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16669A - 전해액 - Google Patents

전해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16669A
KR20070116669A KR1020077024959A KR20077024959A KR20070116669A KR 20070116669 A KR20070116669 A KR 20070116669A KR 1020077024959 A KR1020077024959 A KR 1020077024959A KR 20077024959 A KR20077024959 A KR 20077024959A KR 20070116669 A KR20070116669 A KR 200701166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orine
carbonate
chain
electrolyte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49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07774B1 (ko
Inventor
메이뗀 고
아끼요시 야마우찌
야스꼬 다까가하라
Original Assignee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1166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66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77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777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4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6Liquid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35Safety or regulating additives or arrangements in electrodes, separators or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54Electrolytes
    • H01G11/58Liquid electrolytes
    • H01G11/60Liqu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the solv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9/00Electrolytic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9/004Details
    • H01G9/022Electrolytes; Absorbents
    • H01G9/035Liquid electrolytes, e.g. impregnating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4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6Liquid materials
    • H01M10/0569Liqu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olv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6/00Prim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6/14Cell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6/16Cell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with organic electrolyte
    • H01M6/162Cell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with organic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
    • H01M6/164Cell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with organic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 by the solv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17Non-aqueous electrolytes
    • H01M2300/0025Organic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17Non-aqueous electrolytes
    • H01M2300/0025Organic electrolyte
    • H01M2300/0028Organic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solvent
    • H01M2300/0034Fluorinated solv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3Energy storage using capacito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Secondary Cells (AREA)
  • Electric Double-Layer Capacitor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하기 화학식 I로 표시되는 쇄상 카르보네이트 (I)과 전해질염 (II)을 포함하는 전해액으로서, 난연성, 저온 특성, 내전압이 우수하고, 또한 전해질염의 용해성이 높아 탄화수소계 용매와의 상용성도 우수한 전해액을 제공한다.
<화학식 I>
Figure 112007077389634-PCT00049
식 중, Rf는 HCFX(여기서, X는 H 또는 F임)로 표시되는 부위를 말단에 갖는 불소 함유 에테르기 (Ia)이고, R은 수소 원자가 할로겐 원자로 치환될 수도 있고, 헤테로 원자를 쇄 중에 포함할 수도 있는 알킬기이다.
전해액, 쇄상 카르보네이트, 전해질염

Description

전해액 {Electrolyte Solution}
본 발명은 HCF2를 말단에 갖는 불소 함유 에테르기를 적어도 한쪽에 함유하는 쇄상 카르보네이트와 전해질염을 포함하는 전해액에 관한 것이다.
리튬 이차 전지나 태양 전지, 라디칼 전지, 캐패시터의 전해질염용 용매로서는 에틸렌카르보네이트, 프로필렌카르보네이트, 디메틸카르보네이트 등의 카르보네이트류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인화점이 낮고 연소성이 높기 때문에 과충전ㆍ과가열에 의한 발화 폭발의 위험성이 있고, 또한 점성이 높아 저온에서의 전도율이 낮아지기 때문에 출력이 저하된다는 문제가 있다.
그의 해결을 위해 쇄상 카르보네이트를 불소화한 불소 함유 쇄상 카르보네이트를 이용하는 것도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면, 한쪽이 불소 함유 알킬기, 다른쪽이 탄화수소계 알킬기를 포함하는 카르보네이트(일본 특허 공개 (평)6-219992호 공보), 중심이 에틸렌이고, 양쪽 말단에 CF3(CF2)(CH2)-를 갖는 디카르보네이트(일본 특허 공개 (평)10-149840호 공보), 양쪽 모두 헥사플루오로이소프로필기를 포함하는 카르보네이트(일본 특허 공개 제2001-256983호 공보)와 같은 불소 함유 알킬기의 말단이 퍼플루오로인 카르보네이트 외에, 한쪽이 말단이 퍼플루오로기인 불소 함유 에테르기, 다른쪽이 탄화수소계 알킬기를 포함하는 카르보네이트(일본 특허 공개 제2000-327634호 공보)가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불소 함유 알킬기의 말단이 퍼플루오로인 카르보네이트(일본 특허 공개 (평)10-149840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1-256983호 공보)는 전해질염의 용해성이 낮고, 또한 탄화수소계 용매와의 상용성이 불량하다는 결점을 갖는다. 한쪽이 탄화수소계 알킬기를 포함하는 카르보네이트(일본 특허 공개 (평)6-219992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0-327634호 공보)는 전해질염의 용해성, 탄화수소계 용매와의 상용성이라는 점은 개선되지만, 한편으로 불소 함유량의 저하에 따른 난연성의 저하, 내전압의 저하가 일어난다.
한편, 불소 함유 에테르를 첨가한다는 수법도 제안되어 있다(일본 특허 공개 (평)6-176768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8-37024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11-307123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0-294281호 공보 등).
그러나, 불소 함유 에테르는 저온에서의 점성은 불소 함유 알킬기 말단의 카르보네이트에 비하면 낮지만, 전해질염인 리튬염의 용해성이 낮고, 또한 전해질염 용해용 용매로서 사용되는 탄화수소계 카르보네이트와의 상용성이 낮아 2상 분리를 일으킨다는 결점 외에, 인화점이 비교적 낮아 난연성면에서의 개선이 필요하여, 이들의 해결이 중요한 과제가 되고 있다.
또한, 리튬 이차 전지와 마찬가지로 충방전을 반복하는 캐패시터나 라디칼 전지의 전해액에 있어서는, 난연성이나 내전압의 향상 외에 저온에서도 점성이 높아지지 않고, 나아가 전도율의 저하가 적다는 저온 특성의 향상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저온 특성, 내전압이 우수하고, 난연성이 향상되어 전해질염의 용해성이 높고, 탄화수소계 용매와의 상용성도 우수한 전해액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불소 함유 에테르기 함유 쇄상 카르보네이트가 갖는 우수한 저온 특성, 내전압이라는 불소 함유 에테르기에 기초한 효과를 유지한 상태로, 그 결점인 전해질염의 용해성 저하, 탄화수소계 용매와의 상용성 저하, 난연성이 불충분하다는 결점을, 카르보네이트의 적어도 한쪽 말단에 수소 원자와 불소 원자를 갖는 불소 함유 에테르기를 배치시킴으로써 해소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I로 표시되는 쇄상 카르보네이트 (I)과 전해질염 (II)를 포함하는 전해액에 관한 것이다.
Figure 112007077389634-PCT00001
식 중, Rf는 하기 화학식 Ia로 표시되는 부위를 말단에 갖는 불소 함유 에테르기이고, R은 수소 원자가 할로겐 원자로 치환될 수도 있고, 헤테로 원자를 쇄 중에 포함할 수도 있는 알킬기이다.
Figure 112007077389634-PCT00002
식 중, X는 H 또는 F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본 발명의 전해액은, 전해질염 용해용 용매인 특정한 HCFX 말단 불소 함유 에테르기를 적어도 한쪽 말단에 함유하는 쇄상 카르보네이트 (I)과 전해질염 (II)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HCFX 말단 불소 함유 에테르기를 적어도 한쪽 말단에 함유하는 쇄상 카르보네이트 (I)은, 하기 화학식 I로 표시된다.
