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7480B1 - 통신 단말기 및 그의 와이파이 상시 접속 방법 - Google Patents

통신 단말기 및 그의 와이파이 상시 접속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7480B1
KR101457480B1 KR1020070102770A KR20070102770A KR101457480B1 KR 101457480 B1 KR101457480 B1 KR 101457480B1 KR 1020070102770 A KR1020070102770 A KR 1020070102770A KR 20070102770 A KR20070102770 A KR 20070102770A KR 101457480 B1 KR101457480 B1 KR 1014574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area
control module
communication unit
communication
access n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27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37227A (ko
Inventor
문태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027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7480B1/ko
Publication of KR200900372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72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74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74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5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local events, e.g. events related to user activity
    • H04W52/0254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local events, e.g. events related to user activity detecting a user operation or a tactile contact or a motion of the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1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 단말기 및 그의 와이파이 상시 접속 방법에 관한 것으로, 와와이파이 서비스 영역에서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와이파이 통신부와 와이파이 통신부를 제어하기 위한 와이파이 제어부를 구비하는 와이파이 모듈과, 와이파이 모듈을 통해 통신하는 신호를 처리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통신 단말기의 와이파이 상시 접속 방법에 있어서, 와이파이 서비스 영역에서, 와이파이 모듈 및 제어 모듈이 통신 인터페이스 연결을 통해 와이파이 서비스를 수행하는 과정과, 와이파이 서비스 영역 이탈 시, 와이파이 제어부가 제어 모듈과 와이파이 통신부를 오프(off)시키는 과정과, 설정된 시간 간격 경과 시, 와이파이 제어부가 와이파이 통신부를 온(on)시켜 와이파이 서비스 영역으로의 진입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와이파이 서비스 영역 진입 시, 와이파이 제어부가 웨이크업 신호를 제어모듈로 전송하는 과정과, 웨이퍼업 신호 수신 시, 제어 모듈을 온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통신 단말기가 와이파이 서비스 영역을 이탈한 이후 진입 시까지, 와이파이 모듈은 온 및 오프를 반복하더라도, 제어 모듈은 오프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통신 단말기에서 소비되는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통신 단말기, 와이파이 모듈, 제어 모듈, 전원, 웨이크업 신호

Description

통신 단말기 및 그의 와이파이 상시 접속 방법{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ALWAYS CONNECTING WITH WIRELESS FIDELITY THEREOF}
본 발명은 통신 단말기 및 그의 무선 통신 네트워크 접속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와이파이(WiFi; Wireless Fidelity) 서비스 영역에서 통신하는 것이 가능한 통신 단말기 및 그의 와이파이 상시 접속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와이파이 시스템은 다수개의 기본 서비스 세트(Basic Service Set; 이하 "BSS"라 한다)로 구성되며, 각각의 BSS는 유선 망으로 연결된 접속 노드와 다수개의 통신 단말기들로 이루어진다. 이 때 BSS 내에서의 통신은 접속 노드를 통해 이루어지며, 통신 단말기는 와이파이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하여 접속 노드에 접속해야 한다. 그리고 통신 단말기는 접속 노드 사이에서 핸드오버 등을 수행함으로써, 와이파이 서비스 수행을 위한 와이파이 접속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상시 접속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통신 단말기는 와이파이 서비스 수행 중 와이파이 서비스 영역 이탈 시, 전원을 오프(off)한다. 그리고 통신 단말기는 설정된 시간 간격을 주기로 전원을 온(on)하여 와이파이 서비스 영역으로의 진입 여부를 확인한다. 이 때 와이파이 상시 접속 기능을 구현하기 위하여, 통신 단말기는 와이파이 서비스 영역에 진입 시까지 전원 온 및 전원 오프의 상태 변화를 반복해야 한다. 