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98520A - 휴대기기 - Google Patents

휴대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98520A
KR20070098520A KR1020070025930A KR20070025930A KR20070098520A KR 20070098520 A KR20070098520 A KR 20070098520A KR 1020070025930 A KR1020070025930 A KR 1020070025930A KR 20070025930 A KR20070025930 A KR 20070025930A KR 20070098520 A KR20070098520 A KR 200700985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base member
frame body
rotation
resp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59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21294B1 (ko
Inventor
류타 쿠라모치
Original Assignee
가토오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토오덴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토오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985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85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12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12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의 편리성이 향상된 휴대기기를 제공하기 위해 제1틀체와 제2틀체로 되고, 개폐기구를 이용하여 상기 제1틀체의 상면을 상기 제2틀체로 덮는 폐쇄상태와, 상기 제1틀체의 상면을 노출시키는 개방상태를 형성하는 휴대기기에 있어서, 상기 개폐기구가, 반자동수단과 회동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반자동수단이, 상기 제1틀체 및 상기 제2틀체의 어느 일방의 틀체에 취부되는 베이스부재와, 그 베이스부재에 슬라이드결합함과 동시에 상기 제1틀체 및 상기 제2틀체의 어느 타방의 틀체에 취부되는 슬라이더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와 상기 슬라이더부재의 사이에 설치되고, 일단부가 상기 베이스부재에 연결됨과 동시에 타단부가 상기 슬라이더부재에 연결되며, 그 슬라이더부재를 상기 베이스부재에 대해 소정의 위치로부터 개방방향 또는 폐쇄방향으로 슬라이드력을 가하는 힘작용수단을 지니며, 상기 회동수단은, 상기 베이스부재와 상기 일방의 틀체 사이에 설치되고, 그 회동수단이, 상기 베이스부재 및 상기 일방의 틀체의 어느 일방에 취부되는 샤프트와, 그 샤프트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됨과 동시에, 상기 베이스부재 및 상기 일방의 틀체의 어느 타방에 취부되고, 상기 개방상태에서 상기 제1틀체에 대해 상기 제2틀체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브라켓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사용의 편리성, 휴대기기, 반자동수단, 회동수단

Description

휴대기기{portable apparatus}
도1은, 본원발명에 따른 휴대기기의 일예를 나타내는 사시도로, (a)는 폐쇄상태를 나타내며, (b)는 개방상태를 나타내고, (c)는 개방상태에서 제2틀체를 회전시킨 개방회전상태를 나타낸다.
도2는, 본원발명에 따른 휴대기기의 폐쇄상태의 일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3은, 본원발명에 따른 휴대기기의 개방상태의 일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4는, 본원발명에 따른 휴대기기의 개방회전상태의 일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5는, 본원발명에 따른 휴대기기의 개방상태의 일예를 나타내는 일부단면사시도이다.
도6은, 본원발명에 따른 휴대기기의 개방회전상태의 일예를 나타내는 일부단면사시도이다.
도7은, 본원발명에 따른 개폐장치의 폐쇄상태의 일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8은, 본원발명에 따른 개폐장치의 중립상태의 일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9는, 본원발명에 따른 개폐장치의 개방상태의 일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10은, 본원발명에 따른 개폐장치의 개방회전상태의 일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11은, 본원발명에 따른 개폐장치의 개방회전상태의 일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12는, 본원발명에 따른 개폐장치의 일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13은, 본원발명에 따른 개폐장치의 일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14는, 본원발명에 따른 개폐장치의 일예를 나타내는 분해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2: 제1틀체
3: 제2틀체
4: 개폐기구
5: 반자동수단
6: 회동수단
7: 베이스부재
8: 슬라이더부재
9: 힘작용수단(스프링)
11: 샤프트
본원발명은, 예를 들면, 휴대전화기, PDA, 포켓컴퓨터와 같은 휴대기기를 구성하는 제1틀체와 제2틀체를 서로 중첩시킨 상태에서 상대적으로 개폐가능하게 하는 것에 이용하기에 적합한 휴대기기에 관한 것이다.
휴대기기인 휴대전화기, PDA, 포켓컴퓨터등에 있어서, 키보드 등을 상면에 설치한 제1틀체와, 디스플레이나 스피커 등을 상면에 설치한 제2틀체를 지니며, 이들 제1틀체와 제2틀체가 중첩하여 제2틀체로 제1틀체의 상면을 덮는 폐쇄상태와, 제2틀체를 제1틀체에 대해 슬라이드시켜서 제1틀체의 상면을 노출시키는 개방상태를 만들어 내는, 개폐장치부의 것이 시장에 출하되어 있다. 이러한 휴대기기로서는, 일본국특개2003-125052호 공개특허공보에 기재된 것이 공지되어 있다.
그 공개특허공보에 기재된 휴대기기는, 슬라이드커버와 로크플레이트를 중첩시켜서 고착한 슬라이드케이스를 제2틀체의 하면에 취부함과 동시에, 슬라이드케이스내에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수납한 슬라이더를 제1틀체의 상면에 취부하는 것으로, 제2틀체를 제1틀체에 대해 슬라이드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구성의 것이었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제1틀체와 제2틀체의 상대적조작, 즉, 슬라이드조작은 전적으로 수동으로 행하지 않으면 안되고, 조작성의 점에서 난점이 있었다. 이 때문에, 본출원인은 먼저, 반자동으로 슬라이드조작을 행하는 휴대기기를 제안하였 다.
