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05251A - 전기 면도기의 내측 절삭기 및 왕복 운동하는 전기 면도기 - Google Patents

전기 면도기의 내측 절삭기 및 왕복 운동하는 전기 면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05251A
KR20070105251A KR1020070038618A KR20070038618A KR20070105251A KR 20070105251 A KR20070105251 A KR 20070105251A KR 1020070038618 A KR1020070038618 A KR 1020070038618A KR 20070038618 A KR20070038618 A KR 20070038618A KR 20070105251 A KR20070105251 A KR 200701052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member
cutting
cutting piece
electric shaver
cu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86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74305B1 (ko
Inventor
마사아키 사토
다케시 시바
주자에몬 이와사키
신지 후지모토
šœ스케 코모리
Original Assignee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1052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52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43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43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9/00Clippers or shavers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cutting edges, e.g. hair clippers, dry shavers
    • B26B19/12Clippers or shavers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cutting edges, e.g. hair clippers, dry shavers of the oscillating- cutter type; Cutting heads therefor; Cutte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9/00Clippers or shavers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cutting edges, e.g. hair clippers, dry shavers
    • B26B19/02Clippers or shavers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cutting edges, e.g. hair clippers, dry shavers of the reciprocating-cutter type
    • B26B19/04Cutting heads therefor; Cutters therefor; Securing equipment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9/00Clippers or shavers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cutting edges, e.g. hair clippers, dry shavers
    • B26B19/02Clippers or shavers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cutting edges, e.g. hair clippers, dry shavers of the reciprocating-cutter type
    • B26B19/04Cutting heads therefor; Cutters therefor; Securing equipment thereof
    • B26B19/044Manufacture and assembly of cutter blo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ry Shavers And Clippers (AREA)

Abstract

외측 절삭기의 내측면을 따라 미끄러져 모발을 자르는 전기 면도기의 내측 절삭기가 구동 유닛에 접속되는 기저부와, U자형으로 형성되고 그 세로방향의 양쪽 단부 모두 기저부에 고정된 복수의 절삭편들과, 한쪽 단부가 기저부에 고정되고 다른 한 단부는 절삭편에 고정된 플레이트 부재를 포함한다. 플레이트 부재는 절삭기의 탄성 변형에 상응하여 탄성 변형된다.
내측 절삭기,탄성 변형,왕복 운동

Description

전기 면도기의 내측 절삭기 및 왕복 운동하는 전기 면도기{INNER CUTTER OF ELECTRIC SHAVER AND RECIPROCATING ELECTRIC SHAVER}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기 면도기를 나타낸 분해 개략도이고;
도 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내측 절삭기를 나타낸 분해 개략도이고;
도 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내측 절삭기의 정면도이고;
도 4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내측 절삭기의 세로방향의 정면도이고;
도 5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내측 절삭기의 일부를 나타낸 세로방향의 확대 정면도이고;
도 6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내측 절삭기의 절삭편과 플레이트 부재를 나타낸 세로방향의 확대 정면도이고;
도 7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내측 절삭기의 세로방향의 측면도이고;
도 8은 제조공정의 중간단계에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내측 절삭기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내측 절삭기의 절삭편과 플레이트 부재를 나타낸 세로방향의 정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내측 절삭기를 나타낸 분해 개략도이 고;
도 11은 제3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 유닛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내측 절삭기의 절삭편과 플레이트 부재를 나타낸 세로방향의 정면도이다.
본 출원은 2006년 4월 25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P2006-121232에 기초하여 그 우선권을 주장하며, 본 인용에 의해 그 전체 내용은 본 명세서에 합체된다.
본 발명은 전기 면도기의 내측 절삭기 및 그를 포함한 왕복 운동하는 전기 면도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절삭기 구멍을 갖는 외측 절삭기와 U자형의 절삭편들을 복수개 갖고 외측 절삭기 내에서 슬라이딩하는 내측 절삭기를 포함하는 왕복 운동하는 면도기가 공지되어 왔는데, 이 면도기는 내측 절삭기가 왕복 운동함으로써 외측 절삭기와 내측 절삭기의 절삭편들에 의해 갖는 절삭기 구멍을 통해 들어가는 모발을 잘랐다(예로서,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04-16520호를 참조).
이러한 왕복 운동 면도기에서는, 면도 소리가 모발 절삭중 발생하며 사용자는 이러한 면도 소리로부터 면도 상태를 판단한다. 이러한 면도 소리는 내측 절삭기의 절삭편들이, 모발이 잘리울 때 절삭기 구멍을 통해 들어간 모발에 의해 야기 된 구부러진 상태로부터 원래 상태로 회복되면서 야기되는 절삭편들의 진동에 의해 발생된다. 그러나, 종래 전기 면도기에서는 이러한 면도 소리가 작다는 문제가 있다.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04-16520호는 내측 절삭기의 절삭편들의 안 쪽에 진동 공기를 증가시키기 위해 공기 진동을 야기하는 플레이트 부재를 구비하여 이러한 면도 소리를 증폭시키는 기술을 개시한다. 또한, 상기 공보는 진동 공기를 증가시키기 위해 내측 절삭기의 절삭 단편들의 양쪽 단부를 지지하는 결합 부재에 돌출부를 구비하여 면도 소리를 증폭시키는 기술도 개시한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들에서는 플레이트 부재 또는 돌출부가 캔틸레버 구조로 지지되고, 그에 따라, 플레이트 부재는 절삭편들의 진동과는 다른 진동(운동)을 할 수 있다. 따라서,면도 소리의 증폭은 제한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 면도기의 면도 소리를 확실하게 증폭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특징은 모발이 들어가는 절삭 구멍을 갖는 외측 절삭기의 내측면을 따라 슬라이딩됨으로써 모발을 자르는 전기 면도기의 내측 절삭기가: 전기 면도기의 구동 유닛에 접속되는 기저부와; U자형으로 얇고 길게 형성되어 외측면이 외측 절삭기의 내측면에 접하고, 그 세로 방향에서 양 단부가 기저부에 고정되는 복수의 절삭편들과;일단은 기저부에 고정되고 타단은 절삭편들에 결합하며, 절삭편의 탄성 변형에 상응하여 탄성적으로 변형되는 플레이트 부재를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2 특징은 제1 특징에 따른 전기 면도기의 내측 절삭기를 제공함에 있어서, 플레이트 부재의 다른 단부와 절삭편의 굴곡 상단부가 슬라이딩하는 방향으로 서로 중첩하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3 특징은 제1 또는 제2 특징에 따라 전기 면도기의 내측 절삭기를 제공함에 있어서, 플레이트 부재의 강성이 절삭편의 강성보다 더 낮은 것이다.
