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10436A - 적층체 및 이것을 사용한 섬유 제품 - Google Patents

적층체 및 이것을 사용한 섬유 제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10436A
KR20070110436A KR1020077023085A KR20077023085A KR20070110436A KR 20070110436 A KR20070110436 A KR 20070110436A KR 1020077023085 A KR1020077023085 A KR 1020077023085A KR 20077023085 A KR20077023085 A KR 20077023085A KR 20070110436 A KR20070110436 A KR 200701104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laminate
laminated
film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30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04033B1 (ko
Inventor
준이치 아키모리
히로키 사다토
Original Assignee
니뽄 고어-텍스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뽄 고어-텍스 인크. filed Critical 니뽄 고어-텍스 인크.
Publication of KR200701104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04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40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40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the fibres or filaments of a layer being of different substances, e.g. conjugate fibres, mixture of different fibr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4Hems; Seams
    • A41D27/245Hems; Seams made by welding or gluing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2Layered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1/00Double or multi-ply fabr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2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 D03D15/283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synthetic polymer-based, e.g. polyamide or polyester fibr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4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49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yarns or threads textured; curled; crimped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23/00Treatment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 D06M23/16Processes for the non-uniform application of treating agents, e.g. one-sided treatment; Differential treatment
    • D06M23/18Processes for the non-uniform application of treating agents, e.g. one-sided treatment; Differential treatment for the chemical treatment of borders of fabrics or knittings; for the thermal or chemical fixation of cuttings, seams or fibre end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10Impermeable to liquids, e.g. waterproof; Liquid-repellent
    • A41D31/102Waterproof and breathable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D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D05B AND D05C, RELATING TO SEWING, EMBROIDERING AND TUFTING
    • D05D2305/00Operations on the work before or after sewing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101/00Inorganic fibres
    • D10B2101/02Inorganic fibres based on oxides or oxide ceramics, e.g. silicates
    • D10B2101/08Ceramic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101/00Inorganic fibres
    • D10B2101/20Metallic fibr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201/00Cellulose-based fibres, e.g. vegetable fibres
    • D10B2201/01Natural vegetable fibres
    • D10B2201/02Cotton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211/00Protein-based fibres, e.g. animal fibres
    • D10B2211/01Natural animal fibres, e.g. keratin fibres
    • D10B2211/02Wool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211/00Protein-based fibres, e.g. animal fibres
    • D10B2211/01Natural animal fibres, e.g. keratin fibres
    • D10B2211/04Silk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2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10B2321/1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polymers of unsaturated nitriles, e.g. polyacrylonitrile, polyvinylidene cyanide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3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 D10B2331/02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polyamid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3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 D10B2331/04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polyesters, e.g.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6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 D10B2401/063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high strength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 D10B2501/04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3/00Domestic or personal
    • D10B2503/06Bed linen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5/00Industrial
    • D10B2505/18Outdoor fabrics, e.g. tents, tarpauli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30Woven fabric [i.e., woven strand or strip material]
    • Y10T442/3179Woven fabric is characterized by a particular or differential weave other than fabric in which the strand denier or warp/weft pick count is specified
    • Y10T442/322Warp differs from weft

Abstract

본 발명은, 적층체를 봉제 가공 혹은 융착 가공 등에 의해 섬유 제품으로 가공할 때에, 밀봉 처리를 하는 쪽에 니트를 사용해야만 한다고 하는 사실상의 제약을 극복하는 동시에, 밀봉 처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어, 외관이나 촉감을 손상하는 일 없이, 경량의 적층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가요성 필름에, 직물이 적층되어 있는 적층체이며, 상기 직물은 상기 적층체를 섬유 제품으로 가공할 때에 밀봉 처리가 실시되는 쪽에 적층되어 있고, 상기 직물을 구성하는 경사 및 위사의 각각에 관하여 산출되는 커버 펙터의 합계치(CFtotal)가 700∼140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CFtotal=CFm+CFt
CFm : 경사의 커버 펙터
CFt : 위사의 커버 펙터

Description

적층체 및 이것을 사용한 섬유 제품{LAYERED PRODUCT AND TEXTILE PRODUCT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의류, 시트, 텐트와 침낭 등의 섬유 제품 및 이들 제품을 구성하는 적층체(천)에 관한 것이다.
방수성, 방진성 또는 방풍성 등이 요구되는 용도로 이용되는, 착의 제품, 시트, 텐트, 가방 및 침낭 등의 섬유 제품에는 방수성이나 방수 투습성 등을 갖는 가요성 기재에 포백(布帛) 등을 적층시킨 것이 사용되고 있다.
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소55-7483호 공보는, 우비류나 텐트에 이용하는 데 적합하며, 악천후 하에서도 높은 수증기 투과도를 갖는 시트형의 내수성 적층품에 관한 것으로, 발수성 나일론 태피터(15), 친수성 폴리우레탄 수지로 처리된 다공질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필름(17), 나일론 트리코트 편물(19)을 적층한 적층품이 개시되어 있다(도 3 참조). 일본 특허 공표 2001-503107호 공보에는, 제1면과 제2면을 갖는 내수성이며 수증기 투과성의 가요성 기재(21)와, 상기 기재의 제1면에 고정된 포백과, 상기 기재의 제2면의 표면에 복수의 분리된 마모 저항성 폴리머의 도트(23)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의류 등에 적합한 복합 라이닝 재료가 개시되어 있다(도 4 참조). 일본 특허 공개 평10-298869호 공보에는, 투습 방수막의 양측에, 70 데니어의 실로 240 라인 이상에 상당하는 섬유 밀도를 갖는 고밀도 포백을 적층한 투습 방수포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적층체는, 원하는 크기로 재단된 후, 봉제 가공 혹은 융착 가공 등이 실시되어, 의류, 시트, 텐트, 가방 및 침낭 등의 섬유 제품으로 가공된다. 그리고, 봉제부 혹은 융착부에는 외부로부터의 물이나 화학 물질, 바람, 먼지 등의 침입을 방지하거나, 얻어지는 섬유 제품의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통상 핫멜트 수지층을 갖추는 밀봉 테이프를 이용한 밀봉 처리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적층체의 밀봉 처리를 실시하는 쪽에는 이하에 기재하는 이유 때문에 니트를 적층시켜야만 한다고 하는 사실상의 제약이 있었다. 우선 첫째로, 밀봉 처리를 하는 쪽에 니트를 적층하지 않으면, 밀봉 테이프의 핫멜트 수지의 함침성이 저하되어, 충분한 밀봉 효과를 발현할 수 없기 때문이다. 둘째로, 적층체를 착의 제품으로 가공하는 경우에는 통상 착의 제품의 안감에 밀봉 처리가 실시되는 경우가 많은데, 착의 제품의 안감으로서 니트를 준비하지 않는 경우에는, 가요성 기재가 노출되어 직접 맨몸에 닿게 되므로, 외관이나 촉감이 저하되기 때문이다.
한편, 밀봉 처리가 실시되는 쪽(전형적으로는 안감 쪽)에 니트가 사용되어 있는 적층체는 니트의 질량이 비교적 크기 때문에 경량화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나, 셔츠, 버튼, 벨크로 파스너 등과의 마모에 의해서 니트가 열화된다고 하는 문제가 지적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적층체를 봉제 가공 혹은 융착 가공 등에 의해 섬유 제품으로 가공할 때에, 밀봉 처리를 하는 쪽에 니트를 사용해야 한다고 하는 사실상의 제약을 극복하는 동시에, 밀봉 처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어, 외관이나 촉감을 손상시키지 않고서, 경량의 적층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적층체는 가요성 필름에 직물이 적층되어 있는 적층체로서, 상기 직물은 상기 적층체를 섬유 제품으로 가공할 때에 밀봉 처리가 실시되는 쪽에 적층되고 있어, 상기 직물을 구성하는 경사 및 위사의 각각에 대하여 하기의 식에 의해서 산출되는 커버 펙터의 합계치(CFtotal)가, 700∼140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수학식
Figure 112007072427801-PCT00001
CFm : 경사의 커버 펙터
CFt : 위사의 커버 펙터
Fm : 경사의 섬도(dtex)
Ft : 위사의 섬도(dtex)
Dm : 경사의 밀도(라인/2.54 cm)
Dt : 위사의 밀도(라인/2.54 cm)
상기 커버 펙터는 직물의 눈의 거칠기를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직물을 구성하는 경사 및 위사의 각각에 대해서 산출되는 커버 펙터의 합계치(CFtotal)를 상기 일정한 범위로 함으로써, 밀봉 테이프의 핫멜트 수지의 함침성이 향상된다. 그 결과, 밀봉 처리가 용이하게 되어, 밀봉 처리 효과가 개선된다. 상기 경사의 커버 펙터(CFm) 또는 위사의 커버 펙터(CFt)의 적어도 한 쪽이 300∼800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한 형태이다.
상기 직물을 구성하는 경사 또는 위사의 적어도 한 쪽이 2 라인 이상의 필라멘트로 구성되어 있는 것도 바람직하다. 2 라인 이상의 필라멘트로 구성되는 경사 또는 위사를 사용함으로써, 얻어지는 적층체의 감촉이 부드럽게 된다. 상기 필라멘트의 섬도는 12 dtex 이하가 적합하다. 필라멘트 1 라인당 섬도를 12 dtex 이하로 함으로써, 얻어지는 적층체의 감촉이 더욱 부드럽게 된다.
상기 직물을 구성하는 경사 또는 위사의 적어도 한 쪽이 장섬유인 것도 바람직한 형태이다. 장섬유를 사용함으로써, 직물 표면에 보풀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밀봉 테이프의 핫멜트 수지의 함침성이 향상되기 때문이다.
상기 직물을 구성하는 경사 또는 위사의 적어도 한 쪽으로서 가공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공사를 채용함으로써, 밀봉 테이프의 핫멜트 수지의 함침성이 향상된다. 또한, 직물의 섬유 밀도를 저밀도화하더라도, 외관이나 촉감이 손상되기 어렵기 때문이다.
상기 직물의 조직으로서는 예컨대 평직 조직이 적합하다. 평직 조직으로 함으로써, 섬유 밀도를 저밀도로 하기 쉽고, 밀봉 테이프의 핫멜트 수지의 함침성이 향상되기 때문이다.
상기 가요성 필름으로서 예컨대 방수성 필름을 사용하면, 얻어지는 적층체에 방수성을 부여할 수 있고, 방수 투습성 필름을 사용하면, 방수 투습성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방수 투습성 필름으로서는 예컨대 소수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다공질 필름이 적합하며, 보다 적합하게는 다공질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필름을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소수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다공질 필름은 상기 직물을 적층하는 쪽에 친수성 수지층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수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다공질 필름에 형성되는 친수성 수지층은, 본 발명의 적층체를 착의 제품 등으로 가공했을 때에, 몸의 기름 성분이나 오물 등이 다공질 필름의 세공 내에 침입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서 마련되는 것이다. 다공질 필름의 세공 내에 몸의 기름 성분이나 오물 등이 침입해 버리면, 방수성이 저하되기 쉽게 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서는, 가요성 필름의 다른 쪽(상기 직물이 적층되어 있는 면과 반대쪽)에, 또한 포백이 적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쪽에 포백을 적층함으로써, 얻어지는 적층체의 물리적 강도나 의장성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는, 상기 적층체를 일부 또는 전부에 사용하여 가공하여 얻어지는 섬유 제품으로서, 상기 적층체의 상기 직물이 적층된 쪽에 밀봉 처리가 실시되어 있는 섬유 제품이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적층체를 섬유 제품으로 가공할 때에 밀봉 처리가 실시되는 쪽에 니트를 사용해야 한다고 하는 사실상의 제약을 극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밀봉 처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어, 외관이나 촉감을 손상시키는 일없이, 경량의 적층체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적층체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적층체를 봉제 가공하여 밀봉 처리한 부분을 모식적으로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종래의 적층체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는 종래의 적층체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적층체 1의 밀봉 처리 측의 전자현미경 사진이다.
도 6은 적층체 12의 밀봉 처리 측의 전자현미경 사진이다.
