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이익은, 첨부도면을 참조한 다음의 설명에 의해 명백해질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
이하 도면과 함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련되는 메달푸셔 게임장치의 일 실시예의 정면도이다. 또, 도 2 는 도 1 에 나타낸 메달푸셔 게임장치의 우측면도이다. 또, 도 3 은 도 1 에 나타낸 메달푸셔 게임장치의 평면도이다. 또, 도 4 는 도 1 에 나타낸 메달푸셔 게임장치의 저면도이다. 또한, 메달푸셔 게임장치의 배면도는 도 1 에 나타낸 정면도와 동일하고, 메달푸셔 게임장치의 좌측면도는 도 2 에 나타낸 우측면도와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4 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메달푸셔 게임장치 (11) 는, 세로형의 케이스 (12) 의 주위에 투명유리판 (투명판 ; 14) 이 부착되어 있다. 케이스 (12) 는, 상방에서 보면 육각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1 면에 투입구가 2 개씩 설치되어 있으므로 12 인의 플레이어가 플레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케이스 (12) 의 하면에는, 반송용의 캐스터 (13a) 와, 설치시에 케이스 (12) 의 이동을 저지하는 스토퍼 (13b) 가 설치되어 있다. 또, 투명유리 (14) 는, 각각의 자리 (「사테라이트」라고도 불림) 마다 개폐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통상은 닫힌 상태로 키로크되어 있다. 그리고, 메인티넌스시에는 키로크가 해제되어 투명유 리 (14) 가 열리도록 되어 있다.
케이스 (12) 의 내부공간 (16) 은, 세로방향으로 연달아 있는 육각기둥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각각의 자리마다의 투명유리 (14) 에 대응하는 각각의 부스 (18 ; 181 ∼ 186) 가 설치되어 있다. 즉, 각각의 부스 (18 ; 181 ∼ 186) 는, 육각기둥형상의 내부공간 (16) 을 대각선을 따라 6 등분한 삼각형상의 공간으로, 각각 6 면의 투명유리 (14) 에 대응하여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각각의 부스 (18 ; 181 ∼ 186) 사이에는, 투명유리 (14) 를 개폐가능하게 지지하는 프레임 (19) 으로 구분됨과 동시에, 내부공간 (16) 에 설치된 튜브 (17) 내에 삽입된 3 개의 냉음극관 (17a ∼ 17c) 의 점등에 의해 경계위치가 표시된다.
또, 내부공간 (16) 의 천정에는, 육각형의 각각의 대변방향으로 연달아 있는 천정부재 (20 ; 201 ∼ 206) 가 설치되고, 천정부재 (20) 의 하부에 각각의 부스 (18 ; 181 ∼ 186) 의 조명으로서의 스폿라이트 (22) 가 설치되며, 천정부재 (20 ; 201 ∼ 206) 의 선단부분에는 스피커 (24) 가 부착되어 있다.
도 5 는 메달푸셔 게임장치 (11) 의 사시도이다. 또, 도 6 은 메달푸셔 게임장치 (11) 를 상세하게 나타낸 정면도이다. 또, 도 7 은 메달푸셔 게임장치 (11) 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또, 도 8 은 플레이어가 플레이하는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또, 도 9 는 케이스내부의 구성을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9 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메달푸셔 게임장치 (11) 는, 각각의 부스 (18 ; 181 ∼ 186) 의 구성은 동일하므로, 이하 하나의 부스 (18) 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내부공간 (16) 의 상부에는, 다수의 메달이 놓여진 필드 (26) 가 설치되어 있다. 이 필드 (26) 는, 플레이어 (예를 들면 신장이 150 ∼ 170 ㎝ 의 사람을 기준으로 함) 의 눈높이보다 낮은 위치 (예를 들면 바닥면에서 140 ∼ 145 ㎝ 의 위치) 에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플레이어 (A) 는, 서 있는 경우 (도 8 중 일점쇄선으로 나타냄) 에는, 필드 (26) 를 비스듬하게 상방에서 내려다보는 상태로 되고, 의자 (21) 에 앉아 있는 경우 (도 8 중 실선으로 나타냄) 에는, 필드 (26) 보다 조금 위에서 필드 (26) 를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플레이어는, 필드 (26) 에 놓여진 다수의 메달 및 필드 (26) 의 가장자리로부터 보내진 메달의 상태를 보기쉽게 되어 있다. 따라서, 플레이어는, 필드 (26) 의 어느 장소에 메달을 투하하면, 필드 (26) 상의 메달을 낙하시킬 수 있는 지를 판단할 수 있다.
투명유리 (14) 에는, 각각의 부스 (18) 마다 1 쌍의 메달투입 가이드부재 (28) 가 부착되어 있다. 1 쌍의 메달투입 가이드부재 (28) 는, 필드 (26) 의 우측과 좌측에 대응하여 설치되어 있고, 다른 2 방향으로부터 푸셔 (36) 또는 필드 (26) 에 메달을 투입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 플레이어는, 1 쌍의 메달투입 가이드부재 (28) 가 투명유리 (14) 에 직접 부착되어 있으므로, 메달투입 가이드부재 (28) 에 메달을 투입할 때에, 메달투 입 가이드부재 (28) 의 선단이 필드 (26) 의 어느 장소에 위치하고 있는지 보기쉽게 되어 있다.
또, 필드 (26) 의 상면에는, 필드 (26) 에 놓여진 메달을 미는 푸셔 (36) 가 왕복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푸셔 (36) 는, 후술하는 메달밀기기구 (39) 에 의해 소정 스트로크로 왕복운동하고 있고, 메달투입 가이드부재 (28) 에 의해 메달이 투입되면, 그 메달을 밀어 필드 (26) 의 가장자리부에 있는 메달을 밀어내어 낙하시킨다. 이로써, 플레이어는, 필드 (26) 로부터 낙하한 메달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내부공간 (16) 의 상부에는, 메달푸셔 게임장치 (11) 의 명칭이 기재되고, 내부에 형광등이 형성된 육각형상의 빌보드 (30) 가 설치되어 있다. 이 빌보드 (30) 는, 통상, 케이스 (12) 의 천정에 부착되는 일이 많지만, 내부공간 (16) 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내부공간 (16) 이 밝아짐과 동시에, 주위에서 보았을 때에 눈에 띠기때문에, 플레이어를 끌 수 있다.
필드 (26) 로부터 상방의 내부공간 (16) 의 상부에는, 각각의 부스 (18 ; 181 ∼ 186) 를 이동하는 트럭 (이동체 ; 32) 이 2 열차 설치되어 있다. 이 트럭 (32) 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선두에 연결된 견인차 (32a) 와, 메달을 적재하여 견인차 (32a) 로 견인되는 5 량 또는 2 량의 화차 (32b) 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트럭 (32) 은, 후술하는 추첨처리의 결과에 따라 필드 (26) 의 상방을 주행하여, 잭포트 (당선명칭) 가 당선된 경우에는 화차 (32b) 에 적재된 메달을 필드 (26) 및 푸셔 (36) 를 향하여 낙하시킨다.
이로써, 트럭 (32) 이 통과한 부스 (18) 의 플레이어는 보너스로서 트럭 (32) 으로부터 떨어진 메달을 획득할 수 있다. 따라서, 플레이어는, 뜻하지 않은 보너스 제공으로 다수의 메달을 획득할 수 있으므로, 이득을 본 기분으로 되어, 더욱 게임을 계속하려고 한다. 또한, 트럭 (32) 을 주행시키는 트럭구동기구 (34) 의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 크레이지모드라 불리는 동작모드가 되면, 트럭 (32) 이 가속되거나, 감속되거나 하여 갑자기 BGM 음악이나 조명이 점멸하여 화차 (32b) 의 메달이 랜덤하게 낙하된다. 이것은, 플레이어에게 예기치않은 프레젠트로, 부스 (18) 에 따라 공급되는 메달수가 달라져, 플레이어의 장소가 명암을 나누게 된다.
