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9708B1 - 양면형 엣지를 구비한 스피커 - Google Patents

양면형 엣지를 구비한 스피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9708B1
KR101609708B1 KR1020150007248A KR20150007248A KR101609708B1 KR 101609708 B1 KR101609708 B1 KR 101609708B1 KR 1020150007248 A KR1020150007248 A KR 1020150007248A KR 20150007248 A KR20150007248 A KR 20150007248A KR 101609708 B1 KR101609708 B1 KR 1016097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phragm
permanent magnet
support frame
speaker
input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72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호일
김준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소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소닉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소닉
Priority to KR10201500072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97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97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97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16Mounting or tensioning of diaphragms or cones
    • H04R7/18Mounting or tensioning of diaphragms or cones at the periphery
    • H04R7/20Securing diaphragm or cone resiliently to support by flexible material, springs, cords, or stran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25Magnetic circu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4Construction, mounting, or centering of coil
    • H04R9/046Constr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Audible-Bandwidth Dynamoelectric Transducers Other Than Picku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면형 엣지를 구비한 스피커에 관한 것으로, 자속을 발생시키는 영구자석; 상기 영구자석에 의해 발생된 자속의 자로를 제공하며, 상기 영구자석을 수용하는 요크; 상기 요크와 함께 상기 영구자석에 의해 발생된 자속의 자로를 제공하며, 상기 영구자석에 부착된 플레이트; 입력된 전기적인 신호에 따라 상기 영구자석에 의해 발생된 자속과 반응하여 진동하는 음성코일; 상기 음성코일에 전기적 신호를 입력시키기 위한 입력요소; 상기 음성코일에 부착되며, 상기 음성코일의 진동에 따라 함께 진동함으로써 음향을 발생시키는 진동판; 상기 진동판을 지지하기 위해 마련되며, 상기 요크에 고정되는 지지프레임; 및 상기 진동판을 상기 지지프레임에 지지시키기 위해 마련되며, 상기 진동판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엣지; 를 포함하고, 상기 엣지는, 외측은 상기 지지프레임에 부착되고, 내측은 상기 진동판에 부착되는 제1 복원부재; 및 상기 제1 복원부재가 대칭되게 구비되며, 외측은 상기 지지프레임에 부착되고, 내측은 상기 진동판에 부착되는 제2 복원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복원부재는 상측으로 볼록한 제1 볼록부분을 가지고, 상기 제2 복원부재는 하측으로 볼록한 제2 볼록부분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양면형 엣지를 구비한 스피커는 구동 시, 진동판이 좌우로 움직이는 분할진동을 방지하여 진동판의 공기량을 일정하게 유지시켜주어 스피커의 출력을 향상 시킬 수 있으며, 스피커의 보이스코일이 자기회로 밖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높여준다.
또한, 양면의 엣지로 인해 복원력을 향상시켜 스피커를 장시간 구동시 음질에 저하를 차단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양면형 엣지를 구비한 스피커 {Speakers with a two-sided type edge}
본 발명은 양면형 엣지를 구비한 스피커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스피커는 슬림화 및 소형화 추세로 스피커의 전고를 낮추기 위한 방안들이 창안되어지고 있다. 전고를 낮추면서도 스피커 내에선 구조적으로 견고해야 하며, 스피커의 형상은 장방형으로 구성하는 추세이다. 이로 인해, 스피커 내에 구성하는 요소들의 위치와 쓰임새가 중요해 지는 건 물론이고, 스피커의 고출력화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진동판 및 지지프레임을 연결시켜주는 엣지의 역할이 중요해지고 있다. 이러한 엣지의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999-0010590호의 “장방형 스피커의 진동플레이트 구조”(이하, ‘종래기술’이라고 함)가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기술의 경우 이중의 층으로 엣지를 접합하는 형태이므로, 스피커 내에 전고를 낮출 수 없으며, 스피커 구동시 음성코일이 진동하며 자기회로 밖 을 이탈할 경우 문제점이 존재한다.
