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3636B1 - 동전 계수장치 - Google Patents

동전 계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3636B1
KR100663636B1 KR1020060033413A KR20060033413A KR100663636B1 KR 100663636 B1 KR100663636 B1 KR 100663636B1 KR 1020060033413 A KR1020060033413 A KR 1020060033413A KR 20060033413 A KR20060033413 A KR 20060033413A KR 100663636 B1 KR100663636 B1 KR 1006636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n
return
coins
transfe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34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철
Original Assignee
(주) 인포웨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인포웨이 filed Critical (주) 인포웨이
Priority to KR10200600334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36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36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36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9/00Counting coins; Handling of coin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07D9/04Hand- or motor-driven devices for counting coi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중 교통수단에서 승객이 지급한 동전을 자동으로 계수하여 요금의 적정성을 운전자가 판별할 수 있도록 하되, 투입된 동전을 일정간격으로 이송시켜 신속히 계수되도록 하고 기 설정된 시간이 지나면 불량동전이나 이물질 등을 그 즉시 강제 배출하여 구동부의 과부하를 방지함으로써 장치의 신뢰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동전 계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그 내측에 원형의 수용부가 형성되고 그 측벽을 절개하여 이송통로와 연통된 이송구가 형성된 프레임과, 프레임의 수용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투입된 동전을 그 회전력에 의해 이송구 측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그 외주면 상에 동전 수용홈이 형성된 이송회전부와, 이송구 측으로 이송되어 투출된 동전을 그 회전력에 의해 밀어줌으로써 동전이 계수감지부를 일정 속도로 신속히 통과하여 감지되도록 한 고속전송롤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프레임은 투입된 불량동전이나 이물질을 반환할 수 있도록 그 측벽을 절개하여서 된 반환 토출구가 형성되고, 프레임 상측에 설치되되 그 저면에 반환 토출구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돌기가 형성된 강제반환부와, 이송회전부가 역회전할 시 불량동전이나 이물질을 반환할 수 있도록 강제반환부를 들어올려 반환 토출구를 개방시키기 위한 승강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동전 계수, 과부하 방지, 불량동전 제거, 신속한 계수

Description

동전 계수장치{APPARATUS TO COUNT THE COI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동전 계수장치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동전 계수장치의 주요부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동전 계수장치의 동전 이송과정을 보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동전 계수장치의 강제반환부 저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동전 계수장치의 강제반환부의 작동 예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동전투입구 2 : 반환구
3 : 지폐계수기 10: 프레임
11: 수용부 12: 이송통로
13: 이송구 14: 측벽
15: 반환토출구 16: 충격완충부재
20: 이송회전부 21: 수용홈
22: 타원돌기 30: 계수감지부
40: 고속전송롤러 51: 모터
52: 근접센서 53: 승강부재
54: 중간덮개판 60: 강제반환부
61: 개폐돌기 62: 플랜지
63: 격벽
본 발명은 동전 계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대중 교통수단에서 승객이 지급한 동전을 자동으로 계수하여 요금의 적정성을 운전자가 판별할 수 있도록 하되, 투입된 동전을 일정간격으로 이송시켜 신속히 계수되도록 하고 기 설정된 시간이 지나면 불량동전이나 이물질 등을 그 즉시 배출하여 구동부의 과부하를 방지함으로써 장치의 신뢰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동전 계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중 교통수단의 지불수단으로서 비접촉식 카드, 회수권, 지폐, 동전 등이 사용되고 있다.