<화학식 I>
Figure 112007077389634-PCT00003
식 중, Rf는 하기 화학식 Ia로 표시되는 부위를 말단에 갖는 불소 함유 에테르기(이하, 간단히 「HCFX 말단 불소 함유 에테르기 (Ia)」라고도 함),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2 내지 16의 HCFX 말단 불소 함유 에테르기이고, R은 수소 원자가 할로겐 원자로 치환될 수도 있고, 헤테로 원자를 쇄 중에 포함할 수도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 내지 15의 알킬기이다.
<화학식 Ia>
Figure 112007077389634-PCT00004
식 중, X는 H 또는 F이다.
본 발명의 쇄상 카르보네이트는 HCFX를 말단에 갖기 때문에, 저온에서의 점성을 한층 더 저하시키는 것과 인화점의 상승, 나아가 유전율의 상승을 기대할 수 있다.
Rf의 탄소수는 2 내지 16이 바람직하며, 탄소수가 16을 초과하면 쇄상 카르보네이트 (I)의 점성이 높아지고, 또한 불소 함유기가 많아지기 때문에 유전율의 저하에 따른 전해질염의 용해성 저하나, 다른 용제와의 상용성 저하가 보여지기도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Rf의 탄소수는 2 내지 10이 바람직하고, 2 내지 7이 보다 바람직하다.
Rf의 불소 함유율은 10 질량% 이상이 바람직하며, 불소 함유율이 적으면 저온에서의 점성 향상 효과나 인화점의 향상 효과가 충분히 얻어지지 않는다. 이러한 관점에서 Rf의 불소 함유율은 20 질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30 질량%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한은 통상 76 질량%이다. 또한, Rf의 불소 함유율은 구성 원자의 조성으로부터 산출한다.
또한, 불소 함유 쇄상 카르보네이트 (I) 전체의 불소 함유율은 10 질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20 질량% 이상이고, 상한은 통상 76 질량%이다. 불소 함유 쇄상 카르보네이트 전체의 불소 함유율의 측정 방법은 후술하는 연소법에 따른다.
Rf는 HCFX 말단 불소 함유 에테르기 (Ia)이고, 에테르 부분을 구성하는 알킬렌기는 직쇄상이나 분지상의 알킬렌기일 수 있다. 그러한 직쇄상이나 분지상의 알킬렌기를 구성하는 최소 구조 단위의 일례를 하기에 나타낸다.
(i) 직쇄상의 최소 구조 단위:
-CH2-, -CHF-, -CF2-, -CHCl-, -CFCl-, -CCl2-
(ii) 분지상의 최소 구조 단위:
Figure 112007077389634-PCT00005
알킬렌기는, 이들의 최소 구조 단위를 단독으로, 또는 직쇄상 (i)끼리, 분지쇄상 (ii)끼리, 또는 이들을 적절하게 조합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한 구체예는 후술한다.
또한, 이상 예시한 것 중에서도 염기에 의한 탈 HCl 반응이 발생하지 않고, 보다 안정하다는 점에서 Cl을 함유하지 않는 구성 단위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한 Rf로서는, 하기 화학식 Ia1로 표시되는 HCFX 말단 불소 함유 에테르기를 들 수 있다. R1 및 R2의 바람직한 탄소수는 1 내지 4, 나아가 1 내지 3이다. 이들 R1 및 R2로서는 상술한 알킬렌기를 예시할 수 있고, 이들을 적절하게 조합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112007077389634-PCT00006
식 중, R1 및 R2는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며, 모두 불소 원자를 가질 수도 있는 알킬렌기이고, n1은 0 또는 1이고, n2는 1 내지 3의 정수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하기의 조합을 예시할 수 있지만,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a)
Figure 112007077389634-PCT00007
n1이 0인 경우에는 HCF2- 또는 FCH2-이고, n1이 1인 경우의 구체예로서는, R1이 직쇄상인 것으로서
Figure 112007077389634-PCT00008
등을 예시할 수 있고, 분지쇄상의 것으로서는
Figure 112007077389634-PCT00009
등을 들 수 있다.
단, 말단에 인접하여 -CH3이나 -CF3이라는 분지를 갖고 있으면 점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직쇄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b)
Figure 112007077389634-PCT00010
n2는 1 내지 3의 정수이고, 바람직하게는 1 또는 2이다. 또한, n2=2 또는 3일 때, R2는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할 수 있다.
R2의 바람직한 구체예로서는 하기의 직쇄상 또는 분지쇄상의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직쇄상의 것으로서는 -CH2-, -CHF-, -CF2-, -CH2CH2-, -CF2CH2-, -CF2CF2-, -CH2CF2-, -CH2CH2CH2-, -CH2CH2CF2-, -CH2CF2CH2-, -CH2CF2CF2-, -CF2CH2CH2-, -CF2CF2CH2-, -CF2CH2CF2-, -CF2CF2CF2- 등을 예시할 수 있고, 분지쇄상의 것으로서는
Figure 112007077389634-PCT00011
등을 들 수 있다.
쇄상 카르보네이트 (I)의 다른쪽 기인 R은, 수소 원자가 염소 원자, 불소 원자 또는 브롬 원자 등의 할로겐 원자로 치환될 수도 있고, 산소 원자나 질소 원자, 황 원자, 인 원자 등의 헤테로 원자를 쇄 중에 포함할 수도 있는 알킬기이다.
구체적으로는,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 내지 15의 직쇄 또는 분지쇄상의 비치환 알킬기, 더욱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 내지 4의 직쇄 또는 분지쇄상의 비치환 알킬기;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 내지 15, 더욱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 내지 4의 불소 함유 알킬기; 상기 Rf와 동일한 HCFX 말단 불소 함유 에테르기 (Ia);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 내지 15, 더욱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 내지 4의 직쇄 또는 분지쇄상의 비불소계 에테르기;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 내지 15, 더욱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 내지 6의 직쇄 또는 분지쇄상의 말단이 CF3인 불소 함유 에테르기 등을 들 수 있다.
직쇄 또는 분지쇄상의 비치환 알킬기로서는, 예를 들면 CH3-, C2H5-, C3H7-, C4H9-, (CH3)2CH-, CH3C(CH3)2- 등을 들 수 있다.
불소 함유 알킬기로서는
Figure 112007077389634-PCT00012
등을 예시할 수 있고, 분지쇄상의 것으로서는
Figure 112007077389634-PCT00013
등을 들 수 있으며, 특히 말단이 HCF2 또는 CF3인 것이 저점도화로 진행된다는 점에서 더욱 바람직하다.
HCFX 말단 불소 함유 에테르기로서는, 상기 HCFX 말단 불소 함유 에테르기 (Ia)의 구체예를 들 수 있다.
