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07610A - 마찰 클러치, 마찰 클러치 조립 방법 및 자동차 마찰클러치 댐퍼용 안내 와셔 - Google Patents

마찰 클러치, 마찰 클러치 조립 방법 및 자동차 마찰클러치 댐퍼용 안내 와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07610A
KR20070107610A KR1020070042699A KR20070042699A KR20070107610A KR 20070107610 A KR20070107610 A KR 20070107610A KR 1020070042699 A KR1020070042699 A KR 1020070042699A KR 20070042699 A KR20070042699 A KR 20070042699A KR 20070107610 A KR20070107610 A KR 200701076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er
friction clutch
guide washer
axial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26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68033B1 (ko
Inventor
가엘 푸아리에
Original Assignee
발레오 앙브라이아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발레오 앙브라이아쥐 filed Critical 발레오 앙브라이아쥐
Publication of KR200701076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76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80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80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1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 F16F15/12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elastic members or friction-damping members, e.g. between a rotating shaft and a gyratory mass mounted thereon
    • F16F15/129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elastic members or friction-damping members, e.g. between a rotating shaft and a gyratory mass mounted thereon characterised by friction-damping means
    • F16F15/1292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elastic members or friction-damping members, e.g. between a rotating shaft and a gyratory mass mounted thereon characterised by friction-damping mea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s for axially clamping or positioning or otherwise influencing the frictional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3/00Friction clutches
    • F16D13/5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3/00Friction clutches
    • F16D13/58Details
    • F16D13/60Clutching elements
    • F16D13/64Clutch-plates; Clutch-lamella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02Springs made of steel or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Wound, torsion, leaf, cup, ring or the like springs, the material of the spring not being relevant
    • F16F1/32Belleville-type springs
    • F16F1/324Belleville-type springs characterised by having tongues or arms directed in a generally radial direction, i.e. diaphragm-type sp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마찰 클러치(10)는 기하학적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진동하도록 의도된 적어도 하나의 안내 와셔와, 상기 안내 와셔(14) 상에 축방향으로 접해 있는 적어도 제 1 축방향 압축 탄성 와셔(18)를 포함하는 진동을 감쇠시키는 수단이 구비된 댐퍼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안내 와셔(14)와 제 1 탄성 와셔(18)는 안내 와셔(14) 상에 제 1 탄성 와셔(18)에 대한 상보적인 축방향 유지 수단(24)을 포함하고 있다.

Description

마찰 클러치, 마찰 클러치 조립 방법 및 자동차 마찰 클러치 댐퍼용 안내 와셔{IMPROVED FRICTION CLUTCH, IN PARTICULAR FOR A MOTOR VEHICLE, A FRICTION CLUTCH DAMPER GUIDE WASHER, AND A METHOD OF ASSEMBLING A FRICTION CLUTCH}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마찰 클러치의 요소에 대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상세도,
도 3은 도 2의 상세도 중 일부에서 화살표 Ⅲ-Ⅲ의 방향에서의 도면,
도 4는 도 2와 유사한 도면으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마찰 클러치의 요소의 상세도,
도 5 내지 도 7은 도 3과 유사한 도면으로, 본 발명의 제 3 내지 제 5 실시예에 따른 마찰 클러치 요소의 상세도,
도 8은 클러치의 보충적인 탄성 와셔를 도시하는 도면의 마찰 클러치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0 : 마찰 클러치 14 : 안내 와셔
18 : 탄성 와셔 22 : 러그
22L : 돌출 자유 단부 24 : 축방향 유지 수단
25 : 컷아웃부 40 : 오리피스
본 발명은 특히 자동차용의 개선된 마찰 클러치와, 마찰 클러치 댐퍼 안내 와셔와, 마찰 클러치의 조립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용의 마찰 클러치는 일반적으로 내연기관 크랭크축에 의해 형성되는 구동축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엔진 플라이휠과, 일반적으로 기어박스 입력축에 의해 형성되는 피동축 사이에서 토크를 전달하도록 의도된 마찰 장치를 포함하고 있다.
