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8906A - 클러치 - Google Patents

클러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8906A
KR20180058906A KR1020160157623A KR20160157623A KR20180058906A KR 20180058906 A KR20180058906 A KR 20180058906A KR 1020160157623 A KR1020160157623 A KR 1020160157623A KR 20160157623 A KR20160157623 A KR 20160157623A KR 20180058906 A KR20180058906 A KR 201800589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b
clutch
friction ring
sleeve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76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14121B1 (ko
Inventor
박종윤
김연호
홍성화
김경하
최재영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576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4121B1/ko
Priority to US15/588,922 priority patent/US10393192B2/en
Priority to CN201710403737.1A priority patent/CN108105274B/zh
Publication of KR201800589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89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41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41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3/00Friction clutches
    • F16D13/58Details
    • F16D13/60Clutching elements
    • F16D13/64Clutch-plates; Clutch-lamella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3/00Friction clutches
    • F16D13/22Friction clutches with axially-movable clutching members
    • F16D13/24Friction clutches with axially-movable clutching members with conical friction surfaces cone clutches
    • F16D13/32Friction clutches with axially-movable clutching members with conical friction surfaces cone clutches in which two or more axially-movable members are pressed from one side towards an axially-located member
    • F16D13/34Friction clutches with axially-movable clutching members with conical friction surfaces cone clutches in which two or more axially-movable members are pressed from one side towards an axially-located member with means for increasing the effective force between the actuating sleeve or equivalent member and the pressure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3/00Details of mechanically-actuated clutches not specific for one distinct type
    • F16D23/02Arrangements for synchronisation, also for power-operated clutches
    • F16D23/04Arrangements for synchronisation, also for power-operated clutches with an additional friction clutc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3/00Friction clutches
    • F16D13/5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3/00Friction clutches
    • F16D13/58Details
    • F16D13/60Clutch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3/00Friction clutches
    • F16D13/58Details
    • F16D13/60Clutching elements
    • F16D13/64Clutch-plates; Clutch-lamellae
    • F16D2013/642Clutch-plates; Clutch-lamellae with resilient attachment of frictions rings or linings to their supporting discs or plates for allowing limited axial displacement of these rings or li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3/00Details of mechanically-actuated clutches not specific for one distinct type
    • F16D23/02Arrangements for synchronisation, also for power-operated clutches
    • F16D23/04Arrangements for synchronisation, also for power-operated clutches with an additional friction clutch
    • F16D23/06Arrangements for synchronisation, also for power-operated clutches with an additional friction clutch and a blocking mechanism preventing the engagement of the main clutch prior to synchronisation
    • F16D2023/0618Details of blocking mechanism comprising a helical spring loaded element, e.g. b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3/00Details of mechanically-actuated clutches not specific for one distinct type
    • F16D23/02Arrangements for synchronisation, also for power-operated clutches
    • F16D23/04Arrangements for synchronisation, also for power-operated clutches with an additional friction clutch
    • F16D23/06Arrangements for synchronisation, also for power-operated clutches with an additional friction clutch and a blocking mechanism preventing the engagement of the main clutch prior to synchronisation
    • F16D2023/065Means to provide additional axial force for self-energising, e.g. by using torque from the friction clutc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3/00Details of mechanically-actuated clutches not specific for one distinct type
    • F16D23/02Arrangements for synchronisation, also for power-operated clutches
    • F16D23/04Arrangements for synchronisation, also for power-operated clutches with an additional friction clutch
    • F16D23/06Arrangements for synchronisation, also for power-operated clutches with an additional friction clutch and a blocking mechanism preventing the engagement of the main clutch prior to synchronisation
    • F16D2023/0681Double cone synchromesh clutc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축에 구속된 허브와; 상기 허브의 외주면에 직선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된 슬리브와; 상기 회전축에 대해 상대회전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는 클러치기어와; 상기 클러치기어와 상기 허브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클러치기어를 향해 가압됨에 의해, 상기 클러치기어와 허브 사이에 마찰력이 형성되도록 하여 토크를 전달하도록 설치된 제1마찰링과; 상기 슬리브와 허브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슬리브가 상기 클러치기어를 향해 직선 슬라이딩하여 상기 제1마찰링과 접촉하기 전에, 상기 슬리브의 직선 변위를 상기 제1마찰링에 전달하도록 설치된 키이와; 상기 허브에 대한 상기 제1마찰링의 상대회전 변위를 상기 제1마찰링의 축방향 직선변위로 전환하는 변위전환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클러치{CLUTCH}
본 발명은 클러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변속기 등에 사용될 수 있는 클러치의 기술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변속기 등에는 서로 상대회전하는 회전체 사이의 동력 전달을 단속할 수 있도록 다수의 클러치가 사용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클러치는 가급적 작은 부피를 차지하면서도 가급적이면 큰 토크 전달 용량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통상 큰 토크 전달 용량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클러치의 부피가 증가하게 된다.
