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0239A - 불량주화 선별수단을 가진 주화계수장치 - Google Patents

불량주화 선별수단을 가진 주화계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0239A
KR20200120239A KR1020190042866A KR20190042866A KR20200120239A KR 20200120239 A KR20200120239 A KR 20200120239A KR 1020190042866 A KR1020190042866 A KR 1020190042866A KR 20190042866 A KR20190042866 A KR 20190042866A KR 20200120239 A KR20200120239 A KR 202001202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n
coins
defective
unit
so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28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03230B1 (ko
Inventor
은남표
Original Assignee
은남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은남표 filed Critical 은남표
Priority to KR10201900428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3230B1/ko
Priority to CN202080012712.9A priority patent/CN113412503B/zh
Priority to CA3125685A priority patent/CA3125685A1/en
Priority to PCT/KR2020/004977 priority patent/WO2020209695A1/ko
Priority to US16/979,544 priority patent/US11861965B2/en
Publication of KR202001202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02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32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32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5/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coins, e.g. for segregating coins which are unacceptable or alien to a currency
    • G07D5/02Testing the dimensions, e.g. thickness, diameter; Testing the deforma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3/00Sorting a mixed bulk of coins into denominations
    • G07D3/02Sorting coins by means of graded apertur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3/00Sorting a mixed bulk of coins into denominations
    • G07D3/16Sorting a mixed bulk of coins into denominations in combination with coin-counting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5/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coins, e.g. for segregating coins which are unacceptable or alien to a currency
    • G07D5/08Testing the magnetic or electric properti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2201/00Coin dispens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2205/00Coin testing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sting Of Coi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불량주화의 선별이 가능한 동전계수장치는 지지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주화의 크기에 따라 주화를 선별하기 위한 복수개의 주화선별홀들이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주화선별부와, 상기 주화선별부로 주화를 가이드하기 위한 주화가이드부가 형성된 주화분리판을 구비한 주화분리유닛과,
상기 주화분리유닛의 주화가이드부에 설치되어 선별을 위해 이동하는 주화의 불량여부를 감지하여 불량주화를 선별하는 불량주화배출유닛과,
상기 선별할 주화들을 상기 주화가이드부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공급하기 위한 주화공급유닛과,
상기 주화분리부와 탄력적으로 밀착되어 상기 주화공급유닛으로부터 투입된 주화를 주화분리판에 밀착시킨 상태로 상기 주화가이드부와 주화선별홀들로 이동시키는 주화이송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불량주화 선별수단을 가진 주화계수장치{apparatus to count the coin}
본 발명은 주화계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주화를 크기에 따라 분리하고, 이를 계수 한 후 거스름돈을 지출 할 수 있으며, 불량주화를 선별하여 배출할 수 있는 주화계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대중 교통수단의 지불수단으로서 비접촉식 카드, 회수권, 지폐, 주화 등이 사용되고 있다. 이 지불수단 중 주화를 사용하는 경우, 다양한 종류의 주화가 유입되게 되므로 주화를 계수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다. 특히, 주화로 교통비를 지불하는 경우, 지불된 교통비가 정확한 요금인지의 확인이 용이하지 않고, 운전자가 이를 확인 시 운전에 집중할 수 없어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 2008-0102511호에는 주화선별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주화선별장치는 그 내측에 원형의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의 내측 벽을 따라 그 저면에 크기별로 주화 홈이 각 천공된 선별 하우징과, 상기 수용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수용부로 유입된 주화를 상기 수용부의 내측벽을 따라 이송시켜 상기 주화홈을 통해 주화의 종류별로 분리 배출하기 위한 분리회전판을 구비한다.
그리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2007-0106208호에는 주화계수장치가 게시되어 있다. 개시된 주화계수장치는 원심력에 의해 주화를 투출하기 위한 회전판과, 투출된 주화를 고속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그 회전력에 의해 재차 투출하기 위한 고속 전송롤러 및 투출된 주화를 계수감지부 측으로 안내하기 위한 이송통로가 구비된 것으로, 상기 이송통로는 그 선단에 곡면부가 마련되고, 상기 고속전송롤러에서 투출된 주화가 상기 곡면부로 진입 시 그 충격을 완화하여 일측벽을 따라 이송하도록 상기 곡면부 상에 충격완충부재가 구비된 구성을 가진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0663636호에는 고속주화계수장치가 게시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09109630호에는 주화를 이용한 계수장치 및 그 제어방법이 게시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주화계수장치들은 주화를 선별하는 과정에서 주화이송통로를 통과하는 주화의 재질에 따라 검출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향이 있어 주화의 검출 및 계수에 따른 신뢰성을 높일 수 없다. 또한 투입된 주화의 계수와 거스름돈의 지출이 어렵다.
