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04448A - 산업 용수를 물 수용 바디에 배출하기 위한 중력-공급식수조 - Google Patents

산업 용수를 물 수용 바디에 배출하기 위한 중력-공급식수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04448A
KR20070104448A KR1020077019788A KR20077019788A KR20070104448A KR 20070104448 A KR20070104448 A KR 20070104448A KR 1020077019788 A KR1020077019788 A KR 1020077019788A KR 20077019788 A KR20077019788 A KR 20077019788A KR 20070104448 A KR20070104448 A KR 200701044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vity
water
baffle
fed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97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60363B1 (ko
Inventor
후베르트 섀펠라인
Original Assignee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0701044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44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03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03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9/00Degasification of liquids
    • B01D19/02Foam dispersion or preven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20Siphon pipes or inverted siph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1/00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 E03F1/002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with disposal into the ground, e.g. via dry well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egassing, i.e. liberation of dissolved ga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2Non-contaminated water, e.g. for industrial water supply
    • C02F2103/023Water in cooling circ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5/00Component parts of trickle coolers
    • F28F2025/005Liquid collection; Liquid treatment; Liquid recirculation; Addition of make-up liquid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ewage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 Structure Of Emergency Protection For Nuclear Reactors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 수용 바디(6) 내에 산업 용수를 배출하는 중력-공급식 수조(1)에 관한 것이다. 중력-공급식 수조(1)는 입구 개구부(13) 및 출구 개구부(15)를 구비한 중력 실린더(11)를 포함하며, 중력 실린더(11)의 입구 개구부(13) 에지에서 형성되는 넘침 문턱(14)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중력 실린더(11)의 출구 개구부(15)가 물 수용 바디(6)의 유체 레벨(7) 아래에 위치하도록 한다.

Description

산업 용수를 물 수용 바디에 배출하기 위한 중력-공급식 수조{GRAVITY-FED BASIN FOR DISCHARGING INDUSTRIAL WATER INTO A RECEIVING BODY OF WATER}
본 발명은, 산업 용수, 특히 발전소의 냉각수를 물 수용 바디에 배출하기 위한 중력-공급식 수조(水槽)에 관한 것이다.
담수(淡水; fresh water)로 냉각되는 발전소에서, 산업 용수는 작동 방식에 따라 중력-공급식 수조(gravity-fed basin)를 통해 물 수용 바디(receiving body)에 배출된다. 물 수용 바디는 고정된 또는 유동하는 물로서, 산업 용수가 이에 배출된다. 중력-공급식 수조는 주로 문턱(sill)으로 이루어져서, 그 너머로 산업 용수가 물 수용 바디에 배출된다. 산업 용수는, 오직 물 레벨이 문턱을 초과한 경우에만 물 수용 바디에 배출된다. 문턱은 선형 문턱(linear sill)으로 디자인될 수 있으며, 또는 예를 들어 수조의 바닥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중력 실린더(gravity cylinder)의 상부 에지로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는 예를 들어 DE 31 03 306에 기재된다. 또한, DE 31 03 306에 개시된 중력 실린더는 산업 용수 내에 진입하는 공기를 증가시키는 수단을 갖는다.
발전소 형태에 따라, 중력-공급식 수조를 통한 산업 용수의 처리량은, 산업 용수의 허용된 가열 스팬에 의해 초당 약 5 내지 10m3이다. 물 수용 바디의 물 레벨 내의 유동에 따라, 문턱 너머 유동하는 산업 용수는 물 수용 바디의 물과 혼합되도록 수미터 깊이로 떨어진다. 산업 용수 내에 유입된 공기가 측정되지 않더라도, 깊이 떨어지는 물에서 높은 공기 유입이 이루어지며, 이는 수질에 따라 심각한 발포(foaming)를 다소 이끈다. 이러한 공기 유입 또는 발포는 허가 측면에서 또는 안접한 기기 면에서 바람직하지 않은 것이 보통이다.