이로 인하여, 통신 단말기의 전력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와이파이 서비스 영역에서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와이파이 통신부와 상기 와이파이 통신부를 제어하기 위한 와이파이 제어부를 구비하는 와이파이 모듈과, 상기 와이파이 모듈을 통해 통신하는 신호를 처리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통신 단말기의 와이파이 상시 접속 방법은, 상기 와이파이 서비스 영역에서, 상기 와이파이 모듈 및 상기 제어 모듈이 통신 인터페이스 연결을 통해 와이파이 서비스를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와이파이 서비스 영역 이탈 시, 상기 와이파이 제어부가 상기 제어 모듈과 상기 와이파이 통신부를 오프(off)시키는 과정과, 설정된 시간 간격 경과 시, 상기 와이파이 제어부가 상기 와이파이 통신부를 온(on)시켜 상기 와이파이 서비스 영역으로의 진입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와이파이 서비스 영역 진입 시, 상기 와이파이 제어부가 웨이크업 신호(wake-up signal)를 상기 제어모듈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웨이퍼업 신호 수신 시, 상기 제어 모듈을 온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와이파이 서비스 영역에서 와이파이 서비스를 수행하는 통신 단말기는, 상기 와이파이 서비스 영역에서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와이파이 서비스 지역 진입 또는 이탈을 판단하며, 상기 판단 결과를 전송하는 와이파이 모듈과, 상기 와이파이 모듈을 통해 통신하는 신호를 처리하며, 상기 판단 결과 수신 시,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오프 또는 온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기 및 그의 와이파이 상시 접속 방법은, 통신 단말기가 와이파이 서비스 수행 중 와이파이 서비스 영역 이탈 시, 전원을 오프하되, 설정된 시간 간격을 주기로 와이파이 모듈을 통해 와이파이 서비스 영역으로의 진입 여부를 확인한다. 그리고 통신 단말기는 와이파이 서비스 영역 진입 시, 제어 모듈의 전원을 온시킨다. 즉 통신 단말기가 와이파이 서비스 영역에 진입 시까지, 통신 단말기는 와이파이 모듈의 전원 온 및 전원 오프의 상태 변화를 반복하나, 제어 모듈의 전원 오프 상태를 유지시킨다. 이에 따라 통신 단말기에서 소비되는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하 설명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통신 단말기는 적어도 와이파이에 접 속할 수 있는 단말기이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통신 단말기는 와이파이 이외에 다른 네트워크에도 접속할 수 있는 듀얼 모드(dual mode) 이상을 지원할 수도 있다. 즉 통신 단말기는 동종 망, 즉 와이파이 시스템에서 핸드오버를 수행할 수 있으며, 이종 망으로 핸드오버를 수행할 수도 있다.
하기 설명에서, "제 1 접속 노드"라는 용어는 와이파이 시스템에서 통신 단말기가 현재 속해 있는 BSS의 접속 노드(Access Point; AP)를 의미한다. 즉 제 1 접속 노드는 통신 단말기에 현재 서비스를 제공하는 접속 노드를 의미한다. "제 2 접속 노드"라는 용어는 통신 단말기가 제 1 접속 노드로부터 제공받던 서비스를 이동 후에 연속하여 제공받고자 하는 접속 노드를 의미한다. 이 때 제 2 접속 노드는 제 1 접속 노드와 동종 망, 즉 와이파이 시스템의 다른 BSS에 속해있는 접속 노드를 의미한다. 특히 제 2 접속 노드는 제 1 접속 노드와 동일한 서비스 세트 식별자(Service Set IDentifier; SSID)를 갖는다.
도 1은 일반적인 와이파이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와이파이 시스템에서 현재 제 1 접속 노드에 연결되어 있는 통신 단말기가 제 2 접속 노드가 속해 있는 서비스 영역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와이파이 시스템은 BSS1(110) 및 BSS2(120)로 구성된다. BSS1(110)은 유선 망으로 연결된 제 1 접속 노드(111)를 포함하고, BSS2(120)는 유선 망으로 연결된 제 2 접속 노드(121)를 포함한다. 또한 BSS1(110)과 BSS2(120)는 서로 중첩되는 각각의 와이파이 서비스 영역을 갖고, 제 1 접속 노드(111)와 제 2 접속 노드(121)는 서로 다른 채널을 할당받아 사용한다. 이 때 제 1 접속 노드(111)와 제 2 접속 노드(121)는 게이트웨이(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네트워크(130)에 연결된다.
그리고 통신 단말기(200)는 BSS1(110)의 와이파이 서비스 영역에 위치 시, 제 1 접속 노드(111)에 접속하여 네트워크(130)와 통신을 수행한다. 그리고 통신 단말기(200)는 BSS2(120)의 와이파이 서비스 영역으로 이동 시, 핸드오버를 통해 제 2 접속 노드(121)에 접속하여 네트워크(130)와 통신을 수행한다. 또한 통신 단말기(200)는 BSS2(120)의 와이파이 서비스 영역 이탈 시, 제 2 접속 노드(120)에의 접속이 해제된다. 이 때 통신 단말기(200)는 네트워크(130)에의 상시 접속을 구현하기 위하여, 설정된 시간 간격을 주기로 동종 망, 즉 와이파이 시스템의 접속 노드에의 접속을 시도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파이 상시 접속이 가능한 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통신 단말기(200)는 메모리(210), 와이파이 모듈(220), 제어 모듈(230), 오디오 처리부(240), 표시부(250) 및 키 입력부(260)를 포함한다.
