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17653A - 휴대용 통신 디바이스를 위한 딥 슬립 모드 - Google Patents

휴대용 통신 디바이스를 위한 딥 슬립 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17653A
KR20070117653A KR1020077022829A KR20077022829A KR20070117653A KR 20070117653 A KR20070117653 A KR 20070117653A KR 1020077022829 A KR1020077022829 A KR 1020077022829A KR 20077022829 A KR20077022829 A KR 20077022829A KR 20070117653 A KR20070117653 A KR 200701176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path
communication
transceiver circuit
response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28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51179B1 (ko
Inventor
나빈 어라보투
윌리암 피. 제이알. 알버스
다니엘 제이. 데클러크
뮤랄 나라심하
윌리암 이. 웰닉
Original Assignee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701176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76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11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11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 H04W52/0216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using a pre-established activity schedule, e.g. traffic indication fra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 H04W52/021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where the power saving management affects multipl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5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local events, e.g. events related to user activ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ransceivers (AREA)

Abstract

제1 통신 경로에서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기 위한 제1 송수신기 회로(104) 및 제2 통신 경로에서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기 위한 제2 송수신기 회로(116)를 포함하는 휴대용 통신 디바이스(100)를 제공한다. 휴대용 통신 디바이스는, 제1 송수신기 회로(104) 및 제2 송수신기 회로(116)에 접속하되, 휴대용 통신 디바이스(100)가 제1 통신 경로의 신호 커버리지 내에 존재한다는 판정에 응답하여 전송을 위한 제2 송수신기 회로(116)에 등록 취소 메시지를 제공하고, 제1 송수신기 회로(104)를 기동하여 제1 통신 경로에서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고, 제2 송수신기 회로(116)를 기동하지 않은 다음, 사전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구분한 때마다 제2 송수신기 회로(116)를 기동하여 제2 통신 경로의 적어도 하나의 하우스키핑 채널을 모니터하기 위한 컨트롤러를 또한 포함한다.
통신 경로, 송수신기 회로, 신호 커버리지, 등록 취소 메시지, 하우스키핑 채널

Description

휴대용 통신 디바이스를 위한 딥 슬립 모드{DEEP SLEEP MODE FOR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는 휴대용 통신 디바이스의 전력 보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CDMA 기반 통신 경로 및 적어도 하나의 다른 통신 경로가 있는 휴대용 통신 디바이스의 전력 보존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통신 디바이스의 중요한 설계 파라미터는 전력 보존이다. 전력 보존 기법은 배터리 전력 보존의 필요성에 대하여 다른 설계 파라미터와 균형을 맞추려고 한다. 그와 같은 설계 파라미터는 사용자가 "911"에 전화하는 경우와 같은 긴급 호출의 배치이다. 휴대용 통신 디바이스가 하나 이상의 통신 경로에서 동작가능하고, 휴대용 통신 디바이스가 동작가능한 통신 경로 중 하나가 CDMA 2000 통신 경로와 같은 셀룰러 통신 경로인 경우, 일반적으로 긴급 호출은 셀룰러 통신 경로에 배치할 필요가 있다. 이는, 셀룰러 통신망(예컨대 CDMA 통신망)이 긴급 구조 시스템에 대한 연결성이 양호하기 때문이다. 이는, 휴대용 통신 디바이스가 비-셀룰러 통신 경로에서 동작하고 있는 경우에는 긴급 호출을 배치한 셀룰러 통신 경로로 신속하게 이동할 필요가 있다. 또한, 비-셀룰러 통신 경로의 커버리지 에지에 도달하는 경우와 같은 다른 상황에서 비-셀룰러 통신 경로로부터 셀룰러 통신 경로 로 이동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더 적은 전력을 소모하는 두 번째 통신 경로에서 통신하는 경우이더라도 휴대용 통신 디바이스는 셀룰러 통신 경로의 통신을 유지해야 한다. 양쪽 경로에 대한 통신 유지로 인해 이동국은 감당하지 못할 만큼의 전력을 소모한다.
따라서, 비-CDMA 기반 통신 경로를 이용하여 전력을 보존하면서, 사용자의 긴급 호출 또는 유휴 핸드오프 시나리오에 신속하게 응답하여 그 호출을 CDMA 기반 통신 경로에 배치하는 전력 보존 방법 및 장치가 필요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 및 특성은 본 발명의 첨부한 도면 및 배경기술과 함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청구범위로부터 명확해진다.
