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17492A - 착탈 카트리지 및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착탈 카트리지 및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17492A
KR20070117492A KR1020070055583A KR20070055583A KR20070117492A KR 20070117492 A KR20070117492 A KR 20070117492A KR 1020070055583 A KR1020070055583 A KR 1020070055583A KR 20070055583 A KR20070055583 A KR 20070055583A KR 20070117492 A KR20070117492 A KR 200701174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tridge
image forming
toner
detachable
form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55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69283B1 (ko
Inventor
히데오 이치카와
나오토 니시
류지 하토리
Original Assignee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1174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74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92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92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77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 G03G15/0881Sealing of developer cartridges
    • G03G15/0886Sealing of developer cartridges by mechanical means, e.g. shutter, plu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48Arrangements for testing or measuring developer properties or quality, e.g. charge, size, flowability
    • G03G15/0849Detection or control means for the developer concentration
    • G03G15/0855Detection or control means for the developer concentration the concentration being measured by optical mea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03G15/087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cartridges having a box like shap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77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 G03G15/0879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for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not directly attached to the development uni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착탈 카트리지의 착탈 동작에 의한 충격을 저감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화상 형성 장치 본체(U2)에 장착할 때에 화상 형성 장치 본체(2)에 설치된 피접촉부(32dy)에 접촉하여 변형되고, 충격을 완충하는 완충부(118y)를 가지며, 기록 시트(S)에 화상을 기록하는 화상 기록 동작 중에 화상 형성 장치 본체(U2)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구성된 착탈 카트리지(Ky, Km, Kc, Kk)가 제공된다.
착탈 카트리지, 화상 형성 장치, 완충부

Description

착탈 카트리지 및 화상 형성 장치{DETACHABLE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화상 형성 장치의 설명도.
도 2는 실시예 1의 토너 보급 장치의 요부 단면 설명도.
도 3은 실시예 1의 토너 보급 장치의 사시도.
도 4는 실시예 1의 토너 보급 장치의 사시도이며, Y색의 토너 카트리지가 이탈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카트리지 전단(前端) 지지 부재의 확대 사시도.
도 6은 도 5의 화살표 VI 방향에서 본 도면.
도 7은 토너 카트리지의 사시 설명도.
도 8은 토너 카트리지의 덮개를 떼어낸 상태의 평면도.
도 9는 카트리지 셔터 및 손잡이 부재가 제거된 상태의 토너 수용 용기의 설명도로서, 도 9의 (a)는 카트리지 본체의 하면도, 도 9의 (b)는 IXB-IXB선 단면도, 도 9의 (c)는 IXC-IXC선 단면도, 도 9의 (d)는 IXD-IXD선 단면도.
도 10은 카트리지 셔터가 장착된 상태의 토너 수용 용기의 전단부(카트리지 삽입 방향 후단부)의 확대 설명도.
도 11은 실시예 1의 작용 설명도로서, 도 11의 (a)는 완충부가 완충부용의 피맞물림부에 맞물림하기 전 상태의 설명도, 도 11의 (b)는 완충부가 피맞물림부에 맞물림된 상태의 설명도, 도 11의 (c)는 토너 카트리지가 장착 완료된 상태의 설명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2dy : 피접촉부
111y : 현상제 용기
113y : 핸들부
118y : 완충부
Ky : 현상제 카트리지, 착탈 카트리지
U2 : 장치 본체
U : 화상 형성 장치
본 발명은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대해서 착탈되는 착탈 카트리지 및 상기 착탈 카트리지가 착탈되는 프린터, FAX, 복사기 또는 이들 모두 또는 복수의 기능을 갖는 복합기 등의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화상 형성 장치의 화상 형성 동작 중에 착탈 가능한 착탈 카트리지 및 상기 착탈 카트리지가 착탈되는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착탈 카트리지에는, 현상제 카트리지(토너 카트리지)나 폐기 토너 카트 리지, 화상 형성 동작 중에 사용되지 않은 용지 트레이, 화상 형성 동작에서 사용되지 않은 프로세스 카트리지(예를 들면, 컬러의 화상 형성 장치의 경우에 모노크롬 인쇄 동작 중의 흑색 이외의 현상기나 감광체가 유닛화된 프로세스 카트리지) 등이 포함된다.
종래의 전자 사진 방식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사용에 따라 소비되는 현상제를 보급하거나 경시적(經時的)으로 열화되는 부재를 교환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보급·교환되는 부분을 유닛화하여 착탈 가능한 카트리지에 의해 구성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일본국 특허공개 평11-295972호 공보) 등 참조).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대해서 착탈 가능한 현상제 카트리지를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기술로서, 하기의 종래 기술 (J01), (J02)이 공지되어 있다.
(J01) 특허문헌 2(일본국 특허공개 2005-134452호 공보) 기재의 기술
특허문헌 2에는, 현상기에 공급되는 토너가 일시적으로 저장되는 리저브(reserve) 탱크를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리저브 탱크의 상부의 카트리지 장착부에 현상제 카트리지가 장착되는 동작에 연동하여, 현상제 카트리지의 토너 배출구의 커버가 개방되는 기구를 갖는 화상 형성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허공개 평11-295972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국 특허공개 2005―134452호 공보
상기 종래 기술(J01)에서는, 현상제 카트리지 내의 현상제가 없어져도 리저브 탱크 내의 현상제를 사용하여 화상 형성 동작을 실행할 수 있기 때문에, 화상 형성 동작 중에 현상제 카트리지의 착탈을 행할 수 있다. 현상제 카트리지를 착탈할 때에, 현상제 카트리지와 화상 형성 장치 본체가 접촉, 충돌하여 충격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어, 형성 중의 화상에 악영향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 종래 기술(J01)을 포함하는 일반적인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현상제 카트리지를 착탈하는 동작에 연동하여, 현상제 카트리지의 커버(셔터)가 개폐되는 구성이 널리 채용되고 있다. 따라서, 현상제 카트리지를 착탈하는 동작에 연동하여 셔터를 개폐할 때에, 어느 정도의 힘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이 힘에 대항하여, 현상제 카트리지를 착탈 방향으로 큰 힘으로 이동시키기 쉬워, 충격이 커져서, 화상에 대한 악영향이 발생하기 쉬워지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다음의 기재 내용(O01)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O01) 착탈 카트리지의 착탈 동작에 의한 충격을 저감하는 것.
다음에, 상기 과제를 해결한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본 발명의 구성 요소에는, 후술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와의 대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실시예의 구성 요소의 부호를 괄호로 둘러싼 것을 부기한다.
또한, 본 발명을 후술의 실시예의 부호와 대응시켜서 설명하는 이유는, 본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실시예에 한정하기 위함이 아니다.
