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08201A - 스피커 - Google Patents

스피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08201A
KR20070108201A KR1020077019838A KR20077019838A KR20070108201A KR 20070108201 A KR20070108201 A KR 20070108201A KR 1020077019838 A KR1020077019838 A KR 1020077019838A KR 20077019838 A KR20077019838 A KR 20077019838A KR 20070108201 A KR20070108201 A KR 200701082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dge
damper
protrusion
diaphragm
spea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98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05348B1 (ko
Inventor
오사무 후나하시
Original Assignee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1082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82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53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53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4Construction, mounting, or centering of coil
    • H04R9/041Centering
    • H04R9/043Inner suspension or damper, e.g. spid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16Mounting or tensioning of diaphragms or cones
    • H04R7/18Mounting or tensioning of diaphragms or cones at the periphe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02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 H04R7/12Non-planar diaphragms or co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005Acoustic transduc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02Electromagnet, transformer or inductor
    • Y10T29/4908Acoustic transduc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Audible-Bandwidth Dynamoelectric Transducers Other Than Pickups (AREA)
  • 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AREA)

Abstract

스피커는, 프레임과, 이 프레임에 지지된 자기 회로와, 이 자기 회로에 마련된 자기 간극(gap)에 대하여 가동 가능하게 배치된 보이스 코일체와, 외주 단부가 프레임에 제1 에지를 거쳐서 접속되고, 내주 단부가 보이스 코일체에 접속된 진동판과, 이 진동판보다 자기 회로측에 마련되어, 내주 단부가 보이스 코일체에 접속된 댐퍼(damper)를 구비한다. 댐퍼의 외주 단부를, 제2 에지를 거쳐서 프레임에 접속한다. 이 제2 에지는, 진동판측, 또는 그 반대측으로 돌출한다. 댐퍼는, 진동판측을 향해서 돌출하는 제1 돌출부와, 이 제1 돌출부와는 반대 방향으로 돌출하는 제2 돌출부를 갖는다. 이들 제1, 제2 돌출부 중, 제2 에지에 가장 근접하는 돌출부의 내측에서, 제2 에지의 돌출 방향과는 반대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는, 다른 돌출부보다도 크다. 이 스피커는 저 왜곡이면서, 또한 높은 구동 효율을 갖는다.

Description

스피커{SPEAKER}
본 발명은, 스피커에 관한 것이다.
도 4는 하기 특허 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종래의 스피커(501)의 단면도이다. 보이스 코일(502A)은 자기 회로(501A)의 근방에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진동판(503A)의 내주단에 접속되어 있다. 진동판(503A)의 외주단은 에지(504A)에 접속되고, 에지(504A)는 프레임(505A)에 접속되어 있다. 진동판(503A)의 이면은 서스펜션 홀더(suspension holder)(506A)에 접속되어 있다. 서스펜션 홀더(506A)는 에지(507A)에 접속되고, 에지(507A)는 프레임(505A)에 접속되어 있다. 에지(504A, 507A)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돌출하고 있고, 이에 의해 진동판(503A)의 상하 진폭이 상하 대칭으로 되어 스피커(501)의 왜곡을 저감시키고 있다.
서스펜션 홀더(506A)는 진동판(503A)의 이면에 접속되어 있으므로, 진동판(503A)과 함께 진동한다. 서스펜션 홀더(506A)와 진동판(503A)을 합친 진동하는 부재는 큰 중량을 갖는다. 스피커(501)를 저음 재생에 이용할 때에는 큰 중량은 별문제는 아니지만, 스피커(501)를 중고음 재생에 이용할 때에는 이 큰 중량에 의해 구동 효율이 낮아진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2004-7332호 공보
스피커는, 프레임과, 이 프레임에 지지된 자기 회로와, 이 자기 회로에 마련된 자기 간극에 대하여 가동 가능하게 배치된 보이스 코일체와, 외주 단부가 프레임에 제1 에지를 거쳐서 접속되고, 내주 단부가 보이스 코일체에 접속된 진동판과, 이 진동판보다 자기 회로측에 마련되어, 내주 단부가 보이스 코일체에 접속된 댐퍼를 구비한다. 댐퍼의 외주 단부를, 제2 에지를 거쳐서 프레임에 접속한다. 이 제2 에지는, 진동판측, 또는 그 반대측으로 돌출한다. 댐퍼는, 진동판측을 향해서 돌출하는 제1 돌출부와, 이 제1 돌출부와는 반대 방향으로 돌출하는 제2 돌출부를 갖는다. 이들 제1, 제2 돌출부 중, 제2 에지에 가장 근접하는 돌출부의 내측에서, 제2 에지의 돌출 방향과는 반대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는, 다른 돌출부보다도 크다.
