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6922B1 - 마르텐사이트 영역 가공열처리를 통해 형상기억합금을 제조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마르텐사이트 영역 가공열처리를 통해 형상기억합금을 제조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6922B1
KR101336922B1 KR1020130050540A KR20130050540A KR101336922B1 KR 101336922 B1 KR101336922 B1 KR 101336922B1 KR 1020130050540 A KR1020130050540 A KR 1020130050540A KR 20130050540 A KR20130050540 A KR 20130050540A KR 101336922 B1 KR101336922 B1 KR 1013369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pe memory
memory alloy
heat treatment
martensite
deformation a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05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찬희
염종택
김성웅
김정한
Original Assignee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계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to KR10201300505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69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69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69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FCHANG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NON-FERROUS METALS AND NON-FERROUS ALLOYS
    • C22F1/00Chang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non-ferrous metals or alloys by heat treatment or by hot or cold working
    • C22F1/006Resulting in heat recoverable alloys with a memory effe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00Rolling materials of special alloys so far as the composition of the alloy requires or permits special rolling methods or sequences ; Rolling of aluminium, copper, zinc or other non-ferrous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14/00Alloys based on tita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19/00Alloys based on nickel or cobalt
    • C22C19/007Alloys based on nickel or cobalt with a light metal (alkali metal Li, Na, K, Rb, Cs; earth alkali metal Be, Mg, Ca, Sr, Ba, Al Ga, Ge, Ti) or B, Si, Zr, Hf, Sc, Y, lanthanides, actinides, as the next major constituent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FCHANG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NON-FERROUS METALS AND NON-FERROUS ALLOYS
    • C22F1/00Chang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non-ferrous metals or alloys by heat treatment or by hot or cold working
    • C22F1/10Chang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non-ferrous metals or alloys by heat treatment or by hot or cold working of nickel or cobalt or alloys based there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FCHANG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NON-FERROUS METALS AND NON-FERROUS ALLOYS
    • C22F1/00Chang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non-ferrous metals or alloys by heat treatment or by hot or cold working
    • C22F1/16Chang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non-ferrous metals or alloys by heat treatment or by hot or cold working of other metals or alloys based thereon
    • C22F1/18High-melting or refractory metals or alloys based thereon
    • C22F1/183High-melting or refractory metals or alloys based thereon of titanium or alloys based there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Heat Treatment Of Steel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초미세결정립 형상기억합금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초미세 결정립을 가진 형상기억합금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초미세 결정립화를 위해 형상기억합금를 준비하는 준비단계와;
상기 형상기억합금을 마르텐사이트 영역에서 변형시켜 미세하게 분절된 층상 조직을 생성시키는 변형량부가단계와;
상기 변형량부가단계를 거친 조직에 어닐링(Annealing) 과정을 부가하여, 상기 초미세 미세하게 분절된 층상 조직을 초미세 오스테나이트 조직으로 역변태시키는 어닐링 열처리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마르텐사이트 영역 가공열처리를 통해 초미세결정립 형상기억합금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마르텐사이트 영역 가공열처리를 통해 형상기억합금을 제조하는 방법 { Method to produce submicrocrystalline shape memory alloy through thermo-mechanical processing in martensite region }
본 발명은 초미세 결정립을 가진 형상기억합금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기존에 알려져 있는 강소성 가공법과 비교하여 상대적인 저 변형량에서 효과적으로 결정립을 초미세립화시키고 형상기억 특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장 잘 알려진 기능성 금속소재의 하나인 형상기억합금은 에어컨, 커피메이커, 수온 조절기와 같은 일상생활용품부터 초고속열차와 같은 첨단 구조물에 이르기까지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근래에는 스텐트, 치열 교정기구, 최소침습수술을 위한 가이드와이어와 같은 의료용 소재로도 각광받고 있다. 이 모든 것을 가능하게 하는 주된 이유는 이 금속소재가 가지고 있는 고유 특성인 형상기억특성과 초탄성이다.
형상기억특성은 특정온도 이하에서 소재를 일정량 변화시킨 다음 특정 온도 이상으로 가열하면 원래의 형상으로 회복하는 것이며 초탄성은 특정 온도 이상에서 힘을 주어 변형을 많이 가해도 힘을 제거하는 순간 원래의 형상으로 회복하는 것이다.