직쇄 또는 분지쇄상의 비불소계 에테르기로서는, 예를 들면 CH3CH2-OCH2CH2-, CH3-OCH2CH2-, CH3CH(CH3)-OCH2CH2- 등을 들 수 있고, 직쇄 또는 분지쇄상의 말단이 CF3인 불소 함유 에테르기로서는, 예를 들면 C3F7-OCF(CF3)CH2-, C3F7-OCF(CF3)CF2-, CF3CH2-OCH2CH2-, CF3-OCH2CH2-, CF3CF2CH2-OCH2CH2-, CF3CH(CF3)-OCH2CH2-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HCFX 말단 불소 함유 에테르기 Rf와 R의 조합에 따라 HCFX 말단 불소 함유 에테르기를 적어도 한쪽 말단에 함유하는 쇄상 카르보네이트 (I)이 구성된다. R이 HCFX 말단 불소 함유 에테르기 (Ia)인 경우에는 Rf와 R은 동일할 수도 있고, 상이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특히 바람직한 HCFX 말단 불소 함유 에테르기 함유 쇄상 카르보네이트 (I)의 구체예를 하기에 예시하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Figure 112007077389634-PCT00014
Figure 112007077389634-PCT00015
Figure 112007077389634-PCT00016
Figure 112007077389634-PCT00017
Figure 112007077389634-PCT00018
또한, 화학식 I로 표시되는 HCFX 말단 불소 함유 에테르기 함유 쇄상 카르보네이트 (I)은 문헌에 미기재된 신규 화합물이다.
합성법으로서는, 하기 화학식 1b로 표시되는 에테르기 함유 불소 함유 알코올의 1종 또는 2종, 및 화학식 R-OH(식 중, R은 상기와 동일함)로 표시되는 불소 함유 알코올의 1종 또는 2종을 하기 반응에 사용하는 방법을 예시할 수 있다.
Rf-OH
식 중, Rf는 상기와 동일하다.
(1) Rf와 R이 동종인 HCFX 말단 불소 함유 에테르기의 경우(Rf-OH를 사용함 ):
(1-1) 염기성 조건하, COCl2, COF2 등의 포스겐과 반응시킨다.
(1-2) 염기 촉매 또는 산 촉매의 존재하에 하기 화학식 Ic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반응시켜, 부생성하는 알코올(메탄올이나 에탄올)을 증류 제거시키면서 반응을 진행시킨다.
Figure 112007077389634-PCT00019
식 중, R3 및 R4는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며 알킬기, 바람직하게는 메틸기 또는 에틸기이다.
(1-3) 염기 촉매 또는 산 촉매의 존재하에 하기 화학식 Id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반응시킨다.
Figure 112007077389634-PCT00020
식 중, R5 및 R6은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며 아릴기, 바람직하게는 페닐기이다.
(2) Rf와 R이 상이한 경우:
(2-1) 염기성 조건하에 하기 화학식 Ie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반응시켜, 부생 성하는 알코올(메탄올이나 에탄올)을 증류 제거시키면서 반응을 진행시킨다.
Figure 112007077389634-PCT00021
식 중, R7은 알킬기, 바람직하게는 메틸기 또는 에틸기이다.
Figure 112007077389634-PCT00022
(2-2) Rf-OH 또는 R-OH를 당량 또는 과잉량의 포스겐이나 트리클로로포스겐의 존재하에 반응시켜
Figure 112007077389634-PCT00023
를 얻은 후, 각각에 별종의 불소 함유 알코올을 반응시키는 2단계로 합성한다.
예를 들면, R7을 별종의 기 R8로 변경하는 경우에는, 또한 상기 (2-1)의 방법을 이용하여 합성한다:
Figure 112007077389634-PCT00024
또는 상기 (2-2)의 방법으로 2단계로 합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Rf-OH로 표시되는 에테르기 함유 불소 함유 알코올의 합성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하기의 방법을 예시할 수 있다.
(1a) 부가 반응법
Figure 112007077389634-PCT00025
(2a) 치환 반응법
Figure 112007077389634-PCT00026
(3a) 축합 반응법
Figure 112007077389634-PCT00027
(4a) 개환 반응법
Figure 112007077389634-PCT00028
또는
Figure 112007077389634-PCT00029
또는
Figure 112007077389634-PCT00030
본 발명에 있어서, 전해질염 용해용 용매로서 HCF2 말단 불소 함유 에테르기를 적어도 한쪽에 함유하는 쇄상 카르보네이트 (I)에 추가하여, 다른 전해질염 용해용 용매 (III)을 1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다른 전해질염 용해용 용매 (III)으로서는, 탄화수소계 카르보네이트 용매나 니트릴계 용매, 락톤계 용매, 에스테르계 용매 등의 비불소계 용매, 나아가 불소 함유 쇄상 카르보네이트 (I) 이외의 불소 함유계 용매일 수도 있다.
비불소계 용매로서는, 예를 들면 에틸렌카르보네이트, 프로필렌카르보네이트, 부틸렌카르보네이트, γ-부티로락톤, 1,2-디메톡시에탄, 테트라히드로푸란, 2-메틸테트라히드로푸란, 1,3-디옥솔란, 4-메틸-1,3-디옥솔란, 포름산 메틸, 아세트산 메틸, 프로피온산 메틸, 디메틸카르보네이트, 에틸메틸카르보네이트, 디에틸카르보네이트, 아세토니트릴, 프로피오니트릴, 숙시노니트릴, 부티로니트릴, 이소부티로니트릴, 벤조니트릴, 글루타로니트릴, 디메틸술폭시드, 메틸피롤리돈 등을 들 수 있고, 특히 유전율이나 내산화성, 전기 화학적 안정성의 향상면에서 에틸렌카르보네이트, 프로필렌카르보네이트, 디에틸카르보네이트, γ-부티로락톤, 1,2-디메톡시에탄, 1,3-디옥솔란, 아세토니트릴, 프로피오니트릴, 숙시노니트릴, 부티로니트 릴, 이소부티로니트릴, 벤조니트릴, 글루타로니트릴이 바람직하다.
또한, 불소 함유 쇄상 카르보네이트 (I) 이외의 불소 함유계 용매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평)6-219992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10-149840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1-256983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0-327634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불소 함유계 카르보네이트, 특히 일본 특허 공개 (평)6-219992호 공보 및 일본 특허 공개 제2001-256983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불소 함유계 카르보네이트나 일본 특허 공개 (평)6-176768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8-37024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11-307123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0-294281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불소 함유 에테르가 바람직하다.
