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16435A - 전자 섬광장치 - Google Patents

전자 섬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16435A
KR20070116435A KR1020060050474A KR20060050474A KR20070116435A KR 20070116435 A KR20070116435 A KR 20070116435A KR 1020060050474 A KR1020060050474 A KR 1020060050474A KR 20060050474 A KR20060050474 A KR 20060050474A KR 20070116435 A KR20070116435 A KR 200701164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emitting tube
axis
light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04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영배
Original Assignee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504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116435A/ko
Priority to US11/699,157 priority patent/US7802904B2/en
Priority to CN2007100843962A priority patent/CN101086602B/zh
Publication of KR200701164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64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15/02Illuminating scene
    • G03B15/03Combinations of cameras with lighting apparatus; Flash units
    • G03B15/05Combinations of cameras with electronic flash apparatus; Electronic flash uni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15/02Illuminating sce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10Construc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15/02Illuminating scene
    • G03B15/03Combinations of cameras with lighting apparatus; Flash units
    • G03B15/04Combinations of cameras with non-electronic flash apparatus; Non-electronic flash units
    • G03B15/0478Combinations of photographic apparatus with percussion type flash ignition systems
    • G03B15/0484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flash apparatu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oboscope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광 특성이 우수하면서도 소형화에 적합하도록 하기 위하여, 길이 방향에 수직한 각 면상에서 방사상으로 빛을 방사하는 발광관; 및 상기 발광관을 수용하고 상기 발광관으로부터 방사된 빛을 반사하는 제1 반사부와, 상기 발광관으로부터 직접 방사된 빛 및 상기 제1 반사부에 반사되어 나온 빛을 개구로 반사하는 제2 반사부를 포함하는 리플렉터(reflector);를 포함하는 전자 섬광장치를 개시하며, 상기 발광관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면을 따라 절취한 단면상에서 상기 발광관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개구쪽으로 수평하게 연장한 축을 X축, 상기 X축에 수직하고 상기 발광관의 중심을 통과하는 축을 Y축이라고 하였을 때, 상기 제1 반사부는 상기 발광관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X축의 반대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곡면부와, 상기 제1 곡면부와 연결되고 상기 개구쪽으로 형성된 평면부와, 상기 평면부와 연결되며 상기 개구쪽으로 형성된 원형부를 포함하며, 제2 반사부는 상기 제1 반사부의 원형부와 연결되는 제2 곡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자 섬광장치{Electronic strobo}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전자 섬광장치의 발광관 및 리플렉터를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리플렉터에서의 광 경로를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전자 섬광장치에서 리플렉터의 각도별 가이드 넘버(Guide Number)를 도시하는 시뮬레이션 결과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전자 섬광장치에서 리플렉터의 각도별 노광량(Exposure Value)을 도시하는 시뮬레이션 결과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전자 섬광장치의 발광관 및 리플렉터를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전자 섬광장치의 발광관 및 리플렉터를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10: 리플렉터 11a,11b, 12a,12b, 13a,13b: 제1 반사부
14a, 14b: 제2 반사부 15: 발광관
H1 ~ H2: 개구폭 a: 최대 배광각
본 발명은 전자 섬광장치(strobo)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소형 및 박형 디지털 카메라에서 발광관으로부터 나오는 광을 반사시켜 피사체 전면에 균일하게 조사되도록 하는 리플렉터를 구비하는 전자 섬광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 섬광장치는 카메라의 광원으로부터 빛을 방사하고, 방사된 빛을 반사시켜 피사체에 균일하게 조사시키는 장치이다. 전자 섬광장치는 발광관 및 리플렉터를 구비한다. 발광관은 광을 발생시키는 광원을 구비하며, 리플렉터는 발광관으로부터 방사된 빛을 반사시켜 피사체에 균일하게 광을 조사한다.