또한, 클러치가 큰 토크를 전달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그에 따라 클러치를 작동시키는 힘이 증가되어야 하므로, 클러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장치, 예컨대 액츄에이터 등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증가되어야 한다.
또한, 차량의 변속기 등에 사용되는 클러치는 그 전달토크의 제어가 차량의 변속품질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액츄에이터에 의한 클러치 전달토크의 제어가 정밀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2007-0107610
본 발명은 간단하고 컴팩트한 구성을 가지고 상대적으로 작은 부피를 차지하면서도, 상대적으로 큰 토크 전달 용량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고, 토크 전달을 위해 필요로 하는 클러치의 작동력을 상대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하여 액츄에이터의 크기와 용량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하여, 클러치 시스템의 크기는 가급적 작게 구성하면서도, 상대적으로 큰 토크 전달이 가능하도록 함은 물론, 액츄에이터에 의한 클러치 전달토크의 제어가 매우 정밀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클러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클러치는,
회전축에 구속된 허브와;
상기 허브의 외주면에 직선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된 슬리브와;
상기 회전축에 대해 상대회전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는 클러치기어와;
상기 클러치기어와 상기 허브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클러치기어를 향해 가압됨에 의해, 상기 클러치기어와 허브 사이에 마찰력이 형성되도록 하여 토크를 전달하도록 설치된 제1마찰링과;
상기 슬리브와 허브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슬리브가 상기 클러치기어를 향해 직선 슬라이딩하여 상기 제1마찰링과 접촉하기 전에, 상기 슬리브의 직선 변위를 상기 제1마찰링에 전달하도록 설치된 키이와;
상기 허브에 대한 상기 제1마찰링의 상대회전 변위를 상기 제1마찰링의 축방향 직선변위로 전환하는 변위전환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허브에는 상기 키이를 수용하면서 상기 변위전환부를 형성하는 허브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마찰링에는 상기 허브홈에 삽입되면서 상기 변위전환부를 형성하는 제1링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슬리브는 내측에 상기 허브홈에 삽입되어 상기 제1링돌기를 축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슬리브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변위전환부는, 상기 허브홈의 상기 제1마찰링을 향한 단부에 상기 허브홈의 원주방향을 따른 폭이 점차 확대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제1경사면과; 상기 제1경사면과 평행하게 상기 제1마찰링의 제1링돌기에 형성된 제2경사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키이는 상기 슬리브의 슬리브돌기를 향해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지지볼과;
상기 지지볼에 탄성력을 부여하도록 내장된 키이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키이의 지지볼 일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슬리브돌기의 내측에 형성된 슬리브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클러치기어에는 상기 허브를 향하여 돌출되면서 외경이 점차 줄어드는 클러치콘이 구비되고;
상기 제1마찰링과 상기 클러치콘 사이에는 다수의 마찰면이 중첩되어 형성되도록 다수의 중간마찰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중간마찰부재는
상기 허브에 대해 회전이 제한되고, 내측이 상기 클러치콘의 외측면과 접촉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2마찰링과;
상기 클러치기어에 대해 회전이 제한되고 내측이 상기 제2마찰링의 외측면과 접촉 가능하고 외측이 상기 제1마찰링의 내측면과 접촉 가능하게 형성되는 미들콘;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마찰링에는 상기 허브를 향하여 돌출된 다수의 제2링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허브에는 상기 제2링돌기가 삽입되는 허브홀이 다수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클러치기어는