일본 공개특허 제 2001-060277호에는 코인류의 계수 전별장치가 게시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2008-0102520호에는 주화계수기용 입축금기의 회수장치가 게시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주화계수장치들은 주화의 선별 및 계수 시 발생되는 잼의 발생을 억제하고, 불량주화의 배출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불량주화를 배출하지 못하는 경우, 거스름돈의 배출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 2008-0102511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재 2007-0106208호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0663636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2008-0102520호 일본 공개특허 제 2001-060277호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공급이 이루어진 주화의 선별전에 불량주화를 배출할 수 있으므로 불량주화로 인한 트러블 발생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불량주화 선별수단을 가진 주화계수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선별부로 공급되는 주화의 적층으로 인한 배출불량과선별을 위한 주화의 배출지연 시간을 줄일 수 있으며, 선별된 주화를 이용하여 거스름돈을 배출할 수 있는 불량주화 선별수단을 가진 주화계수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의 부량주화의 선별에 따른 신뢰성을 높일 수 있으며, 불량주화의 배출에 따른 지연시간을 최소화시켜 수화선별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불량주화 선별수단을 가진 주화계수장치를 제공하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불량주화의 선별이 가능한 주화계수장치는 지지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주화의 크기에 따라 주화를 선별하기 위한 복수개의 주화선별홀들이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주화선별부와, 상기 주화선별부로 주화를 가이드하기 위한 주화가이드부가 형성된 주화분리판을 구비한 주화분리유닛과,
상기 주화분리유닛의 주화가이드부에 설치되어 선별을 위해 이동하는 주화의 불량여부를 감지하여 불량주화를 선별하는 불량주화배출유닛과,
상기 선별할 주화들을 상기 주화가이드부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공급하기 위한 주화공급유닛과,
상기 주화분리부와 탄력적으로 밀착되어 상기 주화공급유닛으로부터 투입된 주화를 주화분리판에 밀착시킨 상태로 상기 주화가이드부와 주화선별홀들로 이동시키는 주화이송유닛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불량주화배출유닛은 상기 주화가이드부에 설치된 불량주화 감지센서와, 상기 불량주화감지센서로부터 감지된 불량주화를 주화선별부로의 유입전에 주화가이드부로부터 배출하는 배출부를 구비한다. 상기 배출부는 상기 불량주화검출센서와 주화선별부 사이의 주화가이드부에 불량주화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주화가이드부의 일부를 이루며 불량주화의 이동시 불량주화가 배출될 수 있도록 불량주화배출구가 열리도록 설치되는 배출도어와, 상기 지지프레임 또는 주화가이드부의 하면에 설치되어 상기 배출도어를 개폐하기 위한 도어개폐구동부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각 주화설별홀들 하부의 지지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주화선별홀들을 통과한 주화들을 적재하기 위한 주화회수통과, 주화회수통에 적재된 주화를 계수하여 거스름돈을 배출하는 주화적재 및 거스름돈배출유닛;을 구비한다.
상기 지지프레임에 설치된 주화분리판의 상면에 결합되어 주화의 일측면에 접촉된 상태로 원주방향으로 배열된 상기 주화선별홀들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가이드면이 상기 주화선별홀의 내측 측가장자리와 일치되어 주화이송로를 형성하는 가이드 부재가 더 구비된다.
상기 주화공급유닛은 상기 가이드부재에 의해 형성된 주화가이드부의 입구측과 연결되며 주화배출구를 형성하는 주화투입호퍼부재와, 상기 주화투입호퍼부재에 의해 구획된 내부에 설치되는 주화투입호퍼부재에 투입된 주화를 주화배출구측을 배출하기 회전원판과, 상기 주화분리판의 하면에 지지되어 상기 회전원판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원판구동모터를 구비한다.
상기 주화이송유닛은 상기 지지프레임에 설치되는 상기 주화분리판의 상부에 지지프레임의 내주면에 가이드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주화공급유닛의 회전원판이 노출될 수 있도록 중공부를 가지는 링기어와, 상기 지지프레임에 설치되어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설치되며 상기 링키어와 치합되는 구동기어와, 상기 링기어에 설치되어 상기 주화공급유닛으로부터 공급된 주화를 상기 주화분리판의 상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주화를 이동시키는 탄성가압부재를 구비한다.
한편, 상기 주화적재 및 거스름돈배출유닛은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주화분리판의 주화선별홀과 대응되는 하부에 원통형의 주화회수통들이 설치되고, 상기 주화회수통들이 설치된 지지프레임의 하면에는 각 주화회수통들의 하면을 개폐함과 아울러 전,후진 시 하나의 주화를 배출하기 위해 가이드레일에 의해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더가 구비되며, 상기 지지프레임에는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더를 전, 후진시키기 위한 전후진구동부가 설치된다.