이중 지불수단을 동전으로 사용할 경우 10원짜리, 50원짜리, 100원짜리, 500짜리를 섞어 사용함으로써 운전자가 이를 육안으로 계수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적정요금인지의 여부로 인하여 승객과 실랑이가 벌어지는 등 운전 이외의 업무로 인해 피로도가 가중되는 등 안전운행에 지장을 초래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승객이 동전을 투입하면 이를 자동으로 계수하여 요금의 적정성을 운전자가 판별할 수 있도록 한 동전 계수장치가 보급되고 있으나, 이 또한 계수속도가 느리고, 불량주화나 이물질로 인하여 구동부에 과부하가 발생하는 등 그 신뢰도에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대중 교통수단에서 승객이 지급한 동전을 자동으로 계수하여 요금의 적정성을 운전자가 판별할 수 있도록 하되, 투입된 동전을 일정간격으로 신속히 이송시켜 계수되도록 하고 기 설정된 시간이 지나면 불량동전이나 이물질 등을 그 즉시 배출하여 구동부의 과부하를 방지함으로써 장치의 신뢰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동전 계수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이송통로 상에 동전의 가액을 감지하기 위한 계수감지부가 구비된 동전 계수장치에 있어서, 그 내측에 원형의 수용부가 형성되고 그 측벽을 절개하여 상기 이송통로와 연통된 이송구가 형성된 프레임과, 프레임의 수용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투입된 동전을 그 회전력에 의해 이송구 측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그 외주면 상에 동전 수용홈이 형성된 이송회전부와, 이송구 측으로 이송되어 투출된 동전을 그 회전력 에 의해 밀어줌으로써 동전이 상기 계수감지부를 일정 속도로 통과하여 감지되도록 한 고속전송롤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프레임은 투입된 불량동전이나 이물질을 반환할 수 있도록 그 측벽을 절개하여서 된 반환 토출구가 형성되고, 프레임 상측에 설치되되 그 저면에 반환 토출구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돌기가 형성된 강제반환부와, 이송회전부가 역회전할 시 불량동전이나 이물질을 반환할 수 있도록 강제반환부를 들어올려 반환 토출구를 개방시키기 위한 승강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송회전부는 프레임 하측에 장착된 모터와 축결합되고, 그 상면 외주면 상에 동전을 일정 간격으로 수용하기 위한 상협 하광의 동전 수용홈이 형성되며, 동전 수용홈과 타 동전 수용홈 사이에 동전이 정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내측으로 볼록한 타원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에는 이송회전부로의 동전 투입시 이를 감지하여 상기 이송회전부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모터 구동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근접센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동전 수용홈은 그 내측에 계수하기 위한 최대 크기의 동전을 수용할 수 있도록 그 깊이가 정해지고, 동전 수용홈이 이송구에 위치시 타 동전이 이송구 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강제반환부 저면에 하향 돌출된 격벽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이송통로는 고속전송롤러에 의해 강제 이송된 동전이 그 일측 벽면에 밀착된 상태로 계수감지부를 통과하도록 반호형상의 곡면부가 마련되되 상기 곡면부에 동전의 튕김을 방지할 수 있도록 충격완충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동전 계수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동전 계수장치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동전 계수장치의 주요부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동전 계수장치의 동전 이송과정을 보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동전 계수장치의 강제반환부 저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동전 계수장치의 강제반환부의 작동 예시도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동전 계수장치(10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외관에 동전을 투입하기 위한 동전투입구(1)와, 불량동전이나 이물질 등을 반환하기 위한 반환구(2)가 마련된다. 미설명부호 3은 지폐계수기로서 본 발명에서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동전 계수장치의 주요부 사시도, 분해 사시도로서, 동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내측에 원형의 수용부(11)가 형성되고 그 측벽을 절개하여 동전 이송통로(12)와 연통된 이송구(13)가 형성된 프레임(10)과, 프레임(10)의 수용부(11)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투입된 동전을 그 회전력에 의해 이송구(13) 측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그 외주면 상에 동전 수용홈(21)이 형성된 이송회전부(20)와, 이송구(13) 측으로 이송되어 투출된 동전을 그 회전력에 의해 밀어줌으로써 동전이 계수감지부(30)를 일정 속도로 신속히 통과하여 감지되도록 한 고속전송롤러(40)가 구비된다.