중앙에 플랜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플랜지부를 중심으로 상기 허브의 반대쪽에는 기어부가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부를 중심으로 상기 허브 쪽에는 상기 클러치콘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미들콘에는 상기 플랜지부를 향하여 돌출된 다수의 미들콘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플랜지부에는 상기 미들콘돌기가 삽입되는 플랜지홀이 다수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간단하고 컴팩트한 구성을 가지고 상대적으로 작은 부피를 차지하면서도, 상대적으로 큰 토크 전달 용량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고, 토크 전달을 위해 필요로 하는 클러치의 작동력을 상대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하여 액츄에이터의 크기와 용량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하여, 클러치 시스템의 크기는 가급적 작게 구성하면서도, 상대적으로 큰 토크 전달이 가능하도록 함은 물론, 액츄에이터에 의한 클러치 전달토크의 제어가 매우 정밀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클러치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클러치를 축방향을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도 1의 클러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1의 클러치에서 허브와 슬리브의 경계면을 중심으로 외측의 슬리브를 제거한 상태의 도면,
도 5는 도 1의 허브와 슬리브를 클러치기어 반대쪽에서 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 실시예로부터 키이를 제거한 예의 작용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 클러치는, 회전축에 구속된 허브(1)와; 상기 허브(1)의 외주면에 직선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된 슬리브(3)와; 상기 회전축에 대해 상대회전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는 클러치기어(5)와; 상기 클러치기어(5)와 상기 허브(1)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클러치기어(5)를 향해 가압됨에 의해, 상기 클러치기어(5)와 허브(1) 사이에 마찰력이 형성되도록 하여 토크를 전달하도록 설치된 제1마찰링(7)과; 상기 슬리브(3)와 허브(1)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슬리브(3)가 상기 클러치기어(5)를 향해 직선 슬라이딩하여 상기 제1마찰링(7)과 접촉하기 전에, 상기 슬리브(3)의 직선 변위를 상기 제1마찰링(7)에 전달하도록 설치된 키이(9)와; 상기 허브(1)에 대한 상기 제1마찰링(7)의 상대회전 변위를 상기 제1마찰링(7)의 축방향 직선변위로 전환하는 변위전환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축은 상기 허브와 클러치기어(5)를 관통하여 체결되는 것으로서, 도면에서는 생략되었으며, 상기 축방향이란 상기 회전축의 길이 방향, 즉 상기 허브(1)와 클러치기어(5)의 회전 중심축 방향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클러치(11)는 상기 허브(1)와 상기 클러치기어(5) 사이에 전달되는 토크를 상기 슬리브(3)의 축방향을 따른 조작으로 조절하기 위한 것이며, 특히 상기 키이(9)는 상기 슬리브(3)가 상기 제1마찰링(7)을 직접 가압하여 토크 전달을 위한 실질적인 마찰력이 발생하는 상황 이전에, 상기 제1마찰링(7)과 클러치기어(5) 사이에 존재하던 틈새와 유막 등을 제거하도록 하여, 상기 슬리브(3)가 제1마찰링(7)을 직접 가압하는 상황이 되면, 상기 슬리브(3)에 가하는 액츄에이터로(미도시)부터의 힘에 대응하여 상기 클러치(11)를 통한 전달 토크의 크기가 결정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상기 액츄에이터의 제어에 따른 상기 클러치 전달 토크의 정밀한 제어가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허브(1)에는 상기 키이(9)를 수용하면서 상기 변위전환부를 형성하는 허브홈(13)이 형성되고, 상기 제1마찰링(7)에는 상기 허브홈(13)에 삽입되면서 상기 변위전환부를 형성하는 제1링돌기(15)가 형성되며, 상기 슬리브(3)는 내측에 상기 허브홈(13)에 삽입되어 상기 제1링돌기(15)를 축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슬리브돌기(17)가 형성된다.