상기 휴대기기는, 예를 들면, 제1틀체의 상면에 취부되는 베이스부재와, 그 베이스부재에 미끄럼운동가능하게 결합된 슬라이더와, 베이스부재와 슬라이더 사이에 설치되고, 슬라이더를 베이스부재에 대한 소정의 미끄럼운동위치로부터 폐쇄방향 및/또는 개방방향으로 미끄럼운동을 가하는 힘작용수단으로 구성되며, 슬라이더가 베이스부재에 대한 소정의 미끄럼운동위치로부터 폐쇄방향 또는 개방방향으로 미끄럼운동시키므로, 제1틀체와 제2틀체를 소정의 위치로부터 자동적으로 개폐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제1틀체에 대해 제2틀체가 길이방향으로 측면에서 보아 직선상 결국 평행하게 슬라이드이동하여 개방상태로 되면, 사용하기 어렵고, 사용의 편리성이 나쁜 점이 있었다. 즉, 개방상태시, 제1틀체와 제2틀체가 대략 평행하게 위치되어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제1틀체를 책상 등의 위에 둔 경우에는, 제2틀체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화상이 보기어렵고 사용하기 어려웠다.
본원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사용의 편리성이 향상된 휴대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원발명에 따른 휴대기기는, 제1틀체와 제2틀체로 되고, 개폐기구를 이용하여 상기 제1틀체의 상면을 상기 제2틀체로 덮는 폐쇄상태와, 상기 제1틀체의 상면을 노출시키는 개방상태를 형성하는 휴대기기에 있어 서, 상기 개폐기구가, 반자동수단과 회동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반자동수단이, 상기 제1틀체 및 상기 제2틀체의 어느 일방의 틀체에 취부되는 베이스부재와, 그 베이스부재에 슬라이드결합함과 동시에 상기 제1틀체 및 상기 제2틀체의 어느 타방의 틀체에 취부되는 슬라이더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와 상기 슬라이더부재의 사이에 설치되고, 일단부가 상기 베이스부재에 연결됨과 동시에 타단부가 상기 슬라이더부재에 연결되며, 그 슬라이더부재를 상기 베이스부재에 대해 소정의 위치로부터 개방방향 또는 폐쇄방향으로 슬라이드력을 가하는 힘작용수단을 지니며, 상기 회동수단은, 상기 베이스부재와 상기 일방의 틀체 사이에 설치되고, 그 회동수단이, 상기 베이스부재 및 상기 일방의 틀체의 어느 일방에 취부되는 샤프트와, 그 샤프트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됨과 동시에, 상기 베이스부재 및 상기 일방의 틀체의 어느 타방에 취부되고, 상기 개방상태에서 상기 제1틀체에 대해 상기 제2틀체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브라켓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 발명에 의하면, 반자동수단을 구비하는 것에 의해, 제1틀체에 대해 제2틀체가 소정의 위치로부터 자동적으로 개방방향 또는 폐쇄방향으로 슬라이드하므로, 반자동으로 개폐를 행할 수 있다. 또한, 회동수단을 구비하는 것에 의해 개방상태인 때, 제1틀체에 대해 제2틀체가 회동하므로, 제1틀체에 대한 제2틀체의 각도를 변하게 한다. 따라서, 사용의 편리성이 향상된다.
본원발명에 따른 휴대기기에 있어서, 상기 회동수단이, 상기 브라켓을 상기 샤프트에 가압하여 프릭션을 발생시키는 프릭션부재를 지니며, 상기 제1틀체에 대해 상기 제2틀체를 회전시켜서 그 회전이 멈춘 때, 그 위치에서 제2틀체가 정지하 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원발명에 따른 휴대기기에 있어서, 상기 제1틀체 및 상기 제2틀체의 어느 일방의 틀체에, 상기 제1틀체 및 상기 제2틀체의 어느 타방의 틀체를 결합하여 상기 제1틀체에 대한 상기 제2틀체의 회동을 규제하는 규제부를 설치하며, 상기 타방의 틀체에, 상기 개방상태인 때에, 상기 규제부와 상기 타방의 틀체의 결합을 해제하여 상기 제1틀체에 대한 상기 제2틀체의 회동을 허용하는 회동허용부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기기에 의하면, 반자동수단 및 회동수단을 구비하는 것에 의해, 제1틀체에 대해 제2의 틀체가 소정의 위치로부터 자동적으로 개방방향 또는 폐쇄방향으로 슬라이드하므로, 반자동으로 개폐를 행할 수 있음과 동시에, 개방상태인 때에, 제1틀체에 대해 제2틀체가 회동하기 때문에, 제1틀체에 대한 제2틀체의 각도를 변화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의 편리성이 향상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 본원발명에 따른 휴대기기의 일예를 첨부도면에 기초하여 상술한다.
도1∼도6은 본원발명에 따른 휴대기기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7∼도14는 본원발명에 따른 개폐기구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원발명에 따른 휴대기기는, 도1∼도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틀체(2)와 제2틀체(3)로 되고, 개폐기구(4)를 이용하여 제1틀체(2)의 상면을 제2틀체(3)로 덮는 폐쇄상태(도1(a) 및 도2참조)와, 제1틀체(2)의 상면을 노출시키는 개방상태를 형성하는 것이다. 또,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제1틀체(2) 및 제2틀체(3)를 폐쇄상태로부터 서로 슬라이드시켜서 제1틀체(2)의 상면을 노출시킨 개방상태(도1(b), 도3 및 도5참조)와, 그 개방상태로부터 더욱 제1틀체(2) 및 제2틀체(3)를 회동시킨 상태(도1(c), 도4 및 도6참조)의 2개의 개방상태가 있지만, 본원발명에 있어서는, 전자의 개방상태를 단지 개방상태라 하며, 후자의 개방상태를 개방회동상태라고 하기도 한다.