종래 기술에서는 댐퍼를 포함하는 유형의 특히, 자동차용의 마찰 클러치가 공지되어 있는데, 댐퍼에는 기하학적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진동하도록 의도된 적어도 하나의 안내 와셔와, 상기 안내 와셔 상에 축방향으로 접해있는 적어도 제 1 축방향 압축 탄성 와셔를 포함하는 진동을 감쇠시키는 감쇠 수단이 마련되어 있다.
댐퍼는 일반적으로 기하학적 축선을 중심으로 안내 와셔에 대해 상대 진동하는 댐퍼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감쇠 수단은 댐퍼 플레이트와 안내 와셔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댐퍼는 마찰 디스크와 같은 회전 입력 요소와, 내측 허브와 같은 회전 출력 요소와의 사이에 연속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마찰 디스크는 엔진 플라이휠과 결합 수단에 의해 작동되는 압력판과의 사이에서 클램핑되도록 의도된다. 내측 허브는 피동축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감쇠 수단은 전달되는 토크의 불규칙성을 완화시키고, 내연 기관에 의해 발생된 진동을 여과시키도록 의도된다. 이것은 감쇠 수단이 안내 와셔와 댐퍼 플레이트를 탄성적으로 연결시키는 탄성 수단과, 탄성 부재에 축적된 에너지를 소산시키도록 의도된 마찰 수단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이다.
마찰 수단은 특히, 제 1 축방향 압축 탄성 와셔를 포함하고 있는데, 이 탄성 와셔는 한 쌍의 상보적인 마찰면과 작용하도록 의도된다. 일반적으로 제 1 탄성 와셔는 압축될 때 평탄하게 되는 대체로 절두원추형상을 가지고 있다.
클러치의 조립 동안에, 안내 와셔 및 제 1 탄성 와셔와 같은 다양한 부재가 적층되어 클러치를 형성한다. 이 적층 부재 세트가 축방향으로 유지되어 있지 않다면, 이러한 적층 작업은 조심스럽게 수행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특히 마찰 클러치의 조립을 단순화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본 발명의 목적은 안내 와셔와 제 1 탄성 와셔가 안내 와셔 상에 제 1 탄성 와셔를 축방향으로 유지하는 상보적인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술한 타입의 마찰 클러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탄성 유지 수단에 의해, 제 1 탄성 와셔와 안내 와셔는 조립 도중에 단절되지 않고 용이하게 조작될 수 있는 밀착된 보조 조립체를 형성하도록 조립될 수 있다. 따라서, 클러치의 조립 중에 상기 보조 조립체의 취급 상의 주의를 경감시켜서, 단순화될 수 있다.
추가로, 상기 보조 조립체는 클러치의 조립 이전에 미리 조립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조립 중의 단계를 줄여서 조립 시간이 감소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마찰 클러치는,
- 축방향 유지 수단은 안내 와셔에 수반되는 적어도 2개의 대향 축방향 정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2개의 대향 축방향 정지부 사이에는 제 1 탄성 와셔에 수반되는 2개의 상보적인 축방향 정지부가 개재되어 있으며, 안내 와셔의 축방향 정지부는 안내 와셔에 마련된 컷아웃부에 의해 형성되고, 제 1 탄성 와셔의 축방향 정지부는 컷아웃부에 장착된 러그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 상기 컷아웃부는 V 자형(chevron; 셰브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 상기 축방향 유지 수단은 제 1 탄성 와셔에 수반되는 적어도 2개의 대향 축방향 정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2개의 대향 축방향 정지부 사이에는 안내 와셔에 수반되는 2개의 상보적인 축방향 정지부가 개재되어 있으며, 상기 안내 와셔의 축방향 정지부는 안내 와셔에 마련된 오리피스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제 1 탄성 와셔의 축방향 정지부는 오리피스에 장착된 러그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 상기 오리피스에 장착된 러그에는 상기 안내 와셔에 맞물려 절곡된 돌출 자유 단부가 마련되어 있으며,