상기 키이는 상기 슬리브(3)의 슬리브돌기(17)를 향해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지지볼(19)과, 상기 지지볼(19)에 탄성력을 부여하도록 내장된 키이스프링(21)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키이(9)의 지지볼(19) 일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슬리브돌기(17)의 내측에는 슬리브홈(23)이 형성된다.
즉, 상기 키이(9)의 지지볼(19)은 상기 허브홈(13) 내에서 상기 키이스프링(21)에 의해 상기 슬리브돌기(17)의 슬리브홈(23)에 삽입된 상태로 탄성 지지되며, 특히 상기 슬리브(3)가 상기 클러치기어(5)를 향해 전혀 이동하지 않은 기본위치에서는 도 2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키이(9)와 상기 제1마찰링(7) 사이의 간격인 A가 상기 슬리브(3)와 제1마찰링(7) 사이의 간격인 B보다 작아서, 상기 슬리브(3)가 상기 클러치기어(5)를 향해 이동하는 초기에는 상기 키이(9)가 먼저 상기 제1마찰링(7)을 가압하기 시작하고, 상기 제1마찰링(7)으로부터 키이(9)에 작용하는 반력이 커짐에 따라 상기 슬리브(3)는 상기 지지볼(19)을 상기 키이(9) 내측으로 밀면서 이동하여 상기 제1마찰링(7)을 직접 가압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슬리브(3)를 직선 이동시키기 위해 액츄에이터를 구동하면, 상기 키이(9)는 상기 슬리브(3)보다 먼저 상기 제1마찰링(7)을 가압하여, 상기 제1마찰링(7)과 클러치기어(5) 사이에 존재하던 틈새와 유막 등을 제거하도록 하고, 이후 상기 슬리브(3)가 상기 제1마찰링(7)을 직접 가압하는 상황이 되면, 상기 틈새와 유막 등에 의한 영향은 배제한 상태에서 상기 슬리브(3)에 가하는 액츄에이터로부터의 힘에 대응하여 상기 클러치(11)를 통한 전달 토크의 크기가 정확하게 결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변위전환부는 상기 허브홈(13)의 상기 제1마찰링(7)을 향한 단부에 상기 허브홈(13)의 원주방향을 따른 폭이 점차 확대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제1경사면(25)과, 상기 제1경사면(25)과 평행하게 상기 제1마찰링(7)의 제1링돌기(15)에 형성된 제2경사면(27)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제1마찰링(7)은 상기 클러치기어(5)를 향해 가압되어 상기 클러치기어(5)와의 사이에 마찰력이 발생하기 시작하면, 상기 허브(1)에 대해 상대적인 회전변위가 발생되고, 이 회전변위에 의해 상기 허브홈(13)의 제1경사면(25)에 상기 제1링돌기(15)의 제2경사면(27)이 접촉하게 되면, 상기 회전변위는 상기 제1마찰링(7)의 축방향 변위를 유발하여 더욱 더 클러치기어(5)를 향해 가압되는 결과를 가져와서 클러치기어(5)와의 사이에 더 큰 마찰력을 발생시키게 되므로, 상기 클러치(11)를 통한 동일한 크기의 전달 토크를 기준으로 살펴보면, 상대적으로 작은 액츄에이터의 힘을 사용하면서도 동등 수준의 클러치 전달 토크의 형성이 가능한 것이다.
결국, 상기 허브(1)와 제1마찰링(7)에 형성되는 상기 변위전환부는 상기 슬리브(3)를 직선 이동시키기 위해 구비되어야 하는 상기 액츄에이터의 용량을 상대적으로 작게 구성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상기 클러치(11)를 통한 전달 토크의 용량은 비교적 크게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하는 것이다.
