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06208A - 충격 완충 기능이 구비된 동전 계수장치 - Google Patents

충격 완충 기능이 구비된 동전 계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06208A
KR20070106208A KR1020060038810A KR20060038810A KR20070106208A KR 20070106208 A KR20070106208 A KR 20070106208A KR 1020060038810 A KR1020060038810 A KR 1020060038810A KR 20060038810 A KR20060038810 A KR 20060038810A KR 20070106208 A KR20070106208 A KR 200701062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n
coins
high speed
curved portion
throw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88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철
Original Assignee
(주) 인포웨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인포웨이 filed Critical (주) 인포웨이
Priority to KR10200600388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106208A/ko
Publication of KR200701062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62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9/00Counting coins; Handling of coin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5/00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 G07B15/02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taking into account a variable factor such as distance or time, e.g. for passenger transport, parking systems or car rental syste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판의 원심력에 의해 이송구 측으로 투출된 동전을 고속전송롤러를 통해 재차 투출시 그 충격을 일부분 흡수함으로써 계수감지부가 용이하게 감지하도록 이송통로의 일측벽을 따라 이송되도록 한 충격 완충 기능이 구비된 동전 계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그 원심력에 의해 동전을 투출하기 위한 회전판과, 투출된 동전을 고속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그 회전력에 의해 재차 투출하기 위한 고속전송롤러 및 투출된 동전을 공지의 계수감지부 측으로 안내하기 위한 이송통로가 구비된 동전 계수장치에 있어서, 이송통로는 그 선단에 곡면부가 마련되되, 고속전송롤러에서 투출된 동전이 곡면부로 진입시 그 충격을 완화하여 일측벽을 따라 이송하도록 곡면부 상에 충격완충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송통로, 충격완충부재, 곡면부, 고속전송롤러