이 스피커는 저 왜곡이고, 또한 높은 구동 효율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스피커의 단면도,
도 2는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스피커의 확대 단면도,
도 3은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다른 스피커의 확대 단면도,
도 4는 종래의 스피커의 단면도.
[부호의 설명]
1 : 자기 회로 2 : 보이스 코일체
3 : 진동판 4 : 에지(제1 에지)
5 : 프레임 8 : 자기 간극
10 : 댐퍼 11 : 에지(제2 에지)
10A : 돌출부(제1 돌출부) 10B : 돌출부(제2 돌출부)
1OC : 돌출부 10D : 돌출부
60 : 댐퍼 60A : 돌출부
60B : 돌출부 60C : 돌출부
60D : 돌출부 61 : 에지(제2 에지)
310 : 결합체 320 : 접속 부분
360 : 결합체 370 : 접속 부분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스피커(1001)의 단면도이다. 사발 형상의 프레임(5)의 바닥부(55)의 중앙에 지지된 자기 회로(1)는, 원판 형상 마그넷(1A)과, 원판 형상 플레이트(plate)(1B)와, 원통 형상의 요크(yoke)(1C)가 조합되어 접착됨으로써 형성된다. 요크(1C)의 측벽(51)의 내측면(51A)과 플레이트(1B)의 외측면(51B) 사이에는, 진동판(3)을 향해서 개구한 원통 형상의 자기 간극(8)이 형성되어 있다. 도 1은 스피커(1001)의, 중심축(1001A)에 평행하고 또한 중심축(1001A)을 포함하는 평면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보이스 코일체(2)는, 중심축(1001A)을 갖는 원통 형상의 보빈(bobbin)(2A)과, 보빈(2A)의 외주면(52A)에 중심축(1001A)을 중심으로 둘러 감긴 코일(2B)을 갖는다. 보이스 코일체(2)의 일부분인 코일(2B)은, 자기 간극(8) 내에 중심축(1001A)과 평행한 방향(1001B)으로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진동판(3)은 얇은 접시 형상을 가지며, 진동판(3)의 내주단(13B)은 보이스 코일체(2)의 보빈(2A)의 상부에 접속되어 있다. 코일(2B)에 교류 전류를 흘림으로써 코일(2B)이 자기 간극(8) 내에서 방향(1001B)으로 진동하고, 보빈(2A)에 접속된 진동판(3)을 진동시킨다. 진동판(3)은 상면(3A)과, 상면(3A)의 반대측의 하면(3B)을 갖는다. 보빈(2A)은 진동판(3)의 하면(3B)으로부터 연장되고, 코일(2B)은 진동판(3)의 하면(3B)의 하방에 위치한다. 보빈(2A)은 진동판(3)의 상면(3A)으로부터도 연장되어 있고, 보빈(2A)의 상단에는 방진을 위한 더스트 간극(9)이 마련되어 있다. 댐퍼(10)의 내주단(210B)은 보이스 코일체(2)의 보빈(2A)에 접속되어 있다. 댐퍼(10)의 외주단(210A)은 에지(11)를 거쳐서 프레임(5)에 결합하고 있다.