그런데, 불소 함유 에테르는 불연성을 높이는 효과가 우수하여 유용하지만, 비불소계 전해질염 용해용 용매, 특히 에틸렌카르보네이트나 디에틸렌카르보네이트 등의 탄화수소계 카르보네이트와 상용성이 낮고, 비불소계 전해질염 용해용 용매에 일정량 이상 혼합하면 2층으로 분리되는 경우가 있었다. 그러나, 불소 함유 쇄상 카르보네이트 (I)이 공존해 있으면 이들 3 성분의 균일 용액을 쉽게 형성할 수 있다. 이것은 불소 함유 쇄상 카르보네이트 (I)이 불소 함유 에테르와 비불소계 전해질염 용해용 용매를 상용시키는 상용화제로서 작용하고 있다고 추정되며, 따라서 불소 함유 쇄상 카르보네이트 (I)과 전해질염 (II)와 비불소계 전해질염 용해용 용매와 불소 함유 에테르를 포함하는 균일한 전해액에서는 한층 더 불연성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다른 전해질염 용해용 용매 (III)의 혼합량은, 전체 전해질염 용해용 용매 중의 1 질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10 질량% 이상, 특히 20 질량% 이상으로 하는 것이 전해질염의 용해성이 양호하다는 점에서 바람직하고, 상한은 난연성이나 저온 특성, 내전압의 점에서 98 질량%, 바람직하게는 90 질량%, 특히 80 질량%이다.
특히 캐패시터에서는 큰 전류 밀도에 대응할 수 있기 때문에, 전해액의 전해질염 농도가 높을수록 바람직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전해질염의 용해성이 우수한 탄화수소계 용매, 특히 프로필렌카르보네이트, γ-부티로락톤, 아세토니트릴, 1,3-디옥솔란 등을 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본 발명의 전해액의 다른쪽 성분인 전해질염 (II)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 가능한 전해질염 (II)는 종래 공지된 금속염, 액체상의 염 (이온성 액체), 무기 고분자형 염, 유기 고분자형 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전해질염은 전해액의 사용 목적에 따라 특히 바람직한 화합물이 있다. 하기에 용도별로 바람직한 전해질염을 예시하지만, 예시한 구체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또한 다른 용도에 있어서는 이하에 예시된 전해질염을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우선, 리튬 이차 전지의 금속염으로서는 붕소 음이온형, 산소 음이온형, 질소 음이온형, 탄소 음이온형, 인 음이온형 등의 각종 유기 금속염을 사용할 수 있고, 산소 음이온형, 질소 음이온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산소 음이온형으로서는, 구체적으로는 CF3SO3Li, C4F9SO3Li, C8F17SO3Li, CH3SO3Li, C6H5SO3Li, LiSO3C2F4SO3Li, CF3CO2Li, C6H5CO2Li, Li2C4O4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CF3SO3Li, C4F9SO3Li, C8F17SO3Li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질소 음이온형으로서는 (CF3SO2)2NLi(TFSI), (C2F5SO2)2NLi(BETI), (CF3SO2)(C4F9SO2)NLi, (CF3SO2)(C8F17SO2)NLi, (CF3CO)2NLi, (CF3CO)(CF3CO2)NLi, ((CF3)2CHOSO2)2NLi, (C2F5CH2OSO2)2NLi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CF3SO2)2NLi(TFSI), (C2F5SO2)2NLi(BETI)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무기 금속염으로서는 LiPF6, LiBF4, LiAsF6, LiClO4 등을 사용할 수 있고, 특히 LiPF6, LiBF4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캐패시터용으로서는, 유기 금속염으로서는 (Me)x(Et)yN(여기서, Me는 메틸렌, Et는 에틸렌, x 및 y는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며 0 내지 4의 정수이고, x+y=4임)으로 표시되는 테트라알킬 4급 암모늄염, 구체적으로는 Et4NBF4, Et4NClO4, Et4NPF6, Et4NAsF6, Et4NSbF6, Et4NCF3SO3, Et4N(CF3SO2)2N, Et4NC4F9SO3, Et3MeBF4, Et3MeClO4, Et3MePF6, Et3MeAsF6, Et3MeSbF6, Et3MeCF3SO3, Et3Me(CF3SO2)2N, Et3MeC4F9SO3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Et4NBF4, Et4NPF6, Et4NSbF6, Et4NAsF6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테트라알킬 4급 암모늄염 중, 알킬기 중 1개 또는 2개가 에테르인 4급 암모늄염을 사용하는 것이 점성 저하의 점에서 바람직하 다. 예를 들면, N,N-디에틸-N-메틸-N-(2-메톡시에틸)암모늄염 등은 점성이 낮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스피로비피롤리디늄염, 또는 스피로비피리디늄의 수소 원자를 일부 불소 원자로 치환한 염도 점성이 낮고, 특히 저온 특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테트라알킬 4급 암모늄염 중, 알킬기가 하나 이상인 불소 함유 알킬기, 또는 불소 함유 에테르기인 것이 내산화성 향상, 점성 저하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불소 원자 또는 불소 함유 알킬기, 불소 함유 에테르기를 함유하는 이미다졸륨염도 내산화성 향상, 점성 저하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염의 음이온 종으로서는 내산화성이 우수한 BF4 -, PF6 -, AsF6 -, SbF6 -가 바람직하다.
무기 금속염으로서는 LiPF6, LiBF4, LiAsF6, LiClO4, NaPF6, NaBF4, NaAsF6, NaClO4, KPF6, KBF4, KAsF6, KClO4 등을 사용할 수 있고, 특히 LiPF6, LiBF4, NaPF6, NaBF4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색소 증감 태양 전지용으로서는 R9R10R11R12NI(여기서, R9 내지 R12는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며 탄소수 1 내지 3의 알킬기임), LiI, NaI, KI,
Figure 112007077389634-PCT00031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전해질염 (II)로서 액체상의 염을 사용할 때에는, 리튬 이차 전지나 캐패시터, 색소 증감 태양 전지용으로서 유기 및 무기의 음이온과 폴리알킬이미다졸륨 양 이온, N-알킬피리디늄 양이온, 테트라알킬암모늄 양이온, 에테르쇄를 포함하는 테트라알킬암모늄 양이온, 테트라알킬포스포늄 양이온, 스피로비피롤리디늄 양이온과의 염을 들 수 있고, 특히 1,3-디알킬이미다졸륨염, 스피로비피롤리디늄염, 에테르쇄를 포함하는 알킬암모늄염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염의 양이온의 일부가 불소로 치환된 것이 점성 저하, 내산화성 향상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폴리알킬이미다졸륨 양이온으로서는 1-에틸-3-메틸이미다졸륨 양이온(EMI+), 1-부틸-3-메틸이미다졸륨 양이온(BMI+) 등의 1,3-디알킬이미다졸륨 양이온; 1,2-디메틸-3-프로필이미다졸륨 양이온(DMPI+) 등의 트리알킬이미다졸륨 양이온 등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들 수소 원자의 일부가 불소 원자로 치환된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무기 음이온으로서는, 예를 들면 AlCl4 -, BF4 -, PF6 -, AsF6 -, I- 등을, 유기 음이온으로서는 예를 들면 CH3COO-, CF3COO-, C3F7COO-, CF3SO3 -, C4F9SO3 -, (CF3SO2)2N-, (C2F5SO2)2N-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예로서는
Figure 112007077389634-PCT00032
등을 예시할 수 있다.
특히, 색소 증감 태양 전지용으로서는 EMII, BMII, DMPII 등의 요오드화물이 바람직하다.
