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4306A - 기기의 무선 통신 모듈을 깨우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기기의 무선 통신 모듈을 깨우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4306A
KR20190034306A KR1020197005956A KR20197005956A KR20190034306A KR 20190034306 A KR20190034306 A KR 20190034306A KR 1020197005956 A KR1020197005956 A KR 1020197005956A KR 20197005956 A KR20197005956 A KR 20197005956A KR 20190034306 A KR20190034306 A KR 201900343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ion
rcm
wake
rcms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59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61193B1 (ko
Inventor
윤송 양
지강 롱
첸궈 두
Original Assignee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900343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43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11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11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 H04W52/0216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using a pre-established activity schedule, e.g. traffic indication fra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05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with built-in auxiliary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2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where the received signal is a wanted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04W52/0274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switching on or off the equipment or parts thereof
    • H04W52/028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switching on or off the equipment or parts thereof switching on or off only a part of the equipment circuit bloc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6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transmission rate or quality of service QoS [Quality of Service]
    • H04W52/265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transmission rate or quality of service QoS [Quality of Service] taking into account the quality of service Qo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Y02D70/2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제1 스테이션의 복수의 무선 통신 모듈(RCM) 중 하나를 깨우기 위한 방법으로서, 제2 스테이션으로부터 웨이크업 구성을 수신하는 단계, 복수의 RCM을 휴면 모드로 하는 단계, 상기 제1 스테이션의 보조 저전력 무선 수신기에서 상기 제2 스테이션으로부터의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웨이크업 구성에 따라 상기 복수의 RCM 중 제1 RCM을 깨우기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스테이션과 통신하기 위해 상기 제1 RCM을 휴면 모드로부터 깨우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기기의 무선 통신 모듈을 깨우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17년 7월 13일자로 출원된 미국 정규 출원번호 제15/648,945호의 "기기의 무선 통신 모듈을 깨우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Waking Up A Radio Communications Module Of A Device)"의 혜택을 주장하고, 이는 2016년 8월 3일자로 출원된 "기기의 무선 통신 모듈을 깨우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이라는 명칭의 미국 가출원 제62/ 370,509호로부터의 우선권을 차례로 주장하며, 이들 특허출원은 모두 그 전체를 재현한 것처럼 인용에 의해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디지털 통신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특히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기기의 무선 통신 모듈(radio communications module, RCM)을 깨우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배터리로 전력을 공급받는 기기에 있어 전력 소비는 중요한 고려사항이다. 배터리 전력형 기기(battery powered device)의 설계 기준은 전력 소비를 최소화하여 배터리 재충전 또는 교체 사이의 기간을 가능한 한 연장시키는 것이다. 원격지에 설치된 센서와 같은, 일부 배치에서, 배터리 교체는 비용이 많이 들뿐만 아니라 비실용적일 수 있다. 휴대 전화, 태블릿, 랩톱 컴퓨터, 웨어러블 기기(wearable device, WD) 등과 같은, 배터리 전력형 기기를 쉽게 사용할 수 있고 쉽게 충전할 수 있는 상황에서도, 배터리를 재충전하는 것은 여전히 불편하고 시간이 많이 걸리는 작업이다.
이러한 배터리 전력형 기기의 작동에 매우 중요한 무선 연결성(wireless connectivity)을 제공하는 무선 통신 모듈(RCM) 또한 전력 소비의 중요한 원천이다. 단일 기기가 복수의 RCM을 포함하는 경우에만 문제가 확대된다. 따라서, RCM을 구비한 배터리 전력형 기기에서는 전력 소비를 줄여야 할 필요가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는 스테이션(station)의 무선 통신 모듈(RCM)을 깨우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스테이션의 복수의 무선 통신 모듈(radio communications module, RCM) 중 하나를 깨우기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스테이션이 제2 스테이션으로부터 웨이크업 구성(wake-up configuration)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스테이션이 상기 제1 스테이션의 복수의 RCM을 휴면 모드로 하는 단계; 상기 제1 스테이션이 상기 제1 스테이션의 보조 저전력 무선 수신기에서 상기 제2 스테이션으로부터의 웨이크업 신호(wake-up signal)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스테이션이 상기 웨이크업 구성에 따라 상기 복수의 RCM 중 제1 RCM을 깨우기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스테이션이 상기 제2 스테이션과 통신하기 위해 상기 제1 RCM을 휴면 모드로부터 깨우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스테이션이 상기 웨이크업 구성을 결정하기 위해 상기 제2 스테이션과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웨이크업 구성을 결정하기 위해 상기 제2 스테이션과 통신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RCM 중 제1 RCM 또는 제2 RCM을 사용하여 수행되며, 상기 제2 RCM은 상기 제1 RCM과 다르다. 상기 웨이크업 구성은 상기 제1 스테이션의 각각의 RCM의 전력 소비를 비교하는 전력 소비 요건, 또는 상기 제1 스테이션의 각각의 RCM의 대기 시간(latency)을 비교하는 대기 시간 요건, 또는 상기 제1 스테이션의 각각의 RCM에 의해 지원되는 서비스 품질(Quality of Service, QoS) 요건을 비교하는 예상 데이터 송신(anticipated data transmission)의 QoS 요건, 또는 상기 제1 스테이션과 상기 제2 스테이션 사이의 추정 범위(estimated range)를 상기 제1 스테이션의 각각의 RCM에 의해 지원되는 통신 범위와 비교하는 범위 요건, 또는 상기 제1 스테이션의 이력 및 사용 정보(historical and usage information) 중 하나 이상에 따라 결정된다.
상기 웨이크업 구성은 상기 제1 RCM의 지시(indication)를 포함한다. 상기 웨이크업 구성은 상기 제1 스테이션의 복수의 RCM 중의 RCM들에 대한 매핑 지시자 값(mapping indicator value)의 매핑을 포함하며, 상기 웨이크업 신호는 매핑 지시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 RCM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매핑 및 상기 매핑 지시자에 따라 상기 제1 RCM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스테이션이 상기 제2 스테이션에 RCM 웨이크업 지시자(wake up indicator)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스테이션이 상기 제1 RCM에서 상기 제2 스테이션으로부터의 응답을 수신하기 전에 시간 타임아웃(time-out)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제1 스테이션이 상기 제1 스테이션의 상기 복수의 RCM 중 제3 RCM을 깨우기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1 스테이션이 상기 제3 RCM을 깨우는 단계; 및 상기 제1 스테이션이 상기 제3 RCM을 깨운 후에 상기 제3 RCM을 사용하여 상기 제2 스테이션과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무선 통신 모듈(RCM)을 구비한 제1 스테이션과 통신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제2 스테이션이 상기 제1 스테이션에 대한 웨이크업 구성을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제2 스테이션이 상기 제1 스테이션의 복수의 RCM을 휴면 모드로 하는 단계; 상기 제2 스테이션이 상기 제1 스테이션을 위한 웨이크업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웨이크업 신호는 상기 웨이크업 구성에 따라 상기 복수의 RCM 중 제1 RCM을 깨우도록 구성됨 -; 상기 제2 스테이션이 상기 제1 스테이션의 복수의 RCM 중 제2 RCM으로부터 웨이크업 지시(wake-up indication)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스테이션이 상기 제1 스테이션의 복수의 RCM 중 제2 RCM과 연관된 상기 제2 스테이션의 제3 RCM을 사용하여 상기 제1 스테이션과 데이터를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웨이크업 구성은 상기 제1 RCM의 지시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제2 스테이션이 상기 웨이크업 구성을 결정하기 위해 상기 제1 스테이션과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웨이크업 구성을 결정하기 위해 상기 제1 스테이션과 통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RCM 또는 상기 제1 RCM과는 다른 상기 제1 스테이션의 복수의 RCM 중 제5 RCM 중 하나와 연관된 상기 제2 스테이션의 제4 RCM을 사용하여 수행된다.
상기 웨이크업 구성은 상기 제1 스테이션의 각각의 RCM의 전력 소비를 비교하는 전력 소비 요건, 또는 상기 제1 스테이션의 각각의 RCM의 대기 시간을 비교하는 대기 시간 요건, 또는 상기 제1 스테이션의 각각의 RCM에 의해 지원되는 서비스 품질(QoS) 요건을 비교하는 예상 데이터 송신의 QoS 요건, 또는 상기 제1 스테이션과 상기 제2 스테이션 사이의 추정 범위를 상기 제1 스테이션의 각각의 RCM에 의해 지원되는 통신 범위와 비교하는 범위 요건, 또는 상기 제1 스테이션의 이력 및 사용 정보 중 하나 이상에 따라 결정된다.
상기 웨이크업 구성은 상기 제1 스테이션의 복수의 RCM 중의 RCM들에 대한 매핑 지시자 값의 매핑을 포함하며, 상기 웨이크업 신호는 매핑 지시자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제2 스테이션이 상기 매핑에 따라 상기 제1 RCM에 대응하는 웨이크업 신호 내의 매핑 지시자의 값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스테이션이 제공된다. 상기 제1 스테이션은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한 실행을 위해 프로그래밍을 저장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상기 프로그래밍은 상기 제1 스테이션을, 제2 스테이션으로부터 웨이크업 구성을 수신하고, 상기 제1 스테이션의 복수의 무선 통신 모듈(RCM)을 휴면 모드로 하고, 상기 제1 스테이션의 보조 저전력 무선 수신기에서 상기 제2 스테이션으로부터의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웨이크업 구성에 따라 상기 복수의 RCM 중의 제1 RCM을 깨우기로 결정하고, 상기 제2 스테이션과 통신하기 위해 상기 제1 RCM을 휴면 모드로부터 깨우도록 구성하기 위한 명령어(instruction)를 포함한다.
상기 프로그래밍은 상기 제1 스테이션을, 상기 웨이크업 구성을 결정하기 위해 상기 제2 스테이션과 통신하도록 구성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한다. 상기 웨이크업 구성은 상기 제1 RCM의 지시를 포함한다. 상기 웨이크업 구성은 상기 제1 스테이션의 복수의 RCM 중의 RCM들에 대한 매핑 지시자 값의 매핑을 포함하며, 상기 웨이크업 신호는 매핑 지시자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그래밍은 상기 제1 스테이션을, 상기 매핑 및 상기 매핑 지시자에 따라 상기 제1 RCM을 선택하도록 구성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한다.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제1 스테이션을, 상기 제2 스테이션에 RCM 웨이크업 지시자를 송신하고, 상기 제1 RCM에서 상기 제2 스테이션으로부터의 응답을 수신하기 전에 타임아웃을 검출하고, 상기 제1 스테이션의 상기 복수의 RCM 중 제3 RCM을 깨우기로 결정하고, 상기 제3 RCM을 깨우고, 상기 제3 RCM을 깨운 후에 상기 제3 RCM을 사용하여 상기 제2 스테이션과 통신하도록 구성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스테이션이 제공된다. 상기 제2 스테이션은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한 실행을 위해 프로그래밍을 저장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상기 프로그래밍은 상기 제2 스테이션을, 상기 제1 스테이션에 대한 웨이크업 구성을 송신하고, 상기 제1 스테이션의 복수의 RCM을 휴면 모드로 하고, 상기 제1 스테이션을 위한 웨이크업 신호를 송신하고 - 상기 웨이크업 신호는 상기 웨이크업 구성에 따라 상기 복수의 RCM 중의 제1 RCM을 깨우도록 구성됨 -, 상기 제1 스테이션의 복수의 RCM 중의 제2 RCM으로부터 웨이크업 지시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스테이션의 복수의 RCM 중의 제2 RCM과 연관된 상기 제2 스테이션의 제3 RCM을 사용하여 상기 제1 스테이션과 데이터를 통신하도록 구성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한다.
상기 프로그래밍은 상기 제2 스테이션을, 상기 웨이크업 구성을 결정하기 위해 상기 제1 스테이션과 통신하도록 구성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한다. 상기 웨이크업 구성은 상기 제1 스테이션의 복수의 RCM 중의 RCM들에 대한 매핑 지시자 값의 매핑을 포함하며, 상기 웨이크업 신호는 매핑 지시자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그래밍은 상기 제2 스테이션을, 상기 매핑에 따라 상기 제1 RCM에 대응하는 웨이크업 신호 내의 매핑 지시자의 값을 결정하도록 구성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한다.
전술한 실시예의 실시는 전력이 부족한 기기의 비활성 RCM을 비활성 모드로 하여 전력 소비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웨이크업 프로세스를 단순화하여 가능한 한 적은 전력이 소비되도록 보장할 수 있게 한다.
전술한 실시예의 실시는 또한 단일의 저전력 웨이크업 수신기가 복수의 RCM 중 어느 하나를 깨울 수 있도록 하므로, 단일의 활성 저전력 웨이크업 수신기가 기기당 충분하며, 이에 따라 전력 소비 감소를 더욱 향상시킨다.
본 발명 및 그 이점에 대한 보다 완전한 이해를 위해, 이제 첨부도면과 함께 이하의 설명을 참조한다.
도 1은 일례의 통신 시스템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기기를 강조한 통신 시스템의 일례이다.
도 3은 저전력 웨이크업 라디오를 구비한 일례의 IEEE 802.11 통신 시스템이다.
도 4a는 본 명세서에 기슬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일례의 웨이크업 패킷의 상세도를 나타낸다.
도 4b는 본 명세서에 기슬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일례의 웨이크업 패킷을 도시한다.
도 5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송신 기기 및 수신 기기 모두에서 LP-WU 라디오를 강조한 일례의 통신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6은 본 명세서에 기술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웨이크업 신호에서 깨울 RCM의 지시를 강조한 제1 예의 통신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7은 본 명세서에 기술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웨이크업 신호에서 깨울 RCM의 지시를 강조한 제2 예의 통신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8은 본 명세서에 기술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 깨울 RCM의 구성을 강조한 제1 예의 통신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9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 깨울 RCM의 구성을 강조한 제2 예의 통신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10은 본 명세서에 기술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어느 RCM을 깨울지를 결정하는 RD를 강조한 시스템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1은 본 명세서에 기술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TD에 의한 리디렉션(redirection)을 강조한 통신 시스템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2a는 TD가 RD와 통신할 때 TD에서 일어나는 예시적인 동작의 흐름도를 나타내며, 여기서 TD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라 RD에서의 복수의 RCM 중 어느 것을 깨울지를 결정한다.
도 12b는 RD가 TD와 통신할 때 RD에서 일어나는 예시적인 동작의 흐름도를 나타내며, 여기서 TD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RD에서의 복수의 RCM 중 어느 것을 깨울 것인지를 결정한다.