본 발명의 불량주화 선별수단을 가진 주화계수장치는 주화를 개별적으로 이동시키면서 주화의 크기에 따라 분리선별하여 계수하고 이를 적재하고 이 적재된 주화들을 이용하여 거스름 돈을 배출시킬 수 있으므로 주화계수장치의 상품적 가치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주화계수장치는 무작위로 투입되는 동전으로부터 불량주화를 선별하여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불량주화에 의한 트러블을 줄일 수 있으며, 특히 주화공급유닛에 의해 주화배출구로 배출되는 주화가 겹침으로 인한 주화배출트러블을 근본적으로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불량주화 선별수단을 가진 주화계수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불량주화 선별수단을 가진 주화계수장치의 일부절제 측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주화계수장치의 일부절제 평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불량주화 선별수단을 가진 주화계수장치의 분리사시도,
도 5 내지 본 발명에 따른 불량주화 선별수단을 가진 주화계수장치의 분량주화 배출유닛을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6 내지 도 7은 도 5에 도시된 불량주화 배출유닛의 측면단도,
도 8은 도 1에 도시된 불량주화 선별수단을 가진 주화계수장치의 주화적재 및 거스름돈 배출유닛을 나타내 보인 단면도,
도 9는 8에 도시된 주화적재 및 거스름돈 배출유닛의 전후진 구동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본 발명에 따른 불량주화 선별수단을 가진 주화계수장치는 투입된 주화를 분리하고, 이 분리된 주화를 계수할 수 있으며, 거스름돈을 배출시킬 수 있는 것으로, 그 일 실시를 도 1 내지 도 8에 나타내 보였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불량주화 선별수단을 가진 주화계수장치(10)는 지지프레임(11)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주화(300)의 크기에 따라 주화를 선별하기 위한 복수개의 주화선별홀(21)들이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주화선별부(25)와, 상기 주화선별부(25)로 주화를 가이드하기 위한 주화가이드부(26)가 형성된 주화분리판(28)을 구비한 주화분리유닛(20)과, 상기 주화분리유닛(20)의 주화가이드부(26)에 설치되어 선별을 위해 이동하는 주화의 불량여부를 감지하여 불량주화(310)를 선별하는 불량주화배출유닛(30)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주화분리판(28)의 중앙부측에 설치되어 선별할 주화들을 상기 주화가이드부(26)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공급하기 위한 주화공급유닛(50)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불량주화 선별수단을 가진 주화계수장치(10)는 주화분리판(28)과 탄력적으로 밀착되어 상기 주화공급유닛(50)으로부터 투입된 주화(300)를 주화분리판(28)에 밀착시킨 상태로 상기 주화가이드부(26)와 주화선별홀(21)들로 이동시키는 주화이송유닛(70)을 포함하며, 지지프레임(11)에 설치되는 것으로, 투입된 주화분리판(28)의 주화선별부(25)의 주화선별홀(21)들과 대응되는 하면에 설치되어 선별된 주화(300)를 주화회수통(101)들에 적재함과 아울러 주화(300)를 계수하고, 적재된 주화(300)들을 이용하여 거스름돈을 지출하는 주화적재 및 거스름돈배출유닛(100)을 구비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불량주화 선별수단을 가진 주화계수장치를 구성요소별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주화분리유닛(20)은 주화(300)의 크기에 따라 주화(300)을 선별하기 위한 복수개의 주화선별홀(21)들이 원주방향으로 배열 형성된 주화분리판(28)을 구한다. 상기 주화분리판(28)의 상부에는 주화(300)들을 원주방향으로 배열된 주화선별홀(21)들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 주화가이드부(26)가 형성된다.
상기 주화분리판(28)은 지지프레임(11)의 상면 측에 고정되어 지지프레임(11)의 상부에 고정되는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지지프레임(11)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주화분리판(28)의 중앙부에는 후술하는 주화공급유닛(50)의 회전원판(51)이 위치되는 회전원판 설치부(22)가 형성된다.
상기 주화분리판(28)에 형성된 주화선별홀(21)들은 원주방향으로 배열설치 된 것으로, 직경이 작은 주화부터 배출될 수 있도록 주화선별홀(21)들이 반시계방향을 갈수록 점차적으로 크게 형성된다. 이 주화설별홀(21)들은 주화계수장치가 설치 될 나라에서 통용되는 주화의 수(가치별 숫자)와 대응되는 수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주화분리판(20)의 하면에는 주환선별홀(21)들을 통과한 주화들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부재(29)가 설치되는데, 이 가이드부재(29)에는 각 주화선별홀(21)들과 대응되는 동일한 홀(29a)들이 형성되고, 이 홀(29a)의 가장자리에는 하부로 연장되어 후술하는 주화회수통으로 주화를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립(29b)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주화분리판(28)의 주화가이드부(26)의 내측에는 주화가이드부(26)을 따라 이동되는 주화(300) 외주면의 일측과 접촉되어 주화선별홀(21)의 가장자리가 주화(300)의 가장자리와 일치될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부재(27)가 설치된다. 주화가이드부(26)를 따라 이동하는 주화(300)는 상기 가이드부재(27)와 외주면이 밀착된 상태로 상기 주화선별부(21)로 이동된다.
한편, 상기 가이드부재(27)의 내측면의 일부는 회전판설치부(22)의 가장자리와 일치된 궤적을 가지며, 일부는 외측으로 확개되어 주화(300)를 주화가이드부(26)로 가이드하기 위한 배출가이드부(27a)를 이룬다.
상기 주화공급유닛(50)은 상기 회전원판설치부(22)에 설치되어 주화를 원심력에 의해 외측으로 밀어내기 위한 회전원판(51)을 구비한다. 그리고 주화분리판 (28) 또는 지지프레임(11)의 하면에는 회전원판(51)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원판구동모터(55)가 설치되고, 이의 구동축은 상기 회전원판설치부(22)를 관통하여 회전원판(51)과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프레임(11) 또는 주화분리판(28)에는 상기 회전원판을 감사며 상부측에 주화를 주입하기 위한 주화주입구(56)가 형성된 주화투입호퍼부재(57)가 설치된다. 상기 주화투입호퍼부재(57)의 하면은 가이드부재(27)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가이드부재(24)와 주화투입호퍼부재(57)에 의해 주화배출구(26a)가 구획된다.
상기 회전원판(51)은 회전원판구동모터(55)에 의해 회전되는 주화를 상기 주화배출구(26a)를 통하여 배출할 수 있는 것으로, 회전원판(51)의 가장자리로부터 중앙부측으로 소정의 폭으로 절개되어 회전원판(51)과 일체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의 탄성편(52)들이 형성된다. 상기 탄성편(52)은 중앙부측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절개됨으로써 탄성편(52)의 상하부측으로 탄성변형 된다. 그리고 각 탄성편(52)의 단부측 상면에는 동전을 밀어내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돌기(53)가 형성된다.