메모리(210)는 프로그램 메모리 및 데이터 메모리들로 구성될 수 있다. 프로그램 메모리는 통신 단말기(200)의 동작 프로그램 및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와이파이 상시 접속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들을 저장한다. 그리고 데이터 메모리는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또한 메모리(21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접속 가능한 접속 노드(111, 121)의 정보를 저장한다. 예를 들 면, 메모리(210)는 접속 가능한 접속 노드의 서비스 세트 식별자를 저장할 수 있다.
와이파이 모듈(220)은 와이파이 시스템에서의 통신 단말기(200)의 무선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와이파이 모듈(220)은 와이파이 통신부(221) 및 와이파이 제어부(223)를 구비한다.
와이파이 통신부(221)는 와이파이 서비스 영역에서 접속 노드(111, 121)와 접속하여 네트워크(130)와 통신을 수행한다. 이 때 와이파이 통신부(221)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변환하는 RF수신기 등을 포함한다.
와이파이 제어부(223)는 와이파이 통신부(221)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와이파이 제어부(223)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와이파이 서비스 영역을 이탈하여 접속 노드(111, 121)와의 접속 해제 시, 와이파이 통신부(221)를 통해 접속 가능한 접속 노드(111, 121)를 탐색한다. 이러한 와이파이 제어부(223)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접속 가능한 접속 노드(111, 121) 발견 시, 발견된 접속 노드(111, 121)에 접속한다. 또는 와이파이 제어부(223)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접속 가능한 접속 노드(111, 121) 미발견 시, 와이파이 통신부(221)의 전원을 오프시킨다. 그리고 와이파이 제어부(223)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접속 노드(111, 121)를 발견할 때까지 설정된 시간 간격을 주기로 와이파이 통신부(221)의 전원을 온시켜 접속 가능한 접속 노드(111, 121)를 탐색한다. 또한 와이파이 제어부(223)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와이파이 서비스 영역으로 진입하여 접속 노드(111, 121)에 접속 시, 웨이크업 신호(wake-up signal)를 전송한다.
제어 모듈(230)은 통신 단말기(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제어 모듈(230)은 전원 온 상태에서 와이파이 모듈(220)을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를 처리한다. 이러한 제어 모듈(230)은 송신되는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는 송신기 및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하는 수신기 등을 구비하는 데이터 처리부를 포함한다. 이 때 데이터 처리부는 모뎀(MODEM) 및 코덱(CODEC)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 모듈(23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와이파이 모듈(220)을 통해 와이파이 서비스 영역 이탈 감지 시, 전원을 오프한다. 또한 제어 모듈(23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와이파이 제어부(223)로부터 웨이크업 신호 수신 시, 전원을 온한다. 즉 제어 모듈(230)은 웨이크업 신호 수신 시까지 전원 오프 상태를 유지한다.
오디오 처리부(240)는 데이터 처리부의 오디오 코덱에서 출력되는 수신 오디오 신호를 재생하여 스피커(SPK)를 통해 발생시키거나, 마이크(MIC)로부터 발생되는 송신 오디오 신호를 데이터 처리부의 오디오 코덱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표시부(250)는 제어 모듈(230)의 제어 하에 통신 단말기(200)의 상태를 표시한다. 이 때 표시부(250)로는 LCD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표시부(250)는 LCD 제어부, 표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및 LCD 표시소자 등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LCD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 방식으로 구현하는 경우, 입력부로 동작할 수도 있다.