본 발명의 제4 특징은 제1 내지 제3 특징 중 어느 하나에 따라 전기 면도기의 내측 절삭기를 제공함에 있어서, 플레이트 부재가 그 한 단부에서의 두께가 다른 단부에서의 두께보다 더 얇게 형성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5 특징은 제1 내지 제4 특징 중 어느 하나에 따라 전기 면도기의 내측 절삭기를 제공함에 있어서, 플레이트 부재와 절삭편이 절삭편의 굴곡 상단부의 내외방향을 따라 상대 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6 특징은 제1 내지 제5 특징 중 어느 하나에 따라 전기 면도기의 내측 절삭기를 제공함에 있어서, 플레이트 부재와 절삭편이 그루우브와 절삭편을 맞물려 연결되게 하고, 그루우브는 플레이트 부재의 다른 단부를 가열하는 동안 절삭편절삭편절삭편으로 플레이트 부재를 가압하여 형성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7 특징은 제1 내지 제5 특징 중 어느 하나에 따라 전기 면도기의 내측 절삭기를 제공함에 있어서, 플레이트 부재와 절삭편이, 구부러진 플레이트 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플레이트 부재의 일단을 절삭편에 대해 가압함으로써 연결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8 특징은 제1 내지 제5 특징 중 어느 하나에 따라 전기 면도기 의 내측 절삭기를 제공함에 있어서, 플레이트 부재와 절삭편이 맞물림부와 절삭편을 맞물리게 하여 연결되고, 플레이트 부재에 미리 맞물림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9 특징은 제1 내지 제5 특징 중 어느 하나에 따라 전기 면도기의 내측 절삭기를 제공함에 있어서, 플레이트 부재가 타단에 그루우브를 포함하는 것이며, 이 그루우브는 절삭편과 맞물리되, 그루우브의 바닥면과 절삭편 사이에는 공간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0 특징은 제1 내지 제9 특징 중 어느 하나에 따라 전기 면도기의 내측 절삭기를 제공함에 있어서, 플레이트 부재가 수지로 형성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1 특징은 제2 특징에 따른 전기 면도기의 내측 절삭기를 제공함에 있어서, 플레이트 부재가 절삭편의 굴곡 상단부의 내측 주변부에 연결되고, 절삭편은 굴곡 상단부의 외측 주변부에서 슬라이딩하는 방향에서의 두께가 굴곡 상단부의 내측 주변부에서 미끄러지는 방향에서의 두께보다 더 두껍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2 특징은 제1 내지 제11특징 중 어느 하나에 따라 전기 면도기의 내측 절삭기를 제공함에 있어서, 플레이트 부재의 일단과 기저부가 고정되는 지점과 플레이트 부재의 타단과 절삭편이 연결되는 지점이 슬라이딩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왕복 운동하는 전기 면도기는 모발이 들어가는 절삭 구멍을 갖는 외측 절삭기와; 외측 절삭기와 함께 모발을 자르는, 외측 절삭기의 내측면상 에서 슬라이딩하는 제1 내지 제12 특징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전기 면도기의 내측 절삭기와; 그리고 내측 절삭기를 왕복 구동하는 구동 유닛을 포함한다.
제1 실시예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 면도기를 나타낸 분해 개략도이고, 도 2는 내측 절삭기를 나타낸 분해 개략도이고, 도 3은 내측 절삭기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내측 절삭기의 세로방향의 정면도이고, 도 5는 내측 절삭기의 일부를 나타낸 세로방향의 확대 정면도이고, 도 6은 내측 절삭기의 절삭편과 플레이트 부재들(32)을 나타낸 세로방향의 정면도이고, 도 7은 내측 절삭기의 세로방향의 측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왕복 운동하는 전기 면도기는 메인 유닛(1)과 메인 유닛(1)의 상단부에 접속되는 외측 절삭기 카세트(2)를 포함한다. 외측 절삭기 카세트(2)에서, 대략적으로 자르기 위한 슬릿 절삭기 카세트(5)가 그 중앙부에 배치되고 네트 커터(net cutter)카세트(6)는 슬릿 절삭기 카세트(5)의 양쪽 측면에 배치된다.
메인 유닛(1)의 상단부에, 한 쌍의 구동기(7)가 돌출한다. 구동기(7)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된 전기 면도기의 한 쌍의 내측 절삭기(4)(이하 간단히 "내측 절삭기"라 한다)는 모터(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기(7)와 합체되어 왕복 운동한다. 외측 절삭기 카세트(2)가 메인 유닛(1)에 장착된 상태에서, 내측 절삭기들(4)은 왕복 운동중 대응하는 네트 커터 카세트(6)의 상단에 배치되는 외측 절삭기(3)의 내측면을 따라 각각 슬라이딩한다.이 왕복 운동하는 전기 면도기는 내측 절삭기(4)에 구비된 복수의 절삭편들(8)과 외측 절삭기(3)의 절삭기 구멍들의 에지 부들(edge portions) 사이에 협지함으로써 절삭기(3)의 절삭기 구멍들(도시되지 않음)을 통해 들어가는 수염과 같은 모발을 자른다. 구동기들(7)은 모터와 함께 구동 유닛(31)을 구성한다.
