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0446A - 스피커 - Google Patents

스피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0446A
KR20100120446A KR1020090039260A KR20090039260A KR20100120446A KR 20100120446 A KR20100120446 A KR 20100120446A KR 1020090039260 A KR1020090039260 A KR 1020090039260A KR 20090039260 A KR20090039260 A KR 20090039260A KR 20100120446 A KR20100120446 A KR 201001204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arm
frame
coupled
voice c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92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17070B1 (ko
Inventor
박순종
Original Assignee
에스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392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7070B1/ko
Publication of KR201001204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04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70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70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9/00Details of transducers of the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covered by H04R9/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9/027Electrical or mechanical reduction of yoke vib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00/00Loudspeakers
    • H04R2400/11Aspects regarding the frame of loudspeaker transduc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dible-Bandwidth Dynamoelectric Transducers Other Than Pickups (AREA)

Abstract

스피커가 개시된다. 상기 스피커는 외부의 전원측과 접속되는 단자가 보이스코일에 결합되어 보이스코일과 접속됨과 동시에 보이스코일의 좌우진동을 방지한다. 그러므로, 보이스코일을 외부의 전원측과 접속하기 위한 틴셀와이어가 필요없고, 틴셀와이어를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포밍작업이 필요없다. 따라서, 원가가 절감된다.