본원발명에 따른 휴대기기(1)로서는, 특히 한정됨이 없이, 예를 들면, 휴대전화기, PDA, 포켓컴퓨터, 자우루스(상표), 전탁, 휴대게임기 등을 들 수 있다. 또, 본원발명에 있어서 휴대기기로서는, 기타, 재털이, 케이스덮개 등도 포함된다. 즉, 2개의 틀체를 서로 이동시키는 것이면 특히 한정되지 아니한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휴대기기에 대해 특히 한정시킴이 없이 설명한다.
본원발명에 따른 휴대기기(1)는, 도2∼도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폐기구(4)가, 반자동수단(5)과 회동수단(6)을 구비하고, 반자동수단(5)이, 제1틀체(2) 및 제2틀체(3)의 어느 일방의 틀체, 예를 들면, 제1틀체(2)에 취부되는 베이스부재(7)와, 그 베이스부재(7)에 슬라이드결합함과 동시에 제1틀체(2) 및 제2틀체(3)의 어느 타방의 틀체, 예를 들면, 제2틀체(3)에 취부되는 슬라이더부재(8)와, 베이스부재(7)와 슬라이더부재(8)의 사이에 설치되고, 일단부가 상기 베이스부재(7)에 연결됨과 동시에 타단부가 슬라이더부재(8)에 연결되며, 그 슬라이더부재(8)를 베이스부재(7)에 대해 소정의 위치로부터 개방방향 또는 폐쇄방향으로 슬라이드력을 가하는 힘작용수단(9)을 지니며, 회동수단(6)은, 베이스부재(7)와 제1틀체(2)의 사이에 설치되고, 그 회동수단(6)이, 베이스부재(7) 및 일방의 틀체의 어느 일방, 예를 들면, 베이스부재(7)에 취부되는 샤프트(11)와, 그 샤프트(11)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됨과 동시에, 베이스부재(7) 및 일방의 틀체의 어느 타방, 예를 들면, 제1틀체(2)에 취부되며, 개방상태인 때에, 제1틀체(2)에 대해 제2틀체(3)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브라켓(12)을 지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원발명에 있어서 베이스부재(7)가 제1틀체(2) 및 제2틀체(3)의 어느 일방의 틀체, 예를 들면, 제1틀체(2)에 취부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베이스부재(7)와 제1틀체(2)의 사이에 회동수단(6)이 설치되어 베이스부재(7)가 제1틀체(2)에 직접 취부되어 있지 아니하고 회동수단(6)의 브라켓(12)이 제1틀체(2)에 직접 취부되는 것이다. 또한, 베이스부재(7)를 제1틀체(2)에 취부하고, 슬라이더부재(8)를 제2틀체(3)에 취부하였지만, 베이스부재(7)를 제2틀체(3)에 취부하고, 슬라이더부재(8)를 제1틀체(2)에 취부하도록 하여도 좋다.
제1틀체(2)는, 예를 들면, 키보드(도시 생략됨) 등을 상면에 지니는 것이다. 제1틀체(2)는, 예를 들면, 횡장의 대략 사각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제1틀체(2)는, 상하방향의 길이는 짧고, 좌우방향(폭방향)의 길이가 긴 횡장의 대략 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 제1틀체(2)의 상면에는, 브라켓수용부(21)가 설치되어 있다. 제2틀체(3)는, 예를 들면, LCD 등의 디스플레이(31) 등을 지니고 있다. 제2틀체(3)는, 예를 들면, 제1틀체(2)에 중첩하는 것이 가능한 횡장의 대략 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틀체(3)의 하면에는, 개폐기구(4)의 슬라이더부재(8)가 예를 들면, 나사 등에 의해 취부되어 있다.
슬라이더부재(8)는, 횡장의 대략 사각형 평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슬라 이더부재(8)의 상면으로서 양측부근방에는, 베이스부재(7)가 슬라이드결합하는 슬라이드요홈부(81)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슬라이드요홈부(81)의 상대측(전방측)의 단부(폐쇄단부라고 하기도 한다)는 폐쇄되어 있다. 슬라이더부재(8)의 양측부 근방에는, 슬라이더부재(8)를 제2틀체(3)의 하면에 취부하기 위한 취부공(82)이 예를 들면, 6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슬라이더부재(8)의 양측부근방으로서 대략 중앙부근방에는, 아암취부공(83)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베이스부재(7)는, 제1틀체(2)의 대략 중앙부보다 상방에 위치되는 것이다. 베이스부재(7)는, 횡장의 대략 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부재(7)의 폭은, 슬라이더부재(8)의 폭보다 긴 칫수로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부재(7)의 양단부는, 상방으로 각각 90도 절곡되고, 더욱 내측으로 90도 절곡된 대략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베이스부재(7)는, 사각형 평판형상의 기초부(7a)와, 기초부(7a)로부터 90도 절곡된 수직부(7b)와, 수직부(7b)에서 절곡된 평행부로 되고, 그 평행부가 부재취부부(71)로서 형성되어 있다. 수직부(7b)의 앞(후방측)의 단부가 절결되어 샤프트장착부(72)로서 형성되어 있다. 부재취부부(71)의 전방측으로서 수직부(7b)에는, 수직부(7b)와 평행하게 연장되는 U자 형상의 절결홈(71a)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부재취부부(71)의 대략 중앙부로서 수직부(7b)에는, 취부공(71b)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부재취부부(71)의 앞부분 근방으로서 수직부(7b)에도, 취부공(71c)이 설치되어 있다. 그 부재취부부(71)위에 슬라이드부재(73)가 취부되어 있다.