필드 (26) 의 하방에는, 메달밀기기구 (39) 의 미는 동작에 의해 필드 (26) 로부터 밀려나온 메달을 낙하시키는 메달낙하경로 (35) 가 설치되어 있다. 이 메달낙하경로 (35) 는, 푸셔 (36) 의 왕복운동에 의해 필드 (26) 의 가장자리부에서 넘친 메달의 낙하동작을 후방향으로 가이드하는 제 1 필드 슬로프 (경사판 ; 37) 와, 제 1 필드 슬로프 (37) 를 통과한 메달을 앞방향으로 가이드하는 제 2 필드 슬로프 (38) 가 설치되어 있다. 제 1 필드 슬로프 (37) 및 제 2 필드 슬로프 (38) 는, 각각 수직방향에 대하여 대략 45 도의 각도로 경사져 있다.
따라서, 필드 (26) 의 가장자리부로부터 넘친 메달은, 바로 불출구에 떨어지는 것이 아니라. 제 1 필드 슬로프 (37) 를 구르면서 후방으로 이동하고, 다음에 제 2 필드 슬로프 (38) 를 구르면서 전방으로 이동한다. 또, 제 1 필드 슬로프 (37) 는, 반투명판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플레이어는 제 1 필드 슬로프 (37) 의 표측에서 메달의 낙하동작을 볼 수 있다. 이 때문에, 플레이어는, 필드 (26) 에서 넘친 메달이 시간을 들여 제 1 필드 슬로프 (37) 및 제 2 필드 슬로프 (38) 를 따라 낙하하는 모습을 봄으로써, 획득한 메달이 다수 있는 것을 시각적으로 알 수 있다.
또한, 제 1 필드 슬로프 (37) 의 내면측에 대향하는 후벽에는, 3 색의 냉음극관 (40a ∼ 40c) 이 설치되어 있다. 이 냉음극관 (40a ∼ 40c) 은, 추첨처리에 의해 잭포트 (당선명칭) 가 당선된 경우, 각각 다른 색을 연속적으로 점멸시켜 보너스획득을 플레이어에게 알린다.
또, 제 2 필드 슬로프 (38) 의 하부에는, 추첨유닛 (41) 이 설치되어 있다. 이 추첨유닛 (41) 은, 추첨처리를 실시하기 위한 메인척커 (42), 메인척커 (42) 로 메달을 안내하는 1 쌍의 메달가이드 레버 (44a, 44b), 메인척커 (42) 에 메달이 들어가면 작동하는 룰렛 (추첨수단 ; 46), 및 룰렛 (46) 의 추첨결과에 따라 진행하는 쌍육 (추첨수단 ; 48) 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 2 필드 슬로프 (38) 의 하방에는, 불출트레이 (50) 와, 불출트레이 (50) 의 양측에 배치된 당첨트레이 (52, 54) 가 설치되어 있다. 불출트레이 (50) 는, 좌우방향의 중앙에 배치되어 있고, 제 2 필드 슬로프 (38) 를 통과하여 들어간 메달이 플레이어의 획득메달이 된다. 또, 당첨트레이 (52, 54) 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룰렛 (46) 과 쌍육 (48) 의 추첨결과에 따라 단계적으로 이동하여 3 회 당선하면 불출트레이 (50) 로 메달을 옮기도록 동작한다.
룰렛 (46) 은, 메인척커 (42) 로부터의 메달검출신호에 의해 고리형상으로 배치된 각각의 전구 (821 ∼ 828) 가 순차적으로 점멸하여, 점등한 상태로 정지한 위치의 수가 추첨결과로 된다. 또, 쌍육 (48) 은, 룰렛 (46) 과 동일하게, 고리형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전구 (841 ∼ 8412) 를 갖고, 룰렛 (46) 의 추첨결과에 따라 전구의 점등위치가 단계적으로 진행한다. 그리고, 쌍육 (48) 의 진행에 의해 전구의 점등위치가 잭포트 (당선명칭) 인 때에는, 상기 트럭 (32) 에 적재된 다수의 메달이 한꺼번에 필드 (26) 를 향하여 낙하된다. 따라서, 플레이어는, 시각적으로 대히트를 친 기분을 만끽할 수 있다.
또, 쌍육 (48) 에는, 「레프트 트라이」와 「라이트 트라이」가 표시되어 있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레프트 트라이」또는 「라이트 트라이」의 전구가 점등한 상태로 정지한 경우, 불출트레이 (50) 의 양측에 배치된 당첨트레이 (52, 54) 가 불출트레이 (50) 측으로 단계적으로 이동하고, 최종적으로는 당첨트레이 (52, 54) 에 놓여진 메달이 불출트레이 (50) 로 옮겨진다.
메달이 불출트레이 (50) 는, 바닥판이 개폐가능하게 형성되어 있고, 각각의 투명유리 (14) 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는 조작반 (51) 의 중앙에 배치된 불출스위치 (53) 가 눌리면, 바닥판이 하방으로 회전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불출트레이 (50) 로부터 낙하한 메달은, 후술하는 불출통로 (54) 를 통과하여 불출구 (56) 에 도달한다.
따라서, 플레이어는, 불출트레이 (50) 에 어느 정도의 메달이 고일 때까지, 불출스위치 (53) 를 조작하지 않도록 하여, 획득 메달이 어느정도 있는 지를 확인하면서 게임을 계속할 수 있다. 또한, 불출트레이 (50) 에 메달이 많이 쌓아올려지면, 주위의 사람들이 보기때문에, 우월감을 맛볼 수 있다. 또한, 불출스위치 (53) 는, 조작반 (51) 의 오목부 (51a) 에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오조작되지 않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 제 2 필드 슬로프 (38) 를 통과한 메달 중 불출트레이 (50) 및 당첨트레이 (52, 54) 에 들어가지 않은 메달은, 가게측의 몫이 된다. 즉, 불출트레이 (50) 및 당첨트레이 (52, 54) 에 들어가지 않은 메달은, 회수통로 (58) 를 통과하여 케이스 (12) 의 바닥부에 설치된 호퍼 (메달회수부 ; 60) 에 회수된다. 또한, 호퍼 (60) 는, 2 개의 부스간에 배치되어 있고, 좌우에 배치된 2 개의 회수통로 (58) 를 통과한 메달을 회수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회수트레이 (60) 에 낙하한 메달은, 케이스 (12) 의 중앙에 설치된 메달이송기구 (62) 에 의해 1 매씩 상방으로 이송되어, 트럭 (32) 의 화차 (32b) 에 적재된다. 또, 회수트레이 (60) 에서 넘친 메달은, 회수박스 (63) 에 넘쳐 떨어지도록 되어 있다.
*또, 케이스 (12) 의 바닥부에는, 각각의 부스 (18) 공통의 제어장치 (64) 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제어장치 (64) 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각각의 부스 (18) 의 동작기기를 제어함과 동시에, 푸셔 (36) 의 구동이나 룰렛 (46) 의 추첨처리나 트럭 (32) 의 속도제어나 냉음극관 (40a ∼ 40c) 의 점멸제어 등을 실시한다.
도 10 은 제어장치 (64) 와 각각의 기기의 접속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0 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어장치 (64) 의 CPU (66) 는, 각각의 부스 (18) 마다 설치된 제어부 (671 ∼ 676) 와 접속되어 있다. 또, 제어장치 (64) 의 CPU (66) 에는, 트럭구동기구 (34) 의 구동모터 (68), 트럭 (32) 의 화차 (32b) 에 메달을 적재하는 메달적재기구 (218 ; 후술함) 의 메달적재모터 (70), 푸셔 (36) 를 왕복운동시키는 푸셔구동모터 (72), 메모리 (80), 빌보드 조명등 (96), 스폿라이트 (22), 스피커 (28), 및 트럭 (32) 의 주행위치를 검출하는 포토센서 (2261 ∼ 2266 ; 후술함) 가 접속되어 있다.