즉, 프레임(10)은 그 내측에 이송회전부(20)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11)가 형성되고, 이송회전부(20)에 의해 이송되어 투출된 동전을 공지의 계수감지부(30) 측으로 안내하기 위한 이송구(13) 및 이송통로(12)가 마련된다. 또한, 프레임(10)의 수용부(11) 바닥면에는 이송회전부(20)로의 동전 투입시 이를 감지하여 이송회전부(2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후술하는 모터(51)의 구동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근접센서(52)가 구비된다. 즉, 근접센서(52)에 의해 동전이 감지되면 그 감지신호가 제어부(미도시)에 인가되고, 제어부는 그 즉시 모터(51)를 일방향으로 구동시켜 이송회전부(20)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송회전부(20)는 프레임(10)의 수용부(11)에 회전 가능하게 안착 설치되고, 그 저면 프레임(10)상에 장착된 모터(51)와 축결합되어 모터(51)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 또한, 이송회전부(20)는 그 외주면상에 상협 하광의 동전 수용홈(21)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되 이송구(13) 측에 위치시 수용된 동전이 원심력에 의해 투출되도록 그 하방이 개방상태를 유지한다. 즉, 동전 수용홈(21)은 프레임(10)의 수용부(11)상에 안착 설치된 상태이므로 프레임(20)의 측벽(14)에 의해 그 하방이 밀폐된 상태이나 이송구(13)는 프레임(10)의 측벽(14)을 절개하여서 형성된 것이므로 동전 수용홈(21)이 이송구(13)측에 위치시 그 하방이 개방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이송회전부(20)는 동전 수용홈(21)과 인접한 타 동전 수용홈과의 사이에 동전이 정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내측으로 볼록한 타원돌기(22)가 형성되어, 원심력에 의해 동전이 외측으로 이동시 그 경사면에 의해 동전 수용홈(21)으로 흘러들게 한다(도 4 참조).
고속전송롤러(40)는 프레임(10)의 이송구(13) 측에 설치되어, 이송회전 부(20)의 동전 수용홈(21)으로부터 투출된 동전을 그 회전력에 의해 재차 밀어줌으로써 이송통로(12)를 따라 일정 속도로 신속히 계수감지부(30)를 통과하여 감지되도록 한다. 즉, 고속전송롤러(40)는 그 롤러(41)가 이송구(13)의 면과 수평상태로 위치되어 동전 유입시 그 회전력에 의해 일정 속도로 재차 밀어줌으로써 계수시간을 효과적으로 단축할 수 있게 된다.
예컨대, 이송회전부(20)의 회전력만으로 동전을 이송시켜 계수감지부(30)를 통과하도록 하는 경우 동전의 크기 및 중량에 따라 속도 편차를 갖게 되고, 이송통로(12)와의 마찰력으로 인하여 계수감지부(30) 측에서 중량이 큰 동전과 작은 동전이 상호 접하여 통과하는 등 계수감지부(30)의 오작동을 유발하게 된다.
한편, 프레임(10)은 투입된 불량동전이나 이물질을 반환할 수 있도록 그 측벽(14)을 절개하여서 된 반환 토출구(15)가 형성되고, 프레임(10) 상측에 설치되되 그 저면에 반환 토출구(15)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돌기(61)가 형성된 강제반환부(60)와, 이송회전부(20)가 역회전할 시 불량동전이나 이물질을 반환할 수 있도록 강제반환부(60)를 들어올려 반환 토출구(15)를 개방시키기 위한 승강부재(53)가 구비된다.
즉, 프레임(10)은 이송구(13)의 반대편에 그 측벽(14)을 절개하여 불량동전이나 이물질 등을 외부로 반환할 수 있도록 반환 토출구(15)가 형성되고, 이 반환 토출구(15)는 동전 계수장치(100)의 외관측 반환구(2)와 연통 된다.
강제반환부(60)는 프레임(10)의 상측에 설치되어 반환 토출구(15)를 개폐할 수 있도록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저면에 하향 돌출된 개폐돌기(61)가 형성되 는데, 이 개폐돌기(61)는 반환 토출구(15)를 밀폐한 상태에서 프레임(10)의 측벽 역할을 한다. 따라서, 이송회전부(20)의 동전 수용홈(21)에 수용된 동전은 반환 토출구(15)를 밀폐하고 있는 개폐돌기(61)를 따라 이송회전부(20) 내에서 원활하게 이송되고, 이송구(13)를 통해 투출되게 된다.