Description

충격 완충 기능이 구비된 동전 계수장치{APPARATUS TO COUNT THE COIN HAVE BUFFER FUNC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충격 완충 기능이 구비된 동전 계수장치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충격 완충 기능이 구비된 동전 계수장치의 주요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충격 완충 기능이 구비된 동전 계수장치의 상세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동전투입구 2 : 반환구
3 : 지폐계수기 10: 프레임
11: 수용부 12: 이송통로
13: 이송구 14: 측벽
15: 반환토출구 16: 충격완충부재
20: 이송회전부 21: 수용홈
22: 타원돌기 30: 계수감지부
40: 고속전송롤러 51: 모터
52: 근접센서 53: 승강부재
54: 중간덮개판 60: 강제반환부
61: 개폐돌기 62: 플랜지
63: 격벽
본 발명은 충격 완충 기능이 구비된 동전 계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회전판의 원심력에 의해 이송구 측으로 투출된 동전을 고속전송롤러를 통해 재차 투출시 그 충격을 일부분 흡수함으로써 계수감지부가 용이하게 감지하도록 이송통로의 일측벽을 따라 이송되도록 한 충격 완충 기능이 구비된 동전 계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중 교통수단의 지불수단으로서 비접촉식 카드, 회수권, 지폐, 동전 등이 사용되고 있다.
이중 지불수단을 동전으로 사용할 경우 10원짜리, 50원짜리, 100원짜리, 500짜리를 섞어 사용함으로써 운전자가 이를 육안으로 계수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적정요금인지의 여부로 인하여 승객과 실랑이가 벌어지는 등 운전 이외의 업무로 인해 피로도가 가중되는 등 안전운행에 지장을 초래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승객이 동전을 투입하면 이를 자동으로 계수하여 요금의 적정성을 운전자가 판별할 수 있도록 한 동전 계수장치가 보급되고 있으나, 이 또한 계수속도가 느려 정산이 늦어지는 등 대중교통의 정시 배차를 유도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신속한 계수를 위하여 회전판으로부터 투출된 동전을 고속전송롤러를 통해 재차 투출할 시 그 충격을 일부분 흡수함으로써 계수감지부가 용이하게 감지하도록 이송통로의 일측벽을 따라 동전이 이송되도록 한 충격 완충 기능이 구비된 동전 계수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그 원심력에 의해 동전을 투출하기 위한 회전판과, 투출된 동전을 고속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그 회전력에 의해 재차 투출하기 위한 고속전송롤러 및 투출된 동전을 공지의 계수감지부 측으로 안내하기 위한 이송통로가 구비된 동전 계수장치에 있어서, 이송통로는 그 선단에 곡면부가 마련되되, 고속전송롤러에서 투출된 동전이 곡면부로 진입시 그 충격을 완화하여 일측벽을 따라 이송하도록 곡면부 상에 충격완충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충격완충부재는 연질의 고무편으로, 곡면부의 일부분을 절개하여 그 사이에 위치하되, 전체적으로 곡면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충격 완충 기능이 구비된 동전 계수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충격 완충 기능이 구비된 동전 계수장치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충격 완충 기능이 구비된 동전 계수장치의 주요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충격 완충 기능이 구비된 동전 계수장치의 상세도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동전 계수장치(10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외관에 동전을 투입하기 위한 동전투입구(1)와, 불량동전이나 이물질 등을 반환하기 위한 반환구(2)가 마련된다. 미설명부호 3은 지폐계수기로서 본 발명에서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충격 완충 기능이 구비된 동전 계수장치의 주요부 사시도, 동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내측에 원형의 수용부가 형성되고 그 측벽을 절개하여 동전 이송통로(12)와 연통된 이송구(13)가 형성된 프레임(10)과, 프레임(10)의 수용부(11)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투입된 동전을 그 회전력에 의해 이송구(13) 측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그 외주면 상에 동전 수용홈(21)이 형성된 회전판(20)과, 이송구(13) 측으로 이송되어 투출된 동전을 그 회전력에 의해 밀어줌으로써 동전이 공지의 계수감지부(미도시)를 일정 속도로 신속히 통과하여 감지되도록 한 고속전송롤러(40)가 구비된다.
즉, 프레임(10)은 그 내측에 회전판(20)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가 형성되 고, 회전판(20)에 의해 이송되어 투출된 동전을 공지의 계수감지부(30) 측으로 안내하기 위한 이송구(13) 및 이송통로(12)가 마련된다. 또한, 프레임(10)의 수용부(11) 바닥면에는 회전판(20)으로의 동전 투입시 이를 감지하여 회전판(20)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모터(미도시)의 구동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근접센서(미도시)가 구비된다. 즉, 근접센서에 의해 동전이 감지되면 그 감지신호가 제어부(미도시)에 인가되고, 제어부는 그 즉시 모터를 일방향으로 구동시켜 회전판(20)을 회전시키게 된다.
회전판(20)은 프레임(10)의 수용부에 회전 가능하게 안착 설치되고, 그 저면 프레임(10)상에 장착된 모터와 축결합되어 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 또한, 회전판(20)은 그 외주면상에 상협 하광의 동전 수용홈(21)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되 이송구(13) 측에 위치시 수용된 동전이 원심력에 의해 투출되도록 그 하방이 개방상태를 유지한다. 즉, 동전 수용홈(21)은 프레임(10)의 수용부상에 안착 설치된 상태이므로 프레임(20)의 측벽(14)에 의해 그 하방이 밀폐된 상태이나 이송구(13)는 프레임(10)의 측벽(14)을 절개하여서 형성된 것이므로 동전 수용홈(21)이 이송구(13)측에 위치시 그 하방이 개방상태를 유지한다.
고속전송롤러(40)는 프레임(10)의 이송구(13) 측에 설치되어, 회전판(20)의 동전 수용홈(21)으로부터 투출된 동전을 그 회전력에 의해 재차 밀어줌으로써 이송통로(12)를 따라 일정 속도로 신속히 계수감지부(30)를 통과하여 감지되도록 한다.
즉, 고속전송롤러(40)는 그 롤러(41)가 이송구(13)의 면과 수평상태로 위치되어 동전 유입시 그 회전력에 의해 일정 속도로 재차 밀어줌으로써 계수시간을 효 과적으로 단축할 수 있게 된다.
예컨대, 회전판(20)의 회전력만으로 동전을 이송시켜 계수감지부를 통과하도록 하는 경우 동전의 크기 및 중량에 따라 속도 편차를 갖게 되고, 이송통로(12)와의 마찰력으로 인하여 계수감지부 측에서 중량이 큰 동전과 작은 동전이 상호 접하여 통과하는 등 계수감지부의 오작동을 유발하게 된다.
한편, 이송통로(12)는 고속전송롤러(40)에 의해 투출된 동전이 그 측벽을 따라 계수감지부를 통화할 수 있도록 그 선단에 반호형상의 곡면부(A)가 마련되고, 그 곡면부(A)에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충격완충부재(16)가 구비된다.
즉, 고속전송롤러(40)에서 투출된 동전은 이송통로(12)의 선단 곡면부(A)에 의해 그 진행방향이 유도되어, 이송통로(12)의 일측 벽을 따라 이송하게 된다. 이에 따라, 일측 벽이 동전의 크기를 감지하는데, 기준점이 되어 계수감지부는 크기에 따른 동전의 가액을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충격완충부재(16)는 연질의 고무편으로, 곡면부(A)의 일부분을 절개하여 그 사이에 위치하되, 전체적으로 곡면을 유지하도록 구현된다.
예컨대, 고속전송롤러(40)의 회전력에 의해 강제 투출된 동전은 그 이송통로(12)가 일직선인 경우 계수감지부(30) 통과시 좌우로 흔들리거나 불규칙하게 편향되어 동전 크기에 따른 가액 감지시 오검출을 유발하게 된다.
이에 반하여, 본 발명은 이송통로(12)의 일부분을 반호형상의 곡면부(A)로 마련하여 고속전송롤러(40)에 의해 고속으로 강제 토출된 동전이 일측 벽면을 타고 밀착된 상태로 계수감지부를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동전의 좌우 흔들림이나 불규칙 하게 편향되는 것을 방지하여 크기에 따른 동전의 가액을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게 된다. 더불어 충격완충부재(16)는 고속전송롤러(40)의 회전력에 의해 강제 투출된 동전이 곡면부(A)를 따라 선회하면서 튕겨 나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로,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신속한 계수를 위하여 회전판으로부터 투출된 동전을 고속전송롤러를 통해 재차 투출할 시 그 충격을 일부분 흡수하여 이송통로의 일측벽을 따라 동전이 이송되도록 함으로써 모든 동전이 일측벽에 밀착된 상태로 계수감지부를 통과하고, 그에 따라 크기에 따른 동전 가액을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그 원심력에 의해 동전을 투출하기 위한 회전판과, 투출된 동전을 고속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그 회전력에 의해 재차 투출하기 위한 고속전송롤러 및 투출된 동전을 공지의 계수감지부 측으로 안내하기 위한 이송통로가 구비된 동전 계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송통로는 그 선단에 곡면부가 마련되되, 상기 고속전송롤러에서 투출된 동전이 상기 곡면부로 진입시 그 충격을 완화하여 일측벽을 따라 이송하도록 상기 곡면부 상에 충격완충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완충 기능이 구비된 동전 계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완충부재는 연질의 고무편으로, 상기 곡면부의 일부분을 절개하여 그 사이에 위치하되, 전체적으로 곡면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완충 기능이 구비된 동전 계수장치.
KR1020060038810A 2006-04-28 2006-04-28 충격 완충 기능이 구비된 동전 계수장치 KR200701062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8810A KR20070106208A (ko) 2006-04-28 2006-04-28 충격 완충 기능이 구비된 동전 계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8810A KR20070106208A (ko) 2006-04-28 2006-04-28 충격 완충 기능이 구비된 동전 계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6208A true KR20070106208A (ko) 2007-11-01