또한, 음성코일이 자기회로 밖으로 이탈할 경우, 음질에 영향을 끼치며, 노이즈양을 증가시켜 음질을 적호하지 못하게 만든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진동판의 좌우분할진동을 방지함으로써, 음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양면형 엣지를 구비한 스피커는, 자속을 발생시키는 영구자석; 상기 영구자석에 의해 발생된 자속의 자로를 제공하며, 상기 영구자석을 수용하는 요크; 상기 요크와 함께 상기 영구자석에 의해 발생된 자속의 자로를 제공하며, 상기 영구자석에 부착된 플레이트; 입력된 전기적인 신호에 따라 상기 영구자석에 의해 발생된 자속과 반응하여 진동하는 음성코일; 상기 음성코일에 전기적 신호를 입력시키기 위한 입력요소; 상기 음성코일에 부착되며, 상기 음성코일의 진동에 따라 함께 진동함으로써 음향을 발생시키는 진동판; 상기 진동판을 지지하기 위해 마련되며, 상기 요크에 고정되는 지지프레임; 및 상기 진동판을 상기 지지프레임에 지지시키기 위해 마련되며, 상기 진동판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엣지; 를 포함하고, 상기 엣지는, 외측은 상기 지지프레임에 부착되고, 내측은 상기 진동판에 부착되는 제1 복원부재; 및 상기 제1 복원부재가 대칭되게 구비되며, 외측은 상기 지지프레임에 부착되고, 내측은 상기 진동판에 부착되는 제2 복원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복원부재는 상측으로 볼록한 제1 볼록부분을 가지고, 상기 제2 복원부재는 하측으로 볼록한 제2 볼록부분을 가지는 양면형 엣지를 구비한 스피커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제1 복원부재와 상기 제2 복원부재는 상기 입력요소를 사이에 두고 배치되며, 상기 제1 복원부재는 상기 입력요소의 상측에서 상기 입력요소에 부착되고, 상기 제2 복원부재는 상기 입력요소의 하측에서 상기 입력요소에 부착되는 것을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제1 블록부분과 상기 제2 블록부분에 의해 고리 형상의 중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입력요소와 진동판은 이중의 엣지로 결합하여 스피커의 내구성을 도모하며 아래와 같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1. 스피커를 장시간 구동 시 노이즈양을 줄일 수 있어서 음질을 일정하게 고출력 시킬 수 있다
2. 음성코일이 자기회로 밖으로 이탈하는 것을 개선하여 스피커의 내구성을 도모하였다.
3. 엣지를 탄성재료로 이용해 진동체의 좌우분할진동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상하진동을 원활이 할 수 있게 구성하였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양면형 엣지를 구비한 스피커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양면형 엣지를 구비한 스피커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양면형 엣지의 형상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양면형 엣지를 구비한 스피커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 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된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1. 양면형 엣지를 구비한 스피커의 구성요소에 관한설명
도1은 양면형 엣지를 구비한 스피커(10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1을 참조하여 본원 발명의 양면형 엣지를 구비한 스피커(1000)를 설명하면, 전기적 신호에 의해 음향을 출력하는 장치로써, 영구자석(100); 요크(200); 플레이트(300); 음성코일(400); 입력요소(500); 진동판(600); 지지프레임(700); 및 엣지(8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영구자석(100)은 스피커(1000)의 필수 구성요소로써, 스피커(1000)내 하부에 위치하고,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역할로 에너지를 공급받지 않아도 안정된 자기장을 발생 시키고 유지하는 구성요소이다.
요크(200)는 영구자석(100)에 의해 발생된 자속의 자로를 제공하는 구성요소이다.
플레이트(300)는 영구자석(100)의 일면에 부착된 구성요소로써, 영구자석(100)에서 발생된 자속을 음성코일(400) 측으로 유도하는 구성요소이다.
음성코일(400)은 영구자석(100)과 요크(200) 사이에 배치되며, 입력되는 전기적인 신호에 따라 영구자석(100)에 의해 발생된 자기장과 반응하여 진동한다.
또한, 음성코일(400)은 전기적 신호가 인가될 시, 영구자석(100)으로부터 발생된 자기장에 의해 구동력이 발생되어 수직방향으로 진동하는 구성요소이다.
입력요소(500)는 진동판(600) 하부에 위치하여 진동판(600) 가장자리와 접하며, 영구자석(100) 및 플레이트(300)를 포함하는 진동체를 진동 가능하도록 지지한다.
여기서, 입력요소(500)는 탄성을 지닌 재료 및 금속 재료로 마련된다.
진동판(600)은 음성코일(400)과 접하여 음성코일(400)이 진동함에 따라, 진동판(600)이 상하로 진동하여 음향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한다.
지지프레임(700)은 내부의 스피커(1000)를 이루는 복수의 구성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전체적으로 육면체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지지프레임(700)은 입력요소(500)를 중심으로 상부엔 진동판(600) 및 제1 복원부재(810)가 배치되고, 하부엔 영구자석(100), 플레이트(300), 음성코일(400), 제2 복원부재(820) 및 요크(200)의 공간을 제공한다.
엣지(800)는 입력요소(500)를 중심으로 상하로 대칭되는 제1 복원부재(810)와 제2 복원부재(820)로 나눌 수 있다.