내측 절삭기(4)의 구조는 상세히 설명된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절삭기(4)는, 얇고 U자형으로 형성된 복수의 절삭편들(8)과 절삭편들(8)의 저단부에 연결되는 한 쌍의 지지벽(9)을 포함하는 내측 절삭기 유닛(10)과, 구동 유닛(31)의 구동기(7)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고 구동기(7)에 의해 왕복 운동하는 연결 부재(11)를 포함한다. 내측 절삭기 유닛(10)과 연결 부재(11)는 내측 절삭기 유닛(10)이 연결 부재(11) 위에 맞춰지는 상태로 서로에 대해 고정되고, 수지로 형성된 플레이트 부재(32)는 연결 부재(11)와 절삭편들(8) 위에 놓여진다. 따라서, 내측 절삭기(4)가 구성된다. 절삭편들(8)은 그 굴곡부(8a)의 상단부(8b)(이하,"굴곡 상단부"라 한다)가 맨 위에 위치하고, 세로 방향의 양단은 바닥에 위치하며, 그 외측면(8e)은 외측 절삭기(3)의 내측면에 접하도록 배치된다. 굴곡부(8a)는 모발을 절삭기 구멍들의 에지들 사이에 끼워 모발을 자른다.
내측 절삭기 유닛(10)은 금속 플레이트를 프레스에 의해 아치형으로 구부려 형성된다. 내측 절삭기 유닛(10)에서, U자형의 다중 절삭편들(8)은 볼록한 대체로아크형 단면을 갖는 상단부(10a)에 복수의 슬릿 구멍(12)을 형성하여 한 줄로 배열된다. 또한, 내측 절삭기 유닛(10)에서, 상단부(10a)의 양 저단부로부터 각각 아래로 뻗은 부분이 되는 하단부(10b)가 한 쌍의 지지벽(9)으로 제공된다. 다시 말하 면, 절삭편들(8)의 양 단(8c)은 한 쌍의 지지벽(9)에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 절삭편들(8)이 한 줄로 배열되는 방향(다시 말해, 내측 절삭기(4)가 왕복 운동으로 슬라이딩하는 방향)을 좌우방향으로 언급하고, 좌우방향에 수직인 방향 및 위 아래 방향을 앞뒤 방향으로 언급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삭편(8)의 좌우단은 둥글게 파서 그 상단은 좌우방향으로 지시되는 예리한 에지(8d)를 형성하며, 외주 면에서 절삭편들(8)의 굴곡 상단부(8b)의 좌우방향(슬라이딩 방향)의 두께는 내주면에서 굴곡 상단부의 좌우방향(미끄러지는 방향)의 두께보다 더 두껍다. 또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체로 아크 형인 슬릿 구멍(12)의 세로 방향으로 양단을 형성함으로써 절삭편들(8)과 지지벽(9) 사이의 연결부에서의 강도가 확보되며, 그렇게 함으로써 절삭편들(8)의 강성을 확고히 한다.
좌우방향에서 한 줄로 배열된 절삭편들(8)의 양 측면에서 절삭편들(8)보다 넓은 방호 편들(guard pieces)(13)이 배열된다.방호 편들(13)은 절삭편들(8)과 유사하게 U자형으로 형성되고, 세로 방향의 양 단부들은 한 쌍의 지지벽(9)에 의해 합체적으로 지지된다. 양쪽 단부에 배열됨에 의해, 방호 편들(13)은 전체 내측 절삭기 유닛(10)을 확고하게 연결하여 절삭편들(8)은 외부 충격에 의해 손상되지 않는다.
각 지지벽(9)에, 대체로 사각형으로 아래로 열린 사각 오목부(16)가 좌우방향으로 중심부에 구비된다. 각 사각 오목부(16)의 양 옆에, 대체로 원형인 아래로 열린 원형 오목부(15)가 구비된다. 원형 오목부(15)의 내주면으로부터 복수의 얇은 볼록부(27)가 안쪽으로 돌출한다. 또한, 사각 오목부(16) 각각에 대응하는 한 쌍의 원형 오목부(15)중 외측면에 위치한 원형 오목부(15) 위에, 사각 구멍 형태의 사각 창문(17)이 상하방향으로 지지벽(9)의 대체로 중심에 구비된다.
연결 부재(11)는 내측 절삭기 유닛(10) 내부에 거의 수용될 수 있는 길이내에서 좌우방향으로 길다. 연결 부재(11)는 메인 유닛 부착부(18)와 그 양측에 위치한 내측 절삭기 고정부(19)로 구성된다. 연결 부재(11)는 수지로 형성된다. 연결 부재(11)에서, 사각 기둥형으로 형성된 사각 볼록부(20)는 앞뒤로 각각 마주한 양면의 중앙부에서 아래로 돌출한다.
또한, 연결 부재(11)에서, 그 좌우 측면에, 실린더형의 열봉합돌기들(heat seal boss)(21)이 돌출한다. 한 쌍의 열 봉합 돌기(21)의 메인 유닛 부착부(18)로부터 떨어져 위치한 열봉합돌기(21) 위에서, 중공부(23)가 형성된다. 또한, 이 열 봉합 돌기(21) 위에 후크부(24a)를 갖는 연결 후크(24)가 구비된다. 후크부(24a)의 일부는 중공부로부터 돌출한다. 내측 절삭기(4)를 메인 유닛(1)에 탈부착할 때 잡기위한 핑거 위치부(25)가 연결 부재(11)의 좌우단에 있는 상단부에 구비된다. 핑거 위치부(25) 각각의 상부로부터, 돌출부(26)가 위로 뻗어있다. 연결 부재(11)는 내측 절삭기(4)의 한 쌍의 지지벽(9)과 함께 기저부(33)를 구성한다.
