텐츠 전체의 가치 W가 콘텐츠 가치의 최대값 Wmax보다 크다고 판단하면,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61)는 스텝 S109b에서 Wmax에 W를 대입하여 Wmax의 값을 갱신하고, 현재 처리대상의 1번째의 중첩패턴에 대해서 영상표시부에서의 최적인 표시를 실현하는 영상변환파라미터, 및 부수데이터표시부에서의 최적인 표시를 실현하는 부수데이터변환파라미터를 생성하고, 1번째의 중첩패턴과 생성한 영상변환파라미터 및 부수데이터변환 파라미터를 함께 메모리 등의 기억장치에 보존한다.
Wmax의 값을 갱신하고, 중첩패턴, 영상변환파라미터 및 부수데이터변환파라미터를 보존하면,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61)는 스텝 S110b에서 변수 1에 1을 가산한다. 스텝 S108b에서 콘텐츠 전체의 가치 W가 콘텐츠 가치의 최대값 Wmax보다 크지 않다고 판단했을 경우에는,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61)는 스텝 S109b의 처리를 실행하지 않고, 그대로 변수 1에 1을 가산한다.
다음으로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61)는 스텝 S111b에서 변수 1의 값이 m보다 클 것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변수 l의 값이 m보다 크다고 판단하면,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61)는 전체의 중첩패턴에 대해서 처리를 완료했다고 판단하고, 그대로 스텝 S112b의 처리로 이행한다. 변수 1의 값이 m보다 크지 않다고 판단하면,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61)는 스텝 S103b으로 돌아오고, 스텝 S103b으로부터 스텝 S110b까지의 처리를 되풀이해 실행한다. 즉,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61)는 미처리의 중첩패턴이 존재한다고 판단하고, 중첩패턴축적부(35)가 축적하는 다음 중첩패턴을 읽어 내고, 그 중첩패턴을 이용했을 때의 콘텐츠 가치를 평가한다.
한편, 스텝 S111b에서 변수 1의 값이 m보다 크다고 판단하면,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61)는 스텝 S112b에서 기억장치에 현재 기억하고 있는 중첩패턴, 영상변환파라미터 및 부수데이터변환파라미터를 추출해 출력한다. 즉,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61)는 콘텐츠가치 W가 최대가 될 때의 중첩패턴, 영상변환파라미터 및 부수데이터변환파라미터를 출력한다.
이상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61)는 스텝 S102b로부터 스 텝 S112b까지의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중첩패턴을 바꾸면서, 즉, k를 1씩 인크리먼트하면서(1=1+1), 모든 중첩패턴에 대해서 콘텐츠 전체의 가치를 산출한다. 그리고,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61)는 콘텐츠 전체의 가치가 가장 높은 중첩패턴을 영상과 부수데이터의 배치레이아웃으로 하여 채용한다.
이렇게 하여, 영상과 부수데이터의 배치레이아웃으로서 채용되어야 할 분할패턴 및 중첩패턴이 정해지면,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61)는 스텝 S112a에서 채용한 분할 패턴, 즉, 최적분할패턴에 대응하는 평가값 Vmax와 스텝 S112b에서 채용한 중첩패턴, 즉, 최적중첩패턴에 대응하는 평가값 Wmax를 비교하고, 최적분할패턴 및 최적중첩패턴 중 보다 높은 평가값을 가지는 쪽의 패턴을 영상 및 부수데이터의 표시로 채용하는 패턴으로 하여 최종적으로 채용한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예에서는 스텝 S113c에서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61)는 평가값 Ⅴmax이 평가값 Wmax 보다 클 것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평가값 Ⅴmax가 평가값 Wmax보다 크다고 판단하면,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61)는 스텝 S114c에서 콘텐츠 가치 Ⅴ가 최대가 될 때의 분할패턴, 영상변환파라미터 및 부수데이터변환 파라미터를 콘텐츠변환부(22)에 출력한다. 이 경우,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61)는 콘텐츠 가치 Ⅴ가 최대가 될 때의 분할패턴을 채용한 표시화면 상에 배치레이아웃을 나타내는 레이아웃 정보를 생성하고, 영상변환파라미터, 부수데이터변환파라미터 및 레이아웃정보를 포함하는 표시태양결정정보 61A를 콘텐츠변환부(22)에 출력한다. 한편, 스텝 S113c에서 평가값 Ⅴmax가 평가 값 Wmax보다 크지 않다고 판단했을 경우에는,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61)는 스텝 S115c에서 콘텐츠 가치 Ⅴ가 최대가 될 때의 중첩패턴, 영상변환파라미터 및 부수데이터변환파라미터를 콘텐츠변환부(22)에 출력한다. 이 경우,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61)는 콘텐츠 가치 Ⅴ가 최대가 될 때의 중첩패턴을 채용한 표시화면 상에 배치레이아웃을 나타내는 레이아웃정보를 생성하고, 영상변환파라미터, 부수데이터변환 파라미터 및 레이아웃정보를 포함하는 표시태양결정정보 61A를 콘텐츠변환부(22)에 출력한다.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61)는 이상에 나타낸 프로세스를 배신요구된 영상데이터에 포함되는 영상구간마다 되풀이한다. 그리고,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61)는 영상구간마다 모든 분할패턴 및 중첩패턴에 대해서 콘텐츠 가치를 산출해서 배치레이아웃을 결정하고 표시태양결정정보 61A를 출력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이 제4실시예에 따르면, 콘텐츠배신서버(6)는 영상데이터에 포함되는 영상구간마다 영상 및 대응하는 부수데이터의 내용에 맞춰 콘텐츠의 표시태양을 적절히 결정한다. 또한, 콘텐츠배신서버(6)는 결정한 표시태양에 따라 변환한 콘텐츠를 이용자단말(1)에 배신한다. 그리고, 이용자단말(1)은 배신된 콘텐츠에 따라 영상표시부와 부수데이터표시부를 영상구간마다 동적으로 변화시키면서 표시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르면, 콘텐츠의 표시태양을 영상구간마다 자동적으로 결정하고, 표시화면 및 콘텐츠의 구성에 따른 레이아웃으로 영상과 부수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콘텐츠 작성자가 각각의 정보(즉, 영상 및 부수데 이터)에 대하여 표시화면마다 화면구성을 설계하지 않아도, 표시화면 및 콘텐츠의 구성에 따른 레이아웃으로 영상과 부수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제4실시예에 따르면, 영상 및 부수데이터의 내용에 따라 영상구간마다 영상과 부수데이터와의 표시태양을 적절히 결정해 표시할 수 있으므로, 효과적으로 영상데이터와 부수데이터를 제시하는 콘텐츠표시시스템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콘텐츠배신서버(6)는 영상데이터와 부수데이터를 시청하는 쪽의 요구조건인 단말의 표시화면에 근거하여 콘텐츠의 표시태양을 적절히 결정한다. 그 때문에, 임의의 표시화면에 대하여 효과적으로 영상데이터와 부수데이터를 제시하는 콘텐츠표시시스템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콘텐츠배신서버(6)는 영상데이터와 부수데이터를 시청하는 쪽의 요구조건인 중요도밸런스에 근거하여 콘텐츠의 표시태양을 적절히 결정하므로, 이용자의 기호에 맞춰 효과적으로 영상데이터와 부수데이터를 제시하는 콘텐츠표시시스템을 실현할 수 있다.