본 발명의 적층체는 가요성 필름에 직물이 적층되어 있는 적층체로서, 상기 직물은 상기 적층체를 섬유 제품으로 가공할 때에 밀봉 처리가 실시되는 쪽에 적층되어 있고, 상기 직물을 구성하는 경사 및 위사의 각각에 대하여 하기의 식에 의해서 산출되는 커버 펙터의 합계치(CFtotal)가 700∼140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수학식
Figure 112007072427801-PCT00002
CFm : 경사의 커버 펙터
CFt : 위사의 커버 펙터
Fm : 경사의 섬도(dtex)
Ft : 위사의 섬도(dtex)
Dm : 경사의 밀도(라인/2.54 cm)
Dt : 위사의 밀도(라인/2.54 cm)
우선,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밀봉 처리가 실시되는 쪽에 적층되는 직물에 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직물은 직물을 구성하는 경사 및 위사의 각각에 대해서 상기 식에 의해서 산출되는 커버 펙터의 합계치(CFtotal)가 70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80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00 이상이며, 140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30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200 이하이다. 여기서, 커버 펙터란, 직물의 눈의 거칠기를 나타내는 것으로, 숫자가 클수록 섬유 사이의 간극이 작아지고, 숫자가 작을수록 섬유 사이의 간극이 커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직물을 구성하는 경사 및 위사의 각각에 대하여, 상기 식에 의해서 산출되는 커버 펙터의 합계치(CFtotal)를 700 이상으로 하는 것은, 사용하는 직물의 강도를 확보하여 취급성이나 가공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필요최저한의 외관이나 촉감을 유지하기 위해서이다. 상기 커버 펙터의 합계치가 700을 밑돌면, 적층체의 물리적 강도가 실용상 불충분하게 되는 동시에, 외관이나 촉감이 뒤떨어진 것으로 된다. 적층체의 외관은 외부로 노출된 면을 딱 보았을 때의 느낌 으로 결정되는데, 상기 커버 펙터의 합계치가 700을 밑돌면, 상기 직물의 섬유 사이의 간극으로부터 가요성 필름이 들여다보이는 정도가 커져, 섬유 제품에 일반적으로 요구되는 품격을 만족할 수 없게 된다. 적층체의 촉감이란, 적층체에 인체가 접촉했을 때에 느끼는 감각(촉감)인데, 상기 커버 펙터의 합계치가 700을 밑돌면, 거친 촉감이 된다. 한편, 밀봉 테이프의 핫멜트 수지의 함침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직물은 눈이 어느 정도 거칠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상기 식에 의해서 산출되는 커버 펙터의 합계치는 1400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 펙터의 합계치가 1400을 넘으면, 밀봉 테이프의 핫멜트 수지의 함침이 불충분하게 되어, 밀봉부의 시일성을 확보할 수 없게 되는 동시에, 적층체의 감촉이 딱딱하게 되고, 또 경량화가 곤란하게 된다.
상기 경사의 커버 펙터(CFm) 또는 위사의 커버 펙터(CFt)가 적어도 한 쪽이 30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400 이상이며, 80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700 이하인 것이 좋다. 상기 경사 또는 위사의 적어도 한 쪽의 커버 펙터를 상기 범위내로 함으로써, 직물의 강도나 취급성, 밀봉 테이프의 핫멜트 수지의 함침성 등이 향상되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경사 및 위사의 커버 펙터는 상기 식에서도 알 수 있듯이, 섬도와 밀도를 적절하게 선택함으로써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직물을 구성하는 경사 및 위사의 섬도는 5 dtex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7 dtex 이상이며, 55 dtex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3 dtex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5 dtex 이상으로 함으로써, 얻어지는 적층체의 물리적 강도를 확보할 수 있어, 실용 레벨의 내마모성이 발현된다. 또한, 섬도를 55 dtex 이하로 함으로써, 얻어지는 적층체가 경량화되는 동시에, 감촉이 부드럽게 된다. 또한, 밀봉 테이프의 핫멜트 수지의 함침성이 향상된다.
상기 직물을 구성하는 경사 또는 위사의 적어도 한 쪽은 2 라인 이상의 필라멘트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라인 이상의 필라멘트로 구성되는 경사 또는 위사를 사용함으로써, 얻어지는 적층체의 감촉이 부드럽게 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경사 또는 위사를 구성하는 필라멘트 1 라인당 섬도는 12 dtex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경사 또는 위사를 구성하는 필라멘트 1 라인당 섬도를 12 dtex 이하로 함으로써, 얻어지는 적층체의 감촉이 더욱 부드럽게 된다.
또한, 상기 직물을 구성하는 경사 및 위사의 밀도는 상기 커버 펙터의 합계치의 범위를 만족할 수 있도록 적절하게 결정하면 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직물을 구성하는 섬유(경사 또는 위사를 구성하는 섬유)는 밀봉 테이프에 사용되는 핫멜트 수지의 연화점보다도 높은 내열성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 핫멜트 수지의 연화점은 약 140℃ 미만이므로, 연화점이 140℃이며, 140℃ 미만의 온도에서 현저한 변형을 하지 않는 내열성을 갖는 섬유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연화점이 170℃ 이상이며, 170℃ 미만의 온도에서 현저한 변형을 일으키지 않는 내열성을 갖는 섬유를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섬유로서는 천연 섬유, 합성 섬유의 어느 것이라도 좋다. 상기 천연섬유로서는 예컨대, 면, 마 등의 식물성 섬유, 비단, 양모 그 밖의 동물의 털 등의 동물성 섬유 등을 들 수 있고, 상기 합성 섬유로서는 폴리아미드 섬유, 폴리에스테르 섬유, 아크릴 섬유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착의 제품 등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부드러움, 강도, 내구성, 비용, 경량성 등의 관점에서, 폴리아미드 섬유, 폴리에스테르 섬유 등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직물을 구성하는 섬유는, 장섬유, 단섬유의 어느 것이라도 좋지만, 장섬유 혹은 실질적으로 장섬유에 가까운 섬유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섬유를 사용하면, 얻어지는 적층체의 표면에 단섬유의 보풀이 발생하기 쉽게 되어, 적층체에의 밀봉 테이프의 핫멜트 수지의 함침성이 저하되어, 밀봉 효과가 저하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단섬유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얻어지는 적층체 표면의 보풀을 모소(毛燒)나 용융 처리 등에 의해 처리(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섬유의 실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생기(生機) 제조 후의 정련, 염색 공정, 그 후의 적층 공정, 취급에 있어서, 저밀도의 직물을 구성하는 경사 및 위사가 생사라면, 눈 꼬임에 의한 외관 불량을 일으키기 쉽게 되거나, 제조가 어렵게 된다. 그 때문에, 실의 종류는 가공사인 것이 바람직하고, 가연의 가공사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가공사로 함으로써, 생사에 비해서, 밀봉 테이프의 핫멜트 수지의 함침성도 한층 더 향상된다. 이것은, 가공사를 이용하면 섬유 사이의 간극의 요철이 커져, 밀봉 테이프의 핫멜트 수지가 섬유 사이에 함침했을 때의 앵커 효과가 증대되기 때문이다.
상기 직물의 조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사문직, 주자직, 평직 등의 조직 을 예로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평직 조직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립스톱 조직이다. 직물의 조직을 평직 조직으로 하면, 섬유 밀도를 저밀도로 하기 쉬워, 밀봉 테이프의 핫멜트 수지의 함침성이 향상되기 때문이다. 또한, 직물의 조직을 립스톱 조직으로 하면, 섬유 밀도를 저밀도로 하더라도, 요구되는 물리적 강도를 달성하기 쉽고, 의장성도 높일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가요성 필름에 관해서 설명한다.
상기 가요성 필름으로서는, 가요성을 갖는 필름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폴리우레탄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수지, 아크릴 수지, 폴리에틸렌, 폴리올레핀 등의 폴리올레핀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염화비닐 수지, 합성 고무, 천연 고무, 함불소계 수지 등의 필름을 들 수 있다.
상기 가요성 필름의 두께는 5 μm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μm 이상이며, 300 μ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 μm 이하가 적당하다. 가요성 필름의 두께가 5 μm보다 얇으면 제조시의 취급성에 문제가 생기고, 300 μm을 넘으면 가요성 필름의 유연성이 손상되어 버리기 때문이다. 가요성 필름 두께의 측정은, 다이얼 시크니스 게이지로 측정한 평균 두께(레크록사 제조 1/1000 mm 다이얼 시크니스 게이지를 이용하여, 본체 스프링 하중 이외의 하중을 걸지 않은 상태에서 측정함)에 의한다.
상기 가요성 필름으로서는, 예컨대 방수성, 방풍성, 또는 방진성을 갖는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요성 필름으로서, 방수성 필름을 사용하 면, 얻어지는 적층체에 방수성을 부여할 수 있고, 방수 투습성 필름을 사용하면, 얻어지는 적층체에 방수 투습성을 부여할 수 있다. 한편, 방수성 또는 방수 투습성을 갖는 필름은 일반적으로 방풍성 및 방진성을 겸비하고 있다.
우비 등과 같이 특히 방수성이 요구되는 용도에서는, JIS L 1092A법에 의해 측정되는 내수도(방수성)로, 100 cm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 cm 이상의 방수성을 갖는 가요성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가요성 필름으로서 방수 투습성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형태이다. 방수 투습성 필름이란, 「방수성」과 「투습성」을 갖는 가요성 필름이다. 즉 본 발명의 적층체에 상기 「방수성」에 더하여 「투습성」을 부여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적층체를 착의 제품으로 가공하여 이용한 경우에, 착용자의 인체로부터 발생하는 땀의 수증기가 적층체를 투과하여 외부로 발산되기 때문에, 착용시의 후덥지근한 느낌을 막을 수 있게 된다. 여기서, 「투습성」이란, 수증기를 투과하는 성질이며, 예컨대 JIS L 1099 B-2법에 의해 측정되는 투습도로, 50 g/m2ㆍh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 g/m2ㆍh 이상의 투습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수 투습성 필름으로서는, 폴리우레탄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실리콘 수지, 폴리비닐알코올 수지 등의 친수성 수지 필름이나,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 수지, 함불소계 수지, 발수 처리를 실시한 폴리우레탄 수지 등의 소수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다공질 필름(이하, 단순히 「 소수성 다공질 필름」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음)을 예로 들 수 있다. 여기서, 「소수성 수지」란, 수지를 이용하여 매끄러운 평탄한 판을 성형하고, 이러한 판의 표면에 있어서의 물방울의 접촉각이 60도 이상(측정 온도 25℃), 보다 바람직하게는, 80도 이상인 수지를 의미한다.
상기 소수성 다공질 필름은 내부에 세공(연속 기공)을 갖는 다공질 구조에 의해서 투습성을 유지하면서, 필름 기재를 구성하는 소수성 수지가 상기 세공 안으로 물이 침입하는 것을 억제하여, 필름 전체적으로 방수성을 발현한다. 이들 중에서도, 상기 방수 투습성 필름으로서 함불소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다공질 필름이 적합하며, 다공질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필름(이하, 「다공질 PTFE 필름」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음)이 보다 적합하다. 특히, 다공질 PTFE 필름은 필름 기재를 구성하는 수지 성분인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의 소수성(발수성)이 높기 때문에, 우수한 방수성과 투습성을 양립할 수 있다.
상기 다공질 PTFE 필름이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의 미세 파우더를 성형 조제와 혼합함으로써 얻어지는 페이스트의 성형체로부터, 성형 조제를 제거한 후, 고온 고속도로 평면형으로 연신함으로써 얻어지는 것으로, 다공질 구조를 갖고 있다. 즉, 다공질 PTFE 필름은, 미소한 결정 리본으로 서로 연결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의 1차 입자의 응집체인 노드와, 이들 1차 입자로부터 인출된 완전히 연장된 결정 리본의 다발인 피브릴로 이루어지고, 그리고, 피브릴과 이 피브릴을 잇는 노드로 구획되는 공간이 빈 구멍으로 되어 있다. 후술하는 다공질 PTFE 필름의 공극율(空孔率), 최대 세공 직경 등은 연신 배율 등에 의해서 제어할 수 있 다.