최근 디지털 카메라가 점차 소형화 및 박형화 되어가는 추세에 따라 카메라의 성능 뿐만 아니라 디자인도 중요한 선택 요건이 되고 있다. 즉, 전자 섬광장치용 리플렉터는 배광 특성을 최대한 만족시키면서 두께는 얇고, 개구폭은 좁도록 설계해야 한다. 왜냐하면 카메라를 박형화하기 위해서는 리플렉터의 두께가 얇아야 하며, 소형화하기 위해서는 개구폭이 좁아야 하기 때문이다.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1997-166815호, 일본 특허등록공보 제3672990호,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19970197497호 및 한국 특허공개공보 제2005-0074597호 등에 전자 섬광장치용 리플렉터들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들은 배광 특성을 좋게 하는데에 초점을 두는 반면, 전자 섬광장치의 박형화 및 소형화에는 미흡한 부분이 있다. 즉, 종래의 기술들은 개구의 치수가 넓고, 배광각이 고려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발광관으로부터 방사되는 광을 최대 배광각내에 들어가게 하려면 리플렉 터의 깊이(카메라의 두께 방향으로의 리플렉터의 길이)가 깊어져야 한다. 따라서 종래의 리플렉터 형상은 카메라를 소형화 및 박형화 하는 데 불리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프로텍터를 사용해서 배광각을 좁게 하더라도 그 한계가 존재하고, 배광각 밖으로 방사되는 광으로 인하여 방사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한국 특허공개공보 제2005-0074597호에 개시된 리플렉터는 비구면부, 원통곡면부, 준 평면부, 경사 평면부를 구비하는 형상으로 되어 있는데, 원통곡면부의 곡률 반경이 0.95~1.1mm로 매우 작기 때문에 알루미늄 재질의 박판을 압축해서 만드는 제조 공정상 그 길이가 매우 짧은 경사 평면부를 정밀하게 제조하기가 어렵고, 경사 평면부의 경사각에 따라 상하 방향의 배광특성이 민감하게 반응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자 섬광장치용 리플렉터의 제1 반사부의 단면의 형상을 최적화함으로써 방사 효율과 같은 배광 특성을 유지하면서도 전자 섬광장치의 소형화 및 박형화에 유리한 전자 섬광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길이 방향에 수직한 각 면상에서 방사상으로 빛을 방사하는 발광관; 및 상기 발광관을 수용하고 상기 발광관으로부터 방사된 빛을 반사하는 제1 반사부와, 상기 발광관으로부터 직접 방사된 빛 및 상기 제1 반사부에 반사되어 나온 빛을 개구로 반사하는 제2 반사부를 포함하는 리플렉터;를 포함하는 전자 섬광장치를 개시한다.
상기 발광관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면을 따라 절취한 단면상에서 상기 발광관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개구쪽으로 수평하게 연장한 축을 X축, 상기 X축에 수직하고 상기 발광관의 중심을 통과하는 축을 Y축이라고 하였을 때, 상기 제1 반사부는 상기 발광관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X축의 반대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곡면부와, 상기 제1 곡면부와 연결되고 상기 개구쪽으로 형성된 평면부와, 상기 평면부와 연결되며 상기 개구쪽으로 형성된 원형부를 포함하며, 제2 반사부는 상기 제1 반사부의 원형부와 연결되는 제2 곡면부를 포함한다.
제1 곡면부의 K(코닉 상수)는 -1<K<0을 만족하는 타원면의 일부 또는 K=-1을 만족하는 포물면의 일부 또는 K<-1 또는 K>0을 만족하는 변형 비구면의 일부일 수 있다. 평면부는 상기 발광관의 반경과 거의 같거나 미소하게 큰 상기 Y축 상의 점에서 상기 개구의 반대쪽으로 직선적으로 연장할 때, 상기 제1 곡면부와 만나는 교차부까지 형성된다. 원형부의 중심은 상기 발광관의 중심과 일치한다. 제2 곡면부는 타원면 또는 포물면의 일부이며, 상기 타원 또는 포물선의 초점이 상기 발광관의 중심과 실질적으로 일치한다. 이에 의하여 발광관의 중심으로부터 직접 피사체에 조사되는 직접 광에 의한 조사각과 제1 반사부 또는 제2 반사부에서 반사되고 피사체에 조사되는 반사광에 의한 조사각이 거의 같아지도록 구성됨으로써 광량의 손실을 방지하여 배광 특성이 우수하다.