상기 클러치기어(5)에는 상기 허브(1)를 향하여 돌출되면서 외경이 점차 줄어드는 클러치콘(29)이 구비되고, 상기 제1마찰링(7)과 상기 클러치콘(29) 사이에는 다수의 마찰면이 중첩되어 형성되도록 다수의 중간마찰부재가 구비되어, 상대적으로 적은 공간을 차지하면서도 전체적으로는 넓은 마찰면을 형성하여 클러치(11)를 통한 토크 전달 용량을 크게 확보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다수의 중간마찰부재는 상기 허브(1)에 대해 회전이 제한되고, 내측이 상기 클러치콘(29)의 외측면과 접촉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2마찰링(31)과, 상기 클러치기어(5)에 대해 회전이 제한되고 내측이 상기 제2마찰링(31)의 외측면과 접촉 가능하고 외측이 상기 제1마찰링(7)의 내측면과 접촉 가능하게 형성되는 미들콘(33)으로 구성하였다.
상기 제2마찰링(31)에는 상기 허브(1)를 향하여 돌출된 다수의 제2링돌기(35)가 구비되고, 상기 허브(1)에는 상기 제2링돌기(35)가 삽입되는 허브홀(37)이 다수 구비되어, 상기 제2마찰링(31)의 제2링돌기(35)가 상기 허브(1)의 허브홀(37)에 삽입되어 상기 허브(1)에 대한 상대회전이 구속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 클러치기어(5)는 중앙에 플랜지부(39)가 구비되고, 상기 플랜지부(39)를 중심으로 상기 허브(1)의 반대쪽에는 기어부(41)가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부(39)를 중심으로 상기 허브(1) 쪽에는 상기 클러치콘(29)이 형성된 구조로서, 상기 기어부(41)에 다른 기어가 치합되어 상기 클러치(11)를 통해 전달되는 토크를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미들콘(33)에는 상기 플랜지부(39)를 향하여 돌출된 다수의 미들콘돌기(43)가 구비되고, 상기 플랜지부(39)에는 상기 미들콘돌기(43)가 삽입되는 플랜지홀(45)이 다수 구비되어, 상기 미들콘(33)의 미들콘돌기(43)가 상기 플랜지홀(45)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미들콘(33)은 상기 클러치기어(5)에 대해 회전이 구속된다.
따라서, 상기 허브(1)와 클러치기어(5) 사이에는 상기 클러치콘(29)과 상기 제2마찰링(31)이 이루는 제1마찰면(47)과, 상기 제2마찰링(31)과 상기 클러치콘(29)이 이루는 제2마찰면(49) 및 상기 클러치콘(29)과 상기 제1마찰링(7)이 이루는 제3마찰면(51)에 의해 상기 클러치(11)의 토크 전달을 위한 전체 마찰면이 구성되어, 상기 허브(1)와 클러치기어(5) 사이의 토크를 전달하는 역할을 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도 6은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클러치가 토크를 전달하지 않는 기본상태로부터 점차 토크를 전달하는 상태로 전환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각각의 상측과 하측 도면은 동일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그 중 상측은 도 2와 같은 단면의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하측은 도 4와 같은 단면의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의 가장 좌측의 6-1상태는 기본상태로서, 상기 슬리브(3)는 클러치기어(5)를 향해 전혀 이동하지 않은 기본위치에 있다. 이때에는 상기 키이(9)도 슬리브(3)도 상기 제1마찰링(7)에 접촉하지 않은 상태이다.
다음 6-2상태는, 상기 슬리브(3)가 액츄에이터에 의해 움직이기 시작하는 상태로서, 아직 슬리브(3)는 상기 제1마찰링(7)에 접촉하지 않았지만, 상기 키이(9)는 상기 제1마찰링(7)에 접촉하기 시작하는 순간이다.
다음 6-3상태는, 상기 키이(9)가 상기 제1마찰링(7)에 가하는 약간의 압력에 의해, 상기 제1마찰링(7)은 상기 클러치기어(5)쪽으로 약간 가압되면서, 상기 제1마찰면(47)과 제2마찰면(49) 및 제3마찰면(51)의 유막과 틈새를 제거하게 되고, 아울러 상기 제1링돌기(15)의 제2경사면(27)이 상기 허브홈(13)의 제1경사면(25)에 접촉하게 되며, 이때까지는 상기 슬리브(3)는 상기 제1마찰링(7)과는 접촉하지 않은 상태이다.