도 13a는 TD가 RD와 통신할 때 TD에서 일어나는 예시적인 동작의 흐름도를 나타내며, 여기서 TD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RCM을 깨우기 전에 웨이크업 신호에 응답하여 RD에서의 복수의 RCM 중 어느 것을 깨울지에 대해 RD와 함께 구성한다.
도 13b는 RD가 TD와 통신할 때 RD에서 일어나는 예시적인 동작의 흐름도를 나타내며, 여기서 RD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RCM을 깨우기 전에 웨이크업 신호에 응답하여 RD에서의 복수의 RCM 중 어느 것을 깨울 것인지에 대해 TD와 구성한다.
도 14a는 TD가 RD와 통신할 때 TD에서 일어나는 예시적인 동작의 흐름도를 나타내며, 여기서 RD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어느 RCM을 깨울지를 결정한다.
도 14b는 RD가 TD와 통신할 때 RD에서 일어나는 예시적인 동작의 흐름도를 나타내며, 여기서 TD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어느 RCM을 깨울지를 결정한다;
도 15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처리 시스템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16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원격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시그널링을 송신 및 수신하도록 구성된 RCM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본 예시적인 실시예의 동작 및 그 구조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가 다양한 구체적인 상황에서 구현될 수 있는 많은 적용 가능한 발명 개념을 제공함을 이해해야 한다. 논의된 구체적인 실시예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의 구체적인 구성 및 실시예를 동작시키는 방법의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는 기기의 무선 통신 모듈(RCM)을 깨우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여기서는 웨이크업 수신기가 송신 기기로부터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에 수신 기기 내에 존재하는 RCM 중 어느 하나를 깨울 수 있는 하나(또는 단 하나)의 웨이크업 수신기를 가질 수 있게 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설명한다. 송신 기기는 수신 기기에서 어느 RCM을 깨울지를 웨이크업 신호 내에 특정할 수 있거나, 송신 기기와 수신 기기가 미리 조정하여 수신 기기에서 어느 RCM을 깨울지를 결정할 수 있다. 또는 수신 기기는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하면 어느 RCM을 깨울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로서, 수신 기기는 기준에 기초하여 RCM을 깨울 수 있으며, 이 기준은 수신 기기의 각각의 RCM의 전력 소비를 비교하는 전력 소비 요건, 또는 수신 기기의 각각의 RCM의 대기 시간을 비교하는 대기 시간 요건, 또는 수신 기기의 각각의 RCM에 의해 지원되는 서비스 품질(QoS) 요건을 비교하는 예상 데이터 송신의 QoS 요건, 또는 수신 기기와 송신 기기 사이의 추정 범위를 제1 스테이션의 각각의 RCM에 의해 지원되는 통신 범위와 비교하는 범위 요건, 또는 수신 기기의 이력 및 사용 정보를 포함한다.
웨이크업 송신기는 사소한 수정을 가한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 송신기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OFDM을 지원하는 모든 RCM은 웨이크업 신호 송신을 지원할 수 있다.
도 1은 일례의 통신 시스템(100)을 보여준다. 통신 시스템(100)은 스테이션(110, 112, 114, 116, 118)과 같은 복수의 스테이션들에 서비스하는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105)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인프라스트럭처 기반 통신 모드 또는 무선 랜(Wireless LAN, WLAN) 모드로 지칭되는 제1 동작 모드에서, 액세스 포인트(105)는 그 연관된 스테이이션과의 또는 그 연관된 스테이션 사이의 통신의 특정 측면(예컨대, 무선 주파수 채널, 송신 전력 제한, 인증, 보안 등)을 제어한다. 일반적으로 말하면, 통신 시스템(100)에서, 업링크(스테이션 대 액세스 포인트) 및 다운링크(액세스 포인트 대 스테이션) 송신 모두에 대한 무선 자원은 일반적으로 CSMA/CA(Carrier Sensing Multiple Access with Collision Avoidance)라고 하는 분산형 경쟁 메커니즘에 기초하여 송신기에 의해 액세스된다. 그러나, 액세스 포인트(105)는 스테이션들 및/또는 트래픽 유형에 상이한 액세스 우선순위를 할당함으로써, 그리고 채널 경쟁에서 성공할 때, 특정 스테이션 및/또는 트래픽에 대해 또는 특정 목적을 위해, 그 시간 동안에 송신기가 송신할 수 없는 휴지 기간(Quiet Period)과 같은 특정 기간를 명시적으로 할당함으로써, 자원 할당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직접 통신 모드, 애드호크(ad-hoc) 모드 또는 피어투피어(peer-to-peer) 모드로 지칭되는 제2 동작 모드에서, 스테이션(예컨대 스테이션(116) 및 스테이션(118))은 피어 스테이션으로서의 역할을 하고, 액세스 포인트(105)와 같은 집중형 엔티티를 통하지 않고 서로 직접 통신할 수 있다. 이러한 직접 통신의 예는 Wi-Fi Direct 및 NAN(Neighbor Awareness Networking)를 준수하는 통신 시스템을 포함하며, 이 둘 모두는 IEEE 802.11 표준에 기반한 Wi-Fi Alliance에 의해 지정된다.
통신 시스템은 다수의 UE와 통신할 수 있는 다수의 액세스 포인트를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지만, 단순화를 위해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와 5개의 스테이션 만이 도시되어 있다.
도 2는 웨어러블 기기(WD)를 강조한 일례의 통신 시스템(200)을 도시한다. 통신 시스템(200)은 인터넷(215)에 연결된 기지국(205) 및/또는 액세스 포인트(210)를 포함한다. 인터넷(215)과 기지국(205) 또는 액세스 포인트(210) 사이의 연결은 전형적으로 트위스트 페어(twisted pair), 동축 케이블, 및/또는 광섬유 등에 기반한다. 통신 시스템(200)은 또한 기지국(205) 및 액세스 포인트(210) 중 하나 또는 모두를 통해 인터넷(215)에 또한 연결되는 허브 기기(hub device)(또는 게이트웨이 기기(gateway device)(220)를 포함한다.
허브 기기(220)와 기지국(205) 사이의 연결은 전형적으로 제3 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 고속 패킷 액세스(High Speed Packet Access, HSPA) 또는 롱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과 같은 셀룰러 무선 기술을 사용하는 공중 육상 이동 네트워크(public land mobile network, PLMN),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등에 기반하고, 전형적으로 허브 기기(220)가 사용자의 집이나 사무실에 설치된 것과 같은 근거리 통신망(LAN)으로부터 연결해제된 때 사용된다. 그러한 경우, 허브 기기(220)는 일반적으로 자동차, 버스, 기차, 경전철, 비행기 등에 설치된 스마트폰 또는 무선 기기일 수 있다. 허브 기기(220)와 액세스 포인트(210) 사이의 연결은 단거리 무선 기술(IEEE 802.11, 블루투스 또는 IEEE 802.15.4와 같은 것)을 사용하거나 유선 기술(예를 들어, 트위스트 페어, 케이블 또는 전력선을 통함)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허브 기기(220)가 사용자의 집 또는 사무실에 설치된 것과 같은 LAN에 연결될 때 사용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허브 기기(220)는 전형적으로 액세스 포인(210)와 동일한 장소에 있거나 연결된(예컨대, 전력선, 트위스트 페어, 케이블, 또는 IEEE 802.11, 블루투스 및 IEEE 802.15와 같은 단거리 무선을 사용함) 스마트폰 또는 기기일 수 있다.
또한, 통신 시스템(200)은 개인 건강 기기(예컨대, ECG 센서, 혈압 센서, 인슐린 펌프, EMG 센서 등), 활동 모니터기기(모션 센서, 심박수 센서, 체온 센서 등), 정보 가젯(information gadget)(예컨대, 스마트 시계, 휴대용 비디오 플레이어, 휴대용 뮤직 플레이어 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허브 기기(220)는 전형적으로 IEEE 802.11, 블루투스 및 IEEE 802.15.4와 같은 단거리 무선 기술을 사용하여 WD에 연결성을 제공한다. 또는 기기(220)는 WD가 인터넷(215)에 접속할 수 있도록 고밀도 장소에 배치된 전용 기기일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허브 기기(220)는 주택 소유자, 고밀도 장소에 연결성 제공을 책임지는 엔티티, 통신 시스템의 운영자, 지불을 위한 연결성을 제공하는 제공자, 크레디트 또는 할인을 위한 연결성을 제공에 관심있는 통신 시스템 가입자 등일 수 있다.
많은 웨어러블 기기, 센서 및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기기가 배터리 전원으로 작동한다. 따라서, 이들 기기상의 RCM은 전력 소비가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저전력 웨이크업 무선장치(low-power wake-up radio, LP-WUR)를 갖는 일례의 IEEE 802.11 통신 시스템(300)을 나타낸다. 통신 시스템(300)은 송신 기기(305) 및 수신 기기(310)를 포함한다. 송신 기기(305)는 무엇보다도, 향상된 802.11 RCM("802.11 +"로 라벨링됨)(307)을 포함한다. 향상된 802.11 RCM(307)은 웨크업 패킷의 송신을 포함하는, IEEE 802.11 표준 시그널링뿐만 아니라 LP-WUR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다. 적어도 웨이크업 패킷의 페이로드 부분은 IEEE 802.11 표준 시그널링보다 훨씬 좁은 채널 대역폭을 통해 송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IEEE 802.11 표준 시그널링은 20MHz의 채널 대역폭을 통해 송신될 수 있고, 웨이크업 패킷의 페이로드는 5MHz 또는 그 이하의 채널 대역폭을 통해 송신될 수 있다. 대역폭이 좁을수록 수신 기기(310) 내의 것과 같은, 의도된 수신기의 비용 및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는 데 도움을 주며, 이것은 LP-WUR를 설계하는 데 매우 바람직하다.
수신 기기(310)는 무엇보다도 802.11 RCM(312) 및 LP-WUR(314)를 포함한다. 802.11 RCM(312)은 LP-WUR(314)가 그렇지 않은 동안 사용자 데이터를 통신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LP-WUR(314)에는 일반적으로 송신기가 없다. LP-WUR(314)는 휴면 모드 또는 오프(OFF) 모드로부터 802.11 RCM(312)을 깨우는 것을 돕기 위해 존재한다. 일반적으로, LP-WUR(314)는 802.11 RCM(312)이 오프일 때(예컨대, 휴면 모드에서) 온(ON)이다. LP-WUR(314)는 802.11 RCM(312)과 연관된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되는 값을 저장하도록 설계된 메모리(또는 레지스터), 적어도 웨이크업 패킷의 페이로드를 수신하도록 설계된 수신기, 및 수신된 페이로드 내의 값과 메모리에 저장된 값을 비교하도록 설계된 비교기를 포함한다. 비교기는 수신된 값이 저장된 값과 매칭되는 경우 웨이크업 인터럽트라고 하는 신호를 생성한다. LP-WUR(314)는 휴면 모드로부터 802.11 RCM(312)을 깨우기 위해 LP-WUR(314)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웨이크업 인터럽트를 전달하기 위해 사용되는 연결을 통해 802.11 RCM(312)에 연결된다. 컴퓨터 과학에서, 인터럽트는 프로세서 외부의 신호에 사용되는 용어로, 프로세서가 현재 실행중인 프로그램의 인터럽트를 필요로 하는 우선순위가 높은 조건 또는 이벤트를 알린다. 프로세서는 현재의 활동을 중단하고 이벤트를 처리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응답한다. 중단은 일시적일 수 있으며, 이벤트를 처리하는 프로그램의 실행이 끝난 후, 프로세서는 현재이 활동을 재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잠시 동안 데이터 통신이 없거나 휴면 커맨드가 수신되는 경우, 802.11 RCM(312)과 연관된 프로세서는, 적어도 802.11 RCM(312) 내부의 전자 회로의 대부분을 휴면 모드로 하는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으며, 이는 또한 절전 모드 또는 전원 오프 모드로 지칭될 수 있다. 802.11 RCM(312)의 전자 회로 부분이 휴면 모드에 있는 동안, 802.11 RCM(312)의 능력은 802.11 RCM(312)이 IEEE 802.11 표준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더 이상 통신할 수 없는 정도까지 디스에이블된다. 802.11 RCM(312)과 연관된 프로세서는 802.11 RCM(312) 내부의 전자 회로에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LP-WUR(314)에 의해 생성되는 웨이크업 인터럽트에 응답하여 IEEE 802.11 표준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통신 능력을 재개한다. 일반적으로, 온 상태 또는 활성 상태에 있을 때, 802.11 RCM(312)은 LP-WUR(314)보다 훨씬 더 큰 전력, 적어도 한 자리 또는 두 자리 더 많은 전력을 소비할 것이다.
LP-WUR(314)의 일례의 타깃 전력 소비는 온(ON) 동안에 100 마이크로와트 미만이다. LP-WUR(314)의 수신기는 예를 들어 5MHz 이하의 웨이크업 패킷의 페이로드의 대역폭과 매칭되는 협 대역을 가지며, 802.11 RCM의 수신 범위와 대략 동일한 수신 범위를 갖는다.
802.11 통신을 수행할 때, 송신 기기(305)는 데이터 패킷(320)과 같은 데이터 패킷을 수신 기기(310)에 송신하는데, 여기서 802.11 RCM(312)은 데이터 패킷을 수신 및 처리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 기기(310)는 초기에 절전 상태(reduced power state)에 있다. 수신 기기(310)가 전력 소비를 감소시킬 수있는 방법 중 하나는 LP-WUR(314)를 온 상태로 유지하면서 802.11 RCM(312)을 턴오프하는 것이다. 수신 기기(310)가 절전 상태에 있을 때, 802.11 RCM(312)은 오프 상태이고 수신 기기(310)는 802.11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거나 처리할 수 없다.
그러나, LP-WUR(314)는 온 상태를 유지하고 수신 기기(310)는 웨이크업 패킷(325)과 같은 웨이크업 패킷을 수신할 수 있다. 송신 기기(305)가 수신 기기(310)에 송신할 데이터가 있지만, 수신 기기(310)가 절전 상태에 있는 상황에서, 송신 기기(305)는 먼저, 예를 들어 802.11+ RCM(307)을 사용하여 수신 기기(310)에 웨이크업 패킷(325)을 송신한다. 웨이크업 패킷(325)은 LP-WUR(314)에 의해 수신되어 처리되고, 이것이 802.11 RCM(312)을 깨운다. 그러면, 송신 기기(305)는 802.11+ RCM(307)을 사용하여 수신 기기(310)에 데이터를 송신하고, 수신 기기(310)는 802.11 RCM(312)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수신한다.