발음원인 진동판(3)은 높은 강성과 작은 내부 손실을 가지며, 주로 펄프 및 수지로 이루어진다. 진동판(3)의 외주단(13A)은 에지(4)를 거쳐서 프레임(5)의 개구단(65)에 결합되어 있다. 즉, 진동판(3)의 외주단(13A)은 에지(4)에 접속되고, 에지(4)는 프레임(5)의 개구단(65)에 접속되어 있다. 에지(4)는 방향(1001B)으로 진동판(3)의 상면(3A)이 향하는 상방, 즉 방향(1001C)으로 돌출하고 있다. 에지(4)는 진동판(3)에 가동 부하를 가하지 않도록 우레탄, 발포 고무, SBR 고무나 직물 등의 가벼운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도 2는, 중심축(1001A)에 평행하고 또한 중심축(1001A)을 포함하는 평면에 있어서의 스피커(1001)의 확대 단면도이다. 댐퍼(10)의 내주단(210B)은 보이스 코일체(2)의 보빈(2A)의 외주면(52A)의 부분(62A)에 접속되어 있다. 부분(62A)은 진동판(3)으로부터 자기 회로(1)를 향하는 방향(1001D)에 위치한다. 댐퍼(10)의 외주 단(210A)은 에지(11)를 거쳐서 프레임(5)에 결합하고 있다. 즉, 댐퍼(10)의 외주단(210A)은 에지(11)의 내주단(11B)에 접속되고, 에지(11)의 외주단(11A)은 프레임(5)에 접속되어 있다. 에지(11)는 댐퍼(10)와는 별개의 부재이다. 댐퍼(110)는 중심축(1001A)을 중심으로 해서 물결치는 파도 형상의 골 함석 링의 형상을 가지며, 보이스 코일체(2)의 보빈(2A)의 움직임에 따라서 신축한다. 댐퍼(10)는, 에지(4) 와 마찬가지로, 진동판(3)에 가동 부하를 가하지 않도록 우레탄, 발포 고무, SBR 고무나 직물 등의 가벼운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보이스 코일체(2)의 코일(2B)에 음성 신호의 전류를 흘리면, 보이스 코일체(2)는 자기 간극(8) 내에서 방향(1001B)으로 진동하고, 진동판(3)을 진동시켜 스피커(1001)로부터 음성 신호에 따른 음이 나온다. 에지(11)는 에지(4)가 돌출하는 방향(1001C)과 반대의 방향(1001D)으로 돌출하고 있다. 이에 의해 진동판(3)의 방향(1001C)의 진동의 진폭과 방향(1001D)의 진동의 진폭이 대칭으로 되어, 스피커(1001)의 왜곡을 저감시키고, 또한 스피커(1001)의 구동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댐퍼(10)는 프레임(5)과 보이스 코일체(2)에 접속되어, 보이스 코일체(2)의 진동시에 있어서의 롤링(rolling)을 억제한다. 골 함석 링 형상의 댐퍼(10)는 탄성을 가지며, 보이스 코일체(2)의 진동을 용이하게 추종한다.
골 함석 링 형상의 댐퍼(10)는, 보이스 코일체(2)의 진동의 진폭이 작을 때에는, 보이스 코일체(2)의 움직임에 대하여 큰 부하로는 되지 않는다.
스피커(1001)에서는, 댐퍼(10)의 외주단(210A)은 에지(11)를 거쳐서 프레임(5)에 접속되어 있다. 보이스 코일체(2)의 진동의 진폭이 커지면 에지(11)에 응 력이 가해지고, 이 응력에 따라서 에지(11)가 탄성 변형한다. 따라서, 진동의 진폭이 클 때에도 댐퍼(10)는 보이스 코일체(2)의 진동에 대하여 큰 부하로는 되지 않는다. 따라서, 댐퍼(10)는 보이스 코일체(2)의 진동을 방해하지 않고, 보이스 코일체(2)는 높은 구동 효율로 진동판(3)을 구동할 수 있다.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스피커(1001)에서는, 보이스 코일체(2)는, 에지(4)와, 댐퍼(10)와 에지(11)의 결합체(310)와의 2개의 지지체에 의해 방향(1001B)에서 가동하도록 지지하고 있다. 에지(4)를 얇게 해서 그 중량을 가볍게 하고, 이에 의해 진동판(3)과 에지(4)의 합계의 중량을 가볍게 함으로써, 보이스 코일체(2)는 진동판(3)이 높은 구동 효율로 구동할 수 있다.
