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18092A - 일으킴 장치 - Google Patents

일으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18092A
KR20070118092A KR1020077021544A KR20077021544A KR20070118092A KR 20070118092 A KR20070118092 A KR 20070118092A KR 1020077021544 A KR1020077021544 A KR 1020077021544A KR 20077021544 A KR20077021544 A KR 20077021544A KR 20070118092 A KR20070118092 A KR 200701180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tine
tine guide
tines
rai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15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51834B1 (ko
Inventor
하레미쓰 이나가키
야스히로 나오하라
마사아키 오다
토모요시 히로세
쥰야 사카타
Original Assignee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세이레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세이레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1180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80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18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18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57/00Delivering mechanisms for harvesters or mowers
    • A01D57/22Delivering mechanisms for harvesters or mowers for standing stalk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57/00Delivering mechanisms for harvesters or mow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Outside Dividers And Delivering Mechanisms For Harves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장(稈長)이 짧은 경우에 그 간장에 맞추어 타인(tine)의 작용 길이를 설정할 수 있도록, 타인 가이드(47)를 복수로 분할하여 단계적으로 타인의 작용 위치를 변경가능하게 함과 함께, 각 타인 가이드(47)에 규제 부재를 마련하여 상하 중간부에 배치한 타인 가이드만 안 쪽으로 슬라이딩될 수 없게 하여, 하측의 타인 가이드보다 상측의 타인 가이드가 작용 측으로 돌출되는 단차가 생기지 않는 일으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즉, 일으킴 케이스(41) 내에 무단(無端) 체인(46)을 수납하고, 상기 무단 체인(46)의 외주에 소정 간격을 두고 타인(6)을 지지하고, 곡간(穀稈) 끌어올림 작용 측의 일으킴 케이스(41) 내에 타인 가이드(47)를 배치한 일으킴 장치에 있어서, 상기 타인 가이드(47)를 길이 방향으로 3개 이상으로 분할하고, 가장 하측에 위치한 타인 가이드(47c) 이외를 반송 방향에 대하여 직각 방향으로 조절가능하게 구성하고, 상기 상하 방향으로 분할한 각 타인 가이드의 하부의 곡간 끌어올림 비작용 측에 규제판(47e)을 마련하고, 상기 규제판(47e)을 하방으로 돌출시켜 마련하였다.

Description

일으킴 장치{RAISING APPARATUS}
본 발명은 콤바인이나 바인더 등의 수확기의 일으킴 장치에 있어서, 일으킴용 타인(tine)을 안 쪽으로부터 가이드하는 타인 가이드의 구성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 일으킴 케이스로부터 돌출되는 타인 선단의 곡간(穀稈)에 대한 작용 길이를 변경가능하게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콤바인이나 바인더 등의 수확기에 있어서, 기체 전단(前端)에는 분초판이 마련되고, 그 후부(後部)에는 다수의 타인이 구비된 무단(無端) 체인을 일으킴 케이스에 배치하여, 곡간 일으킴 측으로 타인이 돌출되어 세로회전식 일으킴 장치를 구성하고 있다. 상기 일으킴 장치는 도복(倒伏) 곡간 등을 전진하면서 일으키고, 곡간을 대략 직립한 상태로 후방으로 반송하여 예취날(刈刃)에 의해 밑동을 예취(刈取)한다. 또한, 콤바인에 있어서, 예취된 곡간은 후부의 탈곡 장치로 반송되어 탈곡되고, 탈립(脫粒) 후의 배출된 짚은 그대로 또는 절단 또는 결속되어 논밭 상으로 방출되고, 벼 등은 선별되어 그레인 탱크에 저장된다.