하이라이트(330)는 예컨대 웨이크업 패킷(325)과 같은 일례의 웨이크업 패킷의 상세도를 제공한다. 웨이크업 패킷은 프리앰블(332) 및 페이로드(334)를 포함한다. 통신 시스템(300)내의 802.11 준수 기기와의 호환성을 유지하기 위해, 프리앰블(332)은 20MHz와 같은 802.11 표준 시그널링을 따르는 채널 대역폭을 통해 송신 된 802.11 레거시 프리앰블이다. LP-WUR의 수신기 대역폭은 보통 프리앰블(332)과 같은 802.11 레거시 프리앰블을 수신하기에 불충분하기 때문에, 프리앰블(332)은 LP-WUR(314)와 같은 LP-WUR의 검출되지 않는다. 그 대신에, 프리앰블(332)은 레거시 802.11 기기가 페이로드(334)의 송신하는 동안에 송신을 방지하도록 의도된다. 프리앰블(332) 내의 레거시 신호 필드(Legacy SIGNAL field, L-SIG)의 LENGTH 서브필드는 페이로드(334)의 지속기간을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페이로드(334)는 온오프키잉(On-Off-Keying, OOK)과 같은 간단한 변조 방식을 사용하여 변조되고, 5MHz 이하와 같은 더 좁은 채널 대역폭을 통해 송신한다. 따라서, 레거시 802.11 기기는 통상 페이로드(334)를 검출할 수 없을 것이다. 그러나 레거시 802.11 기기는 프리앰블(332)이 레거시 802.11 표준의 대역폭 및 신호 포맷을 전적으로 따르기 때문에 프리앰블(332)을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프리앰블(332)을 수신하는 경우, 레거시 802.11 기기는 채널이 적어도 LENGTH 값에 의해 지시된 지속 기간 동안 사용중임을 인식하고, 그후 페이로드(334)가 IEEE 802.11 표준을 따르는 것처럼, 페이로드(334)의 송신 동안에 송신 시도를 중지한다. OOK 변조는 비교적 작은 수정을 가한 OFDM 송신기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음에 유의하기 바란며, 예를 들어, 향상된 802.11 RCM(307)은 OFDM 변조된 통신뿐만 아니라 OOK 변조된 파형을 따르는 신호를 송신할 수도 있다.
도 4a는 일례의 웨크업 패킷(400)의 상세도를 나타낸다. 웨이크업 패킷(400)은 프리앰블(405) 및 페이로드(410)을 포함한다. 프리앰블(405)은 802.11 기술 표준을 따르며 레거시 숏 트레이닝 필드(Legacy short training field, L-ARQ), 레거시 롱 트레이닝 필드(Legacy long training field, L-LTF)(407) 및 L-SIG(408)를 포함한다. 페이로드(410)는 웨이크업 프리앰블(411), 매체 액세스 제어(medium access control, MAC) 헤더(예컨대, 수신기 주소)(412), 프레임 바디(413) 및 프레임 체크 시퀀스(frame check sequence, FCS)(414)를 포함한다. 웨이크업 프리앰블(411)은 웨이크업 시퀀스를 포함한다. 웨이크업 시퀀스는 예를 들어, LP-WUR가 샘플링을 위한 타이밍을 획득하고 페이로드(410)의 나머지를 검출하는 것을 돕기 위해 양호한 자기 상관 특성(auto-correlation property)을 갖는 의사 난수 시퀀스(pseudo-random number sequence)일 수 있다. MAC 헤더(412)는 깨우기로 의도된 수신 기기 웨이크업 패킷(400)의 주소를 포함한다. 수신 기기의 주소는 또한 수신 기기의 식별자로 지칭될 수 있다. 프레임 바디(413)는 다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FCS(414)는 웨이크업 패킷(400)의 무결성 검사를 위한 순환 중복 검사(cyclic-redundancy check, CRC)를 포함한다.
도 4b는 일례의 웨이크업 패킷(450)을 나타낸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비트는 250kbps의 총 데이터 레이트에 대해, 4 마이크로초인 OFDM 심볼주기와 동일하다.
많은 현대의 기기들은 복수의 RCM을 가지며, 여기서 각각의 무선장치(radio)는 상이한 커버리지 및/또는 상이한 데이터 레이트를 가질 수 있다. 예시적인 예로서, 일부 기기는, 각각이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2.4GHz, 5GHz, 60GHz 및 1GHz 미만)에서 동작하고, 서로 다른 커버리지를 갖거나 서로 다른 범위의 데이터 레이트를 지원하는 여러 개의 802.11 RCM(또는 적어도 여러 개의 무선 주파수(RF) 프론트 엔드)를 갖는다. 다른 예시적인 예로서, 일부 기기는 802.11, 블루투스, 802.15.4/ZigBee, 3GPP LTE, LAA(License Assisted Access), MuLTEFire 등과 같은 상이한 무선 액세스 기술(radio access technology, RAT)을 위한 복수의 RCM을 구비할 수 있다. 상이한 상황하에서 상이한 RAT가 사용될 수 있는데, 예컨대 블루투스는 완전히 깨어난 경우에 커버리지 영역이 더 작고, 데이터 레이트가 낮으며, 전력 소비가 더 낮다. 반면에 802.11은 완전히 깨어난 경우에 커버리지 영역이 더 크고, 데이터 레이트가 더 높고, 전력 소비가 더 높다.
RCM상에서 활동이 없는 경우, RCM은 턴오프될 수 있고, 그 결과 전력 소비가 감소될 수 있다. 턴오프될 수 있는 RCM이 많을수록, 전력 소비가 더 크게 감소한다. 그러나 온 상태인 여러 LP-WUR(예를 들어, 각 RCM당 하나)가 있으면 불필요한 전력 소비를 초래한다. 또한, 송신 기기 및 수신 기기의 구현에 복잡도가 추가된다.
도 5는 송신 기기 및 수신 기기 모두에서 LP-WU 무선장치를 강조한 일례의 통신 시스템(500)을 나타낸다. 통신 시스템(500)은 송신 기기(transmitting device, TD)(505) 및 수신 기기(receiving device, RD)(510)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보류 데이터(pending data)가 다운링크 송신에 있을 때 TD는 액세스 포인트(AP)일 수 있고, RD는 스테이션일 수 있고, 보류 데이터가 업링크 송신에 있을 때, TD는 피어투피어 통신을 사용하여 RD와 통신하는 피어 스테이션일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TD(505)는 RCM(515, 520, 525)과 같은 세 개의 RCM을 포함한다. 세 개의 RCM 각각은 웨이크업 송신기(517, 522, 527)와 같은 웨이크업 송신기를 각각 포함한다. TD(505)가 특정 RAT에서 RD(510)에 대한 송신을 갖는 경우, TD(505)는 먼저 RAT의 RCM과 연관된 웨이크업 송신기를 사용하여 (웨이크업 패킷의 형태로) 웨이크업 신호를 송신한 다음, 그 RAT의 RCM을 사용하는 RD(510)에 하나 이상의 데이터 패킷을 송신한다. 예시적인 예로서, TD(505)가 RCM(520)과 연관된 RAT에서 RD(510)에 대한 송신을 가지면, TD(505)는 웨이크업 송신기(522)를 사용하여 RD(510)로 주소지정된 웨이크업 신호를 송신한 다음, 하나 이상의 데이터 패킷을 RD RCM(520)을 사용하는 RD(510)송신한다. RD(505)와 TD(510)의 구성은 각각의 RCM 쌍에 대해 사용되는 상이한 웨이크업 송신기와 웨이크업 수신기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웨이크업 프로세스의 구현은 불필요하게 복잡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기기의 복수의 RCM 중 하나 이상의 RCM을 깨우기위한 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된다. 본 명세서에서 논의된 시스템 및 방법은 보조 무선 수신기(웨이크업 수신기)를 구비한 제1 기기(예컨대, RD)를 제공하고, 여기서 웨이크업 수신기는, 제2 기기(예컨대, TD)로부터 대응하는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제1 기기가 제1 RCM을 사용하여 제2 기기와 통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1 기기의 복수의 RCM 중 제1 RCM을 깨운다. 복수의 RCM은 802.11(Wi-Fi) 모듈, 블루투스 모듈, 802.15.4(ZigBee) 모듈, 3GPP LTE 모듈, LAA 모듈 또는 MuLTEFire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복수의 RCM은 2.4GHz, 5GHz, 60GHz, 1MHz, 3.5GHz, 2GHz 및 1.8GHz 주파수 대역 중 적어도 하나에서 동작한다. 웨이크업 수신기는 활성 상태 또는 온 상태인 동안, 복수의 RCM 중 어느 것보다 상당히 적은 전력을 소비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RCM 중 어느 것을 깨울지에 관한 결정은 TD에 의해 이루어지며, 이것이 또한 RD를 깨운다. TD는 RD에, RD의 복수의 RCM 중 어느 것을 깨울지를 지시한다. TD는 RD를 서비스하는 AP이거나 RD와 통신하는 피어 스테이션일 수 있다. 복수의 RCM 중 어느 것을 깨울지에 관한 결정은 TD의 복수의 RCM 중 하나 또는 TD의 프로세서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결정은 전력 소비 요건(깨어난 경우에 RD의 각각의 RCM의 전력 소비와 비교함)대기 시간 요건(RD의 각각의 RCM을 깨우는 것과 연관된 대기 시간과 비교함), 예상 데이터 송신의 QoS 요건(RD의 각각의 RCM에 의해 지원되는 QoS와 비교함), 범위 요건(예컨대, TD와 RD 사이의 추정 범위를, 깨어난 경우에 RD의 각각의 RCM에 의해 지원되는 통신 범위와 비교함), RD에 도착하고 또한 TD를 타깃으로 하는 데이터의 소스(예컨대, 날짜가 LTE 코어 네트워크로 온 것인지 LAN으로부터 온 것인지), 이력 및 사용 정보 등의 결정 기준에 기초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TD는 웨이크업 신호에 RD의 RCM을 깨우도록 명시적으로 지시한다. TD는 웨이크업 신호에서 상이한 웨이크업 프리앰블 또는 주소를 사용하여 RD의 복수의 RCM 중 어느 것을 깨울지를 지시할 수 있다. TD는 웨이크업 신호 내의 지시 필드를 RD의 복수의 RCM 중 어느 것을 깨울지에 대한 지시로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시 필드는 웨이크업 신호의, 프레임 바디(413)와 같은 프레임 바디 내에 위치할 수 있다. 표 1은 대응하는 RCM에 대한 지시 비트의 값의 매핑에 대한 일례를 나타낸다. 대응하는 RCM에 대한 지시 비트의 값의 매핑은 표준화될 수 있으므로(예를 들어,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음), RD는 수신된 지시 비트 및 표준화된 매핑을 사용하여 RD의 어느 RCM를 깨울지를 결정할 수 있다. 그러나, 상이한 주파수 대역과 결합된 많은 다른 RAT의 이용 가능성으로 인해, 다수의 지시 비트가 필요할 수 있다.
Figure pct00001
표 1: RCM에 대한 지시 비트의 값의 매핑 예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TD와 RD는 대응하는 RCM들에 대한 지시 비트의 값 사이의 매핑을 네고시에션 및/또는 구성한다. TD와 RD는 웨이크업 신호를 전송하기 전에, 예를 들어, TD와 RD 사이의 연계 프로시저 또는 구성 프로시저 동안에, TD와 RD에 이용 가능한 복수의 RCM 중 하나와의 사이의 통신을 이용하여, 대응하는 RCM에 대한 지시 비트의 값들 사이의 매핑을 네고시에이션 및/또는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지시 비트의 값과 그 대응하는 RCM 사이의 매핑은 (TD-RD 쌍 중) 쌍 특정적(pair-specific)이며, 이 경우 적은 수의 지시 비트가 충분할 수 있다. TD-RD 쌍 특정 매핑은 지시 비트의 값과 RD의 대응하는 RCM 사이에 일대일 매핑을 갖는 표로서 설명될 수 있다. 매핑이 TD-RD 쌍 특정이기 때문에, TD는, 예를 들어, TD와 각각의 RD 사이의 연계 프로시저 또는 구성 프로시저 동안에, TD와 각각의 RD 사이에서 전달되는 구성 메시지에 포함된 매핑 필드에서, TD가 서비스하고 있는 RD 각각에 쌍 특정 매핑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특정 TD-RD 쌍의 RD가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한 후, 웨이크업 신호에 포함된 수신된 지시 비트 및 TD-RD 쌍 특정 매핑 정보를 사용하여 RD의 어느 RCM을 깨울지를 결정한다.
또는, 매핑은 다음의 두 표와 같은 다수의 표를 사용하는 2 단계 매핑으로서 설명될 수 있다. 첫 번째 표, 예컨대 표 2는 대응하는 RCM 인덱스에 대한 지시 비트(매핑 지시자)의 값의 일례의 매핑을 나타내며, 모든 TD-RD 쌍이 첫 번째 표에 나타낸 동일한 매핑을 따르도록 매핑이 표준화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첫 번째 표는 RCM 색인에 대한 매핑 지시자 값의 매핑을 제공한다. 두 번째 표, 예컨대 표 3은 대응 RCM에 대한 RCM 인덱스의 미리 구성된 매핑의 일례를 나타내며, 매핑은 각자의 RCM을 사용하는 특정 TD-RD 쌍 사이에 미리 구성된다. 이 상황에서 특정 TD-RD 쌍의 RD가 그의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한 후, RD는 수신된 지시 비트와 표 2 및 표 3에서의 매핑을 함께 사용하여 RD의 어느 RCM을 깨울지를 결정한다. 예시적인 예로서, 수신된 지시 비트가 값 '1'을 지시하면, RD는 첫 번째 표를 사용하여 RCM 2를 깨우기로 결정할 것이고, 이는 두 번째 표에 지시된 바와 같이 Wi-Fi 2.4GHz에 대한 RCM이다.
Figure pct00002
표 2: RCM 인덱스에 대한 지시 비트의 값의 매핑 예
Figure pct00003
표 3: RCM에 대한 RCM 인덱스의 미리 구성된 매핑 예
도 6은 웨이크업 신호에서 깨울 RCM의 지시를 강조한 제1 예의 통신 시스템)(600)을 나타낸다. 통신 시스템(600)은 TD(605) 및 RD(610)를 포함한다. TD(605)는 RCM(615, 620, 625)을 포함한 복수의 RCM을 포함한다. 각각의 RCM은 웨이크업 송신기(617, 622, 627)를 포함한 웨이크업 송신기를 포함한다. 웨이크업 송신기(617, 622, 627) 중의 웨이크업 송신기 각각은 OFDM 변조된 신호를 사용하는 통신에 사용되는 RCM(615, 620, 625) 중의 각각의 RCM의 일반(regular) 송신기 및 수신기와 구별되는 물리적으로 별개의 OOK 송신기로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앞서 논의된 바와 같이, OOK 변조된 웨이크업 신호의 송신은 임의의 OFDM 송신기에서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으므로, 웨이크업 송신기(617, 622, 627)와 같은 웨이크업 송신기는 단지 OFDM 변조된 신호를 송신할 수 있는 모든 송신기에서 구현되는 논리 기능일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RCM에 웨이크업 송신기를 포함시키는 것은 예시적인 실시예의 범위 또는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TD(605)는 RD(610)가 절전 상태에 있을 때 RD(610)에 전송될 데이터를 가지고 있다. 그래서, TD(605)의 중앙 프로세서 또는 RCM(625)의 프로세서와 같은 TD(605) 내의 프로세서는 웨이크업 신호를 RD(610)에 먼저 송신하도록 웨이크업 송신기(627)를 구성한다(이벤트 660으로 도시됨).