상기 회전원판(51)의 상면에는 투입된 주화(300)을 원심력에 의해 외측으로 밀어내기 위한 가이드돌기(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회전원판(51)의 가장자리 상면은 상기 주화분리판(28)의 상면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불량주화배출유닛(30)은 도 2 및 도 0 내지 도 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화배출구(26a)와 주화선별부(25)의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주화가이드부(26)에 불량주화감지센서(31)(32)들을 구비한 불량주화 감지부(33)와, 상기 불량주화감지부(33)의 적어도 두 개의 제 1,2불량주화감지센서(31)(32)들로부터 감지된 불량주화가 주화선별부(25)로 유입되기 전에 주화가이드부(26)로부터 배출하는 배출부(40)를 구비한다. 두 개의 불량주화센서(31)(32)를 구비한 상기 불량주화감지부(33)는 주화분리판(28)의 주화가이드부(26)에 성된 결합공(34)과 결합되어 주화가이드부(26)의 일부를 이루는 주화가이드판부재(35)을 구비하며, 이의 하부에는 불량주화감지센서(31)(32)가 설치된다. 그리고 주화가이드판부재(35)의 하면에는 불량주화센서(31)(32)의 구동을 위환 회로기판(36)이 설치된다. 불량주화감지부(33)는 RLC 공진회로를 이용한 주파수대 변화를 감지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불량주화감지부(33)는 교류전원부와, 저항소자와, 캐패시터와, 인턱터를 포함하는 RLC 공진회로부 및 공진회로부의 출력 주파수 파형을 검출하는 파형검출부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RLC 공진회로부는 일 측이 교류전원부에 접속되고 타 측은 개방된 제1회선과, 제1회선의 개방된 단부에 주화와 접촉될 수 있도록 형성된 제1접촉단자와, 일 측에 캐패시터와 인턱터가 직렬 연결되고 타 측이 개방된 제2회선과, 제2회선의 개방된 단부에 주화와 접촉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불량주화감지센서와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 2불량주화감지센서로 구성할 수 있으며, 제1접촉단자와 제2접촉단자는 주화가 지나가는 경로 상에 배치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불량주화감지부(33)는 정상적인 주화(특정 범위 내의 저항값)이 제1불량주화감지센서(31) 및 제2불량주화감지센서(32)를 동시에 접촉하는 상태로 지날 때에는 검출부에서는 특정 범위 내의 저항값과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주파수 파형이 나타나고, 불량주화(특정 범위를 벗어난 저항값)이 제1불량주화감지센서(31) 및 제2불량주화감지센서(32)를 동시에 접촉하는 상태로 지날 때에는 검출부에서는 미리 설정된 주파수 파형과 전혀 다른 파형이 나타나는 원리를 적용하여 정상적인 주화와 불량 주화를 구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불량주화배출유닛(30)의 배출부(40)는 상기 불량주화검출센서(31)(32)가 설치된 주화가이드판부재(35)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배출도어(42)를 구비한다. 상기 배출도어(42)는 주화가이드부(26)에 불량주화배출구(41)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배출도어(42)는 상기 주화가이드부(26)의 일부를 이루며, 불량주화의 이동 시 불량주화가 배출될 수 있도록 불량주화배출구(41)를 열고 불량주화감지 센서(31)(32)에 의한 정상적인 주화의 이동 시 불량주화배출구(41)를 닫아 주화(300)가 주화선별부(25)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배출도어(42)의 개폐는 도어개폐구동부(45)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상기 도어개폐구동부(45)는 솔레이노이드(46)에 의해 작동되는 링크(47)에 의해 구동된다. 상기 솔레노이드(46)에 의해 작동되는 링크(47)는 솔레노이드(46)를 고정하기 위한 브라켓(48)에 설치된 지지핀(48)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링크(47)의 단부는 가동핀(47a)이 설치되고, 이 가동핀(47a)은 상기 배출도어(42)의 하면측에 형성된 장공(42a)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된다. 그리고 링크(47)의 타측은 지지핀(48)로부터 소정의 가도로 연장되어 솔레노이드(46)의 축과 연결된다.
그러나 배출도어(42)의 구동은 상술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응답성이 상대적으로 좋은 액튜에이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주화이송유닛(70)은 상기 지지프레임(11)에 지지된 주화분리판(28)의 상부에 지지프레임(11)을 이루는 가이드링(71)의 내주면에 가이드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링기어(72)를 구비한다. 상기 링기어(72)는 주화공급유닛(50)의 투입호퍼부재(57)가 노출될 수 있도록 중공부(72a)가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링(71)에 대한 링기어(72)의 지지는 상기 링기어(72)의 하면 가장자리에 상기 가이드링(71)의 내주면과 밀착되어 가이드되는 복수개의 가이들롤러(73)들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11) 및 주화분리판(28)에는 구동모터(74)가 설치되고, 이 구동모터(74)의 구동축에는 상기 링기어(72)와 치합되는 구동기어(75)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링기어(72)의 하면에는 상기 주화공급유닛(50)으로부터 공급된 주화를 상기 주화분리판(28)의 상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이동시키는 탄성가압부재(77)가 구비된다. 상기 탄성가압부재(77)는 상기 주화가이드부(26)와 대응되는 폭을 가지는 링형상의 탄성본체부(77a)와 상기 탄성본체부(77a)의 하면에 이를 따라 하방으로 돌출되는 복수개의 가압편(77b)들을 구비한다. 상기 가압편(77b)들은 플랙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두께가 균일하며 상기 폭이 탄성본체부(77a)의 폭과 동일한 폭으로 형성된다. 상기 탄성가압부재(77)는 탄성본체부(77a)와 결합되어 상기 가압편(77b)를 지지하기 위한 가압편지지부재(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주화적재 및 거스름돈배출유닛(100)은 주화분리유닛(20)에 의해 선별된 주화(300)을 주화회수통(101)에 적재하고, 이 주화회수통(101)에 적재된 주화를 배출하여 거스름돈을 지출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주화적재 및 거스름돈배출유닛(100)은 도 2 및 도 0 내지 도 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화분리판(20)의 하면에 설치된 가이드부재(29)를 포함한다. 이 가이드부재(29)는 주화선별홀(21)과 대응되도록 홀(29a)이 형성되고, 이 홀의 가장자리에는 주화(300)를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립(29b)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부재(29)의 하면에 원통형의 주화회수통(101)들이 설치된다. 상기 주화회수통(101)의 상면에는 상기 주화회수통(101)에 주화(300)가 적재되어 채워진 상태에서 유입되는 주화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주화배출부(101a)가 형성된다. 주화배출부(101a)는 프레임(12)의 주화배출가이드(13)와 대응되는 측에 형성된다.