또, 제어부 (671 ∼ 676) 의 I/O 칩 (69) 은, 서브척커스위치 (74), 메인척커스위치 (76), 메달불출스위치 (78), 로크해제용 솔레노이드 (176 ; 후술함), 복귀용 솔레노이드 (178 ; 후술함), 룰렛용 전구 (821 ∼ 828), 쌍육용 전구 (841 ∼ 8412), 메인척커의 메달가이드 레버 (44a, 44b) 를 구동하는 레버구동용 솔레노이드 (86), 당첨트레이용 모터 (88), 불출스위치 (53), 냉음극관 (40a ∼ 40c, 17a ∼ 17c), 및 메달투하기구 (2201 ∼ 2206 ; 후술함) 의 메달투하용 모터 (244) 와 접속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 푸셔 (36) 를 왕복운동시키는 메달밀기기구 (39) 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1 은 메달밀기기구 (39) 의 평면도이다. 또, 도 12 는 메달밀기기구 (39) 의 정면도이다. 또, 도 13 은 메달밀기기구 (39) 의 측면도이다.
도 11 내지 도 13 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푸셔 (36) 는, 평판형상의 슬라이드체 (100) 를 갖고, 슬라이드체 (100) 의 좌우 및 바닥부에는 원할하게 이동하기 위한 롤러 (102) 가 전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 슬라이드체 (100) 는, 상면 (100a) 과, 상면 (100a) 의 전단에 필드 (26) 상의 메달을 미는 밀기면 (100b) 이 형성되어 있다.
메달밀기기구 (39) 는, 푸셔구동모터 (72), 푸셔구동모터 (72) 의 회전을 감속하는 감속기어기구 (104 ; 소직경기어 (104a), 대직경기어 (104b)), 감속기어기구 (104) 에 의해 회전구동되는 크랭크암 (106), 및 일단이 축 (107) 을 통하여 크랭크암 (106) 에 연결되고 타단이 푸셔 (36) 의 후부측 중간의 축 (108) 에 연결된 연결암 (109) 으로 이루어진다.
감속기어기구 (104) 의 소직경기어 (104a) 는, 푸셔구동모터 (72) 의 출력축 (72a) 에 끼워맞춰, 푸셔구동모터 (72) 의 회전구동력을 대직경기어 (104b) 에 전달한다. 대직경기어 (104b) 는 축 (103) 에 끼워맞춰져 있어, 축 (103) 을 통하여 크랭크암 (106) 의 회전구동력을 전달한다.
따라서, 메달밀기기구 (39) 에서는, 푸셔구동모터 (72) 의 회전구동력이 전달되어 크랭크암 (106) 이 회전구동되면, 크랭크암 (106) 의 회전운동이 연결암 (109) 의 왕복운동으로 변환된다. 이 때문에, 연결암 (109) 의 단부에 연결된 푸셔 (36) 는, 크랭크암 (106) 의 전장에 따른 스트로크로 Xa, Xb 방향으로 왕복운동한다.
도 14 는 푸셔 (36) 의 복귀동작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또, 도 15 는 푸셔 (36) 의 전진동작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4 및 도 15 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푸셔 (36) 는, 메달밀기기구 (39) 로 구동되어 필드 (26) 상을 Xa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슬라이드체 (100) 의 밀기면 (100b) 이 필드 (26) 상에 놓여진 메달을 필드 (26) 의 가장자리부로 민다. 또, 슬라이드체 (100) 의 상면 (100a) 에 놓여진 메달은, 푸셔 (36) 가 도 14 에 나타낸 위치로 되돌아가는 Xb 방향으로의 이동과정에서 푸셔 (36) 를 수납하는 벽부 (101) 에 맞닿아 필드 (26) 상에 낙하한다.
또, 필드 (26) 에는, 서브척커 (26a, 26b) 가 설치되어 있고, 푸셔 (36) 는, 왕복운동하면서 서브척커 (26a, 26b) 상을 통과하여 서브척커 (26a, 26b) 를 개폐한다. 또한, 필드 (26) 의 좌우양측에는, 각각의 부스 (18) 간을 구분하도록 설치된 칸막이부재 (112) 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필드 (26) 상의 메달은, 푸셔 (36) 에 밀리면, 필드 (26) 의 가장자리부로부터 제 2 필드 슬로프 (38) 로 낙하한다.
그리고, 메달투입 가이드부재 (28) 로부터 투입된 메달이 서브척커 (26a, 26b) 에 들어가면, 솔레노이드 (86) 가 작동하여 1 쌍의 메달가이드 레버 (44a, 44b) 의 선단이 메인척커 (42) 를 향하여 경사진다. 이로써, 제 2 필드 슬로프 (38) 를 통과하는 메달은, 메달가이드 레버 (44a, 44b) 에 안내되어 메인척커 (42) 에 들어가기 쉬워진다.
다음으로 필드 (26) 로 메달을 투입하는 메달투입 가이드부재 (28) 에 대하 여 설명한다.
도 16 은 메달투입 가이드부재 (28) 의 평면도이다. 또, 도 17 은 메달투입 가이드부재 (28) 의 종단면도이다.
도 16 및 도 17 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메달투입 가이드부재 (28) 는, 투명유리 (14) 를 볼트로 조여 사이에 끼우는 1 쌍의 브래킷과, 1 쌍의 브래킷 (114) 에 의해 지지되는 가이드레일 (115) 을 갖는다. 가이드레일 (115) 은, 브래킷 (114) 의 수평부 (114a) 에 회전운동이 가능하게 축지지된 축 (116) 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요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브래킷 (114) 에 결합된 대좌 (臺座) (118) 에는, 가이드레일 (115) 의 요동범위를 규제하는 스토퍼핀 (120a, 120b) 이 세워져 있다. 이 스토퍼핀 (120a, 120b) 은, 메달투입 가이드부재 (28) 의 부착위치가 부스 (8) 좌측이면 좌방향으로 요동할 수 없도록 가이드레일 (115) 의 요동범위를 규제하고, 메달투입 가이드부재 (28) 의 부착위치가 부스 (18) 의 우측이면 우방향으로 요동할 수 없도록 가이드레일 (115) 의 요동범위를 규제한다.
또, 가이드레일 (115) 은, 투명유리 (14) 의 외측에 돌출하는 단부에 메달투입구 (122) 를 갖는다. 그리고, 가이드레일 (115) 은, 메달투입구 (122) 가 선단부분보다 상방에 위치하도록 소정각도 경사진 상태로 부착된다. 이 때문에, 메달투입구 (122) 로부터 투입된 메달은, 가이드레일 (115) 에 형성된 내부의 메달통로 (116) 를 통과하여 가이드레일 (115) 의 선단으로부터 투명유리 (14) 의 내측에 설치된 필드 (26) 또는 푸셔 (36) 를 향하여 낙하한다.
메달투입구 (122) 에는, 그 게임센터측에서 결정한 크기의 메달보다 큰 메달의 투입을 방지하기 위한 제 1 메달 규제부재 (124) 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레일 (115) 은, 투입된 메달의 회전을 감속하기 위한 단차 (126) 가 메달통로 (116) 의 상하부분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가이드레일 (115) 에 투입된 메달은, 메달통로 (116) 의 상하부분에 설치된 단차 (126) 에 맞닿은 때의 마찰에 의해 회전이 감속되어 가이드레일 (115) 의 선단으로부터 세게 튀어나가는 것이 방지된다.