이와 같이, 기체 전부(前部)에 배치된 일으킴 장치는 무단 체인의 외주에 소정 간격을 두고 회동가능하게 타인이 설비되고, 좌우의 일으킴 장치의 대향하는 측의 타인이 좌우 중앙 측으로 돌출되도록, 타인 돌출 측과 반대 측의 무단 체인 내 측에 타인 가이드가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타인 가이드는 일으킴 장치의 외측 즉, 돌출 측과 반대 측에는 배치되어 있지 않아 타인의 기부(基部)가 지지되지 않기 때문에, 무단 체인의 외주에서는 수납 상태로 회동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무단 체인이 상승 회동할 때에 타인을 돌출시키도록 함으로써, 도복된 곡간을 일으켜 세울 수 있으며, 곡간의 간장(稈長)은 벼나 밀 등의 종류나 품종, 지역 등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그 간장에 맞추어 타인을 돌출시킬 수 있도록 한 기술이 공지되어 있다(특허 문헌 1 참조).
이 기술은 상하 방향으로 배치된 타인 가이드의 하부를 일으킴 케이스에 대하여 설비하고, 타인 가이드의 상부를 일으킴 케이스에 대하여 좌우로 요동가능하게 부착하여, 간장이 긴 경우에는 타인 가이드를 상하 방향으로 세워 고정하고, 간장이 짧을 때에는 타인 가이드를 경사지게 하여 고정하여, 상부의 타인의 돌출 길이가 짧아지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타인 가이드를 상하 방향으로 분할하고, 상측의 타인 가이드를 좌우 요동가능하게 구성하고, 상기 상측의 타인 가이드의 상부를 세로 반송 장치와 와이어를 개재해 연결하여, 미치는 깊이의 조절에 연동하여 타인의 돌출 위치도 조절가능하게 한 기술도 공지되어 있다(특허 문헌 2 참조).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평10-164961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평6-45422호 공보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런데, 종래의 타인 가이드의 좌우 경사 각도를 조정가능하게 하여 간장에 맞추어 타인의 돌출 길이를 변경가능하게 한 기술에서는, 간장이 짧을 때, 좌우의 일으킴 장치에 있어서의 좌우의 타인의 간격이 상방이 될수록 서서히 넓어지는 구성이 되기 때문에, 일으킴 장치의 상부에 있어서 타인이 완전히 수납될 수 없는 부분은 간(稈)에 대한 일으킴 작용은 작지만, 약간 돌출되어 있는 부분에서 걸림이 발생하는 일이 있어, 밑동이 절단되어 그대로 상방으로 전달되므로 반송 장치에서 막힘이 발생하는 일이 있었다. 또한, 연약간(軟弱稈)을 일으킨 경우에도 걸리기 쉽기 때문에, 간이 들려지는 현상이 자주 발생하였다. 또한, 상하 중간부에서는, 타인 가이드가 경사져 있기 때문에 타인 선단부가 충분히 작용하지 않는 부분이 생겨, 일으킬 수 없는 간이 발생하는 일이 있었다.
또한, 타인 가이드를 상하로 분할하여 간장에 맞추어 상하로 타인의 작용 위치를 변경하도록 구성한 기술에 있어서는, 상측의 타인 가이드를 회동가능하게 구성하면, 상측과 하측의 타인 간에 단차 또는 틈이 생기게 된다. 이 단차 부분 또는 틈 부분에 타인의 기부가 접촉하여 타인이 손상될 우려가 있고, 큰 소음의 발생 원인이 되고 있었다.
여기서, 본 발명은 타인 가이드를 복수로 분할하여, 확실하게 작용하는 타인 가이드와 작용하지 않는 가이드로 분리가능함과 함께, 각 타인 가이드에 규제 부재를 마련하여, 상하 중간부에 위치한 타인 가이드만이 안 쪽으로 슬라이딩하지 않도록 하여, 상부에서 단차가 생기지 않는 일으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와 같으며, 이어서 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을 설명한다.