상기 주화회수통(101)들이 설치된 프레임(12)의 하면에는 도 2, 도 0 및 도 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주화회수통(101)들의 하면을 개폐함과 아울러 전,후진 시 하나의 주화를 배출하기 위한 슬라이더(110)가 설치된다. 이 슬라이더(110)는 슬라이더지지프레임(14)에 설치된 가이드레일(111)에 의해 프레임(12)의 중공부(12a) 중심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전,후진 된다. 상기 슬라이더(210)는 상기 슬라이더지지프레임(14)는 상기 주화배출가이드(13)와 같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지지프레임(12)에는 상기 슬라이더(110)를 전,후진시키기 위한 전후진구동부(120)이 설치되는데, 이 전후진구동부(120)는 슬라이더(110)의 하면과 대응되는 측이 슬라이더(110)의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장공(121)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더(110)의 하면에는 상기 가이드장공(121)측으로 핀지지돌기(122)들이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되어 이들의 사이에 핀지지부(123)가 형성된다. 그리고 이와 대응되는 슬라이더지지프레임(14)에는 회전링크(124)가 힌지축(125)에 지지되어 상기 가이드장공(121)의 형성방향으로 회동되게 설치된다. 상기 회전링크(124)에는 길이 방향으로 장공(124a)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링크(124)의 단부측에는 상기 핀지지부(123)에 삽입되는 핀(126)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장공(124a)과 대응되는 측의 슬라이드지지프레임(14)에는 모터(127)가 설치된다. 이 모터(127)의 구동축에는 회전링크(124)를 회전시켜 슬라이더(110)를 전,후진시키기 위한 편심캠(129)이 설치되는데, 상기 편심캠(129)에는 상기 회전링크(124)의 장공(124a)에 삽입되는 회동핀(128)이 설치된다. 이 회동핀(128)은 편심캠(129)의 회전중심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의 편시캠(129)에 형성된다.
한편, 상기 주화선별유닛(100)에 투입되어 선별된 주화를 계수하기 위한 제 1검출센서부(미도시)와 상기 거스름돈의 배출을 선택된 슬라이더(110)의 작동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제 2검출센서부(240)와, 상기 제1검출센서부(230)에 의해 검출된 신호에 의해 주화를 계수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 1검출센서부의 신호에 근거하여 거스름돈을 계수하는 제어부(미도시)를 구비한다.
상기 제1검출센서부는 상기 주화회수통(201)의 상부에 위치되는 가이드립(29) 또는 프레임(12), 슬라이드지지프레임(14)에 설치되어 낙하하는 주화를 검출한다. 상기 제1검출센서부는 근접센서 또는 수발광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검출센서부(240)는 상기 회동링크(124)의 힌지축(125)이 설치되는 단부측으로부터 연장되는 검출도그(241)과 상기 검출도그(241)의 양측의 슬라이드지지프레임(12)에 설치되어 검출도그(241)의 인입공간을 형성하는 지지브라켓(242)에 설치되어 검출도그(241)가 인입공간으로의 출입을 검출하여 슬라이더(110)에 의해 토출되는 주화를 계수한다. 상기 제2검출센서부(243)는 상술한 바와 같이 수발광센서 또는 근접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주화계수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주화계수장치(10)을 이용하여 주화(300)들을 계수하기 위해서는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화공급유닛(50)의 회전원판구동모터(55)을 구동시켜 회전원판(51)이 회전되도록 하고, 상기 구동모터(74)을 구동시켜 링기어(72)가 회전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가치에 따라 크기가 다른 주화들 즉, 계수하고자 하는 주화(300)들을 무작위로 상기 주화투입호퍼부재(57)의 주화투입구(56)을 통하여 투입한다.
이와 같이 하면, 투입된 주화(300)들을 회전원판(51)의 상면에 위치하게 되고, 이 주화(300)의 회전원판(51)의 회전으로 인한 원심력에 의해 반경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가이드부재(27)의 배출가이드부(27a)에 안내되어 상기 주화분리판(28)의 주화가이드부(26)으로 배출된다.
상기 주화가이드부(26)으로 배출된 주화(300)는 주화이송유닛(70)의 회전하는 링기어(72)의 하면에 설치되는 탄성가압부재(77)의 가압편(77b)에 의해 가압된 상태로 주화(300)가 주화가이드부(26)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이동되는 주화(300)는 불량주화배출유닛(30)이 설치된 영역의 주화가이드부(26)를 이동하게 된다. 이동중인 주화(300)가 불량주화배출유닛(20)의 주화가이드판부재(35)의 하면에 불량주화센서(31)(32)에 의해 주화의 상태가 감지하게 된다. 이동중인 주화(300)가 불량주화로 인식되면, 배출부(40)의 솔레노이드(46)가 작동되어 배출도어(42)를 하방으로 회전시킨다. 따라서 불량 주화는 배출도어(42)가 열림으로써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화가이드부(26)로부터 배출된다.