(제 1 발명)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제 1 발명의 착탈 카트리지(Ky, Km, Kc, Kk)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U2)에 장착할 때에 화상 형성 장치 본체(U2)에 설치된 피접촉부(32d)에 접촉하여 변형되고, 충격을 완충하는 완충부(118)를 가지며, 기록 시트(S)에 화상을 기록하는 화상 기록 동작 중에 화상 형성 장치 본체(U2)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 발명의 작용)
상기 구성 요건을 구비한 제 1 발명의 착탈 카트리지(Ky, Km, Kc, Kk)는 기록 시트(S)에 화상을 기록하는 화상 기록 동작 중에 화상 형성 장치 본체(U2)에 대해서 착탈할 수 있다. 완충부(118)는 착탈 카트리지(Ky, Km, Kc, Kk)가 화상 형성 장치 본체(U2)에 장착할 때에 화상 형성 장치 본체(U2)에 설치된 피접촉부(32d)에 접촉하여 변형되어, 충격을 완충한다.
이하에, 상기 제 1 발명의 구체적인 응용(형태)을 설명한다.
(제 1 발명의 형태 1)
제 1 발명의 형태 1의 착탈 카트리지는 상기 제 1 발명에 있어서,
상기 착탈 카트리지(Ky, Km, Kc, Kk)의 착탈 동작에 연동하여 개폐되는 카트리지 셔터(141)와,
상기 카트리지 셔터(141)의 개폐시에 발생하는 충격을 완충하는 상기 완충부 (118)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 발명의 형태 1의 작용)
상기 구성 요건을 구비한 제 1 발명의 형태 1의 착탈 카트리지에서는, 카트리지 셔터(141)는 상기 착탈 카트리지(Ky, Km, Kc, Kk)의 착탈 동작에 연동하여 개폐된다.
상기 완충부(118)는 상기 카트리지 셔터(141)의 개폐시에 발생하는 충격을 완충한다.
(제 1 발명의 형태 2)
제 1 발명의 형태 2의 착탈 카트리지는 상기 제 1 발명의 형태 1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셔터(141) 및 상기 완충부(118)가 상기 착탈 카트리지(Ky, Km, Kc, Kk)의 착탈 방향과 동일한 측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 발명의 형태 2의 작용)
상기 구성 요건을 구비한 제 1 발명의 형태 2의 착탈 카트리지에서는, 상기 카트리지 셔터(141) 및 상기 완충부(118)는 상기 착탈 카트리지(Ky, Km, Kc, Kk)의 착탈 방향과 동일한 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 1 발명의 형태 3)
제 1 발명의 형태 3의 착탈 카트리지(Ky, Km, Kc, Kk)는 상기 제 1 발명 및 제 1 발명의 형태 1, 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현상제가 수용되는 현상제 용기(111)와,
상기 현상제 용기(111)에 지지된 핸들부(113)와,
상기 핸들부(113)에 지지된 상기 완충부(118)를 가지며, 화상 형성 장치의 장치 본체(U2)에 대해서 착탈되는 현상제 카트리지(Ky. Km, Kc, Kk)에 의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 발명의 형태 3의 작용)
상기 구성 요건을 구비한 제 1 발명의 형태 3의 착탈 카트리지(Ky, Km, Kc, Kk)는 현상제 카트리지(Ky, Km, Kc, Kk)에 의해 구성되며, 현상제가 수용되는 현상제 용기(111)와, 상기 현상제 용기(111)에 지지된 핸들부(113)와, 상기 핸들부(113)에 지지된 상기 완충부(118)를 갖는다.
(제 1 발명의 형태 4)
제 1 발명의 형태 4의 착탈 카트리지(Ky, Km, Kc, Kk)는 상기 제 1 발명의 형태 3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113)에 일체 성형된 상기 완충부(118)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 발명의 형태 4의 작용)
상기 구성 요건을 구비한 제 1 발명의 형태 4의 착탈 카트리지(Ky, Km, Kc, Kk)에서는, 완충부(118)가 핸들부(113)에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제 2 발명)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제 2 발명의 화상 형성 장치(U)는,
상기 제 1 발명 및 제 1 발명의 형태 1∼4 중 어느 한 착탈 카트리지(Ky, Km, Kc, Kk)가 착탈되고, 상기 착탈 카트리지(Ky, Km, Kc, Kk)의 착탈시에 상기 완충부(118)가 접촉하는 상기 피접촉부(32d)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2 발명의 작용)
상기 구성 요건을 구비한 제 2 발명의 화상 형성 장치에는, 상기 제 1 발명 및 제 1 발명의 형태 1∼4 중 어느 한 착탈 카트리지(Ky, Km, Kc, Kk)가 착탈된다. 피접촉부(32d)는 상기 착탈 카트리지(Ky, Km, Kc, Kk)의 착탈시에 상기 완충부(118)가 접촉된다.
이하에, 상기 제 2 발명의 구체적인 응용예(형태)를 설명한다.
(제 2 발명의 형태 1)
제 2 발명의 형태 1의 화상 형성 장치(U)는 상기 제 2 발명에 있어서,
화상 형성 동작에서의 사용 빈도가 높은 색의 현상제가 수용된 현상제 카트리지(Kk)에 의해 구성된 상기 착탈 카트리지(Kk)가 복수 장착 가능하고 또한 어느 하나의 현상제 카트리지(Kk)를 교환 중에 그 밖의 현상제 카트리지(Kk)로부터 현상제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2 발명의 형태 1의 작용)
상기 구성 요건을 구비한 제 2 발명의 형태 1의 화상 형성 장치(U)에서는, 화상 형성 동작에서의 사용 빈도가 높은 색의 현상제가 수용된 현상제 카트리지(Kk)에 의해 구성된 상기 착탈 카트리지(Kk)가 복수 장착된다. 그리고, 어느 하나의 현상제 카트리지(Kk)를 교환 중에 그 밖의 현상제 카트리지(Kk)로부터 현상제를 공급한다.
다음에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체예(실시예)를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이후의 설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도면에서, 전후 방향을 X축 방향, 좌우 방향을 Y축 방향, 상하 방향을 Z축 방향으로 하고, 화살표 X, -X, Y, -Y, Z, -Z로 나타내는 방향 또는 나타내는 측을 각각, 전방, 후방, 우방, 좌방, 상방, 하방, 또는, 전측, 후측, 우측, 좌측, 상측, 하측으로 한다.
또한, 도면 중, 「○」안에 「·」이 기재된 것은 지면의 뒤에서 앞을 향하는 화살표를 의미하고, 「○」안에 「×」가 기재된 것은 지면의 앞에서 뒤를 향하는 화살표를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이하의 도면을 사용한 설명에서, 이해의 용이를 위해 설명에 필요한 부재 이외의 도시는 적절히 생략되어 있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화상 형성 장치의 설명도이다.
