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16403A - Ti-Ni계 경사기능 합금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제조된 Ti-Ni계 경사기능 합금 - Google Patents

Ti-Ni계 경사기능 합금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제조된 Ti-Ni계 경사기능 합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16403A
KR20070116403A KR1020060050410A KR20060050410A KR20070116403A KR 20070116403 A KR20070116403 A KR 20070116403A KR 1020060050410 A KR1020060050410 A KR 1020060050410A KR 20060050410 A KR20060050410 A KR 20060050410A KR 20070116403 A KR20070116403 A KR 200701164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loy
temperature
functionally graded
temperature gradient
alloy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04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07393B1 (ko
Inventor
남태현
김기원
안효준
조권구
안주현
조규봉
인농 리우
이정무
이연정
유철암
Original Assignee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600504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7393B1/ko
Priority to JP2009509391A priority patent/JP2009536265A/ja
Priority to US12/299,113 priority patent/US20090071577A1/en
Priority to PCT/KR2006/002927 priority patent/WO2007142380A1/en
Publication of KR200701164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64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73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73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FCHANG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NON-FERROUS METALS AND NON-FERROUS ALLOYS
    • C22F1/00Chang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non-ferrous metals or alloys by heat treatment or by hot or cold working
    • C22F1/16Chang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non-ferrous metals or alloys by heat treatment or by hot or cold working of other metals or alloys based thereon
    • C22F1/18High-melting or refractory metals or alloys based thereon
    • C22F1/183High-melting or refractory metals or alloys based thereon of titanium or alloys based there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FCHANG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NON-FERROUS METALS AND NON-FERROUS ALLOYS
    • C22F1/00Chang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non-ferrous metals or alloys by heat treatment or by hot or cold working
    • C22F1/16Chang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non-ferrous metals or alloys by heat treatment or by hot or cold working of other metals or alloys based there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14/00Alloys based on tita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19/00Alloys based on nickel or cobalt
    • C22C19/03Alloys based on nickel or cobalt based on nicke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icromachines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Ti-Ni계 합금을 냉간가공하고, 일정한 온도구배 하에서 어닐링 열처리하여 제조된, 비례제어가 용이한 Ti-Ni계 경사기능 합금에 관한 것으로, 이렇게 처리된 Ti-Ni계 경사기능 합금은 형상기억효과 및 초탄성을 갖는 동시에 온도변화에 따라 연속적인 형상변화를 나타내어 경사기능 효과가 발생한다.
형상기억효과, 초탄성함금, 온도구배 열처리

Description

Ti-Ni계 경사기능 합금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Ti-Ni계 경사기능 합금{Process for making Ti-Ni based functionally graded alloys and Ti-Ni based functionally graded alloys produced thereby}
도 1은 일정온도에서 열처리한 형상기억합금의 변형률-온도 곡선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2는 경사기능 형상기억합금의 변형률-온도 곡선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3은 용체화처리 된 Ti-50.0Ni(at%) 합금과 온도구배 열처리한 Ti-50.0(at%) 합금의 시차주사열분석곡선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Ti-50.0Ni(at%) 합금을 25% 냉간가공한 후 658 K - 466 K의 온도구배하에서 어닐링 열처리한 선재의 위치별 Ms를 정리한 결과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Ti-50.0Ni(at%) 합금을 25% 냉간가공한 후 823 K - 658 K의 온도구배하에서 어닐링 열처리한 선재의 위치별 Ms를 정리한 결과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Ti-50.0Ni(at%) 합금을 65% 냉간가공한 후 823 K - 658 K의 온도구배하에서 어닐링 열처리한 선재의 위치별 Ms를 정리한 결과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용체화처리한 Ti-50.0Ni(at%) 합금의 변형률(ε)-온도(T)곡선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Ti-50.2(at%) 합금을 25% 냉간가공한 후 658 K - 466 K의 온도구배하에서 어닐링 열처리한 선재의 변형률(ε)-온도(T)곡선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라 Ti-50.2(at%) 합금을 65% 냉간가공한 후 658 K - 466 K의 온도구배하에서 어닐링 열처리한 선재의 변형률(ε)-온도(T)곡선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Ti-Ni계 경사기능 합금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Ti-Ni계 합금을 냉간가공하고, 일정한 온도구배 하에서 어닐링 열처리하여 경사기능을 부여하도록 하는 Ti-Ni계 경사기능 합금의 제조 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Ti-Ni계 경사기능 합금에 관한 것이다.