RD(610)는 RCM(630, 635, 640)을 포함한 복수의 RCM을 포함한다. RD(610)는 또한 웨이크업 수신기(645) 및 스위치(650)를 포함한다. 스위치(650)는 논리적 엔티티일 수 있고 웨이크업 수신기(645)의 일부 또는 RD(610) 내의 프로세서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스위치(650)는 별도의 엔티티일 수 있다. 스위치(650)는 웨이크업 수신기(645)의 전원이 온될 때 전원이 온된다. 웨이크업 수신기(645)는 RD(610)로 주소지정된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 및 처리할 수 있다. 웨이크업 수신기(645)가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하고 그 웨이크업 신호가 RD(610)를 위한 것이라고 결정한 경우(예컨대, MAC 헤더(412)에 포함된 수신기 주소(또는 식별자)와 같은, 수신된 웨이크업 신호 내의 주소(또는 식별자)가 RD(610)에 할당된 주소(또는 식별자)와 매칭되는 경우), 웨이크업 인터럽트가 생성되고(이벤트(665)로 도시됨) 추가적인 처리가 수행되어(예컨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표 1, TD-RD 쌍 특정 매핑 표, 또는 표 2-3에 따라 웨이크업 신호 내의 지시 비트의 처리, 다단계 매핑 프로세스) 어느 RCM을 깨울지를 결정한다. 다시 말해, 웨이크업 신호는 웨이크업 신호에 포함된 주소가 RD(610)의 주소와 동일한 경우에 RD(610)를 위한 것이다.
웨이크업 수신기(645)는 지시된 RCM(예컨대, 도 6에 도시된 RCM(640))을 깨울 웨이크업 인터럽트를 어서트(assert)하도록 스위치(650)를 구성한다. 스위치(650)는 디멀티플렉서와 같은 하드웨어 스위치, 또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웨이크업 인터럽트는 RD(610)의 중앙 프로세서 또는 RCM(640)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RCM(640)을 파워업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실행시킴으로써 RCM(640)을 깨울 수 있다. 결국 RD(610)는 TD(605)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포함하고, 어쩌면 확인응답(acknowledgement), 응답 또는 후속 메시지 또는 데이터를 TD(605)에 송신하는 것을 포함하여, RCM(640)을 사용하여 TD(605)와의 데이터 교환을 완료한다(도 6에서 이벤트 670으로 도시됨). 데이터 교환(이벤트 670)의 완료 후, RD(610)는 더 이상의 통신 활동이 없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거나 또는 RD(610)는 TD(605)로부터 휴면 커맨드(command to sleep)를 수신할 수 있다. 그 후, RD(610)는 웨이크업 수신기(645)와 스위치(650)를 다시 온으로 스위칭되게 하는 동안 RCM(640) 및 연관 프로세서를 휴면 모드로 되돌려 놓음으로써 절전 상태를 재개할 수 있다. RCM(640)가 턴온되어 있을 때 RD(610)는 웨이크업 수신기(645) 및 스위치(650)를 일시적으로 턴오프하여 더 많은 전력을 절약할 수 있다. 웨이크업 수신기(645)와 같은 단일 웨이크업 수신기만이 복수의 RCM 중의 임의의 RCM을 깨우기 위해 파워온될 필요가 있으므로, 구현을 단순화하고 전력 소모를 더욱 감소시킬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하기 바란다.
도 7은 웨이크업 신호에서 깨울 RCM의 지시를 강조한 제2 예시적인 통신 시스템(700)을 나타낸다. 통신 시스템(700)은 TD(705) 및 RD(710)를 포함한다. TD(705)는 RCM(715, 720, 725)을 포함한 복수의 RCM을 포함한다. TD(705)는 또한 웨이크업 송신기(730)를 포함한다. 웨이크업 송신기(730)는 TD(705) 내의 개별 무선장치로서 구현현될 수 있다. 또는 웨이크업 송신기(730)는, 예를 들어 OOK 변조된 웨이크업 송신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TD(705)의 RCM 중 하나 내의 OFDM 송신기를 이용함으로써, TD(705)의 RCM 중 하나의 부분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RD(710)가 절전 상태에 있는 동안 TD(705)가 데이터를 RD(710)에 송신해야 하는 경우, TD(705)는 먼저 RD(710)에 웨이크업 신호를 송신하도록 웨이크업 송신기(730)를 구성한다(도 7의 이벤트 760으로 도시됨). RD(710)는 RCM(735, 740, 745)을 포함한 다수의 RCM을 포함한다. RD(710)는 또한 웨이크업 수신기(750) 및 스위치(755)를 포함한다. 웨이크업 수신기(750)는 RD(710)로 주소지정된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 및 처리할 수 있다. 웨이크업 수신기(750)가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하고, (예를 들어, 웨이크업 신호에 포함된 주소가 RD(710)의 주소와 동일하다는 것을 결정함으로써) 그 웨이크업 신호가 RD(710)를 위한 것이라고 결정한 경우, 웨이크업 인터럽트가 생성되고(도 7에서 이벤트 765로 도시됨), 추가 처리가 수행되어(예: 전술한 바와 같이, 표 1, TD-RD 쌍 특정 매핑 표, 또는 표 2-3에 따라 웨이크업 신호 내의 지시 비트의 처리, 다단계 매핑 프로세스) 어느 RCM을 깨울지를 결정한다. 웨이크업 수신기(750)는 지시된 RCM(예컨대, 도 7에 도시된 RCM(745))을 깨울 웨이크업 인터럽트를 어서트하도록 스위치(755)를 구성한다. RCM(745)을 깨운 후, RD(710)는 RCM(745)을 사용하여 TD(705)와의 데이터 교환(도 7에서 이벤트 770으로 도시됨)을 완료할 수 있다. 결국, RD(710)는 웨이크업 수신기(750) 및 스위치(755)를 다시 온으로 스위칭한 동안, RCM(745) 및 연관 프로세서를 휴면 모드로 되돌려놓음으로써 절전 상태를 재개할 수 있다. 웨이크업 수신기(750)와 같은, 단일의 웨이크업 수신기가 복수의 RCM에서 임의의 RCM을 깨우기 위해 파워온될 필요가 있을 뿐이라는 것에 유의하기 바란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TD 및 RD는, 예를 들어 현재의 웨이크업 이벤트 동안(즉, RD의 RCM이 깨어있는 동안), 웨이크업 신호의 송신 및 수신 이전에,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하는 미래의 이벤트에서 어느 RCM을 깨울지를 구성한다. 이러한 사전 구성은 예컨대 웨이크업 신호에서 어느 RCM을 깨울지를 명시적으로 지시할 필요를 없앤다. 예를 들어, 표 1 및 2에 기술된 바와 같은 지시 비트(들) 필드는 웨이크업 신호로부터 제거될 수 있고, 웨이크업 신호의 송신 및 수신 이전에 TD와 RD 사이의 구성 메시지에 포함될 수 있다. TD와 RD는 RD에서의 RCM이 온인 동안, 예를 들어 웨이크업 이벤트 동안(즉, RCM을 깨우는 이벤트 동안), TD 및 RD에서 이용 가능한 RCM의 임의의 쌍 사이의 통신을 사용하여 어느 RCM을 깨울지를 구성한다. OOK 변조된 신호는 잡음 및 간섭에 매우 취약하기 때문에, 웨이크업 신호에서 지시 비트(들) 필드를 제거하는 것은 웨이크업 신호를 검출할 때 오류 확률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된다. 그리고 RCM 간의 통신은 어드밴스트(advanced)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를 사용하고 구성 메시지의 수신을 확인하기 위해 명시적 승인(explicit acknowledgement)이 요청될 수 있기 때문에, 구성 메시지 내에 지시 필드를 포함하는 것은 매칭되는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 어느 RCM을 깨울지를 지시하는 더욱 신뢰성 높은 방법이 된다. 웨이크업 신호는 RCM 간의 통신 사용하는 구성 메시지보다 더 빈번하게 더 낮은 데이터 레이트로 송신되기 때문에, RCM 사이의 통신을 사용하여 지시 비트(들) 필드를 웨이크업 신호에서 구성 메시지로 이동시키는 것도 또한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된다. 구성은 RD의 웨이크업 수신기의 메모리와 같은, RD 내의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으며, 웨이크업 인터럽트를 포워딩하기 위해 스위치를 구성하는 데 사용된다.
도 8은 웨이크업 신호의 수신한 경우에 깨울 RCM의 구성을 강조한 제1 예의 통신 시스템(800)을 나타낸다. 통신 시스템(800)은 TD(805) 및 RD(810)를 포함한다. TD(805)는 RCM(815, 820, 825)을 포함한 복수의 RCM을 포함한다. 각각의 RCM은 웨이크업 송신기(817, 822, 827)를 포함한 웨이크업 송신기를 포함한다. 웨이크업 송신기(817, 822, 827) 각각은 OFDM 변조된 신호를 사용하는 통신에 사용되는 RCM(815, 820, 825) 중의 각각의 RCM의 정규 송신기 및 수신기와 구별되는 물리적으로 별개의 OOK 송신기로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웨이크업 송신기(817, 822, 827) 각각은 단지 RCM(815, 820, 825) 내의, OFDM 변조된 신호를 송신할 수 있는 각각의 일반 송신기에 구현되는 논리적인 기능일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RCM에 웨이크업 송신기를 포함시키는 것은 예시적인 실시예의 범위 또는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RD(810)는 RCM(830, 835, 840)을 포함한 복수의 RCM을 포함한다. RD(810)는 또한 웨이크업 수신기(845) 및 스위치(850)를 포함한다.
TD(805) 및 RD(810)는 RCM(825) 및 RCM(840)과 같은 RCM을 사용하여 통신하여 매칭되는 웨이크업 신호(이벤트 860으로 도시됨)를 수신한 경우에 깨울 RCM을 구성한다. 구성은 TD(805)와 RD(810) 간의 네고시에이션의 결과일 수 있다. 이 구성은 구성된 RCM을 깨우기 위한 웨이크업 인터럽트를 어서트하도록 스위치(850)을 구성하게 한다(이벤트 865으로 도시됨). 예시적인 예로서, RCM(835)은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 깨우도록 구성된다. 구성된 RCM이 TD(805)의 RCM 중 하나와 양립되는 한, RD(810)의 RCM 중 어느 것이 깨울 RCM이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성이 완료된 후, RD(810)은 RCM(830, 835, 840)을 휴면 모드로 하고 웨이크업 수신기(845) 및 스위치(850)을 파워온되게 함으로써 절전 상태에 진입할 수 있다. 나중에, TD(805)는 웨이크업 신호를 RD(810)에 송신하고(이벤트 870으로 도시됨), 웨이크업 수신기(845)는 (예를 들어, 웨이크업 신호에 포함된 주소가 RD(810)의 주소와 동일한 것으로 결정함으로써) 웨이크업 신호가 RD(810)를 위한 것이라고 결정하고 웨이크업 인터럽트(이벤트 875로 도시됨)를 생성한다. 웨이크업 인터럽트는 구성된 RCM(이 예에서는 RCM(835))에 포워딩되어 구성된 RCM을 깨운다. RCM(835)을 깨운 후, RD(810)은 RCM(835)를 사용하여 TD(805)와의 데이터 교환(이벤트 880으로 도시됨)을 완료할 수 있다. 결국, RD(810)는 웨이크업 수신기(845) 및 스위치(850)를 다시 온으로 스위칭하면서 RCM(835) 및 연관 프로세서를 휴면 모드로 되돌려 놓음으로써 절전 상태를 재개할 수 있다. 웨이크업 수신기(845)와 같은, 단일의 웨이크업 수신기가 복수의 RCM에서 임의의 RCM을 깨우기 위해 파워온될 필요가 있을 뿐이라는 것에 유의하기 바란다.
도 9는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 깨울 RCM의 구성을 강조한 제2 예의 통신 시스템(900)을 나타낸다. 통신 시스템(900)은 TD(905) 및 RD(910)를 포함한다. TD(905)는 RCM(915, 920, 925)을 포함한 복수의 RCM을 포함한다. TD(905)는 또한 웨이크업 송신기(930)를 포함한다. 웨이크업 송신기(930)는 TD(905) 내의 개별 무선장치로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웨이크업 송신기(930)는, 예를 들어 OOK 변조된 웨이크업 신호를 송신하기 위해 TD(905)의 RCM 중 하나 내의 OFDM 송신기를 이용함으로써, TD(905)의 RCM 중 하나의 부분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RD(910)는 또한 RCM(935, 940, 945)을 포함한 복수의 RCM을 포함한다. RD(910)는 또한 웨이크업 수신기(950) 및 스위치(955)를 포함한다. 웨이크업 수신기(950)는 RD(910)로 주소지정된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 및 처리할 수 있다.