<발명의 개요>
제1 통신 경로에서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기 위한 제1 송수신기 회로 및 제2 통신 경로에서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기 위한 제2 송수신기 회로를 포함하는 휴대용 통신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휴대용 통신 디바이스는, 제1 송수신기 회로 및 제2 송수신기 회로에 접속하되, 휴대용 통신 디바이스가 제1 통신 경로의 신호 커버리지 내에 존재한다는 판정에 응답하여 전송을 위한 제2 송수신기 회로에 등록 취소 메시지를 제공하고, 제1 송수신기 회로를 기동하여 제1 통신 경로에서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고, 제2 송수신기 회로를 기동하지 않은 다음, 사전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구분한 때마다 제2 송수신기 회로를 기동하여 제2 통신 경로의 적어도 하나의 하우스키핑 채널을 모니터하기 위한 컨트롤러를 또한 포함한다.
제1 통신 경로 및 제2 통신 경로 중 한 경로에서 통신할 수 있는 휴대용 통 신 디바이스의 전력 보존 방법을 또한 제공한다. 본 방법은, 제1 통신 경로의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와, 제1 통신 경로에서 제1 통신 모드로 동작하는 단계와, 제2 통신 경로의 등록을 취소하되, 제2 통신 경로의 등록이 취소된 동안, 사전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구분한 때마다 제2 통신 경로의 적어도 하나의 하우스키핑 채널을 모니터하는 단계와, 사전설정된 이벤트에 응답하여 제1 통신 모드로부터 제2 통신 경로의 제2 통신 모드로 동작을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과 관련하여 기술하는데, 유사한 참조번호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통신 디바이스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CDMA 2000 통신 경로에서 휴대용 통신 디바이스가 동작하는 상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딥 슬립 상태로 진입하는 휴대용 통신 디바이스의 동작 플로차트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제1 양상에 따라 딥 슬립 상태를 빠져나오는 휴대용 통신 디바이스의 동작 플로차트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제2 양상에 따라 딥 슬립 상태를 빠져나오는 휴대용 통신 디바이스의 동작 플로차트이다.
이하에서 기술하는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사실상 단순히 예시적이고, 본 발명 또는 본 발명의 응용 및 이용을 한정하는 의도는 없다. 또한, 본 발명의 배경기술 또는 이하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존재하는 이론으로 구속하는 의도도 없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셀룰러 전화와 같은 휴대용 통신 디바이스(100)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100)는 제1 통신 경로에서 무선 주파수(RF) 신호를 수신 및 전송하기 위한 제1 송수신기 회로(104)에 접속된 제1 안테나(102)를 구비한다. 제1 송수신기 회로(104)는 수신기 회로(108) 및 전송기 회로(110)에 본 기술분야의 숙련자에게 잘 알려진 방식으로 제1 안테나(102)를 선택적으로 접속하는 수신/전송 스위치(106)를 구비한다. 수신기 회로(108)는 RF 신호를 복조 및 디코딩하여 RF 신호로부터 정보를 얻고, 컨트롤러(112)에 접속하여 컨트롤러(112)에 디코딩한 정보를 제공하며, 컨트롤러(112)는 디코딩한 정보를 휴대용 통신 디바이스(100)의 기능에 따라 이용한다. 또한, 컨트롤러(112)는 전송기 회로(110)에 정보를 제공하고, 전송기 회로(110)는 정보를 RF 신호로 인코딩 및 변조하여 안테나(102)로부터 전송한다. 게다가, 컨트롤러(112)는 수신/전송 스위치(106)에 신호를 제공하여 수신/전송 스위치(106)의 동작을 제어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용 통신 디바이스(100)는 적어도 2개의 통신 경로에서 동작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통신 경로에서 통신하기 위하여,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100)는 제2 통신 경로에서 무선 주파수(RF) 신호를 수신 및 전송하기 위한 제2 송수신기 회로(116)에 접속된 제2 안테나(114)를 구비한다. 제2 송수신기 회로(116)는 제2 통신 경로에서 수신한 RF 신호를 복조 및 디코딩하기 위한 수신기 회로(120) 및 인코딩 및 복조한 RF 신호를 제2 통신 경로에서 전송하기 위한 전송기 회로(122)에 본 기술분야의 숙련자에게 잘 알려진 방식으로 제2 안테나(116)를 선택적으로 접속하는 수신/전송 스위치(118)를 구비한다. 수신기 회로(120)는 컨트롤러(112)에 접속하여 컨트롤러(112)에 디코딩한 정보를 제공하고, 컨트롤러(112)는 디코딩한 정보를 휴대용 통신 디바이스(100)의 기능에 따라 이용한다. 또한, 컨트롤러(112)는 전송기 회로(122)에 정보를 제공하고, 전송기 회로(122)는 정보를 RF 신호로 인코딩 및 변조하여 안테나(114)로부터 전송한다.