Ti-Ni계 형상기억합금은 냉간가공하고, 일정한 온도에서 어닐링하고, 하중을 부여한 상태에서 온도를 저하시키면 마르텐사이트변태 개시온도(Ms)에서 급격한 변형이 발생하고, 그 후 온도를 상승시키면 역변태 개시온도(As)에서 급격한 변형의 회복이 발생한다(도 1 참조). 이와 같이 특정 온도에서 급격한 변형이 발생하고 회복하는 현상을 이용하여 Ti-Ni계 형상기억합금은 각종 온-오프(on-off) 스위치용 액츄에이터에 응용되고 있다.
한편, 이러한 Ti-Ni계 형상기억합금을 로봇용 액츄에이터 소자로 응용하는 경우 비례제어를 통한 정확한 위치제어가 가능하여야 한다. 그러나 기존의 Ti-Ni 계 형상기억합금은 특정온도에서 급격한 변형이 발생하기 때문에 온-오프 스위치용 액츄에이터로는 적합한 특성을 갖지만, 비례제어용 액츄에이터로는 적합하지 못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이와 같은 형상기억합금이 특정온도에서 급격한 변형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극복하기 예의 노력을 기울인 결과 본 발명에 이르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동일한 Ti-Ni계 합금 내에서 변태온도(Ms와 As)가 연속적으로 변화하도록 하여, 넓은 온도 범위에 걸쳐 변형이 점진적으로 발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비례제어가 용이한 Ti-Ni계 경사기능 합금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도 2 참조).
상기와 같은 목적은 냉간가공한 Ti-Ni계 합금을 온도구배하에서 어닐링 열처리함으로써 동일한 합금 내에서 변태온도를 연속적으로 변화시켜 형상기억효과 및 초탄성을 가지는 동시에 온도변화에 따라 연속적인 형상변화를 나타내는 경사기능 효과를 갖도록 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은 Ti-Ni계 합금을 냉간가공하고, 일정한 온도구배 하에서 어닐링 열처리하여 경사기능을 부여하여 비례제어가 용이하도록 하는 Ti-Ni계 경사기능 합금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냉간가공 범위는 25 내지 65 %이며, 823 내지 466 K의 온도구배로 어닐링 열처리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의 방법에 따라 처리된 비례제어가 가능한 Ti-Ni계 경사기능 합금을 제공한다.
선재 또는 판재형의 다양한 형태의 Ti-Ni계 합금을 필요에 따라 처리할 수 있으며, 이렇게 처리된 Ti-Ni계 합금은 합금 내에서 변태온도를 연속적으로 변화시켜 형상기억효과 및 초탄성을 가지는 동시에 온도변화에 따라 연속적인 형상변화를 나타내는 경사기능 효과를 갖게 되며, 변형률 회복속도(dε/dT)가 기존의 합금에 비해 작아지므로, 비례제어를 통한 위치제어가 용이하기 때문에 로봇용 액츄에이터와 같이 정밀 위치제어가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고, 이를 중심으로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하지만, 이들 실시예로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Ti-50.0Ni(at%) 합금을 용체화처리 한 후의 시차주사열분석곡선을 도 3(a)에 나타내었다. 여기서 냉각과 가열 중 각각 1개 씩의 피크가 나타난 것을 알 수 있다. 이 피크는 B2(Cubic)-B19'(Monoclinic) 마르텐사이트변태에 기인한다.
도 3(b), (c), (d) 및 (e) 는 25 % 냉간가공한 Ti-50.0Ni 합금을 658 내지 466 K의 온도구배하에서 어닐링 열처리한 후 도 3(f)에 표시한 위치에서 시편을 채취하여 시차주사열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것으로, 냉각 및 가열시에 폭이 넓은 피크가 관찰된다. 특히 어닐링 온도가 낮은 구역에서 채취한 시편의 피크가 더 넓음을 알 수 있다.
온도구배열처리 전 Ti-50.0Ni(at%) 합금을 25 내지 65 % 범위내에서 냉간가공하였다. 이는 25% 이하로 냉간가공하면 열처리 후 온도변화가 작아 경사기능특성을 얻을 수 없고, 65 % 이상은 냉간가공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온도구배 열처리는 823 내지 466 K의 온도구배를 갖는 열처리로를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단 65 % 냉가가공한 경우 823 내지 658 K의 온도구배에서 열처리하였는데, 이는 658 내지 466 K 온도구배 열처리하면 변형율이 1 % 이하로 작아 액츄에이터소자로서 적합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Ti-Ni계 합금으로 Ti-50.0Ni(at%) 합금을 사용하였으나, 이 외에도 다를 Ti-Ni계 합금을 사용할 수도 있고, 그러한 경우에도 유사한 결과가 얻어을 수 있다.
