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05548A - 천장형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천장형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05548A
KR20070105548A KR1020060037799A KR20060037799A KR20070105548A KR 20070105548 A KR20070105548 A KR 20070105548A KR 1020060037799 A KR1020060037799 A KR 1020060037799A KR 20060037799 A KR20060037799 A KR 20060037799A KR 20070105548 A KR20070105548 A KR 200701055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cabinet
stator
air conditioner
r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77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12691B1 (ko
Inventor
이내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377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2691B1/ko
Publication of KR200701055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55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26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26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8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 F24F1/0029Axial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4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in the ceiling or at the ceiling

Abstract

본 발명은 천장에 설치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천장에 설치되고, 하면에 흡입구와 토출구가 각각 형성된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 내 하부에 장착되고 유동을 안내하는 오리피스 홀이 형성된 드레인 팬과, 상기 드레인 팬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캐비닛의 흡입구에서 상기 캐비닛의 토출구를 향하는 유동이 형성되게 하는 송풍팬과, 상기 캐비닛의 상면과 상기 드레인 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장착되는 모터 마운터와, 상기 모터 마운터에 고정된 링형 구조의 스테이터와, 상기 스테이터의 내부 공간을 덮는 모터 브래킷과, 상기 스테이터의 외측에 회전 가능토록 설치된 로터와, 상기 로터와 상기 송풍팬을 연결하는 축과, 상기 모터 브래킷에 설치되어 상기 축을 회전 가능토록 지지하는 베어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므로 상기 로터가 모터의 외관을 겸하여 컴팩트하고 슬림화될 수 있고, 소비 전력이 작은 공기조화기를 제공한다.
공기조화기, 천장형, 실내기, 송풍부, 송풍팬, 모터, 아우터 로터, 로터, 스테이터, 모터 마운터, 모터 브래킷, 마운팅 브래킷

Description

천장형 공기조화기{Cassette type Air-condition }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제 1실시 예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제1 실시 예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제1 실시 예의 주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제1 실시 예의 모터 외관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제1 실시 예의 모터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A-A선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B-B선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제1 실시 예의 모터 평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제2 실시 예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제3 실시 예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제4 실시 예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제5 실시 예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제6 실시 예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제6 실시 예의 주요부 해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제7 실시 예의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제7 실시 예의 주요부 해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제8 실시 예의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제8 실시 예의 주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제9 실시 예의 단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제9 실시 예의 주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2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 모터 2: 스테이터
3: 중공부 4: 스테이터 코어
5: 요크 6: 티스
7: 슬롯 8: 인슐레이터
9: 구동 코일 10: 볼트
11: 너트 13: 축 지지수단
14: 제 1 모터 브래킷 14a: 관통공
14b: 베어링 하우징부 14c: 관통공
15: 제 2 모터 브래킷 15a: 관통공
15b: 베어링 하우징부 15c: 관통공
16: 제 1 베어링 17: 제 2 베어링
18: 드라이브 20: 로터
22: 로터 프레임 23: 원판부
24: 축 고정부 25,26: 관통공
27: 원통부 28: 마그네트
30: 축 31,32: 관통공
34: 외측 축부 35: 내측 축부
36: 핀 40: 모터 마운터
40A: 원판부 40B: 플랜지부
40C: 테두리부 40D: 회피홀
42: 단턱부 44: 개구부
46: 전선 관통부 47: 볼트
48: 너트 49: 관통공
50: 방진 수단 52: 러버
56: 스프링 58: 와셔
100: 캐비닛 101: 흡입구
102: 토출구 110: 캐비닛 프레임
112: 베이스 114: 프론트 패널
116: 프론트 그릴 118: 토출그릴
120: 공조부 122: 열교환기
124: 드레인 팬 130: 송풍부
132: 송풍팬 140: 마운팅 브래킷
본 발명은 천장형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스테이터의 외측에 로터가 회전 가능토록 배치되고, 상기 로터가 실외기 팬과 연결된 천장형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난방기, 냉방기, 청정기 등으로 실내를 냉난방 시키거나 공기를 정화할 목적으로 설치되어 인간에게 보다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는 것으로, 압축기, 응축기, 증발기, 팽창기로 구성되는 냉매의 열교환사이클을 이용하여 건물 또는 방 등의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냉각 또는 가열 한 후 다시 실내로 토출시키는 장치이다.
이러한 공기조화기는 크게 일체형(window type)과 분리형(seperate type 또는 split type)으로 구분된다.
상기한 일체형과 분리형은 기능적으로는 같지만 일체형은 실내 열교환기와 압축기와 실외 열교환기와 팽창기구를 하나의 장치로 설치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분리형은 실내기에 실내 열교환기(증발기 혹은 응축기) 및 송풍기를 설치하고, 실외기에 실외 열교환기(응축기 혹은 증발기)와 압축기 및 송풍기를 설치하며, 상기 실내기와 실외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팽창기구를 설치하여 서로 분리된 두 장치를 냉매 배관으로 연결시킨 것이다.
도 2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단면도이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로서, 천장에 설치되고 저면에 흡입구(301) 및 토출구(302)가 각각 형성된 캐비닛(300)과, 상기 캐비닛(300)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캐비닛(300) 내 공기가 공기조화되게 하는 공조부(310)와, 상기 캐비닛(300)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캐비닛(300)의 흡입구(301)에서 상기 캐비닛(300)의 토출구(302)를 향하는 유동을 형성시키는 송풍부(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공조부(310)는 상기 송풍부(320)를 둘러싸는 열교환기(312)와, 상기 열교환기(312) 하측에 구비된 드레인 팬(314)을 포함한다.
상기 송풍부(320)는 이너 로터 타입의 모터(322)와, 상기 모터(322)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송풍팬(324)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모터(322)가 구동되면, 상기 송풍팬(324)이 회전되어 상기 캐비닛(300)의 흡입구(301)를 통해 상기 캐비닛(300) 내부로 공기가 흡입되고, 상기 캐비닛(300)에 흡입된 공기가 상기 열교환기(312)에 의해 공조되며, 상기 공조된 공기가 상기 캐비닛(300)의 토출구(302)를 통해 상기 캐비닛(300) 외부로 토출된다.