Description

스피커 {SPEAKER}
본 발명은 스피커에 관한 것이다.
스피커란 전기신호를 진동판의 진동으로 바꾸어 공기에 소밀파(疏密波)를 발생시켜 음파를 방사하는 음향기기이다.
일반적으로, 스피커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어 자기력을 발생하는 자기회로부 및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며 상기 자기회로부와 작용하여 진동하면서 음향을 발생하는 음향발생부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음향발생부는 보이스코일과 진동판을 가지며, 상기 보이스코일은 틴셀와이어를 매개로 외부의 전원측과 접속된다. 상기 틴셀와이어는 상기 음향발생부와 함께 진동하므로, 상기 음향발생부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여유를 가져야함과 동시에 다른 부품들과 간섭하지 않아야 한다.
그러므로, 상기와 같은 종래의 스피커는 상기 틴셀와이어가 필요하고, 상기 틴셀와이어를 상기 진동판 등에 고정하기 위한 포밍작업이 필요하므로, 원가가 상승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스피커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어 자기력을 발생하는 자기회로부; 일측은 상기 자기회로부의 내부에 위치되고 타측은 상기 자기회로부의 외측에 위치된 보이스코일과 내주면은 상기 보이스코일의 타측 외주면에 결합되고 외주면은 상기 프레임에 결합된 진동판을 가지며, 상기 자기회로부와 작용하여 진동하면서 음향을 발생하는 음향발생부; 상기 보이스코일의 외주면에 결합된 절연부재; 일측은 상기 절연부재에 각각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프레임에 각각 결합되어 외부의 전원을 상기 보이스코일로 전달함과 동시에 상기 보이스코일이 상기 보이스코일의 진동방향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진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상호 이격된 제 1 및 제 2 단자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는 외부의 전원측과 접속되는 단자가 보이스코일에 결합되어 보이스코일과 접속됨과 동시에 보이스코일의 좌우진동을 방지한다. 그러므로, 보이스코일을 외부의 전원측과 접속하기 위한 틴셀와이어가 필요없고, 틴셀와이어를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포밍작업이 필요없다. 따라서, 원가가 절감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스피커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에 타원형의 관통공(111)이 형성된 프레임(110)이 마련된다.
이하, 프레임(110)을 포함한 다른 구성요소들의 면 및 방향을 지칭함에 있어서, 프레임(110)의 수직방향 상측을 향하는 면 및 방향을 "상면 및 상측", 수직방향 하측을 향하는 면 및 방향을 "하면 및 하측"이라 한다.
관통공(111) 외측의 프레임(110)의 하면에는 자기력을 발생하는 자기회로부(120)가 결합되고, 프레임(110)의 상면에는 전기력을 발생하며 자기회로부(120)와 작용하여 진동하면서 음향을 발생하는 음향발생부(130)가 설치된다.
자기회로부(120)는 플레이트(121), 마그네트(123) 및 요크(125)를 가진다.
플레이트(121)는 프레임(110)의 하면에 결합되고, 마그네트(123)는 플레이트(121)의 하면에 결합된다. 이때, 플레이트(121) 및 마그네트(123)의 중앙부측에는 상호 대향되게 관통공(121a,123a)이 각각 형성된다.
요크(125)는 마그네트(123)의 하면에 결합되는 베이스(125a)와 베이스(125a)의 중앙부에서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마그네트(123)와 플레이트(121)의 관통공(123a,121a)을 관통하는 폴(Pole)(125b)을 가진다.
이때, 폴(125b)의 외주면과 마그네트(123)의 내주면 및 폴(125b)의 외주면과 플레이트(121)의 내주면 사이에는 갭(Gap)(G)이 형성된다.
음향발생부(130)는 보이스코일(131)과 진동판(135)을 가진다.
보이스코일(131)은 하부측은 자기회로부(120)의 갭(G)에 위치되고, 상부측은 프레임(110)의 상면 상측에 위치된 보빈(132)과 보빈(132)의 하부측 외주면에 권선된 코일(133)을 가진다. 그리하여, 외부의 전원이 코일(133)에 공급되면, 코일(133)과 자기회로부(120)의 작용에 의하여 보이스코일(131)이 상하로 진동한다.
진동판(135)은 중앙부가 개방된 콘 형상으로 형성되며, 외주면측은 프레임(110)측에 결합되고 내주면측은 보빈(132)의 상부측 외주면에 결합된다. 진동판(135)은 보이스코일(131)에 의하여 상하로 진동하면서 음향을 재생한다.
프레임(110)의 상면에는 프레임(110)과 대응되게 형성된 보조프레임(140)이 결합되는데, 보조프레임(140)에 진동판(135)의 외주면측이 결합된다.
보빈(132)의 상면에는 보빈(132)의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캡(150)이 결합된다. 캡(150)은 보빈(132)의 내주면에 삽입 결합될 수 도 있고, 보빈(132)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로 결합될 수 도 있다.
보이스코일(131)의 코일(133)은 외부의 전원측과 접속된다. 그리고, 보이스코일(131)이 보이스코일(131)의 진동방향과 수직하는 좌우방향으로 진동하지 않아야, 진동판(135)이 왜곡없이 균일하게 진동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에는 외부의 전원을 보이스코일(131)의 코일(133)로 전달함과 동시에 보이스코일(131)이 좌우로 진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 1 및 제 2 단자(170,180)가 마련된다.
상세히 설명하면, 보이스코일(131)의 보빈(132)의 중앙부측 외주면에는 링형 상의 절연부재(160)가 결합된다. 그리고, 제 1 단자(170)와 제 2 단자(180)는 동일형상으로 형성되어, 절연부재(160)의 외주면 및 프레임(110)에 각각 결합된다.