제5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5실시예의 콘텐츠표시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술한 제1내지 제4실시예의 콘텐츠표시시스템에서는 이용자단말(1)로부터의 리퀘스트에 응해서 콘텐츠배신서버가 콘텐츠를 변환하고, 콘텐츠배신서버가 변환필콘텐츠를 이용자단말(1)에 배신하고 있다. 이에 대하여 제5실시예에서는 이용자가 리퀘스트한 콘텐츠 그대로를 단말에서 직접 받고, 이용자단말이나 이용자 홈서버에서 콘텐츠를 변환해 표시하도록 구성한 콘텐츠표시시스템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이용자단말은, 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해 콘텐츠 그대로를 다운로드하고, 다운 로드한 콘텐츠를 변환해서 표시한다. 또는 이용자 단말은, 예를 들면, 미리 콘텐츠를 축적하는 데이터베이스를 갗추고 미리 축적하는 콘텐츠를 변환해서 표시한다. 도 12는 제5실시예의 콘텐츠표시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콘텐츠표시시스템은 이용자단말(7), 키보드나 마우스 등의 입력장치(8), 디스플레이장치나 액정표시부 등의 표시부(9), 콘텐츠데이터베이스(3) 및 분할패턴축적부(34)를 포함하고 있다.
콘텐츠데이터베이스(3)는 콘텐츠 제작자에 의해 작성된 콘텐츠를 축적하는 것이며, 영상데이터축적부(31), 영상부수데이터축적부(32) 및 메타데이터축적부(33)를 포함한다. 영상데이터축적부(31)는 화면에 표시되기 위한 영상데이터를 저장한다. 영상부수데이터축적부(32)는 영상과 함께 표시되어야 할 정보인 부수데이터를 저장한다. 메타데이터축적부(33)는 콘텐츠 표시태양의 결정으로 채용할 수 있는 메타데이터를 저장한다.
분할패턴축적부(34)는 표시화면을 영상표시부와 부수데이터표시부로 분할하는 패턴을 나타내는 분할패턴을 미리 복수축적한다.
이용자단말(7)은 이용자가 사용하는 단말이며, 구체적으로는, 퍼스널 컴퓨터나 휴대전화기, PDA 등의 정보처리단말이다. 한편, 이용자단말(7)은 이들 이용자가 사용하는 정보처리단말에 한하지 않고, 콘텐츠를 표시할 수 있는 표시부를 구비하는 것 외의 콘텐츠표시단말이라도 좋다. 예를 들면, 이용자단말(7)은 텔레비전수신기나 전광게시판을 탑재한 단말, 자동차네비게이션단말 등이라도 좋다.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용자단말(7)은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71)와 콘텐츠변환부(72)를 포함한다.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71)는 이용자의 조작에 따라 리퀘스트정보 1A 및 표시화면정보 1B를 입력장치(8)로부터 입력하는 기능과 입력장치(8)로부터 주어진(입력된) 리퀘스트정보 1A 및 표시화면정보 1B를 이용하고, 제1실시예에서의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21)와 같은 처리를 행하고, 콘텐츠의 표시태양을 결정하는 기능과 결정한 표시태양을 나타내는 표시태양결정정보 71A를 생성하고 콘텐츠변환부(72)에 출력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콘텐츠변환부(72)는 영상데이터변환부(721), 부수데이터변환부(722), 및 콘텐츠배치부(723)를 포함한다. 영상데이터변환부(721), 부수데이터변환부(722) 및 콘텐츠배치부(723)의 기능은 제1실시예에 나타낸 것의 기능과 같다. 본 실시예에서는 변환필콘텐츠를 콘텐츠 배신서버가 이용자단말에 배신하는 대신에, 콘텐츠변환부(72)가 변환필콘텐츠에 근거해 영상 및 부수데이터를 콘텐츠표시부(9)에 표시시킨다.
제5실시예에 있어서, 이용자단말(7)의 기억장치(미도시)는 영상데이터 및 부수데이터를 포함하는 콘텐츠를 표시하기 위한 각종 프로그램을 기억하고 있다. 예를 들면, 이용자단말(7)의 기억장치는 컴퓨터에 영상구간마다 콘텐츠에 포함되는 영상데이터와 부수데이터를 표시화면에 표시할 때의 표시태양을 결정하는 처리, 영상구간마다 결정한 표시태양에 따라 영상데이터와 부수데이터를 배치한 콘텐츠를 생성하는 처리, 및 영상데이터와 부수데이터를 배치한 콘텐츠를 표시하는 처리를 실행시키기 위한 콘텐츠표시프로그램을 기억하고 있다.
이 콘텐츠표시시스템에 있어서,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71)는 리퀘스트정보 1A 및 표시화면정보 1B에 더해 중요도밸런스정보 1C를 입력장치(8)로부터 입력하는 것이어도 좋고, 이 경우,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71)는 리퀘스트정보 1A 및 표시화면정보 1B에 더해 중요도밸런스정보 1C에 근거하여 콘텐츠의 표시태양을 결정해도 좋다.
이 콘텐츠표시시스템은 분할패턴축적부(34)에 더해 중첩패턴축적부(35)를 포함해도 좋다. 그 경우,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71)는 분할패턴축적부(34)가 축적하는 분할패턴에 더해 중첩패턴축적부(35)가 축적하는 중첩패턴을 이용하고, 콘텐츠의 표시태양을 결정해도 좋다.
또한,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71)는 제1실시예에 나타낸 처리에 한하지 않고, 상술한 제2내지 제4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나타낸 표시태양결정 처리를 이용하여 콘텐츠의 표시태양을 결정해도 좋다.
이 제5실시예에 따르면, 제1 내지 제4실시예 중 어느 하나의 처리를 이용하여 이용자단말(7) 내에서 콘텐츠표시태양을 결정하고, 콘텐츠변환을 행할 수 있다.
제6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5실시예의 콘텐츠표시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술한 제1내지 제4실시예의 콘텐츠표시시스템에서는 콘텐츠배신서버가 콘텐츠의 표시태양을 결정하고, 결정한 표시태양에 따라 변환한 변환필콘텐츠를 이용자단말에 배신하고 있었다. 이에 대하여 제5실시예에서는 콘텐츠배신서버가 미변환의 콘텐츠 그대로를 이용자단말에 배신하고, 이용자단말이 결정된 표시태양에 따라 변환필콘 텐츠를 생성해 표시하도록 콘텐츠표시시스템이 구성되어 있다. 도 13은 제6실시예의 콘텐츠표시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콘텐츠표시시스템은 콘텐츠배신서버(80)가 콘텐츠변환부를 구비하지 않고, 이용자단말(90)이 콘텐츠변환부(92)를 구비하는 점에서, 제1실시예와 다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콘텐츠배신서버(80)의 콘텐츠배신부(83)의 기능은 제1실시예에 나타낸 콘텐츠배신부(23)의 기능과 다르다. 한편, 이 제6실시예에 있어서, 콘텐츠데이터베이스(3) 및 분할패턴축적부(34)가 축적하는 정보는 제1실시예에서 축적하는 정보와 같고, 콘텐츠배신서버(80)의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81)의 기능은 제1실시예에 나타낸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21)의 기능과 같다.
