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09792A - 방향지시 메시지전달 음향시스템 - Google Patents

방향지시 메시지전달 음향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09792A
KR20070109792A KR1020067023193A KR20067023193A KR20070109792A KR 20070109792 A KR20070109792 A KR 20070109792A KR 1020067023193 A KR1020067023193 A KR 1020067023193A KR 20067023193 A KR20067023193 A KR 20067023193A KR 20070109792 A KR20070109792 A KR 200701097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alarm
message
control circuit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31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폴 시스테어
Original Assignee
허니웰 인터내셔날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니웰 인터내셔날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허니웰 인터내셔날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701097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97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G08B7/062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indicating emergency exi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3/1008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 G08B3/1016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using wireless transmission
    • G08B3/1025Paging receivers with audible signalling details
    • G08B3/1033Paging receivers with audible signalling details with voice message aler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G08B7/06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guiding along a path, e.g. evacuation path lighting strip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larm Systems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비상구지시장치가 경보지시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적어도 제1 포트를 갖는다. 경보지시신호를 수신할 때 정상작동시에, 장치는 대피를 위하여 경보상황의 존재를 알리는 언어 및 비언어지시를 출력한다. 제2 포트가 비언어출력을 작동시키지 않는다. 제2 포트는 비상구 또는 이에 인접하여 위험 또는 경보상황을 나타내도록 지역감지기에 결합될 수 있다. 감지기가 위험 또는 경보상황의 존재를 나타내는 경우, 비언어출력이 작동되지 않는 반면에 방향지시 언어가 계속하여 발생될 수 있다.
경보시스템, 방향지시 언어메시지.

Description

방향지시 메시지전달 음향시스템 {DIRECTIONAL SOUND SYSTEM WITH MESSAGING}
본 발명은 경보상황시에 비상구의 방향을 지시하기 위한 경보시스템에 사용되는 형태의 지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비상시에 사전에 결정된 언어메시지를 발생할 수 있는 지향성의 방향지시 음향기에 관한 것이다.
경보상황의 경우 이러한 경보상황이 발생된 지역으로부터 사람들을 소개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모니터되는 해당지역에 대피로 또는 비상구 지시장치를 설치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장치는 전등 또는 기타 다른 형태의 비상구표시심볼과 같은 가시적인 지시기, 또는 비상구 또는 대피로의 존재를 알리는 음향기와 같은 가청지시기로 구성된다. 이러한 장치중에서 한 가지 알려진 장치로서는 광대역 방향지시 음향기가 있다.
그러나, 예를 들어 화재의 경우와 같이 경보상황이 발생되었을 때, 경보상황을 알리는 음향이 무엇에 관련된 것인지 잘 알지 못할 수가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음향은 한 층 이상의 위치를 알리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음향은 대피방향을 알리기 위하여 대피로를 따라 배치된 그룹의 일부일 수 있다.
이러한 것에 부가하여, 하나 이상의 대피로 또는 비상구가 사용에 적합하지 않을 수도 있다. 부적합한 것에 따라 나타나는 상황은 각 대피로 또는 비상구에 또는 이에 인접하여 화재 또는 연기가 발생하는 상황도 있을 수 있다. 대피로지시시스템중의 하나가 본원 출원인에게 양도된 2003년 12월 12일자 미국특허출원 제10/734,691호 "System and Method of Disabling an Evacuation Location Device"에 기술되어 있다.
경보상황이 발생된 경우 그 해당지역의 사람들에서 해당지역의 각 장치에 의하여 발생된 음향의 의미에 관한 추가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러한 정보는 실질적으로 장치의 코스트를 증가시킴이 없이 이러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또한, 이러한 기능이 기존의 시스템에 용이하게 결합되는 것이 좋을 것이다.
도 1은 언어출력기능을 갖는 음향시스템의 블록 다아아그램.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평면도.