슬라이드부재(73)는, 부재취부부(71)와 대략 유사한 사각형 판형상으로 형성 되어 있다. 그 슬라이드부재(73)는, 부재취부부(71)에 중첩되게 취부된다. 절결홈(71a)의 곡부 및 2개의 취부공(71b), (71c)과 대향하는 위치의 슬라이드부재(73)에는, 각각 취부공(73a), (73b), (73c)이 설치되어 있고, 예를 들면, 취부핀(78),(79)를 이용하여 그 취부핀(78), (79)를 코킹이나 리벳팅 등에 의해 슬라이드부재(73)가 부재취부부(71)에 취부되어 있다. 그 슬라이드부재(73)는, 대략 중앙부에서 대향하는 측이 크랭크형상으로 절곡되어 슬라이드부(74)로서 형성되며, 그 슬라이드부(74)와 부재취부부(71)의 사이에 슬라이더부재(8)의 슬라이드요홈부(81)가 위치되어 슬라이드부(74)가 슬라이드요홈부(81)와 결합하고, 베이스부재(7)에 대해 슬라이더부재(8)가 슬라이드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1틀체(2)에 대해 제2틀체(3)가, 폐쇄상태로부터 개방상태까지의 사이에서 슬라이드이동하게 된다.
힘작용수단(9)은, 베이스부재(7)와 슬라이더부재(8)와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힘작용수단(9)은, 일단부가 베이스부재(7)에 연결됨과 동시에 타단부가 슬라이더부재(8)에 연결되어서, 베이스부재(7)에 대해 슬라이더부재(8)를 소정의 위치, 예를 들면, 중립상태로부터 개방방향 또는 폐쇄방향으로 슬라이드력을 작용시키는 것이다. 힘작용수단(9)은, 특히 한정됨이 없이, 예를 들면, 베이스부재(7) 및 슬라이더부재(8)의 어느 일방, 예를 들면, 슬라이더부재(8)에 선회가능하게 취부되고 선회아암(91)과, 베이스부재(7) 및 슬라이더부재(8)의 어느 타방, 예를 들면, 베이스부재(7)에 취부되어, 선회아암(91)에 힘을 작용시켜서 선회아암(91)을 중립상태로부터 어느 방향으로도 선회시킬 수 있는 것에 의해 제1틀체(2)와 제2틀체(3) 를 중립상태로부터 자동적으로 개폐시키는 힘작용부재로 구성되어도 좋다.
선회아암(91)의 단부에는, 선회샤프트(95)의 선회지지부(95a)의 직경보다 크고, 또한, 선회샤프트(95)의 머리부(95b)의 직경보다 작은 칫수의 직경의 선회공(91a)이 설치되어 있다. 그 선회공(91a)에 선회샤프트(95)의 선회지지부(95a)가 삽입되어 선회샤프트(95)가 슬라이더부재(8)의 아암취부공(83)에 취부되는 것에 의해, 선회아암(91)이 슬라이더부재(8)의 내면에, 그 내면에 대해 평행하게 선회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선회아암(91)은, 선회샤프트(95)를 개재하여 슬라이더부재(8)에 대략 180도의 범위로 선회가능하게 축으로 장착되어 있다. 선회아암(91)의 자유단부에는, 취부공(91b)이 설치되어 있다. 그 취부공(91b)에 선회아암(91)의 표면으로부터 세워 설치되도록 힘작용핀(96)이 취부되어 있다. 힘작용핀(96)의 외주의 선단부근방에는, 그 원주방향으로 힘작용부재결합홈(96a)이 설치되어 있다.
힘작용부재는, 선회아암(91)에 힘을 작용시켜서 선회아암(91)을 중립상태로부터 어느 방향으로도 선회시킬 수 있는 것에 의해 제1틀체(2)와 제2틀체(3)를 중립상태(도8참조)로부터 자동적으로 개폐시키는 것으로서, 특히 한정되지 아니한다. 힘작용부재로서는 원주방향으로 신축하는 예를 들면, 태엽형 스프링(92) 등이 바람직하다.
태엽형 스프링(92)은, 스프링취부부재(93)에 의해 베이스부재(7)에 취부되어 있다. 스프링취부부재(93)는, 원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 스프링취부부재(93)의 일방의 면인 내면의 대략 중앙부에는, 2개의 스프링설치부(93a)가 설치 되어 있다. 이들 스프링설치부(93a)의 선단면에는, 취부돌출부(93b)가 각각 설치되며, 이들 취부돌출부(93b)를 베이스부재(7)의 취부공(7d)에 삽입하여 코킹이나 리벳팅에 의해 스프링취부부재(93)가 베이스부재(7)의 내면에 취부되어 있다. 그 스프링취부부재(93)의 스프링설치부(93a)사이에 태엽형 스프링(92)의 일단부가 취부되며, 스프링설치부(93a)의 외주에 태엽형 스프링(92)이 권선되어 설치되고, 태엽형 스프링(92)이 스프링취부부재(93)를 개재하여 베이스부재(7)에 취부되도록 되어 있다.
태엽형 스프링(92)의 크기는, 베이스부재(7)의 내면상에 위치할 수 있는 칫수이면 특히 한정되지 아니한다. 또한, 태엽형 스프링(92)은, 항상 나선방향과는 반대방향의 대략 원주방향으로 힘을 작용시키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태엽형 스프링(92)의 자유단부는, 나선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대략 반원형상으로 절곡되어 장착부(92a)로서 형성되어 있다. 자유단부의 내경은, 힘작용핀(96)의 힘작용부재결합홈(96a)의 직경과 동일 또는 대략 동일한 칫수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장착부(92a)가 힘작용핀(96)의 힘작용부재결합홈(96a)에 결합되어 있다.