즉, 상기 1상태로부터 이 3상태에 이르는 과정은 상기 기본 상태에서 형성되었던 제1마찰링(7)으로부터 클러치콘(29) 사이의 유막과 틈새를 제거하여, 당초 클러치의 설계시에 고려된 상기 제1마찰링(7)으로부터 상기 클러치콘(29)에 이르는 마찰계수를 확보하는 과정인 것이다.
다음 6-4상태는 상기 슬리브(3)가 더 이동하면서 상기 슬리브(3)가 직접 제1마찰링(7)에 접촉하여 가압하기 시작하는 상태로서, 실질적으로 이 상태로부터는 상기 슬리브(3)에 가하는 힘에 대응하여 상기 설계시의 마찰계수에 따라 상기 클러치의 전달 토크 크기가 제어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액츄에이터의 조작에 의해 설계 의도에 부합하는 적절한 클러치 전달 토크의 제어가 가능하게 되어, 제어 정밀도가 향상됨으로써, 변속기의 변속 성능이 향상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만약, 본 발명과 같은 키이(9)가 없다면, 도 7과 같은 상태로 작동될 것인 바, 가장 좌측의 7-1과 같은 기본상태로부터 슬리브(3)가 이동하기 시작하여, 7-2와 같이 슬리브(3)가 상기 제1마찰링(7)과 접촉하기 시작하는 동안 제1마찰링(7)과 클러치콘(29) 사이에는 아무런 변화가 없게 된다. 즉, 제1마찰링(7)과 클러치콘(29) 사이의 틈새와 유막이 그대로 잔존하게 된다.
따라서, 이후 슬리브(3)가 더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1마찰링(7)이 제1마찰링(7)과 클러치콘(29) 사이의 유막과 틈새를 제거함과 동시에 상기 슬리브(3)로부터 제공되는 압력과, 상기 제1경사면(25)과 제2경사면(27)의 접촉 및 회전 방향 가압에 의한 회전 변위의 직선 변위 전환에 의한 추가적인 가압력에 의해, 상기 제1마찰링(7)으로부터 상기 클러치콘(29) 사이의 마찰력은 극히 낮은 상태로부터 높은 상태로 비선형적으로 급격히 상승하게 되며, 액츄에이터가 제공하는 힘의 크기가 일정한 상태에서도 클러치의 전달 토크는 급격한 변화가 발생하는 형상을 초래하여, 상기 액츄에이터를 통한 클러치 전달 토크의 정확한 제어가 어렵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 허브
3; 슬리브
5; 클러치기어
7; 제1마찰링
9; 키이
11; 클러치
13; 허브홈
15; 제1링돌기
17; 슬리브돌기
19; 지지볼
21; 키이스프링
23; 슬리브홈
25; 제1경사면
27; 제2경사면
29; 클러치콘
31; 제2마찰링
33; 미들콘
35; 제2링돌기
37; 허브홀
39; 플랜지부
41; 기어부
43; 미들콘돌기
45; 플랜지홀
47; 제1마찰면
49; 제2마찰면
51; 제3마찰면

Claims (9)

  1. 회전축에 구속된 허브와;
    상기 허브의 외주면에 직선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된 슬리브와;
    상기 회전축에 대해 상대회전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는 클러치기어와;
    상기 클러치기어와 상기 허브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클러치기어를 향해 가압됨에 의해, 상기 클러치기어와 허브 사이에 마찰력이 형성되도록 하여 토크를 전달하도록 설치된 제1마찰링과;
    상기 슬리브와 허브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슬리브가 상기 클러치기어를 향해 직선 슬라이딩하여 상기 제1마찰링과 접촉하기 전에, 상기 슬리브의 직선 변위를 상기 제1마찰링에 전달하도록 설치된 키이와;
    상기 허브에 대한 상기 제1마찰링의 상대회전 변위를 상기 제1마찰링의 축방향 직선변위로 전환하는 변위전환부;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허브에는 상기 키이를 수용하면서 상기 변위전환부를 형성하는 허브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마찰링에는 상기 허브홈에 삽입되면서 상기 변위전환부를 형성하는 제1링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슬리브는 내측에 상기 허브홈에 삽입되어 상기 제1링돌기를 축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슬리브돌기가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변위전환부는
    상기 허브홈의 상기 제1마찰링을 향한 단부에 상기 허브홈의 원주방향을 따른 폭이 점차 확대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제1경사면과;
    상기 제1경사면과 평행하게 상기 제1마찰링의 제1링돌기에 형성된 제2경사면;
    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키이는 상기 슬리브의 슬리브돌기를 향해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지지볼과;
    상기 지지볼에 탄성력을 부여하도록 내장된 키이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키이의 지지볼 일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슬리브돌기의 내측에 형성된 슬리브홈;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기어에는 상기 허브를 향하여 돌출되면서 외경이 점차 줄어드는 클러치콘이 구비되고;