따라서, 중력-공급식 수조의 위임 동안 공기 유입 또는 발포를 감소시키도록 그 측정 방법이 시도되고 테스트되었다. 가끔, 이러한 측정은 화학물의 유입을 포함하는 순간적인 커버 방법 또는 방출(ventilation) 또는 파이프 시스템일 수 있다. 특히 후자는 막대한 추가 비용을 이끌 수 있다.
더욱이, 중력-공급식 수조는 가끔 상대적으로 큰 설치 영역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에 비해 증진된 중력-공급식 수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청구항 제 1 항에 따른 물 수용 바디 내에 산업 용수를 배출하기 위한 중력-공급식 수조에 의해 이루어진다. 종속항들은 개선된 중력-공급식 수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포함한다.
물 수용 바디 내에 산업 용수를 배출하기 위한 개선된 중력-공급식 수조는, 입구 개구부 및 출구 개구부를 구비한 중력 실린더를 포함하며, 중력 실린더의 입 구 개구부 에지는 넘침 문턱(overflow sill)을 형성한다. 개선된 중력-공급식 수조에서, 중력 실린더의 출구 개구부는 물 수용 바디 내의 유체 레벨 이하이다. 중력-공급식 수조는 특히 발전소 냉각수를 배출하기 위한 중력-공급식 수조로서 디자인될 수 있다.
선형 문턱을 구비한 중력-공급식 수조와 비교하여, 개선된 중력-공급식 수조는 명확히 적은 설치 영역을 필요로 한다. 선형 문턱을 구비한 중력-공급식 수조와 비교하여 설치에 사용되는 영역 크기는 약 35% 감소된다. 더욱이, 이러한 종류의 중력-공급식 수조에서 공기 유입 감소가 이루어질 수 있다.
개선된 중력-공급식 수조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유동 제한기(flow restrictor)가 중력 실린더 내에 배열된다. 이러한 경우, 특히 배플(baffle)이 유동 제한기로서 사용될 수 있다. 유동 제한기가 중력 실린더 내에 존재하는 것은 산업 용수의 배출 동안 공기 유입을 감소시키도록 도움을 주며, 따라서 발포 감소에 도움을 준다. 하나 이상의 제 1 유동 제한기 및 산업 용수의 유동 방향에서 하류에 배열된 하나의 제 2 유동 제한기가 존재하는 것이 양호한 결과를 이끌 수 있다. 모든 유동 제한기가 배플(baffle)로서 디자인될 수 있다.
유동 제한기가 배플로서 디자인되며, 제 2 배플 즉 유동 방향에서 하류인 배플의 개구부 단면 크기가 제 1 배플 개구부 단면 크기의 2배인 것이 특히 양호한 결과를 이끌 수 있다.
공기 유입 및 이에 따른 발포를 방지하는 다른 가능성은, 중력 실린더의 입구 개구부 영역에 특히 스핀 크로스(spin cross)와 같은 스핀-방지 부재(anti-spin element)를 배열하는 것이다. 특히, 하나 이상의 유동 제한기가 중력 실린더 내에 추가로 존재하는 것이 가능하다. 스핀-방지 부재의 목적은, 중력 실린더 내에 유동하는 물의 스핀을 방지하는 것이다. 스핀은 보통 물 유동의 스월링(swirling)을 야기하며, 이는 공기 유입 증가를 이끈다. 예를 들어 스핀 크로스로서 스핀을 감소시키는 것은 스월링을 감소시키며 따라서 유동하는 물 내의 공기 유입을 감소시킨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특성 및 장점들이 실시예로서 기재된 이하의 기술을 통해 주어질 것이며, 첨부된 도면을 참고한다.
도 1은, 개량된 중력-공급식 수조의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중력-공급식 수조의 평단면도이다.
도 3은, 중력 실린더 내에 맞추어진 배플의 제 1 실시예이다.
도 4는, 중력 실린더 내에 맞추어진 배플의 제 2 실시예이다.
본 발명에 따른 중력-공급식 수조(1)가 도 1 및 2에 도시된다. 도 1은 중력-공급식 수조(1)의 수직 단면도이며, 도 2는 중력-공급식 수조(1)의 수평 단면도를 평면도로서 도시한다.