제1 반사부와 제2 반사부가 접하는 연결부가 Y축을 기준으로 개구측에 위치하며, 평면부와 원형부가 접하는 연결부는 Y축상에 위치된다. 이에 의하여 개구폭이 감소되어 전자 섬광장치 및 카메라의 소형화에 유리하다.
전자 섬광장치는 발광관 및 리플렉터(reflector)를 구비한다. 발광관은 단면이 동일한 원통형이며, 발광관의 내부에는 광원(미도시)이 위치된다. 발광관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면을 따라 절취한 단면상에서 발광관의 중심으로부터 개구쪽으로 수평하게 연장한 축을 X축, 상기 X축에 수직하고 상기 발광관의 중심을 통과하는 축을 Y축이라고 할때, 전자 섬광장치의 상하 방향으로 방사하는 광의 배광각과 배광 효율은 상기 단면에서의 리플렉터의 형상만 고려하면 된다. 왜냐하면 발광관의 길이 방향 형상은 주로 좌우 배광 효율에만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첨부된 측단면도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관한 리플렉터의 단면의 형상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전자 섬광장치의 발광관(15) 및 리플렉터(10)를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단면이 원통형인 발광관(15)의 외주에는 리플렉터(10)가 위치된다. 리플렉터(10)는 제1 반사부(11, 12, 13)와 제2 반사부(14)로 구성되며, 리플렉터(10)는 발광관(15)에서 방사된 빛 중 피사체로 직접 조사되는 빛을 제외한 빛을 반사시켜서 제2 반사부(14)나 개구로 진행시킨다. 제1 반사부(11, 12, 13)는 제1 곡면부(11a,11b), 평면부(12a,12b) 및 원형부(13a,13b)로 나뉘어져 있으며, 발광관(15)의 외경과 약 0.01mm 정도 이격되어 발광관(15)을 감싼다. 제2 반사부(14)는 제2 곡면부(14a, 14b)로 이루어져 있으며, 발광관(15)으로부터 직접 방사된 빛이나 제1 반사부(11, 12, 13)에서 반사된 빛을 반사하여 개구로 진행시킨다.
이때, 제1 곡면부(11a, 11b)는 원형이 아닌 비구면이다(H~J). 예를 들면, -1<K<0(K: conic constant)를 만족하는 타원이거나 K=-1을 만족하는 포물선이거나 K<-1 또는 K>0을 만족하는 변형된 비구면일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제1 곡면부(11a, 11b)가 타원인 경우를 예로 들었다. 제1 곡면부(11a, 11b)의 X축 상의 점은 발광관(15) 외경의 X축 상의 점과 0.01mm 정도 떨어져 있다. 즉, 제1 곡면부(11a, 11b)는 발광관(15)의 외경을 거의 접하듯이 둘러싼다. 따라서 X축 상에서의 발광관(15)의 중심은 발광관(15)의 외경이 제1 곡면부(11a, 11b)와 거의 접하도록 하는 곳에 위치된다.