상기 소수성 다공질 필름의 최대 세공 직경은 0.01 μm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μm 이상이며, 10 μ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 μ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최대 세공 직경이 0.01 μm보다도 작으면 제조가 곤란하게 되고, 반대로 10 μm을 넘으면, 소수성 다공질 필름의 방수성이 저하되고, 필름 강도가 약해지기 때문에, 적층 등의 후속 공정에서의 취급이 곤란하게 되기 쉽다.
상기 소수성 다공질 필름의 공극율은 50% 이상, 바람직하게는 60% 이상이며, 98%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9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소수성 다공질 필름의 공극율을 50% 이상으로 함으로써, 투습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98% 이하로 함으로써, 필름의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최대 세공 직경은 ASTM F-316의 규정에 준거하여 측정한 값이다. 공극율은 JIS K 6885의 외관 밀도 측정에 준거하여 측정한 외관 밀도(ρ)로부터 다음의 식으로 계산하여 구한다.
공극율(%)=(2.2-ρ)/2.2×100
상기 소수성 다공질 필름의 두께는 5 μm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μm 이상이며, 300 μ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 μm 이하가 적당하다. 소수성 다공질 필름의 두께가 5 μm보다 얇으면 제조시의 취급성에 문제가 생기고, 300 μm을 넘으면 소수성 다공질 필름의 유연성이 손상되는 동시에 투습성이 저하되어 버린다. 소수성 다공질 필름 두께의 측정은 다이얼 시크니스 게이지로 측정한 평균 두께(테크록사 제조 1/1000 mm 다이얼 시크니스 게이지를 이용하여, 본체 스프링 하중 이외의 하중을 걸지 않는 상태에서 측정함)에 의한다.
상기 소수성 다공질 필름은 그 세공 내표면에 발수성 및 발유성 폴리머를 피복시켜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수성 다공질 필름의 세공 내표면을 발수성 및 발유성 폴리머로 피복해 둠으로써, 몸에서 나오는 기름기나 기계유, 음료, 세탁 세제 등의 여러 가지 오염물이 소수성 다공질 필름의 세공 내에 침투 혹은 유지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들 오염 물질은 소수성 다공질 필름에 적합하게 사용되는 PTFE의 소수성을 저하시켜, 방수성을 손상하게 하는 원인으로 되기 때문이다.
이 경우, 그 폴리머로서는, 함불소 측쇄를 갖는 폴리머를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폴리머 및 그것을 다공질 필름에 복합화하는 방법의 상세한 것에 대해서는 WO94/22928 공보 등에 개시되어 있으며, 그 일례를 하기에 기재한다.
상기 피복용 폴리머로서는, 하기 화학식 1로 나타내어지는 플루오로알킬아크릴레이트 및/또는 플루오로알킬메타크릴레이트를 중합하여 얻어지는 함불소 측쇄를 갖는 폴리머(불소화알킬 부분은 4∼16의 탄소 원자를 갖는 것이 바람직함)를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07072427801-PCT00003
(상기 식에서, n은 3∼13의 정수, R은 수소 또는 메틸기임)
이 폴리머를 이용하여 다공질 필름의 세공 안을 피복하려면, 이 폴리머의 수성 마이크로에멀젼(평균 입자 지름 0.01∼0.5 μm)을 함불소 계면활성제(예, 암모 늄퍼플루오로옥타네이트)를 이용하여 제작하고, 이것을 다공질 필름의 세공 내에 함침시킨 후, 가열한다. 이 가열에 의해서, 물과 함불소 계면활성제가 제거되는 동시에, 함불소 측쇄를 갖는 폴리머가 용융되어 다공질 필름의 세공 내표면을 연속 기공이 유지된 상태로 피복하여, 발수성ㆍ발유성이 우수한 소수성 다공질 필름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다른 피복용 폴리머로서, 「AF 폴리머」(듀퐁사의 상품명)나, 「사이톱」(아사히가라스사의 상품명) 등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폴리머를 소수성 다공질 필름의 세공 내표면에 피복하려면, 예컨대 「플로리나트」(3M사의 상품명) 등의 불활성 용제에 상기 폴리머를 용해시켜, 다공질 PTFE 필름에 함침시킨 후, 용제를 증발 제거하면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소수성 다공질 필름은, 상술한 직물을 적층하는 쪽에게 친수성 수지층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친수성 수지층을 갖는 형태는 본 발명의 적층체를 상기 직물 쪽을 안감으로 하는 착의 제품 등으로 가공하는 경우에 특히 유용하다. 즉, 상기 친수성 수지는 인체로부터 발생하는 땀 등의 수분을 흡수하여, 외부로 발산시키는 동시에, 소수성 다공질 필름의 세공 내에 몸에서 나오는 기름기나 머릿기름 등의 여러 가지 오염물이 인체 측에서 침입하는 것을 억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들 오염 물질은 소수성 다공질 필름에 적합하게 사용되는 PTFE의 소수성을 저하시켜, 방수성을 손상시키는 원인으로 되기 때문이다. 한편, 친수성 수지층을 형성해 둠으로써, 소수성 다공질 필름의 기계적 강도도 향상되기 때문에, 내구성이 우수한 소수성 다공질 필름을 얻을 수 있다. 이 친수성 수 지층은 소수성 다공질 필름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으면 되는데, 친수성 수지가 소수성 다공질 필름의 표층 부분에 함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친수성 수지가 소수성 다공질 필름 표층의 세공 내에 함침됨으로써, 앵커 효과가 작용하기 때문에, 친수성 수지층과 소수성 다공질 필름과의 접합 강도가 강고한 것으로 된다. 한편, 소수성 다공질 필름의 두께 방향을 전체에 걸쳐 친수성 수지로 함침해 버리면 투습성이 저하되어 버린다.
상기 친수성 수지로서는, 수산기, 카르복실기, 설폰산기, 아미노산기 등의 친수성기를 갖는 고분자 재료로서, 수팽윤성이며 또한 수불용성인 것이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구체적으로는, 적어도 일부가 가교된, 폴리비닐알코올, 초산셀룰로오스, 질산셀룰로오스 등의 친수성 폴리머나, 친수성 폴리우레탄 수지를 예시할 수 있지만, 내열성, 내약품성, 가공성, 투습성 등을 고려하면 친수성 폴리우레탄 수지가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친수성 폴리우레탄 수지로서는, 수산기, 아미노기, 카르복실기, 술폰기, 옥시에틸렌기 등의 친수기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계 혹은 폴레에테르계의 폴리우레탄이나 프리폴리머가 이용되며, 수지로서의 융점(연화점)을 조정하기 위해서, 이소시아네이트기를 2개 이상 갖는 디이소시아네이트류, 트리이소시아네이트류, 이들의 첨가 생성물을 단독 혹은 혼합하여 가교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말단이 이소시아네이트인 프리폴리머에 대해서는 디올류, 트리올류 등의 2 작용성 이상의 폴리올이나 디아민류, 트리아민류 등의 2 작용성 이상의 폴리아민을 경화제로서 이용할 수 있다. 투습성을 높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2 작용성 쪽이 3 작용성보 다 바람직하다.
소수성 다공질 필름의 표면에 친수성 폴리우레탄 수지 등의 친수성 수지층을 형성시키는 방법으로서는, (폴리)우레탄 수지 등을 용제에 의해서 용액화하거나, 가열에 의해서 융액화하는 등의 방법에 의해 도포액을 만들고, 그것을 롤 코터 등으로 소수성 다공질 필름에 도포한다. 친수성 수지를 소수성 다공질 필름의 표층까지 함침시키는 데 알맞은 도포액의 점도는 도포 온도에 있어서 20,000 cps(mPaㆍs)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00 cps(mPaㆍs) 이하이다. 용제에 의한 용액화를 실시한 경우는, 그 용제 조성에 따라 다르기도 하지만, 점도가 지나치게 저하되면 도포 후에, 용액이 소수성 다공질 필름 전체로 확산되기 때문에, 소수성 다공질 필름 전체가 친수화되는 동시에, 소수성 다공질 필름의 표면에 균일한 수지층이 형성되지 않을 우려가 있어, 방수성에 문제점을 일으킬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500 cps(mPaㆍs) 이상의 점도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점도는 도키산교사 제조의 B형 점도계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층체는, 상기 적층체를 섬유 제품으로 가공할 때에 밀봉 처리가 실시되는 쪽에 상술한 직물을 적층시키고, 다른 쪽에 또한 포백이 적층되어 있는 것도 바람직한 형태이다. 다른 쪽에 포백을 적층함으로써, 얻어지는 적층체의 물리적 강도나 의장성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또, 상기 적층체의 밀봉 처리가 실시되는 쪽이 되도록, 가요성 필름의 일면에 상술한 직물이 적층되고, 다른 쪽에 또한 포백이 적층되어 있지만, 어느 것을 섬유 제품의 겉감으로 할지 안감으로 할지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전형적인 형태로서는, 밀봉 처리가 실시되는 쪽에 적층되는 직물을 안감으로 하고, 다른 쪽에 적층되는 포백을 겉감으로 하는 형태를 예로 들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적층체를 착의 제품 등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밀봉 처리가 실시되는 쪽을 안감으로 함으로써, 얻어지는 착의 제품 등의 외관이 향상되기 때문이다.
상기 포백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직포, 편포, 네트, 부직포, 펠트, 합성 피혁, 천연 피혁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포백을 구성하는 재료로서는, 면, 마, 동물의 털 등의 천연 섬유, 합성 섬유, 금속 섬유, 세라믹스 섬유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며, 적층체가 사용되는 용도에 따라서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적층체를 아웃도어용 제품에 이용하는 경우에는, 부드러움, 강도, 내구성, 비용, 경량성 등의 관점에서 폴리아미드 섬유, 폴리에스테르 섬유 등으로 구성된 직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포백에는 필요에 따라서 종래 공지의 발수 처리, 유연 처리, 제전 처리 등을 실시할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적층체의 제조 방법에 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가요성 필름과, 직물 혹은 포백과의 적층에는 종래 공지의 접착제를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접착제에는, 열가소성 수지 접착제 외에, 열이나 빛, 수분과의 반응 등에 의해 경화할 수 있는 경화성 수지 접착제가 포함된다. 예컨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실리콘 수지, (메트)아크릴 수지, 폴리염화비닐 수지, 폴리올레핀 수지, 폴리부타디엔 고무, 그 밖의 고무 등의 각종 수지 접착제를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적합한 것으로서 폴리우레탄 수지접착제를 들 수 있다. 폴리우레탄 수지 접착제로서는 특히 경화 반응 형의 핫멜트 접착제가 적합하다.
경화 반응형 핫멜트 접착제란, 상온에서 고체형이며, 가열에 의해 용융되어 저점도의 액체로 되지만, 가열 상태를 유지하는 것, 혹은 더욱 승온하는 것, 혹은 수분이나 그 밖의 활성 수소를 갖는 다작용성 화합물과 접촉하는 것 등에 의해 경화 반응이 일어나 고점도의 액체 또는 고화물로 되는 접착제이다. 경화 반응은 경화 촉매나 경화제 등이 존재함으로써 촉진할 수 있다.
가요성 필름과, 직물 혹은 포백과의 접착에 이용하는 경화 반응형 폴리우레탄 수지 핫멜트 접착제로서는, 예컨대 가열에 의해 용융되어 저점도의 액체가 되었을 때(즉, 접착을 위해 도포할 때)의 점도가 500∼30,000 mPaㆍs(보다 바람직하게는 3,000 mPaㆍs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말하는 점도는, RESEARCH EQUIPMENT사 제조의 「ICI 콘&플레이트 비스코메터」로, 회전자를 콘 타입, 설정 온도를 125℃로 하여 측정한 값이다. 상기 경화 반응형 폴리우레탄 수지 핫멜트 접착제로서는, 습기(수분)에 의해서 경화 반응할 수 있는 공지의 우레탄 프리폴리머가 적합하다. 상기 우레탄 프리폴리머는, 폴리에스테르폴리올이나 폴리에테르폴리올 등의 폴리올과, TDI(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 MDI(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XDI(크실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IPDI(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지방족 또는 방향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말단에 이소시아네이트기가 잔존하도록 부가 반응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다. 얻어지는 우레탄 프리폴리머는 말단에 이소시아네이트기가 존재함으로써 공기 중의 습기에 의해서 경화 반응을 일으킨다. 이러한 우레탄 프리폴리머에 있어서, 그 용융 온도는 실온보다도 약간 높은 5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80∼150℃이다.