콘텐츠배신부(83)는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81)가 콘텐츠의 표시태양을 결정하면, 리퀘스트정보 1A에 근거하여 배신요구된 콘텐츠(즉, 영상데이터 및 부수데이터)를 콘텐츠데이터베이스(3)로부터 추출하는 기능, 및 추출한 콘텐츠와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81)가 생성한 표시태양결정정보 81A를 통신 네트워크(40)를 통해 이용자단말(90)에 송신하는 기능을 갖춘다.
이용자단말(90)의 콘텐츠변환부(92)는 표시태양결정정보 81A 및 콘텐츠를 통신네트워크(40)를 통해 콘텐츠배신서버(80)로부터 수신하는 기능을 갖추고,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영상데이터변환부(921), 부수데이터변환부(922), 및 콘텐츠배치부(923)를 포함하고 있다.
영상데이터변환부(921)는 표시태양결정정보 81A에 포함되는 영상변환 파라미 터를 사용하여 수신한 콘텐츠에 포함되는 영상데이터를 변환하는 기능을 갖춘다. 부수데이터변환부(922)는 표시태양결정정보 81A에 포함되는 부수데이터변환파라미터를 채용하고, 수신한 콘텐츠에 포함되는 부수데이터를 변환하는 기능을 갖춘다. 콘텐츠배치부(923)는 표시태양결정정보 81A에 포함되는 리퀴스트정보에 따라 영상데이터변환부(921)가 변환한 영상데이터와 부수데이터변환부(922)가 변환한 부수데이터를 레이아웃 위에 배치한 변환필콘텐츠를 생성하는 기능을 갖추고 있다. 또한, 콘텐츠배치부(923)는 변환필콘텐츠에 근거하여 액정표시부 등의 표시부(미도시)에 영상 및 부수데이터를 표시시키는 기능도 구비한다.
다음으로, 제6실시예의 콘텐츠표시시스템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4는 이용자단말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콘텐츠배신서버가 콘텐츠를 배신하는 처리를 나타내고 있다.
우선, 이용자단말(90)은 도 3에 보이는 스텝 S11과 같은 처리에 따라 스텝 S21에서 리퀘스트정보 1A 및 표시화면정보 1B를 통신네트워크(40)를 통해 콘텐츠배신서버(80)에 송신한다. 콘텐츠배신서버(80)의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81)는 도 3에 보이는 스텝 S12와 같은 처리에 따라 스텝 S22에 서 콘텐츠의 표시태양을 영상구간마다 결정한다.
콘텐츠의 표시태양을 결정하면, 콘텐츠배신부(83)는 리퀘스트정보 1A에 근거하여 스텝 S23에서 배신요구된 콘텐츠의 영상데이터를 콘텐츠데이터베이스(3)로부터 추출하고, 스텝S24에서 배신요구된 콘텐츠의 부수데이터를, 콘텐츠데이터베이스(3)로부터 추출한다.
다음으로 콘텐츠배신부(83)는 스텝 S25에서 추출한 영상데이터 및 부수데이터와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81)가 생성한 표시태양결정정보 81A를 통신네트워크(40)를 통해 이용자단말(90)에 송신한다. 바꿔 말하면 콘텐츠 배신부(83)는 변환필콘텐츠를 배신하는 대신에, 미변환의 콘텐츠 그대로(즉, 영상데이터 및 부수데이터)와 영상 및 부수데이터의 배치조건을 배신한다.
이용자단말(90)은 이들의 콘텐츠 및 표시태양결정정보 81A를 통신네트워크를 통해 콘텐츠배신서버(80)로부터 수신한다. 그러면, 콘텐츠변환부(92)는 수신한 콘텐츠 및 표시태양결정정보 81A에 근거하여 스텝 S26에서 영상데이터 및 부수데이터를 표시태양결정정보 81A에 나타낸 배치조건에 따라 변환해 배치하고 변환필콘텐츠를 생성한다. 그리고, 콘텐츠변환부(92)는 생성한 변환필콘텐츠에 근거하여 표시부에 영상 및 부수데이터를 표시시킨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81)는 리퀘스트정보 1A 및 표시화면정보 1B에 더해 중요도밸런스정보 1C를 이용자단말(90)로부터 수신해도 좋다. 그 경우,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81)는 리퀘스트정보 1A 및 표시화면정보 1B에 더해 중요도밸런스정보 1C에 근거하여 콘텐츠의 표시태양을 결정해도 좋다.
콘텐츠표시시스템은 분할패턴축적부(34)에 더해 중첩패턴축적부(35)를 포함해도 좋다. 그 경우,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81)는 분할패턴축적부(34)가 축적하는 분할패턴에 더해 중첩패턴축적부(35)가 축적하는 중첩패턴을 이용하여 콘텐츠의 표시태양을 결정해도 좋다.
또한,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81)는 제1실시예에 나타낸 처리에 한하지 않고, 상술한 제2 내지 제4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나타낸 표시태양결정처리를 이용하여 콘텐츠의 표시태양을 결정해도 좋다.
이상 설명한 제1내지 제6실시예에서는 표시태양결정처리시 콘텐츠데이터베이스로부터 메타데이터를 추출할 경우를 설명했지만, 이들의 실시예에서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는 각 영상구간에 대한 메타데이터, 및 각 영상구간의 부수데이터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리얼타임(real time)으로 생성해도 좋다. 예를 들면,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는 표시대상의 콘텐츠에 대응하는 메타데이터(즉, 영상 메타데이터나 부수메타데이터)를 생성하는 메타데이터생성부를 구비하고, 그 메타데이터생성부가 생성한 메타데이터에 근거하여 표시대상의 콘텐츠의 표시태양을 결정하도록 해도 좋다. 메타데이터생성부는, 예를 들면, 프로그램에 따라 동작하는 서버의 CPU에 의해 구성된다.
예를 들면,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는 영상데이터 전체에 대한 메타데이터로서 영상의 해상도를 영상데이터로부터 취득할 수 있다(구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는 재생중의 영상데이터로부터 실시간으로 영상의 커트(cut) 변화를 자동검출하는 것에 의해, 메타데이터로서 영상구간을 리얼타임으로 추출할 수 있다. 이 경우,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는 커트를 검출할 때마다 검출한 커트를 새로운 샷(shot)의 시작점에 그 검출한 커트 이전의 프레임을 이전의 샷의 종료점으로서 채용할 수 있다. 여기서 쓸 수 있는 커트검출방법으로는, 예를 들면, Ullas Gargi, Rangachar Kasturi, Susan H. Strayer,"perfomance Characterization of Ⅵdeo-Shot-Change Detection Methods", IEEE Transaction on Circuits and Systems for Video Technology, Vol. 10, No. 1, February 2000에 기재되어 있는 방법이 있다.
또는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는 각 영상구간에 대한 메타데이터로서 영상 중으로부터 등장물을 포함하는 영역 등의 주목영역을 자동적으로 추출 함으로써 주목영역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쓸 수 있는 주목영역의 추출방법으로는, 예를 들면, A.Mohan, C. Papageorgiou, T. Poggio, "Example-Based Object Detectionin in Image by Components", IEEE Trans. on PAMI, Vol. 23, No. 4, pp. 349-361, 2001에 기재되어 있는 것이 있다.