평면부(12a, 12b)는 제1 곡면부(11a, 11b)와 연결되고 개구쪽으로 형성된다(G~H, I~J). 좀더 구체적으로 평면부(12a, 12b)는 발광관(15)이 Y축과 교차하는 점의 위치보다 약 0.01mm 큰 점(G, I)에서 개구의 반대쪽으로 직선적으로 연장하며, 제1 곡면부(11a, 11b)와 만나는 교차부(H, J)까지 형성된다. 이때 평면부(12a, 12b)의 연장 방향은 X축 방향과 평행하거나 미세한 각도로 기울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평면부(12a, 12b)는 상부와 하부에 각각 형성된다. 여기에서 평면부(12a, 12b)와 Y축의 교차점이 발광관으로부터 0.01mm 정도 이격된 것을 예로 들었으나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더 크게 이격될 수 있다.
원형부(13a, 13b)는 그 중심이 발광관(15)의 중심과 일치하는 원의 일부로 이루어지며, 원형부(13a, 13b)는 평면부(12a, 12b)와 연결되고 개구쪽으로 형성된다(G~D, I~F). 좀더 구체적으로 원형부(13a, 13b)의 중심은 발광관(15)의 중심(O)과 일치하며, 평면부(12a, 12b)의 우측단(G, I)으로부터 O점을 중심으로 한 원호 모양으로 형성된다. 원형부(13a, 13b)는 상부와 하부에 각각 형성된다.
제2 반사부(14)인 제2 곡면부(14a, 14b)는 원형부(13a, 13b)와 연결되고 개 구쪽으로 형성된다(D~H1, F~H2). 제2 곡면부(14a, 14b)는 타원면 또는 포물면으로 이루어진다. 타원 또는 포물선의 초점이 발광관(15)의 중심과 일치하거나 거의 일치하도록 제2 곡면부(14a, 14b)가 위치된다. 제2 곡면부(14a, 14b)의 우측단 사이의 거리가 개구폭(H1~H2)이 되고, 제2 곡면부(14a, 14b)의 우측단을 연결한 직선으로부터 제1 곡면부(11a, 11b)까지의 먼 길이가 깊이(L)가 된다. 발광관(15)의 중심으로부터 제2 곡면부(14a, 14b)의 상하측 방향으로의 각도가 최대 배광각(a)이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플렉터(10)의 제1 반사부(11, 12, 13)와 제2 반사부(14)가 접하는 연결부(D, F)는 Y축을 기준으로 개구측에 위치한다. 즉, 원형부(13a, 13b)가 Y축을 기준으로 개구측에 추가됨으로써 개구폭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전자 섬광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고, 그로 인하여 카메라의 소형화에 유리하다. 그런데 원형부(13a, 13b)로 인하여 발광관(15)으로부터 방사되어 원형부(13a, 13b)에 반사된 빛을 배광각 이내로 집광시켜야 배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나중에 설명한다.
한편, 원형부(13a, 13b)와 제2 반사부(14)가 접하는 연결부(D, F)와 발광관의 중심(O)을 지나는 연장선(DOJ', FOH')은 제1 곡면부(11a, 11b) 안(H', J')을 지나간다. 이것은 제1 반사부(11, 12, 13)와 제2 반사부(14)가 연결되는 점의 위치를 알려준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리플렉터(10)에서의 광 경로를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이제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섬광장치에서의 광 경로를 설명한다.
발광관(15) 내의 광원은 발광관(15)의 길이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0도에서 360도로 빛을 방사한다. 먼저, 배광각 a 범위내에서 방사하는 광은 제1 반사부(11, 12, 13) 또는 제2 반사부(14)에 부딪치지 않고 개구로 나가서 직접 피사체(미도시)에 조사된다. 배광각 a' 범위내에서 방사하는 광은 제1 반사부의 제1 곡면부(11a, 11b)에서 1차 반사하고 대부분 거의 동일한 경로를 되돌아 나간 후 개구로 나가서 피사체에 직접 조사되고, 극히 일부는 제2 반사부(14)에서 2차 반사한 후 배광각(a) 내로 출사하여 피사체로 조사된다. 배광각 b 범위내에서 방사하는 광은 제2 반사부(14)에서 1차 반사한 후, 개구에서 조금 떨어진 지점 근처에 집광된다. 왜냐하면 발광관의 중심(O)이 제2 반사부(14)인 타원면의 제1 초점 또는 그 근처에 있고, 제2 초점이 개구에서 조금 떨어진 지점 근처에 있는데, 타원의 원리에 의하면 타원의 제1 초점에서 방사하여 타원면에 반사되어 나간 광은 타원의 제2 초점을 지나가기 때문이다. 이때 집광된 광의 배광각은 배광각 a 범위와 거의 같으며, 집광 후 배광각 a범위내에서 방사하는 광과 비슷한 분포로 피사체에 조사된다. 배광각 b' 범위내에서 방사되고 제1 곡면부(11b)로 향하는 광은 제1 반사부의 제1 곡면부(11b)에서 약간의 반사 각도를 가지고 1차 반사하고 다시 제2 반사부(14a)에서 2차 반사한 후 대부분 배광각 이내로 피사체에 조사된다.