중력-공급식 수조(1)는 공급 파이프(3)에 연결되고, 이를 통해서 예를 들어 발전소의 냉각수와 같은 산업 용수가 중력-공급식 수조(1) 내로 유동한다. 또한, 중력-공급식 수조(1)로부터의 유동은 물 수용 바디와 접촉하며, 그 물 레벨은 라 인(7)으로 지시되며, 이에 산업 용수가 배출된다.
중력-공급식 수조(1)는 확장 챔버(5), 커버 플레이트(12)로 커버된 수조(9) 및 중력 실린더(11)를 포함하며, 그 입구 개구부(13)는 수조(9)의 바닥부(10) 상에서 이격되어 배열된다. 중력 실린더(11)의 출구 개구부(15)는 물 수용 바디의 물 레벨 라인(7) 아래에 위치한다. 수개의 디플렉터(deflector)(18)가 상방으로 돌출된 베이스 슬래브(17)는 출구 개구부(15)로부터 이격되어 배열된다. 디플렉터(18) 너머 수용 바디 내의 산업 용수의 출구 속도는 0.3m/s 이하이다.
관찰용 진입이 가능하도록, 진입 개구부(16)가 커버 플레이트(12) 내에 제공된다. 진입 개구부(16)는 수조(9)의 환기를 제한하지 않는 커버 그릴(cover grill)(20)로 밀봉되며, 따라서 수조(9) 내의 부압(negative pressure)의 생성을 방지한다.
중력 실린더(11)의 상부 에지, 즉 입구 개구부(13)의 경계는 수조(9) 내의 산업 용수를 위한 넘침 문턱(14)을 형성한다. 산업 용수는 이러한 넘침 문턱(14) 너머 중력 실린더(11) 내로 유동한다. 중력 실린더(11) 내측에 2개의 배플(19, 21)이 있으며, 이는 산업 용수의 중력 실린더(11)를 통한 유동을 위한 유동 제한기 역할을 한다. 배플(19, 21)은 상이한 높이로 배열되며, 하부 배플(21) 즉 산업 용수의 유동 방향에서 하류에 배열된 배플은 배플(19)에 비해 보다 큰 단면의 개구부를 갖는다. 배플(19)의 개구부 단면 크기는 배플(21)의 개구부 단면 크기에 비해 약 절반이다.
또한, 스핀 크로스(23)가 입구 개구부에 배열되며, 이는 중력 실린더(11)를 통하여 산업 용수 유동이 스월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디자인된다.
배플(19, 21)은 물을 되돌리도록 이끄는 유동 제한기를 형성하며, 따라서 중력 실린더(11) 내의 산업 용수의 유동 속도를 감소시키고, 그 결과 "특징적 분리 속도(characteristic seperation speed)"에 이르거나 또는 이르지 못한다. 유동 속도가 특징적 분리 속도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공기 버블과 물이 분리되어 중력 실린더(11) 내의 공기 버블이 일어나고 수면에 이를 수 있다. 따라서 출구 개구부(15) 영역에서 산업 용수에 포함된 공기는 배플 없이 중력 실린더 내에 있는 경우에 비교하여 감소한다.
배플의 가능한 형태가 도 3 및 4에 도시된다. 도 3은 예를 들어 배플 바디(31)로서 둥근 금속 디스크로부터 제조되는 배플(30)을 도시한다. 그 외곽 원주 영역에서, 배플 바디(31)는, 배플 바디(31)의 원주에 걸쳐 균등하게 분배된 4개의 슬롯형 배플 개구부(32)를 갖는다.
두 번째 실시예의 배플(40)이 도 4에 도시되며, 배플 바디(41)는 슬롯형 배플 개구부 대신 원형 배플 개구부(42)를 가지며, 배플 개구부(42)가 배플 바디(41)의 원주에 걸쳐 균등하게 분배된다.
다른 형태의 배플 개구부도 가능하다. 중력 실린더를 통해 떨어지는 산업 용수 내로의 공기 유입은 배플 개구부의 적장 치수를 선택함으로써 최소화될 수 있다. 배플 개구부의 형태 및 치수는 실험 및 오류에 의해 최적화될 수 있다.