상기한 우레탄 프리폴리머로서는 예컨대 일본엔에스씨사가 시판하고 있는 「본드마스터」를 들 수 있다. 이 우레탄 프리폴리머는 70∼150℃로 가열함으로써, 직물 혹은 포백 등에 도포할 수 있는 점도의 융액으로 되어, 이 융액을 통해 가요성 필름과 포백 혹은 직물을 접합시킨 후, 실온 정도로 냉각함으로써 반고체형으로 되어, 포백 등에 지나치게 침투 확산하는 것이 억제된다. 그리고, 공기 중의 습기에 의해 경화 반응이 진행되어, 소프트하고 또 강고한 접착을 얻을 수 있다.
접착제의 도포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공지의 각종 수법(롤법, 스프레이법, 브러싱 등)을 채용하면 된다. 또, 적층하는 포백에 투습성을 갖게 하는 경우는 상기 접착제의 도포를 점형이나 선형으로 하는 것이 장려된다. 접착 면적(접착제의 도포 면적)은 적층면의 전면적 중, 5∼95%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5∼50%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접착제의 도포량은 포백 표면의 요철, 섬유 밀도, 요구되는 접착성, 내구성 등을 고려하여 설정하면 된다. 상기 도포량은 2∼50 g/m2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5∼20 g/m2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접착제의 도포량이 지나치게 적으면, 접착성이 불충분하게 되어, 예컨대 세탁에 견딜 수 있을 만큼의 내구성을 얻을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다른 한편, 접착제의 도포량이 지나치게 많으면, 얻어지는 적층체의 감촉이 지나치게 딱딱하게 되는 경우가 있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바람직한 적층 방법으로는 예컨대 가요성 필름에 그라비아 패턴을 갖는 롤로 상기 경화 반응형 폴리우레탄 수지 접착제의 융액을 도포 또는 스프레이하고, 그 위에 상술한 직물 혹은 포백을 겹쳐 롤로 압착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특히, 그라비아 패턴을 갖는 롤에 의한 도포 방법을 채용한 경우에는, 양호한 접착력을 확보할 수 있는 동시에, 얻어지는 적층체의 감촉도 좋고, 또한 수율도 양호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적층체는 이것을 일부 혹은 전부에 사용하여 섬유 제품으로 가공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적층체를 전부에 사용하여 섬유 제품으로 가공할 때에는, 본 발명의 적층체를 원하는 형상이나 크기로 재단하여, 이들 재단한 것을 봉착 혹은 융착시켜 섬유 제품으로 가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적층체를 일부에 사용하여 섬유 제품으로 가공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적층체와 종래의 포백 등을 이용하여, 같은 식으로 하여 섬유 제품으로 가공하면 된다.
적층체의 봉착은 재봉틀 등을 이용하여 할 수 있다. 봉착에 사용하는 봉제사로서는, 면, 견, 마, 폴리노직,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비닐론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등을 단독으로 또는 혼합한 어느 재질을 이용하더라도 좋지만, 강도, 내열성 등의 관점에서, 폴리아미드 수지 혹은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봉제사의 굵기는 봉착하는 적층체의 두께와 요구되는 제품 강도에 따라서 적절하게 조정하면 되며, 일례로는 포백(78 dtex의 나일론 태피터)의 한 면에 접착제로 연신 다공질 PTFE 필름을 적층하고, 또한, 직물(22 dtex 나일론 태피터 : 경사 및 위사의 커버 펙터의 합계치 700∼1400)을 접착제로 적층한 3층 구조의 적층체를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봉제사로 봉착하는 경우, 40∼70번수의 봉제사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봉착 방법은 1 라인 또는 복수의 실을 사용하여 재봉하는 방법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스티치 형식으로서는, 본봉, 단환봉, 이중환봉 등을 적절하게 이용하여, 직선형, 곡선형, 지그재그형 등으로 봉제한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또한, 적층체의 융착은 원하는 형상이나 크기로 재단한 적층체끼리를 열압착하여 직접 융착시키는 방법, 핫멜트 수지로 이루어지는 시트(이하, 단순히 「핫멜트 시트」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음)를 이용하여 상기 적층체끼리를 간접적으로 융착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핫멜트 시트로서는 예컨대 저팬고어텍스사 제조의 「고어시임 Sheet Adhesive」를 들 수 있다. 또한, 핫멜트 시트의 핫멜트 수지로서는, 후술하는 밀봉 테이프의 핫멜트 수지층에 사용하는 것과 동일한 것을 이용할 수 있으며, 적층체를 핫멜트 시트를 이용하여 융착 가공하는 조건은 밀봉 테이프를 압착하는 것과 동일한 조건을 채용할 수 있다.
상기 적층체를 봉착 혹은 융착한 부분에는 밀봉 처리가 실시된다. 밀봉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방수성, 방진성, 방풍성 등의 시일성이나, 얻어지는 섬유 제품의 강도가 높아지기 때문이다. 밀봉 처리 방법은 봉착부 혹은 융착부에 대해서, 방수성, 방풍성 또는 방진성 등의 원하는 특성을 확보할 수 있는 방법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본 발명의 적층체를 봉착하여 섬유 제품으로 가공하는 경우, 바늘구멍 부분을 수지로 막는 방법이 높은 방수성을 달성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바늘구멍 부분을 수지로 막는 방법으로서는, 봉착부에 수지를 도포하거나, 테이프형 의 수지(밀봉 테이프)를 접착 또는 융착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지만, 밀봉 테이프에 의한 방법이 밀봉 처리부의 방수 내구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적층체를 융착시켜 섬유 제품으로 가공하는 경우, 얻어지는 섬유 제품의 강도가 낮아지기 때문에, 이러한 융착부를 밀봉 테이프 등을 이용하여 밀봉 처리함으로써, 얻어지는 섬유 제품의 강도가 향상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봉착부 혹은 융착부에 밀봉 처리를 실시하기 위한 밀봉 테이프로서는, 고융점 수지의 기재 테이프의 이면(봉착면 쪽)에 저융점의 접착 수지를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테이프 등이 적절하게 이용되며, 바람직하게는 기재 테이프의 이면에 핫멜트 수지층이 형성된 밀봉 테이프를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기재 테이프의 표면(외부에 노출되는 면)에는 니트나 메쉬 등이 적층 가공되어 있더라도 좋다. 상기 밀봉 테이프로서는 예컨대 기재 테이프에 폴리우레탄 수지 필름, 접착 수지에 폴리우레탄 핫멜트 수지를 이용한 선가세이사 제조의 「T-2000」, 「FU-700」 등의 밀봉 테이프, 닛신보세끼사 제조의 「MF-12T2」, 「MF-10F」 등의 밀봉 테이프, 기재 테이프에 다공질 PTFE 필름, 접착 수지에 폴리우레탄 핫멜트 수지를 이용한 저팬고어텍스사 제조의 「GORE-SEAMTAPE」 등을 적절하게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밀봉 테이프의 핫멜트 수지로서는, 폴리에틸렌 수지 또는 그 코폴리머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브티랄계 수지, 폴리초산비닐 수지 또는 그 공중합체계 수지, 셀룰로오스 유도체계 수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계 수지, 폴리비닐에테르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등의 각종 수지를 단독 혹은 2종 이상의 혼합물로 하여 적절 하게 이용할 수 있지만, 착의 제품에 이용하는 경우에는 폴리우레탄계 수지가 바람직하다. 이것은, 착의 제품으로서 이용하는 경우, 드라이크리닝에 대한 내구성이나, 세탁 내구성이 필요하게 되므로, 유연한 감촉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또 밀봉 테이프의 핫멜트 수지층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25 μm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μm 이상이고, 400 μm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 μ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핫멜트 수지층이 25 μm 미만이면 수지량이 지나치게 적어, 바늘구멍 부분의 실의 요철부를 완전히 막기 어려워, 봉착 부분의 방수성이 불충분하게 될 우려가 있다. 한편, 핫멜트 수지층이 400 μm을 넘는 두께로 하면, 테이프를 열압착할 때, 충분히 용해될 때까지 시간이 걸려 생산성이 저하되거나, 접착되는 가요성 필름 쪽에 열적인 손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생긴다. 또한, 열압착 시간을 단축하면, 핫멜트 수지층이 충분히 용해되지 않아, 충분한 접착 강도 및 방수성을 얻을 수 없게 되어 버린다. 또한, 접착 가공 후의 밀봉부의 감촉이 딱딱하게 되어, 예컨대 본 발명의 적층체를 착의 제품에 적용한 경우, 밀봉부에서 빳빳한 느낌이 난다.
이들 밀봉 테이프는 테이프의 핫멜트 수지층 쪽에 열풍을 쏘여 수지를 용융시킨 상태에서 피접착체에 가압 롤로 압착하는 기존의 핫에어 시일로 융착 가공할 수 있다. 예컨대, 쿠인라이트덴코세이코사 제조의 「QHP-805」나, W. L. GORE&ASSOCIATES사 제조의 「5000E」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짧은 봉착부를 보다 간편하게 융착 가공하기 위해서는, 시판되는 열프레스기나 다리미로 밀봉 테이프를 열압착하더라도 좋다. 이 때에는, 밀봉 테이프를 봉착부에 겹친 상태에서 그 위에서 열과 압력을 가한다.
상기 밀봉 테이프의 열압착 조건은 테이프에 사용되는 핫멜트 수지의 연화점, 가요성 필름의 두께, 재질, 융착 스피드 등에 따라서 적절하게 설정되면 된다. 그 밀봉 테이프의 열압착의 일례를 들면, 포백(78 데시텍스의 나일론 태피터)의 한 면에 다공질 PTFE 필름을 적층하고, 또한, 직물(22 데시텍스의 나일론 태피터 : 경사 및 위사의 커버 펙터의 합계치 : 700∼1400)을 적층하여 이루어는 3층 구조의 적층체에 있어서, 그 22 데시텍스의 나일론 태피터면끼리를 상기 밀봉 테이프(W. L. GORE&ASSOCIATES사 제조의 「5000E」)로 열압착하는 경우, 밀봉 테이프를 핫에어 시일에 장착하여, 핫멜트 수지의 표면 온도가 150℃에서 180℃, 보다 바람직하게는 160℃가 되도록 설정하여 열압착한다. 이어서, 그대로 가열 부분이 실온으로 되돌아갈 때까지 방냉하여 열압착을 완료시킨다. 이 경우, 핫멜트 수지로서는 폴리에스테르계 우레탄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핫멜트 수지의 유동치(시마즈세이사쿠쇼 제조 플로우테스터 「CFT-500」을 이용하여 180℃에서 측정함)는 40∼200×10-3 cm3/s초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60∼100×10-3 cm3/s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다. 핫멜트 수지의 유동치가 지나치게 낮으면 접착력이 부족하게 되고, 지나치게 높으면 봉제 바늘구멍이나 테이프 엣지부로부터 수지가 배어나오는 일이 발생하여 가압 롤 등에 부착되어 버리기 때문이다. 또한 핫멜트 수지의 표면 온도는 지나치게 낮으면 충분히 융해되지 않고, 접착 강도 및 방수성의 부족을 초래하며, 너무 높으면 유동성이 높아져, 봉착부의 수지가 배어나오는 문제가 발생하는 동시에, 핫멜트 수지 자체가 열분해를 일으켜, 접 착 강도 및 방수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의 적층체는 의류, 시트, 텐트, 가방 및 침낭 등의 섬유 제품으로 가공된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적층체를 모식적으로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한 적층체 1은 가요성 필름(3)으로서 소수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다공질 필름을 사용한 형태이며, 적층체 1을 섬유 제품으로 가공할 때에 밀봉 처리가 이루어지는 쪽에, 경사 및 위사의 커버 펙터의 합계치가 700∼1400인 직물(5)이 적층되고, 적층체 1의 다른 쪽에는 포백(7)이 적층되며, 직물(5)과 포백(7)과 가요성 필름(3)은 핫멜트 수지 접착제(8)로 접합되고 있다. 또한, 소수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다공질 필름의 직물(5)을 적층하는 쪽은 친수성 수지층(10)이 형성되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적층체를 봉제 가공하여, 핫멜트 수지층을 갖는 밀봉 테이프를 이용하여 밀봉 처리한 봉제부를 모식적으로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적층체 1에는 가요성 필름(3)과, 적층체를 섬유 제품으로 가공할 때에 밀봉 처리가 실시되는 쪽에 경사 및 위사의 커버 펙터의 합계치가 700∼1400인 직물(5)이 적층되고, 다른 쪽에는 포백(7)이 적층되어 있다.