도 1에서, 화상 형성 장치(U)는 자동 원고 반송 장치(U1)와, 이것을 지지하고 또한 상단에 플래튼 유리(PG)를 갖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복사기)(U2)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자동 원고 반송 장치(U1)는 복사하고자 하는 복수의 원고(Gi)가 겹쳐서 탑재 배치되는 원고 급지(給紙) 트레이(TG1)와, 원고 급지 트레이(TG1)로부터 상기 플래튼 유리(PG) 위의 복사 위치(원고 판독 위치)(P1)를 통과하여 반송되는 원고(Gi)가 배출되는 원고 배지(排紙) 트레이(TG2)를 갖고 있다.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U2)는 사용자가 복사 스타트 등의 작동 지령 신호를 입력 조작하는 UI(사용자 인터페이스)와, 노광 광학계(A) 등을 갖고 있다.
상기 자동 원고 반송 장치(U2)에 의해 플래튼 유리(PG) 위의 원고 판독 위 치(P1)에 반송되는 원고 또는 수동으로 플래튼 유리(PG) 위에 놓인 원고(도시 생략)로부터의 반사광은 상기 노광 광학계(A)를 통하여, CCD(고체 촬상 소자)에서 R(적), G(녹), B(청)의 전기 신호로 변환된다.
IPS(이미지 프로세싱 시스템)는 CCD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RGB의 전기 신호를 K(블랙), Y(옐로), M(마젠타), C(시안)의 화상 데이터로 변환하여 일시적으로 기억하고, 상기 화상 데이터를 소정의 타이밍으로 잠상(潛像) 형성용의 화상 데이터로서 레이저 구동 회로(DL)에 출력한다.
또한, 원고 화상이 모노크롬인 경우에는, K(블랙)만의 화상 데이터가 레이저 구동 회로(DL)에 입력된다.
상기 레이저 구동 회로(DL)는 각 색(Y, M, C, K)의 각 레이저 구동 회로(도시 생략)를 가지며, 입력된 화상 데이터에 따른 레이저 구동 신호를 소정의 타이밍으로, 잠상 형성 광학계(정전 잠상 형성 장치)(ROS)의 각 색의 잠상 기입용 레이저 다이오드(도시 생략)에 출력한다.
상기 ROS의 상방에 배치된 토너상 형성 장치(Uy, Um, Uc, Uk)는 각각, Y(옐로), M(마젠타), C(시안), 및 K(블랙)의 각 색의 토너상을 형성하는 장치이다.
잠상 형성 광학계(ROS)의 상기 도시하지 않은 각 레이저 다이오드로부터 출사된 Y, M, C, K의 레이저 빔(Ly, Lm, Lc, Lk)은 각각, 회전하는 감광체(상 담지체)(PRy, PRm, PRc, PRk)에 입사된다.
상기 Y의 토너상 형성 장치(Uy)는 회전하는 감광체(PRy), 대전기로서의 대전 롤(CRy), 현상 장치(Gy), 전사 롤(전사기)(T1y), 클리너(CLy)를 갖고 있고, 상기 토너상 형성 장치(Um, Uc, Uk)는 모두 상기 Y의 토너상 형성 장치(Uy)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각 감광체(PRy, PRm, PRc, PRk)는 각각의 대전 롤(CRy, CRm, CRc, CRk)에 의해 균일하게 대전된 후, 화상 기입 위치(잠상 형성 위치)(Q1y, Q1m, Q1c, Q1k)에서, 상기 레이저 빔(Ly, Lm, Lc, Lk)에 의해, 그 표면에 정전 잠상(靜電潛像)이 형성된다. 상기 감광체(PRy, PRm, PRc, PRk) 표면의 정전 잠상은 현상 영역(Q2y, Q2m, Q2c, Q2k)에서 현상기(Gy, Gm, Gc, Gk)에 의해 토너상에 현상된다.
그 현상된 토너상은 중간 전사 벨트(전사재 ; 중간 전사체 ; 상 담지체)(B)에 접촉하는 1차 전사 영역(Q3y, Q3m, Q3c, Q3k)에 반송된다. 상기 1차 전사 영역(Q3y, Q3m, Q3c, Q3k)에서 중간 전사 벨트(B)의 이면측에 배치된 1차 전사 롤(T1y, T1m, T1c, T1k)에는, 컨트롤러(C)에 의해 제어되는 전원 회로(E)로부터 소정의 타이밍으로 토너의 대전 극성과 반대 극성의 1차 전사 전압이 인가된다.
상기 각 감광체(PRy∼PRk) 위의 토너상은 상기 1차 전사 롤(T1y, T1m, T1c, T1k)에 의해 중간 전사 벨트(B)에 1차 전사된다. 1차 전사 후의 감광체(PRy, PRm, PRc, PRk) 표면의 잔류 토너는 감광체 클리너(CLy, CLm, CLc, CLk)에 의해 클리닝된다.
상기 감광체(PRy∼PRk)의 상방에는, 상하 이동 가능하며 또한 전방으로 인출 가능한 벨트 모듈(BM)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벨트 모듈(BM)은 상기 중간 전사 벨트(B)와, 텐션 롤(Rt), 워킹 롤(Rw), 아이들러 롤(프리 롤)(Rf) 및 구동 롤 겸용의 백업 롤(T2a)을 포함하는 벨트 지지 롤(Rt, Rw, Rf, T2a)과, 상기 1차 전사 롤(T1y, T1m, T1c, T1k)과 벨트 클리너(중간 전사체 클리너)(CLb)를 갖고 있다. 그리고, 상기 중간 전사 벨트(B)는 상기 벨트 지지 롤(Rt Rw, Rf, T2a)에 의해 회전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백업 롤(T2a)에 접하는 중간 전사 벨트(B)의 표면에 대향하여 2차 전사 롤(T2b)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각 롤(T2a, T2b)에 의해 2차 전사기(T2)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2차 전사 롤(T2b) 및 중간 전사 벨트(B)가 대향하는 영역에는 2차 전사 영역(Q4)이 형성된다.
상기 1차 전사 영역(Q3y, Q3m, Q3c, Q3k)에서 전사기(T1y, T1m, T1c, T1k)에 의해 중간 전사 벨트(B) 위에 순차적으로 겹쳐서 전사된 컬러 토너상은 상기 2차 전사 영역(Q4)에 반송된다.
상기 ROS의 하방에는, 급지 트레이(TR1∼TR3)를 전후 방향(X축 방향)으로 출입 가능하게 지지하는 좌우 한 쌍의 가이드 레일(GR, GR)이 3단 설치되어 있다. 급지 트레이(TR1∼TR3)의 기록 시트(전사재)(S)는 픽업 롤(Rp)에 의해 꺼내져, 분리 롤(Rs)에 의해 1매씩 분리되고 나서 복수의 반송 롤(Ra)에 의해 레지스터 롤(Rr)에 이송된다. 상기 시트 반송 롤(Ra)은 시트 가이드에 의해 형성된 시트 반송로(SH)를 따라 복수 설치되어 있고, 2차 전사 영역(Q4)의 시트 반송 방향 상류측에는 레지스터 롤(Rr)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시트 반송로(SH), 시트 반송 롤(Ra), 레지스터 롤(Rr) 등에 의해 시트 반송 장치(SH+Ra+Rr)가 구성되어 있다.