본 발명이 첨부된 도면의 특정 실시형태에 의하여 설명되고 있으나 다른 실시형태가 제시될 수 있는 것으로, 도시된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고 있는 바, 도시된 실시형태로 본 발명이 제한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방향지시형 음성가청장치(10)의 블록 다이아그램을 보인 것이다. 이 장치(10)는 제어회로(14)를 포함하는 하우징(12)을 갖는다. 제어회로(14)는 본 발 명의 기술사상과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기술로 실현될 수 있다. 달리 제한됨이 없이 전기기계적인 릴레이가 솔리디 스테이트 회로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우선실시형태에서, 프로그래머블 프로세서(14a)와 제어명령(14b)이 상호작용하여 요구된 제어기능을 제공한다. 장치(10)는 매칭 어드레스를 갖는 포트 A에 도달하는 신호에만 응답하는 어드레스검출회로(14c)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회로(14)에는 메시지저장회로(16)가 결합될 수 있다. 이 회로(16)는 프로그램가능한 판독전용메모리를 제공하도록 다양한 기술로 실현될 수 있다. 이러한 메모리의 전형적인 한 예가 플래시 메모리이다.
제어회로(14)는 두개의 상이한 입력신호를 수신한다. 장치(10)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경보입력신호가 경보입력 포트 A에 결합될 수 있다. 선택적인 제2의 포트 E/D가 이후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장치(10)를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 할 수 있도록 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제어회로(14)는 언어출력변환기(20)와 방향지시 비언어출력변환기(22)에 결합된다. 변환기는 공통의 하우징내에 통합될 수 있다. 그 구성에 따라서, 단일의 변환기가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 전문가라면 잘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포트 A에 경보입력이 존재하는 경우, 장치(10)는 변환기(22)를 통하여 가청출력신호를 나타내는 방향지시형의 비언어경보를 발생한다. 조명심볼 또는 플래시 전구와 같은 가시출력지시가 비상구 또는 대피로의 부근에 있는 사람들에게 지시할 수 있도록 포함될 수 있다.
언어출력변환기(20)는 변환기(22)에 의하여 발생된 방향지시 음향출력의 경 보지시특성을 추가할 수 있도록 메시지저장회로(16)의 사전에 결정된 메시지로 구동될 수 있다. 메시지의 예는 다음과 같으며 이들로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윗층 계단입니다"
"아래층 계단입니다"
"다음 음향기까지 통과하십시오"
"여기가 비상구입니다"
"대피구역입니다"
"안전구역입니다"
"화염을 주의하십시오"
"누설가스를 주의하십시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다양한 방향 또는 정보를 언어로 제공하는 것에 부가하여 메시지로 금지구역 또는 안전구역을 확인시켜줄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언어메시지는 피하여 야할 위험이 존재하는 영역 R에 있는 사람들에게 경고할 수 있다.
메시지는 모니터링 시스템으로부터 포트 A에 수신된 지시에 의하여 정하여 질 수 있다. 또는, 메시지는 모니터링 시스템으로부터 포트 A를 통하여 장치(10)에 다운로드될 수 있다. 장치(10)로부터의 언어 및 비언어출력이 바뀌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 전문가라면 잘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장치(10)와 같은 다수의 장치를 작동시키는 경보입력신호는 장치(10)의 부근의 당시 지역조건을 고려한 것은 아니다. 종래기술에서는 출력장치가 경보입력신호에 응답하여 지역조 건에 관계없이 자동적으로 작동되었다.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서, 출력장치(10)는 장치(10)에 관련하여 국지적으로 배치된 주위상황검출기에 결합된다. 예를 들어 이러한 검출기는 달리 제한없이 연기검출기 또는 가스검출기와 같은 화재탐지기일 수 있다.
