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3038B1 - 휴대용 단말기의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의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3038B1
KR100533038B1 KR10-2003-0100786A KR20030100786A KR100533038B1 KR 100533038 B1 KR100533038 B1 KR 100533038B1 KR 20030100786 A KR20030100786 A KR 20030100786A KR 100533038 B1 KR100533038 B1 KR 1005330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
main body
guide rail
hinge
portab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1007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68968A (ko
Inventor
주원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1007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3038B1/ko
Priority to CNB2004100585524A priority patent/CN100512330C/zh
Publication of KR200500689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89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30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30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개폐장치는 일측면 하측부에 마이크로폰으로 이루어진 송신부가 형성되고 그 양측면에는 본체부 가이드레일이 형성된 본체부와, 일측면 상측부에 스피커로 이루어진 수화부가 형성되고 그 양측면에는 슬라이드부 가이드레일 및 가이드리브가 형성된 슬라이드부와, 상기 본체부 가이드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및 회동 가능하도록 삽입되어 상기 슬라이드부의 하측 단부에 형성된 슬라이드부 힌지축과, 상기 슬라이드부가 닫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슬라이드부 힌지축과 본체부를 연결하는 코일 스프링과, 상기 본체부의 상측부에 힌지결합되는 힌지결합부와, 상기 본체부가 수용되도록 소정의 폭과 깊이로 함몰되고 함몰된 그 양측면에는 상기 슬라이드부 가이드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및 회동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결합부재 힌지축 및 상기 가이드리브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소정의 폭으로 요입되어 연장되고 상기 슬라이드부가 회동되고 일시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연장된 그 일정부위부터 그 폭이 확대된 확장부가 형성된 결합부재 가이드 레일이 형성된 수용홈으로 이루어진 결합부재와, 상기 슬라이드부가 회동되도록 상기 결합부재의 힌지결합부에 장착되어 상기 결합부재를 회동시키는 비틀림 스프링이 구비되어 구성됨으로써, 송신감도 및 수화감도가 향상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의 개폐장치{OPENING AND SHUTTING APPARATUS FOR MOBILE PHONE}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본체부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되는 슬라이드부가 슬라이딩되면서 슬라이드부가 열리는 순간 슬라이딩됨과 동시에 회동되어 본체부에 대해 슬라이드부가 소정의 각도로 회동되어 송신부 및 수화부가 입과 귀에 가깝게 위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휴대용 단말기는 사용자가 실내 또는 실외에서 사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이동 중에도 사용할 수 있는 무선 이동 통신기기로서, 그 형태에 따라 폴더 타입 휴대용 단말기, 슬라이드 타입 휴대용 단말기 등으로 구분된다.
도 1은 종래 슬라이드형 휴대용 단말기를 슬라이드부가 닫힌 상태에서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 슬라이드형 휴대용 단말기를 슬라이드부가 열린 상태에서 보인 사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부(1)에 슬라이드부(2)가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식으로 이동하여 개폐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본체부(1)에는 정보를 입력하고 기능을 조작하기 위한 키 패드(3)가 구비되어 있으며, 슬라이드부(2)에는 문자 및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LCD와 같은 디스플레이(4)가 구비되어 있다.