본 기술분야에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컨트롤러(112)는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100)를 조작하기 위한 정보를 저장 및 검색하는 메모리 디바이스(124)에 통상적으로 접속한다. 게다가, 컨트롤러(112)는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100)의 기능을 실행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사용자에게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126)에 접속한다. 전력 제어 회로(128)는 배터리와 같은 휴대용 전원 장치(130)에 접속하고, 컨트롤러(112)의 제어하에 동작한다. 전력은 전력 제어 회로(128)로부터 컨트롤러(112), 제1 송수신기 회로(104), 제2 송수신기 회로(116)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126)와 같은 휴대용 통신 디바이스(100)의 컴포넌트에 공급하고, 이로 인해 그러한 컴포넌트에 적당한 동작 전압 및 전류를 제공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26)는 마이크로폰(132), 스피커(134) 및 키패드를 포함하는 복수의 키 입력부(136) 중 하나 이상을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126) 는 터치 스크린 입력부를 포함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138)를 구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통신 경로는 무선 구내 통신망 또는 도시권 통신망 통신 경로이고, 휴대용 통신 디바이스(100)는 제1 통신 경로에서 제1 통신 모드로 동작한다. 제2 통신 경로는 디지털 비디오 방송 통신 경로(DVB-H) 또는 CDMA 기반 통신 경로 혹은 특히 CDMA 통신 경로와 같은 광역 통신망이고, 휴대용 통신 디바이스(100)는 제2 통신 경로에서 제2 통신 모드로 동작한다. 본 기술분야의 숙련자가 이해하는 바와 같이, 무선 구내 통신망 통신 경로의 통신은 CDMA 기반 통신 경로보다 전력을 덜 소모한다. 그러나 무선 구내 통신망은 CDMA 셀룰러 전화 통신망보다 신호 커버리지 영역이 좁다. 신호 커버리지 한계 검출기(140)는 제1 송수신기 회로(104)의 수신기 회로(108)에 접속하여 무선 구내 통신망의 신호 커버리지에 대한 한계를 검출하고, 이로 인해 휴대용 통신 디바이스(100)가 무선 구내 통신망의 신호 커버리지 내에 존재하는 시점 또는 휴대용 통신 디바이스(100)가 무선 구내 통신망의 신호 커버리지 한계에 도달하는 시점 및 휴대용 통신 디바이스(100)가 무선 구내 통신망의 신호 커버리지 영역을 벗어나고 있는 것으로 추정하는 시점을 검출한다.
한 실시에서 신호 커버리지 한계 검출기(140)는 수신기(108)에 접속하는 수신 신호 세기 검출기를 포함하고, 제1 통신 경로에서 수신한 신호의 신호 세기가 사전설정된 신호 세기 임계치 이상으로 상승하는지 또는 이하로 떨어지는지에 응답하여 한계 검출 신호를 생성한다. 전력을 보존하기 위하여, 컨트롤러(112)는 신호 커버리지 한계 검출기(140)가 생성한 한계 검출 신호에 응답하여 CDMA 통신망의 제 2 통신 모드에서 무선 구내 통신망의 제1 통신 모드로 동작을 전환한다. 또 다른 실시에서, 컨트롤러는 제2 통신 경로로부터 재생되는 신호를 제1 수신기 회로(108)의 출력부에서 모니터하여 제1 통신 경로의 신호 커버리지의 에지를 결정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신호 커버리지 한계 검출기(140)와 같은 여분의 회로는 필요하지 않다.
CDMA 통신 경로의 신호 커버리지는 광역을 포함하도록 설계한다. 그러나 CDMA 통신 경로에서 신호를 수신 및 전송하기 위하여 제2 송수신기 회로(116)는 무선 구내 통신망에서 동작하는 제1 송수신기 회로보다 많은 전력이 필요하다. 본 기술분야의 숙련자에게 알려진 바와 같이, CDMA 통신 경로는 복수의 채널 또는 주파수에서 동작하도록 설계한다. 채널 중 일부는 CDMA 통신 경로에서 통신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제어 채널이고, 다른 채널은 CDMA 통신 경로에서 통신하기 위한 휴대용 통신 디바이스(100)에 임시로 할당한다. 제어 채널 중 일부는 파일럿 채널 또는 긴급 호출 채널과 같은 하우스키핑 채널로서, 휴대용 통신 디바이스(100)가 CDMA 통신 경로와 동기화를 유지하는 데 필요한 제어 신호와, 메모리(124)에 저장하며, 제2 통신 모드에서 휴대용 통신 디바이스(100)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컨트롤러(112)가 이용하는 오버헤드 정보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구성 변경 인디케이터를 제공한다. CDMA 통신 경로는 동기식 통신 시스템이고, 정보는 사전정의된 코드 분할 다중화 방식에 따라 인코딩하고, 사전정의된 길이를 갖는 슬롯 형태인 디지털 신호로서 다양한 채널에 제공한다. 따라서, CDMA 통신 경로의 사전설정된 동작 파라미터는 복수의 슬롯 사이클 인덱스를 포함하는데, 슬롯 사이클의 기간과 슬롯 사이클 인덱스(SCI) 간의 관계는 T=1.28×2^SCI로 정의한다. CDMA 2000 시스템에서 2개의 슬롯 사이클 인덱스는 약 5.12초의 시간에 대응하고, 3개의 슬롯 사이클 인덱스는 약 10.28초의 시간에 대응한다. 유용하게도, 본 발명은 무선 구내 통신망에서 그리고 CDMA 2000 시스템으로부터 등록이 취소될 때 제2 통신 경로에서 정상 동작에 이용하는 슬롯 사이클 인덱스보다 큰 슬롯 사이클 인덱스에서 동작하게 하고, 이로 인해 CDMA 2000 시스템에 대한 동기화를 유지하면서 전력을 보존한다.