또한, 연결 부재(11)의 상면에, 플레이트 부재(32)가 연결 부재(11)의 상면으로부터 돌출하도록 일체로 형성된다. 플레이트 부재(32)는 플레이트 메인 몸체(32a)와 그 상단부에 연속적으로 구비된 절삭편 연결부(32b)를 포함한다. 플레이트 부재(32)는 내측 절삭기 유닛(10)의 절삭편들(8) 아래 위치하도록 서로간에 간 격을 유지하며 복수로(본 실시예에서는 6개) 배열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레이트 부재(32)는 두 개의 교대되는 절삭편들(8) 사이의 공간에 상당하는 간격 이상을 유지하도록 배열된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레이트 메인 몸체(32a)의 측면은 절삭편(8)의 측면의 내측 테두리에서와 같은 유사한 형상을 갖고 상단부에서 아크형상을 갖는다. 그것은 이 플레이트 메인 몸체(32a)와 절삭편(8)의 내측면(8f) 사이의 공간을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절삭편 연결부(32b)의 상단부는 절삭편(8)의 굴곡 상단부(8b)의 외측면(8e) 보다 절삭 에지(8)의 내측 주변부에 더 가깝게 위치한다. 특히, 절삭편(8)의 외측면(8e)과 절삭편 연결부(32b) 사이의 간격은 0.05mm 이상이다. 절삭편 연결부(32b)의 상부의 좌우방향의 두께는 굴곡 상단부(8b)와 플레이트 메인 몸체(32a)의 좌우방향에서의 두께보다 더 두껍고, 절삭편 연결부(32b)의 하단부는 가늘어져서(테이퍼링되어) 그 저단부의 두께가 플레이트 메인 몸체(32a)의 두께와 같게 된다. 이러한 구조로, 플레이트 부재(32)에서, 저단부의 두께는 상단부의 두께보다 더 얇다.
도 2 내지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절삭편 연결부(32b)의 상단부에, 절삭편(8)의 굴곡 상단부(8b)의 내측 주변부(저단부)와 맞물리는 그루우브(32c)가 구비된다. 다시 말하면, 플레이트 부재(32)는 기저부(33)(지지벽(9))에 지지되고, 상단부에서 절단 편(8)의 굴곡부(8a)에 지지된다. 이러한 구조로, 플레이트 부재(32)의 상단부와 절삭편(8)의 글곡 상단부(8b)는 서로 좌우방향(슬라이딩 방향)으로 중첩된다. 그러한 지지 구조로써, 플레이트 부재(32)가 절삭편(8)과 좌우방향으로 맞물 려지는 한편, 플레이트 부재(32)는 절삭편(8)의 굴곡 상단부(8b)의 내외방향(상하방향)을 따라 상대 운동하도록 연결되고, 플레이트 부재(32)는 절삭편(8)의 탄성 변형에 상응하여 탄성적으로 변형된다.
또한, 플레이트 부재(32)의 저단부와 기저부(33)(지지벽(9))가 고정되는 지점과 플레이트 부재(32)의 상단부와 절삭편(8)이 연결되는 지점은 좌우방향(슬라이딩 방향)을 따라 이동한다. 또한, 플레이트 부재(32)의 강성은 절삭편(8)의 강성 보다 더 낮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연결 부재(11)와 내측 절삭기 유닛(10)의 연결 구조가 설명된다. 내측 절삭기 유닛(10)과 결합 부재(11)는 열봉합돌기(21)가 내측 절삭 기 유닛(10)의 원형 오목부(15)에 맞물리는 상태로 연결 부재(11)의 열 봉합 돌기(21)를 열 봉합시켜 연결된다. 연결 부재(11)의 연결 후크(24)의 후크부(24a)의 바닥면은 내측 절삭기 유닛(10)의 사각 창문(17)의 아래쪽 내측면에 잠겨지고, 그에 따라 내측 절삭기 유닛(10)이 연결 부재(11)로부터 위로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연결 부재(11)의 사각 볼록부(20)는 한 쌍의 지지벽(9)에 있는 사각 오목부(16)에 맞물리고, 그에 따라 연결 부재(11)에 대해 내측 절삭기 유닛(10)을 좌우방향으로 위치시킨다. 또한, 앞면과 뒷면에 형성된 접촉 볼록부(22)의 볼록면(22a)은 내측 절삭기 유닛(10)의 지지벽(9)의 내측면들에 접촉하여, 그에 따라 앞뒤 방향으로 위치할 수 있게 한다.