Family

ID=39062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8810A KR20070106208A (ko) 2006-04-28 2006-04-28 충격 완충 기능이 구비된 동전 계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106208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21063A (zh) * 2012-11-29 2013-04-03 吴时欣 硬币清分机
US9911264B2 (en) 2014-07-28 2018-03-06 Nam Pyo Eun Coin counting apparatus
KR20190047563A (ko) 2017-10-27 2019-05-08 은남표 거스름돈 배출유닛을 가진 동전계수장치
KR20190093022A (ko) 2018-01-31 2019-08-08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동전분리장치
KR20200120239A (ko) 2019-04-12 2020-10-21 은남표 불량주화 선별수단을 가진 주화계수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21063A (zh) * 2012-11-29 2013-04-03 吴时欣 硬币清分机
US9911264B2 (en) 2014-07-28 2018-03-06 Nam Pyo Eun Coin counting apparatus
KR20190047563A (ko) 2017-10-27 2019-05-08 은남표 거스름돈 배출유닛을 가진 동전계수장치
KR20190093022A (ko) 2018-01-31 2019-08-08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동전분리장치
KR20200120239A (ko) 2019-04-12 2020-10-21 은남표 불량주화 선별수단을 가진 주화계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363795A (ja) 自動料金収受装置
KR100663636B1 (ko) 동전 계수장치
KR20070106208A (ko) 충격 완충 기능이 구비된 동전 계수장치
ES2841119T3 (es) Aparato de validación de monedas
JP6296658B2 (ja) 硬貨処理機
KR20070106819A (ko) 불량주화 배출장치가 구비된 동전 계수기
KR101620609B1 (ko) 동전 계수 장치
US9251635B2 (en) Document rack
CA2694252C (en) Coin machine with self-cleaning intake hopper and related method
JP4849368B2 (ja) 硬貨払出装置
JP6393977B2 (ja) 硬貨処理装置
CA2932503C (en) Coin processing device and corresponding method for classifying coins
ES2773288T3 (es) Dispositivo para separar y distribuir monedas
KR100663639B1 (ko) 동전 계수장치의 회전판
KR940000041Y1 (ko) 유료도로용 요금 수납 장치
JP6056586B2 (ja) 硬貨処理装置
JP6372877B2 (ja) 遊技機
KR101559147B1 (ko) 동전 계수 장치
JP6764763B2 (ja) 硬貨識別搬送装置
JPH0722308Y2 (ja) 玉計数機の異常検出装置
JP2021140674A (ja) コイン送出装置およびコイン処理装置
JP2004078284A (ja) 現金自動取引き装置
KR20050075479A (ko) 동전 선별 계수기
JPH10105759A (ja) 収納硬貨投出装置
JPH0755653Y2 (ja) 硬貨処理機の残留検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