배광각 c 범위내에서 방사되고 원형부(13a)로 향하는 광은 원형부(13a)에서 1차 반사하고 원의 성질에 의해서 입사 경로와 동일한 경로로 되돌아온 후, 그 중 일부는 대향하는 평면부(12b)에서 2차 반사하고 제1 곡면부(11a)에서 3차 반사하고 제2 반사부(14b)에서 4차 반사한 후 개구로 빠져 나가 피사체에 조사된다. 나머지 일부는 대향하는 제1 곡면부(11b)에서 2차 반사하고 제2 반사부(14a)에서 3차 반사한 후 개구로 빠져 나가 피사체에 조사된다. 배광각 c' 범위내에서 방사하고 평면부(12b)를 향하는 광은 제1 곡면부(11a)에서 2차 반사하고 제2 반사부(14b)에서 3차 반사한 후 대부분 직접 개구로 빠져 나가 피사체에 조사된다. 이때 만약 평면부(13a, 13b)가 중심이 O점이고, 반경이 R인 원의 일부로 이루어졌다면 배광각 c' 범위내에서 방사하는 광은 원의 성질에 의해 서로 대향된 구면 사이에서 내부 반사를 반복하며 갇히게 되어 결국 소멸했을 것이다. 이 경우, GOH가 30도일 경우 전체 방사되는 광 중 1/6(=30*2/360)이 갇힘으로써 약 17%의 광량 손실이 초래되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원형부(13a, 13b)에서 반사된 광이 평면부(12a, 12b)에서 다시 반사되어 제2 반사부(14a, 14b)로 진행할 수 있다. 즉, 발광관의 중심(O)으로부터 직접 피사체에 조사되는 직접 광에 의한 조사각과 제1 반사부(11, 12, 13) 및 제2 반사부(14)에서 반사되고 사체에 조사되는 반사광에 의한 조사각이 거의 같아지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개구폭을 줄이기 위한 원형부(13a, 13b)의 추가로 인한 광량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배광 특성을 유지하면서도 개구폭을 줄임으로써 전자 섬광장치의 소형화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직경이 작은 발광관(15)을 사용하여도 우수한 배광 특성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박형화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리플렉터는 총 3쌍의 변곡점(H,J, G,I, D,F)을 갖는다. 따라서 종래 기술과 비교할 때 변곡점의 개수가 적어서 제조하기가 용이하고, 변곡점 주변의 반사면에서의 광손실도 줄일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전자 섬광장치에서 리플렉터(10)의 각도별 가이드 넘버(Guide Number)를 도시하는 시뮬레이션 결과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전자 섬광장치에서 리플렉터(10)의 각도별 노광량(Exposure Value)을 도시하는 시뮬레이션 결과이다. 상기 시뮬레이션에 사용된 콘덴서는 용량이 100㎌, 충전 전압이 305V이며, 발광 광원은 직경이 1.8mm, 아크 길이가 12mm이며, 측정 거리는 3m이다.