즉, 일으킴 케이스 내에 무단 체인을 수납하고, 상기 무단 체인의 외주에 소정 간격을 두고 타인을 지지하고, 곡간 끌어올림 작용 측의 일으킴 케이스 내에 타인 가이드를 배치한 일으킴 장치에 있어서, 상기 타인 가이드를 길이 방향으로 3 개 이상으로 분할하고, 가장 하측에 위치한 타인 가이드 이외를 반송 방향에 대하여 직각 방향으로 슬라이딩 조절가능하게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상하 방향으로 분할한 각 타인 가이드의 하부의 곡간 끌어올림 비작용 측에 규제판을 마련하고, 상기 규제판을 타인 가이드의 하측면에서 하방으로 돌출시켜 마련한 것이다.
<발명의 효과>
상기 구성에 의해, 논밭에 식생하는 곡간의 길이에 대응하여 단계적으로 타인을 돌출 상태에서 수납 상태로 하는 것이 가능해지며, 필요 이상으로 타인이 곡간의 수부(穗部) 작용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었다. 즉, 타인 가이드를 간장에 맞추어 조절함으로써, 타인이 상승회동되어 간을 끌어올려, 타인이 간의 상부에 닿으면 완전히 수납 위치 측으로 회동하여, 그 이상 높게 타인의 상승 회동에 수반하여 곡간을 끌어올리는 것이 없어져, 곡간으로부터 곡립(穀粒)을 뜯어내는 로스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타인의 상승에 수반하는 곡간의 끌어올림 작용도 간의 상단 부분으로부터 없어지기 때문에, 연약간이 들려지는 현상이나 밑동 절단 후의 곡간이 들려지는 현상을 저감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연약간이 들려지는 현상이나 절단간이 들려지는 현상 후의 반송 시에 있어서, 반송 흐트러짐이나 막힘 등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보리나 연약간을 일으킬 때의 부상(浮上)을 저감할 수 있어, 원활한 예취 작업을 실현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타인 가이드의 하부 측면의 곡간 끌어올림 비작용 측에 규제판을 마련했기 때문에, 하측의 타인 가이드의 바로 위에 위치하는 상측의 타인 가이드가 곡간 끌어올림 작용 측으로 돌출하는 것이 없어져, 타인의 기부가 돌출된 타인 가이드에 충돌하여 손상되거나 소음을 발생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으킴 장치를 구비한 콤바인의 전체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으킴 장치를 구비한 콤바인의 전체 평면도이다.
도 3은 일으킴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4는 일으킴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5는 일으킴 장치 측면도이다.
도 6은 종동 스프로킷(sprocket) 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7은 구동 스프로킷 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6…타인
41…일으킴 케이스
46…무단 체인
47…타인 가이드
47e…규제판
이어서,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도 1, 도 2 및 도 3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의 일형태인 콤바인(10)의 전체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한편, 본 발명은 본 실시예의 콤바인(10)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바인더나 야채 수확기 등 타인을 가지는 일으킴 장치를 가지는 수확기에 널리 적용가능하다.
크롤러식 주행 장치(1) 상에는 기체 프레임(2)이 탑재되고, 상기 기체 프레임(2)의 전단에 일으킴·예취부(3)가 승강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상기 일으킴·예취부(3)는 전단에 분초판(4)이 돌출되어 곡간을 분초하고, 그 후부에 일으킴 장치(5)가 세워 마련되어 상기 일으킴 장치(5)로부터 돌출된 타인(6)의 회전에 의해 곡간을 일으키고, 상기 분초판(4)의 후부에 배치된 예취날(7)에 의해 밑동을 예취하도록 하고 있다.