적층체 1은 단부를 되접어 꺾어, 꺾인 부분이 다른 적층체(1')의 단부에 겹쳐 봉제사(9)에 의해서 재봉되고 있다. 밀봉 테이프(11)는 이러한 봉착 부분을 덮도록 접착되어 있으며, 핫멜트 수지층(13)의 일부가 적층체 1에 적층된 직물(5)의 표면에 함침되어 있다(도시하지 않음).
실시예
[평가 방법]
1. 섬도의 측정
JIS L 1096에 기초하여 직물의 경사, 위사의 섬도(dtex)를 측정했다. 경사 및 위사를 구성하는 필라멘트의 섬도는 경사 또는 위사의 섬도를 경사 또는 위사를 구성하는 필라멘트의 개수로 나눔으로써 산출한다.
2. 밀도의 측정
JIS L 1096에 기초하여 직물의 경사의 밀도, 위사의 밀도(라인/2.54 cm)를 각각 측정했다.
3. 두께
JIS L 1096에 기초하여 시험편의 두께를 측정했다. 측정에는 테크록사 제조 다이얼 시크니스 게이지「PF-15」를 이용했다.
4. 단위면적당 질량
JIS L 1096에 기초하여 시험편의 단위면적당 질량(g/m2)을 측정했다.
5. 투습성
JIS L 1099 B-2법에 기초하여 시험편의 투습성(g/m2ㆍh)을 측정했다.
6. 인열 강도
JIS L 1096 D법(펜듈럼법)에 기초하여 시험편의 인열 강도(N)를 측정했다.
7. 인장 강도
JIS L 1096 A법(라벨드 스트립법 : 시험편의 폭 5 cm, 쥐는 간격 20 cm, 인장 속도 20 cm/분)에 기초하여 시험편의 인장 강도(N/5 cm)를 측정했다.
8. 벨크로 마모 내구성
JIS L 0849에 기재된 마찰시험기 II형의 마찰자에, 면 파스너의 후크 쪽(YKK사 제조 「퀵론 1QN-N20」)을, 시험편대에는 시험편을 각각 장착했다. 면 파스너는 후크 측을 시험편 쪽으로 향하게 하여 마찰자에 부착했다. 시험편은 적층체의 밀봉 처리를 실시하는 쪽을 상면(마찰자 쪽)으로 향하게 하여 시험편대에 부착했다. 이 상태에서 마찰자에는 2 N의 하중을 걸어 100회 마찰하여, 시험편의 마찰 부위의 상태를 관찰했다. 시험편에 어떠한 손상이 있는 것에 대해서는 이상 있음, 손상이 확인되지 않는 것에 대해서는 이상 없음으로 했다.
9. 탈수성
적층체를 회전식 커터(다이에가가쿠세이키세이사쿠쇼 제조 「RC-14」)로 직경 140 mm의 원형으로 컷트한 것을 시험편으로 했다. 시험편을 전자천칭(에이앤드데이사 제조 「FA200」)으로 1 mg 단위까지 칭량하고, 이어서 이온교환수 속에 1분간 침지한다. 이어서, 회전수 1000 rpm, 회전 시간 10초로 설정한 물 차단 탈수 장치(다이에가가쿠세이키세이사쿠쇼사 제조)로 탈수하여, 즉시 상기 전자천칭으로 같은 식으로 칭량한다. 탈수 후의 시험편의 칭량치로부터 침지하기 전의 시험편의 칭량치의 차(증가 질량)를 구하고, 그 질량을 시험편의 면적(0.0154 평방미터)로 나 눠, 탈수 후의 단위면적당 물 부착량(단위 : g/m2)을 산출하여 탈수성으로 했다.
10. 밀봉부 내수도
밀봉부의 시험편 제작
제작한 적층체를 30 cm 사방으로 재단하고, 또한 그 천을 중심으로 십자로 절단하여 동일 치수의 정방형의 시험편을 4장 제작했다. 이들을 서로 원래의 형태가 되도록 재봉하여 십자형의 꿰맨 자리가 중심에 있는 시험편을 제작했다. 봉착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접의 폭을 7 mm로 하고, 시접을 쓰러뜨린 다음에, 꿰맨 자리의 단부에 병행하여 더블스티치 처리를 했다. 봉제사는 폴리에스테르 재봉사(50번수)를 이용했다. 이 시험편에 밀봉 테이프(저팬고어텍스사 제조 「고어시임테이프」, 수지 유동치가 180℃에 있어서 100×10-3 cm3/초, 수지 두께가 각각 100 μm, 150 μm, 폭이 함께 22 mm)를 핫에어 시일(W. L. GORE&ASSOCIATES사 제조 「5000E」)을 이용하여, 설정 온도 700℃, 가공 속도 4 m/분의 조건으로 밀봉 처리를 했다.
밀봉부의 내수도 시험은 JIS L 1096(저수압법)에 기재된 내수도 시험 장치(다이에가가쿠세이키세이사쿠쇼사 제조 「쇼퍼형 내수도 시험기 WR-DM 타입」)를 이용하여, 초기와 세탁 20회 처리 후의 시험편에 대해서 실시했다. 시험편의 밀봉 처리한 부위에 밀봉 처리를 실시한 쪽에서 20 kPa의 수압을 가하여 1분간 유지한 후에, 그 시험편의 수압을 가한 측과 반대쪽의 표면에 물이 나타나고 있는 경우에는 내수성 불량으로 불합격이라고 판정하고, 물이 전혀 관찰되지 않는 경우에는 합 격이라고 판정했다.
세탁 처리는 가정용 전자동세탁기(마쓰시타덴키산교사 제조 「NA-F70PX1」을 이용하여 실시하여, 실온에서 24시간 매달아 말리는 건조를 하는 공정을 1 사이클로 했다. 이 사이클을 20회 반복한 것을 세탁 20회 처리 후의 내수도 시험에 제공했다. 세탁을 할 때에는 35×35 cm의 부하포(負荷布)(JIS L 1096에 규정된 면옥양목으로 만든 것으로, 주위를 봉제하여 실밥이 풀리지 않게 한 것)를 시험편이 되는 천과의 합계량이 300±30 g가 되도록 조정하여 이용했다. 세탁은 수돗물 40 리터와 세탁용 합성세제(가오사 제조「어택」) 30 g를 사용하여 6분간 행하고, 이어서, 헹구기를 2회, 탈수를 3분간 실시했다.
11. 마찰 계수
ASTM D 1894-99의 규정에 따라서, 측정 장치에, 신도가가쿠사 제조의 표면성 측정기「트라이보기아 Type 14DR」를 이용하여, 시험편(적층체)의 밀봉 처리가 실시되는 쪽에 적층된 직물면끼리의 정마찰 계수 및 동마찰 계수를 측정했다. 측정은 직물면의 세로 방향끼리 또 세로 방향과 가로 방향에서 행하고, 그 평균치를 적층체의 밀봉 처리가 실시되는 쪽에 적층되는 직물의 정마찰 계수 및 동마찰 계수로 했다.
[적층체의 제작]
적층체 1
가요성의 방수 투습성 필름으로서, 단위면적당 질량이 33 g/m2인 다공질 PTFE 필름(저팬고어텍스사 제조, 공극율 80%, 최대 세공 직경 0.2 μm, 평균 두께30 μm)을 이용하여, 섬유 제품으로 가공할 때에 밀봉 처리가 실시되는 쪽에 적층되는 직물로서, 경사 및 위사의 커버 펙터의 합계치가 1117인 나일론제 평직 조직의 직물 A(섬도가 경사, 위사 모두 17 dtex, 필라멘트수가 경사, 위사가 모두 5 라인, 밀도가 경사 : 138 라인/2.54 cm, 위사 : 133 라인/2.54 cm, 단위면적당 질량 19 g/m2)를 이용하고, 다른 쪽에 적층되는 포백으로서, 나일론제 평직 조직의 직물 B(섬도가 경사, 위사 모두 17 dtex, 밀도가 경사 165 라인/2.54 cm, 위사 194 라인/2.54 cm, 단위면적당 질량 27 g/m2)를 이용했다.
또한, 다공질 PTFE 필름에 도포하는 친수성 수지로서 친수성 폴리우레탄 수지(다우케미컬사 제조 「하이폴2000」)에 NCO/OH의 당량비가 1/0.9가 되는 비율로 에틸렌글리콜을 가하고, 혼합 교반하여 폴리우레탄 프리폴리머의 도포액을 제작했다.
이 폴리우레탄 프리폴리머의 도포액을 상기 다공질 PTFE 필름의 한 면에 롤 코터로 도포(필름 표층의 일부에 함침)했다. 이 때의 도포량은 10 g/m2였다. 이어서 온도 80℃, 습도 80%RH로 조정한 오븐에 1시간 넣어 수분과의 반응에 의해 경화시켜, 다공질 PTFE 필름의 한 면에 친수성 폴리우레탄 수지층을 형성했다. 이 다공질 PTFE 필름의 한 면에 형성한 친수성 폴리우레탄 수지층 쪽에는 상기 직물 A를 적층하고, 다른 쪽에는 직물 B를 적층했다.
상기 직물 A, B와 다공질 PTFE 필름의 접착에는 우레탄계 습기 경화 반응형 핫멜트 접착제(히타치카세이포리마사 제조 「하이본4811」)를 사용했다. 접착제 온도를 120℃로 하고, 접착제 전사량이 5 g/m2가 되도록 다공질 PTFE 필름 상에 그 용융액을 커버율 40%의 그라비아 롤로 점형으로 도포한 후, 롤로 압착했다. 롤 압착한 후, 60℃, 80%RH의 항온 항습 챔버에 24시간 방치하여, 반응형 핫멜트 접착제를 경화시켜, 3층 구조의 적층체를 얻었다.
이어서, 3층 구조의 적층체의 직물 B에 발수 처리를 실시했다. 발수제(메이세이가가쿠고교사 제조 「아사히가드 AG7000」)를 3 질량%, 물 97 질량%를 혼합한 분산액을 조제하여, 이것을 직물 B의 표면에 키스코터로 포화량 이상으로 도포하고, 이어서 맹글 롤로 필요 이상의 분산액을 짜내었다. 이 때 직물에 흡수된 분산액의 도포량은 약 20 g/m2였다. 또한 이 옷감을 열풍 순환식 오븐에 의해, 130℃, 30초의 조건으로 건조시켜, 발수 처리를 실시한 3층 구조의 적층체 1을 얻었다. 도 5는 적층체 1의 밀봉 처리측에 적층한 직물의 전자현미경 사진(배율 : 25배)이다.
적층체 2
적층체 1에 있어서의 직물 B 대신에, 나일론제 평직 조직의 직물 C(섬도가 경사, 위사가 모두 78 dtex, 밀도가 경사 : 120 라인/2.54 cm, 위사 90 라인/2.54 cm, 단위면적당 질량이 66 g/m2)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적층체 1과 동일한 조건으로 가공을 하여, 3층 구조의 적층체 2를 얻었다. 한편, 발수제 분산액의 도포량은 25 g/m2였다.
적층체 3
적층체 1에 있어서의 밀봉 처리가 실시되는 쪽에 적층되는 직물로서 경사 및 위사의 커버 펙터의 합계치가 1275인 나일론제 평직 조직의 직물 D(섬도가 경사, 위사가 모두 33 dtex, 필라멘트수가 경사 6 라인, 위사 10 라인이며, 밀도가 경사 121 라인/2.54 cm, 위사 101 라인/2.54 cm, 단위면적당 질량 25 g/m2)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적층체 1과 동일한 조건으로 가공을 하여, 3층 구조의 적층체 3을 얻었다.