에지(4)가 과도하게 얇은 경우에는, 보이스 코일체(2)를 지지하는 지지 강도가 저하한다. 그 지지 강도의 저하에 따라서, 에지(11)를 에지(4)보다도 두껍게 함으로써, 보이스 코일체(2)의 지지 강도가 저하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이 결과 댐퍼(10)와 에지(11)로 이루어지는 결합체(310)의 탄성율은 에지(4)의 탄성율보다도 크고, 결합체(310)는 에지(4)보다 단단해져 있다.
이상과 같이, 보이스 코일체(2)는, 진동판(3)이 아니라, 댐퍼(10)와 에지(11)로 이루어지는 결합체(310)에 주로 지지되어 있다. 진동판(3)의 상하 움직임의 왜곡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댐퍼(10)와 에지(11)에 의한 결합체(310)의 진동판(3)을 향하는 방향(1001C)의 부하와, 결합체(310)의 방향(1001C)의 반대의 방향 (1001D)의 부하를 가능한 한 가깝게하고, 바람직하게는 동일하게 할 필요가 있다.
스피커(1001)에서는, 결합체(310)의 방향(1001C)의 부하와 방향(1001D)의 부 하를 동일하게 하기 위한 댐퍼(10)와 에지(11)의 형상에 대해서 설명한다.
에지(11)는, 진동판(3)을 향하는 방향(1001C)과는 반대의 방향(1001D)으로 돌출하고 있으므로, 방향(1001D)으로는 변형하기 쉽고, 방향(1001C)으로는 변형하기 어렵다. 댐퍼(10)는,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에지(11)의 방향(1001C, 1001D)에서의 각각의 변형 용이성의 차를 흡수한다.
댐퍼(10)는 골 함석 링 형상이며, 중심축(1001A)에 평행하고 중심축(1001A)을 포함하는 평면에서의 단면은 파도 형상이다. 댐퍼(10)의 단면은, 진동판(3)을 향하는 방향(1001C)으로 돌출하는 복수의 돌출부(10A)와, 방향(1001C)과 반대의 방향(1001D)으로 돌출하는 복수의 돌출부(10B)를 갖는다. 복수의 돌출부(10A)와 복수의 돌출부(10B)는 교대로 위치한다. 복수의 돌출부(10A) 중 돌출부(10C)가 에지(11)에 가장 가깝다. 복수의 돌출부(10B) 중 돌출부(10D)가 에지(11)에 가장 가깝다. 돌출부(10D)는 돌출부(10C)에 비해서 에지(11)에 가깝다. 복수의 돌출부(10A)는 돌출부(10C)와, 돌출부(10C)의 다른 복수의 돌출부(10E)를 포함한다. 복수의 돌출부(10B)는 돌출부(10D)와, 돌출부(10D)의 다른 복수의 돌출부(10F)를 포함한다. 돌출부(10C)는, 복수의 돌출부(10A, 10B) 중 가장 크고, 즉 돌출부(10C)의 다른 돌출부(10D, 10E, 10F)보다 크다. 돌출부(10D)는 돌출부(10C)에 비해서 에지(11)에 보다 가깝다. 복수의 돌출부(10A, 10B) 중, 에지(11)에 가장 가까운 돌출부(10D)의 내측에서, 에지(11)의 돌출 방향과는 반대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10C)는, 다른 돌출부보다도 크다.