도 2를 참조하면, CDMA 통신 경로의 제2 통신 모드에서 컨트롤러(112)의 제어하에 휴대용 통신 디바이스(100)의 동작(200)은 복수의 상태로 발생하는데, 각 상태에는 관련된 동작 전력이 있다. 초기화 상태(202) 동안, 휴대용 통신 디바이스(100)는 본 기술분야의 숙련자에게 잘 알려진 방식으로 CDMA 통신 경로에 등록한다. 초기화 상태(202)에 필요한 모든 동작을 완료한 후, 휴대용 통신 디바이스(100)는 유휴 상태(204)로 전환하여 전력을 절약한다. 유휴 상태(204)로부터, 동작은 초기화 상태로 복귀하여 CDMA 통신 경로에 적절하게 다시 초기화하거나, 시스템 액세스 상태(206)로 전환하여 CDMA 시스템에 액세스하여 CDMA 시스템에서 등록 또는 다른 통신을 한다. CDMA 시스템에 액세스한 후, 통신은 트래픽 채널 상태(208)에서 발생할 수 있거나, 통신이 시작되지 않는 경우, 동작은 전력을 절약하는 유휴 상태(204)로 복귀한다. 통신이 트래픽 채널 상태(208)에서 완료 또는 중단되는 경우, 동작은 초기화 상태(202)로 복귀하여 CDMA 통신 경로에서 통신을 다시 초기화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딥 슬립 상태(210)는 CDMA 시스템으로부터 등록을 취소하되, 등록 취소 동안, 긴급 호출 채널 및 파일럿 채널 또는 단순히 긴급 호출 채널과 같은 하우스키핑 채널 중 하나 이상을 상대적으로 긴 시간 간격으로 구분한 때마다 모니터함으로써 전력을 추가로 유용하게 보존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예를 들어, 딥 슬립 상태(210)는 매우 높은 슬롯 사이클 인덱스에서 동작하는데, 이는 딥 슬립 상태(210)에서 동작하는 경우에는 휴대용 통신 디바이스가 유휴 상태(204)보다 긴급 호출 채널을 훨씬 낮은 빈도로 모니터한다는 점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딥 슬립 상태(210)의 동작은 사전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구분한 때마다 하우스키핑 채널을 모니터하는데, 사전설정된 시간 간격은 제2 통신 경로의 정상 동작에서 이용하는 슬롯 사이클 인덱스보다 큰 슬롯 사이클 인덱스에 대응하고, 이로 인해 더 많은 전력을 보존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딥 슬립 상태(210)로 진입하기 위한 프로세스의 플로차트(300)를 도시한다. 휴대용 통신 디바이스(100)가 제2 통신 모드에서 CDMA 유휴 상태(204)(도 2)로 동작하는 동안(310), 컨트롤러(112)는 무선 구내 통신 경로의 신호 커버리지를 또한 검색한다(312). 신호 커버리지 한계 검출기(140)의 한계 검출 신호에 응답하여, 컨트롤러(112)는 휴대용 통신 디바이스(100)가 무선 구내 통신 경로의 신호 커버리지 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하고(314), 제2 통신 모드로 전환하되(316), 무선 구내 통신망 통신 경로에서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는 제1 송수신기 회로를 기동하고, 무선 구내 통신 경로에 휴대용 통신 디바이스(100)를 등록 및 인증한다. 무선 구내 통신망 통신 경로에서 셀룰러 통신을 수행하도록 등록 한 후, 컨트롤러(112)는 제2 송수신기 회로(116)에 등록 취소 메시지를 제공하여 CDMA 통신 경로로부터 휴대용 통신 디바이스(100)의 등록을 취소하고, 딥 슬립 상태(210)로 진입하되(318), 제2 송수신기 회로(116)를 기동하지 않는다.