키 입력부(260)는 숫자 및 문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들 및 각종 기능들 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키들을 구비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의 와이파이 상시 접속 절차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 때 본 실시예에서는 통신 단말기에서 와이파이 상시 접속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제어 모듈 및 와이파이 모듈 간 신호 흐름을 중점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와이파이 상시 접속 절차는 제어 모듈(230)이 311단계에서 전원 온 상태이고, 와이파이 모듈(220)이 313단계에서 전원 온 상태인 것으로부터 출발한다. 이 때 와이파이 모듈(220)의 와이파이 통신부(221) 및 와이파이 제어부(223)는 모두 전원 온 상태이다. 그리고 와이파이 모듈(220)은 와이파이 시스템의 특정 접속 노드(111, 121)에 접속하고 있다. 또한 제어 모듈(230)은 315단계에서 통신 인터페이스 연결을 통해 와이파이 모듈(220)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어서, 통신 단말기(200)가 와이파이 서비스 영역을 이탈하면, 와이파이 모듈(220)의 와이파이 제어부(223)가 317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319단계에서 통보 신호를 제어 모듈(230)로 전송한다. 이 때 통보 신호는 접속 노드(111, 121)에의 접속이 해제되었음을 알리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통보 신호를 수신하면, 제어 모듈(230)은 321단계에서 접속 노드 정보를 와이파이 모듈(220)로 전송한다. 즉 제어 모듈(230)은 메모리(210)에 저장된 접속 가능한 접속 노드의 정보, 예컨대 접속 가능한 접속 노드의 서비스 세트 식별자를 전송한다. 이 후 제어 모듈(230)은 323단계에서 전원을 오프한다.
계속해서, 접속 노드 정보를 수신하면, 와이파이 모듈(220)은 325단계에서 와이파이 서비스 영역으로의 진입 여부를 판단한다. 즉 와이파이 모듈(220)은 접속 노드(111, 121)에 접속을 시도한다. 이 때 와이파이 서비스 영역으로 진입 시, 와이파이 모듈(220)은 접속 노드(111, 121)에 접속할 수 있다. 즉 와이파이 모듈(220)은 수신된 접속 노드 정보를 이용하여 접속 가능한 접속 노드(111, 121)를 탐색한다. 이 때 접속 가능한 접속 노드(111, 121)를 발견하지 못하더라도, 와이파이 모듈(220)은 접속 가능한 접속 노드(111, 121)를 발견할 때까지 설정된 시간 간격을 주기로 이웃하는 접속 노드(111, 121)를 탐색하는 것을 반복한다. 이와 같이 와이파이 모듈(220)이 와이파이 서비스 영역으로의 진입 여부를 판단하는 절차를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4는 도 3에서 접속 노드에 접속 시도 절차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와이파이 모듈(220)은 411단계에서 접속 노드를 탐색한다. 예를 들면, 와이파이 모듈(220)은 프로브 요구를 방사한 다음, 이웃하는 접속 노드(111, 121)들로부터 프로브 요구에 대응하여 수신되는 프로브 응답을 분석하여 접속 가능한 접속 노드(111, 121)의 존재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탐색 결과에 따라 접속 가능한 접속 노드(111, 121)를 발견하면, 와이파이 모듈(220)이 41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415단계에서 발견된 접속 노드에 접속한 다음, 도 3으로 리턴한다.
한편 탐색 결과에 따라 접속 가능한 접속 노드(111, 121)를 발견하지 못하면, 와이파이 제어부(223)는 417단계에서 와이파이 통신부(221)의 전원을 오프시킨 다. 이 때 와이파이 제어부(223)는 와이파이 통신부(221)의 전원 오프 상태의 지속 시간 간격을 측정하기 위한 타이머를 구동시킨다. 그리고 와이파이 통신부(221)의 전원 오프 상태의 지속 시간 간격이 설정된 시간 간격을 경과하면, 와이파이 제어부(223)가 419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421단계에서 와이파이 통신부(221)의 전원을 온시킨다. 이 후 와이파이 모듈(220)은 411단계 내지 421단계를 반복하여 수행한다. 즉 접속 가능한 접속 노드(111, 121)를 발견하여 접속할 때까지, 와이파이 제어부(223)는 설정된 시간 간격을 주기로 전원 오프 상태의 와이파이 통신부(221)의 전원을 온시켜 접속 가능한 접속 노드(111, 121)를 탐색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통신 단말기(100)가 와이파이 서비스 영역으로 진입하면, 와이파이 제어부(223)가 327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329단계에서 웨이크업 신호를 제어 모듈(230)로 전송한다. 이 때 웨이크업 신호는 접속 노드(111, 121)에 접속했음을 알리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하면, 제어 모듈(230)은 331단계에서 전원을 온한다. 