또한,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는 각 영상구간의 부수데이터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부수데이터에 포함되는 각 표시항목 및 각 항목의 문자수를 카운트함으로써 자동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상술한 제1내지 제6실시예에서는, 각 영상구간에 대응하는 부수데이터가 반드시 존재하는 것으로 설명을 했지만, 모든 영상구간에 대하여 부수데이터가 존재한다고는 할 수 없다. 예를 들면, 영상데이터가 프로그램간의 텔레비전커머셜(television commercial) 등의 영상을 포함할 경우, 텔레비전커머셜의 영상구간에 대응하는 부수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콘텐츠표시태양결정부는 영상구간에 대하여 부수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부수데이터를 표시하지 않고, 그 영상구간에 대응하는 영상만을 표시하도록 표시태양을 결정하면 좋다.
실시예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근거하는 콘텐츠표시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상술한 콘텐츠표시시스템에 있어서, 복수의 토픽을 포함하는 뉴스프로그램이 영상데이터로 마련되어, 미리 콘텐츠데이터베이스(3)에 축적되고, 부수데이터로서 각 뉴스토픽의 타이틀과 토픽의 상세한 내용을 나타내는 텍스트가 마련되어서 미리 콘텐츠데이터베이스(3)에 축적되어 있다. 영상용메타데이터로서 영상의 해상도가 미리 콘텐츠데이터베이스(3)에 축적되고, 부수데이터용메타데이터로서 각 뉴스토픽의 타이틀과 상세 텍스트의 문자수 및 각 토픽의 중요도가 미리 콘텐츠데이터베이스(3)에 축적되어 보유되어 있다. 콘텐츠배신서버는 이용자단말(1)로부터 리퀘스트(배신요구)된 영상데이터와 부수데이터를 이용자단말의 표시능력에 맞춰서 표시하는 기능을 갖추고 있다.
본 발명자들은 텔레비전수신기나 휴대전화기 등의 복수의 단말을 사용하고, 콘텐츠배신서버에 액세스하여 뉴스프로그램을 리퀘스트함으로써 콘텐츠를 표시화면에 표시시키는 실험을 행했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영상과 부수데이터의 중요도밸런스로서, 이하에 보이는 3종류의 중요도밸런스를 주었을 경우에 대해서 각각 실험을 행했다.
1) 우선, 영상과 부수데이터의 중요도가 항상 균등해지도록 실험을 행했다.
2) 이용자가 뉴스의 토픽에 흥미가 있을 경우를 상정하고, 토픽표시 중에는 영상의 중요도가 높아지도록 하고 아나운서가 찍히고 있는 영상구간에 대하여 영상의 중요도가 낮아지도록 실험을 행했다.
3)이용자가 특정한 아나운서의 팬일 경우를 상정하여 그 아나운서 찍히고 있 는 영상구간의 영상의 중요도가 높아지도록 하고, 뉴스의 토픽을 문자로 재빠르게 이해하고 싶을 경우를 상정하여 토픽표시 중에는 부수데이터의 중요도가 높아지도록 실험을 행했다.
도 15 및 도 16은 콘텐츠표시시스템을 채용해 실시한 실험결과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5는 텔레비전수신기로부터 뉴스프로그램을 배신요구했을 경우에 결정한 표시태양에 따라 표시한 표시화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 16은 휴대전화기로부터 뉴스프로그램을 배신요구했을 경우에 결정한 표시태양에 따라 표시한 표시화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험의 결과 표시화면의 해상도 720×480 화소인 텔레비전수신기로부터 뉴스프로그램을 리퀘스트하면, 표시화면의 좌우에 영상과 부수데이터가 배치되어 표시되었다. 또한, 상세 텍스트의 길이와 토픽의 중요도에 따라 부수데이터의 표시 범위가 영상구간마다 변동했다.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화면의 해상도 240×320 화소인 휴대전화기로부터 리퀘스트하면 세로방향(도면의 상하)에 영상과 부수데이터가 배치되어 표시되었다. 또한, 상세 텍스트의 길이가 짧을 경우를 제외하고 타이틀만이 표시되었다. 또한, 이용자가 준 중요도밸런스에 따라 씬(scene)(영상구간)마다 보다 클로즈업되는 미디어(영상 또는 부수데이터)가 적절히 변화되어서 표시되었다.
이 실시예에서는 프로그램의 실황게시판이 많이 준비되어 콘텐츠데이터베이스에 축적되어 있다. 프로그램영상과 게시판의 내용을 동시에 표시할 경우에는 프로그램의 각 씬에 대한 게시판의 기입 분량에 맞춰 프로그램과 기입의 표시 밸런스 를 최적으로 조정하면서 표시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서는 영상데이터에 포함되는 영상구간마다 영상 및 대응하는 부수데이터의 내용에 맞춰서 콘텐츠의 표시태양이 적절히 결정된다. 그 때문에, 효과적으로 영상데이터와 부수데이터를 제시하는 콘텐츠표시시스템이 실현되고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영상데이터와 부수데이터를 시청하는 쪽의 요구조건인 단말의 표시화면에 근거하여 콘텐츠의 표시태양이 적절히 결정된다. 그 때문에, 임의의 표시화면에 대하여 효과적으로 영상데이터와 부수데이터를 제시하는 콘텐츠표시시스템이 실현되고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영상데이터와 부수데이터를 시청하는 쪽의 요구조건인 중요도밸런스에 근거하여 콘텐츠의 표시태양이 적절히 결정된다. 그 때문에, 이용자의 기호에 맞춰서 효과적으로 영상데이터와 부수데이터를 제시하는 콘텐츠표시시스템이 실현되어 있다.
본 발명은 영상데이터와 부수데이터를 임의의 표시화면에 표시하는 콘텐츠표시시스템이나 콘텐츠표시시스템을 컴퓨터로 실현하기 위한 콘텐츠표시프로그램 등의 용도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텔레비전방송이나 인터넷방송 등의 영상데이터와, 예를 들면, 텍스트정보나 웹정보 등의 영상데이터에 관련되는 부수데이터를 휴대전화기나 퍼스널컴퓨터, PDA 등 임의의 표시화면에 효율적으로 표시하는 용도에도 적용가능하다.

Claims (34)

  1. 복수의 영상구간으로 이루어지는 영상데이터와 해당 영상데이터에 부수되는 부수데이터를 포함하는 콘텐츠를 표시하는 콘텐츠표시시스템으로서,
    표시대상의 콘텐츠에 포함되는 영상데이터와 부수데이터를 표시화면에 표시할 때의 표시태양을 영상구간마다 결정하는 콘텐츠표시태양결정수단을 가지는 콘텐츠표시시스템.
  2. 복수의 영상구간으로 이루어지는 영상데이터와 해당 영상데이터에 부수되는 부수데이터를 포함하는 콘텐츠를 표시하는 콘텐츠표시시스템으로서,
    표시대상의 콘텐츠에 포함되는 영상데이터와 부수데이터를 표시화면에 표시할 때의 표시태양을 영상구간마다 결정하는 콘텐츠표시태양결정수단, 및
    상기 영상구간마다 상기 콘텐츠표시태양결정수단이 결정한 표시태양에 따라 상기 영상데이터와 상기 부수데이터가 배치된 콘텐츠를 생성하는 콘텐츠배치수단을 가지는 콘텐츠표시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배치수단이 생성한 콘텐츠를 표시하는 콘텐츠표시수단을 가지는 콘텐트표시시스템.