예취된 곡간은 상부 반송 장치(71), 하부 반송 장치(72), 수선(穗先) 반송 장치(73), 세로 반송 장치 등의 곡간 반송 기구(8) 등에 의해 후부로 반송되고, 상기 곡간 반송 기구(8)의 후상부(後上部)로부터 밑동은 피드 체인(9)으로 넘겨지고, 탈곡부(12) 내부로 곡간이 협지되어 반송된다. 그리고 상기 탈곡부(12)에 배치한 급동(扱胴)(21)의 회전에 의해 탈곡되고, 곡립 등은 탈곡부(12)의 하부에 배치된 선별부(17)에 의해 선별된다. 상기 피드 체인(9)의 후단에는 짚 배출 체인(18)이 배치되고, 상기 짚 배출 체인(18)의 후부 하방에 짚 배출 커터 장치, 확산 컨베이어 등으로 이루어지는 짚 배출 처리부(19)가 형성되어, 배출되는 짚을 절단하여 지푸라기로 한 후, 확산시키면서 논밭에 균일하게 방출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상기 탈곡부(12)의 측부에는 선별 후의 정립을 포대에 넣기 위한 탑 서커(13)가 배치되고, 상기 탑 서커(top sucker)(13)의 전부에는 조종부(14)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탈곡부(12)의 하부에는 선별부(17)가 배치되어, 탈곡부(12)로부터 흘러내리는 곡립이나 지푸라기 등(이하 ‘처리물’이라고 한다)으로부터 곡립을 선별하여, 상기 탑 서커(13)로 반송하도록 하고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일으킴 장치(5)에 대하여 설명한다.
일으킴 장치(5)는 각 조마다 마련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4조 베기로 하고 있으므로 4대 배치되고, 좌우 한 쌍의 일으킴 장치(5)를 대략 좌우 대칭으로 구성하고, 좌우 대향하여 배치한 것을 2조 예취부의 전단에 배치하여 4조 베기로 하고 있다.
상기 일으킴 장치(5)의 구성을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단, 일으킴 장치(5)는 대략 동일한 구성이며, 한 쌍의 일으킴 장치(5)는 대략 좌우 대칭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진행 방향 좌측의 일으킴 장치(5)에 대하여 설명한다.
일으킴 장치(5)는 일으킴 케이스(41)와 구동 스프로킷(43)과 종동 스프로킷(44)과 텐션 스프로킷(45)과 타인(6)을 마련한 무단 체인(46)과 타인 가이드(47) 등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일으킴 케이스(41)는 전 커버(41a)와 후 커버(41b)와 측판(41c)으로 구 성되고, 전 커버(41a)와 후 커버(41b)는 전후 맞춘 상태에서 단면에서 보았을 때 ‘ㄷ’자 형상으로 조립된다. 상기 일으킴 케이스(41)는 곡간 끌어올림 작용 측(타인 작용 측, 도 4에 있어서 좌측)을 개방하여, 타인(6)을 돌출가능하게 하고 있다. 즉,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전 커버(41a)의 측부를 ‘L’자 형상으로 절곡하여 측판(41c)을 형성하여, 곡간 끌어올림 비작용 측(비(非)타인 작용 측, 이하, 간단히 ‘비작용 측’)을 닫아, 타인 작용 측을 개방하고 있다. 단, 후 커버(41b)를 절곡하여 측판을 구성할 수도 있다. 전 커버(41a)와 후 커버(41b)의 사이의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전 커버(41a)와 후 커버(41b) 사이에는 칼라(collar)나 후술하는 보스부(47d)를 개재하여 볼트 등에 의해 고정하고 있다. 후 커버(41b)의 상부는 베벨 기어(bevel gear) 케이스(49)에 의해 지지되고, 하부는 지지간(15)을 개재하여 예취 프레임(16)에 의해 지지되고 있다.