또, 상기 본체부(1)에는 상부 일측에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안테나(5)가 설치되어 있으며, 본체부(1)의 하측에는 음성을 송신하기 위하여 마이크로폰을 내장한 송신부(6)가 구비되고, 슬라이드부(2)의 상측에는 음성을 수신하기 위하여 스피커를 내장한 수화부(7)가 구비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종래 구조로 구성된 휴대용 단말기는 본체부(1)에 대하여 슬라이드부(2)가 직선 운동을 하기 때문에 슬라이드부(2)를 상측으로 열고 통화를 하는 경우 슬라이드부(2)의 수화부(7)를 사용자의 귀에 가깝게 하면 본체부(1)의 송신부(6)가 사용자의 입에서 멀어지게 되어 송화 감도가 떨어지게 되고, 마찬가지로 본체부(1)의 송신부(6)를 사용자의 입에 가깝게 하면 슬라이드부(2)의 수화부(7)가 사용자의 귀에서 멀어지게 되어 수화 감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발명의 목적은 슬라이드부가 본체부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됨과 동시에 소정의 각도로 회동되어 송신부 및 수신부가 사용자의 입과 귀에 가깝게 위치하여 송화 감도 및 수화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개폐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휴대용 단말기의 개폐장치는 일측면 하측부에 마이크로폰으로 이루어진 송신부가 형성되고 그 양측면에는 본체부 가이드레일이 형성된 본체부와, 일측면 상측부에 스피커로 이루어진 수화부가 형성되고 그 양측면에는 슬라이드부 가이드레일 및 가이드리브가 형성된 슬라이드부와, 상기 본체부 가이드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및 회동 가능하도록 삽입되어 상기 슬라이드부의 하측 단부에 형성된 슬라이드부 힌지축과, 상기 슬라이드부가 닫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슬라이드부 힌지축과 본체부를 연결하는 코일 스프링과, 상기 본체부의 상측부에 힌지결합되는 힌지결합부와, 상기 본체부가 수용되도록 소정의 폭과 깊이로 함몰되고 함몰된 그 양측면에는 상기 슬라이드부 가이드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및 회동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결합부재 힌지축 및 상기 가이드리브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소정의 폭으로 요입되어 연장되고 상기 슬라이드부가 회동되고 일시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연장된 그 일정부위부터 그 폭이 확대된 확장부가 형성된 결합부재 가이드 레일이 형성된 수용홈으로 이루어진 결합부재와, 상기 슬라이드부가 회동되도록 상기 결합부재의 힌지결합부에 장착되어 상기 결합부재를 회동시키는 비틀림 스프링이 구비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부 가이드레일은 그 양측면에 각각 소정의 폭으로 요입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부 가이드레일은 그 양측면에 각각 소정의 폭으로 요입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또한, 상기 가이드리브는 상기 슬라이드부 가이드레일의 하측부에 상기 슬라이드부 가이드레일과 수평하게 소정의 폭으로 돌출 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부의 하측 단부에는 그 양측면에 상기 본체부를 향해 소정의 높이로 돌출 되어 상기 본체부를 수용하는 슬라이드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 돌출부에는 상기 본체부 가이드레일에 삽입되도록 봉형상으로 돌출된 각각의 슬라이드부 힌지축이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 돌출부는 본체부를 향해 돌출 될수록 그 폭이 점점 좁아지는 경사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슬라이드 돌출부의 경사단면과 접하는면이 상기 경사단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경사진 경사단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휴대용 단말기의 개폐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개폐장치가 형성된 휴대용 단말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휴대용 단말기가 닫힌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휴대용 단말기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A"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4에 도시된 "B-B" 부분을 단면하여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4에 도시된 "C-C" 부분을 단면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개폐장치가 장착된 휴대용 단말기는 본체부(101)에 슬라이드부(102)가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및 회동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개폐되고 본체부(101)의 전면에는 정보를 입력하고 기능을 조작하기 위한 키 패드(미도시)와 음성을 송신하기 위하여 마이크로폰을 내장한 송신부(106)가 형성되고, 그 상측부에는 무선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미도시)가 설치된다. 그리고, 슬라이드부(102)의 전면에는 문자 및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LCD로 이루어진 디스플레이부(104)와 음성을 수신하기 위하여 스피커를 내장한 수화부(107)가 구비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슬라이드부(102)가 본체부(101)에 슬라이딩 및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구조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체부(101)의 양측면에는 소정의 폭으로 요입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레일(111)이 각각 형성되고 슬라이드부(102)의 양측면에는 소정의 폭으로 요입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슬라이드부 가이드레일(112)이 각각 형성되고 슬라이드부 가이드레일(112)이 형성된 부위의 하측부에는 슬라이드부 가이드레일(112)와 수평하게 소정의 폭으로 돌출 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리브(113)가 형성된다.