적층체 4
나일론제 평직 조직의 직물 C를 이용하고, 이것에 발수 가공을 행했다. 발수 가공은 후기하는 폴리우레탄 수지 용액을 도포할 때에, 그 용액이 포백을 투과해 버리지 않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실시하는 것이다. 발수제(다이닛폰잉키가가쿠고교사 제조 「DIC 가드 F-18」) 1 질량%와, 물 99 질량%를 혼합한 분산액을 조제하여, 이것을 직물 C의 표면에 키스코터로 포화량 이상으로 도포하고, 이어서 맹글 롤로 필요 이상의 분산액을 짜냈다. 이 때의 분산액의 도포량은 약 25 g/m2였다. 또한 이 옷감을 열풍 순환식 오븐에 의해 130℃, 30초의 조건으로 건조시켰다.
발수 처리 후의 직물 C의 한 면에, 표 1에 나타내는 조성의 폴리우레탄 수지 용액을 나이프오버롤 코터를 이용하여 도포량이 200 g/m2가 되도록 도포했다. 도포 후의 직물 C를 N,N-디메틸포름아미드의 10 질량% 수용액을 만족한 응고욕 중에, 30℃의 온도 하에서 5분간 침지하여 폴리우레탄 수지를 습식 응고시켰다. 계속해서, 이것을 60℃의 온수 속에서 10분간 세정하여, 140℃에서 열풍 건조하고, 발수 처리 후의 직물 C의 한 면에 다공질 폴리우레탄층을 형성시켰다.
이어서, 이 다공질 폴리우레탄층의 다른 쪽의 표면에(섬유 제품으로 가공할 때에 밀봉 처리가 실시되는 쪽에 상당), 나일론제 평직 조직의 직물 A를 적층체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적층 가공하여, 3층 구조의 적층체 4를 얻었다.
성분 함유량(질량부)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우레탄 수지 용액 다이닛폰잉키가가쿠고교사 제조 「크리스본 MP-829」 50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우레탄 수지 용액 다이닛폰잉키가가쿠고교사 제조 「크리스본 MP-829H」 20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다이닛폰잉키가가쿠고교사 제조 「크리스본 CL-10」 1
제막조제 다이닛폰잉키가가쿠고교사 제조 「크리스본 SD-17B」 2
N,N-디메틸포름아미드 27
적층체 5
나일론제 평직 조직의 직물 C를 이용하여 이것에 발수 가공을 했다. 발수 가공은 후기하는 아크릴 수지 용액을 도포할 때에, 그 용액이 포백을 투과해 버리지 않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실시하는 것이다. 발수제(다이닛폰가가쿠고교사 제조 「DIC 가드 NH-10」) 5 질량%와, 미네랄 타펜 95 질량%를 혼합한 용액을 조제하여, 이것을 직물 C의 표면에 키스코터로 포화량 이상으로 도포하고, 이어서 맹글 롤로 필요 이상의 용액을 짜내었다. 이 때의 용액의 도포량은 약 25 g/m2였다. 또한 이 천을 열풍 순환식 오븐에 의해, 150℃, 60초의 조건으로 건조시켰다.
발수 처리 후의 직물 C의 한 면에 표 2에 나타내는 조성의 아크릴 수지 용액을 플로팅 닥터나이프 코터를 이용하여 도포량이 40 g/m2가 되도록 도포했다. 도포 후의 직물 C를 90℃, 40초의 조건으로 열풍 건조하여, 직물 C의 한 면에 아크릴 수지층을 형성시켰다.
이어서, 이 아크릴 수지층의 다른 쪽의 표면에(섬유 제품으로 가공할 때에 밀봉 처리가 실시되는 쪽에 상당), 나일론제 평직 조직의 직물 A를 적층체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적층 가공하여, 3층 구조의 적층체 5를 얻었다.
성분 함유량(질량부)
아크릴 수지 용액 다이닛폰잉키가가쿠고교사 제조 「크리스코트 AC-100」 82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다이닛폰잉키가가쿠고교사 제조 「크리스본 NX」 2
톨루엔 16
적층체 6
적층체 1에 있어서의 밀봉 처리가 실시되는 쪽에 적층되는 직물로서, 경사 및 위사의 커버 펙터의 합계치가 1352인 나일론제 평직 조직의 직물 E(섬도가 경사, 위사가 모두 17 dtex, 필라멘트수가 경사, 위사 모두 5 라인이며, 밀도가 경사 182 라인/2.54 cm, 위사 146 라인/2.54 cm, 단위면적당 질량이 30 g/m2)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적층체 1과 동일한 조건으로 가공을 하여, 3층 구조의 적층체 6을 얻었다.
적층체 7
적층체 1에 있어서의 밀봉 처리가 실시되는 쪽에 적층된 직물 A에도 적층체 1에서 사용한 발수제 혼합액을 키스코터로 포화량 이상으로 도포하고, 이어서 맹글 롤로 필요 이상의 분산액을 짜내었다. 이 때의 천에 흡수된 분산액의 도포량은 약 15 g/m2였다. 또한 이 천을 열풍 순환식 오븐에 의해, 130℃, 30초의 조건으로 건조시켜, 적층체 7을 얻었다.
적층체 8
적층체 2에 있어서의 밀봉 처리가 실시되는 쪽에 적층된 직물 A의 표면에도 적층체 7과 마찬가지로 발수 처리를 하여, 적층체 8을 얻었다.
적층체 9
적층체 3에 있어서의 밀봉 처리가 실시되는 쪽에 적층된 직물 D의 표면에도 적층체 7과 마찬가지로 발수 처리를 하여 적층체 9를 얻었다.
적층체 10
적층체 4에 있어서의 밀봉 처리가 실시되는 쪽에 적층된 직물 A의 표면에도 적층체 7과 마찬가지로 발수 처리를 하여 적층체 10을 얻었다.
적층체 11
적층체 6에 있어서의 밀봉 처리가 실시되는 쪽에 적층된 직물 E의 표면에도 적층체 7과 마찬가지로 발수 처리를 하여, 적층체 11을 얻었다.
적층체 12
적층체 1에 있어서의 밀봉 처리가 실시되는 쪽에 적층되는 직물 대신에, 나일론66 섬유로 이루어지는 트리코트 니트 F(웰, 코스 모두 섬도 22 dtex로, 웰 밀도 36 라인/2.54 cm, 코스 밀도 50 라인/2.54 cm, 단위면적당 질량 33 g/m2)를 사용하고, 적층할 때 접착제 전사량을 8 g/m2로 한 것 이외에는 적층체 1과 동일한 조건으로 가공을 하여, 3층 구조의 적층체 12를 얻었다. 도 6은 적층체 12의 밀봉 처리측에 적층된 트리코트 니트의 전자현미경 사진(배율 : 25배)이다.
적층체 13
적층체 12에 있어서의 직물 B 대신에 직물 C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적층체 12와 동일한 조건으로 가공을 하여, 3층 구조의 적층체 13을 얻었다.
적층체 14
일본 특허 제3346567호 공보의 예 1(미국 특허 제5209969호 명세서의 실시예 1)에 개시된 친수성 폴리우레탄 수지로 구성되는 마모 저항층을 갖는 방수 투습성 복합 필름을 제작했다. 이 친수성 폴리우레탄 수지는 마모 저항성 폴리머의 도트의 구성 재료로서 이용되어 있는 것이다.
45℃의 조건 하에서, 244 질량부의 에틸렌/프로필렌옥사이드폴리올에 100 질량부의 헥사메틸렌디아민(HMD)을 넣고, 얻어진 혼합물 속에 CO2를 버블링하여, 고형분이 35 질량%인 페이스트로 했다. 이 페이스트 중의 모든 HMD가 HMD 카르바메이트로 전환할 때까지, 적정(滴定)에 의해 유리(遊離) HMD의 함유율 저하를 감시하여, 유리 HMD가 없어지자마자 곧바로 반응을 정지시켰다.
이어서, 43 질량부의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와 83 질량부의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의 반응 생성물인 폴리우레탄 프리폴리머 126 질량부에 31 질량부의 상기 페이스트를 실온에서 첨가하여, 폴리우레탄 프리폴리머와 HMD 카르바메이트를 함유하는 혼합액을 얻었다. 얻어진 혼합액은 7 질량%의 HMD 카르바메이트를 함유하는 것이다.
적층체 1에서 사용한 다공질 PTFE 필름의 친수성 폴리우레탄 수지층을 형성한 면에 70℃로 조정한 상기한 혼합액을 도포량이 15 g/m2가 되도록 그라비아프린트법에 의해 도포했다. 여기서, 그라비아 롤에는 8 라인/2.54 cm의 밀도로, 개구 면적율 40%(도트의 직경이 2.1 mm인 원형이며, 인접하는 도트의 중심 사이 거리가 3.175 mm이고, 연속된 정육각형의 각 정점과 그 중심부에 도트를 배열한 형태)인 것을 이용했다. 도포 후의 필름을 180℃로 승온한 핫 플레이트 상에서 가열하고, 도포한 폴리우레탄 수지를 경화시켜, 한 면(섬유 제품으로 가공할 때에 밀봉 처리가 실시되는 쪽에 상당)에 마모 저항성 폴리머의 도트를 갖는 가요성의 방수 투습성 필름을 얻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얻은 방수 투습성 필름의 다른 쪽에 직물 B를 적층체 1과 동일한 조건으로 적층 및 발수 처리하여, 2층 구조의 적층체 14를 얻었다.
적층체 15
적층체 1의 밀봉 처리가 실시되는 쪽에, 경사 및 위사의 커버 펙터의 합계치가 1480인 나일론제 평직 조직의 직물 G(섬도가 경사, 위사가 모두 17 dtex, 밀도가 경사 165 라인/2.54 cm, 위사 194 라인/2.54 cm, 단위면적당 질량이 27 g/m2)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적층체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가공을 하여, 3층 구조의 적층체 15를 얻었다.
적층체 16
적층체 1에 있어서의 밀봉 처리가 실시되는 쪽에 적층되는 직물로서 경사 및 위사의 커버 펙터의 합계치가 1436인 나일론제 평직 조직의 직물 H(섬도가 경사, 위사가 모두 33 dtex, 필라멘트수가 경사 6 라인, 위사 10 라인이며, 밀도가 경사 126 라인/2.54 cm, 위사 124 라인/2.54 cm, 단위면적당 질량28 g/m2)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적층체 1과 동일한 조건으로 가공을 하여, 3층 구조의 적층체 16을 얻었다.
적층체 17
적층체 12에 있어서, 트리코트 니트 F의 표면에도 적층체 7과 같은 식의 발수 처리를 하여 적층체 17을 얻었다.
적층체 18
적층체 13에 있어서, 트리코트 니트 F의 표면에도, 적층체 7과 같은 식의 발수 처리를 하여 적층체 18을 얻었다.
적층체 19
적층체 14에 있어서, 다공질 PTFE 필름에 도트를 형성한 면에 적층체 7과 같은 식의 발수 처리를 하여, 적층체 19를 얻었다.
적층체 20
적층체 15에 있어서, 직물 G의 표면에도 적층체 7과 같은 발수 처리를 하여 적층체 20을 얻었다.
적층체 21
적층체 16에 있어서, 직물 H의 표면에도 적층체 7과 같은 식으로 발수 처리를 하여 적층체 21을 얻었다.
적층체 22
적층체 1에 있어서의 직물 A 대신에 경사 및 위사의 커버 펙터의 합계치가 688인 나일론제 평직 조직의 직물 I(섬도가 경사, 위사가 모두 17 dtex, 필라멘트수가 경사, 위사 모두 5 라인이며, 밀도가 경사 99 라인/2.54 cm, 위사 68 라인/254 cm, 단위면적당 질량이 16 g/m2)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적층체 1과 동일한 조건으로 가공을 한 바, 적층 공정에 있어서 직물 I의 표면에 다수의 외관 불량이 되는 눈꼬임 및 주름이 발생하여, 적층체를 얻을 수 없었다.
얻어진 적층체 1∼21에 대해서 적층체 및 이들의 밀봉부에 관해 각종 시험을 실시했다. 그 결과를 표 3∼4에 나타냈다.
