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00327A - 공구 언클램프 장치 - Google Patents

공구 언클램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00327A
KR20070100327A KR1020077017048A KR20077017048A KR20070100327A KR 20070100327 A KR20070100327 A KR 20070100327A KR 1020077017048 A KR1020077017048 A KR 1020077017048A KR 20077017048 A KR20077017048 A KR 20077017048A KR 20070100327 A KR20070100327 A KR 200701003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l
eccentric cam
power
auxiliary power
power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70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32878B1 (ko
Inventor
이치로 기타우라
요시히로 마치다
Original Assignee
파스칼 엔지니어링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스칼 엔지니어링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파스칼 엔지니어링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1003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03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28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28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31/00Chucks; Expansion mandrels; Adaptations thereof for remote control
    • B23B31/02Chucks
    • B23B31/24Chuck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primarily to remote control of the gripping means
    • B23B31/26Chuck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primarily to remote control of the gripping means using mechanical transmission through the working-spindle
    • B23B31/261Chuck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primarily to remote control of the gripping means using mechanical transmission through the working-spindle clamping the end of the toolholder shan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60/00Details of constructional elements
    • B23B2260/02Ca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79/00Chucks or sockets
    • Y10T279/34Accessory or component
    • Y10T279/3481Tool or workpiece ejec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8/00Cutting by use of rotating axially moving tool
    • Y10T408/94Tool-support
    • Y10T408/95Tool-support with tool-retain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9/00Gear cutting, milling, or planing
    • Y10T409/30Milling
    • Y10T409/309352Cutter spindle or spindle support
    • Y10T409/309408Cutter spindle or spindle support with cutter holder
    • Y10T409/309464Cutter spindle or spindle support with cutter holder and draw b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ripping On Spindles (AREA)
  • Turning (AREA)
  • Constituent Portions Of Griding Lathes, Driving, Sensing And Control (AREA)

Abstract

공구 언클램프 장치 (1) 는, 공작 기계의 주축에 클램프된 공구를 언클램프 상태로 하는 것이 가능한 장치로서, 케이싱 (2) 과, 그 케이싱 (2) 에 설치되고 상기 공구를 언클램프 상태로 할 때에 필요한 동력을 출력할 수 있는 출력축 (11) 과, 출력축 (11) 을 구동하기 위한 동력을 제공할 수 있는 동력원으로서의 모터 (3) 와, 모터 (3) 로부터의 동력을 출력축 (11) 에 전달하는 동력 전달 기구와, 그 동력 전달 기구에 보조 동력을 제공할 수 있는 보조 동력원으로서의 가스 실린더 (4) 를 구비한다.

Description

공구 언클램프 장치{TOOL UNCLAMPING DEVICE}
본 발명은 공구 언클램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특정적으로는, 공작 기계의 주축 (主軸) 에 장착한 공구를 교환할 때에, 주축에 클램프된 공구를 풀어 언클램프 상태로 하는 것이 가능한 공구 언클램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공구를 수납한 공구 매거진이나 자동적으로 공구를 교환 가능한 공구 교환 장치를 구비한 공작 기계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공작 기계의 주축은, 당해 주축에 장착된 공구를 공구 교환 장치에 의해서 자동적으로 교환할 수 있도록 공구를 자동적으로 착탈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고 있다.
공작 기계의 주축에 장착된 공구를 교환할 때에는 공작 기계의 주축으로부터 공구를 풀어야 하는데, 그 때에 공구 착탈 장치가 사용된다. 이 공구 착탈 장치의 일례가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6-63806호에 기재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6-63806호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6-63806호에 기재된 공구 착탈 장치에서는, 전동 모터에 의해 캠을 회전시켜서 기계적으로 드로우 바를 밀어 내려 공구 홀더를 해방시키고 있기 때문에, 유압 실린더를 사용하여 드로우 바를 구동하는 경우와 비교하면 응답성이 양호하고 고속 동작도 가능해진다.
그러나, 전동 모터로부터의 구동력만으로 드로우 바를 구동하기 위해서는 고출력이 가능한 대형 모터를 사용할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모터의 설치 위치 자유도가 저하될 뿐만 아니라, 공구 착탈 장치가 대형화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즉, 종래의 공구 착탈 장치에는 하나의 구동원으로부터의 동력만을 사용하여 공구 홀더를 해방시키고 있었기 때문에, 구동원의 설치 위치 자유도가 저하될 뿐만 아니라, 공구 착탈 장치 자체도 대형화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고출력이면서 컴팩트화가 가능한 공구 언클램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에 관련된 공구 언클램프 장치는, 공작 기계의 주축에 클램프된 공구를 언클램프 상태로 할 수 있는 공구 언클램프 장치로서,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에 설치되고 공구를 언클램프 상태로 할 때에 필요한 동력을 출력할 수 있는 출력축과, 출력축을 구동하기 위한 동력을 제공할 수 있는 동력원과, 동력원으로부터의 동력을 출력축에 전달하는 동력 전달 기구와, 상기 동력 전달 기구에 보조 동력을 제공할 수 있는 보조 동력원을 구비한다.
상기 동력원은, 바람직하게는 기계적인 힘을 동력으로서 제공할 수 있는 요소인 모터를 포함한다. 한편, 보조 동력으로서 기계적인 힘을 제공할 수도 있지만, 기계적인 힘 이외의 힘을 제공해도 된다. 또한, 보조 동력의 크기는 전형적으로는 동력원으로부터의 동력보다 작은 것이지만, 동력원으로부터의 동력과 동등한 크기이어도 된다.
상기 보조 동력원은, 바람직하게는 보조 동력으로서, 유체로부터의 압력, 탄성 부재로부터의 탄성력 및 전자기력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힘을 동력 전달 기구에 제공한다. 상기 보조 동력원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내부에 수용된 가스로부터의 압력을 동력 전달 기구에 제공하는 가스 실린더를 포함한다.