슬라이드부(102)의 하측 단부에는 그 양측면에 본체부(101)의 양측면에 접하도록 본체부(101)를 향해 소정의 높이로 돌출 되어 본체부(101)를 수용하는 슬라이드 돌출부(102a)가 형성되고 그 본체부(101)의 양측면에 접하는 슬라이드 돌출부(102a)의 내측면에는 본체부(101)에 형성된 가이드레일(111)에 삽입되도록 봉형상으로 돌출된 각각의 슬라이드부 힌지축(114)이 형성된다. 그리고, 슬라이드부(102)가 닫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슬라이드부 힌지축(114)은 코일 스프링(115)에 의해 본체부(101)의 하측부 측과 연결되어 지지되고, 슬라이드 돌출부(102a)는 본체부(101)를 향해 돌출 될수록 그 폭이 점점 좁아지는 경사단면(102b)을 갖도록 형성된다.
또한, 본체부(101)의 상측부에 힌지결합되는 힌지결합부(121)와, 본체부(101)가 수용되도록 소정의 폭과 깊이로 함몰된 수용홈(122)이 형성되고, 그 수용홈(122)의 양측면에는 각각 봉형상으로 소정의 높이만큼 돌출 되어 슬라이드 가이드레일(112)을 따라 슬라이딩 및 회동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결합부재 힌지축(123)이 형성되고 결합부재 힌지축(123)이 형성된 하측단부에는 소정의 폭으로 요입되고 연장되어 상기 가이드리브(113)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지지하고 상기 슬라이드부(102)가 회동되고 일시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연장된 그 일정부위부터 그 폭이 확대된 확장부(125)가 형성된 결합부재 가이드 레일(124)이 형성된다. 그리고, 결합부재(120)는 상기 슬라이드 돌출부(102a)의 경사단면(102b)과 접하는면이 상기 경사단면(102b)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경사진 경사단면(102a)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힌지결합부(121)에는 상기 슬라이드부(102)가 회동되도록 상기 결합부재(120)의 힌지결합부(121)에 장착되어 상기 결합부재(120)를 회동시키는 비틀림스프링(126)이 구비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구성된 개폐장치가 장착된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드부(102)를 열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부(102)가 닫힌 상태에서 사용자가 길이방향으로 밀어 올리면 본체부 가이드레일(111)을 따라 슬라이드부 힌지축(114)이 슬라이딩되고 또한 슬라이드부(102)에 형성된 결합부재 힌지축(123)이 슬라이드부 가이드레일(112)을 따라 슬라이딩되며 결합부재(120)에 형성된 결합부재 가이드레일(124)을 따라 가이드리브(113)가 결합부재 가이드레일(124)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슬라이드부(102)가 열리게 되는 것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부(102)가 일정길이 만큼 슬라이딩되어 열리게 되면 결합부재 가이드레일(124)을 따라 슬라이딩되면 가이드 리브(113)의 끝단부가 결합부재 가이드레일(124)의 확장부(125)에 이르게 되면 비틀림 스프링(126)의 탄성력에 의해 슬라이드부(102)가 회동되면서 가이드리브(113)가 확장부(125)에 의해 형성되는 걸림턱부에 일시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슬라이드부(102)가 완전하게 슬라이딩되어 열린 상태에서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회동되는 것이다.