실시예 2
길이 150 mm의 Ti-50.0Ni(at%) 합금 선재를 25 % 냉간가공하고, 658 내지 466 K의 온도구배 하에서 어닐링 열처리한 후 5 mm 간격으로 시편을 채취하여 시차주사열분석하였다. 측정한 Ms를 정리하여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Ms는 위치가 변화함에 따라 연속적으로 변화함을 알 수 있다. 25 % 냉간가공 후 658 내지 466 K의 온도구배 하에서 어닐링 열처리한 경우 길이 150 mm 선재에서 Ms의 변화는 약 19 K 이다.
실시예 3
길이 150 mm의 Ti-50.0Ni(at%) 선재를 25% 냉간가공 하고, 823 내지 658 K의 온도구배 하에서 어닐링 열처리한 후, 5 mm 간격으로 시편을 채취하여 시차주사열분석하였다. 측정한 Ms를 정리하여 그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Ms는 위치가 변화함에 따라 연속적으로 변화함을 알 수 있다. 25 % 냉간가공 후 823 내지 658 K의 온도구배 하에서 어닐링 열처리한 경우 길이 150 mm 선재에서 Ms의 변화는 약 14 K 이다.
실시예 4
길이 150 mm의 Ti-50.0Ni(at%) 판재를 65% 냉간가공 하고, 823 내지 658 K의 온도구배 하에서 어닐링 열처리한 후, 5 mm 간격으로 시편을 채취하여 시차주사열분석하였다. 측정한 Ms를 정리하여 그 결과를 도 6에 나타내었다. Ms는 위치가 변화함에 따라 연속적으로 변화함을 알 수 있다. 65 % 냉간가공 후 823 내지 658 K의 온도구배 하에서 어닐링 열처리한 경우 길이 150 mm 선재에서 Ms의 변화는 약 60 K 이다.
상기와 같이 실시예 2 내지 4 및 도 4 내지 6으로부터, 냉간가공 후 온도구배 어닐링 열처리 하면 동일한 선재 및 판재 내에서 변태온도를 연속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음이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5
Ti-50.0Ni(at%) 합금을 용체화처리한 후 변형률(ε)-온도(T)곡선을 도 7에 나타내었다. 80 MPa의 부하응력하에서 합금을 냉각하면 Ms라고 표시된 온도에서 변형이 발생한다. 이는 B2(Cubic)-B19'(Monoclinic) 마르텐사이트변태에 기인한다. 한편 합금을 가열하면 As라고 표시된 온도에서 변형이 회복한다. 이는 B19'-B2 역변태에 기인한다. 가열시 발생하는 변형률의 회복속도(dε/dT)는 약 1 %/K 이다.
실시예 6
Ti-50.0(at%) 합금 선재를 25 % 냉간가공하고, 658 내지 466 K의 온도구배하에서 어닐링 열처리하였다. 처리된 선재의 변형률(ε)-온도(T)곡선을 도 8에 나타내었다. 80 MPa의 부하응력하에서 합금을 냉각하면 Ms라고 표시된 온도에서 변형이 발생한다. 이는 B2(Cubic)-B19'(Monoclinic) 마르텐사이트변태에 기인한다. 한편, 합금을 가열하면 As라고 표시된 온도에서 변형이 회복한다. 이는 B19'-B2 역변태에 기인한다. 가열시 발생하는 변형률의 회복속도(dε/dT)는 약 0.03 %/K 이다.
실시예 7
Ti-50.0(at%) 합금 선재를 65 % 냉간가공하고, 658 내지 466 K의 온도구배하에서 어닐링 열처리하였다. 처리된 선재의 변형률(ε)-온도(T)곡선을 도 9에 나타내었다. 80 MPa의 부하응력하에서 합금을 냉각하면 Ms라고 표시된 온도에서 변형 이 발생한다. 이는 B2(Cubic)-B19'(Monoclinic) 마르텐사이트변태에 기인한다. 한편, 합금을 가열하면 As라고 표시된 온도에서 변형이 회복한다. 이는 B19'-B2 역변태에 기인한다. 가열시 발생하는 변형률의 회복속도(dε/dT)는 약 0.01 %/K 이다. 65 % 냉간가공한 합금은 658 내지 466 K의 온도범위에서 열처리하면 변형율이 1% 이하로 매우 작기 때문에 액츄에이터용 소자로서 적절하지 못하였다.