승강부재(53)는 강제반환부(60)를 들어올리거나 원위치시켜 그 저면에 돌출된 개폐돌기(61)에 의해 반환 토출구(15)를 개방하거나 밀폐시키기 위한 것으로, 강제반환부(60)의 양측에 플랜지(62)가 형성되고, 이 플랜지(62)에 승강부재(53)인 솔레노이드의 축이 결합되어 상기 솔레노이드에 전원인가시 그 축이 내측으로 이동되어 강제반환부(60)를 들어올리게 된다(도 6의 a, b 참조). 이에 따라, 개폐돌기(61)에 의해 밀폐된 반환 토출구(15)는 개방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미설명부호 54는 중간 덮개판으로 승강부재(53)를 고정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 강제반환부(60)의 승강시 간섭이 없도록 제작된다. 물론, 승강부재(53)를 그 상측에 위치하는 구조물에 고정 설치할 경우 생략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이송회전부(20)의 모터(51)와 고속전송롤러(40)는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이송회전부(20) 상의 불량동전이나 이물질을 반환 토출구(15)측으로 이송하고 이송구(13) 측으로 불량동전이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반환 토출구(15)를 통하여 외부로 용이하게 토출되게 한다. 물론 이러한 일련의 동작은 제어부에 프로그래밍된 제어순에 따라 제어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강제반환부(60)는 그 저면에 동전 수용홈(21)이 이송구(13)에 위치시 타 동전이 이송구(13) 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동전 수용홈(21)의 회전궤적 내측에 하향 돌출된 격벽(63)이 형성된다(도 5 참조).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격벽(63)이 동전 수용홈(21)과 타원돌기(22) 사이의 회전궤적 사이에 설치됨으로써 동전 수용홈(21)에 수용된 동전만이 이송되어 이송구(13) 측으로 투출되도록 한다. 또한, 동전 수용홈(21)에 수용된 하나의 동전 외에 다른 동전이 걸쳐 이송되는 경우 동전 수용홈(21)의 회전궤적 내측에 위치된 격벽(63)에 의해 다른 하나의 동전은 분리된다.
예컨대, 동전 수용홈(21)은 계수하기 위한 가장 작은 동전(일례로 50원) 2개의 지름 합(合)보다는 작게 설계함으로써 동전 수용홈(21)에 하나의 동전이 수용된 상태에서 다른 하나의 동전이 걸쳐 수용될 경우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하여 이송회전부(20)의 회전시 격벽(63)에 부딪혀 분리되도록 한다.
그리고 이송통로(12)는 고속전송롤러(40)에 의해 강제 이송된 동전이 그 일측 벽면에 밀착된 상태로 계수감지부(30)를 통과하도록 반호형상의 곡면부가 마련되고, 그 곡면부에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충격완충부재(16)가 구비된다.
즉, 고속전송롤러(40)의 회전력에 의해 강제 이송된 동전은 그 이송통로(12)가 일직선인 경우 계수감지부(30) 통과시 좌우로 흔들리거나 불규칙하게 편향되어 동전 크기에 따른 가액 감지시 오검출을 유발하게 된다. 이에 따라, 이송통로(12)의 일부분을 반호형상의 곡면부로 마련하여 고속전송롤러(40)에 의해 일정 속도로 강제 이송된 동전이 일측 벽면을 타고 밀착된 상태로 계수감지부(30)를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동전의 좌우 흔들림이나 불규칙하게 편향되는 것을 방지하여 크기에 따른 동전의 가액을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충격완충부재(16)는 고속전송롤러(40)의 회전력에 의해 강제 이송된 동전이 곡면부를 따라 선회하면서 튕겨 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수지재 등의 충격완충재질로 마련된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기술적 구성 및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동전 계수장치의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대중 교통수단의 이용객(승객)이 동전 계수장치(100)의 동전투입구(1)에 적정 요금의 동전을 투입하면, 동전들은 동전투입구(1) 하단에 위치한 이송회전부(20)로 떨어진다.
이때, 프레임(10)의 수용부(11) 바닥면에 설치된 근접센서(52)에 의해 이송회전부(20)로의 동전 투입이 감지되면, 근접센서(52)의 감지신호에 근거하여 제어부(미도시)는 모터(51)를 구동시켜 이송회전부(2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고 동시에 고속전송롤러(40)를 구동시켜 롤러(41)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이송회전부(20) 내의 동전들은 원심력에 의해 각기 외측으로 밀려 일정 간격으로 배열된 동전 수용홈(21)에 수용되고, 이송되어, 순차적으로 이송구(13)로 투출된다.