레지스터 롤(Rr)은 상기 중간 전사 벨트(B)에 형성된 컬러 토너상이 2차 전사 영역(Q4)에 반송되는 것에 타이밍을 맞춰서, 상기 기록 시트(S)를 2차 전사 영 역(Q4)에 반송한다. 기록 시트(S)가 상기 2차 전사 영역(Q4)을 통과할 때, 상기 백업 롤(T2a)은 접지되고, 2차 전사 롤(T2b)에는 상기 컨트롤러(C)에 의해 제어되는 전원 회로(E)로부터 소정의 타이밍으로 토너의 대전 극성과 반대 극성의 2차 전사 전압이 인가된다. 이 때, 상기 중간 전사 벨트(B) 위의 컬러 토너상은 상기 2차 전사기(T2)에 의해 상기 기록 시트(S)에 전사된다.
2차 전사 후의 상기 중간 전사 벨트(B)는 벨트 클리너(CLb)에 의해 클리닝된다.
상기 토너상이 2차 전사된 기록 시트(S)는 정착 장치(F)의 가열 롤(Fh) 및 가압 롤(Fp)의 압접(壓接) 영역인 정착 영역(Q5)에 반송되고, 상기 정착 영역(Q5)을 통과할 때에 가열 정착된 후, 배출 롤러(Rh)로부터 배지 트레이(TRh)에 송출된다.
또한, 상기 가열 롤(Fh) 표면에는, 기록 시트(S)의 상기 가열 롤로부터의 이형성(離型性)을 좋게 하기 위한 이형제가 이형제 도포 장치(Fa)에 의해 도포되어 있다.
도 1에서, 상기 화상 형성 장치(U)는 상측 프레임(UF)과 하측 프레임(LF)을 갖고 있고, 상측 프레임(UF)에는, 상기 ROS 및 ROS보다도 상방에 배치된 부재(감광체(PRy, PRm, PRc, PRk), 현상기(Gy, Gm, Gc, Gk), 벨트 모듈(BM) 등)가 지지되어 있다.
또한, 하측 프레임(LF)에는, 상기 급지 트레이(TR1∼TR3)를 지지하는 가이드 레일(GR) 및 상기 각 트레이(TR1∼TR3)로부터 급지를 행하는 상기 급지 부재(픽업 롤(Rp), 분리 롤(Rs), 시트 반송 롤(Ra) 등)가 지지되어 있다.
(토너 보급 장치)
도 2는 실시예 1의 토너 보급 장치의 요부 단면 설명도이다.
도 1에서, 상기 벨트 모듈(BM)의 상방에는 Y(옐로), M(마젠타), C(시안), K(블랙)의 각 색마다 토너 보급 장치(Hy, Hm, Hc, Hk)가 배치되어 있다. 도 2에서, 각 색의 토너 보급 장치(Hy∼Hk)는 내부에 토너를 수용하는 토너 카트리지(Ky∼Kk)와, 상기 토너 카트리지(Ky∼Kk)가 장착되는 보급 장치 본체(1y∼1k)와, 상기 각 색의 현상기(Gy∼Gk)와 보급 장치 본체(1y∼1k)를 접속하는 토너 반송로(2y∼2k)와, 상기 토너 반송로(2y∼2k) 내부에 배치되어 보급 장치 본체(1y∼1k)의 토너를 현상기(Gy∼Gk)에 반송하는 토너 반송 부재(3y∼3k)를 갖는다.
도 3은 실시예 1의 토너 보급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실시예 1의 토너 보급 장치의 사시도로서, Y색의 토너 카트리지가 이탈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카트리지 전단(前端) 지지 부재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화살표 VI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3, 도 4에서, 각 색의 보급 장치 본체(1y∼1k)는 카트리지 장착시에 토너 카트리지(Ky)의 전단부(삽입 방향 후단부)를 지지하는 카트리지 전단 지지 부재(11y)와, 장착된 토너 카트리지(Ky)의 본체를 지지하는 카트리지 본체 지지 부재(12y)(도 4 참조)를 갖는다. 도 3∼도 6에서, 상기 카트리지 전단 지지 부재(11y∼11k)는 보급 장치 지지 프레임(U3)에 일체적으로 고정 지지되고, 카트리지 본체 지지 부재(12y∼12k)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U2)에 고정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K(블랙)색용의 보급 장치 본체(1k)는 토너의 사용 빈도가 높은 K(블랙)의 토너 카트리지(Kk)를 2개 장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그 밖의 Y(옐로), M(마젠타), C(시안)의 보급 장치 본체(1y, 1m, 1c)는 토너 카트리지(Ky, Km, Kc)를 1개씩 장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보급 장치 본체(1y∼1k) 각 부재의 상세한 설명을 행하는데, Y(옐로), M(마젠타), C(시안)색의 보급 장치 본체(1y, 1m, 1c)는 동일하게 구성되고, K(블랙)색의 보급 장치 본체(1k)는 2개의 토너 카트리지(Kk)를 장착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Y색의 보급 장치 본체(1y)와 동일한 보급 장치 본체가 2개 연결된 구성을 하고 있을 뿐이므로, Y색의 보급 장치 본체(1y)에 관해서 부호의 최후에 y를 첨부하여 상세히 설명하고, 그 밖의 색의 보급 장치 본체(1m∼1k)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실시예 1의 화상 형성 장치(U)에서는, 사용 빈도가 높은 K색은 2개의 토너 카트리지를 사용하여, 어느 한쪽의 토너 카트리지로부터 토너를 보급하고, 한쪽이 비게 되면 다른 쪽으로부터 현상제의 보급이 행해진다. 이러한 기술은, 종래 공지(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공개 2004-109367호 공보 등 참조)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에서, 상기 카트리지 본체 지지 부재(12y)는 장착·이탈되는 토너 카트리지(Ky)를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레일(13y)과, 장착된 토너 카트리지(Ky)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카트리지 모터 박스(MB1y)를 갖는다. 상기 카트리지 모터 박 스(MB1y)는 구동력 전달용 기어(14y)를 갖고 있으며, 토너 카트리지(Ky) 장착시에 토너 카트리지 후단(삽입 방향 전단)의 기어(후술)와 맞물려서 회전 구동력을 전달한다.