제 1 단자(170)는 절연부재(160)의 외주면 일측에 결합된 호형상의 결합부(171), 일측은 결합부(171)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타측은 프레임(110)의 좌측 부위에 결합된 탄성을 가진 제 1 팔부(173), 일측은 결합부(171)의 타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타측은 프레임(110)이 우측 부위에 결합된 탄성을 가진 제 2 팔부(175), 제 1 팔부(173)의 타측에서 연장 형성되어 프레임(110)의 좌측 부위 외측으로 연장된 연장부(177)를 가진다.
제 2 단자(180)는 절연부재(160)의 외주면 타측에 결합된 호 형상의 결합부(181), 일측은 결합부(181)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타측은 프레임(110)의 좌측 부위에 결합된 탄성을 가진 제 1 팔부(183), 일측은 결합부(181)의 타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타측은 프레임(110)이 우측 부위에 결합된 탄성을 가진 제 2 팔부(185), 제 1 팔부(183)의 타측에서 연장 형성되어 프레임(110)의 좌측 부위 외측으로 연장된 연장부(187)를 가진다.
즉, 외부의 전원측이 접속되는 제 1 단자(170)의 연장부(177)와 제 2 단자(180)의 연장부(187)가 동일 방향을 향한다.
제 1 단자(170)의 제 1 팔부(173)의 일측 및 제 2 단자(180)의 제 2 팔부(185)의 일측에는 코일(133)의 (+) 및 (-)리드선이 각각 접속되는 접속편(173a,185a)이 각각 형성되고, 제 1 단자(170)의 연장부(177) 및 제 2 단자(180)의 연장부(187)에는 외부의 (+) 및 (-)전원측이 각각 접속되는 접속공(177a,187a) 각각 형성된다.
이때, 제 1 단자(170)의 결합부(171)와 제 1 팔부(173)와 접속편(173a)과 제 2 팔부(175), 그리고 제 2 단자(180)의 결합부(181)와 제 1 팔부(183)와 제 2 팔부(185)와 접속편(185a)은 보이스코일(131)의 중심을 기준으로 점대칭을 이룬다. 이는 제 1 및 제 2 단자(170,180)에 의하여 보이스코일(131)의 일측에 편하중이 작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는 제 1 및 제 2 단자(170,180)가 보이스코일(131)의 보빈(132)에 결합되어 코일(133)과 접속됨과 동시에 보이스코일(131)의 좌우진동을 방지한다. 따라서, 종래의 스피커에 사용된 틴셀와이어가 필요없고, 상기 틴셀와이어를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포밍작업이 필요없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단자의 사시도로서, 이를 도 3과 함께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단자(270)의 제 1 및 제 2 팔부(273,275)와 제 2 단자(280)의 제 1 및 제 2 팔부(283,285)에는 보이스코일(131)(도 3참조)의 좌우진동을 더욱 감쇄하기 위한 벤딩부(273b,275a)(283a,285b)가 형성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단자(370)는 절연부재(360)의 외주면 일측에 결합된 호 형상의 제 1 결합부(371), 일측은 제 1 결합부(371)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타측은 프레임(110)(도 3참조)의 좌측으로 연장된 탄성을 가진 제 1 팔부(373), 일측은 제 1 결합부(371)의 타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타측은 프레임(110)의 좌측으로 연장된 탄성을 가진 제 2 팔부(375), 제 1 팔부(373)의 타측 부위와 제 2 팔부(375)의 타측 부위를 연결하며 프레임(110)의 좌측 부위에 결합되는 제 2 결합부(377), 제 2 결합부(377)에서 연장 형성되어 프레임(110)의 좌측 부위 외측으로 연장된 연장부(379)를 가진다.
제 2 단자(380)는 절연부재(360)의 외주면 타측에 결합된 호 형상의 제 1 결합부(381), 일측은 제 1 결합부(381)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타측은 프레임(110)의 우측으로 연장된 탄성을 가진 제 1 팔부(383), 일측은 제 1 결합부(381)의 타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타측은 프레임(110)의 우측으로 연장된 탄성을 가진 제 2 팔부(385), 제 1 팔부(383)의 타측 부위와 제 2 팔부(385)의 타측 부위를 연결하며 프레임(110)의 우측 부위에 결합되는 제 2 결합부(387), 제 2 결합부(387)에서 연장 형성되어 프레임(110)의 우측 부위 외측으로 연장된 연장부(389)를 가진다.
즉, 외부의 전원측이 접속되는 제 1 단자(370)의 연장부(379)와 제 2 단자(380)의 연장부(389)가 반대 방향을 향한다.
제 1 단자(370)의 제 1 팔부(373)의 일측 및 제 2 단자(380)의 제 2 팔부(385)의 일측에는 코일(133)(도 3참조)의 (+) 및 (-)리드선이 각각 접속되는 접속편(373a,385a)이 각각 형성되고, 제 1 단자(370)의 연장부(379) 및 제 2 단자(380)의 연장부(389)에는 외부의 (+) 및 (-)전원측이 각각 접속되는 접속공(379a,389a) 각각 형성된다.
제 1 단자(370)와 제 2 단자(380)도 동일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제 1 단자(370)의 제 1 결합부(371)와 제 1 팔부(373)와 접속편(373a)과 제 2 팔부(375)와 제 2 결합부(377), 그리고 제 2 단자(380)의 제 1 결합부(381)와 제 1 팔 부(383)와 제 2 팔부(385)와 접속편(385a)과 제 2 결합부(387)는 보이스코일(131)(도 3참조)의 중심을 기준으로 점대칭을 이룬다. 이 또한 보이스코일(131)의 편하중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단자(470)의 제 1 및 제 2 팔부(473,475)와 제 2 단자(480)의 제 1 및 제 2 팔부(483,485)에는 보이스코일(131)(도 3참조)의 좌우진동을 더욱 감쇄하기 위한 벤딩부(473b,475a)(483a,485b)가 형성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및 변형한 것도 본 발명에 속함은 당연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단자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프레임 120 : 자기회로부
130 : 음향발생부 160 : 절연부재
170,180 : 제 1,2 단자