이송구(13)를 통해 투출된 동전은 고속전송롤러(40)에 의해 일정 속도로 빠르게 이송되고, 이송통로(12)의 곡면부를 따라 일측벽에 밀착된 상태로 계수감지부(30)를 통과한다.
계수감지부(30)는 일정 속도로 통과하는 동전의 가액을 감지하고, 제어부는 계수감지부(30)를 통해 감지된 동전의 가액을 집계한 뒤 이를 표시부(미도시)를 통 해 디스플레이한다.
그 결과, 대중 교통수단의 운전자는 승객이 지불한 금원이 적정 요금인지를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불량동전이나 이물질(특히, 금속성 나사, 못, 너트 등)이 정상적인 동전과 함께 이송회전부(20)에 투입된 경우, 정상적인 동전이 모두 투출된 이후에도 근접센서(52)에 의해 불량동전이나 이물질이 감지됨으로써 이송회전부(20)의 구동부인 모터(51)가 계속적으로 구동되는데, 이때 모터(51)의 과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기 설정된 모터(51)의 구동시간이 경과 하면 제어부는 불량동전이나 이물질을 강제 토출하기 위한 반환과정을 수행한다.
즉, 제어부는 이송구(13)를 통하여 동전을 투출하기 위한 기 설정시간이 경과하면, 승강부재(53)인 솔레노이드에 전원을 인가하여 프레임(10) 상측에 설치된 강제반환부(60)를 들어올려 개폐돌기(61)에 의해 폐쇄된 반환 토출구(15)를 개방시키고, 동시에 모터(51) 및 고속전송롤러(40)를 역방향으로 구동시켜 불량동전이나 이물질을 반환 토출구(15)로 이송하는 한편 이송구(13)로의 유입을 방지함으로써, 반환 토출구(15)로의 불량동전이나 이물질의 토출을 유도한다.
이에, 반환 토출구(15)를 통해 토출된 불량동전이나 이물질은 동전 계수장치(100)의 외관에 형성된 반환구(2)를 통하여 승객에게 반환되게 된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로,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대중 교통수단에서 승객이 지급한 동전을 자동으로 계수하여 요금의 적정성을 운전자가 판별할 수 있도록 하되, 투입된 동전을 일정간격으로 신속히 이송시켜 계수되도록 하고 기 설정된 시간이 지나면 불량동전이나 이물질 등을 그 즉시 배출하여 구동부의 과부하를 방지함으로써 장치의 신뢰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Claims (5)

  1. 이송통로 상에 동전의 가액을 감지하기 위한 계수감지부가 구비된 동전 계수장치에 있어서,
    그 내측에 원형의 수용부가 형성되고 그 측벽을 각 절개하여 상기 이송통로와 연통된 이송구 및 투입된 불량동전이나 이물질을 반환할 수 있도록 반환 토출구가 형성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수용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투입된 동전을 그 회전력에 의해 상기 이송구 측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그 외주면 상에 동전 수용홈이 형성된 이송회전부와,
    상기 이송구 측으로 이송되어 투출된 동전을 그 회전력에 의해 밀어줌으로써 상기 동전이 상기 계수감지부를 일정 속도로 신속히 통과하여 감지되도록 한 고속전송롤러와,
    상기 프레임 상측에 설치되되 그 저면에 상기 반환 토출구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돌기가 형성된 강제반환부와,
    상기 이송회전부가 역회전할 시 불량동전이나 이물질을 반환할 수 있도록 상기 강제반환부를 들어올려 상기 반환 토출구를 개방시키기 위한 승강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전 계수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회전부는 상기 프레임 하측에 장착된 모터와 축결합되고, 그 상면 외주면 상에 동전을 일정 간격으로 수용하기 위한 상협 하광의 동전 수용홈이 형성되며, 상기 동전 수용홈과 타 동전 수용홈 사이에 동전이 정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내측으로 볼록한 타원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이송회전부로의 동전 투입시 이를 감지하여 상기 이송회전부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모터 구동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근접센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전 계수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전 수용홈은 그 내측에 계수하기 위한 최대 크기의 동전을 수용할 수 있도록 그 깊이가 정해지고, 상기 동전 수용홈이 상기 이송구에 위치시 타 동전이 상기 이송구 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강제반환부 저면에 하향 돌출된 격벽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전 계수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통로는 상기 고속전송롤러에 의해 강제 이송된 동전이 그 일측 벽면에 밀착된 상태로 상기 계수감지부를 통과하도록 반호형상의 곡면부가 마련되되 상기 곡면부에 동전의 튕김을 방지할 수 있도록 충격완충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전 계수장치.