또한, 제1 복원부재(810)와 제2 복원부재(820)는 대칭된 링 형상으로 마련된다.
엣지(80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하기에서 더 상세히 하도록 한다.
2. 입력요소와 진동판을 결합시키는 엣지의 구성형태에 관한 설명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양면형 엣지를 구비한 스피커(1000)의 단면도이다. 도2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따른 양면형 엣지를 구비한 스피커(1000)를 설명하면, 제1 복원부재(810)와 제2 복원부재(820)는 상하 대칭된 링 형상의 형태로 마련된다.
도2 및 도3을 참고하면, 엣지(800)는 진동판(600)과 지지프레임(700)을 지지시키기 위해 마련되며, 진동판(600)의 복원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엣지(800)는 제1 복원부재(810)와 제2 복원부재(820)로 나눌 수 있는데, 제1 복원부재(810)는 외측으로 지지프레임(700)에 부착되어 지지프레임(700)을 지지하여 스피커(1000)의 내구성을 주었으며, 내측으론 진동판(600)이 부착되어 진동이 유연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또한, 제2 복원부재(820)는 외측으론 지지프레임(700)에 부착되어 지지프레임(700)을 지지하여 스피커(1000)의 내구성을 주었으며, 내측으론 진동판(600)이 부착되어 진동이 유연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복원부재(810)는 제1 진동판 고정부분(811); 제1 지지프레임 고정부분(813); 및 제1 볼록부분(812) 으로 구성되며, 제1 진동판 고정부분은 평면으로 진동판(600)과 고정되어 진동판(600)의 진동이 유연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제1 지지프레임 고정부분(813)은 평면으로 지지프레임(700)과 고정되어 스피커(1000) 내구성을 도모한 구성이다.
제1 볼록부분(812)은 제1 진동판 고정부분(811)과 제1 지지프레임 고정부분(813)을 연결한 부분으로 상부로 볼록한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볼록한 형태로 형성하여 진동판(600)의 진동을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마련되었다.
아울러, 제2 복원부재(820)는 제2 진동판 고정부분(821); 제2 지지프레임 고정부분(823); 및 제2 볼록부분(822) 으로 구성되며, 제2 진동판 고정부분(821)은 평면으로 진동판(600)과 고정되어 진동판(600)의 진동이 유연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제2 지지프레임 고정부분(823)은 평면으로 지지프레임(700)과 고정되어 스피커(1000) 내구성을 도모한 구성이다.
제2 볼록부분(822)은 제2 진동판 고정부분(821)과 제2 지지프레임 고정부분(823)을 연결한 부분으로 하부로 볼록한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볼록한 형태로 형성하여 진동판(600)이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마련되었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진동판 고정부분(811)과 제2 진동판 고정부분(821)은 상하로 진동판(600)을 고정하는 부분으로, 진동판(600)을 사이에 두고 이중으로 진동판(600)을 고정시켜준다.
또한, 제1 진동판 고정부분(811)과 제2 진동판 고정부분(821)은 진동판(600)의 외주 가장자리와 접한다.
그리고 제1 지지프레임 고정부분(813)과 제2 지지프레임 고정부분(823)은 지지프레임(700)에 엣지(800)를 고정하는 부분으로, 사이에 입력요소(500)를 가지며, 제2 지지프레임 고정부분(823)은 하방으로 지지프레임(700)을 고정시켜준다.
또한, 제1 지지프레임 고정부분(813)과 제2 지지프레임 고정부분(823)의 내주 가장자리에 입력요소(500)를 접한다.
마지막으로, 제1 볼록부분(812)과 제2 볼록부분(822)은 상하로 대칭되어 구성되는데, 가운데 고리형태의 중공(900)을 형성을 한다.
또한, 제1 볼록부분(812)과 제2 볼록부분(822) 사이에 입력요소(500)가 배치된다.
본 발명에 개시된 실 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 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 되는 것은 아니다. 보호범위는 아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한다.