도 3 및 도 4에서 각도는 배광각을 의미하며, 가이드 넘버는 광의 세기에 비례한 것으로, 각 각도에서 가이드 넘버가 크고 균일할수록 배광 특성이 우수함을 나타낸다. 도 3으로부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섬광장치는 좌우 방향으로는 넓은 배광각 범위에서 가이드 넘버가 크고 균일하며, 상하 방향으로는 약 20도의 배광각 범위내에서 상하 방향으로의 배광 특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도 4에서 각도별 노광량은 중심각(배광각이 0도)에서의 가이드 넘버와 주변각에서의 가이드 넘버의 차이를 의미한다. 즉, 중심각에서의 가이드 넘버 대비 주변각에서의 가이드 넘버의 비율이다. 도 4는 좌우 방향으로는 넓은 배광각 범위에서 각도별 노광량이 균일하며, 상하 방향으로는 약 20도의 배광각 범위에서 0.5의 노광량 범위 내에 있음을 보여준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전자 섬광장치의 측단면도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설명한 실시예와 다른 점은 제1 곡면부(21a, 21b)가 타원면이 아닌 포물면(K=-1)인 것과 그로 인하여 평면부(22a, 22b)의 길이가 길어진 점이다. 나머 지 구성은 상기 실시예와 같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상기 실시예를 참조하면 된다.
이와 같은 형상의 리플렉터에서 광원에서 방사되고 원형부(23a)와 제2 곡면부(24a)의 연결부(D)를 향하는 광은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D)에서 1차 반사되고 되돌아가서 제1 곡면부(21b)의 J'점에서 2차 반사한 후 개구로 나간다. 그리고 광원에서 방사되고 원형부(23a)와 제2 곡면부(24a)의 연결부(D)의 좌측부를 향하는 광의 경로는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부(23a)에서 1차 반사되고, 제1 곡면부(21b)와 평면부(22b)의 연결부(J)에서 2차 반사된 후 제1 곡면부(21a)에서 3차 반사된 후 개구로 나간다. 이와 같이 추가된 원형부(23a, 23b)에 방사된 광이 제1 반사부에서 반사되어 최대 배광각(a) 이내로 나가기 때문에 집광이 좋아져 배광 특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한 전자 섬광장치의 측단면도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도 5에서 설명한 실시예와 다른 점은 X축 상에서 발광관(35)의 중심은 발광관(35)의 외경이 제1 곡면부(31a, 31b)로부터 개구쪽으로 이격되도록 하는 곳에 위치된다는 점이다. 중심(O')을 X축 방향으로 소정량만큼 이동함으로써 원형부(33a)와 제2 반사부(34a)가 접하는 연결부(D')와 발광관의 중심(O')을 지나는 연장선(D'O'J')이 제1 곡면부(31b)의 끝을 지나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중심(O')이 X축 방향으로 이동한 양과 동일한 양만큼 평면부(32a, 32b)의 길이도 길어진다. 그러나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중심(O')의 이격 거리를 달리할 수 있으나, 이격거리는 리플렉터(30)의 두께(L')가 너무 커지지 않도록 설계 하여야 한다. 나머지 구성은 상기한 실시예와 같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면 된다.
이와 같은 형상의 리플렉터에서 광원에서 방사되고 원형부(33a)와 제2 곡면부(34a)의 연결부(D')를 향하는 광은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D')에서 1차 반사되고 되돌아가서 제1 곡면부(31b)와 평면부(32b)의 연결부(J')에서 2차 반사된 후 제1 곡면부(31b)에서 3차 및 4차 반사한 후 개구를 통해 나간다. 이와 같이 추가된 원형부(33a, 33b)에 방사된 광이 제1 반사부에서 반사되어 최대 배광각(a) 이내로 나가기 때문에 집광이 좋아져 배광 특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전자 섬광장치의 제1 반사부에는 원형부가 Y축을 기준으로 개구측에 추가됨으로써 개구폭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전자 섬광장치 및 카메라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발광관의 중심으로부터 직접 피사체에 조사되는 직접 광에 의한 조사각과 제1 반사부 또는 제2 반사부에서 반사되고 피사체에 조사되는 반사광에 의한 조사각이 거의 같아지도록 구성됨으로써 광량의 손실을 방지하여 배광 특성이 우수하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 다.