그 태엽형 스프링(92), 선회아암(91), 베이스부재(7) 및 슬라이더부재(8)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앙선을 축으로 대칭되게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베이스부재(7)에 슬라이드결합되어 폐쇄상태인 때에, 선회아암(91)의 자유단부가 선회아암(91)의 선회축보다 전방측으로 위치되어서, 제1틀체(2) 및 제2틀체(3)가 폐쇄상태로 유지되도록 항상 힘이 작용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폐쇄상태로부터 개 방상태로 되도록, 슬라이더부재(8)를 베이스부재(7)에 대해 슬라이드시킨 때, 그 슬라이드의 도중에, 예를 들면, 중립상태에서 선회아암(91)의 선단부에 걸리는 힘이 선회아암(91)의 선회축 방향으로 작용하는 일이 있고, 그 중립상태인 때에, 태엽형 스프링(92)의 작용력이 슬라이더부재(8)에 작용하지 아니하는 때이며, 그 상태에서 조금이라도 슬라이더부재(8)가 개방상태의 방향으로 이동하면, 선회아암(91)의 자유단부가 선회아암(91)의 선회축보다 앞에 위치되게 되어, 제1틀체(2) 및 제2틀체(3)가 개방상태로 되도록 힘이 작용하게끔 구성되어 있다. 또한, 개방상태인 때, 선회아암(91)의 자유단부가 선회아암(91)의 선회축보다 전방측에 위치되어서, 제1틀체(2) 및 제2틀체(3)가 개방상태로 유지되도록 항상 힘이 작용하게끔 구성되어 있다.
회동수단(6)은, 베이스부재(7)와 제1틀체(2) 및 제2틀체(3)의 어느 일방의 틀체, 예를 들면, 제1틀체(2)와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그 회동수단(6)이 예를 들면, 베이스부재(7)에 취부되는 샤프트(11)와, 그 샤프트(11)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됨과 동시에, 제1틀체(2)에 취부되는 브라켓(12)을 구비한다.
샤프트(11)는, 원판형상의 기초부(11a)와, 그 기초부(11a)의 일방의 면에 설치되어 있는 취부부(11b)와, 기초부(11a)의 타방의 면에 설치되어 있는 회동지지부(11c)를 구비한다. 취부부(11b)는, 기초부(11a)의 중앙부에서 하방으로 편심된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취부부(11b)에는, 취부공(11d)이 설치되어 있다. 취부부(11b)는, 베이스부재(7)의 샤프트장착부(72)에 예를 들면, 취부핀(79)에 의해 취부되며, 샤프트(11)가 베이스부재(7)의 양단부로부터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베이스부재(7)에 각각 취부되도록 되어 있다. 회동지지부(11c)는, 기초부(11a)에 동축상으로 설치되어 있다. 회동지지부(11c)는, 기초부(11a)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 회동지지부(11c)는, 대향하는 2개소가 서로 평행하게 절결된 평행부와 곡부로 구성되고, 대략 장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브라켓(12)는, 제1틀체(2)의 브라켓수용부(21)에 수용되어 나사 등에 의해 취부되는 평판사각형상의 취부부(12a)와, 샤프트(11)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는 회동부(12b)를 구비한다. 회동부(12b)는, 원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회동부(12b)에는, 회동공(12c)이 동축상에 설치되어 있다. 회동공(12c)은, 회동지지부(11c)의 직경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어 있다. 그 회동부(12b)의 회동공(12c)을 개재하여 샤프트(11)의 회동지지부(11c)의 축주위에 브라켓(12)이 회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브라켓(12)의 회동부(12b)의 전후의 회동지지부(11c)에는, 각각 와셔(15)(16)가 설치되어 있다. 즉, 샤프트(11)의 기초부(11a)와 브라켓(12)의 회동부(12b)의 사이, 및 브라켓(12)의 회동부(12b)와 후술하는 접시스프링(13)의 사이에는, 각각 와셔(15)가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접시스프링(13)의 외측(와셔(15)와는 반대측)인 회동지지부(11c)의 선단부에는, 와셔(16)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와셔(15) (16)의 관통공(15a)(16a)은, 회동지지부(11c)의 형상보다 약간 큰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와셔(15)(16)는, 회동지지부(11c)에 그 축방향으로 이동가능지만, 회동할 수 없도록 설치되어 있다. 회동지지부(11c)의 선단부는, 와셔(16)로부터 돌출하고, 그 돌출한 부분이 코킹되거나 리벳팅되어, 샤프트(11)에 브라켓(12)이 회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회동수단(6)에는, 브라켓(12)의 회동부(12b)를 샤프트(11)의 기초부(11a)에 가압하여(실제로는 와셔(15)를 개재하여 가압하여) 프릭션을 발생시키는 프릭션부재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릭션부재로서는, 특히 한정됨이 없이, 예를 들면, 접시스프링(13) 등인 것이 바람직하다. 접시스프링(13)은, 예를 들면, 브라켓(12)의 회동부(12b)와 선단부측의 와셔(16)의 사이, 실제로는 와셔(15)와 와셔(16)의 사이의 회동지지부(11c)의 축주위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브라켓(12)의 회동부(12b)가 샤프트(11)의 기초부(11a)에 가압되어 프릭션이 발생하고, 제1틀체(2)에 대해 제2틀체(3)를 회전시켜서 그 회전을 멈춘 때, 그 위치에서 제2틀체(3)가 정지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1틀체(2) 및 제2틀체(3)의 어느 일방의 틀체, 예를 들면, 제2틀체(3)에, 제1틀체(2) 및 제2틀체(3)의 어느 타방의 틀체, 예를 들면, 제1틀체(2)에 결합하여 제1틀체(2)에 대한 제2틀체(3)의 회동을 규제하는 규제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규제부로서는, 특히 한정됨이 없이, 예를 들면, 제2틀체(3)의 하면으로서 앞의 단부 근방에 하방으로 돌출하는 돌출부(35) 등이라도 좋다. 돌출부(35)는, 폐쇄상태 및 폐쇄상태로부터 개방상태의 직전까지의 사이에서 제1틀체(2)의 상면에 접촉하여 제1틀체(2)에 대한 제2틀체(3)의 회동이 규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틀체(2)의 상면에는, 회동허용부(25)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동허용부는, 제1틀체(2) 및 제2틀체(3)를 폐쇄상태로부터 서로 슬라이드시켜서 개방상태로 된 때, 제1틀체(2) 및 제2틀체(3)의 회전을 허용함과 동시에, 제1 틀체(2)에 대한 제2틀체(3)가 소정의 각도, 예를 들면, 회동각도가 40도로 된 때, 그 회전을 정지하는 것이다. 회동허용부(25)는, 예를 들면, 제1틀체(2)의 상면으로 요홈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제1틀체(2) 및 제2틀체(3)가 서로 슬라이드하여 슬라이드개방상태로 된 때, 제2틀체(3)의 돌출부(35)가 접하는 위치에 요홈형상의 회동허용부(25)를 설치하고, 제2틀체(3)가 회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그 회동허용부(25)는, 제1틀체(2)에 대해 제2틀체(3)가 회동각도 40도 로 되면, 그 회동이 정지하도록 하는 스토퍼부(도시 생략됨)를 지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제1틀체(2) 및 제2틀체(3)가 폐쇄상태로부터 서로 슬라이드하여 개방상태로 되면, 제1틀체(2)에 대해 제2틀체(3)를 샤프트(11)를 축으로 회전시켜서 그 회동각도가 40도로 되면 회전이 정지되어 개방회동상태로 되도록 구성 되어 있다.