이 후 제어 모듈(230)은 와이파이 모듈(220)과의 통신 인터페이스 연결을 통해 와이파이 모듈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와이파이 모듈로부터 접속 노드에의 접속 해제에 따른 통보 신호 수신 시, 제어 모듈이 와이파이 모듈로 접속 노드 정보를 전송하는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제어 모듈은 와이파이 모듈과 통신 인터페이스 연결 시, 와이파이 모듈로 접속 노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접속 노드에의 접속 해제 시, 와이파이 모듈은 앞서 수신된 접속 노드 정보를 이용하여 접속 노드에 접속을 시도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기는 와이파이 서비스 수행 중 와이파이 서비스 영역 이탈 시, 전원을 오프한다. 이 때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기는 설정된 시간 간격을 주기로 와이파이 모듈을 통해 와이파이 서비스 영역으로의 진입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기는 와이파이 서비스 영역 진입 시, 제어 모듈의 전원을 온시킨다. 즉 와이파이 서비스 영역에 진입 시까지, 통신 단말기는 와이파이 모듈의 전원 온 및 전원 오프의 상태 변화를 반복하나, 제어 모듈의 전원 오프 상태를 유지시킨다. 이에 따라 통신 단말기에서 소비되는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와이파이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파이 상시 접속 절차를 도시한 순서도, 그리고
도 4는 도 3에서 접속 노드에 접속 시도 절차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Claims (13)

  1. 와이파이 통신부와 와이파이 제어부를 포함하는 와이파이 모듈과 상기 와이파이 모듈을 통해 통신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통신 단말기의 와이파이 상시 접속 방법에 있어서,
    와이파이 서비스 영역에서 상기 와이파이 통신부를 통해 상기 와이파이 서비스를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와이파이 서비스 영역 이탈 시, 상기 와이파이 제어부가 상기 와이파이 모듈에 포함된 상기 와이파이 통신부와 상기 제어 모듈을 오프(off)시키는 과정과,
    설정된 시간 간격마다 상기 와이파이 제어부가 상기 오프된 와이파이 통신부를 온(on)시켜서 상기 와이파이 서비스 영역으로의 진입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와이파이 서비스 영역 진입 시, 상기 와이파이 제어부가 상기 오프된 제어 모듈을 온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의 와이파이 상시 접속 방법.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파이 통신부와 상기 제어 모듈을 오프시키는 과정은,
    상기 와이파이 통신부를 통해 상기 와이파이 서비스 영역 이탈을 판단한 경우 상기 와이파이 제어부가 상기 와이파이 통신부를 오프시키고 상기 제어 모듈에게 통보 신호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통보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제어 모듈이 오프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의 와이파이 상시 접속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파이 제어부가 상기 오프된 제어 모듈을 온시키는 과정은,
    상기 와이파이 통신부를 통해 상기 와이파이 서비스 영역 진입을 판단한 경우 상기 와이파이 제어부가 상기 오프된 제어 모듈에게 웨이크업 신호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웨이크업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오프된 제어 모듈이 온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의 와이파이 상시 접속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파이 서비스 영역에서 이탈 여부 및 상기 와이파이 서비스 영역으로의 진입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은,
    상기 와이파이 통신부를 통해 네트워크와 통신 가능한 접속 노드를 탐색하는 과정과,
    상기 접속 노드를 발견하지 못한 경우 상기 와이파이 서비스 영역에서 이탈했음을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접속 노드를 발견한 경우 상기 와이파이 서비스 영역으로 진입했음을 판단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의 와이파이 상시 접속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파이 서비스를 수행하는 과정은,
    상기 와이파이 서비스 영역에서 상기 제어 모듈이 상기 와이파이 통신부를 통해 발견된 접속 노드를 기반으로 네트워크와 통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의 와이파이 상시 접속 방법.