도 5, 도 6에서, 각 색의 상기 카트리지 전단 지지 부재(11y)는 토너 카트리지(Ky)로부터 공급된 토너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리저브 탱크(16y)와, 상기 리저브 탱크(16y)의 상면을 폐쇄하고 또한 장착된 토너 카트리지(Ky)의 전단부로부터 공급되는 토너가 통과하는 토너 보급구(31y)(도 2 참조)가 형성된 보급구 형성 부재(17y)를 갖는다. 도 2에서, 상기 리저브 탱크(16y) 내부에는, 리저브 탱크(16y) 내의 현상제를 교반(攪拌)하면서 순환 반송하고, 보급 장치 본체(1y)에 배출하는 교반 반송 부재(19y)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리저브 탱크(16y) 및 그 내부에 배치된 부재의 구성은, 종래 공지(일본국 특허공개 2005-134452호 공보 등 참조)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 도 6에서, 보급구 형성 부재(17y)는 상기 토너 카트리지(Ky)의 전단부를 지지하고 또한 상기 토너 카트리지(Ky)로부터의 토너가 통과하는 토너 보급구(31y)가 형성된 보급구 형성 부재 본체(32y)와, 상기 토너 보급구(31y)를 폐쇄·개방하는 보급구 셔터(33y)와, 상기 보급구 셔터(33y)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셔터 지지 부재(34y)를 갖는다. 상기 보급구 형성 부재 본체(32y)는 상기 토너 보급구(31y)가 형성된 바닥벽부(32ay)와, 좌우의 측벽부(32by, 32cy)와, 정상벽부(완충부용의 피접촉부)(32dy)를 갖는다. 상기 정상벽부(32dy)의 상면에 는, 오(誤) 장착 방지부(46y)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오 장착 방지부(46y)는 상기 오 장착 방지부(46y)에 형성된 구멍(오 장착 방지 구멍)의 위치 및 수가 토너 카트리지(Ky)의 오 장착 방지 돌기부(후술)의 위치 및 수와 일치하는 경우에만, 안쪽까지 삽입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일치하지 않을 경우 오 장착 방지 돌기가 걸려서 도중까지밖에 삽입할 수 없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틀린 색의 토너 카트리지(Kc∼Kk)를 오 장착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보급구 셔터(33y), 셔터 지지 부재(34y)의 구성은, 종래 공지(일본국 특허공개 2005-134452호 공보 등 참조)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토너 카트리지의 설명)
다음에 토너 카트리지의 설명을 행하지만, Y, M, C, K 각 색의 토너 카트리지(Ky∼Kk)는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Y에 대해서만 부호의 최후에 y를 첨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 그 밖의 색의 토너 카트리지(Km∼Kk)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은 토너 카트리지의 사시 설명도이다.
도 7에서, Y의 토너 카트리지(착탈 카트리지)(Ky)는 Y색의 토너를 수용하는 토너 수용 용기(현상제 용기)(111y)와, 상기 토너 수용 용기(111y) 상면을 피복하는 카트리지 덮개(112y)와, 상기 토너 수용 용기(111y)의 전방에 장착된 손잡이 부재(핸들부)(113y)를 갖는다. 상기 손잡이 부재(113y)는 토너 카트리지(Kk)를 취급할 때에, 사용자가 손으로 토너 카트리지(Kk)를 유지하기 위한 손잡이부(114y)와, 상기 보급구 형성 부재 본체(32y)에 토너 카트리지(Ky)가 장착되었을 때에 보급구 형성 부재 본체(32y)의 전단면(前端面)에 맞닿아, 사용자가 토너 카트리지(Ky)를 지나치게 삽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부(116y)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 부재(113y)의 상면에는, 보급구 형성 부재 본체(32y)의 오 장착 방지 구멍(46ay)에 대응하여 형성된 오 장착 방지 돌기부(117y)를 갖는다. 따라서, 상기 오 장착 방지 돌기부(117y)의 위치 및 수와 오 장착 방지부(46y)의 구멍의 위치 및 수가 일치하는 경우, 즉, 토너 카트리지(Ky∼Kk) 내의 토너 색과 토너 보급 장치(Hy∼Hk)에 의해 보급되는 현상기(Gy∼Gk)의 토너 색이 일치하는 경우에만 장착할 수 있어, 다른 색의 토너 카트리지(Ky∼Kk)가 토너 보급 장치(Hy∼Hk)에 오 장착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손잡이 부재(113y)의 상단면(上端面)의 상기 오 장착 방지 돌기부(117y)의 측부에는, 완충부(118y)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완충부(118y)는 손잡이 부재(113y)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손잡이 부재(113y)의 상면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기단부(基端部)(118ay)와, 기단부(118ay)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완충부 본체(118by)와, 완충부 본체(118by)의 후단부(자유단부)에 빗살 형상으로 형성된 상방으로 볼록하게 만곡된 가이드부(118cy)를 갖는다. 따라서, 상기 완충부 본체(118by)와 손잡이 부재(113y)의 상면 사이에는, 탄성 변형 허용 공간(119y)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실시예 1의 손잡이 부재(113y)는 수지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상기 완충부(118y)는 탄성 변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도 8은 토너 카트리지의 덮개를 떼어낸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9는 카트리지 셔터 및 손잡이 부재가 제거된 상태의 토너 수용 용기의 설 명도로서, 도 9의 (a)는 카트리지 본체의 하면도, 도 9의 (b)는 IXB-IXB선 단면도, 도 9의 (c)는 IXC-IXC선 단면도, 도 9의 (d)는 IXD-IXD선 단면도이다.
도 8, 도 9의 (b)∼도 9의 (d)에서, 상기 토너 수용 용기(111y)는 우측(+Y측)의 제 1 수용부(121y)와, 좌측(-Y측)의 제 2 수용부(122y)를 가지며, 상기 제 1 수용부(121y)의 전단부(+X단부)에는, 토너를 배출하여 상기 리저브 탱크(16y)에 공급하는 토너 공급구(123y)가 형성되어 있다.
도 8에서, 상기 제 1 수용부(121y)에는, 제 1 수용부(121y) 내의 토너를 상기 토너 공급구(123y)에 반송하는 스파이럴 형상의 카트리지 오거(catridge auger; 124y)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2 수용부(122y)에는, 제 2 수용부(122y) 내의 토너를 제 1 수용부(121y)측으로 반송하는 반송 패들(126y)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반송 패들(126y)은 회전축에 고정 지지된 필름 지지 플레이트(127y)와 상기 필름 지지 플레이트(127y)에 고착된 토너 반송 필름(128y)을 갖고 있다. 상기 토너 반송 필름(128y)은 탄성 변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어, 제 2 수용부(122y) 내의 토너를 건져 올려서 제 1 수용부(121y)에 반송한다.
상기 카트리지 오거(124y)의 후단(-X단, 카트리지 삽입 방향 전단)은, 토너 수용 용기(111y) 후단벽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오거 지지 부재(131y)에 의해 고정 지지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반송 패들(126y)의 후단은 회전 가능한 패들 지지 부재(132y)에 의해 고정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오거 지지 부재(131y) 및 패들 지지 부재(132y)의 후단에는 각각 기어(G11, G12)(도 8, 도 9의 (a) 참조)가 고착되어 있다. 상기 기어(G11, G12)는 토너 카트리지(Ky)가 토너 보급 장치(1y) 에 장착되었을 때에, 상기 구동력 전달용 기어(14y)에 각각 맞물린다. 따라서, 상기 카트리지 모터 박스(MB1y)로부터 전달되는 회전 구동력에 의해, 상기 카트리지 오거(124y) 및 반송 패들(126y)이 회전 구동하여 토너가 토너 공급구(123y)에 반송된다.