그러한 구조에서, 외측 절삭기(3)의 절삭 구멍들을 통해 들어간 모발이 절삭 구멍의 에지들과 외측 절삭기(3)의 내면을 따라 왕복 운동으로 슬라이딩하는 내측 절삭기들(4)의 절삭편들(8)의 굴곡부(8a) 사이에 끼워져 잘리울 때, 절삭편들(8)은 절삭 구멍들을 통해 들어간 모발들과 접촉하여 구부러진다(탄성적으로 변형된다). 모발을 자르는 순간에 절삭편(8)의 만곡부는 해방되고(복원된다) 절삭편들(8)은 진동하여 면도 소리를 낸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저단부가 기저부(33)에 고정되고 상단부가 절삭편(8)에 연결되는 플레이트 부재(32)가 절삭편(8)의 탄성 변형에 상응하여 탄성적으로 변형되어 절삭편(8)과 유사한 방식으로 진동한다. 따라서, 플레이트 부재가 캔틸레버 구조로 지지되는 경우에 비해, 플레이트 부재(32)는 더 많이 공기를 진동시킨다. 결과적으로, 면도 소리를 크게 키우는 것이 가능하고 사용자들에게 안락한 면도를 실현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플레이트 부재(32)의 상단부와 절삭편(8)의 굴곡 상단부(8b)는 좌우방향(미끄러지는 방향)으로 서로 중첩된다. 따라서, 절삭편(8)이 미끄러지는 방향으로 많이 구부러질지라도 절삭편(8)과 플레이트 부재(32) 사이의 연결은 유지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절삭편(8)과 플레이트 부재(32) 사이의 연결의 신뢰도를 확고하게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절삭편(8)의 외측면(8e)과 절삭편 연결부(32b) 사이의 간격이 0.05 mm 이상이다. 따라서, 플레이트 부재(32)의 상단부는 절삭편(8)의 상부 에지에서 모발 절삭을 방해 하지 않으며, 그에 따라 절삭의 예리함을 확실하게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플레이트 부재(32)의 강성이 절삭편(8)의 강성보다 더 낮다. 따라서, 플레이트 부재(32)는 플레이트 부재의 강성 이 절삭편(8)의 강성보다 더 높은 구조에 비해 쉽게 구부러진다. 따라서, 플레이트 부재(32)가 연결되는 절삭편(8)의 강성의 증가를 작게 할 수 있고, 절삭편(8)의 구부러진 양을 증가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그에 따라, 면도 소리는 확실하게 더 커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플레이트 부재(32)가 저단부에서의 두께가 상단부에서의 두께보다 더 얇게 형성된다. 따라서, 플레이트 부재(32)는 전체적으로 쉽게 구부러진다. 따라서, 진동 부피가 증가하고 그에 따라 면도 소리가 더 커지도록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플레이트 부재(32)와 절삭편(8)이 절삭편(8)의 굴곡 상단부(8b)의 내외방향(상하방향)을 따라 상대 운동할 수 있도록 배열된다. 따라서, 플레이트 부재(32)와의 연결에 의해 절삭편(8)의 강성 증가를 작게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절삭편(8)의 이동이 부드럽게 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절삭편(8)의 예리함을 유지하는 동시에 면도 소리는 확실히 더 크게 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플레이트 부재(32)는 수지로 형성된다. 따라서, 플레이트 부재(32)의 강성은 플레이트 부재(32)가 강철로 형성되어 있는 케이스보다 더 낮게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플레이트 부재(32)는 쉽게 구부러지도록 구성될 수 있고, 면도 소리는 확실하게 더 크게 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플레이트 부재(32)는 절삭편(8)의 굴곡 상단부(8b)의 내측 주변부에 연결되고, 외측 주변부에 있는 절삭편(8)의 굴곡 상단부(8b)의 좌우방향의 두께는 굴곡 상단부(8b)의 내측 주변부에 있는 굴곡 상단부(8b)의 좌우방향의 두께보다 더 두껍다. 따라서, 좌우방향에서 절삭편(8)에 대한 플레이트 부재(32)의 돌출양은 작아질 수 있고, 그에 따라 절삭편(8)의 굴곡 상단부(8b)에서의 예리한 절삭을 확고히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플레이트 부재(32)의 저단부와 기저부(33)가 고정되는 위치와 플레이트 부재(32)의 상단부와 절삭편(8)이 연결되는 위치는 좌우방향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가령 면도기가 떨어져 충격이 전기 면도기의 내측 절삭기(4)에 가해지고 절삭편(8)의 굴곡부(8a)가 곡률을 평탄하게 하는 방향으로 변형되어도, 플레이트 부재(32)는 유연하게 구부러진다. 따라서,절삭편(8)에 대한 충격력을 억제하여 절삭편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플레이트 부재(32)는 절삭편들(8) 각각에 대해 배열되고, 플레이트 부재들(32)은 두 개의 교대로 된 절삭편들(8) 사이의 공간 이상에 상당하는 간격으로 유지 배열된다. 따라서, 충분한 공간이 플레이트 부재(32)들 사이에 유지된다. 따라서, 더 적은 절삭 모발이 플레이트 부재들(32) 사이에 수집된다. 또한, 플레이트 부재들(32) 사이에, 상하방향으로 뚫린 관통공들이 구비되어 절삭 모발이 관통공들을 통해 떨어진다. 따라서, 더 적은 모발이 플레이트 부재들(32) 주위에 수집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플레이트 부재들(32)과 연결 부재(11)는 수지로 일체 형성된다. 따라서, 구조를 간소화하고 저비용으로 쉽게 처리하여 깨끗하게 자르고 면도 소리를 크게 낼 수 있는 내측 절삭기(4)를 구현할 수 있다.
플레이트 부재(32)의 그루우브(32c)의 제조 방법이 설명된다. 도 8은 제조 공정의 중간에 있는 내측 절삭기(4)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플레이트 부재(32)의 그루우브(32c)는 플레이트 부재(32)와 절삭편들(8)을 연결할 때에 형성된다. 특히,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절삭기 유닛(10)은 그루우브(32c)의 형성 전에 플레이트 부재(32')가 내측 절삭기 유닛(10) 안쪽에 연결 부재(11)를 위치시키도록 일체로 형성되는 연결 부재(11)위로 맞춰지고, 내측 절삭기 유닛(10)은 내측 절삭기 유닛(10)이 연결 부재(11)와 접촉할 때까지 아래로 이동한다. 플레이트 부재(32')의 상단부는 내측 절삭기 유닛(10)과 연결 부재(11)의 고정이 완료되는 상태로 절삭편(8)의 굴곡 상단부(8b)의 저단부 위에 위치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내측 절삭기 유닛(10)이 아래로 움직일 때, 방호 부재(13)의 저단부가 연결 부재(11)의 돌출부(26)의 상단부에 접촉하기 전에 플레이트 부재(32')의 상단부는 절삭편(8)의 굴곡 상단부(8b)의 저단부와 접촉한다.