또, 통로 (116) 의 중간부분에는, 게임센터측에서 결정한 크기의 메달보다 작은 메달의 사용을 방지하는 제 2 메달 규제부재 (128) 가 가이드레일 (115) 의 좌측면에 부착되어 있다. 이 제 2 메달 규제부재 (128) 는, 메달통로 (116) 의 측으로부터 메달을 미는 판스프링 (130) 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판스프링 (130) 에 대향하는 가이드레일 (115) 의 우측면에는, 규정보다 작은 메달을 메달통로 (116) 로부터 배출하는 배출구멍 (131) 이 개구되어 있다. 이 배출구멍 (131) 은, 메달통로 (116) 를 따라 연달아 있는 긴구멍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판스프링 (130) 의 미는 힘에 의해 측방으로 밀린 메달이 배출구멍 (131) 보다 소직경인 경우, 당해 메달은 배출구멍 (131) 을 통과하여 가이드레일 (115) 의 우측으로 배출된다.
이로써, 정규 메달과 다른 크기의 메달을 부정하게 사용한 경우, 제 1 메달 규제부재 (124) 또는 제 2 메달 규제부재 (128) 에 의해 정규이외의 메달이 배제되어 부정행위가 방지된다. 또, 배출구멍 (131) 으로부터 가이드레일 (115) 의 우측으로 배출된 메달은, 메달받이부재 (132) 에 맞닿아 대좌 (118) 의 메달 탑재부 (134) 에 놓여진다. 이 메달 탑재부 (134) 는, 투명유리 (14) 의 내측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규정보다 작은 메달을 사용한 경우, 그 메달을 되돌릴 수 없다.
따라서, 대좌 (118) 의 메달 탑재부 (134) 에 규정이외의 메달이 있는 경우, 투명유리 (14) 의 밖에서 그 플레이어가 부정행위를 한 것을 알 수 있기 때문에, 규정보다 작은 메달이 부정 사용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가이드레일 (115) 의 선단부분에서는, 바닥부 (136) 와 좌우측부 (138, 140) 에 의해 메달통로 (116) 가 형성되어 있다. 좌우측부 (138, 140) 의 선단은, 바닥부 (136) 보다도 길게 돌출되어 있고, 바닥부 (136) 의 선단에는 절결 (139) 이 설치되어 있다.
플레이어에 따라서는 가이드레일 (115) 에 투입된 메달이 낙하하는 순간에 메달투입 가이드부재 (28) 를 회전운동시켜 메달을 가로방향으로 튀게하는 일이 있어, 이와 같은 조작을 방지하기 위해 바닥부 (136) 의 선단이 좌우측부 (138, 140) 보다도 짧게 되어 있다. 즉, 플레이어가 메달을 투입한 후, 메달이 좌우측부 (138, 140) 의 선단을 통과하는 순간에 메달투입 가이드부재 (28) 를 회전운동시키려고 하여도, 메달이 바닥부 (136) 를 통과한 시점에서 절결 (139) 로부터 낙하하기 때문에, 메달을 가로방향으로 튀게할 수 없도록 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 메달투입 가이드부재 (28) 로부터 메달을 투입하여 필드 (26) 로부터 낙하한 메달을 획득하는 경우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8 은 메달밀기기구 (39) 및 메달낙하경로 (35) 를 확대하여 나타낸 측면 도이다.
도 18 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다수의 메달이 놓여진 필드 (26) 상에서는, 상술한 메달밀기기구 (39) 에 의해 전후방향 (Xa, Xb 방향) 으로 구동되는 푸셔 (36) 가 왕복운동하고 있다. 플레이어는, 상기 가이드레일 (115) 의 선단부분이 원하는 위치가 되도록 메달투입 가이드부재 (28) 를 좌우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킨 후, 메달투입구 (122) 에 메달을 투입한다. 가이드레일 (115) 의 내부에 형성된 통로 (116) 는, 선단측에 경사져 있으므로, 메달투입구 (122) 에 투입된 메달은 통로 (116) 를 전동하면서 가이드레일 (115) 의 선단으로부터 필드 (26) 또는 푸셔 (36) 의 상면에 낙하한다.
이와 같이 하여 투입된 메달은, 푸셔 (36) 의 왕복운동에 따라 서서히 밀리기 때문에, 필드 (26) 의 가장자리부에 있는 메달이 밀려나와 낙하한다. 필드 (26) 의 가장자리부에서 넘친 메달은, 제 1 필드 슬로프 (37) 를 구르면서 후방으로 이동하여, 제 2 필드 슬로프 (38) 에 도달한다.
그 동안, 제 1 필드 슬로프 (37) 가 반투명판으로 형성되고, 또한 내측에 배치된 냉음극관 (40a ∼ 40c) 으로부터의 광에 의해, 플레이어는 제 1 필드 슬로프 (37) 의 내측에서 메달이 낙하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그리고, 제 2 필드 슬로프 (38) 에 도착한 메달은, 제 2 필드 슬로프 (38) 의 경사방향으로 구르면서 전방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필드 (26) 로부터 넘친 메달이 시간을 들여 제 1 필드 슬로프 (37) 및 제 2 필드 슬로프 (38) 를 따라 낙하하기 때문에, 플레이어는, 획득한 메 달이 다수 있는 것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이득을 본 기분이 되어 보다 한층 즐길 수 있다. 또, 냉음극관 (40a ∼ 40c) 의 앞에는, 제 1 필드 슬로프 (37) 를 통과한 메달이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투명한 보호판 (142) 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필드 슬로프 (37) 의 경사각도를 이용하여 낙하하는 메달은, 보호판 (142) 에 맞닿아 감속된 후, 제 2 필드 슬로프 (38) 의 경사각도를 이용하여 전방으로 낙하한다.
이와 같이 제 2 필드 슬로프 (38) 를 통과하는 메달의 행선지는, ① 제 2 필드 슬로프 (38) 에 설치된 메인척커 (42), ② 불출트레이 (50), ③ 당첨트레이 (52, 54), ④ 회수트레이 (60) 어느 하나가 된다.
메달이 메인척커 (42) 에 들어간 경우에는, 메인척커 스위치 (76) 가 온으로 되어 룰렛 (46) 의 추첨처리가 개시된다. 또, 메인척커 (42) 에 들어가지 않은 메달이 불출트레이 (50) 에 들어간 경우에는, 당해 메달이 플레이어의 획득메달로 된다. 또, 메인척커 (42) 에 들어가지 않은 메달이 당첨트레이 (52, 54) 에 들어간 경우에는, 룰렛 (46) 의 추첨결과에 따른 쌍육 (48) 의 동작에 의해 트레이 (52 또는 54) 가 당선되면, 트레이 (52 또는 54) 가 단계적으로 메달이 불출트레이 (50) 측으로 이동한다.
또, 메인척커 (42), 불출트레이 (50), 당첨트레이 (52, 54) 의 어느 것에도 들어가지 않은 메달은, 회수통로 (58) 를 통과하여 회수트레이 (60) 에 낙하하고, 메달이송기구 (62) 에 의해 상방으로 이송되어 트럭 (32) 에 적재된다. 또한, 종래에는, 메달을 가게측으로 회수하기 위한 회수구 (「H/G(하우스게인) 구」 라고 도 불림) 가 노출되어 있었기 때문에, 플레이어는 손해를 본 기분이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메달이 회수되는 모습이 플레이어에게 보이지 않게 되어 있어, 필드 (26) 로부터 낙하한 메달이 가게측에 회수되지 않는 것처럼 생각되므로, 플레이어는 이득을 본 기분이 된다.
여기에서, 제 2 필드 슬로프 (38) 에 설치된 추첨유닛 (41 ; 메인척커 (42), 룰렛 (46), 쌍육 (48) 을 가짐) 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9 는 추첨유닛 (41) 을 확대하여 나타낸 평면도이다. 또, 도 20 의 (a) ∼ (c) 는 메달가이드 레버 (44a, 44b) 를 구동하는 메달가이드 레버 구동기구 (142) 를 나타낸 평면도, 정면도, 측면도이다.