딥 슬립 상태(210) 동안, 컨트롤러(112)는 제2 송수신기 회로(116)를 더 큰 슬롯 사이클 인덱스, 즉 사전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구분한 때마다 기동함으로써 CDMA 통신 경로의 긴급 호출 채널 및/또는 파일럿 채널을 모니터한다(320). 본 발명에 따르면, 사전설정된 시간 간격은 2 이상의 슬롯 사이클 인덱스에 대응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컨트롤러(112)는 긴급 호출 채널을 모니터하여 긴급 호출 채널로부터 수신한 구성 변경 인디케이터를 검출한다(320). 구성 변경 인디케이터를 검출하면, 컨트롤러(112)는 메모리(124)(도 1)에 있는 오버헤드 정보를 업데이트한다. 구성 변경 인디케이터를 지원하지 않는 본 발명의 대안 실시예에서, 컨트롤러는 딥 슬립 모드(210)로 진입하도록 전환하기 이전에 모니터하고 있었던 긴급 호출 채널 인디케이터 비트를 모니터한다. 긴급 호출 채널의 모니터링에는 상술한 방식으로 긴급 호출 채널을 모니터하는 것이 매우 적은 전력을 이용한다는 장점이 있다. 긴급 호출 채널 대신 호출 채널 또는 다른 제어 채널을 모니터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양상에 따라 딥 슬립 상태(210)를 빠져나오는 플로차트(400)를 도시한다. 휴대용 통신 디바이스(100)가 딥 슬립 상태(210)로 동작하면서(410) 무선 구내 통신 경로에서 제1 통신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412), 컨트롤러(112)는 제1 통신 모드에서 지원하지 않는 통신 타입에 대한 요청을 나타 내는 사전설정된 사용자 입력과 같은 사전설정된 이벤트에 응답하여 휴대용 통신 디바이스(100)의 동작을 제1 통신 모드로부터 제2 통신 모드로 전환한다. 그와 같은 사전설정된 이벤트는 사용자에 의한 긴급 호출의 배치이다(414). 긴급 호출은 CDMA 통신 경로에서 발생해야 하고, 무선 구내 통신망 통신 경로에서 발생해서는 안 된다. 그러므로 긴급 호출을 나타내는 사전설정된 사용자 입력을 사용자 인터페이스(126)가 수신하는 경우(414), 컨트롤러(112)는 제2 송수신기 회로를 기동하되, 시스템 액세스 상태(206)로 진입하고, 등록 메시지를 송수신기 회로(116)에 제공하여 송수신기 회로(116)로부터 전송함으로써, 제1 통신 모드로부터 제2 통신 모드로 동작을 전환한다(416).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양상에 따라 딥 슬립 상태(210)를 빠져나오는 플로차트(500)를 도시한다. 휴대용 통신 디바이스(100)가 딥 슬립 상태(210)로 동작하면서(510) 무선 구내 통신 경로에서 제1 통신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512), 컨트롤러(112)는 무선 구내 통신 경로 신호 커버리지의 에지 또는 한계의 검출을 나타내는 신호 커버리지 한계 검출기(140)의 한계 검출 신호에 응답하여 휴대용 통신 디바이스(100)의 동작을 제1 통신 모드로부터 제2 통신 모드로 전환한다. 그러므로 사전설정된 한계 검출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514), 컨트롤러(112)는 제2 송수신기 회로를 기동하되, 시스템 액세스 상태(206)로 진입하고, 등록 메시지를 송수신기 회로(116)에 제공하여 송수신기 회로(116)로부터 전송함으로써, 제1 통신 모드로부터 제2 통신 모드로 동작을 전환한다(516).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는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존재하지만, 다양한 변형이 존재한다는 점을 인식해야 한다. 예시적인 실시예는 CDMA에 관하여 기술하지만, 본 발명은 HRPD 및 WCDMA와 같은 다른 광역 무선 통신망에도 적용한다는 점을 알아야 한다. 또한, 예시적인 실시예(들)는 예일 뿐이고, 본 발명의 범위, 응용 가능성 또는 구성을 한정하는 의도가 아니라는 점을 인식해야 한다. 오히려, 상술한 발명의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편리한 로드맵을 본 기술분야의 숙련자에게 제공하고, 첨부한 청구범위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기술한 구성요소의 기능 및 배치의 다양한 변경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는 점을 이해하게 된다.