TD(905) 및 RD(910)는 RCM(925) 및 RCM(945)과 같은 RCM을 사용하여 통신하여, 매칭되는 웨이크업 신호(이벤트 960으로 도시됨)를 수신한 경우에 깨울 RCM을 구성한다. 구성은 구성된 RCM을 깨우기 위한 웨이크업 인트럽트를 어서트하도록 스위치(950)를 구성되게 한다(이벤트 965로 도시됨). 예시적인 예로서, RCM(940)은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 깨도록 구성된다. 구성된 RCM이 TD(905)의 RCM 중 하나와 양립 가능한 한, RD(910)의 RCM 중 어느 것이 깨울 RCM이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성이 완료된 후, RD(910)은 RCM(935, 940, 945)을 휴면 모드로 하고 웨이크업 수신기(950) 및 스위치(955)을 파워온되게 함으로써 절전 상태로 진입할 수 있다. 나중에, TD(905)는 웨이크업 신호를 RD(970)로 송신하고(이벤트 970으로 도시됨), 웨이크업 수신기(950)는 (예를 들어, 웨이크업 신호에 포함된 주소가 RD(910)의 주소와 동일하다고 결정함으로써) 웨이크업 신호가 RD(910)를 위한 것이라고 결정하고 웨이크업 인터럽트(이벤트 975로 도시됨)를 생성한다. 웨이크업 인터럽트는 구성된 RCM(이 예에서는 RCM(940))에 포워딩되어 구성된 RCM을 깨운다. RCM(940)을 깨운 후, RD(910)는 RCM(940)을 사용하여 TD(905)와 데이터 교환(이벤트 980으로 도시됨)을 완료할 수 있다. 결국, RD(910)는 웨이크업 수신기(950) 및 스위치(955)를 다시 온으로 스위칭한 동안 RCM(940) 및 연관 프로세서를 깊은 휴면 모드(deep sleep mode)로 되돌려 놓음으로써 절전 상태를 재개할 수 있다. 웨이크업 수신기(950)와 같은, 단일의 웨이크업 수신기가 복수의 RCM에서 임의의 RCM을 깨우기 위해 파워온될 필요가 있을 뿐이라는 것에 유의하기 바란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RCM 중 어느 것을 깨울지에 관한 결정은 RD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 결정은 복수의 RCM 중 하나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RD의 프로세서가 결정을 할 수 있다. 이 결정은 전력 소비 요건(깨어난 경우에 RD의 각각의 RCM의 전력 소비와 비교함), 대기 시간 요건(RD의 각각의 RCM을 깨우는 것과 연관된 대기 시간과 비교함), 예상 데이터 송신의 QoS 요건(RD의 각각의 RCM에 의해 지원되는 QoS와 비교함), TD와 RD 사이의 추정 범위(깨어난 경우에 RD의 각각의 RCM에 의해 지원되는 통신 범위와 비교함), 또는 이력 및 사용 정보 등의 결정 기준에 기초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RD는 절전을 강조하는 전략을 취할 수 있는데, 여기서 RD는 항상 먼저 블루투스 기반 RCM과 같은, 활성 상태일 때 더 작은 커버리지와 더 낮은 전력 소비를 갖는 제1 RCM을 깨우고, 제1 RCM을 사용하여 TD와 접촉을 시도한다. 제1 RCM이 TD와의 접촉에 실패한 경우(예: 특정 시간 내에 TD로부터 응답을 수신할 수 없는 경우), RD는 Wi-Fi 기반 RCM과 같은, 활성 상태일 때 더 큰 커버리지와 더 높은 전력 소비를 갖는 제2 RCM을 깨우고, 제2 RCM을 사용하여 TD와의 접촉을 시도하는 등을, RD가 TD와 성공적으로 통신할 수 있을 때까지 계속한다. RD는 RCM 중 어느 것이 깨어났는지를 TD에 지시한다. 이 지시는 예를 들어, RCM이 깨어난 후에 깨어난 RCM을 사용하여 TD에 신호로서 송신될 수 있다. TD에는 깨어난 RD에서의 RCM과 양립 가능한 활성 RCM이 있다고 가정한다.
도 10은 어느 RCM을 깨울지를 결정하는 RD를 강조한 일례의 통신 시스템(1000)을 나타낸다. 통신 시스템(1000)은 TD(1005) 및 RD(1010)를 포함한다. TD(1005)는 RCM(1015, 1020, 1025)을 포함한 복수의 RCM을 포함한다. TD(1005)는 또한 웨이크업 송신기(1030)를 포함한다. 웨이크업 송신기(1030)는 TD(1005) 내의 개별 무선장치로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웨이크업 송신기(1030)는 예를 들어 OOK 변조된 웨이크업 신호를 송신하기 위해 TD(1005)의 RCM 중 하나 내의 OFDM 송신기를 이용함으로써, TD(1005)의 RCM 중 하나의 부분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RD(1010)는 RCM(1035, 1040, 1045)을 포함한 복수의 RCM을 포함한다. RD(1010)는 또한 웨이크업 수신기(1050) 및 스위치(1055)를 포함한다. 웨이크업 수신기(1050)는 RD(1010)로 주소지정된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 및 처리할 수 있다.
RD(1010)는 초기에 RCM(1035, 1040 및 1045)이 오프이고 웨이크업 수신기(1050) 및 스위치(1055)가 파워 온되어 있는 절전 상태에 있다. TD(1005)는 웨이크업 신호를 RD(1010)에 송신한다(이벤트 1060으로 도시됨). 웨이크업 수신기(1050)는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고, 웨이크업 신호가 RD(1010)를 위한 것인지를 검증한다(예: MAC 헤더(412) 내의 수신기 주소와 같은 수신된 웨이크업 신호의 주소가 RD(1010)에 할당된 주소와 매칭됨(또는 동일함)). 그런 다음, 웨이크업 수신기는 웨이크업 인터럽트(이벤트 1065로 도시됨)를 생성한다. RD(1010)는 어느 RCM을 깨울지를 결정한다. 스위치(1055)는 RD(1010)가 깨우기로 결정한 RCM을 깨울 웨이크업 인터럽트를 어서트하기 위해 RD(1010)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논리 기능일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RD(1010)는 RD(1010)의 결정 기준을 가장 잘 충족시킬 수 있는 RCM(1040)을 깨운다. RD(1010)는 RCM(1040)을 사용하여 TD(1005)에 RCM(1040)이 깨어났다는 지시를 송신한다(이벤트 1070으로 도시됨). 그러나 RD(1010)는 TD(1005)로부터 응답을 수신하지 못한다(응답은 TD(1005)로부터의 데이터 송신이거나 TD(1005)로부터의 특정 응답 메시지일 수 있음). 예시적인 예로서, RCM(1040)은 블루투스, 지그비 등과 같은 단거리 RAT를 위한 무선 모듈일 수 있고, RCM(1040)을 사용하는 송신은 TD(1005)에 도달할 수 없다. 따라서, RD(1010)는 더 넓은 커버리지를 갖는 RCM을 선택할 수 있다. TD(1005)로부터의 응답이 수신되지 않았기 때문에(예를 들어, 타임 아웃 후), 다른 RCM(RCM(1035))을 깨운다(이벤트 1075로 도시됨). 일례로서, RCM(1040)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RCM(1035)을 깨울 수 있다. 다른 예로서, RD(1010)의 프로세서는 RCM(1040)으로부터 실패 또는 타임아웃의 지시를 수신한 후에 RCM(1035)을 깨울 수 있다. RD(1010)가 깨어났다는 지시를 RCM(1035)을 사용하여 TD(1005)에 송신한다 (이벤트 1080으로 도시됨). 이 경우, RD(1010)는 데이터 송신의 형태로 TD(1005)로부터 응답을 수신한다(이벤트 1085으로 도시됨). 웨이크업 수신기(1050)와 같은, 단일 웨이크업 수신기가 복수의 RCM에서 임의의 RCM을 깨우기 위해 파워 온될 필요가 있을 뿐이라는 것에 유의하기 바란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RD가 깨운 RCM이 TD의 RAT와 연관이 없으면 TD는 RD를 바람직한(preferred) RAT로 스위칭하도록 리디렉션한다(redirect). 도 10에 나타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RD가 깨운 RCM이 TD의 바람직한 RAT와 연관이 없으면, TD는 대안 RCM을 선택하기 위해 RD를 리디렉션할 수 있다. 예시적인 예로서, TD로부터의 리디렉션은 RD로부터 수신된 지시에 대한 응답으로 RD에 송신되어 RCM이 깨어났음을 지시한다.
도 11은 TD에 의한 리디렉션을 강조한 일례의 통신 시스템(1100)을 도시한다. 통신 시스템(1100)은 TD(1105) 및 RD(1110)를 포함한다. TD(1105)는 RCM(1115, 1120, 1125)을 포함한 복수의 RCM을 포함한다. 또한 TD(1105)는 웨이크업 송신기(1130)를 포함한다. RD(1110)는 RCM(115, 1140, 1145)를 포함한, 복수의 RCM을 포함한다. RD(1110)는 또한 웨이크업 수신기(1150) 및 스위치(1155)를 포함한다. 웨이크업 수신기(1150)는 RD(1110)로 주소지정된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 및 처리할 수 있다.
RD(1110)는 초기에 RCM(1135, 1140, 1145)이 오프이고 웨이크업 수신기(1150) 및 스위치(1155)가 파워 온되어 있는 절전 상태에 있다. TD(1105)는 웨이크업 신호를 RD(1110)에 송신한다(이벤트 1160으로 도시됨). 웨이크업 수신기(1150)는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고, 웨이크업 신호가 RD(1110)를 위한 것인지를 검증한다(예를 들어, 웨이크업 신호에 포함된 주소가 RD(1110)의 주소와 동일하다고 결정함). 그런 다음, 웨이크업 수신기는 웨이크업 인터럽트(이벤트 1165로 도시됨)를 생성한다. RD(1110)는 어느 RCM를 깨울지를 결정한다. 스위치(1155)는 RD(1110)가 깨우기로 결정한 RCM을 깨울 웨이크업 인터럽트를 어서트하기 위해 RD(1010)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논리 기능일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RD(1110)는 RD(1110)의 결정 기준에 가장 잘 충족시킬 수 있는 RCM(1140)을 깨운다. RD(1110)는 RCM(1140)이 깨어났다는 지시를 RCM(1140)을 사용하여 TD(1105)에 송신한다(이벤트 1170으로 도시됨). 그러나, RCM(1140)과 연관된 RAT는 TD(1105)의 바람직한 RAT가 아니다. 따라서, TD(1105)는 다른 RCM으로의 스위칭하도록 RD(1110)에 명령을 송신한다(이벤트 1175로 도시됨). 예시적인 예로서, RD(1110)에 제공된 명령은 TD(1105)의 바람직한 RAT를 지정할 수 있다. 또는, RD(1110)에 제공된 명령은 간단히 RD(1110)에게 다른 RCM을 선택하도록 명령할 수 있다. TD(1105)로부터 명령을 수신하면, RD(111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RCM(1135)와 같은 다른 RCM을 깨운다(이벤트 1180으로 도시됨). 예를 들어, RCM(1140)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명령에 기초하여 RCM(1135)을 깨울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RD(1110)의 프로세서는 RCM(1140)으로부터 명령을 수신한 후에 RCM(1135)을 깨울 수 있다. TD(1105)가 바람직한 RAT 또는 특정 RCM를 지정하는 상황에서, TD(1105) 및 RD(1110)는 데이터 교환을 시작할 수 있다(이벤트 1185로 도시됨). 그러나, TD(1105)가 다른 RCM으로 스위칭하도록 RD(1110)에게 명령하는 상황에서, RD(1110)는 다른 RCM이 깨어났다는 지시를 데이터 교환 이전에 TD(1105)에 송신할 수 있다. RD(1110)가 TD(1105)의 바람직한 RAT와 연관된 RCM을 선택하기 전에 리디렉션이 여러 번 발생할 수 있음에 유의하기 바란다. 웨이크업 수신기(1150)와 같은, 단일의 웨이크업 수신기가 복수의 RCM에서 임의의 RCM을 깨우기 위해 파워온될 필요가 있을 뿐이라는 것에 유의하기 바란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RCM 중 어느 것을 깨울지를 결정하는 TD와 RD 모두의 조합이 가능하다. 예시적인 예로서, RD에 의해 깨어났지만 TD에 의해 지정된 제1 RCM이 TD로부터의 응답을 생성하지 않는 상황을 고려하면, RD는 자율적으로보다 더 큰 커버리지를 갖는 대안 RCM을 깨우기로 결정할 수 있다.
도 12a는 (도 6의 TD(605) 및 도 7의 TD(705)와 같은) TD가 (도 6의 RD(610) 및 도 7의 RD(710)와 같은) RD와 통신할 때 TD에서 일어나는 예시적인 동작(operation)(1200)의 흐름도를 나타내며, 여기서 TD는 RD에서의 복수의 RCM 중 어느 것을 깨울지를 결정한다. 작업(1200)은 TD가 RD와 통신할 때 TD에서 일어나는 동작을 나타낼 수 있으며, 여기서 TD는 RD에서의 복수의 RCM 중 어느 RCM을 깨울지를 결정한다.
동작(1200)은 RD의 어느 RCM을 깨울지를 RD가 결정하는 것으로 시작한다(블록 1205). TD는 전력 소비 요건, 대기 시간 요건, QoS 요건, 범위 요건, 데이터 소스, 이력 및 사용 정보 등과 같은 결정 기준에 기초하여 어느 RCM을 깨울지를 결정할 수 있다. TD는 어느 RCM을 깨울지에 대한 지시를 갖는 웨이크업 신호를 생성한다(블록 1207). TD는 웨이크업 신호를 송신한다(블록 1209). TD는 깨어난 RCM을 사용하여 RD와 통신한다(블록 1211).
도 12b는 (도 6의 RD(610) 및 도 7의 RD(710)와 같은) RD가 (도 6의 TD(605) 및 TD(705)와 같은) TD와 통신할 때 RD에서 일어나는 예시적인 동작(1250)의 흐름도를 나타내며, 여기서 TD는 RD에서의 복수의 RCM 중 어느 RCM을 깨울지를 결정한다. 동작(1250)은 RD가 TD와 통신할 때 RD에서 일어나는 동작을 나타낼 수 있으며, 여기서 TD는 RD에서의 복수의 RCM 중 어느 RCM을 깨울지를 결정한다.
동작(1250)은 RD가 절전 상태로 들어가는 것으로 시작한다(블록 1255). 예를 들어, RD는 웨이크업 수신기를 활성화하는 동안 RD에서의 복수의 RCM을 전원 오프함으로써 절전 상태에 들어갈 수 있다. RD는 어느 RCM을 깨울지에 대한 지시를 갖는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한다(블록 1257). 예를 들어, RD는 그의 웨이크업 수신기(도 6의 웨이크업 수신기(645) 및 도 7의 웨이크업 수신기(750))로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한다. 웨이크업 신호가 RD를 위한 것이라면 RD는 지시된 RCM을 깨운다(블록 1259). 예시적인 예로서, 웨이크업 신호에 포함된 주소(또는 식별자)가 RD(710)의 주소(또는 식별자)와 동일하면 웨이크업 신호는 그 RD를 위한 것이다. RD는 깨어난 RCM 사용하여 TD와 통신한다(블록 1261).
도 13a는 (도 8의 TD(805) 및 도 9의 TD(905)와 같은) TD가 (도 8의 RD(810) 및 도 9의 RD(910)와 같은) TD와 통신할 때 TD에서 일어나는 일례의 동작(1300)의 흐름도를 나타내며, 여기서 TD는 RCM을 깨우기 전에 웨이크업 신호에 응답하여 RD에서의 복수의 RCM 중 어느 것을 깨울지에 관해 RD와 함께 구성한다. 동작(1300)은 TD가 RD와 통신할 때 TD에서 발생하는 동작을 나타낼 수 있으며, 여기서 TD는 RCM을 깨우기 전에 웨이크업 신호에 응답하여 RD에서 복수의 RCM 중 어느 것을 깨울지에 관해 RD와 함께 구성한다.