    상기 제1마찰링과 상기 클러치콘 사이에는 다수의 마찰면이 중첩되어 형성되도록 다수의 중간마찰부재가 구비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중간마찰부재는
    상기 허브에 대해 회전이 제한되고, 내측이 상기 클러치콘의 외측면과 접촉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2마찰링과;
    상기 클러치기어에 대해 회전이 제한되고 내측이 상기 제2마찰링의 외측면과 접촉 가능하고 외측이 상기 제1마찰링의 내측면과 접촉 가능하게 형성되는 미들콘;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2마찰링에는 상기 허브를 향하여 돌출된 다수의 제2링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허브에는 상기 제2링돌기가 삽입되는 허브홀이 다수 구비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기어는
    중앙에 플랜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플랜지부를 중심으로 상기 허브의 반대쪽에는 기어부가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부를 중심으로 상기 허브 쪽에는 상기 클러치콘이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미들콘에는 상기 플랜지부를 향하여 돌출된 다수의 미들콘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플랜지부에는 상기 미들콘돌기가 삽입되는 플랜지홀이 다수 구비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KR1020160157623A 2016-11-24 2016-11-24 클러치 KR1026141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7623A KR102614121B1 (ko) 2016-11-24 2016-11-24 클러치
US15/588,922 US10393192B2 (en) 2016-11-24 2017-05-08 Clutch
CN201710403737.1A CN108105274B (zh) 2016-11-24 2017-06-01 离合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7623A KR102614121B1 (ko) 2016-11-24 2016-11-24 클러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8906A true KR20180058906A (ko) 2018-06-04
KR102614121B1 KR102614121B1 (ko) 2023-12-14

Family

ID=62144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7623A KR102614121B1 (ko) 2016-11-24 2016-11-24 클러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393192B2 (ko)
KR (1) KR102614121B1 (ko)
CN (1) CN10810527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1006B1 (ko) 2017-06-21 2022-04-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변속기의 동기장치
KR102496251B1 (ko) * 2017-07-05 2023-02-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변속기의 동기장치
KR102478067B1 (ko) 2017-10-16 2022-12-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변속기의 동기장치
KR20210032582A (ko) * 2019-09-16 2021-03-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콘 클러치
US11732800B1 (en) * 2022-04-26 2023-08-22 New Kailung Gear Co., Ltd. Apparatus for avoiding disposition of clutch of vehicle speed change device
CN114961500A (zh) * 2022-05-23 2022-08-30 天津中财型材有限责任公司 一种智能门窗的驱动机构及使用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44727A (en) * 1993-12-27 1996-08-13 Eaton Corporation Synchronizer with self-energizing
US20070029155A1 (en) * 2005-08-05 2007-02-08 Kazuyoshi Hiraiwa Shift device with synchronizer adapted for transmission
KR20070042699A (ko) * 2005-10-19 2007-04-24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클럭 발생 장치
KR20070107610A (ko) 2006-05-03 2007-11-07 발레오 앙브라이아쥐 마찰 클러치, 마찰 클러치 조립 방법 및 자동차 마찰클러치 댐퍼용 안내 와셔