상기 동력 전달 기구는 바람직하게는, 동력원으로부터의 동력에 의해 회전 구동되어 출력축을 가압하거나 함으로써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출력축을 왕복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한 편심 캠과, 그 편심 캠과 동축으로 형성된 크랭크 아암과, 그 크랭크 아암에 형성된 연결 핀 등의 연결 부재와, 그 연결 부재를 통해서 크랭크 아암과 기계적으로 접속되고 회전 운동 가능한 레버를 갖는다. 이 경우, 그 레버에 보조 동력원으로부터의 보조 동력을 작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레버 이외의 동력 전달 기구 내의 요소에 보조 동력원으로부터의 보조 동력을 작용시키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상기 레버에 분기부를 형성하고, 그 분기부에 보조 동력원으로부터의 보조 동력을 작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레버에 연결 부재를 수용하는 오목부를 형성해도 된다. 이 경우, 그 오목부는, 공구를 클램프할 때 연결 부재를 수용하는 제 1 부분과, 그 제 1 부분의 연장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공구를 언클램프 상태로 할 때에 연결 부재를 수용하는 제 2 부분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동력 전달 기구는 바람직하게는, 출력축을 가압하는 제 1 편심 캠과, 그 제 1 편심 캠과 동축 또는 상이한 축 상에 형성되고 보조 동력원으로부터의 보조 동력을 제 1 편심 캠에 전달하는 제 2 편심 캠을 포함한다. 또한, 동력 전달 기구는, 보조 동력원과 제 2 편심 캠 사이에 회전 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중앙부에 가압부를 갖는 레버를 포함하는 것이어도 된다. 이 경우, 레버의 선단부에 보조 동력원으로부터의 보조 동력을 작용시켜, 가압부를 통해서 제 2 편심 캠에 보조 동력을 작용시키도록 한다. 제 2 편심 캠의 표면에 가압부의 일부를 수용하는 오목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관련된 공구 언클램프 장치는 동력원과 보조 동력원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이들 동력원으로부터의 동력을 이용할 수 있다. 그것으로 인해 고출력이 가능한 대형의 단일 동력원을 사용할 필요가 없어져서, 동력원의 설치 위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음과 함께 각 동력원을 소형화할 수도 있다. 그 결과, 고출력이면서 컴팩트화된 공구 언클램프 장치가 얻어진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공구 언클램프 장치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 평면도이다.
도 2 는 도 1 에 나타내는 공구 언클램프 장치의 부분 단면 측면도이다.
도 3 은 도 1 에 나타내는 공구 언클램프 장치를 사용 가능한 공작 기계의 주축과 그 근방의 구조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 는 도 1 에 나타내는 공구 언클램프 장치에 있어서의 언클램프 동작의 제 1 단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는 도 1 에 나타내는 공구 언클램프 장치에 있어서의 언클램프 동작의 제 2 단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은 도 1 에 나타내는 공구 언클램프 장치에 있어서의 언클램프 동작의 제 3 단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은 도 1 에 나타내는 공구 언클램프 장치에 있어서의 클램프 동작의 제 1 단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은 도 1 에 나타내는 공구 언클램프 장치에 있어서의 클램프 동작의 제 2 단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는 도 1 에 나타내는 공구 언클램프 장치에 있어서의 클램프 동작의 제 3 단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 은 가스 실린더의 구조예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11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공구 언클램프 장치의 일부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 정면도이다.
도 12 는 도 11 에 나타내는 공구 언클램프 장치의 일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3 은 도 12 에 나타내는 구조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4 는 도 11 에 나타내는 공구 언클램프 장치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 : 공구 언클램프 장치
2, 4a : 케이싱
3 : 모터
3a : 구동축
4 : 가스 실린더
4b : 가스 수용 공간
4c : 가압부
5, 6a, 7 : 기어
6, 8a : 회전축
8 : 편심 캠
9, 13, 30, 39 : 캠 종동자
10, 34 : 코일 스프링
11 : 출력축
11a : 확경부
11b : 오목부
11c : 다리부
12, 31 : 레버
12a : 분기부
12b, 40a, 40b : 오목부
12b1 : 제 1 부분
12b2 : 제 2 부분
14, 38 : 축부
15 : 연결 핀
16 : 크랭크 아암
17 : 돌출벽부
18 : 주축
19 : 드로우 바(draw bar)
20 : 주축 헤드
21 : 접시 스프링
22 : 콜릿 (collet)
23 : 풀 스터드 (pull stud)
24 : 공구 홀더
25 : 공구
26 : 볼
27 : 오목부
28, 29 : 화살표
32 : 보조 편심 캠
33 : 프레임
35 : 플레이트
36 : 지지 볼트
37 : 가압부
41 : 유지 부재
42 : 지지 부재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도 1 ∼ 도 10 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공구 언클램프 장치의 부분 단면 평면도이고, 도 2 는 본 실시형태에서의 공구 언클램프 장치의 특징적인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 측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의 공구 언클램프 장치는, 공작 기계의 주축에 장착된 공구를 클램프 상태로부터 언클램프 상태로 할 수 있는 장치로서, 전형적으로는 출력부부로부터 출력되는 힘을 다른 부재에 제공함으로써, 공작 기계의 주축에 장착된 공구를 클램프 상태로부터 언클램프 상태로 하는 기능을 갖는 장치이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의 공구 언클램프 장치 (1) 는, 케이싱 (2) 과, 그 케이싱 (2) 에 설치되고 공구를 클램프 상태로부터 언클램프 상태로 할 때에 필요한 동력을 출력할 수 있는 출력축 (11) 과, 출력축 (11) 을 구동하기 위한 동력을 제공할 수 있는 모터 (동력원) (3) 와, 모터 (3) 로부터의 동력을 출력축 (11) 에 전달하는 동력 전달 기구와, 동력 전달 기구에 보조 동력을 제공할 수 있는 가스 실린더 (보조 동력원) (4) 를 구비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공구 언클램프 장치 (1) 는, 동력원으로서의 모터 (3) 와, 보조 동력원으로서의 가스 실린더 (4) 를 구비하고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의 공구 언클램프 장치 (1) 는 복수의 동력원을 구비하게 된다. 그 때문에 복수의 동력원으로부터의 동력을 이용할 수 있어, 고출력이 가능한 대형의 단일 동력원을 사용할 필요가 없어진다. 그 결과, 동력원인 모터 (3) 나 가스 실린더 (4) 의 설치 위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음과 함께, 모터 (3) 나 가스 실린더 (4) 자체를 소형화할 수도 있다. 그 결과, 고출력이면서 또한 컴팩트화된 공구 언클램프 장치 (1) 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동력원으로서 기계적인 힘을 발생 가능한 모터 (3) 를 사용함으로써, 유압을 동력으로서 사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각종 배관, 밸브, 탱크 등의 설비가 불필요해지므로, 설비를 간소화 및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응답성도 향상시킬 수 있어, 오일이 누출되는 문제도 피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보조 동력원으로서의 가스 실린더 (4) 를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모터 (3) 로는 비교적 소형인 400W 의 기어 모터를 사용할 수 있다. 이 모터는 컴팩트하고 또한 경량이기 때문에, 주축 유닛 상에 모터 (3) 를 설치할 수 있다. 그 모터 (3) 는, 구동축 (3a) 을 갖고, 그 구동축 (3a) 의 외주에는 기어가 형성되어 있다.