KR1020060033413A 2006-04-13 2006-04-13 동전 계수장치 KR1006636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3413A KR100663636B1 (ko) 2006-04-13 2006-04-13 동전 계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3413A KR100663636B1 (ko) 2006-04-13 2006-04-13 동전 계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63636B1 true KR100663636B1 (ko) 2007-01-05

Family

ID=37866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3413A KR100663636B1 (ko) 2006-04-13 2006-04-13 동전 계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3636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9147B1 (ko) * 2014-01-29 2015-11-20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동전 계수 장치
WO2016018011A1 (ko) * 2014-07-28 2016-02-04 은남표 동전 계수 장치
KR101753191B1 (ko) * 2015-12-14 2017-07-11 주식회사 이티엠 투입대상물 분류장치
KR20190047563A (ko) 2017-10-27 2019-05-08 은남표 거스름돈 배출유닛을 가진 동전계수장치
KR20190093022A (ko) 2018-01-31 2019-08-08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동전분리장치
KR20200120239A (ko) 2019-04-12 2020-10-21 은남표 불량주화 선별수단을 가진 주화계수장치
KR20230067333A (ko) 2021-11-09 2023-05-16 사이텍 주식회사 주화식별방법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9147B1 (ko) * 2014-01-29 2015-11-20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동전 계수 장치
WO2016018011A1 (ko) * 2014-07-28 2016-02-04 은남표 동전 계수 장치
KR101620609B1 (ko) * 2014-07-28 2016-05-23 은남표 동전 계수 장치
CN106575460A (zh) * 2014-07-28 2017-04-19 殷南杓 硬币计数装置
US9911264B2 (en) * 2014-07-28 2018-03-06 Nam Pyo Eun Coin counting apparatus
KR101753191B1 (ko) * 2015-12-14 2017-07-11 주식회사 이티엠 투입대상물 분류장치
KR20190047563A (ko) 2017-10-27 2019-05-08 은남표 거스름돈 배출유닛을 가진 동전계수장치
KR20190093022A (ko) 2018-01-31 2019-08-08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동전분리장치
KR20200120239A (ko) 2019-04-12 2020-10-21 은남표 불량주화 선별수단을 가진 주화계수장치
KR20230067333A (ko) 2021-11-09 2023-05-16 사이텍 주식회사 주화식별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3636B1 (ko) 동전 계수장치
US4167949A (en) Coin jamming detecting device in coin sorting machine
JPH0363795A (ja) 自動料金収受装置
AU2008294808A1 (en) Coin mechanism
GB2485395A (en) Coin conveying apparatus
JP6296658B2 (ja) 硬貨処理機
KR20070106819A (ko) 불량주화 배출장치가 구비된 동전 계수기
KR20070106208A (ko) 충격 완충 기능이 구비된 동전 계수장치
KR101620609B1 (ko) 동전 계수 장치
JP3679017B2 (ja) 硬貨釣銭機
US11861965B2 (en) Coin counting apparatus including bad coin sorting unit
JP6393977B2 (ja) 硬貨処理装置
JP3766130B2 (ja) 硬貨払出装置
JP3550370B2 (ja) 硬貨釣銭機
KR100663639B1 (ko) 동전 계수장치의 회전판
JPH03252795A (ja) 硬貨受入装置
JP6056586B2 (ja) 硬貨処理装置
KR940000041Y1 (ko) 유료도로용 요금 수납 장치
JP6809682B2 (ja) 硬貨処理装置
JP7088722B2 (ja) 硬貨処理装置
JPH0755653Y2 (ja) 硬貨処理機の残留検知装置
JP3340326B2 (ja) 硬貨処理機における硬貨供給装置
JP4139086B2 (ja) 硬貨処理装置
JP4301477B2 (ja) 硬貨搬送装置
KR101559147B1 (ko) 동전 계수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