도 19 에 나타난 바와 같이, 추첨유닛 (41) 은, 중앙에 메인척커 (42) 가 개구되어 있고, 메인척커 (42) 의 좌측에는 룰렛 (46) 이 배열설치되고, 메인척커 (42) 의 우측에는 쌍육 (48) 이 배열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 2 필드 슬로프 (38) 의 하면측에는, 룰렛 (46) 의 표시패턴에 대응하는 전구 (821 ∼ 828) 와, 쌍육 (48) 의 표시패턴에 대응하는 전구 (841 ∼ 848) 가 배열설치되어 있다.
메인척커 (42) 는, 내부에 메달이 들어간 것을 검출하는 메인척커 스위치 (76) 가 설치되어 있다. 이 메인척커 스위치 (76) 로부터의 검출신호가 제어장치 (64) 에 들어가면, CPU (66) 에 의한 추첨처리가 개시된다.
룰렛 (46) 은, 고리형상으로 배치된 전구 (821 ∼ 828) 를 순차적으로 점등시켜 추첨처리를 개시한다. 즉, 룰렛 (46) 의 전구 (821 ∼ 828) 가 시계방향으 로 순차적으로 점등하고, 점등위치가 1 스텝 →3 스텝 →2 스텝 →GO ROUND →1 스텝 →3 스텝 →2 스텝 → REST 로 이동하여, 추첨결과가 나올 때까지 이것이 반복된다.
그리고, 일정시간 경과하면, 전구 (821 ∼ 828) 중 추첨에서 당첨된 전구만이 점등한 상태로 정지한다. 또, 룰렛 (46) 의 중앙에는, 추첨보류일 때 점등하는 전구 (828) 가 설치되어 있다.
쌍육 (48) 은, 룰렛 (46) 의 추첨결과에 따라 각각의 전구 (841 ∼ 8412) 가 시계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점등하여 피스가 진행되도록 되어 있다. 예를 들면, 룰렛 (46) 의 추첨결과가 3 스텝일 때에는, 스타트의 전구 (841) 부터 3 개째 전구 (844) 까지 피스가 진행한다. 이 전구 (844) 의 위치는, 어긋나 있으므로, 조금도 동작하지 않고, 전구 (844) 가 점등할 뿐이다.
다음으로 룰렛 (46) 의 추첨결과가 1 스텝일 때에는, 전구 (845) 가 점등하고, 「LEFT TRY」 가 당선된다. 이 경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좌측의 당첨트레이 (52) 가 일단계만큼 불출트레이 (50) 측으로 이동한다. 또, 전구 (848) 가 점등하여 「RIGHT TRY」가 당선된 경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우측의 당첨트레이 (54) 가 일단계만큼 불출트레이 (50) 측으로 이동한다.
또, 룰렛 (46) 의 추첨결과에 의해 「JACK POT (잭 포트)」의 전구 (8412) 가 점등한 경우, 대히트를 쳐, 트럭 (32) 에 적재된 다수의 메달이 필드 (26) 및 푸셔 (36) 를 향하여 낙하한다. 따라서, 다수의 메달이 한꺼번에 필드 (26) 로부터 넘쳐 제 1 필드 슬로프 (37) 에 낙하하고, 다시 제 2 필드 슬로프 (38) 를 통과하여 불출트레이 (50), 당첨트레이 (52, 54), 회수트레이 (60) 에 낙하한다.
따라서, 플레이어는, 잭포트가 당선된 경우, 다수의 메달을 함께 획득할 수 있으므로, 기쁨으로 들뜸과 동시에, 주위의 사람에 대하여 우월감을 맛볼 수 있다.
또, 룰렛 (46) 의 추첨결과에 의해 「GO TO START」의 전구 (8410) 가 점등한 경우, 다음의 순간 잭포트를 뛰어넘어 스타트의 전구 (841) 가 점등하여 출발점으로 되돌아간다.
메인척커 (42) 의 상방에 설치된 메달가이드 레버 (44a, 44b) 는, 필드 (26) 에 형성된 서브척커 (26a, 26b) 에 메달이 들어가면, 서브척커스위치 (74) 가 온으로 되어 경사상태로 구동된다.
도 20 의 (a) ∼ (c) 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메달가이드 레버 (44a, 44b) 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된 패널 (144) 상에서 회전운동이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메달가이드 레버 (44a, 44b) 를 구동하는 메달가이드 레버 구동기구 (142) 는, 사다리꼴형상으로 형성된 패널 (144) 의 하면에 설치된 지지판 (146) 에 설치되어 있다.
또, 메달가이드 레버 구동기구 (142) 는, 메달가이드 레버 (44a, 44b) 의 축 (148a, 148b) 이 결합된 회전체 (150a, 150b), 일단이 회전체 (150a, 150b) 의 핀 (152a, 152b) 에 연결된 링크 (154a, 154b), 링크 (154a, 154b) 의 타단이 핀 (156) 을 통하여 연결된 푸셔 (158), 및 플런저 (158) 를 구동하는 솔레노이드 (86) 로 이루어진다.
또, 회전체 (150a, 150b) 의 바깥둘레에는, 스토퍼핀 (160a, 160b) 에 맞닿는 부채꼴형상의 오목부 (162a, 162b) 가 설치되어 있다. 회전체 (150a, 150b) 는, 메달가이드 레버 (44a, 44b) 가 하방으로 연달아 있는 동작전의 위치 또는 소정의 경사위치로 회전운동하면, 오목부 (162a, 162b) 가 스토퍼핀 (160a, 160b) 에 맞닿아 회전운동위치가 제한된다.
또, 링크 (154a, 154b) 는, 지지판 (146) 에 고정된 축 (164a, 164b) 에 의해 회전운동이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플런저 (158) 의 이동방향에 따라 서로 역방향으로 회전운동한다.
여기에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메달가이드 레버 구동기구 (142) 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1 의 (a) 는 메달가이드 레버 구동기구 (142) 의 동작전의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1 의 (b) 는 메달가이드 레버 구동기구 (142) 의 동작후의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1 의 (a) 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통상, 솔레노이드 (86) 가 작동하고 있지않으므로, 플런저 (158) 는, 도시하지 않은 탄성부재에 의해 Xb 방향으로 이동한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이 때문에, 1 쌍의 메달가이드 레버 (44a, 44b) 는 , 하방으로 연달아 있도록 유지되어 있고, 평행으로 되어 있다.
다음으로, 필드 (26) 에 설치된 서브척커 (26a, 26b) 에 메달이 들어가면, 서브척커 스위치 (74) 가 온으로 된다. 이로써, 제어장치 (64) 의 CPU (66) 는, 솔레노이드 (86) 를 여자시켜 플런저 (158) 를 Xa 방향으로 구동시킨다. 이 때문에, 링크 (154a, 154b) 는, 플런저 (158) 가 Xa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에 연동하여 시계방향,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운동한다.
따라서, 솔레노이드 (86) 의 구동력이 링크 (154a, 154b) 를 통하여 회전체 (150a, 150b) 에 전달되고, 1 쌍의 메달가이드 레버 (44a, 44b) 는, 서로 선단부분을 메인척커 (42) 에 근접시키도록 회전운동한다.
이로써, 제 2 필드 슬로프 (38) 를 통과하는 메달은, 1 쌍의 메달가이드 레버 (44a, 44b) 에 맞닿으면, 1 쌍의 메달가이드 레버 (44a, 44b) 의 경사방향을 따라 낙하하여 메인척커 (42) 에 들어간다. 이와 같이, 1 쌍의 메달가이드 레버 (44a, 44b) 가 구동되어 경사상태로 됨으로써, 메달이 메인척커 (42) 에 들어가기 쉬워진다. 그 결과, 룰렛 (46) 및 쌍육 (48) 의 추첨동작이 실시되는 확률이 높아지고, 보다 게임성이 향상되어 즐거움이 증대된다.