큰 돌출부(10C)는 방향(1001D)에 비해서 상방 즉 방향(1001C)으로 변형하기 쉽다. 에지(11)는 방향(1001C)에 비해서 방향(1001D)으로 변형하기 쉽다. 댐퍼(10)의 돌출부(10C)의 크기를 적절히 설계함으로써, 댐퍼(10)와 에지(11)로 이루어지는 결합체(310)를 방향(1001C, 1001D)에서 동일 정도로 변형하기 쉽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진동판(3)은 방향(1001C, 1001D)에서 동일 정도로 진동하여, 진동 왜곡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에지(4)는 가벼우므로, 스피커(1001)는 높은 구동 효율로 중고음을 재생할 수 있다.
댐퍼(10)의 골 함석 링 형상에 의해, 보이스 코일체(2)의 가동 폭이 어느 정도 커질 때까지는 파워 리니어리티(power linearity)의 직선성이 확보된다. 보이스 코일체(2)의 가동 폭이 소정 값 이상에서 그 직선성을 확보하기 어려워진 경우에는, 에지(11)의 탄성에 의해 그 직선성을 확보한다. 따라서, 에지(11)의 탄성율은 댐퍼(10)의 탄성율보다 크고, 에지(11)는 댐퍼(10)보다 단단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댐퍼(10)과 에지(11)는 각각 서로 다른 탄성율을 가지며, 보이스 코일체(2)의 가동 폭에 따라서 양자가 독립해서 기능하여 변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댐퍼(10)의 외주단(210A)과 에지(11)의 내주단(11B)과 접속되어 있는 접속 부분(320)의 탄성율을 댐퍼(10) 및 에지(11)의 탄성율보다 크고, 즉 접속 부분(320)을 댐퍼(10) 및 에지(11)보다 단단하게 함으로써, 댐퍼(10)와 에지(11)를 독립해서 기능시켜 변형시킬 수 있다.
에지(11)와 댐퍼(10)를 아크릴계 등의 경질 접착제로 접착함으로써, 접속 부분(320)의 탄성율을 댐퍼(10) 및 에지(11)의 탄성율보다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에지(11)와 댐퍼(10)를 삽입 몰드(insert mold)에 의해 일체화해서 접속 부분(320)을 에지(11)나 댐퍼(10)보다 두껍게 하는 것이나, 접속 부분(320)에 보강 재료를 붙이는 것으로도, 접속 부분(320)의 탄성율을 댐퍼(10) 및 에지(11)의 탄성율보다 크게 할 수 있다.
도 3은, 중심축(1001A)에 평행하고 또한 중심축(1001A)을 포함하는 평면에 있어서의 실시 형태에 의한 다른 스피커(1002)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3에 있어서, 도 1과 도 2에 도시하는 스피커(1001)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스피커(1002)는, 스피커(1001)의 댐퍼(10)와 에지(11) 대신에 댐퍼(60)와 에지(61)를 구비한다.
댐퍼(60)의 내주단(260B)은 보이스 코일체(2)의 보빈(2A)의 외주면(52A)의 부분(62A)에 접속되어 있다. 부분(62A)은 진동판(3)으로부터 자기 회로(1)를 향하는 방향(1001D)에 위치한다. 댐퍼(60)의 외주단(260A)은 에지(61)를 거쳐서 프레임(5)에 결합하고 있다. 즉, 댐퍼(60)의 외주단(260A)은 에지(61)의 내주단(61B)에 접속되고, 에지(61)의 외주단(61A)은 프레임(5)에 접속되어 있다. 에지(61)는 댐퍼(60)와는 별체의 부재이다. 댐퍼(60)는 중심축(1001A)을 중심으로 하여 물결치는 골 함석 링의 형상을 가지며, 보이스 코일체(2)의 보빈(2A)의 움직임에 따라서 신축한다. 댐퍼(60)는, 에지(4)와 마찬가지로, 진동판(3)에 가동 부하를 가하지 않도록 우레탄, 발포 고무, SBR 고무나 직물 등의 가벼운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에지(61)는, 진동판(3)을 향하는 방향(1001C)으로 돌출하고 있으므로, 방향 (1001C)으로는 변형하기 쉽고, 방향(1001D)으로는 변형하기 어렵다. 댐퍼(60)는,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에지(61)의 방향(1001C, 1001D)에서의 각각의 변형 용이성의 차를 흡수한다.