동력 전달 기구는, 회전축 (6) 과, 회전축 (8a) 과, 편심 캠 (8) 과, 캠 종 동자 (9) 와, 레버 (12) 와, 회전축 (14) 과, 캠 종동자 (13) 와, 연결 핀 (연결 부재) (15) 과, 크랭크 아암 (16) 을 갖는다.
회전축 (6) 은, 모터 (3) 로부터의 동력을 회전축 (8a) 에 전달한다. 그 회전축 (6) 은, 모터 (3) 의 구동축 (3a) 외주에 형성된 기어와 맞물리는 기어 (감속 기어) (5) 를 일단에 갖고, 타단에서는 기어 (6a) 를 갖는다. 회전축 (8a) 은, 회전축 (6) 의 타단에 형성된 기어 (6a) 와 맞물리는 기어 (7) 와, 편심 캠 (8) 을 갖는다.
편심 캠 (8) 은, 모터 (3) 로부터의 동력에 의해 회전 구동되어 출력축 (11) 을 가압해서 왕복 이동시킨다. 그 편심 캠 (8) 은, 상대적으로 반경이 큰 대직경부 (직경 방향 외측으로 팽출되는 팽출부 : 가압부) 와 상대적으로 반경이 작은 소직경부를 갖고 있고, 대직경부에서 출력축 (11) 을 가압함으로써 출력축 (11) 을 하방을 향하여 전진시킬 수 있고, 소직경부가 출력축 (11) 상에 위치하였을 때에, 출력축 (11) 을 상방을 향하여 후퇴시킬 수 있다. 도 1 의 예에서는, 편심 캠 (8) 과 출력축 (11) 은 접속 기구를 통해서 기계적으로 접속되고, 그 접속 기구를 통해서 편심 캠 (8) 에 의해 간접적으로 가압됨으로써 출력축 (11) 이 진퇴 (왕복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는데, 편심 캠 (8) 에 의해 직접 출력축 (11) 을 가압하여 왕복 이동시켜도 된다. 편심 캠 (8) 과 출력축 (11) 을 기계적으로 접속하는 접속 기구로는, 편심 캠 (8) 과 출력축 (11) 사이에서 동력을 전달 가능한 다양한 요소를 채용할 수 있으며, 도 1 의 예에서는, 상기 접속 기구의 일부로서 캠 종동자 (9) 가 설치되어 있다. 그 캠 종동자 (9) 는, 편심 캠 (8) 과 출력축 (11) 사이에 설치되고, 축부와, 그 축부 외주에 장착되며 회전이 가능한 링형상 부재를 포함한다.
도 1 및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레버 (12) 는, 축부 (14) 주위에 회전 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고, 연결 핀 (15) 을 수용하는 오목부 (12b) 를 갖는다. 그 오목부 (12b) 는 굴곡된 형상이며, 제 1 과 제 2 부분 (12b1, 12b2) 을 갖는다. 제 1 과 제 2 부분 (12b1, 12b2) 은 모두 직선 형상이고, 제 2 부분 (12b2) 은 제 1 부분 (12b1) 의 연장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이 제 1 과 제 2 부분 (12b1, 12b2) 이 이루는 각도 (θ) 는, 예를 들어 150 도 정도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오목부 (12b) 를 굴곡 형상으로 함으로써, 공구의 클램프 동작시와 언클램프 동작시에 연결 핀 (15) 을 적절한 위치로 안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공구의 클램프 동작시에는 제 1 부분 (12b1) 내에 연결 핀 (15) 을 수용하여, 그 제 1 부분 (12b1) 을 따라서 연결 핀 (15) 를 이동시킬 수 있고, 공구의 언클램프 동작시에는 연결 핀 (15) 을 제 2 부분 (12b2) 내에 수용하여, 그 제 2 부분 (12b2) 을 따라서 연결 핀 (15) 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 도 1 및 도 2 의 예에서는, 레버 (12) 에 연결 핀 (15) 이 수용되는 오목부 (12b) 를 형성하는 경우에 관해서 설명하였지만, 오목부 (12b) 대신에 관통구멍을 형성할 수도 있다.
레버 (12) 는,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분기부 (돌출부) (12a) 를 갖는다. 그 분기부 (12a) 는, 레버 (12) 본체로부터 돌출하도록 형성되고, 선단부 근방에 캠 종동자 (13) 를 갖는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 분기부 (12a) 에 가 스 실린더 (4) 로부터의 보조 동력을 작용시키고 있다. 그러나, 레버 (12) 에 있어서의 분기부 (12a) 이외의 장소에 보조 동력을 작용시키는 방법도 있을 수 있다. 또한, 동력 전달 기구 내의 요소로서 레버 (12) 이외의 요소에 가스 실린더 (4) 로부터의 보조 동력을 작용시키는 방법도 있을 수 있다.
크랭크 아암 (16) 은, 편심 캠 (8) 과 동축으로 형성되고, 그 크랭크 아암 (16) 에 상기의 연결 핀 (15) 이 설치된다. 이 연결 핀 (15) 을 통해서 크랭크 아암 (16) 과 레버 (12) 가 기계적으로 접속된다. 도 1 및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결 핀 (15) 은, 크랭크 아암 (16) 에 설치된 축부의 외주에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된 링형상 부재로 구성된다. 또, 크랭크 아암 (16) 과 레버 (12) 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의 일례로서 연결 핀 (15) 을 들 수 있는데, 크랭크 아암 (16) 과 레버 (12) 를 연결할 수 있는 요소라면 연결 핀 (15) 이외의 각종 요소를 채용할 수 있다.
동력 전달 기구에 가해지는 보조 동력으로는 기계적인 힘이어도 되지만, 기계적인 힘 이외의 힘을 제공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보조 동력원으로서의 가스 실린더 (4) 를 설치하여, 기체로부터의 압력을 보조 동력으로서 동력 전달 기구에 작용시키고 있다. 이 가스 실린더 (4) 의 구조예를 도 10 에 나타낸다.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스 실린더 (4) 는, 케이싱 (4a) 과, 가스 수용 공간 (4b) 과, 가압부 (4c) 를 구비한다. 가스 수용 공간 (4b) 내에는, 예를 들어 질소 가스 등의 가스를 충전한다. 이 가스의 초기 충전 압력은 예를 들어 3 ∼ 14Mpa 정도로 할 수 있다. 가압부 (4c) 는 진퇴 (왕복 이동) 가 가 능하도록 케이싱에 장착되고, 가압부 (4c) 의 스트로크량에 따른 소망하는 쿠션력이 얻어진다. 이 가스 실린더 (4) 로는, 높이 50㎜ ∼ 200㎜ 정도, 폭 30㎜ ∼ 40㎜ 정도, 질량 0.2㎏ ∼ 1㎏ 정도의 소형이면서 경량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보조 동력으로는, 상기한 바와 같은 유체로부터의 압력 이외에, 탄성 부재로부터의 탄성력이나 전자기력, 혹은 이들을 조합한 힘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스 실린더 (4) 대신에 스프링 등의 탄성 부재를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가스 실린더 (4) 등으로부터 얻어지는 보조 동력의 크기는 전형적으로는 모터 (3) 로부터의 동력보다 작지만, 모터 (3) 로부터의 동력과 동등한 정도의 크기로 해도 된다.