다음에 본원발명에 따른 휴대기기의 작용을 설명한다.
휴대기기(1)가 사용되지 아니하는 통상의 상태에서는, 제1틀체(2)와 제2틀체(3)가 서로 중첩한 폐쇄상태이다. 그 때, 태엽형 스프링(92)의 작용력에 의해, 선회아암(91)의 자유단부가 슬라이더부재(8)의 대향측(전방측)으로 가압되어 슬라이드부재(73)가 슬라이드요홈부(81)의 폐쇄단부에 접촉하며, 베이스부재(7)와 슬라이더부재(8)가 결속하여 멈춰 있으므로, 제1틀체(2)와 제2틀체(3)가 서로 중첩한 폐쇄상태로 유지되게 된다. 또, 그 폐쇄상태를 보다 확실하게 유지하기 위해, 로크기구를 설치하여도 좋다.
그 휴대기기(1)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제1틀체(2)에 대해 제2틀 체(3)가 슬라이드하여 개방상태로 되도록 제2틀체(3)에 힘을 작용시킨다. 즉, 제1틀체(2)에 대해 제2틀체(3)를 개방방향으로 힘을 작용시켜서 슬라이드시킨다. 그러면, 선회아암(91)은 샤프트(11)를 축으로 회동한다. 그 때, 태엽형 스프링(92)에는, 슬라이드시키는 때의 힘이 작용하여 태엽형 스프링(92)이 하중를 받아 그 작용력 즉 탄성력에 대항하여 원주방향으로 신장된다.
그리고, 중립상태로 되면(도8참조), 태엽형 스프링(92)에 의한 선회아암(91)의 자유단부에 걸리는 작용력이 샤프트(11)의 방향으로 작용하면, 슬라이드부재(73)에는 슬라이드방향의 작용력이 없게 된다. 즉, 슬라이드힘이 0으로 된다. 그 중립상태를 지나면, 선회아암(91)의 축의 지점(샤프트(11)의 중심)과 그 자유단부와의 위치가 상대적으로 역으로 되고, 샤프트(11)를 중심으로 하여 태엽형 스프링(92)에 의해 선회아암(91)의 자유단부가 샤프트(1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압되므로, 제1틀체(2)에 대해 제2틀체(3)가 개방방향으로 자동적으로 슬라이드이동하여 개방상태로 된다. 또, 개방상태로 된 때, 제1틀체(2) 및 제2틀체(3)의 슬라이드가 정지하도록 제1틀체(2) 및 제2틀체(3)에 슬라이드규제부를 설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개방상태에서도, 태엽형 스프링(92)의 작용력에 의해, 선회아암(91)의 자유단부가 슬라이더부재(8)의 앞으로 가압하므로, 제1틀체(2)와 제2틀체(3)가 개방상태로 유지되게 된다. 이에 따라, 제1틀체(2)의 상면에 설치한 키보드가 노출하므로, 키보드조작이 가능하게 된다. 또, 그 개방상태를 보다 확실하게 유지하기 위해, 로크기구를 설치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에 따라, 폐쇄상태로부터 개방상태로 슬라이드이동시키는 때에 반자동으로 슬라이드동작을 행할 수 있게 된다.
그때, 제2틀체(3)의 디스플레이(31)가 보기 어려운 때에는, 제1틀체(2)에 대해 제2틀체(3)를 회전시킨다. 즉, 개방상태인 때에는, 제2틀체(3)의 돌출부(35)가 회동허용부(25) 위에 위치되기 때문에, 제1틀체(2)에 대해 제2틀체(3)가 회동가능하므로, 제1틀체(2)에 대해 제2틀체(3)를, 샤프트(11)를 축으로 회전시켜서 그 회동각도가 40도로 되기까지 회동할 수 있다. 회동도중에 회동을 정지시키면, 접시스프링(13)에 의해 브라켓(12)의 회동부(12b)가 샤프트(11)의 기초부(11a)에 가압되어 프릭션이 발생하게 되므로, 제1틀체(2)에 대한 제2틀체(3)가 그 회전을 멈춘 위치에서 유지된다. 그 결과, 디스플레이(31)의 각도를 임의의 각도로 변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디스플레이(31)에 표시된 화상을 보기 쉬운 상태에서 키보드조작 등을 행할 수 있으므로, 사용의 편리성이 향상된다.