상기 프론트 그릴(206)이 상기 프론트 패널(204)에 형성된 공기 흡입구(204a)를 개방하는 상태로 조작되고, 상기 베인(201c)이 상기 샤시(201)에 형성된 공기 토출구(201a)를 개방하는 상태로 조작되며, 상기 송풍기(202)가 구동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천장형 공기조화기로부터 공조된 공기가 토출되면, 상기 공기조화기가 설치된 실내가 냉,난방되거나 제습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상기 송풍팬(324)이 이너 로터 타입의 모터(322)에 의해 회전되므로 상기 이너 로터 타입의 모터 길이가 긴 편이어서 구조적으로 슬림화 및 소형화하는데 한계가 있고, 그로 인해 제조비가 높음은 물론 무거운 중량으로 인해 이동시키기 어렵고 넓은 설치 공간이 요구되며, 소비 전력이 커 공기조화기 사용자가 비용적으로 부담을 느낄 수 있으며, 상기 이너 로터 타입의 모터(322)가 별도의 모터 케이스에 의해 보호되므 로 구조적으로 복잡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흡입구에서 토출구를 향하는 유동을 형성시키는 송풍팬을 회전시키는 모터가 아우터 로터 타입으로 구비되므로 구조적으로 슬림화 및 소형화가 가능하고, 소비 전력이 절감될 수 있으며, 별도의 모터 케이스가 불필요한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천장에 설치되고, 하면에 흡입구와 토출구가 각각 형성된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의 흡입구에서 상기 캐비닛의 토출구를 향하는 유동이 형성되게 하는 송풍팬과; 상기 캐비닛에 스테이터가 고정되고 상기 송풍팬과 연결된 로터가 상기 스테이터의 외측에서 회전되는 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터는 상기 캐비닛의 상면을 이루는 베이스에 장착되고 상기 스테이터가 고정되는 모터 마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터는 상기 캐비닛의 상면을 이루는 베이스에 장착된 마운팅 브래킷과; 상기 마운팅 브래킷에 완충 가능토록 지지되고 상기 스테이터가 고정되는 모터 마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천장에 설치되고, 하면에 흡입구와 토출구가 형성된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 내 하부에 장착되고 유동을 안내하는 오리피스 홀이 형성된 드레인 팬과; 상기 드레인 팬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캐비닛의 흡입구에서 상기 캐비닛의 토출구를 향하는 유동이 형성되게 하는 송풍팬과; 상기 송풍팬과 드레인 팬 사이에 위치되어 스테이터가 상기 드레인 팬에 고정되고 상기 송풍팬과 연결된 로터가 상기 스테이터의 외측에서 회전되는 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터는 상기 드레인 팬에 장착되고 상기 스테이터가 고정되는 모터 마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터는 상기 드레인 팬 장착된 마운팅 브래킷과; 상기 마운팅 브래킷에 완충 가능토록 지지되고 상기 스테이터가 고정되는 모터 마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천장에 설치되고, 하면에 흡입구와 토출구가 각각 형성된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 내 하부에 장착되고 유동을 안내하는 오리피스 홀이 형성된 드레인 팬과; 상기 드레인 팬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캐비닛의 흡입구에서 상기 캐비닛의 토출구를 향하는 유동이 형성되게 하는 송풍팬과; 상기 캐비닛의 상면과 상기 드레인 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장착되는 모터 마운터와; 상기 모터 마운터에 고정된 링형 구조의 스테이터와; 상기 스테이터의 내부 공간을 덮는 모터 브래킷과; 상기 스테이터의 외측에 회전 가능토록 설치된 로터와; 상기 로터와 상기 송풍팬을 연결하는 축과; 상 기 모터 브래킷에 설치되어 상기 축을 회전 가능토록 지지하는 베어링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상기 샤시 또는 오리피스에 장착되고 상기 모터 마운터를 완충 가능토록 지지하여 상기 모터 마운터가 상기 캐비닛 또는 드레인 팬에 고정되게 하는 마운팅 브래킷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제 1실시 예의 외관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제1 실시 예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제1 실시 예의 주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외관을 이루는 캐비닛(100)이 천장에 삽입되게 설치되고, 상기 캐비닛(100)에 공기가 상기 캐비닛(100)의 내부로 흡입될 수 있는 흡입구(101)와 상기 캐비닛(100) 내 공기가 상기 캐비닛(100) 외부로 토출될 수 있는 토출구(102)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캐비닛(100)은 상면 및 하면이 각각 개방된 캐비닛 프레임(110)과, 상기 캐비닛 프레임(110)의 개방된 상면에 구비된 베이스(112)와, 상기 캐비닛 프레임(110)의 개방된 하면에 구비되고 상기 흡입구(101)와 토출구(102)가 각각 형성된 프론트 패널(114)과, 상기 프론트 패널(114)의 흡입구(101)에 구비된 프론트 그릴(116)과, 상기 프론트 패널(114)의 토출구(102)에 구비되어 토출 풍향을 안내하는 토출 베인(118)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캐비닛(100)의 흡입구(101)는 상기 프론트 패널(114)의 중앙에 위치되고, 상기 캐비닛(100)의 토출구(102)는 상기 프론트 패널(114)의 가장자리에 상기 토출구(102)는 상기 흡입구(101)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다수 개 구비된다.
상기 캐비닛(100)의 내부에는 상기 캐비닛(100) 내 공기를 공기 조화시키는 공조부(120)와, 실내의 공기를 상기 캐비닛(100)의 흡입구(101)를 통해 흡입하여 상기 공조부를 통과시킨 후 상기 캐비닛(100)의 토출구(102)를 통해 외부로 토출시키는 송풍부(130)가 설치된다.
상기 공조부(120)는 상기 송풍부(130)를 둘러싸듯이 설치되어 상기 캐비닛(100)의 흡입구(101)에서 상기 캐비닛(100)의 토출구(102)로 향하는 공기가 냉매와 열교환되게 하는 열교환기(122)와, 상기 열교환기(122)와 상기 프론트 패널(114)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열교환기(122)와 대향되는 부위에 드레인 팬부(124A)가 구비되고 상기 캐비닛(100)의 흡입구(101)와 대향되는 부위에 흡입구(124B)가 형성된 드레인 팬(124)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공조부(120)는 상기 드레인 팬(124)의 흡입구(124B)에 구비된 필터(126)를 더 포함한다.
상기 송풍부(130)는 상기 열교환기(122)의 내측에 회전 가능토록 설치된 송풍 팬(132)과, 상기 송풍 팬(132)을 회전시키는 모터(1)로 이루어진다.
상기 송풍 팬(132)은 상하방향을 축으로 하여 회전토록 설치되어 상기 캐비닛(100)의 흡입구(101)를 통해 상하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한 후 상기 열교환기(122)를 향해 원심 토출시키는 원심 팬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모터(1)는 상기 베이스(112)에 직접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베이스(112)에 마운팅 브래킷(140)을 통해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드레인 팬(124)에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송풍부(130)의 외관을 이루는 송풍기 하우징이 구비된 경우 상기 송풍기 하우징에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하 상기 마운팅 브래킷(140)을 통해 상기 베이스(112)에 장착되는 경우를 설명한다.