댐퍼(60)는 파도 형상의 골 함석 링 형상이며, 중심축(1001A)에 평행하고 중심축(1001A)을 포함하는 평면에서의 단면은 파도 형상이다. 댐퍼(60)의 단면은, 진동판(3)을 향하는 방향(1001C)으로 돌출하는 복수의 돌출부(60A)와, 방향(1001C)과반대의 방향(1001D)으로 돌출하는 복수의 돌출부(60B)를 갖는다. 복수의 돌출부(60A)와 복수의 돌출부(60B)는 교대로 위치한다. 복수의 돌출부(60A) 중 돌출부(60C)가 에지(61)에 가장 가깝다. 복수의 돌출부(60B) 중 돌출부(60D)가 에지(61)에 가장 가깝다. 돌출부(60D)는 돌출부(60C)에 비해서 에지(61)에 가깝다. 복수의 돌출부(60A)는 돌출부(60C)와, 돌출부(60C)의 다른 복수의 돌출부(60E)를 포함한다. 복수의 돌출부(60B)는 돌출부(60D)와, 돌출부(60D)의 다른 복수의 돌출부(60F)를 포함한다. 돌출부(60D)는, 복수의 돌출부(60A, 60B) 중 가장 크고, 즉 돌출부(60D)의 다른 돌출부(60C, 60E, 60F)보다 크다. 돌출부(60C)는 돌출부(60D)에 비해서 에지(61)에 보다 가깝다. 복수의 돌출부(60A, 60B) 중, 에지(61)에 가장 가까운 돌출부(60C)의 내측에서, 에지(61)의 돌출 방향과는 반대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60D)는, 다른 돌출부보다도 크다.
큰 돌출부(60D)는 방향(1001C)에 비해서 상방 즉, 방향(1001D)으로 변형하기 쉽다. 에지(61)는 방향(1001D)에 비해서 방향(1001C)으로 변형하기 쉽다. 댐퍼(60)의 돌출부(60D)의 크기를 적절히 설계함으로써, 댐퍼(60)와 에지(61)로 이루어지는 결합체(360)를 방향(1001C, 1001D)에서 동일 정도로 변형하기 쉽게 할 수 있다. 이 에 의해, 진동판(3)은 방향(1001C, 1001D)에서 동일 정도로 진동하여, 진동 왜곡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에지(4)는 가벼우므로, 스피커(1002)는 높은 구동 효율로 중고음을 재생할 수 있다.
댐퍼(60)와 에지(61)는 각각 서로 다른 탄성율을 가지며, 보이스 코일체(2)의 가동 폭에 따라서 양자가 독립해서 기능하고 변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댐퍼(60)의 외주단(260A)과 에지(61)의 내주단(61B)과 접속되어 있는 접속 부분(370)의 탄성율을 댐퍼(60) 및 에지(61)의 탄성율보다 크고, 즉 접속 부분(370)을 댐퍼(60) 및 에지(61)보다 단단하게 함으로써, 댐퍼(60)와 에지(61)를 독립해서 기능시켜 변형시킬 수 있다.
에지(61)와 댐퍼(60)를 아크릴계 등의 경질 접착제로 접착함으로써, 접속 부분(370)의 탄성율을 댐퍼(60) 및 에지(61)의 탄성율보다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에지(61)와 댐퍼(60)를 삽입 몰드에 의해 일체화해서 접속 부분(370)을 에지(61)나 댐퍼(60)보다 두껍게 하는 것이나, 접속 부분(370)에 보강 재료를 붙이는 것으로도, 접속 부분(370)의 탄성율을 댐퍼(60) 및 에지(61)의 탄성율보다 크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스피커는 저 왜곡이면서, 또한 높은 구동 효율을 가지므로, 특히 중고음을 재생하는 스피커에 유용하다.