전 커버(41a)와 후 커버(41b) 사이의 상부에는 구동 스프로킷(43)이 배치되고, 상기 구동 스프로킷(43)은 구동축(48)의 전단부에 고정되어 마련되고, 상기 구동축(48)은 후 커버(41b)의 상부를 고정하는 베벨 기어 케이스(49)에 베어링을 개재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구동축(48)의 후단부에 베벨 기어 케이스(49) 내에서 베벨 기어를 고정하여 마련하고, 상기 베벨 기어로부터 베벨 기어나 전동축 등을 개재하여, 예취 입력축(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 구동 스프로킷(43)에 동력이 전달되도록 하고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구동 스프로킷(43)의 대각선 하방에는 텐션 스프로킷(45)이 배치되고, 상기 텐션 스프로킷(45)은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 이, 지지축(50)을 개재하여 텐션 아암(51)에 지지되고, 상기 텐션 아암(51)은 상기 베벨 기어 케이스(49)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됨과 함께, 텐션 아암(51)의 선단부에 스프링(52)의 일단을 계지(係止)하고, 상기 스프링(52)의 타단을 후 커버(41b)의 상부에 계지하여, 무단 체인(46)을 긴장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종동 스프로킷(44)이 전 커버(41a)와 후 커버(41b) 사이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종동 스프로킷(44)은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 커버(41a)와 후 커버(41b) 사이의 하부에 전후 방향으로 가로로 마련한 지지축(69)에 베어링을 개재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있다. 상기 종동 스프로킷(44)의 폭 방향 중앙에 무단 체인(46)과 치합하는 치부가 형성되고, 그 양측의 외주에 타인(6)의 기부에 마련된 기립용 가이드(6a)가 접촉하는 가장자리부(44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무단 체인(46)의 외주에는 소정 간격을 두고 타인(6)의 기부가 요동가능하게 설비되고, 상기 타인(6)은 합성 수지 등으로 구성되어 선단을 첨상(尖狀)으로 하고, 기부 양측에는 기립용 가이드(6a)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기립용 가이드(6a)는 타인(6) 본체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대략 직각 방향으로 연장되어, 무단 체인(46)의 양측을 지탱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일으킴 케이스(41)내에 있어서, 전 커버(41a)와 후 커버(41b) 사이의 개방 측에 있어서의 구동 스프로킷(43)과 종동 스프로킷(44) 사이에, 후술하는 타인 가이드(47)가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타인 가이드(47)는 무단 체인(46)과 대략 평행이 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타인(6)의 기립용 가이드(6a)의 바깥면(선단 반대측)과 접촉가능하게 배치된다. 상기 타인 가이드(47)의 하단은 종동 스프로킷(44)의 외주 근방까지 연장되어 마련되고, 타인 가이드(47)의 외측면은 종동 스프로킷(44)의 접선 방향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구동 스프로킷(43)과 종동 스프로킷(44)과 텐션 스프로킷(45)의 주위에 무단 체인(46)을 권회하고, 텐션 스프로킷(45)에 의해 긴장된다. 이 상태에서 구동축(48)에 동력을 전달하여 무단 체인(46)을 도 4에 나타내는 화살표 A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타인 가이드(47)가 존재하지 않는 비작용 측, 즉, 도 4의 우측에서는, 타인(6)의 기부에 배치된 기립용 가이드(6a)에 안 쪽으로부터 접촉하는 것이 없기 때문에 타인(6)은 회동가능하게 되어 타인(6)의 선단은 전 커버(41a)의 측판(41c)의 내면에 접촉하고, 타인(6) 자체는 무단 체인(46)에 대하여 절곡된 수납 상태가 되어 하방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타인(6)이 하단의 종동 스프로킷(44)에 닿으면, 기립용 가이드(6a)가 종동 스프로킷(44)의 가장자리부(44a)에 접촉하고, 타인(6)은 기립하여 대략 반경 방향으로 돌출된다. 한편, 측판(41c)은 하부에서 개방되어 타인(6)이 돌출될 수 있도록 하여, 도 4에 있어서 일으킴 케이스(41)의 하부에서 좌측방으로 타인 작용 위치가 형성된다.
상기 타인(6)이 돌출되어 선단이 반원상으로 회동함으로써, 도복된 곡간이 타인(6)에 걸려 그대로 끌어 올려진다.