출력축 (11) 은, 도 1 및 도 2 의 예에서는, 케이싱 (2) 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된 돌출벽부 (17) 에 진퇴 (왕복 이동) 가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돌출벽부 (17) 는 내부에 스프링 수용 공간을 형성하도록 케이싱 (2) 으로부터 돌출되어 있고, 그 돌출벽부 (17) 의 내부에 코일 스프링 (10) 등의 탄성 부재가 설치된다. 보다 자세하게는, 코일 스프링 (10) 은, 출력축 (11) 의 일단에 형성된 확경부 (베이스부) (11a) 와, 돌출벽부 (17) 에 있어서 굴곡된 선단부 사이에 설치되어서, 출력축 (11) 을 케이싱 (2) 의 내측으로 상시 탄성 지지한다.
다음으로, 도 3 을 사용하여, 실제로 공구를 클램프한 상태의 공작 기계의 주축과 그 근방 구조의 일례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한 공구 언클램프 장치 (1) 의 출력축 (11) 바로 아래에 후술하는 드로우 바 (19) 가 위치하도록, 공작 기계의 주축 유닛 은 공구 언클램프 장치 (1) 의 하방에 배치된다.
공작 기계의 주축 (18) 은 중공 (中空) 구조를 갖고 있으며, 주축 헤드 (20) 에 삽입 통과된다. 그 주축 (18) 의 외주면과 주축 헤드 (20) 의 내주면 사이에는 베어링을 설치하고, 주축 (18) 은 그 베어링에 지지된다.
주축 (18) 내에 드로우 바 (19) 를 삽입하고, 드로우 바 (19) 주위에는 복수의 접시 스프링 (21) 을 설치한다. 이 접시 스프링 (21) 에 의해서, 드로우 바 (19) 를 항상 상방 (공구 언클램프 장치 (1) 측) 으로 탄성 지지할 수 있다. 드로우 바 (19) 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고, 공구 언클램프 장치 (1) 의 출력축 (11) 을 하방으로 이동시켜 가압함으로써 하방으로 구동되고, 출력축 (11) 을 상승시킴으로써 접시 스프링 (21) 의 부세력 (탄성력) 에 의해 상방으로 구동할 수 있다.
드로우 바 (19) 의 하단에는 콜릿 (22) 을 설치한다. 도 3 의 예에서는, 콜릿 (22) 에 볼 (26) 을 장착하고 있다. 주축 (18) 의 내주면에는 오목부 (27) 를 형성하고, 공구 언클램프 장치 (1) 의 출력축 (11) 으로 드로우 바 (19) 를 가압하여 하방으로 이동시켰을 때에 콜릿 (22) 의 선단부를 오목부 (27) 내에 수용 가능하게 한다. 콜릿 (22) 의 선단부가 오목부 (27) 내로 이동하면, 콜릿 (22) 의 선단부가 열림과 함께, 콜릿 (22) 에 유지된 볼 (27) 은 외측으로 이동한다. 그것에 의해서 공구의 클램프 상태가 해제되어, 공구의 언클램프 상태가 실현된다.
주축 (18) 의 내주면의 하단부에는 테이퍼부를 형성하고, 이 테이퍼부에 맞 닿은 상태에서,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공구 홀더 (24) 를 주축 (18) 에 유지할 수 있다. 공구 홀더 (24) 는 풀 스터드 (23) 를 갖고 있고, 이 풀 스터드 (23) 의 선단부를 상기 콜릿 (22) 으로 클램프하여 유지할 수 있다. 공구 홀더 (24) 에는 공구 (25) 가 유지된다.
다음으로, 도 4 ∼ 도 9 를 사용하여, 상기한 구성을 갖는 공구 언클램프 장치 (1) 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공구 (25) 를 언클램프할 때의 동작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2 에 나타내는 초기 상태로부터 모터 (3) 를 작동시켜서, 동력 전달 기구를 통해서 편심 캠 (8) 을 도 4 에 나타내는 화살표 (28) 에 따르는 방향으로 조금 회전 구동한다. 언클램프 동작은, 도 2 에 나타내는 초기 상태로부터 편심 캠 (8) 을 조금 회전시킨 도 4 에 나타내는 상태에서부터 시작할 수 있다.
도 4 에 나타내는 상태에서 추가로 모터 (3) 를 작동시켜,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편심 캠 (8) 을 화살표 (28) 에 따르는 방향으로 회전 구동한다. 이 때, 가스 실린더 (4) 로부터의 가압력 (보조 동력) 이 가압부 (4c) 및 캠 종동자 (13) 를 통해서 레버 (12) 의 분기부 (12a) 에 작용하고 있는데, 당해 가압력에 의해 연결 핀 (15) 에 화살표 (29) 로 나타내는 방향의 힘을 작용시킬 수 있다. 이 화살표 (29) 로 나타내는 방향의 힘은, 도 4 및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살표 (28) 로 나타낸 방향과 같은 방향의 성분을 갖고 있기 때문에, 가스 실린더 (4) 로부터의 가압력 (보조 동력) 에 의해, 연결 핀 (15) 에 대하여, 화살표 (28) 로 나타내는 방향과 같은 방향의 힘을 작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즉, 모터 (3) 로부터의 동력과 가스 실린더 (4) 로부터의 보조 동력, 쌍방에 의해 편심 캠 (8) 을 화살표 (28) 에 따르는 방향으로 회전 구동할 수 있다. 그 결과,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출력축 (11) 을 도 4 의 상태보다 하방으로 돌출시킬 수 있다.