장치(10)의 E/D 포트에 결합된 검출기로부터의 출력신호는 국지적으로 감지된 위험상황, 연기 또는 화재상황의 존재에서는 장치(10)가 작동되지 않도록 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역경보시스템이 포트 A를 통하여 장치(10)를 작동시키는 경우, 그리고 대피로를 지시하는 일부의 장치(10)가 화재발생부근에 위치하는 경우, 해당지역의 사람들이 화재에 노출되지 않도록 이들 장치의 방향지시 변환기(22)가 작동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은 구성에서, 국지적으로 배치된 검출기를 장치(10)의 E/D 포트에 결합시킴으로서 화재발생지역에 인접 또는 근접한 이들 장치의 작동은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변환기(22)는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언어출력변환기(20)가 계속하여 언어메시지를 발생하는 동안에는 작동되지 않을 수 있다. 포트 A와 함께 E/D 포트에 신호를 반영할 수 있는 이러한 국지추가정보는 단순한 방향지시 비언어음향이 발생되는 경우에 유용한 것 보다 실질적으로 더 큰 범위의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도 2는 지역경보시스템(30)에 의하여 모니터되는 지역 R의 일부를 보인 것이다. 통상적인 경보시스템(30)은 지역 R의 전역에 분산된 다수의 검출기(32)를 포함한다.
검출기(32)는 경보시스템(30)에 달리 제한없이 유선 또는 무선매체(34)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경보시스템(30)은 다수의 검출기(32)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평가하고 화염 또는 연기의 존재를 통하여 화재상황이 영역 R의 일부에 존재한다는 것을 결정한다.
이러한 결정에 응답하여, 예를 들어 라인(30a)을 통하여 경보시스템(30)은 장치(10)에 해당하는 하나 또는 다수의 가청출력장치(40)를 작동시킬 수 있다. 지시기(40-1, 40-2...40-n)로 보인 바와 같은 각 장치(40)는 일부 또는 전체의 지역 R을 통하여 대피로 E 또는 비상구의 국지상황을 확인하고 가청음으로 지시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각 장치(40)는 라인(30a)에 결합된 경보신호입력포트 A를 갖는다. 따라서, 정상작동시에 지역경보시스템(30)은 지역 R의 일부경보상황을 감지할 때 다수의 장치(40)를 작동시킬 수 있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이러한 작동은 장치(40-i)의 부근의 국지상황에 관계없이 이루어진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도 1의 장치(10)에 대하여서는 어드레스회로(14c)에 의하여 검출된 어드레스에 의하여 지정되어 선택된 언어메시지가 방향지시 비언어음향과 함께 장치(40-i)로부터 발생될 수 있다. 다른 장치(40)는 다른 메시지를 발생할 수 있다.
라인(30a)에 경보지시신호를 추가하는 것은 다수의 화재검출기(50)이다. 이들 검출기(50-1,50-2...50-n)는 대피로 E의 부분과 비상구의 부근을 따라 분산배치된다. 다수의 검출기(50)는 대피로 E 또는 이에 인접하여 그리고 비상구에 인접하여 연기 또는 화재관련상황에 관하여 반응한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다수의 검 출기(50)는 비상구에 인접하거나 그 부근의 국지적인 연기/화재상황에 따라서 다수의 방향지시 가청출력장치(40)의 일부 또는 전부를 작동시키지 않도록 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신호는 메시지저장장치(16)로부터 장치(40-i)에 의하여 발생될 하나 이상의 언어메시지를 지정할 수 있다.