Claims (13)

  1. 제1 통신 경로 및 제2 통신 경로 중 한 경로에서 통신할 수 있는 휴대용 통신 디바이스의 전력 보존 방법으로서,
    상기 제1 통신 경로의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제1 통신 경로에서 제1 통신 모드로 동작하는 단계와,
    사전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구분한 때마다 상기 제2 통신 경로에서 적어도 하나의 하우스키핑 채널을 모니터하는 단계와,
    사전설정된 이벤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통신 모드로부터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제2 통신 모드로 동작을 전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력 보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 단계는,
    상기 제1 통신 경로에서 제1 통신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에는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등록을 취소하는 단계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등록이 취소된 동안에는, 상기 사전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구분한 때마다 상기 제2 통신 경로에서 적어도 하나의 하우스키핑 채널을 모니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력 보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전환 단계는 긴급 호출을 나타내는 사전설정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1 통신 모드로부터 상기 제2 통신 모드로 동작을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력 보존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전환 단계는 상기 제1 통신 모드가 지원하지 않는 통신 타입에 대한 요청을 나타내는 사전설정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1 통신 모드로부터 상기 제2 통신 모드로 동작을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력 보존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전환 단계는 상기 제1 통신 경로의 신호 커버리지의 한계 검출에 응답하여 상기 제1 통신 모드로부터 상기 제2 통신 모드로 동작을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력 보존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전환 단계는 상기 제2 통신 경로를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력 보존 방법.
  7. 휴대용 통신 디바이스로서,
    제1 통신 경로에서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기 위한 제1 송수신기 회로와,
    제2 통신 경로에서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기 위한 제2 송수신기 회로와,
    상기 제1 송수신기 회로 및 상기 제2 송수신기 회로에 접속하되, 상기 휴대용 통신 디바이스가 상기 제1 통신 경로의 신호 커버리지 내에 존재한다는 판정에 응답하여 전송을 위한 상기 제2 송수신기 회로에 등록 취소 메시지를 제공하고, 상기 제1 송수신기 회로를 기동하여 상기 제1 통신 경로에서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고, 상기 제2 송수신기 회로를 기동하지 않은 다음, 사전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구분한 때마다 상기 제2 송수신기 회로를 기동하여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적어도 하나의 하우스키핑 채널을 모니터하기 위한 컨트롤러
    를 포함하는 휴대용 통신 디바이스.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에 접속하여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로부터 수신한 사전설정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송수신기 회로를 기동하고, 상기 제2 송수신기 회로에 메시지를 제공하는 휴대용 통신 디바이스.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는 등록 메시지인 휴대용 통신 디바이스.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설정된 사용자 입력은 긴급 호출을 나타내는 사용자 입력을 포함하는 휴대용 통신 디바이스.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송수신기 회로 및 상기 컨트롤러에 접속하여 상기 디바이스가 상기 제1 통신 경로의 신호 커버리지 영역의 한계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출하고, 상기 컨트롤러에 한계 검출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신호 커버리지 한계 검출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한계 검출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휴대용 통신 디바이스가 상기 제1 통신 경로의 신호 커버리지 내에 존재하는지를 판정하는 휴대용 통신 디바이스.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한계 검출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송수신기 회로를 기동하고, 상기 제2 송수신기 회로에 등록 메시지를 제공하는 휴대용 통신 디바이스.
  13. 무선 구내 통신망 통신 경로에서 제1 통신 모드로 동작하고, CDMA 통신 경로에서 제2 통신 모드로 동작하기 위한 휴대용 통신 디바이스로서,
    상기 CDMA 통신 경로는 긴급 호출 채널 및 파일럿 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휴대용 통신 디바이스는,
    상기 무선 구내 통신망 통신 경로에서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기 위한 제1 송수신기 회로와,
    상기 CDMA 통신 경로에서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기 위한 제2 송수신기 회로와,
    긴급 호출을 나타내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긴급 호출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상기 디바이스가 상기 무선 구내 통신망 통신 경로의 신호 커버리지 영역의 한계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출하고, 컨트롤러에 한계 검출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수단과,
    상기 제1 송수신기 회로, 상기 제2 송수신기 회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상기 신호 커버리지 한계 검출기에 접속하되, (a) 상기 한계 검출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휴대용 통신 디바이스가 상기 무선 구내 통신망 통신 경로의 신호 커버리지 내에 존재하는지를 판정하고, (b) 상기 제1 송수신기 회로를 기동하여 상기 무선 구내 통신망 통신 경로에서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고, (c) 상기 휴대용 통신 디바이스가 상기 무선 구내 통신망 통신 경로의 신호 커버리지 내에 존재한다는 판정에 응답하여 등록 취소 메시지를 상기 제2 송수신기 회로에 제공하여 상기 제2 송수신기 회로로부터 전송하고, (d) 상기 제2 송수신기 회로를 기동하지 않고, (e) 사전설정된 시간 간격-상기 사전설정된 시간 간격은 상기 디바이스가 CDMA에 등록할 때 이용한 슬롯 사이클 인덱스 이상인 상기 CDMA 통신 경로의 슬롯 사이클 인덱스에 대응함-으로 구분한 때마다 상기 제2 송수신기 회로를 기동하여 상기 CDMA 통신 경로의 긴급 호출 채널 또는 파일럿 채널 중 적어도 하나를 모니터하며, (f) 상기 한계 검출 신호 또는 상기 긴급 호출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송수신기 회로를 기동하여 상기 제2 통신 모드로 작동시키기 위한 컨트롤러
    를 포함하는 휴대용 통신 디바이스.