도 9의 (a)에서, 상기 토너 수용 용기(111y)의 전단에는, 상기 손잡이 부재(113y)를 장착하기 위한 손잡이 부재 장착부(135y)가 형성되어 있다.
도 9의 (a)에서, 상기 토너 수용 용기(111y)의 후단부의 바닥벽에는, 피가이드 부재(136y)가 배치되어 있고, 토너 카트리지(Ky)가 보급 장치 본체(1y)에 장착될 때에, 카트리지 본체 지지 부재(12y)의 가이드 레일(13y)과 맞물림하여 가이드되면서 토너 카트리지(Ky)가 삽입되어 간다.
도 10은 카트리지 셔터가 장착된 상태의 토너 수용 용기의 전단부(카트리지 삽입 방향 후단부)의 확대 설명도이다.
도 9의 (a), 도 9의 (b), 도 10에서, 상기 토너 공급구(123y)의 후방의 바닥벽에는, 보스(카트리지측 맞물림 부재, 맞물림 돌기)(137y)가 하방(-Z 방향)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보스(137y)는 사용자가 토너 카트리지(Ky)를 삽입할 때에, 보급구 셔터(33y)에 맞물림하고, 삽입·인출 동작에 연동하여 보급구 셔터(33y)를 개방·폐쇄한다(상기 일본국 특허공개 2005-134452호 공보 참조).
도 9의 (a), 도 9의 (c)에서, 토너 수용 용기(111y)의 전단부에는, 상기 토너 공급구(123y)가 형성된 공급구 형성 부재(138y)가 하방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공급구 형성 부재(138y)의 하단에는, 카트리지 셔터(141y)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셔터 가이드 리브(138ay, 138ay)(도 9의 (c), 도 9의 (d)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도 9의 (a), 도 9의 (d), 도 10에서, 상기 토너 공급구(123y) 후부의 양측부에는, 암(arm) 개방 돌출부(139y, 139y)가 하방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암 개방 돌출부(139y, 139y)는 토너 카트리지(Ky)를 떼어낼 때(이탈시)에, 셔터 지지 부재(34y)에 맞물림하여, 셔터 지지 부재(34y)에 유지된 카트리지 셔터(141y)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한다(상기 일본국 특허공개 2005-134452호 공보 참조).
또한, 상기 카트리지 셔터(141y)의 구성이나, 암 개방 돌기부(139y)나 보스(137y) 등과, 셔터 지지 부재(34y)나 보급구 셔터(33y)와의 맞물림에 관해서는, 일본국 특허공개 2005-134452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종래 공지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예 1의 작용)
다음에, 실시예 1의 작용을 설명하는데, Y, M, C, K의 각 색의 토너 보급 장치(Hy∼Hk) 등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Y에 관해서만 부호의 최후에 y를 첨부하여 상세히 설명하고, 그 밖의 색(M, C, K)의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구성을 구비한 실시예 1의 토너 보급 장치(Hy)를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U)에서는, 화상 형성시에 현상기(Gy)에서 소비된 토너량에 따라서, 상기 리저브 탱크(16y)로부터 현상기(Gy)에 토너가 보급된다. 상기 리저브 탱크(16y) 내의 토너가 적어지면, 상기 토너 카트리지(Ky)로부터 토너가 보급된다. 상기 토너 카트리지(Ky)의 토너가 없어지면, 사용자에게 통지되어, 사용자가 빈 토너 카트리 지(Ky)를 빼내고, 새로운 토너 카트리지(Ky)를 삽입해서 카트리지의 교환을 행한다. 또한, 실시예 1의 화상 형성 장치(U)에서는, 리저브 탱크(16y) 내의 토너를 사용하여 화상 형성 동작(작업)을 계속할 수 있기 때문에, 화상 형성 동작을 실행하면서 토너 카트리지(Ky)의 교환을 실행할 수 있다. 특히, K색에 대해서는, 2개의 토너 카트리지(Kk)를 장착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 빈도가 높은 K색의 현상제가 부족할 가능성이 낮아진다. 따라서, 현상제의 부족에 의해 화상 형성 동작이 중단되는 것을 저감할 수 있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1은 실시예 1의 작용 설명도로서, 도 11의 (a)는 완충부가 완충부용의 피맞물림부에 맞물림하기 전 상태의 설명도, 도 11의 (b)는 완충부가 피맞물림부에 맞물림한 상태의 설명도, 도 11의 (c)는 토너 카트리지가 장착 완료된 상태의 설명도이다.
실시예 1의 화상 형성 장치(U)에서는, 토너 카트리지(Ky)의 삽입, 이탈 동작에 의해, 보급구 셔터(33y) 및 카트리지 셔터(141y)의 개폐가 행해진다. 도 11에서, 토너 카트리지(Ky)의 삽입 동작이 완료하기 직전에, 완충부(118y)의 가이드부(118cy)가 보급구 형성 부재(32y)의 정상벽부(32dy)에 접촉한다(도 11의 (b) 참조). 이 상태에서 토너 카트리지(Ky)가 밀어넣어지면, 도 11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방으로 볼록하게 만곡된 가이드부(118cy)로 가이드되고, 완충부(118y)는 선단측(가이드부(118cy)측)이 탄성 변형 허용 공간(119y)측으로(하방으로) 휜다(탄성 변형된다). 이 휨에 의해, 토너 카트리지(Ky)를 삽입하는 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의 성분을 갖는 힘이 발생한다. 따라서, 토너 카트리지(Ky)의 삽입이 완료되기 직전에, 완충부(118y)에 의한 댐퍼(쿠션)에 의해, 토너 카트리지(Ky)가 보급구 형성 부재(32y)에 접촉할 때의 충격이 저감된다.
특히, 실시예 1의 토너 카트리지(Ky)는, 삽입 개시시는 토너 카트리지(Ky)가 가이드 레일(13y)을 따라 가이드되어, 거의 부하가 없는 상태로 삽입된다. 그러나, 토너 카트리지(Ky)의 보스(137y)가 보급구 셔터(33y)에 맞물림하거나, 카트리지 셔터(141y)가 셔터 지지 부재(34y)에 맞물림하여, 셔터(33y, 141y)가 슬라이드 이동하기 시작하면, 셔터(33y, 141y)를 이동시키기 위해 힘이 필요하게 되어, 토너 카트리지(Ky)의 이동 저항이 된다.