사용후, 폐쇄상태로 복귀하는 때에는, 제2틀체(3)를 제1틀체(2)에 대해 회전시켜서 개방상태로 복귀시킨 뒤에, 제2틀체(3)를 제1틀체(2)에 대해 개방상태로부터 폐쇄상태로 슬라이드시키면, 태엽형 스프링(92)이 작용력에 대항하여 원주방향으로 신장된다. 중립상태를 지나면, 선회아암(91)의 축지점과 그 자유단부의 위치가 상대적으로 역으로 되면, 샤프트(11)를 중심으로 하여 태엽형 스프링(92)의 작용력에 의해 제2틀체(3) 및 제1틀체(2)가 폐쇄방향으로 가압된다. 그 결과, 제1틀체(2)에 대해 제2틀체(3)가 폐쇄방향으로 자동적으로 슬라이드이동하고, 슬라이드부재(73)가 슬라이드요홈부(81)의 폐쇄단부에 접촉하여 폐쇄상태로 된다. 이에 따라, 개방상태로부터 폐쇄상태로 슬라이드이동시키는 때에 반자동으로 슬라이드동 작을 행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원발명에 따른 휴대기기(1)는, 반자동으로 개폐를 행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제1틀체(2)에 대한 제2틀체(3)의 각도를 변화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의 편리성이 좋은 것이다.
또한, 선회아암(91), 태엽형 스프링(92), 접시스프링(13) 등을 이용하여 반자동으로 슬라이드동작을 행함과 동시에 회동동작을 행하므로, 부품점수가 적게 되고, 비용절감 및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태엽형 스프링(92)의 탄성특성 등과 선회아암(91)의 위치 및 길이를 변화시킴으로써 다양한 슬라이드동작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폐쇄상태 및 개방상태에 있어서의 힘작용수단(9)의 작용력을 증력시키는 것에 의해, 폐쇄상태 및 개방상태를 유지하는 힘을 높일 수 있고, 확실하게 폐쇄상태 및 개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원발명에 따른 휴대기기는, 반자동수단 및 회동수단을 구비하는 것에 의해 제1틀체에 대해 제2틀체가 소정의 위치로부터 자동적으로 개폐하기 때문에, 제1틀체 및 제2틀체를 반자동으로 자동적으로 슬라이드시키는 것이 가능함과 동시에, 개방상태인 때, 제1틀체에 대해 제2틀체가 회동하기 때문에, 제1틀체에 대한 제2틀체의 각도를 변화시킬 수 있으므로, 특히 사용의 편리성이 향상되어 특히 휴대단말기에 이용되기 적합하다.

Claims (3)

  1. 제1틀체와 제2틀체로 되고, 개폐기구를 이용하여 상기 제1틀체의 상면을 상기 제2틀체로 덮는 폐쇄상태와, 상기 제1틀체의 상면을 노출시키는 개방상태를 형성하는 휴대기기에 있어서,
    상기 개폐기구가, 반자동수단과 회동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반자동수단이, 상기 제1틀체 및 상기 제2틀체의 어느 일방의 틀체에 취부되는 베이스부재와, 그 베이스부재에 슬라이드결합함과 동시에 상기 제1틀체 및 상기 제2틀체의 어느 타방의 틀체에 취부되는 슬라이더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와 상기 슬라이더부재의 사이에 설치되고, 일단부가 상기 베이스부재에 연결됨과 동시에 타단부가 상기 슬라이더부재에 연결되며, 그 슬라이더부재를 상기 베이스부재에 대해 소정의 위치로부터 개방방향 또는 폐쇄방향으로 슬라이드력을 가하는 힘작용수단을 지니며, 상기 회동수단은, 상기 베이스부재와 상기 일방의 틀체 사이에 설치되고, 그 회동수단이, 상기 베이스부재 및 상기 일방의 틀체의 어느 일방에 취부되는 샤프트와, 그 샤프트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됨과 동시에, 상기 베이스부재 및 상기 일방의 틀체의 어느 타방에 취부되고, 상기 개방상태에서 상기 제1틀체에 대해 상기 제2틀체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브라켓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수단이, 상기 브라켓을 상기 샤프트에 가압하여 프릭션을 발생시키는 프릭션부재를 지니며, 상기 제1틀체에 대해 상기 제2틀체를 회전시켜서 그 회전을 정지시킨 때, 그 위치에서 제2틀체가 정지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틀체 및 상기 제2틀체의 어느 일방의 틀체에, 상기 제1틀체 및 상기 제2틀체의 어느 타방의 틀체에 결합하여 상기 제1틀체에 대한 상기 제2틀체의 회동을 규제하는 규제부를 설치하고, 상기 타방의 틀체에, 상기 개방상태인 때에, 상기 규제부와 상기 타방의 틀체와의 결합을 해제하여 상기 제1틀체에 대한 상기 제2틀체의 회동을 허용하는 회동허용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KR1020070025930A 2006-03-29 2007-03-16 휴대기기 KR1008212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091851A JP4845558B2 (ja) 2006-03-29 2006-03-29 携帯機器
JPJP-P-2006-00091851 2006-03-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8520A true KR20070098520A (ko) 2007-10-05
KR100821294B1 KR100821294B1 (ko) 2008-04-11

Family

ID=386397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5930A KR100821294B1 (ko) 2006-03-29 2007-03-16 휴대기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845558B2 (ko)
KR (1) KR100821294B1 (ko)
CN (1) CN101047729A (ko)
TW (1) TW20085010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26368B2 (en) 2007-12-28 2012-12-04 Kyocera Corporatio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45029B2 (ja) * 2006-10-27 2011-12-28 エイチティーシー コーポレーション スライド機構及びチルト機構を有する電子デバイス、並びに関連する方法
JP2009071511A (ja) * 2007-09-12 2009-04-02 Panasonic Corp 携帯端末
JP4712786B2 (ja) * 2007-12-13 2011-06-29 京セラ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
JP5085343B2 (ja) 2008-01-11 2012-11-28 加藤電機株式会社 携帯機器のスライド機構及び携帯機器
JP2009278411A (ja) * 2008-05-15 2009-11-26 Sony Ericsson Mobilecommunications Japan Inc 携帯装置