동작(1300)은 RD에서 어느 RCM을 깨울지를 TD가 결정하는 것으로 시작한다(블록 1305). TD는 전력 소비 요건, 대기 시간 요건, QoS 요건, 범위 요건, 데이터의 소스, 이력 및 사용 정보 등과 같은 결정 기준에 기초하여 어느 RCM을 깨울지를 결정할 수 있다. 결정 기준은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또는, 어느 RCM을 깨울지를 결정하는 것은 활성 RCM을 사용하는 메시지 교환에 기초한 RD와 RD 사이의 네고시에이션의 결과일 수 있다. TD는 RD의 제2 RCM이 활성인 동안에 RD의 제2 RCM에 웨이크업 구성을 송신한다(블록 1307). 웨이크업 구성은 웨이크업 신호가 TD로부터 수신되는 경우에 RD가 깨워야 할 RCM으로 TD가 (블록 1305에서) 결정한, 제1 RCM의 지시와 같은, 제1 RCM의 정보를 포함한다. 웨이크업 구성은 또한 (예를 들어, 선호도 또는 우선순위에 기초한 순서로) 깨울 RCM의 리스트, 에러 처리 프로세스(예컨대, TD에 의해 지정된 제1 RCM이 RD에서 이용할 수 없는(또는 고장인) 경우 등) 등과 같은 다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TD가 웨이크업 신호를 생성한(블록 1309). 웨이크업 신호는, RD가 웨이크업해야 하는 것으로 TD가 경정한 RD의 RCM, 즉 제1 RCM의 명시적인 지시를 포함하지 않는다. RD의 제2 RCM은 RD의 제1 RCM과 같을 수 있다. 또는, RD의 제2 RCM은 RD의 제1 RCM과 다를 수 있다. TD가 웨이크업 신호를 송신한다(블록 1311). TD는 깨어난 RCM을 사용하여 RD와 통신한다(블록 1313).
도 13b는 (도 8의 RD(810) 및 도 9의 RD(910)와 같은) RD가 (도 8의 TD(805) 및 도 9의 TD(905)와 같은) TD와 통신할 때 RD에서 일어나는 일례의 동작(1350)의 흐름도를 나타내며, 여기서 RD는 RCM을 깨우기 전에 웨이크업 신호에 응답하여 RD에서 복수의 RCM 중 어느 것을 깨울지에 관해 TD와 함께 구성한다. 동작(1350)은 RD가 TD와 통신할 때 TD에서 일어나는 동작을 나타낼 수 있으며, 여기서 RD는 RCM을 깨우기 전에 웨이크업 신호에 응답하여 RD에서 복수의 RCM 중 어느 것을 깨울지에 관해 TD와 함께 구성한다.
동작(1350)은 RD가 TD로부터 웨이크업 구성을 수신하는 것으로 시작한다(블록 1355). 웨이크업 구성은 RD에 의해 깨어나는 것으로 TD에 의해 결정된 RCM(즉, 앞서 논의 된 바와 같은 제1 RCM), 결정 기준에 따라 이루어진 결정, 및 TD에 의해 RD에 송신되는 웨이크업 구성과 연관될 수 있다. 또는 TD로부터 웨이크업 구성을 수신하는 RD는 활성 RCM을 사용한 메시지 교환에 의한 RD와 TD 사이의 네고시에이션의 결과일 수 있으며, 네고시에이션은 RD에 의해 깨어날 RCM을 결정하기 위한 것이다. RD는 복수의 RCM 중 하나가 활성인 동안에 RD에서의 복수의 RCM 중 하나를 사용하여 웨이크업 구성을 수신할 수 있다. 웨이크업 구성은, RD에서의 복수의 RCM을 휴면 모드로 한 후에, RD가 TD로부터 매칭되는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 RD에서의 복수의 RCM 중 어느 RCM을 깨울지를 지정할 수 있다. 그런 다음, RD는 절전 상태에 들어간다(블록 1357). 예를 들어, RD는 RD의 웨이크업 수신기를 활성화하는 동안 RD에서의 복수의 RCM을 전원 오프시킴으로써 절전 상태에 들어갈 수 있다. RD는 TD로부터 매칭되는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한다(블록 1359). 일반적으로, 웨이크업 신호는 웨이크업 신호 내의 주소(또는 식별자)가 RD의 주소(또는 식별자)와 동일하는 경우에 매칭되는 웨이크업 신호이다. 예를 들어, RD는 그 웨이크업 수신기와 매칭되는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한다. RD는 현재의 웨이크업 이벤트의 이전 구성에 따라 RCM을 깨운다(블록 1361). RD는 깨어난 RCM을 사용하여 TD와 통신한다(블록 1363).
도 14a는 (도 10의 TD(1005) 및 도 11의 TD(1105)와 같은) TD가 (도 10의 RD(1010) 및 도 11의 RD(1110)와 같은) RD와 통신할 때 TD에서 일어나는 일례의 동작(1400)의 흐름도를 나타내며, 여기서 RD는 어느 RCM을 깨울지를 결정한다. 동작(1400)은 TD가 RD와 통신할 때 TD에서 일어나는 동작을 나타낼 수 있으며, 여기서 RD가 어느 RCM을 깨울지를 결정한다.
동작(1400)은 TD가 웨이크업 신호를 생성하는 것으로 시작한다(블록 1405). TD가 웨이크업 신호를 송신한다(블록 1407). TD는 깨어난 RCM의 지시를 수신한다(블록 1409). 깨어난 RCM의 지시는 깨어난 RCM과 연관된 RAT를 통해 수신된다. TD가 RD에 응답을 전송한다(블록 1411). 응답은 추가 통신을 위해 깨어난 RCM을 수락하는 데이터 송신 또는 확인응답의 형태일 수 있다. 또는, 응답은 다른 RCM으로 스위칭하기 위한 RD에 대한 명령일 수 있다. TD는 깨아닌 RCM을 사용하여 RD와 통신한다(블록 1413). TD가 특정 RAT를 선호하면, TD는 특정 RAT로 스위칭하거나 단순히 RAT 또는 RCM을 스위칭하도록 RD에 명령하는 명령을 RD에 송신할 수 있다. 블록 1411에서 RD에 대한 응답이 데이터 송신이면, 교환할 추가 정보가 없다면 블록 1413은 은 일어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하기 바란다.
도 14b는 (도 10의 RD(1010) 및 도 11의 RD(1110)와 같은) RD가 (도 10의 TD(1005) 및 도 11의 TD(1105)와 같은) TD와 통신할 때 RD에서 일어나는 일례의 동작(1450)의 흐름도를 나타내며, 여기서 TD는 어느 RCM을 깨울지를 결정한다. 동작(1450)은 RD가 TD와 통신할 때 RD에서 일어나는 작업을 나타낼 수 있으며, 여기서 RD는 어느 RCM을 깨울지를 결정한다.
동작(1450)은 RD가 절전 상태로 들어가는 것으로 시작한다(블록 1455). 예를 들어, RD는 웨이크업 수신기를 활성화하는 동안 RD에서의 복수의 RCM을 전원 오프함으로써 절전 상태에 들어갈 수 있다. RD가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한다(블록 1457). 예를 들어, RD는 웨이크업 수신기로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한다. 웨이크업 신호가 RD를 위해 의도된다면(예컨대, 웨이크업 신호의 주소가 RD의 주소와 동일 함), 웨이크업 신호는 RD를 위한 것이다. RD가 어느 RCM을 깨울지를 결정한다(블록 1459). RD는 전력 소비 요건, 대기 시간 요건, QoS 요건, 범위 요건, 이력 및 사용 정보 등과 같은 결정 기준에 기초하여 어느 RCM을 깨울지를 결정할 수 있다. RD가 웨이크업 RCM의 지시를 송신한다(블록 1461). 지시는 깨어난 RCM을 사용하여 송신될 수 있다. RD가 TD로부터 응답을 수신한다(블록 1463). TD로부터의 응답은 TD로부터의 데이터 송신의 형태이거나 추가 통신을 위해 깨어난 RCM을 수락하는 확인응답일 수 있다. 또는, TD로부터의 응답은 다른 RAT 또는 RCM으로 스위칭하라는 TD로부터의 명령일 수 있다. 도 10에 나타낸 상황에서와 같이, 타임아웃 기간이 만료되기 전에 RD가 TD로부터 응답을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에도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RD는 자동으로 다른 RCM을 깨우기로 결정한다. RD는 깨운 RCM을 사용하여 TD와 통신한다(블록 1465). 블록 1463에서 TD로부터의 응답이 데이터 송신이면, 교환할 추가 정보가 없으면 블록 1465은 일어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하기 바란다.
제1 측면에서, 본 출원은 제1 스테이션의 복수의 RCM 중 하나를 깨우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제1 스테이션이 제2 스테이션으로부터 웨이크업 구성을 수신하는 단계, 제1 스테이션이 제1 스테이션의 복수의 RCM을 휴면 모드로 하는 단계, 제1 스테이션이 제1 스테이션의 보조 저전력 무선 수신기에서 제2 스테이션으로부터의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제1 스테이션이 웨이크업 구성에 따라 복수의 RCM 중 제1 RCM을 깨우기로 결정하는 단계, 및 제1 스테이션이 제2 스테이션과 통신하기 위해 제1 RCM을 휴면 모드로부터 깨우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측면에 따른 방법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제1 스테이션이 웨이크업 구성을 결정하기 위해 제2 스테이션과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측면 또는 제1 측면의 임의의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웨이크업 구성을 결정하기 위해 제2 스테이션과 통신하는 단계는, 복수의 RCM 중 제1 RCM 또는 제2 RCM를 사용하여 수행되며, 여기서 제2 RCM은 제1 RCM과 다르다. 제1 측면 또는 제1 측면의 임의의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의 제3 실시예에 따르면, 웨이크업 구성은 제1 스테이션의 각각의 RCM의 전력 소비를 비교하는 전력 소비 요건, 또는 제1 스테이션의 각각의 RCM의 대기 시간을 비교하는 대기 시간 요건, 또는 제1 스테이션의 각각의 RCM에 의해 지원되는 서비스 품질(QoS) 요건을 비교하는 예상 데이터 송신의 QoS 요건, 또는 제1 스테이션과 제2 스테이션 사이의 추정 범위를 제1 스테이션의 각각의 RCM에 의해 지원되는 통신 범위와 비교하는 범위 요건, 또는 제1 스테이션의 이력 및 사용 정보 중 하나 이상에 따라 결정된다.
제1 측면 또는 제1 측면의 임의의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의 제4 실시예에 따르면, 웨이크업 구성은 제1 RCM의 지시를 포함한다. 웨이크업 구성은 제1 스테이션의 복수의 RCM 중의 RCM들에 대한 매핑 지시자 값의 매핑을 포함하며, 웨이크업 신호는 매핑 지시자를 포함하고, 제1 RCM을 결정하는 단계는 매핑 및 매핑 지시자에 따라 제1 RCM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측면 또는 제1 측면의 임의의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의 제5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제1 스테이션이 제2 스테이션에 RCM 웨이크업 지시자를 송신하는 단계, 제1 스테이션이 제1 RCM에서 제2 스테이션으로부터의 응답을 수신하기 전에 시간 타임아웃을 검출하는 단계, 제1 스테이션이 제1 스테이션의 복수의 RCM 중 제3 RCM을 깨우기로 결정하는 단계, 제1 스테이션이 제3 RCM을 깨우는 단계, 및 제1 스테이션이 제3 RCM을 깨운 후에 제3 RCM을 사용하여 제2 스테이션과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2 측면에서, 본 출원은 복수의 RCM을 구비한 제1 스테이션과 통신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제2 스테이션이 제1 스테이션에 대한 웨이크업 구성을 송신하는 단계, 제2 스테이션이 제1 스테이션의 복수의 RCM을 휴면 모드로 하는 단계, 제2 스테이션이 제1 스테이션을 위한 웨이크업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 웨이크업 신호는 웨이크업 구성에 따라 복수의 RCM 중 제1 RCM을 깨우도록 구성됨 -, 제2 스테이션이 제1 스테이션의 복수의 RCM 중 제2 RCM으로부터 웨이크업 지시를 수신하는 단계, 및 제2 스테이션이 제1 스테이션의 복수의 RCM 중 제2 RCM과 연관된 제2 스테이션의 제3 RCM을 사용하여 제1 스테이션과 데이터를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2 측면에 따른 방법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웨이크업 구성은 제1 RCM의 지시를 포함한다. 제2 측면 또는 제2 측면의 임의의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제2 스테이션이 웨이크업 구성을 결정하기 위해 제1 스테이션과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2 측면 또는 제2 측면의 임의의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의 제3 실시예에 따르면, 웨이크업 구성을 결정하기 위해 제1 스테이션과 통신하는 단계는, 제1 RCM 또는 제1 RCM과는 다른 제1 스테이션의 복수의 RCM 중 제5 RCM 중 하나와 연관된 제2 스테이션의 제4 RCM을 사용하여 수행된다.
제2 측면 또는 제2 측면의 임의의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의 제4 실시예에 따르면, 웨이크업 구성은 제1 스테이션의 각각의 RCM의 전력 소비를 비교하는 전력 소비 요건, 또는 제1 스테이션의 각각의 RCM의 대기 시간을 비교하는 대기 시간 요건, 또는 제1 스테이션의 각각의 RCM에 의해 지원되는 서비스 품질(QoS) 요건을 비교하는 예상 데이터 송신의 QoS 요건, 또는 제1 스테이션과 제2 스테이션 사이의 추정 범위를 제1 스테이션의 각각의 RCM에 의해 지원되는 통신 범위와 비교하는 범위 요건, 또는 제1 스테이션의 이력 및 사용 정보 중 하나 이상에 따라 결정된다.
제2 측면 또는 제2 측면의 임의의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의 제5 실시예에 따르면, 웨이크업 구성은 제1 스테이션의 복수의 RCM 중의 RCM들에 대한 매핑 지시자 값의 매핑을 포함하며, 웨이크업 신호는 매핑 지시자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제2 스테이션이 매핑에 따라 제1 RCM에 대응하는 웨이크업 신호 내의 매핑 지시자의 값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제3 측면에서, 본 출원은 제1 스테이션을 제공한다. 제1 스테이션은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에 의한 실행을 위해 프로그래밍을 저장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프로그래밍은 제1 스테이션을, 제2 스테이션으로부터 웨이크업 구성을 수신하고, 제1 스테이션의 복수의 무선 통신 모듈(RCM)을 휴면 모드로 하고, 제1 스테이션의 보조 저전력 무선 수신기에서 제2 스테이션으로부터의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하고, 웨이크업 구성에 따라 복수의 RCM 중 제1 RCM을 깨우기로 결정하고, 제2 스테이션과 통신하기 위해 제1 RCM을 휴면 모드로부터 깨우도록 구성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한다.