전해질염 (II)의 배합량은 요구되는 전류 밀도, 용도, 전해질염의 종류 등에 따라 상이하지만, HCF2 말단 불소 함유 에테르기 함유 쇄상 카르보네이트 (I) 100 질량부에 대하여 0.1 질량부 이상, 나아가 1 질량부 이상, 특히 5 질량부 이상이고, 200 질량부 이하, 나아가 100 질량부 이하, 특히 50 질량부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전해액은, 전해질염 (II)를 HCF2 말단 불소 함유 에테르기 함유 쇄상 카르보네이트 (I), 또는 카르보네이트 (I)과 전해질염 용해용 용매 (III)을 포함하는 용매에 용해시킴으로써 제조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전해액은, 본 발명의 전해액에 사용하는 용매에 용해 또는 팽윤하는 고분자 재료와 조합하여 겔상(가소화됨)의 겔 전해액으로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고분자 재료로서는, 종래 공지된 폴리에틸렌옥시드나 폴리프로필렌옥 시드, 이들의 변성체(일본 특허 공개 (평)8-222270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2-100405호 공보); 폴리아크릴레이트계 중합체, 폴리아크릴로니트릴이나, 폴리불화비닐리덴, 불화비닐리덴-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 등의 불소 수지(일본 특허 공표 (평)4-506726호 공보, 일본 특허 공표 (평)8-507407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10-294131호 공보); 이들 불소 수지와 탄화수소계 수지와의 복합체(일본 특허 공개 (평)11-35765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11-86630호 공보) 등을 들 수 있다.
그 밖에 일본 특허 출원 제2004-301934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이온 전도성 화합물도 사용할 수 있다.
이 이온 전도성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측쇄에 불소 함유기를 갖는 비정질성 불소 함유 폴리에테르 화합물이다.
A-(D)-B
식 중, D는 하기 화학식 2이고, A 및 B는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며 수소 원자, 불소 원자 및/또는 가교성 관능기를 포함할 수도 있는 알킬기, 불소 원자 및/또는 가교성 관능기를 포함할 수도 있는 페닐기, -COOH기, -OR17(여기서, R17은 수소 원자 또는 불소 원자 및/또는 가교성 관능기를 포함할 수도 있는 알킬기임), 에스테르기 또는 카르보네이트기(단, D의 말단이 산소 원자인 경우에는 -COOH기, -OR17, 에스테르기 및 카르보네이트기가 아님)이다.
-(D1)n-(FAE)m-(AE)p-(Y)q-
식 중, D1은 하기 화학식 2a로 표시되는 측쇄에 불소 함유 에테르기를 갖는 에테르 단위이고, FAE는 하기 화학식 2b로 표시되는 측쇄에 불소 함유 알킬기를 갖는 에테르 단위이고, AE는 하기 화학식 2c로 표시되는 에테르 단위이고, Y는 하기 화학식 (2d-1) 내지 (2d-3)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단위이고,
n은 0 내지 200의 정수, m은 0 내지 200의 정수, p는 0 내지 10000의 정수, q는 1 내지 100의 정수이되, 단 n+m은 0이 아니고, D1, FAE, AE 및 Y의 결합 순서는 특정되지 않는다.
Figure 112007077389634-PCT00033
식 중, Rf는 가교성 관능기를 가질 수도 있는 불소 함유 에테르기이고, R13은 Rf와 주쇄를 결합하는 기 또는 결합수이다.
Figure 112007077389634-PCT00034
식 중, Rfa는 수소 원자, 가교성 관능기를 가질 수도 있는 불소 함유 알킬기이고, R14는 Rfa와 주쇄를 결합하는 기 또는 결합수이다.
Figure 112007077389634-PCT00035
식 중, R16은 수소 원자, 가교성 관능기를 가질 수도 있는 알킬기, 가교성 관능기를 가질 수도 있는 지방족 환식 탄화수소기 또는 가교성 관능기를 가질 수도 있는 방향족 탄화수소기이고, R15는 R16과 주쇄를 결합하는 기 또는 결합수이다.
Figure 112007077389634-PCT00036
본 발명의 전해액에는 필요에 따라 다른 첨가제를 배합할 수도 있다. 다른 첨가제로서는, 예를 들면 금속 산화물, 유리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해액은 저온(예를 들면, 0 ℃나 -20 ℃)에서 얼거나, 전해질염이 석출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0 ℃에서의 점도가 100 mPaㆍ초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30 mPaㆍ초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5 mPaㆍ초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구체적으로는 -20 ℃에서의 점도가 100 mPaㆍ초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40 mPaㆍ초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5 mPaㆍ초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전해액은 난연성, 저온 특성, 내전압, 전해질염의 용해성 및 탄화수소계 용매와의 상용성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리튬 이차 전지의 전해액, 캐패시터의 전해액, 라디칼 전지의 전해액, 태양 전지(특히 색소 증감형 태양 전지)의 전해액으로서 특히 유용하다. 그 밖에 각종 센서의 전해액, 일렉트로 크로믹 소자의 전해액, 전기 화학 스위칭 소자의 전해액, 알루미늄 전해 컨덴서, 탄탈 전해 컨덴서의 전해액, 대전 방지용 코팅재의 이온 전도체 등으로서도 사용할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을 실시예 및 비교예에 기초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채용한 측정법은 이하와 같다.
NMR: 브루커(BRUKER)사 제조의 AC-300을 사용.
19F-NMR:
측정 조건: 282 MHz(트리클로로플루오로메탄=0 ppm)
1H-NMR:
측정 조건: 300 MHz(테트라메틸실란=0 ppm)
IR:
퍼킨 엘머(Perkin Elmer)사 제조의 푸리에 변환 적외 분광 광도계 1760X로 실온에서 측정함.
불소 함유율(질량%):
산소 플라스크 연소법에 의해 시료 10 mg을 연소하고, 분해 가스를 탈이온수 20 ㎖에 흡수시켜 흡수액 중의 불소 이온 농도를 불소 선택 전극법(불소 이온 미터, 오리온사 제조 901형)으로 측정함으로써 구함.
<합성예 1> (HCF2 말단 불소 함유 에테르기를 양쪽에 갖는 카르보네이트의 합성)
교반 장치(쓰리원 모터)를 구비한 500 ㎖의 유리제 삼구 플라스크의 상부에 환류관을 붙여 수세 트랩, 알칼리 트랩에 기체가 유동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트랩을 빠져나온 기체는 드래프트 밖으로 제거할 수 있는 반응 장치를 조합하여 반응을 행하였다.