KR1020077022829A 2005-03-08 2006-02-15 휴대용 통신 디바이스를 위한 딥 슬립 모드 KR1011511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075,540 US7546149B2 (en) 2005-03-08 2005-03-08 Deep sleep mode for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US11/075,540 2005-03-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7653A true KR20070117653A (ko) 2007-12-12
KR101151179B1 KR101151179B1 (ko) 2012-06-01

Family

ID=36581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2829A KR101151179B1 (ko) 2005-03-08 2006-02-15 휴대용 통신 디바이스를 위한 딥 슬립 모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546149B2 (ko)
JP (1) JP4276661B2 (ko)
KR (1) KR101151179B1 (ko)
CN (1) CN101138264B (ko)
TW (1) TWI414175B (ko)
WO (1) WO2006096295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79244A (zh) * 2016-08-03 2019-03-1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唤醒设备的无线通信模块的系统和方法
US10576915B2 (en) * 2014-10-31 2020-03-03 Sumitomo Wiring Systems, Ltd. Cable harnes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26875B2 (en) 2004-08-13 2010-11-02 Broadcom Corporation Multiple network wake-up
EP3154206A1 (en) * 2004-10-29 2017-04-12 Sony Deutschland Gmbh Method for operating a near field communication system
US7586863B2 (en) * 2005-04-08 2009-09-08 Qualcomm Incorporated Using receive diversity to extend standby time in QPCH mode
US7725093B2 (en) 2006-03-29 2010-05-25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 power-efficient framework to maintain data synchronization of a mobile personal computer to simulate a connected scenario
US8532699B2 (en) 2006-09-19 2013-09-1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for power efficient activation of an inactive communication interface in a mobile station having multiple communication interfaces
CN101203043B (zh) * 2006-09-26 2013-08-21 美商威睿电通公司 在混合接入终端中确定时隙模式运行时间的方法和系统
US7894393B2 (en) 2006-09-26 2011-02-22 Via Telecom,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slotted mode operation timing in a hybrid access terminal
JP4869036B2 (ja) * 2006-11-20 2012-02-01 京セラ株式会社 音声通話装置
US8504119B2 (en) 2007-01-09 2013-08-06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for efficient assessment of communication service levels in a mobile station having multiple communication interfaces
US8369959B2 (en) 2007-05-31 2013-02-05 Cochlear Limited Implantable medical device with integrated antenna system
US7804886B2 (en) * 2007-07-10 2010-09-28 Thetaware, Inc. Wearable system for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EP2114108B1 (en) * 2008-04-28 2013-02-13 Motorola Mobility LLC Method of selecting a communication system for operating with a communication device in an idle mode, and communication device
US8917655B2 (en) * 2008-07-11 2014-12-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wing device supporting multiple PHY communication mode to communicate with device in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US8849289B2 (en) 2009-09-23 2014-09-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band transfer in multiband communication system
US8977261B2 (en) * 2010-08-11 2015-03-10 Qualcomm Incorporated Hardware activation of dual USIM multimode mobile terminal
JP2012169969A (ja) 2011-02-16 2012-09-06 Sony Corp 無線通信装置、基地局、無線通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無線通信システム
JP2013143575A (ja) * 2012-01-06 2013-07-22 Fujitsu Mobile Communications Ltd 無線通信端末装置及び無線通信端末装置制御方法
US9609566B2 (en) 2014-06-03 2017-03-28 Intel Corporation Radio resource control (RRC) protocol for integrated WLAN/3GPP radio access technologies
JP2016091257A (ja) * 2014-11-04 2016-05-23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機器
US10554251B1 (en) * 2017-05-12 2020-02-04 Marvell International Ltd. Low power wake up radio synchronization with low power antenna