또한, 소정의 각도로 이루도록 열린 슬라이드부(102)를 닫고자 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슬라이드부(102)에 힘을 가하여 가이드리브(113)가 확장부(125)를 벗어나 결합부재 가이드레일(124)에 안착되면서 코일스프링(115)의 탄성력에 의해 슬라이드부(102)가 열리는 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슬라이드부(102)가 슬라이드 되면서 닫힌 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단말기의 개폐장치는 본체부(102)와 슬라이드부(102)가 결합부재(120)에 의해 슬라이딩됨과 동시에 회동 가능하도록 고정되어 슬라이드부(102)가 일정길이만큼 슬라이딩되면 회동되어 본체부(101)에 형성된 송신부(106)와 슬라이드부(102)에 형성된 수화부(107)가 사용자의 입과 귀에 가깝게 위치하여 송신감도 및 수화감도가 향상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단말기의 개폐장치는 본체부와 슬라이드부가 결합부재에 의해 슬라이딩됨과 동시에 회동 가능하도록 고정되어 슬라이드부가 일정길이만큼 슬라이딩되면 회동되어 본체부에 형성된 송신부와 슬라이드부에 형성된 수화부가 사용자의 입과 귀에 가깝게 위치하게 되어 사용이 편리해짐과 동시에 송화 감도 및 수화 감도가 증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슬라이드형 휴대용 단말기를 슬라이드부가 닫힌 상태에서 보인 사시도,
도 2는 종래 슬라이드형 휴대용 단말기를 슬라이드부가 열린 상태에서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개폐장치가 형성된 휴대용 단말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휴대용 단말기가 닫힌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휴대용 단말기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A"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도 4에 도시된 "B-B" 부분을 단면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도 4에 도시된 "C-C" 부분을 단면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본체부 102 : 슬라이드부
106 : 송신부 107 : 수신부
111 : 본체부 가이드 레일 112 : 슬라이드부 가이드 레일
113 : 가이드리브 114 : 슬라이드부 힌지축
115 : 코일 스프링 120 : 결합부재
121 : 힌지결합부 123 : 결합부재 힌지축
124 : 결합부재 가이드레일 125 : 확장부
126 : 비틀림 스프링

Claims (7)

  1. 일측면 하측부에 마이크로폰으로 이루어진 송신부가 형성되고 그 양측면에는 본체부 가이드레일이 형성된 본체부와,
    일측면 상측부에 스피커로 이루어진 수화부가 형성되고 그 양측면에는 슬라이드부 가이드레일 및 가이드리브가 형성된 슬라이드부와,
    상기 본체부 가이드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및 회동 가능하도록 삽입되어 상기 슬라이드부의 하측 단부에 형성된 슬라이드부 힌지축과,
    상기 슬라이드부가 닫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슬라이드부 힌지축과 본체부를 연결하는 코일 스프링과,
    상기 본체부의 상측부에 힌지결합되는 힌지결합부와, 상기 본체부가 수용되도록 소정의 폭과 깊이로 함몰되고 함몰된 그 양측면에는 상기 슬라이드부 가이드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및 회동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결합부재 힌지축 및 상기 가이드리브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소정의 폭으로 요입되어 연장되고 상기 슬라이드부가 회동되고 일시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연장된 그 일정부위부터 그 폭이 확대된 확장부가 형성된 결합부재 가이드 레일이 형성된 수용홈으로 이루어진 결합부재와,
    상기 슬라이드부가 회동되도록 상기 결합부재의 힌지결합부에 장착되어 상기 결합부재를 회동시키는 비틀림 스프링이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개폐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 가이드레일은 그 양측면에 각각 소정의 폭으로 요입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개폐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부 가이드레일은 그 양측면에 각각 소정의 폭으로 요입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개폐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리브는 상기 슬라이드부 가이드레일의 하측부에 상기 슬라이드부 가이드레일과 수평하게 소정의 폭으로 돌출 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개폐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부의 하측 단부에는 그 양측면에 상기 본체부를 향해 소정의 높이로 돌출 되어 상기 본체부를 수용하는 슬라이드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 돌출부에는 상기 본체부 가이드레일에 삽입되도록 봉형상으로 돌출된 각각의 슬라이드부 힌지축이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개폐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돌출부는 본체부를 향해 돌출 될수록 그 폭이 점점 좁아지는 경사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개폐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슬라이드 돌출부의 경사단면과 접하는면이 상기 경사단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경사진 경사단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개폐장치.