이 반응 장치에 불소 함유 에테르알코올:
Figure 112007077389634-PCT00037
100 g(381 mmol)과 피리딘 15.48 g(196 mmol)을 넣어 -70 ℃에서 교반하였다. 이어서, 질소 가스를 유입하면서 적하 깔때기에 의해 트리포스겐 49.9 g(631 mmol)을 디클로로메탄 150 ㎖에 용해한 용액을 적하했더니 발열이 관찰되었다. 발열에 주의하면서 60 분간 적하를 행하였다. 적하 종료 후, 반응액을 실온까지 되돌려 그 상태에서 1 시간 교반을 계속한 후, 포화 염화암모늄으로 켄칭하였다. 반응액이 3층으로 분리되기 때문에, 최하층의 용액을 분취하고, 분취한 용액을 1 N-HCl 수용액으로 세정하였다. 그 후, 감압(0.3 mmHg)하에 증류하고, 80 ℃의 증류분으로서 불소 함유 에테르카르보네이트를 얻었다(수율 35 %).
이 생성물을 19F-NMR, 1H-NMR 분석에 의해 분석했더니, 양쪽 말단이 HCF2인 불소 함유 에테르카르보네이트:
Figure 112007077389634-PCT00038
인 것이 확인되었다.
Figure 112007077389634-PCT00039
또한, IR 측정에 의해 카르보닐기의 신축 진동을 1789.9 cm-1에서 확인하였다.
이 불소 함유 에테르카르보네이트의 불소 함유율은 27.6 질량%였다.
<합성예 2>
합성예 1에서 사용한 반응 장치에 불소 함유 에테르알코올:
HCF2CF2CH2OCH2CH2OH 100 g(568 mmol)과 피리딘 25.48 g(323 mmol)을 넣고, -70 ℃에서 교반하였다. 이어서, 질소 가스를 유입하면서 적하 깔때기에 의해 트리포스겐 65.9 g(834 mmol)을 디클로로메탄 200 ㎖에 용해한 용액을 적하했더니 발열이 관찰되었다. 발열에 주의하면서 60 분간 적하를 행하였다. 적하 종료 후, 반응액을 실온까지 되돌려 그 상태에서 1 시간 교반을 계속한 후, 포화 염화암모늄으로 켄칭 하였다. 반응액이 3층으로 분리되기 때문에, 최하층의 용액을 분취하고, 분취한 용액을 1 N-HCl 수용액으로 세정하였다. 그 후, 감압(0.3 mmHg)하에 증류하고, 80 ℃의 증류분으로서 불소 함유 에테르카르보네이트를 얻었다(수율 35 %).
이 생성물을 19F-NMR, 1H-NMR 분석에 의해 분석했더니, 양쪽 말단이 HCF2인 불소 함유 에테르카르보네이트:
Figure 112007077389634-PCT00040
인 것이 확인되었다.
Figure 112007077389634-PCT00041
또한, IR 측정에 의해 카르보닐기의 신축 진동을 1789.9 cm-1에서 확인하였다.
이 불소 함유 에테르카르보네이트의 불소 함유율은 20.1 질량%였다.
<비교 합성예 1>
합성예 1에서 이용한 반응 장치에, 불소 함유 에테르알코올:
Figure 112007077389634-PCT00042
62.62 g(198 mmol), 트리에틸아민 24.1 g(238 mmol), THF 200 ㎖를 첨가하여 빙욕에서 교반하였다. 그 후 적하 깔때기를 이용하여 클로로포름산 프로필 29.4 g(238 mmol)을 적하하였다. 반응 용액은 염의 생성과 동시에 백탁하고, 7 ℃의 발열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적하 종료 후 3 시간 교반하고, 교반 후 1 N-HCl에 의해 켄칭을 행하여 하층의 목적 생성물을 채취하고 순수한 물로 2회 세정하였다.
MgSO4로 건조한 후, 증류(0.3 mmHg)를 행하여 39 ℃의 증류분으로서 불소 함유 에테르카르보네이트를 얻었다(수율 67 %).
이것을 19F-NMR, 1H-NMR 분석에 의해 분석했더니, 한쪽만이 CF3인 불소 함유 에테르카르보네이트:
Figure 112007077389634-PCT00043
인 것을 확인하였다.
Figure 112007077389634-PCT00044
또한, IR 측정에 의해 카르보닐기의 신축 진동을 1767.9 cm-1에서 확인하였다.
<비교 합성예 2> (EC/DEC의 제조)
에틸렌카르보네이트 및 디에틸렌카르보네이트를 1:1의 중량으로 혼합하고, 균일한 혼합 용액을 얻었다.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2>
합성예 1에서 얻은 HCF2 말단의 불소 함유 에테르기를 양측에 갖는 카르보네 이트 및 합성예 2에서 얻은 HCF2 말단의 불소 함유 에테르기를 한쪽에 갖는 카르보네이트와, 비교 합성예 1에서 얻은 CF3 말단의 불소 함유 에테르기와 알킬기를 갖는 카르보네이트 및 비교 합성예 2에서 얻은 비불소계 카르보네이트 혼합물에 대하여 인화점, 점도, 탄화수소계 용매와의 상용성을 조사하였다. 또한, 상기 용액에 전해질염으로서 LiN(SO2C2F5)2를 1 몰/ℓ의 농도가 되도록 배합하고, 전해액을 제조하였다. 이 전해액에 대하여 내전압, 전해질염의 용해성을 조사하였다.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인화점:
JIS K2265(태그 밀폐식)에 준하여 용액의 인화점을 측정한다.
내전압:
3 전극식 전압 측정 셀(작용극, 반대극: 백금, 참조극: Li. 호우센(주) 제조의 HS 셀)에 전해액을 넣고, 포텐시오스태트 50 mV/초로 전위 주인하고, 분해 전류가 0.1 mA 이상 흐르지 않은 범위를 내전압(V)으로 한다.
점도:
B형 회전 점도계(도까이 야가미(주) 제조의 VISCONE CV 시리즈)에 의해 측정 점도 범위 1 내지 500 mPaㆍ초의 콘을 이용하여 회전수 60 rpm, 온도 25, 0, -20 ℃에서 용액의 점도를 측정한다.
전해질염의 용해성:
용액에 LiN(SO2C2F5)2 및 사불화붕산사에틸암모늄[(C2H5)4NBF4]을 각각 실온에 서 1 몰/ℓ가 되도록 첨가하여 충분히 교반하고, 육안으로 용해성을 관찰한다.
○: 균일하게 용해됨
△: 약간 현탁되어 있는 상태가 됨
×: 불용분이 침전됨
탄화수소계 용매와의 상용성:
용액에 탄화수소계 용매를 실온에서 50 용량%가 될 때까지 첨가하여 충분히 교반하고, 육안으로 용해성을 관찰한다. 사용하는 탄화수소계 용매는 프로필렌카르보네이트(PC) 및 디에틸렌카르보네이트(DEC)로 한다.
○: 균일하게 용해됨
×: 2상으로 분리됨
Figure 112007077389634-PCT00045
<실시예 3 및 비교예 3>
3 ㎖의 샘플병에 비교 합성예 2에서 얻은 에틸렌카르보네이트(EC)와 디에틸렌카르보네이트(DEC)의 혼합 용매 1 g을 넣고, 불소 함유 에테르(CF3CF2CH2OCF2CF2 H) 0.5 g을 첨가하여 충분히 교반했더니 2층으로 분리되었다.