상기 마운팅 브래킷(140)은 전체적으로 삼발이 구조로 이루어지는 바, 원판형의 중앙부(141)와, 대략 120°간격을 두도록 상기 중앙부(141)에서 돌출되어 상기 모터(1)가 장착되는 복수개의 다리부(142)(143)(14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마운팅 브래킷(140)은 상기 베이스(112)에 장착되는 방법 일 예로써 상기 베이스(112)와 마운팅 브래킷 볼트(150)와 마운팅 브래킷 너트(152)를 통해 상기 베이스(112)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모터(1)는 상기 마운팅 브래킷(140)에 직접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고, 진동을 저감시키면서 완충 가능하게 지지하는 방진 수단(50)을 통해 상기 마운팅 브래킷(140)에 장착될 수 있도록 상기 방진 수단(50)이 포함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하 상기 방진 수단(50)이 포함되는 경우를 설명한다.
상기 모터(1)가 상기 마운팅 브래킷(140)에 장착되는 하는 체결수단(160)은 일 예로써 상기 방진 수단(50)과 마운팅 브래킷(140)을 관통하는 핀부(162)와, 상기 핀부(162)의 일단에 돌출된 머리부(16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체결수단(160)은 상기 머리부(164)가 상기 방진 수단(50)의 일부에 걸림됨과 아울러 상기 핀부(162)의 단부가 상기 마운팅 브래킷(140)에 용접 등으로 직접 부착되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 러버(52)는 중앙에 체결 수단(54) 특히 핀부(54a)가 관통되는 관통공(55)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마운팅 브래킷(140)에는 상기 체결 수단(54) 특히 핀부(54a)가 관통되기 위한 관통공(63)이 형성된다.
상기 모터(1)는 도 4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제1 실시 예의 모터 외관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제1 실시 예의 모터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4에 도시된 A-A선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4에 도시된 B-B선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제1 실시 예의 모터 평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모터(1)는, 아우터 로터 타입 브러시리스 직류 모터로 구성된다.
통상적으로, 이너 로터 타입의 모터는 관성이 작고, 제어의 응답성이 높으므로 정/역전을 반복하는 기기에 적합하고, 아우터 로터 타입의 모터는 구조상 큰 관성을 수반하므로 정속성이 요구되는 기기에 적합하게 되는데,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송풍팬(162)이 대체로 시계방향과 반시계반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만 회전되므로, 이너 로터 타입 모터 보다는 아우터 로터 타입의 모터가 보다 바람직하다.
즉 상기 모터(1)는 스테이터(2)와, 로터(20)와, 축(30)과, 모터 마운터(4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별도의 모터 케이스를 포함하지 않는다.
상기 스테이터(2)는 그 원주방향으로 회전자계를 형성하는 것으로서, 중앙에 중공부(3)를 갖는 스테이터 코어(4)와, 상기 스테이터 코어(4)에 권선된 구동 코일(9)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스테이터 코어(4)는 링 형상의 하나의 코어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고, 복수개의 단위 코어가 원주 방향으로 배치되어 전체적으로 링 형상을 갖도록 결합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스테이터 코어(4)는 복수개의 강판이 축방향으로 적층된다.
상기 스테이터 코어(4)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호상의 요크(5)와, 대략 T자 형상을 이루는 복수개의 티스(6)를 구비한다.
상기 복수개의 티스(6) 각각은 둘레 방향으로 인접하는 다른 티스(6)와의 사이에 슬롯(7)을 갖는다.
상기 스테이터 코어(4)의 표면에는 합성수지로 만든 인슐레이터(8)가 형성된다.
상기 인슐레이터(8)는 스테이터 코어(4)를 성형틀 내에 수납하여 용융수지를 주입하여 형성된다.
상기 구동 코일(9)은 상기 인슐레이터(8)의 외부에 감기되, 인슐레이터(8) 중에서 상기 티스(6)를 둘러싸는 부분에 감긴다.
상기 모터(1)는 상기 축(3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축 지지 수단(13)이 그 외부 또는 내부에 구비되는 바, 모터(1) 전체를 최대한 컴팩트화할 수 있도록 그 내부에 상기 축 지지 수단(13)이 구비되고 외부에는 별도의 축 지지 수단이 구 비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축 지지 수단(13)은 상기 스테이터(2)에 체결되는 모터 브래킷(14)(15)과, 상기 모터 브래킷(14)(15)에 설치되어 상기 축(30)을 지지하는 베어링(16)(1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모터 브래킷(14)(15)과 베어링(16)(17)은 상기 축(30)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복수 셋트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하, 두 셋트 구비된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상기 모터(1)는 상기 스테이터(2)의 양면 중 일면에 제 1 모터 브래킷(14)이 체결됨과 아울러 제 1 모터 브래킷(14)에 제 1 베어링(16)이 설치되고, 상기 스테이터(2)의 양면 중 타면 즉, 제 1 모터 브래킷(14)의 반대면에 제 2 모터 브래킷(15)이 체결됨과 아울러 제 2 모터 브래킷(15)에 제 2 베어링(17)이 설치된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 1 모터 브래킷(14)은 상기 축(30)이 상기 스테이터(2)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축(30)이 상기 제 1 모터 브래킷(14)을 관통할 수 있도록 중앙부가 개구된 링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2 모터 브래킷(15)은 상기 축(30)이 관통하지 않도록 중앙부에 개구부가 없는 원판형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2 모터 브래킷(14)(15)은 상기 스테이터(2)의 외측에서 상기 스테이터(2)의 축 방향으로 상기 스테이터(2)에 적층될 수 있도록, 그 외경이 적어도 상기 스테이터(2)의 내경보다 큰 링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2 모터 브래킷(14)(15)의 외경은 상기 스테이터(2)의 내경보다 크되, 상기 스테이터 (2)의 구동 코일(9)과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상기 스테이터 코어(4)의 외경보다 작은 치수를 갖음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테이터(2)는 상기 스테이터(2)에 볼트(10)가 관통되는 볼트 관통공(4a)(8a)이 형성되는 바, 상기 스테이터 코어(4)와 인슐레이터(8)에 상기 볼트 관통공(4a)(8a)이 일치되게 형성된다.
상기 복수개의 모터 브래킷(14)(15)은 상기 스테이터(2)의 볼트 관통공(4a)(8a)과 일치되고 상기 볼트(10)가 관통되는 볼트 관통공(14a)(15a)이 각각 형성된다.
즉, 상기 모터(1)는 상기 복수개의 모터 브래킷(14)(15)이 상기 스테이터 코어(4)의 중공부(3)를 덮도록 상기 스테이터(2)의 양면에 대향되게 배치되고, 상기 볼트(10)가 상기 복수개의 모터 브래킷(14)(15) 중 어느 하나(14)의 볼트 관통공(14a)과, 상기 스테이터(2)의 볼트 체결공(4a)(8a)과, 상기 복수개의 모터 브래킷(14)(15) 중 다른 하나(15)의 볼트 관통공(15a)을 차례로 관통한 후 너트(11)에 체결되면, 상기 복수개의 모터 브래킷(14)(15)과 상기 스테이터(2)가 상기 볼트(10)와 너트(11)에 의해 견고하게 조립된다.