제3 측면 또는 제3 측면의 임의의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그래밍은 제1 스테이션을, 웨이크업 구성을 결정하기 위해 제2 스테이션과 통신하도록 구성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한다. 제3 측면 또는 제3 측면의 임의의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웨이크업 구성은 제1 RCM의 지시를 포함한다. 제3 측면 또는 제3 측면의 임의의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의 제3 실시예에 따르면, 웨이크업 구성은 제1 스테이션의 복수의 RCM 중의 RCM들에 대한 매핑 지시자 값의 매핑을 포함하며, 웨이크업 신호는 매핑 지시자를 포함하고, 프로그래밍은 제1 스테이션을, 매핑 및 매핑 지시자에 따라 제1 RCM을 선택하도록 구성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한다.
제3 측면 또는 제3 측면의 임의의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의 제4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그래밍은 제1 스테이션을, 제2 스테이션에 RCM 웨이크업 지시자를 송신하고, 제1 RCM에서 제2 스테이션으로부터의 응답을 수신하기 전에 타임아웃을 검출하고, 제1 스테이션의 복수의 RCM 중 제3 RCM을 깨우기로 결정하고, 제3 RCM을 깨우고, 제3 RCM을 깨운 후에 제3 RCM을 사용하여 제2 스테이션과 통신하도록 구성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한다.
제4 측면에서, 본 출원은 복수의 RCM을 갖는 제1 스테이션과 통신하도록 구성된 제2 스테이션을 제공한다. 상기 제2 스테이션은,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에 의한 실행을 위해 프로그래밍을 저장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프로그래밍은 제2 스테이션을, 제1 스테이션에 대한 웨이크업 구성을 송신하고, 제1 스테이션의 복수의 RCM을 휴면 모드로 하고, 제1 스테이션을 위한 웨이크업 신호를 송신하고 - 웨이크업 신호는 웨이크업 구성에 따라 복수의 RCM 중 제1 RCM을 깨우도록 구성됨 -, 제1 스테이션의 복수의 RCM 중 제2 RCM으로부터 웨이크업 지시를 수신하고, 제1 스테이션의 복수의 RCM 중 제2 RCM과 연관된 제2 스테이션의 제3 RCM을 사용하여 제1 스테이션과 데이터를 통신하도록 구성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한다.
제4 측면에 따른 제2 스테이션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그래밍은 제2 스테이션을, 웨이크업 구성을 결정하기 위해 제1 스테이션과 통신하도록 구성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한다. 제4 측면 또는 제4 측면의 임의의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웨이크업 구성은 제1 스테이션의 복수의 RCM 중의 RCM들에 대한 매핑 지시자 값의 매핑을 포함하며, 웨이크업 신호는 매핑 지시자를 포함하고, 프로그래밍은 제2 스테이션을, 매핑에 따라 제1 RCM에 대응하는 웨이크업 신호 내의 매핑 지시자의 값을 결정하도록 구성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한다.
도 15는 호스트 기기에 설치될 수 있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처리 시스템(1500)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처리 시스템(1500)은 프로세서(1504), 메모리(1506) 및 인터페이스(1510-1514)를 포함하며, 이들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치될 수(또는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프로세서(1504)는 계산 및/또는 다른 처리 관련 태스크를 수행하도록 된 임의의 구성요소 또는 구성요소의 모음일 수 있으며, 메모리(1506)는 프로세서(1504)에 의한 실행을 위한 프로그래밍 및/또는 명령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임의의 구성요소 또는 구성요소의 모음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메모리(606)는 비일시적인,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를 포함한다. 인터페이스(1510, 1512, 1514)는 처리 시스템(1500)이 다른 기기/구성요소 및/또는 사용자와 통신할 수 있도록 해주는 임의의 구성요소 또는 구성요소의 모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1510, 1512, 1514) 중 하나 이상은 데이터, 제어 또는 관리 메시지를 프로세서(1504)로부터 호스트 기기 및/또는 원격 기기(remote device)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인터페이스(1510, 1512, 1514) 중 하나 이상은 사용자 또는 사용자 기기(예컨대, 퍼스널 컴퓨터(PC) 등)가 처리 시스템(1500)과 상호 작용/통신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처리 시스템(1500)은 장기 저장소(예컨대, 비휘발성 메모리 등)과 같은, 도 15에 도시되지 않은 추가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처리 시스템(1500)이 통신 네트워크에 액세스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통신 네트워크의 일부를 구성하는 네트워크 기기에 포함된다. 일 예에서, 처리 시스템(1500)은 기지국, 중계국, 스케줄러, 제어기, 게이트웨이, 라우터, 애플리케이션 서버 또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 내의 임의의 다른 기기와 같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 내의 네트워크 측 기기에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처리 시스템(1500)은 이동국, 사용자 장비(UE), 개인용 컴퓨터(PC), 태블릿, 웨어러블 통신 기기(예컨대, 스마트 워치(smartwatch) 등), 또는 통신 네트워크에 액세스하도록 구성된 임의의 다른 기기와 같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액세스하는 사용자 측 기기에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인터페이스(1510, 1512, 1514) 중 하나 이상은 처리 시스템(1500)을,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시그널링을 송신 및 수신하도록 구성된 송수신기에 연결한다. 도 16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시그널링을 송신 및 수신하도록 구성된 RCM(1600)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RCM(1600)은 호스트 기기에 설치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RCM(1600)은 네트워크 측 인터페이스(1602), 결합기(1604), 송신기(1606), 수신기(1608), 신호 프로세서(1610) 및 기기 측 인터페이스(1612)를 포함한다. 네트워크 측 인터페이스(1602)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시그널링을 송신 또는 수신하도록 구성된 임의의 구성요소 또는 구성요소의 모음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합기(1604)는 네트워크 측 인터페이스(1602)를 통한 양방향 통신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된 임의의 구성요소 또는 구성요소의 모음을 포함할 수 있다. 송신기(1606)는 기저대역 신호를, 네트워크 측 인터페이스(1602)를 통해 송신에 적합한 변조된 캐리어 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된 임의의 구성요소 또는 구성요소의 모음 (예컨대, 업 컨버터, 전력 증폭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웨이크업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수단은 송신기(1606)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기(1608)는 네트워크 측 인터페이스(1602)를 통해 수신된 캐리어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된 임의의 구성요소 또는 구성요소의 모음(예컨대, 다운 컨버터, 저잡음 증폭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신호 프로세서(1610)는 기저대역 신호를, 기기 측 인터페이스 (들)(1612)를 통한 통신에 적합한 데이터 신호로 변환하거나, 혹은 그 반대로 변환하도록 구성된 임의의 구성요소 또는 구성요소의 모음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RCM 중의 제1 RCM을 깨우기로 결정하는 수단 및 제1 RCM을 휴면 모드로부터 깨우기 위한 수단은 신호 프로세서(1610)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 측 인터페이스(들)(1612)는 신호 프로세서(1610)와 호스트 기기 내의 구성요소(예컨대, 처리 시스템(1500), 근거리 통신망(LAN) 포트 등) 사이에서 데이터-신호를 통신하도록 구성된 임의의 구성요소 또는 구성요소의 모음을 포함할 수 있다.
RCM(1600)은 임의의 유형의 무선 액세스 기술을 사용하여 무선 매체를 통해 시그널링을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RCM(1600)은 셀룰러 프로토콜(예컨대, 롱텀 에볼루션(LTE) 등), 무선 근거리 통신망(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프로토콜(예컨대, IEEE 802.11/Wi-Fi 등) 또는 기타 유형의 무선 프로토콜(예컨대, 블루투스, 802.15.4/ZigBee, LAA, MuLTEFire, 근접장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등)과 같은 무선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통신하도록 구성된 무선 RCM일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측 인터페이스(1602)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방사 소자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측 인터페이스(1602)는 단일 안테나, 다수의 개별 안테나, 또는 예컨대 단일 입력 다중 출력(single input multiple output, SIMO), 다중 입력 단일 출력(multiple input single output, MISO), 다중 입력 다중 출력(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MIMO) 등과 같은, 다층 통신(multi-layer communication)을 위해 구성된 다중 안테나 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RCM(1600)은 유선 매체, 예컨대 트위스트 페어 케이블, 동축 케이블, 광섬유 등을 통해 시그널링을 송신 및 수신한다. 구체적인 처리 시스템 및/또는 송수신기는 도시된 모든 구성요소를 이용할 수 있거나, 또는 구성요소의 서브세트만 이용할 수 있으며, 통합의 레벨은 장치마다 다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무선 통신 모듈(RCM)을 구비한 제1 스테이션과 통신하기 위한 시스템은 제1 스테이션에 대한 웨이크업 구성을 송신하기 위한 송신 수단을 포함한다. 시스템은 제2 스테이션에 의해 제1 스테이션의 복수의 RCM을 휴면 모드로 하기 위한 배치 수단(placing means)을 더 포함한다. 송신 수단은 또한 웨이크업 구성에 따라 복수의 RCM 중 제1 RCM을 깨우기 위해, 제1 스테이션을 위한 웨이크업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시스템은 제1 스테이션의 복수의 RCM 중 제2 RCM으로부터 웨이크업 지시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을 더 포함한다. 시스템은 또한 제1 스테이션의 복수의 RCM 중 제2 RCM과 연관된 제2 스테이션의 제3 RCM을 사용하여 제1 스테이션과 데이터를 통신하는 통신 수단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통신 수단은 웨이크업 구성을 결정하기 위해 제1 스테이션과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하나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통신 수단은, 제1 RCM 또는 제1 RCM과는 다른 제1 스테이션의 복수의 RCM 중 제5 RCM 중 하나와 연관된 제2 스테이션의 제4 RCM을 사용하여 수행되는, 웨이크업 구성을 결정하기 위해 제1 스테이션과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본 명세서에서 제공되는 실시예 방법들의 하나 이상의 단계는 대응하는 유닛 또는 모듈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신호는 송신 유닛 또는 송신 모듈에 의해 송신될 수 있다. 신호는 수신 유닛 또는 수신 모듈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신호는 처리 장치 또는 처리 모듈에 의해 처리될 수 있다. 다른 단계들은 결정 유닛/모듈, 배치 유닛/모듈, 통신 유닛/모듈, 검출 유닛/모듈 및/또는 웨이크업 유닛/모듈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각각의 유닛/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닛/모듈 중 하나 이상은,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또는 주문형 집적 회로(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와 같은 집적회로일 수 있다.
본 발명 및 그 이점이 상세히 기술되었지만,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 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변경, 대체 및 개조가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Claims (21)

  1. 제1 스테이션의 복수의 무선 통신 모듈(radio communications module, RCM) 중 하나를 깨우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제1 스테이션이 제2 스테이션으로부터 웨이크업 구성(wake-up configuration)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스테이션이 상기 제1 스테이션의 복수의 RCM을 휴면 모드로 하는 단계;
    상기 제1 스테이션이 상기 제1 스테이션의 보조 저전력 무선 수신기에서 상기 제2 스테이션으로부터의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스테이션이 상기 웨이크업 구성에 따라 상기 복수의 RCM 중 제1 RCM을 깨우기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스테이션이 상기 제2 스테이션과 통신하기 위해 상기 제1 RCM을 휴면 모드로부터 깨우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테이션이 상기 웨이크업 구성을 결정하기 위해 상기 제2 스테이션과 통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크업 구성을 결정하기 위해 상기 제2 스테이션과 통신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RCM 중 제1 RCM 또는 제2 RCM를 사용하여 수행되며, 상기 제2 RCM은 상기 제1 RCM과 다른,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크업 구성은 상기 제1 스테이션의 각각의 RCM의 전력 소비를 비교하는 전력 소비 요건, 또는 상기 제1 스테이션의 각각의 RCM의 대기 시간을 비교하는 대기 시간 요건, 또는 상기 제1 스테이션의 각각의 RCM에 의해 지원되는 서비스 품질(Quality of Service, QoS) 요건을 비교하는 예상 데이터 송신의 QoS 요건, 또는 상기 제1 스테이션과 상기 제2 스테이션 사이의 추정 범위를 상기 제1 스테이션의 각각의 RCM에 의해 지원되는 통신 범위와 비교하는 범위 요건, 또는 상기 제1 스테이션의 이력 및 사용 정보 중 하나 이상에 따라 결정되는,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크업 구성은 상기 제1 RCM의 지시를 포함하는,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크업 구성은 상기 제1 스테이션의 복수의 RCM 중의 RCM들에 대한 매핑 지시자 값의 매핑을 포함하며, 상기 웨이크업 신호는 매핑 지시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 RCM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매핑 및 상기 매핑 지시자에 따라 상기 제1 RCM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테이션이 상기 제2 스테이션에 RCM 웨이크업 지시자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스테이션이 상기 제1 RCM에서 상기 제2 스테이션으로부터의 응답을 수신하기 전에 시간 타임아웃(time-out)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제1 스테이션이 상기 제1 스테이션의 상기 복수의 RCM 중 제3 RCM을 깨우기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1 스테이션이 상기 제3 RCM을 깨우는 단계; 및
    상기 제1 스테이션이 상기 제3 RCM을 깨운 후에 상기 제3 RCM을 사용하여 상기 제2 스테이션과 통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8. 복수의 무선 통신 모듈(RCM)을 구비한 제1 스테이션과 통신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제2 스테이션이 상기 제1 스테이션에 대한 웨이크업 구성을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제2 스테이션이 상기 제1 스테이션의 복수의 RCM을 휴면 모드로 하는 단계;
    상기 제2 스테이션이 상기 제1 스테이션을 위한 웨이크업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웨이크업 신호는 상기 웨이크업 구성에 따라 상기 복수의 RCM 중 제1 RCM을 깨우도록 구성됨 -;
    상기 제2 스테이션이 상기 제1 스테이션의 복수의 RCM 중 제2 RCM으로부터 웨이크업 지시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스테이션이 상기 제1 스테이션의 복수의 RCM 중 제2 RCM과 연관된 상기 제2 스테이션의 제3 RCM을 사용하여 상기 제1 스테이션과 데이터를 통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크업 구성은 상기 제1 RCM의 지시를 포함하는, 방법.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테이션이 상기 웨이크업 구성을 결정하기 위해 상기 제1 스테이션과 통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1.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크업 구성을 결정하기 위해 상기 제1 스테이션과 통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RCM 또는 상기 제1 RCM과는 다른 상기 제1 스테이션의 복수의 RCM 중 제5 RCM 중 하나와 연관된 상기 제2 스테이션의 제4 RCM을 사용하여 수행되는, 방법.