가장 대표적인 형상기억 합금인 Ti-Ni 2원계 형상기억 합금의 경우 결정립을 초미세립화시킬 경우 형상기억 특성 및 초탄성 특성이 현저히 향상되어 부품의 신뢰성 향상 및 새로운 부품으로의 적용에 기여할 수 있다. 하지만, 결정립 초미세립화를 위해 기존에 사용되는 강소성 가공의 경우 5~12 정도의 매우 큰 변형량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Materials Science and Engineering A, vol. 410-411 (2005) p. 386).
한편, Ti-Ni 2원계 형상기억 합금의 가용 한계 온도는 약 80℃로 그보다 더 높은 온도에 노출되는 고온 가전제품, 자동차, 항공기 등의 부품에는 아직 적용되지 못하고 있다. 현재 이를 극복하기 위해 Ti-Ni-(Hf, Zr, Pt, Pd)로 이루어진 고온용 형상기억합금이 개발되고 있으나 가용 한계 온도가 상승할수록 성형성이 급속히 악화되어(그림 1) 실제 부품으로 적용되지는 못하고 있다.
한편, Ti-Ni-(Hf, Zr, Pt, Pd)로 이루어진 고온용 형상기억합금의 결정립을 초미세립화 하면 성형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나 이를 위해서는 650℃의 높은 온도에서 강소성 가공을 해야 한다는 단점 또한 상업화에 큰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다 (Scripta Materialia, vol. 54 (2006) p. 2203).
그러므로, 만약 강소성 가공에 의하지 않고 저 변형량에서 결정립 초미세립화가 가능해질 경우 형상기억 특성이 더욱 향상된 Ti-Ni 2원계 형상기억 합금을 제조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난성형성 고온용 형상기억합금의 성형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고온용 형상기억합금의 상업화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림 1. 형상기억합금의 용도, 사용온도 및 성형성
Figure 112013039674759-pat00001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오스테나이트 및 마르텐사이트 변태가 발생하는 형상기억합금의 특성을 이용하여 강소성 가공법과 같은 매우 높은 변형량에 의하지 않고 가공열처리를 최적화시켜 상대적인 저 변형량에서 결정립을 초미세립화시키는 기술을 개발하는 것으로, 최종적으로는 결정립 초미세립화에 의해 기계적 특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것이다.
이는 초기 조대한 오스테나이트 결정립을 가지는 형상기억합금을 매우 미세한 층상구조를 가지는 마르텐사이트 영역에서 냉간가공 하여 분절된 미세층상구조를 유도한 후, 오스테나이트 영역에서 후열처리 하여 초미세 결정립을 가지는 형상기억합금으로 제어하는 것이다. 또한 이와 같은 가공법을 반복함으로써 변태임계응력 및 형상회복 변형량을 동시에 크게 증가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에 따른 초미세결정립 형상기억합금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초미세 결정립화를 위해 형상기억합금를 준비하는 준비단계와, 상기 형상기억합금을 마르텐사이트 영역에서 변형시켜 미세하게 분절된 층상 조직을 생성시키는 변형량부가단계와, 상기 변형량부가단계를 거친 조직에 어닐링(Annealing) 과정을 부가하여, 상기 초미세 미세하게 분절된 층상 조직을 초미세 오스테나이트 조직으로 역변태시키는 어닐링 열처리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냉간압연단계는, 상기 형상기억합금의 마르텐사이트 변태시작 온도 이하에서 시작하거나 종료함으로써, 상기 형상기억합금의 조직을 조대한 오스테나이트 조직에서 미세하게 분절된 층상 조직으로 변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변형량부가단계에서는, 상기 형상기억합금에 변형량을 부가할때, 상기 변형량은 상기 형상기억합금의 형상회복변형량 이상 그리고 파단변형량 이하의 변형량을 부가하여, 소성 변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어닐링 열처리단계에서는, 상기 형상기억합금의 오스테나이트 