Figure 112007072427801-PCT00004
표 3에는 얻어진 적층체를 섬유 제품으로 가공할 때에 밀봉 처리가 실시되는 쪽에 배치되어 있는 직물의 커버 펙터를 나타냈다. 한편, 적층체 12∼14 및 17∼19는 밀봉 처리가 실시되는 쪽에 트리코트 니트 또는 마모 저항층이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커버 펙터의 산출을 할 수 없었다.
Figure 112007072427801-PCT00005
표 4에는 얻어진 적층체의 밀봉 처리부의 내수성에 관한 평가 결과를 나타냈다. 표 4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밀봉 처리가 실시되는 쪽에 적층되어 있는 직물의 커버 펙터가 700∼1400인 적층체 1∼11은 밀봉 처리부의 초기 및 세탁 20회 후의 내수성이 양호하여, 밀봉 처리에 의한 방수 효과가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종래의 적층체의 겉감에 사용되어 있는 나일론제의 평직 직물을 밀봉 처리가 실시되는 쪽에 적층되는 직물로서 채용한 적층체 15 및 16에서는, 밀봉 처리부의 초기 내수성이 낮아, 밀봉 처리에 의한 방수 효과를 얻지 못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것은, 종래의 겉감에 사용되어 있는 나일론제의 평직 직물에서는, 직물의 눈이 지나치게 미세하여, 밀봉 테이프의 핫멜트 수지의 함침성이 불충분하게 되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한편, 적층체 6 및 11의 밀봉 처리부의 세탁 20회 후의 내수성이 저하되고 있지만, 현행 시판되어 있는 것과 동일한 구성인 적층체 12 및 13의 밀봉 처리부의 내수성과 같은 레벨이며, 실용상 문제가 없는 레벨이다. 또한, 적층체7∼11에서는, 밀봉 처리가 실시되는 쪽의 직물에 발수 처리를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밀봉 처리에 의한 방수 효과를 얻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대하여, 현행 시판되어 있는 것과 같은 구성이며, 밀봉 처리가 실시되는 쪽의 직물, 니트, 마모 저항층에 발수 처리를 한 적층체 17∼21에서는, 밀봉부의 세탁 20회 후의 내수성이 저하되고 있어, 밀봉 처리에 의한 방수 효과가 불충분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적층체를 우비 등에 이용하는 경우, 적층체의 밀봉 처리가 실시되는 쪽을 안쪽(인체측)에 이용하는 경우가 많지만, 우비를 우천 하에서 착용하면, 우비의 개구부(소매 입구나 옷단)로부터 빗물이 우비의 안쪽으로 감돌아 들어와, 우비 내측의 포백에 스며드는 현상(위킹)이 일어난다. 이 현상은 우비 내측의 포백(밀봉 처리가 실시되는 쪽의 포백)에 발수 처리를 함으로써 방지할 수 있는데, 밀봉 처리가 실시되는 쪽의 포백에 미리 발수 처리를 하면, 우비 봉제 후에 이루어지는 밀봉 처리에 악영향을 주기 때문에, 종래 기술에서는 유효한 위킹 대책을 취하기 어렵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적층체는, 밀봉 처리가 실시되는 쪽의 직물에 발수 처리를 하고 있더라도, 밀봉 처리에 의한 방수 효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위킹 방지의 관점에서 매우 유용하다.
또한, 적층체 1, 2와 적층체 12, 13을 비교하면, 적층체 1, 2에서는, 핫멜트 수지층의 두께가 100 μm, 150 μm의 어느 쪽인 경우도 밀봉 처리에 의한 방수 효과를 얻고 있는 데 대하여, 종래예의 적층체 12, 13에 대해서, 핫멜트 수지층의 두께가 100 μm인 밀봉 테이프를 사용한 경우, 밀봉부의 세탁 20회 후의 내수성이 불량이다. 이 결과는,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하는 밀봉 테이프의 핫멜트 수지의 사용량을 저감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어, 본 발명의 적층체를 가공하여 밀봉 처리하여 얻어지는 섬유 제품의 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Figure 112007072427801-PCT00006
표 5에는 얻어진 적층체 1∼6 및 적층체 12∼16에 대해서, 두께, 질량, 투습성, 인열 강도,인장 강도, 마찰 계수, 탈수성, 벨크로 마모 내구성 등에 관해서 평가한 결과를 나타냈다. 한편, 밀봉 처리가 실시되는 쪽에 적층된 포백에 발수 처리를 행한 적층체 7∼11 및 적층체 17∼21에 관해서도 하기와 같은 결과(탈수성을 제외함)가 인정되었다.
[경량화에 대해서]
경량화에 관해서, 밀봉 처리가 실시되는 쪽에 적층되는 직물 이외 부분의 구성이 동일한 적층체끼리를 비교한다. 예컨대, 적층체 1은 밀봉 처리측에 경사와 위사의 커버 펙터의 합계치가 1117인 나일론제 평직 직물을 적층시킨 것이며, 적층체 12는 이러한 나일론제 평직 직물 대신에 트리코트 니트를 적층시킨 것이다. 적층체 1의 질량은 78 g/m2로, 적층체 12의 질량 93 g/m2로부터, 약 16% 경량화가 달성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적층체 2와 적층체 13도 같은 식으로 비교할 수 있으며, 적층체 2의 질량은 118 g/m2로, 적층체 13의 질량 131 g/m2로부터, 약 10%의 경량화가 달성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적층체를 경량화할 수 있다. 특히, 우비, 가방, 텐트, 침낭 등의 아웃도어용품에는 경량화가 요구되고 있어, 본 발명을 적합하게 적용할 수 있다.
[투습성에 관해서]
적층체 1∼4 및 적층체 6의 투습성은 모두 300 g/m2ㆍh 이상으로, 실용상 문제가 없음을 알 수 있다. 특히, 방수 투습성 필름으로서, 다공질 PTFE 필름을 사용한 적층체 1∼3 및 적층체 6은 투습성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적층체 5의 투습성이 낮은 것은 가요성 필름으로서 투습성이 낮은 아크릴 수지층을 이용했기 때문이다.
[일열 강도ㆍ인장 강도에 관해서]
인열 강도ㆍ인장 강도에 관해서 밀봉 처리가 실시되는 쪽에 적층되는 직물 이외 부분의 구성이 동일한 적층체끼리를 비교한다. 적층체 1, 2의 인열 강도는 각각 적층체 12, 13의 인열 강도에 비해서 낮아지고 있지만, 모두 작업복(비교적 높은 강도가 요구됨)에 필요하게 되는 인열 강도인 10 N을 넘고 있어, 실용상의 문제는 없다. 또한, 적층체 1, 2의 인장 강도는, 적층체 12, 13의 인장 강도와 거의 같은 레벨로 실용상의 문제가 없음을 알 수 있다. 한편, 밀봉 처리측에 포백을 적층하지 않고, 마모 저항성 폴리머의 도트를 형성한 적층체 14에서는, 인열 강도와 인장 강도가 낮아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마찰 계수에 관해서]
적층체 1∼3의 마찰 계수는 모두 0.5 정도 이하로, 양호한 미끄럼성을 보이는 데 대하여, 적층체 12, 13에서는 마찰 계수가 높아졌다. 이것은, 밀봉 처리가 실시되는 쪽에 적층된 니트 조직끼리의 걸림이 원인이라고 추측된다. 또한, 적층체 14에서는 마찰 계수가 더욱 높아지고 있는데, 이것은 밀봉 처리가 실시되는 쪽에 형성한 마모 저항성 폴리머의 도트에 기인하는 마찰 저항이나 걸림이 원인으로 추측된다. 마찰 계수의 낮음은 착탈성, 착용중의 움직이기 쉬움 등의 착용감에 강하게 영향을 줌으로써, 본 발명의 적층체를 이용한 착의 제품은 종래의 적층체를 이용한 착의 제품의 착용감을 대폭 개선하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탈수성에 관해서]
적층체 1, 2와 적층체 12, 13을 비교하면, 적층체 1, 2의 탈수 후의 물 부착량이 적층체 12, 13의 그것보다도 적음을 알 수 있다. 탈수 후의 물 부착량이 적다고 하는 것은 예컨대, 등산중의 강우나, 세탁 등에 의해 젖은 의류(적층체)를 탈수 후에 빠르게 건조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적층체는 탈수 후의 물 부착량이 적어, 아웃도어용의 의류 등에 적합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벨크로 마모 내구성에 관해서]
벨크로 마모 내구성이란, 매직테이프(등록상표)로 대표되는 벨크로 파스너에 대한 의류 등을 구성하는 적층체의 안감의 내마모성이며, 본 발명의 적층체는 이하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벨크로 마모 내구성이 우수하다. 벨크로 마모 시험을 한 적층체 1∼6 중 어느 것에 대하여도 외관에 이상은 발생하지 않았다. 한편, 적층체 12, 13에서는 밀봉 처리측에 적층한 트리코트 니트에 상처가 발생했다. 또한, 적층체 14에서는 다공질 PTFE 필름에 상처가 발생했다. 이들 상처는 방수성의 저하를 야기하기 때문에, 착의 제품에 벨크로 파스너를 이용한 경우, 착의 제품의 방수성을 손상시킬 우려가 있다.
[의류에서의 평가]
적층체 1을 이용하여 아웃도어용 재킷을 봉제 가공했다. 재봉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접의 폭을 7 mm로 하고, 시접을 쓰러뜨린 위에, 꿰맨 자리의 단부에 병행하여 더블스티치 처리를 했다. 봉제사에는, 폴리에스테르 미싱사(50번수)를 이용했다. 봉착부는 밀봉 테이프(저팬고어텍스사 제조 「고어시임테이프」, 수지 유동치가 180℃에서 100×10-3 cm3/초, 수지 두께 100 μm, 폭 22 mm)를 이용하여 밀봉 처리를 했다. 밀봉 처리는 핫에어 시일(W. L. GOREASSOCIATES사 제조「5000E」)을 이용하고, 설정 온도 700℃, 가공 속도 4 m/분의 조건으로 행했다. 이어서, 적층체 12를 이용하여, 동일한 형상의 아웃도어용 재킷을 봉제 가공했다. 봉착부에 수지 두께가 150 μm인 밀봉 테이프(저팬고어텍스사 제조 「고어시임테이프」, 수지 유동치가 180℃에서 100×10-3 cm3/초, 폭22 mm)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상기 적층체 1과 동일한 조건으로 제작했다. 얻어진 재킷의 질량을 비교하면, 적층체 1로 제작한 재킷은 340 g이며, 적층체 12로 제작한 재킷은 410 g이었다. 이 결과, 적층체 1로 제작한 재킷은 적층체 12로 제작한 재킷과 비교하여 약 17% 경량화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재킷의 밀봉 처리부의 외관을 관찰하면, 적층체 1로 제작한 재킷의 밀봉 처리부는 그다지 눈에 띄지 않았지만, 적층체 12로 제작한 재킷은 밀봉 테이프의 엣지부에서 접은 자국이 나, 밀봉 테이프가 눈에 띄기 쉬웠다.
본 발명의 적층체는, 착의 제품, 시트, 텐트와 침낭 등의 섬유 제품 및 방수 투습성이 요구되는 섬유 제품(예컨대, 의료용 방수 시트, 아웃도어용의 착의 제품, 텐트 및 침낭 등)에 적합하게 사용된다.

Claims (15)

  1. 가요성 필름에 직물이 적층되어 있는 적층체로서, 상기 직물은, 상기 적층체를 섬유 제품으로 가공할 때에 밀봉 처리가 실시되는 쪽에 적층되어 있고, 상기 직물을 구성하는 경사 및 위사의 각각에 대하여, 하기의 식에 의해서 산출되는 커버 펙터의 합계치(CFtotal)가 700∼14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체:
    수학식
    Figure 112007072427801-PCT00007
    CFm : 경사의 커버 펙터
    CFt : 위사의 커버 펙터
    Fm : 경사의 섬도(dtex)
    Ft : 위사의 섬도(dtex)
    Dm : 경사의 밀도(라인/2.54 cm)
    Dt : 위사의 밀도(라인/2.54 cm)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의 커버 펙터(CFm) 또는 위사의 커버 펙터(CFt)의 적어도 한 쪽이 300∼800의 범위 내인 적층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을 구성하는 경사 또는 위사의 적어도 한 쪽이 2 라인 이상의 필라멘트로 구성되어 있는 것인 적층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필라멘트의 섬도가 12 dtex 이하인 적층체.