이 때, 사용자가 이동 저항에 대항하기 위해서, 토너 카트리지(141y)를 큰 힘으로 세차게 이동시킨 경우, 토너 카트리지(Ky)의 스토퍼부(116y)와 보급구 형성 부재(32y)의 바닥벽부(32ay)의 전단면이 충돌하거나, 토너 카트리지(Ky)의 기어(G11, G12)(도 8, 도 9의 (a) 참조)와 토너 보급 장치(1y)의 구동력 전달용 기어(14y)가 충돌하거나 한다. 이 때의 충격에 의해, 화상 형성 장치(U)가 진동하여, 화상 형성 동작 중의 화상에 악영향이 생길 우려가 있었다.
그러나, 실시예 1의 토너 카트리지(Ky)에서는, 완충부(118y)에 의해 충격을 저감할 수 있으므로, 화상에 대한 악영향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화상 형성 동작을 실행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도, 충격에 의한 각 부재의 위치 어긋남이나 손상 등의 발생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의 토너 카트리지(Ky)에서는, 완충부(118y)가 수지의 일체 성형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부품 점수가 많아지지 않아, 저비용의 구성으로 충 격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토너 카트리지(Ky)를 인출하면, 완충부(118y)가 탄성 복원력에 의해 원래의 형상으로 복귀하여, 반복해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러닝 코스트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의 토너 카트리지(Ky)에서는, 가이드부(118cy)를 갖고 있으므로, 토너 카트리지(Ky) 삽입시에 탄성 변형 허용 공간(119y)측으로 확실히 휘게 할 수 있어, 완충부(118y)에 의해 확실히 충격을 완충하는 힘을 작용시킬 수 있는 동시에, 반대 방향으로 변형하는 등에 의한 완충부(118y)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변경예)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요지의 범위 내에서, 각종 변경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변경예 (H01)∼(H05)를 하기에 예시한다.
(H01) 상기 실시예에서, 화상 형성 장치로서의 복사기를 예시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FAX나 프린터 또는 이들 전부 또는 복수의 기능을 구비한 복합기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컬러의 화상 형성 장치에 한정되지 않고, 모노크롬의 화상 형성 장치에 의해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른바 탠덤식의 화상 형성 장치에 한정되지 않고, 로터리식 등의 화상 형성 장치에도 적용 가능하다.
(H02) 상기 실시예에서, 완충부를 수지에 의한 일체 형성하는 경우를 예시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토너 카트리지 장착시에 완충용의 힘을 작용시키는 것이 가능한 임의의 구성이 채용 가능하다. 예를 들면, 탄성 고무제의 완충부로 하거나, 스프링을 사용한 완충부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실시예에 예시한 바와 같이 반복하여 사용 가능한 완충부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한 번 장착되면 완충부가 변형(파괴)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완충부는 토너 카트리지의 전단부에 설치했지만, 임의의 장소에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H03) 상기 실시예에서, 보급구 셔터나 셔터 지지 부재를 포함하는 토너 보급 장치나 토너 카트리지의 구성은 상기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토너 카트리지가 착탈 가능한 임의의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토너 카트리지를 삽입 후에 토너 카트리지를 회전시켜서 셔터를 개폐하는 구성(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공개 2003-029518호 공보 등 참조)에서, 넣고 뺄 때나 회전시의 완충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 밖에, 카트리지의 착탈 방향과 셔터의 개폐 방향이 다른 임의의 구성(예를 들면, 특허문헌 1 등 참조)에도 적용 가능하다.
(H04) 상기 실시예에서, 착탈 카트리지로서 토너 카트리지(현상제 카트리지)를 예시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화상 형성 동작 중에 장치 본체에 착탈 가능한 임의의 착탈 카트리지에 적용 가능하다. 예를 들면, 클리너로 회수된 폐기 토너가 회수되는 폐기 토너 카트리지(착탈 카트리지)나, 급지가 행해지고 있지 않은 용지 트레이(착탈 카트리지), 모노크롬 인쇄 중인 그 밖의 색의 감광체나 현상기가 유닛화된 프로세스 유닛(착탈 카트리지) 등이 고려된다.
(H05) 상기 실시예에서, 사용 빈도가 높은 K색의 토너 카트리지를 2개 장착 가능한 구성을 예시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1개만으로 하거나, 3개 이상 장착 가능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 1개의 토너 카트리지의 이탈이 검출된 경우에, 장착되어 있는 그 밖의 토너 카트리지로부터 토너의 보급을 실행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술한 본 발명은 하기의 효과 (E01)∼(E07)을 나타낸다.
(E01) 상기 제 1 발명에 의하면, 완충부에 의해, 착탈 카트리지의 착탈 동작에 의한 충격을 저감할 수 있다. 그 결과, 화상 형성 동작 중에 착탈 카트리지를 착탈했을 때에 발생하는 충격에 의한 화질에의 악영향을 저감할 수 있다.
(E02) 상기 제 1 발명의 형태 1에 의하면, 카트리지 셔터를 개폐하기 위해서 비교적 큰 힘이 작용해도, 완충부에 의해 완충할 수 있다.
(E03) 상기 제 1 발명의 형태 2에 의하면, 카트리지 셔터와 완충부가 동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충격의 발생원인 카트리지 셔터의 부분에 가까운 위치에서 완충부에 의해 완충할 수 있다.
(E04) 상기 제 1 발명의 형태 3에 의하면, 착탈 카트리지로서의 현상제 카트리지의 착탈 동작시의 충격을 저감할 수 있다.
(E05) 상기 제 1 발명의 형태 4에 의하면, 완충부가 핸들부에 일체로 성형되어 있으므로, 부품 점수가 증가하지 않아,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E06) 상기 제 2 발명에 의하면, 제 1 발명 및 제 1 발명의 형태 1, 2 중 어느 한 착탈 카트리지가 착탈되므로, 착탈 카트리지의 착탈 동작에 의한 충격을 저감할 수 있다.
(E07) 상기 제 2 발명의 형태 1에 의하면, 사용 빈도가 높고, 소비량이 많은 현상제 카트리지를 복수 장착할 수 있어, 한쪽의 현상제 카트리지를 교환 중에 그 밖의 현상제 카트리지로부터 보급할 수 있으므로, 현상제가 부족하여 화상 형성 동작이 중단되는 것을 저감할 수 있어,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Claims (8)

  1. 화상 형성 장치에 장착할 때에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설치된 피접촉부에 접촉하여 변형되고, 충격을 완충하는 완충부를 가지며, 기록 시트에 화상을 기록하는 화상 기록 동작 중에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대해서 착탈 가능한 착탈 카트리지.