주화가이드부(26)를 이동하는 주화의 불량주화의 감지는 제1불량주화감지센서(31) 및 제2불량주화감지센서(32)를 동시에 접촉하는 상태로 지날 때에는 검출부에서는 특정 범위 내의 저항값과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주파수 파형이 나타나고, 불량 동전(특정 범위를 벗어난 저항값)이 제1불량주화감지센서(31) 및 제2불량주화감지센서(32)를 동시에 접촉하는 상태로 지날 때에는 검출부에서는 미리 설정된 주파수 파형과 전혀 다른 파형이 나타나는데 이를 이용하여 정상주화와 불량주화를 판단하게 된다.
이와 같이 불량주화의 배출이 완료되면 상기 솔레노이드(46)가 작동되어 상기 링크(47)를 회동시킴으로써 배출도어(42)가 닫히어 배출도어(42)가 주화가이드부(26)를 이루게 된다.
그리고 상기 주화가이드부(26)를 따라 이동하는 주화가 불량주화감지부(33)를 통과하면서 정상적인 주화로 인식이 이루어지게 되면, 주화가이드부(26)를 따라 주화분리유닛(20) 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이동된 주화(300)의 사이즈와 동일한 크기의 주화선별홀(21)의 상면으로의 이동 시 가압편(77b)에 의한 가압력과 자중에 의해 낙하하게 되고, 가이드부재(29)의 가이드립(29b)에 의해 안내되어 주화회수통(101)에 공급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방법을 상기 투입호퍼부재(43)에 투입된 주화(300)들은 종류별로 각각의 주화회수통(101)에 공급 및 적재된다. 이때에 상기 주화회수통(101)에 투입되는 주화(300)는 제 1검출센서부에 의해 검출되어 제어부에 의해 계수한 후 디스플레이어에 표시된다.
상술한 주화회수통(101)에 공급되는 주화의 적재로 주화회수통(101)에 주화가 채워지면, 이후에 공급되는 주화는 상기 주화회수통(101)에 형성된 주화배출부(101a)을 통하여 배출되고, 이 배출된 주화는 상기 주화배출가이드(13)에 의해 가이드되어 외통(미도시)으로 떨어진다.
그리고 주화의 계수가 완료된 후 거스름돈을 배출하기 위해서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에 의해 배출하고자 하는 주화회수통(101)의 하부에 설치된 모터(127)을 구동시킨다. 이와 같이 하면, 상기 모터(127)의 구동축에 설치된 편심캠(129)의 회동핀(128)이 회전링크(124)의 장공(124a)의 이동하면서 상기 회동링크(124)를 회동시켜 상기 슬라이더(110)를 후퇴시킨다.
따라서 적층된 주화(300)은 하강하면서 슬라이더(110)의 전면에 형성된 주화지지홈(110a)에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편심캠(129)이 더욱 회전하게 되면, 상기 회전링크(124)가 회전되어 상기 슬라이더(110)를 전진시켜 상기 슬라이더(110)의 주화지지홈(110a)에 지지된 주화를 슈트(400)으로 밀어내게 된다. 이때에서 상기 제2검출센서부(240)와 제어부에 의해 하나의 주화배출이 계수된다. 주화의 계수는 상기 회전링크(124)에 설치된 검출도그(241)이 상기 지지브라켓(242)에 형성된 공간부에 인입 및 인출됨으로서 이에 설치된 제2검출센서부(243)에 의해 카운팅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작용을 선택된 주화회수통의 하부에 설치된 모터가 구동되어 주화를 배출하게 됨으로써 거스름돈을 배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원 발명의 주화계수장치는 무작위로 투입된 주화를 분리하여 계수할 수 있으며, 불량주화를 선별할 있으므로 불량주화에 의한 트러블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주화의 분리와 거스름돈을 배출이루어지게 되므로 쥬화계수장치의 상품적 가치를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주화의 분리가 주화분리판에 형성된 주화분리홀에 가입된 주화가 이동하면서 이루어지게 되므로 주화분리에 따른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 청구 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9)

  1. 지지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주화의 크기에 따라 주화를 선별하기 위한 복수개의 주화선별홀들이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주화선별부와, 상기 주화선별부로 주화를 가이드하기 위한 주화가이드부가 형성된 주화분리판을 구비한 주화분리유닛과,
    상기 주화분리유닛의 주화가이드부에 설치되어 선별을 위해 이동하는 주화의 불량여부를 감지하여 불량주화를 선별하는 불량주화배출유닛과,
    상기 선별할 주화들을 상기 주화가이드부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공급하기 위한 주화공급유닛과,
    상기 주화분리부와 탄력적으로 밀착되어 상기 주화공급유닛으로부터 투입된 주화를 주화분리판에 밀착시킨 상태로 상기 주화가이드부와 주화선별홀들로 이동시키는 주화이송유닛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량주화 선별이 가능한 주화 계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불량주화배출유닛은 상기 주화가이드부에 설치된 불량주화 감지센서와, 상기 불량주화감지센서로부터 감지된 불량주화를 주화선별부로의 유입전에 주화가이드부로부터 배출하는 배출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량주화의 선별이 가능한 동전계수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는 상기 불량주화검출센서가 설치되어 주화가이드부의 일부를 이루는 주화가이드판부재(35)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주화가이드부에 불량주화배출구를 형성하는 배출도어와, 주화가이드판부재 또는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배출도어를 개폐하는 도어개폐구동부를 구비하면,
    상기 도어개폐구동부는 솔레이노이드에 의해 작동되는 링크를 구비하고, 상기 솔레노이드에 의해 작동되는 링크는 솔레노이드를 고정하기 위한 브라켓에 설치된 지지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링크의 단부는 가동핀이 설치되어 상기 배출도어의 하면측에 형성된 장공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며, 링크의 타측은 지지핀으로부터 소정의 가도로 연장되어 솔레노이드의 축과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량주화의 선별이 가능한 동전계수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주화선별홀들 하부의 지지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주화선별홀들을 통과한 주화들을 적재하기 위한 주화회수통과, 주화회수통에 적재된 주화를 계수하여 거스름돈을 배출하는 주화적재 및 거스름돈배출유닛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량주화의 