그 후,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터 (3) 로부터의 동력과, 가스 실린더 (4) 로부터의 보조 동력의 쌍방에 의해서 편심 캠 (8) 을 좀더 화살표 (28) 의 방향으로 회전 구동시켜, 출력축 (11) 을 도 5 의 상태보다도 더 하방으로 돌출시킨다. 이 때, 가스 실린더 (4) 의 가압부 (4c) 는, 도 5 의 상태보다 더욱 돌출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출력축 (11) 을 하방으로 돌출시킴으로써, 출력축 (11) 에 의해 도 3 에 나타내는 주축 (18) 내의 드로우 바 (19) 를 하방으로 가압할 수 있고, 접시 스프링 (21) 로부터의 부세력 (탄성력) 에 저항하여 드로우 바 (19) 를 소정량만큼 하강시킬 수 있다. 그것에 의해, 콜릿 (22) 의 선단부를 도 3 에 나타내는 오목부 (27) 내로 이동시킬 수 있어, 콜릿 (22) 에 의한, 공구 홀더 (24) 에 있어서의 풀 스터드 (23) 의 클램프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그 결과, 공구 홀더 (24) 에 유지된 공구 (25) 를 언클램프 상태로 할 수 있어, 공구 (25) 를 교환할 수 있다.
다음으로, 공구 (25) 의 언클램프 상태를 해제하여 클램프 상태로 이행할 때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6 에 나타내는 상태에서 추가로 모터 (3) 를 작동시켜 편심 캠 (8) 을 화 살표 (28) 의 방향으로 회전 구동하면, 도 7 에 나타내는 상태가 된다. 이 상태로부터 공구 (25) 의 클램프 동작을 시작할 수 있다.
도 7 에 나타내는 상태에서 추가로 모터 (3) 를 작동시켜,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편심 캠 (8) 을 화살표 (28) 에 따르는 방향으로 회전 구동한다. 이 단계에서도, 가스 실린더 (4) 로부터의 가압력 (보조 동력) 이 가압부 (4c) 및 캠 종동자 (13) 를 통해서 레버 (12) 의 분기부 (12a) 에 작용하고 있는데, 당해 가압력에 의해 연결 핀 (15) 에 작용하는 힘은, 도 7 및 도 8 에 있어서 화살표 (29) 로 나타나는 바와 같이, 모터 (3) 로부터 얻어지는 화살표 (28) 방향의 힘과는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게 된다.
그러나, 모터 (3) 로부터 얻어지는 동력을 가스 실린더 (4) 로부터의 가압력 (보조 동력) 보다 큰 값으로 함으로써, 편심 캠 (8) 을 화살표 (28) 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회전 구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클램프 동작시에는, 출력축 (11) 을 코일 스프링 (10) 으로부터의 부세력에 저항하여 하강시킬 수 있는 큰 동력이 필요하지는 않고, 편심 캠 (8) 을 회전 구동하기에 필요한 동력은 언클램프 동작의 경우와 비교하여 작은 것으로 충분하다. 따라서, 모터 (3) 로부터의 동력만으로 편심 캠 (8) 을 화살표 (28) 에 따르는 방향으로 회전 구동할 수 있다. 그 결과,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편심 캠 (8) 에 있어서의 대직경부 (직경 방향 외측으로 팽출되는 팽출부 : 가압부) 가 캠 종동자 (9) 로부터 멀어지게 되고, 주로 코일 스프링 (10) 의 부세력에 의해서 출력축 (11) 을 도 7 의 상태보다 상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 때, 가스 실린더 (4) 의 가압부 (4c) 는, 도 7 의 상태보다 가스 실린더 (4) 의 케이싱 안으로 밀려 들어가게 된다.
그 후,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로 모터 (3) 로부터의 동력에 의해서 편심 캠 (8) 을 좀더 화살표 (28) 의 방향으로 회전 구동한다. 그것에 의하여, 출력축 (11) 을 도 8 의 상태보다 더 상방으로 이동시킴과 함께, 가스 실린더 (4) 의 가압부 (4c) 를, 도 8 의 상태보다 더 가스 실린더 (4) 의 케이싱 안으로 밀어 넣을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출력축 (11) 을 상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출력축 (11) 으로부터의 하방으로의 가압력이, 도 3 에 나타내는 주축 (18) 내의 드로우 바 (19) 에 부여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그것에 의하여, 접시 스프링 (21) 의 부세력에 의해서 드로우 바 (19) 를 상승시킬 수 있어, 콜릿 (22) 의 선단부를 도 3 에 나타내는 오목부 (27) 내로부터 들어 올릴 수 있다. 그 결과, 콜릿 (22) 에 의해서 공구 홀더 (24) 에 있어서의 풀 스터드 (23) 를 클램프할 수 있어, 공구 홀더 (24) 와 함께 공구 (25) 를 주축 (18) 에 유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1 ∼ 도 14 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와 그 변형예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11 은 이 밖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공구 언클램프 장치 (1) 의 부분 단면도이고, 도 12 는 도 11 에 나타내는 공구 언클램프 장치 (1) 의 케이싱 (2) 을 측방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공구 언클램프 장치 (1) 는, 케이싱 (2) 과, 모터 (3) 와, 가스 실린더 (4) 와, 프레임 (33) 과, 주축 (18) 과, 드로우 바 (19) 와, 주축 헤드 (20) 와, 접시 스프링 (21) 을 구비한다.
케이싱 (2) 내에는, 동력 전달 기구로서 기능하는 각종 요소가 조립 장착된다. 구체적으로는, 케이싱 (2) 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축 (8a) 과, 이 회전축 (8a) 의 외주 상에 설치되는 편심 캠 (제 1 편심 캠 : 판 캠) (8) 및 보조 편심 캠 (제 2 편심 캠 :판 캠) (32) 과, 레버 (31) 와, 그 레버 (31) 에 설치되는 캠 종동자 (30, 39) 와, 편심 캠에 가압되고, 출력축 (11) 에 유지되는 캠 종동자 (9) 가, 케이싱 (2) 내에 설치된다.
편심 캠 (8) 및 보조 편심 캠 (32) 은, 회전축 (8a) 과 함께 회전한다. 도 11 의 예에서는 편심 캠 (8) 과 보조 편심 캠 (32) 이 일체화되어 있지만, 편심 캠 (8) 과 보조 편심 캠 (32) 을 별체로 해도 된다. 또, 도 11 의 예에서는 편심 캠 (8) 과 보조 편심 캠 (32) 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갖고 있지만 (윤곽 곡선이 실질적으로 동일), 편심 캠 (8) 의 형상과 보조 편심 캠 (32) 의 형상을 상이하게 해도 된다. 나아가, 편심 캠 (8) 과 보조 편심 캠 (32) 의 크기를 다르게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편심 캠 (8) 과 보조 편심 캠 (32) 을 서로 닮은 형상으로 해도 된다. 또, 도 11 의 예에서는 편심 캠 (8) 과 보조 편심 캠 (32) 의 각 회전각에 있어서의 변위량이 일치하고 있지만, 편심 캠 (8) 과 보조 편심 캠 (32) 의 각 회전각에 있어서의 변위량이 상이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 도 11 의 예에서는 편심 캠 (8) 과 보조 편심 캠 (32) 을 같은 축에 형성하고 있지만, 이들을 각각 다른 회전축에 형성하고, 각 회전축끼리를 기어 등을 통해서 접속하여, 서로 동력을 전달 가능하게 해도 된다.