- 상기 오리피스는 이 오리피스에 장착된 러그의 자유 단부를 수용하기 위한 리세스에 의해 연장되고,
- 상기 안내 와셔는 상기 제 1 탄성 와셔를 안내 와셔에 대해 회전에 있어서 고정하는 수단을 포함하며,
- 상기 회전 고정 수단은 상기 안내 와셔에 수반되는 2개의 대향 각도 정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2개의 대향 각도 정지부 사이에는 상기 제 1 탄성 와셔에 수반되는 2개의 상보적인 각도 정지부가 개재되어 있으며, 상기 안내 와셔(14)의 각도 정지부는 안내 와셔에 형성되어 있는 리세스 및/또는 보스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제 1 탄성 와셔의 각도 정지부는 상기 리세스 및/또는 보스와 협동하는 러그에 의해 형성되고,
- 상기 안내 와셔의 각도 정지부는 축방향 유지 수단의 오리피스 또는 컷아웃부에 의해 형성되며,
- 상기 감쇠 수단은 안내 와셔와 축방향으로 접해있는 제 2 탄성 와셔를 포함하고, 상기 안내 와셔와 제 1 탄성 와셔 사이에 축방향으로 개재되어 있는특징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탄성 와셔의 축방향 유지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마찰 클러치 댐퍼용 안내 와셔를 제공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2개의 정반대로 대향하는 러그가 안내 와셔의 상보적인 오리피스 또는 컷아웃부에 장착될 수 있도록 제 1 탄성 와셔를 타원형화(ovalisation)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술한 것과 같은 마찰 클러치를 조립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단지 예로서 제시되어 있는 아래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의 해석을 통해 본 발명을 더 상세히 이해하게 될 것이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마찰 클러치(10)의 요소가 도시되어 있다.
클러치(10)는 공통 기하학적 축선을 중심으로 상대 회전 진동하는 댐퍼 플레이트(도시되어 있지 않음)와 적어도 하나의 안내 와셔(14)가 마련되어 있는 댐퍼를 구비하는 마찰 장치(12)를 포함하고 있다.
댐퍼는 댐퍼 플레이트와 안내 와셔(14) 사이에 배치되어 상대 진동을 감쇠시키는 수단을 포함하고 있는데, 상기 감쇠 수단은 안내 와셔 내의 윈도우(15)에 하우징되고, 탄성적으로 안내 와셔(14)와 댐퍼 플레이트를 연결시키는 통상적인 원주방향 작용 탄성 부재(도시되어 있지 않음)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감쇠 수단은 상기 탄성 부재에 축적된 에너지를 소산시키도록 의도된 마찰 수단(16)도 포함하고 있다.
마찰 수단(16)은 한 쌍의 상보적인 마찰면에 작용하도록 의도된 제 1 축방향 압축 탄성 와셔(18)를 포함하고 있다. 안내 와셔(14)에 축방향으로 접해 있는 상기 축방향 압축 탄성 와셔(18)는 상기 안내 와셔(14)와 실질적으로 동축 관계에 있다.
한 쌍의 상보적인 마찰면의 마찰 표면은 일반적으로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안내 와셔(14) 및 탄성 와셔(18)와 함께 적층되어 있는 환형 마찰 부재(도시되어 있지 않음)에 수반되어 있다.
탄성 와셔(18)는 일반적으로 원추형이다. 더 구체적으로는, 탄성 와셔(18)는 반경방향으로 고정된 축방향 접촉 러그(22)에 의해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환형 가동 축방향 접촉부(20)를 포함하고 있다.
탄성 와셔(18)의 환형 가동 축방향 접촉부(20)는 일반적으로 마찰 부재와 협동하도록 의도된다.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환형 가동 축방향 접촉부(20)에는 상기 환형 마찰 부재와 접촉하는 가동 축방향 접촉면이 형성되어 있다.
탄성 와셔(18)의 반경방향으로 고정된 축방향 접촉 러그(22)는 메인 댐퍼의 안내 와셔(14)와 협동한다.
상기 안내 와셔(14)와 제 1 탄성 와셔(18)를 밀착하는 보조 조립체로 조립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 안내 와셔(14)와 제 1 탄성 와셔(18)는 제 1 탄성 와셔(18)를 안내 와셔(14) 상에 축방향으로 유지하기 위한 상보적인 수단(24)을 포함하고 있다.