또한, 타인(6)이 일으킴 장치(5)의 대향 측(타인 작용 측)으로 회동하면, 기립용 가이드(6a)는 타인 가이드(47)의 외측면에 접촉하고, 상기 타인(6)은 무단 체인(46)에 대하여 대략 직각 방향의 수평보다 약간 상방으로 경사진 상태로 돌출되 고, 타인 가이드(47)를 따라 타인(6)은 대략 평행 상태를 유지하여 상방으로 이동된다. 상방으로의 이동에 의해, 곡간이 기립 상태가 되도록 끌어 올려져, 곡간은 펴진 상태로 후방으로 보내져 밑동이 예취날(7)에 의해 절단된다.
상기 타인(6)이 타인 가이드(47)의 상단에 닿으면, 기립용 가이드(6a)와의 접촉이 없어지기 때문에 지지하는 것이 없으며, 타인(6)은 하방으로 회동하여 끌어올림 작용이 없어져 그대로 상승하고 곡립의 뜯김 작용도 없어져, 최상승 위치의 구동 스프로킷(43)에서 반전하여 비작용 측에 이르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타인 가이드(47)는, 상하 방향으로 복수로 분할되어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상부 가이드(47a), 중부 가이드(47b), 하부 가이드(47c)의 3개로 분할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상부 가이드(47a)의 위치는 좌우의 수선 반송 장치(73)의 전단의 전방에 위치하고, 중부 가이드(47b)는 상부 반송 장치(71) 전단의 전방에 위치하고, 하부 가이드(47c)는 하부 반송 장치(72) 전단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정면에서 보았을 때, 상부 가이드(47a)와 중부 가이드(47b)의 분할 위치는 수선 반송 장치(73) 전단과 상부 반송 장치(71) 전단 사이에 위치하고, 중부 가이드(47b)와 하부 가이드(47c)의 분할 위치는 상부 반송 장치(71) 전단과 하부 반송 장치(72) 전단 사이에 위치시키고 있다. 이리하여, 간장이 긴 곡간의 예취 시에는, 상부 가이드(47a)와 중부 가이드(47b)를 타인(6)의 돌출 측으로 슬라이딩 작용시켜, 수선 반송 장치(73)의 작용 영역까지 곡간을 일으키도록 한다. 간장이 조금 짧은 경우에는, 상부 가이드(47a)를 타인(6)의 수납 측으로 슬라이딩 작용하지 않도록 하여, 중부 가이드(47b)에 의 해 상부 반송 장치(71)의 작용 영역까지 일으킨다. 또한, 간장이 짧은 경우에는, 중부 가이드(47b)를 타인(6)의 수납 측으로 슬라이딩시켜 작용하지 않도록 하여, 하부 가이드(47c)에 의해 하부 반송 장치(72)의 작용 영역까지 일으키도록 한다. 상기 하부 가이드(47c)는 일으킴 케이스(전 커버(41a)와 후 커버(41b))에 고정되고, 상부 가이드(47a)와 중부 가이드(47b)는 좌우 방향으로 위치조정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 가이드(47a)와 중부 가이드(47b)는 전후 2열의 레일부를 가지고, 상기 레일부는 전후 평행하게 배치되어 비작용 측(도 4의 우측)의 측면에서 보스부(47d) 및 규제판(47e)이 적절히 간격을 두고 고정되어 마련되고, 전후의 레일부를 연결하고 있다. 상기 보스부(47d)는 원통상의 중심을 전후 방향을 향해, 고정 볼트(70)를 삽입가능하게 하고 있다. 한편, 전 커버(41a)와 후 커버(41b)에는 보스부(47d)의 위치에 맞추어 좌우 방향으로 긴 홀(41d)이 개구되어, 고정 볼트(70)를 삽입관통할 수 있게 하고 있다.
이리하여, 상부 가이드(47a) 및 중부 가이드(47b)의 보스부(47d)를 전 커버(41a)와 후 커버(41b)의 긴 홀(41d) 사이에 위치시켜, 이것들을 고정 볼트(70), 너트에 의해 고정한다. 이때 상부 가이드(47a) 및 중부 가이드(47b)의 좌우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타인(6)의 선단의 돌출 위치(작용 위치)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해지며, 곡간의 간장에 맞추어, 간장이 긴 경우에는 상부 가이드(47a) 및 중부 가이드(47b)를 작용 측(도 4에서 좌측)에 위치시키고, 간장이 짧은 경우에는 그 길이에 맞추어 상부 가이드(47a)만 또는 상부 가이드(47a)와 중부 가이드(47b) 양쪽 모두 를 비작용 측으로 슬라이딩시켜 고정한다.