다음으로, 불출트레이 (50) 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2 의 (a) 는 불출트레이 (50) 의 바닥판 (50a) 이 닫힌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또, 도 22 의 (b) 는 불출트레이 (50) 의 바닥판 (50a) 이 회전운동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2 의 (a) 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불출트레이 (50) 는, 사각형상의 메달획득 오목부 (50b) 와, 메달획득오목부 (50b) 의 바닥부를 개폐하는 바닥판 (50a) 을 갖는다. 통상, 바닥판 (50a) 은, 닫힌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따라서, 불출트레이 (50) 의 메달획득오목부 (50b) 내에 들어간 메달 (M) 은, 바닥판 (50a) 상에 놓여진 상태대로 뒤에서 낙하한 메달이 쌓여진다.
플레이어는, 획득된 메달 (M) 이 바로 지불되는 것이 아니라, 불출트레이 (50) 에 메달 (M) 이 고이는 모습을 보면서 플레이할 수 있으므로, 다른 플레이어의 메달획득수와 비교할 수 있어, 자신이 우위인지 아닌지를 확인할 수 있다. 도 22 의 (b) 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불출트레이 (50) 내에 어느 정도 메달 (M) 이 고이면, 플레이어는, 불출스위치 (53) 를 눌러내린다. 이로써, 불출스위치 (53) 는, 온으로 되어, CPU (66) 에 신호가 출력된다.
CPU (66) 은, 불출스위치 (53) 로부터의 신호가 입력되면, 후술하는 트레이 개폐기구 (170) 를 작동시켜 바닥판 (50a) 의 로크를 해제한다. 이로써, 바닥판 (50a) 은, 메달 (M) 의 중량으로 하방으로 열림동작하여 고인 매달 (M) 을 불출구 (56) 로 낙하시킨다.
여기에서, 트레이 개폐기구 (170) 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3 은 불출트레이 (50) 및 트레이 개폐기구 (170) 를 측면에서 본 종단면도이다. 또, 도 24 는 불출트레이 (50) 및 트레이 개폐기구 (170) 의 평면도이다. 또, 도 25 는 불출트레이 (50) 및 트레이 개폐기구 (170) 를 정면에서 본 종단면도이다.
도 23 내지 도 25 에 나타난 바와 같이, 불출트레이 (50) 의 바닥판 (50a) 은, 후부측단부가 축 (50c) 에 의해 하방으로 회전운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 바닥판 (50a) 의 전측 가장자리부에는, 걸리는 절결 (50d) 이 설치되어 있다.
트레이 개폐기구 (170) 는, 바닥판 (50a) 의 절결 (50d) 을 거는 걸림부재 (172), 걸림부재 (172) 에 연결된 링크 (174), 링크 (174) 를 통하여 걸림부재 (172) 를 로크해제위치로 구동하는 로크해제용 솔레노이드 (176), 및 열린 바닥판 (50a) 을 닫힘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용 솔레노이드 (178) 로 이루어진다.
걸림부재 (172) 는, 불출트레이 (50) 의 전측에서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로크해제용 솔레노이드 (176) 는 불출트레이 (50) 의 후측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로크해제용 솔레노이드 (176) 에 의해 구동되는 플런저 (180) 는, 불출트레이 (50) 의 하방에서 축 (182) 으로 회전운동 가능하게 지지된 링크 (174) 의 일단에 연결되고, 링크 (174) 의 타단은 걸림부재 (172) 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링크 (174) 는, 축 (175) 에 의해 회전운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 걸림부재 (172) 는, 좌우방향으로 연달아 있도록 형성되어 있고, 그 중간위치에 바닥판 (50a) 의 절결 (50d) 을 거는 갈고리형상의 걸림부 (172a) 를 갖는다. 그리고, 걸림부재 (172) 는, 도시하지 않은 탄성부재에 의해 걸림부 (172a) 가 바닥판 (50a) 을 거는 걸림위치에 탄성지지되어 있다.
복귀용 솔레노이드 (178) 는, 바닥판 (50a) 의 후부측 하방에 설치되어 있다. 복귀용 솔레노이드 (178) 의 플런저 (182) 는, 상하방향으로 구동되도록 설치되어 있고, 상단이 링크 (178) 를 통하여 바닥판 (50a) 의 바닥부로 돌출되는 연결부 (50e) 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연결부 (50e) 는 축 (50c) 보다 후방으 로 돌출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 트레이 개폐기구 (170) 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6 은 바닥판 (50a) 의 걸림해제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또, 도 27 은 바닥판 (50a) 의 강하동작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또, 도 28 은 바닥판 (50a) 을 상승시키는 동작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또, 도 29 는 닫힌 바닥판 (50a) 의 걸림동작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6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불출스위치 (53) 가 온으로 조작되면, 로크해제용 솔레노이드 (176) 가 여자되어 플런저 (180) 를 Yb 방향으로 구동한다. 이 때문에, 플런저 (180) 에 연결된 링크 (174) 는, 시계방향으로 회전운동하고, 걸림부재 (172) 를 Ya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킨다. 이로써, 걸림부재 (172) 는, 걸림부 (172a) 가 절결 (50d) 의 가장자리부로부터 빠져나와 바닥판 (50a) 의 걸림을 해제한다.
도 27 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바닥판 (50a) 은, 걸림부재 (172) 의 걸림해제동작과 함께, 메달의 중량에 의해 하방으로 회전운동한다 (도 27 중, 파선으로 나타냄). 바닥판 (50a) 이 후부측의 축 (50c) 을 중심으로 하여 전부가 강하하면, 바닥판 (50a) 에 고인 메달은 하방으로 낙하하고, 통로 (54) 로 낙하하여 불출구 (56) 에 도달한다.
도 28 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상기 불출동작이 종료하면, 복귀용 솔레노이드 (178) 가 여자되어, 플런저 (182) 가 하방으로 구동된다. 이로써, 플런저 (182) 가 링크 (183) 를 통하여 바닥판 (50a) 의 연결부 (50e) 에 연결되어 있으므 로, 바닥판 (50a) 은 상방으로 회전운동하여 수평상태 (도 24 중, 파선으로 나타냄) 가 되면, 메달획득 오목부 (50b) 를 하방으로부터 닫는다.
이와 같이 바닥판 (50a) 이 동작전의 뚜껑닫힘위치로 복귀하면, 로크해제용 솔레노이드 (176) 가 여자된다.
도 29 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로크해제용 솔레노이드 (176) 가 소자되어 걸림부재 (172) 가 Yb 방향으로 슬라이드하여 걸림부 (172a) 가 바닥판 (50a) 의 절결 (50d) 을 건다. 이어서, 복귀용 솔레노이드 (178) 가 소자된다. 이것으로, 바닥판 (50a) 의 복귀동작이 완료된다.
다음으로, 당첨트레이 (52, 54) 를 구동하는 당첨트레이 구동기구 (186) 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0 은 당첨트레이 구동기구 (186) 의 평면도이다. 또, 도 31 은 당첨트레이 구동기구 (186) 를 정면에서 본 종단면도이다. 또한, 좌측의 당첨트레이 (52) 와 우측의 당첨트레이 (54) 를 구동하는 당첨트레이 구동기구 (186) 는, 동일구성이므로, 여기에서는 우측의 당첨트레이 구동기구 (186) 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0 및 도 31 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당첨트레이 (54) 는, 하면좌측에 Xa, Xb 방향으로 연달아 있는 축 (194) 이 삽입통과되는 베어링 (54a) 을 갖는다. 또, 당첨트레이 (54) 로부터 Xb 방향으로 연달아 있는 축 (194) 의 단부는, 불출트레이 (50) 의 측방에 설치된 1 쌍의 브래킷 (188, 189) 에 삽입통과되어 있다. 또한, 브래킷 (188, 189) 에서는, 축 (194) 에 감긴 토션 스프링 (196) 이 설치 되어 있고, 이 토션 스프링 (196) 은 당첨트레이 (54) 를 수평상태로 유지하도록 탄성지지하고 있다.