역변태 시작온도 이상으로 가열해서, 상기 형상기억합금의 조직을 초미세한 마르텐사이트 조직에서 초미세한 오스테나이트 조직으로 변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어닐링 열처리단계에서는, 열처리온도를 400℃ 하에서 실시함으로써, 초미세화된 결정립의 크기가 100n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어닐링 열처리단계에서는, 열처리온도를 500℃ 하에서 실시함으로써, 초미세화된 결정립의 크기가 1μ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어닐링 열처리단계에서는, 열처리온도를 600℃ 하에서 실시함으로써, 초미세화된 결정립의 크기가 10μ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초미세 결정립을 가진 형상기억합금을 제조하는 방법을 2회 이상 반복하여 실시함으로써, 상기 형상기억합금의 변태응력과 형상회복변형량을 동시에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초미세 결정립을 가진 형상기억합금을 제조하는 방법을 통해서, 강소성 가공법에 의하지 아니하고 효과적으로 저 변형량에서 형상기억합금의 결정립을 초미세립화 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기존의 산업체 등에서 사용되고 있는 산업설비 등을 이용하여 초미세 결정립을 가진 형상기억합금을 제조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초미세 결정립을 가진 형상기억합금을 제조하는 방법에서 나타난 공정을 2회 이상 수 회 반복함으로써 상기 형상기억합금의 변태응력과 형상회복변형량을 점진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초미세 결정립을 가진 재료의 선정에 대한 필요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기존의 강소성 가공을 통한 결정립의 미세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50.4Ni-Ti 형상기억합금을 850℃에서 2시간 동안 용체화처리 후 미세조직을 광학현미경으로 찍은 사진이다.
도 4는 용체화 처리된 형상기억합금을 마르텐사이트 영역(-5℃)에서 30% 냉간가공 후 미세조직을 전자현미경으로 찍은 사진이다.
도 5는, 도 4에서의 조건에 400℃(오스테나이트 영역) 열처리 공정을 1시간 거친 미세조직을 전자현미경으로 찍은 사진이다.
도 6은, 도 4에서의 조건에 500℃(오스테나이트 영역) 열처리 공정을 1시간 거친 미세조직을 전자현미경으로 찍은 사진이다.
도 7은, 도 4에서의 조건에 600℃(오스테나이트 영역) 열처리 공정을 1시간 거친 미세조직을 전자현미경으로 찍은 사진이다.
도 8은, 도 3의 조건으로 용체화처리된 형상기억합금을 마르텐사이트 영역(-5℃)에서 30% 냉간가공하고, 오스테나이트 영역(400℃) 열처리를 1시간 하는 공정을 반복하며 측정한 인장특성을 나타낸 표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도 1은 초미세 결정립을 가진 재료의 선정에 대한 필요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의 왼쪽 그림은 조대한 결정립을 가지는 형상기억합금의 정하중 실험결과로 실험이 반복됨에 따라 소재의 열화가 발생함을 알 수 있다.
반면, 도 1의 오른쪽 그림은 초미세 결정립을 가지는 형상기억합금의 정하중 실험결과로 실험이 반복되어도 소재의 열화가 거의 발생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초미세 형상기억합금이 부품의 신뢰성 향상에 크게 기여함을 알 수 있다. 그러나 형상기억합금의 결정립을 초미세화 시키기 위해서 현재까지는 강소성 가공법이 사용되고 있으나 산업현장에 인프라가 갖추어져 있는 장비로 얻기 힘든 매우 큰 변형량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도 2 는 기존의 강소성 가공을 통한 형상기억합금의 결정립의 미세화를 보다 자세히 나타낸 것이다.
살펴보면, 강소성 가공법중의 하나인 ECAP(Equal channel angular pressing)와 HPT(High pressure torsion)를 이용하여 각각 다른 재료에 대해서 결정립 미세화 공정을 실시한 결과에 관한 것이다.