Claims (8)

  1. 산업 용수를 물 수용 바디(receiving body)(6)에 배출하기 위한 중력-공급식 수조(gravity-fed basin)(1)로서, 상기 중력-공급식 수조(1)는 중력 실린더(gravity cylinder)(11)를 갖고, 상기 중력 실린더는 입구 개구부(13), 출구 개구부(15) 및 상기 중력 실린더의 상기 입구 개구부(13)의 에지에 형성된 넘침 문턱(overflow sill)(14)을 구비하는, 중력-공급식 수조에 있어서,
    상기 중력 실린더(11)의 상기 출구 개구부(15)는 상기 물 수용 바디(6)의 유체 레벨(7) 이하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공급식 수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력 실린더(11) 내측에 하나 이상의 유동 제한기(flow restrictor)(19, 21)가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공급식 수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제한기(19, 21)는 배플(baffle)로서 디자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 는,
    중력-공급식 수조.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중력 실린더(11) 내측에 하나 이상의 제 1 유동 제한기(19) 및 하나의 제 2 유동 제한기(21)가 위치하며, 상기 제 2 유동 제한기(21)는 산업 용수의 유동 방향에서 하류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공급식 수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유동 제한기는 제 1 배플(19) 및 제 2 배플(21)로서 디자인되며, 상기 제 2 배플(21)은 유동 방향에서 하류에 배열되며, 그 개구부 단면 크기는 상기 제 1 배플(19)의 개구부 단면 크기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공급식 수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배플(21)의 개구부 단면 크기는 상기 제 1 배플(19)의 개구부 단 면 크기보다 2배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공급식 수조.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력 실린더(11)의 상기 입구 개구부(13) 영역 내에 스핀-방지 부재(anti-spin element)(23)가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공급식 수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스핀-방지 부재(23)는 스핀 크로스(spin cross)(23)로서 디자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공급식 수조.
KR1020077019788A 2005-02-21 2006-02-15 산업 용수를 방류 수역에 배출하기 위한 중력-공급식 수조 KR1012603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5003663.1 2005-02-21
EP05003663A EP1693094A1 (de) 2005-02-21 2005-02-21 Kraftschlussbecken zum Ableiten von Brauchwasser in einen Vorflu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4448A true KR20070104448A (ko) 2007-10-25
KR101260363B1 KR101260363B1 (ko) 2013-05-07

Family

ID=349338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9788A KR101260363B1 (ko) 2005-02-21 2006-02-15 산업 용수를 방류 수역에 배출하기 위한 중력-공급식 수조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7824128B2 (ko)
EP (2) EP1693094A1 (ko)
JP (1) JP4474467B2 (ko)
KR (1) KR101260363B1 (ko)
CN (1) CN101142006B (ko)
DK (1) DK1858612T3 (ko)
EG (1) EG25489A (ko)
ES (1) ES2402863T3 (ko)
IL (1) IL185409A (ko)
PL (1) PL1858612T3 (ko)
SI (1) SI1858612T1 (ko)
WO (1) WO200608734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9033815B8 (de) * 2009-07-18 2011-01-05 Envi Con & Plant Engineering Gmbh Kraftschlussbecken für ein Durchlauf-Kühlsystem insbesondere in Kraftwerken
EP2287413A1 (de) * 2009-08-21 2011-02-23 Siemens Aktiengesellschaft Kraftschlussbecken
JP5715740B2 (ja) * 2011-01-28 2015-05-13 千代田化工建設株式会社 水路系の放水設備