  4. 복수의 영상구간으로 이루어지는 영상데이터와 해당 영상데이터에 부수되는 부수데이터를 포함하는 콘텐츠를 표시하는 콘텐츠표시시스템으로서,
    표시화면의 크기를 나타내는 표시화면정보, 각 영상구간에 대응하는 영상의 속성정보를 포함하는 영상메타데이터, 및 상기 영상구간에 대응하는 각 부수데이터의 속성정보를 포함하는 부수메타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영상과 상기 부수데이터를 상기 표시화면에 표시할 때의 표시태양을 영상구간마다 결정하는 콘텐츠표시태양결정수단,
    상기 콘텐츠표시태양결정수단이 결정한 표시태양에 따라 상기 영상을 변환하는 영상변환수단,
    상기 콘텐츠표시태양결정수단이 결정한 표시태양에 따라 상기 부수데이터를 변환하는 부수데이터변환수단,
    상기 영상구간마다 상기 콘텐츠표시태양결정수단이 결정한 표시태양에 따라 상기 영상변환수단이 변환한 영상과 상기 부수데이터 변환수단이 변환한 부수데이터가 배치된 콘텐츠를 생성하는 콘텐츠배치수단을 가지는 콘텐츠표시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배치수단이 생성한 상기 콘텐츠를 표시하는 콘텐츠표시수단을 더 가지는 콘텐츠표시시스템.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표시태양결정수단은 상기 표시화면정보, 상기 각 영상메타데이터, 및 상기 각 부수메타데이터에 더해 이용자의 기호 또는 각 영상구간의 중요도와 대응하는 각 부수데이터의 중요도와의 밸런스를 나타 내는 중요도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상기 표시태양을 결정하는 콘텐츠표시시스템.
  7.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표시태양결정수단은 표시대상의 콘텐츠에 대응하는 영상메타데이터 및 부수메타데이터를 생성하는 메타데이터생성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메타데이터생성수단이 생성한 영상 메타데이터 및 부수메타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표시대상의 콘텐츠의 표시태양을 결정하는 콘텐츠표시시스템.
  8. 제4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표시태양결정수단은 상 각 영상구간에 대하여 표시화면을 콘텐츠에 포함되는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표시부와 상기 콘텐츠에 포함되는 부수데이터를 표시하는 부수데이터표시부로 분할하고,
    상기 영상표시부에 표시하는 영상 및 상기 부수데이터표시부에 표시하는 부수데이터로 구성되는 콘텐츠의 평가값이 최적이 되도록 분할의 태양을 결정함으로써 표시대상의 콘텐츠의 표시태양을 결정하는 콘텐츠표시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화면을 상기 영상표시부와 상기 부수데이터표시부로 분할하는 패턴을 나타내는 분할패턴을 미리 복수축적하는 분할패턴축적수단을 가지고,
    상기 콘텐츠표시태양결정수단은
    상기 영상구간마다 상기 분할패턴축적수단이 축적하는 각 분할패턴을 사용하여 상기 표시화면을 상기 영상표시부와 상기 부수데이터표시부로 분할하고,
    상기 영상구간마다 상기 표시대상의 콘텐츠를 상기 영상표시부와 상기 부수데이터표시부로 분할해서 표시했을 경우의 상기 콘텐츠의 평가값을 구하고,
    상기 영상구간마다 상기 분할패턴축적수단이 축적하는 각 분할패턴 중 구한 평가값이 최대가 될 경우의 분할 패턴을 상기 표시대상의 콘텐츠의 표시에 사용하는 분할패턴으로 결정하는 콘텐츠표시시스템.
  10. 제4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표시태양결정수단은
    상기 각 영상구간에 대하여 영상에 대응하는 부수데이터를 영상에 중첩하고,
    상기 각 영상구간에 대하여 상기 부수데이터를 영상에 중첩해서 표시했을 경우에 표시하는 영상 및 부수데이터로 구성되는 콘텐츠의 평가값이 최적이 되도록 중첩의 태양을 결정함으로써, 상기 표시대상의 콘텐츠의 표시태양을 결정하는 콘텐츠표시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부수데이터를 영상에 중첩해서 표시하는 패턴을 나타내는 중첩패턴을 미리 복수축적하는 중첩패턴축적수단을 가지고,
    상기 콘텐츠표시태양결정수단은
    상기 영상구간마다 상기 중첩패턴축적수단이 축적하는 각 중첩패턴을 이용해 상기 부수데이터를 영상에 중첩시켜,
    상기 영상구간마다 상기 표시대상의 콘텐츠에 근거하여 상기 부수데이터를 영상에 중첩해서 표시했을 경우의 상기 콘텐츠의 평가값을 구하고,
    상기 영상구간마다 상기 중첩패턴축적수단이 축적하는 각 중첩패턴 중 구한 평가값이 최대가 될 경우의 중첩패턴을 표시대상의 콘텐츠의 표시에 사용하는 중첩패턴으로 결정하는 콘텐츠표시시스템.
  12. 제4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표시태양결정수단은
    상기 각 영상구간에 대하여 상기 표시화면을 상기 콘텐츠에 포함되는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표시부와 상기 콘텐츠에 포함되는 부수데이터를 표시하는 부수데이터 표시부로 분할하고,
    상기 각 영상구간에 대하여 영상에 대응하는 상기 부수데이터를 해당 영상에 중첩하고,
    상기 각 영상구간에 대하여 영상 및 부수데이터를 분할해서 표시하는 태양을 사용해서 표시대상의 콘텐츠를 표시했을 경우의 상기 콘텐츠의 평가값과 상기 부스데이터를 영상에 중첩시키는 태양을 사용하여 상기 콘텐츠를 표시했을 경우의 상기 콘텐츠의 평가값에 근거하여 평가값이 최적이 되는 쪽의 태양을 선택함으로써 표시대상의 콘텐츠의 표시방법을 결정하는 콘텐츠표시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화면을 영상표시부와 부수데이터표시부로 분할하 는 패턴을 나타내는 분할패턴을 미리 복수축적하는 분할패턴축적수단, 및
    상기 부수데이터를 영상에 중첩해서 표시하는 패턴을 나타내는 중첩패턴을 미리 복수축적하는 중첩패턴축적수단을 가지고
    상기 콘텐츠표시태양결정수단은
    상기 영상구간마다 상기 분할패턴축적수단이 축적하는 각 분할패턴을 사용하여 상기 표시화면을 상기 영상표시부와 상기 부수데이터표시부로 분할하고
    상기 영상구간마다 상기 표시대상의 콘텐츠를 상기 영상표시부와 상기 부수데이터표시부로 분할해서 표시했을 경우의 상기 콘텐츠의 제1평가값을 구하고,
    상기 영상구간마다 상기 분할패턴축적수단이 축적하는 각 분할패턴 중 구한 제1평가값이 최대가 될 경우의 분할 패턴을 선택하고,
    상기 영상구간마다 상기 중첩패턴축적수단이 축적하는 각 중첩패턴을 사용하여 상기 부수데이터를 영상에 중첩시켜
    상기 영상구간마다 상기 표시대상의 콘텐츠에 근거하여 상기 부수데이터를 영상에 중첩해서 표시했을 경우의 상기 콘텐츠의 제2평가값을 구하고,
    상기 영상구간마다 상기 중첩패턴 축적수단이 축적하는 각 중첩패턴 중 구한 제2평가값이 최대가 될 경우의 중첩패턴을 선택하고,
    영상구간마다 선택한 상기 분할패턴과 상기 중첩패턴 중 평가값이 최대가 되는 쪽의 패턴을 선택함으로써 표시대상의 콘텐츠의 표시태양을 결정하는 콘텐츠표시시스템.