Claims (4)

  1. 프레임과, 이 프레임에 지지된 자기 회로와, 이 자기 회로에 마련된 자기 간극에 대하여 가동 가능하게 배치된 보이스 코일체와, 외주 단부가 상기 프레임에 제1 에지를 거쳐서 접속되고, 내주 단부가 상기 보이스 코일체에 접속된 진동판과, 이 진동판보다 상기 자기 회로측에 마련되어, 내주 단부가 상기 보이스 코일체에 접속된 댐퍼를 구비하고, 상기 댐퍼의 외주 단부를, 제2 에지를 거쳐서 상기 프레임에 접속하는 동시에, 이 제2 에지는, 상기 진동판측, 또는 그 반대측으로 돌출하는 구조로 하고, 상기 댐퍼는, 진동판측을 향해서 돌출하는 제1 돌출부와, 이 제1 돌출부와는 반대 방향으로 돌출하는 제2 돌출부를 갖는 구조로 하고, 이들 제1, 제2 돌출부 중, 제2 에지에 가장 근접하는 돌출부의 내측에서, 상기 제2 에지의 돌출 방향과는 반대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는, 다른 돌출부보다도 크게 한
    스피커.
  2. 제 1 항에 있어서,
    댐퍼 및 제2 에지에서 형성하는 결합체의 탄성율을, 제1 에지의 탄성율보다도 크게 한
    스피커.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제2 에지의 탄성율을 댐퍼의 탄성율보다 크게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댐퍼와 제2 에지와의 접속 부분의 탄성율을 상기 댐퍼 및 제2 에지의 탄성율보다 크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KR1020077019838A 2006-01-17 2007-01-16 스피커 KR1009053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008444A JP4569476B2 (ja) 2006-01-17 2006-01-17 スピーカ
JPJP-P-2006-00008444 2006-01-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8201A true KR20070108201A (ko) 2007-11-08
KR100905348B1 KR100905348B1 (ko) 2009-07-01

Family

ID=38287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9838A KR100905348B1 (ko) 2006-01-17 2007-01-16 스피커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081791B2 (ko)
EP (1) EP1830601B1 (ko)
JP (1) JP4569476B2 (ko)
KR (1) KR100905348B1 (ko)
CN (1) CN101310560B (ko)
WO (1) WO200708360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10890B2 (ja) * 2003-12-24 2011-01-12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スピーカ装置
CN102170604A (zh) * 2010-02-25 2011-08-31 株式会社索尼克世界 单磁铁构造磁路及其声波驱动器及振动型运动装置
JP5540920B2 (ja) * 2010-06-17 2014-07-02 ソニー株式会社 音響変換装置
JP5540921B2 (ja) * 2010-06-17 2014-07-02 ソニー株式会社 音響変換装置
JP5598109B2 (ja) * 2010-06-17 2014-10-01 ソニー株式会社 音響変換装置
US9426578B2 (en) * 2011-12-20 2016-08-23 Aac Acoustic Technologies (Shenzhen) Co., Ltd. Electromagnetic transducer
US9485586B2 (en) 2013-03-15 2016-11-01 Jeffery K Permanian Speaker driver
WO2016027375A1 (ja) * 2014-08-22 2016-02-25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ダンパ及びスピーカ装置
KR101609708B1 (ko) 2015-01-15 2016-04-20 주식회사 엠소닉 양면형 엣지를 구비한 스피커
CN109362005B (zh) * 2018-09-30 2021-03-26 瑞声科技(新加坡)有限公司 发声器件
CN109362002B (zh) * 2018-09-30 2020-09-18 瑞声科技(新加坡)有限公司 发声器件
CN109348373B (zh) * 2018-09-30 2021-06-15 瑞声科技(新加坡)有限公司 发声器件
CN109348371B (zh) * 2018-09-30 2021-02-26 瑞声科技(新加坡)有限公司 发声器件
CN109831726B (zh) * 2018-12-29 2021-02-23 瑞声科技(新加坡)有限公司 发声器件
CN111641900A (zh) * 2020-06-05 2020-09-0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振膜和音频设备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01326B (de) * 1954-11-18 1957-01-24 Amalgamated Wireless Australas Membranzentrierung
JPS5649188Y2 (ko) * 1973-06-14 1981-11-17
JPS58138495U (ja) * 1982-03-10 1983-09-17 パイオニア株式会社 音響変換器のダンパ
NL8204348A (nl) * 1982-11-10 1983-03-01 Philips Nv Centreermembraan in een elektro-akoestische omzetter voorzien van rillen met een verschillende breedte en/of hoogte.