상기와 같이 실시예 5 내지 7 및 도 7 내지 9로부터 알 수 있듯이 Ti-Ni계 합금을 냉간가공 후 온도구배 하에서 열처리하면 변형률의 회복속도가 0.03-0.01 %/K가 되어 일정 온도에서 열처리한 경우의 1 %/K에 비해 약 1/30 내지 1/100로 작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냉간가공 후 온도구배하에 어닐링 열처리 방법으로 비례제어용 Ti-Ni계 합금을 제조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에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처리된 Ti-Ni계 합금은 형상기억효과 및 초탄성을 갖는 동시에 변형률 회복속도(dε/dT)가 기존의 합금에 비해 1/30 - 1/100로 작아진다. 이러한 저 변형율 회복속도를 가지는 Ti-Ni계 합금은 비례제어를 통한 위치제어가 용이하기 때문에 로봇용 액츄에이터와 같이 정밀 위치제어가 필요한 산업분야에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4)

  1. Ti-Ni계 합금을 냉간가공하고, 온도구배하에서 어닐닝 열처리하여 경사기능을 부여하는 Ti-Ni계 경사기능 합금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냉간가공을 25 내지 65 % 로 행하고, 823 내지 466 K의 온도구배로 어닐닝 열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i-Ni계 경사기능 합금의 제조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비례제어가 가능한 Ti-Ni계 경사기능 합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합금의 변형률 회복속도가(dε/dT)가 1/30 내지 1/100 로 감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Ti-Ni계 경사기능 합금.
KR1020060050410A 2006-06-05 2006-06-05 Ti-Ni계 경사기능 합금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제조된 Ti-Ni계 경사기능 합금 KR1008073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0410A KR100807393B1 (ko) 2006-06-05 2006-06-05 Ti-Ni계 경사기능 합금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제조된 Ti-Ni계 경사기능 합금
JP2009509391A JP2009536265A (ja) 2006-06-05 2006-07-25 Ti−Ni系傾斜機能合金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から製造されたTi−Ni系傾斜機能合金
US12/299,113 US20090071577A1 (en) 2006-06-05 2006-07-25 Process for making ti-ni based functionally graded alloys and ti-ni based functionally graded alloys produced thereby
PCT/KR2006/002927 WO2007142380A1 (en) 2006-06-05 2006-07-25 Process for making ti-ni based functionally graded alloys and ti-ni based functionally graded alloys produced thereb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0410A KR100807393B1 (ko) 2006-06-05 2006-06-05 Ti-Ni계 경사기능 합금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제조된 Ti-Ni계 경사기능 합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6403A true KR20070116403A (ko) 2007-12-10
KR100807393B1 KR100807393B1 (ko) 2008-02-28

Family

ID=38801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0410A KR100807393B1 (ko) 2006-06-05 2006-06-05 Ti-Ni계 경사기능 합금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제조된 Ti-Ni계 경사기능 합금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90071577A1 (ko)
JP (1) JP2009536265A (ko)
KR (1) KR100807393B1 (ko)
WO (1) WO2007142380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93934A (zh) * 2019-05-08 2019-09-03 西安交通大学 激光选区烧结中在线退火调控聚合物性能的方法与设备
CN111041421A (zh) * 2019-12-30 2020-04-21 哈尔滨工业大学 一种形状记忆合金径向梯度薄膜及其制备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552664A1 (en) 2011-05-12 2019-10-16 Proteostasis Therapeutics, Inc. Proteostasis regulators
US20130239565A1 (en) * 2012-03-16 2013-09-19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Spatially graded sma actuators
CN102828066A (zh) * 2012-09-07 2012-12-19 哈尔滨工程大学 功能连续梯度TiNi形状记忆合金的制备方法
CN104399750B (zh) * 2014-10-23 2016-06-29 哈尔滨工程大学 一种TiNi记忆合金板材的制备方法
CN107030111B (zh) * 2017-04-17 2019-07-02 东北大学 一种等厚度超细晶tc4钛合金板材的制备方法