레버 (31) 는, 도 11 및 도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축부 (38) 를 통해서 회전 운동 가능하게 케이싱 (2) 내에 설치되며, 1 조의 판상 부재를 조합하여 구성된다. 이 레버 (31) 는, 가스 실린더 (4) 와 보조 편심 캠 (32)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고, 선단부에 캠 종동자 (30) 를 갖고, 중앙부에 캠 종동자 (39) 를 갖는다. 또, 이 「중앙부」란, 본원 명세서에서는, 레버 (31) 에 있어서 그 선단부와 축부 (38)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을 말한다.
캠 종동자 (30) 는, 가스 실린더 (4) 의 가압부에 의해 가압되는 부분으로, 레버 (31) 의 보조 동력 작용부로서 기능한다. 따라서, 가스 실린더 (4) 의 가압부에 의해 가압 가능하다면, 캠 종동자 (30) 이외의 임의의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한편, 캠 종동자 (39) 는, 보조 편심 캠 (32) 을 가압함으로써 가스 실린더 (4) 로부터의 보조 동력을 보조 편심 캠 (32) 에 전달하는 가압부로서 기능한다. 따라서, 당해 기능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라면, 캠 종동자 (39) 이외의 임의의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캠 종동자 (39) 의 설치 위치는, 도 12 의 예에서는 레버 (31) 의 대략 중앙부이지만, 축부 (38) 와 캠 종동자 (30) 사이이면 되고, 축부 (38) 와 캠 종동자 (30) 중 어느 일방의 근처의 위치에 설치해도 된다. 이와 같이, 축부 (38) 와 캠 종동자 (30) 사이에 캠 종동자 (39) 를 배치함으로써, 가스 실린더 (4) 로부터 출력되는 보조 동력이 비교적 작은 값이더라도, 큰 보조 동력을 보조 편심 캠 (32) 에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는, 캠 종동자 (39) 는 축부 (38) 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도 11 의 예에서는, 편심 캠 (8) 은, 캠 종동자 (9) 를 통해서 출력축 (11) 을 가압한다. 이 출력축 (11) 은, 오목부 (11b) 와 다리부 (11c) 를 갖고, 프레임 (33) 에 삽입 통과된다. 다리부 (11c) 에는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그 관통구멍에 플레이트 (35) 를 수용한다. 플레이트 (35) 는 프레임 (33) 에 고정되고, 그 프레임 (33) 은 지지 볼트 (36) 를 통해서 주축 헤드 (20) 에 지지된다. 상기 플레이트 (35) 에는 오일 통로를 형성하여, 드로우 바 (19) 의 내부를 통해서 주축 (18) 안으로 오일을 공급할 수 있게 한다.
출력축 (11) 의 오목부 (11b) 내에는 지지 부재 (42) 가 설치되어 있고, 이 지지 부재 (42) 도 관통하도록 플레이트 (35) 가 설치된다. 지지 부재 (42) 와 출력축 (11) 사이에 코일 스프링 (34) 을 설치하여, 지지 부재 (42) 가 코일 스프링 (34) 의 일단을 지지하고, 코일 스프링 (34) 에 의해서 출력축 (11) 을 편심 캠 (8) 측으로 탄성 지지한다.
출력축 (11) 의 다리부 (11c) 에 형성한 관통구멍의 폭 (출력축 (11) 의 축 방향의 폭 : 도 11 에서의 상하 방향의 폭) 은 플레이트 (35) 의 두께보다 크기 때문에, 출력축 (11) 은 축 방향 (도 11 에서의 상하 방향) 으로 이동이 가능해진다. 또한, 다리부 (11c) 의 선단에는 가압부 (37) 가 설치되고, 그 가압부 (37) 에 의해서 드로우 바 (19) 를 가압할 수 있다. 상기 이외의 구성에 관해서는 전술한 실시형태의 경우와 대체로 동일하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에서의 공구 언클램프 장치 (1) 의 동작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11 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모터 (3) 를 작동시켜서, 동력 전달 기구를 통해 편심 캠 (8) 과 보조 편심 캠 (32) 을 도 12 에 나타내는 화살표에 따르는 방향으로 회전 구동한다. 그것에 의하여, 캠 종동자 (9) 를 통해서 출력축 (11) 을 가압할 수 있다. 이 때, 보조 편심 캠 (32) 에는 가스 실린더 (4) 로부터의 가압력이 레버 (31) 의 캠 종동자 (30) 를 통해서 작용하고 있고, 당해 가압력에 의해서도 보조 편심 캠 (32) 은 회전 구동된다. 이것이 보조 토크가 되어, 모터 (3) 로부터의 회전 토크와 보조 토크의 쌍방에 의해서 출력축 (11) 을 가압할 수 있다. 그것에 의하여, 출력축 (11) 을 도 11 에 있어서 하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가압부 (37) 를 통해서 드로우 바 (19) 를 하방으로 가압할 수 있다.
그리고, 접시 스프링 (21) 으로부터의 부세력 (탄성력) 에 저항하여 드로우 바 (19) 를 소정량만큼 하강시키면, 콜릿 (도시 생략) 의 선단부를 오목부 내로 이동시켜서 열리도록 할 수 있어, 콜릿에 의한, 공구 홀더에 있어서의 풀 스터드의 클램프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그 결과, 공구 홀더에 유지된 공구를 언클램프 상태로 할 수 있어, 공구를 교환할 수 있다.