  2. 기록 시트에 화상을 기록하는 화상 기록 동작 중에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며, 착탈 카트리지의 착탈 동작에 연동하여 개폐되는 카트리지 셔터와,
    화상 형성 장치에 장착할 때에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설치된 피접촉부에 접촉하고, 상기 카트리지 셔터의 개폐시에 발생하는 충격을 완충하는 상기 완충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 카트리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셔터 및 상기 완충부가 상기 착탈 카트리지의 착탈 방향과 동일한 측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 카트리지.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현상제가 수용되는 현상제 용기와,
    상기 현상제 용기에 지지된 핸들부와,
    상기 핸들부에 지지된 상기 완충부를 가지며,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해서 착탈되는 현상제 카트리지에 의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 카트리지.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에 일체로 성형된 상기 완충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 카트리지.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착탈 카트리지가 착탈되고, 상기 착탈 카트리지의 착탈시에 상기 완충부가 접촉하는 상기 피접촉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화상 형성 동작에서의 사용 빈도가 높은 색의 현상제가 수용된 복수의 현상제 카트리지에 의해 구성된 상기 착탈 카트리지가 복수 장착 가능하고 또한 어느 하나의 현상제 카트리지를 교환 중에 그 밖의 현상제 카트리지로부터 현상제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8. 정전 잠상(靜電 潛像) 유지부에 정전 잠상을 형성하는 공정과, 복수의 현상제 카트리지에 수용된 복수의 현상제에 의해서 정전 잠상을 현상하는 공정으로 구성되며, 어느 하나의 현상제 카트리지를 교환 중에 그 밖의 현상제 카트리지로부터 현상제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방법.
KR1020070055583A 2006-06-08 2007-06-07 착탈 카트리지 및 화상 형성 장치 KR1008692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160162 2006-06-08
JP2006160162A JP4802872B2 (ja) 2006-06-08 2006-06-08 着脱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7492A true KR20070117492A (ko) 2007-12-12
KR100869283B1 KR100869283B1 (ko) 2008-11-18

Family

ID=38822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5583A KR100869283B1 (ko) 2006-06-08 2007-06-07 착탈 카트리지 및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715765B2 (ko)
JP (1) JP4802872B2 (ko)
KR (1) KR100869283B1 (ko)
CN (1) CN10108665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67865B2 (ja) * 2007-02-21 2012-11-07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KR100891117B1 (ko) * 2008-03-03 2009-03-30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및 현상제 수용부재
JP4465641B1 (ja) * 2009-09-16 2010-05-19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像形成剤収容装置、像形成剤収容装置への像形成剤の補充方法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20110217087A1 (en) * 2010-03-03 2011-09-08 Kabushiki Kaisha Thoshiba Toner supply device,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for arranging toner supply device
EP2378374B1 (en) 2010-04-01 2019-09-25 Ricoh Company, Ltd. Powder container, powder supply assembly, and image forming apparatus
KR101670915B1 (ko) 2010-04-15 2016-11-01 삼성전자 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및 이의 소모품 장착구조
JP5589604B2 (ja) * 2010-06-25 2014-09-17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機器
JP5621360B2 (ja) * 2010-07-01 2014-11-12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現像剤収容容器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KR101580841B1 (ko) * 2011-11-17 2015-12-30 삼성전자주식회사 현상기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USD933662S1 (en) * 2020-01-02 2021-10-19 Amazon Technologies, Inc. Pedestal scanner
USD937266S1 (en) * 2020-02-25 2021-11-30 Amazon Technologies, Inc. Pedestal scanner
USD962239S1 (en) 2020-08-20 2022-08-30 Amazon Technologies, Inc. Pedestal scanner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67234A (en) * 1987-11-10 1990-10-30 Ricoh Company, Ltd. Image forming apparatus
JP2965041B2 (ja) * 1988-11-08 1999-10-18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US5019861A (en) 1989-10-11 1991-05-28 Surti Tyrone N Drive apparatus for a process cartridge of an image-forming apparatus
US5061958A (en) * 1990-07-12 1991-10-29 Xerox Corporation Display of user selectable paper feed options
JPH07219407A (ja) * 1994-01-31 1995-08-18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DE19642570B4 (de) * 1996-10-15 2007-08-16 OCé PRINTING SYSTEMS GMBH Vorrichtungen zur Tonerzuführung
JP3534165B2 (ja) 1998-04-14 2004-06-07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供給装置及びそれを有する画像形成装置
JP4259074B2 (ja) 2002-09-17 2009-04-30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現像剤補給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4475638B2 (ja) * 2003-10-23 2010-06-09 京セラミタ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432455B2 (ja) * 2003-10-28 2010-03-17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トナー補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380361B2 (ja) * 2004-02-25 2009-12-09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トナー補給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現像装置、画像形成装置
US7149467B2 (en) * 2004-03-26 2006-12-12 Lenmark International, Inc. Waste toner system for an image forming device
JP4645116B2 (ja) * 2004-09-22 2011-03-09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これを有する画像形成装置
JP4134061B2 (ja) * 2005-02-14 2008-08-13 シャープ株式会社 トナーカートリッジ及びそれが装着される画像形成装置
US7317886B2 (en) * 2005-03-10 2008-01-08 Kabushiki Kaisha Toshiba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oner replenishing features
US7676182B2 (en) * 2006-05-17 2010-03-09 Kabushiki Kaisha Toshiba Image forming apparatus equipped with a buffering mechanism
JP4298733B2 (ja) * 2006-09-25 2009-07-22 シャープ株式会社 現像剤回収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US8150299B2 (en) * 2007-12-10 2012-04-03 Kabushiki Kaisha Toshiba Toner supplying apparatus and toner supplying method for image form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286646A1 (en) 2007-12-13
JP2007328194A (ja) 2007-12-20
US7715765B2 (en) 2010-05-11
JP4802872B2 (ja) 2011-10-26
CN101086656A (zh) 2007-12-12
CN101086656B (zh) 2010-09-08
KR100869283B1 (ko) 2008-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9283B1 (ko) 착탈 카트리지 및 화상 형성 장치
JP4525782B2 (ja) 現像剤収容容器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4432455B2 (ja) トナー補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919014B2 (ja) 画像形成装置
US20120177403A1 (e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and process cartridge
US20080159781A1 (en) Electrophotographic color image forming apparatus
AU2011202550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6323082A (ja) 現像剤補給容器
US8594539B2 (en) Outlet recess for a powder container for an image forming apparatus
KR20110056208A (ko) 현상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JP5103636B2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8197595A (ja) トナー容器及びそれに適した画像形成装置
US20120099892A1 (en) Attaching and detaching body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5454097B2 (ja) 着脱ユニット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4881674B2 (ja) 現像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6330151A (ja) 現像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6259343A (ja) 現像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4280070A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7467063B2 (ja) 画像形成装置
JP5354068B2 (ja) 画像形成装置
US10386782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KR20080088367A (ko) 현상제 반송 부재, 현상제 수용기, 화상 형성 장치 및현상제 반송 부재 조립 방법
JP5819339B2 (ja) 画像形成装置
JP2017106997A (ja) 画像形成装置用ユニット
JP2019028135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7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