한편, 상기 복수개의 모터 브래킷(14)(15)의 각각은 베어링 하우징의 기능을 하도록 상기 베어링(16)(17)이 삽입되어 설치되는 베어링 하우징부(14b)(15b)가 형성된다.
상기 베어링 하우징부(14b)(15b) 각각은 상기 스테이터(2)의 외측 방향 즉, 상기 스테이터 코어(4)의 중공부(3) 반대 방향으로 돌출된다.
즉, 상기 복수개의 모터 브래킷(14)(15) 중 어느 하나(14)의 베어링 하우징부(14a)는 상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모터 브래킷(14)(15) 중 다른 하나(15)의 베어링 하우징부(15a)는 하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한편, 상기 모터(1)는 상기 구동 코일(9)로 전류를 인가하는 모터 드라이브(18; 이하, 드라이브라 칭함)를 더 포함한다.
상기 드라이브(18)는 인쇄회로 기판과, 인쇄회로 기판에 실장된 각종 전장부품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드라이브(18)는 상기 모터(1)의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 코일(9) 등과 전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구동 코일(9)로 전류를 인가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모터(1)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 코일(9)로 전류를 인가하나, 상기 모터(1)를 최대한 컴팩트화할 수 있도록 상기 모터(1)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모터(1)가 드라이브 내장형 모터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드라이브(18)는 상기 복수개의 모터 브래킷(14)(15)의 사이에 위치되게 설치되어, 상기 제1,2 모터 브래킷(14)(15) 중 어느 하나에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로 체결될 수 있다.
이러한 드라이브(18)는 그 중앙에 상기 축(3)이 관통될 수 있는 제1관통 홀(18a)이 형성되고, 그 외경이 대략 상기 스테이터(2)의 내경과 비슷한 링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라이브(18)는 상기 볼트(10)가 관통될 수 있도록 제2관통 홀(18b)이 형성된다. 상기 드라이브(18)는 그 가장자리에 상기 스테이터(2)와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제 1 회피 홈(18C)이 형성된다. 상기 드라이브(18)는 그 중앙 에 상기 축(30) 및 제 2 베어링(17)과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제 2 회피 홈(18D)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드라이브(18)가 제 1,2 모터 브래킷(14)(15)의 사이에 위치되게 설치될 경우 상기 제 1,2 모터 브래킷(14)(15) 중 어느 하나(15)에 상기 전선(19)이 통과되어야 하므로 구조가 복잡하게 되나, 상기 제 1,2 모터 브래킷(14)(15) 중 어느 하나(15)와 모터 마운터(40)의 틈을 최소화할 수 있고, 상기 드라이브(18)가 상기 제 1,2 모터 브래킷(14)(15)에 의해 은닉되어 보호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로터(20)는 상기 스테이터(2)에 의해 형성된 회전자계에 의해 상기 스테이터(2)의 외부에서 회전되는 것으로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 형상이 ‘∪’형상으로 형성된 로터 프레임(22)과, 상기 로터 프레임(22)에 부착된 마그네트(2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모터는 아우터 로터 타입 브러시리스 직류 모터로 구성된다.
상기 로터 프레임(22)은 상기 로터(20)의 외형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합성수지를 사출 성형하고 별도의 로터 요크가 내둘레면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고, 금속재로 이루어져 별도의 로터 요크 없이 로터 프레임(22) 자체가 로터 요크를 겸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하, 금속재로 이루어져 로터 요크의 기능도 하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상기 로터 프레임(22)은 상기 스테이터(2)의 양면 중 일면과 대향되는 원판부(23)와, 상기 스테이터(2)의 둘레면을 에워싸는 원통부(2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로터 프레임(22)의 원판부(23)에는 공냉에 의해 상기 로터 프레임(22)의 내부가 방열될 수 있도록 다수 개의 방열 홀(23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로터(10)는 상기 로터 프레임(22)에 상기 축(30)이 일체로 돌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로터 프레임(22)에 축(30)이 별도의 체결부재(36)로 체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로터 프레임(22)은 철판을 프레스하여 성형되는 것도 가능하고, 금형에 의해 성형되는 것도 가능한데, 상기 로터 프레임(22)을 프레스 성형에 의해 성형하는 경우, 상기 축(30)을 일체로 돌출 형성하기 곤란하므로 축(30)이 별도의 체결부재(36)로 체결되어야 하고, 상기 로터 프레임(22)을 성형틀에 의해 성형하는 경우, 상기 로터 프레임(22)의 성형시 상기 축(30)을 일체로 돌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로터 프레임(22)을 상기 축(30)과 별도로 성형하여 축(30)과 로터 프레임(22)을 체결부재로 체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상기 로터(10)는 상기 축(30)이 상기 로터 프레임(22)과 별도로 성형된 후 상기 체결부재(36)로 체결되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상기 로터 프레임(22)은 중앙측, 특히 원판부(23)의 중앙에 상기 축(30)이 연결되는 바, 상기 원판부(23)의 중앙에는 상기 축(30)이 고정되는 축 고정부(24)가 형성된다.
상기 축 고정부(24)는 상기 축(30)이 상기 축 고정부(24)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축(30)보다 조금 크게 형성되고, 상기 원판부(23)의 중앙부에 중공 원통 형상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축 고정부(24)는 상기 로터(20)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로터(20)의 내측 공간에서 상기 축(30)과 체결부재(36)로 체결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로터(20)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로터(20)의 외부에서 상기 축(30)과 체결부재(36)로 체결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하, 상기 축(30)이 상기 로터(20)의 외부에서 체결부재(36)로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축 고정부(24)가 상기 로터(20)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상기 축 고정부(24)에는 상기 체결부재(36)가 관통되는 관통공(25)(26)이 대향되게 형성된다.
상기 축 고정부(24)는 상기 관통공(25)(26)이 상기 축(30)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개구 형성된다.
상기 마그네트(28)는 상기 원통부(24)의 내주면에 착좌된다.
상기 축(30)은 상기 로터(20)의 회전력을 후술하는 실외기 팬 등으로 전달하는 부재로서,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내부가 중공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중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경우 강도가 더 우수하므로 중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축(30)은 상기 체결부재(36)가 관통되는 관통공(31)(32)이 대향되게 형성되되, 상기 관통공(31)(32)은 상기 축(30)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개구 형성된다.
상기 축(30)은 상기 스테이터(2) 특히 스테이터 코어(4)의 중공부(3)를 관통하면서 상기 로터(20)의 외부 즉, 상기 스테이터(2)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게 상 기 로터 프레임(22)과 연결된다.
이하, 상기 축(30)은 상기 스테이터(2)의 반대방향으로 돌출된 부분을 외측 축부(34)라 칭하고, 상기 스테이터(2)를 향해 돌출된 부분을 내측 축부(35)라 칭한다.