상기의 상태에서 추가로 모터 (3) 를 작동시켜 편심 캠 (8) 을 도 12 의 화살표의 방향으로 회전 구동하면, 편심 캠 (8) 으로부터 출력축 (11) 에 대한 가압력이 서서히 줄어든다. 이 단계에 있어서도 가스 실린더 (4) 로부터의 가압력은 보조 편심 캠 (32) 에 작용하고 있지만, 모터 (3) 로부터 얻어지는 동력쪽이 가스 실린더 (4) 로부터의 가압력보다 크기 때문에, 편심 캠 (8) 과 함께 보조 편심 캠 (32) 을 도 12 의 화살표의 방향으로 회전 구동할 수 있다. 그 결과, 편심 캠 (8) 에 있어서의 대직경부 (직경 방향 외측으로 팽출되는 팽출부 : 가압부) 가 캠 종동자 (9) 로부터 멀어지게 되고, 코일 스프링 (11b) 의 부세력에 의해서 출력축 (11) 을 상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출력축 (11) 을 상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출력축 (11) 으로부터의 하방으로의 가압력이 드로우 바 (19) 에 부여되지 않게 되어, 접시 스프링 (21) 의 부세력에 의해서 드로우 바 (19) 를 상승시킬 수 있다. 그것에 의해 콜릿의 선단부를 상기 오목부 내로부터 들어 올릴 수 있어, 콜릿에 의해 공구 홀더에 있어서의 풀 스터드를 클램프할 수 있으므로, 공구 홀더와 함께 공구를 주축 (18) 에 유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3 을 사용하여, 보조 편심 캠 (32) 의 변형예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1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조 편심 캠 (32) 의 표면에 오목부 (40a, 40b) 를 형성해도 된다. 이 오목부 (40a, 40b) 는 가압부인 캠 종동자 (39) 의 일부를 수용하는 것으로서, 오목부 (40a, 40b) 의 위치를 검출함으로써, 보조 편심 캠 (32) 의 회전각을 검지할 수 있다. 도 13 의 예에서는 회전각에서 180 도 어긋난 위치에 2 개의 오목부 (40a, 40b) 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회전각이 0 도인 초기 위치와, 초기 위치로부터 180 도 회전한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도 13 의 예에서는 편심 캠 (8) 과 보조 편심 캠 (32) 이 동일 형상이고, 회전 각도도 일치하고 있기 때문에, 용이하게 편심 캠 (8) 의 회전 각도를 검지할 수도 있다. 또, 오목부의 수는 임의로 설정 가능하다. 예를 들어 회전각에서 90 도 어긋난 위치에 4 개의 오목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14 를 사용하여, 본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1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변형예에서는 레버를 통하지 않고, 캠 종동자 (30) 를 유지하는 유지 부재 (41) 를 통해서 보조 편심 캠 (32) 에 가스 실린더 (4) 로부터의 보조 동력을 직접 작용시키고 있다. 또한, 유지 부재 (41) 를 안내하는 통 형상의 가이드벽을 케이싱 (2) 의 상면에 돌출시켜 형성하고 있다. 이외의 구성에 관해서는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의 경우와 기본적으로 동일하다.
본 변형예와 같이, 가스 실린더 (4) 의 바로 아래에 보조 편심 캠 (32) 을 배치하고 보조 동력을 작용시킨 경우에는, 레버를 통해서 보조 동력을 작용시킨 경우와 같이 커다란 동력을 작용시키는 것은 곤란하지만, 간이한 기구에 의해 필요한 보조 동력을 보조 편심 캠 (32) 에 작용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변형예의 경우에도 보조 편심 캠 (32) 의 표면에 회전 위치 검출용 오목부를 형성함으로써, 보조 편심 캠 (32) 이나 편심 캠 (8) 의 회전 각도를 검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해서 설명하였는데, 상기 서술한 각 실시형태의 구성을 적절히 조합하는 것도 처음부터 예정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이번에 개시한 실시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이며, 제한적인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청구의 범위에 의해서 개시되고,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형이 포함된다.
본 발명은, 공작 기계의 주축에 장착한 공구를 교환할 때에 사용 가능한 공구 언클램프 장치에 유효하게 이용된다.

Claims (9)

  1. 공작 기계의 주축에 클램프된 공구를 언클램프 상태로 할 수 있는 공구 언클램프 장치로서,
    케이싱 (2) 과,
    상기 케이싱 (2) 에 설치되고, 상기 공구를 언클램프 상태로 할 때에 필요한 동력을 출력할 수 있는 출력축 (11) 과,
    상기 출력축 (11) 을 구동하기 위한 동력을 제공할 수 있는 동력원 (3) 과,
    상기 동력원 (3) 으로부터의 동력을 상기 출력축 (11) 에 전달하는 동력 전달 기구와,
    상기 동력 전달 기구에 보조 동력을 제공할 수 있는 보조 동력원 (4)
    을 구비한 공구 언클램프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원은 모터 (3) 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 동력원 (4) 은 상기 보조 동력으로서, 유체로부터의 압력, 탄성 부재로부터의 탄성력 및 전자기력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힘을 상기 동력 전달 기구에 제공하는 공구 언클램프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동력원 (4) 은, 내부에 수용된 가스로부터의 압력을 상기 동력 전달 기구에 제공하는 가스 실린더를 포함하는 공구 언클램프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전달 기구는,
    상기 동력원 (3) 으로부터의 동력에 의해서 회전 구동되어, 상기 출력축 (11) 을 왕복 이동시키는 편심 캠 (8) 과,
    상기 편심 캠 (8) 과 동축으로 형성된 크랭크 아암 (16) 과,
    상기 크랭크 아암 (16) 에 형성된 연결 부재 (15) 와,
    상기 연결 부재 (15) 를 통해서 상기 크랭크 아암 (16) 과 기계적으로 접속되고 회전 운동 가능한 레버 (12) 를 갖고,
    상기 레버 (12) 에 상기 보조 동력원 (4) 으로부터의 보조 동력을 작용시킨 공구 언클램프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 (12) 에 분기부를 형성하고, 그 분기부에 상기 보조 동력원 (4) 으로부터의 보조 동력을 작용시킨 공구 언클램프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 (12) 에 상기 연결 부재 (15) 를 수용하는 오목부 (12b) 를 형성 하고,
    상기 오목부 (12b) 는, 상기 공구를 클램프할 때에 상기 연결 부재 (15) 를 수용하는 제 1 부분 (12b1) 과, 그 제 1 부분 (12b1) 의 연장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공구를 언클램프 상태로 할 때에 상기 연결 부재 (15) 를 수용하는 제 2 부분 (12b2) 을 포함하는 공구 언클램프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전달 기구는,
    상기 출력축 (11) 을 가압하는 제 1 편심 캠 (8) 과,
    상기 제 1 편심 캠 (8) 에 상기 보조 동력원 (4) 으로부터의 보조 동력을 전달하는 제 2 편심 캠 (32) 을 포함하는 공구 언클램프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전달 기구는,
    상기 보조 동력원 (4) 과 상기 제 2 편심 캠 (32) 사이에 회전 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중앙부에 가압부를 갖는 레버 (31) 를 포함하고,
    상기 레버 (31) 의 선단부에 상기 보조 동력원 (4) 으로부터의 보조 동력을 작용시켜, 상기 가압부를 통해서 상기 제 2 편심 캠 (32) 에 상기 보조 동력을 작용시키도록 한 공구 언클램프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편심 캠 (32) 의 표면에 상기 가압부의 일부를 수용하는 오목부 (40a, 40b) 를 형성한 공구 언클램프 장치.