축방향 유지 수단(24)이 도 2 및 도 3에 더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축방향 유지 수단(24)은 안내 와셔(14) 내에 마련된 정반대로 대향하는 2 개의 컷아웃부(25)를 포함하고 있다. 이 컷아웃부(25)는 일반적으로 안내 와셔(14)가 압박될 때 생성된다.
각 컷아웃부(25)는 2개의 대향 축방향 정지부(26A, 26B)를 형성하고, 상기 2 개의 대향 축방향 정지부 사이에는 탄성 와셔(18)에 수반되는 2개의 상보적인 축방향 정지부(28A, 28B)가 개재되어 있다. 제 1 탄성 와셔(18)의 축방향 정지부(28A, 28B)는 컷아웃부(25)에 장착되는 러그(22)에 의해 형성된다.
따라서, 클러치 조립 공정 도중에, 제 1 탄성 와셔(18)의 2개의 정반대로 대향하는 러그(22)는 예를 들어, 탄성 와셔(18)가 타원형화되는 단계를 수행함으로써 컷아웃부(25) 내에 삽입된다.
러그(22)가 컷아웃부(25)에 장착되면, 이러한 방식으로 안내 와셔(14)와 탄성 와셔(18)를 포함하는 밀착된 보조 조립체가 형성되고, 이 보조 조립체는 클러치(10)를 조립할 때 조작 하기 용이하다.
바람직하게는, 안내 와셔는 제 1 탄성 와셔(18)를 안내 와셔(14)에 대한 회전 고정 수단(32)을 포함하고 있다. 이것은 클러치의 기능이 종종 안내 와셔(14)와 탄성 와셔(18)가 회전에 대해 결속될 것을 요구하기 때문이다.
회전 고정 수단(32)은 안내 와셔(14)에 수반되는 2 개의 대향 각도 정지부(34A, 34B)를 포함하고 있는데, 상기 2개의 대향 각도 정지부 사이에는 제 1 탄성 와셔(18)에 수반되는 상보적인 각도 정지부(36A, 36B)가 개재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안내 와셔(14)의 각도 정지부는 안내 와셔(14)에 마련되어 있는 보스 예를 들어, 컷아웃부에 의해 형성되고, 제 1 탄성 와셔(18)의 각도 정지부(36A, 36B)는 상기 보스와 협동하는 러그(22)에 의해 형성된다. 보스는 일반적으로 안내 와셔(14)가 압박될 때 생성된다.
변형예에 있어서, 안내 와셔 상의 각도 정지부는 개방되어 있거나 그렇지 않 은 리세스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되어 있는 실시예에 따르면, 또한 컷아웃부(25)도 컷아웃부(25)에 장착된 러그(22)와 함께 협동하는 회전 고정 수단을 위한 각도 정지부를 형성할 수 있다는 점을 주목해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회전 고정 수단(32)의 리세스 또는 보스는 컷아웃부(25)로부터 90°에서 안내 와셔에 형성된다. 따라서, 대응하는 러그(22)는 전술한 타원형화 단계 후에 탄성 와셔(18)가 해제되면 상기 리세스 및/또는 보스와 협동하게 된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유지 수단(24)이 도시되어 있다. 이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컷아웃부(25)는 V 자형(chevron)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축방향 유지 수단(24)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르면, 축방향 유지 수단(24)은 탄성 와셔(18)에 수반되는 2개의 대향 축방향 정지부(38A, 38B)를 포함하고 있는데, 상기 2개의 대향 축방향 정지부 사이에는 안내 와셔(14)에 의해 지지되는 2개의 상보적인 축방향 정지부(40A, 40B)가 개재되어 있다.