당첨트레이 구동기구 (186) 는, 브래킷 (188) 에 지지된 당첨트레이용 모터 (88), 브래킷 (188, 189) 간에 설치된 당첨트레이용 모터 (88) 에 의해 구동되는 회전운동암 (190), 및 회전운동암 (190) 의 회전운동에 의해 브래킷 (188, 189) 간에서 요동하는 요동부재 (192) 를 갖는다.
요동부재 (192) 는, 하단부에 길이방향으로 연달아 있는 제 1 긴구멍 (192a) 과 제 2 긴구멍 (192b) 을 갖는다. 제 1 긴구멍 (192a) 은, 브래킷 (188, 189) 에 가교된 축 (196) 이 삽입통과되어 있고, 요동부재 (192) 는 이 축 (196) 을 지점으로서 요동한다. 그리고, 요동부재 (192) 의 중간부분에 설치된 제 2 긴구멍 (192b) 에는, 회전운동암 (190) 의 선단보다 돌출되는 연결핀 (190a) 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또, 요동부재 (192) 의 상단부에는, 브래킷 (188, 189) 간에 형성된 축 (198) 이 삽입통과되는 베어링 (192c) 이 설치되어 있다.
1 쌍의 브래킷 (188, 189) 은, 상단부분에 당첨트레이 (54) 의 이동방향이 되는 Ya, Yb 방향으로 연달아 있는 가이드구멍 (188a, 189a) 을 갖는다. 이 가이드구멍 (188a, 189a) 은, 동일치수로 형성되어 있고,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가이드구멍 (188a, 189a) 에는, 축 (194) 및 축 (198) 이 삽입통과된다. 또, 요동부재 (192) 의 베어링 (192c) 에 삽입통과된 축 (198) 은, 1 쌍의 연결부재 (200) 를 통하여 당첨트레이 (54) 에 삽입통과된 축 (194) 과 연 결되어 있다. 이 때문에, 당첨트레이 (54) 는, 요동부재 (192) 의 요동에 의해 축 (194, 198) 이 가이드구멍 (188a, 189a) 을 슬라이드함으로써 불출트레이 (50) 에 근접 또는 이간하는 방향 (Ya, Yb 방향) 으로 이동한다.
당첨트레이 (54) 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3 단계의 동작에 의해 고인 메달을 불출트레이 (50) 로 공급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Ya 방향으로 이동하면 불출트레이 (50) 의 측방에 설치된 스토퍼 (201) 에 베어링 (54a) 의 단부가 맞닿는다. 이로써, 당첨트레이 (54) 는, 토션 스프링 (196) 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불출트레이 (50) 측 (Z 방향) 으로 경사진다.
또한, 가이드구멍 (188a, 189a) 의 내주부분에는, 축 (194, 198) 의 슬라이드 저항을 경감하기 위한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는 저마찰부재 (202) 가 부착되어 있다. 또, 브래킷 (188, 189) 간에는, 가이드구멍 (188a, 189a) 간을 일정거리로 유지하기 위해, 로드 (204) 가 가로로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당첨트레이 구동기구 (186) 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2 의 (a) ∼ (d) 는 당첨트레이 구동기구 (186) 의 동작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이다.
*도 32 의 (a) 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당첨트레이 (54) 는, 통상, 축 (194) 이 가이드구멍 (188a, 189a) 의 우단측에 위치하는 상태로 정지하고 있다.
여기에서, 상술한 룰렛 (46) 의 추첨결과에 근거하는 쌍육 (48) 의 피스동작 에 의해 전구 (848) 가 점등하여 「RIGHT TRY」(도 19 참조) 가 당선된 경우, 우측의 당첨트레이 (54) 는 1 단계만큼 불출트레이 (50) 측 (Ya 방향) 으로 이동한다.
도 32 의 (b) 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제 1 단계 당선의 경우, 요동부재 (192) 가 당첨트레이용 모터 (88) 에 구동되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운동하고, 우측의 경사위치로부터 수직상태로 되는 가이드구멍 (188a, 189a) 의 중간위치에 도달한다. 이 때문에, 당첨트레이 (54) 는, 제 1 단계당선에 의해 불출트레이 (50) 에 근접 동작을 실시한다.
여기에서, 상술한 룰렛 (46) 의 추첨결과에 근거하는 쌍육 (48) 의 피스동작에 의해 전구 (848) 가 점등하여 「RIGHT TRY」(도 19 참조) 가 다시 당선된 경우, 우측의 당첨트레이 (54) 는 2 단계 불출트레이 (50) 측 (Ya 방향) 으로 이동한다.
도 32 의 (c) 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제 2 단계 당선의 경우, 다시 요동부재 (192) 가 당첨트레이용 모터 (88) 에 구동되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운동하고, 중간위치로부터 좌측의 경사상태로 되는 가이드구멍 (188a, 189a) 의 좌단위치 바로 앞에 도달한다. 이 때문에 당첨트레이 (54) 는, 제 2 단계 당선에 의해 불출트레이 (50) 에 의해 더욱 근접한다.
여기에서, 상술한 룰렛 (46) 의 추첨결과에 근거하는 쌍육 (48) 의 피스동작에 의해 전구 (848) 가 점등하여 「RIGHT TRY」(도 19 참조) 가 세번 당선된 경우, 우측의 당첨트레이 (54) 는 3 단계 불출트레이 (50) 측 (Ya 방향) 으로 이동한다.
도 32 의 (d) 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제 3 단계의 당선인 경우, 다시 요동 부재 (192) 가 당첨트레이용 모터 (88) 에 구동되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운동함과 동시에, 축 (194) 이 삽입통과되는 베어링 (54a) 의 단부가 불출트레이 (50) 의 측방에 설치된 스토퍼핀 (201) 에 맞닿는다. 이 때문에, 당첨트레이 (54) 는, 불출트레이 (50) 측 (Ya 방향) 으로 이동하면서 베어링 (54a) 의 단부가 상대적으로 스토퍼핀 (201) 에 밀려 서서히 Z 방향으로 경사진다. 이로써, 당첨트레이 (54) 의 고인 메달 (M) 은, 도 31 내에서 파선으로 나타나는 바와 같이 불출트레이 (50) 에 공급된다.
이와 같이, 룰렛 (46) 및 쌍육 (48) 의 추첨동작에 근거하여 당첨트레이 (54) 가 단계적으로 경사져 불출트레이 (50) 에 메달을 공급하기 때문에, 플레이어는, 추첨결과를 즐기면서 푸셔게임을 계속할 수 있음과 동시에, 당첨트레이 (54) 가 불출트레이 (50) 측으로 이동하는 모습을 봄으로써, 갬블에서 이겼을 때와 같이 흥분할 수 있어, 즐거움이 배가된다.
다음으로 트럭구동기구 (34) 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3 은 트럭구동기구 (34) 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또, 도 34 는 트럭구동기구 (34) 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9 및 도 30 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트럭구동기구 (34) 는, 2 열차의 트럭 (32), 트럭 (32) 이 주행하는 1 쌍의 레일 (210), 레일 (210) 의 내측에 배열설치된 체인 (212), 체인 (212) 에 맞물려 장착위치를 가이드하는 스프로켓 (2141 ∼ 2146), 및 스프로켓 (2141, 2144) 을 기어 (216) 를 통하여 회전구동하는 구동모터 (68) 로 이루어진다.