CN107249173B (zh) * 2017-06-21 2019-09-17 深圳市盛路物联通讯技术有限公司 一种物联网通信模式的切换控制方法及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681721B2 (en) 1993-11-01 1997-09-04 Alex K. Raith Enhanced sleep mode in radiocommunication systems
FI105639B (fi) 1997-06-25 2000-09-15 Nokia Mobile Phones Ltd Parannettu menetelmä solun vaihtamiseksi
WO2000035234A1 (fr) * 1998-12-07 2000-06-15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Dispositif de communication mobile et systeme de communication mobile
FI109062B (fi) * 1998-12-23 2002-05-15 Nokia Corp Matkapuhelimen lisälaite erityisesti kaiutintoimintoa varten ja järjestely
CN100380825C (zh) * 2001-08-15 2008-04-09 高通股份有限公司 双模式蓝牙/无线设备以及同步该设备的方法
JP3895982B2 (ja) 2001-12-20 2007-03-22 株式会社東芝 移動通信端末装置
US7260424B2 (en) * 2002-05-24 2007-08-21 Schmidt Dominik J Dynamically configured antenna for multiple frequencies and bandwidths
US7646737B2 (en) * 2002-08-02 2010-01-12 Qualcomm Incorporated Multimode wireless device system provision validation and acquisition method and apparatus
US20040204035A1 (en) * 2002-09-24 2004-10-14 Sharada Raghuram Multi-mode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and method employing simultaneously operating receivers
US7657282B2 (en) * 2002-10-23 2010-02-02 Hitachi, Ltd. Multimode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and high frequency integrated circuit therefor
CN1549634A (zh) * 2003-05-09 2004-11-24 �ʼҷ����ֵ��ӹɷ����޹�˾ 用于在无线广域网与无线局域网之间无缝漫游的系统和方法
ATE497336T1 (de) 2003-07-10 2011-02-15 Alcatel Lucent Reduktion von bandbreite und energieverbrauch in einem multimode mobilfunkendgerät durch selektives überwachen mehrerer funkschnittstell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76915B2 (en) * 2014-10-31 2020-03-03 Sumitomo Wiring Systems, Ltd. Cable harness
CN109479244A (zh) * 2016-08-03 2019-03-1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唤醒设备的无线通信模块的系统和方法
KR20190034306A (ko) * 2016-08-03 2019-04-01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기기의 무선 통신 모듈을 깨우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138264B (zh) 2014-09-24
TWI414175B (zh) 2013-11-01
TW200642430A (en) 2006-12-01
US7546149B2 (en) 2009-06-09
JP4276661B2 (ja) 2009-06-10
US20060205444A1 (en) 2006-09-14
CN101138264A (zh) 2008-03-05
WO2006096295A1 (en) 2006-09-14
KR101151179B1 (ko) 2012-06-01
JP2006254442A (ja) 2006-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1179B1 (ko) 휴대용 통신 디바이스를 위한 딥 슬립 모드
EP2298008B1 (en) Regulating power duty cycle of an rf transmitter/receiver responsive to distance moved
US9167521B2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with low power consumption
US943913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operation state of base st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223685B2 (en) Method of selecting a communication system for operating with a communication device in an idle mode, and communication device
US8462731B2 (en) Neighbor cell monitoring method and apparatus for dual-standby mobile terminal
WO2007113902A1 (ja) ダイバーシチ受信装置及び受信方式切替方法
WO2004105255A2 (en) Current reduction in a communication device
JP2000232683A (ja) 無線通信装置
JP2022520770A (ja) 端末測定の処理方法及び端末
FI100151B (fi) Tehonsäästö matkaviestimessä
WO2003052971A1 (fr) Appareil telephonique mobile
KR101457480B1 (ko) 통신 단말기 및 그의 와이파이 상시 접속 방법
KR100228302B1 (ko) 이중모드 휴대폰의 시스템 모드 선택방법
JP2000101508A (ja) 移動通信用無線端末装置
JP2008259057A (ja) 移動通信端末及び端末制御方法
KR20190012759A (ko) 디바이스 웨이크업 방법 및 장치
JP2023551234A (ja) ページング指示方法、ページング指示装置、端末と可読記憶媒体
JP3593281B2 (ja) 移動電話装置及びゾーン移行方法
JPH1093489A (ja) 無線通信装置及びダイバーシチ受信方法
KR20050091482A (ko) 슬립 모드 중 주변 기지국 스캔 및 레인징 방법
JP3769530B2 (ja) 複合型携帯移動機端末及びそれに用いる通信方式切替え制御方法並びにそのプログラム
JP2000333233A (ja) ハンドオーバ要求機能を備えた移動端末装置
JP6911321B2 (ja) 通信システム、統制局、無線移動局及び通信方法
JP2004242006A (ja) 通信端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