히터(도시하지 않음)로 절삭편(8)의 굴곡 상단부(8b)를 가열하여 절삭편 연결부(32b')로 열을 전달하여 절삭편 연결부(32b')를 가열하는 동안, 연결 부재(11)의 돌출부(26)의 상단부가 보호편(13)의 저단부와 접하여 내측 절삭기 유닛(10)과 연결 부재(11)의 상하방향에서의 위치를 잡을 때까지 내측 절삭기 유닛(10)은 더 아래로 이동한다. 따라서, 플레이트 부재(32')의 상단부는 절삭편(8)에 대해 가압된다.
이때, 플레이트 부재(32')의 절삭편 연결부(32b')는 가열된 상태에서 절삭 편(8)의 저단부에 의해 가압되어 열변성되고, 플레이트 부재(32')의 상단부는 절삭편(8)의 굴곡 상단부(8b) 안으로 맞물린다. 따라서, 그루우브(32c)는 절삭편 연결부(32b) 안에 형성되고 플레이트 부재(32)의 상단부와 절삭편(8)의 굴곡 상단부(8b)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우방향으로 서로 중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플레이트 부재(32)의 상단부는 그루우브(32c)를 형성하도록 가열되는 동안 절삭편(8)에 대해 상대적으로 가압된다.따라서, 절삭편(8)들의 피치(pitch)와 플레이트 부재들(32)의 피치가 서로 변할지라도, 그 변화는 흡수될 수 있다. 따라서, 절삭편들(8)과 플레이트 부재들(32)은 서로 쉽게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모든 플레이트 부재들(32)이 절삭편들(8)에 대해 비틀림이나 변형을 가하지 않고 절삭편들(8)과 중첩되는 상태를 확고히 형성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도 9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의 동일 부분이 유사한 도면 부호로 언급되어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다음 실시예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한다). 도 9는 본 실시예에 따른 내측 절삭기의 절삭편과 플레이트 부재를 나타내는 세로 방향의 정면도이다.
본 실시예는 플레이트 부재(132)와 절삭편(8)의 연결구조에서 제1 실시예와 다르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구부러진 플레이트 부재(132)의 복원력에 의해 한 쪽으로부터 굴곡 상단부(8b)로 플레이트 부재(132)의 상단부를 가압하여, 플레이트 부재(132)의 다른 단부가 절삭편(8)에 연결된다.
이러한 구조로, 플레이트 부재(132)는 좌우방향으로 절삭편(8)과 맞물리고, 상하방향으로 상대 이동을 가능하게 하도록 연결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또한, 플레이트 부재(132)가 특히 절삭편(8)의 탄성 변형에 상응하여 탄성 변형되고,절삭편(8)과 유사한 방법으로 진동한다. 따라서, 플레이트 부재가 캔틸레버 구조로 지지되는 경우에 비해, 플레이트 부재(32)는 더 많이 공기를 진동시킨다. 결과적으로 면도 소리는 더욱 더 커질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구조로, 내측 절삭기(4)는 간단하게 구성될 수 있고, 플레이트 부재들(132)과 절삭편들(8)의 제조에서 조립 공정의 수는 플레이트 부재(132)가 절삭편들(8)에 결합 될 때에 비해 감소될 수 있다.
제 3실시예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는 도 10과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본 실시예에 따라 내측 절삭기를 나타내는 분해 개략도이고, 도 11은 플레이트 유닛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본 실시예는 플레이트 부재(232)와 내측 절삭기(4)의 연결 구조에서 제1 실시예와 다르다. 특히, 좌우 한쌍의 돌출편들(232d)은 절삭편(8)의 세로 방향으로 서로로부터 이동된 위치에 있는 플레이트 부재(232)의 상단부에 구비되어, 맞물림부(232e)를 형성한다. 이러한 맞물림부(232e)로써, 절삭편(8)의 굴곡 상단부(8b)는 샌드위치된다. 이러한 구조로, 플레이트 부재(232)는 좌우방향좌우방향 편(8)과 맞물리고, 상하방향으로 상대운동할 수 있도록 연결된다. 맞물림부(232e)는 플레이트 부재(232)와 절삭편(8)의 연결에 앞서 미리 형성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플레이트 부재(232)가 일체로 형성되는 복수(본 실시예에서는 세 개)의 플레이트 유닛(241)은 연결 부재(11)로 부터 분리 구비되고, 플레이트 유닛(241)은 맞물림에 의해 연결 부재(11)에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조로, 본 실시예에서는 또한, 플레이트 부재(232)는 절삭편(8)의 탄성 변형에 상응하여 탄성적으로 변형되고, 절삭편(8)과 비슷한 방법으로 진동한다. 따라서, 플레이트 부재가 캔틸레버 구조로 지지되는 경우에 비해, 플레이트 부재(32)는 더 많은 공기를 진동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면도 소리는 중대하게 더 커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플레이트 부재(232)와 절삭편(8)은 미리 형성된 맞물림부(232e)를 절삭편(8)과 맞물림으로써 연결된다. 따라서, 제조중 플레이트 부재들(232)과 절삭편들(8)의 조립 공정의 수는, 가령, 플레이트 부재들(232)이 절삭편들(8)에 결합되는 경우에 비해 감소 될 수 있다.
제4 실시예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를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제4 실시예에 따른 내측 절삭기와 플레이트 부재를 나타내는 세로 방향의 정면도이다.