100: 영구자석
200: 요크
300: 플레이트
400: 음성코일
500: 입력요소
600: 진동판
700: 지지프레임
800: 엣지
810: 제1 복원부재
811: 제1 진동판 고정부분 812: 제1 볼록부분
813: 제1 지지프레임 고정부분
820: 제2 복원부재
821: 제2 진동판 고정부분 822: 제2 볼록부분
823: 제2 지지프레임 고정부분
900: 중공
1000 : 스피커

Claims (3)

  1. 자속을 발생시키는 영구자석;
    상기 영구자석에 의해 발생된 자속의 자로를 제공하며, 상기 영구자석을 수용하는 요크;
    상기 요크와 함께 상기 영구자석에 의해 발생된 자속의 자로를 제공하며, 상기 영구자석에 부착된 플레이트;
    입력된 전기적인 신호에 따라 상기 영구자석에 의해 발생된 자속과 반응하여 진동하는 음성코일;
    상기 음성코일에 전기적 신호를 입력시키기 위한 입력요소;
    상기 음성코일에 부착되며, 상기 음성코일의 진동에 따라 함께 진동함으로써 음향을 발생시키는 진동판;
    상기 진동판을 지지하기 위해 마련되며, 상기 요크에 고정되는 지지프레임; 및
    상기 진동판을 상기 지지프레임에 지지시키기 위해 마련되며, 상기 진동판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엣지; 를 포함하고,
    상기 엣지는,
    외측은 상기 지지프레임에 부착되고, 내측은 상기 진동판에 부착되는 제1 복원부재; 및
    상기 제1 복원부재가 대칭되게 구비되며, 외측은 상기 지지프레임에 부착되고, 내측은 상기 진동판에 부착되는 제2 복원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복원부재는 상측으로 볼록한 제1 볼록부분을 가지고, 상기 제2 복원부재는 하측으로 볼록한 제2 볼록부분을 가지며,
    상기 제1 복원부재와 상기 제2 복원부재는 상기 입력요소를 사이에 두고 배치되며, 상기 제1 복원부재는 상기 입력요소의 상측에서 상기 입력요소에 부착되고, 상기 제2 복원부재는 상기 입력요소의 하측에서 상기 입력요소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형 엣지를 구비한 스피커.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볼록부분과 상기 제2 볼록부분에 의해 고리 형상의 중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형 엣지를 구비한 스피커.
KR1020150007248A 2015-01-15 2015-01-15 양면형 엣지를 구비한 스피커 KR1016097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7248A KR101609708B1 (ko) 2015-01-15 2015-01-15 양면형 엣지를 구비한 스피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7248A KR101609708B1 (ko) 2015-01-15 2015-01-15 양면형 엣지를 구비한 스피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9708B1 true KR101609708B1 (ko) 2016-04-20

Family

ID=55917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7248A KR101609708B1 (ko) 2015-01-15 2015-01-15 양면형 엣지를 구비한 스피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970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38283A (ja) 2000-02-23 2001-08-3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スピーカ
US20080212821A1 (en) 2006-01-17 2008-09-04 Osamu Funahashi Loudspeaker
JP2012169871A (ja) * 2011-02-14 2012-09-06 Cld Co Ltd 平面型スピーカユニッ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38283A (ja) 2000-02-23 2001-08-3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スピーカ
US20080212821A1 (en) 2006-01-17 2008-09-04 Osamu Funahashi Loudspeaker
JP2012169871A (ja) * 2011-02-14 2012-09-06 Cld Co Ltd 平面型スピーカユニッ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74448B2 (en) Speaker with elastic plate coupled to diaphragm
KR100643765B1 (ko) 스피커장치
JP7161655B2 (ja) エアギャップの精度を向上させた高品質の電磁スピーカー
US9185494B2 (en) Inner magnet type microspeaker
US20120170792A1 (en) Multifunctional vibrator
US20140056464A1 (en) Micro-Speaker
US9386375B2 (en) Miniature speaker
US10516945B2 (en) High power microspeaker with sub-diaphragm
KR20100138153A (ko) 다기능 마이크로 스피커
JP5700704B2 (ja) スピーカ装置
US9277326B2 (en) Miniature speaker
KR101622156B1 (ko) 진동판 중앙부의 강성을 향상시킨 리시버
US20140103750A1 (en) Vibrator
JP6108649B2 (ja) スピーカ装置
KR101208243B1 (ko) 박형 스피커 및 이를 위한 자기회로
US20190260278A1 (en) Mobile Apparatus Having Linear Actuator Generating Both Vibration and Sound
KR101096788B1 (ko) 다기능 마이크로 스피커
KR101046005B1 (ko) 스피커
JP2012119845A (ja) 電磁型電気音響変換器
KR101609708B1 (ko) 양면형 엣지를 구비한 스피커
KR20220016020A (ko) 대칭적 보이스 코일 및 자기 회로를 갖는 마이크로 스피커
KR101811730B1 (ko) 두 개의 보이스코일을 구비한 고출력 마이크로스피커
KR20100120446A (ko) 스피커
KR100932754B1 (ko) 다기능 스피커
KR20090068706A (ko) 슬림형 스피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