  7. 와이파이 서비스 영역에서 이탈 여부 및 상기 와이파이 서비스 영역으로의 진입 여부를 감지하고, 상기 와이파이 서비스 영역에서 네트워크와 통신하는 와이파이 통신부;
    상기 와이파이 서비스 영역에서 상기 와이파이 통신부를 통해 상기 와이파이 서비스를 수행하는 제어 모듈; 및
    상기 와이파이 서비스 영역 이탈 시, 상기 와이파이 통신부와 상기 제어 모듈을 오프시키고, 설정된 시간 간격마다 상기 오프된 와이파이 통신부를 온시키고, 상기 와이파이 서비스 영역 진입 시, 상기 오프된 제어 모듈을 온시키는 와이파이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
  8. 삭제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파이 통신부는,
    상기 네트워크와 통신 가능한 접속 노드를 탐색하고,
    상기 접속 노드를 발견하지 못한 경우 상기 와이파이 서비스 영역에서 이탈했음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파이 제어부는,
    상기 와이파이 통신부를 통해 상기 와이파이 서비스 영역에서 이탈했음을 판단한 경우 상기 와이파이 통신부를 오프시키고, 상기 제어 모듈에게 통보 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제어 모듈을 오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파이 통신부는,
    상기 네트워크와 통신 가능한 접속 노드를 탐색하고,
    상기 접속 노드를 발견한 경우 상기 와이파이 서비스 영역으로 진입했음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파이 제어부는,
    상기 와이파이 통신부를 통해 상기 와이파이 서비스 영역으로 진입했음을 판단한 경우 상기 제어 모듈에게 웨이크업 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제어 모듈을 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
  13.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와이파이 서비스 영역에서 상기 와이파이 통신부를 통해 발견된 접속 노드를 기반으로 네트워크와 통신하여 상기 와이파이 서비스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
KR1020070102770A 2007-10-11 2007-10-11 통신 단말기 및 그의 와이파이 상시 접속 방법 KR1014574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2770A KR101457480B1 (ko) 2007-10-11 2007-10-11 통신 단말기 및 그의 와이파이 상시 접속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2770A KR101457480B1 (ko) 2007-10-11 2007-10-11 통신 단말기 및 그의 와이파이 상시 접속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7227A KR20090037227A (ko) 2009-04-15
KR101457480B1 true KR101457480B1 (ko) 2014-11-03

Family

ID=40762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2770A KR101457480B1 (ko) 2007-10-11 2007-10-11 통신 단말기 및 그의 와이파이 상시 접속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748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16089A (zh) * 2014-01-17 2017-02-15 高通股份有限公司 降低收发机处的功耗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32177A (ko) * 2010-09-28 2012-04-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컨텐트 송?수신 방법
KR102150323B1 (ko) 2014-04-07 2020-09-0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통합 기지국 및 단말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40237A (ko) * 2004-11-04 2006-05-10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 이종 주변 기지국 정보를 이용한 통신 시스템 및 방법
KR20070075619A (ko) * 2006-01-13 2007-07-24 삼성전자주식회사 듀얼모드 단말기의 동작모드 전환 방법 및 그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40237A (ko) * 2004-11-04 2006-05-10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 이종 주변 기지국 정보를 이용한 통신 시스템 및 방법
KR20070075619A (ko) * 2006-01-13 2007-07-24 삼성전자주식회사 듀얼모드 단말기의 동작모드 전환 방법 및 그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16089A (zh) * 2014-01-17 2017-02-15 高通股份有限公司 降低收发机处的功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7227A (ko) 2009-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14175B (zh) 用於在可攜式通信裝置中之省電方法及可攜式通信裝置
CN101305624B (zh) 在gsm无线通信网络中检测非授权移动接入(uma)服务的系统和方法
EP2890189B1 (en) Reducing power consumption of wireless devices
US9167521B2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with low power consumption
US8249644B2 (en) Wireless terminal, base statio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JP2842422B2 (ja) 移動体通信システム及び移動通信装置
CN102090116B (zh) 在设备发现期间的接入点局部功率节省模式
CN101742464B (zh) 用于双待机移动终端的相邻小区监控方法和设备
US8391169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locating a mobile device in a sleep mode
US20190364503A1 (en) Power-save mode for wireless device
US20140022973A1 (en) Power save mode for access points
KR100592903B1 (ko) 수동 통신 기능 및 능동 통신 기능을 갖는 통신 장치 및그 동작 제어 방법
KR100703505B1 (ko) 무전 통신이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의 통신 수행 방법
US20090061770A1 (en) Bluetooth device with on-demand page scan
JP2012175516A (ja) 無線基地局およびそれを用いた無線通信システム
KR100735664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접근 등급 제한 리스트를 이용한서비스 상태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1457480B1 (ko) 통신 단말기 및 그의 와이파이 상시 접속 방법
US20040192224A1 (en)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20150078102A (ko) 이동 단말 위치 인식 시스템 및 방법, 이동 단말 간 통신 시스템 및 방법
JP2003258705A (ja) 移動端末機および移動通信システムならびに移動通信方法
CA3012140A1 (en) Systems and methods of a portable device roaming between a plurality of access point devices with which the portable device is enrolled
US20070184873A1 (en) Dual-mode phone and power management method thereof
JP5584582B2 (ja)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3134029A (ja) 無線通信端末装置
KR20120070832A (ko) 무선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전력 관리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