도 2에서 보인 바와 같이, 검출기(50-1... 50-4)가 지시기 또는 발성장치(40-1)의 E/D 포트에 결합된다. 만약 어떠한 검출기가 예를 들어 감지된 온도, 감지된 연기, 감지된 화염, 이산화탄소와 같은 감지된 가스일 수 있는 국지적인 경보상황을 나타내는 경우, 위험상황을 검출한 이들 검출기(50-1...50-4)는 국지적으로 감지된 상황에 기초한 장치(40-I)의 방향지시 비언어출력을 억지할 수 있다. 언어메시지는 정보를 제공토록 계속하여 발생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대피로지시장치(40-2)의 E/D 포트에 결합된 검출기(50-5, 50-6)는 출력장치(40-2)의 근접영역에서 대피로 E 또는 그 부근에 위험상황이 있는 경우 이로부터 방향지시 음향, 언어출력 또는 가시출력이 발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장치(50-1...50-4)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출력장치(40-2)의 E/D 포트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출력장치(40-3...40-n)은 비상대피로 E를 따라 또는 이에 인접하여 배치된 다수의 검출기(50-7...50-m)에 결합된다. 검출기(50-7...50-m)의 일부는 각 출력지시장치(40-3...40-n)의 일부가 방향지시 음향출력을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나, 언어출력을 발생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 전문가라면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일부 형태의 활성/비활성 포트가 접점이 평상시에 개방되어 있거나 평상시에 폐쇄되어 있는 단자를 가질 수 있다. 이들 단자중의 하나를 평상시에는 개방되었다가 접점이 폐쇄되거나 평상시에는 폐쇄되어 있다가 개방될 수 있도록 하는 상태변화는 각 출력지시장치가 작동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검출기로부터 평상시 개방되어 있는 접점 또는 평상시 폐쇄되어 있는 접점이 이러한 형태의 E/D 입력포트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평상시 개방되어 있는 접점의 경우, 검출기는 각 검출기의 출력을 위한 "or" 기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포트에 평행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접점이 평상시에 폐쇄되어 있는 경우, 검출기는 "or" 기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포트에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 전문가라면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다수의 검출기(50)가 요구된 "or"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이들의 각 프로토콜에 따라서, 다수의 장치(40)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대피로를 확인시키는 것과 동시에 언어메시지를 발생하는 것은 지역 R의 상황에 응답하여 역동적으로 달라질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이 점에 관하여, 만약 화재가 확산되는 경우, 발생되는 언어메시지는 "다음 음향기까지 통과하십시오"라는 메시지로부터 "화염을 주의하십시오"라는 메시지로 바뀔 수 있다.
이상으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그 기술사상과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여러 변경실시형태와 수정실시형태가 제시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도시된 특정 장치에 대하여서는 달리 제한이 없거나 추측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물론, 이러한 모든 수정실시형태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그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Claims (26)

  1. 작동시에 방향을 지시하는 가청형 비언어경보지시를 발생하는 방향지시 가청출력장치; 출력장치를 작동시키도록 경보지시제어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입력포트; 경보상황에 관련하여 사전에 결정된 언어메시지를 발생하기 위한 변환기와; 출력장치, 입력포트와, 변환기에 결합된 제어회로로 구성되고, 제어회로가 수신된 경보지시제어신호에 응답하여 방향지시의 경보지시를 발생토록 방향지시 출력장치를 작동시키고 적어도 하나의 사전에 결정된 메시지를 발생토록 변환기를 작동시키며, 방향지시의 경보지시가 없는 경우 메시지가 발생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경보지시음향기.
  2. 제1항에 있어서, 제어회로가 제1 시간중에 출력장치를 작동시키고 제2의 다른 시간중에 변환기를 작동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기.
  3. 제1항에 있어서, 입력포트가 변환기에 의하여 출력될 적어도 하나의 사전에 결정된 메시지를 수신함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기.
  4. 제3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메시지가 부분적으로 저장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기.
  5. 제3항에 있어서, 출력장치를 작동시키지 않는 입력포트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기.
  6. 제5항에 있어서, 출력장치가 작동치 않을 때도 제어회로가 적어도 하나의 메시지를 발생함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기.
  7. 제6항에 있어서, 경보상태가 존재하여 출력장치가 작동되고 비언어경보지시를 발생할 수 있을 때 제어회로가 제1의 언어메시지를 발생하고, 출력장치가 작동치 않을 때 제2의 다른 언어메시지를 발생함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기.
  8. 제7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메시지가 제어회로에 부분적으로 저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기.
  9. 제8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메시지가 제어회로에 부분적으로 저장도록 제어회로에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기.