  5.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을 구성하는 경사 또는 위사의 적어도 한 쪽이 장섬유인 적층체.
  6. 제1항 내지 제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을 구성하는 경사 또는 위사의 적어도 한 쪽이 가공사인 적층체.
  7. 제1항 내지 제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이 평직 조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인 적층체.
  8. 제1항 내지 제7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필름이 방수성 필름인 적층체.
  9. 제1항 내지 제7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필름이 방수 투습성 필름인 적층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 투습성 필름이 소수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다공질 필름인 적층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소수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다공질 필름이 상기 직물을 적층하는 쪽에, 친수성 수지층을 갖는 것인 적층체.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소수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다공질 필름이 다공질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필름인 적층체.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필름의 다른 쪽(상기 직물이 적층되어 있는 면과 반대쪽)에 포백이 더 적층되어 있는 적층체.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한 적층체를 일부 또는 전부에 사용하여 가공하여 얻어지는 섬유 제품으로서, 상기 적층체의 상기 직물이 적층된 쪽에 밀봉 처리가 실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 제품.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 제품이 착의 제품인 섬유 제품.
KR1020077023085A 2005-03-10 2006-03-10 적층체 및 이것을 사용한 섬유 제품 KR1013040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068000 2005-03-10
JP2005068000A JP4007994B2 (ja) 2005-03-10 2005-03-10 繊維製品
PCT/JP2006/304774 WO2006095863A1 (ja) 2005-03-10 2006-03-10 積層体、およびこれを使用した繊維製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0436A true KR20070110436A (ko) 2007-11-16
KR101304033B1 KR101304033B1 (ko) 2013-09-04

Family

ID=369534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3085A KR101304033B1 (ko) 2005-03-10 2006-03-10 적층체 및 이것을 사용한 섬유 제품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9315925B2 (ko)
EP (2) EP2460653A1 (ko)
JP (1) JP4007994B2 (ko)
KR (1) KR101304033B1 (ko)
CN (1) CN101137499B (ko)
AT (1) ATE548184T1 (ko)
CA (1) CA2600086C (ko)
CZ (1) CZ305553B6 (ko)
HK (1) HK1116733A1 (ko)
HU (1) HU230011B1 (ko)
NO (1) NO339413B1 (ko)
PL (2) PL1857265T3 (ko)
RU (1) RU2007137566A (ko)
TW (1) TWI381944B (ko)
WO (1) WO200609586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217772A (ja) * 2018-06-21 2019-12-26 マット プロダクト アンド テクノジー,エスエルユー 通気性と防水性のある多層構造のレザー材料とそのレザー材料で形成された製品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07994B2 (ja) 2005-03-10 2007-11-14 ジャパンゴアテックス株式会社 繊維製品
JP4837346B2 (ja) * 2005-09-20 2011-12-14 日本ゴア株式会社 目止めテープおよびこれを用いた繊維製品
JP5209972B2 (ja) * 2006-01-17 2013-06-12 セーレン株式会社 形態変化繊維布帛
US9782947B2 (en) * 2007-05-25 2017-10-10 W. L. Gore & Associates, Inc. Fire resistant laminates and articles made therefrom
EP3524718B1 (en) * 2008-03-10 2023-07-12 Toray Industries, Inc. Raw yarn for air bag, and method for produce of the raw yarn
JP5363145B2 (ja) * 2009-03-04 2013-12-11 帝人フロンティア株式会社 透湿防水性布帛および繊維製品
IT1393835B1 (it) 2009-04-24 2012-05-11 Technofabric S P A Tessuto impermeabile con caratteristiche antiscivolamento (no-slippage), in particolare per offset printing blanket e metodo di fabbricazione dello stesso
US9084447B2 (en) * 2009-05-13 2015-07-21 W. L. Gore & Associates, Inc. Lightweight, durable apparel and laminates for making the same
ES2532881T3 (es) * 2009-11-09 2015-04-01 Coroplast Fritz Müller Gmbh & Co. Kg Cinta adhesiva de tisú con elevada resistencia a la abrasión o desgarre que se puede retirar desgarrando transversalmente
JP5788661B2 (ja) * 2010-10-27 2015-10-07 帝人フロンティア株式会社 透湿防水性布帛および繊維製品
DE102011009510A1 (de) * 2011-01-26 2012-07-26 Tesa Se Klebeband, das insbesondere zur Transportsicherung eingesetzt werden kann
RU2471630C2 (ru) * 2011-02-22 2013-01-10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Профессионального Образования "Амур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Слоистый материал
ES2617214T3 (es) * 2011-04-25 2017-06-15 Teijin Frontier Co., Ltd. Tejidos y producto textil
JP5737219B2 (ja) * 2011-06-20 2015-06-17 日東紡績株式会社 積層体及びその製造方法
CN202742728U (zh) * 2011-06-20 2013-02-20 日东纺绩株式会社 叠层体
CN102431241A (zh) * 2011-09-09 2012-05-02 东北林业大学 定向麻纤维/塑料复合板材的制造方法
JP5973220B2 (ja) * 2012-04-26 2016-08-23 帝人フロンティア株式会社 透湿防水性布帛および繊維製品
JP5596081B2 (ja) * 2012-06-11 2014-09-24 セーレン株式会社 伸縮性コーティング布帛及びその製造方法
US9475258B2 (en) * 2012-06-15 2016-10-25 The Boeing Company Multiple-resin composite structures and methods of producing the same
TWI480295B (zh) * 2012-08-31 2015-04-11 Tai Yuen Textile Co Ltd 表面具有熱融膠的透氣防水薄膜與其形成方法
US10486400B2 (en) 2013-05-14 2019-11-26 Asahi Kasei Fibers Corporation Abrasion-resistant fabric
CN104015414A (zh) * 2014-06-18 2014-09-03 航天海鹰(镇江)特种材料有限公司 一种使用水性粘结剂的气凝胶复合布料及其制备方法
CN104196309A (zh) * 2014-09-12 2014-12-10 张琪 抗老化型帐篷
TWI614378B (zh) * 2015-02-02 2018-02-11 和明紡織股份有限公司 透溼防水紡織品及其製造方法
ES2644486B1 (es) * 2016-04-25 2018-10-09 Alejandra GONZALEZ PERALTA Procedimiento de obtención de prendas deportivas y prenda deportiva obtenida
CN107348614A (zh) * 2016-05-10 2017-11-17 双邦实业股份有限公司 透气防风保暖鞋的制法
CN111971166B (zh) * 2018-03-29 2022-05-31 琳得科株式会社 接合2个被粘物的方法、以及接合结构体的制造方法
JP7021719B2 (ja) * 2019-10-31 2022-02-17 東レ株式会社 液体ろ過用フィルタ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94041A (en) 1978-06-29 1980-03-18 W. L. Gore & Associates, Inc. Waterproof laminate
HU187183B (en) 1982-11-19 1985-11-28 Temaforg Textilhasznosito Vall Flexible structural material of losse structure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JPS62252495A (ja) 1986-04-24 1987-11-04 Nitto Electric Ind Co Ltd 伸縮性布接着テ−プ
JPH022629A (ja) 1988-06-17 1990-01-08 Nec Corp バイポーラトランジス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H0628949B2 (ja) * 1990-05-17 1994-04-20 東レ株式会社 セール用積層体
US5209969A (en) 1992-02-07 1993-05-11 W. L. Gore & Associates, Inc. Carbamate/urethane composition and textile lamination process
US5415924A (en) * 1993-02-05 1995-05-16 Aquatic Design Waterproof, breathable fabric for outdoor athletic apparel
US5308689A (en) * 1993-02-10 1994-05-03 Junkosha Company, Ltd. Snag-resistant composite fabric
EP0856262B1 (en) 1993-03-26 2005-02-09 W.L. Gore & Associates, Inc. Use of a coated polytetrafluoroethylene article in a garment
EP0791674A4 (en) * 1994-11-18 1998-01-14 Asahi Chemical Ind IMPROVED SEWING STRUCTURE FOR WATERPROOF GARMENT
GB9617181D0 (en) 1996-08-15 1996-09-25 Gore W L & Ass Uk Water-vapour-permeable layered material
JPH10298869A (ja) 1997-04-25 1998-11-10 Japan Gore Tex Inc 透湿防水布
US6497934B1 (en) * 1999-08-09 2002-12-24 Specialty Adhesive Film Co. Seam tape for water repellant fabrics
US6294487B1 (en) * 1999-09-24 2001-09-25 Milliken & Company Airbag fabric processing very low cover factor
JP4523699B2 (ja) * 2000-05-12 2010-08-11 ジャパンゴアテックス株式会社 衣服用防水透湿性複合膜
US6537930B1 (en) 2000-05-18 2003-03-25 Tredegar Film Products Corporation Three-dimensional highly elastic film/non-woven composite
JP2002225209A (ja) * 2001-01-30 2002-08-14 Teijin Ltd 透湿防水性耐熱布帛
JP4015434B2 (ja) 2002-02-14 2007-11-28 ジャパンゴアテックス株式会社 積層布帛
JP3945304B2 (ja) * 2002-04-23 2007-07-18 東レ株式会社 透湿防水加工布帛およびそれを用いてなる衣料
CA2461551C (en) * 2002-07-24 2011-12-06 Teijin Fibers Limited Flat multifilament yarn woven fabric
JP2005206994A (ja) 2004-01-26 2005-08-04 Asahi Kasei Fibers Corp 裏材
US8518511B2 (en) * 2004-06-09 2013-08-27 Patagonia, Inc. Reinforced fabric seam
JP4007994B2 (ja) 2005-03-10 2007-11-14 ジャパンゴアテックス株式会社 繊維製品
US7682997B2 (en) * 2005-07-21 2010-03-23 Gore Enterprise Holdings, Inc. Barrier laminates and articles made therefrom
JP4837346B2 (ja) * 2005-09-20 2011-12-14 日本ゴア株式会社 目止めテープおよびこれを用いた繊維製品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217772A (ja) * 2018-06-21 2019-12-26 マット プロダクト アンド テクノジー,エスエルユー 通気性と防水性のある多層構造のレザー材料とそのレザー材料で形成された製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L1857265T3 (pl) 2012-12-31
TW200640682A (en) 2006-12-01
RU2007137566A (ru) 2009-04-20
NO20075163L (no) 2007-12-10
TWI381944B (zh) 2013-01-11
CN101137499A (zh) 2008-03-05
EP2460653A1 (en) 2012-06-06
EP1857265A4 (en) 2010-06-09
WO2006095863A1 (ja) 2006-09-14
CZ2007692A3 (cs) 2007-11-21
ATE548184T1 (de) 2012-03-15
JP2006248052A (ja) 2006-09-21
EP1857265A1 (en) 2007-11-21
PL383763A1 (pl) 2008-05-12
HUP0700656A2 (en) 2009-11-30
EP1857265B1 (en) 2012-03-07
NO339413B1 (no) 2016-12-12
JP4007994B2 (ja) 2007-11-14
HU230011B1 (hu) 2015-05-28
US9315925B2 (en) 2016-04-19
PL228340B1 (pl) 2018-03-30
US20090029617A1 (en) 2009-01-29
KR101304033B1 (ko) 2013-09-04
CA2600086C (en) 2012-08-21
CN101137499B (zh) 2011-05-25
HK1116733A1 (en) 2009-01-02
CA2600086A1 (en) 2006-09-14
CZ305553B6 (cs) 2015-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4033B1 (ko) 적층체 및 이것을 사용한 섬유 제품
KR101300855B1 (ko) 시일링 테이프 및 이것을 이용한 섬유 제품
KR100725077B1 (ko) 적층 직물
KR101348564B1 (ko) 내마모성이 우수한 포백, 복합 포백, 및 섬유 제품, 및 그 제조 방법
JP2009219786A (ja) ランニングシューズ
JP4048229B2 (ja) 防水透湿性繊維製品用積層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