Claims (15)

  1. 길이 방향에 수직한 각 면상에서 방사상으로 빛을 방사하는 발광관; 및
    상기 발광관을 수용하고 상기 발광관으로부터 방사된 빛을 반사하는 제1 반사부와, 상기 발광관으로부터 직접 방사된 빛 및 상기 제1 반사부에 반사되어 나온 빛을 개구로 반사하는 제2 반사부를 포함하는 리플렉터;를 포함하며,
    상기 발광관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면을 따라 절취한 단면상에서 상기 발광관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개구쪽으로 수평하게 연장한 축을 X축, 상기 X축에 수직하고 상기 발광관의 중심을 통과하는 축을 Y축이라고 하였을 때, 상기 제1 반사부는 상기 발광관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X축의 반대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곡면부와, 상기 제1 곡면부와 연결되고 상기 개구쪽으로 형성된 평면부와, 상기 평면부와 연결되며 상기 개구쪽으로 형성된 원형부를 포함하며, 제2 반사부는 상기 제1 반사부의 원형부와 연결되는 제2 곡면부를 포함하는 전자 섬광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곡면부의 K(코닉 상수)는 -1<K<0을 만족하는 타원면의 일부인 전자 섬광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곡면부의 K(코닉 상수)는 K=-1을 만족하는 포물면의 일부인 전자 섬광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곡면부의 K(코닉 상수)는 K<-1 또는 K>0을 만족하는 변형 비구면의 일부인 전자 섬광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부는 상기 발광관의 반경과 거의 같거나 미소하게 큰 상기 Y축 상의 점에서 상기 개구의 반대쪽으로 직선적으로 연장할 때, 상기 제1 곡면부와 만나는 교차부까지 형성되는 전자 섬광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부는 상기 X축과 평행하게 형성된 전자 섬광장치.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부는 상기 X축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만큼 경사지게 형성된 전자 섬광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부의 중심은 상기 발광관의 중심과 일치하는 전자 섬광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곡면부는 타원면 또는 포물면의 일부이며, 상기 타원 또는 포물선의 초점이 상기 발광관의 중심과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전자 섬광장치.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사부와 상기 제2 반사부가 접하는 연결부가 상기 Y축을 기준으로 상기 개구측에 위치하는 전자 섬광장치.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부와 상기 원형부가 접하는 연결부는 상기 Y축상에 위치되는 전자 섬광장치.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부와 상기 제2 반사부가 접하는 연결부와 상기 발광관의 중심을 지나는 연장선이 상기 제1 곡면부의 내에 떨어지는 전자 섬광장치.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X축 상에서 상기 발광관의 중심은 상기 발광관의 외경이 상기 제1 곡면부와 거의 접하도록 하는 곳에 위치되는 전자 섬광장치.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부와 상기 제2 반사부가 접하는 연결부와 상기 발광관의 중심을 지나는 연장선이 상기 제1 곡면부의 끝을 지나는 전자 섬광장치.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X축 상에서 상기 발광관의 중심은 상기 발광관의 외경이 상기 제1 곡면부로부터 상기 개구쪽으로 이격되도록 하는 곳에 위치되는 전자 섬광장치.