JP5933891B2 (ja) * 2011-12-22 2016-06-15 メガ・フルイド・システムズ・インクMega Fluid Systems, Inc. 渦低減キャップ
WO2013164198A1 (de) * 2012-04-30 2013-11-07 Siemens Aktiengesellschaft Zellenkühlturm
CN104294879B (zh) * 2014-10-29 2016-02-24 中国能源建设集团广东省电力设计研究院有限公司 循环水系统及其虹吸井
CN104775398B (zh) * 2015-04-13 2016-09-21 天津大学 一种箱筒型基础虹吸廊道取水结构
CN109797810B (zh) * 2019-01-17 2024-05-07 广东省水利水电科学研究院 一种应用于高水头供水构筑物的弯管分流消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560462A (fr) * 1922-11-10 1923-10-05 Griscom Russell Co Desaérateur à contre-courant
DE3103306A1 (de) * 1981-01-31 1982-08-26 Steag Ag, 4300 Essen "belueftungsvorrichtung fuer in oberflaechenwaesser zurueckzuleitende abwaesser, insbesondere fuer die anreicherung von gebrauchswaessern mit sauerstoff"
JPS61225420A (ja) * 1985-03-29 1986-10-07 Tokyo Gas Co Ltd 水流減勢構造物
JPH0790828A (ja) 1993-09-24 1995-04-04 Hazama Gumi Ltd 放流構造
JPH07191187A (ja) 1993-12-27 1995-07-28 Nuclear Fuel Ind Ltd 発電所放水口の海水白濁抑制方法
JP2001003345A (ja) 1999-06-25 2001-01-09 Taisei Corp 放水ピットの構造
JP3831280B2 (ja) 2002-03-19 2006-10-11 Jfeスチール株式会社 排水用シールピット
US20040251566A1 (en) * 2003-06-13 2004-12-16 Kozyuk Oleg V. Device and method for generating microbubbles in a liquid using hydrodynamic cavit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824128B2 (en) 2010-11-02
EP1858612B1 (de) 2013-03-27
JP4474467B2 (ja) 2010-06-02
CN101142006B (zh) 2011-01-05
EG25489A (en) 2012-01-15
SI1858612T1 (sl) 2013-08-30
US20080190828A1 (en) 2008-08-14
EP1693094A1 (de) 2006-08-23
DK1858612T3 (da) 2013-06-24
ES2402863T3 (es) 2013-05-09
PL1858612T3 (pl) 2013-08-30
IL185409A0 (en) 2008-01-06
WO2006087349A1 (de) 2006-08-24
IL185409A (en) 2013-02-28
CN101142006A (zh) 2008-03-12
EP1858612A1 (de) 2007-11-28
KR101260363B1 (ko) 2013-05-07
JP2008530406A (ja) 2008-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0363B1 (ko) 산업 용수를 방류 수역에 배출하기 위한 중력-공급식 수조
FI70005C (fi) Vaetskebehandlingsanordning
US8087518B2 (en) Rectangular sedimentation system having self-aggregation facility
JP4022565B1 (ja) 曝気装置
US4059529A (en) Baffle for water or sewage settling tanks
EP2719442A1 (en) A flue gas purification device
KR102229904B1 (ko) 유체의 확산 성능을 향상시키는 반도체 공정용 다공판
US8757927B2 (en) Gravity-fed basin
CN208139926U (zh) 一种横流式冷却塔的外接管播水盖
JP4257024B2 (ja) 深槽曝気槽の硝化担体循環方法
JP2008073615A (ja) 曝気撹拌方法
RU2315653C1 (ru) Вертикальный вихревой смеситель
RU2715844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абсорбции отдельных компонентов в газах
JP4777277B2 (ja) 曝気機
KR101519783B1 (ko) 거품 분리를 위한 우회유동을 갖는 거품저감 배수로 구조물
US2616565A (en) Apparatus for treating sewage
CN220116343U (zh) 一种便于水气固分离的污水处理反应器
KR102503122B1 (ko) 습식 가스세정모듈
KR20230130380A (ko) 미세 버블 발생 노즐 및 이를 이용한 대용량 미세 버블 발생 장치
CN108367947B (zh) 用于电化学处理水的电化学反应器、水处理装置以及所述电化学反应器的使用
JPS5843997Y2 (ja) 貯水池などのエアレ−タ
JP3812650B2 (ja) 好気性処理槽
JP3453358B2 (ja) 担体生物処理槽
JP3854126B2 (ja) 減勢工
JPS60195211A (ja) 空中放流衝撃型減勢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