  10. 각각 경보상황을 나타내는 언어출력과 비언어출력의 상이한 적어도 두 음향출력을 발생하며 출력비활성 제어포트를 갖는 출력장치와, 주위상황검출기로 구성되고, 검출기가 사전에 결정된 경보상황의 존재를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경보출력을 가지며, 경보출력이 사전에 결정된 경보상황의 발생시에 장치의 비언어출력을 적어도 간헐적으로 비활성시키기 위하여 제어포트에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검출기가 적어도 하나의 연기검출기, 화염검출기, 가스검출기 또는 열검출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2. 제10항에 있어서, 비활성 신호에 응답하는 포트에 결합된 제어회로를 포함하는 장치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3. 제10항에 있어서, 장치가 메시지저장회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비활성 제어포트에 수신된 신호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언어출력메시지를 지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매체에 의하여 제1 제어회로에 결합된 다수의 제1 주위상황검출기, 제1 매체에 의하여 제2 제어회로에 결합된 다수의 제2 출력장치와, 다수의 제3 주위상황검출기를 포함하고, 다수의 제3 검출기의 적어도 일부가 국지적으로 감지되는 사전에 결정된 상황에 응답하여 방향지시성 비언어음향의 출력을 비활성시키도록 각 출력장치에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각 출력장치의 적어도 일부가 비활성 포트를 포함하고 다수의 제3 검출기의 적어도 일부로부터의 각 출력이 각 비활성 포트에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7. 제15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제어회로가 함께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8. 제17항에 있어서, 제1 제어회로가 제2 제어회로에 제어신호를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9. 제15항에 있어서, 방향지시의 비언어음향출력이 없는 경우 출력장치의 적어도 일부가 계속하여 적어도 언어출력을 발생함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0. 어떠한 지역에서 위험상황이 존재함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지역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비상구를 나타내는 지시를 제공하는 단계와, 위험상황이 비상구의 부근에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하고 이에 응답하여 비상구의 부근에서 방향시지의 비언어음향 및 언어음향출력을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단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지시를 제공하는 단계가 비상구를 나타내는 가시적인 지시 와 언어출력을 제공하는 단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2. 제20항에 있어서, 위험상황을 결정하는 단계가 상기 지역에 화재가 존재함을 결정하는 단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3. 제21항에 있어서, 비상구의 부근에 화재가 존재하는 경우 비언어출력이 억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비언어출력이 없는 경우에도 언어출력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5. 제22항에 있어서, 다수의 각 비상구에 대하여 비상구의 부근에 화재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하고 이에 응답하여 각 비상구에 대한 방향지시 출력을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함 특징으로 하는 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방향지시 출력의 종료에 응답하여 언어출력메시지를 선택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67023193A 2005-03-25 2006-01-27 방향지시 메시지전달 음향시스템 KR2007010979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090,536 2005-03-25
US11/090,536 US7330125B2 (en) 2005-03-25 2005-03-25 Directional sound system with messag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9792A true KR20070109792A (ko) 2007-11-15

Family

ID=37034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3193A KR20070109792A (ko) 2005-03-25 2006-01-27 방향지시 메시지전달 음향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330125B2 (ko)
EP (1) EP1869653A4 (ko)
KR (1) KR20070109792A (ko)
CN (1) CN101164087B (ko)
AU (1) AU2006229632B2 (ko)
CA (1) CA2565826C (ko)
WO (1) WO2006104554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515269D0 (en) * 2005-07-26 2005-08-31 Sound Alert Ltd Locatable information sound device and method
US7605687B2 (en) * 2006-11-09 2009-10-20 Gary Jay Morris Ambient condition detector with variable pitch alarm
US20080204267A1 (en) * 2007-02-28 2008-08-28 Honeywell International, Inc. Detector/Module Integrated Emergency Signs
FR2918493B1 (fr) * 2007-07-03 2011-04-08 Sncf Procedes et dispositifs de guidage sonore multidirectionnel