JPH02133097A (ja) 1988-11-14 1990-05-22 Toshiba Corp 同期電動機の制御装置
JPH02133097U (ko) * 1989-04-07 1990-11-05
JPH03247099A (ja) * 1990-02-23 1991-11-05 Sharp Corp スピーカ
KR950024611A (ko) * 1994-01-05 1995-08-21 구쯔자와 겐따로우 자기회로를 구비한 스피커
JP3267109B2 (ja) * 1995-07-14 2002-03-1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スピーカ
KR100445212B1 (ko) * 1996-05-31 2004-12-03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전기역학적확성기및확성기시스템
JP3498550B2 (ja) * 1997-10-21 2004-02-1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スピーカ用ダンパー
JP2001326993A (ja) * 2000-05-17 2001-11-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スピーカ
CN2425467Y (zh) * 2000-05-23 2001-03-28 斯贝克电子(嘉善)有限公司 大双折环音盆
DE60233105D1 (de) * 2001-06-11 2009-09-10 Panasonic Corp Lautsprecher
JP2003111191A (ja) * 2001-10-01 2003-04-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スピーカ
JP2003199192A (ja) * 2001-10-16 2003-07-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スピーカ用ダンパー及びスピーカ
JP3651455B2 (ja) 2002-04-15 2005-05-2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スピーカ
TW200401580A (en) * 2002-04-25 2004-01-16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Loudspeaker with a first and a second diaphragm body
WO2004019446A2 (en) * 2002-08-21 2004-03-04 Sahyoun Joseph Y Audio radiator with radiator flexure minization and voice coil elastic anti-wobble members
JP4610890B2 (ja) * 2003-12-24 2011-01-12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スピーカ装置
JP3870949B2 (ja) * 2004-02-06 2007-01-24 ソニー株式会社 スピーカ装置
JP2005252922A (ja) * 2004-03-08 2005-09-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スピーカ及びその製造方法
CN2744102Y (zh) * 2004-10-11 2005-11-30 陈文坚 双折环平板无源幅射器
JP4569477B2 (ja) * 2006-01-17 2010-10-2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スピー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5348B1 (ko) 2009-07-01
WO2007083607A1 (ja) 2007-07-26
CN101310560B (zh) 2011-08-03
CN101310560A (zh) 2008-11-19
JP4569476B2 (ja) 2010-10-27
EP1830601A1 (en) 2007-09-05
US8081791B2 (en) 2011-12-20
JP2007194698A (ja) 2007-08-02
EP1830601A4 (en) 2011-04-20
EP1830601B1 (en) 2012-09-12
US20080212821A1 (en) 2008-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5348B1 (ko) 스피커
JP4735299B2 (ja) スピーカ
KR100897686B1 (ko) 스피커
EP1881734B1 (en) Speaker
US8116510B2 (en) Loudspeaker
JP4618116B2 (ja) スピーカ
US20080240488A1 (en) Speaker
US8005253B2 (en) Speaker
JP4735406B2 (ja) スピーカ
JP4784504B2 (ja) スピーカ
KR102152980B1 (ko) 패널 가진형 익사이터
JP4735275B2 (ja) スピーカ
JPH0712236B2 (ja) 複合型スピ−カ
JP2007306203A (ja) スピーカ
JP2007194700A (ja) スピーカ
JP2007306204A (ja) スピーカ
JP2007194702A (ja) スピー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