그리고, 상부 가이드(47a) 및 중부 가이드(47b)가 비작용 측으로 슬라이딩하여 고정되면, 타인(6)의 기립용 가이드(6a)가 하부 가이드(47c)를 따라 상승되고, 비작용 측으로 슬라이딩하여 고정된 중부 가이드(47b)에 닿으면, 기립용 가이드(6a)에 대한 접촉이 없어져 타인(6)은 수평 방향으로의 돌출 상태에서 하부로 회동한 수납 상태가 되어, 곡간을 걸어 더욱 끌어올리는 작용이 없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부 가이드(47a)와 중부 가이드(47b) 각각의 하부의 비작용 측의 측면에서 하부로 돌출되어 규제판(47e)이 마련되어 있다. 즉, 상부 가이드(47a)의 하단의 비작용 측의 측면으로부터 플레이트 형상의 규제판(47e)이 하방으로 돌출되어 마련되고, 상기 돌출된 규제판(47e)은 중부 가이드(47b)의 상부의 비작용 측의 측면에 접촉가능하게 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중부 가이드(47b)의 하단의 비작용 측의 측면으로부터 플레이트 형상의 규제판(47e)이 하방으로 돌출되어 마련되고, 상기 돌출된 규제판(47e)은 하부 가이드(47c)의 상부의 비작용 측의 측면에 접촉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중부 가이드(47b)는 규제판(47e)에 의해 규제되어 하부 가이드(47c)보다 작용 측으로 돌출될 수 없게 되고, 또한, 상부 가이드(47a)는 규제판(47e)에 의해 규제되어 중부 가이드(47b)보다 작용 측으로 돌출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하부 가이드(47c)보다 중부 가이드(47b)가 작용 측으로 돌출되어 버리면 단차가 생겨 타인(6)이 상승될 때에 기립용 가이드(6a)가 하부 가이드(47c)와 중부 가이드(47b)의 단차 부분에 충돌하여 손상되거나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 지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중부 가이드(47b)와 상부 가이드(47a) 사이에서도, 상부 가이드(47a)가 작용 측으로 돌출되면 단차가 생겨 손상 등이 발생하는 일이 없다.
또한, 타인 가이드(47)를 3개 이상으로 분할한 경우, 본 실시예에서는 상하 중간부의 중부 가이드(47b)를 비작용 측으로 슬라이딩시키면, 하측의 규제판(47e)은 그대로 이동될 수 있으나, 중부 가이드(47b)의 상측은 그 상방에 위치하는 상부 가이드(47a)의 규제판(47e)에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단차가 생기지 않으며 상부 가이드(47a)도 비작용 측으로 슬라이딩되게 된다. 즉, 중부 가이드(47b)만 비작용 측으로 슬라이딩될 수 없게 되어, 타인(6)의 상승 측에서 작용 측으로 돌출되는 타인 가이드가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콤바인이나 바인더나 야채 수확기 등에 있어서의 일으킴 장치에 있어서, 무단 체인의 외주에 배치한 타인을 곡간이나 작물의 엽부(葉部) 길이에 맞추어 끌어올림 작용 측으로 돌출시켜 원활하게 끌어올려, 반송 흐트러짐을 방지하는 용도로 이용할 수 있다.