KR20120001427A (ko) * 2010-06-29 2012-01-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변속기용 동기 치합기구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10511A (en) * 1944-08-26 1946-11-05 Int Harvester Co Synchronizing device
US2949833A (en) * 1954-03-25 1960-08-23 Steineck Rudolf Twin-lens mirror-reflex camera
US4732247A (en) * 1987-01-21 1988-03-22 Chrysler Motors Corporation Triple cone synchronizer with servo action
US5085303A (en) * 1990-10-01 1992-02-04 New Venture Gear, Inc. Drag-free strut-type synchronizer
FR2742501B1 (fr) * 1995-12-13 1998-03-06 Peugeot Synchroniseur pour un pignon monte libre en rotation sur un arbre
CN1256373C (zh) * 2004-08-26 2006-05-17 长江水利委员会长江科学院 环氧树脂纳米二氧化硅复合材料制备工艺
FR2949833B1 (fr) * 2009-09-09 2012-01-20 Renault Sa Synchroniseur pour boite de vitesses de vehicule automobile a inserts rapportes.
US10262855B2 (en) * 2014-12-22 2019-04-16 Globalwafers Co., Ltd. Manufacture of Group IIIA-nitride layers on semiconductor on insulator structures
EP3287655B1 (de) * 2016-08-23 2019-03-20 Oerlikon Friction Systems (Germany) GmbH Synchronisierungseinrichtung, sowie ein zahnräderwechselgetriebe für ein fahrzeug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44727A (en) * 1993-12-27 1996-08-13 Eaton Corporation Synchronizer with self-energizing
US20070029155A1 (en) * 2005-08-05 2007-02-08 Kazuyoshi Hiraiwa Shift device with synchronizer adapted for transmission
KR20070042699A (ko) * 2005-10-19 2007-04-24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클럭 발생 장치
KR20070107610A (ko) 2006-05-03 2007-11-07 발레오 앙브라이아쥐 마찰 클러치, 마찰 클러치 조립 방법 및 자동차 마찰클러치 댐퍼용 안내 와셔
KR20120001427A (ko) * 2010-06-29 2012-01-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변속기용 동기 치합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105274B (zh) 2021-06-08
KR102614121B1 (ko) 2023-12-14
US10393192B2 (en) 2019-08-27
US20180142740A1 (en) 2018-05-24
CN108105274A (zh) 2018-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58906A (ko) 클러치
KR101795163B1 (ko) 차량용 클러치
JP6644499B2 (ja) 自動クラッチ装置
US9115768B2 (en) Switchable bi-directional wedge clutch
JP4855214B2 (ja) 同期装置
KR20190000010A (ko) 변속기의 동기장치
KR20240026471A (ko) 클러치 구조
JP2018031474A (ja) 荷重依存性を有するブレーキを備えている回転駆動装置
JP2018100700A5 (ko)
JP2014122648A (ja) ボールランプ機構及び直動アクチュエータ並びに電動式ディスクブレーキ装置
JP2005308092A (ja) 多板式クラッチ装置
JP4975723B2 (ja) モータサイクル用クラッチ装置
JP2600674B2 (ja) 同期装置
JP6581447B2 (ja) 自動クラッチ装置
KR20190005261A (ko) 차량용 클러치
KR20190042379A (ko) 변속기의 동기장치
JP2006057802A (ja) 逆入力遮断装置
JP2018040407A (ja) クラッチ装置
WO2017090409A1 (ja) 逆入力遮断装置
JP6755024B2 (ja) 回転ダンパおよびそれを用いた制動装置
KR20050103702A (ko) 수동변속기의 동기장치
KR100999621B1 (ko) 수동변속기의 동기장치
JP2021134858A (ja) 多板クラッチ装置
JP2020016281A (ja) トルクリミッタ付き歯車機構
JP2019113105A (ja) 荷重発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