선별이 가능한 동전계수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화공급유닛은 상기 가이드부재에 의해 형성된 주화가이드부의 입구측과 연결되며 주화배출구를 형성하는 주화투입호퍼부재와, 상기 주화투입호퍼부재에 의해 구획된 내부에 설치되는 주화투입호퍼부재에 투입된 주화를 주화배출구 측을 배출하기 회전원판과, 상기 주화분리판의 하면에 지지되어 상기 회전원판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원판구동모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량주화의 선별이 가능한 동전계수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원판은 회전원판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주화를 상기 주화배출구를 통하여 배출할 수 있는 것으로, 회전원판의 가장자리로부터 중앙부측으로 소정의 폭으로 절개되어 회전원판과 일체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의 탄성편들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량주화의 선별이 가능한 동전계수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화이송유닛은 상기 지지프레임에 설치되는 상기 주화분리판의 상부에 지지프레임의 내주면에 가이드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주화공급유닛의 회전원판이 노출될 수 있도록 중공부를 가지는 링기어와, 상기 지지프레임에 설치되어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설치되며 상기 링키어와 치합되는 구동기어와,
    상기 링기어에 설치되어 상기 주화공급유닛으로부터 공급된 주화를 상기 주화분리판의 상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주화를 이동시키는 탄성가압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량주화의 선별이 가능한 동전계수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화적재 및 거스름돈배출유닛은 상기 프레임과 슬라이더지지프레임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주화분리판의 주화선별홀과 대응되는 하부에 원통형의 주화회수통들이 설치되고, 상기 주화회수통들이 설치된 지지프레임의 하면에는 각 주화회수통들의 하면을 개폐함과 아울러 전,후진 시 하나의 주화를 배출하기 위해 가이드레일에 의해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더가 구비되며, 상기 슬라이더지지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더를 전, 후진시키기 위한 전후진구동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량주화의 선별이 가능한 동전계수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진구동부는 슬라이더의 하면과 대응되는 가이드레일부에 슬라이더의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더의 하면에는 상기 가이드장공으로 핀지지돌기들이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되어 이들의 사이에 핀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핀지지부와 대응되는 지지프레임에는 회전링크가 힌지축에 지지되어 상기 가이드장공의 형성방향으로 회동되게 설치되고, 상기 회전링크에는 길이 방향으로 장공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링크의 단부측에는 상기 핀지지부에 삽입되는 핀이 형성되고, 상기 장공과 대응되는 측의 지지프레임에는 모터가 설치며, 이 모터의 구동축에는 상기 회전링크의 장공에 삽입되는 회동핀이 형성된 편심캠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화계수장치.
KR1020190042866A 2019-04-12 2019-04-12 불량주화 선별수단을 가진 주화계수장치 KR1022032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2866A KR102203230B1 (ko) 2019-04-12 2019-04-12 불량주화 선별수단을 가진 주화계수장치
CN202080012712.9A CN113412503B (zh) 2019-04-12 2020-04-13 包括坏硬币分类单元的硬币计数装置
CA3125685A CA3125685A1 (en) 2019-04-12 2020-04-13 Coin counting apparatus including bad coin sorting unit
PCT/KR2020/004977 WO2020209695A1 (ko) 2019-04-12 2020-04-13 불량주화 선별수단을 가진 주화계수장치
US16/979,544 US11861965B2 (en) 2019-04-12 2020-04-13 Coin counting apparatus including bad coin sorting un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2866A KR102203230B1 (ko) 2019-04-12 2019-04-12 불량주화 선별수단을 가진 주화계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0239A true KR20200120239A (ko) 2020-10-21
KR102203230B1 KR102203230B1 (ko) 2021-01-13

Family

ID=72752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2866A KR102203230B1 (ko) 2019-04-12 2019-04-12 불량주화 선별수단을 가진 주화계수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861965B2 (ko)
KR (1) KR102203230B1 (ko)
CN (1) CN113412503B (ko)
CA (1) CA3125685A1 (ko)
WO (1) WO202020969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7333A (ko) * 2021-11-09 2023-05-16 사이텍 주식회사 주화식별방법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60277A (ja) 1999-08-20 2001-03-06 Sugai Sogyo:Kk コイン類の計数選別装置
KR100663636B1 (ko) 2006-04-13 2007-01-05 (주) 인포웨이 동전 계수장치
KR20070106208A (ko) 2006-04-28 2007-11-01 (주) 인포웨이 충격 완충 기능이 구비된 동전 계수장치
KR20080102511A (ko) 2007-05-21 2008-11-26 (주) 인포웨이 동전 계수기용 입출금기의 동전 선별장치
KR20080102520A (ko) 2007-05-21 2008-11-26 (주) 인포웨이 동전 계수기용 입출금기의 회수장치