  12. 제8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크업 구성은 상기 제1 스테이션의 각각의 RCM의 전력 소비를 비교하는 전력 소비 요건, 또는 상기 제1 스테이션의 각각의 RCM의 대기 시간을 비교하는 대기 시간 요건, 또는 상기 제1 스테이션의 각각의 RCM에 의해 지원되는 서비스 품질(QoS) 요건을 비교하는 예상 데이터 송신의 QoS 요건, 또는 상기 제1 스테이션과 상기 제2 스테이션 사이의 추정 범위를 상기 제1 스테이션의 각각의 RCM에 의해 지원되는 통신 범위와 비교하는 범위 요건, 또는 상기 제1 스테이션의 이력 및 사용 정보 중 하나 이상에 따라 결정되는, 방법.
  13. 제8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크업 구성은 상기 제1 스테이션의 복수의 RCM 중의 RCM들에 대한 매핑 지시자 값의 매핑을 포함하며, 상기 웨이크업 신호는 매핑 지시자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제2 스테이션이 상기 매핑에 따라 상기 제1 RCM에 대응하는 웨이크업 신호 내의 매핑 지시자의 값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4. 제1 스테이션으로서,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한 실행을 위해 프로그래밍을 저장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그래밍은 상기 제1 스테이션을,
    제2 스테이션으로부터 웨이크업 구성을 수신하고,
    상기 제1 스테이션의 복수의 무선 통신 모듈(RCM)을 휴면 모드로 하고,
    상기 제1 스테이션의 보조 저전력 무선 수신기에서 상기 제2 스테이션으로부터의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웨이크업 구성에 따라 상기 복수의 RCM 중 제1 RCM을 깨우기로 결정하고,
    상기 제2 스테이션과 통신하기 위해 상기 제1 RCM을 휴면 모드로부터 깨우도록 구성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제1 스테이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래밍은 상기 제1 스테이션을, 상기 웨이크업 구성을 결정하기 위해 상기 제2 스테이션과 통신하도록 구성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제1 스테이션.
  16.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크업 구성은 상기 제1 RCM의 지시를 포함하는, 제1 스테이션.
  17. 제14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크업 구성은 상기 제1 스테이션의 복수의 RCM 중의 RCM들에 대한 매핑 지시자 값의 매핑을 포함하며, 상기 웨이크업 신호는 매핑 지시자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그래밍은 상기 제1 스테이션을, 상기 매핑 및 상기 매핑 지시자에 따라 상기 제1 RCM을 선택하도록 구성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제1 스테이션.
  18. 제14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제1 스테이션을, 상기 제2 스테이션에 RCM 웨이크업 지시자를 송신하고, 상기 제1 RCM에서 상기 제2 스테이션으로부터의 응답을 수신하기 전에 타임아웃을 검출하고, 상기 제1 스테이션의 상기 복수의 RCM 중 제3 RCM을 깨우기로 결정하고, 상기 제3 RCM을 깨우고, 상기 제3 RCM을 깨운 후에 상기 제3 RCM을 사용하여 상기 제2 스테이션과 통신하도록 구성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제1 스테이션.
  19. 제2 스테이션으로서,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한 실행을 위해 프로그래밍을 저장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그래밍은 상기 제2 스테이션을,
    상기 제1 스테이션에 대한 웨이크업 구성을 송신하고,
    상기 제1 스테이션의 복수의 RCM을 휴면 모드로 하고,
    상기 제1 스테이션을 위한 웨이크업 신호를 송신하고 - 상기 웨이크업 신호는 상기 웨이크업 구성에 따라 상기 복수의 RCM 중 제1 RCM을 깨우도록 구성됨 -,
    상기 제1 스테이션의 복수의 RCM 중 제2 RCM으로부터 웨이크업 지시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스테이션의 복수의 RCM 중 제2 RCM과 연관된 상기 제2 스테이션의 제3 RCM을 사용하여 상기 제1 스테이션과 데이터를 통신하도록 구성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제2 스테이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래밍은 상기 제2 스테이션을, 상기 웨이크업 구성을 결정하기 위해 상기 제1 스테이션과 통신하도록 구성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제2 스테이션.
  21. 제19항 또는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크업 구성은 상기 제1 스테이션의 복수의 RCM 중의 RCM들에 대한 매핑 지시자 값의 매핑을 포함하며, 상기 웨이크업 신호는 매핑 지시자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그래밍은 상기 제2 스테이션을, 상기 매핑에 따라 상기 제1 RCM에 대응하는 웨이크업 신호 내의 매핑 지시자의 값을 결정하도록 구성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제2 스테이션.
KR1020197005956A 2016-08-03 2017-08-01 기기의 무선 통신 모듈을 깨우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21611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662370509P 2016-08-03 2016-08-03
US62/370,509 2016-08-03
US15/648,945 US10462740B2 (en) 2016-08-03 2017-07-13 System and method for waking up a radio communications module of a device
US15/648,945 2017-07-13
PCT/CN2017/095467 WO2018024199A1 (en) 2016-08-03 2017-08-01 System and method for waking up a radio communications module of a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4306A true KR20190034306A (ko) 2019-04-01
KR102161193B1 KR102161193B1 (ko) 2020-09-29

Family

ID=610720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5956A KR102161193B1 (ko) 2016-08-03 2017-08-01 기기의 무선 통신 모듈을 깨우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462740B2 (ko)
EP (1) EP3482587B1 (ko)
JP (1) JP6775668B2 (ko)
KR (1) KR102161193B1 (ko)
CN (1) CN109479244B (ko)
WO (1) WO201802419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29064B1 (en) * 2016-08-02 2018-11-13 Newracom, Inc. Wireless device low power wake up
CN107770851B (zh) 2016-08-16 2020-11-06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唤醒无线设备的方法和装置
US10492139B2 (en) 2016-08-31 2019-11-26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secure and quick wake up of a station
US10091728B2 (en) 2016-09-09 2018-10-02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 wake-up packet
KR102174045B1 (ko) * 2016-12-14 2020-11-04 텔레폰악티에볼라겟엘엠에릭슨(펍) 웨이크-업 라디오
US11076351B2 (en) 2016-12-14 2021-07-2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Wake-up signal construction
US10542493B2 (en) * 2017-06-30 2020-01-2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communications management
FR3069992A1 (fr) * 2017-08-04 2019-02-08 Commissariat A L'energie Atomique Et Aux Energies Alternatives Dispositif d'emission/ reception a radio de reveil resistant aux attaques par deni de sommeil
CN111771400A (zh) * 2018-02-28 2020-10-13 松下电器(美国)知识产权公司 发送装置、接收装置、发送方法、以及接收方法
WO2019174736A1 (en) * 2018-03-15 2019-09-1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 method of placing a nod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into a standby mode, as well as the corresponding node
US20190373546A1 (en) * 2018-05-31 2019-12-05 Quantenna Communications, Inc. Multi-radio wireless transceiver power conservation
WO2020172549A1 (en) * 2019-02-22 2020-08-27 Idac Holdings, Inc. Wake-up signal for power saving
US11272454B1 (en) * 2019-02-28 2022-03-08 Verily Life Scienc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waking up a transceiver for wireless communications
CN110418397B (zh) * 2019-07-31 2022-07-01 杭州中科微电子有限公司 一种低功耗的物联网通信方法及系统
US11329842B2 (en) 2020-02-07 2022-05-10 Ademco Inc. Dynamic superframe slotting
US11190920B2 (en) * 2020-03-26 2021-11-30 Ademco Inc. Bluetooth using secondary channel
US11950016B2 (en) * 2020-04-15 2024-04-02 Mediatek Inc. Control method and circuitry of receiver
DE102020002636A1 (de) * 2020-05-02 2021-11-04 Diehl Metering Systems Gmbh Verfahren zur Synchronisierung von Frame-Counter und Anordnung
US20230232327A1 (en) * 2020-06-03 2023-07-20 Beijing Xiaomi Mobile Software Co., Ltd. Data transmission processing method, apparatus, user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US11582746B2 (en) 2021-04-01 2023-02-14 Ademco Inc. Dynamic, multi-frequency superframe slotting
US11658736B2 (en) 2021-07-13 2023-05-23 Ademco Inc. Keypad with repeater mode
CN116419377A (zh) * 2021-12-31 2023-07-1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数据通信方法、装置、终端、存储介质和程序产品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17653A (ko) * 2005-03-08 2007-12-12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휴대용 통신 디바이스를 위한 딥 슬립 모드
CN101877885A (zh) * 2009-04-28 2010-11-0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终端工作模式的控制方法
JP2012502519A (ja) * 2008-09-05 2012-01-26 聯發科技股▲ふん▼有限公司 マルチキャリア伝送の電源管理
JP2012085129A (ja) * 2010-10-13 2012-04-26 Nec Access Technica Ltd 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装置の制御方法
KR20150044921A (ko) * 2012-08-17 2015-04-27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Wan을 위한 저전력 웨이크업 신호 및 동작들을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90946A (en) * 1993-07-15 1998-08-04 Rotzoll; Robert R. Wake up device for a communications system
DE10201415B4 (de) * 2002-01-15 2004-12-09 Infineon Technologies Ag Verfahren zum Aufbau einer Datenübertragungsverbindung zwischen xDSL-Transceivern und xDSL-Transceiver
KR100830164B1 (ko) * 2003-09-04 2008-05-20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슬립 모드와 어웨이크 모드간 천이 방법
US8036710B2 (en) * 2004-05-07 2011-10-11 Qualcomm, Incorporated Power-efficient multi-antenna wireless device
EP1810536B1 (en) * 2004-09-30 2015-05-06 LG Electronics Inc. A method of supporting operation of sleep mode in a wideband radio access system
US20090129306A1 (en) * 2007-02-21 2009-05-21 Terahop Networks, Inc. Wake-up broadcast including network information in common designation ad hoc wireless networking
US9166812B2 (en) * 2006-01-31 2015-10-20 Sigma Designs, Inc. Home electrical device control within a wireless mesh network
US8665778B2 (en) * 2006-11-30 2014-03-04 Motorola Mobility Llc Monitoring and control of transmit power in a multi-modem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8594612B2 (en) * 2008-10-16 2013-11-26 Qualcomm Incorporated Synchronizing wakeup operations in electronic devices
US8351456B2 (en) 2009-06-29 2013-01-0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radio filtering in a multi-radio device
KR20110066525A (ko) * 2009-12-11 2011-06-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웨이크업 온 디멘드 장치 및 방법, 이를 이용한 센서 디바이스 및 방법
US20110199916A1 (en) * 2010-02-12 2011-08-18 David Garrett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the location of a wireless access point using single device based power measurements
US8437290B2 (en) * 2011-06-29 2013-05-07 Kyocera Corporation Mobil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with multiple transceivers
US8879452B2 (en) * 2011-09-23 2014-11-04 Qualcomm Incorporated Wireless beacon reception
KR101945779B1 (ko) 2012-09-20 2019-02-11 삼성전자주식회사 웨이크 온 무선랜을 운용하는 방법 및 장치
US9544848B2 (en) * 2012-10-24 2017-01-1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ng short paging message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9191890B2 (en) * 2012-10-24 2015-11-17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low power operations on wireless networks
US9191891B2 (en) * 2012-11-02 2015-11-17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low power wake-up signal implementation and operations for WLAN
US9351250B2 (en) * 2013-01-31 2016-05-24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low power wake up signal and operations for WLAN
US8907807B2 (en) * 2013-03-15 2014-12-09 Oplink Communications, Inc. Security system power management
US10015741B2 (en) * 2014-01-17 2018-07-03 Apple Inc. System and method for low power signaling in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17653A (ko) * 2005-03-08 2007-12-12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휴대용 통신 디바이스를 위한 딥 슬립 모드
JP2012502519A (ja) * 2008-09-05 2012-01-26 聯發科技股▲ふん▼有限公司 マルチキャリア伝送の電源管理
CN101877885A (zh) * 2009-04-28 2010-11-0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终端工作模式的控制方法
JP2012085129A (ja) * 2010-10-13 2012-04-26 Nec Access Technica Ltd 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装置の制御方法
KR20150044921A (ko) * 2012-08-17 2015-04-27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Wan을 위한 저전력 웨이크업 신호 및 동작들을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479244A (zh) 2019-03-15
CN109479244B (zh) 2021-06-22
EP3482587B1 (en) 2023-01-11
WO2018024199A1 (en) 2018-02-08
JP2019527982A (ja) 2019-10-03
EP3482587A1 (en) 2019-05-15
EP3482587A4 (en) 2019-07-17
US20180041959A1 (en) 2018-02-08
JP6775668B2 (ja) 2020-10-28
KR102161193B1 (ko) 2020-09-29
US10462740B2 (en) 2019-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1193B1 (ko) 기기의 무선 통신 모듈을 깨우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EP3566341B1 (en) Waking up a dozing wireless device
US11765657B2 (en)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low-power wake-up receiver and operation thereof
US9749958B1 (en) Low power signaling using a wake-up receiver
WO2019139984A1 (en) Method for efficient rediscovery and medium access for wake-up radios
US10063292B2 (en) Multi-user operation management
US20170071022A1 (en) Session management between different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EP3422776A1 (en) Efficient scan and service discovery
CN107889199B (zh) 一种状态转换方法及装置
US10986572B2 (en) Device and method of transmitting wake-up frames
US20230403649A1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wake-up radio
US10362539B2 (en) Method and device for saving power of electronic dev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15191133A (zh) 用于支持零能量空中接口的操作过程的方法、装置和系统
US9565631B2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controlling discontinuous reception by a user equipment
WO2022154924A1 (en) Gradual sensing for user equipment power saving in sidelink operation
US8730857B2 (en) Filtering group-addressed frames in Wi-Fi devices
US10512039B2 (en) Device-driven power scaling in advanced wireless modem architectures
US20170070958A1 (en) Using external memory for wireless wide area networks and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for power savings
US20220400439A1 (en) Side channel mechanism for controlling data flows
CN109565751A (zh) 一种用来唤醒设备的方法及装置
WO2022236466A1 (en) Methods, devices, and systems for configuring sidelink drx
WO2023159377A1 (en) Wake up procedures for energy harvesting user equipment
WO202403539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n adaptive small-packet processing subsystem
WO202404941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daptive activation/deactivation of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traffic
WO2022096458A2 (en) Radio link failure (rlf) recovery for remote user equipment (u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