트럭 (32) 은, 견인차 (32a) 에 2 량의 화차 (32b) 가 연결된 제 1 열차 (32A) 와, 견인차 (32a) 에 5 량의 화차 (32b) 가 연결된 제 2 열차 (32B) 가 대략 180도의 위치를 주행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1 쌍의 레일 (210) 은, 대략 육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베이스 (221) 상에 고정된 지주 (217) 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레일 (210) 각각의 각 부의 내측에는, 스프로켓 (2141 ∼ 2146) 이 배열설치되어 있다. 또, 레일 (210) 의 각 부의 내측의 2 개소에는, 트럭 (32) 의 화차 (32b) 에 메달을 적재하는 메달적재기구 (218) 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레일 (210) 의 각각의 대변부의 내측에는, 룰렛 (46) 및 쌍육 (48) 의 추첨결과에 의해 잭포트 (대히트) 가 당선되었을 때 트럭 (32) 에 적재된 메달을 필드 (26) 로 낙하시키는 메달투하기구 (2201 ∼ 2206) 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구동모터 (68), 메달투하기구 (2201 ∼ 2206) 는, 베이스 (221) 에 설치되어 있다. 또, 메달적재기구 (218) 는, 레일 (210) 의 상방에 연달아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견인차 (32a) 및 화차 (32b) 는, 1 쌍의 레일 (210) 의 상측을 전동하는 차륜 (222) 과, 1 쌍의 레일 (210) 의 하측을 전동하는 차륜 (224) 을 갖는다. 이 때문에, 견인차 (32a) 및 화차 (32b) 는, 레일 (210) 로부터 탈선하지 않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 견인차 (32a) 및 화차 (32b) 는, 각각 결합부재 (225) 를 통하여 체인 (212) 에 결합되어 있다. 체인 (212) 은, 스프로켓 (2141 ∼ 2146) 에 맞물려 레일 (210) 의 하방에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구동모터 (68) 에 의해 스프로켓 (2141, 2144) 이 회전구동되면, 스프로켓 (2141 ∼ 2146) 에 감긴 체인 (212) 이 한방향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제 1 열차 (32A) 및 제 2 열차 (32B) 가 레일 (210) 을 따라 주행한다.
따라서, 제 1 열차 (32A) 및 제 2 열차 (32B) 의 속도는, 구동모터 (68) 에 의해 회전구동되는 스프로켓 (2141, 2144) 의 회전수에 의해 결정된다. 그리고, 제어장치 (64) 의 CPU (66) 은, 룰렛 (46) 및 쌍육 (48) 의 추첨결과에 따라 구동모터 (68) 의 회전제어를 실시한다. 또, CPU (66) 은, 상술한 크레이지모드로 되면, 제 1 열차 (32A) 및 제 2 열차 (32B) 의 속도를 랜덤하게 변화시킨다.
또, 베이스 (221) 의 둘레가장자리부분에는, 제 1 열차 (32A) 및 제 2 열차 (32B) 가 각각의 부스 (181 ∼ 186) 에 대응하는 육각형의 대변위치를 통과한 것을 검출하는 포토센서 (2261 ∼ 2266) 가 배열설치되어 있다. 이 포토센서 (2261 ∼ 2266) 는, 견인차 (32a) 및 화차 (32b) 의 하부에서 측방으로 돌출되는 피검출부 (228) 를 검출하면, 그 검출신호를 CPU (66) 에 출력한다. 그리고, CPU (66) 는, 포토센서 (2261 ∼ 2266) 로부터의 검출신호에 근거하여 화차 (32b) 의 위치를 인식함과 동시에, 메달의 적재 또는 낙하동작을 실시하도록 제어한다.
제 1 열차 (32A) 및 제 2 열차 (32B) 의 화차 (32b) 에는, 상술한 회수트레이 (60) 에 회수된 메달이 메달이송기구 (62) 에 의해 상방으로 이송되면, 메달 적재기구 (218) 에 의해 화차 (32b) 에 적재된다.
또한, 메달이송기구 (62) 및 메달적재기구 (218) 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메달투하기구 (2201 ∼ 2206) 는, 룰렛 (46) 및 쌍육 (48) 의 추첨결과에 의해 잭포트 (대히트) 가 당선된 경우, 또는 크레이지모드에 들어간 경우, CPU (66) 로부터의 지령에 의해 화차 (32b) 에 적재된 메달을 필드 (26) 및 푸셔 (36) 상에 낙하시킨다.
여기에서, 메달투하기구 (2201 ∼ 2206) 에 대하여 설명한다.
화차 (32b) 는, 메달이 적재되는 하대 (228), 하대 (228) 의 측면을 개폐하도록 축 (229) 에 의해 회전운동이 가능하게 설치된 개폐부재 (230), 및 하대 (228) 와 대차 (232) 와의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 (234) 로 이루어진다. 연결부재 (234) 는, 일단이 하대 (228) 및 개폐부재 (230) 에 회전운동이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대차 (232) 에 회전운동이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하대 (228) 는, 측방으로 돌출하는 결합부 (236) 를 갖는다.
또, 메달투하기구 (2201 ∼ 2206) 는, 일단 (238a) 이 하대 (228) 의 결합부 (236) 에 결합하도록 배치된 L 자형상의 레버 (238), L 자형상의 레버 (238) 의 타단 (238b) 에 맞닿는 맞닿음핀 (240) 을 갖는 회전체 (242), 및 회전체 (242) 를 회전구동하는 메달투하용 모터 (244) 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CPU (66) 로부터의 지령에 의해 메달투하용 모터 (224) 가 구동되면, 도 33 에서 회전체 (242) 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운동되기 때문에, 회전체 (242) 에 설치된 맞닿음핀 (240) 이 L 자형상 레버 (238) 의 타단 (238b) 을 밀어 L 자형상 레버 (238) 의 일단 (238a) 을 상방으로 회전운동시킨다.
이로써, L 자형상 레버 (238) 의 일단 (238a) 이 화차 (32b) 의 결합부 (236) 에 맞닿고, 이것을 상방으로 들어올린다. 이 때문에, 화차 (32b) 의 하대 (228) 가 연결부재 (234) 의 요동동작에 따라 일단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운동하여 경사짐과 동시에, 개폐부재 (230) 가 하대 (228) 에 설치된 축 (228a) 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운동하여 경사진다.
상기와 같은 하대 (228) 의 경사동작 및 개폐부재 (230) 의 열림동작에 의해 하대 (228) 의 측면이 개방되고, 하대 (228) 에 적재된 메달이 필드 (26) 및 푸셔 (36) 를 향하여 투하된다.
따라서, 플레이어는, 화차 (32b) 에 적재된 다수의 메달이 필드 (26) 및 푸셔 (36) 를 향하여 한꺼번에 투하되는 모습을 눈앞에서 볼 수 있고, 그 박력으로부터 대히트를 친 것을 실감할 수 있음과 동시에 다른 부스 (18) 의 플레이어에 대하여 우월감을 맛볼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케이스 (12) 에 6 개의 부스 (18) 를 설치하여 6 인의 플레이어가 동시에 플레이할 수 있는 구성으로 했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6 인 이외의 복수의 플레이어가 실시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트럭 (32) 를 필드 (26) 의 상방에서 주행시키는 구성을 사용하여 설명했는데,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크레인기구 등의 트럭 (32) 이외의 메달공급수단을 설치할 수도 있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추첨수단으로서 룰렛 (46) 및 쌍육 (48) 을 사용하여 설명했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파티스로기와 같은 도안의 조합에 의해 당선된 경우, 보너스로서 다수의 메달을 필드 (26) 에 공급하도록 하여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