  14. 제8항, 제9항, 제12항, 및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표시태양결정수단은
    상기 영상구간마다 상기 영상표시부에 표시하는 영상을 평가하기 위한 제1평가함수, 상기 부수데이터표시부에 표시하는 부수데이터를 평가하기 위한 제2평가함수, 및 각 영상과 상기 영상에 대응하는 부수데이터 사이의 중요도밸런스를 나타내는 제3평가함수를 사용하여 상기 표시대상의 콘텐츠의 평가값을 구하고,
    구한 평가값이 최적이 되도록 각 영상구간에 대한 표시화면의 분할의 태양을 결정하는 콘텐츠표시시스템.
  15. 제10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표시태양결정수단은
    상기 영상구간마다 영상에 중첩하여 표시하는 부수데이터를 평가하기 위한 제1평가함수, 표시하는 영상을 평가하기 위한 제2평가함수, 및 각 영상과 상기 영상에 대응하는 부수데이터와의 사이의 중요도의 밸런스를 나타내는 제3평가함수를 사용하여 상기 표시대상의 콘텐츠의 평가값을 구하고,
    구한 평가값이 최적이 되도록 부수데이터를 영상이 중첩되는 태양을 영상구간마다 결정하는 콘텐츠표시시스템.
  16. 복수의 영상구간으로 이루어지는 영상데이터와 해당 영상데이터에 부수되는 부수데이터를 포함하는 콘텐츠를 배신하는 콘텐츠배신시스템으로서,
    이용자단말, 및
    콘텐츠를 배신하는 콘텐츠배신서버를 가지고,
    상기 이용자단말은 콘텐츠의 배신요구를 통신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콘텐츠배신서버로 송신하는 콘텐츠요구수단을 가지고,
    상기 콘텐츠배신서버는
    상기 이용자단말로부터 콘텐츠의 배신요구를 수신하면 배신요구된 콘텐츠에 포함되는 영상데이터와 부수데이터를 표시화면에 표시할 때의 표시태양을 영상구간마다 결정하는 콘텐츠 표시태양결정수단,
    상기 영상구간마다 상기 콘텐츠표시태양결정수단이 결정한 표시태양에 따라상기 영상데이터와 상기 부수데이터가 배치된 콘텐츠를 생성하는 콘텐츠배치수단, 및
    상기 콘텐츠배치수단이 생성한 콘텐츠를 상기 통신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이용자단말에 송신하는 콘텐츠배신수단을 가지는 콘텐츠배신시스템.
  17. 복수의 영상구간으로 이루어지는 영상데이터와 해당 영상데이터에 부수되는 부수데이터를 포함하는 콘텐츠를 배신하는 콘텐츠배신서버로서,
    배신요구된 콘텐츠에 포함되는 영상데이터와 부수데이터를 표시화면에 표시할 때의 표시태양을 영상구간마다 결정하는 콘텐츠표시태양결정수단을 구비한 콘텐츠배신서버.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표시태양결정수단이 결정한 표시태양을 나타내는 표시태양결정정보를 생성하는 결정정보생성수단, 및
    배신요구된 콘텐츠, 및 상기 결정정보생성수단이 생성한 표시태양결정정보를 상기 통신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이용자단말에 송신하는 콘텐츠배신수단을 구비하는 콘텐츠배신서버.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표시태양결정수단이 결정한 표시태양에 따라 상기 영상구간마다 상기 영상데이터와 상기 부수데이터가 배치된 콘텐츠를 생성하는 콘텐츠배치수단을 구비한 콘텐츠배신서버.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배치수단이 생성한 콘텐츠를 상기 통신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이용자단말에 송신하는 콘텐츠배신수단을 구비한 콘텐츠배신서버.
  21. 복수의 영상구간으로 이루어지는 영상데이터와 해당 영상데이터에 부수되는 부수데이터를 포함하는 콘텐츠를 배신하는 콘텐츠배신서버로서,
    상기 영상데이터에 포함되는 각 영상, 및 상기 영상에 대응하는 부수데이터의 표시형태에 관한 요구조건에 근거하여 상기 영상과 상기 부수데이터를 상기 표시화면에 표시할 때의 표시태양을 영상구간마다 결정하는 콘텐츠표시태양결정수단,
    상기 콘텐츠표시태양결정수단이 결정한 표시태양에 따라 상기 영상을 변환하 는 영상변환수단,
    상기 콘텐츠표시태양결정수단이 결정한 표시태양에 따라 상기 부수데이터를 변환하는 부수데이터변환수단,
    상기 영상구간마다 상기 콘텐츠표시태양결정수단이 결정한 표시태양에 따라 상기 영상변환수단이 변환한 영상과 상기 부수데이터 변환수단이 변환한 부수데이터가 배치된 콘텐츠를 생성하는 콘텐츠배치수단, 및
    상기 콘텐츠배치수단이 생성한 콘텐츠를 이용자단말에 배신하는 콘텐츠배신 수단을 가지는 콘텐츠배신서버.
  22. 복수의 영상구간으로 이루어지는 영상데이터와 해당 영상데이터에 부수되는 부수데이터를 포함하는 콘텐츠를 표시하는 콘텐츠표시방법으로서,
    표시대상의 콘텐츠에 포함되는 영상데이터와 부수데이터를 표시화면에 표시할 때의 표시태양을 영상구간마다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텐츠표시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구간마다 결정한 표시태양에 따라 영상데이터와 부수데이터가 배치된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하는 콘텐츠표시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결정한 표시태양에 따라 상기 생성한 콘텐츠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텐츠표시방법.
  25. 복수의 영상구간으로 이루어지는 영상데이터와 해당 영상데이터에 부수되는 부수데이터를 포함하는 콘텐츠를 표시하는 콘텐츠표시방법으로서,
    표시화면의 크기를 나타내는 표시화면정보, 상기 영상데이터에 포함되는 각 영상구간에 대응하는 영상의 속성정보를 포함하는 영상메타데이터, 및 상기 영상구간에 대응하는 부수데이터의 속성정보를 포함하는 부수메타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각 영상구간에 대해서 상기 영상데이터와 상기 부수데이터를 표시화면에 표시할 때의 표시태양을 상기 영상구간마다 결정하는 콘텐츠표시태양결정단계, 및
    상기 콘텐츠표시태양결정단계에서 결정한 태양을 사용하여 상기 영상데이터와 상기 영상데이터에 대응하는 부수데이터를 표시하는 콘텐츠표시단계를 가지는 콘텐츠표시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데이터에 포함되는 각 영상, 및 상기 영상에 대응하는 상기 부수데이터의 표시형태에 관한 요구조건으로서, 적어도 표시화면의 크기, 각 영상구간의 영상의 내용, 및 상기 영상구간에 대응하는 각 부수데이터의 내용의 조건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에 근거하여 상기 표시태양을 결정하는 콘텐츠표시방법.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표시태양결정단계에서 표시화면정보, 각 영상메타데이터, 및 부수메타데이터에 더해 이용자의 기호 또는 각 영상구간의 중요도와 대응하는 각 부수데이터의 중요도와의 밸런스를 나타내는 중요도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상기 표시태양을 결정하는 콘텐츠표시방법.