이 2층 분리 용액에 합성예 2 및 비교 합성예 1에서 각각 합성한 불소 함유 쇄상 카르보네이트 1.2 g을 첨가하고, 충분히 교반한 후 정치하여 혼합 용액의 상태를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기준은 균일해진 경우를 ○, 현탁 상태가 된 것을 △, 침전(분리)이 생긴 것을 ×로 한다. 그 결과, 실시예 3에서는 상용성은 ○, 비교예 3에서는 ×였다.
<실시예 4>
하기의 방법으로 코인형 리튬 이차 전지를 제조하였다.
(정극의 제조)
정극 활성 물질로서 LiCoO2(85 질량%)에 카본 블랙(6 질량%) 및 폴리불화비닐리덴(구레하 가가꾸(주) 제조의 상품명 KF-1000)(9 질량%)을 첨가하여 혼합하고, N-메틸-2-피롤리돈으로 분산하여 슬러리상으로 한 것을 사용하여, 이것을 정극 집전체인 두께 20 ㎛의 알루미늄박 상에 균일하게 도포하여 건조한 후, 직경 12.5 mm의 원반상으로 펀칭하여 정극으로 하였다.
(부극의 제조)
인조 흑연 분말(테임컬사 제조의 상품명 KS-44) 94 중량%에 증류수로 분산시킨 스티렌-부타디엔 고무(SBR)를 고형분으로 6 중량%가 되도록 첨가하여 디스퍼저로 혼합하고, 슬러리상으로 한 것을 부극 집전체인 두께 18 ㎛의 동박 상에 균일하게 도포하여 건조한 후, 직경 12.5 mm의 원반상으로 펀칭하여 부극으로 하였다.
(코인형 리튬 이차 전지의 제조)
정극 집전체를 겸하는 스테인레스제 캔체에 상기 정극을 수용하고, 그 위에 이하에 나타내는 각종 전해액을 함침시킨 폴리에틸렌제 세퍼레이터를 통해 상기 부극을 얹고, 이 캔체와, 부극 집전체를 겸하는 밀봉판을 절연용 가스켓을 통해 코킹하여 밀봉하고, 코인형 리튬 이차 전지를 제조하였다.
이 이차 전지에 대하여 직류 전압(3.5 V)을 48 시간 인가한 후, 0.3 mA/cm2의 전류 밀도로 충방전을 행하였다. 100회의 충방전을 1 사이클로 하여 초기 용량에서의 저하율을 구하였다.
(1) LiPF6(1 M), EC/DEC 및 합성예 2의 불소 함유 에테르카르보네이트를 포함하는 전해액(1/1/0.2 중량%)
100 사이클 후의 용량 저하율은 11 %였다.
(2) LiPF66(1 M), EC/DEC 및 합성예 1의 불소 함유 에테르카르보네이트를 포함하는 전해액(1/1/0.1 중량%)
100 사이클 후의 용량 저하율은 14 %였다.
<실시예 5>
수증기 부활된 비표면적 2000 m2/g의 페놀 수지계 활성탄과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과 카본 블랙의 질량비로 8:1:1의 혼합물에 에탄올을 첨가하여 혼련하였다. 이것을 시트상으로 성형한 후, 두께 0.6 mm로 롤 압연하고, 얻어진 시트를 직경 12 mm의 원반으로 펀칭하여 전극을 제조하였다.
이 원반상의 전극을, 코인형 셀의 집전체겸 하우징 부재로 하는 스테인레스 스틸제 케이스의 정극측 및 부극측의 내측에 각각 흑연계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착하였다. 이어서, 이 스테인레스제 케이스마다 감압하에 200 ℃에서 가열 처리하여 수분을 제거하고, 합성예 2에서 합성한 화합물에 전해질염으로서 테트라메틸암모늄ㆍBF4를 1 M 농도가 되도록 용해하여 전해액을 제조하고, 이 전해액을 원반상의 전극 중에 함침시켰다. 이어서, 양 전극 사이에 폴리프로필렌 섬유 부직포제의 세퍼레이터(두께 160 ㎛, 공극률 70 %)를 끼워 스테인레스 케이스를 절연체인 가스켓을 통해 코킹하여 봉인하고, 직경 18.4 mm, 두께 2.0 mm의 코인형 전기 이중층 캐패시터를 제조하였다.
이 캐패시터에 직류 전압(3.5 V)을 48 시간 인가한 후, 0.3 mA/cm2의 전류 밀도로 2000회 충방전을 행하여 그 전후의 용량을 측정하고, 초기에서의 감소율을 구하였다.
초기 용량은 130 F/g이고, 2000회 충방전 후의 용량은 115 F/g이 되며, 용량 저하율은 11.5 %였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난연성, 저온 특성, 내전압, 전해질염의 용해성 및 탄화 수소계 용매와의 상용성을 균형있게 향상시킬 수 있는 전해액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7)

  1. 하기 화학식 I로 표시되는 쇄상 카르보네이트 (I)과 전해질염 (II)를 포함하는 전해액.
    <화학식 I>
    Figure 112007077389634-PCT00046
    식 중, Rf는 하기 화학식 Ia로 표시되는 부위를 말단에 갖는 불소 함유 에테르기이고, R은 수소 원자가 할로겐 원자로 치환될 수도 있고, 헤테로 원자를 쇄 중에 포함할 수도 있는 알킬기이다.
    <화학식 Ia>
    Figure 112007077389634-PCT00047
    식 중, X는 H 또는 F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쇄상 카르보네이트 (I)에 있어서, Rf가 하기 화학식 Ia1로 표시되는 수소 원자를 말단에 포함하는 불소 함유 에테르기인 전해액.
    <화학식 Ia1>
    Figure 112007077389634-PCT00048
    식 중, X는 H 또는 F이고, R1 및 R2는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며, 모두 불소 원자를 가질 수도 있는 알킬렌기이고, n1은 0 또는 1이고, n2는 1 내지 3의 정수이다.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쇄상 카르보네이트 (I)에 있어서, R이 헤테로 원자를 쇄 중에 포함할 수도 있는 불소 함유 알킬기이고, Rf 및/또는 R의 불소 함유율이 10 내지 76 질량%인 전해액.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쇄상 카르보네이트 (I)에 있어서, R이 HCFX-로 표시되는 부위를 말단에 갖는 헤테로 원자를 쇄 중에 포함할 수도 있는 불소 함유 알킬기인 전해액.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쇄상 카르보네이트 (I)에 있어서, Rf 및/또는 R의 불소 함유율이 30 내지 76 질량%인 전해액.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0 ℃에서의 점도가 30 mPaㆍ초 이하인 전해액.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0 ℃에서의 점도가 40 mPaㆍ초 이하인 전해액.