본 실시예는 플레이트 부재(32)의 그루우브(32c)의 저면과 절삭편(8)의 저면 사이에 공간이 구비된다는 점에서 제1 실시예와 다르다. 그루우브(32c)는 플레이트 부재(32)와 절삭편(8)의 연결 전에 미리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로, 그 상하방향의 형태상 오차는 플레이트 부재(32)와 절삭 편(8)의 연결시 흡수될 수 있다. 따라서, 플레이트 부재(32)와 절삭편(8)은 쉽게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국한되지 않고, 다른 실시예들이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 만들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플레이트 부재와 절삭편은 플레이트 부재와 절삭편들이 서로 부딪쳐 있는 동안 접합(binding)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절삭편의 피치와 플레이트 부재의 피치에서의 상대적 변화는 흡수될 수 있다. 따라서, 조립 작업은 간소화될 수 있다.
또한, 플레이트 부재의 플레이트 메인 몸체의 중앙부에서 좌우방향으로 관통공을 열어, 또는 플레이트 메인 몸체의 저단부로부터 중앙부까지 아래로 열린 그루우브를 구비하여, 모발이 플레이트 부재들 주위로 쉽게 모이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절단 편의 저단부들(세로 방향의 양단부)와 플레이트 부재의 저단부는 같은 수준으로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전기 면도기의 면도 소리가 확실하게 증폭된다.

Claims (13)

  1. 모발이 들어가는 절삭 구멍들을 갖는 외측 절삭기의 내측면을 따라 슬라이딩함으로써 모발을 자르는 전기 면도기의 내측 절삭기가:
    전기 면도기의 구동 유닛에 접속되는 기저부와;
    U자형으로 얇고 길게 형성되어 외측면이 외측 절삭기의 내측면에 접하고, 그 세로 방향에서 양 단부가 기저부에 고정되는 복수의 절삭편들과;
    일단은 기저부에 고정되고 타단은 절삭편들에 연결되며, 절삭편의 탄성 변형에 상응하여 탄성적으로 변형되는 플레이트 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면도기의 내측 절삭기.
  2. 제1 항에 있어서,
    플레이트 부재의 타단과 절삭편의 굴곡 상단부가 슬라이딩 방향으로 서로 중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면도기의 내측 절삭기.
  3. 제1 항에 있어서,
    플레이트 부재의 강성이 절삭편의 강성보다 더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면도기의 내측 절삭기.
  4. 제1 항에 있어서,
    플레이트 부재가 그 일단의 두께가 그 타단의 두께보다 더 얇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면도기의 내측 절삭기.
  5. 제1 항에 있어서,
    플레이트 부재와 절삭편이 절삭편의 굴곡 상단부의 내외방향내외방향대 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면도기의 내측 절삭기.
  6. 제1 항에 있어서,
    플레이트 부재와 절삭편은 그루우브와 절삭편을 맞물려 연결되고, 그루우브는 플레이트 부재의 타단을 가열하는 동안 절삭편에 대해 플레이트 부재를 가압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면도기의 내측 절삭기.
  7. 제1 항에 있어서,
    굽혀진 플레이트 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플레이트 부재의 타단을 절삭편에 대해 가압함으로써 플레이트 부재와 절삭편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면도기의 내측 절삭기.
  8. 제1 항에 있어서,
    플레이트 부재와 절삭편은 맞물림부와 절삭편을 맞물리게 함으로써 연결되고, 맞물림부는 플레이트 부재에 미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면도기의 내측 절삭기.
  9. 제1 항에 있어서,
    플레이트 부재는 그 타단에 절삭편과 맞물리는 그루우브를 포함하고,
    그루우브의 바닥면과 절삭편 사이에는 간격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면도기의 내측 절삭기.
  10. 제1 항에 있어서,
    플레이트 부재가 수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면도기의 내측 절삭기.
  11. 제2 항에 있어서,
    플레이트 부재는 절삭편의 굴곡 상단부의 내측 주변부에 연결되고,
    절삭편은 굴곡 상단부의 외측 주변부에서 슬라이딩 방향에서의 두께가 굴곡 상단부의 내측 주변부에서 슬라이딩 방향에서의 두께보다 더 두껍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면도기의 내측 절삭기.
  12. 제1 항에 있어서,
    플레이트 부재의 일단과 기저부가 고정되는 지점과 플레이트 부재의 타단과 절삭편이 연결되는 지점이 슬라이딩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면도기의 내측 절삭기.
  13. 왕복 운동하는 전기 면도기가,
    모발이 들어가는 절삭 구멍들을 포함하는 외측 절삭기와;
    외측 절삭기와 함께 모발을 자르는 외측 절삭기의 내측면상에서 슬라이딩하는 청구항 1에 따른 전기 면도기의 내측 절삭기;및
    내측 절삭기를 왕복 운동시키는 구동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 운동하는 전기 면도기.