  28. 제25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표시태양결정단계는
    상기 각 영상구간에 대하여 표시화면을 콘텐츠에 포함되는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표시부와, 상기 콘텐츠에 포함되는 부수데이터를 표시하는 부수데이터 표시부로 분할하는 단계, 및
    상기 영상표시부에 표시하는 영상 및 상기 부수데이터표시부에 표시하는 부수데이터로 구성되는 콘텐츠의 소정의 평가값이 최적이 되도록 분할의 태양을 결정함으로써 상기 표시태양을 결정하는 단계를 가지는 콘텐츠표시방법.
  29. 제25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콘텐츠표시태양결정단계는
    상기 각 영상구간에 대하여 영상에 대응하는 부수데이터를 해당 영상에 중첩하는 단계, 및
    상기 각 영상구간에 대하여 상기 부수데이터를 상기 영상에 중첩해서 표시했을 경우에 표시하는 영상 및 부수데이터로 구성되는 콘텐츠의 평가값이 최적이 되도록 중첩의 태양을 결정함으로써 상기 표시태양을 결정하는 단계를 가지는 콘텐츠표시방법.
  30. 제25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표시태양결정단계는
    상기 각 영상구간에 대하여 표시화면을 콘텐츠에 포함되는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표시부와 상기 콘텐츠에 포함되는 부수데이터를 표시하는 부수데이터표시부로 분할하는 단계,
    상기 각 영상구간에 대하여 상기 영상에 대응하는 부수데이터를 해당 영상에 중첩하는 단계,
    상기 각 영상구간에 대하여 영상 및 부수데이터를 분할해서 표시하는 태양을 사용하여 상기 표시대상의 콘텐츠를 표시할 경우의 상기 콘텐츠의 제1평가값과 부수데이터를 영상에 중첩되는 태양을 사용하여 상기 콘텐츠를 표시했을 경우의 상기 콘텐츠의 제2평가값에 근거하여 평가값이 최적이 되는 쪽의 태양을 선택하는 것에 의해 상기 표시태양을 결정하는 단계를 가지는 콘텐츠표시방법.
  31. 제28항 또는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표시태양결정단계는
    상기 영상구간마다 상기 영상표시부에 표시하는 영상을 평가하기 위한 제1평가함수, 상기 부수데이터표시부에 표시하는 부수데이터를 평가하기 위한 제2평가함수, 및 각 영상과 상기 영상에 대응하는 부수데이터와의 중요도의 밸런스를 나타내는 제3평가함수를 사용하여 표시대상의 콘텐츠의 평가값을 구하는 단계, 및
    구한 평가값이 최적이 되도록 상기 각 영상구간에 대한 표시화면의 분할의 태양을 결정하는 단계를 가지는 콘텐츠표시방법.
  32. 제29항 또는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표시태양결정단계는
    상기 영상구간마다 상기 영상에 중첩해서 표시하는 부수데이터를 평가하기 위한 제1평가함수, 표시하는 영상을 평가하기 위한 제2평가함수, 및 각 영상과 상기 영상에 대응하는 부수데이터와의 사이의 중요도의 밸런스를 나타내는 제3평가함수를 사용하여 표시대상의 콘텐츠의 평가값을 구하는 단계,
    구한 평가값이 최적이 되도록 부수데이터를 영상이 중첩되는 태양을 상기 영상구간마다 결정하는 단계를 가지는 콘텐츠표시방법.
  33. 복수의 영상구간으로 이루어지는 영상데이터와 해당 영상데이터에 부수되는 부수데이터를 포함하는 콘텐츠를 표시하기 위한 콘텐츠표시프로그램으로서,
    컴퓨터에
    상기 영상구간마다 콘텐츠에 포함되는 영상데이터와 부수데이터를 표시화면에 표시할 때의 표시태양을 결정하는 처리,
    상기 영상구간마다 결정한 표시태양에 따라 상기 영상데이터와 상기 부수데이터가 배치된 콘텐츠를 생성하는 처리, 및
    상기 영상데이터와 상기 부수데이터가 배치된 콘텐츠를 표시하는 처리를 실행시키는 콘텐츠표시프로그램.
  34. 복수의 영상구간으로 이루어지는 영상데이터와 해당 영상데이터에 부수되는 부수데이터를 포함하는 콘텐츠를 배신하기 위한 콘텐츠배신프로그램으로서,
    컴퓨터에
    콘텐츠의 배신요구를 통신네트워크를 통해 이용자단말로부터 수신하는 처리,
    상기 이용자단말로부터 콘텐츠의 배신요구를 수신하면 배신요구된 콘텐츠에 포함되는 영상데이터와 부수데이터를 표시화면에 표시할 때의 표시태양을 상기 영상구간마다 결정하는 처리,
    상기 영상구간마다 결정한 표시태양에 따라 상기 영상데이터와 상기 부수데이터가 배치된 콘텐츠를 생성하는 처리, 및
    상기 영상데이터와 상기 부수데이터가 배치된 콘텐츠를 상기 통신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이용자단말에 송신하는 처리를 실행시키는 콘텐츠배신프로그램.
KR1020077026149A 2005-05-18 2006-05-18 콘텐츠표시시스템 및 콘텐츠표시방법 KR2007012104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145547 2005-05-18
JPJP-P-2005-00145547 2005-05-1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21049A true KR20070121049A (ko) 2007-12-26

Family

ID=37431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6149A KR20070121049A (ko) 2005-05-18 2006-05-18 콘텐츠표시시스템 및 콘텐츠표시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90025030A1 (ko)
EP (1) EP1883241B1 (ko)
JP (1) JPWO2006123744A1 (ko)
KR (1) KR20070121049A (ko)
CN (1) CN101223782A (ko)
WO (1) WO200612374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02288B2 (en) * 2003-03-14 2010-09-21 Starz Entertainment, Llc Video aspect ratio manipulation
CA2642253A1 (en) * 2006-03-07 2007-09-20 Nec Corporation Moving image distribution system and conversion device
JP5043405B2 (ja) * 2006-11-21 2012-10-10 シャープ株式会社 コンテンツ表示装置、およびコンテンツ表示装置の制御方法
JP2008167363A (ja) 2007-01-05 2008-07-17 Sony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100801993B1 (ko) * 2007-03-12 2008-02-12 김기연 멀티화면 콘텐츠 구현방법 및 구현 시스템
JP5121367B2 (ja) * 2007-09-25 2013-01-16 株式会社東芝 映像を出力する装置、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4582155B2 (ja) 2008-02-12 2010-11-17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9260818A (ja) * 2008-04-18 2009-11-05 Nec Corp サーバ装置とコンテンツ配信方法とプログラム
JP4675995B2 (ja) * 2008-08-28 2011-04-27 株式会社東芝 表示処理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表示処理方法
JP5388631B2 (ja) * 2009-03-03 2014-01-15 株式会社東芝 コンテンツ提示装置、及び方法
JP4852119B2 (ja) * 2009-03-25 2012-01-11 株式会社東芝 データ表示装置、データ表示方法、データ表示プログラム
US20120013799A1 (en) * 2009-03-30 2012-01-19 Syuuji Murayama Image display device and image processing method
JP5415225B2 (ja) * 2009-10-15 2014-02-12 ソニー株式会社 動画提供装置、動画提供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9237366B2 (en) * 2010-04-16 2016-01-12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distribution of 3D television program materials
US8599316B2 (en) * 2010-05-25 2013-12-03 Intellectual Ventures Fund 83 Llc Method for determining key video frames
JP2012235380A (ja) * 2011-05-06 2012-11-29 Sony Corp 受信装置及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9262413B2 (en) * 2012-06-06 2016-02-16 Google Inc. Mobile user interface for contextual browsing while playing digital content
JP6073664B2 (ja) * 2012-12-07 2017-02-01 株式会社東芝 コンテンツ再生装置及びコンテンツ再生プログラム
JP5988499B2 (ja) * 2013-03-12 2016-09-07 Kddi株式会社 Guiプログラム自動変更装置、自動変更方法及び自動変更プログラム
KR102176399B1 (ko) * 2014-05-28 2020-11-0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및 서버
KR20160044902A (ko) * 2014-10-16 2016-04-26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송 콘텐트와 관련한 부가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전자 장치
CN109905668B (zh) * 2019-02-19 2021-08-13 视联动力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摄像头画面部分的方法以及装置
JP7262335B2 (ja) * 2019-07-24 2023-04-21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データ 予測装置、学習装置、予測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4520917B (zh) * 2020-11-19 2024-02-23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视频编码方法、装置、终端设备以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49968A (ja) 1992-11-06 1994-05-31 Ricoh Co Ltd 文書処理装置