JP2013145488A (ja) * 2012-01-16 2013-07-25 Oki Electric Ind Co Ltd 硬貨処理装置
JP2014052716A (ja) * 2012-09-05 2014-03-20 Toshiba Tec Corp 硬貨入出金装置と変形正貨分別方法
KR20160013704A (ko) * 2014-07-28 2016-02-05 은남표 동전 계수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080858A3 (en) * 1981-11-26 1985-09-25 Kawabe Kosakusho Co., Ltd. Coin feeder device for coin counter
US4620559A (en) * 1984-10-09 1986-11-04 Childers Corporation High-speed coin-sorting and counting apparatus
US6003652A (en) * 1997-12-30 1999-12-21 Fuji Electric Co., Ltd. Cash dispenser
GB2335775B (en) * 1998-03-27 2002-01-30 Mars Inc Coin dispensing
US6896114B1 (en) * 1999-09-03 2005-05-24 Fuji Electric Co., Ltd. Coin dispensing apparatus for automatic vending machine
US6349811B1 (en) * 2000-06-28 2002-02-26 Johnny Chung Twin-shaft swinging type coin-identifying/receiving device
JP4355475B2 (ja) * 2002-07-26 2009-11-04 株式会社日本コンラックス 硬貨処理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US7255639B2 (en) * 2004-07-15 2007-08-14 Asahi Seiko Kabushiki Kaisha Coin delivery device and separator device for a coin processing apparatus
KR100780052B1 (ko) * 2007-04-27 2007-11-30 주식회사 에이텍 주화 선별/계수장치
BRPI0816061A2 (pt) * 2007-08-31 2015-03-31 Talaris Inc Disco de acionamento elástico através de um membro seletor de moedas em uma máquina manipuladora de moedas.
JP5373007B2 (ja) * 2011-08-02 2013-12-18 東芝テック株式会社 硬貨入出金装置
GB2512551B (en) * 2012-01-25 2017-08-09 Talari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offsorting coins in a coin handling machine
JP5756953B2 (ja) * 2012-08-21 2015-07-29 旭精工株式会社 硬貨の分離・送出装置
TWI738685B (zh) * 2015-12-01 2021-09-11 日商富士電機股份有限公司 硬幣處理裝置
CN105809806A (zh) * 2016-04-20 2016-07-27 刘子旺 一种硬币分拣装置
NL2018089B1 (en) * 2016-12-28 2018-07-06 Suzo Int Nederland B V Coin dispenser
CN106600804A (zh) * 2017-01-04 2017-04-26 沈阳建筑大学 新型硬币分拣装置
US10896566B2 (en) * 2017-09-04 2021-01-19 Asahi Seiko Co., Ltd. Coin recycle device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60277A (ja) 1999-08-20 2001-03-06 Sugai Sogyo:Kk コイン類の計数選別装置
KR100663636B1 (ko) 2006-04-13 2007-01-05 (주) 인포웨이 동전 계수장치
KR20070106208A (ko) 2006-04-28 2007-11-01 (주) 인포웨이 충격 완충 기능이 구비된 동전 계수장치
KR20080102511A (ko) 2007-05-21 2008-11-26 (주) 인포웨이 동전 계수기용 입출금기의 동전 선별장치
KR20080102520A (ko) 2007-05-21 2008-11-26 (주) 인포웨이 동전 계수기용 입출금기의 회수장치
JP2013145488A (ja) * 2012-01-16 2013-07-25 Oki Electric Ind Co Ltd 硬貨処理装置
JP2014052716A (ja) * 2012-09-05 2014-03-20 Toshiba Tec Corp 硬貨入出金装置と変形正貨分別方法
KR20160013704A (ko) * 2014-07-28 2016-02-05 은남표 동전 계수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7333A (ko) * 2021-11-09 2023-05-16 사이텍 주식회사 주화식별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861965B2 (en) 2024-01-02
WO2020209695A1 (ko) 2020-10-15
US20230096547A1 (en) 2023-03-30
CA3125685A1 (en) 2020-10-15
KR102203230B1 (ko) 2021-01-13
CN113412503A (zh) 2021-09-17
CN113412503B (zh) 2023-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41665B1 (en) Money item dispensing apparatus
US4111216A (en) Centrifugal coin sorter
US20100210200A1 (en) Coin mechanism
EP1679667B1 (en) Coin receiving and disbursing apparatus
EP1657685B1 (en) Denomination distinguishing system in coin processing apparatus
GB2198274A (en) Coin dispensers
EP1938283B1 (en) Coin handling equipment
KR102203230B1 (ko) 불량주화 선별수단을 가진 주화계수장치
JP3973861B2 (ja) 硬貨入出金機
KR102023743B1 (ko) 거스름돈 배출유닛을 가진 동전계수장치
JPH09274687A (ja) 硬貨収納投出装置
US20230147055A1 (en) Method for identifying coin
JP7207744B2 (ja) コイン送出装置およびコイン処理装置
JP4137538B2 (ja) 硬貨処理機
JPH03225587A (ja) 硬貨選別装置
JP7118730B2 (ja) 硬貨出金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3410921B2 (ja) 釣り銭自動払出装置
JPH021647Y2 (ko)
JPH10302120A (ja) 貨幣入出金機
JPH0330082A (ja) 自動販売機の硬貨搬送装置
KR20190093022A (ko) 동전분리장치
JPH09212710A (ja) 釣銭自動払出装置
KR20150090759A (ko) 동전 계수 장치
JP2001256540A (ja) 硬貨搬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