안내 와셔의 축방향 정지부는 안내 와셔(14)에 마련되어 있는 오리피스(42)에 의해 형성되고, 제 1 탄성 와셔의 축방향 정지부는 오리피스(42)에 장착되어 있는 러그(22)에 의해 형성된다.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제 4 실시예에 따르면, 오리피스(42)에 장착되어 있는 러그(22)에는 그 부피를 감소시키기 위해 안내 와셔(14)에 맞물려 절곡되는 돌출 자유 단부(22L)가 마련되어 있다.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제 5 실시예에 따르면, 오리피스(42)는 오리피스(42)에 장착되어 있는 러그(22)의 자유 단부(22L)를 수용하는 리세스(44)에 의해 연장된다. 이 수용 리세스(44)는 장착된 러그(22)의 자유 단부(22L)의 축방향 접지면(footprint)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8에는 마찰 수단(16)이 마련되어 있는 도 1(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마찰 클러치(10)가 도시되어 있는데, 상기 마찰 수단은 탄성 와셔(18)에 부가하여 이 제 1 탄성 와셔(18)와 안내 와셔(14) 사이에 축방향으로 개재되어 있는 제 2 탄성 와셔(46)를 포함하고 있다. 안내 와셔(14)에 대해 축방향으로 접해있는 이 제 2 탄성 와셔(46)는 제 2 환형 마찰 부재(도시되어 있지 않음)에 의해 지지되는 한 쌍의 상보적인 마찰면에 작용하도록 의도되어 있다.
이 환형 탄성 와셔(46)는 대략 원추형상을 가지고 있고, 반경방향으로 고정된 축방향 접촉 러그(50)에 의해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환형 가동 축방향 접촉부(48)를 포함하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 1 탄성 와셔의 환형부(20)의 평균 직경은 제 2 탄성 와셔(46)의 환형부(48)의 평균 직경보다 커서, 제 1 탄성 와셔(18)의 가동 축방향 접촉면은 제2 탄성 와셔(46)의 가동 축방향 접촉면을 포위하고 있다.
제 2 탄성 와셔(46)는 제 1 탄성 와셔(18)에 의해 안내 와셔(14)에 대해 축방향으로 유지된다.
안내 와셔(14)는 또한 제 2 탄성 와셔(46)를 안내 와셔(14)에 대한 회전 고정 수단을 포함하고 있다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이는 전술한 다양한 실시예에 규정된 다양한 특징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 조합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클러치의 조립 중에 취급 상의 주의를 경감시킬 수 있고, 간단하게 조립될 수 있으며, 조립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마찰 클러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1)

  1. 댐퍼를 포함하는 특히, 자동차용의 마찰 클러치(10)로서, 상기 댐퍼에는 기하학적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진동하도록 의도된 적어도 하나의 안내 와셔와, 상기 안내 와셔(14) 상에 축방향으로 접촉하고 있는 적어도 제 1 축방향 압축 탄성 와셔(18)를 포함하는 진동을 감쇠시키는 수단이 마련되어 있는 마찰 클러치(10)에 있어서,
    상기 안내 와셔(14)와 제 1 탄성 와셔(18)는 안내 와셔(14) 상에 제 1 탄성 와셔(18)의 상보적인 축방향 유지 수단(24)을 포함하고, 상기 축방향 유지 수단(24)은 안내 와셔(14)에 수반되는 적어도 2개의 대향 축방향 정지부(26A, 26B)를 포함하고, 상기 2개의 대향 축방향 정지부(26A, 26B) 사이에는 제 1 탄성 와셔(18)에 수반되는 2개의 상보적인 축방향 정지부(28A, 28B)가 개재되어 있으며, 상기 안내 와셔(14)의 축방향 정지부(26A, 26B)는 안내 와셔(14)에 마련된 컷아웃부(25)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제 1 탄성 와셔(18)의 축방향 정지부(28A, 28B)는 상기 컷아웃부(25)에 장착된 러그(22)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클러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컷아웃부(25)는 V 자형(chevron)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클러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축방향 유지 수단(24)은 제 1 탄성 와셔(18)에 수반되는 적어도 2개의 대향 축방향 정지부(38A, 38B)를 포함하고, 상기 2개의 대향 축방향 정지부(38A, 38B) 사이에는 안내 와셔(14)에 수반되는 2개의 상보적인 축방향 정지부(40A, 40B)가 개재되어 있으며, 상기 안내 와셔(14)의 축방향 정지부(40A, 40B)는 안내 와셔(14)에 마련된 오리피스(42)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제 1 탄성 와셔(18)의 축방향 정지부(38A, 38B)는 오리피스(42)에 장착된 러그(22)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클러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오리피스(42)에 장착된 러그(22)에는 상기 안내 와셔(14)에 맞물려 절곡된 돌출 자유 