KR1020070038618A 2006-04-25 2007-04-20 전기 면도기의 내측 절삭기 및 왕복 운동하는 전기 면도기 KR1008743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121232 2006-04-25
JP2006121232A JP4127290B2 (ja) 2006-04-25 2006-04-25 電気かみそり用の内刃及び往復式電気かみそり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5251A true KR20070105251A (ko) 2007-10-30
KR100874305B1 KR100874305B1 (ko) 2008-12-18

Family

ID=382300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8618A KR100874305B1 (ko) 2006-04-25 2007-04-20 전기 면도기의 내측 절삭기 및 왕복 운동하는 전기 면도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146253B2 (ko)
EP (1) EP1849567B1 (ko)
JP (1) JP4127290B2 (ko)
KR (1) KR100874305B1 (ko)
CN (2) CN100548594C (ko)
AT (1) ATE538907T1 (ko)
RU (1) RU2348511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25103B2 (ja) * 2004-12-28 2011-07-13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往復式電気かみそり
JP4715425B2 (ja) * 2005-09-27 2011-07-06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電気かみそり
JP4225329B2 (ja) * 2006-07-21 2009-02-18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電気かみそり
JP4595968B2 (ja) * 2007-07-12 2010-12-08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往復式電気かみそりの内刃
JP4595967B2 (ja) * 2007-07-12 2010-12-08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往復式電気かみそりの刃
JP4862768B2 (ja) * 2007-07-12 2012-01-25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電気かみそり
JP4840450B2 (ja) * 2009-01-16 2011-12-21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電気かみそり
BR112014015683A8 (pt) * 2011-12-27 2017-07-04 Koninklijke Philips Nv barbeador
JP5950231B2 (ja) * 2012-11-30 2016-07-13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内刃ユニット、およびこの内刃ユニットを有する電気かみそり
JP6300226B2 (ja) * 2013-12-16 2018-03-28 株式会社泉精器製作所 往復式電気かみそり
US9751225B2 (en) * 2014-09-23 2017-09-05 Raymond Industrial Ltd. Electric stubble trimmer
EP3204197B1 (en) * 2014-10-07 2018-06-20 Koninklijke Philips N.V. Electrical appliance for performing a cutting action on hairs as present on an area of skin
US10682777B2 (en) * 2015-04-28 2020-06-16 Koninklijke Philips N.V. Blade set and hair cutting appliance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18351A (en) * 1942-12-16 1943-05-04 Gen Electric Shaver
US3088205A (en) * 1961-09-15 1963-05-07 Ellis Robert Dry shaver with hair pulling means to aid in cutting the hair
AT255283B (de) 1964-04-28 1967-06-26 Payer Lux Messerblock für Trockenrasierapparate
AT264319B (de) * 1966-08-12 1968-08-26 Carinthia Elektrogeraete Ges M Scherkopf für Trockenrasierapparate
NL6613222A (ko) 1966-09-20 1968-03-21
US3810306A (en) * 1973-01-11 1974-05-14 Sperry Rand Corp Shaver cutter head
NL7713047A (nl) * 1977-11-28 1979-05-30 Philips Nv Scheerapparaat.
AT353141B (de) * 1978-02-10 1979-10-25 Philips Nv Trockenrasierapparat
DE2843947C2 (de) 1978-10-09 1981-07-30 Braun Ag, 6000 Frankfurt Trockenrasierapparat mit einem Kurzhaarscherteil und einem verschiebbaren Langhaarscherteil
NL7811437A (nl) * 1978-11-21 1980-05-23 Philips Nv Scheerapparaat.
SU821127A1 (ru) 1979-07-02 1981-04-15 Московский Завод "Микромашина" Режуща головка электробритвы
NL8200101A (nl) 1982-01-13 1983-08-01 Philips Nv Scheerapparaat.
FR2575691B1 (fr) 1985-01-09 1988-07-08 Seb Sa Couteaux pour rasoir a grille et support portant ces co uteaux, procede d'affutage et de montage de ces couteaux
US5131148A (en) * 1990-11-23 1992-07-21 Wahl Clipper Corporation Electric shaver with flexible cutter holder
US5611145A (en) * 1991-12-20 1997-03-18 Wetzel; Matthias Dry-shaving apparatus
US5909929A (en) * 1997-07-30 1999-06-08 Chen; Chin-Chuan Supporting bracket for a middle cutter of a shaver
DE19736776C2 (de) 1997-08-23 1999-06-02 Braun Gmbh Trockenrasierapparat
JPH11128562A (ja) 1997-10-30 1999-05-18 Sanyo Electric Co Ltd 電気かみそり
US6219920B1 (en) * 1998-03-31 2001-04-24 Braun Gmbh Dry shaving apparatus
CN1287958C (zh) * 2001-08-10 2006-12-06 松下电工株式会社 干式剃须刀及其内切刀
WO2003022535A1 (fr) * 2001-09-10 2003-03-20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Prodede de fabrication de lame interieure de rasoir electrique
JP3979052B2 (ja) 2001-09-25 2007-09-19 松下電工株式会社 往復式電気かみそり
JP2004016520A (ja) 2002-06-17 2004-01-2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往復式電気かみそり
JP4378913B2 (ja) 2002-06-17 2009-12-09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往復式電気かみそり
JP4273786B2 (ja) 2003-02-25 2009-06-03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電気かみそり
JP4725103B2 (ja) 2004-12-28 2011-07-13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往復式電気かみそり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348511C2 (ru) 2009-03-10
US8146253B2 (en) 2012-04-03
JP2007289443A (ja) 2007-11-08
RU2007115486A (ru) 2008-10-27
CN201143689Y (zh) 2008-11-05
EP1849567B1 (en) 2011-12-28
CN101062565A (zh) 2007-10-31
KR100874305B1 (ko) 2008-12-18
EP1849567A1 (en) 2007-10-31
US20070245565A1 (en) 2007-10-25
JP4127290B2 (ja) 2008-07-30
CN100548594C (zh) 2009-10-14
ATE538907T1 (de) 2012-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4305B1 (ko) 전기 면도기의 내측 절삭기 및 왕복 운동하는 전기 면도기
KR100687842B1 (ko) 왕복식 전기면도기용 내측 커터의 제조 방법
EP2168729B1 (en) Inner edge of reciprocating electric shaver
CN107995887A (zh) 剃刀刀片架
EP2172316B1 (en) Blade of reciprocating electric shaver
JP2018507734A (ja) 剃毛かみそりカートリッジ
EP1880810B1 (en) Electric shaver
KR20050102137A (ko) 전기 면도기
EP1757412B1 (en) Inner cutter for a reciprocating type electric shaver
JP4507167B2 (ja) 電気かみそり
JP4811923B2 (ja) せん断刃ユニット
JP4479988B2 (ja) 電気かみそり
JP4650871B2 (ja) 電気かみそり
JP2004016520A (ja) 往復式電気かみそり
JP5288406B2 (ja) 電気かみそり
JP2667534B2 (ja) 往復式電気かみそりの内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