상기 축(30)은 전체적으로 내측 축부(35)가 모터(1)의 내부에 위치되고, 외측 축부(34)가 스테이터(2)의 반대 방향 외부로 돌출되도록 상기 체결부재(36)에 의해 체결된다.
상기 축(30)은 내측 축부(35)의 단부가, 상기 제 2 모터 브래킷(15)의 베어링 하우징부(15b)에 막힘되고, 상기 외측 축부(34)의 단부에 후술하는 실외기 팬 등과 결합되는 결합부(38)가 형성된다.
상기 축(30)은 상기와 같이 외측 축부(34)가 상기 스테이터(2)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지 않고 종래와 같이 상기 스테이터(2)의 방향으로만 돌출되게 결합되어 상기 스테이터(2)의 외부로 돌출된 부분에 실외기 팬 등이 연결되면, 실외기 팬 등과 로터(20)의 사이에 스테이터(2)가 위치되어 스테이터(2)의 고정이 용이하지 못하게 되므로, 외측 축부(34)가 스테이터(2)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고 외측 축부(34)에 실외기 팬 등이 결합되는 결합부(38)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모터(1)는 로터(20)가 스테이터(2)의 양면 중 일면과 둘레면을 둘러싸고, 외측 축부(34)에 연결되는 실외기 팬 등이 상기 스테이터측에 위치하지 않고 로터(20)측에 더 가깝게 되므로, 상기 스테이터(2)를 로터(20)나 실외기 팬 등과 무관하게 손쉽게 설치할 수 있고 실외기 팬 등을 로터(20)와 근접하게 연결할 수 있어 모터(1)와 실외기 팬 등의 전체 셋트를 최대한 컴팩트화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모터 마운터(40)는, 상기 모터(1) 특히, 스테이터(2)를 장착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스테이터(2) 중에서 상기 로터(10)에 의해 둘러싸이지 않는 면을 덮도록 형성될 경우 상기 모터(1)의 내부 특히 스테이터(2)로 물이나 이물질 등이 침투되는 것을 막는 일종의 모터 커버 또는 스테이터 커버를 겸하게 되는 바, 이하 상기 스테이터(2) 중에서 상기 로터(10)에 의해 둘러싸이지 않는 면을 덮도록 형성되어 스테이터 커버의 기능을 겸하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상기 모터 마운터(40)는 상기 스테이터(2) 중에서 상기 로터(10)에 의해 둘러싸이지 않는 면을 덮는 판체부(40A)와, 상기 로터 프레임(2)의 원통부(26)와 상기 판체부(40A)의 사이를 가리도록 상기 판체부(40A)의 외둘레에서 직교하게 절곡된 플랜지부(40B)와, 상기 플랜지부(40B)의 단부에서 외측으로 절곡된 테두리부(40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모터 마운터(40)에는 상기 모터 마운터(40)의 판체부(40A)와 상기 모터 마운터(30)의 플랜지부(40B)에 의해 모터 마운터 홈(40E)이 구비된다.
상기 모터 마운터(40)는, 상기 스테이터(2)와 복수개의 모터 브래킷(14)(15)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올려지는 단턱부(42)가 상기 스테이터(2)의 내측 특히, 상기 스테이터 코어(4)의 중공부(3)를 향해 단턱지게 돌출된다.
상기 모터 마운터(40)의 단턱부(42)는 상기 모터 마운터(40)의 판체부(40A)가 상기 스테이터(2)와 이격되게 함과 아울러, 상기 모터 마운터(40)의 테두리부(40C)가 상기 로터(10)와 일정 간격(g) 띄워질 수 있도록 소정 높이로 형성된다.
상기 모터 마운터(40)는 상기 모터(1)가 최대한 컴팩트화될 수 있도록 상기 베어링 하우징부(15a)를 회피하기 위한 개구부(44)가 상기 베어링 하우징부(15a) 보다 더 크게 개구 형성된다.
상기 모터 마운터(40)는 상기 모터(1) 특히 모터(1)의 내부로 연결되는 전선(19)이 관통되는 전선 관통부(46)가 형성된다.
상기 전선 관통부(46)는 상기 모터 마운터(40) 특히 플랜지부(40B)에 옆으로 개구되게 형성된 전선 관통공로 이루어진다.
상기 모터 마운터(40)는 상기 스테이터(2)와 복수개의 모터 브래킷(14)(15)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체결되고, 스테이터(2)의 구조가 간단하도록 상기 모터 브래킷(14)(15)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볼트(47) 및 너트(48)로 조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 모터 마운터(40)는 상기 복수개의 모터 브래킷(14)(15) 모두와 볼트(47) 및 너트(48)로 조립되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상기 복수개의 모터 브래킷(14)(15)에는 상기 볼트(47)가 관통되는 볼트 관통공(14c)(15c)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모터 마운터(40)는 상기 볼트(47)가 관통되는 볼트 관통공(49)이 상기 복수개의 모터 브래킷(14)(15)의 볼트 관통공(14c)(15c)과 일치되게 형성된다.
즉, 상기 모터(1)는 상기 스테이터(2)와 복수개의 모터 브래킷(14)(15)의 조립체를 상기 모터 마운터(40)에 올리고, 상기 볼트(47)가 복수개의 모터 브래킷(14)(15)의 볼트 관통공(14c)(15c)을 차례로 관통하고 상기 모터 마운터(40)의 볼 트 관통공(49)를 관통한 후 상기 너트(48)에 체결되면, 상기 복수개의 모터 브래킷(14)(15)과 상기 모터 마운터(40)는 견고하게 조립된다.
한편, 상기 방진 수단(50)은 상기 모터 마운터(40)에 장착되는 러버(52)와, 상기 러버(52)를 지지하는 스프링(5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러버(52)는 상기 모터 마운터(40)에 형성된 관통공(49)에 끼움되는 끼움홈(53)이 외둘레에 형성된다.
상기 스프링(56)과 상기 마운팅 브래킷(140) 사이에는 와셔(58)가 개재된다.
도 5에 도시된 참조 부호 88은 상기 로터(20)의 회전을 감지하기 위해 상기 스테이터(2)에 설치된 홀 센서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참조 부호 40D는 상기 제 1,2 모터 브래킷(14)(15)과 스테이터(40)를 체결하는 볼트(10) 및 너트(11)를 회피하도록 상기 모터 마운터(40)에 형성된 회피홀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제1실시 예의 작용을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드라이버(18)를 통해 상기 구동 코일(9)로 전류가 인가되면, 상기 스테이터(2) 특히, 상기 스테이터 코어(4)에는 회전자계가 생성되고, 상기 로터(20)는 상기 마그네트(28) 및 로터 프레임(22)이 상기 생성된 회전자계에 의해 회전되며, 상기 축(30)은 상기 체결부재(36)에 의해 상기 로터 프레임(22)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로터(20) 특히, 로터 프레임(22)과 함께 회전된다.