JP5015226B2 (ja) * 2008-12-18 2012-08-29 株式会社ストロベリーコーポレーション スライド装置並びにスライド装置を用いた電子機器
JP4490503B1 (ja) 2009-01-21 2010-06-30 三菱製鋼株式会社 スライドユニット機構
JP2010233062A (ja) * 2009-03-27 2010-10-14 Kato Electrical Mach Co Ltd 携帯機器の筐体の操作機構並びにこの操作機構を備えた携帯機器
TWI394516B (zh) 2009-04-16 2013-04-21 Htc Corp 可攜式電子裝置
CN101873771B (zh) * 2009-04-23 2013-04-17 宏达国际电子股份有限公司 可携式电子装置
JP4948568B2 (ja) * 2009-06-04 2012-06-06 三菱製鋼株式会社 チルト機構及びスライド装置
JP5383391B2 (ja) * 2009-08-31 2014-01-08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機器
JP5199210B2 (ja) * 2009-09-28 2013-05-15 京セラ株式会社 携帯型電子機器
JP5149264B2 (ja) * 2009-12-01 2013-02-20 三菱製鋼株式会社 スライドチルト機構
JP5431892B2 (ja) * 2009-12-04 2014-03-05 加藤電機株式会社 小型電子機器の開閉装置並びに小型電子機器
JP4865886B2 (ja) 2010-06-07 2012-02-01 三菱製鋼株式会社 スライドユニット機構
JP5274517B2 (ja) * 2010-06-24 2013-08-28 京セラ株式会社 携帯通信端末
JP5673096B2 (ja) * 2010-12-28 2015-02-18 ソニー株式会社 機器開閉機構および情報機器
TW201250441A (en) * 2011-06-08 2012-12-16 Ortek Technology Inc Carrying device for integrating protective cover and wireless keyboard
JP5469234B2 (ja) * 2012-11-29 2014-04-16 三菱製鋼株式会社 スライドチルト機構
JP2014149663A (ja) * 2013-01-31 2014-08-21 Toshiba Corp 電子機器
US9277671B2 (en) 2013-01-31 2016-03-01 Kabushiki Kaisha Toshiba Electronic apparatus
CN106534426A (zh) * 2016-11-30 2017-03-22 冯雪平 一种多功能手机壳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44169A (ja) * 2001-07-31 2003-02-14 Casio Comput Co Ltd 電子機器
JP3874750B2 (ja) * 2003-08-28 2007-01-31 正博 舟川 スライド機能を有する折畳み型携帯端末
KR100533038B1 (ko) * 2003-12-30 2005-1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개폐장치
JP2006066526A (ja) * 2004-08-25 2006-03-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開閉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KR100626970B1 (ko) * 2004-09-09 2006-09-20 주식회사 팬택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JP4378333B2 (ja) * 2005-09-07 2009-12-02 株式会社ストロベリーコーポレーション スライド装置並びにスライド装置を用いた電子機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26368B2 (en) 2007-12-28 2012-12-04 Kyocera Corporatio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8538489B2 (en) 2007-12-28 2013-09-17 Kyocera Corporatio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7267238A (ja) 2007-10-11
JP4845558B2 (ja) 2011-12-28
KR100821294B1 (ko) 2008-04-11
TW200850108A (en) 2008-12-16
CN101047729A (zh) 2007-10-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1294B1 (ko) 휴대기기
KR101031731B1 (ko) 2축 힌지장치 및 전자기기
KR100681893B1 (ko) 휴대기기의 슬라이드기구 및 휴대전화기
KR100675734B1 (ko) 통신단말기용 슬라이드 업 개폐장치
US20080161075A1 (en) Slide-Up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For Portable Terminal
EP1791330A1 (en) Portable terminal with hinge device including two axes of rotation
EP1926290B1 (en) Swing hinge device for a portable terminal
KR100896884B1 (ko) 힌지장치 및 휴대기기
JP2002310134A (ja) 連結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折り畳み式電子機器
JP5114136B2 (ja) チルトヒンジ装置
KR20050002460A (ko) 서브 하우징 스토퍼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
KR100675731B1 (ko) 통신단말기용 슬라이드 업 개폐장치
JP2011511915A (ja) 無線通信装置用のヒンジ機構
KR101652772B1 (ko) 차량용 암레스트 힌지구조
KR20050042411A (ko)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KR100829995B1 (ko) 휴대기기의 슬라이드 기구 및 휴대전화기
KR20060122710A (ko) 휴대기기
KR100505961B1 (ko) 슬라이딩 방식 개폐장치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
KR100706129B1 (ko) 휴대폰 폴더의 개폐장치
KR101117597B1 (ko) 휴대형 단말기용 슬라이드 업 모듈
KR100455545B1 (ko) 휴대폰의 커버 힌지장치
JP3141551U (ja) 摺動二重軸ヒンジ組立体
KR20160133596A (ko) 슬림 틸팅 힌지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KR200421669Y1 (ko) 슬라이드 힌지 모듈
JP2008283592A (ja) 携帯機器のスライド機構及び携帯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0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