우선 50.6Ni-49.4Ti에 대해서, ECAP공법으로 변형량을 8 내지 12를 가하는 공정을 4000 ~ 500℃ 온도조건하에서 실시한 결과, 최종입자의 크기는 200 내지 300nm가 되었음을 알 수 있다. 전자현미경으로 본 입자의 크기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49.8Ni-42.2Ti-8Hf 소재에 대해서 ECAP공법으로 변형량을 2를 가하는 공정을 650℃ 온도조건하에서 실시한 결과, 최종입자의 크기는 300 내지 500nm가 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50.6Ni-49.4Ti에 대해서, HPT 공법으로 5 내지 10의 변형량을 가하는 공정을 상온 조건하에서 실시한 결과, 최종입자의 크기는 비정질 입자와 5 내지 10nm크기가 혼재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알 수 있듯이 강소성 가공법을 이용한 결정립 초미세립화에는 매우 큰 변형량이 필요하여 생산성이 감소하므로 본 발명에서는 강소성 가공과 같은 과정을 거치지 아니하고, 냉간압연 및 후 열처리 공정을 정밀하게 제어하여 저 변형량에서 형상기억합금의 결정립을 초미세화 하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에 따른 초미세결정립 형상기억합금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형상기억합금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형상기억합금의 제조를 준비하는 준비단계와; 상기 형상기억합금을 마르텐사이트 영역에서 변형시켜 분절된 층상 조직을 생성시키는 변형량부가단계와; 상기 변형량부가단계를 거친 조직에 어닐링(Annealing) 과정을 부가하여, 상기 분절된 층상 조직을 초미세 오스테나이트 조직으로 역변태시키는 어닐링 열처리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준비단계와 변형량부가단계사이에 실시되는 냉간압연단계는,
상기 형상기억합금의 마르텐사이트 변태시작 온도 이하에서 시작하거나 종료함으로써, 상기 형상기억합금의 조직을 오스테나이트 조직에서 분절된 층상 조직으로 변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변형량부가단계에서는, 상기 형상기억합금에 변형량을 부가할 때, 상기 변형량은 상기 형상기억합금의 형상회복변형량 이상 그리고 파단변형량 이하의 변형량을 부가하여, 소성 변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어닐링 열처리단계에서는, 상기 형상기억합금의 오스테나이트 역변태 시작온도 이상으로 가열해서, 상기 형상기억합금의 조직을 마르텐사이트 조직에서 오스테나이트 조직으로 변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어닐링 열처리단계에서는, 열처리온도를 400℃ 하에서 실시함으로써, 결정립의 크기가 100n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어닐링 열처리단계에서는, 열처리온도를 500℃ 하에서 실시함으로써, 결정립의 크기가 1μ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어닐링 열처리단계에서는, 열처리온도를 600℃ 하에서 실시함으로써, 결정립의 크기가 10μ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형상기억합금을 제조하는 방법을 2회 이상 반복하여 실시함으로써, 상기 형상기억합금의 변태응력과 형상회복변형량을 동시에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도 3은 50.4Ni-Ti 형상기억합금을 850에서 2시간동안 용체화처리 후, 미세조직을 광학현미경으로 찍은 사진이다. 냉간압연 전 오스테나이트 결정립 크기가 100μm 이상으로 매우 조대함을 확인할 수 있다.
도 4는 용체화 처리된 형상기억합금을 마르텐사이트 영역(-5℃)에서 30% 냉간가공 후 미세조직을 전자현미경으로 찍은 사진이다.
살펴보면, 초기 100μm 이상인 오스테나이트 결정립이 매우 미세하고 분절된 층상구조로 변화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5는, 도 4에서의 조건에 400℃(오스테나이트 영역) 열처리 공정을 1시간 거친 미세조직을 전자현미경으로 찍은 사진이다.
살펴보면, 마르텐사이트 영역에서 냉간압연을 거친 후 400℃ 열처리 공정을 거친 재결정립 입자는 대략 그 크기가 수십nm정도이면서, 크기도 일정하고 조밀함을 확인할 수 있다.
도 6은, 도 4에서의 조건에 500℃(오스테나이트 영역) 열처리 공정을 1시간 거친 미세조직을 전자현미경으로 찍은 사진이다.
살펴보면, 마르텐사이트 영역에서 냉간압연을 거친 후, 500℃ 열처리 공정을 거친 재결정립 입자는 대략 그 크기가 수백 nm정도이면서, 크기도 일정하고 조밀함을 확인할 수 있다.
도 7은, 도 4에서의 조건에 600℃(오스테나이트 영역) 열처리 공정을 1시간 거친 미세조직을 전자현미경으로 찍은 사진이다.