Claims (9)

  1.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어 자기력을 발생하는 자기회로부;
    일측은 상기 자기회로부의 내부에 위치되고 타측은 상기 자기회로부의 외측에 위치된 보이스코일과 내주면은 상기 보이스코일의 타측 외주면에 결합되고 외주면은 상기 프레임에 결합된 진동판을 가지며, 상기 자기회로부와 작용하여 진동하면서 음향을 발생하는 음향발생부;
    상기 보이스코일의 외주면에 결합된 절연부재;
    일측은 상기 절연부재에 각각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프레임에 각각 결합되어 외부의 전원을 상기 보이스코일로 전달함과 동시에 상기 보이스코일이 상기 보이스코일의 진동방향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진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상호 이격된 제 1 및 제 2 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자는 상기 절연부재의 외주면 일측에 결합된 결합부, 일측은 상기 결합부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타측은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결합된 탄성을 가진 제 1 팔부, 일측은 상기 결합부의 타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타측은 상기 프레임의 타측에 결합된 탄성을 가진 제 2 팔부, 상기 제 1 팔부의 타측에서 연장 형성된 연장부를 가지고,
    상기 제 2 단자는 상기 절연부재의 외주면 타측에 결합된 결합부, 일측은 상기 제 2 단자의 결합부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타측은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결합된 탄성을 가진 제 1 팔부, 일측은 상기 제 2 단자의 결합부의 타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타측은 상기 프레임의 타측에 결합된 탄성을 가진 제 2 팔부, 상기 제 2 단자의 제 1 팔부의 타측에서 연장 형성된 연장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자와 상기 제 2 단자는 동일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단자의 결합부와 제 1 팔부와 제 2 팔부, 그리고 상기 제 2 단자의 결합부와 제 1 팔부와 제 2 팔부는 상기 보이스코일의 중심을 기준으로 점대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자의 제 1 팔부의 일측 및 상기 제 2 단자의 제 2 팔부의 일측에는 상기 보이스코일의 (+) 및 (-)리드선이 각각 접속되는 접속편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 1 단자의 연장부 및 상기 제 2 단자의 연장부에는 상기 외부의 (+) 및 (-)전원측이 각각 접속되는 접속공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자의 제 1 및 제 2 팔부와 상기 제 2 단자의 제 1 및 제 2 팔부에는 벤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자는 상기 절연부재의 외주면 일측에 결합된 제 1 결합부, 일측은 상기 제 1 결합부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타측은 상기 프레임의 일측으로 연장된 탄성을 가진 제 1 팔부, 일측은 상기 제 1 결합부의 타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타측은 상기 프레임의 일측으로 연장된 탄성을 가진 제 2 팔부, 상기 제 1 팔부의 타측 부위와 상기 제 2 팔부의 타측 부위를 연결하며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결합된 제 2 결합부, 상기 제 2 결합부에서 연장 형성된 연장부를 가지고,
    상기 제 2 단자는 상기 절연부재의 외주면 타측에 결합된 제 1 결합부, 일측은 상기 제 2 단자의 제 1 결합부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타측은 상기 프레임의 타측으로 연장된 탄성을 가진 제 1 팔부, 일측은 상기 제 2 단자의 제 1 결합부의 타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타측은 상기 프레임의 타측으로 연장된 탄성을 가진 제 2 팔부, 상기 제 2 단자의 제 1 팔부의 타측 부위와 제 2 팔부의 타측 부위를 연결하며 상기 프레임의 타측에 결합된 제 2 결합부, 상기 제 2 단자의 제 2 결합부에서 연장 형성된 연장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자와 상기 제 2 단자는 동일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단자의 제 1 결합부와 제 1 팔부와 제 2 팔부와 제 2 결합부, 그리고 상기 제 2 단자의 제 1 결합부와 제 1 팔부와 제 2 팔부와 제 2 결합부는 상기 보이스코일의 중심을 기준으로 점대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자의 제 1 팔부의 일측 및 상기 제 2 단자의 제 2 팔부의 일측에는 상기 보이스코일의 (+) 및 (-)리드선이 각각 접속되는 접속편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 1 단자의 제 2 연장부 및 상기 제 2 단자의 제 2 연장부에는 상기 외부의 (+) 및 (-)전원측이 각각 접속되는 접속공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자의 제 1 및 제 2 팔부와 상기 제 2 단자의 제 1 및 제 2 팔부에는 벤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KR1020090039260A 2009-05-06 2009-05-06 스피커 KR1010170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9260A KR101017070B1 (ko) 2009-05-06 2009-05-06 스피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9260A KR101017070B1 (ko) 2009-05-06 2009-05-06 스피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0446A true KR20100120446A (ko) 2010-11-16
KR101017070B1 KR101017070B1 (ko) 2011-02-25