상기 축(30)은 상기 체결부재(36)에 길이방향으로 걸리고 그 반경 방향으로 미끄러지는 것이 제한되어, 길이 방향으로 미끄러지거나 반경 방향으로 슬립이 발생되지 않고 회전된다.
상기 축(30)이 회전되면 상기 축(30)과 함께 상기 송풍팬(132)이 회전된다.
그러면 상기 송풍 팬(132)의 송풍력에 의해, 외부 공기가 상기 캐비닛(100)의 흡입구(101)를 통해 상기 캐비닛(100) 내부로 흡입되어 상기 송풍 팬(132)으로 향한다.
상기 송풍 팬(132)으로 향한 공기는 상기 송풍 팬(132)으로부터 원심 토출되어 상기 열교환기(122)로 향하고, 상기 열교환기(122)로 향한 공기는 상기 열교환기(122)를 통과하면서 상기 열교환기(122) 내 냉매와 열교환되어 공조된다.
상기 열교환기(122)에서 공조된 공기는 상기 캐비닛(100)의 토출구(102)를 통해 상기 캐비닛(100) 외부로 토출된다.
이와 같이 상기 천장형 공기조화기에서 공조된 공기가 토출되면, 상기 천장형 공기조화기가 설치된 실내가 냉, 난방되거나 제습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모터(1)는 상기 로터(20) 및 축(30)의 회전시 모터(1)의 진동이 상기 모터 마운터(40)를 통해 전달되나, 전달된 진동은 상기 방진 수단(50) 특히, 러버(52)와 스프링(56)에 의해 저감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제 2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모터는, 축 고정부(24′)가 로터 프 레임(22)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고 내측 공간으로 돌출 형성되고, 축(30)과 축 고정부(24′)가 로터 프레임(22)의 내측에서 체결부재(36)로 체결되며, 상기 축 고정부(24′) 이외의 구성 및 작용은 본 발명 일실시예의 모터와 동일하므로 동일 부호를 사용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모터는 로터 프레임(22)과 축(30)의 결합부, 특히 체결부재(36)가 모터(1)의 외부에 노출되지 않고 모터(1)의 내부에 위치되므로, 로터 프레임(22)과 축(30)의 결합부에 먼지 등의 이물질이 쌓이지 않고 청결하게 유지될 수 있으며, 모터의 운반 등의 경우 체결부재(36)가 외부 충격 등에 의해 탈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제 3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모터는, 축 고정부(24″)가 상기 로터 프레임(22)의 외측 뿐만 아니라 내측 공간으로도 돌출 형성되고, 상기 축 고정부(24″) 이외의 구성 및 작용은 본 발명 일실시예의 모터와 동일하므로 동일 부호를 사용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즉, 상기 축 고정부(24″)는 상기 로터 프레임(22)의 외측을 향해 돌출된 외측 삽입부(24a)와, 상기 로터 프레임(22)의 내측 공간을 향해 돌출된 내측 삽입부(24b)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모터는, 축 고정부(24″)가 상기 로터 프레임(22)의 외측 뿐만 아니라 내측 공간으로 돌출 형성되므로, 축(30)이 축 고정부(24″)에 지지되는 면적이 넓게 되어 축(30)의 길이가 길 때 발생될 수 있는 휨 등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제 4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모터는, 방진 수단(50)과 마운팅 브래킷(140)이 볼트(70)와 너트(73)에 의해 조립된다.
즉, 상기 볼트(70)를 본 발명 일 실시예와 같이, 러버(52), 스프링(56), 와셔(58)에 차례로 관통시킨 후 상기 마운팅 브래킷(140)의 관통공(143)을 관통시키면, 상기 볼트(70)의 머리(71)는 상기 러버(52)에 걸림되고, 상기 볼트(70) 중에서 상기 마운팅 브래킷(140)의 관통공(143)을 관통한 부분(72)에 너트(73)를 체결하면, 상기 방진 수단(50)과 마운팅 브래킷(140)은 볼트(70)와 너트(73)에 의해 견고하게 조립되게 된다.
반대로, 상기 볼트(70)를 상기 마운팅 브래킷(140)의 관통공(143)을 관통시킨 후, 와셔(58), 스프링(56), 러버(52)에 차례로 관통시키면, 상기 볼트(70)의 머리(71)는 상기 마운팅 브래킷(140)에 걸림되고, 상기 볼트(70) 중에서 상기 러버(52)를 관통한 부분(72)에 너트(73)를 체결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제 5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모터는, 상기 드라이브(18)가 상기 스테이터(2)와 모터 마운터(40) 사이에 위치되게 설치되어 상기 모터 마운터(40)에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드라이브(18) 이외의 구성 및 작용은 본 발명에 따른 모터의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 부호를 사용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모터는, 상기 드라이브(18)가 상기 스테이터(2)와 모터 마운터(40) 사이에 위치되므로, 상기 모터를 컴팩트하게 구조화함은 물론 상기 드라이브(18)와 연결된 전선을 상기 모터의 외측으로 용이하게 배선할 수 있고, 상기 로터(10)와 모터 마운터(40) 간 틈새를 통해 상기 드라이브(18)의 방열이 가능하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제6 실시 예의 단면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제6 실시 예의 주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모터(1)가 스테이터(2)와 로터(20)와, 축(30)과, 모터 마운터(40), 방진 수단(50) 등을 포함하고, 상기 모터(1)가 상기 마운팅 브래킷(140)을 통해 상기 캐비닛(100)의 베이스(112)에 장착되며, 상기 마운팅 브래킷(140)의 구조 이외의 기타 구성 및 작용은 본 발명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제 1 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본 발명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제1 실시 예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마운팅 브래킷(140)은 중앙부(141)와, 상기 중앙부(141)에서 방사형으로 돌출되어 상기 모터(1)가 장착되는 복수개의 다리부(142)(143)(14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마운팅 브래킷(140)의 각각의 다리부(142)(143)(144)는 상기 마운팅 브래킷(140)의 중앙부(141)가 상기 캐비닛(100)의 베이스(112)와 이격될 수 있도록, 상기 마운팅 브래킷(140)의 중앙부(141)와 연결되지 않은 자유단 측(142A)(143A)(144A)이 상방을 향해 절곡되어 상기 캐비닛(100)의 베이스(112)에 체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마운팅 브래킷(140)의 각각의 다리부(142)(143)(144)는 상기 캐비닛(100)의 베이스(112)와 마운팅 브래킷 볼트(150) 및 마운팅 브래킷 너트(152)를 통해 체결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제7 실시 예의 단면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제7 실시 예의 주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스테이터(2)와 로터(20)와, 축(30)과, 모터 마운터(40), 방진 수단(50) 등을 포함하고, 상기 마운팅 브래킷(140)을 사용하지 않고 상기 모터 마운터(40)가 체결부재(66)에 의해 캐비닛(100)의 베이스(112)에 직접 조립되며, 상기 모터 마운터(40)가 상기 캐비닛(100)의 베이스(112)에 직접 조립되는 이외의 기타 구성 및 작용은 본 발명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제 1 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본 발명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제1 실시 예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모터(1)는 상기 스테이터(2)와 로터(20)와 축(30)과 모터 마운터(40) 등이 먼저 조립되어 조립체를 이루고, 상기 모터 마운터(40)가 상기 캐비닛(100)의 베이스(112)에 조립된다.