단부(22)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클러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오리피스(42)는 이 오리피스(42)에 장착된 러그(22)의 자유 단부(22L)를 수용하기 위한 리세스(44)에 의해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클러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와셔(14)는 상기 제 1 탄성 와셔(18)를 안내 와셔(14)에 대해 회전에 있어서 고정하는 수단(3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마찰 클러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고정 수단(32)은 상기 안내 와셔(14)에 수반되는 2개의 대향 각도 정지부(34A, 34B)를 포함하고, 상기 2개의 대향 각도 정지부(34A, 34B) 사이에는 상기 제 1 탄성 와셔(18)에 수반되는 2개의 상보적인 각도 정지부(36A, 36B)가 개재되어 있으며, 상기 안내 와셔(14)의 각도 정지부(34A, 34B)는 안내 와셔(14)에 형성되어 있는 리세스 및/또는 보스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제 1 탄성 와셔(18)의 각도 정지부(36A, 36B)는 상기 리세스 및/또는 보스와 협동하는 러그(22)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클러치.
  8. 제 1 항 내지 제 5 항 또는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와셔(14)의 각도 정지부(34A, 34B)는 축방향 유지 수단(24)의 오리피스(42) 또는 컷아웃부(25)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클러치.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감쇠 수단은 안내 와셔(14)와 축방향으로 접해있는 제 2 탄성 와셔(46)를 포함하고, 상기 안내 와셔(14)와 제 1 탄성 와셔(18) 사이에 축방향으로 개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클러치.
  10. 자동차 마찰 클러치 댐퍼용 안내 와셔(14)로서,
    탄성 와셔의 축방향 유지 수단(24)을 포함하고, 상기 축방향 유지 수단은 상기 탄성 와셔의 러그를 수용하는 컷아웃부(25)에 의해 형성되는 적어도 2개의 대향 축방향 정지부(26A, 26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마찰 클러치 댐퍼용 안내 와셔.
  11. 제 1 항에 따른 마찰 클러치(10)를 조립하는 방법에 있어서,
    2개의 정반대로 대향하는 러그(22)가 안내 와셔(14)의 상보적인 오리피스(42) 또는 컷아웃부(25)에 장착될 수 있도록 제 1 탄성 와셔(18)를 타원형화(ovalisation)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클러치 조립 방법.
KR1020070042699A 2006-05-03 2007-05-02 마찰 클러치, 자동차 마찰 클러치 댐퍼용 안내 와셔 및 마찰 클러치 조립 방법 KR1013680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651581 2006-05-03
FR0651581A FR2900704B1 (fr) 2006-05-03 2006-05-03 Embrayage a friction perfectionne, en particulier pour vehicule automobile, rondelle de guidage d'amortisseur d'embrayage a friction, et procede de montage d'un embrayage a fric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7610A true KR20070107610A (ko) 2007-11-07
KR101368033B1 KR101368033B1 (ko) 2014-02-26

Family

ID=37546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2699A KR101368033B1 (ko) 2006-05-03 2007-05-02 마찰 클러치, 자동차 마찰 클러치 댐퍼용 안내 와셔 및 마찰 클러치 조립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1852632B1 (ko)
KR (1) KR101368033B1 (ko)
CN (1) CN101067436B (ko)
BR (1) BRPI0702183B8 (ko)
ES (1) ES2399035T3 (ko)
FR (1) FR290070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41062B2 (en) 2015-11-04 2017-12-12 Hyundai Motor Company Clutch for vehicle
KR20180058906A (ko) 2016-11-24 2018-06-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클러치
KR20180058907A (ko) 2016-11-24 2018-06-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클러치 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89753B1 (fr) 2012-04-20 2014-04-18 Valeo Embrayages Dispositif d'amortissement pendulaire, en particulier pour une transmission de vehicule automobile