Family

ID=43406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9260A KR101017070B1 (ko) 2009-05-06 2009-05-06 스피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707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86931A1 (ko) * 2010-12-20 2012-06-28 주식회사 엑셀웨이 입체형 트랙타입 보이스코일판을 갖는 평판형 스피커
KR101395011B1 (ko) * 2012-11-16 2014-05-14 주식회사 이엠텍 납땜 구조를 개선한 음향 변환 장치 및 그 납땜 방법
EP2677768A4 (en) * 2011-02-16 2017-08-23 Exelway Inc. Flat type speaker having vibration-lead plate attached on top of vibration plate
WO2017200154A1 (ko) * 2016-05-17 2017-11-23 주식회사 슬리비스 박형 스피커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07992A (ja) * 1996-05-10 1997-11-28 Kenwood Corp 蝶ダンパ
JP3510094B2 (ja) * 1997-12-04 2004-03-22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スピーカ装置
KR100540289B1 (ko) * 2002-12-24 2006-01-11 주식회사 진영음향 음향 진동 복합 모드의 다이나믹 마이크로 스피커
KR20040107014A (ko) * 2003-06-12 2004-12-20 에스텍 주식회사 스피커용 리드 단자 일체형 댐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86931A1 (ko) * 2010-12-20 2012-06-28 주식회사 엑셀웨이 입체형 트랙타입 보이스코일판을 갖는 평판형 스피커
EP2677768A4 (en) * 2011-02-16 2017-08-23 Exelway Inc. Flat type speaker having vibration-lead plate attached on top of vibration plate
KR101395011B1 (ko) * 2012-11-16 2014-05-14 주식회사 이엠텍 납땜 구조를 개선한 음향 변환 장치 및 그 납땜 방법
WO2017200154A1 (ko) * 2016-05-17 2017-11-23 주식회사 슬리비스 박형 스피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17070B1 (ko) 2011-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26025B2 (en) Speaker
CN111641907B (zh) 发声器件
US10932059B2 (en) Speaker
KR101381255B1 (ko) 하이브리드 마이크로스피커
KR101017070B1 (ko) 스피커
KR101222416B1 (ko) 듀얼 서스펜션 스피커
KR101052622B1 (ko) 보이스코일용 터미널 및 이를 구비한 스피커
KR101046087B1 (ko) 스피커
CN208158862U (zh) 一种发声装置
KR101481649B1 (ko) 마이크로스피커
KR101024035B1 (ko) 스피커
KR101086932B1 (ko) 스피커
KR101811730B1 (ko) 두 개의 보이스코일을 구비한 고출력 마이크로스피커
KR100999485B1 (ko) 스피커
CN213938307U (zh) 发声器件
KR100987464B1 (ko) 지향성 스피커
JP3803350B2 (ja) ウェイトリングを備えたスピーカー
KR20090068706A (ko) 슬림형 스피커
KR101364670B1 (ko) 아마츄어 타입 스피커
KR20100126014A (ko) 스피커
KR20110137697A (ko) 음향변환장치
WO2021114122A1 (zh) 发声器件
KR100962597B1 (ko) 스피커
KR102073036B1 (ko) 댐퍼 및 이를 구비한 보빈리스 스피커
KR101116930B1 (ko) 스피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2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