KR1020060050474A 2006-06-05 2006-06-05 전자 섬광장치 KR20070116435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0474A KR20070116435A (ko) 2006-06-05 2006-06-05 전자 섬광장치
US11/699,157 US7802904B2 (en) 2006-06-05 2007-01-26 Electronic stroboscope
CN2007100843962A CN101086602B (zh) 2006-06-05 2007-02-28 电子频闪观测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0474A KR20070116435A (ko) 2006-06-05 2006-06-05 전자 섬광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6435A true KR20070116435A (ko) 2007-12-10

Family

ID=38790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0474A KR20070116435A (ko) 2006-06-05 2006-06-05 전자 섬광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802904B2 (ko)
KR (1) KR20070116435A (ko)
CN (1) CN101086602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2174B1 (ko) * 2012-08-31 2014-10-22 펜월 컨트롤즈 오브 재팬, 리미티드 발광부, 광전식 연기 감지기 및 흡인식 연기 감지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41726B2 (en) * 2006-06-30 2011-05-10 Microsoft Corporation Low dimensional spectral concentration codes and direct list decoding
JP2011102897A (ja) * 2009-11-11 2011-05-26 Panasonic Corp ストロボ装置及び撮像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72990B2 (ja) 1995-12-18 2005-07-20 オリンパス株式会社 カメラのストロボ装置
JPH09197497A (ja) 1996-01-19 1997-07-31 Olympus Optical Co Ltd 照明装置
JP2001318409A (ja) * 2000-05-08 2001-11-16 Konica Corp 発光装置及びカメラ
CN2532508Y (zh) * 2001-11-27 2003-01-22 明碁电通股份有限公司 闪光灯反射罩
JP4067451B2 (ja) * 2002-11-13 2008-03-26 ソニー株式会社 電子閃光装置用反射鏡及び電子閃光装置
JP3984910B2 (ja) * 2002-12-13 2007-10-03 キヤノン株式会社 照明装置
CN2630645Y (zh) * 2003-06-18 2004-08-04 广州市番禺区珠江灯光音响实业有限公司 具有多种曲面组合反射器的投射灯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2174B1 (ko) * 2012-08-31 2014-10-22 펜월 컨트롤즈 오브 재팬, 리미티드 발광부, 광전식 연기 감지기 및 흡인식 연기 감지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086602B (zh) 2010-12-15
US20070280661A1 (en) 2007-12-06
US7802904B2 (en) 2010-09-28
CN101086602A (zh) 2007-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69597B2 (ja) エタンデュ制限を回避するコリメーターを含む、鏡面再帰反射を介したledの輝度増強
US6850375B2 (en) Lighting apparatus and image pickup apparatus
JP5150335B2 (ja) 導光レンズ
JP2008288215A (ja) フレネルレンズライト用、特にスポットライトあるいはフラッドライト用光学系
JP6401340B2 (ja) 照明システム
US10309601B2 (en) Light source device, lighting apparatus, and vehicle lamp device
US6981775B2 (en) Illumination apparatus and camera
JP2009300966A (ja) カメラ用ストロボリフレクタ
US8517561B2 (en) Strobe device and imaging device
JP4612850B2 (ja) 照明装置および撮影装置
KR20070116435A (ko) 전자 섬광장치
US7499099B2 (en) Illumination apparatus and image-taking apparatus
JP2009158168A (ja) スポットライト
JP4006375B2 (ja) 照明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04077911A (ja) 超広角対応ズーム式ストロボ装置及びズーム式ストロボ装置を有するズームコンパクトカメラ
JP2009245601A (ja) 照明灯具
JP4171339B2 (ja) 光反射傘およびこれを用いた閃光発光装置
WO2012002462A1 (ja) 光源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擬似太陽光照射装置
TW201932993A (zh) 光源裝置及具備其的曝光裝置
JP2004031056A (ja) スポットライト
KR20090126065A (ko) 전자 섬광장치
JP2012002762A (ja) カラーセンサ
JP2010122482A (ja) ストロボ装置
TW202227744A (zh) Led光照射裝置及檢查系統
JP2005284206A (ja) 照明装置および撮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30325

Effective date: 20140212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3101002187;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30325

Effective date: 20140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