FR3026802B1 (fr) * 2014-10-01 2017-02-17 Valeo Embrayages Amortisseur de torsion a lame
FR3027642B1 (fr) * 2014-10-27 2020-02-21 Valeo Embrayages Dispositif d'amortissement d'oscillations de torsion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365728A1 (fr) * 1976-09-23 1978-04-21 Ferodo Sa Dispositif amortisseur de torsion, en particulier friction d'embrayage,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FR2524097A1 (fr) * 1982-03-26 1983-09-30 Valeo Dispositif amortisseur de torsion, en particulier pour vehicule automobile
JPS59155327U (ja) * 1983-04-05 1984-10-18 株式会社 大金製作所 ダンパ−デイスク
DE3743075A1 (de) * 1987-12-18 1989-06-29 Fichtel & Sachs Ag Torsionsschwingungsdaempfer mit waelzlagerung
FR2725003B1 (fr) * 1994-09-28 1997-01-10 Valeo Dispositif amortisseur de torsion
JPH11303890A (ja) * 1998-04-17 1999-11-02 Exedy Corp プレート及びダンパーディスク組立体
FR2854671B1 (fr) * 2003-05-05 2006-04-28 Valeo Embrayages Embrayage a friction, en particulier pour un vehicule automobile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41062B2 (en) 2015-11-04 2017-12-12 Hyundai Motor Company Clutch for vehicle
KR20180058906A (ko) 2016-11-24 2018-06-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클러치
KR20180058907A (ko) 2016-11-24 2018-06-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클러치 구조
US10274022B2 (en) 2016-11-24 2019-04-30 Hyundai Motor Company Clutch structure
US10393192B2 (en) 2016-11-24 2019-08-27 Hyundai Motor Company Clutch
KR20240026471A (ko) 2016-11-24 2024-02-2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클러치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399035T3 (es) 2013-03-25
BRPI0702183A (pt) 2008-02-19
EP1852632B1 (fr) 2012-10-03
FR2900704A1 (fr) 2007-11-09
EP1852632A3 (fr) 2009-07-01
FR2900704B1 (fr) 2009-06-05
CN101067436A (zh) 2007-11-07
BRPI0702183B1 (pt) 2019-03-12
CN101067436B (zh) 2011-08-03
EP1852632A2 (fr) 2007-11-07
BRPI0702183B8 (pt) 2019-10-08
KR101368033B1 (ko) 2014-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35525B2 (en) Torque converter with turbine mass absorber
US20100133063A1 (en) Device for damping vibrations, in particular a multi-step torsional vibration damper
KR101368033B1 (ko) 마찰 클러치, 자동차 마찰 클러치 댐퍼용 안내 와셔 및 마찰 클러치 조립 방법
US20100075763A1 (en) Damper mechanism
JP6656420B2 (ja) アイソレーティング・デカップラ
US20210215225A1 (en) Torsion damper for vehicle
JP2017062029A (ja) 自動車の伝達システムのねじり振動減衰装置
CN105240420A (zh) 一种低刚度离合器及用于其中的从动机构
JP4045281B2 (ja) ダンパーディスク組立体及びフライホイール組立体
WO2014167955A1 (ja) トルクコンバータ用のロックアップ装置
JP6714420B2 (ja) ダンパ装置
JPH1151119A (ja) フライホイール組立体
KR102315995B1 (ko) 차량용 토셔널 댐퍼
KR101130912B1 (ko) 마찰 클러치
KR101205149B1 (ko) 마찰 클러치
CN110382906B (zh) 具有摩擦垫圈的离合器盘
KR100634274B1 (ko) 비틀림 댐퍼 및 마찰 링 조립체
KR101542944B1 (ko) 이중 질량체 플라이휠
KR102141858B1 (ko) 축정렬형 듀얼매스 플라이휠
JP7198103B2 (ja) ダンパ装置
CN218670401U (zh) 振动阻尼装置
WO2023029039A1 (zh) 车辆用扭矩限制机构及车辆用减振器
CN114526312A (zh) 具有离合器的减振装置
KR20210123845A (ko) 차량용 토셔널 댐퍼
CN114542662A (zh) 具有离合器的减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