US6240555B1 (en) * 1996-03-29 2001-05-29 Microsoft Corporation Interactive entertainment system for presenting supplemental interactive content together with continuous video programs
JPH10232916A (ja) * 1997-02-19 1998-09-02 Canon Inc 画像編集装置及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媒体
US6023714A (en) * 1997-04-24 2000-02-08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dynamically adapting the layout of a document to an output device
US6959449B1 (en) * 1998-06-08 2005-10-25 Sony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simultaneously accessing video data and internet page data
US6754905B2 (en) * 1998-07-23 2004-06-22 Diva Systems Corporation Data structure and methods for providing an interactive program guide
JP4167777B2 (ja) * 1999-07-19 2008-10-22 三菱電機株式会社 映像表示装置、映像表示方法および映像を表示するため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US20010030667A1 (en) * 2000-04-10 2001-10-18 Kelts Brett R. Interactive display interface for information objects
JP2001296852A (ja) 2000-04-11 2001-10-26 Nippon Hoso Kyokai <Nhk> 映像表示方法
US20020040375A1 (en) * 2000-04-27 2002-04-04 Simon Richard A. Method of organizing digital images on a page
JP2002032747A (ja) 2000-07-18 2002-01-31 Kddi Corp 車両検出方法
JP4672856B2 (ja) * 2000-12-01 2011-04-20 キヤノン株式会社 マルチ画面表示装置及びマルチ画面表示方法
AU2001215568B2 (en) * 2000-12-01 2006-10-19 Ginganet Corporation Video terminal, video terminal communicating system, and videoconference system
AU2002242036B2 (en) * 2001-02-02 2008-01-24 Opentv, Inc. Service platform suite management system
JP2002351781A (ja) * 2001-05-30 2002-12-06 Fujitsu Ltd 画面表示用ページレイアウトを利用したコンテンツ生成装置
JP2003018553A (ja) 2001-06-29 2003-01-17 Sanyo Electric Co Ltd データ放送受信装置
JP2003032747A (ja) 2001-07-17 2003-01-31 Mitsubishi Electric Corp 端末装置および端末装置用プログラム
JP4055382B2 (ja) 2001-08-28 2008-03-05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ディジタルコンテンツ表示装置及びプログラム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4351405B2 (ja) * 2001-08-29 2009-10-28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 トランスコーディングシステム及びアノテーション管理装置
JP4352653B2 (ja) * 2002-04-12 2009-10-28 三菱電機株式会社 映像コンテンツ管理運用システム
CN101982979B (zh) 2002-07-16 2013-01-02 韩国电子通信研究院 立体适配方法和立体适配装置
JP4055944B2 (ja) * 2002-09-18 2008-03-05 日立ソフトウエア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Webコンテンツ変換方法及びシステム
JP2004118642A (ja) * 2002-09-27 2004-04-15 Nec Corp コンテンツ提供サーバ、コンテンツ提供方法、及びコンテンツ提供プログラム
US7555199B2 (en) * 2003-01-16 2009-06-30 Panasonic Corporation Recording apparatus, OSD controlling method,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JP2004326682A (ja) * 2003-04-28 2004-11-18 Tdk Corp コンテンツ配信方法及び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
JP5059282B2 (ja) * 2003-10-14 2012-10-24 ソニー株式会社 情報提供システム,情報提供サーバ,ユーザ端末装置,コンテンツ表示装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テンツ表示方法
JP4125249B2 (ja) * 2004-01-30 2008-07-30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プログラム
US20050188403A1 (en) * 2004-02-23 2005-08-25 Kotzin Michael D. System and method for presenting and editing customized media streams to a content providing device
US7616264B1 (en) * 2004-12-06 2009-11-10 Pixelworks, Inc. Cropped and scaled picture-in-picture system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883241A4 (en) 2012-03-21
WO2006123744A1 (ja) 2006-11-23
CN101223782A (zh) 2008-07-16
EP1883241A1 (en) 2008-01-30
US20090025030A1 (en) 2009-01-22
JPWO2006123744A1 (ja) 2008-12-25
EP1883241B1 (en) 2016-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121049A (ko) 콘텐츠표시시스템 및 콘텐츠표시방법
US7667862B2 (en) Method and system for streaming images to wireless devices
US6757707B1 (en) Displayed complementary content sources in a web-based TV system
US20100118035A1 (en) Moving image generation method, moving image generation program, and moving image generation device
US20080209493A1 (en) Contents Browsing Apparatus And Method
RU2606585C2 (ru) Преобразование контента для не требующих вмешательства развлечений
EP2144176A1 (en) Method for providing widgets
US20090119717A1 (en) Method and system for utilizing video content to obtain text keywords or phrases for providing content related to links to network-based resources
JP2012010117A (ja) 映像コンテンツに重畳する付加情報の領域を決定する映像出力装置、プログラム及び方法
US20070124311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web service to device without web browser
CN103988519A (zh) 为媒体浏览器创建封面艺术
KR20040058928A (ko) 사용자 선호의 프로그램 가이드를 위한 탬플릿 확장마크업 랭귀지(xml) 기반의 epg 전송방법 및 수신장치
JP2007013819A (ja) 画面変更方法、画面生成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US8700740B2 (en) CE device and content browsing system, and content browsing method thereof
JP2011193326A (ja) 放送映像に付加情報を重畳する放送映像出力装置、プログラム及び方法
CN104217028A (zh) 网络内容分发方法和装置
KR20170041263A (ko) 디바이스들에 대한 단말기 해상도 적응을 위한 시스템
KR20160068405A (ko) 디스플레이 장치, 그의 채널 리스트 디스플레이 방법, 서버 및 그의 제어 방법
US8797460B2 (en) Reception apparatus, reception method, and program
Cody et al. Open-standards rich media mobile platform & rapid service creation tool
JP2005284806A (ja) 情報提示装置及び情報提示方法等
Gatto et al. Application of recommendation techniques for Brazilian Portable Interactive Digital TV
JP2008103799A (ja) デジタル放送サービスシステム
CA2533258C (en) Extending data records for dynamic data and selective acceptance based on hardware profile
Cody et al. Open-standards rich media mobile platform & rapid deployment service creation to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