CN110157952B (zh) * 2019-07-01 2020-04-14 中国工程物理研究院机械制造工艺研究所 梯度功能NiTiHf高温记忆合金及其制备方法
CN110842022B (zh) * 2019-12-06 2021-02-26 东北大学 一种记忆合金纳米叠层Ni/Ti预制坯的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4948A (ja) * 1982-06-29 1984-01-11 Sumitomo Electric Ind Ltd NiTi合金線の製造方法
US4896955B1 (en) * 1983-12-06 1991-05-21 Eyeglass frame including shape-memory elements
JPH07107184B2 (ja) * 1989-08-24 1995-11-15 裕一 中里 アクチュエータ用Ti―Ni形状記憶合金からなる物品とその製造方法
JPH0796036A (ja) * 1993-09-28 1995-04-11 Tokin Corp カテーテル
JP2895824B1 (ja) 1998-01-21 1999-05-24 株式会社古河テクノマテリアル NiTi系形状記憶合金製釣り糸とその製造方法
US6149742A (en) * 1998-05-26 2000-11-21 Lockheed Martin Corporation Process for conditioning shape memory alloys
JP3653258B2 (ja) * 2002-06-11 2005-05-25 学校法人東海大学 締結部品の製造方法及び締結部品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93934A (zh) * 2019-05-08 2019-09-03 西安交通大学 激光选区烧结中在线退火调控聚合物性能的方法与设备
CN111041421A (zh) * 2019-12-30 2020-04-21 哈尔滨工业大学 一种形状记忆合金径向梯度薄膜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071577A1 (en) 2009-03-19
JP2009536265A (ja) 2009-10-08
WO2007142380A1 (en) 2007-12-13
KR100807393B1 (ko) 2008-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7393B1 (ko) Ti-Ni계 경사기능 합금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제조된 Ti-Ni계 경사기능 합금
KR102045101B1 (ko) α+β형 Ti 합금 및 그 제조 방법
TWI506149B (zh) 高強度鈦之製備
JP5535426B2 (ja) ニッケル−チタン形状記憶合金を加工する方法
Mahmud et al. Gradient anneal of functionally graded NiTi
Niendorf et al. Direct microstructure design by hot extrusion–high-temperature shape memory alloys with bamboo-like microstructure
KR20080068579A (ko) 이 방향 형상기억효과를 갖는 코일 스프링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단열 제품
Saikrishna et al. Effects of thermo-mechanical cycling on the strain response of Ni–Ti–Cu shape memory alloy wire actuator
JP5911072B2 (ja) 高温形状記憶合金及びその製造方法
JP6422113B2 (ja) 高温形状記憶合金およびその製造方法
Yu et al. Shape memory behavior of Ti–20Zr–10Nb–5Al alloy subjected to annealing treatment
Karimzadeh et al. Effects of thermomechanical treatments on the martensitic transformation and critical stress of Ti–50.2 at.% Ni alloy
WO2014159404A1 (en) Improving formability of wrought copper-nickel-tin alloys
ur Rehman et al. Transformation behavior and shape memory properties of Ti50Ni15Pd25Cu10 high temperature shape memory alloy at various aging temperatures
RU2524888C1 (ru) СПОСОБ ТЕРМИЧЕСКОЙ ОБРАБОТКИ МОНОКРИСТАЛЛОВ ФЕРРОМАГНИТНОГО СПЛАВА Fe-Ni-Co-Al-Ti С ЭФФЕКТОМ ПАМЯТИ ФОРМЫ И СВЕРХЭЛАСТИЧНОСТЬЮ, ОРИЕНТИРОВАННЫХ ВДОЛЬ [001] НАПРАВЛЕНИЯ ПРИ ДЕФОРМАЦИИ РАСТЯЖЕНИЕМ
Bujoreanu Development of shape memory and superelastic applications of some experimental alloys
Kumar et al. Thermomechanical characterization of high temperature SMA actuators
JP7497007B2 (ja) Cu-Al-Mn系合金
Winter et al. On the effect of incremental forming on alpha phase precipitation and mechanical behavior of beta-Ti-10V-2Fe-3Al
Nam et al. Fabrication of Ti-Ni alloys for proportional control
KR101336922B1 (ko) 마르텐사이트 영역 가공열처리를 통해 형상기억합금을 제조하는 방법
JP2013170271A (ja) 熱処理により加工方向と同一方向への形状変形するチタン合金部材とその製造方法
US20230257857A1 (en) Precipitation-strengthened shape memory alloys, designing methods and applications of same
JPH0480097B2 (ko)
JPH0238547A (ja) Ti−Ni系形状記憶合金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