KR1020077017048A 2005-09-20 2006-09-15 공구 언클램프 장치 KR1009328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272201 2005-09-20
JP2005272201 2005-09-20
JPJP-P-2005-00303303 2005-10-18
JP2005303303A JP4880279B2 (ja) 2005-09-20 2005-10-18 工具アンクランプ装置
PCT/JP2006/318380 WO2007034746A1 (ja) 2005-09-20 2006-09-15 工具アンクランプ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0327A true KR20070100327A (ko) 2007-10-10
KR100932878B1 KR100932878B1 (ko) 2009-12-21

Family

ID=37888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7048A KR100932878B1 (ko) 2005-09-20 2006-09-15 공구 언클램프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419325B2 (ko)
EP (1) EP1927418B1 (ko)
JP (1) JP4880279B2 (ko)
KR (1) KR100932878B1 (ko)
DE (1) DE602006004469D1 (ko)
TW (1) TW200726552A (ko)
WO (1) WO200703474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2874B1 (ko) * 2005-10-18 2009-12-21 파스칼 엔지니어링 가부시키가이샤 공구 언클램핑 장치
JP2009018353A (ja) * 2007-07-10 2009-01-29 Pascal Engineering Corp 工具アンクランプ装置
WO2010026614A1 (ja) * 2008-09-02 2010-03-11 パスカル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アンクランプ用油圧発生装置
US8651781B2 (en) * 2010-01-25 2014-02-18 Everett H. Schwartzman Tool release actuating mechanism for high speed rotating spindle
US9630285B2 (en) * 2014-06-19 2017-04-25 Innoserv Fa Inc. Servo-driven tool unclamping system for a machine tool
EP2965861B1 (en) * 2014-07-09 2018-02-14 Innoserv Fa Inc. Servo-driven tool unclamping system for a machine tool
JP2016020022A (ja) * 2014-07-15 2016-02-04 イノサーブ エフエー インク.Innoserv Fa Inc. 工具機のサーボ駆動アンクランプシステム
DE102014117571B3 (de) * 2014-12-01 2016-02-18 Ott-Jakob Spanntechnik Gmbh Spannvorrichtung
CN114669768A (zh) * 2022-04-06 2022-06-28 山东联峰精密科技有限公司 一种收腰动力头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38740A (en) 1974-09-16 1977-08-02 The Bullard Company Vertical lathe with automatic tool change facility
DE4015261A1 (de) 1989-05-18 1990-11-29 Gedib Ingbuero Innovation Vorrichtung zum erzeugen einer spannkraft an mit spindeln umlaufenden spannmitteln
JP3083921B2 (ja) 1992-08-19 2000-09-04 大阪機工株式会社 工作機械の主軸の工具着脱装置
JPH07100704A (ja) * 1993-09-30 1995-04-18 Enshu Ltd 主軸の工具アンクランプ装置
JPH07276114A (ja) * 1994-04-12 1995-10-24 Enshu Ltd 主軸のアンクランプ装置
US5626448A (en) * 1995-03-31 1997-05-06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Tool pulling force magnification mechanism of spindle
JPH1177468A (ja) 1997-09-09 1999-03-23 Hitachi Seiki Co Ltd 工作機械の主軸の工具クランプ・クランプ解除装置
US5957029A (en) * 1997-09-19 1999-09-28 Bimba Manufacturing Co. Linear thruster
US6179533B1 (en) * 2000-01-06 2001-01-30 Ho Wei Sun Device for clamping a knife of a machine center
US6431803B1 (en) * 2000-08-15 2002-08-13 Fair Friend Enterprise Co, Ltd. Instantaneous clamping/unclamping mechanism for CNC machine spindle tool units
JP2002066814A (ja) 2000-08-25 2002-03-05 Mitsubishi Heavy Ind Ltd 主軸装置及び該装置の工具アンクランプ方法
JP3530479B2 (ja) * 2000-10-26 2004-05-24 株式会社キラ・コーポレーション ドローバ変位装置
JP4672284B2 (ja) 2004-05-11 2011-04-20 株式会社放電精密加工研究所 電動プレス装置
JP4217225B2 (ja) * 2005-02-22 2009-01-28 株式会社オーエム製作所 ターニングセンターの工具取付装置
JP4937801B2 (ja) * 2007-03-19 2012-05-23 パスカル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アクチュエータ、アクチュエータを備えたアンクランプ装置および加工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7034746A1 (ja) 2007-03-29
JP2007111791A (ja) 2007-05-10
US8419325B2 (en) 2013-04-16
US20070290459A1 (en) 2007-12-20
DE602006004469D1 (de) 2009-02-05
JP4880279B2 (ja) 2012-02-22
EP1927418B1 (en) 2008-12-24
KR100932878B1 (ko) 2009-12-21
EP1927418A4 (en) 2008-06-04
EP1927418A1 (en) 2008-06-04
TWI374781B (ko) 2012-10-21
TW200726552A (en) 2007-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2878B1 (ko) 공구 언클램프 장치
EP089318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rivet joints
CN1712188B (zh) 用于自动更换珩磨刀具的方法和装置
KR101185611B1 (ko) 유체통로 접속장치
JP3970887B2 (ja) クランプ装置
CN105102145B (zh) 冲压设备
JP5714556B2 (ja) 穿孔装置のクランプ装置及びエア駆動ドリル装置
JP5450517B2 (ja) クランプ装置、クランプ方法及び穿孔方法
EP3417992B1 (en) Clamp device
US5001827A (en) Turret punch press with a tapping function
US20090279969A1 (en) A fixation device for fixating a portable drilling machine to a drill template
JP2013151041A (ja) 圧入装置
US7305755B2 (en) Processing tong
CN103307256B (zh) 用于齿隙调整的机构与直线致动器
CN102883832A (zh) 工具保持装置、具有这种工具保持装置的机床以及用于将加工工具固定至机床的工具保持装置的方法
KR100905079B1 (ko) 씨엔씨 선반용 인덱스 척
EP2131043A1 (en) Actuator, and unclamp device and processing device with actuator
JP3133504U (ja) 工作機械における工具のアンクランプ装置
US6802678B2 (en) Tapping unit
JP2008272898A (ja) 工作機械における工具のアンクランプ方法
KR0141426B1 (ko) 브로칭 기계
CN210254947U (zh) 一种传动轴的辅助装配机构
JP3285062B2 (ja) 工作物クランプ装置
JP2007160468A (ja) 工具アンクランプ機構
JP2004114232A (ja) 主軸の工具クランプ・アンクラン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7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