KR1020077024959A 2005-03-30 2006-03-28 전해액 KR1009077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099372 2005-03-30
JP2005099372 2005-03-30
PCT/JP2006/306248 WO2006106656A1 (ja) 2005-03-30 2006-03-28 電解液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6669A true KR20070116669A (ko) 2007-12-10
KR100907774B1 KR100907774B1 (ko) 2009-07-15

Family

ID=37073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4959A KR100907774B1 (ko) 2005-03-30 2006-03-28 전해액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343374B2 (ko)
JP (1) JP4748153B2 (ko)
KR (1) KR100907774B1 (ko)
CN (1) CN101156215B (ko)
WO (1) WO200610665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90255A (ko) * 2012-02-03 2013-08-13 주식회사 엘지화학 과충전 방지 회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156217B (zh) * 2005-03-30 2012-04-18 大金工业株式会社 电解液
WO2008079670A1 (en) 2006-12-20 2008-07-0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Fluorinated compounds for use in lithium battery electrolytes
WO2010013739A1 (ja) 2008-07-30 2010-02-04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リチウム二次電池の電解質塩溶解用溶媒
US8668838B2 (en) * 2008-11-14 2014-03-11 Daikin Industries, Ltd. Electrical double layer capacitor
CN101714657A (zh) * 2009-11-30 2010-05-26 东莞市杉杉电池材料有限公司 一种新型多功能锂离子电池电解液
JP5392355B2 (ja) * 2009-12-11 2014-01-22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電気二重層キャパシタ
CN102176379B (zh) * 2010-12-24 2012-11-21 东莞宏强电子有限公司 一种高沸点、低凝固点三元混合溶剂及其应用
US10106492B2 (en) * 2012-07-13 2018-10-23 Solvay Sa Fluorinated carbonyl compounds comprising a triple bond, methods for their manufacture and uses thereof
CN102832408B (zh) * 2012-09-18 2015-04-08 广州天赐高新材料股份有限公司 具有高阻燃性能和电化学性能的电解液及锂离子电池
EP2909886A4 (en) 2012-10-19 2016-06-15 Univ North Carolina IONIC CONDUCTIVE POLYMERS AND MIXTURES OF POLYMERS FOR ALKALINOMETALLIC-ION BATTERIES
WO2014204547A2 (en) 2013-04-01 2014-12-24 Th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At Chapel Hill Ion conducting fluoropolymer carbonates for alkali metal ion batteries
CN106133986B (zh) 2014-03-27 2019-07-09 大金工业株式会社 电解液和电化学器件
HUE049506T2 (hu) * 2014-03-27 2020-09-28 Daikin Ind Ltd Elektrolitoldat és elektrokémiai eszköz
US10256506B2 (en) * 2014-03-28 2019-04-09 Daikin Industries, Ltd. Electrolyte, electrochemical device, secondary cell, and module
US10227288B2 (en) 2015-02-03 2019-03-12 Blue Current, Inc. Functionalized fluoropolymers and electrolyte compositions
US9543619B2 (en) 2015-02-03 2017-01-10 Blue Current, Inc. Functionalized phosphorus containing fluoropolymers and electrolyte compositions
US20160301107A1 (en) * 2015-04-07 2016-10-13 Blue Current, Inc. Functionalized perfluoroalkanes and electrolyte compositions
CN106099185A (zh) * 2016-07-05 2016-11-09 惠州市豪鹏科技有限公司 一种电解液及包括该电解液的锂离子电池
CN110590556A (zh) * 2019-09-30 2019-12-20 安徽屹珹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含氟不对称链状碳酸酯的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19992A (ja) 1992-11-18 1994-08-09 Mitsui Petrochem Ind Ltd 新規な炭酸エステル化合物
JP3512114B2 (ja) 1992-12-01 2004-03-29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有機電解液電池用の有機電解液およびそれを使用した有機電解液電池
JPH0837024A (ja) 1994-07-26 1996-02-06 Asahi Chem Ind Co Ltd 非水電解液二次電池
JPH09306540A (ja) * 1996-05-11 1997-11-28 Furukawa Battery Co Ltd:The リチウム二次電池
US5830600A (en) 1996-05-24 1998-11-03 Sri International Nonflammable/self-extinguishing electrolytes for batteries
JPH10149840A (ja) 1996-11-19 1998-06-02 Mitsui Chem Inc 非水電解液および非水電解液二次電池
JP3726533B2 (ja) 1998-02-20 2005-12-1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リチウム2次電池とその電解液及び電気機器
KR100605344B1 (ko) * 1998-09-11 2006-07-28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비수전해액 및 비수전해액 2차 전지
JP3886263B2 (ja) * 1998-09-16 2007-02-28 三井化学株式会社 二次電池用非水電解液及び非水電解液二次電池
JP2000164247A (ja) * 1998-11-24 2000-06-16 Mitsui Chemicals Inc 非水電解液およびそれを用いた二次電池
JP2000228216A (ja) 1999-02-08 2000-08-15 Denso Corp 非水電解液および非水電解液二次電池
JP2000294281A (ja) 1999-04-08 2000-10-20 Hitachi Maxell Ltd 非水電解液二次電池
JP2000327634A (ja) 1999-05-25 2000-11-28 Hitachi Ltd フッ素化炭酸エステル化合物
JP4020561B2 (ja) 2000-03-13 2007-12-12 セントラル硝子株式会社 電気化学ディバイス用電解液
JP2002175837A (ja) * 2000-12-06 2002-06-21 Nisshinbo Ind Inc 高分子ゲル電解質及び二次電池並びに電気二重層キャパシタ
CN101156217B (zh) 2005-03-30 2012-04-18 大金工业株式会社 电解液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90255A (ko) * 2012-02-03 2013-08-13 주식회사 엘지화학 과충전 방지 회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748153B2 (ja) 2011-08-17
US20090291364A1 (en) 2009-11-26
KR100907774B1 (ko) 2009-07-15
CN101156215A (zh) 2008-04-02
US8343374B2 (en) 2013-01-01
JPWO2006106656A1 (ja) 2008-09-11
CN101156215B (zh) 2012-04-18
WO2006106656A1 (ja) 2006-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7774B1 (ko) 전해액
KR100907773B1 (ko) 전해액
KR100953999B1 (ko) 전해액
KR100950347B1 (ko) 전해액
US9991559B2 (en) Functionalized ionic liquid electrolytes for lithium ion batteries
US11050087B2 (en) Silane functionalized ionic liquids
CN105103361B (zh) 电池用非水电解液、化合物、高分子电解质和锂二次电池
KR101139079B1 (ko) 리튬염
US9472831B2 (en) Lithium-2-methoxy-1,1,2,2-tetrafluoro-ethanesulfonate and use thereof as conductive salt in lithium-based energy accumulators
JP6101575B2 (ja) 非水電解液用添加剤、非水電解液、およびリチウム二次電池
JP4929766B2 (ja) 電解液
JP6267038B2 (ja) 非水電解液及びこれを含む蓄電デバイス
JP2010097802A (ja) 電解液
JP5875954B2 (ja) シアノボレート化合物、並びに、これを用いた電解質
KR102240799B1 (ko) 이미다졸륨 기능화된 이미드 기반 리튬 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온 배터리용 전해질 조성물
JP2023031827A (ja) 化合物、電解液、及び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