Claims (2)

  1. 일으킴 케이스 내에 무단(無端) 체인을 수납하고, 상기 무단 체인의 외주에 소정 간격을 두고 타인을 지지하고, 곡간(穀稈) 끌어올림 작용 측의 일으킴 케이스 내에 타인 가이드를 배치한 일으킴 장치에 있어서, 상기 타인 가이드를 길이 방향으로 3개 이상으로 분할하고, 가장 하측에 위치한 타인 가이드 이외를 반송 방향에 대하여 직각 방향으로 슬라이딩 조절가능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으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 방향으로 분할한 각 타인 가이드의 하부의 곡간 끌어올림 비작용 측에 규제판을 마련하고, 상기 규제판을 타인 가이드의 하측면에서 하방으로 돌출시켜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으킴 장치.
KR1020077021544A 2005-03-18 2005-03-18 일으킴 장치 KR1011518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5/005004 WO2006100733A1 (ja) 2005-03-18 2005-03-18 引起し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8092A true KR20070118092A (ko) 2007-12-13
KR101151834B1 KR101151834B1 (ko) 2012-06-01

Family

ID=37023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1544A KR101151834B1 (ko) 2005-03-18 2005-03-18 일으킴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733690B2 (ko)
KR (1) KR101151834B1 (ko)
CN (1) CN100566548C (ko)
WO (1) WO200610073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6568A (ko) * 2018-08-07 2020-02-17 박영효 감자 수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36986B2 (ja) * 2009-09-02 2014-03-05 ヤンマー株式会社 コンバイン
JP5932755B2 (ja) * 2013-11-08 2016-06-08 株式会社クボタ コンバイン
CA2995416C (en) * 2015-08-10 2024-04-23 360 Yield Center, Llc Gathering chains for row crop harvester heads
CN105379501B (zh) * 2015-10-30 2019-06-21 海门市万科保田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联合收获机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80046U (ko) 1979-11-27 1981-06-29
JPS5680046A (en) * 1979-12-05 1981-07-01 Toray Ind Inc Lithographic plate requiring no dampening water and its manufacture
JP2773274B2 (ja) * 1989-07-28 1998-07-09 井関農機株式会社 穀稈引起し装置
JPH10164961A (ja) * 1996-12-12 1998-06-23 Kubota Corp 引起し装置の爪起立レール傾斜調節構造
CN1088983C (zh) * 1999-06-15 2002-08-14 金明官 竹盐的烤熔熏制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6568A (ko) * 2018-08-07 2020-02-17 박영효 감자 수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51834B1 (ko) 2012-06-01
CN101141873A (zh) 2008-03-12
JPWO2006100733A1 (ja) 2008-08-28
JP4733690B2 (ja) 2011-07-27
WO2006100733A1 (ja) 2006-09-28
CN100566548C (zh) 2009-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40114836A1 (en) Narrow row head unit
KR101151834B1 (ko) 일으킴 장치
US2970420A (en) Crop pickup attachment for combines
JP2006254864A (ja) 根菜作物収穫機
JP2013074804A (ja) 汎用コンバインの刈取装置
JP4802638B2 (ja) 収穫機
KR101322252B1 (ko) 콤바인
JP5614106B2 (ja) コンバイン
JP4802611B2 (ja) コンバイン
JP4487835B2 (ja) ひまわり用の収穫機
JP2007330232A (ja) コンバインの刈取装置
JP7175460B2 (ja) 収穫機
JP5756613B2 (ja) コンバイン
JP2006254773A (ja) コンバインの刈取装置
JP2002315420A (ja) コンバインの掻込装置
JP2020103164A (ja) 脱穀装置
JP3584843B2 (ja) コンバイン用脱穀装置のフィードチェンオープン装置
JP3449767B2 (ja) コンバイン刈取部の株元ガイド杆
KR102112660B1 (ko) 콤바인 및 볏짚 줄기 일으킴 장치
JP2005333956A (ja) コンバイン
JP2002305938A (ja) コンバイン
JP2006180776A (ja) コンバインの刈取装置
JPH07115821A (ja) 普通型コンバインのロークロップヘッダ構造
JP2001211727A (ja) コンバインの穀稈受継搬送装置
JP2001286216A (ja) コンバインの穀稈供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