FI120896B (fi) * 2008-09-10 2010-04-15 Marimils Oy Menetelmä ja järjestelmä ohjaamiseksi, opastamiseksi ja varoittamiseksi
JP5728159B2 (ja) 2010-02-02 2015-06-03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8175884B1 (en) 2011-02-08 2012-05-08 Gary Jay Morris Environmental condition detector with validated personalized verbal messages
DE102012003584A1 (de) * 2012-02-27 2013-08-29 Job Lizenz Gmbh & Co Kg Verfahren zur Steuerung einer Gefahrenmeldeanlage und Gefahrenmeldeanlage
SE536754C2 (sv) * 2012-11-22 2014-07-15 Interactive Inst Ii Ab Metod och anordning för att generera en auditiv underrättelsesignal
CN109686024A (zh) * 2017-12-31 2019-04-26 湖南汇博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火灾逃生播报方法及系统
JP2019175397A (ja) * 2018-03-29 2019-10-1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音響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0803715B2 (en) * 2018-07-23 2020-10-13 Abb Schweiz Ag Intelligent emergency evacuat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48023A (en) * 1977-05-02 1979-04-03 E.D.I. Safety Devices, Inc. Emergency exit indicator
US4288789A (en) * 1979-09-14 1981-09-08 George C. Molinick Alarm system with verbal message
US4385586A (en) * 1981-09-04 1983-05-31 Schriever Frederick G Escape/rescue system
JPS62276689A (ja) * 1986-05-26 1987-12-01 ホーチキ株式会社 避難誘導表示器の制御装置
US4812821A (en) * 1987-04-24 1989-03-14 Santy Michael J Visual fire alert system
GB8827787D0 (en) * 1988-11-28 1988-12-29 Millbank Electronics Group Ltd Safety system
GB2238412A (en) * 1989-11-21 1991-05-29 Richard Bone Exit signalling device
WO1995032488A1 (fr) * 1994-05-25 1995-11-30 Robert Serina Installation de guidage en cas d'evacuation d'urgence
DE69623023T2 (de) 1995-07-07 2003-04-17 Sound Alert Ltd Ortungseinrichtungen
US6150943A (en) * 1999-07-14 2000-11-21 American Xtal Technology, Inc. Laser director for fire evacuation path
US6518878B1 (en) * 2000-03-30 2003-02-11 Roger E. Skoff Warn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214809A1 (en) 2006-09-28
CN101164087B (zh) 2011-04-27
US7330125B2 (en) 2008-02-12
AU2006229632B2 (en) 2009-01-22
EP1869653A2 (en) 2007-12-26
EP1869653A4 (en) 2010-08-04
AU2006229632A1 (en) 2006-10-05
CN101164087A (zh) 2008-04-16
WO2006104554A3 (en) 2007-12-13
WO2006104554A2 (en) 2006-10-05
CA2565826C (en) 2009-11-10
CA2565826A1 (en) 2006-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109792A (ko) 방향지시 메시지전달 음향시스템
CA2359625C (en) Environmental condition detector with audible alarm and voice identifier
US3916404A (en) Detecting, alerting and directing system
DE602004022983D1 (de) Alarmeinheit
WO200904569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livering directional audio and personalized emergency alerts via addressable speakers
KR101102752B1 (ko) 인공지능형 화재경보 음향장치
US11176788B2 (en) Emergency notification system and method
JP3148429U (ja) 警報器
JP2005293204A (ja) 防災機器
JP5507930B2 (ja) 警報器及び警報システム
US7061392B2 (en) System and method of disabling an evacuation location device
JP4789318B2 (ja) 火災警報装置及びガス火災感知器
JP5507928B2 (ja) 警報器及び警報システム
JPH1011686A (ja) 異常検知装置
JP2014059614A (ja) 警報器及びその制御方法
JP2010198406A (ja) 住宅火災警報器
JPH10261175A (ja) 自火報設備用表示操作装置
JPH05120591A (ja) 音声メツセージ出力機能を備えたアラームユニツト、及びこのアラームユニツトを使用したセキユリテイシステム
JP2001325675A (ja) ガス火災警報器
JPH0259999A (ja) 避難誘導装置
JPH08279085A (ja) 火災報知設備
JP2015212988A (ja) 警報器及びその制御方法
JP2016212508A (ja) 防災システム
JPH1074292A (ja) 防災受信機
JP5507929B2 (ja) 警報器及び警報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