살펴보면, 마르텐사이트 영역에서 냉간압연을 거친 후 600℃ 열처리 공정을 거친 재결정립 입자의 일부는 대략 그 크기가 수μm정도로 도 5와, 도 6의 조건보다는 상대적으로 조대하지만 도 3과 같이 100μm 이상의 결정립 크기를 가지는 용체화처리 후 미세조직보다는 매우 미세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8은, 도 3의 조건으로 용체화처리된 형상기억합금을 마르텐사이트 영역(-5℃)에서 30% 냉간가공하고, 오스테나이트 영역(400℃) 열처리를 1시간 하는 공정을 반복하며 측정한 인장특성을 나타낸 표이다.
살펴보면, 표에서 흑색 점선은 해당공정을 1회 실시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적색의 점선은 해당공정을 1회 반복실시한 결과를 나타낸 선이고, 청색실선은 동일한 해당공정을 4회 반복한 결과를 나타낸 선이다.
해당공정의 반복횟수를 늘려갈수록, 변태응력과 회복변형량이 동시에 증가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조조건과 공법에 의할 때, 형상기억합금의 결정립을 효과적으로 초미세립화하고, 변태응력 및 회복변형량을 향상시킬 수 있다.
요약하면, 마르텐사이트 영역 가공열처리를 통해 초미세결정립 형상기억합금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초미세 결정립화를 위해 형상기억합금를 준비하는 준비단계와, 상기 형상기억합금을 마르텐사이트 영역에서 변형시켜 미세하게 분절된 층상 조직을 생성시키는 변형량부가단계와, 상기 변형량부가단계를 거친 조직에 어닐링(Annealing) 과정을 부가하여, 상기 초미세 미세하게 분절된 층상 조직을 초미세 오스테나이트 조직으로 역변태시키는 어닐링 열처리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면에 부호 없음.

Claims (8)

  1. 형상기억합금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형상기억합금의 제조를 준비하는 준비단계와;
    상기 형상기억합금을 마르텐사이트 영역에서 변형시켜 분절된 층상 조직을 생성시키는 변형량부가단계와;
    상기 변형량부가단계를 거친 조직에 어닐링(Annealing) 과정을 부가하여, 상기 분절된 층상 조직을 초미세 오스테나이트 조직으로 역변태시키는 어닐링 열처리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마르텐사이트 영역 가공열처리를 통해 형상기억합금을 제조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준비단계와 변형량부가단계사이에 실시되는 냉간압연단계는,
    상기 형상기억합금의 마르텐사이트 변태시작 온도 이하에서 시작하거나 종료함으로써, 상기 형상기억합금의 조직을 오스테나이트 조직에서 분절된 층상 조직으로 변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르텐사이트 영역 가공열처리를 통해 형상기억합금을 제조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량부가단계에서는,
    상기 형상기억합금에 변형량을 부가할 때, 상기 변형량은 상기 형상기억합금의 형상회복변형량 이상 그리고 파단변형량 이하의 변형량을 부가하여, 소성 변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르텐사이트 영역 가공열처리를 통해 형상기억합금을 제조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어닐링 열처리단계에서는,
    상기 형상기억합금의 오스테나이트 역변태 시작온도 이상으로 가열해서, 상기 형상기억합금의 조직을 마르텐사이트 조직에서 오스테나이트 조직으로 변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르텐사이트 영역 가공열처리를 통해 형상기억합금을 제조하는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어닐링 열처리단계에서는,
    열처리온도를 400℃ 하에서 실시함으로써, 결정립의 크기가 100n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르텐사이트 영역 가공열처리를 통해 형상기억합금을 제조하는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어닐링 열처리단계에서는,
    열처리온도를 500℃ 하에서 실시함으로써, 결정립의 크기가 1μ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르텐사이트 영역 가공열처리를 통해 형상기억합금을 제조하는 방법.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어닐링 열처리단계에서는,
    열처리온도를 600℃ 하에서 실시함으로써, 결정립의 크기가 10μ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르텐사이트 영역 가공열처리를 통해 형상기억합금을 제조하는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기억합금을 제조하는 방법을 2회 이상 반복하여 실시함으로써, 상기 형상기억합금의 변태응력과 형상회복변형량을 동시에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르텐사이트 영역 가공열처리를 통해 형상기억합금을 제조하는 방법.