KR10-2003-0100786A 2003-12-30 2003-12-30 휴대용 단말기의 개폐장치 KR1005330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100786A KR100533038B1 (ko) 2003-12-30 2003-12-30 휴대용 단말기의 개폐장치
CNB2004100585524A CN100512330C (zh) 2003-12-30 2004-08-18 便携终端的开闭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100786A KR100533038B1 (ko) 2003-12-30 2003-12-30 휴대용 단말기의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8968A KR20050068968A (ko) 2005-07-05
KR100533038B1 true KR100533038B1 (ko) 2005-12-02

Family

ID=34858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100786A KR100533038B1 (ko) 2003-12-30 2003-12-30 휴대용 단말기의 개폐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533038B1 (ko)
CN (1) CN100512330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7096B1 (ko) 2009-06-01 2011-04-05 주식회사 팬택 힌지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2951B1 (ko) * 2005-11-07 2013-02-13 삼성전자주식회사 시청이 편리한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슬라이딩 거치 장치
KR101143806B1 (ko) * 2006-09-11 2012-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힌지조립체 및 이를 사용한 모바일기기
JP4845558B2 (ja) * 2006-03-29 2011-12-28 加藤電機株式会社 携帯機器
CN101227806B (zh) * 2007-01-19 2010-09-01 华硕电脑股份有限公司 手持式电子装置
CN101345779B (zh) * 2007-07-13 2010-12-08 华硕电脑股份有限公司 翻盖机构及应用其的电子装置
JP5085343B2 (ja) * 2008-01-11 2012-11-28 加藤電機株式会社 携帯機器のスライド機構及び携帯機器
KR101463819B1 (ko) * 2008-05-14 2014-1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KR101495173B1 (ko) * 2008-08-06 2015-03-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슬라이드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7096B1 (ko) 2009-06-01 2011-04-05 주식회사 팬택 힌지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US8514558B2 (en) 2009-06-01 2013-08-20 Pantech Co., Ltd. Hinge assembly and portable device hav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512330C (zh) 2009-07-08
KR20050068968A (ko) 2005-07-05
CN1638401A (zh) 2005-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05862B1 (ko) 슬라이딩 타입 무선 단말기
EP1530345B1 (en) Sliding-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663543B1 (ko) 팝-업 타입 휴대용 단말기
KR100778529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드/힌지 장치
KR100533038B1 (ko) 휴대용 단말기의 개폐장치
KR100631618B1 (ko) 슬라이드폰의 개폐장치
KR100681356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드/힌지 장치
KR100778530B1 (ko) 일자형 휴대용 단말기
KR100575759B1 (ko) 휴대용 단말기의 개폐장치
GB2325372A (en) Two part flip cover for a portable telephone
KR100595635B1 (ko) 슬라이드식 휴대용 단말기의 본체부 절곡장치
KR100677313B1 (ko) 휴대용 단말기의 개폐장치
KR100966554B1 (ko)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KR200326417Y1 (ko)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슬라이드 이동수단
KR100974678B1 (ko) 슬라이드형 휴대 단말기
KR20060019202A (ko) 슬라이딩형 이동통신 단말기
KR20050067291A (ko) 휴대용 단말기의 개폐장치
KR200366237Y1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폰
KR100539805B1 (ko) 휴대용 단말기의 개폐장치
KR200426888Y1 (ko) 일자형 휴대용 단말기
KR20030090550A (ko) 부채형 슬라이드 폰
KR20050056609A (ko) 슬라이드 업 타입 휴대용 단말기
KR100690315B1 (ko) 연결장치 및 이를 갖춘 휴대폰
KR101533845B1 (ko) 휴대폰용 슬라이드 장치
KR100317627B1 (ko) 슬라이드식과 플립식으로 개폐되는 커버를 구비한 휴대용 전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