상기 체결부재(66)는 볼트(66A)와 너트(66B)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고, 리벳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제8 실시 예의 단면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제8 실시 예의 주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모터(1)가 캐비닛(100)의 베이스(112)가 아닌 드레인 팬(124)에 장착되고, 축(30)이 상방을 향해 수평하게 배치되며, 상기 모터(1) 및 드레인 팬(124) 이외의 기타 구성 및 작용은 본 발명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제 1 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상기 모터(1)는 상기 마운팅 브래킷(140)이 드래인 팬(124)에 장착되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상기 모터(1)는 상기 모터 마운터(40)와 드레인 팬(124)의 오리피스 홀(124B사이로 공기가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모터 마운터(40)와 로터(20) 등이 상기 드레인 팬(124)의 오리피스 홀(124B) 크기 보다 작게 형성된다.
상기 마운팅 브래킷(140)은 상기 드레인 팬(124)과 모터(1)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드레인 팬(124)의 상면에 적층된 상태로 상기 드레인 팬(124)에 고정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상기 모터(1)의 로터(20)가 회전되면, 상기 축(30)은 상방을 향해 수평하게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로터(20)와 함께 회전되어 상기 송풍 팬(132)을 회전시킨다.
상기와 같은 송풍팬(132)의 회전시 실내의 공기는 상기 캐비닛(100) 내부로 흡입된 후 상기 드레인 팬(124)의 오리피스 홀(124B)로 모이고, 상기 마운팅 브래킷(140)의 다리부(142)(143)(144) 사이를 통해 상기 모터(1)를 향하며, 상기 모터(1)를 통과하여 상기 송풍팬(132)으로 흡입된다. 그 이후는 본 발명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제 1 실시 예와 동일 설명은 생략한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제8 실시 예의 단면도이고,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제8 실시 예의 주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송풍부(200)는 드레인 팬(250)의 오리피스 홀(210A)과 대향되는 흡입구(202A)가 형성된 쉬라우드(202)와, 상기 쉬라우드(202)의 상방에 이격 배치된 허브(204)와, 상기 허브(204)와 쉬라우드(202) 사이에 방사형으로 배치된 다수개의 블레이드(206)와, 상기 허브(204) 내부에 장착된 스테이터(220)와, 상기 스테이터(220)를 지지하는 스테이터 지지축(230)과, 상기 허브(204)의 내벽에 고정된 로터(240)를 포함한다.
상기 허브(204)는 상기 스테이터(220)와 로터(240)의 회전 자계의 자기 경로가 되지 않도록 플라스틱과 같은 절연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로터(240)의 로터 프레임을 겸하도록 자기 경로가 될 수 있는 전기 강판 등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며, 이하 로터 프레임을 겸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상기 허브(204)는 상면이 개방된 허브 컵(204A)과, 상기 허브 컵(204A)의 개 방된 상면을 덮는 허브 커버(204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허브 컵(204A)과 허브 커버(204B)에는 상기 허브(204) 내 방열을 위한 방열홀(204C)이 각각 형성되거나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허브 컵(204A)에는 상기 스테이터 지지축(230)에 끼워져서 상기 허브(204)를 회전 가능토록 지지하는 제 1 베어링(242)이 삽입되는 베어링 하우징(204A')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허브 커버(204B)에는 상기 스테이터 지지축(230)에 끼워져서 상기 허브(204)를 회전 가능토록 지지하는 제 2 베어링(244)이 삽입되는 베어링 하우징(204B')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테이터 지지축(230)은 그 상단이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캐비닛(260)에 장착되고, 그 하단이 상기 허브(204) 및 블레이드(206), 쉬라우드(202)를 관통하여 상기 드레인 팬(250)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로터(240)는 상기 허브(204)가 로터 프레임을 겸하므로 상기 허브(204) 내벽에 방사형으로 장착된 다수개의 마그네트로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이외의 기타 구성 및 작용은 본 발명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제 1 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공기조화기의 실내기가 벽에 걸려서 설치되는 벽걸이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나 천장에 설치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나 창문에 설치되는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인 경우에 도 적용가능하며,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적 범주 내에서 그 다양한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캐비닛 또는 드레인 팬에 스테이터가 고정되고 상기 스테이터의 외측에 로터가 회전 가능토록 배치되며 상기 로터가 송풍팬과 연결되므로 상기 로터가 모터의 외관을 겸하게 되어 별도의 모터 케이스가 불필요하고, 상기 모터의 전체 길이가 짧아질 수 있어 슬림화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제조비가 절감됨은 물론 중량 감소로 인해 이동이 용이하고 설치 공간이 줄어들며, 소비 전력이 감소될 수 있고, 딱딱한 기기의 이미지에서 탈피하여 부드러운 이미지 창출이 가능함으로써 심미감이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기존의 모터가 모터 케이스로 인해 캐비닛에서 분리된 후 서비스가 가능한데 반해, 상기 스테이터가 상기 캐비닛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송풍팬과 함께 로터를 상기 스테이터로부터 분리하여 상기 모터를 손쉽게 서비스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상기 스테이터가 상기 드레인팬에 고정된 경우 상기 모터의 체결구조가 상기 캐비닛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상기 캐비닛의 외관미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상기 모터가 캐비닛 또는 드레인 팬에 고정되는 모터 마운터와, 상기 모터 마운터에 고정되는 스테이터와, 상기 스테이터의 외측에 회전 가능토록 설치되어 상기 송풍팬과 연결된 로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므로 상기 모터 마운터와 스테이터 사이에 상기 모터의 구동을 위한 모터 드라이브가 설치될 수 있어 상기 모터가 구조적으로 컴팩트하고 일체화될 수 있음은 물론 보다 더 슬림화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상기 스테이터의 내부 공간을 덮을 수 있는 모터 브래킷이 더 포함되므로 상기 모터 브래킷에 의해 상기 스테이터가 구조적으로 안정될 수 있고 상기 스테이터의 내부 공간에 모터 드라이브나 베어링 등과 같은 부품이 내장될 수 있어 보다 더 슬림화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모터 마운터가 완충 가능하게 설치되는 마운팅 브래킷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 모터 마운터가 직접 설치되기 곤란할 경우에도 마운팅 브래킷을 통해 설치할 수 있고, 모터 마운터를 통해 전달되는 진동을 저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모터가 송풍팬의 내부에 구비됨과 아울러 상기 모터가 회전축을 통해 연결되는 것이 아니고 상기 모터의 로터가 상기 임펠러의 허브와 일체화된 구조로 구비되므로 상기 송풍기의 축방향 길이가 상기 송풍팬의 축 방향 길이와 대략 유사해질 수 있어 슬림화 및 소형화될 수 있고, 상기 모터와 임펠러의 장착 구조가 간소하여 보다 더 슬림화, 소형화될 수 있음은 물론 제조비가 절감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상기 모터의 로터가 상기 송풍팬의 허브와 일체화됨과 아울러 상기 모터의 스테이터가 스테이터 지지축에 의해 지지되므로 상기 모터가 상기 스테이터 지지축에 의해 공기조화기 등 기기에 용이하게 장착될 수 있므로 상기 모터의 장착 구조가 간소하여 슬림화 및 소형화가 극대화될 수 있고 제조비가 절감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상기 송풍팬의 허브가 상기 모터의 로터의 자로를 형성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로터의 로터 프레임 역할까지 함께 수행할 수 있으므로 상기 송풍기의 구조가 보다 더 간소해지고 슬림화 및 소형화가 극대화됨은 물론, 제조비 절감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8)