KR1020130050540A 2013-05-06 2013-05-06 마르텐사이트 영역 가공열처리를 통해 형상기억합금을 제조하는 방법 KR1013369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0540A KR101336922B1 (ko) 2013-05-06 2013-05-06 마르텐사이트 영역 가공열처리를 통해 형상기억합금을 제조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0540A KR101336922B1 (ko) 2013-05-06 2013-05-06 마르텐사이트 영역 가공열처리를 통해 형상기억합금을 제조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6922B1 true KR101336922B1 (ko) 2013-12-04

Family

ID=49987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0540A KR101336922B1 (ko) 2013-05-06 2013-05-06 마르텐사이트 영역 가공열처리를 통해 형상기억합금을 제조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69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6526A (ko) * 2015-07-08 2017-01-18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흡수 에너지 제어가 가능한 상변화 합금 제조 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합금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85275A (ja) 2001-03-27 2002-10-03 National Institute For Materials Science Ti−Zr−Ni系高温形状記憶合金薄膜と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85275A (ja) 2001-03-27 2002-10-03 National Institute For Materials Science Ti−Zr−Ni系高温形状記憶合金薄膜とその製造方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ournal of Alloys and Compunds, vol. 509[5], pp. 2066-2075 (2011). *
Materials Science and Engineering A, vol. 481-482, pp. 114-118 (2008).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6526A (ko) * 2015-07-08 2017-01-18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흡수 에너지 제어가 가능한 상변화 합금 제조 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합금
KR101701622B1 (ko) 2015-07-08 2017-02-02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흡수 에너지 제어가 가능한 상변화 합금 제조 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합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320734B (zh) 医用细晶钛/钛合金棒材的生产方法
CN103014574B (zh) 一种tc18超细晶钛合金的制备方法
Zhao et al. Processing of commercial purity titanium by ECAP using a 90 degrees die at room temperature
CN105189794A (zh) Ni基合金制品及其制造方法和Ni基合金构件及其制造方法
CN104379785A (zh) α+β型Ti合金及其制造方法
Paula et al. Effect of thermal cycling on the transformation temperature ranges of a Ni–Ti shape memory alloy
CN105264105A (zh) 铜合金的制造方法及铜合金
Javadi et al. Effect of aging on the microstructure and shape memory effect of a hot-rolled NiTiHf alloy
JP2016503126A5 (ko)
KR100807393B1 (ko) Ti-Ni계 경사기능 합금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제조된 Ti-Ni계 경사기능 합금
TW201829806A (zh) 韌性增加的加壓硬化鋼及製造方法
Jiang et al. Effect of pre-annealing treatment on the compressive deformation and damage behavior of ultrafine-grained copper
US2666721A (en) Process of producing ductile molybdenum
Thangapandian et al. Effect of temperature and velocity of pressing on grain refinement in AA5083 aluminum alloy during repetitive corrugation and straightening process
RU2610998C1 (ru) Способ термомеханической обработки медных сплавов
KR101336922B1 (ko) 마르텐사이트 영역 가공열처리를 통해 형상기억합금을 제조하는 방법
JP6252730B2 (ja) バネ用ステンレス鋼帯及びその製造方法
Zhao et al. Effect of aging treatment on superelasticity of a Ti 48.8 Ni 50.8 V 0.4 alloy
Yu et al. Shape memory behavior of Ti–20Zr–10Nb–5Al alloy subjected to annealing treatment
JPWO2018030231A1 (ja) 純チタン金属材料薄板の製造方法およびスピーカ振動板の製造方法
Garudapalli et al. Microstructural, mechanical, and superelastic behavior of thermo-mechanically processed nitinol alloy
KR101336926B1 (ko) 오스테나이트 영역 반복 가공열처리를 통한 강도 및 회복변형량이 향상된 형상기억합금을 제조하는 방법
JP2017502170A (ja) 分散強化白金組成物を加工する方法
CN107177756A (zh) 一种宽温域高强度线弹性的金属纳米材料及其制法与应用
Xu et al. The effect of annealing and cold-drawing on the super-elasticity of the Ni-Ti shape memory alloy wi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