  1. 천장에 설치되고, 하면에 흡입구와 토출구가 각각 형성된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의 흡입구에서 상기 캐비닛의 토출구를 향하는 유동이 형성되게 하는 송풍팬과;
    상기 캐비닛에 스테이터가 고정되고 상기 송풍팬과 연결된 로터가 상기 스테이터의 외측에서 회전되는 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상기 캐비닛의 상면을 이루는 베이스에 장착되고 상기 스테이터가 고정되는 모터 마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상기 캐비닛의 상면을 이루는 베이스에 장착된 마운팅 브래킷과; 상기 마운팅 브래킷에 완충 가능토록 지지되고 상기 스테이터가 고정되는 모터 마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4. 천장에 설치되고, 하면에 흡입구와 토출구가 형성된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 내 하부에 장착되고 유동을 안내하는 오리피스 홀이 형성된 드레인 팬과;
    상기 드레인 팬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캐비닛의 흡입구에서 상기 캐비닛의 토출구를 향하는 유동이 형성되게 하는 송풍팬과;
    상기 송풍팬과 드레인 팬 사이에 위치되어 스테이터가 상기 드레인 팬에 고정되고 상기 송풍팬과 연결된 로터가 상기 스테이터의 외측에서 회전되는 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상기 드레인 팬에 장착되고 상기 스테이터가 고정되는 모터 마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상기 드레인 팬 장착된 마운팅 브래킷과; 상기 마운팅 브래킷에 완충 가능토록 지지되고 상기 스테이터가 고정되는 모터 마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7. 천장에 설치되고, 하면에 흡입구와 토출구가 각각 형성된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 내 하부에 장착되고 유동을 안내하는 오리피스 홀이 형성된 드레인 팬과;
    상기 드레인 팬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캐비닛의 흡입구에서 상기 캐비닛의 토출구를 향하는 유동이 형성되게 하는 송풍팬과;
    상기 캐비닛의 상면과 상기 드레인 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장착되는 모터 마운터와;
    상기 모터 마운터에 고정된 링형 구조의 스테이터와;
    상기 스테이터의 내부 공간을 덮는 모터 브래킷과;
    상기 스테이터의 외측에 회전 가능토록 설치된 로터와;
    상기 로터와 상기 송풍팬을 연결하는 축과;
    상기 모터 브래킷에 설치되어 상기 축을 회전 가능토록 지지하는 베어링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상기 샤시 또는 오리피스에 장착되고 상기 모터 마운터를 완충 가능토록 지지하여 상기 모터 마운터가 상기 캐비닛 또는 드레인 팬 에 고정되게 하는 마운팅 브래킷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KR1020060037799A 2006-04-26 2006-04-26 천장형 공기조화기 KR1012126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7799A KR101212691B1 (ko) 2006-04-26 2006-04-26 천장형 공기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7799A KR101212691B1 (ko) 2006-04-26 2006-04-26 천장형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5548A true KR20070105548A (ko) 2007-10-31
KR101212691B1 KR101212691B1 (ko) 2012-12-14

Family

ID=38818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7799A KR101212691B1 (ko) 2006-04-26 2006-04-26 천장형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269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9942B1 (ko) * 2008-01-02 2014-07-16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KR101419944B1 (ko) * 2008-01-03 2014-07-16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101443383B1 (ko) * 2007-12-21 2014-09-2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조장치 및 공조장치의 그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57731A (ko) 2022-05-10 2023-1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95788A (ja) 2000-04-14 2001-10-26 Daikin Ind Ltd ファンモータ一体型送風機
JP3694224B2 (ja) 2000-08-22 2005-09-14 山洋電気株式会社 防水構造を備えた遠心ファン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3383B1 (ko) * 2007-12-21 2014-09-2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조장치 및 공조장치의 그릴
KR101419942B1 (ko) * 2008-01-02 2014-07-16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KR101419944B1 (ko) * 2008-01-03 2014-07-16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2691B1 (ko) 2012-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2691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KR101225971B1 (ko) 모터 및 그를 갖는 공기조화기
KR20140127776A (ko) 차량용 시트 공조장치 및 이를 위한 제어방법
JPH09229409A (ja) 送風装置及び送風装置を用いた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WO2021196635A1 (zh) 新风模块与空调器
KR20070105546A (ko) 공기조화기
KR101225972B1 (ko) 모터 및 그를 갖는 공기조화기
JP2998630B2 (ja) 天井設置型空気調和装置
KR100932488B1 (ko) 공기조화기
KR20070105549A (ko) 양축 모터 및 그를 갖는 일체형 공기조화기
KR20070100524A (ko) 모터 및 그를 갖는 공기조화기
WO2021106949A1 (ja) モータ、モータ組立体、及び、空気調和装置
KR20070100525A (ko) 송풍기 및 그 송풍기를 갖는 공기 조화기
KR20070100523A (ko) 모터 및 그를 갖는 공기조화기
KR20060117595A (ko) 천정형 에어컨 및 천정형 에어컨의 유로구조
JPH08312586A (ja) モータ内蔵型送風機のコネクタ装置
JP2002330574A (ja) 空気調和機
KR20070100518A (ko) 모터 및 그를 갖는 공기조화기
JPH08240329A (ja) 空調機の室外ユニット
KR20070105544A (ko) 공기조화기
KR20070100520A (ko) 모터 및 그를 갖는 공기조화기
JP2001027433A (ja) 空気調和機用換気装置
KR20070100522A (ko) 모터 및 그를 갖는 공기조화기
JP5315949B2 (ja) 空気調和機
KR20070105545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